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Ⅰ.

실험 결과

본 실험은 축전기의 구조와 원리 및 물리적 현상을 이해하고, 축전기의 전극에 작용하는 힘


을 측정하여 축전기의 전기용량을 계산, 유전체에 의한 전기용량의 변화를 관찰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진공에서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용량 C는 가우스의 법칙을 활용해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축전기의 전기용량 C를 아래쪽 전극에 작용하는 힘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각각의
공식을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

(C: 전기용량, d: 거리, A: 면적,   : 진공의 유전율, F: 전극에 작용하는 힘, V: 전위차)


진공의 유전율   의 값은 8.85 x       ∙  이다. 일반적인 축전기는 도체 전극 사이
에 유전체라고 불리는 비전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유전상수와 유전율을 활용해 다음의
공식을 유도할 수 있다.

(K: 유전 상수,  : 유전율)

실험에 유전체로 사용한 공기, 아크릴, 유리의 유전 상수 K는 다음과 같다.

진행한 실험은 크게 3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실험 1에서는 반지름이 53mm인 원판으로 d


= 4, 6, 8, 10, 12mm, V = 4, 6, 8kV에 대해 각각 3회씩 반복 실험하였다. 실험 2에서는
반지름을 75mm로 바꾸어 진행하였으며 마지막 실험 3은 유전체의 두께를 3mm로 고정하고
단순 공기, 아크릴 + 공기, 유리 + 공기의 조합으로 각각 축전기를 만들어 4kV로 전압을 고
정한 채 3회 반복실험을 진행하였다.

앞서 서술한 유전율을 사용한 공식을 활용해 이론적인 전기용량 C를 구한다. 실험결과 값을


이용해 실제 전기용량 C를 구한다. 이 둘을 비교하고 오차의 원인을 분석한다.

- 1 -
1. 실험 1

실험 1은 r = 53mm로 놓고 실험한 것의 결과이다. 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m (g)
d (mm) V (kV) avg
1st 2nd 3rd
4 2.72 2.83 2.7 2.75
4 6 6.01 6 6.03 6.013333
8 10.8 10.56 10.77 10.71
4 2.093 2.05 2.05 2.064333
6 6 4.72 4.6 4.64 4.653333
8 8.43 8.58 8.54 8.516667
4 1.1 1.08 1.11 1.096667
8 6 2.59 2.64 2.6 2.61
8 4.77 4.76 4.79 4.773333
4 0.67 0.69 0.68 0.68
10 6 1.6 1.62 1.66 1.626667
8 3 3.04 3.01 3.016667
4 0.46 0.44 0.45 0.45
12 6 1.11 1.1 1.07 1.093333
8 1.97 1.96 2.02 1.983333

뉴턴의 제 2법칙 F = ma를 이용해 저울에 측정된 값을 F로 변환하고 이를 이용해 축전기


의 전기용량 C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d (mm) V (kV) F C avg

4 0.026978 1.34888E-11
4 6 0.058991 1.31091E-11 1.32E-11
8 0.105065 1.31331E-11
4 0.020251 1.51883E-11
6 6 0.045649 1.52164E-11 1.54E-11
8 0.083549 1.56653E-11
4 0.010758 1.07583E-11
8 6 0.025604 1.13796E-11 1.13E-11
8 0.046826 1.17066E-11
4 0.006671 8.3385E-12
10 6 0.015958 8.86533E-12 8.82E-12
8 0.029594 9.24797E-12
4 0.004415 6.62175E-12
12 6 0.010726 7.1504E-12 7.02E-12
8 0.019457 7.29619E-12

- 2 -
이제 공식을 활용해 이론적인 값을 구하고 오차를 계산한다.

d 4mm 6mm 8mm 10mm 12mm

결과 값 1.32E-11 1.54E-11 1.13E-11 8.82E-12 7.02E-12


이론 값 1.95E-11 1.30E-11 9.76E-12 7.81E-12 6.51E-12
오차 -32% 18% 16% 13% 8%

원판 사이 거리 d와 전기용량 C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1/d와 C 값의 관계를 나타


