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9

2012

목 차
제 1 장 서 론 ··························································································································1
·························································································································· 1
1.1 목 적 ·································································································································1
1.2 적용 범위 ·························································································································1
1.3 설계홍수량 산정 방법 ···································································································2
1.4 설계빈도 ···························································································································2
제 2 장 강우 분석 ··················································································································3
·················································································································· 3
2.1 우량관측소 선정 ·············································································································3
2.2 강우량자료 수집 ·············································································································3
2.2.1 고정시간 강우량자료 수집 ·····················································································3
2.2.2 임의시간 강우량자료로 변환 ·················································································3
2.2.3 강우량자료 검정 ·······································································································5
2.3 지점확률강우량 산정 ·····································································································5
2.4 강우강도식 유도 ·············································································································7
2.5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8
2.6 설계강우 시간분포 ······································································································12
제 3 장 홍수량 산정지점 선정 및 유역특성인자의 산정 ···········································13
··········································· 13
3.1 홍수량 산정지점 선정 ································································································13
3.2 유역특성인자 산정 ······································································································13
제 4 장 유효우량 산정 ·······································································································
·······································································································14
14
4.1 미국 SCS의 유출곡선지수 결정 기준 및 국내 적용상의 문제점 ····················14
4.2 국내 실무적용을 위한 유출곡선지수 산정 방법 ··················································17
제 5 장 홍수량 산정방법 채택 및 유역추적 매개변수 산정 ······································24 ······································ 24
5.1 홍수량 산정 방법 채택 ······························································································24
5.2 경험 공식에 의한 유역추적 매개변수 산정 ··························································25
5.2.1 도달시간 산정 ·········································································································26
5.2.2 유역저류상수 산정 ·································································································28
5.3 강우-유출 모형의 검정에 의한 매개변수 결정 ····················································28
제 6 장 홍수수문곡선 계산 ·······························································································29
······························································································· 29
6.1 소유역별 홍수수문곡선 계산 ····················································································29
6.2 저수지 홍수추적 및 하도 홍수추적 ········································································31
6.3 소유역 분할에 의한 홍수수문곡선 계산 ································································32
6.3.1 소유역 분할에 따른 홍수량 증가의 원인 및 문제점 ·····································32
6.3.2 소유역 분할에 따른 홍수량 증가 문제 해소 방안 ·········································32
6.4 임계지속기간 적용 방법 ····························································································34
표차례
<표 1.1> 하천 설계빈도 ······································································································2
<표 2.1>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 ···········································································5
<표 2.2> 면적우량환산계수 회귀식의 회귀상수 ·························································10
<표 4.1> 미국 SCS의 농경지역 유출곡선지수(AMC-II 조건) ································16
<표 4.2> 미국 SCS의 도시지역 유출곡선지수(AMC-II 조건) ································17
<표 4.3> 우리나라 수치토지이용도와 SCS의 토지이용분류 비교 ·························21
<표 4.4> 수치토지피복도 및 수치토지이용도 분류기준 비교 ·································22
<표 4.5> 우리나라 토지이용 분류기준에 따른 유출곡선지수 기준(AMC-Ⅱ 조건) ·····23
<표 6.1> 유역규모에 따른 유출특성 ·············································································33
그림차례
<그림 2.1>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 회귀곡선 ·····················································4
<그림 2.2> FARD 프로그램의 구성 ················································································6
<그림 4.1> 산림의 수문학적 조건의 등급 결정 ·························································18
<그림 4.2> 산림의 수문학적 조건 등급에 따른 CN 결정 ·······································18
<그림 4.3> 유출곡선지수(CN) 산정 절차 ····································································23
<그림 5.1> 연속형 Kraven 공식 유도에 필요한 경사구간별 유속분포 ···············27
<그림 6.1> 단위도 적용 상한계를 초과하는 경우의 소유역분할 및 홍수량 산정방법·······34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1장 서론

제1장 서 론
1.1 목 적

본 산정요령은 수방구조물의 규모 등의 결정에 활용되는 설계홍수량의 일관성 있는


산정을 위해 국내 실무에서 적용되고 있는 각종 기준 및 이론 등을 검토하여 설계홍수량
산정 시 문제가 되어 왔던 주관적 판단을 최소화함으로써 설계홍수량 산정에 대한 개관적
이며 표준적인 기준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1.2 적용 범위

본 산정요령은 확률홍수량을 최적치 개념의 설계홍수량으로 채택하는 방법에 국한


하였으며, 중・대규모 하천설계에 필요한 설계홍수량 산정요령을 제시하는 것을 적용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다만, 일부 필요한 항목을 추가하거나 조정할 경우 소하천이나
댐 설계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1.3 설계홍수량 산정 방법

확률홍수량으로부터 설계 재현기간에 대한 홍수량을 최적치 개념의 설계홍수량으


로 결정하는 방법은 첨두홍수량자료 시계열의 빈도해석 방법과 설계강우-유출 관계분
석 방법으로 대별된다.
첨두홍수량자료 시계열의 빈도해석 방법은 홍수량자료 계열을 직접 빈도해석하여
확률홍수량 및 설계홍수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이론적으로 가장 직접적이고 최상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실측자료가 부족하며 실측 홍수량자료가 아
닌 관측홍수위를 수위-유량관계곡선에 의해 환산하는 과정에서 수위-유량관계곡선의
신뢰도가 낮아서 홍수량자료 계열 자체부터 신뢰도가 낮고, 댐 건설 전후‧ 홍수량 자
료가 갖는 불연속성을 고려한 빈도해석의 어려움 등이 곤란한 문제가 되고 있다.
설계강우-유출 관계분석 방법은 확률강우량을 산정한 후 유출 모형으로 유출량을
모의함으로써 확률홍수량 및 설계홍수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상대적으로 풍부한 강
우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반면, 강우-유출 관계가 선형성을 가진다는 가
정을 전제로 하는 방법이다.
본 산정요령은 현재 실무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며 홍수량자료 시계열의
빈도해석보다 실무 적용성이 높은 방법인 설계강우-유출 관계 분석에 의한 설계홍수
량 산정 방법을 채택하고 적용 범위가 중・대규모 하천의 설계홍수량을 제시하는 것이
기 때문에 유출모형으로는 단위도 방법을 적용한다.
-1-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1장 서론

1.4 설계빈도
확률홍수량 중에서 특정 설계빈도에 해당하는 홍수량을 최적치 개념의 설계홍수량
으로 결정함에 있어서 설계빈도는 해당 수공구조물의 건설에 소요되는 비용과 구조물
의 안전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고 수공구조물의 파괴로 인한 피해를 함께 고려하며, 일
반적으로 구조물의 중요도, 수명년한, 경제성 등에 따라 결정함이 원칙이다.
하천의 설계빈도 기준은 <표 1.1>과 같고 이와 같은 기준과 기존 유역종합치수계
획 및 하천기본계획 등을 고려하여 설계빈도를 결정하게 된다.
<표 1.1> 하천 설계빈도
적용 하천범위 설계빈도 관 리 자 비 고(과거의 구분)
국가하천의 200년빈도 이상 국토해양부장관 직할하천의 주요 구간
주요구간 (주요도시 관류)
국가하천 100∼200년빈도 국토해양부장관 직할하천의 기타 구간
(주요 지류)
지방하천 50∼200년빈도 광역자치단체장 지방1급 및 2급하천
(준용하천),도시하천

-2-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2 장 강우 분석

제 2 장 강우 분석
2.1 우량관측소 선정
설계 대상 유역과의 거리, 시우량 관측년수, 표고, 수계에 의한 유역분리 등을 종합적
으로 고려하여 우량관측소를 선정한다.
기상청, 국토해양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및 시・군 관할 우량관측소가 혼재
되어 있는 경우 기상청 혹은 국토해양부 우량관측소를 우선으로 채택하며, 특별한 경우에
는 다른 관측소를 직접 사용하거나 참고자료로 활용 가능하지만, 기타 관측소를 활용하는
것은 가급적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2 강우량자료 수집
2.2.1 고정시간 강우량자료 수집
수집 대상 강우량자료는 임의시간 10분, 60분, 고정시간 1시간∼48시간(1시간 간격,
유역면적 등에 따라 최장 지속기간은 24시간까지 또는 72시간까지로 조정)의 지속기간에
대한 연최대치 강우량이며, 단기간의 결측치는 가급적 RDS 방법(reciprocal distance
squared method) 등을 이용하여 보완하여야 한다.
한편, 관측기간이 상이한 우량관측소 자료가 혼재된 경우 1950∼1960년대 초반 이전
의 자료는 제외하여 자료년수를 가급적 유사하게 조정하는 방안을 적용하고, 시우량의 자료
년수가 너무 짧은 우량관측소와 결측자료가 많은 우량관측소 등은 가급적 채택 대상에서
제외한다.
2.2.2 임의시간 강우량자료로 변환
수문학적 지속기간은 고정시간이 아닌 임의시간을 의미하지만 임의시간 강우량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으므로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를 적용하여 변환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현재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를 적용함에 있어서 원자료에 적용하는 방안과 산정된
확률강우량에 적용하는 방안이 혼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이론적으로는 원자료에
환산계수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지만 기존 「한국 확률강우량도 작성(건교부, 2000)」에서
제시된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가 확률강우량을 이용하여 유도된 것에 기인한 것이다.
최근 연구인 「확률강우량도 개선 및 보완 연구(국토해양부, 2011)」에서는 원자료를
이용한 환산계수와 확률강우량을 이용한 환산계수를 모두 제시하고 있으나, 이론적으로 타당
하고 실무적으로도 합리적인 원자료에 적용하는 <표 2.1>과 같은 환산계수를 적용한다.
-3-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2 장 강우 분석
한편, 동 표에서 지속기간 48시간의 환산계수로 「확률강우량도 개선 및 보완 연구(국토
해양부, 2011)」에서는 0.999로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물리적으로 모순된 것으로 판단
되어 24시간까지의 환산계수 및 회귀식 등을 고려하여 1.002로 조정하였다.
<표 2.1>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
고정시간(시간) 1 2 3 4 6 9 12 18 24 48
임의시간(분) 60 120 180 240 360 540 720 1080 1440 2880
환산계수 1.136 1.051 1.031 1.020 1.012 1.007 1.005 1.004 1.003 1.002
이와 같은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회귀식을 작성하여
적용하게 된다.
Y  ‧X     ·········································································(2.1)
여기서 Y는 환산계수, X는 강우지속기간(hr)이다.
한편, 강우지속기간이 48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환산계수를 적용하지 않아도 무방
하며, 측정자료 자체가 임의기간 자료인 10분 및 60분 강우량자료는 환산계수를 적용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여야 한다.

