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76

수학

많은 학생들은 왜 개념원리로 공부할까요?


정확한 개념과 원리의 이해,
수학의 비결
개념원리에 있습니다.

개념원리수학의 특징

01 하나를 알면 10개, 20개를 풀 수 있고 어려운 수학에 흥미를 갖게 하여 쉽게 수학을 정


복할 수 있습니다.

02 나선식 교육법을 채택하여 쉬운 것부터 어려운 것까지 단계적으로 혼자서도 충분히 공


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03 페이지마다 문제를 푸는 방법과 틀리기 쉬운 부분을 체크하여 개념원리를 충실히 익히


도록 하였습니다.

04 전국 주요 학교의 중간·기말고사 시험 문제 중 앞으로 출제가 예상되는 문제를 엄선


수록함으로써 어떤 시험에도 철저히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책을 펴내면서

수험생 여러분!
수학을 어떻게 하면 잘 할 수 있을까요?
이것은 과거에나 현재나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학생들의 질문이며 가장 큰 바람입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학생들이 공부는 열심히 하지만 성적이 오르지 않아서 흥미
를 잃고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수학 공부를 더 열심히 하지 않아서 그럴까요? 머리가 나빠서 그럴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그것은 공부하는 방법이 잘못되었기 때문입니다.
새 교육과정은 수학적 사고를 기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고 현재 출제 경향은 단순한 암기
식 문제 풀이 위주에서 벗어나 근본적인 개념과 원리의 이해를 묻는 문제와 종합적이고 논
리적인 사고력, 추리력, 응용력을 요구하는 복잡한 문제들로 바뀌고 있습니다.
따라서 개념원리수학은 단순한 암기식 문제 풀이가 아니라 개념원리에 의한 독특한 교수
법으로 사고력, 응용력, 추리력을 배양하도록 제작되어 생각하는 방법을 깨칠 수 있게 하
였습니다.
이 책의 구성에 따라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공부한다면 학교 내신 성적은 물론 다른 어
떤 시험에도 좋은 결실을 거둘 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구성과 특징

01 개념원리 이해
각 단원마다 중요한 개념과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
01
개념원리 이해

1.
함수의 극한

YZBA(B는 상수)일 때의 함수의 수렴 필수예제 1


1. 함수의 극한

⑴ 함수G Y
에서 Y의 값이 B가 아니면서 B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Z ZG Y


고 쉽게 응용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G Y


의 값이 일정한 값 -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함수 G Y
는 -에
수렴한다고 하고, -을 함수G Y
의 YB에서의 극한값 또는 극한이
-

라 한다. 0 B Y
이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MJN AG Y
- 또는 Y qZ`B일 때G Y
qZ`-
YAZB

⑵ 특히, 상수함수G Y
DA D는 상수)는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함숫값 Z
D ZD
이 항상 D이므로 B의 값에 관계없이 다음이 성립한다.
MJN AG Y
MJN DD
YAZB YAZB
0 B Y

Y ZB는 Y의 값이 YB의 좌우에서 Y축을 따라 B에 한없이 가까워짐을 뜻한다. 이때 Y B에 유의한다.

Y™A
설명 함수G Y
 에서 Y일 때, 분모가 이므로G 
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Z Y
Y G Y

Y
Y™A Y 
Y

그러나 Y 일 때,G Y
  Y  
Y Y

이 되어 Y의 값이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G Y
는 에 수렴한다. 즉,

 또는 Y Z일 때
Y™A Y™A 0  Y
MJN Z
YAZ Y Y

주의 Y에서 함숫값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극한값은 존재할 수 있다.

2. YZb, YZb일 때의 함수의 수렴 필수예제 4

⑴ 함수G Y
에서 Y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G Y
의 값이 일정한 값 - Z ZG Y

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함수 G Y


는 -에 수렴한다고 하고, 이것을 -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Y
0
MJN AG Y
- 또는 Y qZ`b일 때G Y
qZ`- .
YAZb

⑵ 함수G Y
에서 Y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질 때,
G Y
의 값이 일정한 값 .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함수 G Y
는 .
에 수렴한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MJN AG Y
. 또는 Y qZ`b일 때G Y
qZ`.
YAZb

b는 수가 한없이 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이지 하나의 수를 가르키는 것이 아니며 무한대라 읽는다.

10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02 개념원리 익히기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쉬운 문제로 개념과
1
개념원리

⑴ MJN Y 

YAZ
익히기
다음 극한값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⑵ MJN Y 

YAZ
생각해 봅시다!
MJN 의 값을 구하려면
YAZ▲

Y Z▲일 때 가 어떤 값
에 가까워지는지를 살펴본
⑶ MJN Y™AY
⑷ MJN
YAZ YAZ 다.

원리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2 다음 극한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조사하시오. 함수 G Y


가 양의 무한대
로 발산할 때는 ZG Y

 
⑴ MJN[ ] ⑵ MJN[ ] 의 그래프가 위로 향하고,
YAZ Y™A YAZ Y™A 함수 G Y
가 음의 무한대
로 발산할 때는 ZG Y

의 그래프가 아래로 향한
다.

3 다음 극한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조사하시오.

⑴ MJN Y
⑵ MJN Y 

YAZb YAZb

⑶ MJN Y
⑷ MJN Y 

YAZb YAZb

4 다음 극한값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⑴ MJN  ⑵ MJN 
YAZb YAZb Y™A

1. 함수의 극한 13
03 필수예제
필수예제에서는 꼭 알아야 할 문제를 수록하여
필수예제 01 Y ZB일 때의 함수의 수렴

다음 극한값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⑴ MJN[:]
YAZ
⑵ MJN
YAZ
Y™A Y
Y 
⑶ MJN‚Y
YAZ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7쪽

풀이 ⑴ G Y
:으로 놓으면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Z ZG Y


Y의 값이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G Y
의 값은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학교 내신과 수능에 대비하도록 하였습니다.
0 Y

MJN[:] 
YAZ


Y™A Y
⑵ G Y
 으로 놓으면 Z ZG Y

Y 
Y™A Y Y 
Y
 0 
Y 일 때,G Y
  Y Y
Y  Y  
이므로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Y의 값이 에 한

없이 가까워질 때,G Y
의 값은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Y™A Y
MJN  
YAZ Y 
⑶ G Y
‚Y로 놓으면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Z ZG Y

Y의 값이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G Y


의 값은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MJN‚Y
YAZ

0  Y
Å

KEY
Point 함수G Y
에서 Y의 값이 B가 아니면서 B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G Y
가 일정한 값 -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MJN AG Y
- [함수G Y
는 -에 수렴한다.
YAZB

로 나타내고, -을 함수G Y
의 YB에서의 극한값 또는 극한이라 한다.

확인체크 확인 5 다음 극한값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체크
Y Y™A Y Y™A
⑴ MJN ⑵ MJN ⑶ MJN
YAZ Y YAZ Y YAZ Y

수학에서 충분한 연습은 필수! 직접 풀면서 ⑷ MJN


YšA
YAZ Y
⑸ MJN‚Y 
YAZ
⑹ MJN ‚Y 
YAZ

14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실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04 연습문제·실력 UP 정답과 풀이 71쪽

연습문제
STEP 1 생각해 봅시다!

연습문제에서는 그 단원에서 알아야 할 핵심 18 MJN


YAZ
Y™ABY 
Y
의 값이 존재할 때, 상수 B의 값과 그때의 극한값 L의 곱을 Y Z일 때
분모
Z이고 극한값이
구하시오. 존재하므로 분자
Z이
다.

적인 문제들을 풀어봄으로써 단계적으로 실력


[ 교육청기출 ] 정답과 풀이 74쪽

을 키울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실력
19 두 상수 B, C에 대하여 MJN 
Y 
YAZ ‚Y BC
일 때, B C의 값을 구하시오.

실력 UP에서는 고난도 문제를 통하여 단 한 문 30 MJN (āY™A BY āBY™A BY 


C일 때, 상수 B, C에 대하여 B C
YAZb
생각해 봅시다!
bb 꼴의 극한에서
의 값을 구하시오. MJN āY™AY BY C가 성립하도록 하는 상수 B, C에 대하여
20 B C의
 가 있는 경우는 분모를
Y 
제도 놓치지 않는 실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였
YAZ
로 보고 분자를 유리화한
값을 구하시오. 다.
[ 교육청기출 ]

31 다항함수G Y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G 
의 값을 구하시오.
습니다.
AG Y
AG Y

AG Y
 \G Y
^™A G Y

㈎ MJN  MJNMJN
다항함수 G Y
가 ㈏   Y 
YAZb 21
YšA YAZ
YAZ Y
를 만족시킬 때, MJN
YAZ YšA
㈐ 방정식G Y
Y의 한 근이 이다.
의 값을 구하시오.

QR코드 32 함수G Y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MJN
AG Y

다항함수 G Y
가 MJN  Y™A
의 값을 구하시오.
YAZbAG Y
Y™A AG Y

22 YAZb Y
B, MJN
(단, B는
YAZ
를 만족시킬 때, 상
Y 상수)
분모와 분자가 다항함수인
b
꼴의 극한에서
수 B의 값을 구하시오. 단, B 
b
분모의 차수

㈎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부등식 BY™AƒG Y


ƒBY™A 가 성립한다.  분자의 차수

어려운 문제에 QR코드를 제공하여 모바일 ㈏ MJN 


YAZb
Y™A 
G Y

Y›A 

이면 극한값은 분모, 분자
의 최고차항의 계수의 비이
다.

기기를 통하여 동영상 강의를 언제, 어디서 23 함수G Y


가 Yy인 실수 Y에 대하여

족시킬 때, MJN AG Y
의 값을 구하시오.
 YY™A
Y™A
ƒG Y
ƒ
Y
Y
를 만 G Y
ƒI Y
ƒH Y
이고
MJNAG Y
MJNAH Y
-
YAZB YAZB

YAZb 이면 MJNI Y
-
33 실수 U에 대하여 곡선 Z: 과 직선 YU가 만나는 점을 1라 하고, 점 1
YAZB
두 점 Y„, Z„
, Ym, Zm

든 쉽게 들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에서 Y축, Z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2, 3라 하자. 두 점 2, 3를 지나는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


ZmZ„
U  YmY„
직선의 기울기를 N U
라 할 때, MJN  의 값을 구하시오.
UAZ N U

36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34 오른쪽 그림에서 원점 0가 중심이고 곡선 ZY Z


1 Y Z
ZY 중심의 좌표가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S인 원의
위를 움직이는 점 1 Y, Z
를 지나는 원이 Y축의
방정식
양의 부분과 만나는 점을 2라 하자. 점 1에서 Y ⇨ Y™A Z™AS™A
0 ) 2 Y
1)“A™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할 때, MJN  의
YAZ 2)“

값을 구하시오.

38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차 례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1. 함수의 극한


01 함수의 극한  10
02 우극한과 좌극한  17
03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  20
연습문제  28
실력UP  30
04 함수의 극한의 응용  31
연습문제  36
실력UP  38

2. 함수의 연속
01 함수의 연속  40
연습문제  49
02 연속함수의 성질  52
연습문제  57
Ⅱ 미분 1. 미분계수와 도함수
01 미분계수  60
02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68
연습문제  71
03 도함수  74
연습문제  84
실력UP  86

2. 도함수의 활용
01 접선의 방정식  88
02 평균값 정리  97
연습문제 102
실력UP 105
03 함수의 증가와 감소 106
연습문제 110
04 함수의 극대와 극소 111
연습문제 118
05 함수의 그래프 121
06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127
연습문제 134
실력UP 137
07 방정식과 부등식에의 활용 138
연습문제 147
08 속도와 가속도 149
연습문제 156
차 례

Ⅲ 적분 1. 부정적분
01 부정적분 160
02 부정적분의 계산 166
연습문제 176

2. 정적분
01 정적분 180
02 정적분의 기하적 의미 187
연습문제 195
실력UP 197
03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198
연습문제 207
실력UP 209

3. 정적분의 활용
01 넓이 ⑴ 212
특강  곡선과 y축 사이의 넓이 215
02 넓이 ⑵ 221
연습문제 229
실력UP 231
03 속도와 거리 232
연습문제 237

함수의 극한과 연속

1. 함수의 극한
2. 함수의 연속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1. 함수의 극한

01
개념원리 이해
함수의 극한
1. 함수의 극한

1. x Ú a`(a는 상수)일 때의 함수의 수렴 필수예제 1

⑴ 함수 f(x)에서 x의 값이 a가 아니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Z ZG Y

f(x)의 값이 일정한 값 L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함수 f(x)는 L에


-
수렴한다고 하고, L을 함수 f(x)의 x=a에서의 극한값 또는 극한이
라 한다. 0 B Y
이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lim `f(x)=L 또는 x !Ú`a일 때 f(x) !Ú`L
x`Ú a

⑵ 특히, 상수함수 f(x)=c`(c는 상수)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함숫값 Z


D ZD
이 항상 c이므로 a의 값에 관계없이 다음이 성립한다.
   lim `f(x)=lim  c=c
x`Ú a x`Ú a
0 B Y

x Ú a는 x의 값이 x=a의 좌우에서 x축을 따라 a에 한없이 가까워짐을 뜻한다. 이때 x+a에 유의한다.

xÛ`-1
설명 함수 f(x)= 에서 x=1일 때, 분모가 0이므로 f(1)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Z Y
x-1 G Y

Y
xÛ`-1 (x+1)(x-1)
그러나 x+1일 때, f(x)= = =x+1 
x-1 x-1

이 되어 x의 값이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는 2에 수렴한다. 즉,

=2 또는 x Ú 1일 때 Ú 2
xÛ`-1 xÛ`-1 0  Y
   lim 
x`Ú 1 x-1 x-1

주의 x=1에서 함숫값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극한값은 존재할 수 있다.

2. x Ú ¦, x Ú -¦일 때의 함수의 수렴 필수예제 4

⑴ 함수 f(x)에서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이 일정한 값 L Z ZG Y

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함수 f(x)는 L에 수렴한다고 하고, 이것을 -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Y
0
   lim `f(x)=L 또는 x !Ú`¦일 때 f(x) !Ú`L .
x`Ú ¦

⑵ 함수 f(x)에서 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이 일정한 값 M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함수 f(x)는 M
에 수렴한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lim `f(x)=M 또는 x !Ú`-¦일 때 f(x) !Ú`M
x`Ú -¦

¦는 수가 한없이 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이지 하나의 수를 가르키는 것이 아니며 무한대라 읽는다.

10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설명 함수 f(x)=;[!;에서 x의 값이 한없이 커지면 f(x)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Z
G Y
:Å

   lim  ;[!;=0
x`Ú¦

또, 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질 때에도 f(x)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 0 Y

워지므로 lim ;[!;=0


x`Ú -¦

예 Z
Z:Å

0
Y
lim {-;[!;}=0, lim {-;[!;}=0
x`Ú¦ x`Ú -¦

3. x Ú a`(a는 상수)일 때의 함수의 발산 필수예제 2

⑴ 양의 무한대로 발산
함수 f(x)에서 x의 값이 a가 아니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Z

f(x)의 값이 한없이 커지면 함수 f(x)는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ZG Y

하고, 이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lim `f(x)=¦ 또는 x !Ú`a일 때 f(x) !Ú`¦
x`Ú a 0 B Y
⑵ 음의 무한대로 발산
함수 f(x)에서 x의 값이 a가 아니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Z
B 0 Y
f(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면 함수 f(x)는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ZG Y

   lim `f(x)=-¦ 또는 x !Ú`a일 때 f(x) !Ú`-¦


x`Ú a

lim`f(x)=¦, lim`f(x)=-¦는 극한값이 ¦, -¦라는 뜻이 아니다. 이때는 x=a에서의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x`Ú a x`Ú a

고 한다.
1
설명 함수 f(x)= 에서 x의 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f(x)의 값은 한없이 커지므로 Z
xÛ`
1 
   lim  =¦ G Y

x`Ú 0 xÛ`  Y™

 0  Y

1 Z
또, 함수 f(x)=- 에서 x의 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f(x)의 값은 음수이면서
xÛ`
  Y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므로 0
 
   lim {- }=-¦
1 G Y

x`Ú 0 xÛ` Y™

1. 함수의 극한 11
개념원리 이해

4. x Ú ¦, x Ú -¦일 때의 함수의 발산 필수예제 3

함수 f(x)에서 x Ú ¦ 또는 x Ú -¦일 때, f(x)의 값이 양의 무한대 또는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는 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lim `f(x)=¦, lim `f(x)=-¦, lim `f(x)=¦, lim `f(x)=-¦
x`Ú ¦ x`Ú ¦ x`Ú -¦ x`Ú -¦

설명 함수 f(x)=xÛ`에서 x의 값이 한없이 커지거나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면 Z ZG Y

f(x)의 값은 한없이 커진다. 즉,


   lim xÛ`=¦, lim xÛ`=¦
x`Ú¦ x`Ú -¦

0 Y

또, 함수 f(x)=-xÛ`에서 x의 값이 한없이 커지거나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 Z


면 f(x)의 값은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진다. 즉, 0
Y
   lim (-xÛ`)=-¦, lim (-xÛ`)=-¦
x`Ú¦ x`Ú -¦

ZG Y

예 Z ZYš ZYš Z

lim xÜ`=¦, lim (-xÜ`)=-¦,


x`Ú¦ x`Ú¦
0 Y Y
lim xÜ`=-¦ 0 lim (-xÜ`)=¦
x`Ú -¦ x`Ú -¦

보충학습

‘수학’에서 유리함수 y=;[!;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x축과 y축임을 배웠다.

이 단원의 함수의 극한을 이용하면 점근선을 왜 그렇게 정했는지를 알 수 있다.


즉,  Z Z:Å

   lim  ;[!;=0, lim  ;[!;=0


x`Ú¦ x`Ú -¦
0
에서 x의 값이 한없이 커지거나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면 유리 Y

함수의 그래프는 x축에 접근한다. 따라서 점근선은 x축이다.


같은 방법으로 x의 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y축에
접근한다. 따라서 점근선은 y축이다.
뒤에서 배울 우극한과 좌극한을 이용하여 이것을 극한으로 표현할 수 있다.

12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개념원리 익히기
생각해 봅시다!
1 다음 극한값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lim의 값을 구하려면
x`Ú▲
⑴ lim (x+1) 0 ⑵ lim(-2x+3) -3
x Ú ▲일 때 가 어떤 값
x`Ú -1 x`Ú 3
에 가까워지는지를 살펴본
⑶ lim(xÛ`-3x) -2 ⑷ lim 9 9
x`Ú 1 x`Ú 0 다.

2 다음 극한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조사하시오. 함수 f(x)가 양의 무한대


로 발산할 때는 y=f(x)
⑴ lim { ⑵ lim {-
1 1 의 그래프가 위로 향하고,
-7} ¦ +1} -¦
x`Ú 0 xÛ` x`Ú 0 xÛ` 함수 f(x)가 음의 무한대
로 발산할 때는 y=f(x)
의 그래프가 아래로 향한
다.

3 다음 극한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조사하시오.

⑴ lim (3x-2) ¦ ⑵ lim (-5x+1) -¦


x`Ú¦ x`Ú¦

⑶ lim (2x-1) -¦ ⑷ lim (-x+4) ¦


x`Ú -¦ x`Ú -¦

4 다음 극한값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1
⑴ lim  3 3 ⑵ lim   0
x`Ú¦ x`Ú -¦ xÛ`

1. 함수의 극한 13
x Ú a일 때의 함수의 수렴
필수예제 01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7쪽

다음 극한값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⑴ lim {;[@;-3} ⑶ lim 'Ä2x-1
xÛ`+x-6
⑵ lim
x`Ú 2 x`Ú -3 x+3 x`Ú 1

풀이 ⑴ f(x)=;[@;-3으로 놓으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Z ZG Y




x의 값이 2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2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0 Y

lim {;[@;-3}=-2 
x`Ú 2


xÛ`+x-6 Z
⑵ f(x)= 으로 놓으면 ZG Y

x+3
xÛ`+x-6 (x+3)(x-2)  0 
x+-3일 때, f(x)= = =x-2 Y
x+3 x+3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x의 값이 -3에 한

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5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xÛ`+x-6
lim   =-5
x`Ú -3 x+3
⑶ f(x)='Ä2x-1로 놓으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Z ZG Y

x의 값이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1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Ä2x-1=1
x`Ú 1

0  Y
Å

KEY
Point  함수 f(x)에서 x의 값이 a가 아니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가 일정한 값 L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lim `f(x)=L Û 함수 f(x)는 L에 수렴한다.
x`Ú a

로 나타내고, L을 함수 f(x)의 x=a에서의 극한값 또는 극한이라 한다.

확인 5 다음 극한값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체크
x xÛ`+2x xÛ`-9
⑴ lim  3 ⑵ lim  ;3@; ⑶ lim  6
x`Ú 3 x-2 x`Ú 0 3x x`Ú 3 x-3

⑸ lim 'Ä3x+6 ⑹ lim  'Ä-x+3


xÜ`-1 '5
⑷ lim  3 3
x`Ú 1 x-1 x`Ú 1 x`Ú -2

14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x Ú a일 때의 함수의 발산
필수예제 02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7쪽

다음 극한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조사하시오.


-1 1
⑴ lim ⑵ lim 
x`Ú -1 (x+1)Û` x`Ú 0 |x|

-1 Z
풀이 ⑴ f(x)= 로 놓으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x+1)Û`   0 Y
같고, x의 값이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음수이면서  ZG Y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므로


-1
lim   =-¦
(x+1)Û`
x`Ú -1

1 Z
⑵ f(x)= 로 놓으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x|
x의 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한없이 커지므로
ZG Y

1
lim  =¦
x`Ú 0 |x| 0 Y

x Ú ¦, x Ú -¦일 때의 함수의 발산


필수예제 03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7쪽

다음 극한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조사하시오.

⑴ lim (xÛ`+2) ⑵ lim (-'Ä5+x)


x`Ú -¦ x`Ú¦

풀이 ⑴ f(x)=xÛ`+2로 놓으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Z ZG Y

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한없이 커


지므로
lim (xÛ`+2)=¦ 
x`Ú -¦
0 Y

⑵ f(x)=-'Ä5+x로 놓으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Z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 
0 Y
지므로
 ZG Y

lim (-'Ä5+x)=-¦
x`Ú¦

KEY
Point  x Ú ¦, x Ú -¦일 때의 함수의 발산
함수 y=f(x)의 그래프를 그려서 x Ú ¦, x Ú -¦일 때의 f(x)의 값의 변화를 조사한다.

확인 6 다음 극한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조사하시오.


체크
⑴ lim[3- ] -¦
1 1
⑵ lim   ¦
x`Ú 2(x-2)Û` x`Ú -3 |x+3|

⑶ lim (5-xÛ`) -¦ ⑷ lim (-'Ä3-x) -¦


x`Ú¦ x`Ú -¦

1. 함수의 극한 15
x Ú ¦, x Ú -¦일 때의 함수의 수렴
필수예제 04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7쪽

다음 극한값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1 1
⑴ lim   ⑵ lim
x`Ú¦ x+5 x`Ú¦ |x-1|

⑶ lim {;[#;-1} ⑷ lim {3- }


1

x`Ú -¦ x`Ú -¦ xÛ`

1
풀이 ⑴ f(x)= 로 놓으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Z
x+5
ZG Y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1 
lim =0 0 Y
x`Ú¦ x+5

1
⑵ f(x)= 로 놓으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Z
|x-1| ZG Y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1
lim =0
x`Ú ¦ |x-1|
0  Y

⑶ f(x)=;[#;-1로 놓으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Z ZG Y

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1에 한없 0 Y


이 가까워지므로 

lim {;[#;-1}=-1
x`Ú -¦

1
⑷ f(x)=3- 로 놓으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Z
xÛ`

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3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0 Y
1
lim {3- }=3 ZG Y

x`Ú -¦ xÛ`

KEY
Point  lim `f(x)=L ⇨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이 일정한 값 L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x`Ú ¦

 lim `f(x)=M ⇨ 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이 일정한 값 M에 한없


x`Ú -¦

이 가까워진다.

확인 7 다음 극한값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체크
⑴ lim {2-;[!;} ⑶ lim {
3x 1
2 ⑵ lim   3 +1} 1
x`Ú¦ x`Ú¦ x+1 x`Ú¦ |x-2|

⑸ lim {1+ } ⑹ lim [


1 1 1
⑷ lim   0 1 -2] -2
x`Ú -¦ x-3 x`Ú -¦ xÛ` x`Ú -¦ (x-3)Û`

16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02
개념원리 이해
우극한과 좌극한
1. 함수의 극한

1. 우극한과 좌극한 필수예제 5, 6

⑴ 우극한: x의 값이 a보다 크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지는 것을 기 YZB YZB


Y
호 x Ú a+로 나타낸다. 이때 함수 f(x)의 값이 일정한 값 L에
B

한없이 가까워지는 것을 기호 lim `f(x)=L로 나타내고, L을 함수 f(x)의 x=a에서의


x`Ú a+
우극한이라 한다.
⑵ 좌극한: x의 값이 a보다 작으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지는 것을 기호 x Ú a-로 나타낸다.
이때 함수 f(x)의 값이 일정한 값 M에 한없이 가까워지는 것을 기호 lim `f(x)=M으
x`Ú a-

로 나타내고, M을 함수 f(x)의 x=a에서의 좌극한이라 한다.


⑶ 극한값의 존재: 함수 f(x)에 대하여 x=a에서 함수 f(x)의 우극한 Z ZG Y

과 좌극한이 존재하고 그 값이 L로 같으면 극한값 lim`f(x)가 존재 -


x`Ú a
한다. 또, 그 역도 성립한다.
   lim `f(x)=L HjK lim `f(x)= lim `f(x)=L 0 B Y
x`Ú a x`Ú a+ x`Ú a-

① x Ú a는 x Ú a+인 경우와 x Ú a-인 경우를 뜻한다.


② 함수 f(x)의 x=a에서의 우극한과 좌극한이 모두 존재하더라도 그 값이 서로 같지 않으면,
즉 lim `f(x)+ lim `f(x)이면 극한값 lim`f(x)는 존재하지 않는다.
x`Ú a+ x`Ú a- x`Ú a

x+1 (x¾1)
설명 함수 f(x)=[  에서 x의 값이 1보다 크면서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Z ZG Y

-x+2 (x<1)
f(x)의 값은 2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또, x의 값이 1보다 작으면서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1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즉, x=1에서의 우극한: lim `f(x)=2, 좌극한: lim `f(x)=1
x`Ú 1+ x`Ú 1-

   ∴ ` lim `f(x)+ lim `f(x) 0  Y


x`Ú 1+ x`Ú 1-

따라서 극한값 lim`f(x)는 존재하지 않는다.


x`Ú 1

2. 우극한과 좌극한을 따로 계산해야 하는 경우 필수예제 6

대부분의 경우 극한값 문제는 항상 (우극한)=(좌극한)이므로 따로 구할 필요가 없으나 유리함수, 절


댓값 기호를 포함한 함수, 가우스 기호를 포함한 함수 등의 경우에는 우극한과 좌극한이 같지 않은 경우
가 있으므로 따로 계산해야 한다.

1. 함수의 극한 17
필수예제 05 그래프가 주어진 함수의 우극한과 좌극한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0쪽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극 Z ZG Y

한을 조사하시오. 

⑴ lim `f(x) ⑵ lim `f(x) 


x`Ú 2+ x`Ú 2-
0  Y
⑶ lim`f(x) ⑷ lim`f(x)
x`Ú 2 x`Ú 0

풀이 ⑴ x의 값이 2보다 크면서 2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3에 한 Z ZG Y

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f(x)=3
x`Ú 2+

0  Y

⑵ x의 값이 2보다 작으면서 2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0에 Z ZG Y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f(x)=0
x`Ú 2-

0  Y

⑶ lim `f(x)+ lim `f(x)이므로 lim`f(x)는 존재하지 않는다. 


x`Ú 2+ x`Ú 2- x`Ú 2

⑷ x의 값이 0보다 크면서 0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3에 한 Z ZG Y

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f(x)=3
x`Ú 0+

x의 값이 0보다 작으면서 0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3에 0  Y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f(x)=3
x`Ú 0-

즉, lim `f(x)= lim `f(x)=3이므로 lim`f(x)=3


x`Ú 0+ x`Ú 0- x`Ú 0

KEY
Point  x=a에서 함수 f(x)의 우극한과 좌극한이 존재하고 그 값이 같을 때에만 함수 f(x)의 극한값이 존재한다.
   lim `f(x)= lim `f(x)=L HjK lim`f(x)=L
x`Ú a+ x`Ú a- x`Ú a

확인 8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극한을 조 Z ZG Y

체크 
사하시오.


⑴ lim `f(x) 0 ⑵ lim `f(x) 3 ⑶ lim`f(x) 1 


x`Ú 3+ x`Ú 4- x`Ú 1 
0     Y
⑷ lim`f(x) 2 ⑸ lim `f(x) 존재하지 않는다.
x`Ú 2 x`Ú -1 

18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필수예제 06 우극한과 좌극한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0쪽

다음 극한을 조사하시오.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1 xÛ`-1 xÛ`-2x
⑴ lim  ⑵ lim   ⑶ lim   ⑷ lim[x+1]
x`Ú 2 x-2 x`Ú 1+ |x-1| x`Ú 2- |x-2| x`Ú 0

풀이 ⑴ x=2에서의 우극한과 좌극한을 각각 구하면 Z 


Z
Y
1 1
lim =¦, lim =-¦
x`Ú 2+ x-2 x`Ú 2- x-2
0
1 1 1
따라서 lim + lim 이므로 lim   은 존재하지 않는다.  Y
x`Ú 2+ x-2 x`Ú 2- x-2 x`Ú 2 x-2

⑵ x !Ú 1+일 때, x>1이므로 |x-1|=x-1


xÛ`-1 (x+1)(x-1)
∴ lim = lim = lim (x+1)=2
x`Ú 1+ |x-1| x`Ú 1+ x-1 x`Ú 1+

⑶ x !Ú 2-일 때, x<2이므로 |x-2|=-(x-2)


xÛ`-2x x(x-2)
∴ lim = lim =` lim (-x)=-2
x`Ú 2- |x-2| x`Ú 2- -(x-2) x`Ú 2-

⑷ 0<x<1일 때, 1<x+1<2이므로 [x+1]=1


∴ lim [x+1]=1
x`Ú 0+

-1<x<0일 때, 0<x+1<1이므로 [x+1]=0


∴ lim [x+1]=0
x`Ú 0-

따라서 lim [x+1]+ lim [x+1]이므로 lim [x+1]은 존재하지 않는다.


x`Ú 0+ x`Ú 0- x`Ú 0

참고 가우스 기호를 포함한 함수


① [x]의 뜻: 실수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
② 계산 방법: nÉx<n+1`(n은 정수)이면 [x]=n이므로 lim [x]=n
x`Ú n+

n-1Éx<n`(n은 정수)이면 [x]=n-1이므로 lim [x]=n-1


x`Ú n-

KEY
Point  우극한과 좌극한을 따로 계산해야 하는 경우
⇨ 유리함수,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함수, 가우스 기호를 포함한 함수 등

확인 9 다음 극한을 조사하시오.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체크
x-2 2xÛ`+x-1 [x+1]
⑴ lim 존재하지 않는다. ⑵ lim ⑶ lim 0
x`Ú -2 x+2 x`Ú -1 |x+1| x`Ú -1+ x+1
존재하지 않는다.

`x-1 (x¾1)
10 함수 f(x)=[ 
-x+k (x<1)
에 대하여 lim`f(x)의 값이 존재하도록 하는 상수 k의 값
x`Ú 1

을 구하시오. 1

1. 함수의 극한 19
03
개념원리 이해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
1. 함수의 극한

1.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 필수예제 7, 8

두 함수 f(x), g(x)에서 lim`f(x)=L, lim g(x)=M`(L, M은 실수)일 때


x`Ú a x`Ú a

⑴ lim  kf(x)=klim `f(x)=kL (단, k는 상수)


x`Ú a x`Ú a

⑵ lim { f(x)Ñg(x)}=lim `f(x)Ñlim  g(x)=LÑM (복부호동순)


x`Ú a x`Ú a x`Ú a

⑶ lim `f(x)g(x)=lim `f(x)´lim  g(x)=LM


x`Ú a x`Ú a x`Ú a

`f(x) lim
x`Ú a
`f(x)
L
⑷ lim   = = (단, M+0)
x`Ú a g(x) lim  g(x) M
x`Ú a

위의 성질은 x Ú a를 x Ú a+, x Ú a-, x Ú ¦, x Ú -¦로 바꾸어도 성립한다.

예 ⑴ lim 2xÛ`=2 lim xÛ`=2´2Û`=8
x`Ú 2 x`Ú 2

⑵ lim(3xÛ`-x+2)=3 lim xÛ`-lim x+lim 2=3-1+2=4
x`Ú 1 x`Ú 1 x`Ú 1 x`Ú 1

⑶ lim(x+1)(3x-1)=lim(x+1)´lim (3x-1)
x`Ú 1 x`Ú 1 x`Ú 1

=(lim x+lim 1)(3 lim x-lim 1)
x`Ú 1 x`Ú 1 x`Ú 1 x`Ú 1

=(1+1)(3´1-1)=4
lim(2x-1) 2 lim x-lim 1
2x-1 x`Ú 2 2´2-1
=;4#;
x`Ú 2 x`Ú 2
⑷ lim  = = =
x`Ú 2 x+2 lim(x+2) lim x+lim 2 2+2
x`Ú 2 x`Ú 2 x`Ú 2

2. 함수의 극한값 구하는 방법


⑴ 다항함수의 극한값
f(x)가 다항함수일 때, lim `f(x)=f(a)
x`Ú a
대입

예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xÛ`
⑴ lim(xÜ`-3xÛ`+2) ⑵ lim 
x`Ú 1 x`Ú 3 x+2
lim xÛ`
xÛ` 3Û`
=;5(;
x`Ú 3
풀이 ⑴ lim(xÜ`-3xÛ`+2)=1Ü`-3´1Û`+2=0 ⑵ lim  = =
x`Ú 1 x`Ú 3 x+2 lim(x+2) 3+2
x`Ú 3

20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⑵ 부정형의 극한값
¦
;0);, , ¦-¦, ¦_0 꼴을 부정형이라 한다. 부정형의 극한값은 그대로는 구할 수 없으므로
¦
다음과 같이 부정형이 아닌 꼴로 변형하여 계산한다.

① ;0); 꼴의 극한 필수예제 9

•유리식 ⇨ 분모, 분자를 인수분해한 다음 약분하여 극한값을 구한다.


(인수정리, 조립제법 이용)
•무리식 ⇨ 분모, 분자 중 '``가 있는 쪽을 먼저 유리화한 후 약분하여 극한값을 구한다.
¦ 필수예제 10
② 꼴의 극한
¦
Ú 분모의 최고차항으로 분모, 분자를 각각 나눈다.
k
Û lim =0`(k는 상수, p는 양수)임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구한다.
x`Ú¦ x¹`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 ⇨ 극한값은 0이다.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 ⇨ 극한값은 분모, 분자의 최고차항의 계수의 비이다.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 ⇨ 발산한다.

③ ¦-¦ 꼴의 극한 필수예제 11

•다항식인 경우 ⇨ 최고차항으로 묶는다.


•' `가 있는 경우 ⇨ 분모를 1로 보고 분자를 유리화한다.
④ ¦_0 꼴의 극한 필수예제 12

•분모 또는 분자에 다항식이 있는 경우 ⇨ 통분하거나 인수분해한다.


•분모 또는 분자에 ' `가 있는 경우 ⇨ ' `가 있는 쪽을 유리화한다.

;0); 꼴과 ¦_0 꼴에서 0은 숫자 0이 아니라 0에 한없이 가까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예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xÛ`-4 xÛ`-x+2
⑴ lim  ⑵ lim  
x`Ú 2 x-2 x`Ú¦ 2xÛ`+3
풀이 ⑴ 분모, 분자에 x=2를 대입하면 ;0); 꼴의 극한이므로 분모, 분자를 인수분해한 다음 약분하여 극한값

을 구한다.
xÛ`-4 (x-2)(x+2)
∴ lim  =lim  =lim(x+2)=4
x`Ú 2 x-2 x`Ú 2 x-2 x`Ú 2

¦
⑵ 꼴의 극한이므로 분모의 최고차항인 xÛ`으로 분모, 분자를 각각 나누어 극한값을 구한다.
¦
1 2
1- +
xÛ`-x+2 x xÛ`
∴ lim =lim =;2!;
x`Ú¦ 2xÛ`+3 x`Ú¦ 3
2+
xÛ`

1. 함수의 극한 21
개념원리 익히기
생각해 봅시다!
11 lim`f(x)=3, lim g(x)=-1일 때,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x`Ú 1 x`Ú 1

⑴ lim{ f(x)+g(x)} 2
x`Ú 1

⑵ lim{ f(x)-2g(x)} 5
x`Ú 1

⑶ lim`f(x)g(x) -3
x`Ú 1

⑷ lim{g(x)}Û` 1
x`Ú 1

`f(x)
⑸ lim   -3
x`Ú 1 g(x)

2f(x)+3g(x)
⑹ lim  ;3!;
x`Ú 1 { f(x)}Û`

12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f(x)가 다항함수일 때,


lim`f(x)=f(a)
x`Ú a
⑴ lim xÜ` -1 대입
x`Ú -1

⑵ lim(xÛ`-1) -1
x`Ú 0

⑶ lim(xÜ`+xÛ`-3) 9
x`Ú 2

⑷ lim x(2x+3) 2
x`Ú -2

⑸ lim(x-2)(xÛ`+5) -6
x`Ú 1

xÛ`-2x+7
⑹ lim  5
x`Ú 3 5-x

22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필수예제 07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2쪽

`f(x) 2xÛ`+5f(x)
함수 f(x)에 대하여 lim  =2일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x`Ú 0 x x`Ú 0 3xÛ`-f(x)

풀이 주어진 식의 분모, 분자를 각각 x로 나누면


5f(x) f(x)
2x+ lim 2x+5 lim 
x x`Ú 0 x`Ú 0 x
lim  =
x`Ú 0 `f(x) `f(x)
3x- lim 3x-lim 
x x`Ú 0 x`Ú 0 x
0+5´2
  = =-5
0-2

필수예제 08 치환을 이용한 함수의 극한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2쪽

2f(x)+1
함수 f(x)에 대하여 lim`f(x-1)=2가 성립할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x`Ú 1 x`Ú 0 3f(x)-1

풀이 x-1=t로 놓으면 x Ú 1일 때 t Ú 0이므로


lim`f(x-1)=lim`f(t)=2   ∴ lim`f(x)=2
x`Ú 1 t`Ú 0 x`Ú 0

2f(x)+1 2 lim`f(x)+lim 1
x`Ú 0 x`Ú 0
∴ lim  =
x`Ú 0 3f(x)-1 3 lim`f(x)-lim 1
x`Ú 0 x`Ú 0

2´2+1
= =1
3´2-1

KEY
Point  x-a=t로 놓으면 ⇨ x Ú a일 때 t Ú 0

`f(x) xÛ`+3f(x)
확인 13 함수 f(x)에 대하여 lim 
x`Ú 0 xÛ`
=a일 때, lim 
x`Ú 0 3xÛ`-2f(x)
=-2가 성립한다. 이때 상수
체크
a의 값을 구하시오. 7

`f(x-a) x+2f(x)
14 함수 f(x)에 대하여 lim 
x`Ú a x-a
=1이 성립할 때, lim 
x`Ú 0 2xÛ`+3f(x)
의 값을 구하시오. 1

1. 함수의 극한 23
;0); 꼴의 극한
필수예제 09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3쪽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xÜ`-27 xÜ`+x-2 'Ä4+x-2


⑴ lim  ⑵ lim  ⑶ lim 
x`Ú 3 x-3 x`Ú 1 xÛ`-1 x`Ú 0 2x

설명 ⑴ x=3을 대입하면 ;0); 꼴이 된다.

⑵ x=1을 대입하면 (분모)=0, (분자)=0


따라서 분모, 분자는 각각 x-1을 인수로 갖는다. 이때 분자는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한다.

⑶ x=0을 대입하면 ;0); 꼴이 된다.

(x-3)(xÛ`+3x+9)
풀이 ⑴ (주어진 식)=lim  =lim(xÛ`+3x+9)
x`Ú 3 x-3 x`Ú 3

=3Û`+3´3+9=27
(x-1)(xÛ`+x+2) xÛ`+x+2
⑵ (주어진 식)=lim  =lim 
x`Ú 1 (x-1)(x+1) x`Ú 1 x+1
1Û`+1+2
= =2
1+1
('Ä4+x-2)('Ä4+x+2) x
⑶ (주어진 식)=lim  =lim 
x`Ú 0 2x('Ä4+x+2) x`Ú 0 2x('Ä4+x+2)

1 1
=lim  = =;8!;
x`Ú 0 2('Ä4+x+2) 2('4+2)

KEY
Point  ;0); 꼴의 극한

① 유리식일 때는 분모, 분자를 인수분해한 다음 약분하여 극한값을 구한다. (인수정리, 조립제법 이용)
② 무리식일 때는 '`` 가 있는 쪽을 유리화한다.

확인 15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체크
6x+5xÛ` 2xÛ`-3x+1 ;2!;
2xÛ`+5x-3 -;8&;
⑴ lim  3 ⑵ lim  ⑶ lim  
x`Ú 0 2x-3xÛ` x`Ú 1 xÛ`-1 x`Ú -3 xÜ`+3xÛ`-x-3

x xÛ`-1 'Äx+2-2
⑷ lim  ⑸ lim  ⑹ lim 
x`Ú 0 'Äx+1-1 x`Ú 1 'x-1
2 4 1
x`Ú 2 x-'Ä3x-2

24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
꼴의 극한
필수예제 10 ¦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4쪽

다음 극한을 조사하시오.

2xÛ`+4x+1 x+3 2xÜ`-3x


⑴ lim ⑵ lim ⑶ lim
x`Ú¦ 3xÛ`-2 x`Ú¦ 2xÛ`+4 x`Ú¦ x-1
x 4x
⑷ lim ⑸ lim
x`Ú¦ "Ã1+xÛ`-1 x`Ú -¦ "Ã2+xÛ`-3

풀이 ⑴ 주어진 식의 분모, 분자를 각각 xÛ`으로 나누면


4 1
2+ +
x xÛ`
(주어진 식)=lim =;3@;
x`Ú¦ 2
3-
xÛ`
⑵ 주어진 식의 분모, 분자를 각각 xÛ`으로 나누면
1 3
+
x xÛ`
(주어진 식)=lim =0
x`Ú¦ 4
2+
xÛ`
⑶ 주어진 식의 분모, 분자를 각각 x로 나누면
2xÛ`-3
(주어진 식)=lim =¦
1-;[!;
x`Ú¦

⑷ 주어진 식의 분모, 분자를 각각 x로 나누면


1
(주어진 식)=lim   =1
¾¨ +1-;[!;
x`Ú¦ 1
xÛ`
⑸ x=-t로 놓으면 x Ú -¦일 때 t Ú ¦이므로
-4t -4
(주어진 식)= lim  =lim  =-4
t`Ú¦ "Ã2+tÛ`-3
¾¨ +1-
t`Ú¦ 2 3
tÛ` t

KEY ¦
Point  꼴의 극한
¦
Ú 분모의 최고차항으로 분모, 분자를 각각 나눈다.
k
Û lim =0`(k는 상수, p는 양수)임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구한다.
xp x`Ú ¦

 x=-t로 놓으면 x Ú -¦일 때 t Ú ¦

확인 16 다음 극한을 조사하시오.
체크
xÛ`-2x+3 ;3!;
5x-7 xÛ`
⑴ lim   ⑵ lim   0 ⑶ lim   -¦
x`Ú¦ 3xÛ`+2 x`Ú¦ 4xÛ`-3x+2 x`Ú¦ 2-x

x-1 ;2!;
3x-1 1-2x ;3@;
⑷ lim   ⑸ lim   -3 ⑹ lim  
x`Ú¦ "ÃxÛ`+5x+3+x x`Ú -¦ "ÃxÛ`-2x x`Ú -¦ "Ã4xÛ`+1+"ÃxÛ`-1

1. 함수의 극한 25
¦-¦ 꼴의 극한
필수예제 11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4쪽

다음 극한을 조사하시오.

⑴ lim (2xÛ`-3x+4) ⑵ lim ('Äx+1-'x)


x`Ú¦ x`Ú¦

설명 ⑴ ¦-¦ 꼴이면서 다항식 ⇨ 최고차항으로 묶는다.


⑵ ¦-¦ 꼴이면서 '  가 있는 식 ⇨ 분모를 1로 보고 분자를 유리화한다.

3 4
풀이 ⑴ (주어진 식)=lim xÛ`{2- + }=¦
x`Ú¦ x xÛ`
⑵ 분모를 1로 보고 분자를 유리화하면
('Äx+1-'x)('Äx+1+'x)
'Äx+1+'x
(주어진 식)=lim
x`Ú¦

x+1-x
=lim
'Äx+1+'x

x`Ú¦

1
=lim =0
'Äx+1+'x

x`Ú¦

KEY
Point  ¦-¦ 꼴의 극한
① 다항식인 경우는 최고차항으로 묶는다.
② '`` 가 있는 경우는 분모를 1로 보고 분자를 유리화한다.

확인 17 다음 극한을 조사하시오.
체크
⑴ lim (-xÛ`-2x+4)
-¦ ⑵ lim ("Ã4xÛ`+3x-1-2x) ;4#;
x`Ú -¦ x`Ú¦

⑶ lim 'x('Äx-1-'Äx+1) -1 ⑷ lim ("ÃxÛ`-7x+10+x) ;2&;


x`Ú¦ x`Ú -¦

26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_0 꼴의 극한
필수예제 12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4쪽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Äx-1
⑴ lim  {
1 1
-1} ⑵ lim  x{ -1}
x`Ú 0 x x+1 x`Ú¦ 'Äx+1

설명 ⑴ ¦_0 꼴이면서 분모가 다항식 ⇨ 괄호 안을 통분하여 약분한다.


⑵ ¦_0 꼴이면서 '  가 있는 식 ⇨ 괄호 안을 통분하고 유리화한다.

} Û 괄호 안을 통분한다.
1 -x
풀이 ⑴ (주어진 식)=lim { ´
x`Ú 0 x x+1
-1
=lim 
x`Ú 0 x+1

-1
= =-1
0+1
x('Äx-1-'Äx+1)
'Äx+1
⑵ (주어진 식)=lim
x`Ú¦

x('Äx-1-'Äx+1)('Äx-1+'Äx+1)
=lim
'Äx+1('Äx-1+'Äx+1)

x`Ú¦

x{(x-1)-(x+1)}
=lim
x`Ú¦ 'Äx+1('Äx-1+'Äx+1)

-2x
=lim
"ÃxÛ`-1+x+1
x`Ú¦

-2
=lim
¾¨1- +1+
x`Ú¦ 1 1
xÛ` x
-2
= =-1
1+1

KEY
Point  ¦_0 꼴의 극한
¦ C
⇨ 통분 또는 유리화하여 , ;0);, ¦_C, `(C는 상수) 꼴로 변형할 수 있는지 조사한다.
¦ ¦

확인 18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체크
⑴ lim ;[!;[1- ] 2 ⑵ lim ;[!;{ }
1 1 1 ;3!;
-
x`Ú 0 (x+1)Û` x`Ú 0 '3-x '3
'x
} ⑷ lim xÛ`{;3!;+ }
x
⑶ lim  x{;2!;- ;1£6 ; ;1Á8;
x`Ú¦ 'Ä4x+3 x`Ú -¦ "Ã9xÛ`+3

1. 함수의 극한 27
정답과 풀이 68쪽

연습문제
STEP 1 생각해 봅시다!

xÛ`-5x+6
1 극한 lim 
x`Ú 2 |x-2|
 을 조사하시오. 존재하지 않는다. 우극한과 좌극한이 같을
때, 극한값이 존재한다.
xÛ`-5x+6 (x-2)(x-3) xÛ`-5x+6 (x-2)(x-3)
lim = lim =-1, lim = lim =1
|x-2|
x`Ú 2+ x`Ú 2+ x-2 x`Ú 2- |x-2| x`Ú 2- -(x-2)
xÛ`-5x+6 xÛ`-5x+6 xÛ`-5x+6
따라서 lim + lim 이므로 lim  은 존재하지 않는다.
x`Ú 2+ |x-2| x`Ú 2- |x-2| x`Ú 2 |x-2|

( xÛ` (x<1)

2 함수 f(x)= { ;2#; (x=1)에 대하여 극한 lim`f(x)를 조사하시오.


x`Ú 1

9 x+1 (x>1)
존재하지 않는다.

lim (x+1)=2, lim xÛ`=1
x`Ú 1+ x`Ú 1-

따라서 lim `f(x)+ lim `f(x)이므로 lim`f(x)는 존재하지 않는다.


x`Ú 1+ x`Ú 1- x`Ú 1

`f(x) 10xÛ`-9x+f(x)
3 lim 
x`Ú 0 x
=a이고 lim 
x`Ú 0 2xÛ`+3x-f(x)
=5일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

오. 4
`f(x)
10xÛ`-9x+f(x) 10x-9+
x -9+a
lim  =lim  = =5
x`Ú 0 2xÛ`+3x-f(x) x`Ú 0 `f(x) 3-a
2x+3-
x
-9+a=15-5a   ∴ a=4
xÜ`-2x-4
4 lim 
x`Ú 2 x-2
의 값을 구하시오. 10 분모, 분자를 인수분해한
다음 약분한다.
xÜ`-2x-4 (x-2)(xÛ`+2x+2)
lim   =lim  
x`Ú 2 x-2 x`Ú 2 x-2
  =lim (xÛ`+2x+2)=2Û`+2´2+2=10
x`Ú 2

[ 교육청기출 ]

x-"ÃxÛ`-1
5 lim  
x`Ú -¦ x+1
의 값은? x=-t로 치환한 후 분모
의 최고차항으로 분모, 분
① 1 ✔ ② 2 ③ 3 ④ 4 ⑤5 자를 각각 나눈다.
x=-t로 놓으면 x Ú`-¦일 때 t Ú`¦이므로
x-"ÃxÛ`-1 -t-"ÃtÛ`-1 t+"ÃtÛ`-1
lim =lim =lim =2
x`Ú -¦ x+1 t`Ú¦ -t+1 t`Ú¦ t-1

6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3x+2 x+1
① lim =3 ② lim =-;2!;
x`Ú¦ x-5 x`Ú -¦ "ÃxÛ`+x-x
'Äx+2-2
③ lim  =;4!; ④ lim ('x-'Äx-1)=0
x`Ú 2 x-2 x`Ú¦

x+3|x|+1
✔ ⑤ lim   =-3
x`Ú -¦ 2x-4|x|+1
x+3|x|+1 x-3x+1 -2x+1
⑤ lim = lim = lim
2x-4|x|+1 x`Ú -¦ 2x+4x+1 x`Ú -¦ 6x+1
x`Ú -¦

이때 x=-t로 놓으면 x Ú`-¦일 때 t Ú`¦이므로


-2x+1 2t+1
lim =lim =-;3!;
x`Ú -¦ 6x+1 t`Ú¦ -6t+1

28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정답과 풀이 69쪽

STEP 2
[ 교육청기출 ]

7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다. Z


ZG Y


lim `f(x)=a일 때, lim `f(x+3)의 값은?
x`Ú -1- x`Ú a+


① -2 ② -1 ③0  0  Y

✔ ④ 1 ⑤2
x Ú`-1-일 때 f(x) Ú`-2이므로 a= x`Ú 
lim `f(x)=-2
-1-

x+3=t로 놓으면 x Ú`-2+일 때 t Ú`1+이므로
lim `f(x+3)= lim `f(t)=1
x`Ú -2+ t`Ú 1+

8 다음 중 극한값이 가장 큰 것은? -1<x<0일 때,


[x]=-1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0<x<1일 때,
x [x] [x-1] [x]=0
① lim =0 ② lim =0 ✔ ③ lim =2
x Ú 0+이면 x>0
x`Ú 0- [x] x`Ú 0+ x x`Ú 0- x-1
x Ú 0-이면 x<0
x+1 [x-3]
④ lim =1 ⑤ lim =0
x`Ú 0+ [x+1] x`Ú 3+ x-3
-1<x<0일 때 [x]=-1, 0<x<1일 때 [x]=0
∴ lim [x]=0, lim [x]=-1, lim [x+1]=1, lim [x-1]=-2, lim [x-3]=0
x`Ú 0+ x`Ú 0- x`Ú 0+ x`Ú 0- x`Ú 3+

-(x-2)Û`+k (x>1)
9 함수 f(x)=[ 
3x+5 (xÉ1)
에 대하여 lim`f(x)의 값이 존재할
x`Ú 1

때, `f(4)의 값을 구하시오. (단, k는 상수) 5


lim `f(x)= lim {-(x-2)Û`+k}=-1+k
x`Ú 1+ x`Ú 1+

lim `f(x)= lim (3x+5)=8에서 -1+k=8   ∴ k=9


x`Ú 1- x`Ú 1-

∴ f(4)=-(4-2)Û`+9=5

10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 Z ZG Y


Z
ZH Y

lim `f(x)g(x)
x`Ú a+

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 lim `f(x)´ lim  g(x)


x`Ú a+ x`Ú a+

lim`f(x)g(x)의 값을 구하시오. -9
 Y  Y lim `f(x)g(x)
x`Ú 2 0 0 x`Ú a-

lim `f(x)g(x)= lim `f(x)´ lim  g(x) = lim `f(x)´ lim  g(x)
x`Ú 2+ x`Ú 2+ x`Ú 2+ 
 x`Ú a- x`Ú a-
=3´(-3)=-9
lim `f(x)g(x)= lim `f(x)´ lim  g(x)
x`Ú 2- x`Ú 2- x`Ú 2-

=(-3)´3=-9
∴ lim`f(x)g(x)=-9
x`Ú 2

`f(x) `f(x-2)
11 함수 f(x)에 대하여 lim 
x`Ú 0 x
=3일 때, lim 
x`Ú 2 xÛ`-4
의 값을 구하시오. ;4#;
x-2=t로 놓으면 x Ú`2일 때 t Ú`0이므로
`f(x-2) `f(t) `f(t)
=lim [ ]=;4#;
`1
lim   =lim   ´
x`Ú 2 xÛ`-4 t`Ú 0 (t+2)Û`-4 t`Ú 0 t t+4

xÜ`-aÜ`
12 lim 
x`Ú a xÛ`-aÛ`
=6이고 lim ("ÃxÛ`+ax-"ÃxÛ`+bx)=3일 때, a+b의 값을 구
x`Ú ¦

하시오. (단, a, b는 상수) 2


xÜ`-aÜ` xÛ`+ax+aÛ` 3aÛ`
lim   =lim   = =6에서 a=4 (∵ a+0)
x`Ú a xÛ`-aÛ` x`Ú a x+a 2a
ax-bx a-b
lim ("ÃxÛ`+ax-"ÃxÛ`+bx)=lim = =3에서 b=-2
x`Ú¦ x`Ú¦
"ÃxÛ`+ax+"ÃxÛ`+bx 2
∴ a+b=4+(-2)=2
1. 함수의 극한 29
정답과 풀이 70쪽

실력
생각해 봅시다!
13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Z

lim `f(x-1)+ lim `f(-x)의 값은?
x`Ú 0+ x`Ú -1-
ZG Y


① -5 ✔ ② -4 ③ -3
 0  Y
④ -2 ⑤ -1

lim `f(x-1)에서 x-1=t로 놓으면 x Ú`0+일 때 t Ú`-1+이므로
x`Ú 0+

lim `f(x-1)= lim `f(t)=-1


x`Ú 0+ t`Ú -1+

lim `f(-x)에서 -x=s로 놓으면 x Ú`-1-일 때 s Ú`1+이므로 


x`Ú -1-

lim `f(-x)= lim `f(s)=-3


x`Ú -1- s`Ú 1+

∴ lim `f(x-1)+ lim `f(-x)=-4


x`Ú 0+ x`Ú -1-

14 두 함수 f(x), g(x)가 3f(x)-2g(x)=h(x)


로 놓으면
   lim `f(x)=¦, lim {3f(x)-2g(x)}=1
x`Ú¦ x`Ú¦ 2g(x)=3f(x)-h(x)
f(x)+4 g(x) 이고 lim h(x)=1
을 만족시킬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1 x`Ú¦
x`Ú¦ -2f(x)+6g(x)

lim  h(x)=1
3f(x)-2g(x)=h(x)로 놓으면 2g(x)=3f(x)-h(x), x`Ú¦
h(x)
7-2´
`f(x)+4g(x) 7f(x)-2h(x) `f(x)
∴ lim =lim =lim =1
x`Ú¦ -2f(x)+6g(x) x`Ú¦ 7f(x)-3h(x) x`Ú¦ h(x)
7-3´
`f(x)
|xÛ`-a|+a-4
15 0<a<2일 때, lim 
x`Ú 2 x-2
의 값을 구하시오. 4

|xÛ`-a|+a-4 (xÛ`-a)+a-4 xÛ`-4


lim   =lim   =lim   =lim (x+2)=4
x`Ú 2 x-2 x`Ú 2 x-2 x`Ú 2 x-2 x`Ú 2

16 두 함수 f(x)=xÛ`, g(x)=2x-1에 대하여


( f½g)(x)-(g½f)(x)
lim  의 값을 구하시오. ;3!;
x`Ú 1 (xÛ`-1)(xÜ`-1)
( f½g)(x)=(2x-1)Û`, (g½f)(x)=2xÛ`-1이므로
(2x-1)Û`-(2xÛ`-1) 2(x-1)Û`
(주어진 식)=lim   =lim   =;3!;
x`Ú 1 (xÛ`-1)(xÜ`-1) x`Ú 1 (x+1)(x-1)(x-1)(xÛ`+x+1)

17 좌표평면 위의 두 점 O(0, 0), P(3x-1, 4x+1) 사이의 거리를 d(x)라 원점 (0, 0)과 점 (xÁ, yÁ)
사이의 거리는 "ÃxÁÛ`+yÁÛ`
할 때, lim {d(x)-5x}의 값을 구하시오. ;5!;
x`Ú¦

d(x)=OPÓ="Ã(3x-1)Û`+(4x+1)Û`="Ã25xÛ`+2x+2
2x+2
∴ lim {d(x)-5x}= lim ("Ã25xÛ`+2x+2-5x)= lim =;5!;
x`Ú ¦ x`Ú ¦ x`Ú ¦
"Ã25xÛ`+2x+2+5x

30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04
개념원리 이해
함수의 극한의 응용
1. 함수의 극한

1. 미정계수의 결정 필수예제 13 , 14

`f(x)
⑴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lim  =L`(L은 실수)일 때
x`Ú a g(x)
① lim `g(x)=0이면 lim `f(x)=0
x`Ú a x`Ú a

② L+0이고 lim `f(x)=0이면 lim `g(x)=0


x`Ú a x`Ú a

`f(x)
⑵ 두 다항함수 f(x), g(x)에 대하여 lim   =L`(L+0인 실수)일 때
x`Ú¦ g(x)
   ( f(x)의 차수)=(g(x)의 차수)
이때 극한값 L은 (분자의 최고차항의 계수)Ö(분모의 최고차항의 계수)이다.

`f(x)
설명 ⑴ ① lim  =L`(L은 실수)이고 lim g(x)=0이면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에 의하여
x`Ú a g(x) x`Ú a

`f(x) `f(x)
lim`f(x)=lim[ ´g(x)]=lim  ´lim g(x)=L´0=0
x`Ú a x`Ú a g(x) x`Ú a g(x) x`Ú a

`f(x)
② lim  =L`(L+0)이고 lim`f(x)=0이면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에 의하여
x`Ú a g(x) x`Ú a

`f(x) `f(x) 0
lim g(x)=lim[ f(x)Ö ]=lim`f(x)Ölim  = =0
x`Ú a x`Ú a g(x) x`Ú a x`Ú a g(x) L

'Äx+3-k
예 lim  =;4!;이 성립하려면 x Ú 1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x`Ú 1 x-1
(분자) Ú 0이다. 즉, lim ('Äx+3-k)=0이므로 2-k=0   ∴ k=2
x`Ú 1

2.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 필수예제 15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lim`f(x)=L, lim g(x)=M`(L, M은 실수)일 때,


x`Ú a x`Ú a

a에 가까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⑴ f(x)Ég(x)이면 LÉM
⑵ 함수 h(x)에 대하여 f(x)Éh(x)Ég(x)이고 L=M이면 lim h(x)=L
x`Ú a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는 x Ú a+, x Ú a-, x Ú ¦, x Ú -¦일 때도 모두 성립한다.

주의 f(x)<g(x)인 경우, 반드시 lim`f(x)<lim g(x)인 것은 아니다.


x`Ú a x`Ú a

예를 들어 x+0일 때, 3x<xÛ`+3x이지만 lim 3x=lim(xÛ`+3x)=0이다.


x`Ú 0 x`Ú 0

1. 함수의 극한 31
필수예제 13 미정계수의 결정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5쪽

다음 등식이 성립하기 위한 상수 a, b의 값을 구하시오.

'Äa+x-b x-2
⑴ lim  =;4!; ⑵ lim  =;3!;
x`Ú 1 x-1 x`Ú 2 xÛ`+ax+b

풀이 ⑴ x Ú 1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다.


즉, lim('Äa+x-b)=0이므로 'Äa+1-b=0   ∴ b='Äa+1
x`Ú 1

'Äa+x-'Äa+1
∴ (주어진 식)=lim 
x`Ú 1 x-1
a+x-(a+1)
=lim     Û2 ;0); 꼴: 유리화
x`Ú 1 (x-1)('Äa+x+'Äa+1)

1 1
=lim  =
x`Ú 1 'Äa+x+'Äa+1

2'Äa+1
1
=;4!;이므로 a=3, b=2
2'Äa+1
⑵ x Ú 2일 때 (분자) Ú 0이고 0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모) Ú 0이다.
즉, lim(xÛ`+ax+b)=0이므로 4+2a+b=0   ∴ b=-2a-4
x`Ú 2

x-2
∴ (주어진 식)=lim 
x`Ú 2 xÛ`+ax-2a-4

x-2
=lim     Û2 ;0); 꼴: 인수분해, 약분
x`Ú 2 (x-2)(x+2+a)

1 1
=lim  = 
x`Ú 2 x+2+a 4+a
1
=;3!;이므로 a=-1, b=-2
4+a

KEY `f(x)
Point  lim   =L`(L은 실수)일 때
x`Ú a g(x)

① x !Ú a일 때 (분모) !Ú 0이면 (분자) !Ú 0


② x !Ú a일 때 (분자) !Ú 0이면 (분모) !Ú 0 (단, L+0)

확인 19 다음 등식이 성립하기 위한 상수 a, b의 값을 구하시오.


체크
xÛ`-a xÛ`+ax+b x-2
⑴ lim  =b a=4, b=4 ⑵ lim   =2 ⑶ lim  =1
x`Ú 2 x-2 x`Ú -1 x+1 x`Ú 2 a'Äx-1+b
a=4, b=3 a=2, b=-2
32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필수예제 14 다항함수의 결정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6쪽

`f(x) `f(x)
다항함수 f(x)가 lim   =1, lim  =1을 만족시킬 때, f(0)의 값
x`Ú¦ 2xÛ`+x+1 x`Ú 2 xÛ`-x-2

을 구하시오.

`f(x)
풀이 lim   =1에서 f(x)는 이차항의 계수가 2인 이차함수임을 알 수 있다.
x`Ú¦ 2xÛ`+x+1
`f(x) `f(x)
또, lim  =lim  =1에서 x Ú 2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x`Ú 2 xÛ`-x-2 x`Ú 2 (x-2)(x+1)

(분자) Ú 0이다.
즉, lim`f(x)=0이므로 f(2)=0
x`Ú 2

f(x)=2(x-2)(x+a)`(a는 상수)로 놓으면


`f(x) 2(x-2)(x+a)
lim  =lim 
x`Ú 2 (x-2)(x+1) x`Ú 2 (x-2)(x+1)

2(x+a)
  =lim 
x`Ú 2 x+1
4+2a
  = =1
3

∴ a=-;2!;

따라서 f(x)=2(x-2){x-;2!;}=(x-2)(2x-1)이므로

f(0)=(-2)´(-1)=2

KEY
Point  극한값 조건이 여러 개 있을 때는 x Ú ¦인 조건부터 먼저 적용한다.
¦
 분모와 분자가 다항함수인 꼴의 극한에서 (분모의 차수)=(분자의 차수)이면 극한값은 분모, 분자의 최
¦
고차항의 계수의 비이다.

`f(x) `f(x) `f(x)


확인 20 다항함수 f(x)가 lim 
x`Ú 1 xÛ`-1
=-1, lim  
x`Ú¦ xÛ`+1
=2를 만족시킬 때, lim 
x`Ú 2 x-2
의 값을
체크
구하시오. 2

`f(x) `f(x)-2xÜ`
21 다항함수 f(x)가 lim 
x`Ú 0 x
=-3, lim  
x`Ú¦ xÛ`
=2를 만족시킬 때, f(x)를 구하

시오. f(x)=2xÜ`+2xÛ`-3x

1. 함수의 극한 33
필수예제 15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6쪽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xÛ`+x-1 xÛ`+x+4
⑴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Éf(x)É  를 만족시킬 때,
3xÛ`+2 3xÛ`+2
lim `f(x)의 값을 구하시오.
x`Ú¦

⑵ 함수 f(x)가 모든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3x+1<f(x)<3x+4를 만족시킬 때,


{ f(x)}Û`
lim 의 값을 구하시오.
x`Ú¦ xÛ`+1

xÛ`+x-1 xÛ`+x+4
풀이 ⑴ lim   =;3!;, lim   =;3!;이므로
x`Ú¦ 3xÛ`+2 x`Ú¦ 3xÛ`+2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f(x)=;3!;
x`Ú¦

⑵ 3x+1<f(x)<3x+4의 각 변을 제곱하면
(3x+1)Û`<{`f(x)}Û`<(3x+4)Û`
 xÛ`+1>0이므로 각 변을 xÛ`+1로 나누면
(3x+1)Û` { f(x)}Û` (3x+4)Û`
< <
xÛ`+1 xÛ`+1 xÛ`+1
(3x+1)Û` (3x+4)Û`
그런데 lim   =9, lim   =9이므로
x`Ú¦ xÛ`+1 x`Ú¦ xÛ`+1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 f(x)}Û`
lim   =9
x`Ú¦ xÛ`+1

KEY
Point  f(x)Éh(x)Ég(x)이고 lim `f(x)=lim `g(x)=L`(L은 실수)이면
x`Ú a x`Ú a
⇨ lim  h(x)=L
x`Ú a

확인 22 두 함수 f(x), g(x)가 f(x)=2x+1, g(x)=xÛ`+2일 때, 함수 h(x)가 모든 실수 x에


체크 대하여 f(x)Éh(x)Ég(x)를 만족시킨다. 이때 lim h(x)의 값을 구하시오. 3
x`Ú 1

5x+3 5xÛ`-2x+7
23 함수 f(x)가 모든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x+2
Éf(x)É
xÛ`
 을 만족시킬 때,

lim `f(x)의 값을 구하시오. 5


x`Ú¦

24 함수 f(x)가 모든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2x+1<f(x)<2x+5를 만족시킬 때,


{ f(x)}Ü`
lim   의 값을 구하시오. 8
x`Ú¦ xÜ`+1

34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필수예제 16 함수의 극한의 활용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7쪽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y=-axÛ`+a의 그래프와 x축으로 Z

둘러싸인 부분에 정사각형이 내접하고 있다. 이 정사각형의 넓


이를 S(a)라 할 때, lim S(a)의 값을 구하시오. (단, a>0)
a`Ú¦
0 Y

ZBY™ B

풀이 함수 y=-axÛ`+a의 그래프와 정사각형이 제1사분면에서 만나는 점의 좌표를 (t, -atÛ`+a)`(t>0)


라 하면 정사각형의 가로, 세로의 길이는 서로 같으므로
2t=-atÛ`+a, atÛ`+2t-a=0
-1+"Ã1+aÛ`
∴ t= (∵ t>0)
a
따라서 정사각형의 넓이 S(a)는
-1+"Ã1+aÛ` Û
S(a)=(2t)Û`={2´ }```
a
1-2"Ã1+aÛ`+1+aÛ`
=4´
aÛ`
4aÛ`+8-8"Ã1+aÛ`
=
aÛ`
4aÛ`+8-8"Ã1+aÛ`
∴ lim  S(a)=lim  
a`Ú¦ a`Ú¦ aÛ`
8 1 1
=lim {4+ -8¾¨ + }=4
a`Ú¦ aÛ` aÝ` aÛ`

KEY
Point  구하는 선분의 길이 또는 점의 좌표를 식으로 나타낸 후 극한의 성질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구한다.

