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

‘족보주식’단톡방 회원 분들을

위한 공부용 자료

I. 세력의 의도와 밥그릇 패턴

1. 세력

① 주식은 특정의 누군가가 개입하여 상승 및 하락을 시키는데 우리는 이


특정의 누군가를 ‘세력’이라 부릅니다. ‘세력’은 기관, 외인, 개인 상관없
이 종목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체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② 세력에는 ‘작전에 의한 세력’과 ‘정보에 의한 세력’이 있습니다.

i) 작전에 의한 세력

- 작전에 의한 세력의 과정을 알아보면, 간단히 매집-마케팅-매도 3가지 과


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위의 그림과 같이 세력들은 주가를 원하는 방향으로 그리기 위해서는 일정


한 물량이 필요한데 이를 ‘매집’으로 칭합니다.

- ‘매집’은 어느 기간 동안 진행되며 일정 물량이 확보가 되면 자전거래 등을


통해 주가를 끌어올리고 고점에서 수익 실현을 위해 다양한 재료들을 터뜨
려서 개미들을 끌어들여서 물량을 떠넘기고 다시 하방으로 차트를 만들고
바닥에서 매집을 하는 반복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즉, 이런 패턴이 형성되다
보면 단테님의 ‘밥그릇 패턴’의 모습이 차트에 그려지게 됩니다.
ii) 정보에 의한 세력

- 정보에 의한 세력은 말 그대로 내부자의 정보를 통해 어떤 강력한 호재를


미리 알고 있는 세력들을 칭합니다.

- 보통의 세력들은 오랜 기간 저렴한 가격에서 매집을 해서 주가를 끌어올리


지만 ‘정보에 의한 세력’은 가격이 중요한 게 아니라 호재가 터지기 전에 물
량 확보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공격적 매집 형태가 차트에 그려지게 됩니다.

2. 밥그릇 패턴

① 세력은 주가상승의 모멘텀으로 개인들의 심리를 이용하여 수익을 창출합


니다. 이 과정에서 세력이 수익을 창출하려면 세력들이 원하는 물량을
매집해서 올려야 하는데 이 때, 개미들이 따라붙지 못하도록 아래위로
파동을 줍니다. 이러면서 하나의 파동이 다음 그림과 같이 나타나는데,
이런 모양을 ‘밥그릇 패턴’이라 합니다.
i) 1번 구간
- 주가가 하락하기 직전에 더 상승할거라는 기대감으로 개미들이 많이 진입하
는 자리입니다. 세력은 1번 자리에서 진입하는 개미들에게 물량을 넘기며
수익을 청산하고 주가를 하락시키면서 개미들의 투매를 유도하고 물량을 매
집하는 구간입니다. 이 구간에서 호재 뉴스나 공시 등이 가장 많이 나옵니
다.

ii) 2번 구간

- 횡보형 매집과 박스형 매집으로 지속적인 지루함을 주는 구간입니다. 이 구


간에서 중요한 것은 최저점 이후에 터지는 거래량을 봐야합니다. 거래량을
터뜨리고 주가가 갈 것처럼 만들고 아래위로 흔들면서 횡보가 지속됩니다.
개미들이 매수를 해도 지루함에 손절이 많이 나오는 구간이기도 합니다.

iii) 3번 구간

- 출발 구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2번 구간에서 매수한 개미들에게 본전을 주


는 구간을 만들고 골파기 등으로 개미들을 털고 가는 구간입니다.

- 3번 구간은 시세가 나기 전의 구간이기 때문에 손실(골파기)이 나더라도 기


준봉과 본인의 기준을 통해 시간을 투자하면 수익을 볼 수 있는 자리입니
다. 하지만 어설픈 기준을 갖고 매매하시는 분들은 골파기가 나올 시 손실
을 버티지 못하는 구간이기도 하니 신중하게 매매를 해야 하는 자리입니다.

iv) 4번 구간

- 전 고점을 돌파하는 구간으로 많은 개미들이 따라붙는 구간입니다. 따라서


세력의 의도를 파악하고 지난 차트를 통해 매집량, 호재 뉴스, 공시 등을 세
심하게 봐야하는 구간입니다.