1.14
Y = 0.1346 X -1.4170 + 1.0014 , R2 = 0.9998

1.12

1.10
Conversion factor, Y

1.08

1.06

1.04

1.02

1.00
0 4 8 12 16 20 24 28 32 36 40 44 48
Duration(hr), X

<그림 2.1>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 회귀곡선


-4-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2 장 강우 분석
2.2.3 강우량자료 검정
지속기간별 연최대 고정시간 강우량자료 계열이 작성되면 이상치 검정, 무작위성 검정,
경향성 검정 등을 실시하여야 한다. 무작위성 검정과 경향성 검정은 참고하는 정도로만 활
용하면 되는 반면 이상치 검정은 반드시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치 검정 결과에서 확연한 이상치인 경우에만 원칙적으로 자료에서 제외하며 강우
량자료의 문제로 상식 이하로 작은 연최대치가 저이상치로 있는 경우에는 인근 관측소와
비교 등을 통하여 재검토하여야 한다.
2.3 지점확률강우량 산정
확률분포함수의 매개변수 추정 방법으로 모멘트법, 최우도법, 확률가중모멘트법을 적용
한 후, 확률가중모멘트법을 채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재현기간이 커지면서 모멘트법
및 최우도법보다 지나치게 크게 산정되는 경우에는 추가 검토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적 확률분포형으로 주로 Gumbel 분포를 채택하고 있으나 일부 GEV 분포 등을 채
택하는 경우도 있다. Gumbel 분포와 GEV 분포에 의해 산정되는 확률강우량의 크기 차이
가 크므로 지역적 불연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Gumbel 분포로 통일하여 채
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과거 분석 결과보다 확률강우량이 작게 산정되더라도 확률분포
형을 변경하여 이와 같은 역전현상을 막는 편법은 지양되어야 한다.
한편, 참고적으로 「확률강우량도 개선 및 보완 연구(국토해양부, 2011)」에서도 기상청
산하 69개 관측소의 적정 확률분포형을 모두 Gumbel 분포로 제시한 바 있다.
지점확률강우량 산정시 재현기간은 2년, 10년, 20년 30년, 50년, 80년, 100년, 200
년, 500년 등을 기본으로 하며 필요시 추가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확률강우량 산정 프로그램으로는 「강우분석프로그램의 개선 및
활용(국립방재연구소, 2007)」의 FARD (Frequency Analysis of Rainfall Data)가 있으며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은 <그림 2.2>와 같다.

-5-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2 장 강우 분석

입력자료 읽기

기본적 통계값 계산
MOMEN1 평균값, 표준편차, 변동계수, 왜곡도계수

예비적 해석
ANDTST Anderson의 correlogram test
RUNTST Run test
SPETST Spearman의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test
TUPTST Turning point test

매개변수 추정
확률분포형 모멘트법 최우도법 확률가중모멘트법
Gamma PARGAM1 PARGAM2 PARGAM3
GEV PARGEV1 PARGEV2 PARGEV3
Gumbel PARGUM1 PARGUM2 PARGUM3
Log-Gumbel PARLGU1 PARLGU2 PARLGU3
Log-Normal PARLOG1 PARLOG2 PARLOG3
Log-Person Type Ⅲ PARLP1 PARLP2 PARLP3
Weibull PARWBU1 PARWBU2 PARWBU3
Wakeby - - PARWKB

매개변수 적합성 검토
확률분포형별 확률변수의 범위 및 추정된 매개변수 적합성 조건

적합도 검정
CHITST χ²-test
KSTST Kolmogorov-Smirnov test
CVMTST Cramer von Mises test
PPCCTST Probability Plot Correlation Coefficient test

확률강우량 산정
INVGAM Gamma 분포형의 확률강우량
INVGEV GEV 분포형의 확률강우량
INVGUM Gumbel 분포형의 확률강우량
INVLGU Log-Gumbel 분포형의 확률강우량
INVLOG Log-Normal 분포형의 확률강우량
INVLP Log-Pearson Type Ⅲ 분포형의 확률강우량
INVWBU Weibull 분포형의 확률강우량
INVWKB Wakeby 분포형의 확률강우량

자료의 출력
<그림 2.2> FARD 프로그램의 구성
-6-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2 장 강우 분석

2.4 강우강도식 유도
강우강도식은 해당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이 없는 경우에 내삽에 의한 보간을 하
기 위하여 산정하는 것이 주 목적이며, 부수적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지속기간별 확률
강우량 추이의 이상 유무도 검토할 수 있다.
중・대규모 하천 설계시에는 일반적으로 시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된 확률강우량을
토대로 강우강도식을 유도하며 또한, 설계홍수량이 최대가 되는 강우지속기간인 임계지속
기간 개념을 적용함에 있어서도 강우지속기간 간격을 시우량 자료와 동일한 1시간으로 적
용하고 있다. 따라서 실무에서는 실제 분석된 확률강우량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별
도로 강우강도식을 유도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중・대규모 하천의 경우에도 배수구조물 등에 필요한 짧은 강우지속기간에 대한
홍수량 산정을 위해서는 강우강도식의 산정이 필요하며, 하천기본계획의 강우분석 결과를
소하천정비기본계획이나 하수도정비기본계획에서 활용내지 참조하기 위해서는 강우강도식
을 유도하여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강우강도식의 형태로는 Talbot형, Sherman형, Japanese형, Semi-Log형 등과 같은 2
회귀상수 형태와 3회귀상수인 General형이 적용되어 왔으며, 최근 「확률강우량도 개선 및
보완 연구(국토해양부, 2011)」에서 제시되고 있는 전대수 다항식형 등이 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공식중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나는 형을 채택하는 것이 원칙이며, 회귀
상수의 개수가 많은 General형이나 전대수 다항식형의 상관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이들 두 가지 중에서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albot형 : I t   a

t b
·······························································(2.2)
Sherman형 : I t   tan ····································································(2.3)
Japanese형 : I t   
a
t  b
·························································(2.4)
Semi-Log형 : I t   a  b log   ··················································(2.5)
General형 : I t    n
a
t b
·····························································(2.6)
전대수다항식형 : ln I  a  bln t   cln t   dln t  ··········(2.7)
h h h
 eln th   f ln th   gln t h 
여기서 I t 는 강우지속기간에 따른 강우강도(mm/hr), t는 강우지속기간(min),
t 는 강우지속기간(hr), a b c d e f g n 등은 회귀상수이다.
h

전체 강우지속기간을 하나의 강우강도식으로 나타내기 곤란한 경우에는 단・장기간,


단・중・장기간으로 적절히 구분하여 강우강도식을 유도하여야 하며, 이와 같은 기간 구분시
에는 임계지속기간 부근에서 구분할 경우 불연속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임계지속기간 근처에서 구분하는 것은 지양하여야 한다.
-7-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2 장 강우 분석