확인 25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y=xÛ`의 그래프 위의 점 P(t, tÛ`)에 대하 Z ZY™


체크 여 점 P를 지나고 직선 OP와 수직인 직선이 y축과 만나는 점의 G U

y좌표를 f(t)라 할 때, lim`f(t)의 값을 구하시오. (단, O는 원점) 1 U U™

t`Ú 0
1
0 Y

1. 함수의 극한 35
정답과 풀이 71쪽

연습문제
STEP 1 생각해 봅시다!
xÛ`-ax+2 x Ú 2일 때
18 lim 
x-2
의 값이 존재할 때, 상수 a의 값과 그때의 극한값 k의 곱을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x`Ú 2

구하시오. 3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


xÛ`-ax+2 다.
lim   =k에서 lim (xÛ`-ax+2)=0이므로 a=3
x`Ú 2 x-2 x`Ú 2

xÛ`-3x+2
∴ k=lim   =lim (x-1)=1
x`Ú 2 x-2 x`Ú 2

∴ ak=3´1=3
[ 교육청기출 ]
x+2
19 두 상수 a, b에 대하여 lim  
x`Ú -2 'Äx+a-b
=6일 때, a+b의 값을 구하시오. 14

lim ('Äx+a-b)=0이므로 b='Äa-2


x`Ú -2

x+2 x+2 (x+2)('Äx+a+'Äa-2 )


∴ lim = lim = lim =2'Äa-2=6
'Äx+a-b x`Ú -2 'Äx+a-'Äa-2 x`Ú -2
x`Ú -2 x+2
따라서 a=11, b=3이므로 a+b=14

"ÃxÛ`-x-3+ax
20 lim  
x`Ú -3 x+3
=b가 성립하도록 하는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6%;
lim ("ÃxÛ`-x-3+ax)=0이므로 3-3a=0   ∴ a=1
x`Ú -3

"ÃxÛ`-x-3+ax "ÃxÛ`-x-3+x -(x+3)


∴ b= lim = lim = lim =-;6!;
x`Ú -3 x+3 x`Ú -3 x+3 x`Ú -3
(x+3)("ÃxÛ`-x-3-x)
∴ a+b=;6%;

`f(x)+1 { f(x)}Û`+f(x)
21 다항함수 f(x)가 lim 
x`Ú 1 x-1
=9를 만족시킬 때, lim 
x`Ú 1 xÜ`-1
의 값을 구하시오. -3

`f(x)+1
lim   =9에서 lim {`f(x)+1}=f(1)+1=0이므로 f(1)=-1
x`Ú 1 x-1 x`Ú 1

{ f(x)}Û`+f(x) `f(x)+1 `f(x) -1


∴ lim   =lim   ´lim   =9´ =-3
x`Ú 1 xÜ`-1 x`Ú 1 x-1 x`Ú 1 xÛ`+x+1 3

`f(x)-3xÛ` `f(x)
22 다항함수 f(x)가 lim  
x`Ú¦ x
=a, lim 
x`Ú 0 x
=2를 만족시킬 때, 상 분모와 분자가 다항함수인
¦
꼴의 극한에서
수 a의 값을 구하시오. (단, a+0) 2 ¦
(분모의 차수)
`f(x)-3xÛ`
lim =a에서 f(x)는 이차항의 계수가 3, 일차항의 계수가 a인 이차함수임을 알 수 있다. =(분자의 차수)
x`Ú ¦ x
`f(x) 이면 극한값은 분모, 분자
또, lim   =2에서 lim `f(x)=0이므로 f(0)=0
x`Ú 0 x x`Ú 0
의 최고차항의 계수의 비이
`f(x) 3xÛ`+ax
f(x)=3xÛ`+ax로 놓으면 lim   =lim   =lim (3x+a)=2   ∴ a=2 다.
x`Ú 0 x x`Ú 0 x x`Ú 0

1+5x-3xÛ` 2-x
23 함수 f(x)가 x¾1인 실수 x에 대하여
3xÛ`
Éf(x)É
x
 를 만 f(x)Éh(x)Ég(x)이고
lim`f(x)=lim`g(x)=L
족시킬 때, lim `f(x)의 값을 구하시오. -1
x`Ú a x`Ú a

x`Ú¦ 이면 lim h(x)=L
x`Ú a
1+5x-3xÛ` 2-x
lim =-1, lim =-1이므로
x`Ú ¦ 3xÛ` x`Ú ¦ x
lim `f(x)=-1
x`Ú ¦

36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정답과 풀이 72쪽

STEP 2
`f(x)
24 함수 f(x)=xÛ`+ax+b에 대하여 lim 
x`Ú 0 x
=4가 성립할 때, 함수 f(x)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 -4


`f(x) xÛ`+ax+b
lim   =lim   =4에서 lim (xÛ`+ax+b)=0이므로 b=0
x`Ú 0 x x`Ú 0 x x`Ú 0

xÛ`+ax
∴ lim   =lim (x+a)=a=4
x`Ú 0 x x`Ú 0

따라서 f(x)=xÛ`+4x=(x+2)Û`-4이므로 함수 f(x)의 최솟값은 x=-2일 때 -4이다.

{
1 xÛ`
25 lim 
x`Ú 1 x-1 x+1
+a}=b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b-a의 값을 구하시오. ;4%; ¦_0 꼴이면서 분모 또는
분자에 다항식이 있는 경우
{
1 xÛ` xÛ`+ax+a
lim   +a}=lim   =b에서 lim (xÛ`+ax+a)=0이므로 a=-;2!; 통분하거나 인수분해한다.
x`Ú 1 x-1 x+1 x`Ú 1 (x-1)(x+1) x`Ú 1

xÛ`-;2!;x-;2!;
=;4#;   ∴ b-a=;4#;-{-;2!;}=;4%;
2x+1
∴ b=lim   =lim  
x`Ú 1 (x-1)(x+1) x`Ú 1 2(x+1)

`f(x) `f(x)
26 다항함수 f(x)가 lim  
x`Ú -2 xÛ`+3x+2
=-1, lim  
x`Ú¦ 2xÛ`-x+3
=1을 만족시

킬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21 f(-2)=0 f(x)는 이차항의 계수가 2인 이차함수

f(x)=2(x+2)(x+a)`(a는 상수)로 놓으면


`f(x) 2(x+2)(x+a) 2(-2+a)
lim = lim = =-1   ∴ a=;2%;
xÛ`+3x+2 x`Ú -2 (x+1)(x+2)
x`Ú -2 -2+1
따라서 f(x)=(x+2)(2x+5)이므로 f(1)=3´7=21

`f(x) `f(x)
27 lim 
x`Ú 1 x-1
=-6, lim  
x`Ú -1 x+1
=2를 만족시키는 차수가 가장 낮은 다항함 f(x)
f(1)=0 f(-1)=0 =(x-1)(x+1)g(x)
수 f(x)를 구하시오. f(x)=-(x-1)(x+1)(x+2)
f(x)=(x-1)(x+1)g(x)로 놓으면
`f(x) `f(x)
lim   =2g(1)=-6에서 g(1)=-3  yy`㉠, lim =-2g(-1)=2에서 g(-1)=-1  yy`㉡
x`Ú 1 x-1 x`Ú -1 x+1

㉠, ㉡을 만족시키는 차수가 가장 낮은 다항함수는 일차함수이므로 g(x)=ax+b`(a, b는 상수)로 놓으면


g(1)=a+b=-3, g(-1)=-a+b=-1에서 a=-1, b=-2  
따라서 g(x)=-x-2이므로 f(x)=-(x-1)(x+1)(x+2)
`f(x) `f(x)
28 lim  
x`Ú¦ 2x-"ÃxÛ`+3
=2, lim 
x`Ú 2 xÛ`+x-6
=p를 만족시키는 다항함수 f(x)
f(x)는 f(2)=0
일차함수
와 상수 p의 값을 구하시오. f(x)=2x-4, p=;5@;
f(x)=a(x-2)`(a는 상수)로 놓으면
`f(x) a(x-2)
lim   =lim   =;5A;=p   ∴ a=5p
x`Ú 2 xÛ`+x-6 x`Ú 2 (x-2)(x+3)

`f(x) 5p(x-2)
lim   = lim   =5p=2에서 p=;5@;, a=2이므로 f(x)=2(x-2)=2x-4
x`Ú ¦
2x-"ÃxÛ`+3 x`Ú ¦ 2x-"ÃxÛ`+3

29 함수 f(x)가 x+1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1일 때와 x<1일 때로


나누어 생각한다.
   2xÜ`-6xÛ`+4xÉf(x)ÉxÝ`-2xÜ`+1
`f(x)
을 만족시킬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2
x`Ú 1 x-1

2xÜ`-6xÛ`+4x `f(x) xÝ`-2xÜ`+1


Ú x>1일 때, É É
x-1 x-1 x-1
xÝ`-2xÜ`+1 `f(x) 2xÜ`-6xÛ`+4x
Û x<1일 때, É É
x-1 x-1 x-1
2xÜ`-6xÛ`+4x 2x(x-1)(x-2)
lim   =lim   =-2
x`Ú 1 x-1 x`Ú 1 x-1
xÝ`-2xÜ`+1 (x-1)(xÜ ` -xÛ ` -x-1)
lim   =lim   =-2
x-1 x-1
37
x`Ú 1 x`Ú 1
1. 함수의 극한
`f(x)
∴ lim   =-2
x`Ú 1 x-1
정답과 풀이 74쪽

실력
생각해 봅시다!
30 lim ("ÃxÛ`+3ax+2-"ÃaxÛ`+ax+1)=b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
x`Ú -¦
¦-¦ 꼴의 극한에서
x=-t로 놓으면 x Ú`-¦일 때 t Ú`¦
의 값을 구하시오. 0 '  가 있는 경우는 분모를
lim ("ÃxÛ`+3ax+2-"ÃaxÛ`+ax+1)= lim ("ÃtÛ`-3at+2-"ÃatÛ`-at+1) 1로 보고 분자를 유리화한
x`Ú -¦ t`Ú ¦

(1-a)tÛ`-2at+1 다.
=lim   =b
t`Ú ¦
"ÃtÛ`-3at+2+"ÃatÛ`-at+1
[ 교육청기출 ]
1-a=0일 때, 극한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a=1, b=-1   ∴ a+b=0
31 다항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f(3)의 값을 구하시오. 14

`f(x) `f(x)
㈎ lim   =0 f(x)는 이차 이하 ㈏ lim  =1
x`Ú¦ xÜ` x`Ú 1 x-1
의 함수
f(1)=0
㈐ 방정식 f(x)=2x의 한 근이 2이다.

`f(x)
f(x)=(ax+b)(x-1)`(a, b는 상수)로 놓으면 lim   =lim (ax+b)=a+b=1  yy`㉠
x`Ú 1 x-1 x`Ú 1

㈐에서 f(2)=4이므로 2a+b=4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2이므로 f(x)=(3x-2)(x-1)   ∴ f(3)=7´2=14
`f(x)
32 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lim
x`Ú¦ xÛ`
의 값을 구하시오. 2

 (단, a는 상수)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axÛ`-2Éf(x)ÉaxÛ`+2가 성립한다.


(2xÛ`+1)(axÛ`-2) (2xÛ`+1)f(x) (2xÛ`+1)(axÛ`+2)
(2xÛ`+1)f(x) É É
㈏ lim   =4 xÝ`+2 xÝ`+2 xÝ`+2
x`Ú¦ xÝ`+2

(2xÛ`+1)(axÛ`-2) (2xÛ`+1)(axÛ`+2)
lim =2a, lim =2a이므로 ㈏에서 2a=4   ∴ a=2
x`Ú¦ xÝ`+2 x`Ú¦ xÝ`+2
`f(x) `f(x)
É2+ 이고 lim {2- }=2, lim {2+ }=2이므로 lim
2 2 2 2
따라서 x+0일 때, 2- É =2
xÛ` xÛ` xÛ` x`Ú¦ xÛ` x`Ú¦ xÛ` x`Ú¦ xÛ`

33 실수 t에 대하여 곡선 y=;[@;+1과 직선 x=t가 만나는 점을 P라 하고, 점 P 두 점 (xÁ, yÁ), (xª, yª)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
에서 x축,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Q, R라 하자. 두 점 Q, R를 지나는 yª-yÁ

t+2 xª-xÁ
직선의 기울기를 m(t)라 할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4
t`Ú -2 m(t)

점 P의 좌표는 {t,
2 2 t+2
+1}이므로 Q(t, 0), R{0, +1}   ∴ m(t)=-
t t tÛ`
t+2
∴ lim = lim (-tÛ`)=-4
t`Ú -2 m(t) t`Ú -2

34 오른쪽 그림에서 원점 O가 중심이고 곡선 y='x Z


1 Y Z
ZY 중심의 좌표가 (0,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의
위를 움직이는 점 P(x, y)를 지나는 원이 x축의
방정식
양의 부분과 만나는 점을 Q라 하자. 점 P에서 x ⇨ xÛ`+yÛ`=rÛ`
0 ) 2 Y
PHÓ `Û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할 때, lim   의
x`Ú 0+ QHÓ

값을 구하시오. 0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xÛ`+yÛ`=rÛ`
점 P(x, y)는 원과 곡선 y='x 위에 있으므로 xÛ`+x=rÛ`에서 r="ÃxÛ`+x   ∴ QHÓ=r-x="ÃxÛ`+x-x
PHÓ Û` x
또한, PHÓ Û`=yÛ`=('x)Û`=x이므로 lim = lim = lim ("ÃxÛ`+x+x)=0
x`Ú 0+ QHÓ x`Ú 0+
"ÃxÛ`+x-x x`Ú 0+

38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함수의 극한과 연속

1. 함수의 극한
2. 함수의 연속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2. 함수의 연속

01
개념원리 이해
함수의 연속
2. 함수의 연속

1.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필수예제 1~3

함수 f(x)가 실수 a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함수 f(x)는 x=a에서 연속이라


한다.

Ú 함수 f(x)가 x=a에서 정의되어 있다. Z ZG Y

즉, 함숫값 f(a)가 존재한다. Û 함숫값 존재

Û 극한값 lim `f(x)가 존재한다. Û 극한값 존재 G B

x`Ú a

Ü lim `f(x)=f(a) Û (극한값)=(함숫값) B Y


x`Ú a 0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 아닐 때, f(x)는 x=a에서 불연속이라 한다. 즉, 함수 f(x)가 위의 세 조건 중 어느 하


나라도 만족시키지 않으면 함수 f(x)는 x=a에서 불연속이다.

설명 ⑴ 그래프에서 연속·불연속의 의미 YB 연속


① x=a에서 연속 ⇨ x=a에서 그래프가 이어져 있다. 불연속
② x=a에서 불연속 ⇨ x=a에서 그래프가 끊어져 있다.

⑵ 함수 f(x)가 다음 경우 중 어느 하나라도 해당되면 x=a에서 불연속이다.

Z ZG Y
Z Z ZG Y

ZG Y

함수 y=f(x)의
그래프
0 B Y 0 B Y 0 B Y

lim`f(x)의 값이 존재하지
함수 f(x)가 x`Úa `lim`f(x)+f(a)
x`Úa
 f(a)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우극한, 좌극한이
x=a에서 x=a에서의 함숫값과 극한
않는다. 다른 경우에는 극한값이 없
불연속인 이유 값이 다르다.
다.)

예 다음 함수가 x=1에서 연속인지 불연속인지 조사하시오.


1
⑴ f(x)=x+2 ⑵ f(x)=
x-1
풀이 ⑴ Ú f(1)=3으로 함숫값이 존재한다.
Û lim`f(x)=3으로 극한값이 존재한다.
x`Ú1

Ü lim`f(x)=f(1)
x`Ú1

∴ x=1에서 연속
⑵ x=1일 때, 분모가 0이므로 함숫값 f(1)이 존재하지 않는다.
∴ x=1에서 불연속

40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2. 구간과 연속함수
⑴ 구간
두 실수 a, b`(a<b)에 대하여 집합
   {x|aÉxÉb}, {x|a<x<b}, {x|aÉx<b}, {x|a<xÉb}
를 각각 구간이라 하고, 이들을 각각 기호
   [a, b]`, (a, b), [a, b), (a, b]
로 나타낸다.
‌이때 [a, b]를 닫힌구간, (a, b)를 열린구간, [a, b)와 (a, b]를 반닫힌 구간 또는 반열린 구간이
라 한다.
또, 실수 a에 대하여 집합
   {x|xÉa}, {x|x<a}, {x|x¾a}, {x|x>a}
도 각각 구간이고, 이들을 각각 기호
   (-¦, a], (-¦, a), [a, ¦), (a, ¦)
로 나타낸다.
특히, 실수 전체의 집합도 하나의 구간이며, 기호 (-¦, ¦)로 나타낸다.
각 구간을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B C> B C
<B C
B C>
B C Y B C Y B C Y B C Y

b B> b B
<B b
B b

B Y B Y B Y B Y

예 함수 f(x)='Äx+2의 정의역은 {x|x¾-2}이므로 구간의 기호로 나타내면 [-2, ¦)이다.


⑵ 연속함수
‌함수 f(x)가 어떤 구간에 속하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일 때, f(x)는 그 구간에서 연속이
라 한다.
또, 어떤 구간에서 연속인 함수를 그 구간에서 연속함수라 한다.

함수 f(x)가 Z ZG Y

G C

Ú 열린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G B

Û lim `f(x)=f(a), lim `f(x)=f(b)


x`Ú a+ x`Ú b-

일 때, 함수 f(x)는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라 한다. 0 B C Y

어떤 구간에서 연속인 함수의 그래프는 그 구간에서 끊김없이 이어져 있다.

설명 오른쪽 그림과 같은 함수 f(x)는 x=a와 x=b에서 불연속이지만 Z ZG Y

G C

열린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lim `f(x)=f(a), lim `f(x)=f(b) G B

x`Úa+ x`Úb-

이므로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임을 알 수 있다.


0 B C Y

2. 함수의 연속 41
개념원리 이해

3. 여러 가지 함수의 연속성
연속인 함수는 주어진 구간에서 그 그래프가 끊김없이 이어져 있고, 불연속인 함수는 그 그래프가
끊어져 있다.

⑴ 다항함수: 일차함수, 이차함수, … ⇨ (-¦, ¦)에서 연속


g(x)
⑵ 유리함수: y= ⇨ (분모)=0, 즉 f(x)=0인 x에서 불연속
f(x)
⑶ 무리함수: y="Ãf(x) ⇨ f(x)¾0인 x에서 연속

⑴ 다항함수 ⑵ 유리함수 ⑶ 무리함수


Z ZY  Z Z Z
ZY™ Z:Å
ZY

 0 Y
0 Y 0 Y 0 Y

(-¦, ¦)에서 연속 x=0에서 불연속 x¾0, 즉 [0, ¦)에서 연속

보충학습

k
1. 유리함수 y= +q`(k+0)의 그래프
x-p
⇨ x+p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
Z L L Z

R R

0 Q Y 0 Q Y

2. 무리함수 y=Ñ"Ãa(x-p)+q`(a+0)의 그래프

⇨ ‌① a>0일 때, x¾p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


② a<0일 때, xÉp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
Z Z
B B
R ZÃÂB YQ
R
0
ZÃÂB YQ
R Q Y
R

0 Q Y B B

42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개념원리 익히기
생각해 봅시다!
26 다음 함수가 x=1에서 불연속인 이유를 설명하시오.

⑴ Z ⑵
Z ZG Y
⑶ Z
ZG Y
ZG Y


  
  

 0  Y  0  Y  0  Y

f(1)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lim`f(x)의 값이 lim`f(x)+f(1)


x`Ú 1 x`Ú 1

존재하지 않는다.

27 다음 함수가 x=2에서 연속인지 불연속인지 조사하시오.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인지 알아보려면
1 Ú ‌함숫값 f(a)가 존재하
⑴ f(x)=x-2 연속 ⑵ f(x)= 불연속
x-2 는지
Û ‌극한값 lim`f(x)가 존
x`Úa

재하는지
Ü lim`f(x)=f(a)인지
x`Úa

모두 확인한다.

28 다음 집합을 구간의 기호로 나타내시오.

⑴ {x|-2ÉxÉ1} [-2, 1] ⑵ {x|-1<x<2} (-1, 2)

⑶ {x|0Éx<2} [0, 2) ⑷ {x|1<xÉ3} (1, 3]

⑸ {x|x<-2} (-¦, -2) ⑹ {x|x¾3} [3, ¦)

29 다음 함수의 정의역을 구간의 기호로 나타내시오.

⑴ f(x)=xÛ`+x (-¦, ¦) ⑵ f(x)='Äx-1 [1, ¦)

2. 함수의 연속 43
필수예제 01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26쪽

다음 함수가 x=1에서 연속인지 불연속인지 조사하시오.

⑵ f(x)=à x-1
xÛ`+2x-3
2xÛ`-1 (x¾1) (x+1)
⑴ f(x)=[ 
x (x<1)
2 (x=1)

풀이 ⑴ Ú x=1에서의 함숫값은 f(1)=1 Z


ZG Y

Û lim `f(x)= lim (2xÛ`-1)=1, lim `f(x)= lim `x=1이므로


x`Ú1+ x`Ú1+ x`Ú1- x`Ú1-

lim`f(x)=1
x`Ú1 
Ú, Û에서 lim`f(x)=f(1) 0 Y
x`Ú1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다.


xÛ`+2x-3 (x-1)(x+3)
⑵ x+1일 때, f(x)= = =x+3 Z
x-1 x-1 ZG Y

Ú x=1에서의 함숫값은 f(1)=2 


Û lim`f(x)=lim(x+3)=4 
x`Ú1 x`Ú1

Ú, Û에서 lim`f(x)+f(1)  0  Y
x`Ú1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KEY
Point  함수 f(x)가 x=a에서 연속 ⇨ lim`f(x)=f(a)
x`Ú a

 주어진 구간에서 그래프가 이어져 있으면 연속이고, 끊어져 있으면 불연속이다.

확인 30 다음 함수가 x=2에서 연속인지 불연속인지 조사하시오.


체크
xÛ`+x-6 xÛ`-4
⑴ f(x)=|x-2| 연속 ⑵ f(x)= 불연속 ⑶ f(x)= 불연속
x-2 |x-2|

⑷ f(x)=à x-2
xÛ`-3x+2
(x+2) 'Äx-2 (x¾2)
연속 ⑸ f(x)=[  불연속
-1 (x<2)
1 (x=2)

44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필수예제 02 함수의 그래프와 연속 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26, 27쪽

열린구간 (-1, 4)에서 정의된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 Z


ZG Y

른쪽 그림과 같다. 이 구간에서 f(x)의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 



는 x의 값의 개수를 a, f(x)가 불연속인 x의 값의 개수를 b라 
할 때, a+b의 값을 구하시오.
 0     Y

풀이 x=0, x=1, x=2, x=3에서 함수 f(x)의 연속성을 조사한다.


Ú x=0에서의 함숫값은 f(0)=2
x Ú 0일 때의 극한값은 lim `f(x)= lim `f(x)=1
x`Ú0+ x`Ú0-

따라서 lim`f(x)+f(0)이므로 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x`Ú0

Û x Ú 1일 때의 극한값은
lim `f(x)=2, lim `f(x)=1이므로 lim `f(x)+ lim `f(x)
x`Ú1+ x`Ú1- x`Ú1+ x`Ú1-

따라서 lim`f(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x`Ú1

Ü x=2에서의 함숫값은 f(2)=2


x Ú 2일 때의 극한값은 lim `f(x)= lim `f(x)=1
x`Ú2+ x`Ú2-

따라서 lim`f(x)+f(2)이므로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x`Ú2

Ý x=3에서의 함숫값은 f(3)=3


x Ú 3일 때의 극한값은 lim `f(x)= lim `f(x)=3
x`Ú3+ x`Ú3-

따라서 lim`f(x)=3이므로 lim`f(x)=f(3)


x`Ú3 x`Ú3

즉, f(x)는 x=3에서 연속이다.


Ú~Ý에서 x=1에서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a=1
또, x=0, x=1, x=2에서 불연속이므로 b=3
∴ a+b=1+3=4

KEY
Point  함수 y=f(x)의 그래프가 x=a에서 끊어져 있으면 f(x)는 x=a에서 불연속이다.
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우극한)+(좌극한)일 때이다.

확인 31 열린구간 (0, 4)에서 정의된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 Z



ZG Y

체크 림과 같다. 이 구간에서 f(x)의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x의 값의 


개수를 a, f(x)가 불연속인 x의 값의 개수를 b라 할 때, ab의 값을 

구하시오. 2
0     Y

2. 함수의 연속 45
필수예제 03 함수의 그래프와 연속 ⑵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26, 27쪽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보기 중 x=2에서 연속인


함수인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Z Z
ZG Y

ZH Y

 

0  Y 0  Y

보기

ㄱ. f(x)g(x) ㄴ. g(``f(x)) ㄷ. f(g(x))

풀이 ㄱ. x=2에서의 함숫값은 f(2)g(2)=2´0=0


x Ú 2일 때의 극한값은 lim `f(x)g(x)= lim `f(x)´ lim `g(x)=0´2=0
x`Ú2+ x`Ú2+ x`Ú2+

lim `f(x)g(x)= lim `f(x)´ lim `g(x)=0´2=0


x`Ú2- x`Ú2- x`Ú2-

따라서 lim`f(x)g(x)=0이므로 lim`f(x)g(x)=f(2)g(2)


x`Ú2 x`Ú2

즉, f(x)g(x)는 x=2에서 연속이다.


ㄴ. x=2에서의 함숫값은 g(`f(2))=g(2)=0
f(x)=t로 놓으면 x Ú 2+일 때 t Ú 0+이고, x Ú 2-일 때 t Ú 0+이므로
lim `g(`f(x))= lim `g(t)=0, lim `g(`f(x))= lim `g(t)=0
x`Ú2+ t`Ú0+ x`Ú2- t`Ú0+

따라서 lim`g(`f(x))=0이므로 lim`g(`f(x))=g(`f(2))


x`Ú2 x`Ú2

즉, g(`f(x))는 x=2에서 연속이다.


ㄷ. x=2에서의 함숫값은 f(g(2))=f(0)=2
g(x)=t로 놓으면 x Ú 2+일 때 t Ú 2-이고, x Ú 2-일 때 t Ú 2-이므로
lim `f(g(x))= lim `f(t)=0, lim `f(g(x))= lim `f(t)=0
x`Ú2+ t`Ú2- x`Ú2- t`Ú2-

따라서 lim`f(g(x))=0이므로 lim`f(g(x))+f(g(2))


x`Ú2 x`Ú2

즉, f(g(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그러므로 x=2에서 연속인 함수는 ㄱ, ㄴ이다.

확인 32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가 오른 Z


ZG Y
ZH Y

Z
체크 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보기 중 x=0에서 연  
Å
속인 함수인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ㄱ
Y Y
0 0
Å
보기
 
ㄱ. f(x)+g(x) ㄴ. f(x)g(x)
ㄷ. g(`f(x)) ㄹ. f(g(x))

46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필수예제 04 함수가 연속일 조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28쪽

함수 f(x)=à x+2
xÛ`+ax+b
(x+-2)
가 x=-2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상수 a, b
5 (x=-2)
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려면 ` lim `f(x)=f(-2)이어야 하므로


x`Ú-2

xÛ`+ax+b
lim =5 ……`㉠
x`Ú-2 x+2
x Ú -2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다.
즉, lim (xÛ`+ax+b)=0이므로
x`Ú-2

4-2a+b=0   ∴ b=2a-4 ……`㉡


㉡을 ㉠에 대입하면
xÛ`+ax+2a-4 (x+2)(x-2+a)
lim = lim
x`Ú-2 x+2 x`Ú-2 x+2
= lim (x-2+a)=-4+a
x`Ú-2

-4+a=5이므로 a=9
a=9를 ㉡에 대입하면 b=14
∴ a=9, b=14

KEY g(x) (x+a)


Point  함수 f(x)=à  가 x=a에서 연속이려면
k (x=a)
⇨ lim `g(x)=k
x`Ú a

함수 f(x)=à
xÛ`+2ax+3
 (x+-1)
x+1
확인 33 가 x=-1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상수 a, b에
체크 b (x=-1)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4

( a"ÃxÛ`+8-b  (x+1)
x-1
34 함수 f(x)={ 이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상수 a, b
a-1
9 2
 (x=1)

에 대하여 b-a의 값을 구하시오. 6

2. 함수의 연속 47
필수예제 05 (x-a)f(x)=g(x) 꼴의 함수의 연속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29쪽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인 함수 f(x)가


   (x-2) f(x)=xÛ`+ax-12
를 만족시킬 때, 상수 a의 값과 f(2)의 값을 구하시오.

xÛ`+ax-12
풀이 x+2일 때, f(x)=
x-2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이므로 x=2에서도 연속이다.
xÛ`+ax-12
∴ f(2)=lim`f(x)=lim
x`Ú2 x`Ú2 x-2
x Ú 2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다.
즉, lim(xÛ`+ax-12)=0이므로
x`Ú2

4+2a-12=0   ∴ a=4
xÛ`+4x-12
∴ f(2)=lim
x`Ú2 x-2
(x-2)(x+6)
=lim
x`Ú2 x-2
=lim(x+6)=8
x`Ú2

KEY
Point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인 두 함수 f(x), g(x)가 (x-a)f(x)=g(x)를 만족시키면
g(x)
⇨ f(a)=lim
x`Ú a x-a

확인 35 x¾-15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인 함수 f(x)가 (x-1)f(x)='Äx+15-4를 만


체크 족시킬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8!;

36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인 함수 f(x)가 (xÛ`-x-2)f(x)=xÝ`+ax+b를 만족시킬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 9

48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정답과 풀이 75쪽

연습문제
STEP 1 생각해 봅시다!

35 오른쪽 그림은 함수 y=f(x)의 그래프이고 이 함 Z


D
ZG Y
x=a에서 연속이면

수는 x=a에서 불연속이다. 다음 중 그 이유로 알 lim`f(x)=f(a)


x`Úa
C
맞은 것은?
0 B Y
① f(a)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② lim `f(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x`Úa+

③ lim `f(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x`Úa-

✔ ④ lim`f(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x`Úa

⑤ lim`f(x)와 `f(a)의 값이 존재하지만 lim`f(x)+f(a)이다.


x`Úa x`Úa
lim `f(x)=c, lim `f(x)=b이므로 lim`f(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f(a)=c, x`Ú 
a+ x`Ú a- x`Ú a

36 다음 중 x=0에서 불연속인 함수를 모두 고르면? -1<x<0일 때,


[x]=-1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0<x<1일 때,
① f(x)=x|x| ② `f(x)=x[x] [x]=0

✔ ③ f(x)=à x ④ `f(x)=à`
|x|
 (x+0) xÛ`+1 (x+0)

1 (x=0) 1 (x=0)

✔ ⑤ f(x)=à xÛ`+x
xÛ`-3x
 (x+0)

`3 (x=0)
③ lim `f(x)=1, lim `f(x)=-1이므로 lim `f(x)+ lim `f(x)
x`Ú 0+ x`Ú 0- x`Ú 0+ x`Ú 0-

⑤ f(0)=3, lim`f(x)=-3이므로 lim`f(x)+f(0)


x`Ú 0 x`Ú 0

(`xÜ`+bx+2 (x>-1)
37 함수 f(x)={` `2 (x=-1) 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 되도록 함수 f(x)가 모든 실수 x

9`-xÛ`+x+a (x<-1) 에서 연속이려면 x=-1


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하는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4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lim `f(x)= lim `f(x)=f(-1)
x`Ú -1+ x`Ú -1-

lim `f(x)=1-b, lim `f(x)=a-2이므로 1-b=a-2=2에서 a=4, b=-1   ∴ ab=-4


x`Ú -1+ x`Ú -1-

함수 f(x)=à
'Ä1+x-'Ä1-x
 (x+0)
x
38 가 x=0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a (x=0)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1
함수 f(x)가 x=0에서 연속이려면 lim`f(x)=f(0)
x`Ú 0

'Ä1+x-'Ä1-x 2x 2
lim `f(x)=lim   =lim   =lim   =1
x`Ú 0 x`Ú 0 x x`Ú 0 x('Ä1+x+'Ä1-x`) x`Ú 0 'Ä1+x+'Ä1-x

∴ a=1

2. 함수의 연속 49
정답과 풀이 75쪽
연습문제

(xÜ`-1)f(x)
39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인 함수 f(x)가 lim
x`Ú1 x-1
=12를 만족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
시킬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4 ⇨ lim`f(x)=f(1)
x`Ú1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lim`f(x)=f(1)
x`Ú 1

(xÜ`-1)f(x)
lim   =lim (xÛ`+x+1)f(x)=3 f(1)=12   ∴ f(1)=4
x`Ú 1 x-1 x`Ú 1

STEP 2
40 열린구간 (-2, 2)에서 정의된 함수 y=f(x)의 그 Z

ZG Y

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보기 중에서 옳



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ㄱ, ㄴ, ㄷ  
 0  Y
보기

ㄱ. lim `f(x)>0 lim `f(x)=1>0 (참)


x`Ú -1- 
x`Ú-1-

ㄴ. lim `f(-x)<0 lim `f(-x)= lim `f(t)=-2<0 (참)


x`Ú 1- t`Ú -1+
x`Ú 1-

ㄷ. 열린구간
‌ (-2, 2)에서 함수 |`f(x)|가 불 ㄷ. Z
Z]G Y
]

연속인 x의 값의 개수는 1이다. (참)


  0   Y

41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보기 중에서 합성함수 f(g(x))의 연속


은 g(x)를 t로 놓고 함수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ㄱ, ㄴ
f(t)에서 생각한다.
Z Z
 ZG Y
 ZH Y

0  Y  0  Y

 

보기

ㄱ. lim `f(g(x))=1 lim `f(g(x))= lim f(t)=1 (참)


x`Ú 1- t`Ú 1-
x`Ú1-

ㄴ. 함수 f(x)g(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lim `f(x)g(x)+ lim `f(x)g(x) (참)


x`Ú 1+ x`Ú 1-

ㄷ. 함수 g(`f(x))는 x=0에서 연속이다. lim `g( f(x))+ lim `g( f(x)) (거짓)


x`Ú 0+ x`Ú 0-

함수 f(x)=à (x-1)Û`
xÜ`+ax+b
 (x+1)
42 가 x=1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상수 lim`f(x)=f(1)
x`Ú1
c (x=1)
a, b, c에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시오. 2
xÜ`+ax+b
lim   =c에서 lim (xÜ`+ax+b)=0이므로 b=-a-1
x`Ú 1 (x-1)Û` x`Ú 1

xÜ`+ax-a-1 xÛ`+x+1+a
lim   =lim   =c에서 lim (xÛ`+x+1+a)=0이므로 a=-3, b=2
x`Ú 1 (x-1)Û` x`Ú 1 x-1 x`Ú 1

xÜ`-3x+2
50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 lim x`Ú 1
`f(x)=lim  
x`Ú 1 (x-1)Û`
=lim (x+2)=3=c
x`Ú 1

∴ a+b+c=2
정답과 풀이 76쪽

함수 f(x)=à xÛ`-1
|x|-1
 (x+1)
43 가 x=1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상수 a의
a (x=1)
값을 구하시오. ;2!;
|x|-1 |x|-1 1
lim `f(x)=lim   =lim   =lim   =;2!;
x`Ú 1 x`Ú 1 xÛ`-1 x`Ú 1 (|x|-1)(|x|+1) x`Ú 1 |x|+1

∴ a=;2!;

함수 f(x)=à`
ax+1 (xÉ-1 또는 x¾2)
44 xÛ`-2x+b (-1<x<2)
 가 열린구간 (-¦, ¦) x=-1, x=2에서 연속

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상수 a, b에 대하여 2a+b의 값을 구하시오. -3


Ú x=-1에서 x`Ú 
lim (xÛ`-2x+b)= lim (ax+1)이므로 a+b=-2
-1+ x`Ú -1-
……`㉠
Û x=2에서 x`Ú 
lim (ax+1)= lim (xÛ`-2x+b)이므로 2a-b=-1
2+ x`Ú 2-
…… ㉡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1   ∴ 2a+b=-3

함수 f(x)=à x-1
'¶ax-b
[ 교육청기출 ]
 (x+1)
45 가 x=1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상수 a,
2 (x=1)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20
'¶ax-b
lim   =2에서 lim ('¶ax-b)=0이므로 b='a
x`Ú 1 x-1 x`Ú 1

'¶ax-'a 'a('x-1) 'a 'a


lim   =lim   =lim   = =2에서 a=16, b=4   ∴ a+b=20
x`Ú 1 x-1 x`Ú 1 x-1 x`Ú 1 'x+1 2

46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인 함수 f(x)가 (x+2)f(x)=axÛ`-bx,


f(-2)=2를 만족시킬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1
axÛ`-bx
x+-2일 때, f(x)=
x+2
axÛ`-bx
f(-2)= lim `f(x)= lim   이어야 하므로 lim (axÛ`-bx)=0   ∴ b=-2a
x`Ú -2 x`Ú -2 x+2 x`Ú -2

axÛ`+2ax
실력   따라서 f(-2)= lim   = lim  ax=-2a=2에서 a=-1, b=2이므로 a+b=1
x`Ú -2 x+2 x`Ú -2

47 열린구간 (0, 2)에서 정의된 함수 f(x)=[xÛ`]이 불연속인 x의 값의 개수를 함수 y=[x]의 그래프

구하시오.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3 Z


Z<Y>


0<x<2에서 0<xÛ`<4 
Z
Z<Y™ >
따라서 함수 f(x)=[xÛ`]이 불연속인 x의 값은 1, '2, '3의 3개이다. 


 0    Y

실력 

48


닫힌구간 [0, 4]에서 0     Y™

   f(x)=à`
2x-4 (0Éx<2) Y Y

xÛ`+ax+b (2ÉxÉ4)
로 정의되고,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4)를 만족시키는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일 때, f(11)의 값을 구하시오. -3

x=2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단, a, b는 상수)


lim (xÛ`+ax+b)= lim (2x-4)   ∴ 4+2a+b=0
x`Ú 2+ x`Ú 2-

또, f(x)=f(x+4)이므로 f(0)=f(4)   ∴ -4=16+4a+b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8, b=12
2x-4 (0Éx<2)
따라서 f(x)=[  이므로 f(11)=f(7)=f(3)=-3
xÛ`-8x+12 (2ÉxÉ4)

2. 함수의 연속 51
02
개념원리 이해
연속함수의 성질
2. 함수의 연속

1. 연속함수의 성질 필수예제 6

두 함수 f(x), g(x)가 x=a에서 연속이면 다음 함수도 x=a에서 연속이다.

⑴ kf(x) (단, k는 상수) ⑵ f(x)+g(x), f(x)-g(x)


f(x)
⑶ f(x)g(x) ⑷ (단, g(a)+0)
g(x)

보충학습 1 참조

설명 두 함수 f(x), g(x)가 x=a에서 연속이면 lim`f(x)=f(a), lim`g(x)=g(a)이므로


x`Úa x`Úa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에 의하여


   lim`kf(x)=k lim`f(x)=kf(a) (단, k는 상수)
x`Úa x`Úa

   lim{`f(x)+g(x)}=lim`f(x)+lim`g(x)=f(a)+g(a)
x`Úa x`Úa x`Úa

   lim{`f(x)-g(x)}=lim`f(x)-lim`g(x)=f(a)-g(a)
x`Úa x`Úa x`Úa

   lim`f(x)g(x)=lim`f(x)´lim`g(x)=f(a)g(a)
x`Úa x`Úa x`Úa

f(x) lim`f(x) f(a)


x`Úa
가 된다. 또한, g(a)+0이면 lim  = =
x`Úa g(x) lim`g(x) g(a)
x`Úa

2. 최대·최소 정리 필수예제 7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면 f(x)는 이 구간에서 Z 최댓값


G C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ZG Y

G B

G D
최솟값

0 B D C Y

보충학습 2, 3 참조

3. 사잇값의 정리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f(a)+f(b)일 때, Z ZG Y

f(a)와 f(b) 사이의 임의의 값 k에 대하여 G C


ZL
   f(c)=k L
G B

인 c가 열린구간 (a, b)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0 B D„ Dm Df C Y

52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설명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Z
ZG Y

‌f(a)+f(b)이면 f(a)와 f(b) 사이의 임의의 값 k에 대하여 x축에 평행한 직선 G C

y=k와 함수 y=f(x)의 그래프는 적어도 한 점에서 만난다. 즉, f(c)=k인 c가 L ZL

열린구간 (a, b)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를 사잇값의 정리라 한다. G B

0 B DC Y

4. 사잇값의 정리의 활용 필수예제 8, 9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f(a)와 f(b)의 부호가 서로 다르면, 즉


f(a)f(b)<0이면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a, b)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설명 ‌오른쪽 그림과 같이 f(a)와 f(b)의 부호가 서로 다르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Z ZG Y

x축과의 교점을 갖는다. 그런데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0(x축)의 교점의 G C

x좌표가 방정식 f(x)=0의 실근이 되므로 f(a)f(b)<0이면 방정식 f(x)=0은 B


0 D„ Dm Df C Y
열린구간 (a, b)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짐을 알 수 있다. G B

보충학습

1. 다항함수 f(x)=anxn+an-1xn-1+`y`+aÁx+a¼(an, an-1, y, a1, a0은 상수)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임을 보이시오.

함수 y=x는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x의 거듭제곱으로 표시되는 함수 xÛ`, xÜ`, xÝ`, y, xÇ`은 각


각 xÛ`=x´x, xÜ`=x´xÛ`, xÝ`=x´xÜ`, y, xÇ`=x´xn-1으로서 연속함수의 성질 ⑶에 의하여 모든 실
수 x에서 연속이고 이들 함수에 상수를 곱하여 얻은 함수의 합으로 나타내어지는 다항함수
   f(x)=aÇxÇ`+an-1xn-1+`y`+aÁx+a¼
은 연속함수의 성질 ⑴`, ⑵에 의하여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2. 닫힌구간이 아닌 구간에서는 최댓값과 최솟값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는 그 구간에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지만 닫힌구간이 아
닌 경우, 즉 [a, b), (a, b], (a, b)일 때는 최댓값과 최솟값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Z Z Z
최댓값

최솟값

0 B C Y 0 B C Y 0 B C Y

최댓값은 없다. 최솟값은 없다. 최댓값, 최솟값은 없다.

3. 불연속인 함수는 최대·최소 정리가 성립하지 않는다.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정의되더라도 연속함수가 아닌 경우, 즉 Z 최댓값은 없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x=c에서 불연속일 때에는 최솟값은 있지만 최댓값은


없다. 따라서 최대·최소 정리가 성립하지 않는다.
최솟값

0 B D C Y

2. 함수의 연속 53
필수예제 06 연속함수의 성질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30쪽

두 함수 f(x)=xÛ`-3, g(x)=xÛ`-4x-5에 대하여 다음 함수가 연속인 구간을 구하


시오.
f(x) 1
⑴ f(x)-3g(x) ⑵ f(x)g(x) ⑶ ⑷
g(x) f(x)-g(x)

풀이 ⑴ ‌f(x)는 다항함수이고, 3g(x)도 다항함수이므로 f(x)-3g(x)는 다항함수이다.


따라서 열린구간 (-¦, ¦)에서 연속이다.
⑵ f(x), g(x)가 모두 다항함수이므로 f(x)g(x)는 다항함수이다.
따라서 열린구간 (-¦, ¦)에서 연속이다.
f(x) xÛ`-3 xÛ`-3
= = ⑶
g(x) xÛ`-4x-5 (x+1)(x-5)
f(x)
‌따라서 는 (x+1)(x-5)+0, 즉 x+-1, x+5인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g(x)
열린구간 (-¦, -1), (-1, 5), (5, ¦)에서 연속이다.
1 1
⑷ =
f(x)-g(x) 4x+2
1
따라서 은 4x+2+0, 즉 x+-;2!;인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f(x)-g(x)
열린구간 {-¦, -;2!;}, {-;2!;, ¦}에서 연속이다.

KEY
Point  두 함수 f(x), g(x)가 x=a에서 연속이면 다음 함수도 x=a에서 연속이다.
① kf(x) (단, k는 상수) ② f(x)+g(x), f(x)-g(x)
f(x)
③ f(x)g(x) ④ (단, g(a)+0)
g(x)

확인 37 두 함수 f(x), g(x)가 x=a에서 연속일 때, 다음 보기 중 x=a에서 항상 연속인 함수인


체크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단, f(x)의 치역은 g(x)의 정의역에 포함된다.) ㄱ, ㄷ

보기

g(x)
ㄱ. 2f(x)+3g(x) ㄴ. f(x)+
f(x)
ㄷ. {`f(x)}Û` ㄹ. g(`f(x))

54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필수예제 07 최대·최소 정리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30쪽

주어진 구간에서 다음 함수 f(x)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2
⑴ f(x)=-xÛ`+2x+3 [-2, 2] ⑵ f(x)= [3, 5]
x-2

풀이 ⑴ ‌함수 f(x)=-xÛ`+2x+3은 닫힌구간 [-2, 2]에서 연속이고 닫힌구간 Z


 ZG Y

[-2, 2]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f(x)는 x=1에서 최댓값 4, x=-2에서 최솟값 -5를 갖는다.  
0  Y



2
⑵ ‌함수 f(x)= 는 닫힌구간 [3, 5]에서 연속이고 닫힌구간 [3, 5]에서 Z
x-2 ZG Y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f(x)는 x=3에서 최댓값 2, x=5에서 최솟값 ;3@; 를 갖는다. 


!
0    Y

KEY
Point 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면 f(x)는 이 구간에서 반드시 Z 최댓값
G C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ZG Y

G B

G D
최솟값

0 B D C Y

확인 38 주어진 구간에서 다음 함수 f(x)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체크
⑴ f(x)=|x| [-1, 3] 최댓값:
3 ⑵ f(x)='Ä8-2x [-4, 2] 최댓값: 4
최솟값: 0 최솟값: 2

39 주어진 구간에서 다음 함수 f(x)가 최댓값과 최솟값을 가지면 그 값을 구하시오.

2x+1
⑴ f(x)=xÛ`-4x+7 (1, 4) 최댓값: 없다. ⑵ f(x)= (1, 4] 최댓값: 없다.
최솟값: 3 x-1 최솟값: 3

2. 함수의 연속 55
필수예제 08 사잇값의 정리 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31쪽

방정식 xÜ`-2xÛ`-1=0이 열린구간 (2, 3)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짐을 보이시오.

풀이 f(x)=xÜ`-2xÛ`-1로 놓으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2, 3]에서 연속이고


f(2)=-1<0, f(3)=8>0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2, 3)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필수예제 09 사잇값의 정리 ⑵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31쪽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 f(x)에 대하여 f(-1)=2, f(0)=-5, f(1)=1,


f(2)=-3일 때,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1, 2)에서 적어도 몇 개의 실근을 갖
는지 구하시오.

풀이 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닫힌구간 [-1, 2]에서 연속이다.


f(-1)f(0)<0, f(0)f(1)<0, f(1)f(2)<0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1, 0), (0, 1), (1, 2)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
의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열린구간 (-1, 2)에서 적어도 3개의 실근을 갖는다.

KEY
Point 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f(a)f(b)<0일 때,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a, b)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확인 40 다음 방정식이 주어진 구간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짐을 보이시오. 풀이 참조


체크
⑴ 3xÜ`-2xÛ`+1=0 (-3, 3) ⑵ xÝ`+xÜ`-9x+1=0 (1, 3)

41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 f(x)에 대하여 f(-2)=-2, f(-1)=2, f(0)=4,


f(1)=-1, f(2)=-3, f(3)=-1일 때,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2, 3)에서
적어도 몇 개의 실근을 갖는지 구하시오. 2개

56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정답과 풀이 78쪽

연습문제
STEP 1 생각해 봅시다!
f(x)
49 두 함수 f(x)=xÛ`, g(x)=2x+3에 대하여 함수 h(x)=
f(x)-g(x)

연속인 구간을 구하시오. (-¦, -1), (-1, 3), (3, ¦)


xÛ`
h(x)=
(x+1)(x-3)
따라서 x+-1, x+3인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열린구간 (-¦, -1), (-1, 3), (3, ¦)에서 연속이다.

4x
50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
x+1
의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 Z


할 때, M+m의 값을 구하시오. 5  ZG Y


f(x)는 x=3에서 최댓값 M=3, x=1에서 최솟값 m=2를 가지므로
M+m=5
 0   Y

51 방정식 xÜ`+x-9=0은 오직 하나의 실근 a를 갖는다. 다음 열린구간 중 a가


존재하는 구간은?

① (0, 1) ✔ ② (1, 2) ③ (2, 3) ④ (3, 4) ⑤ (4, 5)


f(x)=xÜ`+x-9로 놓으면
① f(0)f(1)>0  ② f(1)f(2)<0  ③ f(2)f(3)>0  ④ f(3)f(4)>0  ⑤ f(4)f(5)>0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1, 2)에서 실근 a를 갖는다.

52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 f(x)에 대하여 f(-2)=-1, g(x)=f(x)-x로 놓는


다.
f(-1)=-2, f(0)=1, f(1)=-2, f(2)=-;2!;일 때, 방정식

f(x)=x는 열린구간 (-2, 2)에서 적어도 몇 개의 실근을 갖는지 구하시오. 3개


g(x)=f(x)-x로 놓으면 g(-2)g(-1)<0, g(-1)g(0)<0, g(0)g(1)<0, g(1)g(2)>0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g(x)=0은 열린구간 (-2, -1), (-1, 0), (0, 1)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방정식 f(x)=x는 열린구간 (-2, 2)에서 적어도 3개의 실근을 갖는다.

STEP 2
두 함수 f(x)=à`
3x (x¾1)
53 -x+2 (x<1)
, g(x)=xÛ`+k에 대하여 함수

f(x)g(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상수 k의 값을 구하시오. -1


함수 f(x)g(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lim `f(x)g(x)= lim `f(x)g(x)=f(1)g(1)이어야 한다.
x`Ú 1+ x`Ú 1-

lim `f(x)g(x)=3+3k, lim `f(x)g(x)=1+k, f(1)g(1)=3+3k


x`Ú 1+ x`Ú 1-

즉, 3+3k=1+k이므로 k=-1

f(x) f(x)
54 lim  =;2!;, lim  =;2!; 을 만족시키는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x=a가 방정식 f(x)=0
x`Ú1 x-1 x`Ú2 x-2
의 근이면 f(a)=0
방정식 f(x)=0의 실근 중에서 닫힌구간 [1, 2]에 존재하는 것은 적어도 몇
개인지 구하시오. 3개
f(x) f(x)
lim   =;2!; 에서 f(1)=0, lim   =;2!;에서 f(2)=0
x`Ú 1 x-1 x`Ú 2 x-2

f(x)=(x-1)(x-2)g(x)`(g(x)는 다항식)로 놓으면


f(x)
lim   =lim (x-2)g(x)=-g(1)=;2!;   ∴ g(1)=-;2!;
x`Ú 1 x-1 x`Ú 1

f(x)
lim   =lim (x-1)g(x)=g(2)=;2!;   ∴ g(1)g(2)=-;4!;<0
x`Ú 2 x-2 x`Ú 2

따라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g(x)=0은 열린구간 (1, 2)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2. 함수의 연속 57
즉, 방정식 f(x)=0은 닫힌구간 [1, 2]에서 적어도` 3개의 실근을 갖는다.
Take a Break

내가 강하다고 믿기 때문에
나는 강하다.
유명한 영국의 정신병리학자 J. A 하드필드는 악력계를 사용해서 정신 암시가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적이 있습니다.
우선, 아무런 암시도 주지 않은 상태로 악력을 측정하였습니다. 101파운드였습니다.
다음에는 그에게 최면을 걸어 ‘당신은 약하다.’라는 암시를 준 후 악력을 측정하였습니다.
결과는 29파운드로 앞서 측정한 결과의 3분의 1 이하로 떨어진 수치였죠.
마지막으로 ‘당신은 강하다.’는 암시를 준 후 다시 악력을 측정하였습니다.
그러자 142파운드라는 결과가 나왔답니다.

여러분들도 스스로 강하다는 암시를 주어 보세요.

「지치고 힘들 때 읽는 책」 중에서
Ⅱ 미분

1. 미분계수와 도함수
2. 도함수의 활용
Ⅱ 미분 1. 미분계수와 도함수

01
개념원리 이해
미분계수
1. 미분계수와 도함수

1. 평균변화율 필수예제 1

⑴ 평균변화율의 의미 Z ZG Y

함수 y=f(x)에서 x의 값이 a에서 b까지 변할 때, 평균변화율은 2


G C

Dy `f(b)-f(a) `f(a+Dx)-f(a) $Z
   = =
Dx b-a Dx G B

1
$Y
⑵ 평균변화율은 두 점 P(a, f(a)), Q(b, f(b))를 지나는 직선 PQ의 0 B C Y

기울기와 같다.

Dx의 D는 차를 뜻하는 영어` Difference의 첫 글자` D에 해당하는 그리스 문자로 델타(delta)라 읽는다.

설명 함수 y=f(x)에서 x의 값의 변화량 b-a를 x의 증분이라 하고, 이것을 기호 Dx로 나타낸다.


또, y의 값의 변화량 f(b)-f(a)를 y의 증분이라 하고, 기호 Dy로 나타낸다. 즉,
   Dx=b-a, Dy=f(b)-f(a)
이때 x의 증분 Dx에 대한 y의 증분 Dy의 비율
Dy `f(b)-f(a) `f(a+Dx)-f(a)
   = =
Dx b-a Dx
를 x의 값이 a에서 b까지 변할 때의 함수 y=f(x)의 평균변화율이라 한다.

예 함수 f(x)=2xÛ`-2x에서 x의 값이 1에서 3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Dy `f(3)-f(1) (2´3Û`-2´3)-(2´1Û`-2´1)
= = =:Á2ª:=6
Dx 3-1 2

2. 미분계수 필수예제 1~3

함수 y=f(x)의 x=a에서의 미분계수 f '(a)는


`f(a+Dx)-f(a) `f(a+h)-f(a) `f(x)-f(a)
   f '(a)= lim ` =lim ` =lim `
Dx`Ú 0 Dx h`Ú 0 h x`Ú a x-a

① f '(a)는 ‘f 프라임(prime) a’라 읽는다.


`f(a+▒)-f(a)
② lim   =f '(a) Û 분모가 한 개의 항으로 이루어진 꼴
▒`Ú 0 ▒
▒ 부분이 서로 같아야 f '(a)가 된다.
[
만약 다르면 같게 만들어 준다.
`f(▒)-f()
③ lim   =f '() Û 분모가 두 개의 항으로 이루어진 꼴
▒`Ú  ▒-
▒는 ▒끼리, 는 끼리 서로 같아야 한다.
[
만약 다르면 같게 만들어 준다.

60 Ⅱ. 미분
설명 함수 y=f(x)에서 x의 값이 a에서 a+Dx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Z
ZG Y

Dy `f(a+Dx)-f(a)
   =
Dx Dx 2
G B $Y

이다. 여기서 Dx !Ú 0일 때, 평균변화율의 극한값


5

$Z
Dy `f(a+Dx)-f(a) 1
   lim = lim G B

Dx`Ú 0 Dx Dx`Ú 0 Dx $Y
가 존재하면 함수 y=f(x)는 x=a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이때 이 극한 0 B B $Y Y
값을 함수 y=f(x)의 x=a에서의 미분계수 또는 순간변화율이라 하고, 기
호 f '(a)로 나타낸다.
한편, a+Dx=x라 하면 Dx=x-a이고 Dx !Ú 0일 때 x !Ú a이므로
`f(a+Dx)-f(a) `f(x)-f(a)
   f '(a)= lim =lim 
Dx`Ú 0 Dx x`Ú a x-a
로 나타낼 수 있다.
함수 f(x)가 어떤 열린구간에 속하는 모든 x에서 미분가능하면 함수 f(x)는 그 구간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특히, 함수 f(x)가 정의역에 속하는 모든 x에서 미분가능하면 함수 f(x)는 미분가능한 함수라 한다.

참고 ⑴ 분모가 한 개의 항으로 이루어진 꼴


`f(a+h)-f(a)
① lim  =f '(a)
h`Ú 0 h
`f(a+ph)-f(a)
② lim  =pf '(a)
h`Ú 0 h
`f(a+ph)-f(a-qh)
③ lim  =(p+q)f '(a)
h`Ú 0 h
`f(7+h)-f(7) `f(1+2h)-f(1)
예⃝ lim  =f '(7), lim  =2f '(1)
h`Ú 0 h h`Ú 0 h
⑵ 분모가 두 개의 항으로 이루어진 꼴
`f(x)-f(a)
① lim  =f '(a)
x`Ú a x-a
af(x)-xf(a)
② lim  =af '(a)-f(a)
x`Ú a x-a
xÛ`f(x)-aÛ`f(a)
③ lim  =aÛ`f '(a)+2af(a)
x`Ú a x-a
`f(x)-f(2)
예⃝ lim  =f '(2)
x`Ú 2 x-2

예 함수 f(x)=2xÛ`+7x의 x=1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시오.


`f(1+Dx)-f(1) {2(1+Dx)Û`+7(1+Dx)}-(2+7)
풀이 f '(1)= lim = lim
Dx`Ú 0 Dx Dx`Ú 0 Dx
2(Dx)Û`+11Dx
= lim = lim (2Dx+11)=11
Dx`Ú 0 Dx Dx`Ú 0

`f(1+h)-f(1) {2(1+h)Û`+7(1+h)}-(2+7)
다른풀이 ① f '(1)=lim  =lim 
h`Ú 0 h h`Ú 0 h
=lim(2h+11)=11
h`Ú 0

`f(x)-f(1) (2xÛ`+7x)-(2+7) (2x+9)(x-1)


② f '(1)=lim  =lim  =lim 
x`Ú 1 x-1 x`Ú 1 x-1 x`Ú 1 x-1
=lim(2x+9)=11
x`Ú 1

1. 미분계수와 도함수 61
개념원리 이해

3. 미분계수의 기하적 의미 필수예제 5

함수 y=f(x)의 x=a에서의 미분계수 f '(a)는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와 같다.

설명 함수 y=f(x)에서 x의 값이 a에서 a+Dx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


Dy `f(a+Dx)-f(a)
   =
Dx Dx
는 곡선 y=f(x) 위의 두 점 P(a, f(a)), Q(a+Dx, f(a+Dx))를 지나는 직선 PQ의 기울기와 같다.
여기서 Dx Ú 0이면 점 Q는 곡선 y=f(x) 위를 움직이면서 점 P에 한없 Z
ZG Y

이 가까워지고 직선 PQ는 점 P를 지나는 일정한 직선 PT에 한없이 가까워


2
진다. G B $Y

5
이때 직선 PT는 곡선 y=f(x) 위의 점 P에서의 접선이라 하고, 점 P는 접 $Z
1
점이라 한다. G B

0 $Y
따라서 함수 y=f(x)의 x=a에서의 미분계수 B B $Y Y
`f(a+Dx)-f(a)
   f '(a)= lim
Dx`Ú 0 Dx
는 곡선 y=f(x) 위의 점 P(a, f(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와 같다.

참고 함수 y=f(x)가 x=a에서 미분가능할 때, Z ZG Y

점 (a, f(a))를 포함하는 부분을 크게 확대하면


확대
거의 직선처럼 보인다. G B
B G B

0 B Y

예 곡선 y=xÛ`+2 위의 점 (2, 6)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시오.


풀이 f(x)=xÛ`+2로 놓으면 점 (2, 6)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함수 f(x)의 Z
x=2에서의 미분계수 f '(2)와 같으므로 ZG Y


`f(2+Dx)-f(2)
f '(2)= lim
Dx`Ú 0 Dx

{(2+Dx)Û`+2}-(2Û`+2)
= lim 0  Y
Dx`Ú 0 Dx
(Dx)Û`+4Dx
= lim
Dx`Ú 0 Dx
= lim (Dx+4)
Dx`Ú 0

=4
따라서 곡선 y=xÛ`+2 위의 점 (2, 6)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4이다.

62 Ⅱ. 미분
필수예제 01 평균변화율과 미분계수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42쪽

함수 f(x)=xÜ`-1에 대하여 x의 값이 1에서 4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과


x=a`(1<a<4)에서의 미분계수가 같을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Dy `f(4)-f(1)
풀이 (평균변화율)= =
Dx 4-1
(4Ü`-1)-(1Ü`-1)
=
4-1
63-0
= =21
3
`f(a+Dx)-f(a)
f '(a)= lim
Dx`Ú 0 Dx
{(a+Dx)Ü`-1}-(aÜ`-1)
= lim
Dx`Ú 0 Dx
3aÛ`Dx+3a(Dx)Û`+(Dx)Ü`
= lim
Dx`Ú 0 Dx
= lim {3aÛ`+3aDx+(Dx)Û`}=3aÛ`
Dx`Ú 0

즉, 3aÛ`=21이므로 aÛ`=7
그런데 1<a<4이므로 a='7

KEY
Point  x의 값이 a에서 b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
Dy `f(b)-f(a) `f(a+Dx)-f(a)
⇨ = =
Dx b-a Dx
 x=a에서의 미분계수
`f(a+Dx)-f(a) `f(a+h)-f(a)
⇨ f '(a)= lim =lim  
Dx`Ú 0 Dx h`Ú 0 h

확인 42 함수 f(x)=xÛ`+x+1에 대하여 x의 값이 1에서 3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과 x=a에


체크 서의 미분계수가 같을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2

43 함수 f(x)=xÛ`-'ax+4에 대하여 x의 값이 1에서 4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이 1일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16

1. 미분계수와 도함수 63
필수예제 02 미분계수를 이용한 극한값의 계산 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43쪽

함수 f(x)에 대하여 f '(a)=1일 때,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f(a+hÜ`)-f(a) `f(a+2h)-f(a)
⑴ lim  ⑵ lim 
h`Ú 0 h h`Ú 0 h
`f(a+3h)-f(a-2h)
⑶ lim 
h`Ú 0 h

`f(a+hÜ`)-f(a)
풀이 ⑴ (주어진 식)=lim[ ´hÛ`]
h`Ú 0 hÜ` `f(a+▒)-f(a)
lim =f '(a)
=f '(a)´lim hÛ`=0 ▒`Ú 0 ▒
h`Ú 0
⇨ ▒는 서로 같아야 한다.
`f(a+2h)-f(a)
⑵ (주어진 식)=lim  ´2
h`Ú 0 2h
=f '(a)´2=2
`f(a+3h)-f(a)-f(a-2h)+f(a)
⑶ (주어진 식)=lim 
h`Ú 0 h
`f(a+3h)-f(a) `f(a-2h)-f(a)
=lim  -lim 
h`Ú 0 h h`Ú 0 h
`f(a+3h)-f(a) `f(a-2h)-f(a)
=lim  ´3-lim  ´(-2)
h`Ú 0 3h h`Ú 0 -2h
=f '(a)´3-f '(a)´(-2)=5

KEY `f(a+h)-f(a) `f(a+▒)-f(a)


Point  lim   =f '(a)

lim =f '(a)
h`Ú 0 h ▒`Ú 0 ▒
▒ 부분이 서로 같도록 만들어 준다.

확인 44 함수 f(x)에 대하여 f '(a)=2일 때,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체크
`f(a+hÛ`)-f(a) `f(a-3h)-f(a)
⑴ lim  0 ⑵ lim  -6
h`Ú 0 h h`Ú 0 h
`f(a+h)-f(a-h) `f(a+3h)-f(a+h)
⑶ lim  2 ⑷ lim  2
h`Ú 0 2h h`Ú 0 2h

45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f '(a)=-3이고,


`f(a-2h)-f(a+h)+g(h) g(h)
lim  =2일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7
h`Ú 0 h h`Ú 0 h

64 Ⅱ. 미분
필수예제 03 미분계수를 이용한 극한값의 계산 ⑵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43쪽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1)=2, f '(1)=3일 때,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f(xÜ`)-f(1) `f(x)-f(1)
⑴ lim  ⑵ lim 
x`Ú 1 x-1 x`Ú 1 xÛ`-1
xÛ`f(1)-f(xÛ`) xÜ`-1
⑶ lim  ⑷ lim 
x`Ú 1 x-1 x`Ú 1 `f(x)-f(1)

`f(xÜ`)-f(1)
풀이 ⑴ (주어진 식)=lim[ ´(xÛ`+x+1)]
x`Ú 1 xÜ`-1 `f(▒)-f()
lim =f '()
=f '(1)´lim(xÛ`+x+1)=3´3=9 ▒`Ú  ▒-
x`Ú 1
⇨ ▒는 ▒끼리, 는 끼리
`f(x)-f(1) 1
⑵ (주어진 식)=lim[ ´ ] 서로 같아야 한다.
x`Ú 1 x-1 x+1
1
=f '(1)´lim  =3´;2!;=;2#;
x`Ú 1 x+1

xÛ`f(1)-f(1)-f(xÛ`)+f(1)
⑶ (주어진 식)=lim 
x`Ú 1 x-1
(xÛ`-1)f(1)-{ f(xÛ`)-f(1)}
=lim 
x`Ú 1 x-1
(xÛ`-1)f(1) `f(xÛ`)-f(1)
=lim  -lim 
x`Ú 1 x-1 x`Ú 1 x-1
`f(xÛ`)-f(1)
=lim(x+1)f(1)-lim[ ´(x+1)]
x`Ú 1 x`Ú 1 xÛ`-1
=2f(1)-2f '(1)=2´2-2´3=-2
x-1
⑷ (주어진 식)=lim[ ´(xÛ`+x+1)]
x`Ú 1 `f(x)-f(1)

[ ]
1
=lim ´(xÛ`+x+1)
x`Ú 1 `f(x)-f(1)
x-1
1
= ´lim(xÛ`+x+1)=;3#;=1
`f '(1) x`Ú 1

KEY `f(x)-f(a) `f(▒)-f()


Point  lim   =f '(a)

lim =f '()
x`Ú a x-a ▒`Ú  ▒-
▒ 는 ▒끼리, 는 끼리 서로 같도록 만들어 준다.

xÜ`-8
확인 46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 '(2)=3일 때, lim 
x`Ú 2 `f(x)-f(2)
의 값을 구하시오. 4
체크

2f(x)-xf(2)
47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2)=3, f '(2)=1일 때, lim 
x`Ú 2 x-2
의 값을 구하시오. -1

1. 미분계수와 도함수 65
필수예제 04 관계식이 주어진 경우의 미분계수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44쪽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모든 실수 x, y에 대하여


   f(x+y)=f(x)+f(y)
를 만족시키고 f '(0)=4일 때, f '(2)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x=0, y=0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f(0)=f(0)+f(0)   ∴ f(0)=0
`f(2+h)-f(2)
∴ f '(2)=lim 
h`Ú 0 h
{ f(2)+f(h)}-f(2)
=lim 
h`Ú 0 h
`f(h)
=lim 
h`Ú 0 h
`f(h)-f(0)
=lim 
h`Ú 0 h
=f '(0)=4

KEY `f(a+h)-f(a)
Point  주어진 식의 x, y에 적당한 수를 대입하여 f(0)의 값을 구한 후 f '(a)=lim   에서
h`Ú 0 h
f(a+h)에 주어진 관계식을 대입하여 f '(a)의 값을 구한다.

확인 48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모든 실수 x, y에 대하여


체크    f(x+y)=f(x)+f(y)+1
을 만족시키고 f '(4)=1일 때, f(0)+f '(2)의 값을 구하시오. 0

49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모든 실수 x, y에 대하여


   f(x+y)=f(x)+f(y)+xy
를 만족시키고 f '(1)=3일 때, f '(3)의 값을 구하시오. 5

66 Ⅱ. 미분
필수예제 05 미분계수의 기하적 의미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44쪽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세 수 Z


ZG Y

`f(b)-f(a)
, f '(a), f '(b)의 대소를 비교하시오.
b-a
0
B C Y

풀이 f '(a)는 점 (a, f(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이고 f '(b)는 점 (b, f(b))에서 Z


ZG Y

의 접선의 기울기이다. G C

`f(b)-f(a)
또,  는 두 점 (a, f(a)), (b, f(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와 G B

b-a 0
B C Y
같으므로
`f(b)-f(a)
f '(b)< <f '(a)
b-a

KEY
Point 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함수 y=f(x)의 x=a에서의 미분계수
f '(a)와 같다.

확인 50 곡선 y=xÜ`-x 위의 점 (2, 6)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시오. 11


체크

51 곡선 y=f(x)와 직선 y=g(x)가 x=a인 점에서 접할 때,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ㄱ, ㄴ, ㄷ

보기

ㄱ. f(a)=g(a)
ㄴ. f '(a)=g'(a)
`f(x)-g(x)
ㄷ. lim  =0
x`Ú a x-a

1. 미분계수와 도함수 67
02
개념원리 이해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1. 미분계수와 도함수

1.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필수예제 6, 7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면 f(x)는 x=a에서 연속이다.


그러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f(x)-f(a)
① 함수 f(x)에 대하여 f '(a)=lim  가 존재할 때, x=a에서 미분가능하다 함수
x`Ú a x-a
연속인 함수
고 하며 x=a에서 미분계수 f '(a)가 존재하려면 (우미분계수)=(좌미분계수)이어야 한다. 미분가능한
② 함수 y=f(x)가 x=a에서 불연속이면 f '(a)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함수
③ lim`f(x)=f(a)이면 함수 f(x)는 x=a에서 연속이라 한다.
x`Ú a

미분가능하지 않은 2가지 경우
불연속인 점: [그림 1]에서 함수 y=f(x)는 x=a에서 불연속이 Z Z ZG Y

ZG Y

므로 x=a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뾰족점: [그림 2]에서 함수 y=f(x)는 x=a에서 연속이지만 우
미분계수와 좌미분계수가 다르므로 x=a에서 미분가능
하지 않다. 0 B Y 0 B Y
불연속인 점
뾰족점

[그림 1] [그림 2]

설명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면 미분계수가 존재한다. 즉,


`f(x)-f(a)
   f '(a)=lim 
x`Ú a x-a
따라서
`f(x)-f(a)
   lim{ f(x)-f(a)}=lim[ ´(x-a)]
x`Ú a x`Ú a x-a
`f(x)-f(a)
=lim  ´lim(x-a)
x`Ú a x-a x`Ú a

=f '(a)´0=0
이므로 lim`f(x)=f(a)이다. 그러므로 함수 f(x)는 x=a에서 연속이다.
x`Ú a

예 함수 f(x)=|x|의 x=0에서의 연속성과 미분가능성을 조사해 보면


Ú f(0)=0이고 lim`f(x)=lim|x|=0이므로 lim`f(x)=f(0)
x`Ú 0 x`Ú 0 x`Ú 0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다.


`f(x)-f(0) |x| Z
Û f '(0)=lim  =lim   G Y
Y G Y
Y
x`Ú 0 x-0 x`Ú 0 x

( lim x =1 Û2 우미분계수
x`Ú 0+ x
={
-x 0 Y
9 x`Ú 
lim
0- x
=-1 Û2 좌미분계수

이 되어 f '(0)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Ú, Û에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68 Ⅱ. 미분
필수예제 06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45쪽

다음 함수의 x=1에서의 연속성과 미분가능성을 조사하시오.


xÛ`+x (x¾1)
⑴ f(x)=|x-1| ⑵ f(x)=[ 
3x-1 (x<1)

풀이 ⑴ Ú f(1)=0이고 lim`f(x)=lim|x-1|=0이므로 lim`f(x)=f(1) Z


x`Ú 1 x`Ú 1 x`Ú 1 ZG Y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다.


