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선박에 적용되는 톤수

 
<작성 배경>
용적톤수인 총톤수, 순톤수 측정에 대하여 해당 국가별로 별도의 규정에 의해 100 ft3(=2.83
m3)을 1톤으로 하여 측정되던 것이 1982년 7월 18일부로 발효된 IMO 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on Tonnage Measurement of Ships, 1969)에 의하여 그 측정방법이 통일 되었으
며, 측정방법이 기존의 각 국가별 측정방법과 완전히 상이하며 100ft3 = 1톤이 성립되지 않
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상에서 검색을 해보면 아주 일부 불로그에 올려 놓은 자료를 제외
하고 대부분이 과거 1982년 이전의 각 국가별로 측정하던 내용이 대부분으로 오류가 있어
이를 정리한 것이며, 아울러 선박에 적용되는 중량개념의 톤수도 동시에 정리를 하였음.
 
오류 예)
1) ‘다음’, ‘네이버’ 국어사전 :
 -총톤수 : 배의 크기를 나타내는 톤수. 배 내부의 전체용적을 2.83㎥당 1톤의 단위로 나타낸다.
•오류 : 2.83 m3당 1톤이 아님.
-순톤수 : 배의 용적을 나타내는 톤수의 하나. 총톤수 중에서 선원실, 해도실, 기관실, 물탱
크 따위를 빼고 오로지 짐만 실을 수 있는 공간을 나타낸다. 100세제곱피트를 1
톤으로 정하며 이것을 기준으로 세금과 수수료를 정한다.
•오류 : 1) 총톤수 중에서 선원실, 해도실, 기관실, 물탱크 따위를 빼는 것이 아니고 화물을
적재하는 장소의 용적을 기준으로 식에 의해 산정하는 것임.
2) 100세제곱피트 1톤이 아님.

2) 전문용어대역사전(‘다음’검색)
    총톤수(조선해양) : G/T로 약기. 선체의 총 용적에서 갑판상부에 있는 추진, 항해, 안전,
위생에 관련된 공간을 제외한 부분을 톤수로 환산한 수치. =gross ton gross tonnage (영어)
G/T로 약기. 선체의 총 용적에서 갑판상부에 있는 추진, 항해, 안전, 위생에 관련된 공간을
제외한 부분을 톤수로 환산한 수치.
•오류 : 1)약어를 G/T가 아니고 GT임.
  2) 선체의 총 용적에서 갑판상부에 있는 추진, 항해, 안전, 위생에 관련된 공간을 제외한
부분을 톤수로 환산한 수치가 아니고 선체의 총 용적을 기준으로 식에 의해 산정하는
것임.
 
아울러, 본내용은 그동안 틈틈이 본인(이영효부장)이 정리한 것에 “선박설계학”(권영중편
저, 2006.8월)의 내용을 참조/인용하여 작성한 것임.

1) 개요
선박의 톤수는 선박의 크기 또는 유용 능력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지표인데 선박에
사용되는 톤수는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과 용적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대별된다.
중량을 기준으로 한 톤수는 ①만재배수량 또는 만재배수톤수(Full Load Displacement), ②경
하배수량 또는 경하배수톤수(Lightship Displacement), ③재화중량(Deadweight, DWT), ④기준
배수톤수(standard Displacement)가 이에 해당된다.
 
용적을 기준으로 한 톤수는 ①총톤수(Gross Tonnage, GT), ②순톤수(Net Tonnage, NT), ③
표준화물선환산톤수(compensated Gross Tonnage, CGT)가 이에 해당되며, 수에즈운하의 경
우 용적을 기준으로 한 총톤수, 순톤수가 있으며, 파나마운하의 경우는 순톤수만을 사용한다.
이러한 톤수들의 주요 사용처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선박의 등록 및 선박국적증서 등에 기재
② 각종 법규 적용의 기준
③ 각종 수수료(검사료, 도선료)의 표준
④ 보험료 및 각종과세의 기준
⑤ 항만시설 사용료(접안료, 정박료, 계선료, 입항료)의 기준
⑥ 기타사용료(운하통행료, 예인선 사용료등)의 표준
 

2) 중량톤수 (Weight Tonnage)


중량 즉 무게를 기준으로 한 톤수로서 아래와 같다.
 
