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5

IEEE 802.

11 경기대학교 전자공학과
오민석
표준기술 동향 msoh@kgu.ac.kr
목차
IEEE 802.11 운영 개요
TGmc (Maintenance)
TGah (Sub 1 GHz, S1G)
TGai (Fast Initial Link Set-up, FILS)
TGaq (Pre-Association Discovery, PAD)
TGax (High Efficiency WLAN, HEW)
TGay (Next Generation 60 GHz)
SG NGP (Next Generation Positioning)
IEEE 802.11 WG 운영 -
구조
IEEE 802.11 WG(Working Group)은 Wireless LAN 기술표준을
개발하는 그룹
IEEE 802.11 WG은 IEEE LMSC(LAN MAN Standards
Committee)의 일부
LMSC 내에 다음의 WG 또는 TAG들도 있음
 802.1 (Higher Layer LAN Protocols WG)
 802.3 (Ethernet WG)
 802.15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G)
 802.16 (Broadband Access Network WG)
 802.18 (Radio Regulatory TAG)
 802.19 (Coexistence TAG)
 802.21 (Media Independent Handover Services WG)
 802.22 (Wireless Regional Area Network WG)
 802.24 (Smart Grid TAG)
IEEE 802.11 WG 운영 -
조직
TAG(Technical Advisory Group)
• 특정의 기술적 난제(challenges)를
분석 및 평가
• LMSC와 다른 표준기구와의 교섭
창구 역할 [2]
• 한 예로서 802.19(Coexistence
TAG)는 현재 3GPP의
LAA(Licensed-Assisted Access)
에 대한 기술 평가 및 교섭 창구
역할을 하고 있음

IEEE 802 LMSC Reporting Relationships [1] Standards Development Groups [1]
IEEE 802.11 WG 운영 -
투표권 TG(Task Group)
• 회원들의 기술 제안을 모아 의견을 수렴하고 기술표준 초안을 작성
• 기술표준의 완성과 함께 종료
• 의장은 WG 의장은 회원의 다수결에 의해 지명됨

개방 포럼(Open Forum): IEEE의 표준화 회의에는 참가비를


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음
투표권
 WG 내의 투표권자는 TG(Task Group)내의 안건에 대해
제안(motion)을 할 수 있음
 투표권이 없는 참가자도 straw poll(비공식 여론 조사)에는 참가할
수 있음
 또한 SG(Study Group)에서는 모든 참가자가 투표할 수 있음
 WG 내의 회의에서 투표는 투표권을 가진 자에 한해 허용
SG(Study Group)
• 제한된 기간 동안 특정한 산출물을 만드는 임무를 수행하기 위
한 그룹 [3]
• SG의 일반적인 역할은 802.11 WG로부터 TG 구성 승인을 받기
위한 PAR(Project Authorization Request), CSD(Criteria for
Standards Development)를 작성하기 위해 구성됨
IEEE 802.11 WG 운영 -
투표권
회원 자격 (투표 자격)
 회원 자격은 업체에 부여되는 것이 아니고 개인에게 부여됨
 회원 자격은 참석 빈도에 따라 non-voter, aspirant member,
potential voter, voter로 구분
 참석(participate)의 의미는 하나의 WG내의 여러 TG, SG 회의에
최소한 75% 참석 등록(record attendance)하는 것을 의미
 4 회의 연속된 전체회의(plenary session) 중 적어도 2 회를
참석(participate)하고 그 다음 전체회의에 참석 등록(record
attendance)하면 투표 권한을 획득
IEEE 802.11 WG 운영 -
투표권 전체회의(Plenary session)는 매년 3, 7, 11월에 열림