`f(x)-f(1) |x-1| 
Û lim = lim
x`Ú 1+ x-1 x`Ú 1+ x-1
0  Y
x-1
= lim =1 Û 우미분계수
x`Ú 1+ x-1

`f(x)-f(1) |x-1|
lim = lim
x`Ú 1- x-1 x`Ú 1- x-1

-(x-1)
= lim =-1 Û 좌미분계수
x`Ú 1- x-1
따라서 f '(1)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Ú, Û에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⑵ Ú f(1)=2이고 Z
ZG Y

lim `f(x)= lim (xÛ`+x)=2, lim `f(x)= lim (3x-1)=2


x`Ú 1+ x`Ú 1+ x`Ú 1- x`Ú 1- 
이므로 lim`f(x)=2
x`Ú 1

0  Y
∴ lim`f(x)=f(1)
x`Ú 1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다.
`f(x)-f(1) xÛ`+x-2 (x-1)(x+2)
Û lim = lim = lim
x`Ú 1+ x-1 x`Ú 1+ x-1 x`Ú 1+ x-1
= lim (x+2)=3 Û 우미분계수
x`Ú 1+

`f(x)-f(1) 3x-1-2 3(x-1)


lim = lim = lim =3 Û 좌미분계수
x`Ú 1- x-1 x`Ú 1- x-1 x`Ú 1- x-1
따라서 f '(1)의 값이 존재하므로 함수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다.
Ú, Û에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다.

KEY
Point 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면 f(x)는 x=a에서 연속이다. Z ZG Y

그러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 x=a에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가 꺾이면 x=a(뾰족점)에서 연속이지만 미분
가능하지 않다. 0 B Y
뾰족점

확인 52 다음 함수의 x=1에서의 연속성과 미분가능성을 조사하시오.


체크
xÛ` (x¾1)
⑴ f(x)=x|x-1| ⑵ f(x)=|xÛ`-1| ⑶ f(x)=[ 
2x-1 (x<1)
연속, 미분가능하지 않다. 연속, 미분가능하지 않다. 연속, 미분가능하다.
1. 미분계수와 도함수 69
필수예제 07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⑵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45쪽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을 구 Z

하시오. ZG Y

⑴ 불연속인 x의 값
⑵ 미분가능하지 않은 x의 값 0    Y

풀이 ⑴ x=1에서 lim`f(x)의 값은 존재하지만 x=1에서의 함숫값 f(1)과 같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Ú 1

x=1에서 불연속이다.
x=3에서 lim`f(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3에서 불연속이다.
x`Ú 3

따라서 x=1, x=3에서 불연속이다.


⑵ 함수 f(x)가 x=1, x=3에서 불연속이므로 함수 f(x)는 x=1, x=3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지만 뾰족점에서는 f '(2)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x=1, x=2, x=3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KEY
Point  함수 f(x)가 x=p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은 경우는 다음의 2가지이다.
① x=p에서 불연속
② x=p에서 연속이지만 뾰족점

확인 53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중 열 Z


ZG Y

체크 린구간 (0, 6)에서 함수 f(x)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은?

① f '(3)>0이다.
② lim`f(x)의 값이 존재한다. 0     Y
x`Ú 2

③ 불연속인 x의 값은 2개이다.
④ 미분가능하지 않은 x의 값은 3개이다.
✔ ⑤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은 2개이다.

70 Ⅱ. 미분
정답과 풀이 80쪽

연습문제
STEP 1 생각해 봅시다!

55 함수 f(x)=xÜ`-2x+5에 대하여 x=1에서 x=a까지의 평균변화율이


3일 때, 모든 a의 값의 곱을 구하시오. (단, a+1) -4
`f(a)-f(1) (aÜ`-2a+5)-(1-2+5)
(평균변화율)= = =aÛ`+a-1
a-1 a-1
즉, aÛ`+a-1=3에서 aÛ`+a-4=0이므로 모든 a의 값의 곱은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4이다.

56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다음 중 계산 결과가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


는?

`f(1-2h)-f(1) `f(1+5h)-f(1+3h)
✔ ① lim  =-2f '(1) ② lim  =2f '(1)
h`Ú 0 h h`Ú 0 h
`f(1+4h)-f(1) `f(x)-f(1)
③ lim  =2f '(1) ④ lim 
'x-1
=2f '(1)
h`Ú 0 2h x`Ú 1

`f(xÛ`)-f(1)
⑤ lim  =2f '(1)
x`Ú 1 x-1

`f(h)-f(-2h)
57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lim 
h`Ú 0 2h
=3일 때, f '(0)의 f(h)-f(-2h)
=f(0+h)-f(0-2h)
값을 구하시오. 2
{ f(h)-f(0)}-{ f(-2h)-f(0)}
(주어진 식)=lim  
h`Ú 0 2h
`f(h)-f(0) `f(-2h)-f(0)
=lim   ´;2!;-lim   ´(-1)=;2#; f '(0)=3  
h`Ú 0 h h`Ú 0 -2h
∴ f '(0)=2
{ f(x)}Û`-1
58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1)=1, f '(1)=2일 때, lim 
x`Ú 1 xÛ`-1
의 (주어진 식)
`f(x)-1
=lim[
값을 구하시오. 2 x`Ú 1 x-1
`f(x)+1
(주어진 식)=lim  [
`f(x)-1 `f(x)+1
´ ]=f '(1)´
`f(1)+1
=2
 ´ ]
x`Ú 1 x-1 x+1 2 x+1

`f('x)-f(1)
59 함수 f(x)에 대하여 f '(1)=1일 때, lim 
x`Ú 1 xÛ`-1
의 값을 구하시오. ;4!;
`f('x)-f(1) `f('x)-f(1) 1 1
lim   =lim [ ´ ´ ]=f '(1)´;2!;´;2!;=;4!;
x`Ú 1 xÛ`-1 x`Ú 1 'x-1 'x+1 x+1

60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모든 실수 x, y에 대하여 f '(1)


`f(1+h)-f(1)
   f(x+y)=f(x)+f(y)+2xy =lim 
h`Ú 0 h
를 만족시키고 f '(0)=-2일 때, f '(1)의 값을 구하시오. 0
`f(0+h)-f(0) { f(0)+f(h)}-f(0) `f(h)
f '(0)=lim   =lim   =lim   =-2
h`Ú 0 h h`Ú 0 h h`Ú 0 h
`f(1+h)-f(1) { f(1)+f(h)+2h}-f(1) `f(h)
∴ f '(1)=lim   =lim   =lim   +2=-2+2=0
h`Ú 0 h h`Ú 0 h h`Ú 0 h

1. 미분계수와 도함수 71
정답과 풀이 81쪽
연습문제

61 다음 중 x=0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은 함수는? lim `f(x)=f(0)을 만족


x`Ú 0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시키지만 f '(0)의 값이 존


재하지 않는 함수를 찾는
① f(x)=|x|Û` ② f(x)=xÛ`-1 ✔ ③ f(x)=|x|-x 다.
④ f(x)=x|x| ⑤ f(x)=[x+1]
①, ②, ④: 연속, 미분가능하다.   ⑤: 불연속, 미분가능하지 않다.

62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Z


ZG Y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
⇨ 불연속인 점, 뾰족점
때, 다음 중 열린구간 (-1, 6)에서 함수 f(x)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0       Y
① f '(2)>0이다.
② lim`f(x)의 값이 존재한다.
x`Ú 3

③ 불연속인 x의 값은 2개이다.
④ 미분가능하지 않은 x의 값은 3개이다.
✔ ⑤ f '(x)=0인 x의 값은 2개이다. 열린구간 (-1, 1)에서 1개 존재

STEP 2 f '(a)=2

63 x=a에서 함수 `f(x)의 미분계수는 2이다. 미분가능한 함수 g(x)에 대하여 주어진 식을 분리하여


g(h)
`f(a+2h)-f(a)-g(h) g(h) lim   의 꼴이 나오게
lim  =0이 성립할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4 h`Ú 0 h
h`Ú 0 h h`Ú 0 h 한다.
`f(a+2h)-f(a) g(h) g(h) g(h)
(주어진 식)=lim [ ´2- ]=2f '(a)-lim   =4-lim   =0
h`Ú 0 2h h h`Ú 0 h h`Ú 0 h
g(h)
        ∴ lim   =4
[ 평가원기출 ] h`Ú 0 h

64 함수 f(x)에 대하여 보기에서 항상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 f '(1)의 값이 존재
`f(1+h)-f(1)
ㄱ. lim  =0이면 lim`f(x)=f(1)이다. (참)
h`Ú 0 h x`Ú 1

`f(1+h)-f(1) `f(1+h)-f(1-h)
ㄴ. lim  =0이면 lim  =0이다.
h`Ú 0 h h`Ú 0 2h
`f(1+h)-f(1-h)
ㄷ. f(x)=|x-1|일 때, lim  =0이다.
h`Ú 0 2h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 ⑤ ㄱ, ㄴ, ㄷ
`f(1+h)-f(1-h) `f(1+h)-f(1) `f(1+(-h))-f(1)
ㄴ. lim   =;2!; lim   +;2!; lim   =0 (참)
h`Ú 0 2h h`Ú 0 h h`Ú 0 -h
`f(1+h)-f(1-h) |h|-|-h|
ㄷ. lim   =lim   =0 (참)
2h 2h
65
h`Ú 0 h`Ú 0
함수 f(x)가 f(x+2)-f(2)=xÜ`+6xÛ`+14x를 만족시킬 때, f '(2)의
값을 구하시오. 14
`f(2+x)-f(2) xÜ`+6xÛ`+14x
f '(2)=lim   =lim   =lim (xÛ`+6x+14)=14
x`Ú 0 x x`Ú 0 x x`Ú 0

72 Ⅱ. 미분
정답과 풀이 82쪽

`f(x)
66 다항함수 f(x)가 lim 
x`Ú 3 x-3
=a를 만족시킬 때, f '(3)을 구하시오. a

 (단, a는 실수)
`f(x)
lim   =a에서 lim `f(x)=0이므로 f(3)=0
x`Ú 3 x-3 x`Ú 3

`f(x)-f(3)
따라서 lim   =a이므로 f '(3)=a
x`Ú 3 x-3

67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1)=1, f '(1)=3일 때,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적당한 식을 더하고 빼어


미분계수 f '(1)의 식이 포
xÛ`f(x)-1 xÜ`f(1)-f(xÛ`) 함되도록 변형한다.
⑴ lim  ;2%; ⑵ lim  -3
x`Ú 1 xÛ`-1 x`Ú 1 x-1
(xÛ`-1)f(x) `f(x)-f(1) 1
⑴ (주어진 식)=lim [ + ´ ]=f(1)+;2!;f '(1)=;2%;
x`Ú 1 xÛ`-1 x-1 x+1
(xÜ`-1)f(1) `f(xÛ`)-f(1)
⑵ (주어진 식)=lim [ - ´(x+1)]=3f(1)-2f '(1)=-3
x`Ú 1 x-1 xÛ`-1
{ f(x)}Û`-2f(x)
68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f(1)=0, lim 
x`Ú 1 1-x
=10을 만족시

킬 때, x=1에서의 미분계수 f '(1)의 값을 구하시오. 5


{ f(x)}Û`-2f(x) `f(x){2-f(x)} `f(x)-f(1)
lim   =lim   =lim   ´lim {2-f(x)}
x`Ú 1 1-x x`Ú 1 x-1 x`Ú 1 x-1 x`Ú 1

  =f '(1)´{2-f(1)}=2f '(1)
즉, 2f '(1)=10이므로 f '(1)=5

`f(x+1)-8
69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x`Ú 2 xÛ`-4
=5일 때, f(3)+f '(3)의 값

을 구하시오. 28
`f(x+1)-8
lim   =5에서 lim { f(x+1)-8}=0이므로 f(3)=8
x`Ú 2 xÛ`-4 x`Ú 2

`f(x+1)-8 `f(t)-f(3) `f(t)-f(3) 1


lim   =lim   =lim   ´lim   =;4!; f '(3)=5   ∴ f '(3)=20
x`Ú 2 xÛ`-4 t`Ú 3 tÛ`-2t-3 t`Ú 3 t-3 t`Ú 3 t+1
[ 
평가원기출  ]
         ∴ f(3)+f '(3)=8+20=28
70 다항함수 f(x)는 모든 실수 x, y에 대하여
→ x=0, y=0을 대입하면 f(0)=1이므로
f '(x)
`f(x+h)-f(x)
   f(x+y)=f(x)+f(y)+2xy-1 `f(h)-f(0) `f(h)-1
=lim 
h`Ú 0 h
f '(0)=lim   =lim 
`f(x)-f '(x) h`Ú 0 h h`Ú 0 h
`f(x)-f '(x)
을 만족시킨다. lim  =14일 때, f '(0)의 값을 구하시오. 28 ∴ lim  
x`Ú 1 xÛ`-1 x`Ú 1 xÛ`-1
`f(x+h)-f(x) { f(x)+f(h)+2xh-1}-f(x) `f(x)-2x-f(1)+2
f '(x)=lim   =lim   =2x+f '(0)   yy`㉠ =lim  
h`Ú 0 h h`Ú 0 h
x`Ú 1 xÛ`-1

lim  
`f(x)-f '(x)
=14에서 lim { f(x)-f '(x)}=0이므로 f(1)=f '(1) =;2!; f '(1)-1=14
x`Ú 1 xÛ`-1 x`Ú 1

㉠에서 f '(1)=2+f '(0)이므로 f '(0)=f '(1)-2=f(1)-2 따라서 f '(1)=30이므로

71 다음 보기의 함수 중 x=0에서 미분가능한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ㄴ f '(0)=f '(1)-2=28

보기

x (x¾0) (x+1)Û` (x¾0)


ㄱ. f(x)=[  ㄴ. g(x)=[ 
-x (x<0) 2x+1 (x<0)
xÛ`+x+1 (x¾0)
ㄷ. h(x)=[ 
-xÛ`+x-1 (x<0)

ㄱ. f '(0)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ㄷ. lim h(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x`Ú 0

1. 미분계수와 도함수 73
03
개념원리 이해
도함수
1. 미분계수와 도함수

1. 도함수의 정의
⑴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정의역의 각 원소 x에 미분계수 f '(x)를 대응시키면 새로운
함수
`f(x+Dx)-f(x)
   f '(x)= lim `
Dx`Ú 0 Dx
를 얻는다. 이때 이 함수 f '(x)를 함수 f(x)의 도함수라 하고, 이것을 기호
dy d
   f '(x), y', , `f(x)
dx dx
로 나타낸다.
⑵ 함수 y=f(x)에서 도함수 f '(x)를 구하는 것을 함수 y=f(x)를 x에 대하여 미분한다고
하고, 그 계산법을 미분법이라 한다.

dy
①   는 dy를 dx로 나눈다는 뜻이 아니라 y를 x에 대하여 미분한다는 것을 뜻하며
dx 미분
‘디와이(dy) 디엑스(dx)’라 읽는다. `f(x) 111Ú f '(x)
② 함수 f(x)의 x=a에서의 미분계수 f '(a)는 도함수 f '(x)의 식에 x=a를 대입 함수 도함수
한 값이다.
`f(x+h)-f(x)
③ 함수 f(x)의 도함수 f '(x)를 구할 때, Dx 대신 h를 사용하여 f '(x)=lim  로 나타낼 수도 있다.
h`Ú 0 h

2. 함수 y=xn`(n은 양의 정수)과 상수함수의 도함수 필수예제 8

⑴ y=xn`(n¾2인 정수) ⇨ y'=nxn-1


⑵ y=x ⇨ y'=1
⑶ y=c`(c는 상수) ⇨ y'=0

보충학습 1, 2 참조

3. 함수의 실수배, 합, 차의 미분법 필수예제 8

두 함수 f(x), g(x)가 미분가능할 때


⑴ {cf(x)}'=cf '(x)`(단, c는 상수)
⑵ { f(x)+g(x)}'=f '(x)+g '(x)
⑶ { f(x)-g(x)}'=f '(x)-g '(x)

보충학습 3, 4 참조

74 Ⅱ. 미분
4. 함수의 곱의 미분법 필수예제 8

세 함수 f(x), g(x), h(x)가 미분가능할 때


⑴ { f(x)g(x)}'=f '(x)g(x)+f(x)g '(x)
⑵ { f(x)g(x)h(x)}'=f '(x)g(x)h(x)+f(x)g '(x)h(x)+f(x)g(x)h'(x)
⑶ [{ f(x)}n]'=n{ f(x)}n-1´f '(x) (단, n은 양의 정수)

보충학습 5, 6, 7 참조

5. 미분가능할 조건 필수예제 13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면


Ú x=a에서 연속이므로
   lim `f(x)=f(a)
x`Ú a

Û 미분계수 f '(a)가 존재하므로


`f(a+h)-f(a) `f(a+h)-f(a)
   lim = lim
h`Ú 0+ h h`Ú 0- h

g(x)(x¾a)
두 다항함수 g(x), h(x)에 대하여 f(x)=[` 가 x=a에서 미분가능하면
h(x)(x<a)
Ú g(a)=h(a)      Û g '(a)=h'(a)

6. 미분과 나머지정리의 관계 필수예제 14

⑴ 이차 이상의 다항식 f(x)를 (x-a)Û`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


⇨ f '(a)(x-a)+f(a)
⑵ 이차 이상의 다항식 f(x)가 (x-a)Û`으로 나누어떨어질 조건
⇨ f(a)=0, f '(a)=0

설명 ⑴ 다항식 f(x)를 (x-a)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mx+n이라 하면


   f(x)=(x-a)Û`Q(x)+mx+n yy`㉠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2(x-a)Q(x)+(x-a)Û`Q'(x)+m yy`㉡
㉠, ㉡에 x=a를 대입하면
   f(a)=ma+n, 즉 n=f(a)-ma yy`㉢
   f '(a)=m yy`㉣
㉢, ㉣에서 mx+n=f '(a)x+f(a)-af '(a)=f '(a)(x-a)+f(a)
⑵ 나누어떨어지면 mx+n=0, 즉 m=0, n=0이 되어야 하므로 ㉢, ㉣에서 f(a)=0, f '(a)=0

1. 미분계수와 도함수 75
개념원리 이해

보충학습

1. y=c`(c는 상수)일 때, y'=0


`f(x+h)-f(x) c-c
(증명) y'=lim =lim =0
h`Ú 0 h h`Ú 0 h
2. y=xn`(n은 양의 정수)일 때, y'=nxn-1
`f(x+h)-f(x) (x+h)Ç`-xÇ`
(증명) y'=lim =lim
h`Ú 0 h h`Ú 0 h
{(x+h)-x}{(x+h)n-1+(x+h)n-2x+`y`+xn-1}
=lim
h`Ú 0 h
=lim {(x+h)n-1+(x+h)n-2x+`y`+xn-1}
h`Ú 0

=xn-1+xn-1+`y`+xn-1=nxn-1
(
|
|
{
\
|
9

n개

3. y=cf(x)`(c는 상수)일 때, y'=cf '(x)


cf(x+h)-cf(x) `f(x+h)-f(x)
(증명) y'=lim =clim =cf '(x)
h`Ú 0 h h`Ú 0 h
4. y=f(x)Ñg(x)일 때, y'=f '(x)Ñg '(x) (복부호동순)
{ f(x+h)Ñg(x+h)}-{ f(x)Ñg(x)}
(증명) y'=lim
h`Ú 0 h
{ f(x+h)-f(x)}Ñ{ g(x+h)-g(x)}
=lim
h`Ú 0 h
`f(x+h)-f(x) g(x+h)-g(x)
=lim Ñlim   =f '(x)Ñg '(x)
h`Ú 0 h h`Ú 0 h
5. y=f(x)g(x)일 때, y'=f '(x)g(x)+f(x)g '(x)
`f(x+h)g(x+h)-f(x)g(x)
(증명) y'=lim
h`Ú 0 h
`f(x+h)g(x+h)-f(x)g(x+h)+f(x)g(x+h)-f(x)g(x)
=lim
h`Ú 0 h
{ f(x+h)-f(x)}g(x+h)+f(x){g(x+h)-g(x)}
=lim
h`Ú 0 h
`f(x+h)-f(x) g(x+h)-g(x)
=lim ´lim  g(x+h)+f(x)´lim
h`Ú 0 h h`Ú 0 h`Ú 0 h
=f '(x)g(x)+f(x)g '(x)
6. y=f(x)g(x)h(x)일 때, y'=f '(x)g(x)h(x)+f(x)g '(x)h(x)+f(x)g(x)h'(x)
(증명) y'={ f(x)g(x)}'h(x)+{ f(x)g(x)}h'(x)
={ f '(x)g(x)+f(x)g '(x)}h(x)+f(x)g(x)h'(x)
=f '(x)g(x)h(x)+f(x)g'(x)h(x)+f(x)g(x)h'(x)
7. y={ f(x)}n`(n은 양의 정수)일 때, y'=n{ f(x)}n-1´f '(x)
(증명) 실력 88 참조

76 Ⅱ. 미분
개념원리 익히기
생각해 봅시다!
54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시오.
f '(x)
⑴ f(x)=3 f '(x)=0 `f(x+h)-f(x)
=lim 
h`Ú 0 h
⑵ f(x)=x-4 f '(x)=1

⑶ f(x)=8xÛ`+7x f '(x)=16x+7

55 다음 함수를 미분하시오. y=xn`(n은 양의 정수)


⇨ y'=nxn-1
⑴ y=10Û` y'=0

⑵ y=4xÜ`-;2!;xÛ`+3 y'=12xÛ`-x

⑶ y=5xÝ`+xÜ`-3x-8 y'=20xÜ`+3xÛ`-3

56 다음 함수를 미분하시오. { f(x)g(x)}'


=f '(x)g(x)
⑴ y=(xÜ`+2)(xÛ`-1) y'=5xÝ`-3xÛ`+4x  +f(x)g '(x)

⑵ y=(xÛ`-1)(2x+1)(3x-2) y'=24xÜ`-3xÛ`-16x+1

⑶ y=3(2x-1)Ý` y'=24(2x-1)Ü`

1. 미분계수와 도함수 77
필수예제 08 미분법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46, 47쪽

함수 f(x)=(x+2)(xÛ`-3x+4)에 대하여 f '(1)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f(x)=(x+2)(xÛ`-3x+4)에서
f '(x)=(x+2)'(xÛ`-3x+4)+(x+2)(xÛ`-3x+4)'
=xÛ`-3x+4+(x+2)(2x-3)
=xÛ`-3x+4+2xÛ`+x-6
=3xÛ`-2x-2
∴ f '(1)=3´1Û`-2´1-2=-1

필수예제 09 미분계수를 이용한 미정계수의 결정 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46, 47쪽

함수 f(x)=axÜ`+bx+c에 대하여 f(1)=4, f '(0)=-1, f '(1)=5일 때,


a+b-c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 c는 상수)

풀이 f(x)=axÜ`+bx+c에서 f '(x)=3axÛ`+b
f '(0)=-1에서 b=-1   yy`㉠
f '(1)=5에서 3a+b=5   yy`㉡
㉠, ㉡에서 a=2, b=-1
f(1)=4에서 a+b+c=2+(-1)+c=4   ∴ c=3
∴ a+b-c=2+(-1)-3=-2

KEY
Point  f(x)=xn ⇨ f '(x)=nxn-1
h(x)=af(x)Ñbg(x) ⇨ h'(x)=af '(x)Ñbg '(x) (복부호동순)

h(x)=f(x)g(x) ⇨ h'(x)=f '(x)g(x)+f(x)g '(x)

`f '(1)
확인 57 함수 f(x)=(x-1)(x-2)(x-3)y(x-7)에 대하여
`f '(5)
의 값을 구하시오. 15
체크

58 함수 f(x)=axÛ`+bx+c에 대하여 f(0)=5, f '(1)=-4, f '(-1)=8일 때, 상수 a,


b, c의 값을 구하시오. a=-3, b=2, c=5

59 함수 f(x)=xÜ`+axÛ`-3에 대하여 g(x)=(xÛ`+1)f(x)라 하자. f '(1)=g '(1)일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4!;

78 Ⅱ. 미분
필수예제 10 미분계수를 이용하여 극한값 구하기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47쪽

`f(2+3h)-f(2+h)
함수 f(x)=;4!;xÜ`-;3@;xÛ`+5일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h`Ú 0 h

`f(2+3h)-f(2)-{ f(2+h)-f(2)}
풀이 (주어진 식)=lim 
h`Ú 0 h
`f(2+3h)-f(2) `f(2+h)-f(2)
=lim  ´3-lim 
h`Ú 0 3h h`Ú 0 h
=3f '(2)-f '(2)
=2f '(2)

한편, f(x)=;4!;xÜ`-;3@;xÛ`+5에서 f '(x)=;4#;xÛ`-;3$;x이므로

2f '(2)=2{;4#;´2Û`-;3$;´2}=;3@;

KEY `f(a+h)-f(a)
Point  f '(a)=lim    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식을 변형한다.
h`Ú 0 h

`f(1+h)-f(1-h)
확인 60 함수 f(x)=xÝ`-2xÜ`+x+4일 때, lim 
h`Ú 0 h
의 값을 구하시오. -2
체크

`f(x)-f(2)
61 함수 f(x)=xÜ`-3xÛ`+4x+3일 때, lim 
x`Ú 2 xÜ`-8
의 값을 구하시오. ;3!;

1. 미분계수와 도함수 79
필수예제 11 미분계수를 이용한 미정계수의 결정 ⑵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48쪽

함수 f(x)=xÝ`+axÛ`+bx가
`f(x)-f(2) `f(x)-f(1)
   lim  =14, lim  =-2
x`Ú 2 x-2 x`Ú 1 xÛ`-1
를 만족시킬 때, f '(-1)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

풀이 f(x)=xÝ`+axÛ`+bx에서 f '(x)=4xÜ`+2ax+b
`f(x)-f(2)
lim  =14에서 f '(2)=14
x`Ú 2 x-2
즉, f '(2)=32+4a+b=14에서 4a+b=-18 yy`㉠
`f(x)-f(1) `f(x)-f(1) 1
lim  =lim[ ´ ]
x`Ú 1 xÛ`-1 x`Ú 1 x-1 x+1

  =;2!; f '(1)

;2!; f '(1)=-2이므로 f '(1)=-4

즉, f '(1)=4+2a+b=-4에서 2a+b=-8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5, b=2
따라서 f '(x)=4xÜ`-10x+2이므로
f '(-1)=-4+10+2=8

KEY `f(x)-f(a) `f(▒)-f()


Point  lim   =f '(a)

lim =f '()
x`Ú a x-a ▒`Ú  ▒-

확인 62 함수 f(x)=xÜ`+axÛ`+bx가
체크 `f(x)-f(2) xÜ`-1
   lim  =5, lim  =-;2#;
x`Ú 2 x-2 x`Ú 1 `f(x)-f(1)

을 만족시킬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4

63 함수 f(x)=xÜ`+axÛ`+bx+1이
`f(1+h)-f(1) `f(-2-h)-f(-2)
   lim  =4, lim  =-1
h`Ú 0 h h`Ú 0 h
을 만족시킬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 1

80 Ⅱ. 미분
필수예제 12 치환을 이용하여 극한값 구하기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50쪽

xn+2x-3
lim  =12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값을 구하시오.
x`Ú 1 x-1

`f(x)-f(▲)
설명 분자에 인수분해가 힘든 복잡한 식이 나오면 f(x)로 적절히 치환하여 lim 의 꼴로 고친다.
x`Ú▲ x-▲

풀이 f(x)=xn+2x로 놓으면 f(1)=3


xÇ`+2x-3 `f(x)-f(1)
lim  =lim 
x`Ú 1 x-1 x`Ú 1 x-1
  =f '(1)=12
이때 f '(x)=nxn-1+2이므로 f '(1)=n+2
즉, n+2=12이므로 n=10

다른풀이 f(x)=xn+2x-3으로 놓으면 f(1)=0


xÇ`+2x-3 `f(x)-f(1)
lim  =lim 
x`Ú 1 x-1 x`Ú 1 x-1
  =f '(1)=12
이때 f '(x)=nxn-1+2이므로 f '(1)=n+2
즉, n+2=12이므로 n=10

KEY
Point  주어진 식의 일부를 f(x)로 놓고 미분계수의 정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식을 변형한다.

xÚ`â`+x-2
확인 64 lim 
x`Ú 1 x-1
의 값을 구하시오. 11
체크

xÇ`-xÜ`-x-6
65 lim 
x`Ú 2 x-2
=k일 때, n+k의 값을 구하시오. (단, n은 자연수, k는 상수이다.) 23

1. 미분계수와 도함수 81
필수예제 13 미분가능할 조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49쪽

3xÛ`+1 (x¾1)
함수 f(x)=[  가 x=1에서 미분가능할 때, 상수 a, b의 값을 구하시오.
ax+b (x<1)

풀이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속이다.


즉, lim`f(x)=f(1)에서 a+b=3+1   ∴ a+b=4   yy`㉠
x`Ú 1

또, 미분계수 f '(1)이 존재하므로


`f(x)-f(1) (3xÛ`+1)-(3+1) 3(x+1)(x-1)
lim = lim = lim
x`Ú 1+ x-1 x`Ú 1+ x-1 x`Ú 1+ x-1
= lim 3(x+1)=6
x`Ú 1+

`f(x)-f(1) (ax+b)-(3+1) a(x-1)


lim = lim = lim =a (∵ ㉠)
x`Ú 1- x-1 x`Ú 1- x-1 x`Ú 1- x-1
∴ a=6
a=6을 ㉠에 대입하면 b=-2

g(x)=3xÛ`+1 (x¾1) g'(x)=6x (x>1)


다른풀이 f(x)=[  로 놓으면 f '(x)=[ 
h(x)=ax+b (x<1) h'(x)=a (x<1)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할 조건은
Ú g(1)=h(1) Û g'(1)=h'(1)
이므로
g(1)=h(1)에서 3+1=a+b   ∴ a+b=4 yy`㉠
g'(1)=h'(1)에서 6=a yy`㉡
㉠, ㉡에서 a=6, b=-2

KEY
Point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면

Ú x=a에서 연속이므로 lim `f(x)=f(a)


x`Ú a

`f(a+h)-f(a) `f(a+h)-f(a)
Û 미분계수 f '(a)가 존재하므로 lim = lim
h`Ú 0+ h h`Ú 0- h

a(x-4)Û`+b (x¾2)
확인 66 함수 f(x)=[ 
xÛ` (x<2)
이 x=2에서 미분가능할 때, 상수 a, b의 값을 구
체크
하시오. a=-1, b=8

xÜ`+axÛ`+bx (x¾1)
67 함수 f(x)=[ 
2xÛ`+1 (x<1)
이 모든 실수 x에서 미분가능할 때, 상수 a, b에 대

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3

82 Ⅱ. 미분
필수예제 14 미분과 다항식의 나머지정리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49쪽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다항식 xÜ`+axÛ`+b가 (x-2)Û`으로 나누어떨어지도록 하는 상수 a, b의 값을 구하시오.


⑵ 다항식 xÚ`â`-1을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하시오.

풀이 ⑴ 다항식 xÜ`+axÛ`+b를 (x-2)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xÜ`+axÛ`+b=(x-2)Û`Q(x)   yy`㉠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8+4a+b=0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3xÛ`+2ax=2(x-2)Q(x)+(x-2)Û`Q'(x)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12+4a=0   ∴ a=-3, b=4
⑵ 다항식 xÚ`â`-1을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ax+b`(a, b는 상수)라 하면
xÚ`â`-1=(x-1)Û`Q(x)+ax+b   yy`㉠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0=a+b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0xá`=2(x-1)Q(x)+(x-1)Û`Q'(x)+a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0=a   ∴ b=-10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10x-10

다른풀이 ⑴ f(x)=xÜ`+axÛ`+b가 (x-2)Û`으로 나누어떨어질 조건은


f(2)=0, f '(2)=0
f(2)=8+4a+b=0에서 4a+b=-8 yy`㉠
f '(x)=3xÛ`+2ax에서 f '(2)=12+4a=0 yy`㉡
㉠, ㉡에서 a=-3, b=4
⑵ f(x)=xÚ`â`-1을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 '(1)(x-1)+f(1)=10(x-1)=10x-10   Û f '(x)=10xá`

KEY
Point  다항식 f(x)가 (x-a)Û`으로 나누어떨어질 조건 ⇨ f(a)=0, f '(a)=0
 다항식 f(x)를 (x-a)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 f '(a)(x-a)+f(a)

확인 68 다항식 xÛ`â`-ax+b가 (x-1)Û`으로 나누어떨어질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


체크 하시오. 39

69 다항식 xÚ`â`â`-2xÜ`+4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하시오. 94x-91

70 다항식 xÝ`+axÛ`+b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2x+3일 때, 상수 a, b에 대


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9

1. 미분계수와 도함수 83
정답과 풀이 83쪽

연습문제
STEP 1 생각해 봅시다!

72 함수 f(x)=xÜ`-3x+1의 그래프 위에 f '(x)=9인 점이 두 개 있다. 이 f '(x)=9인 x의 값을 구


한다.
두 점 사이의 거리는?

① '2 ② 2'2 ③ 3'2 ✔ ④ 4'2 ⑤ 5'2


f '(x)=3xÛ`-3이므로 3xÛ`-3=9   ∴ x=2 또는 x=-2
따라서 두 점은 (2, 3), (-2, -1)이므로 "Ã(-2-2)Û`+(-1-3)Û`=4'2

73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f(x)=(xÛ`+1)g(x)이고


g(1)=-1, g'(1)=2일 때, f '(1)의 값은?

① -2 ② -1 ③ 1 ✔ ④ 2 ⑤3
f '(x)=(xÛ`+1)'g(x)+(xÛ`+1)g '(x)=2xg(x)+(xÛ`+1)g '(x)
∴ f '(1)=2g(1)+2g '(1)=2

74 곡선 y=xÜ`+axÛ`+bx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2일 때, 상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수 a, b의 값을 구하시오. a=1, b=-3
기울기
점 (1, -1)이 곡선 y=xÜ`+axÛ`+bx 위의 점이므로 a+b=-2 yy`㉠
접선의 기울기는 2이므로 y'=3xÛ`+2ax+b에서 3+2a+b=2   ∴ 2a+b=-1 yy`㉡ ⇨ f '(a)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3

75 두 함수 f(x)=x+xÛ`+xÜ`+xÝ`+xÞ`, g(x)=xÝ`+xÞ`+xß`+xà`+x¡`에 대하
`f(1+2h)-g(1-h)
여 lim  의 값을 구하시오. 20
h`Ú 0 3h
f(1)=g(1)=5
f '(x)=1+2x+3xÛ`+4xÜ`+5xÝ`, g '(x)=4xÜ`+5xÝ`+6xÞ`+7xß`+8xà`이므로 f '(1)=15, g '(1)=30
f(1+2h)-f(1) g(1-h)-g(1)
∴ (주어진 식)=lim  ´;3@;+lim  ´;3!;=;3@; f '(1)+;3!; g '(1)=20
h`Ú 0 2h h`Ú 0 -h

`f(x)
76 함수 f(x)=xÜ`+axÛ`+bx-b에 대하여 lim 
x`Ú 1 x-1
=1일 때, ab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 0


`f(x) `f(x) `f(x)-f(1)
lim  =1에서 f(1)=0   ∴ lim  =lim  =f '(1)=1
x`Ú 1 x-1 x`Ú 1 x-1 x`Ú 1 x-1
한편, f(x)=xÜ`+axÛ`+bx-b에서 f '(x)=3xÛ`+2ax+b이므로
f(1)=1+a+b-b=0   ∴ a=-1
f '(1)=3+2a+b=1   ∴ b=0   ∴ ab=0

xÚ`â`+xá`+x¡`+xà`+xß`-1
77 lim
x`Ú -1 x+1
의 값을 구하시오. -8

f(x)=xÚ`â`+xá`+x¡`+xà`+xß`으로 놓으면 f(-1)=1이므로


xÚ`â`+xá`+x¡`+xà`+xß`-1 `f(x)-f(-1)
lim = lim =f '(-1)
x`Ú -1 x+1 x`Ú -1 x-(-1)
이때 f '(x)=10xá`+9x¡`+8xà`+7xß`+6xÞ`이므로 f '(-1)=-8

84 Ⅱ. 미분
정답과 풀이 84쪽

STEP 2
78 두 함수 f(x), g(x)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미분가 Z ZG Y

능하고,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


다. 함수 p(x)=f(x)g(x)에 대하여 p'(2)=6일 
0 Y
때, g'(2)의 값을 구하시오. (단, f '(2)=0) -3
주어진 그래프에서 f(2)=-2이고 f '(2)=0이므로 
p'(2)=f '(2)g(2)+f(2)g'(2)=-2g'(2)=6
∴ g'(2)=-3

79 두 다항함수 f(x), g(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g(x)이고


{ f(x)+g(x)}'=xÜ`+3xÛ`+4x+5가 성립할 때, g '(-1)의 값을 구하
시오. 7
{ f(x)+g(x)}'=f '(x)+g '(x)=g(x)+g '(x)=xÜ`+3xÛ`+4x+5
g(x)=xÜ`+axÛ`+bx+c`(a, b, c는 상수)라 하면 g '(x)=3xÛ`+2ax+b
즉, xÜ`+axÛ`+bx+c+3xÛ`+2ax+b=xÜ`+(a+3)xÛ`+(2a+b)x+b+c=xÜ`+3xÛ`+4x+5에서
a=0, b=4, c=1이므로 g(x)=xÜ`+4x+1   ∴ g '(x)=3xÛ`+4   ∴ g '(-1)=3+4=7

80 두 다항함수 f(x), g(x)가 ` lim 


x`Ú a
`f(x)-b
x-a
=c이면
`f(x)-2 g(x)-1 f(a)=b, f '(a)=c
   lim  =1, lim  =2
x`Ú 3 x-3 x`Ú 3 x-3
를 만족시킬 때, 함수 y=f(x)g(x)의 x=3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시오. 5
`f(x)-2 `f(x)-2 `f(x)-f(3)
lim  =1에서 f(3)=2   ∴ lim  =lim  =f '(3)=1
x`Ú 3 x-3 x`Ú 3 x-3 x`Ú 3 x-3
g(x)-1 g(x)-1 g(x)-g(3)
lim  =2에서 g(3)=1   ∴ lim  =lim  =g '(3)=2
x`Ú 3 x-3 x`Ú 3 x-3 x`Ú 3 x-3
        y'=f '(x)g(x)+f(x)g '(x)이므로 f '(3)g(3)+f(3)g '(3)=1´1+2´2=5
[ 평가원기출 ]
`f(x)-5
81 다항함수 f(x)가 lim 
x`Ú 1 x-1
=9를 만족시킨다. g(x)=xf(x)라 할 때,

g '(1)의 값을 구하시오. 14
`f(x)-5 `f(x)-5 `f(x)-f(1)
lim  =9에서 f(1)=5   ∴ lim  =lim  =f '(1)=9
x`Ú 1 x-1 x`Ú 1 x-1 x`Ú 1 x-1
g '(x)=f(x)+xf '(x)이므로 g '(1)=f(1)+f '(1)=14

axÜ`+bÛ` (x¾1)
82 함수 f(x)=[ 
bxÛ`+ax+b (x<1)
가 x=1에서 미분가능할 때,
lim`f(x)=f(1)에서 b+a+b=a+bÛ`   ∴ b=0 또는 b=2   yy`㉠
x`Ú 1

`f(1+2h)-f(1-h)
lim  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 a+0) 18
h`Ú 0 h
미분계수 f '(1)이 존재하므로 3a=2b+a에서 a=b   yy`㉡
㉠, ㉡에서 a+0이므로 a=2, b=2   ∴ f '(1)=6
`f(1+2h)-f(1-h) `f(1+2h)-f(1) `f(1-h)-f(1)
∴ lim  =lim[ ´2+ ]=2f '(1)+f '(1)=18
h`Ú 0 h h`Ú 0 2h -h

83 다항식 xÚ`â`-ax+3b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3x-2일 때, 항등식을 세워서 조건을 이


용한다.
3b-a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 20
몫을 Q(x)라 하면 xÚ`â`-ax+3b=(x+1)Û`Q(x)+3x-2 yy`㉠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3b=-6 yy`㉡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0xá`-a=2(x+1)Q(x)+(x+1)Û`Q'(x)+3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13, b=;3&;   ∴ 3b-a=20

1. 미분계수와 도함수 85
정답과 풀이 86쪽

실력
생각해 봅시다!
84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 f '(x)+2}=8f(x)+12xÛ`-5를 만족시킬 때, f(x)를 모두 구하시오. f(x)가 n차식이면 f '(x)
f(x)=-xÛ`-;3!;x+;9%; 또는 f(x)=3xÛ`-3x+1
는 (n-1)차식이다.
f '(x){ f '(x)+2}-8f(x)=12xÛ`-5
f(x)가 n차식일 때, f '(x)는 (n-1)차식이므로 좌변은 (2n-2)차식, 우변은 2차식   ∴ n=2
f(x)=axÛ`+bx+c`(a, b, c는 상수)라 하면 f '(x)=2ax+b   ∴ 4aÛ`xÛ`+4a(b+1)x+b(b+2)=(8a+12)xÛ`+8bx+8c-5
4aÛ`=8a+12, 4a(b+1)=8b, b(b+2)=8c-5에서 a=-1, b=-;3!;, c=;9%; 또는 a=3, b=-3, c=1   ∴ f(x)=-xÛ`-;3!;x+;9%; 또는 f(x)=3xÛ`-3x+1

85 다항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4

`f(x)-xÜ` `f(x)-f(1)
lim
㈎ x`Ú¦ =2 ㈏ lim   =4
xÛ`+2 x`Ú 1 xÛ`-1
f(x)=xÜ`+2xÛ`+ax+b
㈐ f(0)=0
b=0   ∴ f(x)=xÜ`+2xÛ`+ax
f '(x)=3xÛ`+4x+a이고 f '(1)=8이므로 a=1 `f(x)-f(1) `f(x)-f(1) 1
lim  =lim  ´lim  =f '(1)´;2!;=4
따라서 f(x)=xÜ`+2xÛ`+x이므로 f(1)=4 x`Ú 1 xÛ`-1 x`Ú 1 x-1 x`Ú 1 x+1

에서 f '(1)=8

[ 평가원기출 ]
함수 f(x)=xÞ`-xÝ`+xÜ`에 대하여 lim n[ f {1+ }-f {1- }]의
3 4
86 n`Ú¦ n n
값은?

① 21 ② 24 ✔ ③ 28 ④ 29 ⑤ 32
;n!;=h로 놓으면 n`Ú ¦일 때 h`Ú 0이므로
`f(1+3h)-f(1-4h)
lim n[ f {1+;n#;}-f {1-;n$;}]=lim  =3f '(1)+4f '(1)=7f '(1)
n`Ú ¦ h`Ú 0 h
f '(x)=5xÝ`-4xÜ`+3xÛ`이므로 f '(1)=4   ∴ (주어진 식)=7f '(1)=28

87 다항식 f(x)는 (x-1)Û`으로 나누어떨어지고, x-2로 나누면 나머지가 2이


다. f(x)를 (x-1)Û`(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g(x)라 할 때,
g(2+2h)-g(2-h) g(x)=axÛ`+bx+c`(a, b, c는 상수)
lim  의 값을 구하시오. 12
h`Ú 0 h
f(x)=(x-1)Û ` (x-2)Q(x)+axÛ ` +bx+c를 (x-1)Û `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axÛ ` +bx+c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와 같으므로 f(x)=(x-1)Û`(x-2)Q(x)+a(x-1)Û`
f(2)=a(2-1)Û`=2에서 a=2이므로 g(x)=2xÛ`-4x+2, g '(x)=4x-4
g(2+2h)-g(2-h) g(2+2h)-g(2) g(2-h)-g(2)
∴ lim  =lim  ´2+lim  =3g'(2)=12
h`Ú 0 h h`Ú 0 2h h`Ú 0 -h

88 n이 자연수이고 y={ f(x)}n일 때, y'=n{ f(x)}n-1f '(x)임을 수학적 귀



납법으로 증명하시오.
Ú n=1일 때, y'=f '(x)
따라서 n=1일 때, ㉠은 성립한다.
Û n=k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y'=k{ f(x)}k-1f '(x)이므로
y={ f(x)}k+1`={ f(x)}kf(x)에서`
y'=[{ f(x)}k]'f(x)+{ f(x)}kf '(x)=(k+1){ f(x)}kf '(x)
따라서 ㉠은 n=k+1일 때도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한다.

86 Ⅱ. 미분
Ⅱ 미분

1. 미분계수와 도함수
2. 도함수의 활용
Ⅱ 미분 2. 도함수의 활용

01
개념원리 이해
접선의 방정식
2. 도함수의 활용

1. 접선의 방정식 필수예제 1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할 때, 곡선 y=f(x) 위의 점 Z


ZG Y
접선
(a, f(a))에서의 G B

⑴ 접선의 기울기: f '(a) Û x=a에서의 미분계수 B G B

⑵ 접선의 방정식: y-f(a)=f '(a)(x-a)


즉, y=f '(a)(x-a)+ f(a) 0 B Y

예 곡선 y=xÜ`-3x 위의 점 (2, 2)에서의


⑴ 접선의 기울기는 f(x)=xÜ`-3x로 놓으면 f '(x)=3xÛ`-3에서 f '(2)=3´4-3=9
⑵ 접선은 기울기가 9, 점 (2, 2)를 지나는 직선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2=9(x-2)   ∴ y=9x-16

2.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방법 필수예제 2~5

⑴ 접점의 좌표 (a, f(a))가 주어진 경우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구하기


Ú 접선의 기울기 f '(a)를 구한다.
Û y-f(a)=f '(a)(x-a)임을 이용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점 (xÁ, yÁ)을 지나고 기울기가 m인 직선의 방정식은 y-yÁ=m(x-xÁ), 즉 y=m(x-xÁ)+yÁ

예 곡선 y=-xÛ`+4x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풀이 f(x)=-xÛ`+4x로 놓으면 f '(x)=-2x+4 Z ZY 
곡선 y=f(x)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2´1+4=2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기울기가 2이고, 점 (1, 3)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이므로 y-3=2(x-1)   ∴ y=2x+1 0  Y
ZY™ Y
⑵ 기울기 m이 주어진 경우

곡선 y=f(x)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Ú 접점의 좌표를 (a, f(a))로 놓는다.
Û f '(a)=m임을 이용하여 a의 값과 접점의 좌표를 구한다.
Ü y-f(a)=m(x-a)임을 이용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88 Ⅱ. 미분
⑶ 곡선 밖의 한 점 (xÁ, yÁ)이 주어진 경우

점 (xÁ, yÁ)에서 곡선 y=f(x)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 구하기


Ú 접점의 좌표를 (t, f(t))로 놓는다.
Û 점 (t, f(t))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f(t)=f '(t)(x-t)   yy`㉠
Ü ㉠에 x=xÁ, y=yÁ을 대입하여 t의 값을 구한다.
Ý Ü에서 구한 t의 값을 다시 ㉠에 대입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3.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할 때, 곡선 y=f(x) 위의 점  Z ZG Y

A(a, f(a))에서의
접선
1 G B
" B G B

⑴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 - (단, f '(a)+0)


`f '(a)
⑵ 접선에 수직이고 점 A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0 B Y
1
   y-f(a)=- (x-a)
`f '(a)

기울기의 곱이 -1인 두 직선은 서로 수직이다. 즉, 직선의 기울기가 0이 아닐 때,


(직선의 기울기)_(그 직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1

예 곡선 y=xÛ`-3 위의 점 A(1, -2)에서의 접선에 수직이고 점 A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을 구하시오.
풀이 f(x)=xÛ`-3으로 놓으면 f '(x)=2x

점 A(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2이므로 점 A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2!;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2)=-;2!;(x-1)   ∴ y=-;2!;x-;2#;

4. 두 곡선에 동시에 접하는 직선 필수예제 7, 8

두 함수 f(x), g(x)가 미분가능할 때, 두 곡선 y=f(x), y=g(x)가


⑴ 점 (a, b)에서 접할 조건 ZG Y

① x=a에서의 함숫값이 같다. ⇨ f(a)=g(a)=b


② 곡선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같다.
B C

⇨ f '(a)=g '(a)
⑵ 점 (a, b)에서 만나고, 이 점에서의 각각의 접선이 서로 수직일 조건 ZH Y

① x=a에서의 함숫값이 같다. ⇨ f(a)=g(a)=b Q 단, f '(a)+0, g'(a)+0


② 곡선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의 곱이 -1이다. ⇨ f '(a)_g '(a)=-1

2. 도함수의 활용 89
개념원리 익히기
생각해 봅시다!
71 다음 곡선 위의 주어진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시오.
곡선 y=f(x) 위의 점
⑴ y=2xÛ`+4x-3  (1, 3) 8 (a, f(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a)
⑵ y=xÜ`-2x+1  (2, 5) 10

72 다음은 곡선 y=xÛ`-4x-1 위의 점 (4,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


는 과정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오.

f(x)=xÛ`-4x-1로 놓으면 f '(x)= 2x-4

곡선 y=f(x) 위의 점 (4,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 4 )= 4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기울기가 4 이고, 점 (4, -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이므로
y-( -1 )= 4 (x- 4 )   ∴ y= 4x-17

73 다음은 곡선 y=3xÛ`+2x+1에 접하고 기울기가 8인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


는 과정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오.

f(x)=3xÛ`+2x+1로 놓으면 f '(x)= 6x+2

접점의 좌표를 (a, 3aÛ`+2a+1)이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8이므로


f '(a)= 6a+2 =8   ∴ a=1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1, 6 )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 6 = 8 (x- 1 )   ∴ y= 8x-2

90 Ⅱ. 미분
필수예제 01 접선의 기울기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56쪽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곡선  y=2xÜ`+axÛ`-x+b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5일 때, 상수 a, b


의 값을 구하시오.
⑵ 곡선  y=2xÜ`+axÛ`+bx 위의 두 점 (1, 3), (2, c)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서로 같
을 때, 상수 a, b, c의 값을 구하시오.

설명 ⑴ 곡선 y=f(x) 위의 점 (1, 2) HjK 곡선 y=f(x)가 점 (1, 2)를 지난다.

풀이 ⑴ f(x)=2xÜ`+axÛ`-x+b로 놓으면 f '(x)=6xÛ`+2ax-1


곡선 y=f(x)가 점 (1, 2)를 지나므로 f(1)=2
2+a-1+b=2   ∴ a+b=1 yy`㉠
곡선 y=f(x)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5이므로 f '(1)=5
6+2a-1=5, 2a=0   ∴ a=0 yy`㉡
㉠, ㉡에서 b=1
⑵ f(x)=2xÜ`+axÛ`+bx로 놓으면 f '(x)=6xÛ`+2ax+b
곡선 y=f(x)가 점 (1, 3)을 지나므로 f(1)=3
2+a+b=3   ∴ a+b=1 yy`㉠
곡선 y=f(x) 위의 두 점 (1, 3), (2, c)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서로 같으므로 f '(1)=f '(2)
6+2a+b=24+4a+b, -2a=18   ∴ a=-9 yy`㉡
㉠, ㉡에서 b=10   ∴ f(x)=2xÜ`-9xÛ`+10x
곡선 y=f(x)가 점 (2, c)를 지나므로 f(2)=c
16-36+20=c   ∴ c=0

KEY
Point 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 f '(a)
 f '(a)의 계산 ⇨ 함수 f(x)의 도함수 f '(x)를 구한 후 x=a 대입

확인 74 곡선 y=xÜ`+axÛ`+bx가 점 (1, 5)를 지나고, 이 곡선 위의 점 중 x좌표가 -1인 점에서


체크 의 접선의 기울기가 1일 때, 상수 a, b의 값을 구하시오. a=2, b=2

75 곡선 y=axÛ`+bx+;2!;이 점 (1, 2)를 지나고, 곡선 위의 점 (-1, c)에서의 접선의 기울

기가 -;2#;일 때, 상수 a, b, c에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시오. ;2!;

2. 도함수의 활용 91
필수예제 02 곡선 위의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56, 57쪽

곡선 y=xÜ`+2xÛ`+x-2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시오.

⑴ 곡선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⑵ 곡선 위의 점 (1, 2)를 지나고 이 점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

설명 ⑴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때, 주어진 점이 곡선 위의 점인지 아닌지를 반드시 확인한다.


x=1, y=2를 y=xÜ`+2xÛ`+x-2에 대입하면 등식이 성립하므로 점 (1, 2)가 곡선 y=xÜ`+2xÛ`+x-2 위의
점임을 확인할 수 있다.

풀이 ⑴ f(x)=xÜ`+2xÛ`+x-2로 놓으면 f '(x)=3xÛ`+4x+1


곡선 y=f(x)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3+4+1=8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기울기가 8이고, 점 (1,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이므로
y-2=8(x-1)
∴ y=8x-6
⑵ 곡선 y=f(x)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8이므로 점 (1, 2)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직선

의 기울기는 -;8!;이다.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2=-;8!;(x-1)

∴ y=-;8!;x+:Á8¦:

참고 기울기가 m이고 점 (xÁ, yÁ)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yÁ=m(x-xÁ)

KEY
Point 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구하기
Ú 접선의 기울기 f '(a)를 구한다.
Û y-f(a)=f '(a)(x-a)임을 이용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접점이 주어지면 ⇨ 기울기를 먼저 구한다.

확인 76 곡선 y=xÜ`-2xÛ`+1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y=7x+5


체크

77 곡선 y=xÜ`+axÛ`+bx 위의 점 (2, 4)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이 y=6x-8일 때, 상수 a,


b의 값을 구하시오. a=-2, b=2

78 곡선 y=xÜ`-x+1 위의 점 (1, 1)을 지나고 이 점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y=-;2!;x+;2#;

92 Ⅱ. 미분
필수예제 03 기울기가 주어졌을 때의 접선의 방정식 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58쪽

곡선 y=xÛ`-3x에 접하고,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⑴ 기울기가 3 ⑵ x축에 평행

설명 ⑵ x축에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0이다.

풀이 f(x)=xÛ`-3x로 놓으면 f '(x)=2x-3


⑴ 접점의 좌표를 (a, aÛ`-3a)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3이므로
f '(a)=2a-3=3, 2a=6   ∴ a=3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3, 0)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0=3(x-3)   ∴ y=3x-9
⑵ x축에 평행한 접선의 기울기는 0이다.  Û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k(k는 상수)의 꼴
접점의 좌표를 (a, aÛ`-3a)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0이므로

f '(a)=2a-3=0, 2a=3   ∴ a=;2#;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2#;, -;4(;}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4(;}=0´{x-;2#;}   ∴ y=-;4(;

필수예제 04 기울기가 주어졌을 때의 접선의 방정식 ⑵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57쪽

직선 x+9y=3에 수직이고 곡선 y=xÜ`+3xÛ`+2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풀이 f(x)=xÜ`+3xÛ`+2로 놓으면 f '(x)=3xÛ`+6x

구하는 접선이 직선 x+9y=3, 즉 y=-;9!;x+;3!;에 수직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9이다.

접점의 좌표를 (a, aÜ`+3aÛ`+2)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9이므로


f '(a)=3aÛ`+6a=9, 3aÛ`+6a-9=0, 3(a+3)(a-1)=0   ∴ a=-3 또는 a=1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3, 2), (1, 6)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2=9{x-(-3)}, y-6=9(x-1)   ∴ y=9x+29, y=9x-3

확인 79 곡선 y=xÛ`의 접선이 x축의 양의 방향과 45ù의 각을 이룰 때, 그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


체크 오. y=x-;4!;

80 직선 2x-y+3=0에 평행하고 곡선 y=-xÛ`+1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y=2x+2

81 직선 x-8y+3=0에 수직이고 곡선 y=xÜ`-11x+2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


오. y=-8x+4, y=-8x

2. 도함수의 활용 93
필수예제 05 곡선 밖의 한 점에서 그은 접선의 방정식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59쪽

점 (0, -4)에서 곡선 y=xÛ`-2x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설명 점 (0, -4)는 곡선 밖의 점이므로 접점의 좌표를 (t, f(t))로 놓고 조건을 이용하여 t의 값을 구한다.

풀이 f(x)=xÛ`-2x로 놓으면 f '(x)=2x-2


접점의 좌표를 (t, tÛ`-2t)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t)=2t-2
따라서 기울기가 2t-2이고 점 (t, tÛ`-2t)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tÛ`-2t)=(2t-2)(x-t)
∴ y=(2t-2)x-tÛ`   yy`㉠
이 직선이 점 (0, -4)를 지나므로
-4=-tÛ`, tÛ`=4   ∴ t=-2 또는 t=2
이것을 ㉠에 각각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Z ZY™ Y
y=-6x-4, y=2x-4 

0
  Y

 

참고 곡선 위의 점에서의 접선은 한 개 존재하지만 곡선 밖의 점에서 곡선에 그은 접선은 두 개 이상일 수도


있다.

KEY
Point  곡선 밖의 한 점 (xÁ, yÁ)에서 곡선 y=f(x)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 구하기
Ú 접점의 좌표를 (t, f(t))로 놓는다.
Û 접선의 방정식 y-f(t)=f '(t)(x-t)에 x=xÁ, y=yÁ을 대입하여 t의 값을 구한다.
Ü Û에서 구한 t의 값을 y-f(t)=f '(t)(x-t)에 대입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접점의 좌표를 모를 때에는 (t, f(t))로 놓는다.

확인 82 다음 점에서 곡선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체크 y=4
⑴ y=-xÛ`+2x+3  (2, 4) y=-4x+12
⑵ y=xÜ`-2x  (0, 2) y=x+2

83 점 (1, -6)에서 곡선 y=xÜ`-2에 그은 접선이 점 (k, 30)을 지날 때, k의 값을 구하시오. 4

84 원점 O에서 곡선 y=;4!;xÝ`+3에 그은 접선의 접점을 P라 할 때, 선분 OP의 길이를 구하

시오. 3'2

94 Ⅱ. 미분
필수예제 06 곡선과 직선이 접할 때 미정계수의 결정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58쪽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곡선 y=2xÜ`+ax+1이 직선 y=7x-3에 접할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⑵ 곡선 y=xÜ`-ax+2가 직선 y=2x에 접할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⑴ f(x)=2xÜ`+ax+1로 놓으면 f '(x)=6xÛ`+a


곡선과 직선의 접점의 좌표를 (t, 2tÜ`+at+1)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t)=6tÛ`+a, 접선의 방정식은
y-(2tÜ`+at+1)=(6tÛ`+a)(x-t)   ∴ y=(6tÛ`+a)x-4tÜ`+1 yy`㉠
㉠이 y=7x-3이므로 6tÛ`+a=7, -4tÜ`+1=-3
-4tÜ`+1=-3에서 t=1이므로 a=1
⑵ f(x)=xÜ`-ax+2로 놓으면 f '(x)=3xÛ`-a
곡선과 직선의 접점의 좌표를 (t, tÜ`-at+2)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t)=3tÛ`-a, 접선의 방정식은
y-(tÜ`-at+2)=(3tÛ`-a)(x-t)   ∴ y=(3tÛ`-a)x-2tÜ`+2 yy`㉠
㉠이 y=2x이므로 3tÛ`-a=2, -2tÜ`+2=0
-2tÜ`+2=0에서 t=1이므로 a=1

다른풀이 ⑴ 곡선과 직선의 접점은 곡선과 직선의 교점이므로 y좌표가 같다. 즉,


2tÜ`+at+1=7t-3 yy`㉠
또한, 접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7이므로
f '(t)=6tÛ`+a=7   ∴ a=7-6tÛ` yy`㉡
㉡을 ㉠에 대입하면 2tÜ`+(7-6tÛ`)t+1=7t-3, -4tÜ`+4=0   ∴ t=1
t=1을 ㉡에 대입하면 a=1
⑵ 곡선과 직선의 접점은 곡선과 직선의 교점이므로 y좌표가 같다. 즉,
tÜ`-at+2=2t yy`㉠
또한, 접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f '(t)=3tÛ`-a=2   ∴ a=3tÛ`-2 yy`㉡
㉡을 ㉠에 대입하면 tÜ`-(3tÛ`-2)t+2=2t, -2tÜ`+2=0   ∴ t=1
t=1을 ㉡에 대입하면 a=1

KEY
Point  곡선 y=f(x)와 직선 y=g(x)가 접할 때
Ú 접점의 좌표를 (t, f(t))로 놓고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Û Ú에서 구한 접선의 방정식이 y=g(x)와 일치함을 이용한다.

확인 85 직선 y=ax+2가 곡선 y=xÜ`에 접하도록 하는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3


체크

86 직선 y=5x가 곡선 y=xÜ`-ax+2에 접할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2

2. 도함수의 활용 95
필수예제 07 두 곡선의 공통인 접선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59쪽

두 곡선 y=xÛ`+ax+b, y=-xÜ`+c가 점 (1, -2)에서 접할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상수 a, b, c의 값 ⑵ 두 곡선에 공통으로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

설명 두 곡선을 각각 y=f(x), y=g(x)라 할 때, 두 곡선 모두 점 (1, -2)를 지나므로 f(1)=g(1)=-2


두 곡선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같으므로 f '(1)=g'(1)

풀이 ⑴ f(x)=xÛ`+ax+b, g(x)=-xÜ`+c로 놓으면 f '(x)=2x+a, g'(x)=-3xÛ`


두 곡선 y=f(x), y=g(x) 모두 점 (1, -2)를 지나므로 f(1)=-2, g(1)=-2
f(1)=1+a+b=-2   ∴ a+b=-3   yy`㉠
g(1)=-1+c=-2   ∴ c=-1
두 곡선의 접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같으므로 f '(1)=g'(1)
2+a=-3   ∴ a=-5
㉠에서 b=2
⑵ 접점의 좌표는 (1, -2)이고, 접선의 기울기는 f '(1)=g'(1)=-3이므로
두 곡선에 공통으로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2)=-3(x-1)   ∴ y=-3x+1

필수예제 08 두 곡선의 교점에서의 접선이 수직일 때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57쪽

두 곡선 y=xÜ`, y=axÛ`+bx가 점 (1, 1)에서 만나고, 이 점에서 두 곡선에 각각 그은


접선이 서로 수직일 때, 상수 a, b의 값을 구하시오.

설명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이 -1이면 두 직선은 서로 수직이다.

풀이 f(x)=xÜ`, g(x)=axÛ`+bx로 놓으면 f '(x)=3xÛ`, g'(x)=2ax+b


곡선 y=g(x)가 점 (1, 1)을 지나므로 g(1)=1
∴ a+b=1 yy`㉠
두 곡선 위의 점 (1, 1)에서의 각각의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두 접선의 기울기의 곱이 -1이다. 즉,
f '(1)g'(1)=-1   ∴ 3(2a+b)=-1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3&;

확인 87 두 곡선 y=xÜ`+ax, y=bxÛ`+c가 점 (-1, 0)에서 공통인 접선을 가질 때, 다음을 구하


체크 시오.

⑴ 상수 a, b, c의 값 a=-1, b=-1, c=1 ⑵ 두 곡선에 공통으로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


y=2x+2

88 두 곡선 y=xÛ`-1, y=axÛ``(a+0)의 교점에서 두 곡선에 각각 그은 접선이 서로 수직일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3!;

96 Ⅱ. 미분
02
개념원리 이해
평균값 정리
2. 도함수의 활용

1. 롤(Rolle)의 정리 필수예제 9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a, b)에서 미분가능할 때,


f(a)=f(b)이면
   f '(c)=0
인 c가 열린구간 (a, b)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① 롤(Rolle)은 프랑스의 수학자이다.


② 롤의
 정리의 기하적 의미: 롤의 정리는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 Z
속, 열린구간 (a, b)에서 미분가능하고 f(a)=f(b)이면 열린구간 (a, b)에 G  D


기울기가 0인 곡선 y=f(x)의 접선이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ZG Y

G B
G C

0 B D D C Y

③ 함수 f(x)가 열린구간 (a, b)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면 f '(c)=0인 c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 f(x)=|x|는 닫힌구간 [-1, 1]에서 연속이고 f(-1)=f(1)=1이지만 x=0에 Z
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롤의 정리의 가정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이때 f '(c)=0인 Z]Y]

c가 열린구간 (-1, 1)에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0  Y

증명 롤의 정리
Ú 함수 f(x)가 상수함수인 경우 Z
ZG Y

열린구간 (a, b)에 속하는 모든 c에 대하여 f '(c)=0이다. G B


G C

Û 함수 f(x)가 상수함수가 아닌 경우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므로 f(x)는 이 구간에서 최댓값과 0 B D C Y
최솟값을 갖는다. 이때 f(a)=f(b)이므로 f(x)가 최대 또는 최소가 되는
x=c가 열린구간 (a, b)에 존재한다.
㈀ 함수 f(x)가 x=c에서 최댓값 f(c)를 가질 때, a<c+h<b를 만족 Z
G  D

시키는 임의의 h에 대하여 G D

G D I
ZG Y

   f(c+h)Éf(c) G B
G C

이므로
`f(c+h)-f(c) 0 B D D I C Y
   lim ¾0   yy`㉠
h`Ú 0- h
`f(c+h)-f(c)
   lim É0   yy`㉡
h`Ú 0+ h
그런데 함수 f(x)는 x=c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c+h)-f(c) `f(c+h)-f(c)
   lim = lim
h`Ú 0- h h`Ú 0+ h
이다. 즉, ㉠, ㉡에서

2. 도함수의 활용 97
개념원리 이해

`f(c+h)-f(c) `f(c+h)-f(c)
   0É lim = lim É0
h`Ú 0- h h`Ú 0+ h
`f(c+h)-f(c)
이므로 f '(c)=lim  =0
h`Ú 0 h
㈁ 함수 f(x)가 x=c에서 최솟값 f(c)를 가질 때,
㈀에서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f '(c)=0임을 보일 수 있다.
Ú, Û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간 (a, b)에 존재한다.

예 함수 f(x)=xÛ`+1에 대하여 닫힌구간 [-1, 1]에서 롤의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c의 값


을 구하시오.
풀이 함수 f(x)는 닫힌구간 [-1, 1]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1, 1)에서 미 Z ZY™ 

분가능하다. 
또한, f(-1)=f(1)=2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
린구간 (-1, 1)에 존재한다. 
이때 f '(x)=2x이므로 f '(c)=2c=0   ∴ c=0  0  Y

2. 평균값 정리 필수예제 10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a, b)에서 미분가능하면


`f(b)-f(a)
   =f '(c)
b-a
인 c가 열린구간 (a, b)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① 평균값 정리를 영어로 Mean Value Theorem이라 한다.


② 평균값 정리에서 f(a)=f(b)인 경우가 롤의 정리이다.
`f(b)-f(a)
③   는 x의 값이 a에서 b까지 변할 때 함수 f(x)의 평균변화율이다. 또한, 곡선 y=f(x) 위의 두 점
b-a
A(a, f(a)), B(b, f(b))를 잇는 직선 AB의 기울기이다.
④ 평균값 정리의 기하적 의미: 평균값 정리는 열린구간 (a, b)에서 직선 AB와 평행 Z
ZG Y

한 곡선 y=f(x)의 접선이 적어도 하나 존재함을 의미한다.


#
G C

"
G B

0 B D D C Y

증명 평균값 정리
`f(b)-f(a)
곡선 y=f(x) 위의 두 점 A(a, f(a)), B(b, f(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이므로 두 점 A, B를
b-a
잇는 직선의 방정식을 y=g(x)라 하면
`f(b)-f(a)
(x-a)+f(a) Û g '(x)=
`f(b)-f(a)
   g(x)=
b-a b-a
이다. 이때 h(x)=f(x)-g(x)로 놓으면 함수 h(x)는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a, b)에서 미분가
능하며 h(a)=h(b)=0이다.

98 Ⅱ. 미분
따라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b)-f(a)
   h'(c)=f '(c)-g'(c)=f '(c)- =0
b-a
인 c가 열린구간 (a, b)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f(b)-f(a)
즉, =f '(c)인 c가 열린구간 (a, b)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b-a

예 함수 f(x)=xÛ` 에 대하여 닫힌구간 [-1, 3]에서 평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c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함수 f(x)는 닫힌구간 [-1, 3]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1, 3)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
에 의하여
`f(3)-f(-1) 9-1
= =2=f '(c)
3-(-1) 4
인 c가 열린구간 (-1, 3)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f '(x)=2x이므로 f '(c)=2c=2   ∴ c=1

보충학습

1. 평균값 정리에서 얻는 정리

두 함수 f(x), g(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a, b)에서 미분가능할 때,
열린구간 (a, b) 안의 모든 x에 대하여
⑴ f '(x)=0이면 닫힌구간 [a, b]에서 f(x)는 상수함수이다.
⑵ f '(x)=g'(x)이면 닫힌구간 [a, b]에서 f(x)=g(x)+C`(C는 상수)이다.

증명 ⑴ 반닫힌 구간 (a, b]에 속하는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함수 f(x)는 닫힌구간 [a, x]에 Z
ZG Y

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a, x)에서 미분가능하다. 따라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G B

`f(x)-f(a)
=f '(c)인 c가 열린구간 (a, x)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x-a
0 B C Y
그런데 f '(c)=0이므로 f(x)-f(a)=0   ∴ f(x)=f(a)
즉, a<xÉb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a)이므로 함수 f(x)는 닫힌구간 [a, b]에서 상수함수이다.
⑵ F(x)=f(x)-g(x)로 놓으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a, b)에서 미분가능하다.
이때 F'(x)=f '(x)-g'(x)이므로
   F'(x)=f '(x)-g'(x)=0
⑴에 의하여 닫힌구간 [a, b]에서 F(x)=C`(C는 상수), 즉 f(x)-g(x)=C이므로
   f(x)=g(x)+C
이다.

2. 도함수의 활용 99
필수예제 09 롤의 정리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61쪽

다음 함수에 대하여 주어진 구간에서 롤의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c의 값을 구하시오.

