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질량으로 무게(힘) 구하는 법

작성자 정보

이 글에서는 무게(힘) 계산하기 예시 문제 실수 바로잡기 출처

어떤 물체의 무게는 중력이 그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의미한다. 질량이라는 것은 그 물체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의 양을 의미한다.
질량은 중력과 장소에 무관하게 항상 동일하다. 그래서 지구에서 20kg인 물체가 달에서도 20kg인 것이다. 달의 중력이 지구의
1/6이니까 질량도 1/6이 되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무게는 중력이 약한 만큼 덜 나갈 것이다. 이 글을 읽고 물체의 질량을 가지고
그 물체의 무게(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구하는 법을 배워보도록 하자.

파트
무게(힘) 계산하기
1

1 "무게(w) = 질량(m) x 중력가속도(g)" 공식을 사용해 무게를 질량으로 변환하기. 무게는 특정 물체에 작용하
는 중력의 힘이다. 과학자들은 이 문장을 다음의 공식으로 표현한다. w = m x g, 또는
w = mg.
무게가 힘이기 때문에 w 대신 F로 표기해 다음처럼 쓰기도 한다 F = mg.
F = 무게를 의미하며 단위는 뉴턴이다, N.
m = 질량을 의미하며 단위는 킬로그램이다, kg.
g = 중력가속도를 의미하며 단위는 m/s2이다.
미터를 사용한다면 지구의 중력가속도는 9.8 m/s2이다. 이것이 국제적인 표준 단위이기 때문에 대
부분의 경우 이 값과 단위를 사용할 것이다.
혹시나 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력가속도가 32.2 f/s2로 변한다. 단위가 미터에서 피트로 바뀌
었기 때문에 값도 바뀐 것이다.

2 물체의 질량 구하기. 질량으로부터 무게를 구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그리고 이미 질량은 문제에서 주어


졌을 것이다. 질량은 특정 물체의 어느 정도의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려주는 값이다. 그리고 국제적으
로 kg로 표기된다.

3 중력가속도 구하기. 다른 말로는 g를 찾아야 한다. 지구 표면에서 g는 9.8 m/s2이다. 물론 우주의 다른 곳에서
는 중력이 바뀌어 중력가속도도 바뀌게 될 것이다. 아마 문제에서 중력가속도를 줄 것이다.
달에서의 중력가속도는 지구와 달라진다. 달의 중력이 지구보다 약하게 때문에 중력가속도는 1.622 m/s2
이 되며, 이 값은 지구 중력가속도의 1/6이다. 그래서 달에서는 몸무게가 지구의 1/6이 되는 것이다.
태양의 중력가속도는 지구, 달과는 또 다르다. 태양 중력으로 인한 가속도는 274.0 m/s2 또는 지구의 28배
이다. 즉, 태양에서는 몸무게가 지구의 28배가 나갈 것이다(살아있다는 가정하에).

4 공식에 값 대입하기. 이제 m(질량)과 g(중력가속도)를 알았으니 공식 F = mg에 값을 대입해 무게(힘)을 구할


수 있을 것이다. 구한 값을 뉴턴 또는 N단위로 적어주는 것을 잊지 않는다.

파트
예시 문제
2

1 예시 문제 #1. "어떤 물체가 100kg의 질량을 가지고 있다. 지구 표면에서의 무게를 구하라."

우리는 이 문제에서 m과 g를 둘 다 얻었다. 질량은 100kg이고 중력가속도는 9.8 m/s2이다. 이제 그 둘을


곱해 지구 표면에서의 무게를 구하면 된다.
공식을 적어 값을 대입해보자: F = 100 kg x 9.8 m/s2
그러면 최종적인 답이 나온다. 지구 표면에서 100kg의 질량을 가진 물체는 대략 980 뉴턴의 무게를 지니게
된다. F = 980 N.

2 예시 문제 #2. "어떤 물체가 40kg의 질량을 가지고 있다. 달에서 이 물체는 어느 정도의 무게를 지니겠는가?"

이전 문제와 마찬가지로 문제에서 질량 m과 중력가속도 g가 둘 다 주어진다. 질량은 40kg이며 중력가속도


는 1.6 m/s2이다. 달의 중력가속도가 지구의 1/6이라는 점을 기억해두자.
공식을 써서 정리해본다: F = 40 kg x 1.6 m/s2
그러면 최종 답이 나온다. 달 표면에서 40kg의 질량을 지닌 물체는 64뉴턴의 무게가 나간다. F = 64 N.

3 예시 문제 #3. "지구 표면에서 549뉴턴의 무게가 나가는 물체가 있다. 질량은 얼마인가?"