2.1) 만재배수량 또는 만재배수톤수(Full Load Displacement)
선박이 떠서 평형을 유지할 때 선박이 밀어낸 물의 중량, 즉 ‘선체가 물에 잠긴 부분의
부피와 같은 부피의 물의 중량(즉, 부력)은 선체 중량과 같다.’는 Archimedes원리에 의해서
선체중량을 측정하여 톤으로 표시한 것을 배수톤수라 하며, 선박의 안전항해를 위하여 일정
한도 이상은 화물을 적재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는 최대한도흘수를 만재흘수선이라 하며,
화물, 연료, 청수, 식량 등을 적재하여 하기만 재흘수선(Summer Load Draft)으로 떠있는 상
태에서의 배수중량을 만재배수톤수 또는 만재배수량(Full Load Displacement)이라고 한다.
 
2.2) 경하배수량 또는 경하배수톤수(Lightship Displacement 또는 Lightship Weight, LWT)
선박 자체의 무게만을 톤수로 나타낸 것으로 말한다.
한편, 법정 Spare part, Main 엔진 Starting을 위한 각종기기, 파이프, 탱크 내에 들어있는
최소한의 기름과 물도 경하배수량에 포함되며, 화물, 연료, 승무원과 소지품, 청수, 식량 등
은 포함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2.3) 재화중량(Deadweight, DWT)


선박에 적재할 수 있는 최대의 화물의 무게를 말하며, 만재배수톤수에서 경하배수톤수를
뺀 것이다.
여기에는 유료화물(Payload) 뿐 아니라 연료, 청수, 승무원과 소지품, 식량 등 법으로 정해
지지 않은 예비품 등의 중량이 재화중량에 포함된다.
재화중량은 선박의 적재능력을 나타내기에 가장 적절한 톤수이기 때문에 선박의 건조계약
에서부터 선박의 매매, 용선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상거래에서 쓰이고 있다.
2.4) 기준배수톤수(Standard Displacement)
Washington 조약에서 정한 군함의 배수톤수로서 병기, 탄약, 승무원, 식량 등 모든 것을 적
재하고 있으나, 연료 및 급수(Reserved Feed Water, RFW)는 포함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군함의 크기는 보통이 톤수를 사용하여 표시하고 비교한다.

 
3) 용적톤수(Volume Tonnage, Capacity Tonnage)
위에서 언급한 톤수들의 사용처가 다양하며 중요한 지표가 됨에도 불구하구, 용적을 기준
으로 한 총톤수, 순톤수의 측정 규정이 각국마다 서로 다르게 규정되어 동일한 선박에 대
해서도 국적이 변경됨에 따라 서로 다른 톤수가 산정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서 해운과
항만 관리에 상당한 문제점이 제기되므로 각 국간에 간결하고 통일된 톤수의 필요성이 요
구되었다.
이에 따라 IMO에서는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선박의 톤수측정에 관한 국제통일규칙인
‘1969 선박톤수측정(International Convention on Tonnage Measurement of Ships, 1969)’
에 관한 국제협약’을 채택하여 1982년 7월 18일부로 발효를 하게 되었다.
그러나, 본 협약에 의한 총톤수가 기존의 각국규정에 의한 총톤수보다 크게 산정되는 문제
가 발생되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IMO 12, 13차총회[IMO Res.A.494(12), IMO
Res.A.541(13)]에서 기존의 방식대로 산정한 국내 총톤수를 해당국 정부에서 발행하는
Ship’s Safety Certificate 또는 다른 Certificate의 적당한 Box에 부기하여 적용할 수 있도
록 조치(국제톤수증서(International Tonnage Certificate)에는 부기 없음)하였으며,
1993.11.23. 18차총회[IMO Res.A.758(18)]에서는 국제톤수증서(International Tonnage
Certificate)에도 국내 톤수를 부기할 수 있도록 결의한 바 있다.
 