낸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상당히 큰 오차가 측정되었다. 원판 사이 거리 d와 전기용량 C는 이론상 서로 반비례 관계


였으나 실험 결과 4mm에서 심각한 오차의 발생으로 이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실험의 경우 비교적 큰 오차가 측정되었다 하더라도 어느 정도 일정한 흐름
을 가지고 결과 값이 도출되었다, 이는 4mm 실험 과정 자체에서의 무언가 큰 문제가 발생했
을 것이다. 이는 오차 분석 부분에서 다루어보고자 한다.

2. 실험 2

실험 2는 r = 75mm로 놓고 실험한 것의 결과이다. 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3 -
m (g)
d (mm) V (kV) avg
1st 2nd 3rd
4 4.73 4.74 4.72 4.73
4 6 10.31 10.48 10.37 10.38667
8 18.72 18.75 18.45 18.64
4 2.56 2.54 2.54 2.546667
6 6 5.62 5.63 5.6 5.616667
8 9.79 9.91 9.85 9.85
4 1.61 1.63 1.64 1.626667
8 6 3.46 3.43 3.44 3.443333
8 6.09 6.18 6.11 6.126667
4 1.15 1.11 1.12 1.126667
10 6 2.44 2.33 2.37 2.38
8 3.83 3.84 3.8 3.823333
4 0.71 0.7 0.7 0.703333
12 6 1.67 1.63 1.62 1.64
8 2.76 2.78 2.79 2.776667

뉴턴의 제 2법칙 F = ma를 이용해 저울에 측정된 값을 F로 변환하고 이를 이용해 축전기


의 전기용량 C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d (mm) V (kV) F C avg

4 0.046401 2.32007E-11
4 6 0.101893 2.26429E-11 2.29E-11
8 0.182858 2.28573E-11
4 0.024983 1.87371E-11
6 6 0.0551 1.83665E-11 1.84E-11
8 0.096629 1.81178E-11
4 0.015958 1.59576E-11
8 6 0.033779 1.50129E-11 1.53E-11
8 0.060103 1.50257E-11
4 0.011053 1.38158E-11
10 6 0.023348 1.2971E-11 1.28E-11
8 0.037507 1.17209E-11
4 0.0069 1.03496E-11
12 6 0.016088 1.07256E-11 1.04E-11
8 0.027239 1.02147E-11

이제 공식을 활용해 이론적인 값을 구하고 오차를 계산한다.

- 4 -
d 4mm 6mm 8mm 10mm 12mm

결과 값 2.29E-11 1.84E-11 1.53321E-11 1.28359E-11 1.04299E-11


이론 값 3.91E-11 2.61E-11 1.95E-11 1.56E-11 1.30E-11
오차 -41% -29% -22% -18% -20%

원판 사이 거리 d와 전기용량 C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1/d와 C 값의 관계를 나타


낸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실험 1과 마찬가지로 상당히 큰 오차가 측정되었다. 어느 정도 일정한 흐름을 가지고 결과


값이 도출되었다는 점에서 이번 실험의 경우 전체적인 장비에 대한 문제일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오차 분석 부분에서 다루어보고자 한다.

3. 실험 3

실험 3은 r = 75mm일 때 유전체를 포함한 축전기의 전기용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실험 결


과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m (g)
  d (mm) V (kV) avg
1st 2nd 3rd
only air 6 4 2.09 2.05 2.05 2.063333
acryl+air 3+3 4 4.53 4.35 4.43 4.436667
glass+air 3+3 4 5.08 5.1 5.05 5.076667

- 5 -
결과 분석 이전에 유전체의 추가로 인한 유전율의 변화에 대해 계산한다. 실험 조건에서 유
전체와 공기의 두께 d는 서로 3mm로 동일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을 만족시킨다.

