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9

최종보고서

ODA
ODA 사업의 기후변화 주류화 평가

2017. 11.
제 출 문

국무조정실장 귀하

본 보고서를 「ODA 사업의 기후변화 주류화 평가」에


관한 연구용역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7년 11월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현정택
연 구 진

<연구책임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정지원

<연구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문진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 이주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 송지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 구 원 오혜경
목 차

제1장 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주요 연구내용 (평가내용 및 방법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가. 연구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나. 방법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3. 기대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제2장 기후변화 주류화 정의 및 리우마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1. 유엔기후변화협약, 파리협정, SDGs와 기후변화 주류화 ·
··
··
··
··
··
··
··
··
··
··
··
··6
2. 주류화 논의동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가.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나. 국제기구의 주류화 노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3. 리우마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가. DAC 지침의 주요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나. 최근 논의동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제3장 국내외 기후변화 주류화 현황 I: 리우마커를 활용한 통계분석 ················· 34


1. 분석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2. 국제사회의‘기후 ODA’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가. 감축 및 적응마커 종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나. 감축 지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다. 적응 지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3. 주요국의 기후 ODA 사업 심층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가. 기후변화 지원 부문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나. 주요 공여국별 세부 지원 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4. 시사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 i -
제4장 주요국의 기후변화 주류화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1. 기후변화 지원 전략 및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가. 일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나. 독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다. 프랑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라. 영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
마. 미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2. 시사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3

제5장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주류화 현황 및 과제 ·


··
··
··
··
··
··
··
··
··
··
··
··
··
··
··
··
··
··
··
··
··
·95
1. 국제개발협력 전략과 기후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5
2. ODA 실행기관의 기후변화 지원전략 및 사업성과 ·
··
··
··
··
··
··
··
··
··
··
··
··
··
··
··
·97
가. 한국국제협력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7
나. 한국수출입은행(EDC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3
3. ODA사업의 기후변화 주류화 애로 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105
가. 주류화 노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5
나. 리우마커 한계 및 활용 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6
다. 기후관련 지원 확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7
4. 개선과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8

제6장 ODA 사업의 기후변화 주류화 개선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110
1. 기본 방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0
가. 주류화 노력의 당위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0
나. 주류화 실행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1
2. 리우마커 활용 지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4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1

- ii -
부 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8
부표 2-1. 리우마커로 표기 가능한 활동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128
부표 2-2. MDB의 감축 활동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8
부표 2-3. MDB의 적응 활동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3
부표 3-1. DAC회원국의 감축 지원분야(2014~15년 평균) ·
··
··
··
··
··
··
··
··
··
··
··
··
··
··
··166
부표 3-2. DAC회원국의 적응 지원분야(2014~15년 평균) ·
··
··
··
··
··
··
··
··
··
··
··
··
··
··
·167
부표 3-3. DAC회원국의 기후변화 지원분야(2014~15년 평균) ·
··
··
··
··
··
··
··
··
··
··
··168
부표 3-4. 주요국의 기후ODA 세부 분야별 지원 규모(2014~15년 평균) ·
··
·169
부표 4-1. 2017년 부처별 기후변화 관련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 ·
··
··
··170
부표 4-2. 2018년 부처별 기후변화 관련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 ·
··
··
··171

- iii -
표 목 차

표 2-1.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개도국 지원 관련 조항 ·


··
··
··
··
··
··
··
··
··
··
··7
표 2-2. 파리 당사국총회(COP21)의 개도국 지원 관련 결정 사항 ·
··
··
··
··
··
··
··
··
··7
표 2-3. 기후변화 관련 SDGs 목표 및 세부목표 ·
··
··
··
··
··
··
··
··
··
··
··
··
··
··
··
··
··
··
··
··
··
··
··
··
·9
표 2-4. 기후변화 주류화 단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표 2-5. 기후변화 주류화 관련 논의 경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표 2-6. 개발사업 분야별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 정책대안 ·
··
··
··
··
··
··
··
··
··
··
··
··
··
··15
표 2-7. ADB의 사업 단계별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 도구 ·
··
··
··
··
··
··
··
··
··
··
··
··
··
··
··25
표 2-8. 주요국의 리우마커 적용 계수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표 3-1. DAC회원국의 기후변화 마커 표기 현황(2014~15년 평균) ·
··
··
··
··
··
··
··
··36
표 3-2. DAC회원국의 감축마커 표기 현황(2014~15년 평균) ·
··
··
··
··
··
··
··
··
··
··
··
··
··38
표 3-3. DAC 회원국의 적응마커 표기 현황(2014~15년 평균) ·
··
··
··
··
··
··
··
··
··
··
··
··41
표 3-4. DAC 회원국의 기후변화 지원 부문(2014~15년 평균) ·
··
··
··
··
··
··
··
··
··
··
··
··44
표 3-5. DAC 회원국의 기후변화 감축 지원 부문(2014~15년 평균) ·
··
··
··
··
··
··
··45
표 3-6. DAC 회원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부문(2014~15년 평균) ·
··
··
··
··
··
··
··46
표 3-7. DAC 회원국 전체 및 일본과 독일의 기후ODA 세부분야(2014~15년 평균) ·48
표 3-8. 일본의 기후변화 지원 부문 및 사업목적 (2014~15년 평균) ·
··
··
··
··
··
··49
표 3-9. 독일의 기후변화 지원 부문 및 사업목적 (2014~15년 평균) ·
··
··
··
··
··
··50
표 3-10. 주요국의 기후ODA 세부분야(2014~15년 평균) ·
··
··
··
··
··
··
··
··
··
··
··
··
··
··
··
··
·51
표 3-11. 프랑스의 기후변화 지원 부문 및 사업목적 (2014~15년 평균) ·
··
··
··52
표 3-12. 영국의 기후변화 지원 부문 및 사업목적 (2014~15년 평균) ·
··
··
··
··
··53
표 3-13. 미국의 기후변화 지원 부문 및 사업목적 (2014~15년 평균) ·
··
··
··
··
··54
표 3-14. 한국의 기후변화 지원 부문 및 사업목적 (2014~15년 평균) ·
··
··
··
··
··55
표 3-15. 한국의 기후변화 지원 분야 및 공여기관 (2014~15년 평균) ·
··
··
··
··
··56
표 3-16. 한국의 주요 공여기관별 기후 ODA 지원 (2014~15년 평균) ·
··
··
··
··
·57
표 3-17. 국제사회와 한국의 기후 ODA 지원 비교 (2014~15년 평균) ·
··
··
··
··
·57

- iv -
표 3-18. 주요국의 기후 ODA지원 및 한국의 잠재 기후마커 분야 ·
··
··
··
··
··
··
··58
표 4-1. 일본의 기후변화 적응사업 구분 및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63
표 4-2. 독일의 기후변화 마커 조합 규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표 4-3. 독일 재생에너지․에너지효율 사업 평가지표 ·
··
··
··
··
··
··
··
··
··
··
··
··
··
··
··
··
··
··
··
·69
표 4-4. 온실가스 배출 수준에 따른 AFD 지원 여부 ·
··
··
··
··
··
··
··
··
··
··
··
··
··
··
··
··
··
··
··72
표 4-5. 영국 DFID의 중장기 비즈니스 플랜: 기후변화 전략 목표 수립 사례 ·
··75
표 4-6. 기후변화로 인한 직간접 영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표 4-7. USAID 사업영역과 기후변화 영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5
표 4-8. Global Climate Change 표준지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0
표 4-9. USAID 인도네시아 기후대응 역량강화 사업 평가 구성 ·
··
··
··
··
··
··
··
··
··
·92
표 4-10. 주요국의 기후변화·개발협력 전략 ·
··
··
··
··
··
··
··
··
··
··
··
··
··
··
··
··
··
··
··
··
··
··
··
··
··
··94
표 5-1. KOICA 기후변화 대응 중기전략(2016-2020) ·
··
··
··
··
··
··
··
··
··
··
··
··
··
··
··
··
··
··
··
··99
표 5-2. 사후평가가 진행된 KOICA 기후변화 관련 지원사업(최근 3년) ·
··
··100
표 5-3. 필리핀 재해방지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사업 평가 항목 및 지표 ·
··101
표 5-4. 우즈베키스탄 열공급시스템 개선 사업 평가 항목 및 지표 ·
··
··
··
··
··103
표 6-1. ODA 사업의 기후변화 주류화 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114
표 6-2. 감축 활동의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7
표 6-3. 적응 활동의 예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9

- v -
그림 목차

그림 2-1. ODA 사업 단계·수준별 기후변화 주류화 ·


··
··
··
··
··
··
··
··
··
··
··
··
··
··
··
··
··
··
··18
그림 2-2. 세계은행의 사업 단계별 기후위험 관리체계 ·
··
··
··
··
··
··
··
··
··
··
··
··
··
··
··
··
··21
그림 2-3. ADB의 기후 위험 관리방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그림 2-4. 리우마커 점수 부여 결정방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그림 3-1. 주요국의 기후변화 마커 표기 현황(2014~15년 평균) ·
·
···
··
··
··
··
··
··
··
··35
그림 3-2. 감축마커 표기 현황(2014~15년 평균) ·
··
··
··
··
··
··
··
··
··
··
··
··
··
··
··
··
··
··
··
··
··
··
··
··39
그림 3-3. 감축마커 표기 추세(2005~2015년)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그림 3-4. 적응마커 표기 현황(2014~15년 평균) ·
··
··
··
··
··
··
··
··
··
··
··
··
··
··
··
··
··
··
··
··
··
··
··
··42
그림 3-5. 적응마커 표기 추세(2010~2015년)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그림 3-6. 주요국의 기후변화 관련 사업 부문별 지원 비중(2014~15년 평균) ·44
그림 3-7. 주요국의 감축관련 사업 부문별 지원 비중(2014~15년 평균) ·
··
··
··46
그림 3-8. 주요국의 적응관련 사업 부문별 지원비중(2014~15년 평균) ·
·
···
··
··47
그림 4-1. JICA의 기후변화 주류화 지원체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그림 4-2. 프랑스의 기후변화 지원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그림 4-3. 영국 DFID의 기후 위험 및 기회요인(ORCHID) 평가 체계 ·
··
··
··
··
··76
그림 4-4. USAID의 기후복원적 개발 프레임워크 ·
··
··
··
··
··
··
··
··
··
··
··
··
··
··
··
··
··
··
··
··
··
··
·79
그림 4-5. USAID의 기후위험 관리 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3
그림 4-6. 사업단계별 기후 취약성평가·적응방안 및 활동예시 ·
··
··
··
··
··
··
··
··
··87
그림 4-7. USAID의 기후변화 관련 성과프레임워크 ·
··
··
··
··
··
··
··
··
··
··
··
··
··
··
··
··
··
··
··
··
·89
그림 5-1. KOICA 환경 주류화 도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8
그림 6-1. 리우마커 점수 부여 결정방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7

- vi -
글상자 목차

글상자 2-1. 원조효과성에 관한 파리선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글상자 2-2. 적도원칙(Equator Principl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글상자 2-3. 적응에 대한 정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글상자 4-1. USAID의 기후위험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글상자 5-1. 국제개발협력 기본법의 기후변화 관련 내용 ·
··
··
··
··
··
··
··
··
··
··
··
··
··
··
··95

- vii -
제1장 서 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제28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16.12월)에서는 국내외 기후변화 ODA 사업 현황


및 특성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기후변화 주류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ODA
사업의 기후변화 주류화 평가‘를 실시하기로 결정

- 기후변화를 고려한 ODA 사업의 필요성 증대 및 녹색기후기금(GCF) 유치를


계기로 혁신적인 기후변화 사업모델이 요구되는 상황을 고려할 때, 기존 기후
변화 사업과 주류화 현황을 평가하고 점검할 필요

- 동 평가과제는 ODA 사업에 대해 관계기관이 제안한 과제(안) 중 제22차('16.9월)


및 제23차('16.12월) 평가소위 심의를 거쳐 선정됨.

□ 기후변화는 개도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협하는 주요 도전과제로서 인식되


는 바, 국제사회는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신기후체제에 관한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을 통해 개도국에 대한 지원 노력을 강조

- 양적 확대뿐만 아니라 개도국 지원사업 전반에 대해 기후변화를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주류화(mainstreaming)가 핵심 쟁점인 바, 국제사회의 동향을 파악하
고 우리나라의 실태를 점검할 필요

- 우리나라는 대개도국 기후변화 특화기금인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을 유치


하는 등, 국제 협상무대에서 중견국으로서 역할을 지향한 바, 국제적 위상에
부합하는 ODA의 질적 수준 제고 차원에서 기후변화 주류화를 접근할 필요

□ 본 과제는 우리나라 ODA 사업의 기후변화 주류화 실태를 평가하고 이를 주


요 공여국과 비교함으로써 기후변화 주류화 및 ODA 질적 제고를 위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임.

- 기후변화 ODA 추이를 측정하는 국제적 기준인 리우마커를 활용하여 기후변화


ODA 규모를 파악하고, 국내외 기후변화 ODA 사업의 세부내용을 비교 분석

- 1 -
- 국내외 기후변화 ODA 사업의 종료 및 평가 보고서 검토를 통해 기후변화
ODA 사업의 효과성 검토

- 기후변화를 고려한 지원의 효과성 제고 및 우리나라 ODA 사업의 기후변화


주류화 개선방안을 도출

2. 주요 연구내용 (평가내용 및 방법론)

가. 연구내용
1) 기후변화 ODA 사업현황 파악

□ 기후변화 관련 지원에 관한 국제사회의 합의사항 분석


- SDGs 및 파리협정을 포함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COP21)
결정문(1/CP.21)의 개도국 지원 관련 사항 분석을 통해 ODA에 대한 시사점
도출

□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의 기후변화 관련 문서 및 통계 가이드라인 분석


- DAC은 2006년 기후변화와 개발협력의 통합에 관한 선언을 채택하고 회원국들
을 위한 정책지침을* 개발
* OECD. 2009. Policy Guidance on Integrat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into
Development Cooperation.
- 회원국의 기후변화 관련 지원규모를 추적하기 위해 1998년과 2010년에 각각
도입한 감축(mitigation) 및 적응(adaptation) 정책마커(policy marker) 관련, 최근
계정된 통계 보고 지침* 분석
* OECD. 2016. Handbook: OECD DAC Rio Markers for Climate.
□ 국내외 기후변화 ODA 현황 분석
- DAC 리우마커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및 주요 공여국의 기후변화 ODA 규모
파악

- 2 -
- 주요 공여국인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미국 등의 세부 지원현황 비교 분석

□ 리우마커를 적용한 기후변화 ODA 규모 측정의 개선과제 도출


- DAC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후변화 ODA는 29개 회원국 중 26위로 매우
낮은 수준(2014년 기준)

- 한편, 제1공여국인 일본은 양자 ODA 중 기후변화 ODA 비중이 절반 가까이


(42%) 차지하는 바, 이는 마커를 적용하는 판단기준이 회원국별로 상이한 것
에 기인할 수 있음.

- 국내적으로는 주요 기후변화 ODA 사업 시행기관을 대상으로 리우마커 인지


여부, 마커 적용의 문제점, 마커 적용이 가능한 추가 사업 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 또는 간담회를 실시, 개선과제 도출

2) 국내·외 기후변화 ODA 효과성 검토

□ 우리나라 기후변화 ODA 사업 리스트 정리


- 효과성 검토를 판단하기 위한 관련 보고서(종료 및 평가 보고서) 유무 확인

□ 우리나라 기후변화 ODA 사업의 평가


- 평가 보고서 분석을 통해 수원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및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 등 사업 목적 달성 여부 검토

- ODA 사업 시행기관, 평가 전문가 인터뷰 또는 간담회를 통해 기후변화 주류


화 관점에서 우리나라 ODA 사업 평가

□ 주요 공여국 기후변화 ODA 사업 사례로부터 시사점 도출


- 기후변화 ODA 전략, 기후변화 주류화 전략 수립 여부 및 이행사례를 조사하
고, 공개된 평가 보고서를 활용하여 기후변화 ODA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성
과관리틀 조사

- 3 -
3) 기후변화 주류화 방안 검토

□ 국내외 기후변화 ODA 사업 현황에 대한 분석을 근거로 우리나라 ODA 사업


의 기후변화 주류화 방안 제시

- KOICA, EDCF 등 기후변화 ODA 사업 시행기관 차원에서 추진가능한 기후변


화 주류화를 고려한 사업 발굴 및 실행, 평가내실화 방안을 제시하고, 프로젝
트 단계별, 유형별로 구체적 개선방안 제안

- 정책단계에서 국개위 및 평가소위의 효과적인 기후변화 주류화 품질관리 방안,


시행기간의 인식제고 및 역량강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평가결과 환류방안
제시

나. 방법론
□ 통계분석

-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리우마커 통계를 활용, 국내외 기후변화 관련


지원 추이 및 현황 분석

□ 문헌조사

- DAC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문서, 회의록, 리우마커 활용지침

- 기후변화 주류화에 관한 학술논문

- 주요국 및 국제기구 기후변화 지원 전략 및 정책문서

- 국내외 기후변화 관련 지원 평가 보고서

□ 관계기관 및 전문가 간담회

- 주요 ODA사업 실행기관(한국수출입은행, 한국국제협력단, 환경부, 산림청, 산


업부, 기상청 등) 간담회

- 4 -
- 전문가 간담회(EDCF 세이프가드 전문가, KOICA 환경전문관, 전 JICA 기후
환경 전문가)

3. 기대효과

□ 국내·외 기후변화 ODA 사업현황 파악 및 기후변화 ODA 지원 실태를 검토하


여, 최근 기후변화 및 국제개발 관련 동향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사업 지원
방향성 재점검

- 파리협정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등 최근 국제사회에서 이루어진 기후변화


및 개발 관련 합의를 국내 ODA 정책에 적용하고, 국격 제고효과 기대

□ 사업 실시기관의 기후변화 ODA 사업 주류화를 위한 사업주기(cycle)를 구축하


고, 사업 품질관리(quality control) 역량 및 기관별 평가역량 제고방안, 기후변
화 주류화 정착방안 마련에 기여

- 사업 단계별, 유형별 제도적 개선과제를 검토하여, ODA 사업 수행 및 평가 전


문성 등 관리역량 제고 기대

- 정책단계에서 기후변화 주류화 정책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전반적인 인식제고


및 역량강화

□ 궁극적으로 ODA 사업에서 기후변화 주류화 당위성을 인식하고, 국제사회에서


중견국가로서 글로벌 도전과제 대응과 SDGs 목표달성에 기여

- 5 -
제2장 기후변화 주류화 정의 및 리우마커

□ 국가의 발전 또는 국가 간 협력에서 기후변화를 주류화해야 하는 필요성은 기


후변화가 전 세계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주요 도전과제이자 이미 달성한 개발
성과를 위협한다는 문제 인식에서 비롯됨.

- 기후변화의 원인인 지구 온난화가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발전방식에 의해 가속


화되고 있다는 과학적 근거에 기초하여 선진국의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 지
원 책임이 요구되어 왔음.

□ 기후변화는 특정 분야로 간주되기 보다는 개발의 전 분야에서 기후변화의 위


험성과 영향을 고려하는 다분야 이슈로 다뤄지는 추세로 기후변화의 개발협력
에서의 ‘주류화(mainstreaming)’ 또는 ‘통합(integration)’ 노력이 이뤄지고
있음.

□ 이 장에서는 기후변화 주류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논의와 주요 공여기관의 주


류화 추진방식에 대해 정리하는 한편, DAC 회원국의 주류화 현황을 정량적으
로 추정하는 데 활용되는 리우마커에 대해 살펴봄.

1. 유엔기후변화협약, 파리협정, SDGs와 기후변화 주류화

□ 1992년 채택된 유엔기후변화협약은 공통의 그러나 차별적 책임, 형평성 원칙


에1) 따라 부속서 II에 속한 선진 당사국의 개도국 지원 의무를 명시하였음.2)

- 개도국의 협약 이행은 선진국의 재정지원에 달려있으며, 기후변화 대응이 중요


하나, 개도국의 최우선 목표는 경제·사회적 발전 및 빈곤감소임을 강조3)

1) UNFCCC(1992), Article 3.1.


2) UNFCCC(1992), Articles 4.3-4.5.
3) UNFCCC(1992), Article 4.7.

- 6 -
표 2-1.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개도국 지원 관련 조항

제 목 조 항 주요 내용
선진국의 새롭고 추가적인 재정지원 및 충분하고 예측가능한
4.3
자금의 규모
의무 4.4 기후변화에 특히 취약한 국가에 대한 적응 비용 지원
Commitments 개도국의 협약 이행은 선진국의 재정 지원 여부에 달려있음.
4.7 개도국에 있어 여전히 최우선 목표는 경제·사회적 발전 및 빈
곤감소임을 고려
기술이전을 비롯한 재원 메커니즘은 증여 또는 차관 형태와
11.1
관계없이 당사국총회의 지침 하에 기능해야 함.
재정 메커니즘
투명한 운영 시스템 하에서 재정 메커니즘은 모든 당사국의
Financial 11.2
형평성 및 균형 있는 입장을 반영해야 함.
Mechanism
재원 제공에 있어 선진국은 양자 또는 지역, 다자 채널을 활
11.5
용할 수 있음.
자료: UNFCCC(1992)를 바탕으로 저자 정리, 정지원 외(2013) 재인용.

□ 2015년 파리 당사국총회(COP21)에서 채택된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은 유엔


기후변화협약 이행 및 지속가능발전과 빈곤퇴치 차원에서 기후변화 위협에 대
한 전 지구적 대응을 강화하는 것을 협정의 목표로 제시4)

□ 2015년 파리 당사국총회(COP21)는 기존 당사국간 합의사항인5) 2020년까지 연


간 1,000억 달러 규모의 기후재원 조성 목표를 재명시하고, 2025년까지 목표
상향을 위한 논의를 지속할 것임을 밝힘.6)

표 2-2. 파리 당사국총회(COP21)의 개도국 지원 관련 결정 사항


구 분 조 항 주요 내용
Developed country Parties shall provide financial resources to
assist developing country Parties with respect to both
9.1
mitigation and adaptation in continuation of their existing
파리협정 obligations under the Convention.
Paris Other Parties are encouraged to provide or continue to provide
9.2
Agreement such support voluntarily.
As part of a global effort, developed country Parties should
9.3 continue to take the lead in mobilizing climate finance from a
wide variety of sources, instruments and channels, noting the

4) UNFCCC Secretariat(2015). Decision 1/CP.21, Annex, Paris Agreement.


5) 2010년 칸쿤 당사국총회(COP16) 합의사항임.
6) UNFCCC Secretariat(2015). Decision 1/CP.21, para. 53.

- 7 -
구 분 조 항 주요 내용
significant role of public funds, through a variety of actions,
including supporting country-driven strategies, and taking into
account the needs and priorities of developing country Parties.
Such mobilization of climate finance should represent a
progression beyond previous efforts.

Also decides that, in accordance with Article 9, paragraph 3, of


the Agreement, developed countries intend to continue their
existing collective mobilization goal through 2025 in the context
결정문 of meaningful mitigation actions and transparency on
53 implementation; prior to 2025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1/CP.21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aris Agreement
shall set a new collective quantified goal from a floor of USD
100 billion per year, taking into account the needs and
priorities of developing countries;
자료: UNFCCC Secretariat(2015)를 바탕으로 저자 정리.

□ 글로벌 개발목표인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는 기존 목표인 새천년개발목표


(MDGs)와 달리 기후변화를 독립적인 세부목표로 설정하였으며, 타 분야별 세
부목표 달성에 있어 기후변화 영향이 불가피

- 7번, 13번, 14번, 15번 목표가 각각 에너지, 기후변화, 해양자원, 산림 등 환경


관련 사항을 직접적으로 다루며, 6번, 11번, 12번은 식수위생, 도시 및 주거, 지
속가능한 소비 및 생산에 대한 내용으로 역시 환경에 관한 사항을 포함

- 8 -
표 2-3. 기후변화 관련 SDGs 목표 및 세부목표
목 표 세부 목표
13.1. 모든국가에서 기후관련 자연재해 대응역량 강화
13.2. 국가정책/전략/계획에 기후변화 대응전략 포함
Goal 1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긴급한 조치 13.3. 기후변화 적응, 감축, 조기경보를 위한 인적/제도적 역량 강
화 및 교육, 인지제고
13.a. UNFCCC 당사국총회 합의사항인 2020년까지 개도국기후대
응을 위한 연 1,000억 달러 조성 이행(GCF 활성화 등)
6.1. 2030년까지 모두에게 안전하고 저렴한 식수에 대해 보편적이
고 평등한 접근성 달성
6.3. 수질오염 개선, 위험 화학물질 폐기 근절, 미처리 폐수 비율
반감 및 재활용/재사용율 증가
- 9 -

6.4. 전 분야 수자원 활용 효율성 개선, 물 부족 해소를 위한 지속


가능한 취수 및 담수공급 보장, 물 부족 피해자 대폭 감소
Goal 6. 모두에게 지속가능한 식수/위생 접근성 보장 6.5. 2030년까지 국경간 협력 등 모든 차원의 통합수자원관리 이행
(통합수자원관리 이행도: 0~100)
6.6. 2020년까지 산, 산림, 습지, 하천, 암반 및 호수 등 물 관련 생
태계 보호 및 복구
6.a. 2030년까지 개도국 물/위생 프로그램을 위한 국제협력 및 역
량강화 지원
6.b. 물/위생 관리를 위한 지역사회 참여지원 및 강화
7.1. 2030년까지 저렴하고, 지속적이며 현대적인 에너지에 대한 보
편적 접근성 개선
Goal 7. 모두에게 지속가능한 에너지 보장
7.2, 2030년까지 전세계 에너지 구성에서 신재생에너지 비중 대폭
확대
목 표 세부 목표
7.3. 2030년까지 전세계 에너지효율성 개선율 2배 증대
7.a. 2030년까지 청정에너지 관련 연구·기술 접근성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에너지인프라 및 청정에너지기술 관련 투자 촉진
7.b. 2030년까지 개도국(최빈국, 소도서국, 내륙국)내 현대적이고 지
속가능한 에너지서비스 공급을 위한 인프라 확대, 기술개선
11.5. 2030년까지 재해로 인한 사망·피해자수, GDP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손실율 감소
11.6. 2030년까지 수질·도시·폐기물관리 등을 고려하여 도시의 1인
Goal 11. 모두에게 지속가능한 에너지 보장 당 부정적 환경영향 감소
11.b. 2020년까지 자원효율성, 기후경감 및 적응, 재해회복력 관련
통합정책 및 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하는 도시·거주지 수 증가,
효고 프레임워크에 따른 종합재해관리 체계 개발 및 이행
- 10 -

12.2. 2030년까지 천연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효율적 활용 달성


12.4. 2020년까지 국제적으로 합의된 체계에 따라 화학물질 및 폐
기물의 환경 친화적 관리, 대기·물·토양에 대한 배출 대폭 감축
Goal 12.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패턴 보장 12.5. 2030년까지 예방, 감축, 재활용, 재사용을 통한 폐기물 발생
대폭 감소
12.8. 2030년까지 지속가능개발과 자연친화적 생활방식에 대한 정보
및 인지도 제고 강화
14.1. 2025년까지 해양폐기물 및 영양염류오염 예방 및 대폭 감축
14.2. 2020년까지 해양 및 해안생태계  회복력 강화, 복원조치 시
행을 통한 해양 및 해안생태계 보호 및 지속가능관리
Goal 14.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해양자원 보존 및 지속가능한 이용 14.3. 모든 단계에서 과학협력강화 등을 통한 해양산성화 영향 최
소화 및 해결
14.4. 2020년까지 효과적인 어획량 규제, 남획, 불법, 비보고·비규제
어업, 파괴적 어업관행 종식, 지속가능 수산자원관리계획 시행
목 표 세부 목표
14.5. 2020년까지 국내/국제법에 부합되는, 과학적 정보에 기초한
해안/해양지역 최소 10% 보존
14.7. 2030년까지 수산/양식/관광업 지속가능관리를 통해 해양자원
지속가능이용으로 발생하는 소도서국/최빈국 경제이익 확대
14.a. 소규모 영세어민 위한 해양자원/시장 접근성 확대
14.b. 해양 및 해양자원의 보호 및 지속가능 이용 강화
15.1. 2020년까지 국제협정 의무에 따라 육지/내륙 담수생태계 및
서비스, 특히 산림/습지/산/건조지의 보호, 복원 및 지속가
능이용 보장
15.2. 2020년까지 전세계 모든 산림의 지속가능관리 이행 촉진, 산림
벌채 중지, 산림황폐화 복원, 신규조림 및 재조림 대폭 확대
15.3. 2030년까지 사막화 방지, 사막화/가뭄/홍수 영향을 받은 토지
- 11 -

포함 황폐화된 토지 및 토양 복구, 토지황폐화 없는 세상위한


노력
Goal 15. 육상 생태계 보호/복원 위한 지속가능 이용강화, 지속가 15.4. 2030년까지 지속가능개발에 필수적 편익제공역량을 강화하기
능 산림관리, 사막화/토지황폐화 방지, 생물다양성 손실 방지 위해 생물다양성 포함, 생태계 보호 보장
15.5. 2020년까지 자연서식지 황폐화 감소를 위한 시급하고 중요한
조치 이행, 생물다양성 손실 중지, 2020년까지 멸종 위기종
보호 및 멸종 예방
15.7. 보호동식물의 밀렵 및 밀매 종식위한 긴급한 조치 이행
15.8. 2020년까지 육상/수중생태계 외래종 유입 예방과 함께 육지/
수중생태계에 대한 영향 감소위한 조치 이행
15.9. 2020년까지 생태계, 생물다양성 가치를 국가/지역차원 계획/
개발, 빈곤감소 전략 및 회계에 통합
자료: UN(2015a), pp. 20~26.
2. 주류화 논의동향

가. 정의
□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2014)는7) 동료검토에 나타난 회원국 사례로부터
주류화의8)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제시함.

- “... mainstreaming ... is generally understood as a strategy to make that


theme an integral dimension of the organisation’s design, implementation,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development policies and programmes.”

- 주류화는 해당 이슈를 기관의 개발 정책 및 프로그램의 설계, 이행, 모니터링


및 평가에 있어 통합적으로 다루는 것을 의미함.

□ Gupta(2010)는9)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주류화를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의 관


점에서 개발 정책·프로그램·프로젝트를 설계, 구성 및 평가하는 과정으로 정
의하였음.

- 의사결정 초기 즉, 구상부터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 전 단계에 걸쳐 기후변화를


고려하고, 기후변화와 개발을 동등한 수준으로 다루는 것을 의미

- 저자는 주류화와 통합의 개념을 구분하고 있음.


ㅇ 통합은 체크리스트와 같은 수단을 활용, 기존 개발 정책 및 프로젝트에서 기
후변화 측면을 고려하는 것으로 기후변화를 일반적인 개발사업 추진에 있어
추가적인 요소(“add-on component”)로 인식

- (목표 vs. 과정) 주류화는 목표이자 과정으로 볼 수 있음.


ㅇ 주류화가 목표일 경우, 기후변화가 개발의 규범적, 내용적, 절차적 측면을
효과적으로 규정할 수 있어야 함.

7) OECD DAC(2014a).
8) 주류화 개념이 처음 등장한 것은 젠더에 관한 국제회의인 제4차 World Conference on Women에서임. 1995년 베이
징에서 개최된 동 회의에서 ‘Beijing Platform for Action’이 채택되었는데, 성 평등 촉진을 위한 글로벌 전략이 주류
화를 위한 노력으로 제시되었음.
9) Gupta, J.(2010). “Mainstreaming Climate Change: a Theoretical Exploration.”, in eds. J. Gupta and N. can
der Grijp, Mainstreaming Climate Change in Development Cooperation: Theory, Practice, and Implications for
the European Un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 12 -
ㅇ 과정으로서 주류화는 주류화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떻게 관련 절차를 개
선하고 설계하는 지에 초점을 둠.

- (주류화 시 유의사항) “Efforts to achieve mainstreaming often end up not


going further than integration, and in the process the item being integrated
becomes invisible.” (Huq et al., 2006; Walby, 2005)

표 2-4. 기후변화 주류화 단계

수준 감축 적응 도구
온실가스감축 및 영향 기후변화 적응 및 영향
개별
을 고려하는 프로젝트 을 고려하는 프로젝트 -
프로젝트
설계 설계
포트폴리오 내 온실가 포트폴리오 내 적응을
기관
스 감축을 고려하는 고려하는 프로젝트 식 -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식별 별
Ÿ 체크리스트
“Climate 적응을 촉진하고 재난
Ÿ 포트폴리오 스
proofing”: 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
(해당 없음) 크리닝
적응 후변화 위험 및 기회
Ÿ 감사(audit)
체크리스트 검토
Ÿ 보고서 발표

온실가스 배출감소 및
비화석연료 기술 투자
감축 (해당 없음) 환경영향평가(EIA)
를 촉진하는 프로젝트
발굴

기후주류화:
온실가스감축의 관점 Ÿ 정치적 합의
정책 및 적응의 관점에서 개발
에서 개발협력정책, Ÿ 기후 렌즈 도입
사업의 협력 정책, 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젝트 Ÿ 시스템 접근
재설계 및 프로젝트 재설계
재설계 Ÿ 정책개입
재구성

자료: Gupta(2010), Table 3.5 저자 재구성

□ 기후변화 주류화 관련 논의 경과

- 13 -
표 2-5. 기후변화 주류화 관련 논의 경과

연도 논의주체 문서명 주요 내용
UNFCCC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기후변화문제를 하나의 분명한
1992
당사국총회 총회 합의문, 파리협정 정책분야로 설정
1997 EU EU 조약(Treaty of EU) 타 분야에 환경문제 통합
EU 기후변화문제와 개발협력 간
2003 개발협력 맥락 하의 기후변화
집행위원회 연계 구축
글렌이글스 성명 에너지시스템 및 적응 프로젝
2005 G7
(Gleneagles Communique) 트와 개발협력 연계
청정에너지 및 투자개발
저탄소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하
프레임워크
2006 세계은행 고 기후적응을 지원.
(Clean Energy and Investment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초점
Development Framework)
개발협력 내 기후변화적응
통합 선언
개발협력과 기후변화 적응
2006 OECD (Declaration of Integrating
통합
Climate Change Adaptation
into Development Co-operation)
UNEP-
2007 기후변화 관련 협력 국가개발계획에 적응 통합
UNDP
글로벌 기후변화연대
빈곤감축을 위한 노력에 기후
2007 EU 이니셔티브
변화를 통합
(Global Climate Change Alliance)
기후변화 및 개발을 위한
전략적 프레임워크 경제성장, 빈곤감축, MDGs,
2008 세계은행
(Strategic Framework for Climate 에너지접근성, 적응역량 구축
Change and Development)
환경 및 개발에 관한 공동
고위급 회의 개발협력과 적응 통합을 위한
2009 OECD
(Joint High Level Meeting on 정책지침 합의
Environment and Development)
자료: Gupta(2010), Table 3.1, p. 69 저자 재구성

□ Kok and Coninck(2007)은 개발협력의 주요 분야별 기후변화 적응을 주류화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예시적으로 제시

- 14 -
표 2-6. 개발사업 분야별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 정책대안

이슈 상호작용(시너지) 분야 적응 주류화 정책 옵션

기후변화 적응과 토지황폐화 방지를 생태계 서비스(생태계 요소의 간접


통한 자연자원 보호 및 생물다양성 사용가치)가 기후변화 방지용 환경
보전 관리를 이끌 경우 빈곤층의 비용 지불

적응을 위한 세 가지 전략적 진입점:


1) (예, 생계 다변화 등을 통해) 생활
빈곤 기후변화 대응 및 빈곤감축 접근방식
취약성 감소, 2) 지역사회 역량강화,
감소 으로서의 지속가능한 생활
민감도 감소, 3) 리스크 관리 및 조기
경보

“성공 사례”의 문서화를 통해 지속가


빈곤감축전략서(PSRP)와 지속가능한 능발전 메커니즘과 빈곤감축 프로그
개발을 위한 국가전략 램 및 정책 프레임워크 내 적응 조치
의 주류화
물사용 효율성 향상, 토양 및 농작물
가뭄 대응
관리 개선, 보험

생산요소의 효율적 투입 정밀농업, 토양 및 농작물 관리 개선


농업
해충과 질병에 대한 더 강력한 저항력 기후변화 복원력 있는 작물, 보험

조기경보시스템(기후변화 대처에도
기후 변동성 대응
도움)
토지 및 농업 강화(intensification), 탄소 관리
남획, 토지황폐화 방지
싱크 를 위한 휴작
갑작스런 홍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훼손/벌채 지역 홍수의 영향
위한 토지 정비
재난 토지 관리자를 대상으로 하는 조기경
가뭄방지
대응 보시스템
자연재해 위험 감소, 홍수와 가뭄에
조경계획과 (마이크로) 보험
의 복원력 향상
상쇄: 현재의 농업 보조금 체제는 복
지속가능한 토지활용 농장주에 대한
보조금 원력 또는 지속가능한 토지이용을 활
보상적 성격의 보조금으로 이동
성화하지 않음.
자료: Kok and Coninck(2007).

- 15 -
나. 국제기구의 주류화 노력
1)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 DAC은 회원국들의 리우 환경협약에 따른 개도국에 대한 재정지원 의무 이행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1998년 리우마커를 도입하였으며, 2002년에는 개발협력
에 있어 리우 협약의 통합에 관한 정책문서를10) 발표하였음.

□ 2005년에 발표된 원조효과성에 관한 파리선언은 조화 원칙에서 환경영향평가


에 관한 공여국간 조화를 명시하였음.

- 회원국들이 환경영향평가(EIA: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조화를 추구하


는데 진전을 보였으나, 기후변화 등을 추가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

글상자 2-1. 원조효과성에 관한 파리선언

환경평가에 대한 조화로운 접근방안 개선

40. 프로젝트 수준에서 보건 및 사회적 이슈를 검토하는 환경영향평가(EIA) 관련, 공여


국간 조화(harmonization)가 많이 이뤄졌다. 이러한 진전은 기후변화, 사막화, 생물
다양성과 같은 글로벌 환경문제를 고려하는 방향으로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41. 공여국과 파트너국가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Ÿ 이해관계자와의 협의 등을 포함, EIA 적용과 프로젝트를 위한 공통의 절차를
강화. 부문 및 국가 차원의 “전략적 환경평가”를 위해 공통의 접근방안을 개
발하고 적용
Ÿ 환경분석 및 법률 집행을 위해 기술적, 정책적 전문화된 역량 개발을 지속

42. 젠더, 여타 주제별 이슈 등과 같은 타 범분야 이슈들에 대해서도 유사한 조화로운


방안을 추구해야 한다.

자료: OECD DAC(2005). Paris Declaration on Aid Effectiveness.

10) OECD DAC(2002). Policy Statement on Integrating the Rio Convention in Development Cooperation.

- 16 -
□ 2006년에는 기후변화 적응과 개발협력과 통합에 관한 선언이11) 발표되었고,
2009년에는 이에 관한 정책지침이12) 발표되었음.

- 동 지침은 기후변화 적응 활동을 국가, 분야, 프로그램·프로젝트 수준에서 통


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음.
ㅇ 국가 수준에서는 정책형성 단계: 국가 장기비전 및 단·중기 정책수립 → 계
획 단계: 다년도 개발계획 수립 → 예산배분 단계: 적응을 위한 국가예산 지
원 → 프로그램 이행 단계: 섹터단위의 개발계획 및 예산 배분

ㅇ 분야 수준에서는 정책형성 단계: 분야별 전략 및 정책수립 → 계획 단계: 분


야별 계획 수립 → 예산배분 단계: 분야별 예산한도 설정 및 적응을 위한 추
가재원/기금 마련 → 프로그램 이행 단계: 분야 프로그래밍 실시

ㅇ 프로그램·프로젝트 수준에서는 사업발굴 단계: ① 잠재적 기후 리스크 평


가, ② 기후변화가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평가 → 사업 승인(심사) 단계: ③
기후 리스크 심층분석 실시, ④ 적응수단 판별, ⑤ 적응활동의 우선순위화
및 선별 → 사업실행 단계: ⑥ 신규사업의 경우 선택된 적응수단의 이행, 기
존사업의 경우: 이전 단계에 개입하여 적응수단 이행 → 모니터링 및 평가
단계: ⑦ 프로젝트 내 적응수단 이행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실시

11) OECD DAC(2006).


12) OECD DAC(2009).

- 17 -
그림 2-1. ODA 사업 단계·수준별 기후변화 주류화

자료: Olhoff and Schaer(2010), p. 10.

2) 국제금융기관의 기후변화 주류화를 위한 원칙

□ 주요 국제금융기관들은13) 기후변화 주류화를 위한 5대 원칙에 합의

- 기후변화 주류화는 사업 추진시 기후변화를 추가적으로 고려해야하는 요소로


인식하는 것을 넘어 기회와 위험요인으로 간주, 기후변화 렌즈를 착용하고 사
업예산을 배분하는 것을 의미14)

13) 세계은행그룹, AFD, AfDB, ADB, CAF Latin America Development Bank, Credite Agricole S.A., Cassie des
Depots Group(CDC), 남아프리카공화국개발은행, EIB, EBRD, IADB, JICA, KfW.
14) “Mainstreaming approaches means making climate change considerations a core component of how an
institution conducts business. It implies a shift from incremental financing of climate activities to ensuring
that climate change is a core consideration and “lens” through which institutions deploy capital, new
opportunities, and managing risk.“ from Bonnel, A. and S. Swann(2015). Mainstreaming Climate Action
within Financial Institutions: Emerging Practices.

- 18 -
□ 기후변화 주류화를 위한 5대 원칙

① 기후변화 지원전략(COMMIT to climate strategies)


ㅇ 기관 차원의 의지, 고위 임원의 리더십, 명시적인 전략적 우선순위, 정책 공
약 및 목표

② 기후 위험 관리(MANAGE climate risk)


ㅇ 기후변화의 위험을 이해하고 적극 관리. 위험을 고려하여 사업 포트폴리오,
파이프라인, 새로운 투자를 평가(assess)하고, 지속가능한 투자를 위한 적절
한 대응수단을 고객과 함께 고민

③ 기후 스마트한 목적 추구(PROMOTE climate smart objectives)


ㅇ 저탄소 및 기후 복원력 있는 투자를 위해 기후변화 위험과 장벽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 도구, 지식의 발굴을 촉진. (예: 녹색채권, 위험분산 메커니즘, 혼
합금융수단 개발) 신용평가기관 및 회계법인과 기후위험 고려 방안을 모색

④ 성과 개선(IMPROVE climate performance)


ㅇ 투자 사업의 기후변화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운영수단 개발. 온실가스 통계,
녹색투자 촉진, 기후변화 관련 자산배분, 기관 자체의 탄소발자국을 추적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지표 개발

⑤ 행동에 대한 책임(ACCOUNT for climate action)


ㅇ 기후변화 관련 성과(청정 에너지, 에너지 효율성 등에 대한 지원 확대) 및 기
관 사업의 탄소발자국, 위험 관리방식에 대해 투명성 유지 및 보고

글상자 2-2. 적도원칙(Equator Principles)

국제금융기관의 기후변화 주류화를 위한 5대 원칙 도입 이전, 2003년에 개발금융기관


들은 적도원칙을 채택하고, 5천만 달러 이상의 프로젝트 추진시, 해당 프로젝트의 환
경적 위험에 대해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절차를 의무적으로 거치는데 합의한 바 있
음. 80여개 기관이 서명한 동 원칙에 따라 참여기관들은 프로젝트의 환경 및 사회적
위험을 결정, 평가, 관리할 의무가 있음.