3.1) 총톤수(Gross Tonnage, GT)
용적을 기준으로 한 톤수로서 상갑판하부 및 상부의 모든 폐위장소(Enclosed Space)의 합
계용적에 일정한 계수를 곱하여 결정된다.
해당 국가별로 별도의 규정에 의해 100 ft3(=2.83 m3)을 1톤으로 하여 측정되던 것이 1982
년 7월 18일부로 발효된 IMO 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on Tonnage Measurement of
Ships, 1969)에 의하여 그 측정방법이 통일 되었으며 총톤수는 아래의 식으로 산정된다.
* 총톤수(GT) = K1 x V
  여기서, K1 = 0.2 + 0.02 log10V
  V = 선박의 폐위된 장소의 총합계(Total Volume of all enclosed  spaces of the ship, m3)
<참조> 총톤수(GT)와 재화중량톤수(DWT)의 관계
GT와 DWT의 관계의 정립은 불가하며 유조선, 컨테이너운반선, 가스운반선 등 선종에 따
라 차이를 보이며 몇 개 선박의 실적을 보니 유조선의 경우 GT가 DWT 크기에 따라 대략
55%~65% 정도를 보이며, 컨테이너운반선 80%~88%, 가스운반선(LPG, LNG) 87%~120%의 경
향을 보이고 있다.
 
3.1.1한국국적의총톤수(국내) 측정기준
한편, IMO Tonnage 협약에 의해 산출된 총톤수는 기존의 규정에 의해 측정된 총톤수와
상당한 차이(특히, 총톤수 10,000톤 이하의 선박 및 2층 이상의 갑판을 갖는 여객선/자동차
운반선 등의 경우 총톤수가 상당히 증가함)가 있어 우리나라의 경우 이차이의 보전을 위하여
‘선박톤수의 측정에 관한 규칙’(국토해양부령 제4호, 2008.3.14.시행)에 국제총톤수와 총톤
수(이하 국제총톤수와 구별을 위해 “국내총톤수”로 표기) 2개로 구분하여 계산토록 규정하
고 국제톤수증서와는 별개로 국내용으로 ‘선박 총톤수측정 증명서’를 발급하여 국제총톤
수보다 작게 산출되어 영세선주의 부담을 줄이고 있으며 그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다.
1993.11.23. 18차총회[IMO Res.A.758(18)]에서 국제톤수증서에도 국내톤수를 부기할 수 있도
록 결의한 바 있으나 국제톤수증서에 부기하지 않고 별도의 ‘선박총톤수증명서’를 발급
하고 있다.
 
① 단층 갑판을 가지는 선박의 국내 총톤수
국내총톤수 = 국제총톤수(GT) x (0.6+GT/10,000) x (1 + (30 - GT)/180
단, (0.6 + GT/10,000) >1 경우  : 1,
   (1+ (30 - GT)/180) <1 경우 : 1 을적용
 
<참조> 결국 위의 산식에 의하면
       국제총톤수 4000톤 미만 선박은 국내총톤수<국제총톤수
         국제총톤수 4000톤 이상 선박은 국내총톤수 = 국제총톤수
 
② 여객선, 자동차운반선등 2층 이상의 갑판을 가지는 선박의 국내총톤수
   = 국제총톤수(GT) x (0.6 + GT/10,000) x (1+ (30-GT)/180 x (B/A-0.25)
     단, (0.6 + GT/10,000) >1 경우 : 1,
        (1+ (30-GT)/180) <1 경우 : 1을 적용
        B/A ≤ 0.9, B/A <경우 : 0.7 적용
        A : Depth에서 별도의 표에 의해 정해진 수치를 뺀 값
        B : 2층갑판(건현갑판)까지의 형 깊이
 
<참조> 1) 2층 이상의 갑판을 가지는 선박의 국내총톤수<국제총톤수 (1.5~2.5배 차이)
2) 법제처(http://www.moleg.go.kr) 접속하면 선박 관련 뿐 아니라 국내 모든 법령 검색 가능
3) 총톤수, 순톤수의 영문표기도 Gross Register Tonnage(GRT), Net Register Tonnage(NRT)
로 사용하던 것을 국제톤수측정 규정에서는 Gross Tonnage(GT), Net Tonnage(NT)로 변
경되었으며, 선박의 길이, 폭, 깊이의경우도 Register Length, Register Breadth, Register
Depth에서 Length, Breadth, Moulded Depth at amidship으로 변경되었음.
 