공기의 유전 상수는 1.00059, 아크릴은 2.56, 유리는 5.6으로 주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각


각의 실험 조건에서의 유전율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K’

only air 1.00059

acryl + air 0.7194

glass + air 0.812

뉴턴의 제 2법칙 F = ma를 이용해 저울에 측정된 값을 F로 변환하고 이를 이용해 축전기


의 전기용량 C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d (mm) V (kV) F C

only air 6 4 0.024983 1.87371E-11


acryl+air 3+3 4 0.043524 1.63214E-11
glass+air 3+3 4 0.049802 1.86758E-11

이제 공식과 앞서 계산한 K’의 값을 활용해 이론적인 값을 구하고 오차를 계산한다.

  only air acryl +air glass +air

결과 값 1.87371E-11 1.63214E-11 1.86758E-11


이론 값 2.61E-11 1.87E-11 2.12E-11
오차 -28% -13% -12%

앞선 실험과 마찬가지로 상당히 큰 오차가 측정되었다. 이 역시 전체적인 장비에 대한 문제


일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오차 분석 부분에서 다루어보고자 한다.

- 6 -
Ⅱ. 오차 분석

본 실험은 3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고, 각각의 부분에서 결과값과 이론값은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각각의 실험들 모두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실험 과정 전체가 모두
공유하는 오차 발생 원인이 존재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전체적인 실험에서의 오차 발생
원인을 서술하도록 하겠다. 추가로 실험 1에서 반비례 관계를 따르지 않았던 실험 오차에 대
해서는 이후 따로 서술하도록 하겠다.

1. 실험 전체
앞서 설명했듯이 이번 실험에서는 전체적으로 상당한 오차가 측정되었다. 전체적인 실험에
대해 이러한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는 원인들에 대해 서술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저울과 전압기, 간격 d를 측정하는 장치의 유효숫자 문제


→ 오차의 원인으로 생각한 것들 중 상당한 오차를 유발했을 것으로 생각되는 요인이다. 실
험 당시 장비에 대해 이야기해보자면 저울은 소수점 아래 3번째 자리까지 표시되었었고 전압
계는 소수점 아래 한자리, 간격 측정 장비의 경우 mm 단위에서 소수점 아래 한자리까지 유
효숫자가 표기되었다. 저울과 간격 측정 장비의 경우는 그렇다고 치지만 전압계의 경우 정확
한 유효숫자로 인한 오차가 상당히 발생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실험 과정에서도 전압값이 고
정되지 않고 계속해서 변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었다. 특히 계산과정에서 유일하게 제곱되어
들어가는 수치인만큼 작은 오차도 결과값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2. 저울의 수평 문제
→ 장비의 고장으로 중간의 다른 조와 합쳐 실험을 진행하였다. 부득이하게 조를 합치는 과
정에서 수준기의 수평 상태를 확인하지 않았었고 실험이 모두 종료된 다음 수준기를 통해 수
평이 맞지 않은 채로 실험을 진행하였다는 사실을 알았다. 수평이 맞지 않는다면 저울의 결과
값에 오차가 생긴다. 이로 인한 적지 않은 결과값에 대한 오차가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전선 흔들림에 의한 저울 측정 오차.
→ 실험 도중 가장 어려웠던 것이 바로 저울 측정값이 고정되지 않는 문제였다. 이를 야기한
가장 큰 원인이 전선 흔들림에 의한 수치 변화일 것이다. 실험 과정에서 판 사이의 간격 d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전선을 건드릴 수밖에 없었고 전선이 저울 결과값에 영향을 주
는 상황에서 이는 오차 발생에 큰 역할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만약 실험 장비를 개
선할 수 있다면 선을 따로 모아 정리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는 생
각을 하였다.

4. 실험 과정에서 저울의 영점을 다시 조정해야할 필요성.