2.5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일정한 강우지속기간 동안 내린 강우량은 호우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며,
면적강우량은 유역에 내린 총강우량을 유역면적으로 나눈 등가 우량깊이를 의미하므로 호우
중심으로부터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면적강우량은 점점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공간
분포 및 이동 등에 의하여 강우가 유역 전반에 걸쳐 동일한 형태로 발생하지 않으므로
유역의 면적강우량은 관측소의 지점강우량보다 작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확률강우량은 지점확률강우량과 면적확률강우량으로 구분되며, 유역면적이
25.9 km²(10 mi²) 이상인 경우에는 면적확률강우량을 적용하여야 한다.
면적확률강우량은 유역내에 여러 관측소가 존재할 경우 Thiessen 방법 등으로 가중평
균한 동시간 임의시간 면적강우량의 연최대치 계열을 작성하고 이를 빈도해석하는 절차로
산정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우리나라는 충분한 동시간 임의시간 강우량자료의 수집이 곤란
하므로 다른 방안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실무에서는 홍수량 산정지점별로 상류 유역면적에 대하여 관측소별 지점확률
강우량을 산정하고 이를 Thiessen 방법 등으로 가중평균한 지점평균확률강우량을 산정한
후, 여기에 면적우량환산계수(areal reduction factor, ARF)를 곱하여 면적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방안을 채택하고 있다.
기존 「한국확률강우량도 작성(건교부, 2000)」에서 면적우량환산계수를 다음과 같은 식
(2.8)의 형태로 제시한 바 있다.
ARF A     M ‧ exp   a A b   ······················································(2.8)
여기서 ARF(A)는 유역면적 A(km²)에 따른 면적우량환산계수이며 M, a, b는
면적우량환산계수 회귀식의 회귀상수(regression constant)이다.
하지만 동 보고서의 면적우량 환산계수는 면적 5,000 km² 이상 및 지속기간 24시간
이상에서는 적용범위를 벗어나며, 면적우량환산계수에 의한 강우량의 감소가 작은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실제 사용하기 곤란한다. 이에 따라 수자원실무에서는 개별 해당 유역에 대한
별도의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일관성에 대한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확률강우량도 개선 및 보완 연구(국토해양부,
2011)」에서는 4대강 권역별 면적우량환산계수를 기존 형태와 동일하게 새로 유도하였으며,
회귀식의 회귀상수는 <표 2.2>와 같다. 한편, 동 표의 지속기간별 회귀상수는 원 보고
서의 일부 오류(지속기간 및 재현기간별 역전 발생)를 수정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면적우량환산계수를 실제 유역에 적용할 경우 홍수량 산정지점별로 재현기간별 지속
기간별 면적우량환산계수를 산정한 후 이를 면적별 강우지속기간-면적우량환산계수 형태의
회귀곡선으로 유도하여 사용한다. 또한, 회귀상수가 제시되지 않은 지속기간 등은 인접
지속기간의 면적우량환산계수를 보간하여 산정하여야 한다.
-8-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2 장 강우 분석
<표 2.2> 면적우량환산계수 회귀식의 회귀상수
재현 지 속 기 간시간 ( )
기간 권역 매개
변수 1 2 3 4 6 9 12 15 18 24 48 72
(년)
한 M 1.2085 1.4664 1.7830 1.9837 2.7809 1.6750 2.6040 1.5264 1.6216 1.7500 1.9251 0.8000
a 0.0995 0.1013 0.1047 0.1001 0.1005 0.1001 0.0983 0.1001 0.1000 0.1001 0.1006 0.1000
강 b 0.2890 0.2424 0.2100 0.1999 0.1693 0.1870 0.1576 0.1758 0.1677 0.1606 0.1401 0.1686
낙 M 1.2563 1.5770 2.0323 2.4575 2.5303 1.8593 1.0509 1.0436 0.9000 1.6908 1.6519 1.6949
동 a 0.1356 0.1364 0.1405 0.1278 0.1194 0.1197 0.1103 0.1045 0.1063 0.1090 0.1065 0.1002
2 강 b 0.2483 0.2000 0.1639 0.1542 0.1509 0.1606 0.1998 0.1996 0.1999 0.1510 0.1455 0.1479
금 M 1.1000 1.3359 1.5680 1.4400 2.9403 1.7378 1.1730 1.4900 2.6000 2.5342 1.1196 1.0385
a 0.1010 0.1195 0.1148 0.1158 0.1257 0.1226 0.1028 0.1052 0.1030 0.1000 0.1000 0.1004
강 b 0.3100 0.2397 0.2150 0.2119 0.1447 0.1666 0.2050 0.1820 0.1500 0.1493 0.1740 0.1673
영 M 1.0016 1.0407 1.1347 1.2380 1.2274 1.3031 1.2490 1.4100 1.3450 1.1750 0.8500 0.3320
산 a 0.1282 0.1235 0.1188 0.1258 0.1319 0.1361 0.1354 0.1330 0.1330 0.1330 0.1104 0.1050
강 b 0.2991 0.2635 0.2383 0.2099 0.1905 0.1672 0.1614 0.1500 0.1500 0.1500 0.1800 0.2590
한 M 1.1350 1.2400 1.1910 1.3330 1.9990 1.6083 1.4901 1.2195 1.1000 1.5750 1.2858 0.7350
a 0.1033 0.1100 0.1000 0.1000 0.1003 0.1018 0.1002 0.1000 0.1001 0.1009 0.1038 0.1038
강 b 0.3088 0.2700 0.2747 0.2500 0.1998 0.2000 0.1951 0.2000 0.2000 0.1714 0.1599 0.1800
낙 M 1.1538 1.5340 1.4367 1.3740 1.5796 1.6508 0.9835 0.9084 0.9000 1.6271 1.5107 1.2900
동 a 0.1492 0.1500 0.1500 0.1430 0.1500 0.1496 0.1482 0.1393 0.1420 0.1432 0.1313 0.1370
5 강 b 0.2644 0.2000 0.1948 0.1960 0.1630 0.1526 0.1880 0.1950 0.1850 0.1374 0.1425 0.1400
금 M 1.1830 1.3680 1.7480 1.6350 2.5000 2.7800 2.4526 1.7300 2.2390 2.1172 1.2460 1.2122
a 0.1033 0.1146 0.1140 0.1158 0.1257 0.1226 0.1001 0.1002 0.1002 0.1019 0.1001 0.1037
강 b 0.3088 0.2550 0.2180 0.2150 0.1650 0.1550 0.1804 0.1960 0.1747 0.1679 0.1837 0.1736
영 M 0.9491 0.9555 1.0500 1.0930 1.5600 1.7800 1.6100 0.9000 0.6670 0.5900 0.6305 0.5138
산 a 0.1492 0.1238 0.1379 0.1392 0.1450 0.1387 0.1420 0.1310 0.1210 0.1210 0.1104 0.0966
강 b 0.3237 0.2947 0.2460 0.2250 0.1711 0.1550 0.1500 0.1960 0.2300 0.2350 0.2253 0.2575
한 M 1.1210 1.1030 1.2380 1.3900 1.9648 1.6118 1.5000 1.2400 1.1350 1.5730 1.2396 0.6650
a 0.1033 0.1000 0.1000 0.1000 0.1045 0.1045 0.1005 0.1005 0.1005 0.1000 0.1038 0.1038
강 b 0.3150 0.3060 0.2747 0.2500 0.1999 0.2000 0.1980 0.2010 0.1990 0.1750 0.1626 0.1900
낙 M 1.0694 1.0939 1.4363 1.3699 1.4900 1.5800 0.9298 0.9084 0.9000 1.4981 1.1109 1.2900
동 a 0.1500 0.1500 0.1482 0.1430 0.1460 0.1494 0.1480 0.1393 0.1420 0.1440 0.1385 0.1415
10 강 b 0.2822 0.2497 0.1997 0.1992 0.1768 0.1600 0.1971 0.1992 0.1896 0.1450 0.1581 0.1400
금 M 1.1840 1.3100 1.7600 1.7200 2.4600 4.1000 2.3502 2.3277 1.9867 1.7650 1.2400 1.1300
a 0.1009 0.1100 0.1150 0.1158 0.1257 0.1210 0.1009 0.1010 0.1006 0.1010 0.1010 0.1040
강 b 0.3150 0.2700 0.2200 0.2150 0.1700 0.1400 0.1855 0.1804 0.1850 0.1828 0.1883 0.1820
영 M 0.9194 0.9414 1.0050 1.1340 1.4240 1.8600 1.4590 0.9100 0.7010 0.5710 0.6459 0.5550
산 a 0.1493 0.1497 0.1497 0.1460 0.1414 0.1349 0.1381 0.1240 0.1210 0.1210 0.1173 0.0966
강 b 0.3433 0.2803 0.2460 0.2210 0.1843 0.1586 0.1629 0.2070 0.2300 0.2450 0.2245 0.2575
한 M 1.1000 1.1200 1.2630 1.4126 2.0379 1.6095 1.4678 1.1880 1.3768 1.5900 1.1720 0.8400
a 0.1003 0.1000 0.1000 0.1000 0.1054 0.1073 0.1027 0.1070 0.1104 0.1000 0.1070 0.1110
강 b 0.3250 0.3060 0.2747 0.2503 0.1982 0.1992 0.1992 0.1992 0.1785 0.1750 0.1630 0.1690
낙 M 1.0422 1.0262 1.4450 1.3699 1.5037 1.6400 0.9620 0.9069 0.8400 1.5295 1.0836 1.2900
동 a 0.1500 0.1492 0.1482 0.1448 0.1470 0.1494 0.1500 0.1482 0.1470 0.1481 0.1442 0.1440
20 강 b 0.2910 0.2644 0.2000 0.1992 0.1768 0.1610 0.1966 0.1961 0.1960 0.1437 0.1570 0.1410
금 M 1.2040 1.3300 1.7480 1.7650 3.2100 4.2460 2.3502 2.1998 1.6420 1.7600 1.8820 1.0392
a 0.1000 0.1100 0.1160 0.1158 0.1257 0.1210 0.1004 0.1006 0.1000 0.1010 0.1050 0.1074
강 b 0.3157 0.2700 0.2220 0.2150 0.1560 0.1400 0.1886 0.1865 0.2006 0.1850 0.1630 0.1868
영 M 0.9118 0.9600 1.0236 1.1700 1.4639 1.8320 1.2900 0.8650 0.6620 0.5880 0.6700 0.5800
산 a 0.1496 0.1497 0.1497 0.1460 0.1414 0.1332 0.1340 0.1240 0.1210 0.1210 0.1173 0.0966
강 b 0.3526 0.2790 0.2454 0.2210 0.1843 0.1624 0.1778 0.2140 0.2400 0.2450 0.2245 0.2590
-9-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2 장 강우 분석
<표 2.2> 면적우량환산계수 회귀식의 회귀상수(계속)
재현 지 속 기 간시간 ( )
기간 권역 매개
변수 1 2 3 4 6 9 12 15 18 24 48 72
(년)
한 M 1.0970 1.1330 1.2357 1.4126 2.0381 1.6094 1.4461 1.2088 1.3768 1.6000 1.2050 0.8350
a 0.1000 0.1000 0.1001 0.1008 0.1051 0.1087 0.1044 0.1067 0.1110 0.1000 0.1070 0.1116
강 b 0.3270 0.3051 0.2791 0.2509 0.1993 0.1986 0.1994 0.1991 0.1785 0.1750 0.1620 0.1692
낙 M 1.0390 1.0375 1.4030 1.3700 1.4900 1.6500 0.9624 0.9152 0.8350 1.5238 1.0812 1.2984
동 a 0.1500 0.1500 0.1490 0.1454 0.1494 0.1500 0.1488 0.1480 0.1470 0.1491 0.1491 0.1490
강 b 0.2927 0.2625 0.2040 0.2000 0.1774 0.1625 0.1991 0.1974 0.1980 0.1443 0.1543 0.1379
30
금 M 1.2070 1.3000 1.6350 1.7800 3.1750 4.3080 2.4200 1.9100 1.6340 1.8600 1.9100 1.0392
a 0.1000 0.1100 0.1140 0.1158 0.1257 0.1210 0.1004 0.1006 0.1000 0.1010 0.1050 0.1080
강 b 0.3157 0.2750 0.2320 0.2150 0.1570 0.1400 0.1886 0.1970 0.2020 0.1828 0.1630 0.1874
영 M 0.9047 0.9730 0.9970 1.1500 1.2650 1.8350 1.1750 0.8300 0.6650 0.5920 0.6900 0.5900
산 a 0.1492 0.1497 0.1500 0.1460 0.1380 0.1343 0.1320 0.1240 0.1210 0.1210 0.1173 0.0966
강 b 0.3589 0.2790 0.2500 0.2240 0.2011 0.1620 0.1881 0.2190 0.2400 0.2450 0.2230 0.2590
한 M 1.1050 1.1335 1.2350 1.4127 2.0381 1.6059 1.4434 1.2088 1.3600 1.6150 1.1706 0.8810
a 0.1012 0.1000 0.1001 0.1001 0.1055 0.1092 0.1047 0.1069 0.1110 0.1000 0.1091 0.1132
강 b 0.3245 0.3063 0.2796 0.2529 0.1997 0.1992 0.2000 0.1997 0.1800 0.1750 0.1619 0.1652
낙 M 1.0450 1.0233 1.3900 1.3584 1.5000 1.5500 0.9705 0.9070 0.8450 1.4241 1.0652 1.2984
동 a 0.1500 0.1500 0.1500 0.1492 0.1494 0.1490 0.1492 0.1490 0.1450 0.1487 0.1497 0.1494
강 b 0.2927 0.2663 0.2050 0.1990 0.1774 0.1690 0.2000 0.1990 0.2010 0.1500 0.1555 0.1384
50
금 M 1.2075 1.3090 1.6500 1.7470 3.2680 4.3700 2.5669 1.9100 1.7179 1.5550 1.9300 1.0500
a 0.1002 0.1100 0.1140 0.1158 0.1250 0.1210 0.1007 0.1006 0.1010 0.0990 0.1050 0.1080
강 b 0.3160 0.2750 0.2320 0.2180 0.1570 0.1400 0.1854 0.1980 0.1989 0.1980 0.1630 0.1880
영 M 0.9100 1.0100 1.0460 1.2200 1.3942 1.8853 1.1700 0.7900 0.6700 0.6400 0.7160 0.6000
산 a 0.1494 0.1497 0.1500 0.1498 0.1432 0.1337 0.1330 0.1240 0.1200 0.1210 0.1162 0.0966
강 b 0.3587 0.2750 0.2450 0.2149 0.1885 0.1615 0.1881 0.2250 0.2420 0.2400 0.2230 0.2590
한 M 1.0910 1.1350 1.1879 1.4128 2.0381 1.6059 1.4318 1.2229 1.3560 1.6280 1.1790 0.8810
a 0.1005 0.1009 0.1005 0.1005 0.1058 0.1095 0.1068 0.1072 0.1110 0.1000 0.1091 0.1146
강 b 0.3302 0.3064 0.2871 0.2533 0.2000 0.1996 0.1992 0.1990 0.1810 0.1750 0.1619 0.1646
낙 M 1.0480 1.0290 1.3400 1.3502 1.5080 1.5630 0.9892 0.9071 0.8530 1.4100 1.0810 1.2984
동 a 0.1500 0.1500 0.1500 0.1499 0.1494 0.1490 0.1498 0.1497 0.1450 0.1487 0.1500 0.1498
강 b 0.2939 0.2663 0.2100 0.1998 0.1774 0.1690 0.1989 0.1997 0.2010 0.1515 0.1548 0.1387
80
금 M 1.2000 1.2400 1.6600 1.7600 3.3000 2.8140 2.2991 1.9280 1.7200 1.5650 1.9500 1.0490
a 0.1004 0.1150 0.1140 0.1158 0.1250 0.1210 0.1008 0.1006 0.1009 0.0990 0.1050 0.1080
강 b 0.3180 0.2810 0.2320 0.2180 0.1570 0.1650 0.1928 0.1980 0.1997 0.1980 0.1630 0.1890
영 M 0.9080 0.9500 1.1120 1.2230 1.7500 1.9200 1.1580 0.7850 0.6900 0.6530 0.7430 0.6110
산 a 0.1498 0.1550 0.1500 0.1500 0.1499 0.1337 0.1350 0.1240 0.1200 0.1210 0.1162 0.0966
강 b 0.3630 0.2880 0.2391 0.2150 0.1660 0.1610 0.1881 0.2260 0.2410 0.2400 0.2220 0.2590