⑴ f(x)=4x-xÛ`  [1, 3] ⑵ f(x)=xÜ`-3x-2  [-1, 2]

풀이 ⑴ 함수 f(x)=4x-xÛ`은 닫힌구간 [1, 3]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1, 3)에서 미분가능하다. 또한,
f(1)=f(3)=3
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간 (1, 3)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f '(x)=4-2x이므로
f '(c)=4-2c=0
∴ c=2
⑵ 함수 f(x)=xÜ`-3x-2는 닫힌구간 [-1, 2]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1, 2)에서 미분가능하다.
또한,
f(-1)=f(2)=0
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간 (-1,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f '(x)=3xÛ`-3=3(x+1)(x-1)이므로
f '(c)=3(c+1)(c-1)=0
∴ c=1 (∵ -1<c<2)

KEY
Point  롤의 정리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a, b)에서 미분가능할 때, f(a)=f(b)이면
   f '(c)=0
인 c가 열린구간 (a, b)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확인 89 다음 함수에 대하여 주어진 구간에서 롤의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c의 값을 구하시오.


체크
⑴ f(x)=xÛ`-6x  [1, 5] 3

⑵ f(x)=-xÛ`+2x+4  [0, 2] 1

⑶ f(x)=xÜ`-xÛ`-5x-3  [-1, 3] ;3%;

90 함수 f(x)=;3!;xÜ`+xÛ`-3x+2에 대하여 닫힌구간 [-a, a]에서 롤의 정리를 만족시키

는 실수 c의 값과 자연수 a의 값을 구하시오. c=1, a=3

100 Ⅱ. 미분
필수예제 10 평균값 정리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62쪽

다음 함수에 대하여 주어진 구간에서 평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c의 값을 구하시오.

⑴ f(x)=3xÛ`+2x+1  [-1, 1] ⑵ f(x)=xÜ`+2x  [0, 3]

풀이 ⑴ 함수 f(x)=3xÛ`+2x+1은 닫힌구간 [-1, 1]에서 연속이고 열린 Z


ZY™ Y 

구간 (-1, 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f(1)-f(-1) 6-2
= =2=f '(c)
1-(-1) 2

인 c가 열린구간 (-1, 1)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f '(x)=6x+2이므로  0  Y
f '(c)=6c+2=2   ∴ c=0
⑵ 함수 f(x)=xÜ`+2x는 닫힌구간 [0, 3]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0, 3)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f(3)-f(0) 33-0
= =11=f '(c)
3-0 3
인 c가 열린구간 (0, 3)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f '(x)=3xÛ`+2이므로
f '(c)=3cÛ`+2=11, cÛ`=3   ∴ c='3 (∵ 0<c<3)

KEY
Point  평균값 정리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a, b)에서 미분가능하면
`f(b)-f(a)
   =f '(c)
b-a
인 c가 열린구간 (a, b)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확인 91 다음 함수에 대하여 주어진 구간에서 평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c의 값을 구하시오.


체크
2'3
⑴ f(x)=xÛ`-4x+3  [2, 4] 3 ⑵ f(x)=-xÜ`+x  [0, 2] 3

92 함수 f(x)=;3!;xÜ`-xÛ`+1에 대하여 닫힌구간 [0, 3]에서 평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c의 개수를 구하시오. 1

93 함수 f(x)=2xÛ`-4x+3에 대하여 닫힌구간 [-2, a]에서 평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

수 c의 값이 -;2!;일 때, a의 값을 구하시오. (단, a>-2) 1

2. 도함수의 활용 101
정답과 풀이 87쪽

연습문제
STEP 1 생각해 봅시다!

89 곡선 y=xÜ`+ax 위의 점 (1, 1+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이 y=6x+b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1
f(x)=xÜ`+ax로 놓으면 f '(x)=3xÛ`+a
점 (1, 1+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6이므로 f '(1)=3+a=6   ∴ a=3
따라서 점 (1, 4)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4=6(x-1)   ∴ y=6x-2   ∴ b=-2
∴ a+b=3+(-2)=1

90 곡선 y=xÜ`-1 위의 점 (-1, -2)를 지나고 이 점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기울기의 곱이 -1인 두


직선은 서로 수직이다.
직선의 방정식은?

① 3x+y+5=0 ② 3x-y+1=0 ③ 2x+3y+8=0


④ x-3y-5=0 ✔ ⑤ x+3y+7=0
f(x)=xÜ`-1로 놓으면 f '(x)=3xÛ`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3이므로 이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3!;이다.

기울기가 -;3!;이고 점 (-1,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2)=-;3!;{x-(-1)}   ∴ x+3y+7=0

91 곡선 y=xÛ`-3x+4에 접하고 기울기가 5인 직선의 방정식은?

① y=5x+12 ② y=5x+8 ③ y=5x+4


④ y=5x-4 ✔ ⑤ y=5x-12
f(x)=xÛ`-3x+4로 놓으면 f '(x)=2x-3
접점의 좌표를 (a, aÛ`-3a+4)라 하면 f '(a)=2a-3=5   ∴ a=4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4, 8)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8=5(x-4)   ∴ y=5x-12

92 곡선 y=xÜ`-3xÛ` 위의 원점이 아닌 점 (a, b)에서의 접선이 x축과 평행할 직선이 x축에 평행하다.
⇨ 직선의 기울기가 0이다.
때, a+b의 값을 구하시오. -2
f(x)=xÜ`-3xÛ`으로 놓으면 f '(x)=3xÛ`-6x
접선이 x축과 평행하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f '(a)=3aÛ`-6a=0   ∴ a=2 (∵ a+0)
점 (2, b)는 곡선 y=f(x) 위의 점이므로 f(2)=b   ∴ b=-4   ∴ a+b=2+(-4)=-2

[ 평가원기출 ]

93 점 (0, -4)에서 곡선 y=xÜ`-2에 그은 접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를


(a, 0)이라 할 때, a의 값은?

① ;6&; ✔ ② ;3$; ③ ;2#; ④ ;3%; ⑤ :Á6Á:


f(x)=xÜ`-2로 놓으면 f '(x)=3xÛ`
접점의 좌표를 (t, tÜ`-2)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3tÛ`x-2tÜ`-2   yy`㉠
이 직선이 점 (0, -4)를 지나므로 t=1
t=1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3x-4이므로 a=;3$;

94 두 곡선 y=xÜ`+ax+3, y=xÛ`+2가 한 점에서 접할 때, 상수 a의 값을 구


f(x) g(x)
하시오. -1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면 f(t)=g(t)에서 tÜ`+at+3=tÛ`+2 yy`㉠
두 곡선의 접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같으므로 f '(t)=g'(t)에서
3tÛ`+a=2t   ∴ a=-3tÛ`+2t yy`㉡
㉠, ㉡을 연립하여 풀면 t=1, a=-1

102 Ⅱ. 미분
정답과 풀이 88쪽

95 두 곡선 y=xÜ`+axÛ`, y=-xÛ`+4가 점 (t, -tÛ`+4)에서 접할 때, 상수 a, 두 곡선이 접하면 두 곡선


은 그 접점에서 공통의 접
t에 대하여 a+t의 값은?
선을 갖는다.
① -1 ✔ ② 0 ③ 1 ④ 3 ⑤ 4
f(x)=xÜ`+axÛ`, g(x)=-xÛ`+4로 놓으면 f '(x)=3xÛ`+2ax, g'(x)=-2x
f(t)=g(t)에서 tÜ`+atÛ`=-tÛ`+4 yy`㉠
f '(t)=g'(t)에서 3tÛ`+2at=-2t   ∴ a=-;2#;t-1 yy`㉡
㉠, ㉡을 연립하여 풀면 t=-2, a=2   ∴ a+t=2+(-2)=0
96 함수 f(x)=xÝ`-4xÛ`+1에 대하여 닫힌구간 [0, 2]에서 롤의 정리를 만족
시키는 실수 c의 값을 구하시오. '2
함수 f(x)는 닫힌구간 [0, 2]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0, 2)에서 미분가능하다. 또한, f(0)=f(2)=1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간 (0,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f '(x)=4xÜ`-8x이므로 f '(c)=4cÜ`-8c=0
∴ c='2 (∵ 0<c<2)

97 함수 f(x)=-xÛ`+kx에 대하여 닫힌구간 [1, 3]에서 롤의 정리를 만족시


키는 실수가 2이고, 닫힌구간 [1, 5]에서 평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를
c라 할 때, k+c의 값을 구하시오. (단, k는 상수) 7
함수 f(x)에 대하여 닫힌구간 [1, 3]에서 롤의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가 2이므로
f '(x)=-2x+k에서 f '(2)=-4+k=0   ∴ k=4
f(x)에 대하여 닫힌구간 [1, 5]에서 평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가 c이므로
`f(5)-f(1)
=f '(c), -2=-2c+4   ∴ c=3   ∴ k+c=4+3=7
5-1
98 다음 함수 중 닫힌구간 [-1, 1]에서 평균값 정리가 성립하는 것은?

① f(x)=|x| ② f(x)=;[!; ③ f(x)="|x|

④ f(x)=|x|+1 ✔ ⑤ f(x)='Äx+1
①, ③, ④는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고, ②는 x=0에서 연속이 아니므로 닫힌구간 [-1, 1]에서 평균값 정
리가 성립하는 것은 ⑤이다.

99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a, b)에 Z


ZG Y

서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


림과 같을 때, B C Y
0
`f(b)-f(a)
   =f '(c) (a<c<b)
b-a
를 만족시키는 실수 c의 개수를 구하시오. 5
`f(b)-f(a)
=f '(c)를 만족시키는 c`(a<c<b)의 개수는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5이다.
b-a

STEP 2
100 곡선 y=xÜ`+kxÛ`-(2k-1)x+k+3은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한 k의 값에 관계없이
⇨ k에 대한 항등식
점을 지난다.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y=4x+1
주어진 곡선의 식을 k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1)Û`k+xÜ`+x+3-y=0   ∴ x=1, y=5
즉, 주어진 곡선은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1, 5)를 지난다.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5=4(x-1)   ∴ y=4x+1

2. 도함수의 활용 103
정답과 풀이 90쪽
연습문제
Q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2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  ∴ lim
x`Ú 2
`f(xÜ`)=0

`f(xÜ`) `f(x)
101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x`Ú 2 x-2
=24일 때, 곡선 y=f(x) 위의 점 lim 
x`Ú a g(x)
=a(a는 실수)

(8, f(8))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y=2x-16 이고 lim g(x)=0이면


x`Ú a

f(xÜ`)은 연속함수이므로 f(2Ü`)=0   ∴ f(8)=0 lim`f(x)=0이다.


x`Ú a
`f(xÜ`) `f(xÜ`)-f(8)
lim   =lim [ ´(xÛ`+2x+4)]=f '(8)´12=24   ∴ f '(8)=2
x`Ú 2 x-2 x`Ú 2 xÜ`-8
따라서 점 (8, 0)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2x-16

102 곡선 y=xÝ` 위의 점 (a, aÝ`)에서의 접선과 y축의 교점의 좌표를 (0, h(a))
h("ÃaÛ`+a)-h(a)
라 할 때, lim 의 값은?
a`Ú¦ aÜ`

✔ ① -6 ② -4 ③ -2 ④ 0 ⑤ 1
곡선 y=xÝ` 위의 점 (a, aÝ`)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4aÜ`x-3aÝ`   ∴ h(a)=-3aÝ`
h("ÃaÛ`+a)-h(a) -3(aÛ`+a)Û`+3aÝ` -6aÜ`-3aÛ`
∴ lim   =lim   =lim   =-6
a`Ú¦ aÜ` a`Ú¦ aÜ` a`Ú¦ aÜ`

103 곡선 y=xÜ`+axÛ`-a-1 위의 점 (1, 0)에서의 접선이 이 곡선과 점


(2, k)에서 다시 만날 때, k의 값은? (단, a는 상수)

✔ ① -5 ② -3 ③ 1 ④ 3 ⑤ 5
접선의 방정식은 y=(3+2a)(x-1)
이 직선이 곡선 y=f(x)와 점 (2, k)에서 다시 만나므로
k=3+2a, f(2)=k   ∴ f(2)=3+2a
f(2)=8+4a-a-1=3a+7이므로 3a+7=3+2a   ∴ a=-4
∴ k=3+2´(-4)=-5

104 곡선 y=xÜ`+3xÛ`+ax-1 위의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의 최솟값이 5일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8
f(x)=xÜ`+3xÛ`+ax-1로 놓으면 점 (x, f(x))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x)=3xÛ`+6x+a=3(x+1)Û`-3+a
f '(x)의 최솟값이 5이므로 -3+a=5   ∴ a=8

105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점 O에서 곡선 Z


ZY› Y™ 
y=xÝ`-2xÛ`+8에 그은 두 접선의 각 접점을 P, 
P'이라 할 때, 삼각형 OPP'의 넓이를 구하시오.8'2 1 1

접점의 좌표를 (t, tÝ`-2tÛ`+8)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4tÜ`-4t)x-3tÝ`+2tÛ`+8
이 직선이 원점 (0, 0)을 지나므로 0=-3tÝ`+2tÛ`+8 0 Y
∴ t=-'2 또는 t='2
따라서 두 접점은 P'(-'2, 8), P('2, 8)이므로 삼각형 OPP'의 넓이는

;2!;´2'2´8=8'2

106 두 곡선 y=xÜ`-3xÛ`-8x-4, y=3xÛ`+7x+4이 점 P에서 접할 때, 점 P 기울기가 0이 아닌 두 직선


이 수직이다.
에서의 접선과 수직이고 점 P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y=-x-1
f(x)=xÜ`-3xÛ`-8x-4, g(x)=3xÛ`+7x+4로 놓고, 두 곡선 y=f(x), y=g(x)의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
HjK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
면 f(t)=g(t)이므로 t=-1 또는 t=8 이 -1이다.
또한, f '(t)=g'(t)이므로 t=-1 또는 t=5   ∴ t=-1   ∴ P(-1, 0)
점 P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g'(-1)=1이므로 이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1이다.
따라서 기울기가 -1이고 점 (-1, 0)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x-1

104 Ⅱ. 미분
정답과 풀이 91쪽

실력
[ 평가원기출 ]
생각해 봅시다!
107 곡선 y=xÜ`-5x 위의 점 A(1, -4)에서의 접선이 Z
ZYš Y
점 A가 아닌 점 B에서 곡선과 만난다. 선분 AB의
길이는? #
0
Y
① '3Œ0 ② '3Œ5 ③ 2'1Œ0
✔ ④ 3'5 ⑤ 5'2 "
점 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2x-2
이 접선과 곡선 y=f(x)가 만나는 점의 x좌표를 구하면 xÜ`-5x=-2x-2   ∴ x=1 또는 x=-2
따라서 점 B의 x좌표는 -2이므로 B(-2, 2)   ∴ ABÓ="Ã(-2-1)Û`+{2-(-4)}Û`=3'5

[ 교육청기출 ]

108 삼차함수 f(x)=xÜ`+ax가 있다. 곡선 y=f(x) 위의 점 A(-1, -1-a)


에서의 접선이 이 곡선과 만나는 다른 한 점을 B라 하자. 또, 곡선 y=f(x)
위의 점 B에서의 접선이 이 곡선과 만나는 다른 한 점을 C라 하자. 두 점 B,
C의 x좌표를 각각 b, c라 할 때, f(b)+f(c)=-80을 만족시킨다. 상수 a
의 값은?

① 8 ② 10 ✔ ③ 12 ④ 14 ⑤ 16
점 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3+a)x+2 yy`㉠
직선 ㉠이 곡선 y=f(x)와 만나는 점의 x좌표를 구하면 x=-1 또는 x=2   ∴ b=2
점 B(2, 8+2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12+a)x-16 yy`㉡
직선 ㉡이 곡선 y=f(x)와 만나는 점의 x좌표를 구하면 x=2 또는 x=-4   ∴ c=-4
f(2)+f(-4)=-80이므로 8+2a+(-64-4a)=-80, -2a=-24   ∴ a=12
109 곡선 y=xÜ`-3xÛ`+2x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
행이동하여 직선 y=-x+2에 접하도록 할 때, a+b의 값을 구하시오. 1
주어진 곡선의 접선 중 직선 y=-x+2에 평행한 접선의 방정식은 y=-x+1   yy`㉠
직선 ㉠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y=-x+a+1+b
이것이 직선 y=-x+2와 일치하므로 a+1+b=2   ∴ a+b=1

110 곡선 y=-xÜ`+3xÛ`-x+1에 접하고 기울기가 -1인 접선은 2개 있다. 이 (평행한 두 직선 사이의 거리)
=(직선 위의 한 점과 다른
두 접선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2'2
직선 사이의 거리)
접점의 좌표를 (t, -tÜ`+3tÛ`-t+1)이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1이므로 t=0 또는 t=2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0, 1), (2, 3)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x+1, y=-x+5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2'2

111 곡선 y=xÛ`-2x-3 위의 점과 직선 y=2x-10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을 구


3'5
하시오. 5

직선 y=2x-10과 평행한 접선의 접점의 좌표를 (t, tÛ`-2t-3)이라 하면 접점의 좌표는 (2, -3)이다.
|2´2-(-3)-10| 3'5
점 (2, -3)과 직선 2x-y-10=0 사이의 거리가 최솟값이므로 =
"Ã2Û`+(-1)Û` 5

112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lim `f '(x)=2를 만족시킬


x`Ú¦

때, lim `{`f(x+3)-f(x-1)}의 값을 평균값 정리를 이용하여 구하시오.8


x`Ú¦
`f(x+3)-f(x-1)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f '(c)
(x+3)-(x-1)
`f(x+3)-f(x-1)
∴ lim {`f(x+3)-f(x-1)}=4lim   =4lim `f '(c)=4 lim`f '(c)=4´2=8
x`Ú¦ x`Ú¦ (x+3)-(x-1) x`Ú¦ c`Ú¦

2. 도함수의 활용 105
Ⅱ 미분 2. 도함수의 활용

03
개념원리 이해
함수의 증가와 감소
2. 도함수의 활용

1. 함수의 증가와 감소

함수 f(x)가 어떤 구간에 속하는 임의의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⑴ xÁ<xª일 때, f(xÁ)<f(xª)이면 f(x)는 그 구간에서 증가한다고 한다.
⑵ xÁ<xª일 때, f(xÁ)>f(xª)이면 f(x)는 그 구간에서 감소한다고 한다.

설명 증가 Z Z
ZG Y
감소

G Ym
ZG Y

G Y„

G Y„

G Ym

0 Y„ Ym Y 0 Y„ Ym Y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 f(x)는 증가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 f(x)는 감소

예 함수 f(x)=xÛ` 과 0ÉxÁ<xª인 임의의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Z ZY™


f(xÁ)-f(xª)=xÁÛ`-xªÛ`=(xÁ+xª)(xÁ-xª)<0
∴ f(xÁ)<f(xª) 감소 증가

따라서 함수 f(x)=xÛ`은 반닫힌 구간 [0, ¦)에서 증가한다. 0 Y


‌마찬가지 방법으로 함수 f(x)=xÛ`이 반닫힌 구간 (-¦, 0]에서는
감소함을 알 수 있다.

2. 함수의 증가와 감소의 판정 필수예제 11

함수 f(x)가 어떤 열린구간에서 미분가능할 때


⑴ 그 구간의 모든 x에 대하여 f '(x)>0이면 f(x)는 그 구간에서 증가한다.
⑵ 그 구간의 모든 x에 대하여 f '(x)<0이면 f(x)는 그 구간에서 감소한다.

일반적으로 위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함수 f(x)=xÜ`은 열린구간 (-¦, ¦)에서 증가하지만 f '(0)=0이다. Z
ZYš

0
Y

설명 ‌함수 f(x)가 열린구간 (a, b)에서 미분가능하면 열린구간 (a, b)에 속하는 임의의 두 수 xÁ, xª`(xÁ<xª)에 대하여
f(xª)-f(xÁ)
평균값 정리가 성립하므로 =f '(c)인 c가 열린구간 (xÁ, xª)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xª-xÁ

106 Ⅱ. 미분
⑴ 열린구간 (a, b)에 속하는 모든 x에 대하여 f '(x)>0이면 Z
ZG Y

f(xª)-f(xÁ)
=f '(c)>0이고, xª-xÁ>0이므로 f(xª)-f(xÁ)>0
xª-xÁ
∴ f(xÁ)<f(xª)
따라서 함수 f(x)는 열린구간 (a, b)에서 증가한다.
0 B Y„ D Ym C Y

⑵ 열린구간 (a, b)에 속하는 모든 x에 대하여 f '(x)<0이면 Z


ZG Y

f(xª)-f(xÁ)
=f '(c)<0이고, xª-xÁ>0이므로 f(xª)-f(xÁ)<0
xª-xÁ
∴ f(xÁ)>f(xª)
따라서 함수 f(x)는 열린구간 (a, b)에서 감소한다.
0 B Y„ D Ym C Y

예 함수 f(x)=xÜ`+6xÛ`+9x+2의 증가와 감소를 조사하면


‌f '(x)=3xÛ`+12x+9=3(x+3)(x+1)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3 또는 x=-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ZG  Y

x y -3 y -1 y

f '(x) + 0 - 0 +
   Y
f(x) ↗ 2 ↘ -2 ↗

‌따라서 함수 f(x)는 반닫힌 구간 (-¦, -3]과 반닫힌 구간


[-1, ¦)에서 증가하고, 닫힌구간 [-3, -1]에서 감소한다.
① ‌f '(x)=0인 x의 좌우에서 f(x)가 증가하다가 감소(또는 감소하다가 증가)할 때,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증가하는 구간과 감소하는 구간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② 위의 표에서 ↗ 는 함수 f(x)의 증가, ↘ 는 함수 f(x)의 감소를 나타낸다.

3. 함수가 증가 또는 감소하기 위한 조건 필수예제 12

함수 f(x)가 어떤 열린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그 구간에서


⑴ f(x)가 증가하면 그 구간의 모든 x에 대하여 f '(x)¾0
⑵ f(x)가 감소하면 그 구간의 모든 x에 대하여 f '(x)É0

① 일반적으로 위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단, f '(x)=0인 x의 좌우에서 f '(x)>0이면 ⑴의 역이 성립하고, f '(x)=0인 x의 좌우에서 f '(x)<0이면 ⑵의
역이 성립한다.
② 함수 f(x)가 삼차함수이면 ⑴, ⑵의 역도 성립한다.

2. 도함수의 활용 107
필수예제 11 함수의 증가와 감소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68쪽

함수 f(x)=xÜ`-3x의 증가와 감소를 조사하시오.

설명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는 f '(x)의 부호를 조사하여 알 수 있다. 어떤 열린구간에서


① f '(x)>0이면 f(x)는 그 구간에서 증가한다.
② f '(x)<0이면 f(x)는 그 구간에서 감소한다.

풀이 f(x)=xÜ`-3x에서 f '(x)=3xÛ`-3=3(x+1)(x-1) ZG Y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x y -1 y 1 y
f '(x) + 0 - 0 +
f(x) ↗ 2 ↘ -2 ↗

‌따라서 함수 f(x)는 반닫힌 구간 (-¦, -1]과 반닫힌 구간 [1, ¦)에서 증가하


ZG Y

고, 닫힌구간 [-1, 1]에서 감소한다.

필수예제 12 삼차함수가 증가 또는 감소하기 위한 조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68, 69쪽

함수 f(x)=xÜ`-axÛ`+a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


위를 구하시오.

설명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axÛ`+bx+c¾0일 필요충분조건 ⇨ a>0, DÉ0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axÛ`+bx+cÉ0일 필요충분조건 ⇨ a<0, DÉ0
 (단, D는 이차방정식 axÛ`+bx+c=0의 판별식)

풀이 f(x)=xÜ`-axÛ`+ax에서 f '(x)=3xÛ`-2ax+a
‌삼차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어야 하므로 이
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a)Û`-3a=aÛ`-3aÉ0, a(a-3)É0   ∴ 0ÉaÉ3
4

확인 94 다음 함수의 증가와 감소를 조사하시오.


체크
⑴ f(x)=-xÜ`+3x-4 ⑵ f(x)=xÜ`-3xÛ`-45x-6
반닫힌 구간 (-¦, -1]과 반닫힌 구간 [1, ¦)에서 감소 반닫힌 구간 (-¦, -3]과 반닫힌 구간 [5, ¦)에서 증가
닫힌구간 [-1, 1]에서 증가 닫힌구간 [-3, 5]에서 감소

95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함수 f(x)=;3!;xÜ`+axÛ`+(5a-4)x+2가 열린구간 (-¦, ¦)에서 증가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1ÉaÉ4

⑵ ‌함수 f(x)=-xÜ`+axÛ`-12x-1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6ÉaÉ6

108 Ⅱ. 미분
필수예제 13 주어진 구간에서 삼차함수가 증가 또는 감소하기 위한 조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69쪽

함수 f(x)=xÜ`-3xÛ`+ax+1이 닫힌구간 [0, 3]에서 감소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풀이 f(x)=xÜ`-3xÛ`+ax+1에서 f '(x)=3xÛ`-6x+a
‌삼차함수 f(x)가 닫힌구간 [0, 3]에서 감소하려면 닫힌구간 [0, 3]에서  Z ZG Y

f '(x)É0이어야 하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f '(0)=aÉ0   yy`㉠  
0 Y
f '(3)=27-18+aÉ0   ∴ aÉ-9   yy`㉡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É-9

KEY
Point  함수 f(x)가 어떤 열린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그 구간에서
⑴ f(x)가 증가하면 그 구간의 모든 x에 대하여 f '(x)¾0
⑵ f(x)가 감소하면 그 구간의 모든 x에 대하여 f '(x)É0
(단, f(x)가 삼차함수이면 ⑴, ⑵의 역도 성립한다.)

확인 96 함수 f(x)=-4xÜ`+axÛ`+36x-1이 닫힌구간 [-2, 1]에서 증가하도록 하는 실수 a의


체크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12ÉaÉ-3

97 함수 f(x)=xÜ`+ax+1이 닫힌구간 [-1, 1]에서 증가하도록 하는 실수 a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0

98 함수 f(x)=2xÜ`-3axÛ`+(6a-6)x-1이 감소하는 구간이 닫힌구간 [1, 5]일 때, 실수


a의 값을 구하시오. 6

2. 도함수의 활용 109
정답과 풀이 93쪽

연습문제
STEP 1 생각해 봅시다!

113 삼차함수 f(x)=xÜ`+axÛ`+2ax가 열린구간 (-¦, ¦)에서 증가하도록 하


는 실수 a의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 할 때, M-m의 값은?

① 3 ② 4 ③ 5 ✔ ④ 6 ⑤7
f '(x)=3xÛ`+2ax+2a¾0이어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aÛ`-3´2a=aÛ`-6aÉ0   ∴ 0ÉaÉ6   ∴ M=6, m=0   ∴ M-m=6-0=6
4

114 함수 f(x)=-xÜ`+axÛ`+bx-1이 증가하는 구간이 닫힌구간 [1, 3]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3
f '(x)=-3xÛ`+2ax+b
이차부등식 f '(x)¾0의 해가 1ÉxÉ3이므로 f '(x)=-3(x-1)(x-3)=-3xÛ`+12x-9
따라서 2a=12, b=-9이므로 a=6   ∴ a+b=6+(-9)=-3

115 함수 f(x)=xÜ`+6xÛ`+ax-2가 닫힌구간 [-3, 1]에서 감소하기 위한 실


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aÉ-15
f '(x)=3xÛ`+12x+a
삼차함수 f(x)가 닫힌구간 [-3, 1]에서 감소하려면 닫힌구간 [-3, 1]에서 f '(x)É0이어야 하므로
f '(1)=3+12+aÉ0   ∴ aÉ-15  yy`㉠, f '(-3)=27-36+aÉ0   ∴ aÉ9  yy`㉡

2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aÉ-15
STEP
f '(x)=3xÛ`+2kx+3k

116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x)=xÜ`+kxÛ`+3kx-2의 역함수가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일대


일대응이어야 한다.
존재하기 위한 정수 k의 개수를 구하시오. 10
f(x)는 일대일대응이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한다. 즉, 모든 실수
D
x에 대하여 f '(x)¾0이어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kÛ`-9kÉ0   ∴ 0ÉkÉ9
4
따라서 정수 k는 0, 1, 2, y, 9의 10개이다. f 
'(x)=3kxÛ ` -2x+3k

117 함수 f(x)=kxÜ`-xÛ`+3kx+k와 임의의 실수 xÁ, xª에 대하여 xÁ<xª이


면 f(xÁ)>f(xª)가 성립할 때, 실수 k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3!;  f(x)는 감소하므로 k<0

삼차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k<0, f '(x)É0이어야 하므로


D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1)Û`-3k´3k=1-9kÛ`É0   ∴ kÉ-;3!; (∵ k<0)
4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은 -;3!;이다.
118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도함수 Z

y=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ZG  Y

때, 보기 중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

오. ㄴ, ㄷ     0   Y
 

보기

ㄱ. f(x)는 닫힌구간 [-5, -4]에서 감소한다. (거짓)


ㄴ. f(x)는 닫힌구간 [-2, -1]에서 감소한다. (참)
ㄷ. f(x)는 닫힌구간 [0, 1]에서 증가한다. (참)

ㄱ. 열린구간 (-5, -4)에서 f '(x)>0이므로 f(x)는 닫힌구간 [-5, -4]에서 증가한다. (거짓)

110 Ⅱ. 미분
04
개념원리 이해
함수의 극대와 극소
2. 도함수의 활용

1. 함수의 극대와 극소

함수 f(x)에서 x=a를 포함하는 어떤 열린구간에 속하는 모든 x에 대하여


⑴ ‌f(x)Éf(a)일 때, 함수 f(x)는 x=a에서 극대라 하며, Z
극대 ZG Y

극댓값
f(a)를 극댓값이라 한다. 극대
극솟값
⑵ ‌f(x)¾f(a)일 때, 함수 f(x)는 x=a에서 극소라 하며, 극댓값 극소
f(a)를 극솟값이라 한다. 극솟값 극소
0 Y
이때 극댓값과 극솟값을 통틀어 극값이라 한다.

① 극댓값이 극솟값보다 반드시 큰 것은 아니다.


② 하나의 함수에서 극값은 여러 개 존재할 수 있다.
③ 상수함수는 모든 실수 x에서 극댓값과 극솟값을 갖는다.

예 ‌오른쪽 그림에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3, x=3에서 극솟값 Z


ZG Y

-1을 갖는다. 

0 
 Y


2. 극값과 미분계수 필수예제 14~16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a에서 극값을 가지면 f '(a)=0이다.

① 위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f '(a)=0이라고 해서 함수 f(x)가 x=a에서 반드시 극값을 갖는 것은 아니다.
 함수 f(x)=xÜ`에 대하여 f '(x)=3xÛ`이므로 f '(0)=0이지만 f(x)는 x=0에서 극값을 Z ZYš
갖지 않는다.

0 Y

② 함수 f(x)가 x=a에서 극값을 갖더라도 f '(a)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 함수 f(x)=|x|는 x=0에서 극솟값을 가지지만 f '(0)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Z
Z]Y]

0 Y

2. 도함수의 활용 111
개념원리 이해

증명 극값과 미분계수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a에서 극댓값을 가지면 절댓값이 충분히 작은 실수 h`(h+0)에 대하여
f(a+h)Éf(a)이므로
f(a+h)-f(a) f(a+h)-f(a)
   lim É0, lim ¾0
h`Ú0+ h h`Ú0- h
이다. 이때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a+h)-f(a) f(a+h)-f(a)
   0É lim = lim É0
h`Ú0- h h`Ú0+ h
이다. 따라서 f '(a)=0이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a에서 극솟값을 가질 때에도 f '(a)=0임을 알 수 있다.

3. 미분가능한 함수의 극대와 극소의 판정 필수예제 14, 15, 17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f '(a)=0이고, x=a의 좌우에서


⑴ ‌f '(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대이고, 극댓값 f(a)
를 갖는다.
⑵ ‌f '(x)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소이고, 극솟값 f(a)
를 갖는다.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극값을 갖는 x의 값은 f '(x)=0인 x의 값 중에서 찾는다.

설명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f '(a)=0이고, x=a의 좌우에서


⑴ ‌f '(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f(x)는 x=a의 좌우에서 증가하다가 감소하므로 x=a에서 극
대이다.
G  B

x y a y
G  Y
 극대 G  Y

f '(x) + 0 -
f(x) ↗ 극대 ↘ ZG Y

B Y
⑵ ‌f '(x)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f(x)는 x=a의 좌우에서 감소하다가 증가하므로 x=a에서 극
소이다.
ZG Y

x y a y
G  Y
 극소 G  Y

f '(x) - 0 +
f(x) ↘ 극소 ↗ G  B

B Y

예 함수 f(x)=xÜ`-3x+1에 대하여 f '(x)=3xÛ`-3=3(x+1)(x-1)이므로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1
f '(x)의 부호를 조사하여 f(x)의 x y -1 y 1 y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오른 f '(x) + 0 - 0 +
쪽과 같다. 3 -1
f(x) ↗ ↘ ↗
따라서 f(x)는 x=-1에서 극댓 극대 극소

값 3, x=1에서 극솟값 -1을 갖는다.

112 Ⅱ. 미분
개념원리 익히기
생각해 봅시다!
99 다음은 함수 f(x)=2xÜ`-6xÛ`+3의 극값을 구하는 과정이다.  안에 알맞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은 것을 써넣으시오.
x=a에서 극값을 가지면
f '(a)=0이므로 f(x)가
극값을 갖는 x의 값은
f(x)=2xÜ`-6xÛ`+3에서 f '(x)= 6  xÛ`+( -12)x
f '(x)=0인 x의 값 중에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 2
서 찾는다.
f '(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과 같다.

x y 0 y 2 y
f '(x) + 0 - 0 +
3 -5
f(x) ↗ ↘ ↗
극대 극소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3, x= 2  에서 극솟값 -5  


을(를)
갖는다.

100 다음은 함수 f(x)=-xÝ`+2xÛ`-3의 극값을 구하는 과정이다.  안에 알맞


은 것을 써넣으시오.

f(x)=-xÝ`+2xÛ`-3에서 f '(x)= -4  xÜ`+( 4 )x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 0 또는 x=1
f '(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과 같다.

x y -1 y 0 y 1 y

f '(x) + 0 - 0 + 0 -

-2 -3 -2
f(x) ↗ ↘ ↗ ↘
극대 극소 극대

따라서 함수 f(x)는 x=-1과 x=1에서 극댓값 -2, x= 0  에서 극솟


값 -3  
을(를) 갖는다.

2. 도함수의 활용 113
필수예제 14 삼차함수의 극값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70쪽

다음 함수의 극값을 구하시오.

⑴ f(x)=xÜ`-3xÛ`-9x+2 ⑵ f(x)=-xÜ`+6xÛ`-9x+3

설명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좌우에서의 f '(x)의 부호를 조사한다.

풀이 ⑴ f(x)=xÜ`-3xÛ`-9x+2에서 f '(x)=3xÛ`-6x-9=3(x+1)(x-3)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3
‌f '(x)의 부호를 조사하여 f(x)의 증가와 감소 x y -1 y 3 y
를 표로 나타내면 오른쪽과 같다.
f '(x) + 0 - 0 +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7,
7 -25
x=3에서 극솟값 -25를 갖는다. f(x) ↗ ↘ ↗
극대 극소

⑵ f(x)=-xÜ
‌ `+6xÛ`-9x+3에서
f '(x)=-3xÛ`+12x-9=-3(x-1)(x-3)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3
‌f '(x)의 부호를 조사하여 f(x)의 증가와 감소 x y 1 y 3 y
를 표로 나타내면 오른쪽과 같다.
f '(x) - 0 + 0 -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솟값 -1,
-1 3
x=3에서 극댓값 3을 갖는다. f(x) ↘ ↗ ↘
극소 극대

KEY
Point  다항함수의 극값 구하기
Ú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을 모두 구한다.
Û Ú에서 구한 x의 값의 좌우에서의 f '(x)의 부호를 조사한다.
Ü f '(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변하면 f(x)는 극대
음(-)에서 양(+)으로 변하면 f(x)는 극소

확인 101 다음 함수의 극값을 구하시오.


체크
⑴ f(x)=xÛ`(3-x) 극댓값: 4 ⑵ f(x)=2xÜ`+3xÛ`-12x-4 극댓값: 16
극솟값: 0 극솟값: -11

102 함수 f(x)=-2xÜ`+15xÛ`-24x-2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를 구하시오. 27

114 Ⅱ. 미분
필수예제 15 사차함수의 극값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70쪽

다음 함수의 극값을 구하시오.

⑴ f(x)=xÝ`-6xÛ`-8x+10 ⑵ f(x)=3xÝ`+4xÜ`-12xÛ`+15

설명 ⑴ ‌f '(-1)=0이지만 x=-1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음(-)에서 음(-) 그대로이므로 x=-1을 포함하는
임의의 열린구간은 극값의 정의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즉, f(x)는 x=-1에서 극값을 갖지 않는다.

풀이 ⑴ f(x)=xÝ`-6xÛ`-8x+10에서 f '(x)=4xÜ`-12x-8=4(x+1)Û`(x-2)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중근)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1 y 2 y
f '(x) - 0 - 0 +
-14
f(x) ↘ 13 ↘ ↗
극소

f '(x)의 부호가 계속 음(-)이므로 f(x)는 x=-1에서 극값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솟값 -14를 갖고, 극댓값은 없다.
⑵ f(x)=3xÝ`+4xÜ`-12xÛ`+15에서 f '(x)=12xÜ`+12xÛ`-24x=12x(x+2)(x-1)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2 또는 x=0 또는 x=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2 y 0 y 1 y
f '(x) - 0 + 0 - 0 +
-17 15 10
f(x) ↘ ↗ ↘ ↗
극소 극대 극소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솟값 -17, x=0에서 극댓값 15, x=1에서 극솟값 10을 갖는다.

확인 103 다음 함수의 극값을 구하시오.


체크
⑴ f(x)=3xÝ`+16xÜ`+18xÛ`+5 극댓값: 10 ⑵ f(x)=-xÝ`+4xÜ`-13 극댓값: 14
극솟값: -22, 5 극솟값: 없다.

104 함수 f(x)=-3xÝ`+8xÜ`+6xÛ`-24x의 극댓값의 합을 M, 극솟값의 합을 m이라 할 때,


M-m의 값을 구하시오. 24

2. 도함수의 활용 115
필수예제 16 함수의 극값과 미정계수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70, 71쪽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함수 f(x)=-xÜ`+axÛ`+bx+11이 x=2에서 극솟값 -21을 가질 때, 상수 a, b의


값을 구하시오.
⑵ ‌함수 f(x)=xÜ`+axÛ`+bx+c가 x=1과 x=3에서 극값을 갖고, 극솟값이 -2일 때,
f(x)의 극댓값을 구하시오. (단, a, b, c는 상수)

풀이 ⑴ f(x)=-xÜ`+axÛ`+bx+11에서 f '(x)=-3xÛ`+2ax+b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2에서 극솟값 -21을 가지므로 f '(2)=0, f(2)=-21, 즉
-12+4a+b=0   ∴ 4a+b=12 yy`㉠
-8+4a+2b+11=-21   ∴ 4a+2b=-24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12, b=-36
⑵ f(x)=xÜ`+axÛ`+bx+c에서 f '(x)=3xÛ`+2ax+b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1과 x=3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f '(1)=0, f '(3)=0
즉 이차방정식 f '(x)=0의 두 근이 x=1, x=3이므로
f '(x)=3(x-1)(x-3)=3xÛ`-12x+9
따라서 2a=-12, b=9이므로 a=-6
∴ f(x)=xÜ`-6xÛ`+9x+c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이 x=1 또는 x=3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면 다음과 같다.

x y 1 y 3 y
f '(x) + 0 - 0 +
4+c c
f(x) ↗ ↘ ↗
극대 극소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4+c, x=3에서 극솟값 c를 갖는다.


그런데 극솟값이 -2이므로 c=-2
따라서 f(x)의 극댓값은 4+(-2)=2

KEY
Point 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a에서 극값 b를 가지면 f '(a)=0, f(a)=b

확인 105 함수 f(x)=axÜ`+bxÛ`+3bx+2`(a>0)가 x=-1에서 극댓값, x=3에서 극솟값을 갖


체크 고,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가 32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3

106 함수 f(x)=xÜ`+axÛ`-24x+b가 x=c에서 극솟값 2, x=-4에서 극댓값 d를 가질 때,


상수 a, b, c, d에 대하여 a+b+c+d의 값을 구하시오. 145

116 Ⅱ. 미분
필수예제 17 도함수 y=f '(x)의 그래프와 함수의 극값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71쪽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도함수 y=f '(x)의 그 Z


ZG  Y

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함수 y=f(x)가 극댓값을 갖는 x의 값  
0   Y
⑵ 함수 y=f(x)가 극솟값을 갖는 x의 값

풀이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2, -1, 1, 2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음과 같다.

x y -2 y -1 y 1 y 2 y
f '(x) - 0 - 0 + 0 + 0 -
f(x) ↘ ↘ 극소 ↗ ↗ 극대 ↘

⑴ 함수 y=f(x)가 극댓값을 갖는 x의 값은 2
⑵ 함수 y=f(x)가 극솟값을 갖는 x의 값은 -1

KEY
Point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f '(a)=0이고, x=a의 좌우에서 f '(x)의 ZG  Y

부호가
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대 Û 극댓값 f(a)
 Y
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소 Û 극솟값 f(a) G Y
는 극대 G Y
는 극소

확인 107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도함수 y=f '(x)의 그래프가 오 Z


ZG  Y

체크 른쪽 그림과 같다. 닫힌구간 [a, b]에서 함수 f(x)가 극댓값을


B 0
갖는 x의 값의 개수를 m, 극솟값을 갖는 x의 값의 개수를 n이 C Y
라 할 때, m-n의 값을 구하시오. -1

108 삼차함수 f(x)=2xÜ`+axÛ`+bx+c의 도함수 y=f '(x)의 그 Z ZG  Y

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고, f(x)의 극솟값이 -12일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 c는 상수) 8
 0  Y

2. 도함수의 활용 117
정답과 풀이 94쪽

연습문제
STEP 1 생각해 봅시다!

119 함수 f(x)=xÜ`+9xÛ`+15x+6의 극댓값을 M, 극솟값을 m이라 할 때,


M-m의 값은?

① 30 ② 31 ✔ ③ 32 ④ 33 ⑤ 34 x y -5 y -1 y
f '(x)=3xÛ`+18x+15=3(x+5)(x+1)=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5 또는 x=-1 f '(x) + 0 - 0 +
따라서 f(x)는 x=-5에서 극댓값 31, x=-1에서 극솟값 -1을 갖는다. 31 -1
∴ M-m=31-(-1)=32 f(x) ↗ ↘ ↗
극대 극소

120 함수 f(x)=-2xÜ`-6xÛ`+a가 x=b에서 극솟값 1을 가질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은?

① 5 ✔ ② 7 ③ 9 ④ 11 ⑤ 13
x y -2 y 0 y
f '(x)=-6xÛ`-12x=-6x(x+2)=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2 또는 x=0
f '(x) - 0 + 0 -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솟값 -8+a를 갖는다. 그런데 f(x)가 x=b에서 극솟값 1을 가지므로
b=-2, -8+a=1   ∴ a=9   ∴ a+b=9+(-2)=7 -8+a a
f(x) ↘ ↗ ↘
극소 극대

121 함수 f(x)=xÜ`+axÛ`+bx-9가 x=-1에서 극댓값, x=3에서 극솟값을


f '(-1)=0, f '(3)=0
가질 때,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를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 32
f '(x)=3xÛ`+2ax+b
이차방정식 f '(x)=0의 두 근이 x=-1, x=3이므로 f '(x)‌=3(x+1)(x-3)=3xÛ`-6x-9
따라서 2a=-6, b=-9이므로 a=-3   ∴ f(x)=xÜ`-3xÛ`-9x-9
따라서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는 |`f(-1)-f(3)|‌=|-4-(-36)|=32

122 함수 f(x)=xÜ`+3xÛ`-9x+a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절댓값이 같을 때, 상수 극댓값과 극솟값의 절댓값


이 같다.
a의 값을 구하시오. -11
⇨ (극댓값)+(극솟값)=0
f '(x)=3xÛ`+6x-9=3(x+3)(x-1)=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3 또는 x=1
극댓값과 극솟값의 절댓값이 같으므로 f(-3)+f(1)=(27+a)+(-5+a)=0   ∴ a=-11

123 함수 f(x)=xÜ`-;2#;axÛ`-6aÛ`x가 극댓값과 극솟값을 각각 1개씩 가질 때, 극

댓값과 극솟값의 차가 ;2!;이 되도록 하는 양수 a의 값은?

① ;2!; ✔ ② ;3!; ③ ;4!; ④ ;5!; ⑤ ;6!;


f '(x)=3xÛ`-3ax-6aÛ`=3(x+a)(x-2a)=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a 또는 x=2a이고, f(x)가
극댓값과 극솟값을 각각 1개씩 가지므로 f(x)는 x=-a와 x=2a에서 극값을 갖는다.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가 ;2!;이므로 |f(-a)-f(2a)|=;2!;, |;2&;aÜ`-(-10aÜ`)|=;2!;   ∴ a=;3!;

124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도함수 y=f '(x)의 그래 Z


ZG  Y

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다. f(x)가 극댓값을 갖는 x의



개수를 m, 극솟값을 갖는 x의 개수를 n이라 할 때,   0 Y

m-n의 값을 구하시오. 1

x y -2 y 0 y 2 y
f '(x) + 0 - 0 + 0 -
f(x) ↗ 극대 ↘ 극소 ↗ 극대 ↘

따라서 f(x)가 극댓값을 갖는 x는 -2, 2의 2개, 극솟값을 갖는 x는 0의 1개이다.

118 Ⅱ. 미분 ∴ m=2, n=1   ∴ m-n=2-1=1


     
정답과 풀이 95쪽

125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도함수 Z

y=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


과 같다. 닫힌구간 [-5, 5]에서 함
ZG  Y


수 f(x)가 극댓값을 갖는 모든 x의     0      Y
 
값의 합을 M, 극솟값을 갖는 모든 x
의 값의 합을 m이라 할 때, M-m
의 값을 구하시오. 1
Ú ‌f '(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는 x의 값은 -2, 1, 3   ∴ M=-2+1+3=2
Û f '(x)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는 x의 값은 -1, 2   ∴ m=-1+2=1
∴ M-m=2-1=1

126 삼차함수 f(x)=xÜ`+axÛ`+bx+c의 도함수 Z ZG  Y

y=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고, f(x)의 극


G Y
는 극대
댓값이 5일 때, f(x)의 극솟값을 구하시오. 1

 (단, a, b, c는 상수) 0   Y

f '(x)=3xÛ`+2ax+b, f '(0)=0, f '(2)=0이므로 f '(x)=3x(x-2)=3xÛ`-6x


따라서 2a=-6, b=0이므로 a=-3   ∴ f(x)=xÜ`-3xÛ`+c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c, x=2에서 극솟값 -4+c를 갖는다. 그런데 극댓값이 5이므로 c=5
따라서 함수 f(x)의 극솟값은 -4+c=-4+5=1
STEP 2 f '(x)=xÛ`-2x-3=(x+1)(x-3)
[ 평가원기출 ] x=3에서 극솟값 -9를 갖는다.  ∴ a=3, b=-9

127 함수 f(x)=;3!;xÜ`-xÛ`-3x는 x=a에서 극솟값 b를 갖는다. 함수 y=f(x) 곡선 y=f(x) 위의 점


(2, f(2))에서의 접선의
의 그래프 위의 점 (2, f(2))에서 접하는 직선을 l이라 할 때, 점 (a, b)에 방정식은
서 직선 l까지의 거리가 d이다. 90dÛ`의 값을 구하시오. 16 y-f(2)=f '(2)(x-2)
f '(2)=-3, f(2)=-:ª3ª:이므로 곡선 y=f(x) 위의 점 (2, f(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3x-;3$;
4 Û`
} =16
4
      점 (3, -9)와 직선 9x+3y+4=0 사이의 거리는 d=    ∴ 90dÛ`=90´{
[ 수능기출 ] '9Œ0 '9Œ0

128 두 다항함수 f(x)와 g(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 '(x)=3xÛ` f(x)+(xÜ`+2) f '(x)  yy`㉡
   g(x)=(xÜ`+2)f(x)   yy`㉠
를 만족시킨다. g(x)가 x=1에서 극솟값 24를 가질 때, f(1)-f '(1)의 값
을 구하시오. 16 g'(1)=0, g(1)=24

x=1을 ㉠에 대입하면 g(1)=3 f(1), 24=3 f(1)   ∴ f(1)=8


x=1을 ㉡에 대입하면 g '(1)=3 f(1)+3 f '(1), 0=3´8+3 f '(1)   ∴ f '(1)=-8
∴ f(1)-f '(1)=8-(-8)=16

129 함수 f(x)=xÜ`+axÛ`+bx+100이 x=-6에서 극값을 갖고, 곡선


f '(-6)=108-12a+b=0   yy`㉠
y=f(x) 위의 점 (-3, f(-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9일 때, 상수 a, b
f '(-3)=27-6a+b=9   yy`㉡
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87
f '(x)=3xÛ`+2ax+b
㉠, ㉡을 연립하여 풀면 a=15, b=72   ∴ a+b=15+72=87
f '(x)=3xÛ`+2ax+b

130 삼차함수 f(x)=xÜ`+axÛ`+bx+c의 그래프 위의 점 (1, f(1))에서의 접


선의 방정식이 y=6x-1이고,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가질 때,
f '(-1)=3-2a+b=0   yy`㉡
f(3)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 c는 상수) 43
f '(1)=3+2a+b=6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0   ∴ f(x)=xÜ`+;2#;xÛ`+c

곡선 y=f(x) 위의 점 (1, f(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y=f '(1)x-f '(1)+ f(1)이 y=6x-1이므로


f '(1)=6, -f '(1)+ f(1)=-1   ∴ f(1)=1+;2#;+c=5   ∴ c=;2%; 2. 도함수의 활용 119
따라서 f(x)=xÜ`+;2#;xÛ`+;2%;이므로 f(3)=27+:ª2¦:+;2%;=43
정답과 풀이 97쪽
연습문제
f(0)=lim`f(x)=0이므로 f(x)=axÜ`+bxÛ`+cx, f '(x)=3axÛ`+2bx+c
x`Ú 0

131 삼차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7 f '(0)=-2이므로 c=-2


f '(1)=3a+2b-2=0,
(분자) Ú 0 f(1)=a+b-2=-3
을 연립하여 풀면
f(x)
㈎ lim
x`Ú0

x
=-2=f '(0) ㈏ x=1에서 극솟값 -3을 갖는다. a=4, b=-5
(분모) Ú 0 f '(1)=0, f(1)=-3 따라서
f(x)=4xÜ`-5xÛ`-2x이므로
f(-1)=-4-5+2=-7

[ 평가원기출 ]

132 함수 f(x)의 도함수 f '(x)가 f '(x)=xÛ`-1이고, 함 Z ZG  Y

수 g(x)=f(x)-kx가 x=-3에서 극값을 가질 때,


상수 k의 값은?
 0  Y
① 4 ② 5 ③6

④ 7 ✔⑤ 8
g '(x)=f '(x)-k=xÛ`-1-k
함수 g(x)가 x=-3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g '(-3)=9-1-k=0   ∴ k=8

133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도함수 y=f '(x) Z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중 ZG  Y


옳은 것은?  
 0     Y
① ‌f(x)는 닫힌구간 [-1, 2]에서 감소한다. 

② f(x)는 닫힌구간 [2, 4]에서 증가한다.


③ f(x)는 x=1에서 극대이다.
✔ ④ f(x)는 x=-1에서 극소이다.
⑤ f(x)는 2개의 극값을 갖는다.

실력

134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도함수 y=f '(x)의 그래 Z


G Y
는 극대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f '(a)=0이고,
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y=f(x)의 그래프의 개
x=a의 좌우에서 f '(x)
 0  Y
형이 될 수 있는 것은? 의 부호가 양(+)에서 음
 
① Z ZG Y
② Z (-)으로 바뀌면 f(x)는
ZG Y
ZG  Y
x=a에서 극대, 음(-)에
0
  Y 서 양(+)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소이
 0  Y 다.

③ Z ZG Y
✔④ Z ⑤ Z
ZG Y
ZG Y


 
Y  0 Y 0 Y
0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갖고, x=1에서의 미분계수가 0이므로 곡선 y=f(x) 위의 점 (1, f(1))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0이다.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이 될 수 있는 것은 ④이다.

120 Ⅱ. 미분
05
개념원리 이해
함수의 그래프
2. 도함수의 활용

1. 함수의 그래프 필수예제 18

일반적으로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그릴 수 있다.

Ú 함수 f(x)의 도함수 f '(x)를 구한다.


Û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을 구한다.
Ü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극값을 구한다.
Ý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 및 y축의 교점의 좌표를 구한다.
Þ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린다.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좌표를 구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

예 함수 f(x)=2xÜ`+9xÛ`+12x+2에 대하여 f '(x)=6xÛ`+18x+12=6(x+2)(x+1)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2 또는 x=-1
f '(x)의 부호를 조사하여 f(x)의 증가와 감소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Z
x y -2 y -1 y
f '(x) + 0 - 0 + 

-2 -3  
f(x) ↗ ↘ ↗ Y
극대 극소 0


‌또한 f(0)=2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ZG Y

2.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과 도함수의 관계, 극값을 가질 조건 필수예제 19, 21


⑴ 삼차함수 f(x)=axÜ`+bxÛ`+cx+d`(a>0)의 그래프의 개형

f '(x)=0이 서로 다른 f '(x)=0이 중근 a를 f '(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 a, b를 갖는 경우 갖는 경우 두 허근을 갖는 경우

ZG  Y
ZG  Y
ZG  Y



=  > Y = Y Y

ZG Y
ZG Y
ZG Y

2. 도함수의 활용 121
개념원리 이해

삼차함수 f(x)의 극값과 도함수 f '(x)의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는다. ←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갖는다.


⇔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0
②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는다.
⇔ 이차방정식 f '(x)=0이 중근을 갖거나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É0

⑵ 사차함수 f(x)=axÝ`+bxÜ`+cxÛ`+dx+e`(a>0)의 그래프의 개형

f '(x)=0이 서로 다른
f '(x)=0이 한 실근 a와 중근 b를 갖는 경우
세 실근 a, b, c를 갖는 경우
ZG  Y
ZG  Y
ZG  Y

= ? = > >
 >  Y  Y  = Y

ZG Y
ZG Y

ZG Y

f '(x)=0이 삼중근
f '(x)=0이 한 실근 a와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 경우
a를 갖는 경우
ZG  Y
ZG  Y
ZG  Y

= =
= Y  Y   Y

ZG Y

ZG Y

ZG Y

사차함수 f(x)의 극값과 도함수 f '(x)의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Ú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일 때 ← 사차함수 f(x)는 적어도 1개의 극솟값을 갖는다.

① 사차함수 f(x)가 극댓값을 갖는다. ← f(x)는 극댓값 1개, 극솟값 2개를 갖는다.
⇔ 삼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는다.
② 사차함수 f(x)가 극댓값을 갖지 않는다. ← f(x)는 극솟값 1개만을 갖는다.
⇔ 삼차방정식 f '(x)=0이 중근 또는 허근을 갖는다.
Û 최고차항의 계수가 음수일 때 ← 사차함수 f(x)는 적어도 1개의 극댓값을 갖는다.

① 사차함수 f(x)가 극솟값을 갖는다. ← f(x)는 극댓값 2개, 극솟값 1개를 갖는다.
⇔ 삼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는다.
② 사차함수 f(x)가 극솟값을 갖지 않는다. ← f(x)는 극댓값 1개만을 갖는다.
⇔ 삼차방정식 f '(x)=0이 중근 또는 허근을 갖는다.

122 Ⅱ. 미분
필수예제 18 함수의 그래프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67쪽

다음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시오.

⑴ f(x)=xÜ`+:Á2°:xÛ`+12x+2 ⑵ f(x)=-xÝ`+2xÛ`+3

풀이 ⑴ f(x)=xÜ`+:Á2°:xÛ`+12x+2에서 f '(x)=3xÛ`+15x+12=3(x+4)(x+1)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4 또는 x=-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Z
x y -4 y -1 y ZG Y


f '(x) + 0 - 0 +

10 -;2&;
f(x) ↗ ↘ ↗
극대 극소


‌함수 f(x)는 x=-4에서 극댓값 10, x=-1에서 극솟값 -;2&; 을 갖고,  0 Y

f(0)=2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⑵ f(x)=-xÝ`+2xÛ`+3에서 f '(x)=-4xÜ`+4x=-4x(x+1)(x-1)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0 또는 x=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Z
x y -1 y 0 y 1 y  ZG Y

f '(x) + 0 - 0 + 0 -

4 3 4
f(x) ↗ ↘ ↗ ↘
극대 극소 극대

‌함수 f(x)는 x=-1과 x=1에서 극댓값 4, x=0에서 극솟값 3을 갖  0  Y

고, f(0)=3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⑴ Z ⑵ Z ⑶ Z ⑷ ZG Y
Z
ZG Y


 ZG Y
0 Y

0 Y
  
 
Y 0 Y
0




ZG Y



확인 109 다음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시오.


체크
⑴ f(x)=-xÜ`+6xÛ`-12x+4 ⑵ f(x)=-2xÜ`+3xÛ`-2

⑶ f(x)=xÜ`+;2(;xÛ`+9x+1 ⑷ f(x)=3xÝ`+8xÜ`+6xÛ`-2

2. 도함수의 활용 123
필수예제 19 삼차함수가 극값을 가질 조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73쪽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삼차함수 `f(x)=axÜ`+6xÛ`+(15-3a)x+1이 극값을 가질 때, 실수 a의 값의 범위


를 구하시오.
⑵ ‌삼차함수 `f(x)=xÜ`+kxÛ`-3kx+2가 극값을 갖지 않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
를 구하시오.

설명 삼차함수 f(x)=axÜ`+bxÛ`+cx+d`(a>0)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 세 가지 중 하나이다.

① f '(x)=0이 서로 다른 ② f '(x)=0이 중근 a를 ③ f '(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 a, b를 가질 때 가질 때 두 허근을 가질 때
Z Z ZG Y
Z ZG Y

ZG Y

0 = > Y 0 = Y 0 Y

f '(x)=0의 판별식 D>0 f '(x)=0의 판별식 D=0 f '(x)=0의 판별식 D<0


f(x)가 극값을 갖는다. f(x)가 극값을 갖지 않는다.

풀이 ⑴ f(x)가 삼차함수이므로 a+0 yy`㉠


f(x)=axÜ`+6xÛ`+(15-3a)x+1에서 f '(x)=3axÛ`+12x+(15-3a)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가질 필요충분조건은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
것이므로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6Û`-3a(15-3a)>0, 9aÛ`-45a+36>0
4
9(a-1)(a-4)>0   ∴ a<1 또는 a>4 yy`㉡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a<0 또는 0<a<1 또는 a>4
⑵ f(x)=xÜ`+kxÛ`-3kx+2에서 f '(x)=3xÛ`+2kx-3k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을 필요충분조건은 이차방정식 f '(x)=0이 중근을 갖거나 허근을
갖는 것이므로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kÛ`-3´(-3k)=kÛ`+9kÉ0, k(k+9)É0   ∴ -9ÉkÉ0
4

KEY
Point  삼차함수 f(x)의 도함수 f '(x)에 대하여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f(x)가 극값을 가질 조건: D>0 Û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짐
f(x)가 극값을 갖지 않을 조건: DÉ0 Û 이차방정식 f '(x)=0이 중근 또는 허근을 가짐

확인 110 함수 f(x)=xÜ`+kxÛ`+3x+2가 극값을 갖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체크 k<-3 또는 k>3

111 함수 f(x)=xÜ`-;2#;(a-1)xÛ`-3ax+2가 극값을 갖지 않을 때, 실수 a의 값을 구하시오.


-1

124 Ⅱ. 미분
필수예제 20 주어진 구간에서 삼차함수가 극값을 가질 조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74쪽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함수 f(x)=-xÜ`+aÛ`xÛ`-ax가 0<x<1에서 극솟값, x>1에서 극댓값을 갖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⑵ ‌함수 f(x)=xÜ`+axÛ`+(a-1)x가 -1<x<1에서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질
때,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풀이 ⑴ f(x)=-xÜ`+aÛ`xÛ`-ax에서 f '(x)=-3xÛ`+2aÛ`x-a
‌삼차함수 f(x)가 0<x<1에서 극솟값, x>1에서 극댓값을 가지려면 이차방 Z ZG  Y

정식 f '(x)=0이 0<x<1에서 실근 한 개, x>1에서 실근 한 개를 가져야


하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0  Y

f '(0)=-a<0   ∴ a>0 yy`㉠


f '(1)=-3+2aÛ`-a>0, (2a-3)(a+1)>0  

∴ a<-1 또는 a>;2#; yy`㉡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a>;2#;

⑵ f(x)=xÜ`+axÛ`+(a-1)x에서 f '(x)=3xÛ`+2ax+(a-1)
‌삼차함수 f(x)가 -1<x<1에서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지면 이차방정 Z
ZG  Y

식 f '(x)=0은 -1<x<1에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0
D
=aÛ`-3(a-1)>0, {a-;2#;}Û`+;4#;>0    0  Y
4
∴ a는 모든 실수 yy`㉠

y=f '(x)의 그래프의 축이 직선 x=-;3A;이므로 -1<-;3A;<1  

∴ -3<a<3 yy`㉡
f '(-1)=3-2a+(a-1)>0   ∴ a<2 yy`㉢

f(1)=3+2a+(a-1)>0   ∴ a>-;3@; yy`㉣

㉠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3@;<a<2

확인 112 함수 f(x)=xÜ`+3kxÛ`-(3k+1)x-2가 -1<x<1에서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질


체크 때,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3@;<k<;9@;

113 함수 f(x)=xÜ`+2axÛ`-4aÛ`x가 -1<x<1에서 극댓값, x>1에서 극솟값을 가질 때, 실


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2#;<a<-;2!;

2. 도함수의 활용 125
한 걸음 더

필수예제 21 사차함수가 극값을 가질 조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74쪽

함수 f(x)=xÝ`-4xÜ`+2axÛ`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시오.

⑴ f(x)가 극댓값을 갖기 위한 실수 a의 값의 범위
⑵ f(x)가 극값을 하나만 갖기 위한 실수 a의 값의 범위

설명 ⑴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사차함수 f(x)가 극댓값을 가지려면 삼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
져야 한다.
극대

극소 극소

극소 극소 극소
극댓값 개, 극솟값 개 극솟값 개 극솟값 개 극솟값 개

풀이 ⑴ f(x)=xÝ`-4xÜ`+2axÛ`에서 f '(x)=4xÜ`-12xÛ`+4ax=4x(xÛ`-3x+a)
‌f(x)가 극댓값을 가지려면 삼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xÛ`-3x+a=0이 0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x=0이 xÛ`-3x+a=0의 근이 될 수 없으므로 a+0 yy`㉠

xÛ`-3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3)Û`-4a=9-4a>0   ∴ a<;4(; yy`㉡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a<0 또는 0<a<;4(;

⑵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사차함수가 극값을 하나만 갖는다는 것은 사차함수가 극댓값을 갖지 않는


다는 뜻이다.

⑴에서 f(x)가 극댓값을 갖기 위한 실수 a의 값의 범위가 a<0 또는 0<a<;4(;이므로

f(x)가 극댓값을 갖지 않기 위한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0 또는 a¾;4(;

KEY
Point  사차함수 f(x)=axÝ`+bxÜ`+cxÛ`+dx+e`(a>0)에 대하여
f(x)가 극댓값을 가질 조건: 삼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는다.
f(x)가 극댓값을 갖지 않을 조건: 삼차방정식 f '(x)=0이 한 실근과 두 허근 또는 한 실근과 다른 중근
또는 삼중근을 갖는다.  Û 극댓값을 가질 조건을 구한 후 그 조건을 부정하여 구한다.

확인 114 함수 f(x)=-xÝ`+8xÜ`+2axÛ` 이 극솟값을 갖기 위한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체크 -9<a<0 또는 a>0

115 함수 f(x)=xÝ`+2(a-1)xÛ`+4ax가 극댓값을 갖지 않기 위한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


하시오. a=-2 또는 a¾;4!;

126 Ⅱ. 미분
06
개념원리 이해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2. 도함수의 활용

1.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필수예제 22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한다.
Ú 닫힌구간 [a, b]에서 f(x)의 극댓값, 극솟값을 모두 구한다.
Û 닫힌구간 [a, b]의 양 끝에서의 함숫값 f(a), f(b)를 구한다.
Ü Ú, Û에서 구한 극댓값, 극솟값, f(a), f(b) 중에서
가장 큰 값이 최댓값, 가장 작은 값이 최솟값이다.
Z Z Z
최댓값 최댓값
극대
최댓값 G C
G C

극대 극대
G B

최솟값
G C
G B

최솟값 최솟값 G B
극소
극소 극소
0 B C Y 0 B C Y 0 B C Y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면 f(x)는 이 구간에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예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2xÜ`-9xÛ`+12x-2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풀이 f(x)=2xÜ`-9xÛ`+12x-2에서 f '(x)=6xÛ`-18x+12=6(x-1)(x-2)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2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Z
x 1 y 2 y 3  ZG Y

f '(x) - 0 +
2
f(x) 3 ↘ ↗ 7 
극소 

따라서 f(x)는 x=2에서 최솟값 2, x=3에서 최댓값 7을 갖는다. 0    Y




2. 도함수의 활용 127
개념원리 이해

2. 극값을 갖는 x의 값이 하나뿐일 때 연속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서 극값을 갖는 x의 값이 하나뿐일 때


⑴ 극값이 극댓값이면
⇨ (극댓값)=(최댓값)
⑵ 극값이 극솟값이면
⇨ (극솟값)=(최솟값)

설명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서 극값을 갖는 x의 값이 하나뿐일 때


⑴ 극값이 극댓값인 경우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극대(최대)

함수 f(x)의 극댓값이 최댓값이고, f(a)와 f(b) 중 작은 것이 최솟값이다. ZG Y

B C Y
⑵ 극값이 극솟값인 경우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ZG Y
극소
함수 f(x)의 극솟값이 최솟값이고, f(a)와 f(b) 중 큰 것이 최댓값이다. (최소)

B C Y

보충학습

1. 주어진 구간이 닫힌구간이 아닐 때에는 최댓값 또는 최솟값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반닫힌 구간 [a, ¦) 반닫힌 구간 [a, b) 열린구간 (a, b) 열린구간 (a, b)


(즉, x¾a일 때) (즉, aÉx<b일 때) (즉, a<x<b일 때) (즉, a<x<b일 때)
Z Z Z Z
ZG Y
ZG Y
ZG Y
ZG Y

0 B Y 0 B > C Y 0 B C Y 0 B= > C Y

최댓값: 없다. 최댓값: 없다. 최댓값: 없다. 최댓값: f(a)


최솟값: f(a) 최솟값: f(b) 최솟값: 없다. 최솟값: f(b)

128 Ⅱ. 미분
필수예제 22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75쪽

다음 구간에서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⑴ f(x)=2xÜ`-3xÛ`-12x+4  [-2, 4] ⑵ f(x)=3xÝ`-12xÜ`+12xÛ`-2  [;2!;, 2]

풀이 ⑴ f(x)=2xÜ`-3xÛ`-12x+4에서 f '(x)=6xÛ`-6x-12=6(x+1)(x-2)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2
‌닫힌구간 [-2, 4]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Z ZG Y

과 같다. 

x -2 y -1 y 2 y 4

f '(x) + 0 - 0 + 
 0  Y
11 -16 

f(x) 0 ↗ ↘ ↗ 36
극대 극소

따라서 f(x)는 x=4에서 최댓값 36, x=2에서 최솟값 -16을 갖는다.


⑵ f(x)=3xÝ`-12xÜ`+12xÛ`-2에서 f '(x)=12xÜ`-36xÛ`+24x=12x(x-1)(x-2)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1 또는 x=2

‌닫힌구간 [;2!;,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Z ZG Y

x ;2!; y 1 y 2

f '(x) + 0 - Æ 
0
 Y
1
f(x) -;1°6; ↗ ↘ -2 
극대 

따라서 f(x)는 x=1에서 최댓값 1, x=2에서 최솟값 -2를 갖는다.

KEY
Point 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 함수의 그래프를 그려 구한다.
 닫힌구간 [a, b]에서 함수 f(x)의 최댓값과 최솟값
최댓값: 극댓값, f(a), f(b) 중에 가장 큰 값
최솟값: 극솟값, f(a), f(b) 중에 가장 작은 값

확인 116 다음 구간에서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체크
⑴ f(x)=-xÜ`+3xÛ`+9x-1  [-2, 2] ⑵ f(x)=xÝ`+4xÜ`-16x  [-3, 2] 최댓값: 21
최댓값: 21 최솟값: -11
최솟값: -6

117 다음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⑴ f(x)=3xÝ`-4xÜ`-12xÛ`+18 ⑵ f(x)=-xÝ`+2xÛ`
최댓값: 없다. 최댓값: 1
최솟값: -14 최솟값: 없다. 2. 도함수의 활용 129
필수예제 23 함수의 최대·최소와 미정계수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75쪽

닫힌구간 [-1, 2]에서 함수 f(x)=axÜ`-6axÛ`+b의 최댓값이 3, 최솟값이 -29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단, a>0)

풀이 f(x)=axÜ`-6axÛ`+b에서 f '(x)=3axÛ`-12ax=3ax(x-4)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4
a>0이므로 닫힌구간 [-1,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1 y 0 y 2
f '(x) + 0 -
b
f(x) -7a+b ↗ ↘ -16a+b
극대

따라서 f(x)는 x=0에서 최댓값 b, x=2에서 최솟값 -16a+b를 갖는다.