→ 이는 앞서 설명한 오차원인 3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d를 조정하면서 전선을 건드리
면 저울의 측정값이 변한다. 따라서 이를 매 실험마다 보정해주어야 하지만 실제 실험 내에서

- 7 -
는 그러지 못하였다. 당시 조정을 해야 하지 않을까 제안하였으나 그러지 않아도 비슷한 경향
성을 가지고 결과가 도출될 것이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팀원의 의견에 따라 고민 끝에 영
점을 조정하지 않았던 기억이 난다. 기억하기를 약 ±0.8g 정도의 오차가 매 실험마다 존재하
였으며 이는 결과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어 측정값에 대한 상당한 오차를 야기했을 것이다.

5. 저울 측정값이 고정되지 않는 문제.


→ 저울 측정값이 고정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문제에 대한 원인으로는 앞서 설명한
전선과 관련된 요인이 있을 수 있을 것이고 다른 하나로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 자체가 고정되
지 않은 값을 가질 수 있는 요인이다. 전압계의 경우에도 정확한 값을 가지는 전류만을 흘려
보내기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우며 전선의 저항, 전압계 내부의 저항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전류 값은 실시간으로 변화한다. 이는 저울 측정값의 변화로 이어지게 되며 변화하는 측정값
들을 적다보니 종종 잘못된 측정값들을 적게 되어 이 부분에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험 3의 경우 특히 아크릴과 공기로 만든 유전체의 경우 지속적으로 저울 측정값이 작아
지는 경향성을 가진다. 유전체로 만든 축전기에서 발생하는 이 현상 때문에 만약 측정값이 낮
아지고 있는 상황에서의 값을 결과값으로 선정해 적은 경우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2. 실험 1 – d = 4mm의 경우
문제가 된 실험 결과를 다시 한번 적어보겠다.

d 4mm 6mm 8mm 10mm 12mm

결과 값 1.32E-11 1.54E-11 1.13E-11 8.82E-12 7.02E-12


이론 값 1.95E-11 1.30E-11 9.76E-12 7.81E-12 6.51E-12
오차 -32% 18% 16% 13% 8%

실험 1 결과에서 d > 4mm인 결과에서는 이론값보다 큰 결과값으로 거의 반비례 관계가


성립하면서 일정한 경향성을 띤다. 그러나 유독 4mm의 결과만 이론값보다 결과값이 작으며
반비례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4mm를 측정했던 이 과정에서 특수한 문제가 발
생했다고 생각하였다.
실험 과정을 되돌아보니 다음의 상황이 떠올랐다. 실험 장비의 이상으로 다른 조와 합쳐 실
험 1, 2를 진행하였다. 그런데 실험 2를 모두 마치고 실험 1 결과시트를 확인해본 결과 d =
4mm를 빼놓고 실험한 사실을 알게 되었다. 부득이하게 빼먹은 경우를 실험하고 실험 3을 진
행하고 있던 도중이었다. 그때 우리는 전선 하나가 전압계에 연결되지 않은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기존의 결과값들을 폐기하고 다시 실험 3을 진행하였다. 이때 실험 1의 4mm
도 다시 진행했어야 했으나 부득이하게 진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만약 전압계에 전선이 빠
진 상태로 이를 진행했다면 잘못된 결과값이 나올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한 전극에
만 전압이 가해진 상태라면 실제 축전용량보다 훨씬 작은 값이 나올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는 현재 문제되고 있는 잘못된 결과값과 비슷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전압계의 전선이 빠진 상태로 실험 1의 d = 4mm 부분의 실험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하였다고 추정하였다. 앞으로 다른 실험을 진행할 때 조심해야겠다고 생각했다.

- 8 -
※ 참고문헌

http://phylab.yonsei.ac.kr/exp_ref/202_Capacitor_KOR.pdf
네이버 지식백과 (검색어: 전기용량)

- 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