- 10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2 장 강우 분석
<표 2.2> 면적우량환산계수 회귀식의 회귀상수(계속)
재현 지 속 기 간시간 ( )
기간 권역 매개
변수 1 2 3 4 6 9 12 15 18 24 48 72
(년)
한 M 1.0910 1.1200 1.1880 1.4128 2.0596 1.6220 1.4318 1.2230 1.3400 1.6310 1.1830 0.8800
a 0.1008 0.1000 0.1008 0.1007 0.1066 0.1103 0.1069 0.1073 0.1110 0.1000 0.1091 0.1146
강 b 0.3304 0.3108 0.2872 0.2533 0.1987 0.1984 0.1994 0.1992 0.1820 0.1750 0.1619 0.1649
낙 M 1.0550 1.0320 1.2530 1.3502 1.3460 1.5520 0.9880 0.9100 0.8580 1.4150 1.0810 1.2984
동 a 0.1500 0.1500 0.1500 0.1500 0.1499 0.1490 0.1500 0.1500 0.1450 0.1487 0.1500 0.1500
강 b 0.2939 0.2663 0.2190 0.2000 0.1880 0.1700 0.1994 0.2000 0.2010 0.1515 0.1550 0.1387
100
금 M 1.2040 1.2550 1.6650 1.7350 3.3100 2.8290 2.2300 1.9370 1.6400 1.5950 1.9300 1.0300
a 0.1004 0.1150 0.1140 0.1158 0.1250 0.1210 0.1010 0.1006 0.1000 0.1010 0.1050 0.1080
강 b 0.3190 0.2800 0.2320 0.2200 0.1570 0.1650 0.1950 0.1980 0.2050 0.1950 0.1640 0.1905
영 M 0.9020 0.9880 1.0300 1.2050 1.7750 1.9200 1.1600 0.8080 0.6900 0.6550 0.7540 0.6150
산 a 0.1492 0.1592 0.1600 0.1490 0.1500 0.1340 0.1350 0.1240 0.1200 0.1210 0.1162 0.0966
강 b 0.3680 0.2780 0.2460 0.2180 0.1650 0.1610 0.1881 0.2240 0.2420 0.2410 0.2210 0.2600
한 M 1.0917 1.1253 1.1935 1.4127 2.0597 1.6221 1.4318 1.2233 1.3250 1.6400 1.1870 0.8840
a 0.1000 0.1000 0.1000 0.1001 0.1069 0.1098 0.1076 0.1077 0.1110 0.1000 0.1091 0.1146
강 b 0.3325 0.3108 0.2892 0.2551 0.1991 0.1996 0.1994 0.1992 0.1830 0.1750 0.1619 0.1649
낙 M 1.0469 1.0300 1.2097 1.3686 1.3100 1.5550 0.9880 0.9604 0.8630 1.4250 1.0623 1.2984
동 a 0.1500 0.1500 0.1500 0.1500 0.1499 0.1490 0.1500 0.1498 0.1450 0.1487 0.1500 0.1500
강 b 0.2974 0.2670 0.2241 0.2000 0.1911 0.1700 0.2000 0.1960 0.2010 0.1515 0.1568 0.1394
200
금 M 1.2090 1.2570 1.4700 1.6430 3.4000 2.8190 2.2400 1.9885 1.6300 1.5900 1.9150 1.0400
a 0.1004 0.1150 0.1090 0.1150 0.1250 0.1210 0.1010 0.1004 0.1000 0.1010 0.1050 0.1080
강 b 0.3180 0.2800 0.2530 0.2270 0.1560 0.1660 0.1950 0.1971 0.2060 0.1960 0.1650 0.1905
영 M 0.8900 0.9880 1.0260 1.2190 1.7800 1.9050 1.1650 0.8300 0.6860 0.6540 0.7430 0.6030
산 a 0.1492 0.1592 0.1600 0.1490 0.1500 0.1350 0.1350 0.1240 0.1200 0.1210 0.1162 0.0966
강 b 0.3770 0.2790 0.2470 0.2170 0.1650 0.1610 0.1881 0.2220 0.2430 0.2420 0.2230 0.2650
한 M 1.0918 1.1255 1.1936 1.4128 2.0607 1.6221 1.4340 1.2238 1.3360 1.7100 1.1960 0.8940
a 0.1004 0.1006 0.1006 0.1007 0.1077 0.1110 0.1083 0.1084 0.1110 0.1000 0.1091 0.1146
강 b 0.3330 0.3115 0.2899 0.2555 0.1990 0.1992 0.1992 0.1994 0.1830 0.1732 0.1619 0.1649
낙 M 1.0533 1.0300 1.1670 1.3840 1.2320 1.5450 1.0020 0.9825 0.8730 1.4400 0.9334 1.3110
동 a 0.1500 0.1500 0.1500 0.1500 0.1500 0.1490 0.1500 0.1496 0.1450 0.1487 0.1500 0.1500
강 b 0.2973 0.2680 0.2300 0.2000 0.1980 0.1710 0.2000 0.1954 0.2010 0.1515 0.1670 0.1394
500
금 M 1.1880 1.2620 1.4820 1.6610 3.1200 2.8580 2.2550 2.0170 1.6070 1.5500 1.9350 1.0550
a 0.1004 0.1150 0.1090 0.1150 0.1250 0.1210 0.1010 0.1004 0.1000 0.1010 0.1050 0.1080
강 b 0.3230 0.2800 0.2530 0.2270 0.1620 0.1660 0.1950 0.1971 0.2080 0.1987 0.1650 0.1905
영 M 0.8830 0.9850 1.0200 1.1670 1.7700 1.8800 1.1400 0.8500 0.7900 0.6450 0.7280 0.6060
산 a 0.1500 0.1592 0.1600 0.1510 0.1500 0.1370 0.1350 0.1350 0.1350 0.1210 0.1162 0.0980
강 b 0.3832 0.2810 0.2490 0.2220 0.1660 0.1610 0.1910 0.2110 0.2150 0.2450 0.2260 0.2650
주) 「확률강우량도 개선 및 보완 연구(국토해양부, 2011)」의 오류를 수정한 회귀상수
- 11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2 장 강우 분석

2.6 설계강우 시간분포


확률강우량 등과 같은 설계강우의 경우에는 시간분포를 알 수 없으므로 인위적으로 분포
시키는 방법을 적용하며, 시간분포는 설계홍수량 수문곡선의 모양과 첨두홍수량의 크기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다.
설계강우의 시간분포를 위해 실무에서 주로 적용하고 있는 방법은 Huff 방법으로, 이
방법은 강우기록의 통계학적 분석을 통하여 제시된 무차원누가곡선으로 강우를 분포시키는
방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존 「지역적 설계강우의 시간적 분포(건교부, 2000)」를 보완한 최근
연구인 「확률강우량도 개선 및 보완 연구(국토해양부, 2011)」에서 제시되어 있는 1∼4분
위별로 확률 10∼90 %인 9가지 형태의 무차원 누가곡선을 이용하여 누가강우량의 시간
분포를 결정하면 된다.
Huff 방법 적용시 중요한 분위 채택에 있어서 기존 「지역적 설계강우의 시간적 분포
(건교부, 2000)」에서는 최빈분위 채택을 제시한 바 있으나, 최빈분위는 단지 강우의 산술
적인 발생빈도가 약간 높은 정도이어서 높은 빈도의 홍수량 산정에서 이를 적용하는 것은
무의미하며, 대부분의 최빈분위인 2분위의 경우 초기손실이 많이 발생하여 홍수유출량이
작게 산정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어 왔다.
「확률강우량도 개선 및 보완 연구(국토해양부, 2011)」에서는 단지 강우분석만이 아니라
홍수량 산정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3분위를 실무적 안전측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제안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되므로 향후 Huff 분위는 3분위 채택을 원칙으로
제시하였다.
한편, 분위별 확률 10∼90 %인 9가지 형태의 무차원 누가곡선 중에서는 일반적으로
첨두 강우강도가 해당분위의 가운데에서 발생하는 50 %를 주로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준으로 무차원 누가곡선이 채택되면 이를 이용하여 계산 시간간격 크기로
구간별 강우량을 산정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무차원 누가곡선은 10 % 간격으로 작성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보간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여야 한다.
회귀분석의 차수는 일률적으로 6차식 등으로 고정할 것이 아니라 5∼7차 정도에서 실제
회귀가 더 잘되는 차수를 채택함으로써 6차식으로만 유도할 경우 간혹 지속기간의 꼬리
부분에서의 역전현상으로 인한 홍수량 산정 결과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여야 한다.
무차원곡선은 원자료가 아닌 회귀식으로 나타내어 회귀의 정도를 직접 알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회귀식의 사용시 마지막 구간인 시간 100 %에서의 무차원강우량이 100 %가
아닌 부분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게 된다.

