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일반물리 I

2020년 2학기

제4장-1 Q&A

물리학과 박영재 교수
* 질문 1:
교수님께서 위치벡터란 기준점에서 입자까지의
변위벡터라고 설명해주셨는데,
그렇다면 위치벡터와 변위벡터가 같은 개념인가요?

뒷부분에 보면 변위벡터를 위치벡터를 사용해서


나타낸 부분이 있어 혼동이 있어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답변: 4장-1 강의 노트 가운데 2쪽(수정)과 3쪽을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질문 2:
3차원에서 입자의 순간속도의 방향은 입자의 위치에서
항상 입자의 경로에 대한 접선의 방향이라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순간속도의 크기는
접선의 기울기가 되는 것인가요?

답변:
1차원운동을 기술한 2장의 5쪽과 6쪽과
이를 2,3차원운동으로 확장한 4장의 4쪽과 4-1쪽을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사이언스타임즈 소개: 최신 과학기술 정보의 보고
https://www.sciencetimes.co.kr/
* 인간이 만든 가장 큰 원운동 장치:
세계 최대의 입자가속기 ‘CERN의 LHC’
[과학기술 넘나들기] 거대 과학실험 장치들(4)
- <사이언스타임즈> (2020.09.11.) 최성우 과학평론가

1990년대에 미국에서 건설 중이던 초전도 슈퍼충돌기(SSC,


Superconducting Super Collider) 프로젝트가 중단, 폐기된 이후 2008
년부터 가동된 거대 강입자 충돌기(LHC, Large Hadron Collider)는 현
존하는 세계 최대의 입자가속기이다.
스위스 제네바 인근에 위치한 충돌형 입자가속기로서, 스위스와 프랑스
의 국경을 넘나들면서 지하 100m 지대에 길이 27km의 가속 터널을 형
성하고 있다.
또한 CERN은 입자물리학의 발달에 크게 기여했을 뿐 아니라, 오늘날
전 세계를 하나로 이어주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
이 탄생한 곳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영국 런던 출신의 컴퓨터 과학자 팀 버너스 리(Tim Berners-Lee)는
CREN에서 근무하던 중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여러 나라의 과학
자들 사이에 정보 공유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과정에서 월드 와
이드 웹을 발명하였다.
자신의 아이디어를 특허로 독점하지 않고 공개하여 인터넷의 대중화 시
대를 앞당긴 그는, 2012년 런던 올림픽 개막식에도 등장한 바 있다.

LHC에서 가장 큰 검출기는 ATLAS(아틀라스)인데 ‘대형 환상형 LHC


장치(A Large Toroidal LHC Apparatus)’의 두문자 약어이지만, 마침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거인의 이름과도 같다. 아틀라스 검출기는 LHC
의 가장 주된 목적인 양성자-양성자의 충돌 실험을 관찰하기 위한 검출
기이다.
일반물리 I
2020년 2학기

제4장-2

물리학과 박영재 교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