 비투표권자(non-voter): 처음으로 회의에 참석하는 자


 투표권 지원자(aspirant member): 비투표권자가 처음 회의를
참석하고 나면 투표권 지원자가 됨. 이후 4 회 연속된
전체회의(plenary session) 중 한 번도 참석하지 않으면 다시
비투표권자가 됨
 잠정적 투표권자(potential voter): 투표권 지원자가 4 개의
연속된 전체회의 중 하나의 회의를 참석하고 나면 잠정적
투표권자가 됨. 잠정적 투표권자가 4 회 연속된 전체회의 중 2회
참석하지 않으면 투표권 지원자로 됨 (2 회 중 1 회는 중간회의로
대체 가능)
 투표권자(voter): 잠정적 투표권자가 전체회의에 참석하면 그
전체회의에서부터 투표권자로 됨. 투표권자는 4 회의 연속된
전체회의 중 적어도 2 회 참석해야 투표권을 유지할 수 있음. (2
회 중 1 회는 중간회의로 대체 가능) 투표권자가 4 회의 연속된
전체회의 중 1 회만 참석하면 투표권 지원자로, 한 번도 참석하지
않으면 비투표권자로 됨
IEEE 802.11 WG 운영 -
투표권
Start of first
attendance

Information on
Non-Voter reflector access
emailed to aspirant

attended 0 of 4 attended 1 of 4

Reflector
attended Aspirant Request
Reflector Access
0 of 4
meetings
attended 1 of 4 attended 2 of 4 Information on
or returned Potential Voter status
< 4 of 6
ballots Potential emailed
attended Information on Voter
1 of 4 interim Voter status and members’
meetings area credentials
Records attendance at next plenary emailed

Members Area
Voter Access
Notification of loss of
Voter status

Membership Flow Diagram [3]


IEEE 802.11 WG 운영 -
표준화 절차
표준화 절차
 기술표준이 만들어지기 전에, IEEE-SA Standards Board 산하의
상임위원회의 하나인 NesCom(New Standard Committee)으로부터
SG가 제출한 PAR(Project Authorization Request)에 대한 승인을
받아 TG를 구성함
 TG를 통해 여러 번에 걸쳐 표준 초안(draft)을 만들며 WG이 letter
ballot을 통해 승인함
 Letter ballot은 802.11의 모든 투표권자가 참여할 수 있음
 투표권자 중 50% 이상 참여와 참여자 중 75% 찬성에 의해 승인 [3]
 이어서 Sponsor balloting group에 의한 sponsor ballot을 거쳐
IEEE-SA에 상정
 Sponsor ballot group: 표준화 절차 중 개발 과정을 거쳐 새로운 표준
초안이 제안될 때 또는 기존의 표준의 제개정될 때에 일시적으로 형성되며,
IEEE 데이터센터가 관리하는 특정 분야의 Balloting Pool(전문가그룹)을 활용
 Sponsor ballot group은 개인 또는 그룹이 될 수 있음 (한 표의 권한) [4]
IEEE-SA STANDING
COMMITTEES (상임위원회)

Standing Committees (상임 위원회) of the IEEE-SA [5] & IEEE-SA SB [4]
11AC, 11AH, 11AX에서
사용하는 표준 개발 절차
운영 중인(ACTIVE) IEEE
802.11 WG의 TG, SG들
Type Group Description

TG MC Revision mc (REVmc)
TG AH Operation in 900 MHz bands (S1G)
TG AI Fast Initial Link Setup (FILS)
TG AJ China Milli-Meter Wave (CMMW)
TG AQ Pre-association Discovery (PAD)
TG AK General Link (GLK)
TG AX High Efficiency Wireless LAN (HEW)
TG AY Next Generation 60 GHz
SG NGP Next Generation Positioning
IEEE 802.11 REVISIONS

IEEE 802.11 Revisions [5]


IEEE 802.11 STANDARDS
PIPELINE

IEEE 802.11 Standards Pipeline [5]


IEEE 802.11MC,
MAINTENANCE 802.11-2007은 TGma에서, 802.11-2012는
TGmb에서 통합하였음
802.11 TGmc (Maintenance) Task Group
목표: 802.11-2012, 11ae-2012, 11aa-2012, 11ad-2012,
11ac-2013, 11af-2013의 amendments를 802.11-2016이라는
이름으로 통합하기 위함
표준화 일정
 PAR Approved: 2012.8
 Working Group Initial Letter Ballot: D1.0 2013.3
 Working Group Recirculation Letter Ballot: D2.0 2013.10, D3.0
2014.6, D4.0 2015.2
 Initial Sponsor Ballot: 2015.3 (3월 회의에서 802 Executive
Committee에 Sponsor Ballot을 위한 승인 요청을 하였음)
 Final WG Approval: 2015.11 예정
 최종 승인: 2016.3 예정
IEEE 802.11AH, S1G
802.11 TGah (Sub 1 GHz) Task Group
목표: 1 GHz 이하의 비면허대역을 이용하여, 보다 전송거리를
크게 하고, 전력소모를 줄이고, 보다 많은 수의 단말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amendment 개발
표준화 일정
 PAR Approved: 2010.10
 Working Group Initial Letter Ballot: D1.0 2013.11
 Working Group Recirculation Letter Ballot: D2.0 2014.7,
D3.0 2014.10, D4.0 2015.2
 Initial Sponsor Ballot: 2015.7 예정
 Final WG Approval: 2016.1 예정
 최종 승인: 2016.3 예정
IEEE 802.11AH -
SPECTRUM FOR 11AH

