You are on page 1of 7

제 5 장 물질수지의 기초

계 (system) 와 외계 (surrounding)
• 계 (system)
- 계산 대상이 되는 특정 부분
• 외계 (surrounding)
- 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 경계 (system boundary)
- 계와 외계의 구분 선 외계
(surrounding)

유입 (input) 유출 (output)

(system)

경계
(system boundary)
공정 (process) 의 분류
• 회분공정 (batch process)
- 폐쇄계로 유지되는 공정 , 반응 도중 원료의 유입과 유출이 없는 공정
• 연속공정 (continuous process)
- 개방계 , 반응 도중 원료의 유입과 유출의 흐름이 계속되는 공정
• 반회분공정 (semi-batch process)
- 원료의 유입 , 유출중 하나는 폐쇄로 다른 하나는 개방계로 운영되는 공정

유입 (input) 유출 (output)

(system)

외계
(surrounding)
경계
(system boundary)
물질수지 (material balance)
• 질량보존의 법칙
- 질량은 파괴되지도 창조되지도 않는다

유입 (input) – 유출 (output) = 축적 (accumulation)

유입 (input) 계 (system) 유출 (output)


계산 대상으로 선정한 영역

정상상태 축적 (acc.) 비정상상태


(steady state) (unsteady state)

축적 = 0 축적 ≠ 0

• 개방계 (open): 연속공정 (continuous process)


• 폐쇄계 (closed): 회분공정 (batch process)
물질수지 (material balance)
•흐름과 화학반응이 동시에 일어나는 계
유입 (input) – 유출 (output) + 생성 (gen.) – 소비 (con.) = 축적 (accumulation)

• 화학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계
유입 (input) – 유출 (output) = 축적 (accumulation)

• 계내의 축적이 없는 계 ( 정상상태의 계 )


유입 (input) – 유출 (output) = 0

유입 (input) 계 (system) 유출 (output)


계산 대상으로 선정한 영역

정상상태 축적 (acc.) 비정상상태


(steady state) (unsteady state)

축적 = 0 축적 ≠ 0
A+B→C
정상상태 물질수지의 계산
• 주어진 문제의 공정을 정확하게 파악
• 공정을 간단하게 작도하고 흐름을 표시
• 모든 공정에 장치의 명칭을 쓰고 중요한 흐름에는 양과 조성을 함께 표시
• 화학반응이 있으며 반응식을 함께 쓴다
• 계산 대상 및 기준을 정한다
• 물질수지를 세운다

A+B→C
유입 (input) 유출 (output)

물질흐름 (system) 물질흐름
구성성분 구성성분
축적 (acc.)
정상상태
비정상상태
공정의 상태 (state) 와 물질수지의 종류
• 정상상태 (steady state)
- 공정의 변수 값 ( 온도 , 압력 , 부피 , 유속 등 ) 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상태
• 비정상상태 (unsteady state), 과도상태 (transient)
- 공정의 변수 값 중 어느 하나라도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상태
• 총괄물질수지 (overall material balance)
- 계산 대상의 총 질량에 관한 수지식
• 성분물질수지 (components material balance)
- 계산 대상의 구성 성분에 관한 수지식

유입 (input) 유출 (output)

(system)

축적 (acc.)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