□ 2017년 5월 기준 30개 기관이 추가적으로 기후변화 주류화 이니셔티브


(‘Climate Action in Financial Institutions Initiative’)에 참여

- 19 -
- 참여 기관의 의사결정 기능을 담당하는 조정그룹(Coordination Group)은 다자
개발은행 대표(EBRD), 양자 및 지역개발은행 대표(AFD), 선진국 민간금융기관
대표(HSBC), 개도국 민간금융기관 대표(YES Bank)로 구성

- 2017-18년 작업 스트림:15) ① 기후 위험: 접근방식, 도구, 방법론, ② 매핑, 이


행 도전과제에 대한 이해, ③ 도시 수준에서 기후 스마트한 접근 및 금융수단,
④ 전사 차원으로 기후변화 전략 확대 적용

3) 세계은행

□ 세계은행은 Clean Energy for Development Investment Framework(2006)에서


기후변화를 주요 의제로 채택한 이래, 이후 Strategic Framework of Climate
Change and Development(2008)을 수립하였음.

- 개발목표 달성을 위한 기후변화 적응 지원이 강조되었는데, 저소득국의 경제성


장과 빈곤해소를 위한 노력은 그 국가의 기후변화 복원력을 제고하는 데 기여
한다고 강조16)

□ 세계은행은 특히 기후변화 위험 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사업 전 단계에 걸친 위


험요소 관리를 위한 활동을 수행함.

- 위험 분석 및 취약성과 역량 분석을 포함한 위험 인식 및 평가

- 교육, 훈련, 연구, 정보공유 등 지식 개발

- 조직적, 정책적, 법적, 커뮤니티 활동 차원의 제도적 프레임워크 및 공약

- 환경 관리, 토지 활용 및 도시계획, 주요 시설의 보호, 과학 기술의 적용, 파트


너십 및 네트워킹, 금융 수단 등 다양한 리스크 완화 조치의 적용

- 예보, 경보의 확산, 예비 조치 및 대응역량을 포함한 조기 경보 시스템

15) Climate Action in Financial Institutions: Principles for Mainstreaming Climate Action 홈페이지
(https://www.mainstreamingclimate.org/workstreams/)
16) Mani and Markandya(2008). Policy and Institutional Reforms to Support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Mitigation in Development Programs: A Practical Guide.

- 20 -
그림 2-2. 세계은행의 사업 단계별 기후위험 관리체계

자료: World Bank.(year). Mainstream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Agri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Management Projects: Guidance Note, p. 2.

□ 세계은행은 기후 및 재해 위험 스크리닝 도구(Climate and Disaster Risk


Screening Tool)를17) 활용, 국가 지원 정책·전략 수립 및 사업발굴 단계에서
각각 기후 및 재해 위험수준을 고려하도록 함.

- (국가 지원 정책·전략 단위) 기후변화 추세 및 예측치에 관한 통계를 활용가


능하게 하고, 스크리닝 도구 사용자가 국가전략 및 분야별 전략, 개발 정책,
제도적 강화 또는 개혁의 계획 및 설계 단계부터 기후변화와 자연재해의 위험을
고려하도록 함.
ㅇ 스크리닝 도구는 제도적 준비 스코어카드(IRS: Institutional Readiness
Scorecard)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수원 대상의 국가 및 분야 수준의
제도적 역량을 신속히 평가

17) World Bank Climate and Disaster Risk Screening Tool는 2014년 제17차 IDA 재원보충회의에서 채택된 기후변
화정책공약 – 모든 IDA 사업 및 국가협력프레임워크(CPF)에서 기후 및 재해의 단장기 위험을 설계 단계에서부터
고려할 것 –의 일환으로 개발됨.

- 21 -
- (프로젝트 단위) 프로젝트 단위에서 세계은행의 기후 및 재해 위험 스크리닝
도구는 다음의 절차를 따름.

① 사용자는 프로젝트 및 사업 대상지역이 어떠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지를


평가

② 상기 획득한 정보와 사업의 물리적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각


의 위험이 초래할 잠재적 영향력 평가

③ 제도적 역량 및 거시 경제·사회적 환경과 같은 비물리적 요소들이 프로젝


트가 노출된 위험수준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검토

④ 프로젝트의 성과가 가져올 전반적인 위험수준을 점수화하여 보고서 작성

– 스크리닝 후 도출된 위험 점수(rating)는 이해관계자간 대화를 촉진하고, 심화


분석 여부를 결정하는 데 활용

- 세계은행 Climate Change Knowledge Portal과 연계되어 세계은행 직원뿐만 아


니라 외부 사용자들도 활용 가능

□ 이러한 노력에도 MOPAN(2017)은18) 세계은행에 대한 평가를 통해 기후변화를


포함한 다분야 이슈에 대한 기관 차원의 지식이 지원사업에 체계적으로 통합
되고 있지 않다고 지적하였음.

- 구조개혁 일환 및 다분야 이슈의 주류화를 위해 Cross-Cutting Solution Area를


구축해지만, 이를 개별 사업부서(Global Practices)에서 통합적으로 수용하지는
못한 상황이라고 평가

- 그러나 세계은행이 환경의 지속가능성 및 기후변화에 특화된 정책문서를 발표


하지는 않았으나, 확고한 정책체계는 갖추고 있다고 평가하고, 2016년에 발표
한 ‘기후변화 행동계획(Climate Change Action Plan)’은 세계은행의 비교우
위를 기초로 향후 기후변화 관련 지원을 확대하고, 기관 사업 전반에 기후변
화를 통합할 것임을 예상

18) Multilateral Organization Performance Assessment Network(2017).

- 22 -
4) ADB

□ 사업 단계별 기후 위험 관리방식
- 프로젝트 형성 단계: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위험 스크리닝
- 프로젝트 준비 단계: 취약성 평가 및 적응 수단 제시
- 프로젝트 이행 단계: 필요시 기술 및 역량 지원, 모니터링 및 평가

그림 2-3. ADB의 기후 위험 관리방식

자료: ADB(2016). Guidelines for Climate Proofing Investment in the Water Sector.

□ ADB의 기후 위험관리 프레임워크(Climate Risk Management Framework)는 사


업개발 초기 단계에서 기후변화의 위험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프로젝트 설계시 적응수단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도록 함.

- 프로젝트 개념 수립단계에서는 프로젝트의 위험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스크리


닝이 실시됨.

- 23 -
ㅇ 모든 프로젝트는 기후위험 스크리닝 대상이며, 사업팀이 체크리스트를 통해
파악

ㅇ 중간 및 고위험 수준의 프로젝트는 보다 정밀한 검토과정을 거치는데, 온라


인 도구인 ‘AWARE Tool’을 적용하여 해빙, 강수량변화, 설(雪)하중, 영구
동토층 등 16가지 기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위험수준을 분석

– 위험성이 높은 프로젝트는 준비 단계에서 기후위험 평가와 취약성 평가를 받게


됨.

- 기후위험 평가와 취약성 평가가 완료되면, 적응 방안에 대한 기술적·경제적


평가가 실시됨.

- 프로젝트 설계시 적응 방안을 확정하며, 프로젝트 실행단계에서는 위험 수준과


기후예방조치에 대해 모니터링과 보고 실시

- 24 -
□ ADB는 사업 단계별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 도구를 활용(표 2-7)

표 2-7. ADB의 사업 단계별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 도구


적응 주류화를 위한
사업 단계 주요 단계 주요 활동 주요 산출물 담당자 및 완성 기간 비고
도구

프로젝트 적응 브리프 CSPU/TA 파이프라인


PPTA/ 차관 분야 담당관 및 기후
(PAB: Project / 기후 프로필에서 나온
processing 전문가
Adaptation Brief) 기본 컨셉이 활용됨.

분야 담당관, 데스크
PAB 내의 기후위험
담당관, 디렉터, 기후
프로젝트 컨셉 발전단 수준 고려: 높은 CCV
1. 프로젝트 확인 PAB 초안 착수 전문가
계부터 PAB 착수 리스크 또는 낮은
- 25 -

CCV 리스크
1주일

PAB 내에서 기후 위
험을 확인 및 평가;
프로젝트 리스크 수준 리스크 카테고리 강조
이 분류됨. 분야 전문가, TA 컨설
PAB 초안에 검토 및 턴트, 기후 전문가 PAA가 기존의 PPTA
2. 프로젝트 설계 프로젝트에 대한 몇가 평가를 위한 TOR 초 타당성 및 조정의 일
지 적응 옵션이 제시 안을 포함하여 완성 PAA 수준에 따라 시 부로 착수됨
됨. 간 소요
TA 이행을 위해 평가
수준이 구체적으로 제

적응 주류화를 위한
사업 단계 주요 단계 주요 활동 주요 산출물 담당자 및 완성 기간 비고
도구

TOR은 PPTA 준비과


정의 일환
PAB에서 나온 TOR
PPA 착수
초안이 CCV 리스크
3. TA 페이퍼
분류에 기초하여 기후
4. TA 검토 및 승인 분석 결과가 PAA 리
PPTA 준비단계로서 전문가 및 활동을 위
5. 컨설턴트 선정 포트 초안에 반영
적응 TOR 최종 작업 해 최종작성됨.
6. 최종 TA 보고서
프로젝트 적응평가 PAA 보고서의 최종
(타당성 연구)
(PAA) 착수 작업을 실시하며 EMP와
PAA 보고서 준비 시너지를 이룸. PAA
보고서는 최종 TA 보
고서의 일부가 됨.
- 26 -

RRP는 PAA 보고서의


제언을 통합
7. RRP 및 수정 RRP 적응 서약(covenant)
적응 서약을 담은 RRP
산출
차관 8. 최종 RRP
processing 9. 차관 협상
PAA 보고서 검토
차관 실행 10. 차관 inception 적응을 통합한 차관/
세이프가드 준수 적응 서약의 관점에서
및 감독 11. 중간 검토 프로젝트 수정
이행 제언
적응 절차의 효과성과
12. 프로젝트 완공 보
사업완공 및 실제 적응 전략 효과 평가 절차 프레임워크 측정방식에 대한 평가
고서
사후평가 성을 검토 개발 프레임워크가 사후평가
13. 사후평가 보고서
보고서에 반영

자료: Gigli and Agrawala(2007). Stocktaking of Progress on Integra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to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ities.
COM/ENV/EPOC/DCD/DAC(2007)1/FINAL, OECD, Paris.
3. 리우마커

가. DAC 지침의 주요 내용
□ 리우마커 도입배경

- 기후변화 마커는 기후변화 주류화와 기후변화 관련 개발재원의 규모를 대략적


으로 추정하기 위해 개발됨.

- 적용대상: 양자 ODA, 수출신용을 제외한 OOF.


ㅇ 일반예산지원(A01), imputed student costs(E02), 부채탕감(F01, 부채스왑 제외),
행정비용(G01), 개발인식(H01), 공여국 내 난민지원(H02)은 제외.
ㅇ 다자기구에 대한 지원 역시 개별 공여국은 리우마커를 표기하지 않음.

□ 점수 부여방식

- 공여국들이 개별 지원사업을 리우마커로 스크린하며, 세 가지 점수 중 하나를


부여함.

- 해당 사업이 유엔기후변화협약의 이행을


ㅇ 주(principal) 목적으로 하는 경우: 2점,
ㅇ 부수적(significant) 목적으로 하는 경우: 1점,
ㅇ 협약을 목표로 하지 않는 경우(‘not targeting’): 0점

- 기후변화 감축 또는 적응이 지원사업의 설계 또는 동기에 명시적으로 드러나는


경우(in the activity documentation, 예: 지원 약정서, funding proposal), 해당
사업은 주 목적 사업으로 2점을 받게 됨.
ㅇ 즉, 감축 또는 적응 목적이 아니었으면 해당 사업이 추진되지 않는 경우.

- 감축 또는 적응 활동이 명시되어 있기는 하나, 해당 사업 추진에 있어 감축 또


는 적응 활동이 주요 동인이 아닌 경우에는 부수적 목적으로 간주되어 1점을
부여함.
ㅇ 동 사업의 목적은 기후변화 이외의 다른 주 목적을 가지고 있음.

- 27 -
- 어떤 사업이 0점을 받았을 경우, 이는 기후 마커 관점에서 스크린됐으나, 감축
또는 적응을 목표로 하지 않았음을 의미
ㅇ 만약 마커 적용을 아예 고려하지 않은 경우(‘not assessed’), 마커 필드는
빈 칸으로 남겨두어야 함.

- 핸드북은 투명성을 위해 특히 주 목적 사업 및 대규모 사업의 경우, CRS에 보


고하는 지원사업에 대한 상세 설명(‘Long Description’ 필드)에 감축 또는 적
응 목적이 명확히 제시되어야 한다고 강조

그림 2-4. 리우마커 점수 부여 결정방식

자료: OECD DAC. 2016. Rio Markers for Climate: Handbook, p. 6

□ 기후변화 감축 마커

- (정의) 감축은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 및 제한하거나 흡수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인간의 활동이 기후시스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방지,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 안정화 목표에 기여하는 활동임.

- (적용기준)
a) 몬트리올 의정서에 규정된 가스 포함, 온실가스의 인위적 배출을 제한하여
기후변화 완화에 기여

- 28 -
b) 온실가스 흡수원(sinks) 및 저장고(reservoirs) 보전 및 증가
c) 제도구축, 역량강화, 규제 및 정책 강화를 통해 기후변화 이슈를 수원국의
국가개발목표에 통합
d) 유엔기후변화협약의 의무 달성을 위한 노력 제고

□ 기후변화 적응 마커

- (정의)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현재 및 미래의 기후변화 영향(기후 변동성 포함)


에 대한 인간 및 자연계 시스템의 취약성을 경감시키는 활동을 의미
1) 기후변화 스트레스, 충격 및 변동에 적응·흡수하는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기후 복원력 유지 및 증가
2)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노출 감소
* 적응사업은 정보 및 지식 제고를 비롯하여 역량강화, 적응활동의 계획 및 시행을 포

- (적용기준)
a) 기후변화 적응 목표가 활동문서에 명확히 명시되고,
b) 사업 내역에 상기 정의를 목표로 하는 구체적인 조치를 포함해야 함.

ㅇ 기후 변동 및 변화에 대한 취약성 평가를 개별 혹은 기관의 표준 절차의 필


수 항목으로 수행하여 접근성을 용이하게 함.

ㅇ 마커 점수를 부여하기 위해(특히 주목적 점수를 정당화하기 위해) 다음의 3


단계 접근법 권장
① 기후 변동성과 기후변화와 연관된 위험, 취약성, 영향이 근거에 기초하
여 명시적으로 드러나 있는가? (프로젝트 준비과정에서 마련된 보고서
또는 취약성 분석 자료)
② 프로젝트 관련 문서에 제기된 기후 위험, 취약성, 영향을 어떻게 다룰
예정인지 명시되었는지?
③ 규명된 위험, 취약성, 영향과 실행된 프로젝트 간의 명확하고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 29 -
글상자 2-3. 적응에 대한 정의 변화

□ 2016년 핸드북에서는 기후 위험을 변동성(variability)으로 표현하였으며, 복원력


(resilience)은 기후변화 스트레스, 충격, 변동성에 적응 또는 흡수하는 능력, 이에
대한 노출을 완화라는 표현으로 구체화

- 2011 핸드북:
An activity should be classified as adaptation-related if:
It intends to reduce the vulnerability of human or natural systems to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climate-related risks, by maintaining or increasing adaptive
capacity and resilience.

- 2016 핸드북:
It intends to reduce the vulnerability of human or natural systems to the current
and expected impacts of climate change, including climate variability, by maintaining
or increasing resilience, through increased ability to adapt to or absorb climate
change stresses, shocks and variability and/or by helping reduce exposure to them.

□ 2015년 말 DAC의 환경네트워크(ENVIRONET)와 통계작업반(WP-STAT)은 제5차


전문가회의를 공동으로 개최하고, 리우마커 정의 및 적용기준 개정안을 공유

- 주요 특징(Handbook 2016, p. 6; Handbook 2011, p. 7)


① 기후변화 관련 지원금액을 추정하기 위한 질적 방식
② 개발협력사업에서 기후변화를 주류화 및 통합한 정도를 파악
③ 수원국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 수립에19) 대한 지원규모 파악
④ 리우마커는 중복 적용 가능

- 개정 핸드북은 Indicative Table을 부록으로 추가하였음.20)


ㅇ 핸드북의 내용은 규칙이 아닌 지침(guidance)임을 유의할 필요

ㅇ 참고자료로서 KfW의 내부 지침, MDB의 기후재원 보고 방법론이21) 사용되었


으며, DAC 회원국들의 의견이 반영되었음.

19) 유엔기후변화협약 이행을 위해 당사국총회에서 결정된 NAPA, NAP, NAMA, NDC의 수립


20) Indicative Table to Guide Rio Marking by Sector/Sub-Sector는 부록 참고
21) MDB의 기후변화 관련 사업 추적을 위한 감축 및 적응에 대한 정의 및 예시 사업은 부록 참고

- 30 -
나. 최근 논의동향
□ 2013년 OECD 개발금융통계작업반은 DAC 회원국들의 기후적응마커에 대한 질적
검토(quality review)를 실시함.22)

- (배경) DAC은 기후변화 완화 마커를 보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적응 마커를


도입하였으며, 적응 마커가 도입된 이후 2010, 2011년 통계보고 결과에 대해
각국의 적용 현황을 파악하고, 통계의 일관성 및 시스템 차원의 개선방안을
논의함.
ㅇ 이를 통해 DAC 회원국들은 주목적 및 부수적 목적사업에 대한 점수 적용
방안이나, 기후펀드 기여 보고방식의 차이를 확인하는 등 통계보고의 일관성을
제고하는 방법 모색

ㅇ 또한 대규모 활동에 대해 사업 요소 단위에서 리우마커 점수를 부여하고, 마


커의 정의상 적격성 기준을 보다 명확할 수 있는지 여부 등 시스템 차원의
개선방안을 논의함.

- (내용) 각국의 적응마커 활용현황은 정확도, 보고의 일관성(공동기금 및 프로그램


지원의 통계보고, 완화마커와의 중복 여부, 주요 지원분야), 데이터품질 검토
메커니즘 측면에서 비교분석함.

□ 적응마커에 대한 질적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음.


① 활동 기술(description) 시 적응 목적을 보다 분명히 나타낼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함.
② 적응 마커 개선을 위해 더욱 분명한 적격성 기준을 도입하거나, 동일 기관에
대한 기금 지원은 같은 점수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참고 목록을 개발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함.
③ 정량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i) 현재의 마커 체제를 유지하되 기후관련 원조에
대한 과대계상을 제한하거나, ii) 주목적 부수적 목적의 마커대신 표식(flag)
방식으로 대체, iii) 또는 MDB와 같이 사업대신 구성요소별 적응마커 점수를
부여하는 방안이 논의됨.

□ 리우마커 통계보고 핸드북 개정과 관련하여, 2015년 5월 개최된 제4차 전문가


회의에서는23) 리우협약에 대한 양적 통계보고(reporting quantitatively) 방안으로

22) OECD DAC(2013a).

- 31 -
서의 리우마커 역할이 논의됨.

- 리우마커는 당초 리우협약에 대한 보고의 목적으로 회원국들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특히 개발협력 포트폴리오 전반에서 환경적 이슈의 주류화(mainstreaming) 정
도를 추적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음.

- 즉, 리우 마커를 활용해서는 재원 흐름의 대략적인 수량화(quantification)만이


가능한 수준이기 때문에 사업 요소 단위의 통계보고(component level
reporting)와 계수(coefficients) 적용이 리우마커 관련 쟁점으로 부각됨.

- 논의 결과 사업 요소 단위의 통계보고는 매우 의미있는 작업이지만, 고도의 기


술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바, 계수의 적용이 보다 현실적이라고 받아들여짐.

□ EU 회원국, 호주, 뉴질랜드 등 각국은 파리협약에 따라 기후변화 재원의 리우


마커 적용 계수를 다르게 적용하고 있음.

- EU는 기후변화 유관 기금(European Structural and Investment: ESI Fund)에 대


해 기후변화 적응 및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얼마나 지원하고 있는지 파
악할 수 있도록 특정 가중치를 부여24)
ㅇ 구체적으로 주목적일 경우 100%, 부수적 목적일 경우 40%를 적용

- 프랑스는 양허성 차관과 FASEP(Private Sector Aid and Studies Fund)에 대해 기후


변화의 부수적 목적으로 간주하며 40%의 계수를 적용

- 뉴질랜드는 적용 계수가 분명히 명시되거나 상이한 기본값이 존재하지 않는


한 부수적 목적의 사업에 30%의 계수를 적용함.

- 스페인은 해당 사업이 감축과 적응 두 가지를 모두 부수적 목적으로 고려한


경우 40%, 둘 중 하나를 부수적 목적으로 지원한 경우 20%의 계수를 적용하
고 있음.

23) OECD ENVIRONET-WP-STAT Task Team(2015).


24) REGULATION (EU) No 1303/201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7
December 2013, Article 8 <Sustainable Development> (p.342~343)

- 32 -
표 2-8. 주요국의 리우마커 적용 계수 비교

“주목적” “부수적
국가 비고
계수 목적” 계수
기후변화 요소를 구분하기 어려울 경우,
호주 100% 30%
프로젝트별, 30%
오스트리아 100% 50%
벨기에 100% 40%
덴마크 100% 50% 플랑드르(Flanders) 정부 사례
EU 100% 40%
적응 또는 완화가 주목적 또는 부수적 목
핀란드 10~100% 적인지에 따라, 적용 비중이 10~100% 사
이로 다양
프랑스 재무부의 양허성 차관과 FASEP
프랑스 100% 40% 펀드(Private Sector Aid and Studies
Fund)의 경우
독일 100% 50%
아일랜드 100% 50%
네덜란드 100% 40%
적용 계수가 분명히 명시되거나 상이한
뉴질랜드 100% 30% 기본값이 있지 않는 한 30%를 적용(2014년
5월 제출한 제2차 격년보고부터)
포르투갈 100% 0%
완화 또는 적응 한가지를 부수적 목적으로
스페인 100% 20~40% 지원한 경우 20%, 둘다 부수적 목적으로
지원한 경우 40%
스웨덴 100% 40%
스위스 51~100% 1~50%
자료: UNFCCC Secretariat(2017), p. 10

- 33 -
제3장 국내외 기후변화 주류화 현황 I:
리우마커를 활용한 통계분석

1. 분석 기준

□ 본 연구는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의 CRS(Creditor Reporting System) 데이터


베이스에 집계되는 리우마커(Rio markers)를 활용하여 국내외 기후변화 주류화
현황을 분석하였음.

- 1998년 리우마커로 도입된 기후변화 감축과 2009년 도입된 기후변화 적응 마


커를 통해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주류화를 확인할 수 있음.

- DAC 회원국의 기후변화 마커 활용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2005년~2015년 자료


를 활용하였음.
ㅇ 각 회원국이 양자 ODA 사업에서 기후변화(감축 또는 적응)를 사업의 주목
적(principal) 또는 부목적(significant)으로 목표화한(targeted) 경우를 기후변
화에 대응한 주류화 사업으로 파악

ㅇ 기후변화와 관련이 없다고 보고한 경우(마커상으로 0 으로 표기)까지 포함하


여 기후변화 마커를 ‘표기한(screened) 사업’으로 간주하였고, 기후마커 표기
를 전혀 표기하지 않은 사업은 ‘미표기(not screened)’로 간주하였음.

- ODA 주요 공여국의 세부 사업현황 분석을 위해 2014~2015년에 각 세부사업


내역이 보고된 총 195,506건의 세부사업을 활용하였음.
ㅇ 2015년에 DAC회원국의 모든 ODA 세부사업은 94,196건이며, 2014년 101,309
건의 사업이 보고되었음.

ㅇ CRS에 보고된 세부사업별 공여기관, 사업 부문(sector), 사업목적을 기입한 목


적코드(purpose codes)등을 활용하여 공여국의 주요 지원 분야를 분석하였음.

- 연도별 분석의 일관성을 위해 2015년 미국 달러화 불변가격(constant prices)과 공


여국의 약정액(commitments) 기준의 CRS 데이터를 활용하였음.

- 34 -
2. 국제사회의 ‘기후 ODA’ 현황

가. 감축 및 적응마커 종합
□ (2014~15년 CRS 평균 기준) 기후변화 감축과 적응을 모두 종합한 지원 총액은
253.6억 달러로, 동 기간 전체 양자 ODA 지원의 19.7%를 차지하고 있음.

- 기후변화 감축이나 적응을 양자 ODA 사업의 주목적이나 부목적으로 명시한


주요 국가는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미국 등으로 나타남(표 3-1 및 그림
3-1).

- 적응보다 감축분야에 지원 사업이 많은 국가는 일본, 독일, 프랑스, 노르웨이,


덴마크 등이며 반대로 감축보다 적응 분야의 지원 규모가 많은 국가는 네덜란
드, 영국, 한국, 벨기에, 호주, 캐나다 등이 있음.

그림 3-1. 주요국의 기후변화 마커 표기 현황(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

자료: OECD.Stat 토대로 저자계산

- 35 -
표 3-1. DAC회원국의 기후변화 마커 표기 현황(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

양자ODA에서 감축과
기후변화 감축과 총
감축 적응 기후변화 지원 적응간
지원총계 1 1
적응 양자ODA
(A) (B) 비중 차이
(A+B+C) 공통(C)2 (D)
(A+B+C)/D (A-B)
Japan 7,522.0 5,015.5 2,216.8 289.7 17,051.9 44.1% 2,798.7
Germany 5,711.6 3,269.7 1,484.9 957.0 16,482.0 34.7% 1,784.7
France 2,853.7 1,755.2 647.7 450.7 8,152.2 35.0% 1,107.5
UK 1,502.0 275.9 441.5 784.5 8,524.7 17.6% -165.6
US 1,093.1 343.1 381.3 368.7 29,326.6 3.7% -38.2
EU 2,347.9 607.9 648.7 1,091.3 17,780.4 13.2% -40.8
Norway 751.1 575.5 46.8 128.9 3,513.1 21.4% 528.7
Netherlands 685.0 59.6 494.7 130.7 4,225.3 16.2% -435.1
Sweden 628.6 128.7 175.2 324.7 3,979.7 15.8% -46.5
Switzerland 335.1 83.6 171.4 80.1 2,853.6 11.7% -87.7
Denmark 316.4 70.5 11.2 234.7 1,803.3 17.5% 59.3
Australia 315.2 19.2 109.3 186.7 2,822.5 11.2% -90.0
Belgium 284.7 30.8 130.9 123.0 1,272.2 22.4% -100.1
Canada 221.9 29.1 102.1 90.7 3,310.3 6.7% -73.0
Korea 183.5 12.1 152.0 19.4 2,287.2 8.0% -139.9
Italy 166.4 33.8 10.9 121.8 1,646.3 10.1% 22.8
Spain 94.9 12.0 54.8 28.1 715.8 13.3% -42.9
Finland 90.1 33.6 32.7 23.9 633.6 14.2% 0.9
Ireland 70.5 0.1 31.8 38.6 443.8 15.9% -31.7
New Zealand 60.9 15.1 29.2 16.6 429.3 14.2% -14.1
Austria 54.5 28.7 14.0 11.8 697.6 7.8% 14.7
Luxembourg 31.5 5.7 7.0 18.8 256.2 12.3% -1.4
Portugal 15.7 12.1 0.8 2.8 208.6 7.5% 11.3
Iceland 9.1 0.2 4.5 4.4 30.0 30.2% -4.4
Czech 5.3 2.0 3.0 0.3 63.3 8.4% -0.9
Poland 3.0 1.1 0.9 1.0 106.5 2.8% 0.2
Slovenia 1.4 0.4 0.9 0.1 20.9 6.9% -0.6
Slovak 0.2 0.0 0.2 0.0 16.7 1.4% -0.1
Greece 0.2 0.0 0.2 55.0 0.4% 0.0
DAC Total 25,355.7 12,421.2 7,405.2 5,529.3 128,732.4 19.7% 5,016.0

주: 1. 감축 또는 적응 마커에만 각각 표기된 사업
2. 감축과 적응마커 모두에 표기된 사업
자료: OECD.Stat 토대로 저자계산

- 36 -
나. 감축 지원
□ (2014~15년 CRS 평균 기준) 기후변화 감축 지원 총액은 179.5억 달러이며, 동
기간 전체 양자 ODA 지원의 13.9%를 차지하고 있음.

- 기후변화 감축을 양자 ODA 사업의 주목적이나 부목적으로 표기한 규모가 큰


국가로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미국 등이 있음(표 3-2의 A+B).

- 미국의 양자 ODA 규모는 연 평균 293.1억 달러로 DAC 회원국 중에서 가장


많으나, 일본은 기후변화 감축을 ODA 사업의 주목적이나 부목적으로 표기한
경우에서 53억 달러로 가장 많은 지원을 하고 있음.

- 감축 사업규모 상위 6개 공여국에서 영국을 제외하면 나머지 국가는 기후변화


감축을 주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부목적인 경우 보다 많음(표 3-2의 A,B 및 그
림 3-2).

ㅇ 감축 사업규모의 중위권 국가는 부목적으로 표기한 경우가 더 많음.

- 양자 ODA 사업에서 주목적과 부목적 지원의 합산 비중이 큰 국가는 일본


31.1%, 프랑스 27.1%, 독일 25.6% 등으로 나타났음(표 3-2의 F 및 그림 3-2).

ㅇ 감축 마커 지원 규모가 높은 상위 10개국의 경우, 총ODA에서 주목적과 부


목적 지원의 평균 비중은 15.9%였음.

- DAC 회원국 전체를 기준으로 양자 ODA사업에서 감축마커를 표기한 비중이


87.8%를 상회하고 있음.(표 3-2의 G)

ㅇ 한국은 대부분의 사업에서 감축 마커를 표기하고 있으나, 양자 ODA에서 주


목적이나 부목적의 비중은 1.4%에 불과하였음.

- 37 -
표 3-2. DAC회원국의 감축마커 표기 현황(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
양자ODA중 양자ODA중
주목적+ 기후변화 마커 양자ODA
주목적 부목적 주목적과 감축마커
부목적 1 1
무관 미표기 총계
(A) (B) 부목적 표기
(A+B) (C)2 (D)3 (E)4 5
비중(F) 비중(G)6
Japan 5,305.2 3,414.0 1,891.2 9,804.0 1,942.7 17,051.9 31.1% 88.6%
Germany 4,226.6 2,398.1 1,828.5 8,002.2 4,253.2 16,482.0 25.6% 74.2%
France 2,206.0 2,038.8 167.2 3,634.8 2,311.4 8,152.2 27.1% 71.6%
UK 1,060.5 430.5 630.0 5,209.5 2,254.6 8,524.7 12.4% 73.6%
US 711.8 479.7 232.1 29,310.1 -695.3 29,326.6 2.4% 102.4%
EU 1,699.2 269.3 1,429.9 13,663.8 2,417.3 17,780.4 9.6% 86.4%
Norway 704.3 579.7 124.6 2,832.2 -23.4 3,513.1 20.0% 100.7%
Sweden 453.4 50.3 403.0 2,128.8 1,397.5 3,979.7 11.4% 64.9%
Denmark 305.2 34.6 270.7 1,126.5 371.5 1,803.3 16.9% 79.4%
Australia 205.9 28.9 177.0 2,247.8 368.8 2,822.5 7.3% 86.9%
Netherlands 190.3 37.3 153.0 4,034.9 4,225.3 4.5% 100.0%
Switzerland 163.7 56.0 107.7 2,689.9 2,853.6 5.7% 100.0%
Italy 155.5 88.3 67.2 963.3 527.4 1,646.3 9.4% 68.0%
Belgium 153.8 12.5 141.4 1,096.6 21.8 1,272.2 12.1% 98.3%
Canada 119.8 30.6 89.2 3,288.7 -98.2 3,310.3 3.6% 103.0%
Finland 57.4 20.4 37.0 514.5 61.7 633.6 9.1% 90.3%
Austria 40.5 21.9 18.6 378.8 278.3 697.6 5.8% 60.1%
Spain 40.1 13.0 27.0 460.9 214.8 715.8 5.6% 70.0%
Ireland 38.7 6.7 32.0 344.4 60.7 443.8 8.7% 86.3%
New Zealand 31.7 24.6 7.2 397.6 0.0 429.3 7.4% 100.0%
Korea 31.5 10.7 20.9 2,255.6 0.1 2,287.2 1.4% 100.0%
Luxembourg 24.5 0.4 24.1 231.2 0.5 256.2 9.6% 99.8%
Portugal 14.9 7.9 7.1 168.7 25.0 208.6 7.2% 88.0%
Iceland 4.5 3.5 1.0 21.0 4.5 30.0 15.1% 85.0%
Czech 2.4 1.3 1.1 50.6 10.3 63.3 3.7% 83.7%
Poland 2.1 1.2 1.0 104.4 0.0 106.5 2.0% 100.0%
Slovenia 0.5 0.1 0.4 14.8 5.6 20.9 2.5% 73.0%
Greece 0.2 0.2 53.9 1.0 55.0 0.3% 98.3%
Slovak 0.1 0.1 16.5 0.1 16.7 0.4% 99.3%
DAC Total 17,950.5 10,060.5 7,890.0 95,046.2 15,735.7 128,732.4 13.9% 87.8%
주: 1. CRS 기후변화 감축마커에서 주목적(Principal)과 부목적(Significant)은 각각 2와 1로 표기
2. CRS 기후변화 감축마커에서 0으로 표기(Screened, not targeted)
3. 기후변화 감축마커 미표기(Not screened)
4. 총 양자ODA사업(E=A+B+C+D)
5. 총 양자ODA사업에서 주목적과 부목적의 비중: Targeted/Total F= (A+B)/(A+B+C+D)
6. 총 양자ODA사업에서 감축마커가 표기된 비중: Screened/Total, G= (A+B+C)/(E=A+B+C+D)
자료: OECD.Stat 토대로 저자계산

- 38 -
그림 3-2. 감축마커 표기 현황(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

자료: OECD.Stat 토대로 저자계산

그림 3-3. 감축마커 표기 추세(2005~2015년)


(단위: 백만 달러, %)

자료: OECD CRS 토대로 저자계산

- 39 -
□ (2005~15년 CRS 기준) DAC 회원국은 지난 10년간 감축을 주목적이나 부목적
으로 하는 사업을 증대해 왔음(그림 3-3).

- 일본은 지난 10년 중 2014년을 제외하고 감축 사업을 주목적이나 부목적으로


고려하는 규모가 제일 큰 것으로 나타났음(그림 3-3, (1)).

- 2010년 이후 일본, 프랑스, 독일의 경우, 양자 ODA에서 감축을 주목적이나 부


목적으로 포함한 사업비중이 꾸준히 20%를 상회하고 있으며, DAC 회원국 역
시 10%대로 완만한 상승세를 시현하고 있음(그림 3-3, (2)).

- 주요 공여국의 양자 ODA내 감축마커 표기 비중은 2010년 이후 대체로 50%를


상회하고 있으며(그림 3-3, (4)), 감축마커로 표기한 사업 내에서 주목적과 부
목적의 비중은 40%이내에서 정체되어 있음(그림 3-3, (6)).

다. 적응 지원
□ (2014~15년 CRS 평균 기준) 기후변화 적응 지원 총액은 129.3억 달러이며, 동
기간 전체 양자 ODA 지원의 10.0%를 차지하고 있음.

- 기후변화 적응을 양자 ODA 사업의 주목적이나 부목적으로 명시한 주요 국가


는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등이 있음(표 3-3의 A+B).

- 감축의 경우와 달리, 프랑스를 제외한 대부분의 DAC회원국은 적응을 양자


ODA 사업의 부목적으로 표기하고 있음(표 3-3의 A,B 및 그림 3-4).

- 양자 ODA 사업에서 주목적과 부목적 지원의 합산 비중이 큰 주요 공여국가는


벨기에, 독일, 일본, 영국 등이며, 비중은 대체로 20%를 하회하고 있음(표 3-3
의 F 및 그림 3-4).
ㅇ 전체 회원국에서의 비중은 10.0%로, 감축에서의 13.9%보다 낮은 수준임.

- 양자 ODA사업에서 적응마커를 표기한 비중은 감축 마커의 경우와 유사하게


높게 나타나고 (표 3-3의 G).
ㅇ 한국은 양자 ODA에서 주목적이나 부목적으로 적응을 고려한 비중은 7.5%로
감축마커의 표기 보다 높게 나타났음.

- 40 -
표 3-3. DAC 회원국의 적응마커 표기 현황(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

주목적 양자ODA중 양자ODA중


마커 양자ODA
+ 주목적 부목적 기후변화 주목적과 적응마커
1 1 2
미표기 총계
부목적 (A) (B) 무관(C) 부목적 표기
(D)3 (E)4 5
(A+B) 비중(F) 비중(G)6
Japan 2,506.4 506.7 1,999.8 12,633.9 1,911.6 17,051.9 14.7% 88.8%
Germany 2,441.9 423.7 2,018.2 9,782.1 4,258.0 16,482.0 14.8% 74.2%
EU 1,740.0 233.6 1,506.4 13,623.0 2,417.3 17,780.4 9.8% 86.4%
UK 1,226.1 316.0 910.1 5,528.4 1,770.2 8,524.7 14.4% 79.2%
France 1,098.5 1,094.7 3.8 4,724.7 2,329.0 8,152.2 13.5% 71.4%
US 750.0 337.2 412.8 29,272.0 -695.3 29,326.6 2.6% 102.4%
Netherlands 625.4 43.7 581.7 3,599.9 4,225.3 14.8% 100.0%
Sweden 499.9 62.8 437.0 2,082.3 1,397.5 3,979.7 12.6% 64.9%
Australia 296.0 41.9 254.1 2,157.8 368.8 2,822.5 10.5% 86.9%
Belgium 253.9 26.4 227.6 1,001.9 16.5 1,272.2 20.0% 98.7%
Switzerland 251.5 64.5 187.0 2,602.1 2,853.6 8.8% 100.0%
Denmark 245.9 17.6 228.4 1,175.6 381.7 1,803.3 13.6% 78.8%
Canada 192.8 8.0 184.8 3,215.7 -98.2 3,310.3 5.8% 103.0%
Norway 175.7 56.5 119.2 3,360.8 -23.4 3,513.1 5.0% 100.7%
Korea 171.4 57.8 113.6 2,115.7 0.1 2,287.2 7.5% 100.0%
Italy 132.7 55.0 77.7 982.7 530.9 1,646.3 8.1% 67.8%
Spain 82.9 20.4 62.6 418.3 214.6 715.8 11.6% 70.0%
Ireland 70.3 31.1 39.2 312.7 60.7 443.8 15.9% 86.3%
Finland 56.6 1.5 55.0 514.7 62.3 633.6 8.9% 90.2%
New Zealand 45.8 15.3 30.5 378.7 4.7 429.3 10.7% 98.9%
Luxembourg 25.8 1.1 24.7 229.8 0.5 256.2 10.1% 99.8%
Austria 25.8 3.7 22.1 393.4 278.4 697.6 3.7% 60.1%
Iceland 8.9 0.7 8.2 16.6 4.5 30.0 29.6% 85.0%
Portugal 3.6 0.7 2.9 180.1 25.0 208.6 1.7% 88.0%
Czech 3.3 0.5 2.8 49.7 10.3 63.3 5.2% 83.7%
Poland 1.9 0.7 1.2 104.6 0.0 106.5 1.8% 100.0%
Slovenia 1.1 0.0 1.0 14.5 5.4 20.9 5.1% 74.4%
Greece 0.2 0.2 53.8 1.0 55.0 0.4% 98.3%
Slovak 0.2 0.2 16.4 0.1 16.7 1.1% 99.3%
DAC Total 12,934.5 3,422.0 9,512.5 100,542.1 15,255.8 128,732.4 10.0% 88.1%
주: 1. CRS 기후변화 적응마커에서 주목적(Principal)과 부목적(Significant)은 각각 2와 1로 표기
2. CRS 기후변화 적응마커에서 0으로 표기(Screened, not targeted)
3. 기후변화 적응마커 미표기(Not screened)
4. 총ODA사업(E=A+B+C+D)
5. 총ODA사업에서 주목적과 부목적의 비중: Targeted/Total F= (A+B)/(A+B+C+D)
6. 총ODA사업에서 적응마커가 표기된 비중: Screened/Total, G= (A+B+C)/(E=A+B+C+D)
자료: OECD.Stat 토대로 저자계산

- 41 -
그림 3-4. 적응마커 표기 현황(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

자료: OECD.Stat 토대로 저자계산

그림 3-5. 적응마커 표기 추세(2010~2015년)


(단위: 백만 달러, %)

자료: OECD CRS 토대로 저자계산

- 42 -
□ (2010~15년 CRS 기준) DAC 회원국은 지난 5년간 기후변화 적응을 주목적이나
부목적으로 고려하는 사업을 증대해 왔음(그림 3-5).

- 주목적과 부목적을 합산하면 일본과 독일이 가장 많은 규모이나(그림 3-5, (1)),


주목적 표기 경우에서 2013년 이후 프랑스의 마커 표기 규모가 여타 주요 공
여국의 지원보다 두 배 이상을 기록하고 있음(그림 3-5, (3)).

- 총 양자 ODA에서 적응을 주목적이나 부목적으로 하는 비중은 완만한 증가세


로 2015년 11%를 기록하고 있으며, 영국과 독일은 15% 전후를 나타내고 있음
(그림 3-5, (2)).

- 주요 공여국의 양자 ODA내 적응마커 표기 비중은 이후 대체로 60%를 상회하


고 있음(그림 3-5, (4)).

- 적응마커로 표기한 사업에서 주목적과 부목적의 비중은 20% 이내를 하회하고


있음(그림 3-5, (6))25).

3. 주요국의 기후 ODA 사업 심층분석

□ (2014~15년 CRS 평균 기준) EU를 제외한 29개 DAC 회원국의 2014~15년 기후


변화 지원 총계(표 3-1)에 근거하여 상위 5개국(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미
국)과 한국의 기후변화와 관련된 ODA 세부 사업을 분석하였음.

- 세부사업 분석을 위해 CRS에 보고된 총 195,506건의 세부사업을 활용함.

가. 기후변화 지원 부문 비교
1) 기후변화 감축 및 적응 종합

□ 감축과 적응 지원을 모두 종합할 경우, DAC 회원국은 에너지, 다분야, 수송,


물 공급, 농림어업 등을 지원하였음(표 3-4 및 부표 3-3).

25) 영국의 경우에서만 2014년 5.6%에서 2015년 36.3%로 급증하였음.

- 43 -
표 3-4. DAC 회원국의 기후변화 지원 부문(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DAC 상위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미국 한국
회원국 5개국
에너지 6,248.9 2,255.6 2,611.3 770.4 112.7 117.4 9.3 93.9%

다분야 4,287.0 296.8 910.8 735.9 355.8 423.0 37.0 63.5%

수송 및 저장 4,149.5 3,053.9 421.9 593.2 48.5 9.2 0.0 99.4%

물 공급 및 위생 2,774.6 948.9 697.1 518.1 29.4 40.5 108.8 80.5%

농림어업 2,373.7 388.6 585.6 106.6 259.4 335.6 19.1 70.6%

인도적 지원 711.6 308.9 47.8 0.0 135.8 15.0 1.2 71.3%

금융 616.1 0.0 233.5 2.5 350.3 1.5 0.0 95.4%

기타 1,846.4 269.1 203.7 127.1 210.1 150.9 8.1 52.0%

총계 23,007.7 7,522.0 5,711.6 2,853.7 1,502.0 1,093.1 183.5 81.2%

자료: OECD.Stat 토대로 저자계산

- 일본은 에너지와 수송 비중이 높고, 독일과 프랑스는 에너지와 다분야 지원 비


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그림 3-6).
ㅇ 한국은 물 공급 및 다분야 지원이 1.46억 달러로 전체 지원의 79.4%에 이르
고 있음.