Sub 1 GHz Spectrum Availability in Key


Geographies [6]
IEEE 802.11AH 기술 요구
사항
커버리지 및 전송 속도
 반경 1 km까지 최저 100 kbps의 속도를 제공

OFDM 사용
동시 연결 단말 갯수가 2007 개 이상
802.15.4 및 802.15.4g 단말과 coexistence
 802.15.4: low-rate WPAN
 802.15.4g: low-rate WPAN for smart metering utility
networks

Power save
 배터리를 사용하는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임
IEEE 802.11AH - USE
CASES
센서 네트워크
 전력, 가스, 상수 공급자들은 사용량 측정을 위해 센서 네트워크를
도입
 사용량을 측정하여 공급자에게 실시간으로 보냄
 이러한 센서네트워크에서 송수신거리와 동시 연결 단말 갯수는
기존의 802.11 WLAN의 경우보다 훨씬 커야 함
 1 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주파수 특성에 의해 통신 거리가
길어짐
IEEE 802.11AH - USE
CASES

Smart Grid – Meter to Pole [7]


IEEE 802.11AH - USE
CASES
센서와 계량기를 위한 백홀 네트워크
 IEEE802.15.4g는 소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저속 전송 센서들을
위한 링크를 제공
 IEEE802.11ah는 이들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백홀 링크의
역할을 수행

Backhaul for industrial process automation [7]


IEEE 802.11AH - PHY
IEEE 802.11ac PHY의 down-clocked operation에 기반
 802.11ac는 802.11n의 20 MHz, 40 MHz, 80 MHz, 160 MHz,
불연속 160 MHz 채널 대역폭을 이용

802.11ac의 10-times down-clocked version으로


802.11ah는 2 MHz, 4 MHz, 8 MHz, and 16 MHz 채널을
사용
커버리지를 크게 하기 위해 1 MHz 채널을 추가하였음
OFDM, DL-MU MIMO 사용
IEEE 802.11AH - MAC
늘어난 단말의 수, 소비 전력 감소, medium access 방식,
전송속도 향상을 위한 기술들 포함
 8,191 개의 단말과 연결
 기존의 WLAN은 2007 개까지 연결 가능
 전송속도 향상을 위한 compact frame 포맷 사용
 Header의 크기를 줄임
IEEE 802.11AH 기술개발
현황
2014년 현재 ETRI 및 Newracom은 802.11af/ah 기반의 칩을
개발 중
시장조사기관 Signals and Systems Telecom은 2013년 4월
발표에서, 세계 무선 M2M 시장이 2018년까지 23%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1,360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함
 사물인터넷(IoT)의 활성화와 함께 더욱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
IEEE 802.11AI, FILS
802.11 TGai (Fast Initial Link Setup) Task Group
목표: AP/Network 발견, 접속, 인증 및 IP 할당 등을 포함한
초기 링크 설정 시간을 절감시키기 위한 802.11 MAC 규격
개발
표준화 일정
 PAR Approved: 2010.12
 Working Group Initial Letter Ballot: D1.0 2013.9
 Working Group Recirculation Letter Ballot: D2.0 2014.5,
D3.0 2014.10, D4.0 2015.2
 Initial Sponsor Ballot: 2015.7 예정
 Final WG Approval: 2015.11 예정
 최종 승인: 2016.3 예정
IEEE 802.11AI 기술 요구
사항
Link set-up time
 0.1 초내에 연결되어야 함