그런데 f(x)의 최댓값이 3, 최솟값이 -29이므로 b=3, -16a+b=-29   ∴ a=2
∴ a+b=2+3=5

KEY
Point  닫힌구간 [a, b]에서 함수 f(x)의 최댓값과 최솟값
최댓값: 극댓값, f(a), f(b) 중에 가장 큰 값
최솟값: 극솟값, f(a), f(b) 중에 가장 작은 값

확인 118 닫힌구간 [0, 2]에서 함수 f(x)=-2xÜ`+3xÛ`+a의 최솟값이 -5일 때, 최댓값을 구하


체크 시오. (단, a는 상수) 0

119 닫힌구간 [1, 4]에서 함수 f(x)=axÝ`-4axÜ`+b의 최댓값이 3, 최솟값이 -6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단, a<0) 2

130 Ⅱ. 미분
필수예제 24 최대·최소의 활용 - 비용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76쪽

인터넷 쇼핑몰에서 어떤 원피스 x벌을 판매할 때 생기는 이익이


(-xÜ`+144xÛ`+1200x-200)원일 때, 이 원피스를 판매한 이익이 최대가 되려면 이
원피스를 몇 벌 판매해야 하는가? (단, 0<x<150)

① 84벌 ② 96벌 ③ 100벌 ④ 120벌 ⑤ 136벌

풀이 원피스 x벌을 판매할 때 생기는 이익을 f(x)(원)이라 하면


f(x)=-xÜ`+144xÛ`+1200x-200
f '(x)=-3xÛ`+288x+1200=-3(x+4)(x-100)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00 (∵ 0<x<150)
따라서 열린구간 (0, 150)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0 y 100 y 150
f '(x) + 0 -
f(100)
f(x) ↗ ↘
극대

‌따라서 f(x)는 x=100에서 최대가 되므로 원피스를 판매한 이익이 최대가 되려면 원피스를 ③ 100벌
판매해야 한다.

KEY
Point 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서 극값을 갖는 x의 값이 하나뿐일 때
⑴ 극값이 극댓값이면 ⇨ (극댓값)=(최댓값)
⑵ 극값이 극솟값이면 ⇨ (극솟값)=(최솟값)

확인 120 A회사의 주식을 구입하여 t년 후에 주식을 팔 경우, 순이익은


체크
   f(t)=-;4!;tÝ`-;3!;tÜ`+2tÛ`+4t`(만 원)

이라 한다. 순이익이 최대가 되려면 A회사의 주식을 구입하여 몇 년 후에 팔아야 하는지


구하시오. (단, 0<t<3) 2년 후

2. 도함수의 활용 131
필수예제 25 최대·최소의 활용 - 넓이, 길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76쪽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ABCD가 곡선 y=-2xÛ`+12 Z


 ZY™ 
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내접하고, 한 변이 x축 위에 있을
# "
때, 직사각형 ABCD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 0 %  Y

풀이 점 A의 x좌표를 t`(0<t<'6 )라 하면 A(t, -2tÛ`+12)이고


CDÓ=2t, ADÓ=-2tÛ`+12이므로 직사각형 ABCD의 넓이를 f(t)라 하면
f(t)=2t(-2tÛ`+12)=-4tÜ`+24t`(0<t<'6)
f '(t)=-12tÛ`+24=-12(tÛ`-2)=-12(t+'2)(t-'2)
f '(t)=0을 만족시키는 t의 값은 t='2 (∵ 0<t<'6)
따라서 열린구간 (0, '6)에서 함수 f(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t 0 y '2 y '6
f '(t) + 0 -
16'2
f(t) ↗ ↘
극대

따라서 f(t)는 t='2에서 최댓값 16'2를 가지므로 직사각형 ABCD의 넓이의 최댓값은 16'2이다.

KEY
Point  도형에서의 함수의 최대·최소의 활용
⇨ ‌변하는 것을 x(또는 t)로 놓고, 구하는 것을 x(또는 t)에 대한 함수로 나타낸다. 이때 x(또는 t)의 범
위에 유의한다.

확인 121 곡선 y=xÛ` 위의 점 A와 점 B(3, 0)에 대하여 선분 AB의 길이의 최솟값을 m이라 할 때,


체크 mÛ`의 값을 구하시오. 5

122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9-xÛ`과 x축의 두 교점을 각각 A, Z


 ZY™
B라 할 때, 곡선 y=9-xÛ`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에 내접하는
사다리꼴 ABCD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32 % $

" #
 0  Y

132 Ⅱ. 미분
필수예제 26 최대·최소의 활용 - 부피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76쪽

오른쪽 그림과 같이 가로의 길이가 16, 세로의 길이가 6 Y Y


Y
Y
인 직사각형 모양의 종이의 네 꼭짓점에서 한 변의 길이
가 x인 정사각형을 잘라 내고 남은 부분으로 뚜껑이 없 Y
Y
Y Y
는 직육면체를 만들 때, 이 직육면체의 부피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풀이 잘라 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x`(x>0)라 하면 6-2x>0이므로 0<x<3


직육면체의 부피를 f(x)라 하면 
Y
f(x)=x(16-2x)(6-2x)=4xÜ`-44xÛ`+96x
Y Y
f '(x)=12xÛ`-88x+96=4(3x-4)(x-6)  Y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3$; (∵ 0<x<3)

따라서 열린구간 (0,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0 y ;3$; y 3

f '(x) + 0 -

:Á;2^7);¼:
f(x) ↗ ↘
극대

1600 1600
따라서 f(x)는 x=;3$;에서 최댓값  을 가지므로 직육면체의 부피의 최댓값은 이다.
27 27

KEY
Point  도형에서의 함수의 최대·최소의 활용
⇨ ‌변하는 것을 x(또는 t)로 놓고, 구하는 것을 x(또는 t)에 대한 함수로 나타낸다. 이때 x(또는 t)의
범위에 유의한다.

확인 123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1, 높이가 3인 원뿔에 원기둥


체크 이 내접할 때, 원기둥의 부피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

름의 길이를 구하시오. ;3@;

2. 도함수의 활용 133
정답과 풀이 98쪽

연습문제
STEP 1 생각해 봅시다!

135 함수 f(x)=xÜ`+(2-a)xÛ`-(2a-1)x가 x=-1에서 극솟값을 가질 때,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a<-1 
f '(x)‌=3xÛ`+2(2-a)x-(2a-1)=(x+1){3x-(2a-1)}=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2a-1
x= 또는 x=-1
3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삼차함수 f(x)가 x=-1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f(x)는
2a-1 2a-1
x= 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즉, <-1   ∴ a<-1
3 3
136 삼차함수 f(x)=xÜ`-3axÛ`+4a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할 때, 상수 a의 값을
극댓값 또는 극솟값이 0
구하시오. (단, a>0) 1
f '(x)=3xÛ`-6ax=3x(x-2a)=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2a`(a>0)
따라서 f(x)는 x=0에서 극댓값, x=2a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이때 극댓값 f(0)=4a+0이므로 극솟값 f(2a)=8aÜ`-12aÜ`+4a=0
∴ a=1 (∵ a>0)

137 함수 f(x)=-2xÜ`+axÛ`-24x-1이 극값을 갖지 않도록 하는 자연수 a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12
f '(x)=-6xÛ`+2ax-24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을 필요충분조건은 이차방정식 f '(x)=0이 중근을 갖거나 허근을 갖는 것이므로
D
=aÛ`-(-6)´(-24)=aÛ`-144É0   ∴ -12ÉaÉ12
4
따라서 자연수 a의 최댓값은 12이다.

138 함수 f(x)=xÜ`+(k-3)xÛ`+(2-k)x-3이 0<x<1에서 극댓값, 이차방정식 f '(x)=0의


한 실근은 0<x<1에, 다
1<x<2에서 극솟값을 갖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f '(x)=3xÛ`+2(k-3)x+(2-k) 른 한 실근은 1<x<2에
있다.
① k<-;3@; ✔ ② -;3@;<k<1 ③ -;3@;<k<2

④ 1<k<2 ⑤ k<1
Z
이차방정식 f '(x)=0이 0<x<1에서 실근 한 개, 1<x<2에서 실근 한 개를 가져 ZG  Y

야 하므로 f '(0)=2-k>0   ∴ k<2 yy`㉠


f '(1)=3+2(k-3)+(2-k)<0   ∴ k<1 yy`㉡ 
f '(2)=12+4(k-3)+(2-k)>0   ∴ k>-;3@; yy`㉢ 0  Y

㉠,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3@;<k<1

139 함수 f(x)=-3xÝ`+axÜ`-24xÛ`+3이 극솟값을 갖도록 하는 자연수 a의 최


f '(x)‌=-12xÜ`+3axÛ`-48x=-3x(4xÛ`-ax+16)
솟값은?

① 13 ② 14 ③ 15 ④ 16 ✔ ⑤ 17
f(x)가 극솟값을 가지려면 삼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4xÛ`-ax+16=0이 0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x=0은 4xÛ`-ax+16=0의 근이 될 수 없으므로 4xÛ`-ax+16=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a)Û`-4´4´16>0   ∴ a<-16 또는 a>16
따라서 자연수 a의 최솟값은 17이다.

140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xÜ`-3x-5의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 할 때, M-m의 값을 구하시오. 20 
f '(x)=3xÛ`-3=3(x+1)(x-1)=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1
x -1 y 1 y 3
따라서 f(x)는 x=1에서 최솟값 -7, x=3에서 최댓값 13을 갖는다.
f '(x) - 0 +
∴ M=13, m=-7   ∴ M-m=13-(-7)=20
-7
f(x) -3 ↘ ↗ 13
극소

134 Ⅱ. 미분
정답과 풀이 99쪽

141 닫힌구간 [2, 5]에서 함수 f(x)=xÜ`-6xÛ`+a의 최솟값이 -20일 때,


f(x)의 최댓값은? (단, a는 상수)

✔ ① -4 ② -2 ③ 1 ④ 2 ⑤4
f '(x)=3xÛ`-12x=3x(x-4)=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4
x 2 y 4 y 5
따라서 f(x)는 x=4에서 최솟값 -32+a, x=2에서 최댓값 -16+a를 갖는다.
f '(x) - 0 +
그런데 f(x)의 최솟값이 -20이므로 -32+a=-20   ∴ a=12
-32+a
따라서 f(x)의 최댓값은 -16+a=-16+12=-4 f(x) -16+a ↘ ↗ -25+a
극소

142 닫힌구간 [1, 4]에서 함수 f(x)=xÜ`-3xÛ`+a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이


20일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4
f '(x)=3xÛ`-6x=3x(x-2)=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2
x 1 y 2 y 4
따라서 f(x)는 x=2에서 최솟값 -4+a, x=4에서 최댓값 16+a를 갖는다.
f '(x) - 0 +
그런데 f(x)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이 20이므로
-4+a
(16+a)+(-4+a)=20, 2a+12=20   ∴ a=4 f(x) -2+a ↘ ↗ 16+a
극소

143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axÜ`-3ax+2b의 최댓값이 22, 최솟


값이 2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단, a>0) 2
f '(x)=3axÛ`-3a=3a(x+1)(x-1)=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 -1 y 1 y 3
x=-1 또는 x=1
f(x)는 x=1에서 최솟값 -2a+2b, x=3에서 최댓값 18a+2b를 갖는다. f '(x) - 0 +
그런데 f(x)의 최댓값이 22, 최솟값이 2이므로 18a+2b=22, -2a+2b=2 -2a+2b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 ab=1´2=2 f(x) 2a+2b ↘ ↗ 18a+2b
극소

144 함수 f(x)=xÝ`-4aÜ`x+1의 최솟값이 -47일 때, 상수 a의 값은?


 (단, a>0)

① 1 ✔ ② 2 ③ 3 ④ 4 ⑤5
f '(x)=4xÜ`-4aÜ`=4(x-a)(xÛ`+ax+aÛ`)=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a
x y a y
따라서 f(x)는 x=a에서 최솟값 f(a)를 갖는다.
그런데 f(x)의 최솟값이 -47이므로 f '(x) - 0 +
f(a)=aÝ`-4aÝ`+1=-47, aÝ`=16   ∴ a=2 (∵ a>0) f(a)
f(x) ↘ ↗
극소

STEP 2 f '(x)=3xÛ`+2ax+3 Ú
145 함수 f(x)=xÜ`+axÛ`+3x+1은 극값을 갖도록, 함수
g(x)=xÜ`+axÛ`-3ax+2는 극값을 갖지 않도록 하는 정수 a의 개수를 구
g'(x)=3xÛ`+2ax-3a Û
하시오. 6

Ú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aÛ`-9>0   ∴ a<-3 또는 a>3 yy`㉠
4

Û 이차방정식 g '(x)=0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aÛ`+9aÉ0   ∴ -9ÉaÉ0 yy`㉡
4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9Éa<-3이므로 정수 a는 -9, -8, -7, y, -4의 6개이다.
a=0이면 일차함수이므로 극값을 갖지 않는다.   ∴ a+0

146 함수 f(x)=axÜ`-3x+b의 극댓값이 4, 극솟값이 2가 되도록 하는 상수 a,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가지므로 이차방정식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12
f '(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즉, a>0
f '(x)=3a {xÛ`-;a!;}=3a {x+ }{x- }=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
1 1 1 1
또는 x=
'a 'a 'a 'a
1 1
따라서 f(x)는 x=- 에서 극댓값 4, x= 에서 극솟값 2를 가지므로
'a 'a
f {- }= +b=4, f { }=-
1 2 1 2
+b=2
'a 'a 'a 'a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4, b=3   ∴ ab=4´3=12
2. 도함수의 활용 135
정답과 풀이 100쪽
연습문제

147 함수 f(x)=-xÜ`+mxÛ`+nx의 그래프가 원점 이외의 점에서 x축과 접하


f(x)의 극댓값이 0
고 극솟값이 -4일 때, 상수 m, n에 대하여 mn의 값을 구하시오. -54 
y=f(x)의 그래프가 x축과 접하는 점의 좌표를 (a, 0)(a+0)이라 하면 f(x)=-x(x-a)Û`=-xÜ`+2axÛ`-aÛ`x
f '(x)=-3xÛ`+4ax-aÛ`=-(3x-a)(x-a)=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3Ä; 또는 x=a
`
따라서 f(x)는 x=;3Ä;에서 극솟값 -4를 가지므로 f {;3Ä;}=-;3Ä;{-;3@;a}Û =-4   ∴ a=3
∴ f(x)‌=-xÜ`+6xÛ`-9x   따라서 m=6, n=-9이므로 mn=6´(-9)=-54

148 함수 f(x)=-3xÝ`+4axÜ`-6(a+3)xÛ`-1이 극솟값을 갖지 않도록 하는


f '(x)‌=-12x{xÛ`-ax+(a+3)}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a=-3 또는 -2ÉaÉ6
f(x)가 극솟값을 가지려면 삼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xÛ`-ax+(a+3)=0이 0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x=0이 xÛ`-ax+(a+3)=0의 근이 될 수 없으므로 a+3+0   ∴ a+-3 yy`㉠
xÛ`-ax+(a+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a)Û`-4(a+3)>0   ∴ a<-2 또는 a>6 yy`㉡
따라서 f(x)가 극솟값을 갖지 않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3 또는 -3<a<-2 또는 a>6

149 함수 f(x)=xÜ`-3x에 대한 다음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 어떤 구간에서 f(x)의 최


댓값이 M이다.
르시오. ㄱ, ㄴ, ㄷ
⇨ 그 구간의 모든 실수 x
보기 에 대하여 f(x)ÉM
이다.
ㄱ. f(x)는 극댓값과 극솟값을 갖는다. (참)
ㄴ. x¾2이면 f(x)¾2이다. (참)
ㄷ. |x|É2이면 | f(x)|É2이다. (참)

ㄴ. ‌f(2)=8-6=2이고, f(x)는 반닫힌 구간 [1, ¦)에서 증가하므로 x -2 y -1 y 1 y 2


x¾2이면 f(x)¾f(2)=2이다. (참) f '(x) + 0 - 0 +
ㄷ. -2ÉxÉ2일
‌ 때, f(x)의 최댓값은 2, 최솟값은 -2이므로 |x|É2
2 -2
이면 | f(x)|É2이다. (참) f(x) -2 ↗ ↘ ↗ 2
극대 극소

150 하루에 A제품 x개를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이


f(x)=xÜ`-60xÛ`+1200x+5000(원)이고, 생산된 제품은 개당 1200원에
그날 모두 판매된다고 할 때, 이익을 최대로 하기 위해 하루에 생산해야 할 A
제품의 개수를 구하시오. 40
이익을 P(x)(원)이라 하면 P(x)=1200x-f(x)=-xÜ`+60xÛ`-5000
x 0 y 40 y
P'(x)=-3xÛ`+120x=-3x(x-40)=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40
P'(x) + 0 -
P(x)는 x=40에서 최대이므로 이익을 최대로 하기 위해 하루에 생산해야 할 A제품은 40개이다.
P(40)
P(x) ↗ ↘
극대

151 한 변의 길이가 15인 정삼각형 모양의 종이의 세 꼭짓 Y Y

점에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합동인 사각형을 잘라 내


고 남은 부분으로 정삼각기둥 모양의 상자를 만들 때,
Y ±
그 부피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x의 값을 구하시오. ;2%; Y Y
부피를 V(x)라 하면 Y Y
'3 
=;4!;(4xÜ`-60xÛ`+225x) {0<x<:Á2°:}
x Y
V(x)= (15-2x)Û`´
4 '3 Y UBO±

V'(x)=;4!;(12xÛ`-120x+225)=;4#;(2x-5)(2x-15)

V'(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2%; {∵ 0<x<:Á2°:}

따라서 V'(x)는 x=;2%;에서 최대가 되므로 정삼각기둥의 부피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x의 값은 ;2%;이다.

136 Ⅱ. 미분
정답과 풀이 103쪽

실력
생각해 봅시다!
152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 g(x)가 f(0)=g(0), f '(x)>g '(x)를 만족시
킬 때, 다음 중 옳은 것은?

① f(-1)>g(-1) ✔ ② f(1)>g(1) ③ f(1)>f(0)


④ f(-1)>f(0) ⑤ g(1)>g(0)
h(x)=f(x)-g(x)로 놓으면 h(0)=f(0)-g(0)=0
또한 h'(x)=f '(x)-g '(x)>0이므로 h(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는 함수이다.
따라서 x>0이면 h(x)>h(0), 즉 f(x)-g(x)>0   ∴ f(x)>g(x)   따라서 참인 것은 ② f(1)>g(1)

153 함수 f(x)=;3!;xÜ`+2xÛ`+5|x-2a|+1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도 어떤 열린구간에서 함수


f(x)가 증가하면 그 구간
록 하는 실수 a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2%; 의 모든 x에 대하여
x>2a일 때 f '(x)=xÛ`+4x+5=(x+2)Û`+1>0, x<2a일 때 f '(x)=xÛ`+4x-5=(x+5)(x-1)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해야 하므로 x<2a에서 f '(x)¾0이어야 한다.
f '(x)¾0이다.

(x+5)(x-1)<0인 x의 값의 범위가 -5<x<1이므로 2aÉ-5   ∴ aÉ-;2%;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2%;


[ 평가원기출 ]

154 실수 t에 대하여 곡선 y=xÜ` 위의 점 (t, tÜ`)과 직선 y=x+6 사이의 거리를 ㄷ. lim


t`Ú 2+
g(t)-g(2)
t-2
g(t)라 하자.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11
'2
보기 g(t)-g(2)
lim
t`Ú 2- t-2
ㄱ. 함수 g(t)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참) =-
11
'2
ㄴ. 함수 g(t)는 0이 아닌 극솟값을 갖는다. (참)
이므로 함수 g(t)는 t=2
ㄷ. 함수 g(t)는 t=2에서 미분가능하다. (거짓)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거짓)

① ㄱ ② ㄷ ✔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t-tÜ`+6| 1
g(t)= = (tÛ`+2t+3)|t-2|
"Ã1Û`+(-1)Û` '2

에서 0이 아닌 극솟값 g {- }을 갖는다. (참)


1 1
ㄴ. g(t)는 t=-
'3 '3

155 xÛ`+3yÛ`=9를 만족시키는 실수 x, y에 대하여 xÛ`+xyÛ`의 최솟값을 구하시오.-;3%;


yÛ`=;3!;(9-xÛ`)¾0에서 -3ÉxÉ3이고, xÛ`+xyÛ`=xÛ`+x´;3!;(9-xÛ`)=-;3!;xÜ`+xÛ`+3x이므로

f(x)=-;3!;xÜ`+xÛ`+3x로 놓으면 f(x)는 x=-1에서 최솟값 -;3%; 를 가지므로 xÛ`+xyÛ`의 최솟값은 -;3%;이다.
[ 평가원기출 ]

156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


"
Z
% +
ZY™

ABCD의 두 대각선의 교점의 좌표는 (0, 1)이고, & )


#  $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 EFGH의 두 대각선 * U U™

의 교점은 곡선 y=xÛ` 위에 있다. 두 정사각형의 내 ' (


0 Y
부의 공통부분의 넓이의 최댓값은?
 (단, 정사각형의 모든 변은 x축 또는 y축에 평행하다.)

✔ ① ;2¢7; ② ;6!; ③ ;2°7; ④ ;5!4!; ⑤ ;9@;


C{;2!;, ;2!;}, D{;2!;, ;2#;}, E{t-;2!;, tÛ`+;2!;}, F{t-;2!;, tÛ`-;2!;}이므로 EJÓ=1-t, EIÓ=tÛ`
따라서 직사각형 EICJ의 넓이를 f(t)라 하면 f(t)‌=EJÓ´EIÓ=(1-t)tÛ`=-tÜ`+tÛ`
f '(t)=-3tÛ`+2t=-t(3t-2)=0을 만족시키는 t의 값은 t=;3@; (∵ t>0)

따라서 f(t)는 t=;3@;에서 최댓값 ;2¢7; 를 가지므로 구하는 넓이의 최댓값은 ;2¢7;이다.
2. 도함수의 활용 137
Ⅱ 미분 2. 도함수의 활용

07
개념원리 이해
방정식과 부등식에의 활용
2. 도함수의 활용

1.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 필수예제 27, 28

⑴ 방정식 f(x)=0의 실근 ZG Y

방정식G Y
의 실근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이다.
Y„ Ym Yf Y
⇨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y=f(x)의 그
래프와 x축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⑵ 방정식 f(x)=g(x)의 실근 ZG Y

ZH Y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이다.


⇨ ‌방정식 f(x)=g(x)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 Ym Yf Y

y=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방정식G Y


H Y
의 실근

① 방정식 f(x)=0이 실근을 갖지 않는 경우 ⇨ y=f(x)의 그래프는 x축과 만나지 않는다.


② 삼차 이상의 방정식 f(x)=0의 실근의 개수는 y=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개수를 조사하여 구할 수 있다.

2. 삼차방정식의 근의 판별 필수예제 30

⑴ ‌삼차함수 f(x)=axÜ`+bxÛ`+cx+d(a>0)가 극값을 가질 때, 삼차방정식 f(x)=0의 실근의


개수는 다음과 같이 판별할 수 있다.
① 서로 다른 세 실근 ② 중근과 다른 한 실근 ③ 한 실근과 두 허근
극대
극대
극대 극소
극소 극소
Y
Y 극소 Y
극대
극소
극대
y=f(x)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한다.
(극댓값)_(극솟값)<0 (극댓값)_(극솟값)=0 (극댓값)_(극솟값)>0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는다. HjK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설명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가질 때(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질 때)


①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질 조건 극대

⇨ 극댓값과 극솟값의 부호가 +, -로 서로 다르다.


Y
⇨ (극댓값)_(극솟값)<0 극소
② 삼차방정식 f(x)=0이 중근과 다른 한 실근을 가질 조건 극대
극대
⇨ 극댓값 또는 극솟값이 0이다. Y
⇨ (극댓값)_(극솟값)=0 극소 Y
극소

138 Ⅱ. 미분
③ ‌삼차방정식 f(x)=0이 실근 하나와 두 허근을 가질 조건 극대

(실근 하나만을 가질 조건) Y


극소 극대
⇨ ‌극댓값과 극솟값의 부호가 +, +(또는 -, -)로 서 극소
Y
로 같다.
⇨ (극댓값)_(극솟값)>0

⑵ ‌삼차함수 f(x)=axÜ`+bxÛ`+cx+d(a>0)가 극값을 갖지 않을 때, 삼차방정식 f(x)=0의 실


근은 항상 1개이다.
삼중근 한 실근과 두 허근

Y
Y Y

삼차함수 f(x)의 극값은 없다.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는다. HjK 이차방정식 f '(x)=0이 중근이나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예 방정식 xÜ`-3xÛ`+1=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를 구하시오.


풀이 f(x)=xÜ`-3xÛ`+1로 놓으면 f '(x)=3xÛ`-6x=3x(x-2) Z ZYš Y™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2 
f(x)는 x=0에서 극댓값 1, x=2에서 극솟값 -3을 가지므로 0 Y

(극댓값)_(극솟값)=1´(-3)=-3<0

따라서 방정식 xÜ`-3xÛ`+1=0의 실근의 개수는 3이다.

3. 부등식에의 활용 필수예제 31, 32


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f(x)¾0`(또는 f(x)É0)이 성립함을 증명하기

①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f(x)¾0이 성립함을 증명하기


⇨ (`f(x)의 최솟값)¾0임을 보이면 된다.
②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É0이 성립함을 증명하기
⇨ (`f(x)의 최댓값)É0임을 보이면 된다.

①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f(x)>0이 성립함을 증명하기 ⇨ ( f(x)의 최솟값)>0임을 보이면 된다.
부등식 f(x)<0이 성립함을 증명하기 ⇨ ( f(x)의 최댓값)<0임을 보이면 된다.
②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g(x)임을 증명하기
⇨ h(x)=f(x)-g(x)로 놓고, (h(x)의 최솟값)¾0임을 보이면 된다.

2. 도함수의 활용 139
개념원리 이해

예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xÝ`-4x+a¾0이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


하시오.
풀이 f(x)=xÝ`-4x+a로 놓으면 f '(x)=4xÜ`-4=4(x-1)(xÛ`+x+1)

그런데 xÛ`+x+1={x+;2!;} +;4#;>0이므로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오른쪽과 같다. x y 1 y


‌따라서 f(x)는 x=1에서 최솟값 -3+a를 가지므로 모
f '(x) - 0 +
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f(x)¾0이 성립하려면
-3+a
f(1)=-3+a¾0   ∴ a¾3 f(x) ↘ ↗
극소

⑵ 주어진 구간에서 부등식 f(x)¾0`(또는 f(x)É0)이 성립함을 증명하기

① x¾a일 때 부등식 f(x)¾0이 성립함을 증명하기


⇨ (x¾a일 때 f(x)의 최솟값)¾0임을 보이면 된다.
② x¾a일 때 부등식 f(x)É0이 성립함을 증명하기
⇨ (x¾a일 때 f(x)의 최댓값)É0임을 보이면 된다.

① x¾a일 때
부등식 f(x)>0이 성립함을 증명하기 ⇨ (x¾a일 때 f(x)의 최솟값)>0임을 보이면 된다.
부등식 f(x)<0이 성립함을 증명하기 ⇨ (x¾a일 때 f(x)의 최댓값)<0임을 보이면 된다.

② x¾a일
 때 f(x)¾g(x)임을 증명하기
⇨ h(x)=f(x)-g(x)로 놓고, (x¾a일 때 h(x)의 최솟값)¾0임을 보이면 된다.

보충학습

1.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¾a에서 증가할 때, 부등식 f(x)¾0의 증명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f(a)¾0이고, x>a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면


⇨ x¾a일 때 부등식 f(x)¾0이 성립한다.

설명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Z ZG Y

f(a)¾0이고, x>a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면


⇨ x¾a일 때 함수 f(x)는 증가하거나 일정하므로
⇨ x¾a일 때 f(x)¾f(a)¾0이다.
0 B Y

140 Ⅱ. 미분
필수예제 27 실근의 개수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83쪽

방정식 xÜ`-3xÛ`+2=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를 구하시오.

설명 함수 y=xÜ`-3xÛ`+2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개수를 조사한다.

풀이 f(x)=xÜ`-3xÛ`+2로 놓으면
f '(x)=3xÛ`-6x=3x(x-2)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x y 0 y 2 y
f '(x) + 0 - 0 +
2 -2
f(x) ↗ ↘ ↗
극대 극소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x축과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 Z ZYš Y™ 


식 xÜ`-3xÛ`+2=0의 실근의 개수는 3이다.



0 Y



KEY
Point 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
⇨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확인 124 다음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를 구하시오.


체크 ⑴ xÜ`-6xÛ`+9x-5=0 1

⑵ 2xÜ`-3xÛ`-12x+15=0 3

⑶ 2xÝ`-4xÛ`+1=0 4

⑷ xÝ`+4xÜ`+5=0 2

2. 도함수의 활용 141
필수예제 28 그래프를 이용한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84, 85쪽

방정식 2xÜ`-3xÛ`-12x-k=0이 다음과 같은 실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


를 구하시오.

⑴ 서로 다른 세 실근 ⑵ 서로 다른 두 실근 ⑶ 한 개의 실근

설명 ‌방정식 2xÜ`-3xÛ`-12x-k=0의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2xÜ`-3xÛ`-12x, y=k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


다.

풀이 2xÜ`-3xÛ`-12x-k=0에서 2xÜ`-3xÛ`-12x=k   yy`㉠


f(x)=2xÜ`-3xÛ`-12x로 놓으면 f '(x)=6xÛ`-6x-12=6(x+1)(x-2)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Z ZYš Y™ Y
x y -1 y 2 y
f '(x) + 0 - 0 +  ZL
7 -20 
f(x) ↗ ↘ ↗ 0 Y
극대 극소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f(x), y=k의 그래



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따라서 두 함수 y=f(x), y=k의 그래프가
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면
-20<k<7
⑵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을 구하면 k=-20 또는 k=7
⑶ 한 점에서만 만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면 k<-20 또는 k>7

KEY
Point  방정식 f(x)=g(x)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
⇨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확인 125 방정식 xÜ`-3x-k=0이 다음과 같은 실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체크
⑴ 서로 다른 세 실근 ⑵ 서로 다른 두 실근 ⑶ 한 개의 실근
-2<k<2 k=-2 또는 k=2 k<-2 또는 k>2

126 방정식 3xÝ`-4xÜ`-12xÛ`+15-k=0이 서로 다른 4개의 실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k의 값


의 범위를 구하시오. 10<k<15

127 곡선 y=xÜ`-10x-4와 직선 y=2x+a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곡선과 직선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날 때,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20<a<12


⑵ 곡선과 직선이 접할 때, 실수 a의 값을 구하시오. a=-20 또는 a=12

142 Ⅱ. 미분
필수예제 29 삼차방정식의 실근의 부호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84, 85쪽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방정식 -xÜ`+;2#;xÛ`+6x+k=0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양의 실근과 한 개의 음의 실근

을 갖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⑵ ‌방정식 xÜ`-2xÛ`-4x+k=0이 한 개의 양의 실근과 두 개의 허근을 갖도록 하는 실
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설명 ‌방정식 f(x)=k의 양의 실근 ⇨ 곡선 y=f(x)와 직선 y=k가 y축의 오른쪽에서 만나는 점의 x좌표


방정식 f(x)=k의 음의 실근 ⇨ 곡선 y=f(x)와 직선 y=k가 y축의 왼쪽에서 만나는 점의 x좌표

풀이 ⑴ -xÜ`+;2#;xÛ`+6x+k=0에서 k=xÜ`-;2#;xÛ`-6x   yy`㉠

f(x)=xÜ`-;2#;xÛ`-6x로 놓으면 f '(x)=3xÛ`-3x-6=3(x+1)(x-2)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2


Z
x y -1 y 2 y
ZG Y

f '(x) + 0 - 0 +

0 Y
;2&; -10 
f(x) ↗ ↘ ↗
극소 ZL
극대

‌두 함수 y=f(x), y=k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가 두 개는 서로 다른 양수,


한 개는 음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면 -10<k<0 

⑵ xÜ`-2xÛ`-4x+k=0에서 k=-xÜ`+2xÛ`+4x    yy`㉠


f(x)=-xÜ`+2xÛ`+4x로 놓으면 f '(x)=-3xÛ`+4x+4=-(3x+2)(x-2)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3@; 또는 x=2

Z
-;3@;
ZG Y

x y y 2 y 

f '(x) - 0 + 0 -

-;2$7); 8
f(x) ↘ ↗ ↘ 0 
극소 극대 Y
! 
 ZL

‌두 함수 y=f(x), y=k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가 한 개뿐이고, 그것이 양

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면 k<-;2$7);

확인 128 방정식 xÜ`-3xÛ`-9x+k=0의 근이 다음과 같을 때,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체크
⑴ 중근과 다른 한 음의 실근 k=27

⑵ 서로 다른 두 개의 양의 실근과 한 개의 음의 실근 0<k<27

⑶ 서로 다른 두 개의 음의 실근과 한 개의 양의 실근 -5<k<0

⑷ 한 개의 양의 실근과 두 개의 허근 k<-5

2. 도함수의 활용 143
필수예제 30 삼차방정식의 근의 판별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85쪽

방정식 xÜ`+3xÛ`-9x+k=0이 다음과 같은 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


하시오.

⑴ 서로 다른 세 실근 ⑵ 한 실근과 두 허근

설명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가질 때, 삼차방정식 f(x)=0의 근이

⑴ 서로 다른 세 실근 ⑵ 한 실근과 두 허근 ⑶ 서로 다른 두 실근
ZG Y
ZG Y
ZG Y
ZG Y
ZG Y

> = > = >


= Y = > Y Y = > Y Y

(극댓값)_(극솟값)<0 (극댓값)_(극솟값)>0 (극댓값)_(극솟값)=0

풀이 f(x)=xÜ`+3xÛ`-9x+k로 놓으면 f '(x)=3xÛ`+6x-9=3(x+3)(x-1)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3 또는 x=1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극댓 x y -3 y 1 y
값 27+k, x=1에서 극솟값 -5+k를
f '(x) + 0 - 0 +
갖는다.
27+k -5+k
f (x)가 극값을 가질 때, 삼차방정식 f(x) ↗ ↘ ↗
극대 극소
f(x)=0이
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질 필요충분조건은 (극댓값)_(극솟값)<0이므로
(27+k)(-5+k)<0   ∴ -27<k<5
⑵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가질 필요충분조건은 (극댓값)_(극솟값)>0이므로
(27+k)(-5+k)>0   ∴ k<-27 또는 k>5

다른풀이 xÜ`+3xÛ`-9x+k=0에서 -xÜ`-3xÛ`+9x=k   yy`㉠ Z


ZL

‌f(x)=-xÜ`-3xÛ`+9x로 놓으면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ZG Y

 0
두 함수 y=f(x), y=k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Y

두 함수 y=f(x), y=k의 그래프가 ZL



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27<k<5
⑵ 한 점에서만 만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k<-27 또는 k>5  ZL

확인 129 방정식 2xÜ`-3xÛ`+a=0이 다음과 같은 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체크
⑴ 서로 다른 세 실근 0<a<1 ⑵ 한 실근과 두 허근 a<0 또는 a>1

130 방정식 16xÜ`-12xÛ`-24x-k=0이 중근과 다른 한 실근을 갖도록 하는 모든 실수 k의 값


의 합을 구하시오. -13

144 Ⅱ. 미분
필수예제 31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f(x)¾0이 성립함을 증명하기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86쪽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xÝ`-32x+a¾0이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


위를 구하시오.
⑵ ‌두 함수 f(x)=3xÝ`-6xÜ`+5xÛ`+a, g(x)=2xÜ`-xÛ`+10에 대하여 y=f(x)의 그
래프가 y=g(x)의 그래프보다 항상 위쪽에 있거나 y=g(x)의 그래프와 만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풀이 ⑴ f(x)=xÝ`-32x+a로 놓으면 f '(x)=4xÜ`-32=4(x-2)(xÛ`+2x+4)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2
‌따라서 f(x)는 x=2에서 최솟값 -48+a를 가지므 x y 2 y
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0이 성립하려면
f '(x) - 0 +
f(2)=-48+a¾0
-48+a
∴ a¾48 f(x) ↘ ↗
극소

⑵ ‌y=f(x)의 그래프가 y=g(x)의 그래프보다 항상 위쪽에 있거나 y=g(x)의 그래프와 만나므로 모


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g(x)이어야 한다. 즉, h(x)=f(x)-g(x)로 놓고
h(x)=3xÝ`-8xÜ`+6xÛ`+a-10¾0임을 보이면 된다.
h'(x)=12xÜ`-24xÛ`+12x=12x(x-1)Û`
h'(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1
따라서 h(x)는 x=0에서 최솟값 x y 0 y 1 y
a-10을 가지므로 모든 실수 x에 대
h'(x) - 0 + 0 +
하여 h(x)¾0이 성립하려면
a-10
h(0)=a-10¾0   ∴ a¾10 h(x) ↘ ↗ a-9 ↗
극소

KEY
Point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0이 성립함을 증명할 때
⇨ (`f(x)의 최솟값)¾0임을 보이면 된다.

확인 131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xÝ`-2xÛ`+a¾0이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


체크 하시오. a¾1

132 두 함수 f(x)=xÝ`-;3!;xÜ`+k, g(x)=5xÜ`-6xÛ`에 대하여 y=f(x)의 그래프가 y=g(x)

의 그래프보다 항상 위쪽에 있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k>9

2. 도함수의 활용 145
필수예제 32 주어진 구간에서 부등식 f(x)¾0이 성립함을 증명하기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87쪽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x¾0일 때, 부등식 xÜ`-3xÛ`+a¾0이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⑵ ‌두 함수 f(x)=xÜ`-xÛ`-x+1, g(x)=-xÛ`+2x+a에 대하여 닫힌구간 [0, 2]에
서 부등식 f(x)¾g(x)가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풀이 ⑴ f(x)=xÜ`-3xÛ`+a로 놓고, x¾0일 때 f(x)¾0임을 보이면 된다.


f '(x)=3xÛ`-6x=3x(x-2)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2
‌x¾0일 때, f(x)는 x=2에서 최솟값 -4+a x 0 y 2 y
를 가지므로 x¾0일 때 f(x)¾0이 항상 성립
f '(x) - 0 +
하려면
-4+a
f(2)=-4+a¾0   ∴ a¾4 f(x) a ↘ ↗
극소
⑵ h(x)=f(x)-g(x)로 놓고, 0ÉxÉ2일 때
h(x)¾0임을 보이면 된다.
h(x)=xÜ`-xÛ`-x+1-(-xÛ`+2x+a)
=xÜ`-3x+1-a
h'(x)=3xÛ`-3=3(x+1)(x-1)
h'(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1
‌0ÉxÉ2일 때, h(x)는 x=1에서 x 0 y 1 y 2
최솟값 -1-a를 가지므로
h'(x) - 0 +
0ÉxÉ2일 때 h(x)¾0이 항상 성
-1-a
립하려면 h(x) -a ↘ ↗ 3-a
극소
h(1)=-1-a¾0   ∴ aÉ-1

확인 133 x>1일 때, 부등식 xÜ`+9x+a>6xÛ`+6이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체크 구하시오. a>6

134 두 함수 f(x)=5xÜ`-10xÛ`+k, g(x)=5xÛ`+2에 대하여 0<x<3일 때 부등식


f(x)¾g(x)가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k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22

135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2<x<2일 때, 부등식 xÜ`-12x+a>0이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a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16

⑵ ‌두 함수 f(x)=xÜ`+a, g(x)=xÛ`+x에 대하여 x¾2일 때 부등식 f(x)¾g(x)가 항


상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a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2

146 Ⅱ. 미분
정답과 풀이 104쪽

연습문제
STEP 1 생각해 봅시다!
[ 교육청기출 ]

157 삼차방정식 xÜ`+3xÛ`-9x+4-k=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도록 하는 모


f(x) Z ZG Y

든 정수 k의 개수는?


① 28 ✔ ② 31 ③ 34 ④ 37 ⑤ 40
f(x)=xÜ`+3xÛ`-9x+4로 놓으면
ZL
f '(x)=3xÛ`+6x-9=3(x+3)(x-1)=0을 만족시 x y -3 y 1 y
 
키는 x의 값은 x=-3 또는 x=1 f '(x) + 0 - 0 + 0
두 함수 y=f(x), y=k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Y
31 -1 
만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면 -1<k<31 f(x) ↗ ↘ ↗
극대 극소
따라서 정수 k는 0, 1, 2, y, 29, 30의 31개이다.
158 두 곡선 y=xÜ`-2xÛ`-6x+2, y=xÛ`+3x+a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 Z

도록 하는 자연수 a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6 
 0 Y
두 곡선의 교점의 개수는 방정식 xÜ`-3xÛ`-9x+2=a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와 같다.
f(x)=xÜ`-3xÛ`-9x+2로 놓으면 f '(x)=3xÛ`-6x-9=3(x+1)(x-3)=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ZB
x=-1 또는 x=3
f(x)는 x=-1에서 극댓값 7, x=3에서 극솟값 -25를 갖는다. 
두 함수 y=f(x), y=a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면 -25<a<7 ZYš Y™ Y 
따라서 자연수 a의 최댓값은 6이다.
159 방정식 xÜ`-27x-a=0이 한 개의 음의 실근과 서로 다른 두 개의 양의 실근 Z

ZYš Y
을 갖도록 하는 정수 a의 개수를 구하시오. 53

xÜ`-27x=a에서 f(x)=xÜ`-27x로 놓으면  0 Y
ZB
f '(x)=3xÛ`-27=3(x+3)(x-3)=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3 또는 x=3 
f(x)는 x=-3에서 극댓값 54, x=3에서 극솟값 -54를 갖는다.
두 함수 y=f(x), y=a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가 한 개는 음수, 두 개는 서로 다른 양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면 -54<a<0
따라서 정수 a는 -53, -52, -51, y, -1의 53개이다.
160 곡선 y=xÜ`-6xÛ`+9x-a가 x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양
수 a의 값을 구하시오. 4
xÜ`-6xÛ`+9x=a에서 f(x)=xÜ`-6xÛ`+9x로 놓으면
f '(x)‌=3xÛ`-12x+9=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3
f(x)는 x=1에서 극댓값 4, x=3에서 극솟값 0을 갖는다.
두 함수 y=f(x), y=a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은 a=4 또는 a=0이므로
양수 a의 값은 a=4

161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xÝ`+3xÜ`+k¾-xÜ`+16x가 성립하도록 하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


식 f(x)¾0이 성립함을
xÝ`+4xÜ`-16x+k¾0
실수 k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11
증명하려면
f(x)=xÝ`+4xÜ`-16x+k로 놓으면 x y -2 y 1 y
f '(x)=4xÜ`+12xÛ`-16=0을 만족시키는 x의 값 ( f(x)의 최솟값)¾0임을
f '(x) - 0 - 0 +
은 x=-2 또는 x=1 보이면 된다.
-11+k
따라서 f(x)는 x=1에서 최솟값 -11+k를 가지 f(x) ↘ 16+k ↘ ↗
극소
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0이 성립하려면
f(1)=-11+k¾0   ∴ k¾11    따라서 실수 k의 최솟값은 11이다.
162 x>0일 때, 부등식 xÜ`+a¾6xÛ`+15x가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a의 최
xÜ`-6xÛ`-15x+a¾0
솟값을 구하시오. 100
f(x)=xÜ`-6xÛ`-15x+a로 놓으면 x 0 y 5 y
f '(x)=3xÛ`-12x-15=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f '(x) - 0 +
x=-1 또는 x=5
-100+a
x>0일 때, f(x)는 x=5에서 최솟값 -100+a를 가지므 f(x) ↘ ↗
극소
로 x>0일 때 f(x)¾0이 항상 성립하려면
f(5)=-100+a¾0   ∴ a¾100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100이다.
2. 도함수의 활용 147
정답과 풀이 106쪽
연습문제

163 두 함수 f(x)=4xÜ`-2xÛ`-4x+3, g(x)=xÛ`+2x+a에 대하여 A¾B


HjK A-B¾0
-1<x<1일 때 부등식 f(x)¾g(x)가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
의 범위를 구하시오. aÉ-2
h(x)=f(x)-g(x)로 놓고 h(x)=4xÜ`-3xÛ`-6x+3-a¾0임을 보이면 된다.
-1ÉxÉ1일 때 h(x)는 x=1에서 최솟값 -2-a를 가지므로 -1<x<1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h(x)¾0이 성립하려면 h(1)=-2-a¾0   ∴ aÉ-2
STEP 2
164 함수 `f(x)=2xÜ`-6ax-3a가 극값을 갖고, 방정식 f(x)=0이 한 개의 실
ZB
Z ZH Y

BB
근과 두 개의 허근을 가질 때,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0<a<;1»6; B
0 Y
2xÜ`-6ax=3a에서 g(x)=2xÜ`-6ax라 하면 g '(x)=6(xÛ`-a), g(x)의 극값이 존재하므로 a>0 B
두 함수 y=g(x), y=3a의 그래프가 한 점에서만 만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면 BB
3a<-4a'a 또는 3a>4a'a   그런데 a>0이므로 3a>4a'a   ∴ 0<a<;1»6; (∵ a>0)
165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도함수 y=f '(x)의 Z
ZG Y

Z ZG Y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고, f(a)=-2,  


Z
f(b)=2, f(c)=1일 때, 방정식 f(x)-;2#;=0의
C B
 B 0  D Y 0C D Y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를 구하시오. 4

방정식 f(x)-;2#;=0, 즉 f(x)=;2#;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f(x), y=;2#;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4이다.

166 두 함수 f(x)=3xÜ`-xÛ`-3x, g(x)=xÜ`-4xÛ`+9x+a에 대하여 방정식 Z



f(x)=g(x)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양의 실근과 한 개의 음의 실근을 갖도록 ZI Y

2xÜ`+3xÛ`-12x=a
하는 정수 a의 개수를 구하시오. 6
0 
h(x)=2xÜ`+3xÛ`-12x로 놓고 두 함수 y=h(x), y=a의 교점의 x좌표가 두 개는 서로 다른 양수, 한 개는  Y
음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면 -7<a<0  ZB
따라서 정수 a는 -6, -5, -4, -3, -2, -1의 6개이다.
167 x<-1일 때, 부등식 2xÜ`+3xÛ`+k<0이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k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1
f(x)=2xÜ`+3xÛ`+k로 놓으면 x<-1에서 f '(x)>0이므로 함수 f(x)는 반닫힌 구간 (-¦, -1]에서 증
가한다. xÉ-1일 때, f(x)는 x=-1에서 최댓값 1+k를 가지므로 f(-1)=1+kÉ0   ∴ kÉ-1
[ 평가원기출 ]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은 -1이다.
168 삼차함수 f(x)의 도함수의 그래프와 이차함수 Z ZG Y

g(x)의 도함수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함수 h(x) 


0 Y
를 h(x)=f(x)-g(x)라 하자. f(0)=g(0)일 때,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ZH Y

보기

ㄱ. 0<x<2에서 h(x)는 감소한다. (참)

ㄴ. h(x)는 x=2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참)

ㄷ. 방정식 h(x)=0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는다. (거짓)

① ㄱ ② ㄴ ✔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Z ZI Y

ㄷ. y=h(x)의
‌ 그래프는 x=0에서 x축에 접한다. (거짓) x y 0 y 2 y
h '(x) + 0 - 0 + 0 
0 h(2) Y
h(x) ↗ ↘ ↗
148 Ⅱ. 미분
극대 극소
08
개념원리 이해
속도와 가속도
2. 도함수의 활용

1.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의 속도와 가속도 필수예제 33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를 x라 하면 x는 t에 대한 함수이므로 x=f(t)와 1


같이 나타낼 수 있다.

⑴ 시각이 t에서 t+Dt까지 변할 때, 점 P의 평균 속도는


`Dx `f(t+Dt)-f(t)
   =   Û 함수 x=f(t)의 평균변화율
Dt Dt 예
⑵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

‌시각 t에서의 점 P의 위치 x=f(t)의 순간변화율을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라 하고, 보

통 v로 나타낸다. 즉, 속도 v는

`Dx `f(t+Dt)-f(t) dx
   v= lim   = lim   = =f '(t)
Dt`Ú 0 Dt Dt`Ú 0 Dt dt 설
⑶ 시각 t에서의 점 P의 가속도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 v의 순간변화율을 시각 t에서의 점 P의 가속도라 하고, 보통 a로
나타낸다. 즉, 가속도 a는
`Dv dv
   a= lim   =
Dt`Ú 0 Dt dt

(위치의 변화량)
① (평균 속도)=
(시간의 변화량)
② 속력: 속도 v의 절댓값 |v|를 속력이라 한다. 즉,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f(t)인 점 P의 속도는 f '(t), 속력은 | f '(t)|
③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위치가 x=f(t), 속도가 v=f '(t)일 때
v>0이면 점 P는 양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W
1
W
v=0이면 점 P는 운동 방향을 바꾸거나 정지한다. W
v<0이면 점 P는 음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예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tÜ`-3tÛ`-2t일 때, t=3에서의 점


P의 속도와 가속도를 구하시오.
풀이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를 v, 가속도를 a라 하면
dx dv
v= =f '(t)=3tÛ`-6t-2, a= =6t-6
dt dt
따라서 시각 t=3에서의 점 P의 속도는 27-18-2=7, 가속도는 18-6=12이다.

KEY
Point 미분하면 미분하면
위치 x=f(t) 1111Ú 속도 v= =f '(t) 1111Ú 가속도 a=
dx dv
dt dt

2. 도함수의 활용 149
개념원리 이해

2. 시각에 대한 길이, 넓이, 부피의 변화율 필수예제 36~38

시각 t에서 길이가 l, 넓이가 S, 부피가 V인 각각의 도형이 시간이 Dt만큼 경과하는 동안 길


이, 넓이, 부피가 각각 Dl, DS, DV만큼 변했다고 할 때,
⑴ 시각 t에서의 길이 l의 변화율
`Dl dl
   lim   =
Dt`Ú 0 Dt dt
⑵ 시각 t에서의 넓이 S의 변화율
`DS dS
   lim   =
Dt`Ú 0 Dt dt
⑶ 시각 t에서의 부피 V의 변화율
`DV dV
   lim   =
Dt`Ú 0 Dt dt

예 ‌어떤 도형의 시각 t에서의 길이 l이 l=tÜ`+tÛ`+t+1일 때, t=2에서의 이 도형의 길이의 변


화율을 구하시오.
풀이 시각 t에서의 도형의 길이 l의 변화율은
`dl
=3tÛ`+2t+1
dt
따라서 t=2에서의 도형의 길이의 변화율은
12+4+1=17

150 Ⅱ. 미분
필수예제 33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의 속도와 가속도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87, 88쪽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tÜ`-3tÛ`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t=3에서의 점 P의 속도와 가속도


⑵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위치

설명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f(t)일 때,


dx dv
⑴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는 v= =f '(t), 가속도는 a=
dt dt
⑵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속도는 0이다.

풀이 ⑴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를 v, 가속도를 a라 하면


dx dv
v= =3tÛ`-6t, a= =6t-6
dt dt
따라서 t=3에서의 점 P의 속도는 3´3Û`-6´3=9
가속도는 6´3-6=12
⑵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속도는 0이므로 v=0에서
3tÛ`-6t=0, 3t(t-2)=0
∴ t=2 (∵ t>0)
0<t<2일 때 v<0, t>2일 때 v>0이므로 점 P는 t=2에서 운동 방향을 바꾼다.
따라서 t=2에서의 점 P의 위치는
2Ü`-3´2Û`=-4

KEY
Point 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위치 x가 x=f(t)일 때, 시각 t에서의 점 P의
dx dv
① 속도 v= =f '(t)   ② 가속도 a=
dt dt
 시각 t에서 점 P의 속도가 0이면 점 P는 정지하거나 운동 방향을 바꾼다.

확인 136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2tÜ`-9tÛ`+12t이다. 점 P의 속도


체크 가 72일 때, 점 P의 가속도를 구하시오. 42

137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3!;tÜ`-;2&;tÛ`+6t이다. 점 P가 운

동 방향을 두 번째로 바꿀 때의 위치와 가속도를 각각 구하시오. 위치: -18, 가속도: 5

2. 도함수의 활용 151
필수예제 34 위로 던진 물체의 위치와 속도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89쪽

지상 25`m의 위치에서 20`m/s의 속도로 지면과 수직하게 위로 던진 돌의 t초 후의 높


이를 x`m라 하면 x=25+20t-5tÛ`인 관계가 성립한다고 한다. 다음을 구하시오.

⑴ 돌을 던지고 3초 후의 돌의 속도와 가속도


⑵ 돌이 최고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걸린 시간
⑶ 돌의 최고 높이
⑷ 돌이 지면에 떨어지는 순간의 속도

풀이 t초 후의 돌의 속도를 v`m/s, 가속도를 a`m/sÛ`이라 하면


dx dv
v= =20-10t, a= =-10
dt dt
⑴ 3초 후의 돌의 속도는 20-10´3=-10(m/s)
가속도는 -10(m/sÛ`)
⑵ 돌이 최고 높이에 도달하는 순간의 속도는 0이므로 v=0에서 20-10t=0   ∴ t=2  
따라서 돌이 최고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걸린 시간은 2초이다.
⑶ ⑵에서 돌이 최고 높이에 도달하는 것은 2초 후이므로 돌의 최고 높이는
25+20´2-5´2Û`=45(m)
⑷ 돌이 지면에 떨어지는 순간의 높이는 0이므로 x=0에서
25+20t-5tÛ`=0, -5(t+1)(t-5)=0
∴ t=5`(∵ t>0)
따라서 5초 후의 돌의 속도는 20-10´5=-30(m/s)

KEY
Point  위로 던진 물체가
① 최고 높이에 도달할 때: 운동 방향이 바뀌므로 속도가 0
② 땅에 떨어질 때: 높이가 0
③ 정지할 때: 속도가 0

확인 138 지면에서 20`m/s의 속도로 지면과 수직하게 쏘아 올린 로켓의 t초 후의 높이를 x`m라 하면


체크 x=20t-5tÛ`인 관계가 성립한다고 한다. 로켓이 지면에 떨어질 때의 속도를 구하시오. -20`m/s

139 지상 40`m의 위치에서 50`m/s의 속도로 지면과 수직하게 위로 던진 공의 t초 후의 높이를


x`m라 하면 x=40+50t-atÛ`인 관계가 성립한다고 한다. 공이 최고 높이에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이 5초일 때, 공이 도달하는 최고 높이를 구하시오. (단, a는 상수) 165`m

152 Ⅱ. 미분
필수예제 35 속도, 가속도와 그래프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91쪽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 W U

도 v(t)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보기 중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0   U
보기

ㄱ. t=3일 때, 점 P는 운동 방향을 바꾼다.


ㄴ. t=2일 때, 점 P는 양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ㄷ. t=5일 때, 점 P의 가속도는 0이다.

풀이 ㄱ. t=3에서 점 P의 속도가 0이고, 속도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므로 점 P의 운동 방향이 바뀐


다. (참)
ㄴ. t=2에서 점 P의 속도 v(2)>0이므로 점 P는 양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참)
ㄷ. ‌속도 v(t)의 그래프 위의 점 (5, 0)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0보다 크므로 t=5에서의 점 P의 가속
도는 0보다 크다.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KEY
Point 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t)의 그래프가 주어질 때,
① t=a에서의 점 P의 가속도는 v(t)의 그래프 위의 t=a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이다.
② v(a)>0: 시각 t=a에서 점 P는 양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v(a)=0: 시각 t=a에서 점 P는 정지하거나 운동 방향을 바꾼다.
v(a)<0: 시각 t=a에서 점 P는 음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확인 140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W U

체크 v(t)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보기 중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ㄷ
0   U
보기

ㄱ. t=3일 때, 점 P는 운동 방향을 바꾼다.


ㄴ. t=2일 때, 점 P는 양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ㄷ. t=4일 때, 점 P의 가속도는 0이다.

141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t)의 그래프가 Y U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보기 중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ㄱ 

보기
0    U
ㄱ. 점 P는 수직선 위의 점 3에서 출발한다.
ㄴ. t=5일 때, 점 P의 속도는 0이다.
ㄷ. 0<t<1에서 점 P는 양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2. 도함수의 활용 153
필수예제 36 시각에 대한 길이의 변화율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90쪽

키가 1.65`m인 사람이 지상 3`m 높이의 가로등 바로 밑에서 출발하여 일직선으로 매분


90`m의 속도로 걸어갈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그림자의 머리끝이 움직이는 속도


⑵ 그림자의 길이의 변화율

풀이 오른쪽 그림에서 가로등이 지면과 닿는 지점을 원점 O, 사람이 움 1

직이는 방향을 수직선의 양의 방향이라 할 때,


"
t분 후의 사람의 위치를 x`m, OCÓ=y`m라 하면 N
⑴ x=90t   yy`㉠  N
이고, △POC»△ABC이므로 YN MN
0 $
#
3`:`1.65=y`:`(y-x), 1.65y=3(y-x) ZN
U N ZY
N
3
∴ y= x
1.35
3
∴ y= ´90t=200t (∵ ㉠)
1.35
dy
따라서 그림자의 머리끝이 움직이는 속도는 =200(m/min)
dt
⑵ t분 후의 그림자의 길이를 l`m라 하면
dl
l=y-x=200t-90t=110t   ∴ =110(m/min)
dt

필수예제 37 시각에 대한 넓이의 변화율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90쪽

잔잔한 호수에 돌을 던지면 동심원 모양의 파문이 인다. 가장 바깥쪽 파문의 반지름의 길
이가 매초 20`cm씩 늘어날 때, 돌을 던지고 나서 3초 후의 가장 바깥쪽 파문의 넓이의
변화율을 구하시오.

풀이 바깥쪽 파문의 반지름의 길이가 1초마다 20`cm씩 늘어나므로 t초 후 가장 바깥쪽 파문의 반지름의 길이
를 r`cm라 하면 r=20t
따라서 t초 후 가장 바깥쪽 파문의 넓이를 S`cmÛ`라 하면
S=prÛ`=p´(20t)Û`=400ptÛ`
dS
이므로 시각 t에 대한 넓이 S의 변화율은 =800pt
dt
따라서 t=3일 때, 가장 바깥쪽 파문의 넓이의 변화율은 800p´3=2400p(cmÛ`/s)

확인 142 키가 1.6`m인 사람이 지상 4.8`m 높이의 가로등 바로 밑에서 출발하여 일직선으로 매분


체크 70`m의 속도로 걸어갈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그림자의 머리끝이 움직이는 속도 ⑵ 그림자의 길이의 변화율 35`m/min


105`m/min

143 가로의 길이가 9`cm, 세로의 길이가 4`cm인 직사각형이 있다. 이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
가 매초 0.2`cm, 세로의 길이가 매초 0.3`cm씩 늘어날 때, 직사각형이 정사각형이 되는 순
간의 넓이의 변화율을 구하시오. 9.5`cmÛ`/s

154 Ⅱ. 미분
필수예제 38 시각에 대한 변화율 - 넓이, 부피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90쪽

반지름의 길이가 2`cm인 구 모양의 풍선에 공기를 넣으면 반지름의 길이가 매초 1`cm
씩 커진다고 한다. 공기를 넣기 시작하여 풍선의 반지름의 길이가 6`cm가 되었을 때, 다
음을 구하시오. (단, 풍선은 구 모양을 유지한다.)

⑴ 풍선의 겉넓이의 변화율


⑵ 풍선의 부피의 변화율

설명 ‌반지름의 길이가 매초 1`cm씩 늘어나므로 t초 후의 풍선의 반지름의 길이는 (2+t)`cm이다. 이를 이용하여 t초 후의


구의 겉넓이, 부피에 대한 함수의 식을 각각 구한 후 양변을 t에 대하여 미분하여 각각의 변화율을 구한다.

풀이 풍선에 공기를 넣기 시작하고 t초 후의 풍선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 겉넓이를 S`cmÛ`, 부피를 V`cmÜ`
라 하면
r=2+t
따라서 풍선의 반지름의 길이가 6`cm가 될 때의 시각은
2+t=6   ∴ t=4
⑴ S=4prÛ`=4p(2+t)Û`=4p(tÛ`+4t+4)
dS
시각 t에 대한 풍선의 겉넓이 S의 변화율은 =4p(2t+4)=8p(t+2)
dt
따라서 t=4일 때, 풍선의 겉넓이의 변화율은
8p´(4+2)=48p(cmÛ`/s)

⑵ V=;3$;prÜ`=;3$;p(2+t)Ü`=;3$;p(tÜ`+6tÛ`+12t+8)
dV
시각 t에 대한 풍선의 부피 V의 변화율은 =;3$;p(3tÛ`+12t+12)=4p(t+2)Û`
dt
따라서 t=4일 때, 풍선의 부피의 변화율은
4p´(4+2)Û`=144p(cmÜ`/s)

KEY
Point  시각 t에서의 길이 l, 넓이 S, 부피 V의 변화율은 각각
Dl dl DS dS DV dV
lim   = , lim   = , lim   =
Dt`Ú 0 Dt dt Dt`Ú 0 Dt dt Dt`Ú 0 Dt dt

확인 144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20`cm, 높이가 5`cm인 원기둥이 있다. 이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
체크 름의 길이가 매초 0.2`cm씩 줄어들고, 높이는 매초 0.5`cm씩 늘어난다고 할 때, 10초 후
의 원기둥의 부피의 변화율을 구하시오. 90p`cmÜ`/s

2. 도함수의 활용 155
정답과 풀이 108쪽

연습문제
STEP 1 생각해 봅시다!

169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9t-;3!;tÜ`일 때, 점 운동 방향을 바꾼다.


dx ⇨ 속도가 0이다.
P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위치를 구하시오. 18 v=
dt
=9-tÛ`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속도는 0이므로 v=0에서 9-tÛ`=0, (3+t)(3-t)=0   ∴ t=3(∵ t>0)


따라서 t=3에서의 점 P의 위치는 27-9=18

170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tÜ`-7tÛ`+12t일 때,


점 P가 마지막으로 원점을 지날 때의 가속도를 구하시오. 10
dx dv x=0
v= =3tÛ`-14t+12, a= =6t-14
dt dt
점 P가 원점을 지나면 x=0이므로 x=tÜ`-7tÛ`+12t=0에서 t=0 또는 t=3 또는 t=4
[ 평가원기출 ] 따라서 t=4에서의 점 P의 가속도는 6´4-14=10

171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tÛ`+4t이다.


t=a에서 점 P의 속도가 0일 때, 상수 a의 값은?

① 1 ✔ ② 2 ③ 3 ④ 4 ⑤5
dx
v= =-2t+4
dt
t=a에서 속도가 0이므로 -2a+4=0   ∴ a=2

172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tÜ`-;2(;tÛ`+6t일 때,


dx
보기 중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ㄱ, ㄴ v= =3tÛ`-9t+6=3(t-1)(t-2)
dt

보기

ㄱ. 점 P가 출발할 때의 속도는 6이다. t=0에서의 속도이므로 6이다. (참) Y



ㄴ. 점 P는 운동 방향을 두 번 바꾼다. t=1과 t=2에서 속도의 부호가 각각 한 번씩 바뀐다. (참)

ㄷ. 점 P는 출발한 다음 다시 원점을 지난다. x의 그래프는 t>0에서 원점과 만나지 않는다. (거짓)

0   U

173 높이가 20`m인 건물의 옥상에서 10`m/s의 속도로 지면과 수직하게 위로 쏘


아 올린 장난감 로켓의 t초 후의 높이 x`m가 x=20+10t-5tÛ`일 때, 장난 dx
v= =10-10t
감 로켓은 쏘아 올린 후 a초만에 최고 높이에 도달하고, 그때의 높이는 b`m dt

v=0
이다. a+b의 값을 구하시오. 26
v=0에서 10-10t=0   ∴ t=1   ∴ a=1
따라서 로켓의 최고 높이는 20+10-5=25(m)   ∴ b=25  
∴ a+b=1+25=26

174 지면에서부터의 높이가 50`m인 지점에서 15`m/s의 속도로 지면과 수직하


게 위로 던진 공의 t초 후의 높이 x`m가 x=50+15t-5tÛ`일 때, 공이 다시
지면에 닿는 순간의 속도는 k`m/s이다. k의 값을 구하시오. -35
dx x=0
v= =15-10t
dt
x=0에서 t=5 (∵ t>0)
따라서 5초 후의 공의 속도는 15-10´5=-35(m/s)   ∴ k=-35

156 Ⅱ. 미분
정답과 풀이 109쪽

175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 W U


서의 속도 v(t)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 E F 
 U
0 B C  D 
과 같을 때, 점 P의 운동 방향은 몇 번
바뀌는지 구하시오. (단, 0ÉtÉ10) 3번
그림에서 속도 v(t)의 부호가 바뀌는 시각은 t=b, t=c, t=d이므로 점 P의 운동 방향은 3번 바뀐다.

STEP 2
176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3!;tÜ`-4tÛ`+10t일 (속력)=(속도의 크기)

때, 0ÉtÉ5에서 점 P의 속력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10 


dx
v= =tÛ`-8t+10=(t-4)Û`-6이고, 0ÉtÉ5일 때, -6ÉvÉ10이므로 점 P의 속력 |v|의 최댓값은 10이다.
dt
[ 평가원기출 ]

177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P, Q의 시각 t일 때의 위치는 각각

P(t)=;3!;tÜ`+4t-;3@;, Q(t)=2tÛ`-10이다. 두 점 P, Q의 속도가 같아지는

순간 두 점 P, Q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12


두 점 P, Q의 속도를 각각 vP, vQ라 하면 vP=tÛ`+4, vQ=4t, vP=vQ에서 tÛ`+4=4t   ∴ t=2
따라서 t=2일 때 두 점 P, Q 사이의 거리는 P(2)-Q(2)=10-(-2)=12
[ 평가원기출 ]

178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P, Q의 시각 t일 때의 위치는 각각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 속도의 부호가 다르다.
f(t)=2tÛ`-2t, g(t)=tÛ`-8t이다. 두 점 P와 Q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
속도의 부호가 서로 다르다.
이는 시각 t의 범위는?

✔ ① ;2!;<t<4 ② 1<t<5 ③ 2<t<5

④ ;2#;<t<6 ⑤ 2<t<8
점 P의 속도는 f '(t)=4t-2, 점 Q의 속도는 g '(t)=2t-8이므로 (4t-2)(2t-8)<0   ∴ ;2!;<t<4

t분 후 수면의 높이는 t`m

179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5`m인 반구 모양의 AN 0 AN

물탱크에 물을 넣는다. 수면의 높이가 매분 1`m씩 올라 " #


SAN
갈 때, 물을 넣기 시작한 지 2분 후의 수면의 넓이의 변

0
S`mÛ` 
화율은 ap`mÛ`/min이다. a의 값을 구하시오. 6 U
dS U #
(5-t)Û`+rÛ`=5Û`   ∴ rÛ`=10t-tÛ`    S=prÛ`=p(10t-tÛ`)   ∴ =p(10-2t) S
dt "
따라서 물을 넣기 시작한 지 2분 후의 수면의 넓이의 변화율은 p(10-2´2)=6p(mÛ`/min)   ∴ a=6

180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6`cm, 높 ADN

이가 24`cm인 원뿔 모양의 그릇이 있다. 수면의 높이


가 매초 2`cm씩 올라가도록 물을 넣을 때, 수면의 높
이가 8`cm가 되는 순간의 물의 부피의 변화율은 S DN
ADN
kp`cmÜ`/s이다. k의 값을 구하시오. 8
I DN
t초 후 수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 수면의 높이를 h`cm라 하면 h=8t이고
6:24=r:h   ∴ r=;4H;
p p p dV p
따라서 t초 후의 물의 부피를 V`cmÜ`라 하면 V=;3!;prÛ`h=;3!;p´{;4H;}Û`´h= hÜ`= ´(2t)Ü`= tÜ`   ∴ = tÛ`
48 48 6 dt 2
수면의 높이가 8`cm이면 8=2t   ∴ t=4 
따라서 t=4일 때의 물의 부피의 변화율은
p
2
´4Û`=8p(cmÜ`/s)   ∴ k=8 2. 도함수의 활용 157
Take a Break

새로운 날은 언제 오는가?
옛날에 어떤 성자가 있었습니다.
그 성자는 제자들을 불러 모아 놓고 물었죠.
“밤의 어둠이 지나고 새날이 밝아 온 것을 그대들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제자들은 다음과 같이 대답했습니다.
“동창이 밝아 오는 것을 보고 새날이 밝아 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닙니다. 창문을 열어 보고 사물이 그 형체를 드러내기 시작하면 새날이 밝아 온 것을 알 수 있습
니다.”
……
제자들이 나름대로 의견을 말했지만 성자는 모두 틀렸다고 했지요.
그러자 이번에는 제자들이 물었습니다.
“그럼, 스승께서는 밤이 가고 새날이 밝아 온 것을 무엇으로 알 수 있습니까?”
“너희가 밖을 내다보았을 때, 지나다니는 사람들이 너희의 형제들로 보이면, 비로소 새날이 밝아 온
것임을 알 수 있다.”

「지치고 힘들 때 읽는 책」 중에서
Ⅲ 적분

1. 부정적분
2. 정적분
3. 정적분의 활용
Ⅲ 적분 1. 부정적분

01
개념원리 이해
부정적분
1. 부정적분

1. 부정적분의 뜻

⑴ 함수 F(x)의 도함수가 f(x)일 때, 즉 F'(x)=f(x)일 때 F(x)를 f(x)의 부정적분 또


는 원시함수라 한다.

⑵ 함수 f(x)의 부정적분을 기호 : f(x)dx로 나타낸다.

: f(x)dx=F(x)+C
q11111E
부정적분
⑶ 함수 f(x)의 부정적분 중 하나를 F(x)라 하면 f(x)의
임의의 부정적분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Z11111c

   : f(x)dx=F(x)+C
도함수

여기서 C를 적분상수, x를 적분변수, 함수 f(x)를 피적분함수라 한다.

⑷ 함수 f(x)의 부정적분, 즉 : f(x)dx를 구하는 것을 f(x)를 적분한다고 하고, 그 계산법

을 적분법이라 한다.

① 기호 :`은 sum의 머리 글자 s를 변형한 것이다.