② 매집과 거래량, 매물대를 이용한 3번 자리 찾기


i) 단테님 차트 설정 기준으로 224일선(이평선), 볼린저밴드, 일목균형표
를 활용하여 찾으실텐데, 우선적으로 확인해야 할 것은 매집 < 거래량
< 매물대를 꼭 확인하여야 합니다.

ii) 매집이라고 하면 주가가 1번과 2번 구간에서 충분한 횡보가 나왔는지


그리고 거래량이 줄어들고 있는지, 매물대를 돌파했는지를 확인해야 합
니다.

iii) 1번보다 2번 구간의 길이가 긴 것이 보통 더 크게 갑니다. 즉, 매집의


시간이 길면 세력의 힘은 더 강하다고 보는 것입니다.

iv) 거래량이 줄어든다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의미로 해석할 수가 있는데,


첫째는 세력이 물량 장악을 거의 완료했으며 상승 모멘텀을 기다리는
경우가 있고, 둘째는 개미들에게 지루함을 주어 남아있는 개미들의 물
량 확보하려는 경우로 볼 수 있습니다.

v) 끝으로, 매물대를 돌파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224일선, 볼린저밴드,


일목균형표는 매매자들의 평균값으로 심리가 묻어나는 지표입니다. 이
를 통해서 이 3가지 지표를 통해서도 지지와 저항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런 부분들이 매물대가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224일선과 일
목균형표, 볼린저밴드 상단을 돌파한 자리를 찾는 것이 기본적인 3번자
리라 볼 수 있습니다.
II. 매물대

1. 매물대의 원리

① 매물대란, 거래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구간을 말하며, 보통 주가가 매


물대를 상승 돌파하면 상승추세, 매물대를 하향 이탈하면 하락추세로 볼
수 있습니다.

② 주가가 상승추세로 전환되면 이전 매물대는 지지가 됩니다.

③ 주가가 하락추세로 전환되면 이전 매물대는 저항이 됩니다.

④ 매물대가 두텁다는 것은 이전 거래 시 거래량(매수-매도)이 많았다는 것


입니다. 두터운 매물대를 상방으로 뚫기 위해서는 당연히 거래량이 증가
해야 고점 매물대를 상향돌파 할 수 있습니다.

- 이후 소화기간을 거쳐서 주가는 대시세가 난 모습입니다.


2. 매물대 구간의 심리

① 매물대를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주가의 캔들과 거래량을 통해서 실제 매


물이 존재하는 구간을 선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② 위 그림을 보면 1번 구간에서는 손절이냐 보유냐의 고민을 많이 하게 됩


니다. 그럼 개미들은 본전가에서 청산을 하고 싶은 심리가 강하게 작용
이 되며, 하락하는 구간이 형성되면 개미들은 손절하며 세력들에게 물량
을 반납하게 됩니다. 또 손절을 안 하고 보유를 선택하게 되면 본전까지
오는데 많은 시간을 허비하고 기회비용을 날리게 됩니다.

③ 향후 3번 자리가 되면 보유와 매수 심리만이 남게 되는데 이 자리는 강


한 지지가 형성이 됩니다.

3. 매물대 선 긋는 Tip

① 꼬리는 중심 값이 저항이다

② 양봉과 음봉의 고점이 저항이다.

③ 이런 캔들의 2~3개를 연결하면 저항이며, 이 선을 매물대라 한다.

④ 매물대에서 거래가 많이 발생하면 강력한 저항으로 본다

⑤ 매물대에서 거래가 없으면 약한 저항으로 본다.