그림 3-6. 주요국의 기후변화 관련 사업 부문별 지원 비중(2014~15년 평균)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Japan

Germany

France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Korea

에너지 다분야 수송 및 저장 물 공급 및 위생
농림어업 인도적 지원 금융 기타

자료: OECD.Stat 토대로 저자계산

- 44 -
2) 기후변화 감축 지원

□ 2014~15년 감축과 관련된 DAC회원국의 지원은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다분야,


농림어업, 수자원 등에서 진행되었음(표 3-5 및 부표 3-1).

표 3-5. DAC 회원국의 기후변화 감축 지원 부문(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DAC 상위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미국 한국
회원국 5개국

에너지 6,236.5 2,255.6 2,610.8 770.4 112.7 117.4 5.5 94.1%

수송 및 저장 3,364.8 2,359.0 375.7 593.2 10.8 8.1 0.0 99.5%

다분야 3,282.2 185.8 626.5 650.0 253.4 330.1 16.8 62.3%

농림어업 1,135.7 138.7 220.0 34.2 195.8 170.3 4.5 66.8%

물 공급 및 위생 520.9 179.3 190.5 29.5 10.4 6.4 2.8 79.9%

금융 462.7 0.0 98.5 2.5 350.2 0.8 0.0 97.7%

기타 1,248.5 186.9 104.6 126.4 127.1 78.7 1.9 50.0%

총계 16,251.2 5,305.2 4,226.6 2,206.0 1,060.5 711.8 31.5 83.1%

자료: OECD.Stat 토대로 저자계산

- 각 부문별로 상위 5개국의 지원 비중이 50%~99.5%에 이르고 있으며, 수송, 금융,


에너지 부문은 90%를 상회하고 있음.

- 일본, 독일, 프랑스의 경우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부문이 대부분의 지원을 차


지하고 있고, 영국과 미국은 각각 금융과 다분야(multi-sector) 지원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그림 3-7).

- 한국의 감축 지원은 다분야, 에너지, 농림어업, 수자원 등에서 이루어짐.

- 45 -
그림 3-7. 주요국의 감축관련 사업 부문별 지원 비중(2014~15년 평균)
0% 20% 40% 60% 80% 100%

Japan

Germany

France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Korea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다분야 농림어업 물 공급 및 위생 금융 기타

자료: OECD.Stat 토대로 저자계산

3) 기후변화 적응 지원

□ 적응과 관련한 DAC 회원국의 지원은 다분야, 물 공급 및 위생, 농림어업, 수송


등에서 나타났음(표 3-6 및 부표3-2).

- 각 부문별로 상위 5개국의 비중은 50.3%~98.2%에 이르고 있으며, 수송 및 저


장, 금융, 수자원 분야의 비중이 높음.

표 3-6. DAC 회원국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부문(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DAC 상위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미국 한국
회원국 5개국
다분야 3,066.5 288.4 718.7 499.4 309.7 258.4 35.0 67.7%
물 공급 및
2,520.6 771.8 665.8 517.7 28.7 34.5 106.2 80.1%
위생
농림어업 1,945.6 320.0 477.5 74.2 135.0 313.5 17.7 67.9%

수송 및 저장 794.4 694.9 46.2 0.0 37.6 1.0 0.0 98.2%

인도적 지원 679.4 296.8 39.4 0.0 128.8 14.8 1.2 70.6%

금융 548.4 0.0 179.3 0.0 344.5 1.5 0.0 95.8%

기타 1,639.6 134.6 315.0 7.2 241.9 126.3 11.3 50.3%

총계 11,194.5 2,506.4 2,441.9 1,098.5 1,226.1 750.0 171.4 71.7%

자료: OECD.Stat토대로 저자계산

- 46 -
- 일본은 수자원과 수송 부문, 독일과 프랑스는 다분야와 수자원 부문의 지원 비
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그림 3-8).
ㅇ 한국의 감축 지원은 다분야, 에너지, 농림어업, 수자원 등에서 이루어짐. 한
국은 수자원 부문과 다분야 부문에 1.41억 달러를 지원하여, 두 부문의 지원
비중이 82.4%에 이르고 있음.

그림 3-8. 주요국의 적응관련 사업 부문별 지원비중(2014~15년 평균)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Japan

Germany

France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Korea

다분야 물 공급 및 위생 농림어업 수송 및 저장
인도적 지원 금융 기타

자료: OECD.Stat 토대로 저자계산

나. 주요 공여국별 세부 지원 사업
□ CRS 자료의 사업목적 분류(purpose codes)에 따라 국가별 기후변화 관련 세부
지원 사업을 분석

1) DAC 회원국 종합

□ 감축과 적응을 모두 종합할 경우, DAC 회원국의 상위 지원 분야는 철도수송


(12.7%), 전력송배전(9.8%), 환경정책(7.6%), 재생에너지 발전(5.3%)등으로 나타
남(표 3-7, <기후변화 종합>).

- (감축) 철도수송(17.9%), 전력송배전(13.8%), 환경정책(9.2%), 재생에너지 발전


(7.5%) 등 상위 5개 분야가 감축 지원의 52.2%를 차지하고 있음.

- (적응) 환경정책(9.7%), 농업개발(7.1%), 위생(6.8%), 도로 수송(5.6%), 생물다양성


(4.7%) 등 상위 5개 분야는 전체의 33.8%로 감축에 비해 상위 분야의 집중도가
낮음.

- 47 -
표 3-7. DAC 회원국 전체 및 일본과 독일의 기후ODA 세부분야(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기후변화 감축>
DAC 규모 비중 일본 규모 비중 독일 규모 비중
철도수송 2,914.2 17.9% 철도수송 2,244.3 42.3% 전력 송배전 886.8 21.0%
전력 송배전 2,245.8 13.8% 전력 송배전 952.9 18.0% 재생에너지 발전 703.8 16.7%
환경정책 1,502.8 9.2% 천연가스 발전소 585.5 11.0% 태양 에너지 445.4 10.5%
재생에너지 발전 1,212.2 7.5% 석탄 발전소 174.8 3.3% 생물다양성 317.2 7.5%
에너지 정책 678.9 4.2% 위생-대규모 144.9 2.7% 에너지 정책 243.5 5.8%
천연가스 발전소 585.5 3.6% 재생에너지 발전 137.6 2.6% 수송 정책 209.2 4.9%
생물다양성
2) 일본
527.1 3.2% 에너지 정책 135.4 2.6% 환경정책 172.2 4.1%
태양 에너지
□ 기후ODA 전체 지원 규모는 75.2억 달러이며, 감축에서의 상위 사업(철도수송,
전력송배전, 천연가스 발전소)이 주요 지원 분야임(표 3-7 및 표 3-8). 499.5 3.1% 중소기업 개발 126.4 2.4% 철도수송 111.0 2.6%
- (감축) 상위 3개 분야(철도수송(42.3%), 전력송배전(18.0%), 천연가스 발전소

도시 개발
(11.0%))가 감축 관련 사업의 71.3%(37.82억 달러)에 이르고 있음.
415.3 2.6% 환경정책 119.4 2.3% 금융기관 96.6 2.3%
농업 개발 366.9 2.3% 항공 수송 111.3 2.1% 물 공급 및 위생-대규모 90.0 2.1%
기타 5,302.9 32.6% 기타 572.6 10.8% 기타 951.1 22.5%
총계 16,251.2 100.0% 총계 5,305.2 100.0% 총계 4,226.6 100.0%

<기후변화 적응>
DAC 규모 비중 일본 규모 비중 독일 규모 비중
환경정책 1,080.7 9.7% 도로 수송 543.0 21.7% 생물다양성 335.9 13.8%
농업 개발 796.2 7.1% 위생-대규모 517.1 20.6% 물 공급 및 위생-대규모 311.9 12.8%
위생-대규모 765.4 6.8% 재건 구호 252.8 10.1% 환경정책 185.6 7.6%
도로 수송 624.1 5.6% 농업 수자원 210.9 8.4% 수자원 정책/환경관리 176.7 7.2%
생물다양성 522.8 4.7% 물 공급- 대규모 186.4 7.4% 금융기관 169.3 6.9%
수자원 정책 450.5 4.0% 물 수송 151.7 6.1% 농업 개발 164.4 6.7%
물 공급 및 위생-대규모 392.6 3.5% 환경정책 124.8 5.0% 전력 송배전 119.5 4.9%
다분야 386.8 3.5% 홍수 예방 102.2 4.1% 기초 식수공급 및 위생 97.1 4.0%
물 공급- 대규모 372.9 3.3% 다분야 52.9 2.1% 농지 자원 72.7 3.0%
금융정책 358.8 3.2% 산림 개발 49.9 2.0% 다분야 66.8 2.7%
기타 5,443.8 48.6% 기타 314.7 12.6% 기타 742.0 30.4%
총계 11,194.5 100.0% 총계 2,506.4 100.0% 총계 2,441.9 100.0%
<기후변화 종합>
DAC 규모 비중 일본 규모 비중 독일 규모 비중
철도수송 2,914.2 12.7% 철도수송 2,244.3 29.8% 전력 송배전 886.8 15.5%
전력 송배전 2,248.7 9.8% 전력 송배전 952.9 12.7% 재생에너지 발전 703.9 12.3%
환경정책 1,748.0 7.6% 위생-대규모 660.9 8.8% 태양 에너지 445.4 7.8%
재생에너지 발전 1,215.0 5.3% 천연가스 발전소 585.5 7.8% 생물다양성 386.2 6.8%
위생-대규모 911.8 4.0% 도로 수송 543.5 7.2% 물 공급 및 위생-대규모 320.1 5.6%
농업 개발 875.5 3.8% 농업 수자원 266.3 3.5% 환경정책 266.8 4.7%
에너지 정책 680.2 3.0% 재건 구호 252.8 3.4% 에너지 정책 243.5 4.3%
도로 수송 658.0 2.9% 물 공급-대규모 194.1 2.6% 금융기관 221.5 3.9%
생물다양성 622.1 2.7% 석탄 발전소 174.8 2.3% 수송 정책 214.3 3.8%
천연가스 발전소 585.5 2.5% 물 수송 152.0 2.0% 수자원 정책/환경관리 176.7 3.1%
기타 10,548.7 45.8% 기타 1,494.8 19.9% 기타 1,846.5 32.3%
총계 23,007.7 100.0% 총계 7,522.0 100.0% 총계 5,711.6 100.0%

- 48 -
표 3-8. 일본의 기후변화 지원 부문 및 사업목적(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감축> 부문 및 사업목적 부목적 주목적 비중 <적응> 부문 및 사업목적 부목적 주목적 비중
II.1. Transport & Storage 1,115.9 1,243.1 44.5% VIII.2. Reconstruction Relief & Rehabilitation 252.8 10.1%
Rail transport 1,001.2 1,243.1 42.3% Reconstruction relief and rehabilitation 252.8 10.1%
II.3.c. Energy generation, non-renewable sources 843.9 15.9% IV.1. General Environment Protection 112.7 122.5 9.4%
Natural gas-fired electric power plants 585.5 11.0%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 mgmt 3.8 121.0 5.0%
Coal-fired electric power plants 174.8 3.3% Flood prevention/control 102.1 0.1 4.1%
II.3.f. Energy distribution 438.8 514.1 18.0% IV.2. Other Multisector 5.8 47.4 2.1%
Electric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438.8 514.1 18.0% Multisector aid 5.6 47.2 2.1%
II.3.b. Energy generation, renewable sources 11.0 312.5 6.1% VIII.3. Disaster Prevention & Preparedness 6.5 37.5 1.8%
Energy generation, renewable sources - multiple technologies
2.2 135.5 2.6% Disaster prevention and preparedness 6.5 37.5 1.8%
Hydro-electric power plants 7.9 95.4 1.9% II.1. Transport & Storage 679.2 15.8 27.7%
Geothermal energy 81.3 1.5% Road transport 527.2 15.8 21.7%
I.4. Water Supply & Sanitation 18.3 161.0 3.4% Water transport 151.7 6.1%
Sanitation - large systems 2.6 142.2 2.7% I.4. Water Supply & Sanitation 757.2 14.6 30.8%
Water supply and sanitation - large systems 10.8 0.2% Water supply - large systems 186.3 0.1 7.4%
III.2.a. Industry 0.1 126.4 2.4% Sanitation - large systems 517.1 20.6%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 development 126.4 2.4% III.1.a. Agriculture 238.9 12.4 10.0%
IV.1. General Environment Protection 11.8 119.6 2.5%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203.7 7.2 8.4%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 mgmt 4.4 115.0 2.3% III.1.b. Forestry 65.7 1.2 2.7%
IV.2. Other Multisector 2.0 52.3 1.0% Forestry policy & administrative management 16.1 0.9 0.7%
Multisector aid 0.6 52.3 1.0% Forestry development 49.6 0.3 2.0%
III.1.b. Forestry 53.3 16.3 1.3% I.2.b. Basic Health 44.8 0.3 1.8%
Forestry policy & administrative management 4.6 15.1 0.4% Basic health infrastructure 19.4 0.0 0.8%
Forestry development 48.8 1.2 0.9% Basic nutrition 24.3 1.0%
II.3.a. Energy Policy 133.8 1.6 2.6% I.5.a. Government & Civil Society-general 33.4 0.1 1.3%
Energy policy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133.8 1.6 2.6% Public sector policy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33.4 0.1 1.3%
III.1.a. Agriculture 58.2 1.3 1.1% I.1.d. Post-Secondary Education 43.4 1.7%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55.3 0.3 1.0% Higher education 43.3 1.7%
총합계 1,891.2 3,414.0 100.0% 총합계 1,999.8 506.7 100.0%

- 49 -
- (적응) 부목적 사업이 전체 적응 지원에서 79.8%에 이르고 있으며, 도로수송과
수자원 공급 및 위생 분야가 주요한 부목적 사업임.

3) 독일

□ 기후ODA 전체 지원 규모는 57.1억 달러이며, 감축에서의 상위 사업(전력 송배전,


재생에너지 발전, 태양 에너지 등)이 주요 지원 분야임(표 3-7 및 표 3-9).

표 3-9. 독일의 기후변화 지원 부문 및 사업목적(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감축> 부문 및 사업목적 부목적 주목적 비중 <적응> 부문 및 사업목적 부목적 주목적 비중
II.3.b. Energy generation, renewable sources 104.2 1,297.6 33.2% III.1.a. Agriculture 277.5 123.2 16.4%
Energy generation, renewable sources 24.4 679.4 16.7%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9.9 56.3 2.7%
Solar energy 0.5 444.9 10.5% Agricultural research 9.2 25.7 1.4%
Wind energy 0.0 79.8 1.9% Agricultural development 148.9 15.5 6.7%
Hydro-electric power plants 33.3 56.6 2.1% Agricultural land resources 61.1 11.6 3.0%
Geothermal energy 45.2 33.3 1.9% Agricultural financial services 14.6 0.0 0.6%
II.3.f. Energy distribution 359.4 549.1 21.5% IV.1. General Environment Protection 439.3 116.2 22.7%
Electric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주: 일부 주요 부문만이 표에 포함되었으나, 전체 총합계는 독일의 총 지원액임.
359.4 527.4 21.0%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 mgmt 108.0 77.7 7.6%
자료: OECD.Stat 토대로 저자계산

II.1. Transport & Storage


- (감축) 상위 에너지 관련 분야(전력 송배전, 재생에너지, 태양에너지, 에너지 정
책)가 감축 관련 사업(42.26억 달러)의 53.9%인 22.79억 달러를 차지
222.2 153.5 8.9% Bio-diversity 306.7 29.3 13.8%
Transport policy & administrative management
- (적응) 총 24.4억 달러가 지원되고 있으며, 주요 분야는 생물다양성, 물 공급
및 위생, 환경정책, 수자원 정책 등이 있음. 55.7 153.5 4.9% Biosphere protection 20.9 2.5 1.0%
Education and training in transport & storage 55.5 1.3% I.4. Water Supply & Sanitation 603.9 61.9 27.3%
Rail transport 111.0 2.6% Water supply and sanitation - large systems 277.5 34.5 12.8%
II.3.a. Energy Policy 122.0 133.9 6.1% Sanitation - large systems 20.2 5.5 1.1%
Energy policy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117.4 126.1 5.8% Water resources policy/administrative mgmt 173.9 2.8 7.2%
IV.1. General Environment Protection 413.0 123.0 12.7% Basic drinking water supply and basic sanitation 96.4 0.7 4.0%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 mgmt 97.9 74.3 4.1% II.4. Banking & Financial Services 118.2 61.0 7.3%
Bio-diversity 292.5 24.7 7.5% Formal sector financial intermediaries 116.5 52.7 6.9%
Biosphere protection 20.9 8.8 0.7% IV.2. Other Multisector 130.4 32.9 6.7%
III.1.a. Agriculture 85.0 50.1 3.2% Rural development 46.0 18.8 2.7%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30.6 44.1 1.8%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20.9 7.5 1.2%
II.3.c. Energy generation, non-renewable sources 13.6 31.1 1.1% Multisector aid 60.3 6.5 2.7%
Energy generation, non-renewable sources 13.6 31.1 1.1% III.1.b. Forestry 65.5 10.4 3.1%
III.1.b. Forestry 64.7 20.0 2.0% Forestry development 33.2 10.1 1.8%
Forestry policy & administrative management 32.2 18.8 1.2% Forestry policy & administrative management 32.3 0.3 1.3%
Forestry development 32.4 1.1 0.8% I.5.a. Government & Civil Society-general 58.8 1.4 2.5%
II.4. Banking & Financial Services 79.3 19.3 2.3%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civil society 16.9 1.3 0.7%
Formal sector financial intermediaries 77.3 19.3 2.3% Decentralisation & support to subnational govern. 26.7 1.1%
I.4. Water Supply & Sanitation 181.3 9.2 4.5% II.3.b. Energy generation, renewable sources 37.9 0.1 1.6%
Water resources policy/administrative mgmt. 59.9 1.4% Hydro-electric power plants 33.3 1.4%
Water supply and sanitation - large systems 90.0 2.1% II.1. Transport & Storage 46.2 1.9%
IV.2. Other Multisector 89.8 0.6 2.1% Road transport 41.1 1.7%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27.2 0.0 0.6% II.3.f. Energy distribution 119.5 4.9%
Multisector aid 43.5 1.0% Electric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119.5 4.9%
총합계 1,828.5 2,398.1 100.0% 총합계 2,018.2 423.7 100.0%

- 50 -
□ 감축마커에서 주목적의 규모가 부목적 보다 크고, 적응 마커에서 부목적의 지
원 규모가 주목적보다 크게 나타남(표 3-9).

- (감축) 주목적 분야로 재생에너지 발전, 전력 송배전, 태양에너지 등이 있고,


환경보호, 에너지배전 및 발전 등이 부목적으로 명시되었음.

- (적응) 부목적으로 표기된 도로수송과 수자원 공급 및 위생 분야 등이 주요 지


원 분야이며, 부목적으로 표기된 지원 규모가 전체 적응 지원의 82.6%에 이르
고 있음.

표 3-10. 주요국의 기후ODA 세부분야(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기후변화 감축>
프랑스 규모 비중 영국 규모 비중 미국 규모 비중 한국 규모 비중
철도수송 557.9 25.3% 금융 정책 350.1 33.0% 생물권 보호 181.3 25.5% 환경정책 10.7 33.8%
도시 개발 282.3 12.8% 환경정책 160.4 15.1% 농업 개발 124.3 17.5% 도시 개발 5.2 16.3%
전력 송배전 263.9 12.0% 산림 정책 101.7 9.6% 에너지 정책 102.2 14.4% 물 공급 및 위생-대규모 2.4 7.7%
환경정책 226.3 10.3% 재생에너지 발전 55.2 5.2% 생물다양성 99.1 13.9% 산림 개발 2.2 7.1%
재생에너지 발전 195.0 8.8% 환경연구 45.5 4.3% 다분야 39.9 5.6% 태양 에너지 2.2 7.1%
에너지 정책 105.7 4.8% 복지 서비스 41.7 3.9% 농업정책 39.0 5.5% 산림 정책 1.5 4.8%
생물다양성 100.5 4.6% 농업 개발 39.0 3.7% HIV/AIDS 16.0 2.3% 전력 송배전 1.3 4.1%
주거 정책 66.6 3.0% 산림 개발 31.0 2.9% 무역촉진 9.7 1.4% 재생에너지 발전 1.3 4.1%
수력 발전소 57.1 2.6% 전력 송배전 28.2 2.7% 수송 정책 7.9 1.1% 생물권 보호 0.6 1.9%
지열 에너지 54.8 2.5% 에너지 정책 21.2 2.0% 사업지원 서비스 7.9 1.1% 부문 비명시 0.5 1.6%
기타 296.0 13.4% 기타 186.5 17.6% 기타 84.4 11.9% 기타 3.6 11.3%
총계 2,206.0 100.0% 총계 1,060.5 100.0% 총계 711.8 100.0% 총계 31.5 100.0%

<기후변화 적응>
프랑스 규모 비중 영국 규모 비중 미국 규모 비중 한국 규모 비중
위생-대규모 217.4 19.8% 금융정책 344.3 28.1% 농업 개발 247.6 33.0% 수자원 보호 95.6 55.8%
환경정책 177.0 16.1% 환경정책 201.8 16.5% 생물권 보호 145.9 19.5% 홍수 예방 15.0 8.8%
도시 개발 168.1 15.3% 농업 개발 70.7 5.8% 생물다양성 68.0 9.1% 환경정책 9.0 5.2%
물 공급- 대규모 162.1 14.8% 복지 서비스 69.5 5.7% 농업 정책 57.5 7.7% 도시 개발 8.4 4.9%
수자원 정책 137.2 12.5% 환경연구 67.4 5.5% 다분야 40.3 5.4% 농업 개발 8.1 4.7%
생물다양성 100.5 9.1% 안정 지원 48.6 4.0% 식량지원 37.8 5.0% 기초 식수공급 및 위생 6.8 4.0%
농업 개발 55.1 5.0% 도로 수송 37.6 3.1% 물 공급 및 위생-대규모 23.8 3.2% 어업 개발 4.0 2.3%
홍수 예방 27.9 2.5% 재생에너지 발전 36.0 2.9% HIV/AIDS 17.7 2.4% 부문 비명시 3.3 1.9%
농촌 개발 19.9 1.8% 긴급 식량지원 25.3 2.1% 복지 서비스 13.8 1.8% 수자원 정책 3.2 1.9%
농업 수자원 12.3 1.1% 재건 구호 25.0 2.0% 물적 지원 12.8 1.7% 고등 교육 2.7 1.6%
기타 21.1 1.9% 기타 299.8 24.4% 기타 84.7 11.3% 기타 15.3 8.9%
총계 1,098.5 100.0% 총계 1,226.1 100.0% 총계 750.0 100.0% 총계 171.4 100.0%

<기후변화 종합>
프랑스 규모 비중 영국 규모 비중 미국 규모 비중 한국 규모 비중
철도수송 557.9 19.6% 금융 정책 350.2 23.3% 농업 개발 261.4 23.9% 수자원 보호 95.6 52.1%
도시 개발 318.8 11.2% 환경정책 235.6 15.7% 생물권 보호 253.6 23.2% 홍수 예방 15.0 8.2%
전력 송배전 263.9 9.2% 산림 정책 101.7 6.8% 생물다양성 114.9 10.5% 환경정책 10.9 5.9%
환경정책 226.4 7.9% 농업 개발 75.6 5.0% 에너지 정책 102.2 9.3% 도시 개발 8.4 4.6%
위생-대규모 217.4 7.6% 복지 서비스 69.5 4.6% 농업 정책 62.6 5.7% 농업 개발 8.1 4.4%
재생에너지 발전 195.0 6.8% 환경연구 67.4 4.5% 다분야 41.7 3.8% 기초 식수공급 및 위생 6.8 3.7%
물 공급-대규모 162.1 5.7% 물적 안도지원 55.5 3.7% 식량 원조 37.8 3.5% 어업 개발 4.0 2.2%
수자원 정책/환경관리 137.2 4.8% 재생에너지 발전 55.2 3.7% 물 공급 및 위생-대규모 28.6 2.6% 전력 송배전 3.8 2.1%
에너지 정책 105.7 3.7% 도로 수송 37.6 2.5% HIV/AIDS 18.9 1.7% 수자원 정책/환경관리 3.3 1.8%
생물다양성 100.5 3.5% 산림 개발 31.0 2.1% 복지 서비스 13.8 1.3% 분야 미표기 3.3 1.8%
기타 568.9 19.9% 기타 422.7 28.1% 기타 157.8 14.4% 기타 24.3 13.2%
총계 2,853.7 100.0% 총계 1,502.0 100.0% 총계 1,093.1 100.0% 총계 183.5 100.0%
자료: OECD.Stat 토대로 저자계산

- 51 -
4) 프랑스

□ 기후ODA 전체 지원 규모는 28.5억 달러이며, 감축에서의 상위 사업(철도수송,


도시 개발, 전력 송배전, 환경정책 등)이 주요 지원 분야임(표 3-10 및 표 3-11).

- (감축) 총 22.06억 달러를 지원하고 있으며, 철도 수송 분야가 전체 감축 사업


의 25.3%를 차지하고 있음.

- (적응) 감축 사업의 절반 규모인 10.98억 달러를 지원하고 있으며, 주요 분야로


위생, 환경정책, 도시개발, 물 공급, 수자원 정책 등이 있음.

표 3-11. 프랑스의 기후변화 지원 부문 및 사업목적(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감축> 부문 및 사업목적 부목적 주목적 비중 <적응> 부문 및 사업목적 부목적 주목적 비중
II.1. Transport & Storage 151.4 441.7 26.9% I.4. Water Supply & Sanitation 0.2 517.5 47.1%
Rail transport 143.9 414.0 25.3% Sanitation - large systems 217.4 19.8%
IV.1. General Environment Protection 2.4 365.2 16.7% Water supply - large systems 162.1 14.8%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 mgmt 0.0 226.2 10.3% Water resources policy/administrative mgmt. 0.0 137.2 12.5%
Bio-diversity 0.1 100.4 4.6% River basins development 0.8 0.1%
II.3.b. Energy generation, renewable sources 0.4 361.4 16.4% IV.1. General Environment Protection 2.6 308.8 28.4%
Energy generation, renewable sources 195.0 8.8%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 mgmt 0.1 176.9 16.1%
Hydro-electric power plants
주: 일부 주요 부문만이 표에 포함되었으나, 전체 총합계는 프랑스의 총 지원액임.
57.1 2.6% Bio-diversity 0.1 100.4 9.1%
자료: OECD.Stat 토대로 저자계산

Geothermal energy
□ 감축과 적응 마커 모두에서 주목적의 지원 규모가 부목적 보다 크게 나타났음
(표 3-11).
54.8 2.5% Flood prevention/control 0.0 27.9 2.5%
Solar energy
- (감축) 부목적으로 표시된 지원은 철도 수송에서 나타났고, 대부분의 주요 지
원은 주목적으로 보고됨. 34.9 1.6% IV.2. Other Multisector 0.0 187.9 17.1%
II.3.f. Energy distribution 0.3 302.4 13.7%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168.1 15.3%
Electric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0.3 263.6 12.0% Rural development 0.0 19.9 1.8%
Gas distribution 38.8 1.8% III.1.a. Agriculture 0.6 72.8 6.7%
IV.2. Other Multisector 2.8 279.6 12.8% Agricultural development 0.0 55.1 5.0%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2.8 279.6 12.8%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0.0 12.3 1.1%
II.3.a. Energy Policy 0.2 105.7 4.8% II.3.b. Energy generation, renewable sources 0.0 6.1 0.6%
Energy policy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0.0 105.7 4.8% Hydro-electric power plants 6.1 0.6%
I.6. Other Social Infrastructure & Services 66.6 3.0% II.3.a. Energy Policy 0.2 0.0%
Housing policy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66.6 3.0% Energy conservation and demand-side efficiency 0.2 0.0%
III.2.a. Industry 54.2 2.5%
Energy manufacturing 54.2 2.5%
I.4. Water Supply & Sanitation 0.4 29.1 1.3%
Water supply - large systems 29.1 1.3%
III.1.a. Agriculture 9.2 20.8 1.4%
Agricultural research 8.9 10.9 0.9%
Agricultural development 0.0 9.9 0.4%
총합계 167.2 2,038.8 100.0% 총합계 3.8 1,094.7 100.0%

- 52 -
- (적응) 적응 관련 지원의 대부분을 주목적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수자원 공급
및 위생, 환경보호, 다분야 등을 지원하고 있음.

5) 영국

□ 기후ODA 전체 지원 규모는 15.02억 달러로 적응 사업 규모(12.26억 달러)가 감


축(10.6억 달러) 보다 많고, 금융 정책과 환경 정책이 감축과 적응 사업 모두에
서 상위 지원 분야임(표 3-10 및 표 3-12).

표 3-12. 영국의 기후변화 지원 부문 및 사업목적(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감축> 부문 및 사업목적 부목적 주목적 비중 <적응> 부문 및 사업목적 부목적 주목적 비중
IV.1. General Environment Protection 60.1 156.0 20.4% IV.1. General Environment Protection 59.5 210.8 22.0%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 mgmt 21.5 138.8 15.1%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 mgmt 34.7 167.2 16.5%
Environmental research 38.5 7.0 4.3% Environmental research 24.0 43.4 5.5%
III.1.b. Forestry 11.6 121.1 12.5% II.3.b. Energy generation, renewable sources 36.0 2.9%
Forestry policy & administrative management 11.6 90.1 9.6% Energy generation, renewable sources 36.0 2.9%
Forestry development 31.0 2.9% IV.2. Other Multisector 21.9 17.6 3.2%
II.3.b. Energy generation, renewable sources 3.4 53.2 5.3%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3.0 13.9 1.4%
Energy generation, renewable sources - multiple technologies
2.3 52.9 5.2% Rural development 13.2 0.5 1.1%
II.3.f. Energy distribution 0.1 28.1 2.7% III.1.a. Agriculture 107.1 12.2 9.7%
Electric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0.1 28.1 2.7% Agricultural development 63.4 7.3 5.8%
II.3.a. Energy Policy 6.0 21.8 2.6% Agricultural land resources 21.6 0.7 1.8%
Energy policy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2.6 18.6 2.0% Agricultural policy & administrative management 20.1 0.4 1.7%
IV.2. Other Multisector 19.6 17.7 3.5% I.4. Water Supply & Sanitation 19.9 8.8 2.3%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1.8 14.2 1.5% Water resources policy/administrative management 6.5 6.2 1.0%
Rural development 13.2 0.5 1.3% Basic drinking water supply and basic sanitation 13.0 1.1%
III.1.a. Agriculture 52.9 10.2 5.9% I.2.b. Basic Health 24.5 3.2 2.3%
Agricultural development 31.9 7.2 3.7% Infectious disease control 20.5 1.7%
Agricultural land resources 19.0 1.8% II.4. Banking & Financial Services 344.0 0.4 28.1%
II.5. Business & Other Services 15.7 0.3 1.5% Financial policy & administrative management 344.0 0.3 28.1%
Business support services & institutions 15.7 0.3 1.5% I.6. Other Social Infrastructure & Services 69.5 0.2 5.7%
II.4. Banking & Financial Services 349.7 0.5 33.0% Social/welfare services 69.5 5.7%
Financial policy & administrative management 349.7 0.4 33.0% VIII.1. Emergency Response 81.3 0.0 6.6%
I.6. Other Social Infrastructure & Services 41.7 0.1 3.9% Material relief assistance and services 48.6 0.0 4.0%
Social/welfare services 41.7 0.0 3.9% Emergency food aid 25.3 2.1%
VIII.3. Disaster Prevention & Preparedness 14.8 1.4% II.1. Transport & Storage 37.6 0.0 3.1%
Disaster prevention and preparedness 14.8 1.4% Road transport 37.6 3.1%
총합계 630.0 430.5 100.0% 총합계 910.1 316.0 100.0%

- 53 -
- (적응) 환경정책과 재생에너지가 적응사업의 주목적으로 표기하고 있으며, 금융
정책 및 여러 분야에서 적응 사업의 부목적으로 지원하고 있음.

6) 미국

□ 기후 ODA 전체 지원 규모는 10.93억 달러이며, 농업과 생물 관련 바이오 등이


감축과 적응 사업 모두에서 주요 지원 분야임(표 3-10 및 표 3-13).

- 감축과 적응 모두 약 7억 달러를 지원하고 있고, 농업개발 및 정책, 생물권


(biosphere)보호, 생물다양성 등의 분야에 주로 지원하고 있음.

□ 감축 마커는 주목적의 비중의 크고, 적응 마커는 부목적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남(표 3-13).

- 환경 보호, 농업 부문이 감축 사업의 주목적으로 표기되고 있으며, 적응에서도


농업과 환경 보호가 전체 적응 사업의 70.5%를 차지하고 있음.

표 3-13. 미국의 기후변화 지원 부문 및 사업목적(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감축> 부문 및 사업목적 부목적 주목적 비중 <적응> 부문 및 사업목적 부목적 주목적 비중
IV.1. General Environment Protection 40.8 247.9 40.6% IV.1. General Environment Protection 31.3 186.0 29.0%
Biosphere protection 12.5 168.8 25.5% Biosphere protection 13.1 132.7 19.5%
Bio-diversity 28.3 70.8 13.9% Bio-diversity 18.1 50.0 9.1%
III.1.a. Agriculture 35.2 134.0 23.8% III.1.a. Agriculture 262.3 48.8 41.5%
Agricultural development 29.0 95.4 17.5% Agricultural development 213.5 34.1 33.0%
Agricultural policy & administrative management 6.2 32.7 5.5% Agricultural policy & administrative management 45.9 11.7 7.7%
IV.2. Other Multisector 3.4 38.0 5.8% IV.2. Other Multisector 3.3 37.7 5.5%
Multisector aid 3.4 36.6 5.6% Multisector aid 3.3 37.0 5.4%
II.3.a. Energy Policy 89.3 14.5 14.6% I.4. Water Supply & Sanitation 13.0 21.5 4.6%
Energy policy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89.3 12.9 14.4% Water supply and sanitation - large systems 12.7 11.1 3.2%
III.3.a. Trade Policies & Regulations 0.0 11.1 1.6% VIII.1. Emergency Response 12.8 1.7%
Trade facilitation 9.7 1.4% Material relief assistance and services 12.8 1.7%
I.3. Population Policies & Reproductive Health 26.3 1.9 4.0% I.3. Population Policies & Reproductive Health 26.6 5.4 4.3%
Std control including hiv/aids 15.0 1.0 2.3% Std control including hiv/aids 16.0 1.7 2.4%
Reproductive health care 4.8 0.3 0.7% VI.2. Developmental Food Aid/Food Security Assistance 34.0 3.8 5.0%
Family planning 5.7 0.3 0.8% Food aid/Food security programmes 34.0 3.8 5.0%
총합계 232.1 479.7 100.0% 총합계 412.8 337.2 100.0%
주: 일부 주요 부문만이 표에 포함되었으나, 전체 총합계는 미국의 총 지원액임.
자료: OECD.Stat토대로 저자계산

7) 우리나라

□ (규모 및 분야) 기후ODA 지원 규모는 총 1억 8,350만 달러이며, 적응 사업 규


모가 감축보다 크고, 적응과 관련된 사업(수자원보호, 홍수예방, 환경정책, 도

- 54 -
시개발, 농업개발 등)이 주요 지원 분야임(표 3-10 및 표 3-14).

- (감축) 총 3,150만 달러를 지원하고 있으며, 환경정책(33.8%)과 도시개발 분야


(16.3%)의 지원이 전체 감축 사업의 50.1%를 차지하고 있음.

- (적응) 총 1억 7,140만 달러를 지원하고 있으며, 수자원보호(55.8%)와 홍수예방


(8.8%) 지원이 적응 사업의 64.6%에 이르고 있음.

표 3-14. 한국의 기후변화 지원 부문 및 사업목적(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감축> 부문 및 사업목적 부목적 주목적 비중 <적응> 부문 및 사업목적 부목적 주목적 비중
IV.1. General Environment Protection 4.5 7.2 37.1% I.4. Water Supply & Sanitation 67.6 38.6 62.0%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 mgmt 3.9 6.8 33.8% Water resources protection 57.2 38.5 55.8%
Flood prevention/control 0.4 1.2% Basic drinking water supply and basic sanitation 6.7 0.1 4.0%
Biosphere protection 0.6 1.9% Water resources policy/administrative management 3.2 1.9%
II.3.b. Energy generation, renewable sources 2.0 1.5 11.2% IV.1. General Environment Protection 10.8 14.1 14.5%
Energy generation, renewable sources 0.1 1.2 4.1% Flood prevention/control 6.0 9.0 8.8%
Solar energy 1.9 0.3 7.1%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 mgmt 4.1 4.8 5.2%
주: 일부 주요 부문만이 표에 포함되었으나, 전체 총합계는 한국의 총 지원액임.
자료: OECD.Stat 토대로 저자계산

III.1.b. Forestry
□ (주목적/부목적) 감축과 적응 마커에서 모두 주목적보다 부목적으로 지원한 규
모가 크게 나타났음(표 3-14).
3.8 0.5 13.8% III.1.a. Agriculture 8.6 1.6 5.9%
Forestry research
- (감축) 환경보호 부문이 감축 마커의 주요한 주목적으로 표기되었고, 부목적으
로 보고된 부문의 사업은 5백만 달러 이하의 소규모 사업임.
0.5 1.4% Agricultural education/training 0.4 1.5 1.1%
Forestry policy & administrative management
- (적응) 환경보호 부문을 제외한 대부분의 부문에서 부목적의 지원이 많고, 수
자원 보호, 홍수예방, 환경정책, 도시개발 등이 주요 지원 분야임. 1.5 0.1 4.8% Agricultural development 8.1 4.7%
Forestry development 2.2 7.1% II.3.a. Energy Policy 1.3 0.8%
IX. Unallocated / Unspecified 0.0 0.5 1.6% Energy conservation and demand-side efficiency 1.3 0.8%
Sectors not specified 0.0 0.5 1.6% III.1.b. Forestry 2.7 0.8 2.0%
II.3.a. Energy Policy 0.2 0.5 2.1% Forestry policy & administrative management 1.5 0.3 1.0%
Energy research 0.2 0.7% Forestry development 1.2 0.0 0.7%
Energy policy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0.2 0.1 1.0% IX. Unallocated / Unspecified 2.8 0.5 1.9%
I.1.d. Post-Secondary Education 0.3 0.9% Sectors not specified 2.8 0.5 1.9%
Higher education 0.3 0.9% I.1.d. Post-Secondary Education 2.4 0.3 1.6%
I.4. Water Supply & Sanitation 2.6 0.2 9.0% Higher education 2.4 0.3 1.6%
Waste management/disposal 0.1 0.2 0.9% VIII.3. Disaster Prevention & Preparedness 0.8 0.3 0.6%
Water supply and sanitation - large systems 2.4 7.7% Disaster prevention and preparedness 0.8 0.3 0.6%
III.2.a. Industry 0.3 0.8% IV.2. Other Multisector 10.0 0.2 5.9%
Industrial development 0.3 0.8%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8.4 4.9%
IV.2. Other Multisector 5.2 16.3% III.1.c. Fishing 4.0 0.0 2.4%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5.2 16.3% Fishery development 4.0 2.3%
II.3.f. Energy distribution 1.3 4.1% II.3.f. Energy distribution 2.5 1.5%
Electric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1.3 4.1% Electric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2.5 1.5%
총합계 20.9 10.7 100.0% 총합계 113.6 57.8 100.0%

- 55 -
□ (지원분야 및 공여기관) 기후변화 마커 표기는 수자원 보호나 홍수 예방 등의
일부 분야에 지원이 한정되어 있음(표 3-15).

- 감축에서 주요 지원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을 통해 이루어졌고, 적응에서


규모가 가장 큰 수자원보호는 한국수출입은행(KEXIM)을 통해 지원됨.

표 3-15. 한국의 기후변화 지원 분야 및 공여기관(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감축 규모 적응 규모 종합 규모
환경정책 10.7 수자원 보호 95.6 수자원 보호 95.6
KOICA 5.9 KEXIM 95.6 KEXIM 95.6
KEXIM 4.8 홍수 예방 15.0 홍수 예방 15.0
도시 개발 5.2 KOICA 15.0 KOICA 15.0
KOICA 5.2 환경정책 9.0 환경정책 10.9
물 공급 및 위생 2.4 KEXIM 4.8 KOICA 6.1
KOICA 2.4 KOICA 4.2 KEXIM 4.8
산림 개발 2.2 도시 개발 8.4 도시 개발 8.4
기타 1.3 KOICA 8.4 KOICA 8.4
KOICA 1.0 농업 개발 8.1 농업 개발 8.1
태양 에너지 2.2 KOICA 8.1 KOICA 8.1
KOICA 2.2 기초 식수 공급 및 기초 식수 공급 및
6.8 6.8
산림 정책 1.5 위생 위생
6.8 6.8
MISC 1.5 KOICA KOICA
전력 송배전 1.3 어업 개발 4.0 어업 개발 4.0
KOICA 1.3 KOICA 4.0 KOICA 4.0
분야 미표기 3.3 전력 송배전 3.8
재생에너지 발전 1.3
KOICA 2.7 외교부 2.5
KOICA 1.3
외교부 0.5 KOICA 1.3
기타 0.0 수자원정책 / 환경관
생물권 보호 0.6 3.3
수자원 정책 3.2 리
KOICA 0.6 3.3
KOICA 3.2 KOICA
분야 미표기 0.5 분야 미표기 3.3
고등 교육 2.7
외교부 0.5 KOICA 2.7
KOICA 2.7
기타 0.0 외교부 0.5
자료: OECD.Stat 토대로 저자계산

□ (공여기관별) 기후 ODA 지원의 대부분은 한국수출입은행(EDCF)과 KOICA를 통


해 이루어지고 있음(표 3-16).

- 56 -
- 기후변화 전체 지원에 있어 EDCF는 100.4억 달러, KOICA 74.6억 달러이며, 두
기관의 전체 ODA 지원에서 기후변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8.1%와 10.2%로
나타남.

표 3-16. 한국의 주요 공여기관별 기후 ODA 지원(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

주: 1. 기후변화 지원 총액은 감축과 적응 중복 표기된 사업의 규모를 차감한 금액임.