② 기호 : f(x)dx를 f(x)의 부정적분 또는 인티그럴(integral) f(x)dx라 읽는다.

③ : f(x)dx에서 dx는 x에 대하여 적분한다는 뜻이다. (x 이외의 문자는 상수로 취급한다.)

④ ‘부정’은 어느 하나로 정할 수 없다는 뜻이다.

예 (xÛ`)'=2x, (xÛ`+1)'=2x, (xÛ`-2)'=2x이므로 세 함수 xÛ`, xÛ`+1, xÛ`-2는 모두 함수


2x의 부정적분이다.

2. 부정적분 필수예제 1, 2

F'(x)=f(x)일 때

   : f(x)dx=F(x)+C`(단, C는 적분상수)

미분
F(x)+C ^jjjj& f(x)
적분

설명 두 함수 F(x), G(x)가 모두 f(x)의 부정적분이라 하면


   F'(x)=f(x), G'(x)=f(x)
이므로
   {G(x)-F(x)}'=G'(x)-F'(x)=f(x)-f(x)=0
그런데 도함수가 0인 함수는 상수함수이므로 그 상수를 C라 하면
   G(x)-F(x)=C, 즉 G(x)=F(x)+C

160 Ⅲ. 적분
따라서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하면 f(x)의 모든 부정적분은
   F(x)+C (C는 상수)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예 ⑴ (5x)'=5이므로 : 5`dx=5x+C

⑵ (xÝ`)'=4xÜ`이므로 : 4xÜ``dx=xÝ`+C

3. 부정적분과 미분의 관계 필수예제 3, 4

[ : f(x)dx]=f(x)
d

dx

⑵ : [
d
`f(x)]dx=f(x)+C`(단, C는 적분상수)
dx

⑴ 먼저 적분을 하고 나중에 미분을 하면 ⇨ 원래의 식


⑵ 먼저 미분을 하고 나중에 적분을 하면 ⇨ (원래의 식)+C`(단, C는 적분상수)

[ : f(x)dx]+: [
d d
주의 `f(x)]dx
dx dx

설명 ⑴ f(x)의 부정적분 중 하나를 F(x)라 하면

   : f(x)dx=F(x)+C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 f(x)dx]=
d d
   {F(x)+C}
dx dx
d
= F(x)=f(x)
dx

⑵ : [ d `f(x)]dx=F(x)로 놓고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x
d d
   `f(x)= F(x)
dx dx
d
   {F(x)-f(x)}=0
dx
따라서 F(x)-f(x)=C`(C는 상수)이므로
   F(x)=f(x)+C

   ∴ : [ d `f(x)]dx=f(x)+C (단, C는 적분상수)


dx

[ : (2xÜ`+3xÛ`)dx]=2xÜ`+3xÛ`
d
예 ⑴
dx

⑵:[
d
(2xÜ`+3xÛ`)]dx=2xÜ`+3xÛ`+C
dx

1. 부정적분 161
개념원리 익히기
생각해 봅시다!
145 다음 보기 중 함수 5xÝ`의 부정적분인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ㄱ, ㄷ
부정적분의 뜻
보기

ㄱ. xÞ` ㄴ. -xÞ`
ㄷ. xÞ`+100 ㄹ. xÞ`+x

146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부정적분

⑴ : 7`dx 7x+C

⑵ : (-2)dx -2x+C

⑶ : 6x`dx 3xÛ`+C

⑷ : (-4xÜ`)dx -xÝ`+C

⑸ : (-3xÛ`+1)dx -xÜ`+x+C

⑹ : (7xß`+2x)dx xà`+xÛ`+C

: f(x)dx=F(x)+C
147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다항함수 f(x)를 구하시오. (단, C는 적분상수)

⑴ : f(x)dx=2x+C
⇨ f(x)=F'(x)
f(x)=2

⑵ : f(x)dx=3xÛ`+x+C f(x)=6x+1

⑶ : f(x)dx=-;4#;xÛ`+;3@;x+C f(x)=-;2#;x+;3@;

⑷ : f(x)dx=4xÜ`-5xÛ`+11x+C f(x)=12xÛ`-10x+11

162 Ⅲ. 적분
필수예제 01 부정적분의 뜻 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00쪽

등식 :`(6xÛ`+6x+a)dx=bxÜ`+cxÛ`+6x+C를 만족시키는 상수 a, b, c에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시오. (단, C는 적분상수)

풀이 6xÛ`+6x+a=(bxÜ`+cxÛ`+6x+C)'=3bxÛ`+2cx+6
즉, 6=3b, 6=2c, a=6이므로
a=6, b=2, c=3
∴ a+b+c=11

필수예제 02 부정적분의 뜻 ⑵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00쪽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다항함수 f(x)를 구하시오. (단, C는 적분상수)

⑴ : (x-1)f(x)dx=xÜ`-2xÛ`+x+C

⑵ : (2x+1)f(x)dx=-;3@;xÜ`+;2#;xÛ`+2x+C

풀이 ⑴ (x-1)f(x)=(xÜ`-2xÛ`+x+C)'=3xÛ`-4x+1=(3x-1)(x-1)
∴ f(x)=3x-1

⑵ (2x+1)f(x)={-;3@;xÜ`+;2#;xÛ`+2x+C}'=-2xÛ`+3x+2=(2x+1)(-x+2)

∴ f(x)=-x+2

KEY
Point 부정적분
q1211RE
 :

f(x)dx=F(x)+C이면 F'(x)=f(x)
Z1121Rc
미분

확인 148 등식 :`(8xÜ`+axÛ`-2x+1)dx=bxÝ`+2xÜ`+cxÛ`+x+C를 만족시키는 상수 a, b, c에


체크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시오. (단, C는 적분상수) -12

149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 {;2!;x-1} f(x)dx=;3!;xÜ`-;4!;xÛ`-3x+C일 때, f(1)의 값

을 구하시오. (단, C는 적분상수) 5

1. 부정적분 163
필수예제 03 부정적분과 미분의 관계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00, 101쪽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 xf(x)dx]=5xÛ`-2x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d
⑴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dx

⑵ 함수 f(x)=: [
d
(xÜ`-3xÛ`+2x)]dx에 대하여 f(0)=1일 때, f(x)를 구하시오.
dx

[ : xf(x)dx]=5xÛ`-2x에서
d
풀이 ⑴
dx
xf(x)=5xÛ`-2x=x(5x-2)
따라서 f(x)=5x-2이므로
f(2)=5´2-2=8
d
⑵ f(x)=: [ (xÜ`-3xÛ`+2x)]dx=xÜ`-3xÛ`+2x+C
dx
이때 f(0)=1이므로 C=1
∴ f(x)=xÜ`-3xÛ`+2x+1

KEY
Point 부정적분과 미분의 관계

[ : f(x)dx]=f(x)
d

dx

: [
d
 `f(x)]dx=f(x)+C (단, C는 적분상수)
dx

[ : xf(x)dx]일 때, F(x)의 모든 항의 계


d
확인 150 함수 f(x)=2xÜ`+2x에 대하여 F(x)=
dx
체크
수의 합을 구하시오.4

함수 f(x)=: [ {;3@;xÜ`-2xÛ`+;2!;}]dx에 대하여 f(1)=-1일 때, f(-1)의 값을


d
151 dx
구하시오. -;3&;

함수 f(x)=: [
d
152 dx
(xÛ`+6x)]dx의 최솟값이 -4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3

164 Ⅲ. 적분
필수예제 04 부정적분과 미분의 관계를 이용한 함수의 결정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01쪽

d d
두 다항함수 f(x), g(x)가 { f(x)+g(x)}=3, { f(x)-g(x)}=4x+4를
dx dx
만족시키고 f(0)=1, g(0)=-2일 때, f(2)+g(4)의 값을 구하시오.

d
풀이 { f(x)+g(x)}=3에서
dx

: [
d
{ f(x)+g(x)}]dx=: 3`dx   ∴ f(x)+g(x)=3x+CÁ
dx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f(0)+g(0)=CÁ이고 f(0)=1, g(0)=-2이므로 CÁ=-1
∴ f(x)+g(x)=3x-1 yy`㉠
d
{ f(x)-g(x)}=4x+4에서
dx

: [
d
{ f(x)-g(x)}]dx=: (4x+4)dx   ∴ f(x)-g(x)=2xÛ`+4x+Cª
dx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f(0)-g(0)=Cª이고 f(0)=1, g(0)=-2이므로 Cª=3
∴ f(x)-g(x)=2xÛ`+4x+3 yy`㉡

㉠+㉡을 하면 2f(x)=2xÛ`+7x+2   ∴ f(x)=xÛ`+;2&;x+1

㉠-㉡을 하면 2g(x)=-2xÛ`-x-4   ∴ g(x)=-xÛ`-;2!;x-2

∴ f(2)+g(4)={2Û`+;2&;´2+1}+{-4Û`-;2!;´4-2}=12+(-20)=-8

KEY d
Point  함수 f(x)에 대하여 `f(x)=g(x)의 꼴이 주어졌을 때
dx

⇨:[
d
`f(x)]dx=: g(x)dx, 즉 f(x)=: g(x)dx
dx

d
확인 153 두 다항함수 f(x), g(x)가 f(x)+g(x)=xÛ`-x-1,
dx
{ f(x)-g(x)}=6x-5를
체크
만족시키고 f(1)=0일 때, f(3)+g(-1)의 값을 구하시오. 5

d d
154 두 일차함수 f(x), g(x)가
dx
{ f(x)+g(x)}=2,
dx
{ f(x)g(x)}=2x-4를 만족

시키고 f(0)=1, g(0)=-5일 때, f(4)-g(3)의 값을 구하시오. 7

1. 부정적분 165
02
개념원리 이해
부정적분의 계산
1. 부정적분

1. 함수 y=xn의 부정적분 필수예제 5~7

n이 0 또는 양의 정수일 때

   : xn`dx=
1
xn+1+C (단, C는 적분상수)
n+1

① : 1`dx는 보통 : dx로 나타내고, : dx=x+C

② : k`dx=kx+C`(단, k는 상수)

설명 적분은 미분의 역연산이므로 미분법을 역으로 생각하여


n이 양의 정수일 때

   { xn+1}'=xn {;2!;xÛ`}'=xÚ` ⇨ : xÚ``dx=;2!;xÛ`+C


1
n+1

{;3!;xÜ`}'=xÛ` ⇨ : xÛ``dx=;3!;xÜ`+C
이므로 C를 적분상수라 할 때, xn의 부정적분은

   : xn`dx=
{;4!;xÝ`}'=xÜ` ⇨ : xÜ``dx=;4!;xÝ`+C
1
xn+1+C
n+1

또한 n=0이면 xâ`=1이고, : 1`dx=x+C이므로


      ⋮

   : xâ``dx=: 1`dx= { xn+1}'=xn ⇨ : xn`dx=


1 1 1
x0+1+C xn+1+C
0+1 n+1 n+1
가 성립한다.

⑴ : xà``dx=
1
예 x7+1+C=;8!;x¡`+C
7+1

⑵ : 9`dx=
9
x0+1+C=9x+C
0+1

2. 함수의 실수배, 합, 차의 부정적분 필수예제 5~7

두 함수 f(x), g(x)가 부정적분을 가질 때

⑴ : kf(x)dx=k: f(x)dx`(단, k는 실수)

⑵ : { f(x)+g(x)}dx=: f(x)dx+: g(x)dx

⑶ : { f(x)-g(x)}dx=: f(x)dx-: g(x)dx

함수의 합, 차의 부정적분은 세 개 이상의 함수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166 Ⅲ. 적분
설명 두 함수 f(x), g(x)의 한 부정적분을 각각 F(x), G(x)라 하면

   F'(x)=f(x), : f(x)dx=F(x)+CÁ (CÁ은 적분상수)

   G'(x)=g(x), : g(x)dx=G(x)+Cª (Cª는 적분상수)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실수 k에 대하여 {kF(x)}'=kF'(x)=kf(x)이므로

   : kf(x)dx=kF(x)+C=kF(x)+kCÁ=k{F(x)+CÁ}=k: f(x)dx

또한 {F(x)+G(x)}'=F'(x)+G'(x)=f(x)+g(x)이므로

   : { f(x)+g(x)}dx=F(x)+G(x)+C£

   ={F(x)+CÁ}+{G(x)+Cª}=: f(x)dx+: g(x)dx

같은 방법으로

   : { f(x)-g(x)}dx=: f(x)dx-: g(x)dx

예 ⑴ : 3xÛ``dx=3: xÛ``dx=3´;3!;xÜ`+C=xÜ`+C

⑵ : (3xÛ`-4x+1)dx=: 3xÛ``dx-: 4x`dx+: 1`dx=3: xÛ``dx-4: x`dx+: dx

=3{;3!;xÜ`+CÁ}-4{;2!;xÛ`+Cª}+(x+C£)

=xÜ`-2xÛ`+x+3CÁ-4Cª+C£
Ú
여기서 3CÁ-4Cª+C£=C라 하면

: (3xÛ`-4x+1)dx=xÜ`-2xÛ`+x+C
적분상수가 여러 개 있을 때에는 이들을 묶어서
하나의 적분상수 C로 나타낸다.

보충학습

1. 피적분함수가 (ax+b)n의 꼴인 경우의 부정적분

n이 0 또는 양의 정수이고 a(a+0), b는 상수, C는 적분상수일 때

   : (ax+b)n`dx=
1 1
´ (ax+b)n+1+C
a n+1

예 부정적분 : (2x-1)Û``dx를 구하시오.

풀이 [방법 1] : (2x-1)Û``dx=: (4xÛ`-4x+1)dx=;3$;xÜ`-2xÛ`+x+C

[방법 2] : (2x-1)Û``dx=;2!;´;3!;(2x-1)Ü`+C=;6!;(2x-1)Ü`+C

1. 부정적분 167
개념원리 익히기
생각해 봅시다!
155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⑴ : (3xÛ`+7)dx
부정적분의 계산

xÜ`+7x+C

⑵ : (-4xÜ`+x+2)dx -xÝ`+;2!;xÛ`+2x+C

⑶ : (2xÞ`-5xÝ`)dx ;3!;xß`-xÞ`+C

⑷ : (-8xà`+4xÛ`-1)dx -x¡`+;3$;xÜ`-x+C

156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피적분함수를 전개한 후 계

⑴ : (x+2)(2-x)dx
산한다.
-;3!;xÜ`+4x+C

⑵ : (2x-1)(x-4)dx ;3@;xÜ`-;2(;xÛ`+4x+C

⑶ : (3t-1)(2t+3)dt 2tÜ`+;2&;tÛ`-3t+C

⑷ : (y+1)(yÛ`-y+1)dy ;4!;yÝ`+y+C

157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⑴ : (x+1)Û``dx ;3!;xÜ`+xÛ`+x+C

⑵ : (-3x+2)Û``dx 3xÜ`-6xÛ`+4x+C

⑶ : (3-2x)Ü``dx -2xÝ`+12xÜ`-27xÛ`+27x+C

⑷ : (3y-1)Ü``dy :ª4¦:yÝ`-9yÜ`+;2(;yÛ`-y+C

168 Ⅲ. 적분
필수예제 05 부정적분의 계산 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02쪽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⑴ : (xÛ`-tx+tÛ`)dx ⑵ : (3xÛ`-5)dx+: (2x+4)dx

설명 ⑴ x 이외의 문자는 상수로 본다.


⑵ 피적분함수를 먼저 더한 후 적분을 계산한다.

⑴ : (xÛ`-tx+tÛ`)dx=: xÛ``dx-t: x`dx+tÛ`: dx=;3!;xÜ`-


t
풀이 xÛ`+tÛ`x+C
2
⑵ : (3xÛ`-5)dx+: (2x+4)dx=: (3xÛ`+2x-1)dx

=3: xÛ``dx+2: x`dx-: dx=xÜ`+xÛ`-x+C

필수예제 06 부정적분의 계산 ⑵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02쪽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⑴: ⑵:
yÜ`+1 xÛ` 1
`dy `dx-9: `dx
y+1 x-3 x-3

yÜ`+1 (y+1)(yÛ`-y+1)
풀이 ⑴ : `dy=: `dy=:`(yÛ`-y+1)dy=;3!;yÜ`-;2!;yÛ`+y+C
y+1 y+1
xÛ` 1 xÛ` 9
⑵ : `dx-9: `dx=:`{ - }dx
x-3 x-3 x-3 x-3
xÛ`-9 (x+3)(x-3)
=: `dx=: `dx
x-3 x-3

=:`(x+3)dx=;2!;xÛ`+3x+C

: 1`dx는 보통 : dx로 나타낸다.


KEY
Point  : k`dx=kx+C`(단, k는 상수) 

1
 : xn`dx= xn+1+C`(단, n은` 0 또는 양의 정수)
n+1

확인 158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⑴ :`(x-y)Û``dx ⑵ :`(x+5)Û``dx-:`(x-5)Û``dx
체크
;3!;xÜ`-xÛ`y+xyÛ
`+C 10xÛ`+C

159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⑴: ⑵:
yÝ`+yÛ`+1 ;3!;yÜ`-;2!;yÛ
xÛ` 1 ;2!;xÛ`+x+C
`dy `+y+C `dx+: `dx
yÛ`+y+1 x-1 1-x

⑶ : {;2{;+2}Û``dx-:`{;2{;-2}Û``dx :
xÜ`+2x 2x+1 ;3!;xÜ`+;2!;xÛ`+x+C
2xÛ`+C ⑷ `dx-: `dx
x-1 x-1

1. 부정적분 169
필수예제 07 부정적분의 계산 ⑶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02쪽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함수 f(x)=:`(x-1)(xÛ`+x+1)dx-:`x(3x-1)Û``dx에 대하여 f(0)=0일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xÜ`-1 xÜ`+1
⑵ 함수 f(x)=: `dx+: `dx에 대하여 f(-1)=3일 때,
xÛ`+x+1 xÛ`-x+1
f(2)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⑴ f(x)=:`{(x-1)(xÛ`+x+1)-x(3x-1)Û`}dx

=:`(-8xÜ`+6xÛ`-x-1)dx

=-2xÝ`+2xÜ`-;2!;xÛ`-x+C

이때 f(0)=0이므로 C=0

따라서 f(x)=-2xÝ`+2xÜ`-;2!;xÛ`-x이므로

f(-1)=-2-2-;2!;+1=-;2&;

xÜ`-1 xÜ`+1
⑵ f(x)=: `dx+: `dx
xÛ`+x+1 xÛ`-x+1
(x-1)(xÛ`+x+1) (x+1)(xÛ`-x+1)
=: `dx+: `dx
xÛ`+x+1 xÛ`-x+1
=:`(x-1)dx+:`(x+1)dx=:`{(x-1)+(x+1)}dx

=: 2x`dx=xÛ`+C

이때 f(-1)=3이므로 1+C=3   ∴ C=2


따라서 f(x)=xÛ`+2이므로 f(2)=2Û`+2=6

KEY
Point  피적분함수가 복잡한 경우 ⇨ 전개, 인수분해 등을 이용하여 간단히 한 후 적분한다.

확인 160 함수 f(x)=:`(10xá`+9x¡`+8xà`+ y +2x+1)dx에 대하여 f(0)=0일 때, f(1)의


체크
값을 구하시오. 10

xÜ` 8
161 함수 f(x)=: `dx+: `dx에 대하여 f(1)=2일 때, f(k)=:Á3¤: 을 만족시
x+2 x+2
키는 실수 k의 값을 구하시오. 2

170 Ⅲ. 적분
필수예제 08 f '(x)로부터 f(x) 구하기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02쪽

함수 f(x)의 도함수가 f '(x)=3xÛ`-4x이고 f(1)=2일 때, f(x)를 구하시오.

설명 f(x)=: f '(x)dx임을 이용하여 f(x)를 적분상수를 포함한 식으로 나타낸다.

풀이 f(x)=: f '(x)dx=: (3xÛ`-4x)dx=xÜ`-2xÛ`+C

이때 f(1)=2이므로 1-2+C=2   ∴ C=3


∴ f(x)=xÜ`-2xÛ`+3

필수예제 09 f(x)와 그 부정적분 F(x)의 관계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03쪽

다항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하면 F(x)=xf(x)-2xÜ`+xÛ`이 성립하고


f(0)=1일 때, 함수 f(x)를 구하시오.

설명 F'(x)=f(x), {xf(x)}'=f(x)+xf '(x)임을 이용하여 푼다.

풀이 F(x)=xf(x)-2xÜ`+xÛ`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f(x)+xf '(x)-6xÛ`+2x
 f(x)의 한 부정적분이 F(x)이므로 F'(x)=f(x)
 f(x)=f(x)+xf '(x)-6xÛ`+2x, xf '(x)=6xÛ`-2x   ∴ f '(x)=6x-2

∴ f(x)=: f '(x)dx=: (6x-2)dx=3xÛ`-2x+C

이때 f(0)=1이므로` C=1  
∴ f(x)=3xÛ`-2x+1

KEY
Point  f '(x)가 주어지고 f(x)를 구할 때 ⇨ f(x)=: f '(x)dx임을 이용한다.
 F(x)가 f(x)의 부정적분이면 F'(x)=f(x)

확인 162 함수 f(x)의 도함수가 f '(x)=4xÜ`+6xÛ`-2이고 f(-1)=1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


체크 오. 28

163 ‘f(x)를 적분하시오.’라는 문제를 잘못 보고 f(x)를 미분했더니 9xÛ`-2x+1이 나왔다.


f(x)를 바르게 적분한 식을 구하시오. (단, f(0)=2) ;4#;xÝ`-;3!;xÜ`+;2!;xÛ`+2x+C

164 삼차함수 f(x)의 한 부정적분 F(x)에 대하여 F(x)=f(x)+xf(x)-2xÝ`+4xÛ`이 성

립할 때, f(x)를 구하시오. {단, f(1)=-;3!;} f(x)=;3*;xÜ`-4xÛ`+1

1. 부정적분 171
필수예제 10 함수의 연속과 부정적분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04쪽

4x (x>1)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 f(x)의 도함수가 f '(x)=[  이고 f(2)=5
3xÛ` (x<1)
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g(x) (x>a)
설명 함수 f(x)에 대하여 f '(x)=[  이고, f(x)가 x=a에서 연속이면
h(x) (x<a)

( : g(x)dx (x¾a)
f(x)={
:
이고 x=a에서 우극한과 좌극한이 같음을 이용한다.
9 h(x)dx (x<a)

4x (x>1) 2xÛ`+CÁ (x¾1)


풀이 f '(x)=[  이므로 f(x)=[ 
3xÛ` (x<1) xÜ`+Cª (x<1)
f(2)=5에서 8+CÁ=5이므로 CÁ=-3
한편,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x=1에서도 연속이다.
즉, lim `f(x)= lim `f(x)=f(1)에서 2+CÁ=1+Cª
x`Ú 1+ x`Ú 1-

2-3=1+Cª   ∴ Cª=-2
2xÛ`-3 (x¾1)
∴ f(x)=[ 
xÜ`-2 (x<1)
∴ f(-2)=(-2)Ü`-2=-8-2=-10

필수예제 11 접선의 기울기와 부정적분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04쪽

점 (0, 2)를 지나는 곡선 y=f(x) 위의 임의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6xÛ`-10x일 때, 함수 f(x)를 구하시오.

설명 곡선 y=f(x) 위의 점 (x, f(x))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f '(x)임을 이용한다.

풀이 점 (x, y)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6xÛ`-10x이므로


f '(x)=6xÛ`-10x

∴ f(x)=: f '(x)dx=:`(6xÛ`-10x)dx=2xÜ`-5xÛ`+C

곡선 y=f(x)가 점 (0, 2)를 지나므로 C=2


∴ f(x)=2xÜ`-5xÛ`+2

3xÛ`-1 (x>-1)
확인 165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 f(x)의 도함수가 f '(x)=[ 
2x+1 (x<-1)
이고
체크
f(0)=2일 때, f(-2)+f(1)의 값을 구하시오. 6

166 곡선 y=f(x)가 점 (0, -2)를 지나고, 이 곡선 위의 임의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기


울기가 3xÛ`-6x+4일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10

172 Ⅲ. 적분
필수예제 12 미분계수와 부정적분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05쪽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f(2+h)-f(2-h)
⑴ 함수 f(x)=:`(x-1)(xÛ`+x+1)dx에 대하여 lim  의 값을
h`Ú 0 h
구하시오.
`f(x+2h)-f(x-h)
⑵ 함수 f(x)에 대하여 lim  =12x-3이고 f(1)=2일 때,
h`Ú 0 h
f(x)를 구하시오.

풀이 ⑴ f(x)=:`(x-1)(xÛ`+x+1)d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x-1)(xÛ`+x+1)=xÜ`-1
`f(2+h)-f(2-h) { f(2+h)-f(2)}+{ f(2)-f(2-h)}
∴ lim  =lim 
h`Ú 0 h h`Ú 0 h
`f(2+h)-f(2) `f(2-h)-f(2)
  =lim  +lim 
h`Ú 0 h h`Ú 0 -h
  =f '(2)+f '(2)=2f '(2)=2(2Ü`-1)=14
`f(x+2h)-f(x-h) { f(x+2h)-f(x)}+{ f(x)-f(x-h)}
⑵ lim  =lim 
h`Ú 0 h h`Ú 0 h
`f(x+2h)-f(x) `f(x-h)-f(x)
  =2 lim  +lim 
h`Ú 0 2h h`Ú 0 -h
  =2f '(x)+f '(x)=3f '(x)
따라서 3f '(x)=12x-3이므로 f '(x)=4x-1

∴ f(x)=: f '(x)dx=: (4x-1)dx=2xÛ`-x+C

이때 f(1)=2이므로 2-1+C=2   ∴ C=1


∴ f(x)=2xÛ`-x+1

KEY
Point 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x=a에서의 미분계수는
`f(a+h)-f(a) `f(x)-f(a)
⇨ f '(a)=lim   =lim  
h`Ú 0 h x`Ú a x-a

`f(x)-f(1)
확인 167 함수 f(x)=:`(5xÛ`+2x-1)dx에 대하여 lim 
x`Ú 1 xÛ`-1
의 값을 구하시오. 3
체크

`f(1+h)-f(1)
168 함수 f(x)=:`(6xÛ`-4x+k)dx에 대하여 f(0)=1, lim 
h`Ú 0 h
=4일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단, k는 상수) 3

1. 부정적분 173
필수예제 13 극값과 부정적분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06쪽

함수 f(x)의 도함수가 f '(x)=xÛ`+2x-3이고 f(x)의 극댓값이 9일 때, f(x)의 극


솟값을 구하시오.

풀이 f '(x)=xÛ`+2x-3=(x+3)(x-1)
f '(x)=0에서 x=-3 또는 x=1이므로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x y -3 y 1 y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따라서 f(x)는 x=-3에서 극댓값을 갖고, x=1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 f(-3)=9

한편, f(x)=: f '(x)dx=:`(xÛ`+2x-3)dx=;3!;xÜ`+xÛ`-3x+C에서

f(-3)=9이므로 f(-3)=;3!;´(-3)Ü`+(-3)Û`-3´(-3)+C=9

-9+9+9+C=9   ∴ C=0

즉, f(x)=;3!;xÜ`+xÛ`-3x이므로 f(x)의 극솟값은

f(1)=;3!;+1-3=-;3%;

KEY
Point 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f '(a)=0이고
⑴ x=a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 f(x)는 x=a에서 극댓값 f(a)를 갖는다.
⑵ x=a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 f(x)는 x=a에서 극솟값 f(a)를 갖는다.

확인 169 함수 f(x)=:`(3xÛ`+ax-24)dx가 x=4에서 극솟값 -72를 가질 때, 상수 a의 값과


체크
f(x)의 극댓값을 각각 구하시오. a=-6, 극댓값: 36

170 도함수가 f '(x)=k(xÛ`-4)(k<0)인 함수 f(x)의 극댓값이 20이고 극솟값이 -12일


때, f(x)를 구하시오. (단, k는 상수) f(x)=-xÜ`+12x+4

174 Ⅲ. 적분
한 걸음 더

필수예제 14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한 부정적분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05쪽

다항함수 f(x)가 임의의 실수 x, y에 대하여 f(x+y)=f(x)+f(y)+xy-2를 만족


시키고 f '(0)=1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f(x+y)=f(x)+f(y)+xy-2의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f(0+0)=f(0)+f(0)+0-2에서 f(0)=2f(0)-2
∴ f(0)=2
`f(0+h)-f(0) `f(h)-2
f '(0)=1이므로 f '(0)=lim  =lim  =1
h`Ú 0 h h`Ú 0 h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f '(x)를 구하면
`f(x+h)-f(x) `f(x)+f(h)+xh-2-f(x)
f '(x)=lim  =lim 
h`Ú 0 h h`Ú 0 h
`f(h)-2+xh `f(h)-2
=lim  =x+lim  =x+1
h`Ú 0 h h`Ú 0 h

∴ f(x)=: f '(x)dx=:`(x+1)dx=;2!;xÛ`+x+C

이때 f(0)=2이므로 C=2

따라서 f(x)=;2!;xÛ`+x+2이므로

f(2)=;2!;´2Û`+2+2=6

KEY
Point  f(x+y)=f(x)+f(y)+ 의 꼴의 식이 주어지면
Ú x=0, y=0을 대입하여 f(0)의 값을 구한다.
`f(x+h)-f(x)
Û f '(x)=lim  임을 이용하여 f '(x)를 구한다.
h`Ú 0 h
Ü f '(x)의 부정적분을 구하고, f(0)의 값을 대입하여 적분상수를 구한다.

확인 171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임의의 실수 x, y에 대하여


체크 f(x+y)=f(x)+f(y)+xy(x+y)를 만족시키고 f '(0)=6일 때, f(x)를 구하시오.
f(x)=;3!;xÜ`+6x

172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임의의 실수 x, y에 대하여 f(x+y)=f(x)+f(y)+2xy를 만


족시키고 f '(1)=3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2

1. 부정적분 175
정답과 풀이 111쪽

연습문제
STEP 1 생각해 봅시다!

181 함수 F(x)=2xÜ`+axÛ`+3bx가 함수 f(x)의 부정적분 중 하나이고 함수 F(x)가 함수 f(x)


의 부정적분
f(0)=-3, f '(1)=0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7
⇨ F'(x)=f(x)
f(x)=F'(x)=(2xÜ`+axÛ`+3bx)'=6xÛ`+2ax+3b
f(0)=-3에서 b=-1
f '(x)=12x+2a이므로 f '(1)=0에서 a=-6
∴ a+b=-7

182 다항함수 f(x)의 도함수 f '(x)가

   :`(2x-1)f '(x)dx=2xÜ`+;2!;xÛ`-2x+3

을 만족시키고 f(-1)=;2!;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11

:`(2x-1)f '(x)dx=2xÜ`+;2!;xÛ`-2x+3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여 정리하면 f '(x)=3x+2

∴ f(x)=:`(3x+2)dx=;2#;xÛ`+2x+C

이때 f(-1)=;2!;에서 C=1이므로 f(x)=;2#;xÛ`+2x+1   ∴ f(2)=11

183 함수 f(x)=2xÛ`-x에 대하여 두 함수 fÁ(x), fª(x)를 :`[;dë[;`f(x)]dx=f(x)+C

[ : f(x)dx] ;dë[;[ : f(x)dx]=f(x)


d d
   fÁ(x)=:`[ `f(x)]dx, fª(x)=
dx dx
라 하자. fÁ(1)=2일 때, fÁ(2)-fª(-1)의 값을 구하시오. 4

fÁ(x)=: [;dë[;`f(x)]`dx=2xÛ`-x+C, fª(x)=;dë[;[ : f(x)dx]=2xÛ`-x


이때 fÁ(1)=2이므로 C=1   ∴ fÁ(x)=2xÛ`-x+1
∴ fÁ(2)-fª(-1)=7-3=4

: { f(x)+g(x)}dx
xÜ` 1
184 함수 f(x)=:`
1-x
`dx+:`
x-1
`dx에 대하여 f(0)=1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Á3¦: =:`f(x)dx+: g(x)dx

f(x)=: xÜ`-1 `dx=-:`(xÛ`+x+1)dx=-{;3!;xÜ`+;2!;xÛ`+x}+C


1-x
이때 f(0)=1에서 C=1이므로 f(x)=-;3!;xÜ`-;2!;xÛ`-x+1   ∴ f(2)=-:Á3¦:

[ 수능기출 ]

185 다항함수 f(x)의 도함수 f '(x)가 f '(x)=6xÛ`+4이다. 함수 y=f(x)의 함수 y=f(x)의 그래프가


점 (0, 6)을 지나면
그래프가 점 (0, 6)을 지날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12
⇨ f(0)=6
f(x)=:`(6xÛ`+4)dx=2xÜ`+4x+C
한편, 함수 y=f(x)의 그래프가 점 (0, 6)을 지나므로 f(0)=C=6
따라서 f(x)=2xÜ`+4x+6이므로 f(1)=2+4+6=12

186 함수 f(x)가 xÛ`-3x+2로 나누어떨어지고, f '(x)=12xÛ`-4x+a일 때, f(x)가 x-a로 나누어떨


어진다. ⇨ f(a)=0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22

f(x)=:`(12xÛ`-4x+a)dx=4xÜ`-2xÛ`+ax+C

이때 f(x)가 xÛ`-3x+2=(x-1)(x-2)로 나누어떨어지므로


f(1)=4-2+a+C=0, f(2)=32-8+2a+C=0   ∴ a=-22

176 Ⅲ. 적분
정답과 풀이 112쪽

187 두 점 (0, -1), (1, 3)을 지나는 곡선 y=f(x) 위의 임의의 점 (x, y)에서 곡선 y=f(x) 위의 임의
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의 접선의 기울기가 2x+1에 정비례할 때, 함수 f(x)를 구하시오.
f(x)=2xÛ`+2x-1 기울기
f '(x)=k(2x+1)`(k+0)로 놓으면 f(x)=: k(2x+1)dx=kxÛ`+kx+C ⇨ f '(x)
곡선 y=f(x)는 두 점 (0, -1), (1, 3)을 지나므로 f(0)=C=-1, f(1)=k+k+C=3  
∴ C=-1, k=2   ∴ f(x)=2xÛ`+2x-1

`f(xÛ`)-f(1)
188 함수 f(x)=:`(2xÛ`-3)dx에 대하여 lim 
x`Ú 1 x-1
의 값을 구하시오.-2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f '(x)=2xÛ`-3이므로 `f(x)-f(a)
lim  =f '(a)
x`Ú a x-a
`f(xÛ`)-f(1) `f(xÛ`)-f(1)
lim   =lim [ ´(x+1)]=2f '(1)=-2
x`Ú 1 x-1 x`Ú 1 xÛ`-1

189 함수 f(x)의 도함수 f '(x)는 이차함수이고,


ZG Y

Z f '(x)=ax(x+1)(a<0)
로 놓는다.
y=f '(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f(x)
의 극댓값이 1, 극솟값이 -1일 때, f(x)를 구하
시오. f(x)=-4xÜ`-6xÛ`+1
f '(x)=ax(x+1)=axÛ`+ax`(a<0)로 놓으면  0 Y

f(x)=: (axÛ`+ax)dx=;3A;xÜ`+;2A;xÛ`+C

f(-1)=-;3A;+;2A;+C=-1, f(0)=C=1이므로
a=-12, C=1   ∴ f(x)=-4xÜ`-6xÛ`+1

STEP 2
[ 교육청기출 ]

190 두 다항함수 f(x), g(x)가


d
   f(x)=:`xg(x)dx, { f(x)-g(x)}=4xÜ`+2x
dx
를 만족시킬 때, g(1)의 값은?

① 10 ② 11 ③ 12 ④ 13 ✔ ⑤ 14
f '(x)=xg(x), f '(x)-g'(x)=4xÜ`+2x이므로 xg(x)-g'(x)=4xÜ`+2x   yy`㉠
g(x)=4xÛ`+ax+b`(a, b는 상수)로 놓으면 g'(x)=8x+a
㉠에서 4xÜ`+axÛ`+(b-8)x-a=4xÜ`+2x   ∴ a=0, b=10
따라서 g(x)=4xÛ`+10이므로 g(1)=14

191 두 다항함수 f(x), g(x)에 대하여 f(0)=2, g(0)=-1이고


d d
   { f(x)+g(x)}=2x+1, { f(x)g(x)}=3xÛ`-2x+2
dx dx
가 성립할 때, f(2)+g(1)의 값을 구하시오. 6
f(x)+g(x)=xÛ`+x+CÁ, f(x)g(x)=xÜ`-xÛ`+2x+Cª에 각각 x=0을 대입하면
CÁ=1, Cª=-2   ∴ f(x)+g(x)=xÛ`+x+1, f(x)g(x)=xÜ`-xÛ`+2x-2=(x-1)(xÛ`+2)
이때 f(0)=2, g(0)=-1이므로 f(x)=xÛ`+2, g(x)=x-1   ∴ f(2)+g(1)=6+0=6

192 함수 f(x)의 도함수가 f '(x)=1+2x+3xÛ`+ y +nxn-1이고 f(0)=1, 적분상수와 n의 값을 차례


로 구한다.
f(1)=4일 때, n+f(2)의 값을 구하시오. (단, n은 자연수) 18

f(x)=:`(1+2x+3xÛ`+ y +nxn-1)dx=x+xÛ`+xÜ`+ y +xn+C


이때 f(0)=1에서 C=1, f(1)=4에서 n=3
따라서 f(x)=1+x+xÛ`+xÜ`이므로 f(2)=1+2+2Û`+2Ü`=15   ∴ n+f(2)=18

1. 부정적분 177
정답과 풀이 113쪽
연습문제

193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도함수가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면
3xÛ`+1 (x¾1)
   f '(x)=[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
4x (x<1) 에서 연속이다.
이고 f(0)=3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13
xÜ`+x+CÁ (x¾1)
f(x)=[  이고, f(0)=3이므로 0+Cª=3   ∴ Cª=3
`2xÛ`+Cª (x<1)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2xÛ`+Cª)= lim (xÜ`+x+CÁ), 2+3=2+CÁ   ∴ CÁ=3
x`Ú 1- x`Ú 1+

∴ f(2)=2Ü`+2+3=13

`f(1+h)-f(1-h)
194 함수 f(x)=:`(x+1)(xÛ`+2x+4)dx에 대하여 lim 
h`Ú 0 h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
하여
의 값을 구하시오. 28 `f(a+h)-f(a)
lim 
f '(x)=(x+1)(xÛ`+2x+4)이므로 f '(1)=14 h`Ú 0 h
`f(1+h)-f(1-h) { f(1+h)-f(1)}-{ f(1-h)-f(1)} =f '(a)
∴ lim   =lim  
h`Ú 0 h h`Ú 0 h
`f(1+h)-f(1) `f(1-h)-f(1)
  =lim   +lim   =2f '(1)=28
h`Ú 0 h h`Ú 0 -h
`f(x)
195 함수 f(x)의 도함수가 f '(x)=8x+k이고 lim 
x`Ú 2 x-2
=1일 때, f(1)의 lim 
`f(x)
x`Ú a g(x)
=a

값을 구하시오. (단, k는 상수) 3 (a는 상수)일 때,


lim  
`f(x)
=1에서 f(2)=0이므로 lim  
`f(x)
=lim  
`f(x)-f(2)
=f '(2)=1   ∴ k=-15 lim`g(x)=0이면
x`Ú 2 x-2 x`Ú 2 x-2
x`Ú a
x`Ú 2 x-2
lim`f(x)=0
따라서 f '(x)=8x-15이므로 f(x)=: (8x-15)dx=4xÛ`-15x+C x`Ú a

이때 f(2)=0이므로 C=14
따라서 f(x)=4xÛ`-15x+14이므로 f(1)=4-15+14=3
196 삼차함수 y=f(x)는 그 그래프 위의 임의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함수 f(x)가 x=a에서
극댓값 k를 가지면
가 axÛ`-3x-6이고, x=-1에서 극댓값 :Á2Á: 을 갖는다. 이때 상수 a의 값 ⇨ f '(a)=0, f(a)=k

과 y=f(x)의 극솟값을 각각 구하시오. a=3, 극솟값: -8


f '(-1)=a+3-6=0에서 a=3
f(x)=: (3xÛ`-3x-6)dx=xÜ`-;2#;xÛ`-6x+C이고 f(-1)=:Á2Á:이므로 C=2

따라서 f(x)=xÜ`-;2#;xÛ`-6x+2이므로 f(x)의 극솟값은 f(2)=8-6-12+2=-8


실력

197 다항함수 f(x)의 한 부정적분 F(x)에 대하여


F(x)=xf(x)-6xÜ`(x-1)이 성립한다. 닫힌구간 [-1, 1]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 할 때, M-m의 값을 구하시오. 17

 (단, f(1)=0)
F(x)=xf(x)-6xÝ`+6xÜ`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f(x)+xf '(x)-24xÜ`+18xÛ`, f '(x)=24xÛ`-18x   ∴ f(x)=: (24xÛ`-18x)dx=8xÜ`-9xÛ`+C
이때 f(1)=0이므로 C=1   ∴ f(x)=8xÜ`-9xÛ`+1
따라서 닫힌구간 [-1, 1]에서 함수 f(x)는 x=0일 때 최댓값 1, x=-1일 때 최솟값 -16을 갖는다.  
실력 ∴ M-m=1-(-16)=17

198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임의의 실수 x, y에 대하여 주어진 식에 x=0, y=0


을 대입하여 f(0)의 값을
   f(x+y)=f(x)+f(y)+xy
구한다.
를 만족시키고, f '(0)=3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4
`f(h)
f(0+0)=f(0)+f(0)+0에서 f(0)=0이고 f '(0)=3에서 lim   =3
h`Ú 0 h
`f(x+h)-f(x) `f(x)+f(h)+xh-f(x) `f(h)+xh
f '(x)=lim  =lim   =lim   =x+3
h`Ú 0 h h`Ú 0 h h`Ú 0 h
따라서 f(x)=: (x+3)dx=;2!;xÛ`+3x+C이고 f(0)=0에서 C=0이므로 f(-2)=2-6=-4

178 Ⅲ. 적분
Ⅲ 적분

1. 부정적분
2. 정적분
3. 정적분의 활용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수학Ⅱ에서 ‘구분구적법’을 다루지 않고 미적분에서 다룹니다.


따라서 수학Ⅱ에서는 급수의 합을 이용한 정적분의 정의는 다루지 않고 f(x)의 부정적분
F(x)에 대하여 F(b)-F(a)를 f(x)의 a에서 b까지의 정적분이라 정의하되, 그 도입
및 설명 방법을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바뀌었습니다.
Ⅲ 적분 2. 정적분

01
개념원리 이해
정적분
2. 정적분

1. 정적분의 정의 필수예제 1, 2

⑴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 F(x)에 대하여
F(b)-F(a)를 f(x)의 a에서 b까지의 정적분이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
타낸다.

   :Ab f(x)dx

⑵ 정적분 :Ab f(x)dx의 값을 구하는 것을 함수 f(x)를 a에서 b까지 적분한다고 하고, a를

아래끝, b를 위끝, 닫힌구간 [a, b]를 적분 구간이라 한다.


⑶ 정적분의 정의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할 때

   :Ab f(x)dx=[F(x)]bA=F(b)-F(a)

① :Ab f(x)dx에서 닫힌구간 [a, b]는 aÉxÉb를 뜻한다.

② 부정적분 F(x)를 구하여 :Ab f(x)dx의 값을 구할 때, 적분상수 C에 관계없이 같은 값이 나오므로 적분상수 C는 쓰

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③ 정적분 :Ab f(x)dx의 값은 0 또는 음수가 될 수 있다.

④ 정적분 :Ab f(x)dx에서 적분변수 x 대신 다른 문자를 사용하여 나타내어도 그 값은 변하지 않는다.

즉, :Ab f(x)dx=:Ab f(t)dt=:Ab f(y)dy

주의 부정적분은 함수를 나타내므로 : f(x)dx+: f(t)dt+: f(y)dy

설명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 f(x)의 두 부정적분을 F(x), G(x)라 하면


   F(x)=G(x)+C (C는 적분상수)
이므로 F(b)-F(a)의 값은
   F(b)-F(a)={G(b)+C}-{G(a)+C}=G(b)-G(a)
즉, F(b)-F(a)의 값은 적분상수 C에 관계없이 하나로 결정된다.
이 값을 함수 f(x)의 a에서 b까지의 정적분이라 한다.

예 ⑴ :@3 2x`dx=[xÛ`]3@=3Û`-2Û`=5

⑵ :!2 (3xÛ`+4x-2)dx=[xÜ`+2xÛ`-2x]2!=(2Ü`+2´2Û`-2´2)-(1Ü`+2´1Û`-2´1)=11

180 Ⅲ. 적분
2. 정적분의 기본 정의 필수예제 1

지금까지는 실수 a, b에 대하여 a<b일 때에만 정적분 :Ab f(x)dx를 정의하였으나 a=b일 때와

a>b일 때의 정적분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⑴ a=b일 때, :Aa f(x)dx=0  Û2 위끝과 아래끝이 서로 같을 때

⑵ a>b일 때, :Ab f(x)dx=-:Ba f(x)dx  Û2 위끝과 아래끝이 서로 바뀔 때

정적분은 a, b의 대소에 관계없이 :Ab f(x)dx=F(b)-F(a)로 정의할 수 있다.

설명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하면

⑴ :Aa f(x)dx=[F(x)]aA=F(a)-F(a)=0

⑵ :Ab f(x)dx=[F(x)]bA=F(b)-F(a)=-{F(a)-F(b)}=-[F(x)]aB=-:Ba f(x)dx

예 ⑴ :#3 xÛ``dx=0

⑵ :@1 (3x+1)dx=-:!2 (3x+1)dx=-[;2#;xÛ`+x]2!=-:Á2Á:

3. 정적분의 성질 ⑴ 필수예제 3

두 함수 f(x), g(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⑴ :Ab kf(x)dx=k:Ab f(x)dx (단, k는 실수)

⑵ :Ab { f(x)Ñg(x)}dx=:Ab f(x)dxÑ:Ab g(x)dx (복부호동순)

증명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인 두 함수 f(x), g(x)의 한 부정적분을 각각 F(x), G(x)라 하면

⑴ : kf(x)dx=k: f(x)dx=kF(x)+C (C는 적분상수)이므로

   :Ab kf(x)dx=[kF(x)]bA=kF(b)-kF(a)=k{F(b)-F(a)}=k:Ab f(x)dx

⑵ : { f(x)Ñg(x)}dx=F(x)ÑG(x)+C (C는 적분상수)이므로

   :Ab { f(x)Ñg(x)}dx=[F(x)ÑG(x)]bA

   ={F(b)ÑG(b)}-{F(a)ÑG(a)}
   ={F(b)-F(a)}Ñ{G(b)-G(a)}

   =:Ab f(x)dxÑ:Ab g(x)dx (복부호동순)

2. 정적분 181
개념원리 이해

4. 정적분의 성질 ⑵ 필수예제 3

함수 f(x)가 세 실수 a, b, c를 포함하는 닫힌구간에서 연속일 때

   :Ac f(x)dx+:Cb f(x)dx=:Ab f(x)dx

위의 성질은 a, b, c의 대소에 관계없이 성립한다.

증명 실수 a, b, c를 포함하는 닫힌구간에서 연속인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하면

   :Ac f(x)dx+:Cb f(x)dx=[F(x)]cA+[F(x)]bC

   ={F(c)-F(a)}+{F(b)-F(c)}
   =F(b)-F(a)

   =:Ab f(x)dx

예 정적분 :_0!`(xÛ`-2x+3)dx+:)1 (xÛ`-2x+3)dx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_0!`(xÛ`-2x+3)dx+:)1 (xÛ`-2x+3)dx

=:_1!`(xÛ`-2x+3)dx=[;3!;xÜ`-xÛ`+3x]1_!=:ª3¼:

보충학습

1.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차이

⑴ 부정적분 : f(x)dx

① 구간이 정해지지 않은 적분

② : f(x)dx ⇨ x에 대한 함수

⑵ 정적분 :Ab f(x)dx

① 구간이 정해진 적분

② 정적분 :Ab f(x)dx는 실수이다.

182 Ⅲ. 적분
개념원리 익히기
생각해 봅시다!
173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⑴ :)1 4x`dx
정적분의 정의

⑵ :@4 3xÛ``dx 56

⑶ :_2!`(2x+3)dx 12

⑷ :_0@`(-tÛ`+2t-1)dt -:ª3¤:

174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정적분의 기본 정의

⑴ :@2 (xÜ`-6x+1)dx 0

⑵ :_-! 1 (5tÛ`+3t-2)dt 0

⑶ :)-``1 (-2xÛ`+4x)dx ;3*;

⑷ :#1 (3yÛ`-y+1)dy -24

175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정적분의 성질

⑴ :!2 6(x-1)Û`dx 2

⑵ :)1 (xÛ`+2)dx+:)1 (-xÛ`+2)dx 4

⑶ :!2 (2x-1)dx+:@3 (2x-1)dx 6

⑷ :)1 (3xÛ`-2x+1)dx-:@1 (3xÛ`-2x+1)dx 6

2. 정적분 183
필수예제 01 정적분의 정의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12쪽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⑴ :_2!`x(xÛ`-2)dx ⑵ :#3 (tÜ`+2tÛ`+3t+4)dt

⑶ :#2 ⑷ :!0 (2x+1)(x-2)dx


tÛ`-1
`dt
t-1

풀이 ⑴ :_2!`x(xÛ`-2)dx=:_2!`(xÜ`-2x)dx=[;4!;xÝ`-xÛ`]2_!=(4-4)-{;4!;-1}=;4#;

⑵ :#3 (tÜ`+2tÛ`+3t+4)dt=0
tÛ`-1 tÛ`-1 (t+1)(t-1)
⑶ :#2 `dt=-:@3 `dt=-:@3 `dt
t-1 t-1 t-1
=-:@3 (t+1)dt=-[;2!;tÛ`+t]3@`

=-[{;2(;+3}-(2+2)]=-;2&;

⑷ :!0 (2x+1)(x-2)dx=-:)1 (2x+1)(x-2)dx=-:)1 (2xÛ`-3x-2)dx

=-[;3@;xÜ`-;2#;xÛ`-2x]1)=-[{;3@;-;2#;-2}-0]=:Á6¦:

KEY
Point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하면

:Ab f(x)dx=[F(x)]bA=F(b)-F(a)

 :Aa f(x)dx=0, :Ab f(x)dx=-:Ba f(x)dx

확인 176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⑴ :_1!`(4xÜ`-3xÛ`+2x)dx ⑵ :_-! 3 (3y+1)(3y-1)dy


체크
-2 -76

⑶ :!0
xÜ`+1 -;6%;
`dx
x+1

177 함수 f(x)=xÛ`+4x에 대하여 정적분 :)1 xÛ`f(x)dx의 값을 구하시오. ;5^;

184 Ⅲ. 적분
필수예제 02 정적분의 정의의 활용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12쪽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K0 (2x+1)dx=;4!;일 때, 실수 k의 값을 구하시오.

⑵ 정적분 :_3!`(3xÛ`+4kx-1)dx의 값이 8보다 클 때, 정수 k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설명 정적분의 값을 먼저 계산한 후 문제의 조건에 맞는 k의 값을 구한다.

풀이 ⑴ :K0 (2x+1)dx=[xÛ`+x]0K=0-(kÛ`+k)=-kÛ`-k

이므로 -kÛ`-k=;4!;, 4kÛ`+4k+1=0

(2k+1)Û`=0   ∴ k=-;2!;

⑵ :_3!`(3xÛ`+4kx-1)dx=[xÜ`+2kxÛ`-x]3_!

=(27+18k-3)-(-1+2k+1)
=24+16k
이므로 24+16k>8
∴ k>-1
따라서 정수 k의 최솟값은 0이다.

KEY
Point 정적분의 정의의 활용

Ú 정적분 :Ab f(x)dx의 값을 계산한다.


Û 문제의 조건에 맞는 k의 값을 구한다.

확인 178 :_k!`(2x+k)dx=9일 때, 양수 k의 값을 구하시오. 2


체크

179 정적분 :!k (-4x+2)dx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단, k는 실수) ;2!;

2. 정적분 185
필수예제 03 정적분의 계산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13쪽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⑴ :!2 (2xÛ`+6x)dx-2:!2 (xÛ`-3x-2)dx

⑵ :!2 (2xÛ`-x+1)dx+:@1 (yÛ`-y)dy

⑶ :_0!`(xÜ`+2x-1)dx+:)1 (xÜ`+2x-1)dx+:!2 (xÜ`+2x-1)dx

풀이 ⑴ (주어진 식)=:!2 (2xÛ`+6x)dx-:!2 2(xÛ`-3x-2)dx=:!2 {(2xÛ`+6x)-(2xÛ`-6x-4)}dx

=:!2 (12x+4)dx=[6xÛ`+4x]2!=(24+8)-(6+4)=22

⑵ (주어진 식)=:!2 (2xÛ`-x+1)dx-:!2 (yÛ`-y)dy=:!2 (2xÛ`-x+1)dx-:!2 (xÛ`-x)dx

=:!2 {(2xÛ`-x+1)-(xÛ`-x)}dx=:!2 (xÛ`+1)dx

=[;3!;xÜ`+x]2!={;3*;+2}-{;3!;+1}=:Á3¼:

⑶ (주어진 식)=:_2!`(xÜ`+2x-1)dx

=[;4!;xÝ`+xÛ`-x]2_!=(4+4-2)-{;4!;+1+1}=:Á4°:

KEY
Point  :Ab f(x)dx=-:Ba f(x)dx

 :Ab kf(x)dx=k:Ab f(x)dx (단, k는 실수)

 :Ab { f(x)Ñg(x)}dx=:Ab f(x)dxÑ:Ab g(x)dx (복부호동순)

 :Ac f(x)dx+:Cb``f(x)dx=:Ab f(x)dx

확인 180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⑴ :_1@`(2xÛ`+3x-1)dx+:!-``2``(2xÛ`-x+3)dx
체크
-18

⑵ :)1 (3xÛ`+1)dx+:!2 (3xÛ`+1)dx 10

⑶ :)1
8 yÜ` -:Á3¤:
`dt+:!0 `dy
t-2 y-2

⑷ :@4 (xÛ`-4x)dx-:#4 (xÛ`-4x)dx+:!2 (xÛ`-4x)dx -:ª3ª:

186 Ⅲ. 적분
02
개념원리 이해
정적분의 기하적 의미
2. 정적분

1. 정적분의 기하적 의미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f(x)¾0일 때, 정적분 Z

:Ab f(x)dx의 값은 곡선 y=f(x)와 x축 및 두 직선 x=a, x=b


ZG Y

4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와 같다. 0 B C Y

설명 함수 f(t)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f(t)¾0일 때, [그림 1]과 같이 곡선 y=f(t)와 t축 및 두 직선 t=a,
t=x`(aÉxÉb)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x)라 하자.
또한, t의 값이 x에서 x+Dx까지 변할 때 넓이 S(x)의 증분을 DS라 하고 [그림 2]와 같이 사각형 ABCD의 넓이가
DS가 되도록 t축에 평행한 직선 AD를 그려 보자.
Z Z
ZG U
ZG U

"
G Y I

4 Y
4 Y
$4
# $
0 B Y C U 0 B Y C U
Y I Y $Y
[그림 1] [그림 2]

곡선 y=f(t)와 직선 AD의 교점의 x좌표를 x+h`(0ÉhÉDx)라 하면 사각형 ABCD의 넓이는


   DS={(x+Dx)-x}_f(x+h)=Dx_f(x+h)
DS
   ∴ =f(x+h)
Dx
이때 Dx Ú 0이면 h Ú 0이므로
DS
   lim =lim `f(x+h)
Dx`Ú 0 Dx h`Ú 0
DS
또한, lim =S'(x), lim `f(x+h)=f(x)이므로
Dx`Ú 0 Dx h`Ú 0

   S'(x)=f(x)
즉, S(x)는 f(x)의 한 부정적분이므로

   :A/ f(t)dt=[S(t)]/A=S(x)-S(a)

그런데 x=a이면 S(a)=0이므로

   :A/ f(t)dt=S(x)

이 식의 x 대신 b를 대입하면

   S(b)=:Ab f(t)dt

따라서 곡선 y=f(x)와 x축 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S=S(b)=:Ab f(t)dt

2. 정적분 187
개념원리 이해

2. 구간에 따라 함수가 다를 때의 정적분 필수예제 4

g(x) (xÉc) Z
ZG Y

함수 f(x)=[  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h(x) (x¾c)
a<c<b일 때 4„ 4m

   :Ab f(x)dx=:Ac g(x)dx+:Cb h(x)dx 0 B D C Y


44„ 4m

일 때, 정적분 :_1@ f(x)dx의 값을 구하시오.


xÛ` (xÉ0)
예 함수 f(x)=[ 
x (x¾0)
풀이 -2ÉxÉ0일 때 f(x)=xÛ`, 0ÉxÉ1일 때 f(x)=x이므로

:_1@ f(x)dx=:_0@ f(x)dx+:)1 f(x)dx

=:_0@ xÛ``dx+:)1 x`dx

=[;3!;xÜ`]0_@+[;2!;xÛ`]1)=[0-{-;3*;}]+{;2!;-0}=:Á6»:

3. 절댓값 기호가 포함된 함수의 정적분 필수예제 5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함수 y=| f(x)|의 정적분은 절댓값 기호 안의 Z]G Y


]

식의 값이 0이 되는 x의 값을 경계로 적분 구간을 나눈다.

오른쪽 그림에서 :Ab | f(x)|dx=:Ac {-f(x)}dx+:Cb f(x)dx가 성 B D C Y

립한다.

예 정적분 :)2 |xÛ`-x|dx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f(x)=|xÛ`-x|라 하면 닫힌구간 [0, 2]에서 Z Z]Y™ Y]


-xÛ`+x (0ÉxÉ1)
f(x)=[ 
`xÛ`-x (1ÉxÉ2)
따라서 구하는 정적분의 값은

:)2 |xÛ`-x|dx=:)1 (-xÛ`+x)dx+:!2 (xÛ`-x)dx


0   Y

=[-;3!;xÜ`+;2!;xÛ`]1)+[;3!;xÜ`-;2!;xÛ`]2!`

=[{-;3!;+;2!;}-0]+[{;3*;-2}-{;3!;-;2!;}]=1

188 Ⅲ. 적분
4. 우함수와 기함수의 정적분 필수예제 6, 7
위끝, 아래끝의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다를 때, 다음의 정적분의 성질을 이용하여 정적분을 구할 수 있다.

함수 f(x)가 닫힌구간 [-a, a]에서 연속일 때


⑴ f(-x)=f(x)이면 함수 f(x)를 우함수라 하고

   :_aA f(x)dx=2:)a f(x)dx  Û2 f(x)는 짝수차항으로 이루어진 함수

⑵ f(-x)=-f(x)이면 함수 f(x)를 기함수라 하고

   :_aA f(x)dx=0  Û2 f(x)는 홀수차항으로 이루어진 함수

①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이면` y=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우함수)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이면 `y=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기함수)
② y축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를 우함수(짝수함수)라 하고,`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를 기함수(홀수함수)라 한다.
예를 들어, xÛ`, xÝ`, 6xÝ`+2xÛ`, -xÛ`+3은 우함수이고` x, xÜ`, 3xÜ`-2x는 기함수이다.
③ 일반적으로 우함수와 기함수를 연산하면 다음과 같다.
(우함수)Ñ(우함수)=(우함수), (기함수)Ñ(기함수)=(기함수)
(우함수)_(우함수)=(우함수), (기함수)_(기함수)=(우함수), (우함수)_(기함수)=(기함수)
[주의] (우함수)Ñ(기함수) ⇨ 우함수도 기함수도 아니다.

설명 <우함수> <기함수>
f(-x)=f(x) f(-x)=-f(x)
Ú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 Ú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
Z Z
ZG Y

B
0 B Y
B 0 B Y ZG Y

Û :_0A f(x)dx=:)a f(x)dx이므로 Û :_0A f(x)dx=-:)a f(x)dx이므로

:_aA f(x)dx :_aA f(x)dx

=:_0A f(x)dx+:)a f(x)dx =:_0A f(x)dx+:)a f(x)dx

=2:)a f(x)dx =0

예 정적분 :_2@`(xà`-4xÞ`+2xÜ`+3xÛ`+x-1)dx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y=xà`, y=-4xÞ`, y=2xÜ`, y=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고,` y=3xÛ`, y=-1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주어진 식)=:_2@`(xà`-4xÞ`+2xÜ`+x)dx+:_2@`(3xÛ`-1)dx

=0+2:)2 (3xÛ`-1)dx=2[xÜ`-x]2)=2{(8-2)-0}=12

2. 정적분 189
개념원리 이해
한 걸음 더

5. 주기함수의 정적분 필수예제 8

상수함수가 아닌 함수 f(x)의 정의역에 속하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p)=f(x)를 만족시


키는 0이 아닌 상수 p가 존재할 때, 함수 f(x)를 주기함수라 한다.
이때 f(x+p)=f(x)를 만족시키는 상수 p의 값 중 가장 작은 양수를 함수 f(x)의 주기라 한다.

함수 f(x)가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f(x+p)=f(x)(p는 0이 아닌 상수)일 때

⑴ :Ab f(x)dx=:AbÐ ÑP p f(x)dx=:AbÐ Ñ@P2 p f(x)dx=`y`=:AbÐ ÑN nPp f(x)dx (단, n은 정수)

⑵ :Aa` Ñ` p f(x)dx=:)p f(x)dx, :Aa` Ñ` n` p f(x)dx=n:)p f(x)dx (단, n은 정수)

⑶ :Aa` Ñ` p f(x)dx=:Bb` Ñ` p f(x)dx

①  f(x+6)=f(x)를 만족시키는 함수라 해서 반드시 주기가 6인 것은 아니다. 주기가 3인 함수도 f(x+6)=f(x)를


만족시킬 수 있다.
②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p)=f(x)가 성립하면

   :)n `p f(x)dx=n:)p f(x)dx (단, n은 정수)

설명 ⑴ 모든 구간에서 연속이고 주기가 p인 주기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Z 주기

같이 닫힌구간 [a, b]에서의 그래프가 반복해서 나타나므로 :Ab f(x)dx의 값은


주기 ZG Y

주기 p만큼 평행이동한 닫힌구간 [a+p, b+p]에서의 정적분의 값인

:Ab ÐÑ Pp f(x)dx의 값과 항상 같다. 즉,


0 B C B Q Y

   :Ab f(x)dx=:Ab ÐÑ Pp f(x)dx


B Q C Q

따라서 정수 n에 대하여

   :Ab f(x)dx=:Ab ÐÑ Pp f(x)dx=:Ab ÐÑ@P2 p f(x)dx=`y`=:Ab ÐÑ NnPp f(x)dx

가 성립한다.

⑶ 주기함수는 한 주기의 정적분의 값이 항상 같으므로 :Aa` Ñ` p f(x)dx=:Bb` Ñ` p f(x)dx가 성립한다.

예 연속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2)=f(x)를 만족시키고 -1ÉxÉ1에서

f(x)=xÛ`일 때, 정적분 :_5! f(x)dx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_1! f(x)dx=:!3 f(x)dx=:#5 f(x)dx이므로

:_5! f(x)dx=:_1! f(x)dx+:!3 f(x)dx+:#5 f(x)dx=3:_1! f(x)dx

=3:_1! xÛ``dx=3[;3!;xÜ`]1_!=3[;3!;-{-;3!;}]=2

190 Ⅲ. 적분
필수예제 04 구간에 따라 함수가 다를 때의 정적분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14쪽

에 대하여 정적분 :_2! f(x)dx의 값을 구하시오.


xÛ`+1 (xÉ0)
함수 f(x)=[ 
1-5x (x¾0)

설명 xÉc일 때와 x¾c일 때의 함수가 다르게 정의된 경우의 정적분은 x=c를 기준으로 구간을 나눈 후

:Ab f(x)dx=:Ac f(x)dx+:Cb f(x)dx임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풀이 -1ÉxÉ0일 때, f(x)=xÛ`+1
0ÉxÉ2일 때, f(x)=1-5x
이므로

:_2!`f(x)dx=:_0!`f(x)dx+:)2 f(x)dx

=:_0!`(xÛ`+1)dx+:)2 (1-5x)dx

=[;3!;xÜ`+x]0_!+[x-;2%;xÛ`]2)

=[0-{-;3!;-1}]+{(2-10)-0}=-:ª3¼:

KEY
Point  g(x) (xÉc)
 함수 f(x)=[  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h(x) (x¾c)
a<c<b일 때

⇨ :Ab f(x)dx=:Ac g(x)dx+:Cb h(x)dx

에 대하여 정적분 :)2 xf(x)dx의 값을 구하시오.


xÛ` (xÉ1)
확인 181 함수 f(x)=[ 
-2x+3 (x¾1)
;1Á2;
체크

에 대하여 정적분 :_2! f(x-1)dx의 값을 구하시오.


x+1 (xÉ0)
182 함수 f(x)=[ 
xÛ`-2x+1 (x¾0)
;3!;

2. 정적분 191
필수예제 05 절댓값 기호가 포함된 함수의 정적분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14쪽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⑴ :)3 |x-2|dx ⑵ :_3!`|x(x-2)|dx

설명 •피적분함수에 절댓값 기호가 포함되어 있을 때는 그래프를 그려서 생각하되 범위에 따라 구간을 나누어 생각한다.
A (A¾0)
•|A|=[ 
-A (A<0)

풀이 ⑴ f(x)=|x-2|라 하면 닫힌구간 [0, 3]에서 Z


Z]Y]
-x+2 (0ÉxÉ2)
f(x)=[ 
x-2 (2ÉxÉ3) 

따라서 구하는 정적분의 값은

:)3 |x-2|dx=:)2 (-x+2)dx+:@3 (x-2)dx


0   Y

=[-;2!;xÛ`+2x]2)+[;2!;xÛ`-2x]3@=;2%;

⑵ f(x)=|x(x-2)|라 하면 닫힌구간 [-1, 3]에서 Z


Z]Y Y
]
x(x-2) (-1ÉxÉ0 또는 2ÉxÉ3) 
f(x)=[ 
-x(x-2) (0ÉxÉ2)
따라서 구하는 정적분의 값은

:_3!`|x(x-2)|dx  0   Y

=:_0!`(xÛ`-2x)dx+:)2 (-xÛ`+2x)dx+:@3 (xÛ`-2x)dx

=[;3!;xÜ`-xÛ`]0_!+[-;3!;xÜ`+xÛ`]2)+[;3!;xÜ`-xÛ`]3@`

=;3$;+;3$;+;3$;=4

▶ y=| f(x)|의 그래프는 y=f(x)의 그래프의 (x축 윗부분)+(x축 아랫부분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부분)이다.

KEY
Point 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함수 y=| f(x)|의 정적분은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값이 0이 되는 x의 값을 경계로
적분 구간을 나누어 계산한다.

확인 183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⑴ :_0@ |2x+3|dx ⑵ :_1! |x-xÛ`|dx
체크
;2%; 1

⑶ :)2`|xÛ`+x-2|dx 3 ⑷ :_1@`(|x|+x+1)Û`dx :Á3»:

184 등식 :)a |xÛ`-1|dx=:°3¤: 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을 구하시오. (단, a>1) 4

192 Ⅲ. 적분
필수예제 06 우함수와 기함수의 정적분 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15쪽

정적분 :_1!`(xà`+5xÞ`-4xÜ`+3xÛ`-7x+2)dx의 값을 구하시오.

설명 위끝과 아래끝의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다를 때, 피적분함수를 우함수, 기함수로 나누어 계산한다.

풀이 (주어진 식)=:_1!`(xà`+5xÞ`-4xÜ`-7x)dx+:_1!`(3xÛ`+2)dx

=2:)1 (3xÛ`+2)dx=2[xÜ`+2x]1)=6

필수예제 07 우함수와 기함수의 정적분 ⑵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15쪽

두 다항함수 f(x), g(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 g(-x)=-g(x)

를 만족시킨다. :)2 f(x)dx=3, :)2 g(x)dx=4일 때, 정적분 :_2@{ f(x)-2g(x)}dx

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이므로 y=f(x)는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인 우함수이다.

∴ :_2@ f(x)dx=2:)2 f(x)dx=2´3=6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g(x)이므로 y=g(x)는 그래프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기함수이다.

∴ :_2@ g(x)dx=0

∴ :_2@`{ f(x)-2g(x)}dx=:_2@ f(x)dx-2:_2@ g(x)dx

=6-2´0=6

KEY
Point  f(-x)=f(x)이면 ⇨ f(x)는 우함수
 f(-x)=-f(x)이면 ⇨ f(x)는 기함수

확인 185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⑴ :_2@`(xÞ`-2xÜ`+6xÛ`-3x-1)dx
체크
28

⑵ :_0!`(1+2t+3tÛ`+4tÜ`)dt+:)1 (4xÜ`+3xÛ`+2x+1)dx 4

186 두 다항함수 f(x), g(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 g(x)=g(-x)를

만족시킨다. :)3 f(x)dx=1, :)3 g(x)dx=2일 때, 정적분 :_3#`{ f(x)+g(x)}dx의 값

을 구하시오. 4

2. 정적분 193
한 걸음 더

필수예제 08 주기함수의 정적분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19쪽

연속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2)를 만족시키고, -1ÉxÉ1에

서 f(x)=-xÛ`+2이다. 이때 정적분 :_6!`f(x)dx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f(x)=f(x+2)이므로

:_1! f(x)dx=:!3 f(x)dx=:#5 f(x)dx yy`㉠

이때 f(x)가 우함수이므로

:_1! f(x)dx=2:)1 f(x)dx yy`㉡

㉠, ㉡에서

:_6!`f(x)dx=:_1!`f(x)dx+:!3 f(x)dx+:#5 f(x)dx+:%6 f(x)dx

=:_1!`f(x)dx+:_1!`f(x)dx+:_1!`f(x)dx+:_0!`f(x)dx

=2:)1 f(x)dx+2:)1 f(x)dx+2:)1 f(x)dx+:)1 f(x)dx Û f(x)가 우함수이므로


:_0!`f(x)dx=:)1 f(x)dx
=7:)1 f(x)dx=7:)1 (-xÛ`+2)dx

=7[-;3!;xÜ`+2x]1)=:£3°:

KEY
Point 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p)=f(x)를 만족시킬 때, 닫힌구간 [a, b]에서의 정적분의
값은 닫힌구간 [a+p, b+p]에서의 정적분의 값과 같다.