- 12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3 장 홍수량 산정지점 선정 및 유역특성인자의 산정

제 3 장 홍수량 산정지점 선정 및 유역특성인자의 산정


3.1 홍수량 산정지점 선정
홍수량 산정지점은 소유역 분할과 일정부분 관계를 가지며, 지점별로 결정된 홍수량은
지점을 포함한 상류쪽의 홍수량 산정지점까지의 대표치로서 해당지점의 유역특성인 강우량,
강우분포, 유로연장, 하상경사, 유역면적 등을 포함한 복합적인 유역의 반응을 대표하는
수문량이다. 이러한 홍수량을 홍수량 산정지점별 입력자료로 하여 하도의 수리수문학적

안정성을 결정하기 위한 홍수위 산정 등을 시행한다.
따라서, 홍수량 산정지점 간격을 너무 길게 결정하면 상류의 홍수위가 과다 산정될
우려가 있는 점을 감안하여야 하며 후술되는 소유역 분할에 따른 문제점과의 연계도 미리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홍수량 산정지점은 유역 상하류의
‧ 홍수량 변화를 파악할 수 있
을 정도의 구간 설정, 지류합류점 및 주요구조물 지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하므로 다
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선정하도록 한다.
① 과거 홍수량 산정지점, 주요 지류합류점, 수위표 지점, 치수계획에 필요한 지점을
중심으로 선정하며, 주요 지류와 본류의 합류점의 경우 지류의 영향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합류 전후‧ 모두를 채택한다.
② 지형특성 및 하도특성을 고려한다.
③ 홍수량 산정지점 선정시 대유역은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의 중요지점, 특히 지방하천
은 일정규모 이상 하천의 하구부의 홍수량을 산정하고, 피해위험성이 큰 도시 및
인구밀집지역이 포함된 지류 하천의 경우 홍수방어대책수립이 용이하도록 산정지
점을 좀 더 세분화하여 선정할 수 있다.
④ 홍수조절지, 방수로, 강변저류지 등과 같은 홍수방어대안이 계획되어 있거나 홍수조
절효과를 판단할 수 있는 지점에 대해서도 산정지점으로 결정한다.

3.2 유역특성인자 산정
유역특성인자로는 유역면적, 유로연장, 유로경사, 형상계수 등이 있으며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산정하여야 한다.
유로연장은 유역의 출구로부터 유역의 최원점까지의 연장을 채택하며, 유로경사는
적절한 구간별로 나누어 계산한 후 구간별 도달시간 산정시 이용한다.
측량 자료 이용이 가능할 경우 측점별로 구간별 도달시간을 구하고 측량구간 외에는
수치지형도를 적절히 구간분할하여 구간별 도달시간을 산정하고 이를 모두 합하여 소유역
전체의 도달시간을 산정한다.

- 13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4장 유효우량 산정

제 4 장 유효우량 산정
유효우량은 단위도를 이용하여 직접유출수문곡선을 계산하기 위하여 설계우량의 시간
적 분포에서 침투에 의한 손실우량을 제외하는 방식으로 산정한다.
현재 수자원실무에서 대부분 사용하고 있는 미국 SCS(현재 NRCS) 방법을 채택하고, 미
국 SCS 방법의 우리나라 적용을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적용한다.
4.1 미국 SCS의 유출곡선지수 결정 기준 및 국내 적용상의 문제점
가. 미국 SCS 유출곡선지수 결정 기준
유효우량 산정을 위한 SCS방법에서 유출곡선지수(CN)는 대상유역의 토지이용상태,
식생피복처리상태, 수직배수 능력을 나타내는 수문학적 조건 및 토양군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된다.
SCS 유효우량 산정법에서의 토지이용상태는 크게 재배농경지, 기타농경지, 도시지역
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식생피복의 처리상태는 직선열 경작지, 등고선 경작지, 테라스식
경작지로 구분하고, 수문학적 조건은 수직배수가 불량하여 유출률이 높은 불량(poor), 수직
배수가 보통이어서 유출률이 중간인 보통(fair), 수직배수가 양호하여 유출률이 낮은 양호
(good)로 구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수치토지이용도 및 환경부에서 작성한
수치토지피복도 등을 활용하여 토지이용상태를 고려한 유출곡선지수를 산정할 수 있으나,
SCS 분류방법과 우리나라 수치도의 분류 기준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므로, 유사기준을
적용하고, 수문학적 조건 또한, 판단기준(통상 “육안으로 판단한다”로 정의됨)이 명확하지
않아, 설계안전 차원에서 유출률이 높은 불량(poor) 조건을 주로 채택하고 있으므로,
추후 관련 연구성과 또는 수위 관측지점에서의 검보정을 ‧ 통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다.
수문학적 토양군은 A, B, C, D 4개 종류로 분류되며 토양군별 침투능의 크기는 A, B,
C, D 순이므로 유출률은 반대로 D, C, B, A 순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토양군별 면적 구분에는 일반적으로 농림부 산하 농업과학기술원에서
제작한 축척 1:25,000 이상인 수치화된 정밀토양도를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역에
산재하여 있는 토양 종류는 약 1,200여 가지로 조사된 바 있고, 각각 토양부호 및 개별 토
양부호별로 수문학적 토양형(A, B, C, D) 중의 하나로 분류되도록 되어 있다.
토지이용상태, 피복처리상태, 수문학적 조건 및 토양군에 따른 미국 SCS의 유출곡선
지수 산정 기준은 농경지역은 <표 4.1>, 도시지역은 <표 4.2>와 같다. 이와 같은 유출곡선
지수는 선행함수조건인 AMC-Ⅱ 조건이므로 실제 분석에 적용할 경우에는 AMC-Ⅲ 조건
등으로 변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 14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4장 유효우량 산정
<표 4.1> 미국 SCS의 농경지역 유출곡선지수(AMC-II 조건)
토지이용상태 피복처리상태 수문학적 토양군
조 건 A B C D
휴경지(fallow) 직선열 경작(straight row) - 77 86 91 94
직선열 경작 불 량 72 81 88 91
(straight row) 양 호 67 78 85 89
이랑경작지 등고선 경작 불 량 70 79 84 88
(row crops) (contoured) 양 호 65 75 82 86
혼합식 경작 불 량 66 74 80 82
(contoured&terraced) 양 호 62 71 78 81
직선열 경작 불 량 65 76 84 88
(straight row) 양 호 63 75 83 87
조밀경작지 등고선 경작 불 량 63 74 82 85
(small grains) (contoured) 양 호 61 73 81 84
혼합식 경작 불 량 61 72 79 82
(contoured&terraced) 양 호 59 70 78 81
직선열 경작 불 량 66 77 85 89
조밀식재 (straight row) 양 호 58 72 81 85
콩과식물경작지(close
-seeded또는legumes) 등고선 경작 불 량 64 75 83 85
윤번초지(rotation (contoured) 양 호 55 69 78 83
meadow) 혼합식 경작 불 량 63 73 80 83
(contoured&terraced) 양 호 51 67 76 80
불 량 68 79 86 89
자연목초지(pasture)
또는 목장(range) 가축 방목을 위한 초지 보 통 49 69 79 84
양 호 39 61 74 80
초지(meadow) 등고선 경작 양 호 30 58 71 78
불 량 45 66 77 83
수림(woods) 마을에 가까운 조성림 등이 보 통 36 60 73 79
해당
양 호 25 55 70 77
농가(farmsteads) 불투수면적 약 30% 정도 - 59 74 82 86
수면(watersurface) 하천, 호소 - 100 100 100 100
- 15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4장 유효우량 산정
<표 4.2> 미국 SCS의 도시지역 유출곡선지수(AMC-II 조건)
토지이용상태 피복처리상태 수문학적 토양군
조 건 A B C D
불 량 68 79 86 89
개활지
(open space) 잔디, 공원, 골프장, 묘지 등 보 통 49 69 79 84
양 호 39 61 74 80
상업 및 사무실지역
(불투수면적 85%) - 89 92 94 95
도시지구
(urban districts) 공업지역72%)
(불투수면적 - 81 88 91 93
소구획
(불투수면적500m²65%)
이하 - 77 85 90 92
소구획 500m²∼1,000m²
(불투수면적 38%) - 61 75 83 87
주거지구 소구획 1,000m²∼30%)
(불투수면적 1,320m² - 57 72 81 86
(residential
districts) 소구획 1,320m²∼25%)
2,000m² -
(불투수면적 54 70 80 85
소구획 2,000m²∼20%)
(불투수면적 4,000m² - 51 68 79 84
소구획 4,000m²∼12%)
(불투수면적 8,000m² - 46 65 77 82
포장도로 및 가로 - 98 98 98 98
포장 : 연석아래 우수관거설치 - 83 89 92 93
(streets도로
& roads) 포장 : 개거, 자갈도로 - 76 85 89 91
흙도로 - 72 82 87 89
불투수지역area)
(impervious 포장된 주차장, 지붕, 접근도로 - 98 98 98 98
개발중인 지역
(developing area) 택지개발, 단지개발 등 - 77 86 91 94
나. 우리나라 적용상의 문제점
미국 SCS의 유출곡선지수 결정 기준을 우리나라에 적용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주요
문제점은 다음과 같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
• 직파재배가 아닌 담수재배하는 논에 대한 CN 기준 미제시
• 우리나라의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산림에 대한 CN 기준 미포함
• 우리나라 토지이용 형태에 적합한 미국 SCS 기준의 토지이용상태와 피복처리상태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는 기준 미흡
• 초기손실이 최대잠재보유수량의 20%인 관계로 고정(I  S)되어 있어 제주도와
a

같은 투수성 지반에는 별도 기준 필요
- 16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4장 유효우량 산정

4.2 국내 실무적용을 위한 유출곡선지수 산정 방법


가. 토양군 분류
우리나라 수문학적 토양군의 분류는 과거에는 「유출률 추정을 위한 토양 수문군의 분류
(정정화와 장승표 등, 1995)」의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이를 개선한 연구인
「투수속도 측정에 기반한 수문학적 토양유형의 분류(농업과학기술원, 2007)」의 분류 방법을
주로 적용하고 있다. 두 방법의 결과가 다소 상이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일관성
확보 차원에서 최신 연구 결과인 농업과학기술원의 분류 방법을 적용한다.
농업과학기술원의 분류 방법은 우리나라 전역에 산재하고 있는 1,200여개의 토양통에
토양부호를 붙이고 토양의 침투율을 고려하여 개별 토양부호별로 SCS의 4가지 수문학적
토양군인 A, B, C, D 중의 하나로 분류하고 있다.
나. 유출곡선지수 기준 조정

1) 논의 유출곡선지수

우리나라 논의 경우 홍수기에 담수상태이므로 「논의 유출곡선번호 추정(임상준 등, 한국


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0권 제6호, 1997.8)」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토양군에 관계없이
CNⅡ(AMC-Ⅱ 조건)를 79로 적용한다.
기존 「하천정비기본계획수립 및 하천대장작성 업무처리요령(건설교통부, 2001)」에서
AMC-Ⅱ의 78을 제시한 결과 실무에 혼선을 초래하였으나, 향후 79로 통일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산림의 유출곡선지수

미국 SCS 유출곡선지수 기준에는 주거지 인근 숲인 수림(woods)은 제시되어 있는 반면


자연하천유역의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산림(forest)의 경우 제시되지 않고 있다.
산림의 유출곡선지수는 미국 산림청(U.S. Forest Service)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부식토의 깊이(humus depth, H) 및 압밀정도(compactness factor, C)에 따라 <그림 4.1>
에서 산림의 수문학적 조건의 등급(hydrologic condition class, HC)을 결정하고, <그림
4.2>에서 산림의 수문학적 조건의 등급별, 토양군별 유출곡선지수를 산출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실무에서는 산림의 수문학적 조건의 등급을 유출이 가장 높은
HC=1을 대부분 적용하여 왔으나 이는 현재 우리나라의 산림의 조건과 차이가 크므로 개선
이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분석대상 유역 산림의 수문학적 조건의 등급을 제대로 결정할 수
없는 실정이므로 실무적으로 적절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 17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4장 유효우량 산정