3.2) 순톤수 (NT, Net Tonnage)
직접영업행위에 사용되는 화물을 적재하는 공간의 용적 및 여객의 수에 계수를 곱하여 구한다.
순톤수 = K2 x Vc x (4d/3D)2 + K3 x (N1 + N2/10)
       여기서, K2 = 0.2 + 0.02 log10Vc
              Vc = 화물을 적재하는 공간의 총용적(m3)
               d = Summer Load Draft
               D = Depth
              K3 = (1.25 x (GT + 10,000/10,000)
            N1 = 정원 8인이하 여객실의 여객 정원수
             N2 = 여객정원총수에서 N1을 뺀 여객 정원수
                   N1과 N2의합이 12명이하일 경우 N1, N2는 0으로 함
 
한편, 순톤수(NT) 측정결과 그 값이 총톤수(GT)의 30% 미만일 경우 총톤수(GT) x 30% 값
을 순톤수로 하며, 통상 LNG운반선, LPG운반선과 같이 선박의 전체용적에 비해 화물창 용
적이 적은 선박이 이에 해당된다.
 
2.3) 표준화물선환산톤수(Compensated Gross Tonnage, CGT)
총톤수(GT) 또는 DWT 개념으로는 특정선종 및 선형을 건조하는데 소요되는 작업량을 평
가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즉, 동일한 GT 또는 DWT의 Tanker, 컨테이너, LNG선 등의 작업
량, 선가, 부가가치 등의 측면에서 같은 수준으로 평가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몇 년 전부터 한국조선협회에서는 조선통계실적을 GT에서 CGT로 변경하여 발표를
하고 있다.
CGT를 기준으로 선박의 수주금액과 건조기간을 감안한 통계기준으로 좀 더 합리적인 적용
이 가능하며 그 산식은 아래와 같다.
 
CGT = GT x 선종, 선형범위별 CGT 계수
       CGT 계수 : 다음 페이지표 참조
 
현재 OECD WP6(경제협력개발기구, 제6조선작업부회)에서 사용되고 있는 CGT계수는 다음
표와 같으며, 국내경우 OECD CGT 계수를 사용하는 조선소가 있는가하면 일부 조선소는
자체에서 산정한 CGT 계수를 사용하기도 한다.
 
[표 ] OECD에서 사용하고 있는 선종, 선형 범위별 CGT계수
출처 : 한국조선협회
선 종 선형범위 , CGT 계수
1. CRUDE OIL TANKERS (S/H) 2. CRUDE OIL TANKERS (D/H) 3. PRODUCT &CHEMICAL
CARRIERS
4천DWT 미만 1.70 4천DWT 미만 1.85 4천DWT 미만 2.30
4천 ~ 10천 1.15 4천 ~ 10천 1.30 4천 ~ 10천 1.60
10천 ~ 30천 0.75 10천 ~ 30천 0.85 10천 ~ 30천 1.05
30천 ~ 50천 0.65 30천 ~ 50천 0.70 30천 ~ 50천 0.80
50천 ~ 80천 0.50 50천 ~ 80천 0.55 50천 ~ 80천 0.60
80천 ~ 160천 0.40 80천 ~ 160천 0.45 80천DWT 이상 0.55
160천 ~ 250천 0.30 160천 ~ 250천 0.35
250천DWT 이상 0.25 250천DWT 이상 0.30
4. BULK CARRIERS 5. COMBINED CARRIERS 6. GENERAL CARGO SHIPS
4천DWT 미만 1.60 4천DWT 미만 1.60 4천DWT 미만 1.85
4천 ~ 10천 1.10 4천 ~ 10천 1.10 4천 ~ 10천 1.35
10천 ~ 30천 0.70 10천 ~ 30천 0.90 10천 ~ 20천 1.00
30천 ~ 50천 0.60 30천 ~ 50천 0.75 20천 ~ 30천 0.85
50천 ~ 80천 0.50 50천 ~ 80천 0.60 30천 ~ 50천 0.75
80천 ~ 160천 0.40 80천 ~ 160천 0.50 50천 ~ 80천 0.60
160천DWT 이상 0.30 160천DWT 이상 0.40 80천 ~ 160천 0.50
160천DWT 이상 0.40
7. REEFERS 8. FULL CONTAINER SHIP& 9. RO-RO VESSELS
HIGH SPEED LINERS
4천DWT 미만 2.05 4천DWT 미만 1.85 4천DWT 미만 1.50
4천 ~ 10천 1.50 4천 ~ 10천 1.20 4천 ~ 10천 1.05
10천DWT 이상 1.25 10천 ~ 20천 0.90 10천 ~ 20천 0.80
20천 ~ 30천 0.80 20천 ~ 30천 0.70
30천 ~ 50천 0.75 30천DWT 이상 0.65
50천DWT 이상 0.65