⇨ :Ab f(x)dx=:Ab ÐÑ Pp f(x)dx

확인 187 연속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3)=f(x), :!4 f(x)dx=5를 만족시킬 때,

정적분 :!1`0 f(x)dx의 값을 구하시오.


체크
15

188 연속함수 f(x)가 다음 두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정적분 :)1`0 f(x)dx의 값을 구하시오. :¥3¼:


㈎ 0ÉxÉ4일 때, f(x)=-xÛ`+4x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4)=f(x)

194 Ⅲ. 적분
정답과 풀이 115쪽

연습문제
STEP 1 생각해 봅시다!

199 함수 f(x)=6xÛ`+2ax가 :)1 f(x)dx=f(1)을 만족시킬 때, 상수 a의 값

을 구하시오. -4

:)1 f(x)dx=:)1 (6xÛ`+2ax)dx=[2xÜ`+axÛ`]1)=2+a, f(1)=6+2a

:)1 f(x)dx=f(1)에서 2+a=6+2a   ∴ a=-4

200 :_1@`(-3xÛ`+4kx-2)dx<3을 만족시키는 정수 k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2 정적분의 값을 계산한 후

:_1@`(-3xÛ`+4kx-2)dx=[-xÜ`+2kxÛ`-2x]1_@=-15-6k
정수 k의 최솟값을 구한다.

즉, -15-6k<3에서 6k>-18   ∴ k>-3


따라서 정수 k의 최솟값은 -2이다.

201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⑴ :_0@`(3x+2)dx-:_5@`(3x+2)dx+:)5 (3x+2)dx 0

⑵ :_0!` `dy-:_0!`
yÜ` 1 ;3*;
`dx-:!0 (xÛ`+x+1)dx
y-1 x-1

⑶ :_3!`(2x-1)dx+:!2 (2t-1)dt+:#1 (2y-1)dy 0

에 대하여 정적분 :)2 f(x)dx의 값을 구하


xÛ`+4 (xÉ1)
202 함수 f(x)=[ 
2x+3 (x¾1)
시오. :£3Á:

:)2 f(x)dx=:)1 (xÛ`+4)dx+:!2 (2x+3)dx=[;3!;xÜ`+4x]1)+[xÛ`+3x]2!=:£3Á:

203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절댓값 기호가 포함된 함수

⑴ :_2@`|xÛ`+4x-5|dx ⑵ :)4 (|x-2|+|x-3|)dx


의 정적분
:¤3¢: 9
⇨ 그래프를 그리고 구간을
나누어 생각한다.
⑴ (주어진 식)=:_1@`(-xÛ`-4x+5)dx+:!2``(xÛ`+4x-5)dx=[-;3!;xÜ`-2xÛ`+5x]1_@+[;3!;xÜ`+2xÛ`-5x]2!=:¤3¢:

⑵ (주어진 식)=:)2 (-2x+5)dx+:@3 dx+:#4 (2x-5)dx=[-xÛ`+5x]2)+[x]3@+[xÛ`-5x]4#=9

204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 :)2 f(x)dx=;4!; f(-x)=f(x)

을 만족시킬 때, 정적분 :_2@`(3xÜ`-2x+6)f(x)dx의 값을 구하시오.


⇨ f(x)는 우함수

f(-x)=f(x)이므로 f(x)는 우함수, xÜ`f(x), xf(x)는 기함수이다.


∴ :_2@`(3xÜ`-2x+6)f(x)dx=:_2@`(3xÜ`-2x)f(x)dx+6:_2@`f(x)dx=12:)2 f(x)dx=12´;4!;=3

2. 정적분 195
정답과 풀이 116쪽
연습문제

STEP 2
`f(x) x Ú 1일 때
205 삼차함수 f(x)=axÜ`+bx+3이 lim  
x`Ú 1 x-1
=1을 만족시킬 때, 정적분
(분모) Ú 0이므로
:)1 f(x)dx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 1 f(1)=0
`f(x)
`f(x) `f(x) lim  =f '(1)
lim   =1에서 f(1)=a+b+3=0, lim   =f '(1)=1에서 f '(1)=3a+b=1 x`Ú 1 x-1
x`Ú 1 x-1 x`Ú 1 x-1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5   ∴ :)1 f(x)dx=:)1 (2xÜ`-5x+3)dx=[;2!;xÝ`-;2%;xÛ`+3x]1)=1

206 함수 f(x)가 :)1 f(x)dx=1, :)1 xf(x)dx=2를 만족시킬 때, 정적분

:)1 (x-k)Û`f(x)dx의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을 구하시오. 2

:)1 (x-k)Û`f(x)dx=:)1 (xÛ`-2kx+kÛ`)f(x)dx=:)1 xÛ`f(x)dx-2k:)1 xf(x)dx+kÛ`:)1 f(x)dx

=:)1 xÛ`f(x)dx-4k+kÛ`=(k-2)Û`-4+:)1 xÛ`f(x)dx

[ 수능기출 ] 이때 정적분 :)1 xÛ`f(x)dx의 값은 상수이므로 주어진 식은 k=2일 때 최소가 된다.

207 이차함수 f(x)는 f(0)=-1이고 :Ab f(x)dx

:_1!`f(x)dx=:)1 f(x)dx=:_0!`f(x)dx를 만족시킨다. f(2)의 값을 구하 =:Ac f(x)dx+:Cb f(x)dx

시오. 11
f(x)=axÛ`+bx-1`(a, b는 상수, a+0)이라 하면
:_0! f(x)dx=:_0!`(axÛ`+bx-1)dx=;3A;-;2B;-1=0, :)1 f(x)dx=:)1 (axÛ`+bx-1)dx=;3A;+;2B;-1=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3, b=0이므로 f(x)=3xÛ`-1   ∴ f(2)=11

에 대하여 :_3!`f(x)dx=b일 때,
3xÛ`-4x+a (xÉ1)
208 연속함수 f(x)=[ 
2x+3 (x>1)
f(x)가 x=1에서 연속
⇨ lim `f(x)= lim `f(x)
x`Ú 1- x`Ú 1+
a+b의 값을 구하시오. (단, a는 상수) 34
=f(1)
lim `f(x)= lim `f(x)이므로 3-4+a=2+3   ∴ a=6

∴ :_3!`f(x)dx=:_1!`(3xÛ`-4x+6)dx+:!3 (2x+3)dx=2[xÜ`+6x]1)+[xÛ`+3x]3!=28=b
x`Ú 1- x`Ú 1+

일차함수 f(x)가 :_1!`xf(x)dx=2, :_1!`xÛ`f(x)dx=-2를 만족시킬 때,


∴ a+b=6+28=34

209
f(-2)의 값을 구하시오. -9

f(x)=ax+b`(a, b는 상수, a+0)라 하면 :_1!`xf(x)dx=:_1!`(axÛ`+bx)dx=;3@;a=2에서 a=3

:_1!`xÛ`f(x)dx=:_1!`(axÜ`+bxÛ`)dx=;3@;b=-2에서 b=-3

연속함수 f(x)가 다음 두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정적분 :@2)0!2*0 f(x)dx


따라서 f(x)=3x-3이므로 f(-2)=-9

210
의 값을 구하시오. 4

㈎ -2ÉxÉ2일 때, f(x)=xÜ`-4x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4)

`f(x)=f(x+4)이므로 :@2)0!2*0 f(x)dx=:@2)0!1$6 f(x)dx=`y`=:_0@ f(x)dx

∴ :@2)0!2*0 f(x)dx=:_0@ (xÜ`-4x)dx=[;4!;xÝ`-2xÛ`]0_@=4

196 Ⅲ. 적분
정답과 풀이 118쪽

실력
생각해 봅시다!
211 삼차함수 f(x)=xÜ`+axÛ`+(2a-3)x+1이 극값을 갖지 않을 때, 정적분

6[ :!2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
`f(x)
`dx+:@1 ;[!;`dx]의 값을 구하시오. (단, a는 상수) 59 지 않을 조건
x
D ⇨ 이차방정식 f '(x)=0
f '(x)=3xÛ`+2ax+(2a-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Û`-3(2a-3)É0, (a-3)Û`É0   ∴ a=3

따라서 f(x)=xÜ`+3xÛ`+3x+1이므로 :!2


4 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f(x) `f(x)-1
`dx+:@1 ;[!;`dx=:!2 `dx=:!2 (xÛ`+3x+3)dx=:°6»: DÉ0
x x
∴ (주어진 식)=6´:°6»:=59

212 도함수 y=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은 함수 Z


ZG  Y

y=f(x)에 대하여 f(0)=2이고, 

F(x)=:)1 f(x-t)dt라 할 때, F(x)의 최솟값을 구


0  Y
하시오. ;1@2%;
f '(x)=2x, f(0)=2이므로 f(x)=xÛ`+2
+2t]1)=xÛ`-x+;3&;={x-;2!;}`+;1@2%;
tÜ` Û
∴ F(x)=:)1 f(x-t)dt=:)1 {(x-t)Û`+2}dt=[xÛ`t-tÛ`x+
3

0ÉaÉ1일 때, 정적분 :)1 x|x-a|dx의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실수 a


따라서 F(x)는 x=;2!;일 때, 최솟값 ;1@2%; 를 갖는다.

213 Z ZY]YB]

의 값을 구하시오.
:)1 x|x-a|dx=:)a x(a-x)dx+:A1 x(x-a)dx=[;2A;xÛ`-;3!;xÜ`]a)+[;3!;xÜ`-;2A;xÛ`]1A=;3!;aÜ`-;2!;a+;3!;
0
0 B  Y
1
g(a)=;3!;aÜ`-;2!;a+;3!;이라 하면 g '(a)=0에서 a=
'2
일 때 극소이고, a=0일 때 정적분 :)1 x|x-a|dx의 값은 최대가 된다.
연속함수 f(x)가 다음 두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정적분 :)1 f(x)dx를
1
따라서 a=
'2
214
b-a
a, b로 나타내시오. 2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1+x)=f(1-x)
㈏ :_0!`f(x)dx=a, :)3 f(x)dx=b

㈎에서 f(1+x)=f(1-x)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직선 x=1에 대하여 대칭이다.


∴ :@3 f(x)dx=:_0!`f(x)dx=:)3 f(x)dx-2:)1 f(x)dx

㈏에서 :_0!`f(x)dx=a, :)3 f(x)dx=b이므로 a=b-2:)1 f(x)dx   ∴ :)1 f(x)dx=


b-a
2

215 연속함수 f(x)는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 f(-x)=f(x)


⇨ f(x)는 우함수

㈎ f(-x)=f(x) ㈏ f(x)=f(x+4)

:)2 f(x)dx=16일 때, 정적분 :_8$` f(x)dx의 값을 구하시오. 96

㈎에서 f(-x)=f(x)이므로 :)2 f(x)dx=:_0@`f(x)dx=16

㈏에서 f(x)=f(x+4)이므로 :)2 f(x)dx=:_-$ 2 f(x)dx=16

∴ :_0$`f(x)dx=:_-$ 2 f(x)dx+:_0 @`f(x)dx=32

∴ :_8$ f(x)dx=:_0$ f(x)dx+:)4 f(x)dx+:$8 f(x)dx=3:_0$ f(x)dx=3´32=96


2. 정적분 197
03
개념원리 이해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2. 정적분

1.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⑴ 정적분의 위끝이나 아래끝 또는 피적분함수에 적분변수 외의 변수가 포함되어 있는 함수

⇨ :A/ f(t)dt, :?/` Ñ` 1 f(t)dt, :)1 (x-t)f(t)dt, :)2 (x+t)dt 등

⑵ 정적분 :Ab f(t)dt의 값은 일반적으로 실수이지만 a, b에 적분변수 t가 아닌 다른 변수 x가 있

으면 이 정적분은 t에 대한 함수가 아니라 x에 대한 함수가 된다.

예 :!/ (tÛ`-2t)dt=[;3!;tÜ`-tÛ`]/!={;3!;xÜ`-xÛ`}-{;3!;-1}=;3!;xÜ`-xÛ`+;3@;

2.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미분

:A/ f(t)dt=f(x) (단, a는 실수)


d

dx
Z1`f(t)의 t 대신에 x를 대입한다.
:?/` Ñ` a f(t)dt=f(x+a)-f(x) (단, a는 실수)
d

dx

① f(t)의 변수 t는 적분변수 t와 같아야 한다.

② t는 적분변수이므로 :A/ f(t)dt는 t에 대한 함수가 아니라 x에 대한 함수이다.

③ ;dë[;:A/ tf(t)dt=xf(x)

설명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 f(t)가 a<x<b이면 :A/ f(t)dt는 x의 값에 따라 그 값이 하나씩 정해지므로 x에

대한 함수이다. 이때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 하면 F'(t)=f(t)

⑴ :A/ f(t)dt=[F(t)]/A=F(x)-F(a)

    ∴ ;dë[;:A/ f(t)dt=;dë[;{F(x)-F(a)}=F'(x)-0=f(x)

⑵ :?/` Ñ` a f(t)dt=[F(t)]/? Ñ` a`=F(x+a)-F(x)

    ∴ ;dë[;:?/` Ñ` a f(t)dt=;dë[;{F(x+a)-F(x)}=f(x+a)-f(x)

예 ⑴` ;dë[;:!/ (tÛ`+2t+1)dt=xÛ`+2x+1

⑵` ;dë[;:?/` Ñ` 1 (tÛ`+t)dt={(x+1)Û`+(x+1)}-(xÛ`+x)=2x+2

198 Ⅲ. 적분
3.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에서 f(x) 구하기
⑴ 적분 구간이 상수인 경우 필수예제 9

f(x)=g(x)+:Ab f(t)dt(a, b는 상수)의 꼴일 때, 함수 f(x) 구하기

⇨ :Ab f(t)dt=k(k는 상수)로 놓으면 f(x)=g(x)+k, 즉 f(t)=g(t)+k

따라서 :Ab { g(t)+k}dt=k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k의 값을 구한다.

⑵ 적분 구간에 변수 x가 있는 경우 필수예제 10

:A/ f(t)dt=g(x)(a는 상수)의 꼴일 때, 함수 f(x) 구하기

⇨ :A/ f(t)dt=g(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고 :Aa f(t)dt=g(a)=0임을 이용한다.

⑶ 적분 구간과 피적분함수에 변수 x가 있는 경우 필수예제 11

:A/ (x-t)f(t)dt=g(x)(a는 상수)의 꼴일 때, 함수 f(x) 구하기

⇨ :A/ (x-t)f(t)dt=x:A/ f(t)dt-:A/ tf(t)dt로 변형한 후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한다.

4.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극한 {lim+: 의 꼴} 필수예제 14

:A/ f(t)dt=f(a)
1
⑴ lim  
x-a

⑵ lim `;[!;:A/` Ñ` a f(t)dt=f(a)


x`Ú a

x`Ú 0

설명 함수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 하면 F'(t)=f(t)

[F(t)]/A
:A/ f(t)dt=lim 
1 F(x)-F(a)
⑴ lim  =lim  =F'(a)=f(a)
x`Ú a x-a x-a x-a

[F(t)]/AÑ` a
x`Ú a x`Ú a

⑵ lim  :A/` Ñ` a f(t)dt=lim 


1 F(x+a)-F(a)
=lim  =F'(a)=f(a)
x`Ú 0 x x`Ú 0 x x`Ú 0 x

:@/ (tÛ`-t-1)dt=2Û`-2-1=1
1
예 ⑴ lim 
x`Ú 2 x-2

⑵ lim  :!/` Ñ` 1 (3tÛ`-2)dt=3-2=1


1

x`Ú 0 x

2. 정적분 199
개념원리 익히기
생각해 봅시다!
189 다음을 구하시오.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⑴ ;dë[;:)/ (tÛ`+2)dt
미분
xÛ`+2

⑵ ;dë[;:_/!`(3tÛ`-2t+3)dt 3xÛ`-2x+3

⑶ ;dë[;:@/ (5tÜ`-3tÛ`)dt 5xÜ`-3xÛ`

⑷ ;dë[;:_/@`(3tÛ`+t)(t-1)dt 3xÜ`-2xÛ`-x

⑸ ;dë[;:?/` Ñ` 2 (tÛ`-2t+1)dt 4x

⑹ ;dë[;:?/` Ñ` 1 (2t+1)(t-2)dt 4x-1

190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할 때, f(x)를 구하시오. 적분 구간에 변수 x가 있는

⑴ :!/ f(t)dt=2xÛ`-5x+3
경우

f(x)=4x-5

⑵ :_/!` f(t)dt=-xÛ`+3x+4 f(x)=-2x+3

⑶ :@/ f(t)dt=3xÜ`-6x-12 f(x)=9xÛ`-6

⑷ :)/ f(t)dt=4xÜ`+3xÛ`+2x f(x)=12xÛ`+6x+2

⑸ :#/ f(t)dt=(x+1)(x-3) f(x)=2x-2

⑹ :_/@` f(t)dt=(2xÛ`+3)(x+2) f(x)=6xÛ`+8x+3

200 Ⅲ. 적분
필수예제 09 적분 구간이 상수인 경우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16쪽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함수 f(x)를 구하시오.

⑴ f(x)=xÜ`-3xÛ`+4:)1 f(t)dt ⑵ f(x)=xÜ`+:)2 (x-t)f(t)dt

설명 ⑴ 적분 구간이 상수로만 되어 있으므로 :)1 f(t)dt=k`(k는 상수)로 놓고 k의 값을 구한 다음 f(x)를 구한다.

⑵ 피적분함수에서 적분변수 이외의 문자는 상수로 취급하여 적분 기호 밖으로 끌어낸다. 적분변수가 t이므로 x는 상수이다.

풀이 ⑴ :)1 f(t)dt=k(k는 상수) yy ㉠로 놓으면

f(x)=xÜ`-3xÛ`+4k
이것을 ㉠에 대입하면

k=:)1 f(t)dt=:)1 (tÜ`-3tÛ`+4k)dt=[;4!;tÝ`-tÜ`+4kt]1)=4k-;4#;

즉, k=4k-;4#;이므로 k=;4!;

∴ f(x)=xÜ`-3xÛ`+1

⑵ 주어진 식에서 f(x)=xÜ`+:)2 {xf(t)-tf(t)}dt=xÜ`+x:)2 f(t)dt-:)2 tf(t)dt

:)2 f(t)dt=a, :)2 tf(t)dt=b`(a, b는 상수)로 놓으면 f(x)=xÜ`+ax-b

a=:)2 `f(t)dt=:)2 (tÜ`+at-b)dt=[;4!;tÝ`+;2A;tÛ`-bt]2)=4+2a-2b

∴ a-2b+4=0 yy ㉠

b=:)2 tf(t)dt=:)2 (tÝ`+atÛ`-bt)dt=[;5!;tÞ`+;3A;tÜ`-;2B;tÛ`]2)=:£5ª:+


8a
-2b
3
∴ 40a-45b+96=0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3!5@;, b=;3^5$;   ∴ f(x)=xÜ`-;3!5@;x-;3^5$;

KEY
Point  적분 구간이 상수인 경우

f(x)=g(x)+:Ab f(t)dt(a, b는 상수)의 꼴일 때, 함수 f(x) 구하기

⇨ :Ab f(t)dt=k(k는 상수)로 놓고 f(x)=g(x)+k임을 이용한다.

확인 191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함수 f(x)에 대하여 f(1)의 값을 구하시오.


체크
⑴ f(x)=xÛ`+:)1 xf(t)dt ;3%; ⑵ f(x)=-2xÛ`+3x+:)1 tf(t)dt 2

⑶ f(x)=xÛ`+:)2 (3x+1)f(t)dt -;2!1!; ⑷ f(x)=3xÛ`+:)1 (2x-t)f(t)dt :Á4¦:

2. 정적분 201
필수예제 10 적분 구간에 변수가 있는 경우 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116, 117쪽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 f(t)dt=xÝ`+xÜ`-2ax를 만족시킬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단, a는 상수)

⑵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f(x)=;3@;xÜ`+:#/ f(t)dt를 만족시킬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설명 적분 구간이 변수로 되어 있을 때는 양변을 미분하고 :Aa f(t)dt=0임을 이용한다.

풀이 ⑴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4xÜ`+3xÛ`-2a
주어진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 f(t)dt=1+1-2a   Û :!1 f(t)dt=0

0=2-2a   ∴ a=1
따라서 f(x)=4xÜ`+3xÛ`-2이므로
f(1)=4+3-2=5
⑵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xf '(x)=2xÛ`+f(x)   ∴ f '(x)=2x

∴ f(x)=: 2x`dx=xÛ`+C (C는 적분상수)   yy`㉠   Û f(x)=: f '(x)dx

주어진 식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3f(3)=18   ∴ f(3)=6
㉠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6=9+C   ∴ C=-3
따라서 f(x)=xÛ`-3이므로
f(2)=4-3=1

확인 192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A/ f(t)dt=xÛ`-3x-10을 만족시킬 때, f(a)


체크
의 값을 구하시오. (단, a<0) -7

193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다음 등식을 만족시킬 때, f(-1)의 값을 구하시


오.

⑴ xf(x)=xÜ`-3xÛ`-:?2 f(t)dt :ª2£:

⑵ xÛ`f(x)=;3@;xß`-;2!;xÝ`-;6!;+2:!/ tf(t)dt 0

202 Ⅲ. 적분
필수예제 11 적분 구간에 변수가 있는 경우 ⑵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17쪽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다항함수 f(x)가 :_/!`(x-t)f(t)dt=xÜ`+4xÛ`+5x+2를 만

족시킬 때, f(x)를 구하시오.

설명 :A/ xf(t)dt와 같이 적분변수가 t인 정적분에서 적분변수 t가 아닌 다른 변수 x는 상수로 취급한다.

⇨ :A/ xf(t)dt=x:A/ f(t)dt

풀이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정리하면

:_/!`(x-t)f(t)dt=:_/!`xf(t)dt-:_/!`tf(t)dt=x:_/!`f(t)dt-:_/!`tf(t)dt이므로

x:_/!`f(t)dt-:_/!`tf(t)dt=xÜ`+4xÛ`+5x+2

이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_/!`f(t)dt+xf(x)-xf(x)=3xÛ`+8x+5

∴ :_/!`f(t)dt=3xÛ`+8x+5

이 식의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6x+8

KEY
Point  :A/ (x-t)f(t)dt=x:A/ f(t)dt-:A/ tf(t)dt

 :A/ (x-t)f(t)dt=g(x)의 꼴

⇨ 양변을 x에 대하여 두 번 미분하여 f(x)를 구한다.

확인 194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다항함수 f(x)가 :!/ (x-t)f(t)dt=xÝ`-3xÛ`+2x를 만족시킬


체크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6

195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다항함수 f(x)를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

⑴ :!/ (x-t)f(t)dt=xÝ`+axÛ`+1 f(x)=12xÛ`-4

⑵ :!/ (x-t)f(t)dt=xÜ`+axÛ`+bx f(x)=6x-4

2. 정적분 203
필수예제 12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극대·극소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19, 120쪽

함수 f(x)=:?/` Ñ` 1 (tÜ`-t)dt의 극댓값을 M, 극솟값을 m이라 할 때, M-m의 값을

구하시오.

설명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을 이용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나타내는 표를 그리고 함숫값(극값)을 찾는다.

풀이 f(x)=:?/` Ñ` 1``(tÜ`-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x+1)Ü`-(x+1)}-(xÜ`-x)=3x(x+1) x y -1 y 0 y
f '(x)=0에서 x=-1 또는 x=0
f '(x) + 0 - 0 +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M=f(-1)=:_0!`(tÜ`-t)dt
f(x) ↗ 극대 ↘ 극소 ↗

=[;4!;tÝ`-;2!;tÛ`]0_!=;4!;

또, x=0에서 극소이므로 극솟값은

m=f(0)=:)1 (tÜ`-t)dt

=[;4!;tÝ`-;2!;tÛ`]1)=-;4!;

∴ M-m=;4!;-{-;4!;}=;2!;

KEY
Point  f(x)=:A/ g(t)dt(a는 상수)와 같이 정의된 다항함수 f(x)의 극값을 구할 때

⇨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한 다음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을 구한다.

확인 196 함수 f(x)=:_/#`(tÛ`+t+k)dt가 x=-3에서 극댓값을 가질 때, f(x)의 극솟값을 구하


체크
시오. (단, k는 상수) -:Á;6@;°:

197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Z


 ZG Y

F(x)=:!/ f(t)dt를 만족시키는 함수 F(x)의 극댓값을 구하시오.


;3@; Y
0 

204 Ⅲ. 적분
필수예제 13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최대·최소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20쪽

닫힌구간 [0, 2]에서 함수 f(x)=:)/ (1-t)(2+t)dt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각각 구하

시오.

설명 닫힌구간 [a, b]에서 극값과 f(a), f(b)의 값을 비교하여 최댓값과 최솟값을 찾는다.

풀이 f(x)=:)/ (1-t)(2+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1-x)(2+x) x 0 y 1 y 2
f '(x)=0에서 x=1 (∵ 0ÉxÉ2)
f '(x) + 0 -
이때
f(x) ↗ 극대 ↘
f(0)=:)0 (-tÛ`-t+2)dt=0

f(1)=:)1 (-tÛ`-t+2)dt=[-;3!;tÜ`-;2!;tÛ`+2t]1)=;6&;

f(2)=:)2 (-tÛ`-t+2)dt=[-;3!;tÜ`-;2!;tÛ`+2t]2)=-;3@;

이므로 닫힌구간 [0, 2]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6&;, 최솟값은 -;3@;이다.

KEY
Point 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최대·최소
⇨ 주어진 닫힌구간에서 f '(x)=0이 되는 x의 값과 양 끝 값에서의 함숫값 중 최댓값과 최솟값을 찾는다.

확인 198 0ÉxÉ3에서 함수 f(x)=:)/ (t-1)(t-5)dt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3&;


체크

199 -2ÉxÉ1에서 함수 f(x)=:?/` Ñ` 1(2tÛ`+2t)dt의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 할 때,

M-m의 값을 구하시오. 8

2. 정적분 205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극한 {lim+: 의 꼴}
필수예제 14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18쪽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 f(t)dt
1
⑴ f(x)=2xÜ`-4xÛ`+3x+1일 때, lim 
x`Ú 2 x-2

⑵ lim  :@2` Ñ `2`h (xÛ`+x+1)dx


1
h`Ú 0 h

설명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극한 ⇨ 피적분함수 f(x)을 한 부정적분을 F(x)로 놓고 미분계수의 정의와


F'(x)=f(x)임을 이용한다.

풀이 ⑴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하면

:@/ f(t)dt=:@/ (2tÜ`-4tÛ`+3t+1)dt=[F(t)]/@=F(x)-F(2)

:@/ f(t)dt=lim 
1 F(x)-F(2)
∴ lim  =F'(2)
x`Ú 2 x-2 x`Ú 2 x-2
이때 F'(x)=f(x)이므로
F'(2)=f(2)=16-16+6+1=7
⑵ f(x)=xÛ`+x+1로 놓고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하면

:@2` Ñ` 2`h (xÛ`+x+1)dx=[F(x)]2@ Ñ` 2`h`=F(2+2h)-F(2)

∴ lim ;h!;:@2` Ñ` 2`h (xÛ`+x+1)dx=lim 
F(2+2h)-F(2)

h`Ú 0 h`Ú 0 h
F(2+2h)-F(2)
=lim  ´2=2F'(2)
h`Ú 0 2h
이때 F'(x)=f(x)이므로
2F'(2)=2f(2)=2(4+2+1)=14

:@/ f(t)dt=f(2)=16-16+6+1=7
1
다른풀이 ⑴ 공식을 이용하면 lim 
x`Ú 2 x-2

KEY
Point `f(x)-f(a) `f(a+h)-f(a)
 lim =lim =f '(a)   Û2``미분계수의 정의
x`Ú a x-a h`Ú 0 h

:A/ f(t)dt=f(a), lim :A/` Ñ` a f(t)dt=f(a)


1 1
 lim
x`Ú a x-a x`Ú 0 x

확인 200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 (t-2)Ü`dt :! `(2tÛ`+3t-1)dt


체크
1 1 xÛ
⑴ lim  -1 ⑵ lim  8
x`Ú 1 x-1 x`Ú 1 x-1

:!/ |t-4|dt ⑷ lim  :@2 _ÑHh (3xÛ`-x+1)dx


1 ;2#;
1
⑶ lim  22
x`Ú 1 xÛ`-1 h`Ú 0 h

201 lim ;h!;:_-! 1`Ñ `h``(ax-xÛ`)dx=-3을 만족시키는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2


h`Ú 0

206 Ⅲ. 적분
정답과 풀이 119쪽

연습문제
STEP 1 생각해 봅시다!

216 함수 F(x)=:)/ (tÜ`-1)dt에 대하여 F'(2)의 값은?

① 3 ② 5 ✔ ③ 7 ④ 9 ⑤ 11
F(x)=:)/ (tÜ`-1)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xÜ`-1
∴ F'(2)=8-1=7

217 함수 f(x)에 대하여 f(x)=2x+:)2 f(t)dt일 때, f(1)의 값은? :)2 f(t)dt=k(k는 상수)

로 놓는다.
① -4 ✔ ② -2 ③ 0 ④ 2 ⑤4
:)2 f(t)dt=k(k는 상수)로 놓으면 f(x)=2x+k

∴ k=:)2 (2t+k)dt=[tÛ`+kt]2)=4+2k
즉, k=4+2k에서 k=-4이므로 f(x)=2x-4   ∴ f(1)=2-4=-2

218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다항함수 f(x)가 :@/ f(t)dt=xÜ`-3axÛ`+3aÛ`x-aÜ` :Aa f(t)dt=0

을 만족시킬 때, f(x)의 최솟값은? (단, a는 상수)

① -2 ② -1 ✔ ③ 0 ④ 1 ⑤2
주어진 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0=8-12a+6aÛ`-aÜ`   ∴ a=2
따라서 :@/ f(t)dt=xÜ`-6xÛ`+12x-8이므로 이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3xÛ`-12x+12=3(x-2)Û`   ∴ (최솟값)=0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 f(t)dt=xÜ`-2xÛ`-2x:)1 f(t)dt일 때,


[ 평가원기출 ]

219
f(0)=a라 하자. 60a의 값을 구하시오. 40

:)/ f(t)dt=xÜ`-2xÛ`-2x:)1 f(t)dt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 f(t)dt=1-2-2:)1 f(t)dt

따라서 :)1 f(t)dt=-;3!;이므로 :)/ f(t)dt=xÜ`-2xÛ`+;3@;x

이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3xÛ`-4x+;3@;   ∴ a=f(0)=;3@;   ∴ 60a=60´;3@;=40

220 함수 f(x)=:_/#`(3tÛ`-6t-9)dt의 극값을 구하시오. 극댓값: 32, 극솟값: 0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한

f(x)=:_/#`(3tÛ`-6t-9)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3xÛ`-6x-9


후, f '(x)=0을 만족시키
는 x의 값을 구한다.
f '(x)=0에서 x=-1 또는 x=3
∴ (극댓값)=f(-1)=:_-# 1``(3tÛ`-6t-9)dt=32, (극솟값)=f(3)=:_3#`(3tÛ`-6t-9)dt=0

221 lim ;[!;:@2_Ñ ?/ |tÛ`-9|dt의 값은? lim 


`f(a+x)-f(a)
x`Ú 0 x`Ú 0 x
=f '(a)
① 7 ② 8 ③ 9 ✔ ④ 10 ⑤ 11
f(t)=|tÛ`-9|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 하면

lim  ;[!;:@2_Ñ ?/ |tÛ`-9|dt=lim  


F(2+x)-F(2-x) F(2+x)-F(2) F(2-x)-F(2)
=lim   +lim  
x`Ú 0 x`Ú 0 x x`Ú 0 x x`Ú 0 -x
=F'(2)+F'(2)=2F'(2)=2f(2)=2´5=10

2. 정적분 207
정답과 풀이 120쪽
연습문제

STEP 2
:!2 f(t)dt=k(k는 상수)
[ 평가원기출 ]

222 이차함수 f(x)에 대하여

   f(x)=:Á7ª:xÛ`-2x:!2 f(t)dt+[ :!2 f(t)dt]Û`


로 놓는다.

일 때, 10:!2 f(x)dx의 값을 구하시오. 20

:!2 f(t)dt=k(k는 상수)로 놓으면 f(x)=:Á7ª:xÛ`-2kx+kÛ` 즉, k=4-3k+kÛ`이므로 (k-2)Û`=0  


∴ k=2   ∴ 10:!2 f(x)dx=10k=20
k=:!2 f(t)dt=:!2 {:Á7ª:tÛ`-2kt+kÛ`}dt=4-3k+kÛ`

223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다항함수 f(x)가

:)/ f(t)dt=;3*;xÜ`-3xÛ`+4x:)2 tf(t)dt를 만족시킬 때,

:)2 tf(t)dt+f(2)의 값을 구하시오. :¤7¼: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8xÛ`-6x+4:)2 tf(t)dt a=:)2 tf(t)dt=:)2 (8tÜ`-6tÛ`+4at)dt=16+8a   ∴ a=-:Á7¤:

:)2 tf(t)dt=a`(a는 상수)로 놓으면 f(x)=8xÛ`-6x+4a 따라서 f(x)=8xÛ`-6x-:¤7¢:이므로

224 ∴ :)2 tf(t)dt+f(2)=:¤7¼: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다항함수 f(x)가 f(2)=:¦7¤:   좌변을 전개한 후 양변을 x

:!/ (x-t)f(t)dt=xÝ`+axÛ`+bx를 만족시킬 때, ab의 값을 구하시오. -6


에 대하여 미분한다.

:!/ (x-t)f(t)dt=xÝ`+axÛ`+bx에서 x:!/ f(t)dt-:!/ tf(t)dt=xÝ`+axÛ`+bx (단, a, b는 상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t)dt+xf(x)-xf(x)=4xÜ`+2ax+b   ∴ :!/ f(t)dt=4xÜ`+2ax+b
x=1을 각각 대입하면 0=1+a+b, 0=4+2a+b이므로 a=-3, b=2   ∴ ab=-6

225 함수 f(x)=:)/ (tÛ`+at+b)dt가 x=3에서 극솟값 0을 가질 때, 이 함수

의 극댓값과 그때의 x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 x=1일 때, 극댓값 ;3$;


f '(3)=9+3a+b=0, f(3)=:)3 (tÛ`+at+b)dt=9+;2(;a+3b=0이므로 a=-4, b=3

따라서 f(x)는 x=1에서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f(1)=:)1 (tÛ`-4t+3)dt=;3$;

226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Z f(x)=a(x+1)(x-3)

때, 함수 g(x)=:?/_!`f(t)dt의 최댓값은?
ZG Y
(a<0)으로 놓는다.

 
0 Y
① g {;3!;} ② g {;2!;} ③ g(1)

✔ ④ g {;2#;} ⑤ g(2)
f(x)=a(x+1)(x-3)(a<0)으로 놓고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g'(x)=f(x)-f(x-1)=a(2x-3)이므로 g'(x)=0에서 x=;2#;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다항함수 f(x)가 :)/ f(t)dt=;3!;xÜ`+nx를 만족시


따라서 g(x)는 x=;2#;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g(x)의 최댓값은 g{;2#;}이다.
`f(x)-f(a)
227 lim 
x`Ú a x-a

:_/# tÛ`f(t)dt의 값을 구하시오. -18


=f '(a)
1
키고 f(1)=4일 때, lim
x`Ú -3 xÛ`-9
 (단, n은 자연수)
:)/ f(t)dt=;3!;xÜ`+n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xÛ`+n이므로 f(1)=4에서 n=3
F'(t)=tÛ`f(t)로 놓으면

:_/#`tÛ`f(t)dt= lim
F(x)-F(-3) F(x)-F(-3)
= lim [ ]
1 1
lim ´
x`Ú -3 xÛ`-9 x`Ú -3 xÛ`-9 x`Ú -3 x+3 x-3
208 Ⅲ. 적분 =-;6!;F'(-3)=-;6!;´9f(-3)=-18
정답과 풀이 121쪽

실력
df(t)
함수 f(x)가 f(x)-xÛ`+2ax=3:)a [2+ ]dt를 만족시키고
생각해 봅시다!
228 dt df(t)
=f '(t)이므로
dt
:)a {2+f '(t)}dt=k
f(0)=0일 때, 양수 a의 값을 구하시오. 2

:)a [2+
df(t)
]dt=:)a {2+f '(t)}dt=k(k는 상수)로 놓으면 f(x)=xÛ`-2ax+3k
dt
(k는 상수)로 놓는다.
이때 f(0)=0이므로 k=0
∴ k=:)a {2+f '(t)}dt=:)a (2+2t-2a)dt=[2t+tÛ`-2at]a)=-aÛ`+2a=0
a는 양수이므로 a=2

229 함수 f(x)=-xÜ`+;2#;xÛ`+6x-k에 대하여 함수 G(x)=:!/ f(t)dt가 극

M
솟값을 갖도록 하는 정수 k의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 할 때, 의
m
값은?

① -5 ② -4 ✔ ③ -3 ④ -2 ⑤ -1
G(x)=:!/ f(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G'(x)=f(x)=-xÜ`+;2#;xÛ`+6x-k
최고차항의 계수가 음수인 사차함수 G(x)가 극솟값을 가지려면 f(x)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부호가 달라야 한다.
한편, f '(x)=-3xÛ`+3x+6=-3(x+1)(x-2)=0에서 x=-1 또는 x=2이므로
f(-1)_f(2)={1+;2#;-6-k}(-8+6+12-k)<0   ∴ -;2&;<k<10
M 9
따라서 정수 k의 최댓값은 M=9, 최솟값은 m=-3이므로 = =-3
m -3
[ 교육청기출 ]

230 양수 a, b에 대하여 함수 f(x)=:)/ (t-a)(t-b)dt가 다음 조건을 만족 함수 f(x)는 x=;2!;에서

극값을 갖는다.
시킬 때, a+b의 값을 구하시오. 2
⇨ f '{;2!;}=0

㈎ 함수 f(x)는 x=;2!;에서 극값을 갖는다.

㈏ f(a)-f(b)=;6!;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x-a)(x-b)이므로 f '(x)=0에서 x=a 또는 x=b


조건 ㈎에서 a=;2!; 또는 b=;2!;
(a-b)Ü`
f(a)-f(b)=:)a (t-a)(t-b)dt-:)b (t-a)(t-b)dt=:Ba (t-a)(t-b)dt=- =;6!;   ∴ a-b=-1
6
이때 b=;2!;이면 조건에 모순이므로 a=;2!;, b=;2#;   ∴ a+b=2

`f(x)-:@/ f(t)dt
231 다항함수 f(x)가 lim  =;2!; 을 만족시킬 때, f '(2)의 값
x`Ú 2 xÜ`-8
은?

① 0 ② 2 ③ 4 ✔ ④ 6 ⑤8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하면

 f(x)-:@/ f(t)dt :@/ f(t)dt


 f(x)  f(x)-f(2) F(x)-F(2)
lim   =lim [ - ]=lim [ - ]
x`Ú 2 xÜ`-8 x`Ú 2 xÜ`-8 xÜ`-8 x`Ú 2 xÜ`-8 xÜ`-8
 f(x)-f(2) F(x)-F(2)
=lim [ ]-lim[ ]
1 1
  ´ ´
x`Ú 2 x-2 xÛ`+2x+4 x`Ú 2 x-2 xÛ`+2x+4
  =;1Á2;f '(2)-;1Á2;F'(2)=;1Á2;f '(2)-;1Á2;f(2)=;1Á2;f '(2)=;2!; (∵ f(2)=0)
∴ f '(2)=6
2. 정적분 209
Take a Break

사랑의 열병
세상에는 마음대로 할 수 없는 일이 많지만, 그중에서도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는 일만큼 자신의
의지대로 되지 않는 것은 없는 것 같습니다.
여기, 사랑의 쓰라림을 겪은 사람이 있다고 합시다.
그 사람은 다시는 사랑하지 않겠노라고 단단히 결심을 합니다.
하지만 그 결심이 평생 흔들리지 않는다는 보장을 할 수 없죠.
‘그렇게 큰 아픔을 겪었는데, 그 미친 짓을 왜 또 해?’
그렇게 넌더리를 치다가도 어느 순간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고는 깜짝 놀라게 될 때
도 있을 것입니다.
사랑이 당신에게 그렇게 요구하면 순종하기를 바랍니다.
설사 다시 한 번 아픔을 겪는다 해도, 사랑 없는 빈껍데기 인생을 사는 것보다는 나으니까요.

「내 삶을 기쁘게 하는 모든 것들」 중에서


Ⅲ 적분

1. 부정적분
2. 정적분
3. 정적분의 활용
Ⅲ 적분 3. 정적분의 활용

01
개념원리 이해
넓이 ⑴
3. 정적분의 활용

1. 곡선과 x축 사이의 넓이 필수예제 1, 2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곡선 y=f(x)와 x축 및 두 직선 x=a, x=b로 둘
러싸인 도형의 넓이 S는

   S=:Ab |`f(x)|dx

Z Z Z
ZG Y
ZG Y

B C
0 Y

0 B D 4m C Y

0 B C Y ZG Y

aÉxÉb에서 f(x)¾0 aÉxÉb에서 f(x)É0 S=SÁ+Sª

S=:Ab``f(x)dx S=-:Ab``f(x)dx =:Ac``f(x)dx-:Cb``f(x)dx

① ‌닫힌구간 [a, b]에서 `f(x)É0일 때, -f(x)¾0이고 두 곡선 y=f(x), y=-f(x)는 `x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구
하는 넓이 S는

S=:Ab``{-f(x)}dx=-:Ab``f(x)dx

② S=SÁ+Sª를 절댓값 기호를 써서 다음과 같이 하나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SÁ+Sª=:Ac``f(x)dx+:Cb`{-f(x)}dx=:Ac``|`f(x)|dx+:Cb``|`f(x)|dx=:Ab``|`f(x)|dx

③ f(x)¾0이면 (정적분의 값)=(넓이), f(x)<0이면 (정적분의 값)+(넓이)

2. 두 곡선 사이의 넓이 필수예제 3, 4

두 함수 f(x), g(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Z


ZG Y

두 곡선 y=f(x), y=g(x) 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는

   S=:Ab``|`f(x)-g(x)|dx
ZH Y

0 B C Y

① S=:Ab {(위 식)-(아래 식)}dx

② f(x)¾g(x)¾0일 때, S는 곡선 y=f(x)와 x축 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에서 곡선


y=g(x)와 x축 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뺀 것이다.
③ 두 그래프가 x축보다 위쪽에 있든, 아래쪽에 있든, x축을 사이에 두고 있든 두 곡선 사이의 넓이의 식은 변함이 없다.

212 Ⅲ. 적분
설명 ‌두 함수 f(x)와` g(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두 곡선 y=f(x), y=g(x) 및 두 직선 x=a, x=b로 둘
러싸인 도형의 넓이 S를 구해 보자.
⑴ Ú f(x)¾g(x)¾0일 때 Z
구하는 넓이 S는 ZG Y

   S=:Ab``f(x)dx-:Ab``g(x)dx
4
ZH Y

   =:Ab``{`f(x)-g(x)}dx   yy`㉠

0 B C Y

Û `f(x)¾g(x)이고
‌ f(x) 또는 g(x)가 음의 값을 가질 때  Z
ZG Y
N
두 곡선 y=f(x), y=g(x)를 y축의 양의 방향으로 적당히 m만큼 평행이
동하여 f(x)+m¾g(x)+m¾0이 되게 할 수 있다.
4
이때 두 곡선이 평행이동하여도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변하지 않으므로 S는 ZH Y
N

두 곡선 y=f(x)+m, y=g(x)+m 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ZG Y

도형의 넓이와 같다. ZH Y

4
따라서 구하는 넓이 S는 0 B Y
C
S=:Ab``{`f(x)+m}dx-:Ab``{ g(x)+m}dx

=:Ab``[{`f(x)+m}-{ g(x)+m}]dx

=:Ab``{`f(x)-g(x)}dx

따라서 f(x), g(x)의 양, 음에 관계없이 `f(x)¾g(x)이면 ㉠이 성립한다.


⑵ ‌두 곡선 y=f(x)와 y=g(x)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두 곡선으로 둘러 Z ZG Y

싸인 도형의 넓이 S는
   S=SÁ+Sª 4m

aÉxÉc일 때, f(x)¾g(x)이므로
ZH Y

   SÁ=:Ac``{`f(x)-g(x)}dx
0 B D C Y
cÉxÉb일 때, f(x)Ég(x)이므로

   Sª=:Cb``{`g(x)-f(x)}dx

   ∴ S=:Ac``{`f(x)-g(x)}dx+:Cb``{ g(x)-f(x)}dx

=:Ac``|f(x)-g(x)|dx+:Cb``| f(x)-g(x)|dx=:Ab``|f(x)-g(x)|dx

KEY
Point  두 곡선 사이의 넓이를 구할 때
Ú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한다.

Û ‌각 구간별로 :Ab {(위 식)-(아래 식)}dx를 이용하여 정적분의 값을 구한다.

Ü 각 구간별로 구한 정적분의 값을 더하여 넓이를 구한다.

3. 정적분의 활용 213
개념원리 이해

보충학습

1. 넓이를 구할 때 사용되는 특수한 공식들

포물선과 직선 또는 포물선과 포물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할 때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이용하여 쉽게 구할 수 있다.
⑴ 포물선과 x축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날 때
‌포물선 y=axÛ`+bx+c와 x축이 서로 다른 두 점에 ZBY™ CY D

서 만날 때, 교점의 x좌표를 a, b(a<b)라 하면 포 = > Y


= >
물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는 Y
ZBY™ CY D
|a|(b-a)Ü`
   S=
6
⑵ 포물선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날 때
‌포물선 y=axÛ`+bx+c와 직선 y=mx+n이 서로 ZBY™ CY D ZBY™ CY D

다른 두 점에서 만날 때, 교점의 x좌표를 a, b(a<b) Y O


ZN Z
NY
O
라 하면 포물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는
|a|(b-a)Ü`
   S= = > Y =
6 > Y

⑶ 포물선과 포물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날 때


‌두 포물선 y=axÛ`+bx+c, y=a'xÛ`+b'x+c'이 서로 다른 ZBY™ CY D

두 점에서 만날 때, 교점의 x좌표를 a, b(a<b)라 하면 두 포


물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는 ZBY™ CY D

|a-a'|(b-a)Ü`
   S=
6 = > Y

증명 ⑴ 방정식 axÛ`+bx+c=0(a+0)의 두 실근이 a, b(a<b)이므로


axÛ`+bx+c=a(x-a)(x-b)

∴ S=:òÕ`|axÛ`+bx+c|dx

=:òÕ`|a(x-a)(x-b)|dx

=|a|:òÕ`{-(x-a)(x-b)}dx

=-|a|:òÕ`{xÛ`-(a+b)x+ab}dx

=-|a|[;3!;xÜ`-;2!;(a+b)xÛ`+abx]Õò

=-|a|[;3!;(bÜ`-aÜ`)-;2!;(a+b)(bÛ`-aÛ`)+ab(b-a)]

|a|
=- (b-a){2(bÛ`+ab+aÛ`)-3(a+b)Û`+6ab}
6
|a| |a|(b-a)Ü`
= (b-a)(bÛ`-2ab+aÛ`)=
6 6
같은 방법으로 하면 ⑵, ⑶의 공식도 증명할 수 있다.

214 Ⅲ. 적분
특강
곡선과 y축 사이의 넓이 (교육과정 外)
3. 정적분의 활용

1. 곡선과 y축 사이의 넓이
함수 g(y)가 닫힌구간 [c, d]에서 연속일 때, 곡선 x=g(y)와 y축 및 두 직선 y=c, y=d로 둘
러싸인 도형의 넓이 S는

   S=:Cd | g(y)|dy

Z Z Z
E YH Z

E YH Z
YH Z
E
4m
F
D D 4„
D
0 Y 0 Y 0 Y

cÉyÉd에서 g(y)¾0 cÉyÉd에서 g(y)É0 S=SÁ+Sª

S=:Cd``g(y)dy S=-:Cd``g(y)dy =:Ce``g(y)dy-:Ed``g(y)dy

① ‌닫힌구간 [c, d]에서 `g(y)É0일 때, 즉 곡선이` y축의 왼쪽에 있으면 ‘-’를 붙여서 S=-:Cd``g(y)dy라 해야 한다.

② S=SÁ+Sª를 절댓값 기호를 써서 다음과 같이 하나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SÁ+Sª=:Ce``g(y)dy+:Ed``{-g(y)}dy=:Ce``|`g(y)|dy+:Ed``|`g(y)|dy=:Cd``|`g(y)|dy

특강 곡선과 y축 사이의 넓이
1
곡선 x=-yÛ`+9와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풀이 곡선 x=-yÛ`+9와 y축과의 교점의 y좌표는


-yÛ`+9=0에서 (y+3)(y-3)=0   ∴ y=-3 또는 y=3
따라서 곡선 x=-yÛ`+9와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오른쪽 그림 Z

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YZ™ 


-3ÉyÉ3에서 x¾0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3#`(-yÛ`+9)dy=[-;3!;yÜ`+9y]3_#=36
0  Y


확인 202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x=y(y-k)Û`과 y축으로 둘러 Z


체크 싸인 도형의 넓이가 12일 때, 양수 k의 값을 구하시오. 2'3
YZ ZL
™
L

0 Y

3. 정적분의 활용 215
개념원리 익히기
생각해 봅시다!
203 다음은 곡선 y=-xÛ`+2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과정
곡선과 x축 사이의 넓이
이다.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빈칸에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오.

곡선 y=-xÛ`+2x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Z


ZY™ Y
x= 0 또는 x= 2  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
2
0  Y
`(-xÛ`+2x)dx= ;3$;
0

204 다음은 곡선 y=xÛ`-4x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곡선과 직선 사이의 넓이

과정이다.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빈칸에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오.

곡선 y=xÛ`-4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 Z ZY™ Y


ZY
표는 x= 0 또는 x= 3  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 `{-x-( 

3 0 Y
xÛ`-4x  )}dx

=:) ` (  -xÛ`+3x  )dx= ;2(;

205 다음은 두 곡선 y=xÛ`+x, y=-2xÛ`+x+3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두 곡선 사이의 넓이

구하는 과정이다.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빈칸에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오.

두 곡선 y=xÛ`+x, y=-2xÛ`+x+3의 교점 Z ZY™ Y

의 x좌표는 x= -1 또는 x= 1  이므로 구
하는 넓이는

:` 1 {(  -2xÛ`+x+3  )-(xÛ`+x)}dx  0  Y

=:` 1`  ( 
-1
ZY™ Y 
-3xÛ`+3  )dx= 4
-1

216 Ⅲ. 적분
필수예제 01 곡선과 x축 사이의 넓이 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26쪽

다음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⑴ y=xÛ`-2x-3 ⑵ y=xÜ`-4xÛ`+3x

풀이 ⑴ 곡선 y=xÛ`-2x-3과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Z ZY™ Y


xÛ`-2x-3=0에서 (x+1)(x-3)=0   ∴ x=-1 또는 x=3
0
‌따라서 곡선 y=xÛ`-2x-3과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오른쪽 그림의 색   Y
칠한 부분과 같다.
-1ÉxÉ3에서 yÉ0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3! (xÛ`-2x-3)dx=-[;3!;xÜ`-xÛ`-3x]3_!=:£3ª:

⑵ 곡선 y=xÜ`-4xÛ`+3x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Z ZYš Y™ Y


xÜ`-4xÛ`+3x=0에서 x(x-1)(x-3)=0  
∴ x=0 또는 x=1 또는 x=3
0   Y
‌따라서 곡선 y=xÜ`-4xÛ`+3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0ÉxÉ1에서 y¾0, 1ÉxÉ3에서 yÉ0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1` (xÜ`-4xÛ`+3x)dx-:!3` (xÜ`-4xÛ`+3x)dx

=[;4!;xÝ`-;3$;xÜ`+;2#;xÛ`]1)-[;4!;xÝ`-;3$;xÜ`+;2#;xÛ`]3!=;1#2&;

|1|{3-(-1)}Ü`
다른풀이 ⑴ 공식을 이용하면 S= =:£3ª:
6

KEY
Point  곡선 y=f(x)와 x축 사이의 넓이
‌Ú 곡선과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한 후 그래프를 그린다. Z
ZG Y

Û y¾0인 구간과 yÉ0인 구간으로 나누어 정적분의 값을 구한다.


B 4„
⇨ S=SÁ+Sª=:Ab``f(x)dx-:Bc``f(x)dx 0 C 4m D Y

확인 206 다음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체크
⑴ y=-xÛ`+6x-8 ;3$; ⑵ y=xÛ`-2x-8 36

⑶ y=xÜ`-xÛ`-2x ;1#2&; ⑷ y=-xÜ`-3xÛ`+x+3 8

207 곡선 y=-xÛ`+kx(k<0)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36일 때, 상수 k의 값을 구


하시오. -6

3. 정적분의 활용 217
필수예제 02 곡선과 x축 사이의 넓이 ⑵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26쪽

다음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⑴ 곡선 y=xÛ`-6x+5와 x축 및 두 직선 x=3, x=6으로 둘러싸인 도형


⑵ 곡선 y=-2xÛ`+x+1과 x축 및 직선 x=-1로 둘러싸인 도형

풀이 ⑴ 곡선 y=xÛ`-6x+5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Z ZY™ Y 


xÛ`-6x+5=0에서 (x-1)(x-5)=0 
∴ x=1 또는 x=5
따라서 곡선 y=xÛ`-6x+5와 x축 및 두 직선 x=3, x=6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0   Y
3ÉxÉ5에서 yÉ0, 5ÉxÉ6에서 y¾0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5 (xÛ`-6x+5)dx+:%6 (xÛ`-6x+5)dx

=-[;3!;xÜ`-3xÛ`+5x]5#+[;3!;xÜ`-3xÛ`+5x]6%=:ª3£:

⑵ 곡선 y=-2xÛ`+x+1과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Z

-2xÛ`+x+1=0에서 2xÛ`-x-1=0, (2x+1)(x-1)=0 


ZY™ Y 

∴ x=-;2!; 또는 x=1
 
0 Y
따라서 곡선 y=-2xÛ`+x+1과 x축 및 직선 x=-1로
Æ
둘러싸인 부분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1ÉxÉ-;2!;에서 yÉ0, -;2!;ÉxÉ1에서 y¾0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 (-2xÛ`+x+1)dx+: 1 `(-2xÛ`+x+1)dx


-;2!;

` ;
-;2!

-;2!;
=-[-;3@;xÜ`+;2!;xÛ`+x]_! +[-;3@;xÜ`+;2!;xÛ`+x]1 `=;1!2(;
` ;
-;2!

확인 208 곡선 y=xÛ`-3x+2와 x축 및 직선 x=3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1


체크

209 0보다 작은 정수 a에 대하여 곡선 y=-xÛ`+3x와 x축 및 직선 x=a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Á3»:일 때, a의 값을 구하시오. -1

218 Ⅲ. 적분
필수예제 03 곡선과 직선 사이의 넓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27쪽

다음 곡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⑴ y=xÛ`-1, y=-x+1
⑵ y=xÜ`-3xÛ`+3x, y=x

풀이 ⑴ 곡선 y=xÛ`-1과 직선 y=-x+1의 교점의 x좌표는 Z ZY™ 


xÛ`-1=-x+1에서 xÛ`+x-2=0, (x+2)(x-1)=0 
∴ x=-2 또는 x=1
오른쪽 그래프에서 -2ÉxÉ1일 때, xÛ`-1É-x+1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1@{(-x+1)-(xÛ`-1)}dx=:_1@`(-xÛ`-x+2)dx
 0  Y
ZY 

=[-;3!;xÜ`-;2!;xÛ`+2x]1_@=;2(;

⑵ 곡선 y=xÜ`-3xÛ`+3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Z ZYš Y™ Y ZY


xÜ`-3xÛ`+3x=x에서 xÜ`-3xÛ`+2x=0, x(x-1)(x-2)=0
∴ x=0 또는 x=1 또는 x=2 

오른쪽 그래프에서 0ÉxÉ1일 때, xÜ`-3xÛ`+3x¾x, 


1ÉxÉ2일 때, xÜ`-3xÛ`+3xÉx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1`{(xÜ`-3xÛ`+3x)-x}dx+:!2` {x-(xÜ`-3xÛ`+3x)}dx
0   Y

=:)1 (xÜ`-3xÛ`+2x)dx+:!2` (-xÜ`+3xÛ`-2x)dx

=[;4!;xÝ`-xÜ`+xÛ`]1)+[-;4!;xÝ`+xÜ`-xÛ`]2!=;2!;

|1|{1-(-2)}Ü`
다른풀이 ⑴ 공식을 이용하면 S= =;2(;
6

KEY
Point  곡선과 직선 사이의 넓이
⇨ ‌곡선과 직선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하여 적분 구간을 정한 다음 {(위 식)-(아래 식)}의 정적분의 값을
구한다.

확인 210 다음 곡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체크
⑴ y=-2xÛ`+x+4, y=x+2 ;3*; ⑵ y=xÜ`-6xÛ`+9x, y=x 8

211 곡선 y=xÛ`-2x와 직선 y=a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2(;일 때, 양수 a의 값을 구하시오. 1

3. 정적분의 활용 219
필수예제 04 두 곡선 사이의 넓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27쪽

다음 두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⑴ y=xÛ`-2, y=2+2x-xÛ`
⑵ y=xÜ`+2xÛ`-2, y=-xÛ`+2

풀이 ⑴ 두 곡선 y=xÛ`-2, y=2+2x-xÛ`의 교점의 x좌표는 Z ZY™ 


xÛ`-2=2+2x-xÛ`에서 xÛ`-x-2=0, (x+1)(x-2)=0
∴ x=-1 또는 x=2 
오른쪽 그래프에서 -1ÉxÉ2일 때, xÛ`-2É2+2x-xÛ`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0  Y

S=:_2!`{(2+2x-xÛ`)-(xÛ`-2)}dx 

=:_2!`(-2xÛ`+2x+4)dx
Z YY™

=[-;3@;xÜ`+xÛ`+4x]2_!

=9
⑵ 두 곡선 y=xÜ`+2xÛ`-2, y=-xÛ`+2의 교점의 x좌표는 Z ZYš Y™ 
xÜ`+2xÛ`-2=-xÛ`+2에서 xÜ`+3xÛ`-4=0 

(x+2)Û`(x-1)=0   ∴ x=-2 또는 x=1


오른쪽 그래프에서 -2ÉxÉ1일 때, xÜ`+2xÛ`-2É-xÛ`+2 
0  Y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1@`{(-xÛ`+2)-(xÜ`+2xÛ`-2)}dx

=:_1@`(-xÜ`-3xÛ`+4)dx
ZY™ 

=[-;4!;xÝ`-xÜ`+4x]1_@

=:ª4¦:

|1-(-1)|{2-(-1)}Ü`
다른풀이 ⑴ 공식을 이용하면 S= =9
6

확인 212 다음 두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체크
⑴ y=xÜ`, y=3xÛ`-4 :ª4¦: ⑵ y=xÜ`-3xÛ`-x+3, y=xÛ`-2x-3 :¦6Á:

213 두 곡선 y=;2!;xÛ`, y=-;2!;xÛ`+x 및 직선 x=2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1

220 Ⅲ. 적분
02
개념원리 이해
넓이 ⑵
3. 정적분의 활용

1. 곡선과 접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필수예제 5

곡선 y=f(x)와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할 때


Ú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이때 접선의 기울기는 f '(a)이다.
Û 곡선과 접선을 그려 적분 구간에서 {(위 식)-(아래 식)}의 정적분의 값을 구한다.

‌삼차곡선 y=axÜ`+bxÛ`+cx+d(a+0)와 그 접선 y=mx+n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Z


만날 때, 교점의 x좌표를 a, b(a<b)라 하면 곡선과 접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는 ZBYš CY™ DY E

|a|(b-a)Ý`
   S= Y O
12 ZN

0 = > Y

2. 넓이가 같을 때 필수예제 7

⑴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 ⑵ 두 곡선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를


를 각각 SÁ, Sª라 할 때 각각 SÁ, Sª라 할 때
ZG Y
ZG Y

ZH Y

4„ 4„
B D 4m C Y 4m

B D C Y

SÁ=Sª이면
 SÁ=Sª이면


:Ab f(x)dx=0 :Ab {`f(x)-g(x)}dx=0

설명 ⑴ SÁ=:Ac``f(x)dx이고` Sª=-:Cb``f(x)dx이므로 SÁ=Sª에서

    :Ac``f(x)dx=-:Cb``f(x)dx

    :Ac``f(x)dx+:Cb``f(x)dx=0

    ∴ :Ab``f(x)dx=0

예 삼차함수 f(x)=xÜ`-6xÛ`+8x에 대하여 정적분 :)4 f(x)dx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xÜ`-6xÛ`+8x=0에서 x(x-2)(x-4)=0   ∴ x=0 또는 x=2 또는 x=4

삼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점 (2, 0)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4 f(x)dx=0

3. 정적분의 활용 221
개념원리 이해

3. 역함수와 넓이의 관계 필수예제 10

함수 y=f(x)와 그 역함수 y=g(x)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함수 y=f(x)의 그래프


와 그 역함수 y=g(x)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임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⑴ ‌함수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Z ZG Y

ZY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y=f(x)와 그 역함수 y=g(x)의 그래 ZH Y

프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는 직선 y=x와 곡선 y=f(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의 2배이다.

   S=2:òÕ |x-f(x)|dx 0 = > Y

⑵ 역함수의 그래프와 좌표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Z ZG Y

ZY
B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y=f(x)의 역함수 y=g(x)의 그래
#
프와 x축 및 직선 x=a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A는
ZH Y

C
   A=B=ab-:)b f(x)dx
"
0 C B Y

설명 ⑴ ‌곡선 y=f(x)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Á, 곡선 y=g(x)와 직 Z ZG Y

ZY
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ª라 하면 함수 y=f(x)의 그래프와 역함수
4m ZH Y

y=g(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SÁ=Sª
‌S=SÁ+Sª이므로 함수 y=f(x)와 그 역함수 y=g(x)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4„

도형의 넓이는 직선 y=x와 곡선 y=f(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의 2배이다. 0 = > Y

즉,

   S=:òÕ |`f(x)-g(x)|dx=2:òÕ |x-f(x)|dx=2:òÕ |g(x)-x|dx

⑵ ‌함수 y=f(x)의 역함수 y=g(x)의 그래프와 x축 및 직선 x=a로 둘러싸인 Z ZG Y

ZY
도형의 넓이를 A, 함수 y=f(x)의 그래프와 y축 및 직선 y=a로 둘러싸인 도 B

형의 넓이를 B라 하면 함수 y=f(x)의 그래프와 역함수 y=g(x)의 그래프는 #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ZH Y

C
   A=B "
‌따라서 함수 y=f(x)의 역함수 y=g(x)의 그래프와 x축 및 직선 x=a로 둘 0 C B Y

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A=B=(빗금 친 사각형의 넓이)-(곡선 y=f(x)와 x축, y축 및 직선 x=b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ab-:)b f(x)dx

222 Ⅲ. 적분
필수예제 05 곡선과 접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28, 129쪽

곡선 y=xÜ`+2 위의 점 (1, 3)에서 접하는 직선을 이 곡선에 그을 때, 직선과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설명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a)이다.

풀이 f(x)=xÜ`+2라 하면 f '(x)=3xÛ``   ∴ f '(1)=3 Z ZY


ZYš 
따라서 점 (1,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3=3(x-1)   ∴ y=3x

곡선 y=xÜ`+2와 직선 y=3x의 교점의 x좌표는 0 Y
xÜ`+2=3x에서 (x-1)Û`(x+2)=0  
∴ x=1 또는 x=-2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1@`{(xÜ`+2)-3x}dx

=[;4!;xÝ`-;2#;xÛ``+2x]1_@

=:ª4¦:

|1|{1-(-2)}Ý`
다른풀이 공식을 이용하면 S= =:ª4¦:
12

KEY
Point  곡선과 접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Ú 곡선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Û 곡선과 접선의 위치 관계를 파악한 후 곡선과 접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한다.

확인 214 곡선 y=xÛ`-1과 이 곡선 위의 점 (2, 3)에서의 접선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체크 구하시오. ;3*;

215 곡선 y=xÜ`-3xÛ`+x+4 위의 점 (0, 4)에서 접하는 직선을 이 곡선에 그을 때, 직선과 곡


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ª4¦:

3. 정적분의 활용 223
필수예제 06 절댓값이 있을 때의 넓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28쪽

곡선 y=|xÛ`-1|과 직선 y=1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설명 y=|`f(x)|의 그래프 ⇨ y=f(x)의 그래프에서 x축의 아랫부분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다.

`xÛ`-1 (xÉ-1 또는 x¾1)


풀이 y=|xÛ`-1|=[   Z Z]Y™ ]
-xÛ`+1 (-1ÉxÉ1)
Ú xÉ-1 또는 x¾1일 때
곡선 y=xÛ`-1과 직선 y=1의 교점의 x좌표는  Z

xÛ`-1=1에서 xÛ`=2  
  0   Y
∴ x=-'2 또는 x='2
Û -1ÉxÉ1일 때
곡선 y=-xÛ`+1과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xÛ`+1=0에서 xÛ`=1  
∴ x=-1 또는 x=1
그런데 y=|xÛ`-1|의 그래프와 직선 y=1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2 [:)1`{1-(-xÛ`+1)}dx+:! {1-(xÛ`-1)}dx]
'2

'2
=2[:)1 xÛ``dx+:! (-xÛ`+2)dx]

=2{[;3!;xÜ`]1)+[-;3!;xÜ`+2x]! }=;3*;('2-1)
'2`

KEY
Point  y=|`f(x)|의 그래프와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Ú y=f(x)의 그래프에서 x축의 아랫부분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켜 그래프를 그린다.
Û 적분 구간을 나누어 정적분을 계산한다.

확인 216 곡선 y=|2xÛ`+2x|와 x축 및 직선 x=-2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2


체크

217 곡선 y=|x(x-1)|과 직선 y=x+3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3Á:

224 Ⅲ. 적분
필수예제 07 두 도형의 넓이가 같을 때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29쪽

k>1일 때, 곡선 y=x(x-1)(x-k)와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게 되


도록 하는 상수 k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곡선 y=x(x-1)(x-k)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ZY Y


YL

Z
x(x-1)(x-k)=0에서 x=0 또는 x=1 또는 x=k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아야 하므로

:)k``x(x-1)(x-k)dx=0
0  L Y

:)k``{xÜ`-(k+1)xÛ`+kx}dx=[;4!;xÝ`- xÜ`+;2!;kxÛ`]k)=0
k+1

3
(k+1)kÜ`
;4!;kÝ`- +;2!;kÜ`=0
3
kÜ`(k-2)=0   ∴ k=2 (∵ k>1)

KEY
Point 두 도형의 넓이가 같을 때 ZG Y

⇨ 오른쪽 그림에서 SÁ=Sª이면 :Ac``f(x)dx=0


4„ C
B 4m D Y

확인 218 곡선 y=x(x-4)(x-2a)와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을 때, 상수 a의 값


체크 을 구하시오. (단, a>2) 4

219 두 곡선 y=x(k-x)와 y=xÛ`(k-x)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게 되도록 하는 상


수` k의 값을 구하시오. (단, k>1) 2

220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xÛ`-6x+a와 x축 및 y축으로 둘 Z ZY™ Y B

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A, 이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B라 할 때, A`:`B=1`:`2이다. 이때 상수 a의 값을 구하
"
시오. 6
Y
0 #

3. 정적분의 활용 225
필수예제 08 넓이를 이등분할 때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30쪽

곡선 y=-xÛ`+4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직선 y=ax가 이등분하도록 하


는 a의 값을 구하시오. (단, a는 실수)

풀이 곡선 y=-xÛ`+4x와 직선 y=ax의 교점의 x좌표는 Z


ZBY
-xÛ`+4x=ax에서 x(x+a-4)=0
∴ x=0 또는 x=4-a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S=:)4`(-xÛ`+4x)dx=[-;3!;xÜ`+2xÛ`]4)=:£3ª:

0 B Y

곡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Á이라 하면

SÁ=:)4` - `a (-xÛ`+4x-ax)dx=:)4` - `a {-xÛ`+(4-a)x}dx


ZY™ Y

xÛ`]4) - `a` =;6!;(4-a)Ü`
4-a
=[-;3!;xÜ`+
2

S=2SÁ이므로` :£3ª:=2´;6!;(4-a)Ü`

(4-a)Ü`=32   ∴ a=4-2 Ü'4

KEY
Point  곡선 y=f(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가 곡선 y=g(x)에 Z
ZG Y

의하여 이등분되면

⇨ :)a |`f(x)-g(x)|dx=;2!;S
ZH Y

0 B Y

확인 221 곡선 y=-xÛ`+2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직선 y=ax에 의하여 이등분될


체크 때, (2-a)Ü`의 값을 구하시오. (단, a는 실수) 4

222 직선 y=ax와 곡선 y=xÛ`-3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x축에 의하여 이등분되도록 하


는 a의 값을 구하시오. (단, a는 실수) 3(Ü'2-1)

226 Ⅲ. 적분
필수예제 09 넓이가 최소일 때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33쪽

곡선 y=xÛ`-x-2와 직선 y=a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상수


a의 값과 그때의 넓이를 각각 구하시오.