Scalability
 많은 단말 수용 가능
 1 초내에 최소 100 개의 단말이 동시에 연결할 수 있어야 함

Concurrency in information exchange


 Concurrent authentication, association, IP 할당 기술
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트래픽을 줄이는 효과를 얻음 -> 고속 접속
IEEE 802.11AI - USE
CASES
전자결제
 비접촉 결제 가능

여행자 정보 전달
 박물관 등에서 방문자에게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

인터넷 접속
 사용자가 차량 또는 달리기 등으로 빨리 이동하면서 인터넷 접속

긴급 서비스
 고속으로 이동하는 앰뷸런스가 신호등 조작 [8]
IEEE 802.11AI 주요 기술
Fast AP/network discovery 및 selection 기술
Fast active/passive scanning 기술
Probe request filtering 기술
Concurrent authentication, association, IP assignment 기술
Management frame flooding 방지 기술 [9]
IEEE 802.11AI 기술 개발
현황
일본 총무성은 무선랜 고속 인증 기술의 표준화를 추진하는
단체인 Wi-FILS (Wireless LAN Fast Initial Link Setup)
추진 협의회와 협력하여 무선랜 고속 인증 기술 개발을 하고
있음
2013년 2월 교토대학교 내 실험 환경에서 무선랜 고속 인증
기술 실험을 실시하였음
IEEE 802.11AQ, PAD
802.11 TGaq (Pre-Association Discovery) Task Group
목표: 단말이 association을 맺기 전에 서비스의 존재 및 세부 서비스
정보를 알리는 MAC 규격에 대한 amendment 개발
표준화 일정
 SG PAD 결성: 2012.3
 PAR Approved: 2012.12
 Working Group Initial Letter Ballot: D1.0 2015.3
 Working Group Recirculation Letter Ballot: D2.0 2015.11
예정
 Initial Sponsor Ballot: 2016.1 예정
 Final WG Approval: 2016.11 예정
 최종 승인: 2016.11 예정
IEEE 802.11AQ 주요 기술
확장된 GAS, ANQP 기반의 응용 서비스 발견 기술
 GAS(Generic Advertisement Service), ANQP(Access Network
Query Protocol)은 802.11u(Interworking with External
Networks)에서 만들어진 network discovery mechanism

Pre-association 데이터 전송 기술
Container를 이용한 상위 계층 프로토콜 터널링 기술
PAD query/response 프로토콜 [9]
IEEE 802.11AQ - USE
CASES
프린터가 연결되어 있는 AP에 접속
 단말이 프린터를 찾음 -> AP가 자기에게 연결되어 있는 프린터의
존재를 알려줌 -> 단말이 그 AP에 접속

다자간 게임
 A가 AP에게 본인이 가지고 있는 게임 정보를 알려줌 -> B가 AP에
접근하고 AP에게 본인이 가지고 있는 같은 게임 정보를 알려줌 ->
AP가 A와 B에게 상대의 존재를 알려줌 -> 두 개의 단말이 AP에
접속하여 게임 진행 [10]
IEEE 802.11AQ 기술 개발
현황
표준화 초기 단계라 아직은 구현된 제품이 없음
완료 시점인 2016년 이후에 선 보일 것으로 예상
IEEE 802.11AX
802.11 TGax (High Efficiency WLAN) Task Group
목표: AP/STA가 밀집되어 간섭이 심한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느끼는
실제 전송속도가 향상된 기술표준을 개발
표준화 일정
 PAR Approved: 2014.3
 Working Group Initial Letter Ballot: D1.0 2016.7 예정
 Initial Sponsor Ballot: 2018.5 예정
 Final WG Approval: 2019.1 예정
 최종 승인: 2019.3 예정
IEEE 802.11AX 주요 기술
OFDMA
DL-MU MIMO, UL-MU MIMO, Beamforming
 UL-MU MIMO는 LTE rel.8 및 WiMax에 이미 적용된 기술이며
802.11ax에는 새로이 추가되는 기술