III. 매집

1. 매집의 의미
- 매집은 주식을 사들이는 것을 의미하지만 세력의 입장에서의 매집이란 특정
한 가격에 주식을 대량으로 매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매집의 종류

① 공격형 매집(상승형 매집)

- 공격형 매집은 말 그대로 추세를 위로 상승시키면서 꾸준하게 물량을 넣는


방법입니다. 이런 매집은 상승 박스권 형성 후에 지속적으로 아래위 파동을
크게 만드는 것이 특징입니다.

- 개인들이 쉽게 따라붙기 때문에 골파기를 크게 만들고 갈 확률이 높습니다.

② 하방 매집

- 하방 매집은 추세를 하방으로 빼면서 매집하는 방식으로 역배열에서 지속적


으로 물량을 넣으며 주가를 저점에서 다시 매집을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하방 매집에서는 윗꼬리 캔들을 자주 볼 수가 있는데 개미들에게 본전주고


빠지기를 통해 미리 매물대를 소화하면서 빠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따라서, 3번 자리에서 상승이 나오는 경우 강하게 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③ 횡보형 매집

- 횡보형 매집은 말 그대로 2번 구간에서 옆으로 길게 횡보하면서 세력이 조


금씩 매집하는 구간입니다.

- 1번 구간이 끝나는 저점에서 강한 수급이나 유동성이 몰리고 하나의 박스권


을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 직장인들이 매매하기 좋은 차트로 스윙 관점에서 박스권 하단에서 매수, 박


스권 상단에서 매도하기 좋습니다.
IV. 주가의 대시세

1. 대시세란?
- 대시세는 마지막 224일선 닿는 주가의 바닥부터 300% 이상 급등한 것을
말합니다. 주가가 더 상승한다면 500~1000%도 가능합니다. 이런 경우는
아주 극히 드문 케이스지만 많은 개미들은 이 자리에서 추격하기 때문에 많
이 물리는, 개미무덤의 자리가 될 수도 있습니다.

2. 대시세 박스권
- 대시세 이후 발생하는 박스권은 세력이 물량을 정리하는 구간으로 볼 수 있
습니다.

- 세력들이 대량 매집이후 매도 단가를 깨지 않으면서 특정 가격대에서 매도


하기 위한 박스권이 형성이 됩니다.

- 한 번에 많은 물량을 정리하게 되면 주가는 장대 음봉으로 곤두박질 칠 수


있기 때문에 박스권에서 정리를 주로 합니다.

3. 박스권의 유형

① 고점 박스권

② 이격도가 벌어진 상태의 공격형 박스권

③ 이격도가 벌어진 상태의 하방형 박스권

④ 쌍고점(쌍봉)을 만드는 박스권

⑤ 고점에서 매도 물량 쏟아내고 하락하는 경우


4. 박스권에서 뉴스 보는 방법
- 고점에서 주가가 박스권을 형성하는 동안 사상 최대실적의 뉴스, 무상증자,
인수합병, 테마성 뉴스 등 호재 뉴스가 쏟아지면 세력이 매집된 물량을 개
미들에게 넘겨 차익을 실현하는 구간으로 알 수 있어야 합니다.

- 셀트리온의 경우 백신 및 치료제 등 엄청난 호재 뉴스 터뜨리고 주가는 하


락 조정 진행 중입니다.

- 반대로 밥그릇 패턴 3번 자리에서 악재뉴스는 개미들에게 겁을 주고 공포를


심어줘 물량 매집을 쉽게 하려는 세력의 의도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호재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결국 세력은 박스권을 통해 매집하고, 박스권을 통해 매도합니다.


V. 추세선 활용

1. 추세선이란?
- 추세선이란 말 그대로 캔들의 흐름을 선으로 이어서 상승 추세인지, 하방
추세인지, 횡보 추세인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2. 추세의 종류

① 상승추세

- 캔들의 저점과 저점, 고점과 고점끼리 연결을 했을 때 상승하고 있는 추세


로 추세 하단 부근이 매수 타점이 되며, 이탈 시 손절하는 매매를 할 수 있
습니다.