<그림 4.1> 산림의 수문학적 조건의 등급 결정

<그림 4.2> 산림의 수문학적 조건 등급에 따른 CN 결정

미국 SCS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을 살펴보면 산림(forest)과 상대적으로 유사한 수림


(woods)이 있으며, 우리나라는 설계안전 차원에서 수문학적 불량(poor) 조건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 경우의 유출곡선지수가 <그림 4.2>에서 산림의 수문학적 조건 등급 HC=2.25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18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4장 유효우량 산정
이를 토대로 산림의 유출률이 수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점 등을 감안한다면 산림의
수문학적 조건 등급(HC)은 수림보다 유출률이 높은 조건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또한,
유출률이 가장 높은 HC=1은 지나치게 과대한 점 등을 고려하여 산림의 수문학적 조건 등
급 HC=2를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산림의 수문학적 조건 등급 HC=2를 적용할 경우 산림의 유출곡선지수는 A Type 48,
B Type 69, C Type 79, D Type 85이다.
다. 국내 토지이용 분류기준 적용시 유출곡선지수 결정 방법
미국 SCS 기준의 토지이용상태와 피복처리상태의 조합에서 우리나라 토지이용 형태에
적합한 조건을 채택하는 기준이 모호하므로 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
하다.
우리나라에서 유출곡선지수 산정에 활용가능한 토지이용현황 자료로는 국토해양부 산하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수치토지이용도와 환경부 산하 정보화담당관실에서 제공하는
수치토지피복도 등이 있다.
우리나라 수치토지이용도와 미국 SCS 방법의 토지이용분류 기준을 비교하면 <표 3.3>
과 같고, 수치토지피복도와 수치토지이용도의 분류기준을 비교하면 <표 4.4>와 같다.
미국 SCS의 유출곡선지수 기준인 <표 4.1>, <표 4.2>와 토지이용 분류기준
비교표인 <표 4.3>, <표 4.4>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치토지이용도 및 수치토지
피복도의 분류기준별 유출곡선지수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인 우리나라 토지이용 분류기준
에 따른 유출곡선지수 기준을 <표 4.5>와 같이 제시하였다.
한편, 우리나라 토지이용 세분류에 적합한 유출곡선지수 기준의 세분화는 추후 연구
과제에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라. 선행토양함수조건 고려 방법
선행토양함수조건은 설계안전을 고려하여 유출률이 가장 높은 AMC-Ⅲ 조건을 적용하
여 CNⅢ를 채택한다.
예외적으로 제주도와 같은 특수한 지형(숨골, 곶자왈 등 투수성 지층)에는 CNⅡ를 채
택하고 아울러 초기손실도 Ia=0.2S에서 대폭 상향 조정(Ia=0.4S 이상)하는 방법을 도입하
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편,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추후 연구과제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 19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4장 유효우량 산정
<표 4.3> 우리나라 수치토지이용도와 SCS의 토지이용분류 비교
지역구분 중분류 세분류 SCS분류 비고
논 - 경지정리답
- 미경지정리답
밭 - 보통・특수작물 - row crops(이랑 경작지)
- 과수원, 기타 - small grains(조밀 경작지)
- close-seeded legumes or
rotation meadow(조밀식재
초지 - 자연초지 콩과식물 또는 윤번초지)
농경지역 - 인공초지 - pasture or range(자연목초지
및 또는 목장)
산림지역 - meadow(초지)
- 침엽수림
임목지 - 활엽수림 - forest(산림)
- 혼합수림
주거지 및 - 나대지 및 인공녹지 - woods(수림)
상업지
교통시설 -- 도로
철도 및 주변지역 - roads(도로)
- 골프장
임지 - 공원묘지 - 개활지잔디
( , 공원, 골프장,
(기타) - 문화재 및 유원지 공원묘지)
- 암벽 및 석산
- 도로와 길
교통시설 -- 도로
철도 및 주변지역 - 불투수지역주차장
( , 지붕,
접근로)
도시지역 주거지 및 -- 일반주택지 - 주거지(500 m² 이하)
상업지 - 고층주택지
상업 및 업무지 - 도시지역상업
( 및 사무실지역)
공업지 -- 공업용지
공업나지, 기타 - 공업지역
- 발전시설
공공시설 -- 처리장
교육군사시설 - 주거지역(1,000 m² 이상)
- 공공용지
주) 자료: 수문학(청문각, 2008)
- 20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4장 유효우량 산정
<표 4.4> 수치토지피복도 및 수치토지이용도 분류기준 비교
수치토지피복도 수치토지이용도 수치토지피복도 수치토지이용도
(23단계, 환경부) (37단계, 국토해양부) (23단계, 환경부) (37단계, 국토해양부)
중분류 코드번호 세분류 코드번호 중분류 코드번호 중분류 코드번호
주거지역 110 일반주택지 3110 활엽수림 310 활엽수림 2220
고층주택지 3120 침엽수림 320 침엽수림 2210
공업지역 120 공업시설 3310 혼효림 330 혼효림 2230
상업지역 130 상업업무지역 ・ 3130 자연초지 410 자연초지 2110
위락시설지역 140 유원지 2330 골프장 420 골프장 2310
도로 3210 인공초지 2120
기타초지 430
철로및주변지 3220 공원묘지 2320
교통지역 150
공항 3230 내륙습지 510 - -
항만 3240 갯벌 4110
연안습지 520
발전시설 3410 염전 4120
처리장 3420 채광지역 3520
채광지역 610
교육군사시설
‧ 3430 광천지 3540
공공시설지역 160
공공용지 3440 암벽 및 석산 2340
매립지 3530 나대지및인공 3140
기타 나지 620
댐 4320 공업나지기타・ 3320
경지정리답 1110 백사장 4410
논 210
미경지정리답 1120 하천 4210
내륙수 710
밭 220 보통특수작물
・ 1210 호소 4310
하우스재배지 230 - -
과수원 240 과수원・기타 1220 해양수 720 - -
기타재배지 250 가축사육시설 3550
주) 자료: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지도 구축(환경부, 2005)
- 21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4장 유효우량 산정
<표 4.5> 우리나라 토지이용 분류기준에 따른 유출곡선지수 기준(AMC-Ⅱ 조건)
수치토지이용도 수치토지피복도 토양군 비고
세분류 코드번호 중분류 코드번호 A B C D (SCS 분류기준 등)

- 22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4장 유효우량 산정
마. 유출곡선지수 산정 절차
전술한 기준과 GIS 자료를 이용하여 홍수량 산정지점별로 평균유출곡선지수를 산정하며,
그 절차를 도시하면 <그림 4.3>과 같다.

유역도 토지피복도 정밀토양도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토양도 레스터 변환


중첩에 의한 셀별 CN 산정 소유역별 평균 CN 산정
<그림 4.3> 유출곡선지수(CN) 산정 절차
- 23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5장 홍수량 산정방법 채택 및 유역추적 매개변수 산정

제 5 장 홍수량 산정방법 채택 및 유역추적 매개변수 산정


5.1 홍수량 산정 방법 채택
본 산정요령에서는 설계강우-유출 관계 분석 방법에 의한 설계홍수량 산정 방법을 채택
하였으며, 이 방법에서는 설계강우를 우선 결정하고 유역의 대표단위도를 적용하여 직접
유출수문곡선을 계산한 후 기저유량을 더하여 설계홍수수문곡선을 결정하는 것이 원칙이다.
유역의 대표단위도는 다수의 호우 사상별 강우-유출 자료로부터 유도될 수 있으나, 실무
에서는 자료의 제약 때문에 관측자료로부터의 단위도 유도가 곤란하므로 대부분의 경우
미계측 유역에 적용하는 합성단위도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합성단위도 방법에는 Clark, SCS, Snyder, Nakayasu(中安) 단위도법 등이 있다.
이 중 Clark, SCS, Snyder 단위도법은 미국에서 개발된 방법으로 미국육군공병단의
수문공학연구소(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HEC)에서 개발한 HEC-1(혹은
HEC-HMS) 프로그램에 홍수량 산정 알고리즘이 내장되어 있으며, Nakayasu 종합단위도
법은 단위도 개념을 도입하여 일본에서 개발된 방법이다.
상기 4가지 단위도법 중 SCS 단위도법은 미국내 여러 농경유역에서 개발된 단위도를
무차원화한 합성단위도를 사용하며, Snyder 단위도법은 미국 Appalachia 산맥 지역의 유역
들에서 개발된 단위도의 매개변수를 유역특성인자의 항으로 표시하여 단위도를 합성하는
방법이며, Nakayasu 종합단위도법은 일본의 다수유역의 강우-유출 자료를 분석하여 유도
한 합성단위법이다.
따라서 이들 3가지 방법은 모두 단위도가 유도된 유역의 지역성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유역에서의 적용성에 대한 신뢰도가 문제로 여겨져 왔다.
Clark 단위도법은 순간단위도 원리를 이용한 유역추적방법으로 유역의 도달시간과
유역의 저류능을 대표하는 유역저류상수 등 2개의 매개변수의 결정만으로 단위도를 합성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3가지 방법과는 달리 지역성을 가지지 않는 비교적 객관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 이후 수문실무에서 상기 4가지 방법으로 산정한 홍수량을 비교
하여 최적치를 채택하여 왔으나, 대부분의 경우 Clark 단위도법으로 산정된 홍수량을 채택
해 왔다.
따라서 본 산정요령에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산정한 홍수량의 비교평가에서 ‧ 오는
번잡함을 피하고 일관성과 객관성이 대체로 입증되어 온 Clark 단위도법을 홍수량 산정
방법으로 채택한다.