자료: OECD.Stat 토대로 저자계산

표 3-17. 국제사회와 한국의 기후 ODA 지원 비교(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DAC 한국 한국ODA
분야 DAC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미국 한국
순위 ODA 순위
1 Rail transport 2,914.2 2,244.3 111.0 557.9 0.0 0.0 0.0 177.1 2
2 Electric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2,248.7 952.9 886.8 263.9 28.2 3.9 3.8 4.0 64
3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 mgmt 1,748.0 127.4 266.8 226.4 235.6 8.7 10.9 18.5 29
4 Energy generation, renewable sources - multiple technologies
1,215.0 137.6 703.9 195.0 55.2 2.9 1.3 1.7 92
5 Sanitation - large systems 911.8 660.9 25.7 217.4 0.0 0.0 #N/A #N/A #N/A
6 Agricultural development 875.5 12.5 170.9 65.0 75.6 261.4 8.1 62.5 9
7 Energy policy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680.2 135.4 243.5 105.7 21.2 102.2 0.3 2.5 79
8 Road transport 658.0 543.5 41.1 27.7 37.6 0.0 0.0 423.7 1
9 Bio-diversity 622.1 3.9 386.2 100.5 0.2 114.9 0.0 0.1 149
10 Natural gas-fired electric power plants 585.5 585.5 #N/A 0.0 #N/A 0.0 0.0 0.1 150
11 Solar energy 499.5 0.9 445.4 34.9 #N/A 2.0 2.2 2.3 84
12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482.2 1.4 48.5 318.8 17.3 0.0 8.4 15.9 32
13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477.0 266.3 140.8 12.3 0.3 0.1 0.1 30.8 20
14 Water resources policy/administrative management 453.2 0.0 176.7 137.2 13.3 3.3 3.3 4.2 60
15 Water supply and sanitation - large systems 436.4 10.8 320.1 0.0 0.4 28.6 2.7 95.5 5
16 Multisector aid 398.8 52.9 70.4 0.0 0.3 41.7 1.5 20.6 24
17 Biosphere protection 398.0 4.4 32.1 37.7 9.8 253.6 0.6 0.6 110
18 Water supply - large systems 380.9 194.1 13.1 162.1 #N/A 3.2 0.0 0.2 135
19 Financial policy & administrative management 367.6 0.0 12.0 #N/A 350.2 0.1 0.0 2.3 83
20 Reconstruction relief and rehabilitation 315.0 252.8 25.6 0.0 25.0 0.0 0.1 4.7 57
21 Hydro-electric power plants 268.3 103.3 89.9 57.1 #N/A 1.3 0.0 40.4 16
22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civil society 259.6 0.0 19.5 0.0 3.1 1.4 0.0 4.8 56
23 Rural development 257.9 0.1 77.4 19.9 13.7 0.0 0.2 40.4 17
24 Transport policy & administrative management 255.9 2.7 214.3 7.5 10.8 8.8 0.0 10.0 37
25 Formal sector financial intermediaries 242.6 #N/A 221.5 2.5 0.1 #N/A 0.0 0.0 154
26 Basic drinking water supply and basic sanitation 230.6 15.3 102.7 0.1 13.0 4.2 6.8 19.9 26
27 Geothermal energy 221.4 81.3 78.5 54.8 1.4 1.3 #N/A #N/A #N/A
28 Forestry policy & administrative management 205.8 19.6 51.3 3.3 101.7 0.6 1.8 5.9 51
29 Disaster prevention and preparedness 183.4 56.1 17.0 0.0 22.5 2.2 1.1 2.4 82
30 Coal-fired electric power plants 175.5 174.8 0.0 #N/A #N/A 0.0 #N/A #N/A #N/A

- 57 -
4. 시사점

□ (국제사회와 비교) DAC 회원국의 주요 기후 ODA 지원 분야(수송, 에너지 등)


에서 한국의 기후변화 지원 규모는 미미한 상황임(표 3-17).

- DAC 회원국은 교통 인프라, 에너지 분야 등에서 기후변화 관련 지원이 많고,


분석 대상인 주요 공여국 중에서 일본과 독일의 지원이 두드러짐.

- 그러나 DAC 회원국의 기후 지원이 많은 분야에서 한국의 감축이나 적응 관련


한 지원은 대체로 미미하고, 해당분야는 157개 국내 ODA지원 분야 순위에서도
중하위권에 속하거나 지원 사업이 없는 사례도29) 있음.

표 3-18. 주요국의 기후 ODA지원 및 한국의 잠재 기후마커 분야


(단위: 백만 달러)
DAC 기후변화 감축 및 적응 지원 규모 한국 총 기후지원 제외 한국ODA
분야
순위 DAC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미국 한국(A) ODA(B) ODA(B-A) 순위
8 Road transport 658.0 543.5 41.1 27.7 37.6 0.0 0.0 423.7 423.7 1
1 Rail transport 2,914.2 2,244.3 111.0 557.9 0.0 0.0 0.0 177.1 177.1 2
48 Public sector policy and administrative mgmt. 77.3 41.6 12.1 0.0 4.7 0.1 0.4 132.3 131.8 3
15 Water supply and sanitation - large systems 436.4 10.8 320.1 0.0 0.4 28.6 2.7 95.5 92.8 5
74 Basic health infrastructure 24.4 19.5 0.0 0.0 0.0 0.0 0.0 88.0 88.0 7
50 Higher education 70.6 43.3 14.1 0.0 0.0 4.1 2.7 62.7 60.1 8
6 Agricultural development 875.5 12.5 170.9 65.0 75.6 261.4 8.1 62.5 54.4 9
46 Social/welfare services
자료: OECD.Stat 토대로 저자계산
89.6 2.5 0.0 0.0 69.5 13.8 0.3 52.9 52.6 11
34 Water transport
29) 표 3-17에서 #N/A로 표시
154.1 152.0 0.0 0.0 #N/A 0.0 0.0 47.9 47.9 12
37 Material relief assistance and services 148.7 0.0 5.2 0.0 55.5 12.8 0.0 43.5 43.5 14
21 Hydro-electric power plants 268.3 103.3 89.9 57.1 #N/A 1.3 0.0 40.4 40.4 16
23 Rural development 257.9 0.1 77.4 19.9 13.7 0.0 0.2 40.4 40.2 17
70 Vocational training 27.2 0.0 12.3 5.5 0.0 0.0 0.0 33.3 33.3 19
13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477.0 266.3 140.8 12.3 0.3 0.1 0.1 30.8 30.8 20
16 Multisector aid 398.8 52.9 70.4 0.0 0.3 41.7 1.5 20.6 19.1 24
90 Health policy & administrative mgmt. 15.7 0.0 3.3 0.0 0.1 4.3 0.0 16.2 16.2 31
75 Reproductive health care 24.4 1.6 0.0 0.0 4.1 7.7 0.0 13.5 13.5 35
26 Basic drinking water supply & basic sanitation 230.6 15.3 102.7 0.1 13.0 4.2 6.8 19.9 13.1 26
78 Agricultural education/training 21.6 0.1 5.3 0.1 #N/A 0.0 1.9 12.1 10.2 36
24 Transport policy & administrative mgmt 255.9 2.7 214.3 7.5 10.8 8.8 0.0 10.0 10.0 37
3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 mgmt 1,748.0 127.4 266.8 226.4 235.6 8.7 10.9 18.5 7.6 29
12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482.2 1.4 48.5 318.8 17.3 0.0 8.4 15.9 7.5 32
76 Infectious disease control 22.6 0.8 0.0 0.0 20.5 0.8 0.0 6.7 6.7 46
99 Education policy & administrative mgmt. 11.5 0.1 2.7 0.0 0.4 1.4 0.0 6.6 6.6 47
51 River basins development 68.5 35.2 12.6 0.8 1.9 0.0 0.0 6.3 6.3 48
22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civil society 259.6 0.0 19.5 0.0 3.1 1.4 0.0 4.8 4.8 56
20 Reconstruction relief and rehabilitation 315.0 252.8 25.6 0.0 25.0 0.0 0.1 4.7 4.6 57
36 Agricultural policy & administrative mgmt. 153.5 9.4 21.9 0.7 20.6 62.6 0.0 4.1 4.1 62
28 Forestry policy & administrative management 205.8 19.6 51.3 3.3 101.7 0.6 1.8 5.9 4.1 51
42 Business support services & institutions 109.8 0.0 38.8 0.0 17.9 12.0 0.0 3.9 3.9 65
54 Basic nutrition 64.7 24.3 2.3 0.0 3.2 7.0 0.0 3.8 3.8 67
47 Agricultural research 86.8 1.5 36.0 19.8 5.1 1.8 0.0 3.2 3.2 73
58 Waste management/disposal 51.2 10.3 16.7 0.3 0.1 0.3 0.3 3.3 3.0 71
7 Energy policy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680.2 135.4 243.5 105.7 21.2 102.2 0.3 2.5 2.2 79
31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develop. 174.4 126.4 4.2 0.0 4.2 4.3 0.0 1.5 1.5 93

- 58 -
□ (기후마커 잠재) 선진 공여국에서 기후마커로 표기하고 있고, 국내 ODA 지원
도 상위권에 속하는 분야를 추후 기후변화 마커로 보고하거나 사업 초기단계
에서부터 기후변화를 사업 목적에 고려할 수 있음(표 3-18).

- 단기적으로는 사업지원 초기 단계에서부터 기후변화를 고려한다면, 감축과 적응


마커의 지원 규모는 증대될 수 있음.
ㅇ 도로 및 철도수송, 수자원 공급 및 위생 등 DAC의 기후지원 상위권 분야이면서,
국내 ODA 지원도 많은 분야에서 기후 마커의 표기 가능성이 잠재됨.

- 장기적으로는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한 국제사회의 지원이 많은 분야에 임에도


국내적으로는 사업규모가 작은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 등이 필요할 수 있음.
ㅇ 국제사회의 기후 ODA 지원이 많은 부문은 개도국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해
관련한 수요가 상당함을 내포하고 있음.

ㅇ 전력 송배전, 재생에너지를 통한 전력 발전 등 국내적으로 ODA 지원이 작


은 분야는 이미 국제사회에서 주요한 기후변화 지원 사업으로 활용되고 있
다는 점에서 관련 부문의 지원 및 육성에 대한 정책적 고려도 필요함.

- 59 -
제4장 주요국의 기후변화 주류화 현황

1. 기후변화 지원 전략 및 현황

가. 일본
1) 기후변화 관련 지원전략

□ 일본은 ‘개발협력헌장(Development Cooperation Charter)’에 지구온난화와


환경을 우선순위로 언급하며, 국제개발협력 사업에서 장기간 기후변화와 환경
을 주요 이슈로 다루어왔음.30)

- 헌장에서는 구체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고려, △산림·농경지·해양 자원의


지속가능한 활용과 생물다양성 보호, △건강한 물순환 촉진, △환경 관리 및
기타 관련 이니셔티브 등을 주요 이슈로 제기함.

- OECD DAC 환경네트워크(ENVIRONET) 설문조사(2016)에 따르면 기후변화 측


면에서 일본은 ‘Actions for Cool Earth 2.0 (ACE 2.0)’ 정책을 발표하고 개
도국에 대한 기후재원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등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
음.31)

- 또한 일본은 지진, 쓰나미 등 자국의 자연재해 경험을 토대로 개도국 지원사업


에서 재해위험 완화를 주류화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모든 개발정책에 재
해위험 완화 관점의 도입, 재해 복원력있는 사회 건설과 인명 보호를 중시

-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 관련 일본은 ‘사토야마(Satoyama) 이니셔티브’를 주


창하고, ‘일본 생물다양성 기금’을 설립하는 한편, 사막화가 가속화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가뭄저항성 작물의 보급과 개발에도 힘쓰고 있음.

- 이 외에도 자연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한 녹색성장, 녹색 기술·생산품·서


비스 시장 활성화를 통한 에너지 사용량 감소, 폐기물 감소 활동에 집중

30)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2015).


31) OECD DAC ENVIRONET(2016).

- 60 -
□ 일본의 대표적인 원조 실행기관인 JICA는 2016년 9월 정부의 기후변화 연관정
책에 부합하는 기관차원의 ‘기후변화협력전략(Climate Change Cooperation
Strategy)’을 수립하였음.32)

- 동 전략은 크게 다음의 네 가지 분야를 강조함.


ㅇ 저탄소, 기후-복원력 있는 도시개발 및 인프라 투자 촉진
ㅇ 종합적인 기후위험관리능력 향상
ㅇ 기후정책 및 조직의 발전 지원
ㅇ 산림 및 기타 생태계의 관리와 보호 강화

- 협력 접근법으로 △SDGs와 기후변화의 통합,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 △일본의 유수 기관과 기술 등 장점을 활용하는 방식 채택

- 이 전략서는 JICA 기후변화 협력 활동사례를 네 가지 분야로 구분하고, 사업


명, 지원방식, 특징 등을 기술하여 전략 활용의 이해도를 높임.

□ 일본은 기후 ODA 상위 공여국으로 자국의 자연재해 대응 경험을 바탕으로 환


경과 기후변화 문제를 중요하게 고려하며 국제협상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음.

- 일본은 OECD DAC 환경네트워크(ENVIRONET) 사무국(bureau)에 소속된 4개


회원국의 일원으로 관련 논의를 주도하고 있으며, UNEP BFI 기후변화작업반
(CCWG)33), IDFC34) 기후 금융 회원국으로 공여국간 조화(coordination)에 적극
참여

-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원조 전달(delivery)을 위해 JICA는 프랑스 원조기관인


AFD와 기후변화 삼각협력을 추진하는 등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

□ 일본은 기후변화 관련 정책 및 전략적 프레임워크를 보유하고, 원조기관 차원


의 주류화 목표를 수립했다는 점에서 OECD DAC 회원국 중 기후변화 주류화
의 성공적 사례로 논의됨.35)

32) JICA. 2016. Climate Change Cooperation Strategy(검색일: 2017.7.6.)


https://www.jica.go.jp/english/our_work/climate_change/c8h0vm0000bc50q3-att/strategy_01.pdf
33) UNEP BFI Climate Change Working Group(CCWG)은 2009년 1월 발족하였으며, 매년 기후변화금융을 맵핑
(mapping) 하고, 인식수준을 올리는데 활동목적을 두고 있음. 회원국은 UNEP, AFD, JICA, KfW, NEFCO.
34) IDFC(International Development Finance Club)는 2011년 설립된 19개 개발금융기관들의 기후 금융 네트워크임.
35) OECD(2014a), p.15.

- 61 -
- 일본 외무성과 JICA는 환경관련 고려사항을 다음과 같이 개발협력 정책 및 사
업에 통합
ㅇ 일본 외무성은 ODA 정책 전반에 대한 환경적 고려를 강조하는데, 특히 지
역·국제적 환경 이슈 관련 모든 ODA 사업에 있어 사회·환경적 영향을 통
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ㅇ JICA는 정책문서에서 1) 개도국의 환경보호에 기여하는 국제협력과 프로젝트


를 장려하고, 2) 사회·환경적 고려사항을 담은 가이드라인에 따라 개발 프
로그램 및 프로젝트의 환경적 악영향을 최소화 할 것임을 명시

그림 4-1. JICA의 기후변화 주류화 지원체제

주: 1) 모든 부서에는 최소 1명의 “기후변화 전문관”을 배정


2) 기후변화부(OCC)는 JICA의 기후변화정책을 수립하고, 각 부서별 기후변화담당관의 훈련과
지원을 담당
자료: 전 JICA 기후변화 담당관 Tomonori Sudo 교수 간담회 발표자료(2017. 9. 21)

2) 리우마커 활용 현황

□ 일본은 리우마커를 참고하여 기후변화 적응 및 감축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사


례 목록을 작성하는 등 국제사회의 기후재원 추적 및 측정 노력에 동참36)

- 2013년 DAC이 실시한 적응마커의 질적검토(Quality Review)에 제시된 일본의


적응사업의 구분 및 사례는 [표 4-1]과 같음.

36) Japan(2014).
http://www4.unfccc.int/submissions/Lists/OSPSubmissionUpload/50_19_130472284937025292-20140613_japan.pdf
(검색일: 2017.7.21.)

- 62 -
ㅇ 일본의 기후변화 적응 주목적 사업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됨: 1) 적응 목적
사업임을 분명히 명시하고 있는 경우, 2) 기후변화를 고려한 것이 분명하지
만 직접적인 적응 사업은 아닌 경우, 3) 다양한 분야에서의 인프라 사업, 4)
적응과 직접 관련은 없으나 일반적인 적응 영역에 대한 지원 사업

ㅇ 물 분야 및 방재 관련 분야 프로젝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적응 분야


활동이지만 사업 활동에 대한 설명 상 적응과 관련된 직접적 설명이 없어
부수적 목적의 적응 사업으로 표기됨.

ㅇ 이 외에도 부수적 목적 적응 사업에는 운송(예: 홍수지역의 트래픽 개선) 및


에너지 분야(예: 수력 발전소 재건)가 속해있었으며, 다자성 양자(multi-bi)사
업인 UN-REDD 기여금도 부수적 목적으로 기입

표 4-1. 일본의 기후변화 적응사업 구분 및 사례

구분 기후변화 적응 목적 사업 유형 사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베트남 국별 지정
적응 목적 사업임을 분명히 명시하고 프로그램
1
있는 경우 기후변화로 야기된 자연재해 대응 능력
개발
산림보호프로그램
기후변화를 고려한 것이 분명하지만,
2 REDD 이행 프레임워크
직접적인 적응 사업은 아닌 경우
기후변화정책 지원
물: 급수 시스템 개선
3 다양한 분야의 인프라 사업 교통: 교량 재건 및 신규교량 설치
에너지: 태양에너지 공급
쌀 생산성 개선
적응과 직접 관련은 없으나 일반적인
4 관개시설 복구
적응 영역 지원 사업
방재 및 재해 준비
자료: OECD DAC(2013a).

나. 독일
1) 기후변화 관련 지원전략

□ 독일은 개발정책백서(2013)상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5대 주요 분야 중 하나로


“지속가능한 저탄소개발”을 강조하고 있음.37)

37) BMZ(2013).

- 63 -
- 빈곤감소, 거버넌스, 경제성장과 함께 환경은 독일 ODA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
하며, 특히 기후변화는 독일 개발협력정책에서 범분야 이슈로 다뤄짐.

- 독일의 환경분야 개발협력의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음.38)


ㅇ 분야별 프로그램(예: 농업, 어업, 임업)과 범분야 프로그램(지속가능한 개발,
빈곤감소, 기후변화 적응 및 감축)에 생물다양성의 지속가능한 활용과 보호
통합화 및 주류화
ㅇ 해양자원 보호를 위한 참여 확대
ㅇ 산림보호, 지역 재건, REDD
ㅇ 기후변화: 기후재원 제공, 리스크 관리, NDCs, 재생에너지
ㅇ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 특히 독일은 생물다양성과 산림, 생태계 서비스의39) 지속가능한 관리 및 보호에


대해 강력한 정치적 공약을 내세우고 있는 바, 2013년부터 매년 5억 유로를
전 세계 산림 및 기타 생태계 보호에 지원

- 타 분야에서도 기후변화를 언급
ㅇ“존엄성 있는 삶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물과 위생(water and sanitation)
분야에서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한 지속가능한 수자원 활용을 강조하며, 젠더
주류화(gender mainstreaming) 측면에서 젠더 특화된 기후변화 도전과제와
대응방안을 모색

ㅇ 농촌개발, 농업, 식량안보 차원에서는 기후변화를 주요 도전과제로 인식하며,


신흥국과의 개발협력 시 파트너십 구축의 3대 우선순위 분야 중 하나로 기후
변화의 완화와 환경보호를 선정

□ 독일은 2017-18의 주요 정책과제로서 SDGs·파리협정·아디스아바바 행동계획에


부합하는 개발협력 정책 및 운영 체제의 일관성 확보를 제시40)

□ SDGs 및 2030 개발의제 이행을 위해 독일 경제협력개발부(BMZ)는 ‘지속가능


개발전략(German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2016)’을 수립하고 2017년
1월 내각의 승인을 얻어 공식 발효41)

38) OECD DAC ENVIRONET(2016).


39) 생태계 서비스란 “해양생태계의 물의 순환, 탄소의 순환, 오염물질의 정화 기능 등 인간사회에 직접적인 경제적 혜택은
없으나 생태계의 존재와 기능이 생물의 생존에 기여하는 혜택”을 의미함. 한국해양학회(2005).『해양과학용어사전』
참고.
40) OECD DAC ENVIRONET(2016).

- 64 -
- 동 전략은 지속가능한 개발에 관한 독일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역할을 명시
하고 있으며, 36개 세부분야별 목표와 주요 지표를 설정하였음.
ㅇ SDG 13 관련, 독일은 온실가스 배출을 2020년까지 40%이하로 줄이고, 기후
재원 규모를 현 수준보다 두 배 증액하기로 공약

- 기존의 지속가능개발전략(2002)을 발전시키면서 독일 정부는 분야별 포트폴리


오를 재조정하고, SDGs 의제를 내외부 업무 절차, 사업운영·조정 방식, 모니
터링 및 평가 과정에 통합함.
ㅇ 이 과정에서 독일은 시민사회와 민간부문과의 다양한 파트너십을 촉진하고,
2030 의제의 이행 수단의 하나로서 지속가능한 공공조달 절차를 활용할 계획임.

□ 기후변화는 독일 국내외 정책에서 SDGs와 함께 높은 우선순위를 차지하며, 양자


ODA의 40% 이상이 기후변화 관련 지원인 것으로 나타남.

- 2013년 기준 GIZ 프로젝트의 1/3 이상은 기후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KfW 2014년
신규 약정액의 64%는 기후 및 환경을 위해 지원42)

2) 주류화 노력

□ 개발협력사업 내 환경 이슈의 주류화 성공 사례로 독일 원조시행기관인 GIZ의


국제적 연대와 파트너십 구축 지원활동이 “책무성”구축의 모범적 사례로 제
시되고 있으며,43) 독일은 다양한 국제회의에 참여하여 성공사례 공유 및 확산
에 집중

- 독일은 협력국가의 환경적 리스크를 유발하는 여러 요인 규명, 다양한 정책단


계에서의 환경 정책 현대화 작업보조, 지역간 환경협력 조언, 타 정책분야에
환경보호 내재화 전략 개발 등을 위해 노력

- 독일은 DAC과 OECD 환경정책위원회(EPOC)가 공동 운영하는 ‘기후변화와


개발 작업반(DAC-EPOC Task Team on Climate Change and Development)’에
참여, 리우마커 및 개발금융 통계 개선을 위해 주도적 역할 수행44)

41) Federal Government of German(2016).


42) OECD(2015).
43) OECD(2014b), p. 27.
44) OECD(2015), p. 40.

- 65 -
□ 주류화 노력 차원에서 2011년 독일은 BMZ와 개발협력 수행 기관들은 모든 개
발협력 사업에 기후확인(climate check) 제도를 의무화하도록 함.45)

- 기후확인 제도는 1) 유형화, 2) 위험식별, 3) 위험평가, 4) 위험관리의 네 단계로


이루어짐.

- 동 제도 수립의 목적은 ① 환경에 대한 유해한 결과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하기


위해, ② 프로젝트의 이행 시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고, 온실가스 배출을 방지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기 위해, ③ 기후변화의 결과가 프로젝트를 통해
달성하려는 긍정적 성과에 해를 끼치지 않으며, 적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
다는 점을 확인하기 위해서임.

- 기후확인 결과는 프로젝트 관련 주요 문서(예를 들어, 우선순위분야 전략서,


프로그램 제안서 등)에 포함되며, 향후 개발협력 사업시행기관들이 해당 프로
젝트 관련 보고 시 참고할 수 있음.

3) 리우마커 활용 현황

□ DAC 동료검토 결과(2015), 독일의 환경 관련 정책마커의 활용과 품질관리 수


준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됨.

- 분야별 전문가가 리우마커 적용시 체계적인 품질 검토를 실시하며, 통계 부서는


정기적으로 적용범주와 일관성 체크 및 마킹 담당 직원을 대상으로 인식제고와
교육훈련을 실시

- 리우마커 품질점검 체계가 2012년 도입된 이후로 ODA 사업 중 생물다양성 관


련 분야별 구성 규모가 구체적으로 확인되는 등 정책마커 측정의 정밀성을 높
이고 있음.46)

- OECD DAC 개발금융통계작업반(WP-DFS) 회의에서 독일은 리우마커 데이터의


일관성 확보차원에서 리우마커를 대폭 수정하기보다는 기후재원 측정시 리우
마커를 개선·보완하여 활용하자는 입장을 표명함.47)

45) Federal Government of Germany(2011), p. 38.


46) 독일은 ODA 뿐만 아니라 KfW 개발은행의 기타공적자금(other official flows)에 대한 리우마커도 표기하고 있음.
OECD(2015), p. 30.
47) OECD WP-STAT(2013).

- 66 -
- BMZ는 정책마커 시스템에 대한 DAC의 마커적용 기준과 BMZ가 자체적으로
정의한 마커 작성 가이드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48) 개발협력 활동의 마커 적용
사례 및 방법에 대한 상세한 안내서를 발간하였음.
ㅇ BMZ는 ‘기후변화 적응 마커(KLA)’와 ‘온실가스감축 마커(KLM)’를 활용
하여 설정된 목표치를 달성하고, 이행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점수기입 및 두 마커의 조합에 관해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기준을 정함.
① 기후변화 마커 2점을 부여한 경우, 지원액의 100%를 해당 목표치로 계
산하며, 1점은 50%, 0점은 0%를 계상함.
② 두 마커를 동시 적용할 때는 [표 4-2]와 같은 조합만을 허용하며, 두 마
커를 ‘동전의 양면’으로 인식하여 둘의 합이 2점을 넘을 수 없게 함.

ㅇ 이처럼 구체적인 점수 부여 및 조합 규정은 기후변화 관련 사업이 이중으로


합산되어 지원금액의 150~200%를 인정받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될 수
있으며, 기후변화 지원목표치의 관리에 효과적임.

표 4-2. 독일의 기후변화 마커 조합 규정

기후변화적응마커(KLA) 점수 온실가스감축마커(KLM) 점수
조합 1 KLA = 0 KLM = 0
조합 2 KLA = 0 KLM = 1
조합 3 KLA = 1 KLM = 0
조합 4 KLA = 1 KLM = 1
조합 5 KLA = 0 KLM = 2
조합 6 KLA = 2 KLM = 0
자료: GIZ(2014), p. 19.

□ 2013년 DAC이 실시한 적응마커의 질적검토 결과,49) 독일은 대부분의 기후변화


주목적 사업 활동 기술시 적응 요소를 분명히 드러내는 것으로 나타남.

- 예를 들어 ‘지역사회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낮추기 위해 적응에 기반한 생태계


촉진’, ‘기후 위험관리에 대한 자문 서비스’, ‘농업 부문의 기후 리스크 보장을
위한 보험시스템 개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경작 시스템의 도입’ 등과
같이 사업의 특징을 충분히 서술

48) GIZ(2014).
49) OECD DAC(2013a).

- 67 -
- 일부 사례에서 사업 목적이 명확하지 않고 설명이 다소 포괄적인 경우가 존재
(예: 코르딜레라스 산맥 지역의 통합적 농촌 개발, 유역 관리)

- CIF 전략적기후기금(Strategic Climate Fund)에 대한 지원은 모두 적응이 주목


적인 것으로 기입됨.

- 부수적 목적의 적응사업 중에는 소수의 활동들만이 실제 적응사업과 명확한


연계가 있었음.
ㅇ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를 위한 거버넌스 메커니즘의 이행, 모범적 기후 프로
젝트 전시를 위한 플랫폼 등

ㅇ 부수적 목적 활동들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나타났는데 사업 예는 다음과 같


음: 교육(예: 문화적 소수자에 대한 문해력(literacy) 프로그램), 보건 및 물
(예: 식수 접근성 개선 및 위생적인 공급), 거버넌스(예: 소비자 보호 및 대중
참여 제고)

4) 지원사업 평가 사례

□ 독일 환경부(BMU)가 KfW를 통해 이행한 칠레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 프로


그램(3~4단계 사업, 2008~13년)의 사후평가 보고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음.50)

- 독일은 2015년 기준으로 제2의 기후변화 ODA 공여국으로 이미 오래전부터 환경


및 기후변화에 대한 고려를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반영해왔음.51)

- (사업 목표) 칠레 재생에너지 확대 및 에너지효율 제고를 통해 ① 칠레 에너지


공급 분야에서 발생하는 기후 및 환경에 대한 부정적 영향 저감, ② 칠레의 에
너지 공급 개선

- (사업 내용) 민간 사업자에게 양허성 대출을 제공하여 소수력 발전 시설 13개


소와 바이오가스 발전시설 1개소 구축, 송전선 확충

- (평가 항목) 사업을 통해 제공된 물리적 성과물(발전설비)과 이를 통해 감축된


온실가스 발생량을 중․단기 성과지표로 설정하고, 사업이 해당 수원국의 분야
(에너지)에 미친 영향을 장기 성과지표로 설정

50) 독일 KfW Standard Evaluations:


https://www.kfw-entwicklungsbank.de/International-financing/KfW-Development-Bank/Evaluations/Results/,
51) ‘mainstreaming climate change’ 또는 ‘climate proofing’으로 표현됨.

- 68 -
- 특히 기준선 및 변화여부 측정이 용이한 항목을 지표로 설정하여 성과 측정의
효율성을 추구하였음.
ㅇ‘효과성’ 평가 항목은 기준선 수치 설정을 요하지 않는 평가지표(사업 시
작시 모두 0)를 선정함.

ㅇ 사후평가시 관찰된 수치를 그대로 사업 성과로 간주

표 4-3. 독일 재생에너지․에너지효율 사업 평가지표

평가
평가지표 기준선 평가 결과
기준

사업을 통해 CORFO(사업이행기관)
달성
는 2008 ~ ’13년 기간, 해당 분야(재
EUR 0 - 2012년 말 기준, 약 1억
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에 최소
900만 유로 제공
9,600만 유로의 재원 제공

달성
사업을 통해 2013년까지 최소 25MW의
0MW - 2012년 말 기준, 약 62MW
전력 설비 운영(건설 중인 설비 포함)
효과성 설비 구축

사업을 통해 제공된 재생에너지․ 달성


에너지효율 설비가 연간 147,000톤 0tCO2 - 2012년 기준, 183,370tCO2
이상의 CO2를 감축할 것 감축

크레딧라인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된


판단 불가
에너지효율 설비가 평균 7% 이상의 0%
- 에너지효율 설비 미구축
에너지 사용을 저감할 것

칠레 전력생산에서 2006년 대비 달성
2013년 ‘비전통’ 재생에너지 비중을 - 2013년 재생에너지 발전량
영향력 285MW
최소 50% 이상 확대(2006년 재생에 1,117MW
너지 비중은 약 2.4%) (총 발전의 약 5.9%)
자료: KfW(2015). Ex Post Evaluation - Chile, pp. 1-2 & p. 3.

다. 프랑스
1) 기후변화 관련 지원전략

□ 프랑스 개발협력정책의 근간이 되는 정책문서인 ‘개발협력 프랑스의 비전


(Development Cooperation: a French Vision)’은52) 기후변화를 글로벌 공공재

- 69 -
로 인식하고, 효율적인 거버넌스와 재원마련 측면에서 국제사회의 혁신적 해
결방안을 통해 보호되어야 할 주요 이슈로 제기하였음.

- 기후변화는 프랑스 정부가 제시하는 6대 정책일관성(policy coherence) 우선순


위 과제 중 하나로 포함되며, 관련 법과 정책이 정비되었음.

- 2030 의제 및 파리협정, UNCBD 및 UNCCD 관련 주요 합의문의 내용을 향후


환경분야 주요 과제로 제시

□ 프랑스 원조 실행기관인 프랑스개발청(AFD)은 ‘2012~2016 기후와 개발 개입


프레임워크(Climate and Development Intervention Framework)’를 수립, 원칙
과 우선순위 전략을 설정하고, 구체적인 행동계획 제시53)

그림 4-2. 프랑스의 기후변화 지원사업

자료: AFD(2015), p. 4.

52) Ministry of Foreign and European Affairs(2011). 동 비전 문서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프랑스 개발협력정책
의 네 가지 전략적 도전과제와 협력방안을 제시하며, 전례 없이 명백하고 일관된 국제협력 비전을 드러낸 것으로 평
가됨(OECD(2013b), p. 17).
53) AFD의 기후와개발 개입프레임워크는 다음을 참고:
https://www.afd.fr/sites/afd/files/2017-09/cadre-intervention-climat-note-generale.pdf
AFD의 행동계획은 다음을 참고: AFD. 2011. Reconciling development and the fight against Climate Change: Action Plan
2012~2016.(http://www.afd.fr/webdav/site/afd/shared/PORTAILS/SECTEURS/CLIMAT/pdf/Climat_GB_HD.pdf)

- 70 -
□ AFD는 개발협력 활동에서 기후변화를 고려하기 위한 세 가지 원칙을 다음과
같이 설정함.

- 첫째, 지속적인 기후재원 공약 이행을 위해 AFD 재원의 50%이상, PRO- PARCO


재원의 30% 이상을 기후재원으로 배분

- 둘째, 지원사업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감축 수준을 정량적으로 평가

- 셋째, 사업 선정단계부터 지원사업의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을 고려

2) 주류화 노력

□ AFD 기후변화부서(Climate Change Division)는 2012년부터 기후변화 주류화 노력의


일환으로 탄소발자국 측정도구를 도입, 모든 지원사업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감축을 사전에 예측54)

- 사업 승인(appraisal) 이전 발굴(identification) 단계부터 탄소발자국 추정치를


제출하도록 함.

- AFD는 온실가스 배출 추정치에 따라 지원 적격성을 판단하는 기준표를 고안


하였음(표 4-4).
ㅇ AFD 운영지침, 수원국의 발전정도, 수원국의 기후변화 전략, 프로젝트의 탄
소발자국 측면에서 다면적으로 프로젝트를 고려

표 4-4. 온실가스 배출 수준에 따른 AFD 지원 여부


최빈국 또는
온실가스 배출량 중소득국 신흥국
취약국
감축 사업 또는 배
출량 10ktCO2e 이 지원 가능 지원 가능 지원 가능
하의 사업
비양허적 지원 가능
배출량 10ktCO 2 e 단, 수원국이 기후정
지원 가능 지원 가능
~ 1MtCO2e인 사업 책을 수립한 경우,
양허적 지원 가능

54) Bonnel and Swann(2015), Annex B, p. 29.

- 71 -
최빈국 또는
온실가스 배출량 중소득국 신흥국
취약국
수원국이 기후정책을 수원국이 기후정책을
배 출 량 1 Mt C O 2 e
수립한 경우 양허적 수립하지 않은 경우 지원 불가
이상의 사업
지원 가능 지원 불가
자료: Bonnel and Swann(2015), Annex B, p. 29.

3) 리우마커 활용 현황

□ 2013년 DAC이 실시한 적응마커의 질적검토 결과,55) 프랑스는 주목적으로 표기


된 대부분의 사업들이 실제로 적응과 직접적 관련이 없었음.

- 적응을 주목적으로 하는 상위 열 개 사업은 주로 도시 상수도공급, 위생 프로


그램, 수력발전소, 농업 인프라 등과 연관

- 사업 목적 상 적응을 강조하고 있는 “Projects highlighting focus on adaptation”


주요 프로젝트 사례로는 “해양 생물권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력 연구”, “기후
변화가 수자원·관리에 미치는 영향“ 등이 있었음.

- 대상 사업 중 부수적 목적의 적응사업은 거의 없었음.

□ 프랑스는 리우마커와 관련하여 기후변화 주목적과 부수적 목적을 기입하는 자


체적인 방법론을 구축하였음.56)

- AFD는 리우마커의 정의가 모호하고, 다르게 해석할 여지가 많아 리우마커를


더 이상 활용하지 않고 있다고 밝힘.57)

- AFD가 자체적으로 구축한 기후재원 측정방식은 국제개발금융클럽(IDFC: International


Development Finance Club) 회원국과 논의를 통해 공유·발전되어왔으며,
IDFC와 다자개발은행이 승인한 “적응재원 추적을 위한 공통원칙”에 부합함.

- 개별 프로젝트는 각각의 목적과 중요도에 따라 다른 가중치(weight)를 적용하여


기후재원을 측정함.

55) OECD DAC(2013a).


56) OECD ENVIRONET·WP-STAT(2013).
57) OECD WP-STAT(2013).

- 72 -
- 적응활동은 프로젝트의 성격과 기후변화에 대한 지역적 취약성을 바탕으로 측
정함.
ㅇ 즉, 사업 수행을 위해 계획된 활동들이 ① 기후변화에 대해 인구, 자산, 생태계의
복원력 향상에 기여하는지 또는 ② 취약성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는지 확인
할 수 있는 긍정적 활동 목록을 검토함.

- 감축 활동은 프로젝트 사후 탄소발자국 계산법에 따라 측정


ㅇ 해당 프로젝트가 수행되지 않은 벤치마크 상황에 비교하여 얼마나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한지를 계산함.

ㅇ 사업지원이 승인될 때 탄소발자국이 측정가능하지 않다면, 그 지원금은 “감축에


기여하는 활동”의 측면에서 기후변화 감축 활동으로 계상됨.

라. 영국
1) 기후변화 지원 전략

□ 파리협정 채택 이후 영국은 개도국의 저탄소·기후복원적 성장, 개발 프로그램


과 기후/환경의 통합적 접근법 강화, 기후재원 확대와 기후 통합화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참여자의 효과적 수행체계 구축을 주요 과제로 제기함.

□ 영국의 원조 전략은58) △ 세계평화·안전·거버넌스 강화, △ 복원력과 위기


대응 강화, △ 세계의 번영 촉진, △ 극빈 퇴치 및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영국
국제개발협력의 전략적 달성 목표로 수립하였음.

- 복원력 강화 전략은 기후변화 적응 및 감축 문제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음.

- 영국은 전체 포트폴리오에 기후 스마트 접근법을 적용하여 모든 지원활동이


기후변화에 대한 복원력을 보유하고, 자연자원을 보호하도록 하여 개도국이
저탄소성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도움.

□ 영국 국제개발협력 예산의 약 87.8%를 집행하는 국제개발부(DFID)는 영국 원조


전략과 일치하는 중장기 비즈니스 플랜을 수립하여 기후 복원력 강화 전략에
일조함.

58) HM Treasury·DFID(2015).

- 73 -
- DAC 피어리뷰(2014)에 따르면 DFID는 빈곤퇴치 및 MDGs 목표 달성을 위해
주요 이해관계자와의 합의를 거쳐 2011~2015년간 DFID의 비즈니스 플랜을 수
립하고, 향후 5년간의 6대 우선순위 과제 중 하나로 기후변화 대응(combat
climate change)을 선정59)
ㅇ 2012년 업데이트된 해당 계획은 [표 4-5]와 같은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였음.

- DFID의 2015~2020 Single Departmental Plan에 따르면 정부가 기후 복원력 강


화를 위해 향후 5년간 기후 지원을 50%이상(최소 58억 파운드) 확대하기로 결
정한 바, DFID는 최소 36억 파운드를 지원하기로 함.

- 구체적인 지원 활동으로는 개도국의 저탄소성장을 돕기 위해 최소 두 개의 수


원국에 매년 기후기술혁신센터를 지원하고, 기후 스마트한 DFID 프로그램을
위해 모든 사업에 대한 기후 위험과 기회요소를 파악하도록 함.

표 4-5. 영국 DFID의 중장기 비즈니스 플랜: 기후변화 전략 목표 수립 사례

6. 기후변화 대응(Combat Climate Change)


책임자: Richard Calvert, Director General, Fin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DFID
활동 착수 종료
6.1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적응 및 저탄소배출성장 지원
ⅰ. 미래의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을 포함하여, 국
제기후기금의 효과성‧혁신력‧성과 개선
착수함 ’13. 12

ⅱ. 영국의 국제기후기금(International Climate Fund)을 통해 ①

기후지출 효과성 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②이를 바탕


착수함 ’15. 3
으로 녹색기후기금의 모니터링 및 평가 프레임워크를 설계
하기 위해 최소 3개의 국가 및 국제금융기관과 협력
ⅲ. 개발도상국의 민간금융 접근성을 증진시키고 저탄소 인프라
시설에 민간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공공-민관 파트너십 프로 착수함 ’13. 3
그램 착수
ⅳ. 기후변화로부터 영향 받는 인구 중 최소 100만 명을 돕기
착수함 ’13. 7
위해 6개 국가에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 실핼
ⅴ. 최소 두 국가의 기후기술혁신센터 지원 ’12. 12 ’15. 3
6.2 보다 기후 스마트한 DFID 프로그램 형성
ⅰ. 전략적 프로그램 검토(Strategic Programme Reviews)를 시
행함으로써 DFID의 국별사업과 기타 주요정책 및 지출분야 착수함 ’13. 12

에서 기후변화위험 기회가 식별되고 있는지 확인
자료: DFID(2012), p. 13.

59) OECD(2014b), p. 35.

- 74 -
□ 이외에도 에너지기후변화부(Department for Energy and Climate Change)는 관련
투자를 늘리고, 환경식품농촌부(Department for the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도 원조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범부처 활동을 적극 수행 중60)

2) 주류화 노력

□ 영국은 기관차원에서 기후변화 성과에 대한 높은 책무성을 갖고 있으며, 전략


수행을 위한 충분한 재원과 인적 기반을 마련하였고, 주류화 학습문화를 강화
한 점에서 좋은 사례로 제시되고 있음.61)

- 책무성 확보차원에서 DFID의 모든 업무부서는 사업에 대한 기후변화 위험 및


기회요인(ORCHID: Opportunities and Risks from Climate Change and
Disasters)을 규명할 수 있는 전략적 프로그램 검토서(Strategic Programme
Reviews) 작성을 의무화함.
ㅇ 이에 따라 개도국 협력사업 수행시 수원국으로부터 저탄소 에너지원에 투자
하고, 가능한 에너지효율성을 높이는 개발전략을 채택하도록 돕고 있음.

- 또한 DFID는 개도국의 기후변화 적응과 저탄소성장 지원 공약 달성도를 추적


하기 위해 투입요소에 대한 지표를 고안하였음.
ㅇ 여기에는 적응 프로그램 지원 규모, 기후 영향력을 다루는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인력 수, 청정에너지 지원 규모, 프로젝트 성과로 청정에너지에 접근성
이 개선된 사람의 수 등의 지표가 있음.

- 영국의 방글라데시 기후변화적응 사업 평가결과, 사업 수행 과정에서 지역사


회의 참여도를 높이고, 기후변화 지식 전파(knowledge transfer)를 성공적으로
달성한 것으로 나타남.62)

60) HM Treasury·DFID(2015).
61) OECD(2014a), p. 27, p. 32, p. 36.
62) ICAI(2011). The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s Climate Change Programme in Bangladesh, p.
1; OECD(2014). Mainstreaming cross-cutting issues: 7 Lessons from DAC Peer Reviews. p. 36. 재인용.

- 75 -
그림 4-3. 영국 DFID의 기후 위험 및 기회요인(ORCHID) 평가 체계

자료: Gigli and Agrawala(2007).

3) 리우마커 활용 현황

□ 2013년 DAC이 실시한 적응마커의 질적검토 결과,63) 영국은 적응 주목적 사업의


99%가 감축 주목적으로 중복 표시됨.

- 주목적 사업의 90%를 차지하는 상위 10개 사업에는 기후변화 관련 다자기금


및 민관협력사업(PPP)에 대한 지원 금액이 포함되어 있음.
ㅇ IBRD Environmental Transformation Fund, 인도네시아 기후변화신탁기금
(ICCTF),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 파트너십,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복원기금

- 부수적 목적의 적응 활동과 관련, 모든 활동들이 적응을 직접적으로 강조하고


있지는 않음.
ㅇ 상위 10개 사업 중 단 한 가지 사업만이* 사업목적으로 기후변화를 명시하
였으며, 그 외 사업은 식량안보, 농촌개발(운송 포함), 농업분야에 속함.
* 산림 거버넌스 시장과 기후변화(Forest Governance Markets and Climate)
- UNDP 위기예방 및 회복 부서에 대한 출연금도 부수적 목적의 지원 활동으로
표기

63) OECD DAC(2013a).

- 76 -
- 적응에 대한 지원을 전면에 내세운 소규모 사업들이 존재
ㅇ ‘베트남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의사결정 및 정책 개선 지원사업’, ‘현 기
후 다양성에 대한 복원력 향상, 향후 기후변화에의 적응, 저탄소성장이 가져올
기회와 이득에 대한 케냐 정부와 시민사회, 민간부문의 역량강화 사업’ 등

마. 미국
1) 기후변화 지원 전략

□ 미국은 외교·개발활동 지침(QDDR: Quadrennial Diplomacy and Development


Review)에서64) 기후변화 대응을 4개 전략분야 중 하나로 포함하는 등, 기후변
화를 미국의 안보와 직결되는 중요 과제로 제시하였음.