② 하방추세

- 캔들의 저점과 저점, 고점과 고점끼리 연결을 했을 때 하락하고 있는 추세


입니다. 하락의 각도가 점점 1번에서 3번처럼 둔각으로 변하긴 하지만 모두
하방추세로 볼 수가 있습니다.
- 하방추세에서도 짧게 매매는 가능하지만 되도록 하방추세의 종목은 매매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③ 횡보추세

- 캔들의 저점과 저점, 고점과 고점끼리 연결을 했을 때 박스권을 유지하면서


옆으로 이동하는 구간입니다.

- 박스권 하단이 지지라인으로 손절잡고 매수하여 박스권 상단 부근에서 매도


하는 방법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구간입니다.

-
VI. 삼각수렴

1. 삼각수렴이란?
- 삼각수렴이란 시장의 추후 방향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적 분서 도
구 중 하나입니다. 특정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나
타내는 연속 패턴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 수렴의 끝단부에서 위나 아래로의 방향성을 결정해주고, 매수 또는 매도의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2. 삼각수렴의 종류

(a) 고점이 낮아지고 저점은 지지하는 형태의 삼각수렴 형태는 상방과 하


방의 확률 50:50입니다.

(b) 고점이 낮아지고 저점은 높아지는 형태의 삼각수렴 형태는 상방과 하


방의 확률 50:50입니다.
(c) 저점이 높아지고 고점은 저항 받는 형태의 삼각수렴 형태는 상방과 하
방의 확률 50:50입니다.

(d) 저점과 고점이 같이 높아지는 삼각수렴 형태는 하방의 확률이 훨씬 높


습니다.

- 세력과 개미 모두가 수익인 구간으로 매도의 심리가 크게 작용하는 구간입


니다. 상방과 하방의 확률 10:90 정도로 보심 되겠습니다.

(e) 고점과 저점이 같이 낮아지는 삼각수렴 형태는 상방의 확률이 훨씬 높


습니다.

- 세력과 개미 모두가 손실난 구간으로 매수의 심리가 크게 작용하는 구간입


니다. 상방과 하방의 확률 90:10 정도로 보심 되겠습니다.
VII. 공구리

1. 공구리란?
- 공구리는 쉽게 말해 지지와 저항으로 보시면 됩니다.

- 내려가는 주가의 바닥이 어디인지 우리는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공구리가


나타나야지만 바닥(지지라인)을 다진 것으로 보고 진입을 할 수 있습니다.

2. 공구리의 형태
- 공구리의 형태는 여러 가지 패턴이 있지만 쉽게 말해 앞전의 언덕을 뚫어
올리는 자리로 보시면 됩니다.

① 앞전 언덕을 강하게 뚫어 올리고 지지받는 형태

② 앞전 언덕부근까지 올라와서 횡보 이후 올리는 형태


③ 앞전 언덕을 살짝 뚫어 올리고 지지 받은 이후 올라가는 형태

④ 아래에서 쌍바닥을 만들고 뚫어 올리는 형태

※ ②번과 ③번의 경우를 ‘하이힐 자리’로 보기도 합니다.


VIII. 대칭이론

1. 대칭이론이란?
- 대칭이론은 데칼코마니와 같이 앞전에 나왔던 힘(파동)만큼 위나 아래로 똑
같은 힘(파동)이 나오는 것을 말합니다.

- 내려가던 주가를 돌려세운 ‘변곡점’(양봉)이 나타나면 그 변곡점의 시가가


중요한 자리인데 그 자리가 깨지면 앞전의 내려왔던 힘(파동)만큼 아래로
대칭으로 빠질 수도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 반대로, 상승도 마찬가지입니다.

- 대칭이론을 통해 다음 매도가와 매수가 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