 
 

선 종 선형범위 , CGT 계수
10. CAR CARRIERS 11. LPG CARRIERS 12. LNG CARRIERS
4천DWT 미만 1.10 4천DWT 미만 2.05 4천DWT 미만 2.05
4천 ~ 10천 0.75 4천 ~ 10천 1.60 4천 ~ 10천 1.60
10천 ~ 20천 0.65 10천 ~ 20천 1.15 10천 ~ 20천 1.25
20천 ~ 30천 0.55 20천 ~ 30천 0.90 20천 ~ 30천 1.15
30천DWT 이상 0.45 30천 ~ 50천 0.80 30천 ~ 50천 1.00
50천DWT 이상 0.70 50천DWT 이상 0.75
13. FERRIES 14. PASSENGER SHIPS 15. FISHING VESSELS
1천GT 미만 3.00 1천GT 미만 6.00 1천GT 미만 4.00
1천 ~ 3천 2.25 1천 ~ 3천 4.00 1천 ~ 3천 3.00
3천 ~ 10천 1.65 3천 ~ 10천 3.00 3천GT 이상 2.00
10천 ~ 20천 1.15 10천 ~ 20천 2.00
20천GT 이상 0.90 20천 ~ 40천 1.60
40천 ~ 60천 1.40
60천GT 이상 1.25
16. OTHER NON-CARGO VESSEL
1천GT 미만 5.00
1천 ~ 3천 3.20
3천 ~ 10천 2.00
10천GT 이상 1.50

3) 운하톤수 (Canal Tonnage)


운하톤수의 경우도 용적을 기준으로 한 톤수로서 운하통행료의 산정기준이 되며, 일반적으
로 사용하는 톤수를 적용하지 않고 그 운하 특유의 톤수측정규정에 의해 산출한다.
 
가)  파나마운하(Panama Canal)
기존의 톤수측정방식을 적용하여 오다가 새로운 측정방식인 PC/UMS(Panama Canal/Universal
Measurement System) 방식을 제정하여 1994년 10월 1일부터 적용하고 있으며, 다른 톤수규
칙과는 달리 운하통행료를 순톤수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총톤수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
PC/UMS 순톤수 산정식은 아래와 같다.
 
NT = K4 +K5(V) + CF1(VMC)
여기서,  K4 : {(0.25 + (0.01 x log V)} x 0.83
         K5 : log (Da – 10)/log (Da -16) x 17
         Da : V/L x B
         V : 선박의 폐위된 장소의 합계용적
         L : 배의길이
         B : 배의폭
         CF1 : 상갑판에컨테이너를운반하도록설계된선박경우 CF1 = 0.031.
               그 외 선박 경우 CF1 = 0
         VMC : Volume of Maximum Capacity of the Container
 
나)  수에즈운하(Suez Canal) 톤수
 국제톤수협약과는 무관하게 기존의 톤수측정방식(100 ft3 = 1톤)을 적용하고 있으며, 산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① 총톤수(Gross Tonnage)
GT = (Vt – 제외 장소의 용적) x 0.353
     여기서, Vt : 폐위된장소의합계용적
    제외 장소 : Double Bottom, Companion Way, Engine Casing 등측정 규정에 정한 장소
 
② 순톤수(Gross Tonnage)
      NT : GT – (공제장소의 용적 x 0.353)
 
<참조> 1 m3 = 0.353 톤,
       100 ft3 = 2.83 m3 = 1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