이 문제에서는 공식을 역으로 이용해야 한다. 일단 무게(힘) F가 주어졌으며 중력가속도 g를 알기 때문에


m을 구하면 된다.
공식을 써보도록 하자: 549 = m x 9.8 m/s2.
곱하는 대신 나누도록 한다. 정확히는 양변을 g로 나누도록 한다. 그러면 F를 g로 나누게 된다. 따라서 549
뉴턴의 무게를 지닌(지구에서) 물체는 56kg의 질량을 가진다.

파트
실수 바로잡기
3

1 질량과 무게 헷갈리지 않기.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바로 무게와 질량을 헷갈리는 것이다. 질량은 특
정 물질이 얼마나 물체에 많이 들어있는지를 나타내며 물체를 다른 장소(달, 우주, 태양 등)로 가져가도 변하
지 않는다. 그 물체 내부의 물질이 사라지거나 생겨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게는 중력이 특정 물체, 즉, 내부
물질에 작용하는 힘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주로 가져가면 중력의 힘이 바뀌어 무게가 달라지는 것이다. 잘 기억해
두도록 하자. 아래를 살펴보면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질량은 그램(g)과 킬로그램(kg)으로 표기한다. 질량은 그램, 무게는 뉴턴이라는 점을 기억하도록 하자.
무게는 받는 중력의 힘에 따라 달라진다. 즉, 장소를 이동해 중력이 다르게 작용하는 곳에 가면 무게가 달
라진다.

2 국제 단위 사용하기. 대부분의 물리 문제에서는 무게 계산에 뉴턴(N)을 사용하고, 중력가속도에는 m/s2을 사


용한다. 그리고 질량은 kg으로 표시한다. 즉, 이중 하나라도 달라지면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없어진다. 먼저
위의 국제 단위로 모두 바꾼 뒤에 계산하는 것을 잊지 않도록 하자. 특히 제국/미국 단위를 사용한다면 이를 꼭 기
억해두도록 한다.
1 파운드힘 = ~4.448 뉴턴
1 피트 = ~0.3048 미터

3 뉴턴을 분해해 단위 재확인하기. 복잡한 문제를 풀고 있다면 단위를 계속해서 확인해가며 문제를 풀어 답을
낼 필요가 있다. 1뉴턴이 1 (kg*m)/s2이라는 점을 기억해두면 단위 정리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일부 단위를 제
거하려면 뉴턴을 위처럼 바꿔야 할 수도 있다.
예시 문제: 철수는 지구에서 880뉴턴의 무게가 나간다. 철수의 질량을 구하라.
질량 = (880 뉴턴)/(9.8 m/s2)
질량 = 90 뉴턴/(m/s2)
질량 = (90 kg*m/s2)/(m/s2)
단위를 약분한 뒤: 질량 = 90 kg
질량의 경우 kg로 써주면 된다. 즉, 답의 단위가 kg로 나오지 않았을 경우 계산이 틀렸을 가능성이 높다.

부록: kgf로 무게를 표기하는 경우

뉴턴은 국제 단위이다. 그런데 가끔은 무게를 kgf(킬로그램포스)로 쓰는 경우가 있다. 이는 국제 단위가 아니며 잘 쓰이지
않지만 지구에서의 무게를 비교할 때는 매우 편리하다.
1 kgf = 9.8166 N.
구한 뉴턴값을 9.80665로 나누도록 한다. 계산기를 쓰면 더 정확할 것이다.
101 kg가 나가는 우주인의 무게는 북극에서 101.3 kgf이며 달에서 16.5 kgf이다.
국제 단위란 뭘까? 정확히는 국제 단위계라고 하는 이 단위는 과학자들이 국제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완성된 단위 시
스템이다.

무게와 질량을 많이 헷갈리는 이유는 실생활에서 이 두 용어를 혼용해 사용하기 때문일 것이다. kg 계산에 무게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실제로 무게는 kgf 또는 N(뉴턴) 계산에 사용한다. 심지어 의사가 무게라는 말을 꺼내도 질량을 의미하는 경우
가 많다.
중력가속도 g는 N/kg. 1 N/kg = 1 m/s2처럼도 쓸 수 있다. 수치는 동일하다.
100 kg의 몸무게가 나가는 우주인은 북극에서 983.2 뉴턴의 무게가 나가며 달에서는 162.0 뉴턴의 무게를 지닌다. 중성자
별에서는 무게가 더 나가겠지만 아마 눈치채지는 못할 것이다.
저울은 기본적으로 kg 단위를 쓰지만 몸무게를 잴 때 스프링이나 압축 방식을 사용하는 저울은 kgf를 쓰기도 한다.
kgf보다 뉴턴을 더 많이 쓰는 이유는 뉴턴을 알고 있을 때 모든 것들의 계산이 더 편리해지기 때문이다.
경고

원자량은 원자의 무게가 아니라 질량이다. 이를 헷갈릴 수도 있으니 정확히 구분해두도록 하자.

출처

1. Georgia State University


2. Exploratorium
3. Princeton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