Dynamic Sensitivity Control


 CCA threshold를 변화시켜 주위의 간섭을 무시하고 전송하는
기법
 논의되는 기술이며 아직 확정된 기술은 아님
IEEE 802.11AY, Next
Generation 60 GHz
802.11 TGay (NG60) Task Group
목표: IEEE 802.11ad의 후속 기술로서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전송속도, 통신영역, 및 use-case를 확장시키는 PHY/MAC 기술 개발
표준화 일정
 SG NG60 시작: 2014.9
 PAR Approved: 2015.3
 Initial Sponsor Ballot: 2018.7 예정
 최종 승인: 2019.2 예정
IEEE 802.11AY - 기술
요구 사항
60 GHz millimeter wave spectrum에서 동작하는 802.11
물리계층을 전송기술을 개발
기존의 802.11ad를 확장시켜 전송속도, 통신거리, 및 use-
case를 늘리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주 use-case들은 indoor operation, outdoor back-haul, short
range communication을 포함

최대전송속도는 100 Gbps


IEEE 802.11AY - USE
CASES
Traffic Offload
 2.4 GHz, 5 GHz 대역도 머지않아 혼잡해질 것으로 예상

Cloud Storage EPC: Evolved Packet Core


 고속으로 백업 및 다운로드 BBU: Baseband Unit
RRH: Remote Radio Head
Mobile Backhaul/Fronthaul [11]
IEEE 802.11AY 주요 기술
60 GHz 대역을 위한 hybrid 빔포밍 기술
60 GHz 대역을 위한 MIMO 기술
60 GHz 대역에서의 채널 본딩 기술
60 GHz 대역에 적합한 고속 변복조 기술
802.11ad 접속 제어 향상 기술 [9]
IEEE 802.11AY 기술 개발
현황
2014년 5월 상용화된 802.11ad 호환 칩셋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Wilocity가 퀄컴에 합병
60GHz 무선랜 제품으로 tri-band 칩셋이 2011년 5월 Atheros
(현 퀄컴), 2012년 7월 마벨에 의해 발표 되었으며, 2012년
11월에는 Dell에서 Wilocity 칩셋을 적용한 802.11ad 지원
노트북 출시된 바 있음
SG NGP, NEXT
GENERATION POSITIONING
802.11 NGP (Next Generation Positioning) Study Group
목표: AP/STA의 상대적 또는 절대적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알아내는
802.11n, 11ac, 11ad, 11ax, 11ay에 적용되는 PHY, MAC 기술
개발
표준화 일정
 SG NG60 시작: 2015.1
 PAR Approved: 2015.7 예정
 Initial Sponsor Ballot: ?
 최종 승인: ?
SG NGP의 목표 및 활동
802.11-2016에 포함되는 기술로 위
치를 파악하는데 이용됨 수 있음 [12]
목표
 Fine Timing Measurement(FTM)에서 제공하는 기술보다 우수한
성능으로
 가능한 무선 데이터의 송수신을 덜 하여 전력 소비를 줄이며
 단말이 밀집한 환경에서도 동작하도록

현재 활동
 PAR, CSD, use case 작성 중에 있음
2015년 3월 회의 참석 현황

Attendance Total, 2015/3 [13]


참고문헌
[1] IEEE 802 LMSC Operations Manual,
http://www.ieee802.org/PNP/approved/IEEE_802_OM_v16.p
df
[2] Wireless Networking: Understanding Interworking
Challenges, John Wiley and Sons, July 2013
[3] IEEE 802.11-14-0629-10-, “IEEE 802.11 Operations
Manual”
[4] IEEE-SA Standards Board Operations Manual,
http://standards.ieee.org/develop/policies/opman/sb_om.pdf
[5] IEEE Standard Association Operations Manual,
http://standards.ieee.org/develop/policies/sa_opman/sa_om.
pdf
[6] IEEE 802.11-11-1329-01-00ah, “Motions and Straw poll
on Channelization for 11ah”
참고문헌
[7] IEEE 802.11-11-0301-02-00ah, “Categories of TGah
Use Cases and Straw Polls”
[8] IEEE 802.11-11-0148-07-00ai, “Use Cases Requiring
Fast Initialization”
[9] 2014 IEEE 802.11 대응 포럼 백서, TTA
[10] IEEE 802.11-13-0327-00-00aq, “Use Cases for TGaq”
[11] IEEE 802.11-14-1166-00-ng60, “NG60 Use-Cases”
[12] IEEE 802.11-14-1464-02-0wng, “Next Generation
Positioning Overview and Challenges”
[13] IEEE 802.11-15-0225-01-0000, “802.11 WG Closing
Report, March 201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