- QDDR은 활동의 주체로서 미 국무부와 USAID 등을 언급하고, 국제 기후변화


협약의 체결, 양자 및 다자지원 확대, 저탄소 경제로의 이행 지원 등 다양한
지원방안을 제시

- 2017년 1월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은 새로운 행정명령을 발표하여65) 미국 내


온실가스 감축 의무 완화 등, 오바마 대통령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무효화
하고 있으나, 이는 아직까지 국제협력 분야에까지 영향을 미치지는 않음.66)

- USAID는 당초 2012-16년을 대상으로 수립하였던 기후변화·개발 전략을 2018년


9월까지 연장한 상태임.

2) 주류화 노력

□ 미국 USAID는 기후변화를 다방면에서 사회·경제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식하여, 기후변화 요소를 모든 협력 사업에 통합하는 접근법으로 주류화 추구

- 기후변화를 ‘개발성과를 저해할 수 있는 범분야 이슈이자 개도국의 발전과 안


보를 위협하는 요소’로 인식

64) US Department of State and USAID(2015).


65) The White House(2017). Presidential Executive Order on Promoting Energy Independence and Economic
Growth. EO 13783.
66)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America first” 정책을 추진하여 USAID를 포함한 국제개발협력 분야에 예산삭감 예정임.

- 77 -
- 2012년 발표된 USAID의 ‘기후변화와 개발 전략’은67) ① 청정에너지·지속
가능한 자연경관 투자를 통해 저탄소 발전으로 전환, ② 적응에의 투자를 통
해 인간과 환경의 복원력 제고, ③ 계획, 학습, 정책, 운영 등에서 기후변화를
통합하여 개발성과 강화를 세 가지 전략적 목표(strategic objectives)로 설정

- 현재 추진 중인 기후변화 통합 방안으로는 △기후위험 관리 △추진 사업의


기후변화 통합 현황 평가 △사업 추진시 기후변화 관련 지식이전을 포함하는
활동 등이 있음.

□ 2014년 발표된 USAID의 기후변화 대응 프레임워크는68) 기존의 사업 계획 및 결정


절차에 기후변화 요소를 통합 및 포함, 즉 ‘주류화’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

- 기후변화가 통합·포함·주류화된 ‘기후복원적 개발 프레임워크’는 △사업


범주 파악 △현황(기후 관련 포함) 파악 △활동 계획 수립 △이행·관리 △평
가·수정의 다섯 단계로 체계화 됨.

그림 4-4. USAID의 기후복원적 개발 프레임워크

자료: USAID(2014). Climate Resilient Development: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Climate Change, pp. 5 & 21 토대로 저자 작성.

67) USAID(2012). Climate Change and Development Strategy 2012-2016.


68) USAID(2014). Climate-resilient Development -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Climate Change.

- 78 -
□ 특히 이 프레임워크는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직·간접적 영향을 사업
분야별로 제시하여 사업이행 담당자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음.

표 4-6. 기후변화로 인한 직간접 영향


직접적 영향 간접적 영향
분야
- 기후변화로 인한 현상 - 기후변화로 인한 2차적 현상
Ÿ 수확량 감소 Ÿ 영양소 감소
Ÿ 병충해 및 가축질병 증가 Ÿ 수입 감소
농업 Ÿ 토지 비옥도 감소 Ÿ 식량안보 불안
Ÿ 농업 종사자의 더위 스트레스 Ÿ 이주
(Heat stress) Ÿ 시장접근성 감소
Ÿ 식수 동원에 소요되는 시간의 증가 Ÿ 식량 불안정
소외계층 Ÿ 홍수 및 태풍 대응력 감소 Ÿ 학교수업을 받는 시간 부족
지원
Ÿ 중노동으로 인한 열사병 Ÿ 수입 감소

Ÿ 재해로 인한 보건 인프라 손실
및 질병/사망
Ÿ 말라리아, 뎅기열, 황열병 등 전염
Ÿ 가뭄, 홍수, 태풍, 열파, 허리케인과 병의 매개체 활동이 증가함에 따
같은 극한 기상이변의 인명 위협 라 질병 전염구역 확대 및 이동
Ÿ 온도상승으로 더위 스트레스 Ÿ 옥수수, 쌀 등의 주식 식량작물의
보건
(Heat stress) 위험 증가 수확량 감소로 영양실조 및 영양
Ÿ 수온상승으로 인한 수인성 질병 부족 증가
전파 Ÿ 수질 및 수자원 양의 감소로 위생
증진활동 제약 및 설사발생률 증가
Ÿ 특히 도시 등에서 오존농도 상승이
대기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 증가

Ÿ 가뭄 및 홍수로 인한 인명피해(사망) Ÿ 경제성장 위축


인도적
지원/ Ÿ 열파의 보건부문 영향 Ÿ 식량안보 감소
재해 Ÿ 태풍으로 인한 인프라 피해 Ÿ 인구이동 증가

Ÿ 극한 기후이변으로 인한 에너지, Ÿ 손상시, 배관·하수도 서비스 중단


교통, 수자원, 커뮤니케이션 등, 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인프라 피해 Ÿ 운영비용 상승, 수자원 시스템의
인프라
Ÿ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인프라 침수 수명단축과 수도세 상승 가능성
Ÿ 심한 열로 인한 포장도로 및 철 Ÿ 교통시스템의 효율 감소
로 손상 Ÿ 완전정전/(의도적)부분정전

- 79 -
직접적 영향 간접적 영향
분야
- 기후변화로 인한 현상 - 기후변화로 인한 2차적 현상
Ÿ 토양침식 증가
Ÿ 농업확대 저해
Ÿ 서식지 적합성 변화
Ÿ 인구 이동 부담
자원관리 Ÿ 특수종의 소멸 및 변화
Ÿ 토지이용/인간/동물간 갈등
Ÿ 산호수 손실(수온상승 또는 산화로
Ÿ 홍수/가뭄으로 인한 수질오염
인한)
Ÿ 농업산출물의 감소
Ÿ 식량안보 감소
Ÿ 가뭄/홍수 Ÿ 수자원이용 갈등
Ÿ 위생(하수)범람으로 식수오염 Ÿ 수도처리시스템 오류 또는 홍수
Ÿ 해수 침투 발생 시 수인성 질병의 확산
물 Ÿ 강우량, 지표수, 지하수의 양과 Ÿ 수자원 변동 또는 손상시 인구의 이동
시기 변화로 저수량 변화 Ÿ 수자원의 오염 또는 생산적이지
Ÿ 기온상승으로 인한 증발(손실)량 않은 경우, 물 채집을 위한 이동
증가 거리 증가
Ÿ 태풍 또는 홍수로 인한 비위생적
환경
자료: USAID(2014). Climate-resilient Development -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Climate Change.

□ USAID는 국가협력전략 수립 단계에서도 기후변화를 고려할 수 있도록 지침을


제시하고 있음.69)

- 이 지침은 ① 모든 USAID 활동과 ② 글로벌기후변화이니셔티브(GCCI: Global


Climate Change Initiative) 지원 활동으로 대상을 구분하여, 각 활동의 기후변
화 고려 방안 및 원칙 등을 나타냄.

- 이 지침에 따르면 USAID의 모든 현지사무소는 국가개발협력전략(CDCS: Country


Development Cooperation Strategy) 수립시 기후변화를 고려해야 하며,70) 다음의
질문을 통해 대상국이 기후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함.
ㅇ 질문 1: 기존의 전략계획 및 사업이 기후변화로 인해 영향(기온, 강수량, 태
풍빈도 등의 변화)을 받았는가? 이러한 사건이 특정한 지역 또는 인구를 대상
으로 하였는가? 기후변화가 해당국 지원사업의 목적, 개발 우선순위, 중장기
성과 등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69) USAID(2012a). CDCS Supplemental Guidance for Integrating Global Climate Change
(http://pdf.usaid.gov/pdf_docs/PBAAA925.pdf).
70) “All Missions are requited to fully consider climate change during the country-level strategic planning.”

- 80 -
ㅇ 질문 2: 기후변화가 해당국의 정부 발전전략, 활동, 우선순위, 국민들에 영향을
미치는가?

ㅇ 질문 3: 수원국 정부·비정부 활동을 통해 국가·지역·가정 단위의 기후복


원력 강화 가능성이 있는가? USAID의 활동목적, 보건, 교육, 인프라, 농업,
재해방지, 천연자원 관리, 경제성장, 거버넌스, 분쟁관리 등 활동의 어느 부
분에 기후변화 및 기후복원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가?

ㅇ 질문 4: USAID가 지원하는 개발 및 경제성장 활동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높


은 수준인가? 수원국의 정부, 민간부문, 시민사회의 개발 우선순위·투자 활
동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높은 수준인가?

- 국가개발협력전략 수립 지침이 제시한 10개의 기후변화 분석·전략사업계획


수립 원칙은 다음과 같음.
i) 기후복원력과 저탄소개발을 추구하는 정책개선에 투자
ii) 기후변화 거버넌스는 국가·지역 정부 차원의 대응과제이기도 하므로, 다양
한 정부 단위과 협력
iii) 기후변화 이슈 관련 모든 이해당사자와 협력하고 시민사회를 강화
iv) 협력국 정부와 국민의 우선순위, 수요, 역량에 대응
v) 민간부문의 투자를 최대한 동원
vi) 기타 공여국과 협력
vii) 기후변화 영향을 최소화하고 개발혜택을 최대화하는 결정을 선택
viii) 분쟁·갈등에 대응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방식을 추구
ix) 기후 사업 계획 또는 이행시 성평등 분석을 반드시 시행하고 여성과 청년
의 참여를 도모
x) 생태계 서비스와 지속가능한 자연경관 관리를 중요시

□ (기후위험 관리) USAID는 사업운영 지침에71) 부속지침을 추가하고,72) 2015년


10월부터 국가협력전략 및 사업 추진단계에서 기후위험 관리(CRM: climate
risk management)를 반드시 시행하도록 함.

71) USAID는 Operation Policy 또는 ADS(Automated Directives System)으로 불리는 운영지침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기관 활동을 운영하며, ADS는 USAID 조직과 기능(일련번호 100단위) 프로그램(200단위), 조달 및 협력(300단위),
인적자원(400단위), 경영(500단위), 예산운용(600단위) 등을 다룸. ADS Chapter 201은 사업 주기별 운영정책
(Program Cycle Operational Policy)을 포함하고 있음.
72) Climate Risk Management for USAID Projects and Activities, Climate Change in USAID Country/Regional
Strategies

- 81 -
- CRM의 목적은 USAID 활동을 보다 기후복원적으로 개선하는 동시에 기후 오
적응(maladaptation)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기후위험 관리를 평가와 대응의 두
과정으로 구분
ㅇ 평가과정은 ①도구와 범주 설정 ②기후위험 파악 ③적응가능 역량 파악 ④
위험요인 중요도 분석 ⑤기회요인 분석을 포함하며, 대응과정은 ⑥위험 관리
방안 파악 및 선정 ⑦후속단계 파악 ⑧(불가피한 경우) 위험 수용으로 구성

그림 4-5. USAID의 기후위험 관리 체계

자료: USAID(2017b). Climate Risk Management for USAID Projects and Activities: A
Mandatory Reference for ADS Chapter 201(revised), p. 7, USAID Climate Links 웹사
이트(https://www.climatelinks.org/resources/climate-risk-screening-management-tool,
접속일: 2017. 11. 3) 토대로 저자 작성.

□ (기후위험 평가) CRM의 첫 단계인 기후위험 평가(climate risk screening)는73)


기후위험, 즉 ‘변화하는 기후조건으로 인해 발생하는 잠재적 위험’을 △낮
음 △중간 △높음의 3단계로 구분

73) USAID(2017a). Climate Change in USAID Country/Regional Strategies: A Mandatory Reference for ADS
Chapter 201(Revised), p. 8; USAID(2017b). Climate Risk Management for USAID Projects and Activities: A
Mandatory Reference for ADS Chapter 201(revised), p. 8.

- 82 -
- 평가결과가 중간 또는 높음 수준인 경우, ①현재 단계에서 기후위험 관리방안
을 투입(사업인 경우 대상지역 수정 등)하거나, ②향후 단계에 적합한 기후위
험 관리방안을 파악·대응하도록74) 조치75)

- 반드시 파악된 기후위험과 이에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평가 보고서에 기록하도


록 하며, 예외적으로 기후위험을 감수하는 경우에는 이것이 개발목적의 달성
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기록하도록 함.

- USAID는 기후위험의 양적 평가가 어려움을 인정하고 따라서 기후위험의 평가


는 본부의 지침을 토대로 평가자의 기술적 판단(technical judgement)을 따르되
그 근거를 기록하도록 함.

글상자 4-1. USAID의 기후위험 기준

□ USAID의 기후위험 수준별 설명은 다음과 같음.

- 낮음: 부정적 영향의 심각성이 낮거나 심각성은 중간 수준일지라도 발생


가능성이 낮은 경우로, 기후위험이 사업의 목적·지속가능성·산출물 도
출에 미미한 영향을 미침.
ㅇ 예시: 대상 사업지역의 기온상승, 강수량 변동이 미미할 경우; 저조한
농작물 수확기에 제공된 원조가 반부패 활동 추구에 미미한 영향을 미
치는 경우 등)

- 중간: 부정적 영향의 심각성이 중간 수준이거나 심각성이 높더라도 발생


가능성이 낮은 경우로, 기후위험이 사업의 목적·지속가능성·산출물 도
출에 중간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경우
ㅇ 예시: 연안 수산업 관리 또는 식량안보 사업 대상지에 해수 온도 상승이
관찰되어 산호초와 어류 개체수의 감소가 발생하는 경우 등)

- 높음: 발생 가능성이 중간 또는 높은 수준임과 동시에 부정적 영향의 심


각성이 높은 경우로, 기후위험이 사업의 목적·지속가능성·산출물 도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

74) "... must be addressed ..."


75) USAID(2017b), p. 8.

- 83 -
ㅇ 예시: 연안 교통 인프라 구축 사업 대상지에서 해수면 상승과 태풍발생
빈도가 동반되는 경우 등

<기후위험 기준>
부정적 영향 발생 가능성
낮음← →높음
기후위험 낮음 기후위험 낮음 기후위험 낮음
낮 (발생 가능성 낮음, (발생 가능성 중간, (발생 가능성 높음,
음 심각성 낮음) 심각성 낮음) 심각성 낮음)
부정적 ↑ 기후위험 낮음 기후위험 중간 기후위험 중간
영향의 (발생 가능성 낮음, (발생 가능성 중간, (발생 가능성 높음,
심각성 ↓ 심각성 중간) 심각성 중간) 심각성 중간)
높 기후위험 중간 기후위험 높음 기후위험 높음
음 (발생 가능성 낮음, (발생 가능성 중간, (발생 가능성 높음,
심각성 높음) 심각성 높음) 심각성 높음)

자료: USAID(2017a, 2017b) 토대로 저자 작성.

□ (기후변화 적응 지침) 2007년 발간된 USAID의 기후변화 적응 지침은76) 기후변


화가 빈곤층에 보다 큰 피해를 주며 USAID의 국제지원 프레임워크77) 5개 영
역 모두에 영향을 미침을 강조

- 빈곤층은 주로 농업 또는 산림업 등 기후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경제활동에 종


사하므로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이나 자연재해는 이들의 경제기반에 지대
한 영향을 미침.

- 기후변화는 USAID의 모든 국제지원 활동(사업)에 영향을 미치므로, 모든 추진


활동에서 기후복원력을 고려할 때 수혜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고 간주함.

76) USAID(2007). Adapting to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A Guidance - Manual for Development Planning.
77) USAID의 국제지원 활동은 미 국무부가 제시한 국제지원 프레임워크(Foreign Assistance Framework)의 5개 영역에
대해 이루어지며 △ 평화와 안보 △ 정의롭고 민주적인 거버넌스 △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 △ 경제성장 △ 인도적
지원으로 구성됨. 2016년 4월, 미국의 ‘국제지원표준사업구조’는 △ 평화와 안보 △민주주의·인권·거버넌스 △ 보건
△ 교육과 사회 서비스 △경제성장 △인도적 지원 △ 프로그램 개발·관리의 7개 분야로 개편되었음.

- 84 -
표 4-7. USAID 사업영역과 기후변화 영향

영 역 기후변화 영향
극한 기후(가뭄, 홍수, 해수면 상승, 질병 확산)
평화와 안보
→ 평화와 안보 추구에 위협으로 작용
정의롭고 민주적인 극한 기후(가뭄, 홍수, 해수면 상승)
거버넌스 → 시민사회 강화와 소수집단의 거버넌스 참여에 제약으로 작용
극한 기후
→ 매개체전염질환, 사망위험 증가
식량생산 및 품질 감소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
→ 영양실조 증가
식수접근 제한
→ 비위생적 환경
기온상승, 전염병, 극한 기후
→ 농업생산성 저하
고온, 가뭄, 강수량 변화, 극한 기후
→ 산불 위험 증가, 생태다양성 손실, 해안생태계 피해
경제성장 기후 취약성 및 영향
→ 가내수입 감소, 부채 부담 증가, 해당 지역에 대한 직간접
투자 감소
고온, 강수량 감소, 냉방수요
→ 에너지 수요 증가, 수력발전 잠재력 저하
재해 증가
인도적 지원
→ 재해복구 비용 및 수요 증가, 재해관리 수요 급증
자료: USAID(2007). Adapting to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p. 5 토대로 저자 작성.

□ (적응사업 단계별 기후변화 고려) 기후변화 적응 지침은 USAID 사업의 구상과


이행 등 모든 과정에서 기후변화를 고려함으로써 기후변화가 수혜대상에게 미
치는 부정적 영향을 저감할 수 있도록 사업추진 과정과 부합하는 기후 취약성
평가 및 적응방안 접근법을 제시

- 사업추진의 최초 단계인 문제점 진단 단계에서부터 기후변화 취약성 존재여


부를 검토(1단계)하고, 사업 계획시 적응방안 파악(2단계), 분석 수행(3단계),
대응방안 마련(4단계), 사업 이행시 적응방안 이행(5단계), 사업 평가시 적응방
안의 평가(6단계)를 수행하는 방안 제시

- 기후 취약성평가·적응방안 접근법은 1단계, 즉 사업추진을 위한 문제점 진단


단계에서부터 연속적으로 적용되거나,78) 사업추진 절차별로 각기 적용될 수 있음.

- 85 -
그림 4-6. 사업단계별 기후 취약성평가·적응방안 및 활동예시

자료: USAID(2007). Adapting to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A Guidance - Manual for
Development Planning, pp. 6-7, 11 토대로 저자 작성.

3) 리우마커 활용현황

□ 2013년 DAC이 실시한 적응마커의 질적검토 결과,79) 미국은 8개 사업만 기후변


화 적응 마커를 표시한 것으로 나타남.

- CIF 프로그램의 일환인 기후 복원력을 위한 전략적 기후기금 파일럿 프로그램


기여금이 대표적인 주목적 기후변화 적응 사업에 해당

- 그 외 활동들 역시 적응 활동임을 명백히 기술하고 있음.


ㅇ “몰디브의 물 안보 및 기후 복원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등

78) USAID는 이를 가장 이상적인 방안으로 평가함.


79) OECD DAC(2013). “Climate Adaptation Marker: Quality Review”

- 86 -
- GEF LDCF와 SCCF 기여금은 실수로 2011년 양자 사업으로 기록되었으며, 기
후변화 적응 주목적 사업으로 표기됨.

- 부수적 목적의 사업은 해당사항 없음.

4) 지원사업 평가 사례

□ 미국은 규모와 영향력 측면에서 특히 기후변화 적응 분야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는 공여국이며 기후변화 통합, 즉 주류화 방안의 하나로 사업의 기후변화
통합 현황을 평가하는 접근법을 취함80)

□ (적응사업 사후평가) 2007년 기후변화 적응 지침서에서는81) USAID 활동에 기


후변화에 대한 고려를 포함하기 위한 과정 중 하나로, 사업이행 이후 최종 단
계로서 적응활동의 평가를 포함함.82)

- 평가의 목적은 특정 사업이 당초 의도한 성과를 도출하였는지, 사업으로 인해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는지 여부를 검토하는 것임.

ㅇ 계획대비 성과: 해당 사업이 즉각적인 혜택을 가져왔는지? 계획당시 어떠한


혜택을 예상하였는지?

ㅇ 부정적 영향: 해당 사업이 환경 등에 부정적 영향을 가져왔는지? 해결방안이


있는지? 계획당시 예상한 현상이었는지? 예상하지 못한 현상인 경우, 사업이
가져온 긍정적 영향과 비교할 때 보다 큰 가치는 어디에 있는지?

- 한편 이 지침서는 개별 사업 평가시 ① 해당 사업이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기


후 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활동이었던 경우, 즉 대응하고자 한 기후 재해의 발
생 빈도를 예측할 수 없는 경우 또는 ② 매우 장기적인 기후변화 대응활동인
경우 효과성 파악에 한계가 있음을 언급함.
ㅇ 그러한 특수한 경우에는 사업의 중·장기적 ‘효과성’ 평가 대신, 사업계획
대비 최종 생산된 산출물과 비용 투입 현황 등을 비교하는 ‘효율성’ 평가
를 수행하여 사업의 성과를 평가

80) 미국 USAID Development Experience Clearinghouse(http://dec.usaid.gov/).


81) USAID(2007). Adapting to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A Guidance - Manual for Development Planning.
82) USAID(2007), pp. 19-20.

- 87 -
□ (기후변화 성과프레임워크) USAID는 기후변화 성과프레임워크는 기후복원적
저탄소 개발을 목표로 설정하고, 3개 전략목표와 하위 중기목표로 구성(그림 4-5)

-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기후의 특성상 성과평가에 제약요인이 있음을 인지하고,


성과가 미흡한 경우 그 원인을 파악하는 데에 주의를 기울일 것, 그리고 기후
변화와 관련된 성과에는 다양한 외부요인이 작용할 수 있음을 강조

그림 4-7. USAID의 기후변화 관련 성과프레임워크

자료: USAID(2012a). CDCS Supplemental Guidance for Integrating Global Climate Change,
Annex I.

□ USAID는 미국 정부의 국제협력 분야 구분에 따라 표준지표를 구축하여 제시하


고 있으며, 기후변화 성과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성과평가를 수행할 때 평가
자의 판단에 따라 이를 활용할 수 있음.

- 미국 국제협력 분야 중, 기후변화와 유관한 분야는 ‘경제성장(EG: Economic


Growth)’ 분야의 △적응 △청정에너지 △지속가능한 자연경관이며, 해당 세
부분야의 표준지표는 [표 4-8]과 같음.

- 한편 표준지표의 적용과 표준 양식의 활용은 성과평가의 과정에 필수절차는


아니며, 평가자의 판단에 따라 사용되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함.

- 88 -
ㅇ USAID는 모든 사업이행부서가 표준지표에 따른 성과를 제시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표준지표가 모든 활동에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님을 명시83)

표 4-8. Global Climate Change 표준지표


EG 분류 지표 지표 대상구분
EG 11 기후변화 - 적응
미국 정부 지원으로 이루어진 기후변화 적응
11-1 연수/훈련 남/여
프로그램의 연수/훈련생 수
미국 정부 지원으로 기후변화 위험 평가 또는
11-2 조직 역량 중앙정부/지역정부/기타
대응 역량이 향상된 조직의 수
- 중앙정부(제안/도입/이행)
법적/정책적 미국 정부 지원으로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하여
11-3 - 지역정부(제안/도입/이행)
환경 제안/도입/이행된 법·정책·제도·표준 개수
- 권역·국제(제안/도입/이행)
미국 정부 지원으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 공공 재원(국내, 국제)
11-4 투자 조성
조성된 재원의 규모(USD) - 민간 재원(국내, 국제)
미국 정부 지원으로 기후변화 영향에 적응
11-5 적응 수혜자 남/여
할 수 있게 된 수혜자 수
미국 정부 지원으로 기후정보 활용 또는 기
11-6 적응 역량 후위험 감소활동을 추진하여 기후복원력을 남/여
개선하게 된 수혜자 수
EG 12 기후변화 - 청정에너지
미국 정부 지원으로 이루어진 청정에너지
12-1 연수/훈련 남/여
프로그램의 연수/훈련생 수
미국 정부 지원으로 청정에너지 관련 역량이
12-2 제도적 역량 중앙정부/지역정부/기타
향상된 조직의 수
- 중앙정부(제안/도입/이행)
법적/정책적 미국 정부 지원으로 청정에너지와 관련하여
12-3 - 지역정부(제안/도입/이행)
환경 제안/도입/이행된 법·정책·제도·표준 갯수
- 권역·국제(제안/도입/이행)
미국 정부 지원으로 청청에너지에 투자된 - 공공 재원(국내, 국제)
12-4 투자 조성
재원의 규모(USD) - 민간 재원(국내, 국제)
청정에너지 미국 정부 지원으로 재원조달(financial closure) 태양/풍력/수력/지열/바
12-5
발전(MWs) 이 완료된 청정에너지 발전 용량 이오매스·바이오연료/기타
미국 정부 지원으로 청정에너지 분야에서
12-6 GHG 배출량 (해당없음)
감축·흡수·방지된 온실가스 배출량

83) USAID(2016). Global Climate Change: Standard Indicator Summary Sheet.

- 89 -
EG 분류 지표 지표 대상구분
미국 정부 지원으로 이루어진 청정에너지
예측 배출 도입 ~2020 년 /2012~2025
12-7 관련 법·정책·제도·기술로 2030년까지 감축
감축량 년/ 2026~2030년
또는 방지된 온실가스 배출량(예상수치)
EG 7.1 현대식 에너지 접근 개선

청정에너지 미국 정부 지원으로 에너지서비스 개선의


7.1-1 남/여
수혜자 혜택을 받은 수혜자 수

EG 13 기후변화 – 지속가능한 자연경관


미국 정부 지원으로 이루어진 지속가능한
13-1 연수/훈련 남/여
자연경관 프로그램의 연수/훈련생 수

미국 정부 지원으로 지속가능한 자연경관


13-2 조직 역량 중앙정부/지역정부/기타
문제 대응 역량이 향상된 조직의 수

미국 정부 지원으로 지속가능한 자연경관과 - 중앙정부(제안/도입/이행)


법적/정책적
13-3 관련 하여제안/도입/이행된 법·정책·제도·표준 - 지역정부(제안/도입/이행)
환경
갯수 - 권역·국제(제안/도입/이행)

미국 정부 지원으로 지속가능한 자연경관을 - 공공 재원(국내, 국제)


13-4 투자 조성
위해 조성된 재원의 규모(USD) - 민간 재원(국내, 국제)

지속가능한 미국 정부 지원으로 이행된 지속가능한 자연


13-5 자 연 경 관 경관 활동을 통해 생활에 부수적 혜택(재정 남/여
수혜자 또는 비재정적)을 받게 된 수혜자 수

미국 정부 지원으로 지속가능한 자연경관


13-6 GHG 배출량 (해당없음)
분야에서 감축·흡수·방지된 온실가스 배출량

미국 정부 지원으로 이루어진 지속가능한


예측 배출 자연경관 관련 법·정책·제도·기술로 2030년 도입 ~2020 년 /2012~2025
13-7
감축량 까지 감축 또는 방지된 온실가스 배출량(예 년/ 2026~2030년
상수치)
자료: USAID(2016). Global Climate Change: Standard Indicator Summary Sheet.

□ (평가사례) USAID가 인도네시아 빈곤지역 공동체의 기후변화 재해 대응역량을


제고할 목적으로 지원한 ‘동부 인도네시아 기후변화 적응 활동’ 최종평가
보고서를 검토한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사업 목적) 인도네시아 고지대 공동체(upland communities in Nusa Tenggara)의


기후변화 대응역량을 제고하고 기후변화 재해 대응계획 수립 지원

- 90 -
① 기후변화와 재해에 대한 노출·취약성 저감, 공동체의 기후 복원력 강화
② 안전 및 기후 복원력 있는 사회문화 구축
③ 재해관리 및 기후 적응을 위한 정책·제도적 역량과 공감대 구축

- (사업 내용) 6개 구역 78개 마을, 4,000여명 주민을 대상으로, 현지 이행기구


(World Neighbors)를 통해 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해당 지역에서 기 추진되고
있는 토양 및 수자원 보전, 혼농임업, 적정 농업기술 및 분수계 관리 활동에
기여하고 ②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포럼을 통해 재해관리 계획 마련

- (평가 항목) 공동체의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항목


및 지표로 구성되었으며, 양적 지표와 질적 평가를 혼용함.
ㅇ 역량 제고 활동의 경우 양적 지표를 통한 질적 평가만으로 개선여부 확인에
한계가 있음을 반영함.
ㅇ 평가자는 사업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지표를 선택적으로 활용하거나 이를
토대로 개별적인 평가도구(evaluation tool)를 개발하여 사업의 효과성을 평가

표 4-9. USAID 인도네시아 기후대응 역량강화 사업 평가 구성

평가 평가 항목 평가도구
기준 (사업 요소) - 지표

기후변화와 재해 ‘기후적응방안’ 도구
에 대한 노출 및 - 생활환경, 농업, 토지이용, 보건 및 사회 활동, 수자원,
취약성 저감, 공 재난과 관련된 세부 평가항목 구성
동체의 기후 복 - 1(Yes) 또는 0(No)의 지수를 지역별로 합산하는 양적
원력 강화 지표와 현지조사를 통한 질적 평가를 혼용

안전 및 기후 복 ‘지역기구 역량’ 도구
효과성 원력 있는 사회 - 관련 평가질문을 제시하고 0~4점의 지수 마킹
문화 구축 - 양적 지표와 현지조사를 통한 질적 평가를 혼용

이해당사자 분석
재해관리 및 기후
- 지역적 범위, 조직역량, 예산, 인적자원 역량 등 ‘영향
적응을 위한 정책·
(influence)’ 요소와 참여의지, 정책적 지원, 의사소통 등
제도적 역량과 공
‘참여적(engagement)’ 요소를 분석(현지조사를 통한 질적
감대 구축
평가)
자료: USAID(2013). Final Evaluation Report - Adapting to Climate Change in Eastern
Indonesia, pp. 47-61 토대로 저자 작성.

- 91 -
2. 시사점

□ 파리협정 채택과 SDGs의 도입을 계기로 주요 공여국은 개발협력백서, 헌장,


대통령행정명령 등을 통해 기후변화 지원 정책을 수립·공표함.

- 기후 ODA 상위 공여국은 기후변화를 개도국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

- 원조 시행기관은 정부의 기후변화·국제개발협력 통합 정책에 부합하는 기관차원


의 전략을 세우고, 전략목표 달성 현황 모니터링과 기후재원 통계 수집을 위해
실용적인 리우마커 표기 가이드라인 및 기후재원 측정법 등을 구체화하였음.

-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있어서 기후변화 주류화 노력에는 원조기관 차원의 강력


한 이행 의지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전문가의 국제협상 참여 및 네트워크 활
성화를 통해 국내실정에 맞는 기술적 논의가 함께 발전해나갈 필요가 있음.

□ 주요국은 기후위험 인식을 기후변화 주류화 노력의 첫 단계로 보고, 설계단계


부터 지원사업의 기후위험을 식별하고, 필요한 경우 영향 평가를 실시, 적절한
위험관리 수단을 마련

□ 주요국 원조 실행기관은 기후변화 특화 성과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기후변화


대응 사업목표에 부합하는 평가지표를 활용, 해당 사업의 효과성과 영향력을
평가

- (미국) USAID는 구체적인 기후변화 대응 전략과84) 성과프레임워크를 토대로


최근 기후변화 표준지표(GCC Standard Indicator)를 구축하였으며,85) 기후 ODA
사업의 평가시 평가자의 재량에 따라 표준지표를 활용하도록 권장함.86)

84) USAID(2012). Climate Change & Development Strategy 2012-2016 (extended to September 2018).
85) USAID(2016). Global Climate Change: Standard Indicator Summary Sheet.
86) USAID는 평가자가 사업 설계시 제시된 성과 프레임워크를 근거로 방법론과 평가지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상
대적으로 유연한 평가방식을 가지고 있음.

- 92 -
표 4-10. 주요국의 기후변화·개발협력 전략

국가 차원의 기후변화를 어떻게 다루고


국가 실행기관 차원의 전략
전략 문서 있는지?

- 정책 우선순위에 기후변화를
개발협력헌장 JICA 기후변화협력전략
일본 포함하고 실행원칙으로 기후
(2015) (2016)
변화 영향을 고려함.

- 지속가능한 저탄소개발이 주요
분야 중 하나로 포함. GIZ는 모든 개발협력사업
개발정책백서
독일 - 기후재원 제공, 리스크 관리, NDCs, 에 대한 기후확인(‘climate
(2013)
재생에너지를 개발협력 활동 우선 check’) 제도 운영
순위 명시

AFD는 ‘2012~2016 기후와


개발협력:
- 6대 정책일관성 우선순위 과제로 개발 사업 프레임워크를
프랑스 프랑스의 비전
기후변화가 포함됨. 수립하고, 원칙, 우선순위
(2011~2020)
전략, 행동계획 제시

DFID는 기후변화 위험 및
기회요인을 규명하고 전략적
- 원조전략에서 기후변화 적응 및
UK Aid(2015) 으로 검토하는 ‘ORCHID’
영국 감축을 통한 ‘복원력과 위기
원조 전략문서 제도 실시함. 또한 포트폴
대응 강화’를 달성목표로 설정
리오에 기후스마트 접근법
적용

대통령 - 기후복원력을 모든 대외원조


USAID 기후변화 개발 전
행정명령(2014) 활동에 통합
미국 략서 상 기후변화 전략목표
외교개발활동 - 4대 전략분야 중 하나로 기후
설정
지침(2015) 변화 대응 포함.

자료: 저자 작성.

- 93 -
제5장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주류화 현황 및 과제

1. 국제개발협력 전략과 기후변화

□ 우리나라는 기후변화 별도의 전략 또는 정책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국제개발


협력에 관한 국가차원의 최상위 문서인 국제개발협력 기본법에서도 정책 우선
순위 또는 중점 지원분야로서 기후변화가 명시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음.

- 그러나 기본법은 국제개발협력의 목표 중 하나로 ‘범지구적 문제 해결에 대


한 기여’를 제시하고 있는데, 기후변화는 범지구적 문제로 인식될 수 있으므
로, 기후변화 관련 지원은 우리나라의 국제개발협력의 목표에 간접적으로 부
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글상자 5-1. 국제개발협력 기본법의 기후변화 관련 내용

□ 국제개발협력기본법(국제개발협력법)
제3조(기본정신 및 목표) ① 국제개발협력은 개발도상국의 빈곤감소, 여성·아
동·장애인의 인권향상, 성평등 실현, 지속가능한 발전 및 인도주의를 실현하
고 협력대상국과의 경제협력관계를 증진하며 국제사회의 평화와 번영을 추
구하는 것을 기본정신으로 한다. <개정 2013.7.16.>
② 국제개발협력은 제1항의 기본정신을 추구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
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 개발도상국의 빈곤감소 및 삶의 질 향상
2. 개발도상국의 발전 및 이를 위한 제반 제도·조건의 개선
3. 개발도상국과의 우호협력관계 및 상호교류 증진
4. 국제개발협력과 관련된 범지구적 문제 해결에 대한 기여
5. 그 밖에 제1항의 기본정신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

□ 우리나라 국제개발협력의 중기 전략 성격인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2016~20)은


국제환경의 변화와 2030 개발의제 채택 및 기후변화 등 새로운 도전과제에 대응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

- 94 -
- 기본계획의 비전을 ‘인류의 공동번영과 세계평화에 기여’로 제시하고,
‘SDGs 이행목표 달성 기여’를 국제개발협력의 목표로 설정하였음.
ㅇ 기후변화는 SDGs의 13번 목표에 해당되며, 타 세부목표의 기후변화 연관성
이 존재하므로, 기후변화 관련 지원은 우리나라 국제개발협력의 중기 목표
에 일부 해당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기본계획은 이러한 비전 달성을 위한 실질적인 수단인 재원에 대한 배분방향


을 수립하고, 경제인프라, 환경 분야 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등 SDGs 방
향에 부합하는 재원배분 방향을 제시하였음.87)

- 기본계획의 3대 원칙은 ‘통합적인 ODA’, ‘내실있는 ODA’, ‘함께하는


ODA’으로 기후변화는 내실있는 ODA 원칙 이행을 위한 추진과제에서 언급
되어 있음.88)
ㅇ 사업절차 개선 중 현장 중심의 사업 발굴 강화 차원에서, 기후변화는 현장경
험 및 전문성이 풍부한 국제기구, 타 공여국과 공동으로 사업 발굴시 우선
협력분야로 선정됨.

□ 연간 계획인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을 살펴보면, 2017년에는 ODA사업 영


역 및 지평 확대 차원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지원하기로 함.

- 2017년 계획의 7대 주요 과제* 중 하나인 ‘다양한 ODA 사업 신규 발굴 및 추


진’ 차원으로 이행
* ① 개발협력 구상의 차질 없는 추진, ② 다자전략에 기반한 전략적 지원, ③ 다양한
ODA 사업 신규 발굴 및 추진, ④ ODA 평가 제도 개선, ⑤ 협업 및 정보공개 강화,
⑥ 범국민 참여 증진을 위한 홍보 강화, ⑦ 국제적 위상 제고
□ 새정부 출범과 동시에 수립된 2018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은 개도국의
SDGs 이행 지원을 주요 과제로 제시하고, ODA 예산을 관련 분야 지원에 집중
배분하기로 함.

- 국제개발협력의 추진방향으로서 ‘SDGs 이행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원칙있는


ODA’를 제시하고 전체 ODA의 72%인 약 1조8,985억 원을 배분하기로 함.89)

87) 제2차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 p. 41.


88) 제2차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 p. 58.
89) 2017년과 2018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에 포함된 부처별 기후변화 관련 사업 리스트는 [부표 4-1], [부표
4-2] 참고

- 95 -
2. ODA 실행기관의 기후변화 지원전략 및 사업성과

가. 한국국제협력단
1) 지원전략

□ 우리나라 무상 증여 전담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국가 차원의 녹색성


장 강조 추세와 그에 따른 녹색 ODA 확대 기조와 더불어 ‘KOICA 환경 주류
화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환경 주류화 개념을 KOICA 조직 및 제도, 사업
수행절차 차원에서 구체화하였음.

- 2012년에 발표된 가이드라인은 국별 전략수립을 포함, 사업발굴 단계에서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환경 주류화를 위한 도구를 제시하고 있음.

- 환경영향평가(EIA: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가 주요한 도구로 활용되


며, 동 가이드라인에 따른 환경 주류화의 의미는 ODA 사업으로 인해 발생가
능한 부정적인 환경적 영향의 최소화로 볼 수 있음.

그림 5-1. KOICA 환경 주류화 도구

자료: 임소영·손혁수(2012). KOICA 환경주류화 가이드라인.

- 96 -
□ 최근 KOICA는 분야별 중기전략(2016~20)을 발표하였는데, 기후변화는 10대 분야
중 하나로 포함되어 있음.

- 개도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비전 하에 ① 기후변화 대응을 통한 지속


가능한 발전 도모, ② 기후변화 대응 역량강화, ③ 재정 메커니즘을 통한 기후
재원 접근성 제고의 전략 목표를 제시

- 새로운 전략은 기후변화 관련 사업 발굴,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 역량강화 및


기후재원에 대한 접근성 제고 등 기후변화 관련 사업의 확대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반면, 기후위험에 대한 고려는 포함되어 있지 않음.

표 5-1. KOICA 기후변화 대응 중기전략(2016-2020)

자료: KOICA 기후변화 대응 중기전략 2016-2020.

2) 주요 사업 및 평가결과

□ 사후평가가 수행된 KOICA 사업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기후변화 관련 지원사업


의 성과를 파악가능할 것임.

- 97 -
- 본 연구에서는 리우마커(감축 또는 적응 마커)가 표기된 사업 중 사후 평가가
진행된 사업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함.

- 대상사업은 2007년 이후 추진된 사업 중 선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음.


ㅇ 우리나라는 감축마커는 2007년, 적응마커는 2010년부터 보고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2007년 이전(특히 적응사업은 2010년 이전) 사업은 기후변화 관련성
을 파악할 수 없음.

표 5-2. 사후평가가 진행된 KOICA 기후변화 관련 지원사업(최근 3년)

규모 리우마커
평가
사업명 사업기간 (백만
연도 감축 적응
달러)

세네갈 식수개발사업 0 1
몽골 울란바타르시 야르막지역 용수공급 및
2010-2014 22.6 1 2
수자원이용 효율화 사업
2015 방글라데시 태양광 관개펌프 및 홈시스템 지
2010-2012 2.5 2 0
원사업

몽골 울란바타르시 도시폐기물 재활용시설


2009-2011 3.5 0 0
건립사업

필리핀 재해방지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사업 2007-2012 5 0 2

동티모르 태양광을 이용한 담수생산 및 공급


2010-2012 6 1 1
사업

캄보디아 독립형 태양광 발전소 건립사업 2009-2011 2.2 2 0


2014
스리랑카 발라체나이지역 홍수피해 방지를
2006-2008 3.9 - -
위한 배수시설 설치사업

스리랑카 500kw급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


2010-2012 3 0 0
사업

몽골 울란바타르시 대기오염저감을 위한 난
2008-2009 0.7 2 0
방문화개선 시범사업

우즈베키스탄 호레즘주 열공급시스템 개선


2013 3.5 2 0
사업 사후평가 보고서(국별평가)

WHO 기후변화에 따른 매개모기질병 발생방


2011-2012 1.2 - -
지를 위한 보건사업 공동평가(형태별 평가)
자료: 한국국제협력단(KOICA) 평가연보를 활용하여 저자 작성

- 98 -
□ 필리핀 재해방지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사업(적응마커 2점 사업)

- 동 사업은 기후변화와 밀접한 자연재해에 대응하는 수원국의 역량 강화가 주목적임.


ㅇ 1차 사업목표(2008~09): 자연재해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을 통한 필리핀 기상
관측분야 역량강화 및 태풍 등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 예방

- (평가항목) 사업 수행으로 나타난 수원대상(지역주민 및 정부)의 단기 및 중장


기 기후변화 대응역량 강화 여부를 포함하고 있음.
ㅇ 단기(효과성): 관측소·경보시스템 등 산출물 달성 여부, 대피시간 단축 여부
ㅇ 중장기(영향력): 지역주민 및 정부 등 수원대상의 역량 강화 여부

- 2010년 시작된 2차 사업부터는 기획 및 개시 단계에서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


한 사업디자인매트릭스(project design matrix)를 구성하여 사업 추진 및 성과
모니터링에 활용한 것이 특징임.
ㅇ 사업목표로 ‘재해관측 및 경보 시스템 구축을 통한 재난대응능력 향상’과
‘방재업무 표준화를 통한 업무 효율성 제고’를 설정 → 수원국의 기후변
화 대응 역량강화 포함

ㅇ 평가지표로 재해발생 전 대피 여유시간, 강수강우관측의 정확도 및 홍수예보


정확도 향상 등, 측정이 가능하고 객관적인 지표를 설정 → 기후변화 적응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를 설정

표 5-3. 필리핀 재해방지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사업 평가 항목 및 지표

평가
성과평가 항목 평가질문 평가지표
기준

· 세부산출목표(Output)는 계획대비 달성
산출물의 달성도 목표달성 기여도
되었는가?

1차 사업 시스 · 시스템유지관리는 적절히 진행되어 효과가


유지관리체계
템의 유지관리 시현되었는가?
효과성
· 대피시간은 사업추진이전대비 향상되었는가?
· 효과성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설문반응은 대피시간, 사업목
사업목표 달성도
어떠한가? 표 비교
· 초기사업목표실현과 효과가 정착되었는가?