- 24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5장 홍수량 산정방법 채택 및 유역추적 매개변수 산정

5.2 경험공식에 의한 유역추적 매개변수 산정


금회 채택한 Clark 단위도법은 도달시간(Tc)과 유역저류상수(K) 등 2개를 매개변수로
하는 단위도법이다. 이들 매개변수의 결정은 미계측유역에는 경험공식을 적용하여 산정
하며, 계측유역에는 매개변수 검정(calibration)을 통한 결과를 이용할 수 있으나 검정은
아직까지 실제 적용시 신뢰도가 높지 않은 실정임을 감안하는 것이 필요하다.
5.2.1 도달시간 산정
가. 도달시간의 정의
도달시간(travel time) 혹은 집중시간(time of concentration)은 유역의 최원점에서
하도의 시점까지 표면류 흐름(overland flow)의 유하시간과 하도시점에서 하도종점까지의
하도흐름의 유하시간의 합으로 정의되며, 표면류 흐름의 유하시간과 하도흐름의 유하시간
은 산정 방법을 달리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실무에서는 유역의 최원점에서 하도시점까지 표면류 흐름의 유하시간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중규모 이상 하천유역의 경우 전체 도달시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은 점,
하도시점이 지도축척에 따라 달라지는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유역의 최원점에서 하도종점
까지의 유하시간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산정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도달시간은 유역의 최원점에서 하도종점까지의 유하시간을 동일한 방법으로
산정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방식을 적용할 경우 구간을 적절히
구분하여 처리할 필요가 있다.
나. 하천 경사의 산정 및 도달시간 구간 분할 방법
경사 산정 방법은 단순경사와 등가경사(equivalent slope) 중 등가경사 방법을 채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도달시간 산정을 위한 구간 분할시에는 유역최원점에서 유역출구점까지 종단도를 그린
후 유역의 경사 변화를 반영할 수 있도록 고려하면서 경사가 유사한 구간을 하나의 구간
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적절할 개소수로 분할하되, 추가적으로 홍수량 산정에서 고려하는
지류 합류점 및 주요 구조물 지점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구간을 분할한 후 구간별 도달시간의 합으로 전체 도달시간을 산정하는
방법과 전체 등가경사를 계산한 후 전체 구간에 대한 도달시간을 한꺼번에 산정하는 방법
이 있다.
두 가지 방법 중에서 구간별 도달시간을 합하여 산정하는 방법이 물리적으로 보다
타당성을 가지는 방법이며, 이 방법의 경우 구간을 적절하게 분할하는 것이 중요하다.
- 25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5장 홍수량 산정방법 채택 및 유역추적 매개변수 산정
다. 기존 도달시간 공식 검토

자연하천유역의 도달시간 산정에는 다음과 같이 외국에서 개발된 Kirpich 공식, Rziha


공식, Kraven 공식(Ⅰ), Kraven 공식(Ⅱ) 등의 경험공식들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 Kirpich 공식: 농경지 소유역을 대상으로 유도된 공식
c
S


T   L ·····························································································(5.1)

• Rziha 공식: 자연하천의 상류부(S≥1/200)에 적용되는 공식


c
S 
T   L ································································································(5.2)

• Kraven 공식(Ⅰ): 자연하천의 하류부(S<1/200)에 적용되는 공식


L
T   
c
S 
······························································································(5.3)
• Kraven 공식(Ⅱ): 자연하천의 경사별 유속을 적용하는 공식
L
V ···································································································(5.4)
T   
c

(S<1/200:V=2.1m/s, 1/200≦S≦1/100 :V=3.0m/s, S>1/100:V=3.5m/s)


여기서 T 는 도달시간(min), L은 유로연장(km), S는 평균경사(무차원), V는
c

평균유속(m/s)이다.
기존 도달시간 경험공식을 대상유역에 적용하여 보면 대부분 산정 결과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나지만 적절한 채택 기준은 아직까지 제시되지 않고 있으므로, 유속을 토대로
도달시간을 산정하는 Kraven(Ⅱ) 공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라. 신규 도달시간 공식 제안
현재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Kraven(Ⅱ) 공식의 경우 경사구간별 유속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유속의 불연속이 발생하게 되며, 경사가 매우 완만한 구간 및 경사가
매우 급한 구간에는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점 등을 가지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급경사부의 유속은 기존 소하천정비종합계획 내용을 참조하고
완경사부의 유속은 「금강유역종합치수계획 보고서(국토해양부, 2008)」에서 제시되고 있는
수정 Kraven(II) 공식의 결과 등을 참조하여 급경사부와 완경사부 유속을 보완하여 연속형
Kraven 공식으로 제안하였다.

- 26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5장 홍수량 산정방법 채택 및 유역추적 매개변수 산정
연속형 Kraven 공식 형태는 Kraven 공식(Ⅱ)과 동일하며 단지 경사구간별 유속을
급경사부와 완경사부로 나누어서 나타낸 결과는 <그림 5.1>과 같고, 평균유속 V를 하도경사
S의 항으로 표시한 회귀식은 다음과 같다.
급경사부(S>3/400): V    

S
, Vmax =4.5m/s ·················(5.5)
완경사부(S≤3/400): V   S   S  
, Vmin =1.6m/s

<그림 5.1> 연속형 Kraven 공식 유도에 필요한 경사구간별 유속분포

- 27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5장 홍수량 산정방법 채택 및 유역추적 매개변수 산정
5.2.2 유역저류상수 산정
Clark 단위도법의 유역저류상수를 산정하기 위한 경험공식중 과거에는 Russel 공식의
형태를 채택하여 왔으나 최근 들어 Sabol 공식을 많이 채택하고 있다.
- Russel 공식(U.S. Army Corps of Engineers, 1994)
K   Tc ·········································································································(3.6)
여기서 K는 유역저류상수(hr), 는 도시지역(developed catchments)은 1.1∼2.1,
자연지역(rural catchments)은 1.5∼2.8, 산림지역(forested catchments)
은 8.0∼12.0 범위의 계수, Tc는 도달시간(hr)이다.
- Sabol 공식(Sabol, 1988)
K  
Tc
L
··············································································(3.7)
   
A
여기서 K는 유역저류상수(hr), Tc는 도달시간(hr), L은 유로연장(km), A는 유역
면적(km²)이다.
Russel 공식은 유역규모 및 유역형상을 고려하지 못하며 계수 의 결정이 임의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값을 원래 공식에서 제시되는 범위와는 달리 통상 0.8∼1.2
범위를 적용하며, 일반적으로 1.0을 채택하고 있으나 그 근거가 미약한 실정이다.
Sabol 공식은 유역규모를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은 동일하지만 유역형상을 형상계수
의 역수 형태로 고려하므로 Russel 공식보다 합리적이라 할 수 있어서 Sabol 공식을 유역
저류상수 산정 방법으로 채택하였다.
5.3 강우 -유출 모형의 검정에 의한 매개변수 결정
계측유역의 경우에는 실측 홍수수문곡선과 단위도의 매개변수를 조정하여 산정된 홍수
수문곡선을 비교하여 첨두홍수량, 수문곡선의 형상, 홍수유출총량 등이 유사하게 되도록
하는 과정인 검정(calibration)을 통하여 매개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
국내에서 강우-유출 기록이 있는 수위관측소 지점에서 HEC-1 프로그램 등에 의해
검정을 통한 매개변수 결정을 검토한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검정의 신뢰도가 높지 못할 뿐
아니라 검증 결과도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는 수위관측소 지점에서의
호우사상별 강우-유출 자료의 신뢰도가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계측유역이라 하더라도 검정에 의한 매개변수 산정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것이 현재의 실정임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 28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6장 홍수수문곡선 계산

제 6 장 홍수수문곡선 계산
6.1 소유역별 홍수수문곡선 계산

가. 유효우량주상도 작성

대상 유역의 설계강우를 시간분포시켜 총우량주상도를 작성한 후 유역의 평균 유출곡선


지수(CN)를 사용하여 SCS 방법에 의해 강우시간 구간별 유효우량을 산정하여 유효우량
주상도를 작성한다.
나. 시간 -면적곡선 작성

도달시간 산정결과를 토대로 하여 직접 작성하는 방법과 유역형상에 따른 합성 시간-


면적곡선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직접 작성 방법은 번거롭기는 하지만 유역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합성 시간-면적곡선 방법에서는 시간-면적곡선을 일반적인 타원형 유역형상에서 유도
된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시되는 합성 시간-면적곡선의 형태로 표시한다.
AI  T   ≦ T   ·······································(6.1)
 AI   T  ≦ T ≦ 
여기서 AI는 총유역면적에 대한 누가면적비, T는 도달시간에 대한 시간비이다.
합성 시간-면적곡선 방법을 적용하면 번거로운 구적 작업이 필요 없게 되는 장점과
직접 작성 방법과 합성 방법의 결과 비교에서 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가 많은 점 및 도달
시간 산정의 불확실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면 일반적인 유역형상의 경우에는 합성
시간-면적곡선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유역형상이 일반적인 타원형 유역형상이 아닌 경우에는 합성 시간-면적곡선
방법의 사용을 지양하고 직접 시간-면적곡선을 작성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다. 직접유출수문곡선 계산

유역에 내린 유효우량의 시간적 분포를 표시하는 유효우량주상도와 유효우량으로 인한


직접 유출의 전이를 고려해 주는 시간-면적곡선을 사용하면 유역 출구로 전이되는 직접
유입수문곡선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입수문곡선을 유역 출구에 있는 가상의 선형저수지를 통해 홍수추적하여
직접유출수문곡선을 계산한다.
- 29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6장 홍수수문곡선 계산
라. 기저유량 결정

기저유량은 첨두홍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미미하므로 중요시되지 않고 있으나,


유출총량에는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저류구조물의 설계시에는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기저유량 결정에는 유량관측자료가 있을 경우 연도별 풍수기(6∼9월) 최대유량이
발생하는 월의 일최저 유량의 평균 등을 채택하고 있다.
기존 사례를 들면 「송리원 다목적댐 건설사업 타당성조사(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 ‧ ,
2004)」에서는 상기 방법을 적용한 결과 0.041m³/s/km²로 산정되고 있고, 「영월다목적댐건
설사업 기본계획보고서(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 1997)」에서는 0.017 m³/s/km²으로 산정
된 바 있다.
미계측유역인 경우 유역의 특성이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인근 유역 자료를 활용하여 산정
하는 방법이 현재로선 최선의 방법이며, 기저유량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으로 향후 연구과제 등에서 유역의 토양특성, 유출특성을 고려한 기저유량 산정 방법
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마. 홍수수문곡선의 작성
직접유출 수문곡선은 해당 강우의 유효우량만에 의한 것이므로 여기에 기저유량을
더하여 홍수수문곡선(total flood hydrograph)을 계산한다.