- 99 -
평가
성과평가 항목 평가질문 평가지표
기준

홍수범람지역 · 지역주민의 홍수피해에 대한 대응태세에 주정부 공무원


주민에 대한 영향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가? 지역주민

· 필리핀 기상청의 홍수예경보능력은 향상


필리핀 홍수예 조기경보분야 제
되었는가?
경보 기술 수준에 도개선 · 역량강화
· 필리핀 타유역에 대한 홍수예경보시스템
영향력 대한 영향 구축에 영향을 주었는가?
효과

· 예경보시스템 운영과 관련된 워크샵, 초


PAGASA 및 지방
청연수로 인하여 업무발전에 긍정적으로
정부 방재담당
작용하고 있는가?
공무원 역량에
· 담당 공무원의 홍수예경보업무에 대한
대한 영향
전문성을 향상되었는가?

자료: KOICA(2014). 필리핀 재해방지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사업 사후평가 보고서, p. 23.

□ 우즈베키스탄 열공급시스템 개선 사업(감축마커 2점 사업)

- 동 사업은 노후화된 열공급 설비를 개선하여, 저렴하고 풍부한 열에너지 생산


및 공급으로 주민생활편익 증진을 목표로 하며, 혹한지역의 난방 및 열효율을
개선하여 화석연료의 소비를 저감하려는 취지의 사업으로 볼 수 있음.

- (평가항목) 온실가스 감축과 유관한 물리적인 성과물, 즉 개선된 난방설비 보급


현황(보급 대수, 소비량 및 연료비 감소 등)과 수원국 현지의 난방 및 열효율
정책·제도의 수립여부를 일부 포함

- (문제점) 제시된 평가요소 및 지표는 효율이 개선된 난방설비 보급을 통해 온실


가스가 감축되었거나, 수원국의 장기적인 기후변화 대응 역량이 개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에 불충분함.
ㅇ 온실가스 감축이 주목적인 사업으로 보고되었으나 사업수행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여부 및 감축량 등 측정가능한 평가 항목 및 지표를 설정하지 않음.

ㅇ 동 사업은 2010년 이전 이행이 완료된 건으로서 사업의 기획 및 개시 단계


에서 기후변화가 고려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목표 및 지표가 기후변화 영향
을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됨.

- 100 -
ㅇ 사후평가 보고서에서는 사업의 설계시 성과체인 및 PDM이 작성되지 않은
것이 지적되었음.90)

표 5-4. 우즈베키스탄 열공급시스템 개선 사업 평가 항목 및 지표

평가 성과
성과평가 항목 성과지표
기준 수준
열공급 비용감소 지역난방시스템 실제 소요예산 및 가구당 난방비
단 열효율 향상 열효율

성 열공급 서비스 현황 데이터(실공급량 및 소비량 여부)
효과성 과
사용자 만족도

출 안정적인 열공급 중단율
물 안정적인 온도 및 압력(목표치)
용수 공급시스템 사용자 수
사업지역 주민 자체평가(인식도)
주민생활 개선
생활향상
질병감소 동절기 질병관리 통계(발병률, 사망률)

기 자원절약 지역 열공급 비용감소, 가구당 난방비 감소

과 지역난방시설의 효율적인 유지관리 현황
· 서비스 중지 회수
관련기술 전수
· 예상 유지관리비 초과여부
· 제반 문제점과 해결여부 및 과정

사업지역 주민자체평가(인식도)
삶의 질 향상
생활 향상(난방비 감소에 따른)
영향력 주민건강증진 동절기 질병관련 통계(발병률, 사망률)
인구증가 사업지역인구증가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지역 경제지표(소득, 총생산)

기 산업기술발달 신종산업기술 기반 생상통합

과 지역사회 기타효과 만족도
고용 직간접 고용효과

지역경제생산
· 유형별 등록사업자 수, 세수 혹은 매출
경제개발효과
· (생산 GDP) 산업별, 지역별
· (소득)가구당, 개인당

자료: KOICA(2013). 우즈베키스탄 호레즘주 열공급시스템 개선 사업 사후평가 보고서, p. 33.

90) KOICA(2013). 우즈베키스탄 호레즘주 열공급시스템 개선 사업 사후평가 보고서, p. 45.

- 101 -
나. 한국수출입은행(EDCF)
□ EDCF는 중기운용계획(2008~2012)에서 기후변화를 최우선 지원분야로 선정하였
으며, 2013년에는 자체평가 이행과제로 ‘기후변화 및 환경영향을 반영한 사업
발굴’을 설정하고, 2014년 12월까지 이행 완료하였음(22차 평가소위 안건).

- 이를 통해 ‘베트남 기후변화 대응 프로그램’, ‘베트남 짜빈 상수도 건설사업’의


두 건의 사업이 발굴 및 승인됨.

□ 베트남 기후변화 대응 프로그램(6천만 달러)

- (목적) 기후변화대응 국가목표프로그램(NTP-RCC: National Target Program to


Respond to Climate Change)에 따른 베트남의 기후변화 정책 및 전략 개발과 실
행을 지원

- (주요 내용) 베트남 정부 주도로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수립하고, 6Banks 정례


협의 등을 통해 원조 공여기관이 비교우위 분야에 특화 지원91)

□ 베트남 짜빈 상수도 건설사업

- (추진배경) 베트남 정부는 ‘Socio-Economic Development Plan 2011~2015’를 통해


폐기물 처리 시스템 확충, 상하수도 시설 확대 계획을 수립하였음.

- (사업목적) 짜빈시의 정수장, 배수관망 등 상수도 시설의 확충을 통해 지역에


필요한 생활용수 및 산업용수를 공급함으로써 주민들의 보건위생 및 삶의 질
개선을 도모하고 지역균형발전 및 산업발전 촉진에 기여

□ EDCF는 현재 수립 중인 중기운용계획(2018~2020)에도 기후변화 대응을 최우선


지원분야로 지정하고 있으며, 2018년 중 관련 사업 확대 전략을 수립할 계획임.

- 세부 사업분야: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소수력, 바이오), 에너지효율화(송변전,


스마트그리드), 수송(고속철, 메트로, 전기차, CNG 버스, BRT), 상하수도 및 폐수
처리, 폐기물 처리 및 자원화

91) 국무조정실(2017). 2017 대한민국 ODA 백서.

- 102 -
- 상기 분야의 사업에 대해서는 금리 우대 등을 통해 우선적으로 지원하며, 국별
사업발굴 미션 시, 수원국에 우대 조건을 안내하여 관련 분야 사업발굴 촉진
노력

□ EDCF는 환경사회 세이프가드 제도를 운영 중이나, 기후변화 영향을 특별히


고려하지는 않음.

- 수원국이 기입한 환경사회적 영향에 관한 스크리닝 양식 및 체크리스트를 기


초로 EDCF는 프로젝트 스크리닝을 거치고 환경사회위험 등급(부정적 영향의
수준)에 따라 환경사회영향평가(ESIA: Environmental and Social Impact
Assessment) 또는 초기환경사회검토(IESE: Initial Environmental and Social
Examination) 수행

표 5-5. EDCF 온실가스 배출 관련 환경평가 체크리스트

적용여부
항목 비고
예 아니오
CDM 및 JI와 같은 탄소금융이 고려되었는지?

에너지효율성이 증진되었는가?

온실가스 흡수 및 저장소가 보전 또는 강화되는가?

지속가능한 농업 및 산림 경영이 촉진되는가?

재생에너지 사용이 촉진되는가?

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이 활용되는가?
메탄배출량을 감축하거나 폐기물관리 및 에너지 발전 및 송
배전, 폐기물 관리에서 회수기법(recovery method)이 사용되
는가?
자료: 한국수출입은행(2016). EDCF 세이프가드 핸드북, p. 59.

- 103 -
3. ODA사업의 기후변화 주류화 애로 요인

가. 주류화 노력
□ ODA에서 기후변화를 주류화하기 위해서는 ODA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기관 간 공감대 형성이 우선되어야 함.

□ 과거 KOICA에서는 전략 기획 단계부터 평가까지 기후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요


소를 개발하는 자체적 시도가 있었으며, 주류화(녹색화)를 위한 노력이 있었음.

□ KOICA는 최근 수립한 분야별 중기전략(2016-20)을 통해 기후변화를 주류화하기


위해 노력 중임.

- 교육, 보건 등 다른 분야의 사업에 적절한 요소(component)를 넣음으로써 부수적


목적(significant)의 기후변화 주류화를 증대시키려는 목적

– 이 전략은 한정된 KOICA의 재원을 가지고 기후사업을 다른 분야와 경쟁 하지


않고 조화롭게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임.

□ 사업 기획 단계에서 정책 및 기술적 요소를 적절히 포함시켜 추가 예산에 대


한 부담 없이 기후 목적을 명시하는 것이 주류화의 핵심이며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함.

- 또한 사업담당자의 기후변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약 30개의 마커에 대한 지


식 및 상당한 아이디어가 필요함. 또한 기본 지식 뿐 아니라 구체적인 적용 방
법까지 제시할 수 있는 역량 필요

- 주류화는 부분전략에 기후 요소를 고려하도록 하고 정책이 기획 단계에서부터


검토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

나. 리우마커 한계 및 활용 실태
□ 기후변화 대응 사업의 정의가 불분명 하며(특히, 적응사업), 담당자의 자의적인
판단에 따라 마킹 여부가 상이할 수 있음.

- 104 -
- DAC 지침에 한계가 있고 환경 관련 부처나 기관도 리우마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음.

□ KOICA의 경우, 리우마커 업무만 담당하는 직원이 있고 DAC 통계 작업반에도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어 마커에 대한 인식이나 지식이 부족하다고는 볼 수
없음.

- 다만 마킹의 적절성과 관련, 지역팀 사업 담당자들이 모든 마킹을 한 뒤 통계


담당팀으로 넘어가는데 통계담당관은 기후분야 전문성이 없어 내용의 적합성
여부에 대한 고려가 불가하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

- 이후 섹터팀의 검토를 거치지만 수천 개 사업의 내용까지 다 볼 수 없고 제목만


보고 판단하기 때문에 정확성 결여

- 따라서 이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적인 장치가 필요(예: 최종보고 이전


에 환경 전문가의 리뷰를 거치게 하는 등).

□ 리우마커 문제는 주류화 문제와 연결되는데 리우마커는 정량화를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업의 금액과 기후 관련 세부내용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고
관련 정책도 부재

– 마킹의 기준은 기획단계 정책문서에 기후변화에 대한 내용이 정확히 언급되어


야 하는 것인데 이에 대한 정책이 따로 없어 기후변화 요소 명시의 동기와 의
무성이 낮음.

- 이를 보완하기 위해 환경 담당관 제도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사업 촉진 활동을


하지만 성공적이지 못함.

다. 기후관련 지원 확대
□ 리우마커에 따른 기후 ODA 규모가 낮은 근본적인 이유는 기후변화 관련 사
업 발굴 실적인 저조하기 때문임.

- 기후변화가 기관이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이슈가 아닌 상황에서 사업 담당자가


기후변화를 특별히 고려할 인센티브가 없음.

- 105 -
- 수원국 요청에 따른 ODA 추진방식 역시 기후변화 관련 사업을 발굴하는 데
제약요인으로 작용
ㅇ 수원국 입장에서는 공여기관이 기후변화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사업을 제안
하지 않는 한, 기후변화가 긴급한 국가개발 우선순위에서 후순위임.

□ 범부처 차원에서 기후사업을 조정하는 협의체를 구성하여 사업을 조정하고 관


리하는 역할이 필요

4. 개선과제

□ 우리나라는 국제개발협력에 관한 최상위 전략 또는 정책문서에서 기후변화를


명시적으로 강조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기후변화 주류화를 추구하는 데 있어
근본적인 장애요인으로 볼 수 있음.

- 본 보고서 4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주요국은 파리협정 채택과 2030 개발의


제 채택을 계기로 개발협력헌장, 개발협력백서, 대통령행정명령 등을 통해 국
제개발협력의 최고의사결정 수준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과 의지를 표명

□ 범부처 차원의 기후변화를 고려한 ODA 정책 방향을 마련하고, ODA 실행기관


이 사업발굴부터 프로젝트 전 주기에 걸쳐 수원국에 미치는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도록 기후 주류화 인지제고 및 공감대 형성이 시급

- 국가차원에서 녹색성장을 추진했던 시기에는 중기 전략 및 실행기관의 전략 상


기후변화 대응이 강조된 적이 있으나, 현재는 기후변화 대응은 개도국 SDGs
이행 지원 차원에서 포괄적으로 접근 중

- 이러한 가운데 원조 실행기관 차원에서 기후변화 대응 중기전략을 발표하고 기


후변화를 고려한 사업을 발굴을 추진하려는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

- 주요국 및 국제기구가 본격적으로 실행 중인 기후위험 스크리닝 방식을 도입


하고, 지원 사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감축량,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을 고려
하는 것에 대한 관계기관 협의 실시

- 106 -
□ ODA사업의 기후변화 주류화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활용되는 리우마커에 대한
이해 수준이 실행기관별로 상이하므로 리우마커 활용 제고를 위한 대책을 마
련할 필요

- 리우마커 통계 수치는 각국의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 지원 노력을 파악하고 상


호비교하는 데 활용됨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의 관심과 지원현황이 제대로 반
영되도록 리우마커 표기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

□ 장기적으로는 기후 ODA의 양적 확대뿐만 아니라 지원 사업의 효과성 및 영향


력을 고려할 필요

- 사업 설계 단계부터 기후변화 요소를 고려한 PDM을 작성하고, 사업 이행 모


니터링 및 성과 평가를 위한 성과관리프레임워크를 마련, 우리나라가 지원한
기후 ODA 사업을 제대로 평가하고 결과를 환류하여 기후 ODA 사업의 질적
제고에 기여

- 107 -
제6장 ODA 사업의 기후변화 주류화 개선방안

1. 기본 방향

가. 주류화 노력의 당위성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현상이 심화되고, 개도국은 특히 기후변화 악영향에
취약함.

- 세계은행은 향후 15년간 기후변화로 인해 1억 명의 인구가 빈곤상태로 돌아


갈 수 있다고 예측92)

□ 1992년 채택된 유엔기후변화협약은 공통의 그러나 차별적 책임, 형평성의 기본


원칙에 따라 선진 당사국은 개도국을 지원해야 한다고 명시하였음.

- 기후변화 대응이 중요하나, 개도국의 지속가능발전이 최우선순위라는 점을 강조

- 2015년 파리 당사국총회(COP21)에서는 기존의 당사국간 합의사항인 2020년까


지 연간 1,000억 달러 규모의 기후재원 조성 목표를 재명시하고, 2025년까지
목표 상향을 위한 논의를 지속할 것임을 합의

□ 글로벌 개발목표인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는 기존 목표인 새천년개발목표


(MDGs)와 달리 기후변화를 독립적인 세부목표로 설정하였으며, 타 분야별 세
부목표 달성에 있어 기후변화 영향이 불가피

□ 우리나라는 DAC 회원국이자 국제사회에서 선진국과 개도국을 잇는 중견국으로서


글로벌 도전과제 해결을 통한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적극 대응할 필요

□ 그동안 국제무대에서 개도국의 기후변화 문제에 지속적인 관심을 표명했으며,


유엔 기후변화 협상에 활발히 참여하며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을 유치하는
데 성공하였음.

92) Hallegatte et al.(2016), Ch.6.

- 108 -
□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 시행계획에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국제개발협력의 정책 우선순위로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기후 ODA 사업 규모는 저조한 상황

- 리우마커로 측정된 기후변화 관련 지원 규모는 2014~15년 평균 1억8,350만 달


러로 DAC 회원국 중 15위이며, 양자 ODA 중 지원비중은 8%로 DAC 평균인
19.7%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

- 실행기관 차원에서 KOICA는 최근 분야별 중기전략(2016-2020)을 발표하고, 기


후변화 대응을 독립적인 분야로 다루고 있음.

나. 주류화 실행방안
1) 국제개발협력의 정책 우선순위에 기후변화를 포함(장기)

□ 국가 차원의 기후변화 관련 세부 정책 및 전략이 부재한 가운데 ODA 실행기


관이 기후변화 관련 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거나, ODA 사업 추진시 기후변
화 요소를 추가적으로 고려하기는 어려운 상황

-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 상 정책 우선순위(또는 전략적 목표, 중점 추진분야)에


기후변화가 포함되어야 실행기관의 전략에도 반영 가능

- 실행 원칙에 모든 ODA 사업은 기후변화 위험, 취약성,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포함

ㅇ 사업 발굴 단계에서부터 기후변화 위험 및 취약성 평가를 의무적으로 실시


하기 위한 기후위험 관리시스템을 도입하고, 사업 종료 이후, 해당 사업의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을 검증하도록 성과프레임워크 마련

2) 기후 위험 체크리스트 도입(중기)

□ 선진 공여기관들은 기후변화 전략을 마련하고, 기후 위험 평가제도를 도입하고 있음.

- 현재 우리나라는 SDGs 이행목표 달성을 국제개발협력의 기본 방향으로 설정


하였고, 비교우위가 있는 산업화, 교육, 보건, 물과 위생, 기아와 농업에 집중
배분하기로 함.

- 109 -
- 상기 분야는 기후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분야이므로, 관련 사업을 진행할
때 기후위험을 고려할 필요

□ 기후위험 관리시스템을 본격적으로 도입하기에 앞서 기후변화 체크리스트 제


도를 도입하여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는 한편,
선진 공여기관과 같이 기후 위험 및 취약성 분석의 예비 단계로 활용

- 도입 첫 해에는 체크리스트 결과를 수집, 우리나라 ODA 사업 전반의 기후위


험 노출 정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임.

- 기후위험 체크리스트를 보완하면서 기후위험이 파악된 사업의 경우, 다음 단계


인 기후 위험 및 취약성 분석 실시 방안을 동시에 모색해야 할 것임.

ㅇ 선진 공여기관의 경우, 기후위험 스크리닝 이후 기후 위험 및 취약성 분석은


전문가를 활용하여 실시

ㅇ KOICA 및 EDCF의 환경 전문가와 협의하여 기후 위험 및 취약성 분석 도


입 방안에 대해 논의 진행

□ 기후위험 체크리스트(안)

¤ 사업 대상 지역의 기상과 환경이 지난 5년 동안 직전 10년 전에 비해 어떻게


변화하였습니까? 해당 칸에 표시하시오.

짧아짐 변화 없음 길어짐 잘 모름 기타

건기

우기

기온

폭풍 및 강풍

강우량

기타 기상이변

- 110 -
¤ 사업 대상 지역에서 기후변화가 어떤 그리고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까?
해당 칸에 표시하시오.

다소 영향을 매우 큰
변화 없음 잘 모름 기타
미침 영향을 미침

홍수(내륙)

높은 파도로 인한
해안지역 홍수

건기에 염수 침투

가뭄

3) 기후변화 대응 지원에 대한 전 정부 차원의 인식 제고 노력(단기, 즉시)

□ ODA 실행 기관을 대상으로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 지원 확대 필요성에 대한


교육 실시

- 기후변화 지원의 필요성 및 규모 확대에 대한 전 정부 차원의 공감대 형성이


우선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음.

- 국조실 주관 ODA 합동워크샵, ODA 통계 모니터링 설명회 등을 활용, 기후변


화 대응에 관한 국제적인 논의동향, 국제사회의 지원 노력, 우리나라가 참여해
야 하는 당위성(중견국으로서 역할, SDGs 이행, GCF 유치국 등)을 설득

- 파리협정 이행 노력으로 국제사회는 기후재원 통계의 일관성과 투명성 제고


작업을 추진 중인 가운데, 리우마커 시스템이 활용될 것임.

- 우리나라는 유엔기후변화협약 상 Annex II 국가는 아니지만, DAC 회원국으로


서 DAC이 정한 정책마커 통계 수집에 충실히 대응할 필요가 있음.

- 실행기관 간담회 결과, 리우마커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리우마커를 인지한


경우에도, 지침이 모호하고 구체적이지 않아, 개별 사업에 리우마커 적용이 어
렵다는 점이 제기되었음.

- 111 -
표 6-1. ODA 사업의 기후변화 주류화 방안

기간 시기 실행 계획 비 고
Ÿ 기후변화를 전략적
목표, 정책 우선순
Ÿ 3차 계획 수립 시점까지
위(또는 전략적 목
전 정부 공감대 형성, 정
제3차 기본계획 수립 표, 중점 분야)의 하
장기 책 우선순위로 추진
시점 나로 포함
Ÿ 기후위험 관리시스템, 성
Ÿ 사업 실행원칙에 기
과관리메커니즘 구축
후변화 영향 고려를
포함
Ÿ 2019년 사업에 대해 기후
위험 체크리스트 도입
(사업담당자에 적용)
Ÿ 유관기관 전문관과 협의,
2020년 종합시행계획에 기후위험 평가 제도
중기 기후 위험 및 취약성 평
포함 (체크리스트) 도입
가 도입방안 마련
Ÿ 2020년 종합시행계획에
관련 분야(예: 물 관리)에
대해 파일럿 시도

인식제고 교육 2018년 ODA 합동 워크샵에서


단기 즉시
리우마커 활용 지침 소개 실행

2. 리우마커 활용 지침

□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가 발표한 리우마커 개정지침을 바탕으로 국문으


로 작성된 ‘리우마커 활용지침’을 ODA 사업담당자들에게 제공

- DAC의 지침 분량이 방대하고 영문으로 작성되어 있어 사업담당자들이 그 내


용을 확인하고 담당사업의 리우마커 점수를 기입하는 데 활용하기에 쉽지 않음.

- DAC 지침뿐만 아니라 MDB 공동으로 개발된 지침이 예시로 제시한 사업들을
참고, 우리나라 ODA 사업과 관련성이 높은 사업들에 대한 예시 사업을 함께
제시한 지침을 마련할 필요

- 112 -
□ 리우마커 활용지침의 구성(안)

I. 기후변화 주류화와 리우마커

1. 기후변화 주류화의 개념

§ ODA 사업에서 기후변화를 주류화하는 것은 사업의 발굴, 설계, 실행, 모니


터링 및 평가 등 전 단계에서 기후변화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것을 의미함.

§ 기후변화 주류화는 기후변화의 위험을 ODA 사업의 모든 단계에서 인식하


고 적절한 수단을 적용하는 과정임.

§ 기후변화 주류화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기관, 더 나아가 국가 차원의 정책


및 전략에서 기후변화가 주요 요소 또는 축으로 다뤄져야 함.

2. 리우 기후변화 마커란?
§ 기후변화 마커는 기후변화 주류화와 기후변화 관련 개발재원의 규모를 대략
적으로 추정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감축과 적응 마커로 구분함.

§ 적용대상: 양자 ODA 및 수출신용을 제외한 OOF(일반예산지원, 부채탕감,


행정비용, 개발인식, 공여국 내 난민지원, 다자기구에 대한 지원 제외)

II. 감축 및 적응 활동의 정의

1. 감축

§ (정의) 감축은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 및 제한하거나 흡수량을 증가시킴으로


써 인간의 활동이 기후시스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방지, 대기 중 온실
가스 농도 안정화 목표에 기여하는 활동

§ 다음과 같은 활동이 포함됨.


- 몬트리올 의정서에 규정된 가스 포함, 온실가스의 인위적 배출을 제한하여
기후변화 완화에 기여
- 온실가스 흡수원(sinks) 및 저장고(reservoirs) 보전 및 증가
- 제도구축, 역량강화, 규제 및 정책 강화를 통해 기후변화 이슈를 수원국의
국가개발목표에 통합
- 유엔기후변화협약의 의무 달성을 위한 노력 제고

- 113 -
2. 적응

§ (정의)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현재 및 미래의 기후변화 영향(기후 변동성 포


함)에 대한 인간 및 자연계 시스템의 취약성을 경감시키는 활동:
1) 기후변화 스트레스, 충격 및 변동에 적응·흡수하는 능력을 향상시킴으
로써 기후 복원력 유지 및 증가
2)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노출 감소

§ 적응사업은 정보 및 지식 제고를 비롯하여 역량강화, 적응활동의 계획 및


시행을 포함

§ 다음과 같은 활동이 포함됨.


- 기후변화 적응 목표가 활동문서에 명확히 명시되고,
- 사업 문서에 상기 정의를 목표로 하는 구체적인 조치를 포함해야 함.

III. 마커 점수 부여방식

§ 사업 담당자는 개별 사업을 마커로 스크린, 세 가지 점수 중 하나를 부여함.

§ 해당 사업이 유엔기후변화협약의 이행을


- 주(principal) 목적으로 하는 경우(즉, 감축 또는 적응 목적이 아니었으면 해
당 사업이 추진되지 않는 경우): 2점,
- 부수적(significant) 목적으로 하는 경우: 1점,
- 협약을 목표로 하지 않는 경우(‘not targeting’): 0점

§ 유의사항
- 기후변화 감축 또는 적응이 지원사업의 설계 또는 동기에 명시적으로 드러
나는 경우(예: 지원 약정서, funding proposal), 해당 사업은 주 목적 사업으
로 2점을 받게 됨.
- 주 목적 사업의 경우, CRS에 보고하는 지원사업에 대한 상세 설명(‘Long
Description’ 필드)에 감축 또는 적응 목적이 명확히 제시되어야 함.
- 감축 또는 적응 활동이 명시되어 있기는 하나, 해당 사업 추진에 있어 감축
또는 적응 활동이 주요 동인이 아닌 경우에는 부수적 목적으로 간주되어 1
점을 부여(동 사업의 목적은 기후변화 이외의 다른 주 목적을 가지고 있음.)
- 어떤 사업이 0점을 받았을 경우, 이는 기후 마커 관점에서 스크린됐으나,
감축 또는 적응을 목표로 하지 않았음을 의미

- 114 -
- 만약 마커 적용을 아예 고려하지 않은 경우(‘not assessed’), 마커 필드는 빈
칸으로 남겨두어야 함.

그림 6-1. 리우마커 점수 부여 결정방식

IV. 감축 및 적응 활동의 예시

표 6-2. 감축 활동의 예시

분 야(CRS 3단위) 세부 분야(CRS 5단위) 활동 예시

물 공급 및 위생(140)
물 공급 및 위생 – 대규모 에너지 효율성이 제고되었거나
재생에너지로 전력을 사용하는
시스템(14020)
배관 및 펌프 시설

도로(21010) 전기차, BRT 시스템


운송 및 저장(210)
화물 및 여객 운송을 위해 도로
철도(21030)
대신 철로를 신설 또는 유지보수
에너지 절약 및 수요 효율 주방용 연료시설 보급, 기존
(23183) 화력발전소의 에너지 효율 향상
단, 탄소 순배출의 감소가 입
수력 발전(23220)
발전 및 재생에너지(232) 증되는 경우
발전 – 재생에너지(232) 재생에너지 발전

발전 – 비재생에너지(233)
기존 발전소의 연료를 석탄에
서 천연가스로 전환

- 115 -
분 야(CRS 3단위) 세부 분야(CRS 5단위) 활동 예시
재생에너지, 에너지 효율성 등
저탄소 투자를 지원하기 위한
은행 및 금융 서비스(240) 전 분야 크레딧라인 제공, 중소기업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중장기 기
금마련 지원
메탄 등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농업개발(31120)
가축사육설비
농업(311) 에너지 효율성이 제고되었거나
농업용 수자원(31140) 재생에너지로 전력을 사용하는
관개 시설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 조림
산림(312) 전 분야 및 재조림, 가뭄 및 사막화 지
역의 복구
혁신적인 부품 사용, 선박의
어업(313) 전 분야 형태, 효율적 엔진, 연료를 효
율적으로 사용하는 선박 건조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


감축을 포함한 국가 계획 및
환경 정책 및 행정관리
정책 수립, 감축 수단의 경제
(41010)
적 효과 분석, 감축 관련 기술
수요 분석 및 평가
다분야 – 일반 환경보호 생태계 보호(41020), 생물다 습지 및 저수지의 탄소저장 능
(410)
양성(41030) 력 보존
탄소 배출이 저감되는 홍수 예
홍수 예방 및 관리(41050)
방 및 관리 시설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된 연구
환경 교육 및 훈련(41081),
및 모니터링, 기후변화에 대한
환경 연구(41082)
인식제고 교육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도시계
도시 개발 및 관리(43030)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고려한
농촌개발(43040) 지속가능한 토지 이용계획 수
기타 다분야(430)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된 연구
환경 교육 및 훈련(41081),
및 모니터링, 기후변화에 대한
환경 연구(41082)
인식제고 교육
자료: OECD DAC(2016), MDBs and IDFC(2015).

- 116 -
표 6-3. 적응 활동의 예시

분 야(CRS 3단위) 세부 분야(CRS 5단위) 활동 예시


홍수에 대한 취약성을 감소시키는

물 공급 및 위생(140)
물 공급 및 위생 – 대규모 식수 및 위생 설비 설계, 가뭄
시스템(14020) 으로 인한 식수 부족 지역의 저장
역량 강화
기후변화 적응역량 수립 차원의
정부 및 시민사회(150) 전 분야 관료의 리더십 및 기업가 정신
양성 프로그램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로 건설
운송 및 저장(210) 도로(21010)
및 유지보수

에너지(230) 발전 – 재생에너지(232) 기후변화 취약성을 고려한 수력


발전소 및 댐의 안전성 제고
은행 및 금융 서비스(240) 모든 분야 기후 위험에 대비한 보험
기후복원력을 갖춘 농작 방식
농업개발(31120)
및 농작물 다양화 사업
절수 가능한 관개시설 구축 및
농업(311) 농업용 수자원(31140)
보완
기후복원력을 고려한 농법에 대
농업 교육 및 훈련(31181)
한 교육
산림(312) 전 분야 강 유역 조림을 통한 홍수 예방
적응 방안을 국가 정책, 계획,
환경 정책 및 행정관리(41010) 프로그램과 통합 지원, 적응 정
책 실행을 위한 예산 지원
생태계가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다분야 – 일반 환경보호
생태계 보호(41020)
조치(동물 이동을 위한 통로 보호)
(410) 홍수 위험을 줄이기 위한 강 유
홍수 예방 및 관리(41050)
역 및 습지 복원
기상 및 수문학 예측, 기후 취
환경 교육 및 훈련(41081),
약성 평가 관련 연구, 적응에
환경 연구(41082)
관한 인식제고 교육
기타 다분야(430) 도시 개발 및 관리(43030) 도시의 기후 취약성 평가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피해지역
복구 및 재건(73010) 의 조기 복구 및 재건, 회복력
을 갖춘 공동체 구축
인도적 지원(700) 기후 재해에 대비하는 보험 개발,
재해 예방 및 대비 기후 위성 지도 보급, 비상대응계
(74010) 획, 조기경보시스템, 재해 대응 거
버넌스 개선
자료: OECD DAC(2016), MDBs(2016).

- 117 -
참고문헌

[국문자료]
국무조정실. 2017. 대한민국 ODA 백서.

관계부처 합동. 2015. 『제2차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 제22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22-1호). 2015. 11. 10.

관계부처 합동. 2016. 『’17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확정액 기준)』. 제28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28-1호). 2016. 12.

관계부처 합동. 2017. 『’18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요구액 기준)』. 제29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29-1호). 2017. 6. 30.

기획재정부·외교통상부. 2010. 『분야별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2011~1015년)』.


제8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8-1호). 2010. 12. 21.

대한민국정부. 2010. 『국제개발협력기본법』.

임소영·손혁수. 2012. KOICA 환경주류화 가이드라인.

정지원·서정민·문진영·송지혜. 2013. 『녹색기후기금(GCF)의 당면과제와 우리의


대응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3-11.

한국수출입은행. 2016. EDCF 세이프가드 핸드북.

한국해양학회. 2005. 『해양과학용어사전』.

KOICA. 2017. 기후변화 대응 중기전략 2016-2020.

KOICA. 2013a. 몽골 울란바타르시 대기오염저감을 위한 난방문화개선 시범사업


사후평가 보고서.

KOICA. 2013b. 우즈베키스탄 호레즘주 열공급시스템 개선 사업 사후평가 보고서.

- 118 -
KOICA. 2013c. 환경주류화 업무수행 길라잡이. 기후변화환경실.

KOICA. 2014. 필리핀 재해방지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사업 사후평가 보고서.

[영문 자료]
ADB. 2016. Guidelines for Climate Proofing Investment in the Water Sector:
Water Supply and Sanitation.

AFD. 2015. “2015 Results of the AFD Group’s Activity in the Fight Against
Climate Change.”

BMZ. 2013. The German Government’s 14th Development Policy Report:


Development Policy White Paper.

Bonnel, A. and S. Swann. 2015. Mainstreaming Climate Action within Financial


Institutions: Emerging Practices.

Committee on Climate Change. 2014. "Meeting Carbon Budgets – 2014 Progress


Report to Parliament.”

DFID. 2012. “Business Plan 2012~2015.”

EC. 2007. Environmental Integration Handbook for EC Development Co-operation,


Brussels: EC.

Federal Government of Germany. 2011. “Adaptation Action Plan of the German


Strategy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Federal Government of Germany. 2016. “German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2016.”

Gigli and Agrawala. 2007. Stocktaking of Progress on Integra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to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ities.
COM/ENV/EPOC/DCD/DAC(2007)1/FINAL, OECD, Paris.

- 119 -
GIZ. 2014. “The Policy Marker System: Guidelines.”

Gupta, J. and N. can der Grijp. 2010. Mainstreaming Climate Change in


Development Cooperation: Theory, Practice, and Implications for the
European Un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HM Treasury·DFID, 2015. UK Aid: Tackling Global Challenges in the National


Interest.

Hallegatte, S., M. Bangalore, L. Bonzanigo, M. Fay, T. Kane, U. Narloch, J.


Rozenberg, D. Treguer, and A. Vogt-Schilb. 2016. “Shock Waves:
Manag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Poverty.” Climate Change
and Development Series. Washinton, DC: World Bank.

Japan. 2014. Submission by Japan on methodologies and systems used to measure and
track climate finance. (웹사이트:http://www4.unfccc.int/submissions/Lists/
OSPSubmissionUpload/50_19_130472284937025292-20140613_japan.pdf), (검색일:
2017.7.21.)

JICA. 2016. Climate Change Cooperation Strategy (검색일: 2017.7.6.)


https://www.jica.go.jp/english/our_work/climate_change/c8h0vm0000bc50q3-
att/strategy_01.pdf

KfW. 2015. Ex Post Evaluation – Chile.

Kok, M.T.J. and H.C. de Coninck. 2007. "Widening the scope of policies to
address climate change: directions for mainstreaming."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icy, 10.

Mani, M. and A. Markandya. 2008. Policy and Institutional Reforms to Support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Mitigation in Development Programs: A
Practical Guide. Washington, D.C.: World Bank.

MDBs and IDFC. 2015. Common Principles for Climate Mitigation Finance
Tracking

- 120 -
http://www.eib.org/attachments/documents/mdb_idfc_mitigation_common_principles_e
n.pdf

MDBs. 2016. Joint Report on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Climate Financ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2015. Development Cooperation Charter.

Ministry of Foreign and European Affairs. 2011. Development Cooperation: a


French Vision – Framework Document.

MOPAN. 2017. MOPAN 2015-16 Assessments. The World Bank Institutional


Assessment Report.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2005. Paris Declaration on Aid


Effectiveness.

OECD DAC. 2002. Policy Statement on Integrating the Rio Convention in


Development Cooperation.

OECD DAC. 2006. Declaration on Integrat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into


Development Cooperation.

OECD DAC. 2009. Policy Guidance on Integrat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into
Development Cooperation.

OECD DAC. 2013a. “Climate Adaptation Marker: Quality Review.”

OECD DAC. 2013b. OECD Development Co-operation Peer Reviews: France 2013.

OECD DAC. 2014a. “Mainstreaming cross-cutting issues: 7 Lessons from DAC


Peer Reviews.”

OECD DAC. 2014b. OECD Development Co-operation Peer Reviews: United Kingdom.

OECD DAC. 2015. OECD Development Co-operation Peer Reviews: Germany.

- 121 -
OECD DAC. 2016. Handbook: OECD DAC Rio Markers for Climate.

OECD DAC ENVIRONET. 2016. “Summary of Responses to the DAC


ENVIRONET Survey 2016 of Members’ Priorities and activities.”
DCD/DAC/ENV/RD(2016)1.

OECD ENVIRONET·WP-STAT. 2013. OECD ENVIRONET and WP-STAT


Workshop on Rio Markers, Climate and Development Finance. “Main
Points of Discussion.” June 24-25, 2013, Paris.

OECD ENVIRONET·WP-STAT Task Team. 2015. “Fourth Experts’ Meeting of


the Joint ENVIRONET-WP-STAT TASK TEAM on OECD Rio Markers,
Environment and Development Finance Statistics.” OECD
ENVIRONET-WP-STAT TASK TEAM : M(2015)3- FINAL.

OECD WP-STAT. 2013. “65th Meeting of the DAC Working Party on


Development Finance Statistics.” 12-13 June 2013. DCD/DAC/STAT/
(2013)1/PROV.

Olhoff and Schaer. 2010. Screening Tools and Guidelines to Support the
Mainstreaming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nto Development
Assistance –A Stocktaking Report. UNDP: New York.

United Nations. 2015. Transforming Our Worl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RES/70/1.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1992.

UNFCCC Secretariat. 2015. Adoption of the Paris Agreement. Decision 1/CP.21.


FCCC/CP/2015/10/Add.1.

UNFCCC Secretariat. 2017. Modalities for the accounting of financial resources


provided and mobilized through public interventions in accordance with
Article 9, paragraph 7, of the Paris Agreement: Technical paper by the
secretariat.

- 122 -
USAID. 2007. Adapting to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A Guidance – Manual
for Development Planning.

USAID. 2012a. CDCS Supplemental Guidance for Integrating Global Climate Change.

USAID. 2012b. Climate Change and Development Strategy 2012-2016.

USAID. 2013. Final Evaluation Report - Adapting to Climate Change in Eastern


Indonesia.

USAID. 2014. Climate-resilient Development –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Climate Change.

USAID. 2016. Global Climate Change: Standard Indicator Summary Sheet.

USAID. 2017a. Climate Change in USAID Country/Regional Strategies: A


Mandatory Reference for ADS Chapter 201 (Revised).

USAID. 2017b. Climate Risk Management for USAID Projects and Activities: A
Mandatory Reference for ADS Chapter 201 (Revised).

US Department of State. 2016. Second Biennial Repor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S Department of State and USAID. 2015. Quadrennial Diplomacy and


Development Review: Enduring Leadership in a Dynamic World.

The White House. 2017. Presidential Executive Order on Promoting Energy


Independence and Economic Growth. EO 13783.

World Bank. 2008.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 Evaluation of WBG Support.

World Bank. (year). Mainstream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Agri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Management Projects: Guidance Note.

- 123 -
[온라인 자료]

Climate Action in Financial Institutions: Principles for Mainstreaming Climate


Action 홈페이지
https://www.mainstreamingclimate.org/workstreams/(검색일: 2017. 05. 18).

EDCF 홈페이지.
https://www.edcfkorea.go.kr/site/program/board/basicboard/list?boardtypeid=298&men
uid=004002008(검색일: 2017. 05. 18).

KOICA 홈페이지.
http://www.koica.go.kr/program/evaluation/report/report1/1323062_2556.html
(검색일: 2017. 05. 18).

OECD Stats. Database.(검색일: 2017. 05. 18 ~ 11. 15)

USAID Climate Links 웹사이트.


https://www.climatelinks.org/resources/climate-risk-screening-management-tool(검색
일: 2017. 11. 03).

USAID Development Experience Clearinghouse.


http://dec.usaid.gov/(검색일: 2017. 06. 17).

- 124 -
부 록

부표 2-1. 리우마커로 표기 가능한 활동 예시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 환경 기후평가
· <완화>
(예: 기후변화의 잠재적 영향 및 이익 • 재생가능에너지에 중점을 두
분석)를 이용하였을 때 위 분야는 기 는 과학기술교육의 수준 강화
후와 관련될 수 있으며, 특정 기후완화 (완화 1점)
및 적응지향적인 교육 프로그램에 2점 • 학교를 위한 독립형에너지
- 125 -

카테고리 110 카테고리 110 을 부여함. 접근성 및 지속가능한 학교건물


교육 110 하의 모든 하의 모든 목표 0, 1 또는 2 0, 1 또는 2 (예: 자연냉방시설 등)
목표명 코드 • 협약문 Article 4.1(i)과 Article 6는 (완화 1 또는 2점)
교육·훈련·대중인식의 중요성을 논함.
Article 4.1(i)는 모든 이해관계자가 "교 <완화 및 적응>
육·훈련·대중인식의 제고를 위해 노력 • 환경 기후 분야를 학교 교육
·

및 협력하며, NGO를 포함한 최대 넓 과정 내에 포함


은 분야의 참여를 장려"하기를 제안함. (완화 및/또는 적응 2점)

<완화> <완화>

카테고리 120 카테고리 120


• 온실가스배출량을 감축시킬 수 있 • 공기의 질 개선을 위해 재생
는 보건 분야의 활동에 1점을 부여함. 에너지를 사용하는 보건분야활동
보건 120 하의 모든 하의 모든 목표 0, 1 또는 2 0, 1 또는 2
(예: 병원에서 이용되는 물을
목표명 코드
<완화> 데울 때 태양광 에너지를 사용)
• 인류를 위한 보건활동이 기후변화 (완화 1점)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 에너지수요를 줄일 수 있도록
에너지효율적인 병원시설 구축
(완화 1점)

<완화>

인구정책
•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적응을 목표로 설정하거나 기후변화의 하는 보건프로그램
및 카테고리 130 카테고리 130
영향에 이바지할 경우 점수를 부여함. (예: 기후변화로 인한 질병발생
프로그램

130 하의 모든
목표명
하의 모든 목표
코드
• 특별 적응지향적 프로그램에 2점을 이 증가하는 지역의 열 스트레
- 126 -

부여할 수 있음. 스 또는 말라리아를 관리할 수


생식보건
있는 조치)
(적응 1점)
• 고온지역의 식량안보규제 강
화 (특히 미생물학적 품질관리
및 해충 제거)
(적응 1점)

<완화> <완화>
식수 및
위생
140
식수분야정책
및 행정관리
14010 • 식수 및 위생시설이 제공될 경우 • 에너지효율적 및/또는 재생
완화 부문에 점수를 부여함.(예: 에너 에너지로 전력을 공급받는 펌프시설
0, 1 또는 2 1, 2 또는 0 지절약을 목표로 설정한 뒤, 새로운 배 (완화 1점)
상수도 및 관과 펌프시설을 설치)
식수 및
140 위생시설: 14020 <완화> <완화>
위생
대형 시스템 • 기후변화로 인한 식수제공의 변동 • 기후변화로 인해 수자원 부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및 변화를 해결하는 데에 목표를 둔


식수 및 상수도: 대형
140 14021 활동에 점수를 부여함. 식수 및 위생 족이 심해진 지역에 식수보전을
위생 시스템
인프라시설은 홍수로 인한 손실에 취 향상

기본적인 약하기 때문에 기후변화로 인해 식수 (적응 2점)


식수 및 및 위생에 문제가 발생하였거나 발생 또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반영
140 식수공급 및 14030
위생 할 지역에서 다음과 같은 투자활동이 하여 프로젝트를 설계
위생
있을 경우 적응부문에 점수를 부여함. (적응 1점)
식수 및 기본적인 (예: 가뭄 또는 홍수로 인한 식수부족, • 기후변화적응이 주요목표인
140 14031 홍수 발생시 차선적인 위생기능) 지역에 식수접근성을 제고하기
위생 식수공급
- 127 -

- 기후변화에 대한 식수 및 위생서비 위해 식수공급 및 저장역량을


스의 복원력 향상을 위한 투자 강화
- 기후변화로 인한 식수부족이 예상 (적응 2점)
되는 지역에 수자원 저장 및 식수 접 또는 깨끗한 식수를 공급하고
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투자 자하는 이니셔티브의 일부가 기
* 만일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다면, 후변화영향에 복원력을 강화할
상수도 및 적응부문의 점수는 부여되지 않음 경우
식수 및
140 위생에 대한 14081 (예: 기후위험분석에 따라, 기후변화가 (적응 1점)
위생
교육과 훈련 식수공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 홍수에 쉽게 영향받는 식수
분석된 지역) 및 위생서비스의 취약성을 감축
시킬 수 있는 식수 및 위생서비
<완화 및 적응> 스의 설계와 실행
• 효율적인 자원이용은 탄소배출량을 (적응 1 또는 2점)
절감시킬 뿐 아니라 복원력을 구축함.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따라서 이전의 시스템과 비교하여 에


너지절약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완화 및 적응 두 부문에
서 점수를 부여함.