- 30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6장 홍수수문곡선 계산

6.2 저수지 홍수추적 및 하도 홍수추적


하도의 저류효과를 무시할 수 없어서 전체 유역을 여러개의 소유역과 하도로 분할할
경우 개개 소유역에 대하여 Clark 유역추적법으로 계산한 홍수수문곡선은 저수지가 있을
경우는 저수지 추적, 하도로 유출될 때에는 하도추적을 하류방향으로 하게 되며, 이 과정
에서 측방유입은 본류의 홍수수문곡선과 합성하게 된다.
가. 저수지 홍수추적
저수지 홍수추적(reservoir flood routing)은 저수지로 들어오는 유입수문곡선을 저수지
에서 나가는 유출수문곡선으로 전환시키는 절차로, 수문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단순저수지
의 홍수추적을 위하여 수집하여야 하는 자료는 표고별 저류량곡선 및 표고별 유출량곡선
등이며, 일반적으로 Puls 방법 또는 저류지시법(storage indication method)으로 불리는
방법을 적용한다.
한편, Puls 방법처럼 수면이 수평(level pool)이라는 가정을 토대로 하는 저수지 홍수
추적에서 유출수문곡선의 첨두는 반드시 유입수문곡선의 감수곡선상에 위치하게 되며 저수지
홍수추적 결과에서 이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하도 홍수추적
하도 홍수추적(channel flood routing)은 어떤 하도구간으로 들어오는 유입수문곡선을
하도구간에서 나가는 유출수문곡선으로 전환시키는 절차이다.
하도 홍수추적 방법에는 Muskingum 방법과 Muskingum-Cunge 방법이 있으나 두
방법 모두 하도 홍수추적에 따른 첨두홍수량 저감이 미미하므로 일반적으로 Muskingum
방법을 주로 사용하며, Muskingum 방법의 매개변수는 하도저류상수 K와 가중계수 이다.
Muskingum 방법의 하도저류상수 K값으로 추적구간의 홍수파(flood wave) 통과시간
을 주로 사용하며, 자연하천의 홍수파 통과시간은 하도의 유하시간의 2/3를 적용한다.
홍수의 저류효과(attenuation) 정도를 결정하는 무차원 가중계수 값은 0∼0.5의 범위
를 가지며, 값은 민감도가 낮으므로 중간값인 0.2를 채택하면 무난하다.
한편, 홍수추적 구간이 길어서 K값이 상대적으로 커서  K  t 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경우 전체 추적구간을 소구간으로 나누어야 한다. 이 때 각 소구간의 홍수파의 통과
시간을 홍수추적의 시간간격과 같은 것으로 가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추적구간 수를
결정하여야 하며, 저류효과는 추적구간 수가 많아질수록 적어진다.
NSTPS  K
t ···································································································(6.2)
여기서 NSTPS는 추적구간의 수(number of routing steps)로 버림 조건으로 계산된
정수(integer)로 최소 1 이상, K는 하도저류상수,  t는 계산시간 간격이다.
Muskingum 방법은 가장 간단한 하도 홍수추적 방법이나 배수영향을 고려할 수 없다
는 점과 홍수터를 모의할 수 없는 등의 단점을 지니고 있다.
- 31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6장 홍수수문곡선 계산

6.3 소유역 분할에 의한 홍수수문곡선 계산


6.3.1 소유역 분할에 따른 홍수량 증가의 원인 및 문제점
홍수량 산정시 상류부 홍수량 산정지점부터 하류부 홍수량 산정지점으로 홍수량을 산정
하여 내려오면서 홍수량 산정지점의 상류유역을 처리하는 방법은 상류유역을 1개의 단일
유역으로 처리하는 하도추적 제외 방법과 소유역별 자체유역 홍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하도
추적 및 합성을 통하여 산정하는 하도추적 포함 방법으로 대별된다.
하도추적 포함 방법을 적용할 경우 홍수량이 커지게 되며 이의 원인은 소유역 분할로
홍수량 산정 대상유역의 면적이 작아지면 홍수도달시간이 짧아져서 단위도 종거의 첨두치
증가로 인해 첨두홍수량은 크게 증가되는 반면 하도의 저류효과로 인한 홍수량의 감소는
매우 작기 때문이다.
분석 대상유역의 면적이 비교적 클 경우에도 과거에는 하도추적 제외 방법이 많이 적용
되었으나 최근에는 하도추적 포함 방법을 주로 적용하고 있으며, 현재 홍수량 산정에서
가장 편차를 많이 유발시키는 것이 하도추적을 포함하는 방법 적용시 소유역 분할에 따라
홍수량이 증가되는 것을 임의적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현재 실무에서는 하도추적 포함 방법 적용시 홍수량이 증가되는 부분을 조정하기 위하여
Clark 단위도법 적용시 홍수량이 주관적인 판단이나 기존 고시된 홍수량보다 크게 나오는
조건 등을 고려하여 산정된 유역저류상수를 임의 조정하고 있으므로 이 부분의 개선이 가장
필요하다.
6.3.2 소유역 분할에 따른 홍수량 증가 문제 해소 방안
가. 단위도 적용을 위한 소유역 분할 기준
소유역 분할 기준은 단위도 적용에 적절한 유역면적 규모와 관련이 크므로, 유역규모
에 따른 유출특성을 「Hydrology of Floods in Canada : A Guide to Planning and
Design(NRCC, 1989)」 등을 토대로 정리하면 <표 6.1>과 같다.
<표 6.1> 유역규모에 따른 유출특성
구 분 소규모 유역 중규모 유역 대규모 유역
설계강우 지속기간동안 일정 변화 변화
강우강도
강우의 공간분포 균일 균일 변화
유출형태 표면류 흐름이 표면류흐름과
지배적 하도흐름으로 구성 하도흐름이 지배적
하도저류효과 무시 무시 고려
유역면적 25 km² 이하 25∼250 km² 250 km² 이상
홍수량 산정방법 하도추적 제외방법 하도추적 포함방법
- 32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6장 홍수수문곡선 계산
나. 하도추적 제외방법에 의한 홍수량 산정
대상 유역면적이 약 250km² 이하인 경우는 <표 6.1>에서 보는 봐와 같이 하도저류
효과를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대상 하천의 모든 홍수량 산정지점에 대하여 하도추적 제외
방법을 적용하여 설계홍수량을 산정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소유역의 분할이 필요 없고
홍수량 산정지점의 상류유역을 1개의 단일유역으로 취급하여 홍수량을 산정한다.
다. 하도추적 포함방법에 의한 홍수량 산정
대상 유역면적이 약 250km² 이상인 경우는 <표 6.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도저류효
과를 고려해야 하므로 하도추적 포함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따라서 <그림 6.1>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홍수량 산정지점(P-Ⅰ-1, P-Ⅰ-2,……, P-Ⅲ-2 등)을 기준으로 여러 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유역추적과 하도추적을 반복하여 홍수량을
산정하게 된다.
하도추적 포함방법을 적용할 경우 분할된 소유역의 홍수도달시간이 짧아서 단위도의
종거가 커지기 때문에 첨두홍수량이 커지지만 하도의 저류능력이 작아서 첨두홍수량의
감소는 미미하므로 하류로 내려가면서 이 영향이 누적되어 홍수량이 정도 이상으로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하도추적 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한다.
1) <그림 6.1>에서와 같이 분석 대상유역의 홍수량 산정지점(P-Ⅰ-1, P-Ⅰ-2,……,
P-Ⅲ-2 등) 기준으로 여러 개의 소유역(A-Ⅰ-1, A-Ⅰ-2,……, A-Ⅲ-2 등)으로
분할하기 이전에 전체 대상 유역을 상류로부터 하류 방향으로 유역면적이 약
250km² 이하인 몇 개의 중규모 유역(A-Ⅰ, A-Ⅱ, A-Ⅲ 등)으로 분할하고 최상류
중규모 유역의 홍수량을 유역추적 제외방법으로 산정한 후, 이를 직하류 구간에
대한 하도추적 대상 홍수량으로 채택한다.
2) 하류 방향으로의 하도추적은 홍수량 산정지점 구간별로 순차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분할된 직상류의 중규모 유역 홍수량을 홍수량 산정지점별 해당 하도구간
에 대하여 한꺼번에 실시한다.
3) 하도추적후 합성되는 자체 소유역의 홍수량은 홍수량 산정지점별로 직상류 중규모
유역 출구지점에서 홍수량 산정지점까지의 면적에 대하여 한꺼번에 산정한다.
4) 만약, 대상 하천수계내에 홍수조절용량을 가진 댐이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댐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저수지 홍수추적을 실시하고 댐 직하류부터 하도추적을
계속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하도추적 포함방법에 의한 홍수량 산정절차를 <그림 6.1>과 같은
유역을 대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홍수량 산정지점을 고려하여 상류유역으로부터 단위도의 적용 상한계인 250 km²
이하인 3개의 중규모 유역Ⅰ(240km²), 유역Ⅱ(230km²), 유역Ⅲ(130km²)으로
적절하게 분할한다.

- 33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제 6장 홍수수문곡선 계산
2) 중규모 유역Ⅰ의 경우 홍수량 산정지점 P-Ⅰ-1지점과 P-Ⅰ-2지점, P-Ⅰ-3지점
모두 하도추적 제외 방법으로 홍수량을 산정한다.
3) 중규모 유역Ⅱ의 경우 홍수량 산정지점 P-Ⅱ-1지점은 중규모 유역Ⅰ의 홍수량인
P-Ⅰ-3지점의 홍수량을 L-Ⅱ-1구간에 대한 하도추적을 실시하고 여기에 A-Ⅱ-1
소유역의 자체홍수량과 합성하여 산정한다. 홍수량 산정지점 P-Ⅱ-2지점은 P-Ⅰ
-3지점의 홍수량을 L-Ⅱ-1구간과 L-Ⅱ-2구간을 합한 하나의 구간에 대해 하도
추적을 실시하고 여기에 A-Ⅱ-1 소유역과 A-Ⅱ-2 소유역을 합한 하나의 유역에
대한 자체홍수량과 합성하여 산정한다. 홍수량 산정지점 P-Ⅱ-3지점은 P-Ⅰ-3지
점의 홍수량을 L-Ⅱ-1구간, L-Ⅱ-2구간, L-Ⅱ-3구간을 합한 하나의 구간에 대해
하도추적을 실시하고 여기에 A-Ⅱ-1 소유역, A-Ⅱ-2 소유역, A-Ⅱ-3 소유역을
합한 하나의 유역에 대한 자체홍수량과 합성하여 산정한다.
4) 중규모 유역Ⅲ의 경우 홍수량 산정지점 P-Ⅲ-1지점은 중규모 유역Ⅱ의 홍수량인
P-Ⅱ-3지점의 홍수량을 L-Ⅲ-1구간에 대한 하도추적을 실시하고 여기에 A-Ⅲ-1
소유역의 자체홍수량과 합성하여 산정한다. 홍수량 산정지점 P-Ⅲ-2지점은 P-Ⅱ
-3지점의 홍수량을 L-Ⅲ-1구간과 L-Ⅲ-2구간을 합한 하나의 구간에 대해 하도
추적을 실시하고 여기에 A-Ⅲ-1 소유역과 A-Ⅲ-2 소유역을 합한 하나의 유역에
대한 자체홍수량과 합성하여 산정한다.

<그림 6.1> 단위도 적용 상한계를 초과하는 경우의 소유역분할 및 홍수량 산정방법

6.4 임계지속기간 적용 방법
임계지속기간은 하천과 같은 비저류구조물은 첨두홍수량이 최대이고, 댐과 같은 저류
구조물은 저류용량(첨두저수위, 첨두방류량)이 최대가 되는 강우지속기간이며, 유역의 규모
에 따라 1시간단위 또는 10분단위의 임계지속기간을 홍수량 산정지점에 대하여 결정하여
홍수량을 계산한다.
- 3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