<완화>

• 다량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완화>
도시의 하수시스템에 에너지
식수 및 위생: 대형 펌프를 도입
140 14022 설계 및/또는 메탄가스배출을 방지하
위생 시스템 (완화 1점)
는 방안에 완화부문 1점을 부여함.
- 128 -

(예: 에너지효율 펌프시설 추가)


• 에너지사용/에너지효율이 방안의
<완화>
• 재활용수를 이용한 수자원관
주요목표일 경우 완화부문 2점을 부여

함.
(적응 2점)
0, 1 또는 2 1, 2 또는 0
<완화>
• 폐수관리시스템 또는 현존하
• 폐수관리시스템은 기후변화로부터
는 수자원의 질과 양이 기후변
화에도 불구하고 보존될 수 있
식수 및 기본적인 수자원 및 보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140 14032 도록 하는 시스템
위생 위생 함. 기후변화로 인한 물부족 지역에 이
(예: 폐수의 재활용을 이용하는
러한 오수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지
설계가
하·지표수가 보존되고 특히 폐수가 재
- 기후변화위험을 명시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면, 기후변화적응목표를
고려할 경우
설정한 것이라 고려하여 적응부문 1
(적응 2점)
또는 2점을 부여함.
- 기후변화위험을 명시적으로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고려하지는 않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다양한 재난에 기타 회복
력을갖출 경우
(적응 1점)

<완화>
• 폐기물을 에너지로 변환하는 활동
<완화>
• 바이오가스 생산 및 폐수시
은 폐기물의 수집·재활용(특히 생물학
설에서 이미 생산된 에너지를
- 129 -

적 폐기물의 분리) 및 메탄가스 회수·


재사용
사용을 촉진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에
(완화 2점).
이바지하는 관계로 완화부문 2점을 부
여함.
식수 및
140
오수 및
14050 2, 1 또는 0 1 또는 0
• 메탄가스가 단순연소될 경우 완화
<완화>
• 기후변화로 인해 하수도가
위생 폐기물 관리 부문 1점을 부여하며, 메탄가스감축이
넘치거나 도시수도시스템에 홍
포착 되지 않을 경우 0점을 부여함.
수위험이 가해지는 경우, 오염
을 줄일 수 있는 프로젝트
<완화>
• 수자원 및 취약한 생태계를 보호하 (•적응기후변화에
1점)
취약한 석호를
고 기후변화로부터 복원력을 강화시킬
염분침투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
수 있는 효과적인 폐기물관리시스템에
(적응 1점)
적응부문 점수를 부여함.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완화>
• 육상의 탄소를 흡수하는 산림 보전, <완화>
식수 및
140
수자원 절약
(데이터 수집 14015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수자원 보전 등 • CO2 저장시설로써의 수역,
위생 의 활동은 기후변화완화에 기여하는 늪, 습지를 보호 및/또는 복구
포함)
관례로 완화부문 1점을 부여함. 그러나 • 관련 연구 진행
활동의 주요목표가 완화일 경우, 환경 (예: 육수학)
보호부문(카테고리 410)으로 재분류하 (완화 1점 또는 2점도 가능함)
기를 권고함.
<완화>

- 130 -

<완화> 기후변화로 인해 고온·홍수·


• 수자원 보존은 기후변화 복원력에 해수면 상승에 영향 받는 지역
1, 0 또는 2 1, 2 또는 0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후변화 에 식수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위험 평가에 수자원 부족 또는 이용가 및 개선
능 수자원의 변동에 대한 내용이 포함 (적응 1 또는 2점).
식수 및 될 경우 더욱 중요하게 고려됨. 이러한
140 유역개발 14040
위생 특정한 경우, 적응부문 2점이 적당하 <완화 및 적응>
며, 적응이 차선적인 목표로 설정된 경 • 탄소를 흡수하고 홍수피해를
우에는 1점을 부여함. 줄이는 방안의 일환으로써의 산
• 기후변화의 기상 및 수문학적 영향을 림보호 및 재조림과 관련된 유
모니터링·감지하고, 기후변화위험을 평 역관리
가 하기 위한 데이터수집방안을 구축 (완화 1점, 주요목표일 경우 적
할 경우 적응부문 1점을 부여하며, 위 응 2 점)
사항이 주요목표일 경우 2점을 부여함.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완화>
• 저탄소배출전략 개발 및 준비
(완화 2점)

카테고리 150 카테고리 150


• 기후변화를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
<완화>
정부 및
시민사회
150 하의 모든 하의 모든 목표 0, 1 또는 2 0, 1 또는 2
발 또는 기후변화관련행동을 촉진하는
행위에 완화 및/또는 적응부문 1 또는
• 기후변화환경에서 보건·농
목표명 코드 업·영양 부문에 효과적인 지역
2점을 부여함.
활동을 실행가능하게 하는 리더
십과 기업가 정신을 양성하는
- 131 -

프로그램
(적응 1점)

<완화>
• 저탄소배출가구에 NAMA

• 사회인프라 분야의 활동 중 온실가 실행


(완화 2점)
스배출량을 감축시킬 수 있는 경우 완
기타
카테고리 160 카테고리 160 화 부문 점수를 부여함. 기후변화에 영
사회인프 <완화>
라시설 및
160 하의 모든
목표명
하의 모든 목표
코드
0, 1 또는 2 0, 1 또는 2 향을 받지 않는 사회인프라 및 서비스
를 구축하는 경우 적응부문의 점수를
• 기후 복원력이 있는 농업 식 ·

서비스 량안보·기본서비스 증진을 통해


부여함. 해당 사례는 보건 및 교육 분
기후변화에 쉽게영향 받는 지역
야를 참고할 것.
의 여성 및 어린이를 포함한 취
약계층 지원
(적응 1 또는 2점)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완화>
수송 및
210
수송정책 및
21010
• 온실가스배출을 감축하기 위
보관업 행정관리 한 비-동력운동시설계획
(완화 2점)
• 온실가스배출량을 획기적으
수송 및 <완화> 로 감축하기 위한 새로운 인프
보관업
210 보관업 21061
• 운송분야의 정책 및 계획수립을 목 라와 역량구축 및/또는 기존의
표로 하는 활동 중 교통량 감소를 통 시스템 개선
한 온실 가스배출 감축방안을 포함할 (예: 통합교통관리시스템, 운전
- 132 -

경우 완화부문 2 또는 1점을 부여함. 자 교육 등)


(예:대중교통 및 비-동력운송시설의 개 (완화 2점)
2, 1 또는 0 0, 1 또는 2 발 및/또는 통합) • 대중교통이용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된 주거·상업 복합지역의
<완화>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을 통해

수송 및
수송 및
보관업에
• 운송정책 및 전략에 기후변화에 영 온실가스배출량을 크게 줄일 경우
210 21081 향을 받지 않는 운송인프라를 요구사 (완화 1점)
보관업 대한 교육과
항으로 포함할 경우 적응부문의 점수
훈련
를 부여함. <완화>
• 수송계획설계에 기후변화 고
려사항을 포함할 경우
(예: 기후변화영향 및 가변성을
견딜 수 있는 도로건설)
(적응 1점)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완화>
수송 및
210 도로교통 21020
• 온실가스배출을 감축하기 위
보관업 해 지하철, 경철도, 버스, 등의
대중교통 이용
(완화 1 또는 온실가스감축이
수송 및 주요목표일 경우 2점)
보관업
210 철도교통 21030 <완화>
• 온실가스배출량의 감소를 목표로
• 육상수송 중 철로 또는 해상
수송을 이용하는 조치를 통한
하는 프로젝트는 활동목표 및 감축목
온실가스감축
표치를 고려하여 1 또는 2점을 부여함.
- 133 -

(완화 1 또는 2점)
수송 및
보관업
210 수운 21040
프로젝트가 온실가스배출감축과 관련
성이 없을 경우 0점을 부여함.
• 기존 엔진의 최적화 및 대체
1, 2 또는 0 0 또는 1 엔진기술로의 전환: 에너지효율
및 연료전환은주요목표 중 일부
<완화>
• 극단적인 기상징후 또는 서서히 변 로, 온실가스배출량 감축에 이
바지함.
해가는 기후변화에 복원력 있는 교통
(완화 2점)
수단을 구축하는 방안에 적응부문 1점
을 부여함
• 그러나 도로건설 그 자체는
수송 및 온실가스배출량 감소를 동반하
210 항공운수 21050
보관업 지는 않음. (도로가 단축되어
교통시간이 짧아져도 새로운 도
로건설은 교통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
(완화 0점) 하지만 해당 신설도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로가 기후친화적인 교통수단을
이용할 경우
(완화 1점)
• 전기자동차, 수소동력, 액화
천연가스 및 하이드리드 엔진으
로 전환
(완화 2점).

<완화>
• 기후변화에 취약한 인구를
- 134 -

위해 도로 접근성 향상
(적응 1점)
<완화>
• 기후 모델링을 위한 위성정
<완화> 보 수집연구 촉진(완화 1점)
• 통신기술과 기후변화완화를 연결지
을 경우 완화부문 1 또는 2점을 부여 <완화>
커뮤니케
220
카테고리 220
하의 모든
카테고리 220
하의 모든 목표 0, 1 또는 2 0, 1 또는 2
함. • 태풍 또는 홍수와 같은 재난
이션 위험으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목표명 코드
<완화> 있는 국가의 주요 정보기관을
• 통신 장비의 복원력을 강화할 경우 식별하고 해당 사이트의 기후복
적응부문 1 또는 2점을 부여함. 원력을 구축
(적응 2점)
• 토지 이용, 토지 피복, 산림,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수자원 등의 변화에 대한 정보
관리를 향상하기 위한 기상레이
더 시스템 개선
(적응 및 완화 1점, 한 부문에
2점 부여 가능)
에너지 <완화>
생산,
에너지정책
• 기후변화완화를 고려한 에너
송전(distr 230 23110 지 부문의 규제정책 개혁
및 행정관리
ibution), <완화> (완화 2점)
효율 •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에너지효율
- 135 -

에너지 및 재생가능에너지 사용를 증진시키기 <완화>


생산,
230
에너지 교육
23181 2, 1 또는 0 0, 1 또는 2
위한 규제를 개발·강화하는 활동에 완 • 기후변화영향을 다루기 위한
송전, 및 훈련 화부문의 점수를 부여함. 하지만 타분 규제 및 당국의 역량강화
효율 야와 마찬가지로 에너지분야의 활동 (적응 2점)

에너지 또한 기후변화가 고려되지 않을 경우 • 복원력 있는 에너지 인프라

생산, 에는0점을 부여함. 시설을 설계하여 지방정부가 에


230 에너지 연구 23182 너지공급 보안을 향상시킬 수
송전,
효율 있도록 지원
(적응 1점)
<완화> <완화>
에너지
생산, 에너지 절약
• 에너지효율성조치3는 기타 목표를 • 열병합발전
230 23183 2 또는 1 0, 1 또는 2 가짐에도 불구하고 주요목표는 전반적 (분리된 발전소에 비해 효율적
송전, 및 수요효율
으로 온실가스배출량 감축으로 설정함 일 경우 완화 2점)
효율
(예: 공급의 안정성, 에너지비용절감, • 깨끗한 주방 요리용 레인지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생산성 향상, 외환유출 감소, 화석연료 (완화 2점)


수입의 변동성 등) • 재생에너지발전소 개보수 및
기존 화력발전소의에너지효율성
• 아래는 기후변화완화에 적합한 사 향상
항들을 열거함: (완화 1점)
- 재개발부지(brownfield)의 에너지효 • 기존의 연료에서 온실가스
율성4프로젝트(brownfield energy 집약적인 연료로 전환하는 것은
efficiency activities)의 일반적인 원칙: 시설의 역량 및 수명을 연장함.
i) 오래된 기술은 그 수명이 다하기 전 따라서 순탄소배출량의 감소로
- 136 -

에 새로운 기술로 대체되어야 효율적 인한 시설의 역량 및 수명의 연


임. ii) 새로운 기술 및 프로세스는 신 장이 입증되는 경우
개발부지 (greenfield) 프로젝트에서 사 (완화1 또는 2점)
용되는 것보다 효율적임. • 열병합발전소: 열발생과 발
전은 병합될 경우 에너지효율을
- 신개발부지 에너지효율성 프로젝트 높일 수 있음
의 일반적인 원칙은 온실가스 집약적
인 인프라시설(도시, 운송, 전력 부문) <완화 및 적응>
로부터 장기간 영향 받지 않는 것을 • 기존의 바이오매스(biomass)
내포함. 을 덜 사용하는 깨끗한 요리법
(clean cooking)은 완화 및 적응
<완화> 과 관련이 있음
• 건설 및 개장 시 에너지 효율조치 (기후에 취약한 바이오매스 자
의 목표가 기후변화적응일 경우가 존 원을 덜 사용하기 때문)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완화 2점 및 적응 1점).

재함.
• 신축 건물의 효율성 구축(사
용가능기준 초과) 및 기존 건물
(예: 재난 발생 시 에너지시스템의 복
의 보수
원력 구축)
(예: 더운 지역 내 병원의 에어
(적응 1점)
컨 효율성 향상)
(완화 1점 및 적응 1점)
<완화> <완화>
• 재생가능에너지생산의 주요목적은 • 기후변화완화를 위한 풍력에
일반적으로 ⅰ)프로젝트 개발, ⅱ)재생 너지, 광전지, 바이오매스 및 바
- 137 -

가능 원료를 이용하는 발전소 확장에 이오가스, 집중 태양광발전


필요한 기술 개발, ⅲ)기술개발 및 보 (CSP: concentrated solar
급을 위한 환경 조성, 위 세 가지를 통 power), 지열, 해양조류 이용
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것임. (완화 1점 또는 주요목표일 경
에너지
에너지 생성 • 재생가능에너지건설 및 복구가 없 우 2 점)
생산,
송전,
230 및 232 2 또는 1 0 또는 1 을 경우, 또는 온실가스배출량이 많은 • 순탄소배출량의 감소가 입증
재생에너지 에너지원이 이용될 경우 완화부문 점 될 수 있는 저수지 또는 강유역
효율
수를 부여함. 의 수력발전소
• 집접적인 효과(관측되는 배출량 감 (완화 1 또는 2점)
소)뿐만 아니라 추후 배출량 및 영향 • 바이오연료의 제도적 프레임
이 예측 가능한 경우(예:"보통 때의" 시 워크 지원
나리오와 비교하였을 때, 미래 온실가 (완화 1점).
스배출 추이의 변화) • 재생가능에너지 훈련
(완화 2점)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완화>

<완화>
•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 특정 조치가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 영향을 고려하여, 새로운 수력
발전 및 최첨단 엔지니어링 기
려하여 기후에 대한 복원력 향상이 목
술을 사용
표로 설정된 경우 적응부문의 점수를
(적응 1점)
부여함.
• 기후변화의 취약분야인 수력
발전 및 댐 안전의 최적화 도모
- 138 -

(적응 1점)

<완화>
•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의 목표는 <완화>
에너지
에너지 생성,
온실가스배출량을 제한하는데에 있지 • 기존의 발전소에서 더 적은
생산, 않아, 기후완화마커의 적격성 기준을 양의 탄소를 배출하는 연료로
230 재생불가 233 0 또는 1 0
송전, 준수하지 않음. 그러나 에너지 생산과 대체할 경우
에너지
효율 정에서 온실가스배출량을 감축시키거 (예: 석탄에서 천연가스로 변환)
나 효율적일 경우 완화부문 점수가 부 (완화 1점).
여가능함.
<완화>
에너지
생산,
하이브리드 • 하이브리드 발전소에 1점을 부여
230 에너지 23410 1 또는 0 0 함.(예: 신재생자원을 화석연료와 함께
송전,  
전력발전소 이용하여, 화석연로만을 기반으로 하였
효율
을 때와 비교하여 탄소배출을 감축)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완화> <완화>
• 해당 분야의 투자가 에너지 집약적 • 재생가능자원을 지역 또는
기술이 아닌것을 확인될 경우 송전활 국가 설비에 포함하거나 에너지
동에 완화부문의 점수를 부여함. 점수 효율방안을 시설개보수에 포함
는 활동의 목표와 직접 연결되어 있으 할 경우: 새로운 송배전시설, 변
며, 압기 및 변전소, 설비 복원, 혁
ⅰ)온실가스배출량을 줄이고 기후변 신적인 기술의 배치
화완화를 주요목적으로 할 경우 또는 (완화 1 또는 2점)
ⅱ) 조치가 주요목적을 보완할 경우 • 에너지저장·관리·이용을 포
- 139 -

에 따라 점수부여는 달라짐. 함하는 새로운 '자족적인


에너지
생산, 냉난방 및
• 참고 (off-grid)' 시스템은 재생에너지
230 236 2, 1 또는 0 0, 1 또는 2 - 네트워크 인프라의 투자는 전력손 를 가구, 기업, 지역사회서비스
송전, 에너지 송전
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완화부문 에 특별한 설비 없이 직접적으
효율
의 1점을 부여함. 로 송전함
- 네트워크 확장이 재생에너지의 확 (예: 미니장치(mini-grid), 가구
산과 연결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국가 내 시스템)
에는 완화부문 2점을 부여함. 혁신적/ (완화 1 또는 2점)
스마트 그리드기술에 투자하는 것은 • 농촌의 전력방안은 에너지효
ⅰ)재생 에너지를 위한 인프라를 설립 율기술을 채택 또는 분배하도록
하고 ⅱ)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손실을 설계됨
감소 시키기 때문에 온실가스감축을 (참고: 시나리오"디젤 발전소의
주요목표로 한다고 고려되 2점이 부여 이용"은 온실가스영향을 고려할
가능함. 경우 완화부문의 점수를 부여할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수 있음.)
(완화 1점)

• 태양광, 지열, 바이오매스 등의 재


<완화>
• 주요 목적이 기후변화의 영
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정소의 경우 완
향에 대처하는 것일 때, 송전
화부문 2점을 부여함.
및 에너지 배분 인프라를 강화
하는 경우
<완화>
• 최신 네트워크 설계가 극한의 기후 (•적응농촌의
2점)
전력접근성은 조기경
- 140 -

에도 안정적으로 공급을 유지하고 취


보의 청취/수신 및 정보의 습
약성 평가에 기반을 둔다면 적응부문
득/소통을 가능하게하며, 전력
의 1점을 부여함.
의 증가는 수확량 저장역량, 의
약품의 냉장보관, 야간학습, 효
율적관개기술 등을 향상시킴
(적응 1점)

• 재생에너지 개발 저탄소투자지원 에 •
· ·
<완화>5
재생에너지 투자를 위한 전
너지효율 기후적응을 위해 설계된 크
·
용 신용한도에 이바지하는 경우
은행 및 카테고리 240 카테고리 240 레딧라인(또는 금융분야를 지원하는
(완화 2점)
금융서비

240 하의 모든
목표명
하의 모든 목표
코드
0, 1 또는 2 0, 1 또는 2 기타 금융상품)는 기후마커에 적합함.
(점수는 신용한도의 투자기준에서 완
• 중소기업의 에너지절약을 위
한 중장기 기금마련 및 지역개
화 및 적응의 중요성 정도에 따라 다
발 금융기관을 통해 에너지절약
르게 부여됨)
정신을 고취하는 경우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완화 1 또는 2점)

<완화>
• 적절한 보험방안을 통해 기
업 및 가정의 기후변화적응을
위한 기후보험기금 마련
(적응 2점)
• 극한 기상이변 및 비상사태
이후, 기업의 연속성을 유지하
기 위해 지원하는 인프라 및 허
- 141 -

브 구축
(적응 1점)
• 기업 및 서비스 내의 기후변화주류 <완화>
화에 지원할 경우 완화 또는 적응부문 • 공공민간협력(PPP)을 기반으
의 점수를 부여함. 로 하는 기후보호목적의 민간투
자를 준비 및 지원
<완화> (완화 2점)
비즈니스
및 기타 250
카테고리 250
하의 모든
카테고리 250
하의 모든 목표 0, 1 또는 2 1, 2 또는 0
• 사업을 환경친화적으로 진행하거나
민간분야의 전략에 기후변화가 포함하 <완화>
서비스 목표명 코드
도록 격려하는 활동의 경우 완화부문 • 기후변화에 대비하는 민간분
의 1점을 부여함. 야의 역량강화 수단
• 활동의 주요목표가 온실가스배출량 (적응 1 또는 2점)
의 감축일 경우 완화부문 2점을 부여 • 기후변화 취약성을 포함하여
함. 기후에 탄력적인 생계안전 구축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완화>
• 기업 또는 서비스가 기후변화적응
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은 많이 존재 에 대한 이니셔티브, 이해관계
함 자, 지식의 연계
(예: 기후변화로 인해 본래의 생업활동 (적응 1점)
을 지속하지 못하는 지역사회의 수입
경로를 다양화, 기후변화 이후 상황에
맞는 기술력을 개발, 분배, 도입)
<완화>
- 142 -

<완화>
• 메탄 또는 온실가스배출량을
• 농업 분야의 방안이 온실가스배출
줄일 수 있는 가축사육
(완화 1점)
량을 줄이고 탄소격리를 증가시킬 경
우 완화부문의 점수를 부여함.
• 토양과 식물의 CO2 결합능
력 유지 및 증가
카테고리 311 카테고리 311 (완화 1점)
농업 311 하의 모든 하의 모든 목표 0, 1 또는 2 1, 2 또는 0
<완화>
• 농업개발방안은 기후변화영향으로
• 에너지절약 메커니즘을 사용
목표명 코드 하고 환경효율적이며, 이산화탄
부터의 복원력을 구축하는 데에 다양
소를 배출하지 않는 시스템을
한 방법으로 이바지할 수 있음.
이용 등
(예: 기후에 탄력적인 곡물 개발 또는
(완화 2점)
기후변화를 견딜 수 있도록 작곡물의
다양화)
<완화>
• 지속가능한 기후복원력있는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농업방안
(적응 2점)
• 기후위험을 낮추기 위해 농
작물 다양화를 촉진
(예: 다른 종을 함께 재배하고
한 종의 다양화를 추구)
(적응 1 또는 2점)
•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고온과
가뭄에 강한 작물 및 절수 가능
한 관개시설 구축
- 143 -

(적응 2점).
• 기후에 탄력적인 종자의 재
배 및 분배
(적응 2점)
• 농업을 목적으로 하는 조기
경보 소통시스템을 구축 및 이
용(예: 기후관련 현상 또는 재
난으로 인한 작물손실을 방지할
목적으로, 커뮤니케이션/작물
모니터링을 위한 IT 도입, 강수
및 기온 조절 등)
(적응 1 또는 2점)
카테고리 312 카테고리 312 <완화> <완화>
산림 312
하의 모든 하의 모든 목표
2, 1 또는 0 0, 1 또는 2
• 경제·사회적 편익이 목적인 단식산 •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조림,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림재배지의 경우, 벌목 후의 이용방안 재조림을 통한 온실가스 흡수원
에 따라 완화부문 점수가 다르게 부여 및 저수지 보호를 증진
됨. 에너지 생산을 위해 사용될 경우 (완화 2점)
(예: 연료용 숯),순탄소감축효과는 없으 • 가뭄 및 사막화에 영향받는
므로 완화부문 0점 부여함. 하지만 허 지역의 복구
가 지역이 체계적으로 재재배되고 ⅰ) (주요 목표일 경우 완화 1 또
지속가능한 바이오매스를 생산하는 경 는 2 점)
우는1점 부여, ⅱ)지속가능하게 관리되
는 목재연료재배가 천연산림의 역할에 <완화>
이바지할 경우 2점을 부여함. • 산림 생태계의 기후변화영향
- 144 -

에 대한 취약성을 줄이기 위해
목표명 코드 <완화> 천연종자은행 및 기존식물을 활
• 산림관리 및 조림/재조림 내의 개 용한 이전의 산림 복원
선은 적응역량을 향상시킴. 자격요건을 (적응 2점)
충족 시키는 특정 활동에 적응부문의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부터 산
점수를 부여함. 림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를 촉진하고
<완화 및 적응> 산불과 산불로 인한 토양침식을
• 산림 및 조림을 통한 완화 및 적응 줄이는 수확기술을 채택
효과는 다양하고 보통 복합적으로 나 하여 생물다양성 보전을 촉진
타나지만, 완화와 적응 모두를 주요목 (적응 2점)
표로 점수 부여하는 것은 제외되어야 • 강 유역의 조림은 안정적인
함. 산림이 CO2 흡수에 중대한 역할을 수문학적 시스템과 홍수위험 감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하기에, 해당 분야의 활동은 온실가스
감축에서 더욱 중요하며 이는 적응부
소에 기여
문에도 영향을 미침.
(적응 2 또는 1점)
(예: 산림기반생계의 복원력 및 토양침
식 감소)
<완화>
• 혁신적인 재료이용, 선체형
태, 보다 효율적인 엔진, 연료소
<완화> 비를 줄이기 위한 저장공간을
• 활동의 목표가 확실하게 온실가스 갖춘 연료효율적인 선박을 지원
- 145 -

배출감소를 통한 완화라고 명시되어있 할 경우


을 경우 완화부문 1점을 부여함. (완화 1점)

카테고리 313 카테고리 313 <완화> <완화>


어업 313 하의 모든 하의 모든 목표 0 또는 1 0, 1 또는 2 • 어업은 작은 섬에서부터 국가에 이 • 목표량 및 종에 대한 어업
목표명 코드 르기까지 많은 경제분야에 걸쳐있어 내의 변화를 촉진
중요함. 활동의 목표가 기후변화에 대 (예: 사용장비·어업 목표 종·어
한 복원력을 강화하고 취약성에 대한 업 관리 지역·수확량)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어업환경을 개선 (적응 1점)
하려는 데에 있다면 적응부문 1점 또 • 기후변화의 영향을 확인하기
는 2점을 부여함. 위한 어종의 범위를 바꾸고 어
류의 모니터링을 강화
(적응 2점)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완화 및 적응>
• 소규모 어업을 지원하고 대
규모 산업적 어업을 억제함으로
써 선대구성을 조정하고 과도한
어획 및 과잉생산을 줄이는 활
동 (특히 어획량을 완전히/부분
적으로 과잉착취한 국가)
• 이러한 방안은 해상의 선박
수를 줄이고 노력단위 당 어획
량(CPUE: catch per unit
- 146 -

effort)을 높임으로써 연료사용


을 줄일 것임
(완화 1점)
•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한 산업은에 <완화>
완화 또는 적응부문의 점수를 부여함. • 에너지효율기준 및 기타 환
경기준 채택을 촉진함으로써 무
<완화> 역관련 지원의 일환으로, 온실
카테고리 321 카테고리 321 • 수요패턴의 변화는 자원사슬 및 온 가스배출량의 감축을 예상할 수
산업 321 하의 모든 하의 모든 목표 실가스배출에 영향을 미침. 프로세스 있음.
0, 1 또는 2 0, 1 또는 2
목표명 코드 개선 및 청정생산(예: 시멘트, 화학약 (목표가 충분히 명확할 경우
품)은 완화에 이바지함. 관련 생산 방 완화 1점 부여)
안이 온실가스배출량 감축에 이바지할
경우 완화부문의 1점을 부여함. <완화>
• 기후관련위험에 대한 복구력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을 높이기 위한 산업시설의 보
<완화> 수
• 기후 탄력적 장비설계와 같이 기후 (적응 1점)
변화영향을 고려한 활동에 적응부문 1 • 소량의 물을 이용하는 생산
점을 부여하며, 그 목적에 따라 2점 부 기술로의 전환은 물부족의 취약
여도 가능함. 성을 감소시킴.
(적응 1점)
<완화>
• 광업 내 에너지효율수단의
개선
- 147 -

<완화>
• 광업의 에너지효율 향상 및 재생에 (완화 1점)

너지 사용에 완화부문의 점수를 부여


<완화>
광물자원
322
카테고리 322
하의 모든
카테고리 322
하의 모든 목표 0 또는 1 0 또는 1
함.
• 광업의 기후복원력을 향상시
및 광업 킬 수 있도록 하는 분석적 연구
목표명 코드 <완화>
• 광업활동에 있어서 기후변화를 고
및 역량 강화
(적응 1점)
려하여 개선된 설계에 적응부문의 점
수를 부여함.
• 강수량 증가로 인한 홍수에
적응할 수 있는 노천채굴의 설

(적응 1점)
카테고리 323 카테고리 323 • 건설분야의 정책 및 계획이 특정 <완화>
건설 323 하의 모든 하의 모든 목표 0, 1 또는 2 0, 1 또는 2 분야에 해당된다면, 해당 분야로 지정 • 에너지효율기술 이용을 촉진
목표명 코드 함. 하고 관련지표 및 인증제도의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예: 병원은 보건분야, 학교는 교육 분
개발 및 집행
야로 지정함.)
(완화 2점)

<완화>
• 건설분야의 에너지 효율

• 에너지 효율 수단을 포함하도록 규 Programme of activities (PoA)


실행
제 및 전문력을 향상시키고, 수동적 설
(완화 2점)
계와 저탄소배출 원자재를 이용할 경
우 완화부문의 점수를 부여함.
<완화>
(예: 지속적인 자원으로써의 목재 또는
저탄소시멘트)
• 태풍·허리케인·폭풍에 영향
- 148 -

받는 지역이 이동할 경우, 건축물


규제 강화 및 집행 관행 개선
<완화>
• 건축 시 복원력을 반영할 경우 적
(적응 2점)

응부문의 점수를 부여함.


<완화>
• 기후협약에 따라 개발도상국
을 위한 탄소시장메커니즘을 개

카테고리 331 카테고리 331


• 무역은 기후관련재해로 인해 방해 발
될 수 있기에, 기후변화영향의 원인을 (완화 1점).
무역 331 하의 모든 하의 모든 목표 0 또는 1 0, 1 또는 2
완화하거나 기후변화 영향에 적응하는
목표명 코드
데에 중점을 둔 대상에 점수를 부여함. <완화>
• 기후변화가 무역과 경제성장
에 미치는 영향 및 손실 평가
(적응 2점)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완화>
• 무탄소배출(zero-carbon) 비
지니스 방안을 도입한 지속가능
한 관광개발
(예: 무탄소 리조트 및 상품 등)
(완화 2점)
• 온실가스배출량을 감축시킬
수 있는 관광명소를 보호

• (예: 산림 및 국립공원)
- 149 -

완화 및/또는 적응의 개념을 포함


(완화 1점)
카테고리 332 카테고리 332 하여 지속가능한 개발을 촉진시키는
관광 332 하의 모든 하의 모든 목표 0, 1 또는 2 0, 1 또는 2 관광 활동은 완화 또는 적응부문에 해
<완화>
목표명 코드 당함. 또한 활동목표는 활동 내의 기후
변화영향을 분명하게 명시해야함.
• 기후변화의 위험 및 영향에
덜 취약한 지역을 관광명소에
포함시킴으로써 관광지의 다양
화 도모
(적응 2점)
• 농촌 생활을 다양화하는 동
시에 자연생태계의 복원력을 유
지하는 전략의 일환으로 생태관
광사업 추진
(적응 1 또는 2점)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완화>
• 국가별 온실가스 인벤토리
(inventory) 작성
(배출원 별 배출량 및 흡수원
별 흡수량)
(완화 2점)
• 기후변화완화를 위한 국가계
획을 포함하여, 기후변화 관련

• 정책과 규제에 기후관련분야를 포


정책 및 경제의 분석과 수단의
- 150 -

410+4 정교화
함하도록 하는 제도를 개혁·강화할 경
6:48H (완화 2점)
전반적인
환경보호
4646:5
환경정책 및
행정관리
41010 2, 1 또는 0 2, 1 또는 0
우 완화 또는 적응 부문에 점수를 부
여함.
• 기후 기술요구조사 및 평가,
046:49 제도적 역량 구축
(예: 국가 또는 하위국가의 기후변화전
46:48 (완화 1 또는 2점).
략과 계획)

<완화>
• 국가 또는 분권화된 프로그
램 차원에서의 적응전략개발 및
실행
(적응 2점)
• 기후변화적응방안을 국가 및
국제정책·계획·프로그램에 통합
하는 것을 지원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적응 2점)
• 기후적응을 장려하기 위한
규제 및 법안 개정
(적응 1 또는 2점).
• 기후변화 적응정책을 집행하
기 위한 국가 또는 지방 차원의
기후변화전용예산 지원
(적응 2점)
<완화>
• 식물지대(숲) 및 토양(늪)의
- 151 -

CO2 저장력 보존
전반적인
410 생물권보호 41020 (완화 1점 또는2점).
환경보호
• 해변 및 해양생태, 습지, 야

• 위 분야에 대해서는 다양한 완화


생지역, 기타 생태계의 지속가
능한 관리 및 보전을 통한 습지
및 적응효과가 존재하며, 보통 두 부문
(sink)와 저수지 보호
1, 2 또는 0 1, 2 또는 0 이 통합된 경우가 많음. (하지만 완화
(완화 1 또는 2점).
와 적응 모두를 우선목표로 설정하는
경우는 예외적)
<완화>
전반적인
환경보호
410 생물 다양성 41030 •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수자원 보존 또는 침식 방지에
노력
(적응 1점)
• 생태계가 기후변화에 적응할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수 있도록 기후탄력적인 보전조치
(예: 동물이동을 위한 생태통로
보호)
(적응 2점)
• 적응에 기반하는 생태시스템
구축
(예: 인류가 기후변화에 적응하
도록 돕기위한 생태계 또는 생
태서비스 사용, 가뭄발생지역에
지속적인 식수공급을 가능하게
- 152 -

하기 위해 습지복원 및 관리역
량 향상)
(적응 2점)
<완화> <완화>
• 홍수 방지 및 관리 수단이 온실가 •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온실
스배출량 감축을 포함하는 특별한 경 가스배출량을 감소시키는 홍수
우, 완화부문의 1점을 부여함. 예방조치
(완화 1점)
전반적인 홍수 예방 및
410 41050 0 or 1 2, 1 또는 0 <완화>
환경보호 관리
• 홍수, 해안보호 및 배수시설 중 종 <완화>
종 기후변화영향과 관련있는 것이 있 • 홍수에 취약해지고 있는 지
음.(적응 2점) 역에 홍수방지시설을 구축하고,
• 1차적 수단이 기후변화영향에 대한 시설 구축 시 방지시설의 잠재
적응을 위한 것이 아닌 경우 또는 어 적인 환경적 영향을 고려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예: 강둑폐쇄, 제방 및 해상 방
어시설 건설, 습지 복원)
(적응 2 또는 1점).
• 유역과 습지의 올바른 토지
떠한 수단의 일부분일 경우 적응부문 이용계획과 범람원의 기능을 회
1점을 부여함. 복시킴으로써 홍수위험을 줄이
고 수자원부족 및/또는 다양한
강수량 패턴에 영향받는 지역의
수자원 가용성 개선
- 153 -

(적응 2점)

<완화>
• 기후변화완화와 관련된 연구
전반적인 환경 교육 및 및 모니터링, 해양 및 대기에
410 41081
환경보호 훈련 대한 연구 및 모니터링
(완화 2점).
<완화 및 적응>

2, 1 또는 0 2, 1 또는 0
• 기후변화완화 및 적응에 대한 훈련 <완화>
에 목표를 두는 경우 완화 및 적응 부
문에 1 또는 2점을 부여함.
• 기상 및 수문학의 관찰과 예
측, 영향 및 취약성평가 등을
전반적인
410 환경연구 41082 포함한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된
환경보호
연구
(적응 2점)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완화 및 적응>
• 기후변화와 관련된 교육, 훈
련, 대중인식과 기후변화의 이
유 및 영향과 적응활동
(완화 및 적응 2점)

• 도시개발활동은 환경 및 기후 문제
를 다루기도 함.

<완화>
• 감축이 조치의 주요목표일 경우 완
- 154 -

<완화>
화부문 2점을 부여하며, 적응부문은 0
점으로 남김.
• 에너지효율을 고려한 도시계

(예: 계획적인 지역개발을 통한 대중교
기타 (완화 2점)
도시개발 및 통개발 및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 전
다분야(m 430 43030 1, 2 또는 0 1, 2 또는 0
관리 달)
ultisector) <완화>

<완화>
• 도시 취약성평가를 포함한

• 기후변화의 적응문제가 조치의 주


기후행동플랜 개발 지원
(적응 2점)
요목적일 경우, 적응부문 2점을 부여하
며 완화부문은 0점으로 남김.
(예: 고온화되는 도시지역에 환경적 요
소 투입)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완화 및 적응>
•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은 대부분의
경우 두 부문 모두를 충족시킴
(완화 1점 및 적응 1점)
• 도시개발활동이 기후를 우선적으로
다루지 않을 경우, 활동내용은 기후가
차선적 목표인지 여부로 결정함.
(예: 빈민가의 삶 개선하기)
<완화>
• 농촌개발프로젝트의 경우 온실가스
<완화>

- 155 -

토지 및 토지이용권을 보호
감축사항이 포함되어 있다면 완화부문
함으로써 증가하는 온실가스배
의 1점을 부여함.
출량을 방지하고 장기적으로 지
속가능한 토지이용계획을 수립
<완화>
• 농촌지역 인구 또는 생태계의 기후 하며, 토지이용 및 토지이용의
변화로 인한 배출량을 감축
기타 변화에 대한 복원력을 강화시키는 조
430 농촌개발 43040 1 또는 0 1, 0 또는 2 (완화 1점)
다분야 치는 취약성과 관련하여 적응부문 1점
을 부여함.
<완화>

<완화 및 적응>
• 취약지역에서 기후변화에 적
• 지역별 개발계획, 토지이용문제, 토 응할 수 있도록하는 지속가능한
농업 및 농촌 가뭄지역의 지속
지관리 등 농촌개발의 많은 측면이 온
가능한 지역개발
실가스배출량 완화 및 기후변화적응에
(적응 2점)
접근함. 특히 산림과 습지보호와 같은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토지이용·관리에 대해서는 완화력이
가장 중대한 것으로 취급됨
(적응력이 0점일 경우 완화력 1 또는
2 점)

기타 연구 및
• 자금을 지원하는 조직의 주제
430 43082 0, 1 또는 2 0, 1 또는 2 (theme)에 따라 점수부여가 다르기 때
다분야 과학기관  
문에 모든 점수의 조합이 가능함.
• 일반예산지원(GBS)은 마킹에서 제
외되지만 분야별 예산지원은 마킹가능
함. 그러나 리오 협약에 중점을 둔
- 156 -

일반예산 GBS는 추구할 가치가 있음.(예: 수원국


510   해당없음 해당없음
지원 의 기후 활동 및 기타 환경분야로의  

지출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많은 국가
들이 기후 특정예산 코드/태깅을 개발
하고 있음).
<완화>
개발식품 <완화> • 기후변화영향에 대처할 수
보조 및
520
식량지원 및
식량안보 52010 0 0, 1 또는 2
• 목적이 식량생산분야의 기후복원력 있는 식량생산 역량구축 및 식
식량안전 구축을 명시적으로 포함하는 경우 적 량 불안정을 다루는 프로그램에
프로그램
지원 응부문의 점수를 부여함. "중요함(significant)"이라고 명시
(적응 1점)

부채 600 해당없음 해당없음


• 마킹에서 제외됨(5문단 참조). 단,
환경목적에 부합하는 채무스왑은 예외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 자연재해로 인한 상황에서 피해자


<완화>
인도주의
700 비상대응 720 0 또는 1 0 또는 1
를 대상으로 하는 단기대응은
실가스 배출량의 감축 또는
ⅰ)

ⅱ)적응역

• 비상시를 대비한 태양광에너
적 지원 지 공급
량과 복원력의 향상과 연관 있을 경우,
(완화 1점)
완화 또는 적응부문의 1점을 부여함.

<완화>
<완화>
• 저탄소기술을 도입한 관련 서비스
• 인도주의 활동 범위 내 현재
환경관리의 적절성 검토 및 평
의 복원 또는 인프라의 복구에 완화부
- 157 -


문의 점수를 부여함.(예: 효율적 베터
(완화 1점)
리, 물 가열 및 전기생산을 위한 태양
인도주의 재건구호 및
700 73010 0 또는 1 0, 1 또는 2 광 패널)
적 지원 재활 <완화>

<완화>
• 재해 피해지역의 조기복구와
•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에 대처
재건을 지원하고 탄력적인 사회
/공동체를 구축
할 수 있는 역량강화에 적응부문의 점
("build back better)
수를 부여함.
(적응 1 또는 2점).

<완화> <완화>

인도주의 재난 예방 및
• 재난발생 시 보다 효과적으로 대비 • 기후변화에 영향받을 것으로
700 74010 0 또는 1 1,2 또는 0 할 수 있도록 서비스 및 조치를 제공 예상되는 지역에 태양광 에너지
적 지원 방지
하는 활동이 온실가스감축으로 이어질 를 제공
경우 완화부문 1점을 부여함. (완화 1점)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완화>
• 홍수 또는 산사태와 같은 잠
재적인 기후재난을 처리하는 보
험 등을 포함한 비상대처방안을
개발
<완화> (적응 2점)
• 기후변화관련 재난에 단기적 성과 • 위성지도를 통해 시민구조팀
달성을 위한 인구, 경제, 인프라시설의 (Civil Protection Team)이 기후
- 158 -

취약성감축 또는 복원력강화를 목표로 변화영향에 대한 정보력을 갖고


하는 활동에 적응부문 1 또는 2점을 모순시즌 홍수 발생과 같은 상
부여함. (조치가 기후변화적응을 간접 황에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
인 목표로 하되, 중대하게 기여할 경우 도록 지원
적응 1점을 부여함.) (적응 1점)
• 기후위험관리는 기후변화로 인한 • 기후변화영향으로부터 주요
손실 및 파손을 장기적으로 예방하고 인프라를 보호하기 위해 비상대
다루는 것으로써 적응부문 2점을 부여 처계획 및 재난 위험감축전략을
함. 개발하고, 위 전략에 조기경보
시스템, 거버넌스 문제 해결, 인
지향상방안 등을 포함
(적응 2점)
• 재난대비와 기후변화적응을
다양한 정부 및 커뮤니티 차원
아래 목록은 완전한 것이
부여가능한 점수
분야 아니며, 자격기준이 충족되는
분야 CRS 목표명 CRS 목표 코드 (순서) 점수 부여의 기준
코드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함
완화 적응 점수부여대상 사례
에서 개선
(적응 2점).
• 기후재해에 대한 사회보장
(예: 잠재적인 기후관련 재해에
복원력을 구축하고, 홍수/폭풍
발생 시 비상 현금이전 등이 가
능하도록 사회적 보호계획을 마
련함으로써 가장 취약한 인구의
재난 직후 경제적 안정성을 보
장)
- 159 -

(적응 1 또는 주요목표일 경우
2점)
행정비용 910     해당없음 해당없음 마킹에서 제외

공여국
930     해당없음 해당없음 마킹에서 제외
내의 난민

지정되지
998     해당없음 해당없음
않음

자료: OECD DAC (2016).


부표 2-2. MDB의 감축 활동 예시

분 야 세부 분야 활동 예시

• 풍력발전
• 지열발전 (단, 탄소 순배출 감소가 입증될 경우)
•태양발전
예) 집중식 태양열발전, 태양광발전

발전
•바이오매스 및 바이오가스발전(단, 탄소저장고의 저장량(carbonpoolbalance)을 포함한 탄소
순배출 감소가 입증될 경우)
•해양발전
예) 파도, 조류, 해류, 염경사도 등
• 수력발전 (단, 탄소 순배출의 감소가 입증될 경우)
• 재생에너지발전소 보수
- 160 -

재생
에너지
•열을이용하는모든분야에태양열활용
예)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 등
열생산 또는 • 열을 이용하는 모든 분야에 지열 활용
기타 재생에너지 • 풍력을 활용한 펌핑시스템 또는 유사한 활용
•열을이용하는모든부문에지속가능/생산된바이오에너지활용
예) 효율적이고 개선된 바이오매스 스토브(stove)
•전송시스템신설,확장,개선
예) 전선 및 변전소
재생에너지 그리드 연계 •저장시스템
예) 배터리 및 기계·펌프식의 저장
• 새로운 정보통신기술, 스마트 그리드, 미니그리드
분 야 세부 분야 활동 예시

전·배송 시스템
•그리드안정성개선과에너지전 배송시에너지사용및기술적손실을줄이기위해전선,변전소,배
·

저탄소 송시스템을 새롭게 구축 (단, 순탄소배출의 감소가 입증될 경우)


배출 및
효율적
•화력발전소의연료를보다온실가스배출이낮은것으로전환
에너지 전력발전소
• 기존의 화석연료 기반의 발전소에 열병합 발전기술을 융합함으로써 에너지 및 냉 난방 ·

발전 생산

• 기존 화력발전소를 에너지효율적으로 개선
• 보다 효율적인 장비 설치, 공정 변화, 열 손실 감축, 폐열 이용 증가 등의 방법을 이용
한 산업에너지의 효율성 향상
기존 산업의 에너지 효
• 냉 난방 및 전력 생산을 위한 열병합 발전소 설치
- 161 -

·
율성
• 구식장비를보다효율적인것으로대체
예) 구식 장비의 폐기처분 (oldfacilityretired)

에너지효 기존의상업 · 공공 · 주거건


• 조명, 기기, 장비 등의 에너지 효율성 향상
율성 물에 • 냉 난방 및 전력 생산을 위한 열병합 발전소의 기존 냉 난방 시스템 보완
· ·

에너지효율성향상
• 에너지 소비를 감축할 수 있도록 기존 건물을 건축학적 및 구조적으로 보수
• 보다 효율적인 조명 및 장비를 설치함으로써 공익사업과 공공서비스의 에너지 효율성 향상
공익사업 및 공공서비스
• 지역 냉 난방 시스템 복구
·
분야 내 에너지 효율성
향상
•공공사업내열손실감축및폐열이용증가
•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및 에너지손실 감축을 통해 공공사업 내의 에너지 효율성 향상
분 야 세부 분야 활동 예시
차량에너지효율성향상
(vehicleenergyefficiencyfl
• 기존의차량,철도,선박을개조및교체
예) 저탄소연료, 전기, 수소 이용 등
eetretrofit)
새로운상업 · 공공 · 주거건 • ①건물의에너지소비및사용가능기준초과빈도를줄이고②고효율성인증또는효율성등급체계를

물내 에너지효율성구축 준수하기 위하여 고효율적인 건축설계, 가전 및 장비를 이용

에너지 감사 • 산업, 건물, 운송 시스템 및 최종사용자에 대한 에너지 감사


• 트렉션,관개,기타농업과정내에너지사용감축
예) 효율적인 밭갈이
• 기존탄소저장고의역량을더욱개선시킬수있는농업사업
농업 예) 방목장 관리, 버개스(bagasse)·쌀겨·기타농작폐기물의수거및이용,토지탄소량을증가시
- 162 -

키는밭갈이방법 지양, 척박한 토지 복구, 이탄지대 복원 등


• 농업 부문의 non-CO2온실가스배출량감축
농업, 예) 쌀 생산,비료 사용 감축

산림, • 비산림지역의 조림사업


토지이용
• 과거 산림지역의 재조림사업
조림, 재조림, 생물권 보전
• 탄소축적량증가및임업활동으로인한영향을줄이기위한지속적인산림관리
• 산림벌채또는생태계파괴로인한탄소배출량을줄이기위한생물권보호활동
예) 생태계 서비스를 위한 지불

축업
• 메탄가스및온실가스배출감축을위한축업프로젝트
예) 바이오다이제스터를 이용한 거름관리
분 야 세부 분야 활동 예시

바이오연료
• 바이오디젤 및 바이오에탄올과 같은 바이오연료 생산 (단, 순탄소배출의 감소가 입증될
경우)

탄소 누출
• 석유가스산업 내 가스분출기둥 및 메탄 탈루성배출 감축
• 탄광 메탄 포집
비에너지
탄소포집 및 저장기술
• 발전소의화석연료이용및기타산업과정내에서발생하는대량의CO2가대기권으로진입하는
온실가스
것을 방지하기위한 탄소포집 및 저장기술 개발 프로젝트
감축
공조 및 냉방장치
• 지구온난화 가능성이 낮은 냉각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기존의 산업, 상업, 주거 기반
시설을 개조
산업공정 • 산업공정 개선 및 보다 청정한 생산을 통한 온실가스배출 감축
•메탄배출감축사업의일환으로,준수요구사항(성능표준및세이프가드)이아닐시폐수처리(단,순
- 163 -

탄소배출의 감소가 입증될 경우)

폐기물 및 • 메탄 배출물울 포집 및 연소가능한 폐기물 관리 프로젝트


폐수
폐기물 및 폐수
• 폐에너지 프로젝트
• 폐기물수집,재활용,관리프로젝트를통해신제품에투입및자원으로재사용(단,순탄소배출의감
소가입증될 경우)

도시 운송수단
• 도시의 대량 수송 수단
변화
•비전동운송수단
운송 예) 자전거 및 보행자 이동수단 (pedestrianmobility)

교통 중심의 도시개발
• 교통을도시개발계획에통합함으로써차량이용량을감축
예) 밀접지역의 개발, 다양한 토지이용, 도보 가능 지역, 수송 연결성
분 야 세부 분야 활동 예시

• 온실가스배출을감축하기위해교통수요관리수단을구축
예) 속도제한, 다인승 차선, 정체부담금/도로이용료, 주차관리, 자동차 번호판 제한 및
경매, 차 없는 지역 설정, 저배출권 설정

• 도로교통수단을이용하는화물및여객운송이철도수단을이용할수있도록철도시설구축
예) 기존 노선 개선 및 노선 신설

• 도로교통수단을이용하는화물및여객운송이해상수단을이용할수있도록해상운송시설구축
도시 간 운송

예) 기존 인프라 개선 및 인프라 신설

저탄소기 제품 및 장비 •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 부문에 기여하는 요소, 장비, 인프라 생산을 위한 프로젝트
술 연구 및 개발 • 신재생에너지 및 효율적인 에너지를 위한 기술
- 164 -

• 국가, 분야, 지역별 완화 정책 계획 사업계획 제도


· · ·

• 기후변화완화및기후주류화를위한에너지부문의정책및규제
예) 에너지효율기준, 증명설계, 에너지효율 조달계획, 재생에너지 정책

기술지원 및 • 온실가스배출 모니터링 시스템


크로스커
팅 부문
정책금융을 통한 • 연료 및 전력에 대한 효율적 가격설정
국가·지역별정책지원 예) 보조금합리화, 최종사용자를 위한 효율적인 관세, 전력발전소에 대한 효율적 규제,
송·배전
• 기후변화완화, 지속가능한 에너지, 지속가능한 운송을 위한 교육, 훈련, 역량구축, 인식
제고 및 완화방안 연구

• 비에너지부문을 포함하여 기후변화환화 및 기후주류화를 위한 기타 정책 및 규제활동


분 야 세부 분야 활동 예시

• 탄소시장 및 금융
금융수단 예) 청정개발체제, 공동이행제도, 할당배출권(AAU)와 같은 compliance-grade carbon
asset 및 메커니즘, 자발적 탄소감축제도(VCS)와 금본위제도

순 온실가스 배출량 감
• MDBs에의해합의된모든기타활동은기존온실가스배출량산정결과가 ①공통적으로 합의된
다분야 기준치보다 높은 감소량을 보이고 ②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한 개발방향과 일치할
축을 위한 기타활동
때, 합동완화활동유형에 추가될 수 있음
자료: MDBs and IDFC (2015).
- 165 -
부표 2-3. MDB의 적응 활동 예시

분 야 세부 분야 활동 예시

식수공급
• 홍수지역이아닌곳에우물을설치및원천보존
수자원 (Wellfieldsrelocatedawayfromfloodplains,raisedwellheads)

폐수시스템
폐수 인프라시설 및 관리 • 잦은 홍수로부터 폐수시설 보호
수자원관리 (범분야 외) • 저수지관리계획 개선 및 식수취수규제 강화
농작물 및
식량생산
농업 및 식량생산 • 극한 기후변화에 탄력적인 농작물 개발 및 연구에 투자
농업관개
• 대규모흉작을방지하기위해관개시설보완,다작시스템및점적관수(dripirrigation)도입,토지평
탄화작업, 기타 기술 및 접근방안 구축
• 산불관리 및 해충 발병관리
- 166 -

산림 ·
기타 농업

축산 • 방목장 사료량을 보완하기 위해 사료작물의 생산 증가
생물자원 어업 • 지역 어류공급량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양식기술 채택
생태계/생물다양성
(생태기반의
• 극한가뭄상황에도지속적으로생태다양성을보존하고동식물에수자원이공급될수있도록주요
보호구역및 완충지역을 설정
홍수방지수단포함)

제조업
• 기후변화에복원력있는장비설계
산업, 예) 싸이클론지역 내 위치한 항구에 보다 안정적인 크레인 설치
채굴업, 식품가공유통 및 소매업 • 식품가공과정 내 냉동기술 및 기타 변화를 적용함으로써 열 분배 역량 향상
제조업, 무역 • 주경로에문제가발생했을경우대체할수있는경로구축
무역 채굴업 (석유 및 가스) • 허리케인 지역과 시즌을 피한 자원 및 해양굴착 탐색 확대
광산업 • 광미를 위한 설계 및 건설 역량 향상
분 야 세부 분야 활동 예시

해양 및 • 물리적/자연적인방법을통한해안선보강
하천인프라
해상방어 및 홍수방지벽
• 추가적인해안건설및초목형성
(홍수방어
하천범람방지수단
• 하천 준설 프로그램 확대, 제방강화, 상류 강둑 지역의 자연범람원 재건축 및 초목 형성
·
시설포함) 증진

건설 • 보다 강한 건축규제 구축 및 시행 강화
운송 • 극단적인 상황의 빈도 및 정도가 증가함을 반영하여 인프라 설계 시 수정된 코드 이용
• 고형폐기물수집및관리방안개선
에너지, 도시개발
• 배수시스템기능역량및기타개선점향상
운수송,
관광 • 내륙 및 저위험지역을 포함하는 관광지역의 다양화
- 167 -

기타건조(b
uilt)환경및
고형폐기물관리 • 매립지 설정 이전에 기후위험평가를 시행
인프라
열에너지생산 • 투자를 통한 열에너지발전소에 필요한 냉각수의 최소화
에너지생산
(재생에너지포함)
• 기후 및 수문모델을 기반으로 한 수력인프라 설계 최적화
에너지 전·배송 • 내장형 신재생에너지발전소에 투자함으로써 에너지전송 시 필요사항 축소
정보통신기
수혜기관을위한ICT
하드웨어및소프트웨어
• 위험요소가 큰 인터넷사이트 식별 및 해당 사이트의 서비스 복원력 향상
술(ICT)
정보기술 • 날씨 및 기후알림 서비스가 최종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투자
은행 • 극한기후상황에도사업의연장성을보장하는인프라및중심기관(Hub)구축
• 보험상품구조를지표(index)기반으로변경
금융서비스
보험
분 야 세부 분야 활동 예시

제도적
역량 및
기술적서비스및 • 관련서비스를제공하는중소기업에금융지원
기타전문지원 예) 적응방안 및 보험 기술업
기술 지원

교육 • 어 농업 분야의 트레이너 훈련을 위한 기술적 역량 구축


·

크로스커팅 보건 • 발병양상의 변화 모니터링 및 국가대응전략 개발


부문 범분야 정책 및 규제 • 정책 및 규제에 기후부문을 유동적으로 포함하도록 제도를 개혁 및 강화
재난위험관리 •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재난위험대책 및 대비방안에 통합
자료: MDBs (2016).
- 168 -
부표 3-1. DAC회원국의 감축 지원분야(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DAC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미국 한국
Members
교육 93.5 0.4 23.4 5.5 6.3 6.2 0.3
I.1.a. Education, Level Unspecified 30.4 0.2 0.3 0.0 0.1 1.4 0.0
I.1.b. Basic Education 21.4 0.0 0.2 0.0 6.1 0.7 0.0
I.1.c. Secondary Education 18.4 0.0 8.6 5.5 0.0 0.0 0.0
I.1.d. Post-Secondary Education 23.3 0.2 14.3 0.0 0.0 4.0 0.3
보건 60.4 0.1 0.0 0.1 5.0 15.3 0.0
I.2.a. Health, General 13.7 0.0 0.0 0.0 0.1 4.3 0.0
I.2.b. Basic Health 46.6 0.1 0.0 0.1 5.0 11.0 0.0
인구정책 28.6 0.0 0.0 0.0 0.3 28.2 0.0
수자원 공급 및 위생 520.9 179.3 190.5 29.5 10.4 6.4 2.8
정부 및 시민사회 284.2 41.6 22.6 0.0 9.9 1.5 0.0
I.5.a. Government & Civil Society-general 280.8 41.6 21.6 0.0 9.9 1.5 0.0
I.5.b. Conflict, Peace & Security 3.5 0.0 1.0 0.0 0.0 0.0 0.0
기타 사회인프라 140.4 0.0 11.7 66.6 41.8 3.0 0.2
수송 및 저장 3,364.8 2,359.0 375.7 593.2 10.8 8.1 0.0
통신 2.9 0.0 0.0 0.0 0.0 1.0 0.0
에너지 6,236.5 2,255.6 2,610.8 770.4 112.7 117.4 5.5
II.3.a. Energy Policy 711.6 135.4 255.9 105.9 27.8 103.7 0.7
II.3.b. Energy generation, renewable sources 2,322.1 323.5 1,401.8 361.7 56.6 9.0 3.5
II.3.c. Energy generation, non-renewable sources 892.1 843.9 44.7 0.0 0.0 0.7 0.0
II.3.e. Nuclear energy plants 0.1 0.0 0.0 0.0 0.0 0.0 0.0
II.3.f. Energy distribution 2,310.7 952.9 908.4 302.7 28.2 3.9 1.3
금융 462.7 0.0 98.5 2.5 350.2 0.8 0.0
사업 서비스 75.4 0.0 17.9 0.0 16.0 7.9 0.0
농림어업 1,135.7 138.7 220.0 34.2 195.8 170.3 4.5
III.1.a. Agriculture 767.7 59.5 135.1 30.0 63.1 169.2 0.1
III.1.b. Forestry 356.1 69.6 84.7 4.2 132.7 1.1 4.4
III.1.c. Fishing 11.9 9.5 0.3 0.0 0.0 0.0 0.0
광공업, 건설 256.3 126.8 10.3 54.2 9.4 3.3 0.3
III.2.a. Industry 243.1 126.6 9.8 54.2 8.5 3.3 0.3
III.2.b. Mineral Resources & Mining 10.3 0.0 0.4 0.0 0.1 0.0 0.0
III.2.c. Construction 2.9 0.2 0.0 0.0 0.8 0.0 0.0
무역규제 및 정책 56.9 1.6 1.8 0.0 1.1 11.1 0.5
관광 4.0 0.6 0.1 0.0 0.0 0.1 0.0
다분야 3,282.2 185.8 626.5 650.0 253.4 330.1 16.8
IV.1. General Environment Protection 2,456.6 131.4 536.0 367.6 216.1 288.7 11.7
IV.2. Other Multisector 825.6 54.3 90.5 282.3 37.3 41.4 5.2
예산 지원 43.6 0.0 0.0 0.0 0.0 0.0 0.0
식량 지원 21.4 0.0 2.7 0.0 2.7 0.2 0.0
기타 상품지원 0.0 0.0 0.0 0.0 0.0 0.0 0.0
채무 지원 0.0 0.0 0.0 0.0 0.0 0.0 0.0
인도적 지원 104.5 14.6 11.1 0.0 30.7 1.0 0.1
VIII.1. Emergency Response 36.5 0.0 0.3 0.0 14.3 0.0 0.0
VIII.2. Reconstruction Relief & Rehabilitation 10.8 0.0 8.9 0.0 1.5 0.0 0.0
VIII.3. Disaster Prevention & Preparedness 57.2 14.6 1.9 0.0 14.8 1.0 0.1
행정비용 0.3 0.0 0.0 0.0 0.1 0.0 0.0
난민 0.0 0.0 0.0 0.0 0.0 0.0 0.0
미표기 76.2 1.2 3.1 0.0 3.8 0.0 0.5
총계 16,251.2 5,305.2 4,226.6 2,206.0 1,060.5 711.8 31.5

- 169 -
부표 3-2. DAC회원국의 적응 지원분야(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DAC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미국 한국
Members

교육 148.2 43.5 23.8 0.0 20.5 2.2 2.7


I.1.a. Education, Level Unspecified 31.7 0.1 2.7 0.0 1.7 0.0 0.0
I.1.b. Basic Education 36.9 0.0 2.2 0.0 18.9 2.0 0.0
I.1.c. Secondary Education 12.0 0.0 4.7 0.0 0.0 0.0 0.0
I.1.d. Post-Secondary Education 67.6 43.4 14.3 0.0 0.0 0.2 2.7
보건 148.5 45.2 6.2 0.1 27.7 17.8 0.0
I.2.a. Health, General 16.4 0.0 3.8 0.0 0.0 4.3 0.0
I.2.b. Basic Health 132.2 45.2 2.4 0.1 27.7 13.5 0.0
인구정책 49.3 1.6 0.0 0.0 4.4 32.0 0.0
수자원 공급 및 위생 2,520.6 771.8 665.8 517.7 28.7 34.5 106.2
정부 및 시민사회 376.4 33.6 67.7 0.0 20.2 1.8 0.4
I.5.a. Government & Civil Society-general 365.6 33.6 60.1 0.0 20.2 1.8 0.4
I.5.b. Conflict, Peace & Security 10.8 0.0 7.6 0.0 0.0 0.0 0.0
기타 사회인프라 113.2 2.5 2.7 0.0 69.6 13.8 0.3
수송 및 저장 794.4 694.9 46.2 0.0 37.6 1.0 0.0
통신 3.4 0.0 0.0 0.0 0.0 1.0 0.0
에너지 296.4 2.2 160.8 6.4 38.8 1.8 3.9
II.3.a. Energy Policy 45.6 0.0 3.3 0.2 2.8 1.8 1.3
II.3.b. Energy generation, renewable sources 123.7 2.1 38.1 6.2 36.0 0.0 0.1
II.3.c. Energy generation, non-renewable sources 0.0 0.0 0.0 0.0 0.0 0.0 0.0
II.3.e. Nuclear energy plants 0.0 0.0 0.0 0.0 0.0 0.0 0.0
II.3.f. Energy distribution 127.0 0.1 119.5 0.0 0.0 0.0 2.5
금융 548.4 0.0 179.3 0.0 344.5 1.5 0.0
사업 서비스 75.4 0.0 25.0 0.0 17.2 9.3 0.0
농림어업 1,945.6 320.0 477.5 74.2 135.0 313.5 17.7
III.1.a. Agriculture 1,716.5 251.3 400.7 73.3 119.3 311.1 10.2
III.1.b. Forestry 206.4 66.9 75.8 0.8 13.7 0.6 3.4
III.1.c. Fishing 22.8 1.8 1.0 0.0 1.9 1.7 4.1
광공업, 건설 83.3 4.7 6.6 0.0 5.6 6.5 0.3
III.2.a. Industry 72.6 4.5 6.6 0.0 4.8 6.5 0.3
III.2.b. Mineral Resources & Mining 7.8 0.0 0.0 0.0 0.1 0.0 0.0
III.2.c. Construction 2.9 0.2 0.0 0.0 0.8 0.0 0.0
무역규제 및 정책 70.4 0.0 0.5 0.0 1.1 2.3 0.0
관광 17.5 0.6 0.0 0.0 2.6 0.0 0.0
다분야 3,066.5 288.4 718.7 499.4 309.7 258.4 35.0
IV.1. General Environment Protection 2,078.8 235.2 555.5 311.4 270.3 217.3 24.9
IV.2. Other Multisector 987.7 53.1 163.2 188.0 39.4 41.1 10.2
예산 지원 66.5 0.0 0.0 0.0 22.9 0.0 0.0
식량 지원 111.1 0.0 18.7 0.7 7.3 37.8 0.5
기타 상품지원 0.0 0.0 0.0 0.0 0.0 0.0 0.0
채무 지원 0.0 0.0 0.0 0.0 0.0 0.0 0.0
인도적 지원 679.4 296.8 39.4 0.0 128.8 14.8 1.2
VIII.1. Emergency Response 205.7 0.0 5.2 0.0 81.3 12.8 0.0
VIII.2. Reconstruction Relief & Rehabilitation 306.5 252.8 17.2 0.0 25.0 0.0 0.1
VIII.3. Disaster Prevention & Preparedness 167.1 44.0 17.0 0.0 22.5 2.0 1.0
행정비용 0.3 0.0 0.0 0.0 0.1 0.0 0.0
난민 0.0 0.0 0.0 0.0 0.0 0.0 0.0
미표기 79.9 0.7 3.1 0.0 3.8 0.0 3.3
총계 11,194.5 2,506.4 2,441.9 1,098.5 1,226.1 750.0 171.4

- 170 -
부표 3-3. DAC회원국의 기후변화 지원분야(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DAC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미국 한국
Members

교육 179.7 43.6 31.9 5.5 20.7 7.5 2.7


I.1.a. Education, Level Unspecified 40.0 0.2 3.0 0.0 1.8 1.4 0.0
I.1.b. Basic Education 39.2 0.0 2.2 0.0 18.9 2.0 0.0
I.1.c. Secondary Education 27.5 0.0 12.4 5.5 0.0 0.0 0.0
I.1.d. Post-Secondary Education 73.0 43.4 14.3 0.0 0.0 4.1 2.7
보건 164.6 45.2 6.2 0.1 27.9 19.7 0.0
I.2.a. Health, General 18.7 0.0 3.8 0.0 0.1 4.3 0.0
I.2.b. Basic Health 145.9 45.2 2.4 0.1 27.8 15.4 0.0
인구정책 51.5 1.6 0.0 0.0 4.4 34.1 0.0
수자원 공급 및 위생 2,774.6 948.9 697.1 518.1 29.4 40.5 108.8
정부 및 시민사회 447.1 41.7 77.3 0.0 22.1 2.7 0.4
I.5.a. Government & Civil Society-general 435.3 41.7 68.7 0.0 22.1 2.7 0.4
I.5.b. Conflict, Peace & Security 11.8 0.0 8.6 0.0 0.0 0.0 0.0
기타 사회인프라 199.4 2.5 13.4 66.6 69.7 13.8 0.5
수송 및 저장 4,149.5 3,053.9 421.9 593.2 48.5 9.2 0.0
통신 3.6 0.0 0.0 0.0 0.0 1.0 0.0
에너지 6,248.9 2,255.6 2,611.3 770.4 112.7 117.4 9.3
II.3.a. Energy Policy 714.8 135.4 256.2 106.0 27.8 103.7 2.0
II.3.b. Energy generation, renewable sources 2,328.3 323.5 1,402.0 361.7 56.6 9.0 3.5
II.3.c. Energy generation, non-renewable sources 892.1 843.9 44.7 0.0 0.0 0.7 0.0
II.3.e. Nuclear energy plants 0.1 0.0 0.0 0.0 0.0 0.0 0.0
II.3.f. Energy distribution 2,313.6 952.9 908.4 302.7 28.2 3.9 3.8
금융 616.1 0.0 233.5 2.5 350.3 1.5 0.0
사업 서비스 109.8 0.0 38.8 0.0 17.9 12.0 0.0
농림어업 2,373.7 388.6 585.6 106.6 259.4 335.6 19.1
III.1.a. Agriculture 1,970.6 307.7 488.3 101.6 124.8 332.8 10.2
III.1.b. Forestry 370.3 69.6 96.0 5.0 132.7 1.1 4.8
III.1.c. Fishing 32.8 11.3 1.3 0.0 1.9 1.7 4.1
광공업, 건설 287.3 131.1 11.6 54.2 9.5 9.1 0.3
III.2.a. Industry 273.9 130.9 11.1 54.2 8.5 9.1 0.3
III.2.b. Mineral Resources & Mining 10.5 0.0 0.4 0.0 0.2 0.0 0.0
III.2.c. Construction 2.9 0.2 0.0 0.0 0.8 0.0 0.0
무역규제 및 정책 120.2 1.6 2.1 0.0 1.1 13.1 0.5
관광 18.5 0.6 0.1 0.0 2.6 0.1 0.0
다분야 4,287.0 296.8 910.8 735.9 355.8 423.0 37.0
IV.1. General Environment Protection 3,064.9 242.3 711.2 397.2 314.1 379.9 26.8
IV.2. Other Multisector 1,222.1 54.5 199.6 338.7 41.7 43.2 10.2
예산 지원 66.5 0.0 0.0 0.0 22.9 0.0 0.0
식량 지원 111.6 0.0 19.2 0.7 7.3 37.8 0.5
기타 상품지원 0.0 0.0 0.0 0.0 0.0 0.0 0.0
채무 지원 0.0 0.0 0.0 0.0 0.0 0.0 0.0
인도적 지원 711.6 308.9 47.8 0.0 135.8 15.0 1.2
VIII.1. Emergency Response 213.2 0.0 5.2 0.0 88.3 12.8 0.0
VIII.2. Reconstruction Relief & Rehabilitation 315.0 252.8 25.6 0.0 25.0 0.0 0.1
VIII.3. Disaster Prevention & Preparedness 183.4 56.1 17.0 0.0 22.5 2.2 1.1
행정비용 0.3 0.0 0.0 0.0 0.1 0.0 0.0
난민 0.0 0.0 0.0 0.0 0.0 0.0 0.0
미표기 86.3 1.2 3.1 0.0 3.8 0.0 3.3
총계 23,007.7 7,522.0 5,711.6 2,853.7 1,502.0 1,093.1 183.5

- 171 -
부표 3-4. 주요국의 기후ODA 세부 분야별 지원 규모(2014~15년 평균)
(단위: 백만 달러)
<감축> DAC 금액 비중 일본 금액 비중 독일 금액 비중 프랑스 금액 비중 영국 금액 비중 미국 금액 비중 한국 금액 비중
철도수송 2,914.2 17.9% 철도수송 2,244.3 42.3% 전력 송배전 886.8 21.0% 철도수송 557.9 25.3% 금융 정책 350.1 33.0% 생물권 보호 181.3 25.5% 환경정책 10.7 33.8%
전력 송배전 2,245.8 13.8% 전력 송배전 952.9 18.0% 재생에너지 발전 703.8 16.7% 도시 개발 282.3 12.8% 환경정책 160.4 15.1% 농업 개발 124.3 17.5% 도시 개발 5.2 16.3%
천연가스 발전 물 공급 및 위생-
환경정책 1,502.8 9.2% 585.5 11.0% 태양 에너지 445.4 10.5% 전력 송배전 263.9 12.0% 산림 정책 101.7 9.6% 에너지 정책 102.2 14.4% 2.4 7.7%
소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 1,212.2 7.5% 석탄 발전소 174.8 3.3% 생물다양성 317.2 7.5% 환경정책 226.3 10.3% 재생에너지 발전 55.2 5.2% 생물다양성 99.1 13.9% 산림 개발 2.2 7.1%
에너지 정책 678.9 4.2% 위생-대규모 144.9 2.7% 에너지 정책 243.5 5.8% 재생에너지 발전 195.0 8.8% 환경연구 45.5 4.3% 다분야 39.9 5.6% 태양 에너지 2.2 7.1%
재생에너지 발
천연가스 발전소 585.5 3.6% 137.6 2.6% 수송 정책 209.2 4.9% 에너지 정책 105.7 4.8% 복지 서비스 41.7 3.9% 농업정책 39.0 5.5% 산림 정책 1.5 4.8%

생물다양성 527.1 3.2% 에너지 정책 135.4 2.6% 환경정책 172.2 4.1% 생물다양성 100.5 4.6% 농업 개발 39.0 3.7% hiv/AIDS 16.0 2.3% 전력 송배전 1.3 4.1%
태양 에너지 499.5 3.1% 중소기업 개발 126.4 2.4% 철도수송 111.0 2.6% 주거 정책 66.6 3.0% 산림 개발 31.0 2.9% 무역촉진 9.7 1.4% 재생에너지 발전 1.3 4.1%
도시 개발 415.3 2.6% 환경정책 119.4 2.3% 금융기관 96.6 2.3% 수력 발전소 57.1 2.6% 전력 송배전 28.2 2.7% 수송 정책 7.9 1.1% 생물권 보호 0.6 1.9%
물 공급 및 위생-
농업 개발 366.9 2.3% 항공 수송 111.3 2.1% 90.0 2.1% 지열 에너지 54.8 2.5% 에너지 정책 21.2 2.0% 사업지원 서비스 7.9 1.1% 부문 비명시 0.5 1.6%
대규모
기타 5,302.9 32.6% 기타 572.6 10.8% 기타 951.1 22.5% 기타 296.0 13.4% 기타 186.5 17.6% 기타 84.4 11.9% 기타 3.6 11.3%
총계 16,251.2 100.0% 총계 5,305.2 100.0% 총계 4,226.6 100.0% 총계 2,206.0 100.0% 총계 1,060.5 100.0% 총계 711.8 100.0% 총계 31.5 100.0%

<적응> DAC 금액 비중 일본 금액 비중 독일 금액 비중 프랑스 금액 비중 영국 금액 비중 미국 금액 비중 한국 금액 비중


환경정책 1,080.7 9.7% 도로 수송 543.0 21.7% 생물다양성 335.9 13.8% 위생-대규모 217.4 19.8% 금융정책 344.3 28.1% 농업 개발 247.6 33.0% 수자원 보호 95.6 55.8%
물 공급 및 위생-
농업 개발 796.2 7.1% 위생-대규모 517.1 20.6% 311.9 12.8% 환경정책 177.0 16.1% 환경정책 201.8 16.5% 생물권 보호 145.9 19.5% 홍수 예방 15.0 8.8%
대규모
위생-대규모 765.4 6.8% 복구 252.8 10.1% 환경정책 185.6 7.6% 도시 개발 168.1 15.3% 농업 개발 70.7 5.8% 생물다양성 68.0 9.1% 환경정책 9.0 5.2%
수자원 정책/환경
도로 수송 624.1 5.6% 농업 수자원 210.9 8.4% 176.7 7.2% 물 공급- 대규모 162.1 14.8% 복지 서비스 69.5 5.7% 농업 정책 57.5 7.7% 도시 개발 8.4 4.9%
관리
- 172 -

생물다양성 522.8 4.7% 물 공급- 대규모 186.4 7.4% 금융기관 169.3 6.9% 수자원 정책 137.2 12.5% 환경연구 67.4 5.5% 다분야 40.3 5.4% 농업 개발 8.1 4.7%
기초 식수공급 및
수자원 정책 450.5 4.0% 물 수송 151.7 6.1% 농업 개발 164.4 6.7% 생물다양성 100.5 9.1% 안정 지원 48.6 4.0% 식량지원 37.8 5.0% 6.8 4.0%
위생
물 공급 및 위생- 물 공급 및 위생-
392.6 3.5% 환경정책 124.8 5.0% 전력 송배전 119.5 4.9% 농업 개발 55.1 5.0% 도로 수송 37.6 3.1% 23.8 3.2% 어업 개발 4.0 2.3%
대규모 대규모
기초 식수공급 및
다분야 386.8 3.5% 홍수 예방 102.2 4.1% 97.1 4.0% 홍수 예방 27.9 2.5% 재생에너지 발전 36.0 2.9% HiV/AIDS 17.7 2.4% 부문 비명시 3.3 1.9%
위생
물 공급- 대규모 372.9 3.3% 다분야 52.9 2.1% 농지 자원 72.7 3.0% 농촌 개발 19.9 1.8% 긴급 식량지원 25.3 2.1% 복지 서비스 13.8 1.8% 수자원 정책 3.2 1.9%
금융정책 358.8 3.2% 산림 개발 49.9 2.0% 다분야 66.8 2.7% 농업 수자원 12.3 1.1% 복구 25.0 2.0% 물적 지원 12.8 1.7% 고등 교육 2.7 1.6%
기타 5,443.8 48.6% 기타 314.7 12.6% 기타 742.0 30.4% 기타 21.1 1.9% 기타 299.8 24.4% 기타 84.7 11.3% 기타 15.3 8.9%
총계 11,194.5 100.0% 총계 2,506.4 100.0% 총계 2,441.9 100.0% 총계 1,098.5 100.0% 총계 1,226.1 100.0% 총계 750.0 100.0% 총계 171.4 100.0%

<종합> DAC 금액 비중 일본 금액 비중 독일 금액 비중 프랑스 금액 비중 영국 금액 비중 미국 금액 비중 한국 금액 비중


철도수송 2,914.2 12.7% 철도수송 2,244.3 29.8% 전력 송배전 886.8 15.5% 철도수송 557.9 19.6% 금융 정책 350.2 23.3% 농업 개발 261.4 23.9% 수자원 보호 95.6 52.1%
전력 송배전 2,248.7 9.8% 전력 송배전 952.9 12.7% 재생에너지 발전 703.9 12.3% 도시 개발 318.8 11.2% 환경정책 235.6 15.7% 생물권 보호 253.6 23.2% 홍수 예방 15.0 8.2%
환경정책 1,748.0 7.6% 위생-대규모 660.9 8.8% 태양 에너지 445.4 7.8% 전력 송배전 263.9 9.2% 산림 정책 101.7 6.8% 생물다양성 114.9 10.5% 환경정책 10.9 5.9%
천연가스 발전
재생에너지 발전 1,215.0 5.3% 585.5 7.8% 생물다양성 386.2 6.8% 환경정책 226.4 7.9% 농업 개발 75.6 5.0% 에너지 정책 102.2 9.3% 도시 개발 8.4 4.6%

물 공급 및 위생-
위생-대규모 911.8 4.0% 도로 수송 543.5 7.2% 320.1 5.6% 위생-대규모 217.4 7.6% 복지 서비스 69.5 4.6% 농업 정책 62.6 5.7% 농업 개발 8.1 4.4%
대규모
기초 식수공급 및
농업 개발 875.5 3.8% 농업 수자원 266.3 3.5% 환경정책 266.8 4.7% 재생에너지 발전 195.0 6.8% 환경연구 67.4 4.5% 다분야 41.7 3.8% 6.8 3.7%
위생
에너지 정책 680.2 3.0% 복구 252.8 3.4% 에너지 정책 243.5 4.3% 물 공급-대규모 162.1 5.7% 물적 안도지원 55.5 3.7% 식량 원조 37.8 3.5% 어업 개발 4.0 2.2%
수자원 정책/환 물 공급 및 위생-
도로 수송 658.0 2.9% 물 공급-대규모 194.1 2.6% 금융기관 221.5 3.9% 137.2 4.8% 재생에너지 발전 55.2 3.7% 28.6 2.6% 전력 송배전 3.8 2.1%
경관리 대규모
수자원 정책/환경
생물다양성 622.1 2.7% 석탄 발전소 174.8 2.3% 수송 정책 214.3 3.8% 에너지 정책 105.7 3.7% 도로 수송 37.6 2.5% HIV/AIDS 18.9 1.7% 3.3 1.8%
관리
수자원 정책/환경
천연가스 발전소 585.5 2.5% 물 수송 152.0 2.0% 176.7 3.1% 생물다양성 100.5 3.5% 산림 개발 31.0 2.1% 복지 서비스 13.8 1.3% 분야 미표기 3.3 1.8%
관리
기타 10,548.7 45.8% 기타 1,494.8 19.9% 기타 1,846.5 32.3% 기타 568.9 19.9% 기타 422.7 28.1% 기타 157.8 14.4% 기타 24.3 13.2%
총계 23,007.7 100.0% 총계 7,522.0 100.0% 총계 5,711.6 100.0% 총계 2,853.7 100.0% 총계 1,502.0 100.0% 총계 1,093.1 100.0% 총계 183.5 100.0%
부표 4-1. 2017년 부처별 기후변화 관련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

부처명 사업명 사업유형


엘살바도르 동부건조지역 수계복원력증대를 통한 기후
프로젝트
변화대응사업
카리브해 국가연합 기후변화가 모래해안선에 미치는 영향 :
개발컨설팅
대안적관리방안
중남미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산림복합경영과정 초청연수
기후변화대응 국토개발정책 초청연수
외교부
PIC 특별연수 (1) - 기후변화대응 초청연수
한-멕 공동연수(대기질 관리 & 기후변화 취약성및 적응) 초청연수
기후변화 대응 농업용수 개발 및 관리 전문가양성(아시아) 초청연수
프로그램
IFAD 소규모 농업 기후변화적응 프로그램
(국제기구협력)
기후변화대응프로그램 민관협력
산업통상자 기후변화대응 개도국 협력사업 권역별 정책컨설팅 지원
개발컨설팅
원부* 사업 (페루)
아태지역 지구변화 네트워크(APN)기여금: 기후변화대응
국제협력
기후변화관련 분담금: 기후변화대응국제협력
아프리카 마을상수도 설치 지원(세네갈) 프로젝트
개도국 환경개선 마스터플랜 수립지원(모잠비크) 개발컨설팅
개도국 환경개선 마스터플랜 수립지원(파라과이) 개발컨설팅
해외환경기술인력 초청연수 초청연수
녹색성장에관한 서울이니셔티브 추진-시범사업 개발컨설팅
UN 지속가능발전센터부담금 기타기술협력
WHO 환경보건 국제분담금 프로젝트
환경부**
한-UNEP 녹색경제이행지원사업 프로젝트
습지보호지역 분담금 프로젝트
IUCN 국가회원 회비 국제기구협력
UNESCO 연구조사사업비 지원 프로젝트
IUCN 프레임워크 파트너십 지원 프로젝트
UNEP 분담금 다자
UNESCAP 분담금   다자
GEF 출연금 납부 다자
멸종위기 동식물 협약분담금 다자
바젤협약 분담금 다자
해양수산부 기후변화 대응과 해양관리 역량강화(피지) 프로젝트
국민안전처 재난안전 신기술해외보급(ODA)(라오스)* 프로젝트
*** 재난안전 신기술해외보급(ODA)(베트남)* 프로젝트

- 173 -
부처명 사업명 사업유형
미얀마 기상재해감시시스템 현대화 사업 프로젝트
몽골 자동기상관측시스템 구축 사업 프로젝트
피지 통합해안범람예보시스템 구축시범사업(CIFDP)Ⅱ 프로젝트
기상청****
개도국 지원 국제 기상전문인력 양성 봉사단파견

기상기후 서비스를 위한 개도국 기상교육훈련 지원 초청연수


WMO 국가분담금 다자
주: *산업통상자원부: 주요 정책과제로 기후변화협약 대응 한-개도국 협력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권역별 정책컨설팅 지원 제시.
**환경부: 모든 사업내용 포함함.
***국민안전처: 주요 정책과제로 SDGs 13) 기후변화 대응: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 구축을 통
한 대상국의 기후변화 대응 및 자연재해저감 역량 강화
****기상청 2017년도 ODA시행목표: 안정된 기상정보서비스 기반 구축을 통한 자연재해 및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 주요 정책과제는 SDGs ⑬ 기후변화 대응
자료: 관계부처 합동. ‘17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 제28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
28-1호)

부표 4-2. 2018년 부처별 기후변화 관련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

부처명 사업명 사업유형

국무조정실 최빈국 기후변화적응역량 강화 사업 프로젝트

기획재정부 필리핀 팜팡가지역 통합재난위험감축및 기후변화 적응


프로젝트
(EDCF) 사업
엘살바도르 동부건조 지역 수계 복원력증대를 통한 기
프로젝트
후변화대응사업
볼리비아 기후변화 대응 관개 시스템 기술 연수사업
중남미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산림복합경영 연수사업
기후변화대응 국토개발정책 역량강화 연수사업

외 교 부 기후변화대응을위한지속가능한물관리 연수사업
(KOICA) –
Colombo Plan 공동연수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신재
연수사업
생에너지 및폐기물 에너지화
PIC 특별연수 (1) -기후변화대응 연수사업
WFP 니카라과 취약 지역 학교 급식을 통한 기후변화
프로젝트
복원력구축 지원사업
프로젝트
기후변화대응 혁신 프로그램
(민관협력)

- 174 -
개도국 환경개선마스터플랜 수립지원사업 (에티오피아) 개발컨설팅
개도국 환경개선마스터플랜 수립지원사업 (인도네시아) 개발컨설팅

개도국 환경개선마스터플랜 수립지원사업 (베트남) 개발컨설팅

해외환경기술인력 초청연수 연수사업


서울이니셔티브 네트워크 사업(필리핀) 개발컨설팅
태평양 도서국 농촌지역의 소규모 하수도보급사업(피지) 프로젝트
UN 지속가능발전센터부담금 기타기술협력
WHO 환경보건 국제분담금 프로젝트
한-UNEP 녹색경제이행지원사업 프로젝트
환경부
습지보호지역 분담금 프로젝트
UNEP 분담금 다자
UNESCAP 분담금 기타(다자성양자)
기후변화협약 분담금 다자
지구환경금융 부담금 다자
IUCN 국가회원 회비 기타(다자성양자)
프로젝트 ( 다자성
IUCN 프레임워크 파트너십
양자)
멸종위기 동식물 협약분담금 기타(다자성양자)
바젤협약 분담금 기타(다자성양자)
해양수산부 피지 기후변화 대응역량 강화 프로젝트
재난안전 신기술해외보급(ODA)(라오스)* 프로젝트
재난안전 신기술해외보급(ODA)(베트남)* 프로젝트
국민안전처
우간다 재난관리 역량강화사업 연수사업
키르기즈스탄 재난관리 역량강화사업 연수사업
미얀마 기상재해감시시스템 현대화 사업 프로젝트
몽골 자동기상관측시스템 구축 사업 프로젝트
방글라데시 천리안위성 수신·분석시스템 활용 지원 프로젝트
기상청 피지 통합해안범람예보시스템 구축시범사업(CIFDP) 프로젝트
외국인 기상예보관 과정 연수사업
외국인 기상레이더 자료활용능력 향상과정 연수사업
WMO 국가분담금 다자
주: *산업통상자원부 주요 정책과제: 기후변화협약 대응 개도국 역량강화 및 제도 수립 지원을 위
한 한-개도국협력 사업 지원
**국민안전처 주요 정책과제: 기후변화협약 대응 개도국 역량강화 및 제도 수립 지원을 위한
한-개도국협력 사업 지원
***기상청:2018년도 ODA 시행목표로 사업 추진 체계 내실화를 통한 자연재해 및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로 설정. 주요 정책과제: SDGs ⑬ 기후변화 대응
자료: 관계부처 합동. ‘18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 제29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
29-1호)

- 17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