풀이 곡선과 직선의 교점의 x좌표를` a, b(a<b)라 하면 a, b는 방정식 Z ZY™ Y


xÛ`-x-2=ax, 즉` xÛ`-(a+1)x-2=0의 두 근이다.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a+1, ab=-2
=
(b-a)Û`=(b+a)Û`-4ab=(a+1)Û`-4´(-2)=aÛ`+2a+9 0 > Y
∴ b-a="ÃaÛ`+2a+9="Ã(a+1)Û`+8 (∵ a<b) ZBY
곡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a)라 하면
(b-a)Ü`
S(a)=:òÕ {ax-(xÛ`-x-2)}dx=
6
;2#;
=;6!;{"Ã(a+1)Û`+8}Ü`=;6!;{(a+1)Û`+8}
8'2
따라서 도형의 넓이는 a=-1일 때 최소가 되고, 그때의 넓이는` S(-1)=;6!;´('8)Ü`=
3
8'2
∴ a=-1, (넓이)=
3

참고 곡선 y=axÛ`+bx+c와 직선 y=mx+n의 교점의 x좌표를 a, b`(a<b)라 하면


|a|(b-a)Ü`
곡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이다.
6

KEY
Point  넓이의 최솟값
Ú 곡선과 직선 사이의 넓이를 정적분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Û 이차함수의 최솟값을 이용하여 넓이의 최솟값을 구한다.

확인 223 곡선 y=xÛ`과 점 (1, 2)를 지나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체크 직선의 기울기를 구하시오. 2

224 곡선 y=xÛ`+2와 이 곡선 위의 점 (a, aÛ`+2)에서의 접선 및 y축, 직선 x=2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a의 값을 구하시오. 1

3. 정적분의 활용 227
한 걸음 더

필수예제 10 역함수의 그래프와 넓이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33쪽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함수 f(x)=xÜ`-2xÛ`+2x의 역함수를 g(x)라 할 때, 두 곡선 y=f(x)와 y=g(x)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⑵ ‌함수 f(x)=xÜ`+2x+1의 역함수를 g(x)라 할 때, :)1``f(x)dx+:!4``g(x)dx의

값을 구하시오.

설명 y=g(x)는 y=f(x)의 역함수이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풀이 ⑴ ‌두 곡선 y=f(x)와 y=g(x)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Z ZG Y

ZY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곡선 y=f(x)와 직선 y=x로 둘
러싸인 도형의 넓이의 2배와 같다.
곡선 y=xÜ`-2xÛ`+2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ZH Y

xÜ`-2xÛ`+2x=x에서 xÜ`-2xÛ`+x=0, x(x-1)Û`=0


∴ x=0 또는 x=1 0  Y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2:)1 {(xÜ`-2xÛ`+2x)-x}dx

=2:)1 (xÜ`-2xÛ`+x)dx

=2[;4!;xÝ`-;3@;xÜ`+;2!;xÛ`]1)=;6!;

⑵ f(x)=xÜ`+2x+1에서 f '(x)=3xÛ`+2>0 Z ZG Y

ZY
f(0)=1, f(1)=4 
‌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두 점 (0, 1), (1, 4)를 지나는 증가하 $

는 곡선이다.

‌오른쪽 그림에서 :)1``f(x)dx=A, :!4``g(x)dx=B, 빗금 친 부분


ZH Y

 "
#
0   Y
의 넓이를 C라 하면 B=C이므로

:)1``f(x)dx+:!4``g(x)dx=A+B=A+C=1´4=4

확인 225 함수 f(x)=2xÜ`+xÛ`+x의 역함수를 g(x)라 할 때, 두 곡선 y=f(x)와 y=g(x)로 둘


체크 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4Á8;

함수 f(x)=xÜ`+3의 역함수를 g(x)라 할 때, :)2``f(x)dx+:


f(2)
226 f(0)
`g(x)dx의 값을 구하

시오. 22

228 Ⅲ. 적분
정답과 풀이 123쪽

연습문제
STEP 1 생각해 봅시다!

232 곡선 y=xÜ`+xÛ`-2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pQ;라 할 때, p+q 곡선과 x축과의 교점의 x
좌표를 구한 후 그래프를
의 값을 구하시오. (단, p, q는 서로소인 자연수) 49 그린다.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0@`(xÜ`+xÛ`-2x)dx-:)1 (xÜ`+xÛ`-2x)dx=[;4!;xÝ`+;3!;xÜ`-xÛ`]0_@-[;4!;xÝ`+;3!;xÜ`-xÛ`]1)=;1#2&;
따라서 p=12, q=37이므로 p+q=49

233 곡선 y=x(x-3)Û` 과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8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2`{x(x-3)Û`-x}dx+:@4`{x-x(x-3)Û`}dx=:)2`(xÜ`-6xÛ`+8x)dx+:@4`(-xÜ`+6xÛ`-8x)dx

=[;4!;xÝ`-2xÜ`+4xÛ`]2)+[-;4!;xÝ`+2xÜ`-4xÛ`]4@=8

2'2
234 두 곡선 y=xÛ`, y=-xÛ`+1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3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 '21 `{(-xÛ`+1)-xÛ`}dx=:_ '21 `(-2xÛ`+1)dx=2:) '2 `(-2xÛ`+1)dx


1 1 1

'2 '2
1
2 2'2
=2[-;3@;xÜ`+x])'2 =2´ =
3'2 3

235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3x(x+1)|과 x축 Z]Y Y 


] Z 구간을 나누어서 넓이를 구
한다.
및 직선 x=-2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
오. 3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1``3x(x+1)dx-:_0!`3x(x+1)dx Y
  0
=:_-@1`(3xÛ`+3x)dx-:_0!`(3xÛ`+3x)dx

=[xÜ`+;2#;xÛ`]-_1@-[xÜ`+;2#;xÛ`]0_!
=3

236 두 곡선 y=xÛ`(x-3)과 y=ax(x-3) Z ZBY Y


다음 그림에서 SÁ=Sª이면

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 A, B의 넓이가 :Ab { f(x)-g(x)}dx=0

같을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2#; 0
 Y ZG Y

"
 (단, 0<a<3) #

4m
A, B의 넓이가 같으므로 ZH Y

:)3 {xÛ`(x-3)-ax(x-3)}dx=0, :)3 {xÜ`-(3+a)xÛ`+3ax}dx=0


ZY™ Y

B D C Y

[;4!;xÝ`- xÜ`+ xÛ`]3)=0, :¥4Á:-27-9a+:ª2¦:a=0   ∴ a=;2#;


3+a 3a
3 2

237 좌표평면 위의 점 A(1, -3)에서 곡선 y=2xÛ`+3에 그은 두 접선과 곡선


y=2xÛ`+3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라 할 때, 3S의 값을 구하시오. 32
곡선 y=2xÛ`+3 위의 접점의 좌표를 (a, 2aÛ`+3)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2aÛ`+3)=4a(x-a)
이 접선이 점 A(1, -3)을 지나므로 -3-(2aÛ`+3)=4a(1-a)   ∴ a=-1 또는 a=3
즉, 접선의 방정식은 y=-4x+1 또는 y=12x-15
∴ S=:_1!`{(2xÛ`+3)-(-4x+1)}dx+:!3 {(2xÛ`+3)-(12x-15)}dx

=:_1!`(2xÛ`+2)dx+:!3 (2xÛ`-12x+18)dx=[;3@;xÜ`+2x]1_!+[;3@;xÜ`-6xÛ`+18x]3!=:£3ª:

∴ 3S=3´:£3ª:=32
3. 정적분의 활용 229
정답과 풀이 124쪽
연습문제

STEP 2
[ 평가원기출 ]

238 함수 f(x)의 도함수 f '(x)가 f '(x)=xÛ`-1이고 Z ZG  Y


부정적분을 이용하여
f(x)를 구한다.
f(0)=0일 때, 곡선 y=f(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0  Y
① ;8(; ② ;4%; ③ :Á8Á: 

✔ ④ ;2#; ⑤ :Á8£:
f(x)=: (xÛ`-1)dx=;3!;xÜ`-x+C, f(0)=0에서 C=0이므로 f(x)=;3!;xÜ`-x=;3!;x(x-'3)(x+'3)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0` `{;3!;xÜ`-x}dx-:) `{;3!;xÜ`-x}dx=[;1Á2;xÝ`-;2!;xÛ`]00` -[;1Á2;xÝ`-;2!;xÛ`]) `=;2#;
` '3 ` '3

-'3 -'3

239 곡선 y=xÛ`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다음 다시 x축 Z ZY™ 조건에 따라 이동시킨다.

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5만큼 평행이동


한 곡선을 y=g(x)라 할 때, 두 곡선 y=xÛ`과
y=g(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9
곡선 y=xÛ`을 조건에 따라 이동시키면 g(x)=-(x+1)Û`+5 0 Y
ZH Y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1@`{-(x+1)Û`+5-xÛ`}dx=:_1@`(-2xÛ`-2x+4)dx=[-;3@;xÜ`-xÛ`+4x]1_@=9

240 곡선` y=xÜ`+3xÛ`-x-3 위의 점 (-3, 0)에서 이 곡선에 그은 접선과 이 접선의 방정식을 먼저 구한


다.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108
곡선 위의 점 (-3, 0)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8x+24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3# {(8x+24)-(xÜ`+3xÛ`-x-3)}dx=:_3#`(-xÜ`-3xÛ`+9x+27)dx

=2:)3 (-3xÛ`+27)dx=2`[-xÜ`+27x]3)=108

241 곡선 y=(x-a)(x-b)xÛ`과 직선 y=0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

을 때, :£aõ:의 값을 구하시오. (단, 0<a<b) 5

두 도형의 넓이가 같으므로 :)b (x-a)(x-b)xÛ`dx=0

:)b {xÝ`-(a+b)xÜ`+abxÛ`}dx=0, [;5!;xÞ`-


xÝ`+ xÜ`]b)=0, ;5!;bÞ`-
a+b ab a+b ab
´bÝ`+ ´bÜ`=0
4 3 4 3
60 3b 5a
b>0이므로 양변에 을 곱하면 12b-15(a+b)+20a=0, 5a=3b   ∴ = =5
bÝ` a a

242 오른쪽 그림은 함수 y=f(x)와 그 역함수 y=g(x) Z ZH Y

ZY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g(x)의 그
의 그래프이다. 두 그래프가 점 (1, 1)과 점 (3, 3)

에서 만나고 :!3 f(x)dx=:Á2:Á 일 때, 함수 y=f(x)


 래프는 직선 y=x에 대하
ZG Y

여 대칭이다.

와 그 역함수 y=g(x)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의
0   Y
넓이를 구하시오. 3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g(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구하는 넓이 S는
곡선 y=f(x)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의 2배이다.
∴ S=2:!3 {`f(x)-x}dx=2:!3 f(x)dx-2:!3 x`dx=2´:Á2Á:-2[;2!;xÛ`]3!=11-8=3

230 Ⅲ. 적분
정답과 풀이 125쪽

실력
생각해 봅시다!
243 곡선 f(x)=-xÜ`+ax+b 위의 점 (t, f(t))에서 그은 접선과 곡선

y=f(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3$;가 되도록 하는 양수 t의 값을 구하시

오. (단, a, b는 상수) ;3@;


곡선 위의 점 (t, f(t))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3tÛ`+a)x+2tÜ`+b
접선과 곡선 y=f(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S=:_t@T{(-3tÛ`x+ax+2tÜ`+b)-(-xÜ`+ax+b)}dx=:_t@T (xÜ`-3tÛ`x+2tÜ`)dx=:ª4¦:tÝ`

따라서 :ª4¦:tÝ`=;3$;에서 t>0이므로 t=;3@;

244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xÛ`-2x와 x축 및 직 Z


ZY™ Y y=xÛ`-2x의 그래프는 직
선 x=1에 대하여 대칭이
선 x=a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를 각각 SÁ, Sª
다.
라 할 때, SÁ=2Sª가 성립하기 위한 상수 a의 값을 4m
구하시오. (단, a>2) 1+'3 
0 B Y
곡선 y=xÛ`-2x와 두 직선 x=1, x=2 및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4„
Sª와 같다. 즉, :!a (xÛ`-2x)dx=0, [;3!;xÜ`-xÛ`]a!=0

;3!;aÜ`-aÛ`-{;3!;-1}=0, (a-1)(aÛ`-2a-2)=0   ∴ a=1 또는 a=1Ñ'3


그런데 a>2이므로 a=1+'3

245 곡선 y=-xÛ`+2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곡선 y=axÛ`에 의하


여 이등분될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단, a>0) -1+'2

곡선 y=-xÛ`+2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2 (-xÛ`+2x)dx=[-;3!;xÜ`+xÛ`]2)=;3$;

즉, :) a+1 `{(-xÛ`+2x)-axÛ`}dx=;3@;이므로 [- xÜ`+xÛ`])a+1 =;3@;,


2 2
a+1 4
=;3@;, (a+1)Û`=2
3 3(a+1)Û`
따라서 a=-1Ñ'2이고 a>0이므로 a=-1+'2

246 곡선 y=x(x-2)(x-a)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최소가 되는`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a)를 미분
상수 a의 값과 그때의 넓이를 각각 구하시오. (단, 0<a<2) a=1, (넓이)=;2!;
한다.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a)라 하면
S(a)=:)a x(x-2)(x-a)dx-:A2 x(x-2)(x-a)dx=-;6!;aÝ`+;3@;aÜ`-;3$;a+;3$;

S'(a)=-;3@;aÜ`+2aÛ`-;3$;=-;3@;(a-1)(aÛ`-2a-2)
교육청기출 ] 따라서 S(a)는 a=1에서 최소가 되고, 그때의 넓이는 S(1)=-;6!;+;3@;-;3$;+;3$;=;2!;
[ 
      

247 함수 f(x)=xÜ`+x-1의 역함수를 g(x)라 할 때, Z 함수 y=f(x)의 그래프와

:!9 g(x)dx의 값은?


ZG Y

그 역함수 y=g(x)의 그
래프를 이용한다.

① :¢4¦: ② :¢4»: ✔ ③ :°4Á: 0 Y




④ :°4£: ⑤ :°4°:

:!9 g(x)dx=2´9-1´1-:!2 f(x)dx=17-:!2 (xÜ`+x-1)dx


색칠한 두 부분의 넓이가 같으므로
 ZG Y
ZY

=17-[;4!;xÝ`+;2!;xÛ`-x]2!=17-:Á4¦:=:°4Á:

ZH Y



0    Y
3. 정적분의 활용 231
03
개념원리 이해
속도와 거리
3. 정적분의 활용

1.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의 위치와 움직인 거리 필수예제 11~13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가 v(t)이고 시각 t=a에서의 점 P의 위치가


x¼일 때
⑴ 시각 t에서 점 P의 위치 x는

   x=x¼+:At``v(t)dt   ← x¼은 출발점의 위치

⑵ 시각 t=a에서 t=b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은

   :Ab``v(t)dt

⑶ 시각 t=a에서 t=b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 s는

   s=:Ab``|v(t)|dt   ← 점 P가 움직인 거리의 총합을 뜻한다.

①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운동 방향에 관계없이 일정한 시간 동안에 경과한 거리를 말한다.


② 속도 v=0인 경우
•최고 높이에 도달할 때 •운동 방향을 바꿀 때 •정지할 때
③ v(t)>0이면 점 P는 양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v(t)<0이면 점 P는 음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설명 보충학습 1 참조

예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가 v(t)=tÛ`-4t+3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시각 t=1에서 점 P의 위치
⑵ 시각 t=0에서 t=2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
⑶ 시각 t=0에서 t=2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

풀이 ⑴ 0+:)1 v(t)dt=:)1 (tÛ`-4t+3)dt=[;3!;tÜ`-2tÛ`+3t]1)=;3$;

⑵ :)2 v(t)dt=:)2``(tÛ`-4t+3)dt=[;3!;tÜ`-2tÛ`+3t]2)=;3@;

⑶ :)2 |v(t)|dt=:)2`|tÛ`-4t+3|dt W U

W U
]U™ U ]

=:)1``(tÛ`-4t+3)dt+:!2``(-tÛ`+4t-3)dt

=[;3!;tÜ`-2tÛ`+3t]1)+[-;3!;tÜ`+2tÛ`-3t]2!=2


0    U

232 Ⅲ. 적분
보충학습

1. 물체의 위치의 변화량과 물체가 움직인 거리를 구해 보자.

우리는 앞에서 위치의 함수를 미분하면 속도의 함수가 됨을 공부하였다. 적분이 미분의 역연산임을
생각하고 속도의 함수를 적분하면 위치의 함수를 구할 수 있다.

6jjjjjjjjjj7
적분
위치 속도
미분
이제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물체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t)와 시각 t=a에서의 위치 x¼을 알 때,
⑴ ‌
이 물체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f(t)와 위치의 변화량을 구해 보자.

v(t)=;dDt;{;=f '(t)이므로 f(t)는 v(t)의 한 부정적분이다.

시각 t=a에서의 위치가 x¼이면 f(a)=x¼이므로

   :At``v(t)dt=f(t)-f(a)=f(t)-x¼   yy ㉠

   ∴ f(t)=x¼+:At``v(t)dt

또, 시각 t=a에서 t=b까지 물체의 위치의 변화량은 f(b)-f(a)이므로 ㉠에 t=b를 대입하면

   f(b)-f(a)=:Ab``v(t)dt

⑵ 어떤 자동차가 시각에 따라 움직인 경로가 다음과 같다고 하자.


N
U
U
N
U
N
U

자동차가 위와 같은 경로로 이동할 경우


t=0에서 t=15까지의 위치의 변화량: 10-20+5=-5(m)
[
t=0에서 t=15까지 움직인 거리: 10+20+5=35(m)
‌이처럼 위치의 변화량은 단순히 위치가 변화한 양을 나타내지만 실제로 움직인 거리는 말 그대로 양
의 방향이든 음의 방향이든 움직인 거리의 총합을 말하는 것이다.
‌움직인 거리는 항상 양수의 값을 갖지만 위치의 변화량은 음수가 나올 수도 있다. 위치의 변화량
이 음수라는 것은 처음 움직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였다는 뜻이다.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t)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 Z ZW U

과 같다고 하면 t=a에서 t=b까지 움직인 거리 s는 양의 방향으로



움직인 거리(SÁ의 넓이)와 음의 방향으로 움직인 거리(Sª의 넓이) C
0 B D U
의 합이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m

   s=:Ac``v(t)dt-:Cb``v(t)dt=:Ab |v(t)|dt

‌따라서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속도가 v(t)일 때, 점 P가 t=a에서 t=b까지 실제로 움

직인 거리는 :Ab``|v(t)|dt

3. 정적분의 활용 233
필수예제 11 직선 운동에서의 위치와 움직인 거리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30, 131쪽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가 v(t)=6tÛ`-18t+12이고 t=0일 때


의 점 P의 위치가 1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시각 t=2에서 점 P의 위치
⑵ 시각 t=1에서 t=3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
⑶ 시각 t=1에서 t=3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

풀이 ⑴ 시각 t=2에서 점 P의 위치를 x라 하면 t=0일 때의 점 P의 위치가 1이므로

x=1+:)2``(6tÛ`-18t+12)dt=1+[2tÜ`-9tÛ`+12t]2)=5

⑵ 시각 t=1에서 t=3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은

:!3``(6tÛ`-18t+12)dt=[2tÜ`-9tÛ`+12t]3!=4

⑶ 시각 t=1에서 t=3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W U

:!3 |6tÛ`-18t+12|dt
W U
]U™ U ]


=:!2``(-6tÛ`+18t-12)dt+:@3``(6tÛ`-18t+12)dt

=[-2tÜ`+9tÛ`-12t]2!+[2tÜ`-9tÛ`+12t]3@=6 0    U

KEY
Point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가 v(t)이고 시각 t=a에서의 점 P의 위치가 x¼일 때
 시각 t에서 점 P의 위치 ⇨ x¼+:At `v(t)dt

 시각 t=a에서 t=b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 ⇨ :Ab``v(t)dt

 시각 t=a에서 t=b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 ⇨ :Ab``|v(t)|dt

확인 227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가 v(t)=-tÛ`-t+6일


체크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점 P의 위치 :ª3ª:

⑵ 시각 t=0에서 t=3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 ;2(;

⑶ 시각 t=0에서 t=3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 :¤6Á:

228 철도 위를 24`m/s의 속도로 달리고 있는 어느 열차가 제동을 건 후 t초가 지났을 때의 속


도가 v(t)=24-2t(m/s)라 한다. 이 열차가 제동을 건 후로부터 정지할 때까지 달린 거
리를 구하시오. 144`m

234 Ⅲ. 적분
필수예제 12 상하 운동에서의 위치와 움직인 거리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30, 131쪽

지상 10`m의 높이에서 처음 속도 30`m/s로 똑바로 위로 발사한 물체의 t초 후의 속도


가 v(t)=30-10t(m/s)라 할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발사 후 5초가 지났을 때 물체의 지상으로부터의 높이


⑵ 이 물체가 최고 높이에 도달했을 때 지상으로부터의 높이
⑶ 발사 후 5초 동안 물체가 움직인 거리

설명 위로 발사한 물체가 최고 높이에 도달할 때의 속도는 v(t)=0이 된다.

풀이 ⑴ 발사 후 5초가 지났을 때 물체의 지상으로부터의 높이를 x`m라 하면

x=10+:)5 (30-10t)dt

=10+[30t-5tÛ`]5)

=35(m)
⑵ 이 물체가 최고 높이에 도달했을 때는 v(t)=0이므로
30-10t=0에서 t=3(초)
따라서 t=3일 때 최고 높이에 도달하게 되며, 그때의 최고 높이 x`m는

x=10+:)3 (30-10t)dt

=10+[30t-5tÛ`]3)

=55(m)
⑶ 발사 후 5초 동안 물체가 실제로 움직인 거리 s`m는 W U
W U
]U]

s=:)5 |30-10t|dt 

=:)3 (30-10t)dt+:#5 (-30+10t)dt

=[30t-5tÛ`]3)+[-30t+5tÛ`]5#
0   U
=65(m)

⑴ 발사 지점이 지상일 때는 x=:)5 (30-10t)dt이다.

확인 229 지상에서 처음 속도 60`m/s로 똑바로 위로 발사한 물체의 t초 후의 속도가


체크 v(t)=-10t+60(m/s)이라 할 때, 다음을 구하시오.

⑴ 이 물체가 최고 높이에 도달했을 때 지상으로부터의 높이 180`m

⑵ 발사 후 8초 동안 물체가 움직인 거리 200`m

⑶ 물체가 땅에 떨어질 때의 속도 -60`m/s

3. 정적분의 활용 235
필수예제 13 그래프에서의 위치와 움직인 거리 더 다양한 문제는 RPM 수학 Ⅱ 132쪽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 W U

서의 속도 v(t)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을 구하시오. (단, 0ÉtÉ6)  
0    U

⑴ 시각 t=6에서 점 P의 위치
⑵ ‌출발 후 처음으로 운동 방향을 바꿀 때부터 두 번째로
운동 방향을 바꿀 때까지의 움직인 거리

설명 ‌주어진 구간에서 속도 v(t)의 정적분의 값이 위치의 변화량이고 |v(t)|의 정적분의 값이 움직인 거리이다. 움직인 거
리는 속도의 그래프와 t축 사이의 넓이와 같으므로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넓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 -t+2 (0ÉtÉ3)
풀이 점 P의 속도 v(t)를 구하면 v(t)={ -1 (3ÉtÉ4)
9 t-5 (4ÉtÉ6)
⑴ 시각 t=6에서 점 P의 위치를 x라 하면

x=:)6 v(t)dt=:)3 (-t+2)dt+:#4 (-1)dt+:$6 (t-5)dt

=[-;2!;tÛ`+2t]3)+[-t]4#+[;2!;tÛ`-5t]6$=;2!;

⑵ ‌운동 방향을 바꾸게 되는 시각은 v(t)=0인 시각 t=2, t=5이므로 출발 후 t=2에서 처음 방향을


바꾸고 t=5에서 두 번째로 방향을 바꾼다. 따라서 시각 t=2에서 t=5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5 |v(t)|dt=:@3 |-t+2|dt+:#4 |-1|dt+:$5 |t-5|dt

=-:@3 (-t+2)dt-:#4 (-1)dt-:$5 (t-5)dt

=-[-;2!;tÛ`+2t]3@-[-t]4#-[;2!;tÛ`-5t]5$=2

다른풀이 넓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도 있다.

⑴ :)6 v(t)dt=:)2 v(t)dt+:@5 v(t)dt+:%6 v(t)dt=;2!;´2´2-;2!;´(3+1)´1+;2!;´1´1=;2!;

⑵ :@5 |v(t)|dt=;2!;´(3+1)´1=2

KEY
Point  속도의 그래프가 주어질 때 움직인 거리는 속도의 그래프와 t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와 같다.
 운동 방향이 바뀌게 되는 시각 ⇨ v(t)=0인 시각

확인 230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W U

체크 속도 v(t)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을 구하시 


오. (단, 0ÉtÉ5)

0    U
⑴ 시각 t=5에서 점 P의 위치 ;2(;

⑵ 운동 방향을 바꿀 때까지 움직인 거리 5

⑶ 시각 t=0에서 t=5까지 움직인 거리 :Á2Á:

236 Ⅲ. 적분
정답과 풀이 127쪽

연습문제
STEP 1 생각해 봅시다!

248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t초 후의 속도가


v(t)=6t-3tÛ`이다. 시각 t=3에서 점 P의 위치를 a, 시각 t=0에서 t=3
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를 b라 할 때, a+b의 값을 구하시오. 8

a=0+:)3 v(t)dt=:)3 (6t-3tÛ`)dt=0, b=:)3 |v(t)|dt=:)2`(6t-3tÛ`)dt+:@3`(-6t+3tÛ`)dt=8


∴ a+b=8

249 원점을 동시에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P, Q가 있다. 출발한 t초 후의 두 점 P, Q의 위


치를 각각 xÁ, xª라 하면
지 t초 후의 속도가 각각 vÁ(t)=3tÛ`-8t+4, vª(t)=12-8t이다. 출발 후
xÁ=xª일 때, 두 점 P, Q
두 점 P, Q가 다시 만나는 것은 몇 초 후인지 구하시오. 2'2초 후 는 다시 만난다.
(점 P의 위치)=:)t (3tÛ`-8t+4)dt=tÜ`-4tÛ`+4t, (점 Q의 위치)=:)t (12-8t)dt=12t-4tÛ`
tÜ`-4tÛ`+4t=12t-4tÛ`에서 t(t+2'2)(t-2'2)=0   ∴ t=2'2(초 후) (∵ t>0)

250 지상에서 v¼의 속도로 똑바로 위로 던진 돌의 t초 후의 속도가 :)2 v(t)dt=5

v(t)=v¼-9.8t(m/s)일 때, 던진 후 2초 후에 5`m의 상공에 도달하려면


v¼은 몇 m/s이어야 하는지 구하시오. 12.3`m/s

2초 후에 5`m의 상공에 도달하려면 :)2 v(t)dt=5

:)2 v(t)dt=:)2 (v¼-9.8t)dt=[v¼t-4.9tÛ`]2)=2v¼-19.6이므로 2v¼-19.6=5   ∴ v¼=12.3(m/s)

251 지면에 정지해 있던 열기구가 수직 방향으로 출발한 지 t분 후의 속도


t (0ÉtÉ20)
v(t)(m/min)를 v(t)=[  라 하자. 출발한 지 35분
60-2t (20ÉtÉ40)
후의 지면으로부터 열기구의 높이를 구하시오. 275`m

 (단, 열기구는 수직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것으로 가정한다.)


(구하는 높이)=:)3`5``v(t)dt=:)2`0``t dt+:@3)5``(60-2t)dt=[;2!;tÛ`]2)0`+[60t-tÛ`]3@5)`=275(m)

252 직선 운동을 하는 점 P가 출발한 지 t초 후의 속 W U


(위치의 변화량)=0

도 v(t)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점 P 4„ 


가 출발한 점에 처음으로 다시 돌아올 때까지 걸 0   4m  U

리는 시간을 구하시오. 4초

t=a일 때, 출발한 점에 다시 돌아온다고 하면 :)a v(t)dt=0이어야 한다.


오른쪽 그림에서 SÁ=Sª이므로 t=4일 때, 출발한 점에 다시 돌아온다.   ∴ a=4(초)

253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 W U


움직인 거리는 속도의 그래
프와 t축으로 둘러싸인 부
의 시각 t(0ÉtÉ6)에서의 속도 v(t)의 그래 
 분의 넓이와 같다.
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다. 점 P가 시각 t=0에  
0   U
서 t=6까지 움직인 거리를 구하시오. :Á2Á: 
:)6 |v(t)|dt=:)4 v(t)dt+:$6 {-v(t)}dt

=;2!;´1´1+;2!;´(1+2)´2+;2!;´1´2+;2!;´2´1=:Á2Á:

3. 정적분의 활용 237
정답과 풀이 128쪽
연습문제

STEP 2
254 원점을 출발하여 t초 후에 -3tÛ`-2t+12의 속도로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위치의 변화량)=0

점 P가 있다. 점 P가 출발한 후 원점으로 다시 돌아오는 것은 몇 초 후인지


구하시오. 3초 후

t=a(a>0)일 때, 점 P가 원점으로 다시 돌아온다고 하면 :)a (-3tÛ`-2t+12)dt=0이어야 하므로


-aÜ`-aÛ`+12a=0, a(a+4)(a-3)=0   ∴ a=3 (∵ a>0)

:)2 |v(t)|dt<58이므로
[ 교육청기출 ]

255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t)=3tÛ`-6t라 하자. 점 P가 시각 t=0에서 t=a까지 움직인 거리가 58 a>2이다.

일 때, v(a)의 값을 구하시오. 45

a>2이므로 :)a |3tÛ`-6t|dt=-:)2 (3tÛ`-6t)dt+:@a (3tÛ`-6t)dt=aÜ`-3aÛ`+8=58


aÜ`-3aÛ`-50=0, (a-5)(aÛ`+2a+10)=0   ∴ a=5
∴ v(5)=3´5Û`-6´5=45

256 지상 20`m의 높이에서 40`m/s의 속도로 똑바로 위로 쏘아 올린 물체의 t초 지상 20`m의 높이에서 쏘


아 올렸음에 주의한다.
후의 속도가 v(t)=40-8t(m/s)일 때, 지면에 도달할 때까지 물체가 움직
인 거리를 구하시오. 220`m

v(t)=40-8t=0에서 t=5이므로 최고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움직인 거리는 :)5 |40-8t|dt=100(m)


따라서 지면에 도달할 때까지 움직인 거리는 100+(100+20)=220(m)
실력

257 시속 72`km로 달리는 자동차가 브레이크를 밟았더니 50`m를 더 간 후 정지


하였다. 브레이크를 밟은 후 일정한 비율로 감속하였다면 브레이크를 밟은
후 정지할 때까지 걸린 시간은 몇 초인지 구하시오. 5초
72(km/h)=20(m/s)이므로 브레이크를 밟은 지 t초 후의 속도는 v(t)=20-kt(m/s) (단, k는 상수)
v(t)=0에서 t= 이므로 :)  `|20-kt|dt=50,
20 :ªk¼: 200
=50   ∴ k=4
k k
20 20
실력   따라서 걸린 시간은 t= = =5(초)
k 4

258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7초 동안 움직 W U


t=a에서 t=b까지의
(위치의 변화량)
이는 점 P의 t초 후의 속도 v(t)의 그래프가 
=:Ab v(t)dt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보기 중에서 옳
0        U (움직인 거리)
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ㄷ, ㄹ
 =:Ab |v(t)|dt

보기

ㄱ. 점 P는 출발하고 나서 5초 후 출발점에 있었다.


ㄴ. 점 P는 출발하고 나서 2초 동안 멈춘 적이 있었다.
ㄷ. 점 P는 움직이는 동안 방향을 2번 바꿨다.
ㄹ. 점 P가 출발하고 나서 3초 동안 움직인 거리는 4이다.

ㄱ. ‌:)5 v(t)dt=;2!;(1+3)´2-;2!;´2´2=2이므로 출발점에 위치하지 않는다. (거짓)


ㄴ. ‌2초 동안 멈추었다면 v(t)=0인 구간이 2초 동안 있어야 하므로 옳지 않다. (거짓)

238 Ⅲ. 적분
빠른답 체크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1 ⑴ 0  ⑵ -3  ⑶ -2  ⑷ 9 30 ⑴ 연속  ⑵ 불연속  ⑶ 불연속 


2 ⑴ ¦  ⑵ -¦ ⑷ 연속  ⑸ 불연속
3 ⑴ ¦  ⑵ -¦  ⑶ -¦  ⑷ ¦ 31 2
4 ⑴ 3  ⑵ 0 32 ㄱ

5 ⑴ 3  ⑵ ;3@;  ⑶ 6  ⑷ 3  ⑸ 3  ⑹ '5 33 4
34 6
6 ⑴ -¦  ⑵ ¦  ⑶ -¦  ⑷ -¦
7 ⑴ 2  ⑵ 3  ⑶ 1  ⑷ 0  ⑸ 1  ⑹ -2 35 ;8!;

8 ⑴ 0  ⑵ 3  ⑶ 1  ⑷ 2  ⑸ 존재하지 않는다. 36 9
9 ⑴ 존재하지 않는다.  ⑵ 존재하지 않는다.  ⑶ 0 37 ㄱ, ㄷ
10 1 38 ⑴ 최댓값: 3, 최솟값: 0  ⑵ 최댓값: 4, 최솟값: 2

11 ⑴ 2  ⑵ 5  ⑶ -3  ⑷ 1  ⑸ -3  ⑹ ;3!; 39 ⑴ 최댓값: 없다., 최솟값: 3


⑵ 최댓값: 없다., 최솟값: 3
12 ⑴ -1  ⑵ -1  ⑶ 9  ⑷ 2  ⑸ -6  ⑹ 5
40 풀이 참조
13 7
41 2개
14 1
42 2
15 ⑴ 3  ⑵ ;2!;  ⑶ -;8&;  ⑷ 2  ⑸ 4  ⑹ 1 43 16
44 ⑴ 0  ⑵ -6  ⑶ 2  ⑷ 2
16 ⑴ ;3!;  ⑵ 0  ⑶ -¦  ⑷ ;2!;  ⑸ -3  ⑹ ;3@;
45 -7
17 ⑴ -¦  ⑵ ;4#;  ⑶ -1  ⑷ ;2&; 46 4
47 -1
18 ⑴ 2  ⑵ ;3!;  ⑶ ;1£6;  ⑷ ;1Á8;
48 0
19 ⑴ a=4, b=4  ⑵ a=4, b=3  49 5
⑶ a=2, b=-2 50 11
20 2 51 ㄱ, ㄴ, ㄷ
21 f(x)=2xÜ`+2xÛ`-3x 52 ⑴ 연속, 미분가능하지 않다.
22 3 ⑵ 연속, 미분가능하지 않다.
23 5 ⑶ 연속, 미분가능하다.
24 8 53 ⑤
25 1 54 ⑴ f '(x)=0  ⑵ f '(x)=1  ⑶ f '(x)=16x+7
26 ⑴ f(1)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55 ⑴ y'=0  ⑵ y'=12xÛ`-x
⑵ lim`f(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⑶ y'=20xÜ`+3xÛ`-3
x`Ú 1

⑶ lim`f(x)+f(1) 56 ⑴ y'=5xÝ`-3xÛ`+4x
x`Ú 1

27 ⑴ 연속  ⑵ 불연속
⑵ y'=24xÜ`-3xÛ`-16x+1

28 ⑴ [-2, 1]  ⑵ (-1, 2)  ⑶ [0, 2) 


⑶ y'=24(2x-1)Ü`

⑷ (1, 3]  ⑸ (-¦, -2)  ⑹ [3, ¦) 57 15


58 a=-3, b=2, c=5
29 ⑴ (-¦, ¦)  ⑵ [1, ¦)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정답 239


빠른답 체크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59 ;4!; 93 1

60 -2 94 ⑴ 반닫힌
 구간 (-¦, -1]과 반닫힌 구간
[1, ¦)에서 감소, 닫힌구간 [-1, 1]에서 증
61 ;3!;

62 -4 ⑵ 반닫힌 구간 (-¦, -3]과 반닫힌 구간
63 1 [5, ¦)에서 증가, 닫힌구간 [-3, 5]에서 감소
64 11 95 ⑴ 1ÉaÉ4  ⑵ -6ÉaÉ6
65 23 96 -12ÉaÉ-3
66 a=-1, b=8 97 0
67 -3 98 6
68 39 99 6, -12, 2, 2, -5, 2, -5
69 94x-91 100 -4, 4, 0, 0, -, -3, 0, -3
70 -9 101 ⑴ 극댓값: 4, 극솟값: 0 
71 ⑴ 8  ⑵ 10 ⑵ 극댓값: 16, 극솟값:-11
72 2x-4, 4, 4, 4,-1, 4, 4, 4x-17 102 27
73 6x+2, 6a+2, 6, 6, 8, 1, 8x-2 103 ⑴ 극댓값: 10, 극솟값: -22, 5
74 a=2, b=2 ⑵ 극댓값: 14, 극솟값: 없다.
75 ;2!; 104 24
105 -3
76 y=7x+5
106 145
77 a=-2, b=2
107 -1
78 y=-;2!;x+;2#;
108 8

79 y=x-;4!; 109 풀이 참조
110 k<-3 또는 k>3
80 y=2x+2
111 -1
81 y=-8x+4, y=-8x
82 ⑴ y=4, y=-4x+12  ⑵ y=x+2 112 -;3@;<k<;9@;

83 4
113 -;2#;<a<-;2!;
84 3'2
114 -9<a<0 또는 a>0
85 3
86 -2 115 a=-2 또는 a¾;4!;
87 ⑴ a=-1, b=-1, c=1  ⑵ y=2x+2 116 ⑴ 최댓값: 21, 최솟값: -6
88 -;3!; ⑵ 최댓값: 21, 최솟값: -11
117 ⑴ 최댓값: 없다., 최솟값: -14
89 ⑴ 3  ⑵ 1  ⑶ ;3%;
⑵ 최댓값: 1, 최솟값: 없다.
90 c=1, a=3 118 0
2'3 119 2
91 ⑴ 3  ⑵
3
120 2년 후
92 1

240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정답


121 5 152 -3
122 32 153 5

123 ;3@; 154 7

124 ⑴ 1  ⑵ 3  ⑶ 4  ⑷ 2 155 ⑴ xÜ`+7x+C  ⑵ -xÝ`+;2!;xÛ`+2x+C

125 ⑴ -2<k<2  ⑵ k=-2 또는 k=2 ⑶ ;3!;xß`-xÞ`+C  ⑷ -x¡`+;3$;xÜ`-x+C


⑶ k<-2 또는 k>2
126 10<k<15 156 ⑴ -;3!;xÜ`+4x+C  ⑵ ;3@;xÜ`-;2(;xÛ`+4x+C

127 ⑴ -20<a<12  ⑵ a=-20 또는 a=12


⑶ 2tÜ`+;2&;tÛ`-3t+C  ⑷ ;4!;yÝ`+y+C
128 ⑴ k=27  ⑵ 0<k<27  ⑶ -5<k<0
⑷ k<-5 157 ⑴ ;3!;xÜ`+xÛ`+x+C  ⑵ 3xÜ`-6xÛ`+4x+C
129 ⑴ 0<a<1  ⑵ a<0 또는 a>1 ⑶ -2xÝ`+12xÜ`-27xÛ`+27x+C
130 -13
⑷ :ª4¦:yÝ`-9yÜ`+;2(;yÛ`-y+C
131 a¾1
132 k>9 158 ⑴ ;3!;xÜ`-xÛ`y+xyÛ`+C  ⑵ 10xÛ`+C
133 a>6
159 ⑴ ;3!;yÜ`-;2!;yÛ`+y+C  ⑵ ;2!;xÛ`+x+C
134 22
135 ⑴ 16  ⑵ -2 ⑶ 2xÛ`+C  ⑷ ;3!;xÜ`+;2!;xÛ`+x+C
136 42
160 10
137 위치: -18, 가속도: 5
161 2
138 -20`m/s
162 28
139 165`m
163 ;4#;xÝ`-;3!;xÜ`+;2!;xÛ`+2x+C
140 ㄷ
141 ㄱ 164 f(x)=;3*;xÜ`-4xÛ`+1
142 ⑴ 105`m/min  ⑵ 35`m/min
165 6
143 9.5`cmÛ`/s
166 -10
144 90p`cmÜ`/s
167 3
145 ㄱ, ㄷ
168 3
146 ⑴ 7x+C  ⑵ -2x+C  ⑶ 3xÛ`+C 
169 a=-6, 극댓값: 36
⑷ -xÝ`+C  ⑸ -xÜ`+x+C  ⑹ xà`+xÛ`+C
170 f(x)=-xÜ`+12x+4
147 ⑴ f(x)=2  ⑵ f(x)=6x+1
171 f(x)=;3!;xÜ`+6x
⑶ f(x)=-;2#;x+;3@;
172 2
⑷ f(x)=12xÛ`-10x+11
148 -12 173 ⑴ 2  ⑵ 56  ⑶ 12  ⑷ -:ª3¤:

174 ⑴ 0  ⑵ 0  ⑶ ;3*;  ⑷ -24


149 5
150 4
175 ⑴ 2  ⑵ 4  ⑶ 6  ⑷ 6
151 -;3&;
176 ⑴ -2  ⑵ -76  ⑶ -;6%;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정답 241


빠른답 체크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177 ;5^; 204 0, 3, 3, xÛ`-4x, 3, -xÛ`+3x, ;2(;

178 2 205 -1, 1, -1, -2xÛ`+x+3, -1, -3xÛ`+3, 4


179 ;2!;
206 ⑴ ;3$;  ⑵ 36  ⑶ ;1#2&;  ⑷ 8
180 ⑴ -18  ⑵ 10  ⑶ -:Á3¤:  ⑷ -:ª3ª: 207 -6

181 ;1Á2; 208 1


209 -1
182 ;3!;
210 ⑴ ;3*;  ⑵ 8
183 ⑴ ;2%;  ⑵ 1  ⑶ 3  ⑷ :Á3»: 211 1
184 4 212 ⑴ :ª4¦:  ⑵ :¦6Á:
185 ⑴ 28  ⑵ 4
213 1
186 4
187 15 214 ;3*;

188 :¥3¼: 215 :ª4¦:

189 ⑴ xÛ`+2  ⑵ 3xÛ`-2x+3  ⑶ 5xÜ`-3xÛ` 216 2


⑷ 3xÜ`-2xÛ`-x  ⑸ 4x  ⑹ 4x-1 217 :£3Á:
190 ⑴ f(x)=4x-5  ⑵ f(x)=-2x+3
218 4
⑶ f(x)=9xÛ`-6  ⑷ f(x)=12xÛ`+6x+2
219 2
⑸ f(x)=2x-2  ⑹ f(x)=6xÛ`+8x+3
220 6
191 ⑴ ;3%;  ⑵ 2  ⑶ -;2!1!;  ⑷ :Á4¦: 221 4
192 -7 222 3(Ü'2-1)

193 ⑴ :ª2£:  ⑵ 0 223 2


224 1
194 6
195 ⑴ f(x)=12xÛ`-4  ⑵ f(x)=6x-4 225 ;4Á8;

196 -:Á;6@;°: 226 22

227 ⑴ :ª3ª:  ⑵ ;2(;  ⑶ :¤6Á:


197 ;3@;
228 144`m
198 ;3&; 229 ⑴ 180`m  ⑵ 200`m  ⑶ -60`m/s
199 8 230 ⑴ ;2(;  ⑵ 5  ⑶ :Á2Á:
200 ⑴ -1  ⑵ 8  ⑶ ;2#;  ⑷ 22

201 2
202 2'3

203 0, 2, 2, 0, ;3$;

242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정답


빠른답 체크 연습문제·실력 UP

1 존재하지 않는다. 35 ④
2 존재하지 않는다. 36 ③, ⑤
3 4 37 -4
4 10 38 1
5 ② 39 4
6 ⑤ 40 ㄱ, ㄴ, ㄷ
7 ④ 41 ㄱ, ㄴ
8 ③ 42 2
9 5 43 ;2!;
10 -9
44 -3
11 ;4#; 45 20
12 2 46 1
13 ② 47 3
14 1 48 -3
15 4 49 (-¦, -1), (-1, 3), (3, ¦)

16 ;3!; 50 5
51 ②
17 ;5!; 52 3개
18 3 53 -1
19 14 54 3개
55 -4
20 ;6%;
56 ①
21 -3
57 2
22 2
58 2
23 -1
59 ;4!;
24 -4
60 0
25 ;4%;
61 ③
26 21
62 ⑤
27 f(x)=-(x-1)(x+1)(x+2)
63 4
28 f(x)=2x-4, p=;5@; 64 ⑤

29 -2 65 14

30 0 66 a

31 14 67 ⑴ ;2%;  ⑵ -3
32 2
68 5
33 -4
69 28
34 0

연습문제·실력 UP 정답 243
빠른답 체크 연습문제·실력 UP

70 28 107 ④
71 ㄴ 108 ③
72 ④ 109 1
73 ④ 110 2'2
74 a=1, b=-3 3'5
111
5
75 20
112 8
76 0
113 ④
77 -8
114 -3
78 -3
115 aÉ-15
79 7
116 10
80 5
81 14 117 -;3!;
82 18 118 ㄴ, ㄷ
83 20 119 ③
84 f(x)=-xÛ`-;3!;x+;9%; 또는 f(x)=3xÛ`-3x+1 120 ②
121 32
85 4
122 -11
86 ③
123 ②
87 12
124 1
88 풀이 참조
125 1
89 1
126 1
90 ⑤
127 16
91 ⑤
128 16
92 -2
129 87
93 ②
130 43
94 -1
131 -7
95 ②
132 ⑤
96 '2
133 ④
97 7
134 ④
98 ⑤
135 a<-1
99 5
136 1
100 y=4x+1
137 12
101 y=2x-16
138 ②
102 ①
139 ⑤
103 ①
140 20
104 8
141 ①
105 8'2
142 4
106 y=-x-1
143 2

244 연습문제·실력 UP 정답
144 ② 180 8
145 6 181 -7
146 12 182 11
147 -54 183 4
148 a=-3 또는 -2ÉaÉ6 184 -:Á3¦:
149 ㄱ, ㄴ, ㄷ
185 12
150 40
186 -22
151 ;2%; 187 f(x)=2xÛ`+2x-1
152 ② 188 -2

153 -;2%; 189 f(x)=-4xÜ`-6xÛ`+1


190 ⑤
154 ③
191 6
155 -;3%; 192 18
156 ① 193 13
157 ② 194 28
158 6 195 3
159 53 196 a=3, 극솟값: -8
160 4 197 17
161 11 198 -4
162 100 199 -4
163 aÉ-2 200 -2

164 0<a<;1»6; 201 ⑴ 0  ⑵ ;3*;  ⑶ 0

165 4 202 :£3Á:


166 6
167 -1 203 ⑴ :¤3¢:  ⑵ 9

168 ③ 204 3
169 18 205 1
170 10 206 2
171 ② 207 11
172 ㄱ, ㄴ 208 34
173 26 209 -9
174 -35 210 4
175 3번 211 59
176 10 212 ;1@2%;
177 12
213 0
178 ①
b-a
179 6 214
2

연습문제·실력 UP 정답 245
빠른답 체크 연습문제·실력 UP

215 96 249 2'2초 후


216 ③ 250 12.3`m/s
217 ② 251 275`m
218 ③ 252 4초
219 40 253 :Á2Á:
220 극댓값: 32, 극솟값: 0
254 3초 후
221 ④
255 45
222 20
256 220`m
223 :¤7¼: 257 5초
224 -6 258 ㄷ, ㄹ

225 x=1일 때, 극댓값 ;3$;

226 ④
227 -18
228 2
229 ③
230 2
231 ④
232 49
233 8
2'2
234
3
235 3

236 ;2#;

237 32
238 ④
239 9
240 108
241 5
242 3

243 ;3@;

244 1+'3
245 -1+'2

246 a=1, (넓이)=;2!;

247 ③
248 8

246 연습문제·실력 UP 정답
수학

정답과 풀이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2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1 Z
⑴ f(x)= -7로 놓으면 함
xÛ`
수 y=f(x)의 그래프는 오 0
1 Y
른쪽 그림과 같고, x의 값이
⑴ f (x)=x+1로 놓으면 함 Z
ZG Y
ZG Y

0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수 y=f(x)의 그래프는 오 
 f(x)의 값은 한없이 커지므
른쪽 그림과 같고, x의 값이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lim {
0 Y 1
f(x)의 값은 0에 한없이 가 -7}=¦
xÛ`
x`Ú 0

까워지므로 1
⑵ f(x)=- +1로 놓으면 Z
lim (x+1)=0 xÛ` 
x`Ú -1
함수 y=f(x)의 그래프는 ZG Y

⑵ f(x)=-2x+3으로 놓으 Z 0
오른쪽 그림과 같고, x의 값 Y
면 함수 y=f(x)의 그래프  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x의 
Y
f(x)의 값은 음수이면서 그
0
값이 3에 한없이 가까워질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므로

때, f(x)의 값은 -3에 한 ZG Y

lim {-
1
+1}=-¦
없이 가까워지므로 x`Ú 0 xÛ`
lim(-2x+3)=-3 답 ⑴ ¦  ⑵ -¦
x`Ú 3

⑶ f(x)=xÛ`-3x로 놓으면 Z ZG Y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x의 값 0  Y
3
이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⑴ f(x)=3x-2로 놓으면 함수 Z
ZG Y

f(x)의 값은 -2에 한없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가까워지므로 0 Y
그림과 같고, x의 값이 한없 !
lim(xÛ`-3x)=-2
x`Ú 1 이 커질 때, f(x)의 값은 한 
⑷ f(x)=9로 놓으면 함수 Z 없이 커지므로
 ZG Y

y=f(x)의 그래프는 오른 lim (3x-2)=¦


x`Ú¦
쪽 그림과 같고, x의 값이 0
⑵ f(x)=-5x+1로 놓으면 함 Z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ZG Y

0 Y 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 
f(x)의 값은 항상 9이므로 Å
쪽 그림과 같고, x의 값이 한없
lim 9=9 0 Y
x`Ú 0 이 커질 때, f(x)의 값은 음수
답 ⑴ 0  ⑵ -3  ⑶ -2  ⑷ 9
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
지므로
lim (-5x+1)=-¦
x`Ú¦

2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개념원리 익히기
x (x-2)+2 2

확인체크
⑶ f(x)=2x-1로 놓으면 함수 Z ZG Y
f(x)= = =1+
x-2 x-2 x-2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이므로 함수 y=f(x)의 그 Z ZG Y

그림과 같고, x의 값이 음수 0 Y
Å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x의 값이 3에 한없이 가까워 
커질 때, f(x)의 값은 음수이
질 때, f(x)의 값은 3에 한 0   Y
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므로
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2x-1)=-¦
x`Ú -¦ x
lim  =3
⑷ f(x)=-x+4로 놓으면 함 Z x`Ú 3 x-2

수 y=f(x)의 그래프는 오  xÛ`+2x


⑵ f(x)= 로 놓으면
3x
른쪽 그림과 같고, x의 값이
x+0일 때,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 Y
0  xÛ`+2x x+2
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ZG Y
f(x)= =
3x 3
한없이 커지므로 이므로 함수 y=f(x)의 Z
ZG Y

lim (-x+4)=¦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


x`Ú -¦

답 ⑴ ¦  ⑵ -¦  ⑶ -¦  ⑷ ¦ 같고, x의 값이 0에 한없


 0 Y
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3@;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4
xÛ`+2x
⑴ f(x)=3으로 놓으면 함수 Z lim  =;3@;
x`Ú 0 3x
y=f(x)의 그래프는 오른  ZG Y
xÛ`-9
⑶ f(x)= 로 놓으면
쪽 그림과 같고, x의 값이 x-3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 x+3일 때,
0 Y
은 항상 3이므로 xÛ`-9 (x-3)(x+3)
f(x)= =
x-3 x-3
lim  3=3
x`Ú¦ =x+3
1 이므로 함수 y=f(x)의
⑵ f (x)= 로 놓으면 함수 Z
Z
xÛ` ZG Y

ZG Y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y=f(x)의 그래프는 오른
같고, x의 값이 3에 한없 
쪽 그림과 같고, x의 값이
이 가까워질 때, f(x)의  0  Y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
0 Y 값은 6에 한없이 가까워지
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므로
0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xÛ`-9
1 lim  =6
lim   =0 x`Ú 3 x-3
x`Ú -¦ xÛ`

답 ⑴ 3  ⑵ 0
xÜ`-1
⑷ f(x)= 로 놓으면
x-1
x+1일 때,

5 f(x)=
xÜ`-1 (x-1)(xÛ`+x+1)
x-1
=
x-1
x =xÛ`+x+1
⑴ f(x)= 로 놓으면
x-2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3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 Z ZG Y
f(x)의 값은 한없이 커지므로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x의 1
 lim =¦
x`Ú -3 |x+3|
값이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⑶ f(x)=5-xÛ`으로 놓으면 함 Z
f(x)의 값은 3에 한없이 가까
Y  ZG Y

0  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  
워지므로
그림과 같고, x의 값이 한없이  
xÜ`-1 Y
lim  =3 커질 때, f(x)의 값은 음수이
0
x`Ú 1 x-1

⑸ f(x)='Ä3x+6으로 Z
ZG Y
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
놓으면 함수 y=f(x)  므로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lim (5-xÛ`)=-¦
x`Ú¦
림과 같고, x의 값이 1 Y ⑷ f(x)=-'Ä3-x로 놓으면 함 Z
 0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 
f(x)의 값은 3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쪽 그림과 같고, x의 값이 음 0 Y

lim 'Ä3x+6=3 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ZG Y

x`Ú 1

⑹ f (x)='Ä - x+3으로 놓 Z 커질 때, f(x)의 값은 음수이


으면 함수 y=f(x)의 그  ZG Y
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므로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lim (-'Ä3-x)=-¦
x`Ú -¦
 0  Y
고, x의 값이 -2에 한없 답 ⑴ -¦  ⑵ ¦  ⑶ -¦  ⑷ -¦
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5에 한없이 가까워
지므로
lim 'Ä-x+3='5
x`Ú -2
7
답 ⑴ 3  ⑵ ;3@;  ⑶ 6  ⑷ 3  ⑸ 3  ⑹ '5
⑴ f(x)=2-;[!;로 놓으면 함수 ZG Y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6 그림과 같고, x의 값이 한없


1 Z 이 커질 때, f(x)의 값은 2
⑴ f(x)=3- 로놓 0 Y
(x-2)Û` 
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으면 함수 y=f(x)의 그 ZG Y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0  Y lim {2-;[!;}=2


x`Ú¦

고, x의 값이 2에 한없이 3x ZG Y
Z
⑵ f(x)= 로 놓으면
x+1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3(x+1)-3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므로 f(x)=
x+1
lim[3- ]=-¦
1 3
=3-  0 Y
x`Ú 2(x-2)Û` x+1
1 Z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⑵ f(x)= 로 놓으면
|x+3|
른쪽 그림과 같고,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ZG Y
의 값은 3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른쪽 그림과 같고, x의 값이
3x
-3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0 Y lim =3
x`Ú ¦ x+1

4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개념원리 익히기
1
8

확인체크
⑶ f (x)= +1로 놓 Z
ZG Y

|x-2|
으면 함수 y=f(x)의 그래 ⑴ x의 값이 3보다 크면서 3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f(x)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0  Y lim `f(x)=0
x`Ú 3+

f(x)의 값은 1에 한없이 가 ⑵ x의 값이 4보다 작으면서 4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까워지므로 f(x)의 값은 3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
1 lim `f(x)=3
+1}=1 x`Ú 4-
|x-2|
x`Ú ¦

1 ⑶ x의 값이 1보다 크면서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⑷ f(x)= 로 놓으면 함 Z ZG Y

x-3 f(x)의 값은 1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수 y=f(x)의 그래프는 오 lim `f(x)=1
x`Ú 1+
른쪽 그림과 같고, x의 값 0  Y
x의 값이 1보다 작으면서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f(x)의 값은 1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
lim `f(x)=1
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x`Ú 1-

1 즉, lim `f(x)= lim `f(x)=1이므로


lim =0 x`Ú 1+ x`Ú 1-
x`Ú -¦ x-3
lim`f(x)=1
1 x`Ú 1
⑸ f(x)=1+ 로 놓으면 Z
xÛ` ZG Y
⑷ x의 값이 2보다 크면서 2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함수 y=f(x)의 그래프는 f(x)의 값은 2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고, x의 값 lim `f(x)=2
x`Ú 2+
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0 Y
x의 값이 2보다 작으면서 2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
f(x)의 값은 2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은 1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lim `f(x)=2
lim {1+ }=1
1 x`Ú 2-

x`Ú -¦ xÛ` 즉, lim `f(x)= lim `f(x)=2이므로
x`Ú 2+ x`Ú 2-
1
⑹ f(x)= -2로 놓 Z ZG Y
lim`f(x)=2
(x-3)Û` x`Ú 2

으면 함수 y=f(x)의 그래 ⑸ x의 값이 -1보다 크면서 -1에 한없이 가까워질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x 0 때, f(x)의 값은 2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Y
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 lim `f(x)=2
 x`Ú -1+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 x의 값이 -1보다 작으면서 -1에 한없이 가까워
의 값은 -2에 한없이 가까 질 때, f(x)의 값은 -1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워지므로 lim `f(x)=-1
x`Ú -1-
lim [
1
-2]=-2 즉, lim `f(x)+ lim `f(x)이므로
x`Ú -¦ (x-3)Û`
x`Ú -1+ x`Ú -1-

 답 ⑴ 2  ⑵ 3  ⑶ 1 lim `f(x)는 존재하지 않는다.


x`Ú -1
 ⑷ 0  ⑸ 1  ⑹ -2
답 ⑴ 0  ⑵ 3  ⑶ 1  ⑷ 2
⑸ 존재하지 않는다.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5
9 lim`f(x)의 값이 존재하려면
x`Ú 1

⑴ x=-2에서의 우극한과 좌극한을 각각 구하면 lim `f(x)= lim `f(x)이어야 하므로


x`Ú 1+ x`Ú 1-
x-2 Z Y
lim =-¦ Z 0=-1+k  
x`Ú -2+ x+2 Y 
x-2  ∴ k=1 답 1
lim =¦
x`Ú -2- x+2  0  Y
따라서
x-2 x-2 11
lim + lim
x`Ú -2+ x+2 x`Ú -2- x+2 ⑴ lim{ f(x)+g(x)}=lim`f(x)+lim`g(x)
x`Ú 1 x`Ú 1 x`Ú 1
x-2
이므로 lim  는 존재하지 않는다. =3+(-1)=2
x`Ú -2 x+2

⑵ x Ú`-1+일 때,  Z Y™ Y ⑵ lim{ f(x)-2g(x)}=lim`f(x)-2 lim`g(x)


x`Ú 1 x`Ú 1 x`Ú 1
Z
]Y ]
x>-1이므로  =3-2´(-1)=5
|x+1|=x+1 ⑶ lim`f(x)g(x)=lim`f(x)´lim`g(x)
x`Ú 1 x`Ú 1 x`Ú 1
2xÛ`+x-1  0 Y
∴ lim  =3´(-1)=-3
x`Ú -1+ |x+1|
 ⑷ lim{g(x)}Û`={lim`g(x)}Û`
(2x-1)(x+1) x`Ú 1 x`Ú 1
= lim
x`Ú -1+ x+1 =(-1)Û`=1
= lim (2x-1)=-3 `f(x)
x`Ú -1+
`f(x) lim
x`Ú 1
x Ú`-1-일 때, x<-1이므로
⑸ lim   =
x`Ú 1 g(x) lim`g(x)
x`Ú 1
|x+1|=-(x+1) 3
  =-3
=
2xÛ`+x-1 -1
∴ lim
x`Ú -1- |x+1| 2f(x)+3g(x)
⑹ lim 
(2x-1)(x+1) x`Ú 1 { f(x)}Û`
= lim
x`Ú -1- -(x+1) 2 lim`f(x)+3 lim`g(x)
x`Ú 1 x`Ú 1
= lim (1-2x)=3 =
x`Ú -1- {lim`f(x)}Û`
x`Ú 1
2xÛ`+x-1 2xÛ`+x-1 2´3+3´(-1)
즉, lim + lim 이므 =
x`Ú -1+ |x+1| x`Ú -1- |x+1|
3Û`
2xÛ`+x-1
로 lim 은 존재하지 않는다. =;3!;
x`Ú -1 |x+1|
⑶ -1<x<0일 때, 0<x+1<1이므로
답 ⑴ 2  ⑵ 5  ⑶ -3  ⑷ 1  ⑸ -3  ⑹ ;3!;
[x+1]=0
[x+1]
∴ lim =0
x`Ú -1+ x+1
답 ⑴ 존재하지 않는다.  ⑵ 존재하지 않는다.  ⑶ 0
12
⑴ lim xÜ`=(-1)Ü`=-1
x`Ú -1

⑵ lim(xÛ`-1)=0-1=-1
x`Ú 0

10 ⑶ lim(xÜ`+xÛ`-3)=2Ü`+2Û`-3=9
x`Ú 2

lim `f(x)= lim (x-1)=0 ⑷ lim  x(2x+3)=-2{2´(-2)+3}=2


x`Ú 1+ x`Ú 1+ x`Ú -2

lim `f(x)= lim (-x+k)=-1+k ⑸ lim(x-2)(xÛ`+5)=(1-2)(1Û`+5)=-6


x`Ú 1- x`Ú 1- x`Ú 1

6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개념원리 익히기
lim(xÛ`-2x+7) 2xÛ`-3x+1 (x-1)(2x-1)

확인체크
xÛ`-2x+7 x`Ú 3 ⑵ lim  =lim 
⑹ lim  = x`Ú 1 xÛ`-1 x`Ú 1 (x-1)(x+1)
x`Ú 3 5-x lim(5-x)
2x-1
=;2!;
x`Ú 3
  =lim 
3Û`-2´3+7 x`Ú 1 x+1
  = =5
5-3 2xÛ`+5x-3
⑶ lim  
답 ⑴ -1  ⑵ -1  ⑶ 9  ⑷ 2  ⑸ -6  ⑹ 5 x`Ú -3 xÜ`+3xÛ`-x-3

(x+3)(2x-1)
= lim  
x`Ú -3 (x+3)(xÛ`-1)

2x-1
= lim   =-;8&;
13 x`Ú -3 xÛ`-1

주어진 식의 분모, 분자를 각각 xÛ`으로 나누면 x


⑷ lim 
x`Ú 0 'Äx+1-1
3f(x) `f(x)
1+ lim 1+3 lim x('Äx+1+1)
xÛ` x`Ú 0   x`Ú 0   xÛ`
  =lim 
lim  = x`Ú 0 ('Äx+1-1)('Äx+1+1)
x`Ú 0 2f(x)    `f(x)
3- lim 3-2 lim
xÛ` x`Ú 0 x`Ú 0 xÛ` =lim ('Äx+1+1)=2
x`Ú 0
1+3a
  = =-2 xÛ`-1 (x-1)(x+1)('x+1)
3-2a ⑸ lim  =lim 
x`Ú 1 'x-1 x`Ú 1 ('x-1)('x+1)
즉, 1+3a=-2(3-2a)에서
(x-1)(x+1)('x+1)
a=7 답 7   =lim 
x`Ú 1 x-1
  =lim(x+1)('x+1)=4
x`Ú 1

'Äx+2-2
14 ⑹ lim 
x`Ú 2 x-'Ä3x-2

x-a=t로 놓으면 x Ú`a일 때 t Ú`0이므로 ('Äx+2-2)('Äx+2+2)(x+'Ä3x-2)


=lim 
x`Ú 2 (x-'Ä3x-2)(x+'Ä3x-2)('Äx+2+2)
`f(x-a) `f(t)
lim  =lim  =1
x`Ú a x-a t`Ú 0 t (x+2-4)(x+'Ä3x-2)
=lim 
`f(x) x`Ú 2 (xÛ`-3x+2)('Äx+2+2)
∴ lim  =1
x`Ú 0 x (x-2)(x+'Ä3x-2)
=lim 
2f(x) x`Ú 2 (x-2)(x-1)('Äx+2+2)
1+
x+2f(x) x x+'Ä3x-2
∴ lim  =lim  =lim  =1
x`Ú 0 2xÛ`+3f(x) x`Ú 0 3f(x) x`Ú 2 (x-1)('Äx+2+2)
2x+
x
`f(x) 답 ⑴ 3  ⑵ ;2!;  ⑶ -;8&;  ⑷ 2  ⑸ 4  ⑹ 1
lim 1+2 lim
x`Ú 0   x`Ú 0   x
=  

2 lim x+3 lim
 `f(x) 16
x`Ú 0 x`Ú 0 x
2 3
1+2´1 1- +
xÛ`-2x+3 x xÛ`
=
0+3´1
=1 답 1
⑴ lim =lim =;3!;
x`Ú¦ 3xÛ`+2 x`Ú¦ 2
3+
xÛ`
5 7
-
x xÛ`
15 ⑵ lim
5x-7
x`Ú¦ 4xÛ`-3x+2
=lim
x`Ú¦ 3 2
=0
x(6+5x) 4- +
6x+5xÛ` x xÛ`
⑴ lim  =lim 
x`Ú 0 2x-3xÛ` x`Ú 0 x(2-3x)
xÛ` x
6+5x ⑶ lim =lim =-¦
2-x x`Ú¦
;[@;-1
x`Ú¦
  =lim  =3
x`Ú 0 2-3x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7
1-
1 ⑶ lim 'x('Äx-1-'Äx+1)
x`Ú¦
x-1 x
⑷ lim
x`Ú¦ "ÃxÛ`+5x+3+x
=lim 'x('Äx-1-'Äx+1)('Äx-1+'Äx+1)
¾¨1+ + +1
x`Ú¦ 5 3 =lim
x xÛ` x`Ú¦ 'Äx-1+'Äx+1
-2'x
=;2!; =lim
'Äx-1+'Äx+1
x`Ú¦

⑸ x=-t로 놓으면 x Ú`-¦일 때 t Ú`¦이므로 =lim


-2
®É1-;[!;+®É1+;[!;
x`Ú¦
3x-1 -3t-1
lim =lim
x`Ú -¦ "ÃxÛ`-2x t`Ú¦ "ÃtÛ`+2t
=-1
1
⑷ x=-t로 놓으면 x Ú`-¦일 때 t Ú`¦이므로
-3-
t
=lim =-3
¾¨1+
t`Ú¦ 2 lim ("ÃxÛ`-7x+10+x)
t x`Ú -¦

⑹ x=-t로 놓으면 x Ú`-¦일 때 t Ú`¦이므로 =lim("ÃtÛ`+7t+10-t)


t`Ú¦

1-2x ("ÃtÛ`+7t+10-t)("ÃtÛ`+7t+10+t)
lim =lim
x`Ú -¦ "Ã4xÛ`+1+"ÃxÛ`-1 t`Ú¦ "ÃtÛ`+7t+10+t
1+2t 7t+10
=lim =lim
t`Ú ¦ "Ã4tÛ`+1+"ÃtÛ`-1 t`Ú¦ "ÃtÛ`+7t+10+t
1 10
+2 7+
t t
=lim =lim
¾¨4+ +¾¨1-
1 1
¾¨1+ + +1
t`Ú¦ t`Ú¦ 7 10
tÛ` tÛ` t tÛ`
2
= =;3@; =;2&;
2+1

답 ⑴ ;3!;  ⑵ 0  ⑶ -¦  ⑷ ;2!;  ⑸ -3  ⑹ ;3@; 답 ⑴ -¦  ⑵ ;4#;  ⑶ -1  ⑷ ;2&;

17 18
⑴ lim  [1- ]
1 1
⑴ lim (-xÛ`-2x+4) x`Ú 0 x
x`Ú -¦ (x+1)Û`

= lim xÛ`{-1-;[@;+ }
4 1 (x+1)Û`-1
=lim[ ´ ]
x`Ú -¦ xÛ` x`Ú 0 x (x+1)Û`
=-¦
=lim[ ]
1 xÛ`+2x
´
⑵ lim ("Ã4xÛ`+3x-1-2x) x`Ú 0 x (x+1)Û`
x`Ú¦
x+2
("Ã4xÛ`+3x-1-2x)("Ã4xÛ`+3x-1+2x) =lim  =2
=lim x`Ú 0 (x+1)Û`
x`Ú¦ "Ã4xÛ`+3x-1+2x
⑵ lim  { }
1 1 1
-
=lim
3x-1 x`Ú 0 x '3-x '3
x`Ú¦ "Ã4xÛ`+3x-1+2x
1 '3-('3-x)
=lim[ ´ ]
3-
1 x`Ú 0 x '3('3-x)
x
=lim
=lim[ ]
1 x
¾¨4+ - +2
x`Ú¦ 3 1 ´
x xÛ` x`Ú 0 x '3('3-x)

=lim 
1
=;4#; =;3!;
x`Ú 0 3-'3x

8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개념원리 익히기
'x (x-2)(x+2)
}
xÛ`-4
⑶ lim x{;2!;-

확인체크
∴ b=lim   =lim 
x`Ú¦ 'Ä4x+3 x`Ú 2 x-2 x`Ú 2 x-2
x('Ä4x+3-2'x) =lim(x+2)=4
=lim x`Ú 2
2'Ä4x+3
⑵ x Ú`-1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
x`Ú¦

x('Ä4x+3-2'x)('Ä4x+3+2'x)
=lim
x`Ú¦ 2'Ä4x+3('Ä4x+3+2'x) 므로 (분자) Ú`0이다.
3x 즉, lim (xÛ`+ax+b)=0이므로
x`Ú -1
=lim
x`Ú¦ 8x+6+4"Ã4xÛ`+3x 1-a+b=0   ∴ b=a-1
3
=lim xÛ`+ax+b xÛ`+ax+a-1
∴ lim = lim
8+;[^;+4®É4+;[#;
x`Ú¦
x`Ú -1 x+1 x`Ú -1 x+1
(x+1)(x+a-1)
3 = lim
= =;1£6; x`Ú -1 x+1
8+8
= lim (x+a-1)
⑷ x=-t로 놓으면 x Ú`-¦일 때 t Ú`¦이므로

x`Ú -1

=a-2
lim xÛ`{;3!;+ }
x

x`Ú -¦ "Ã9xÛ`+3 a-2=2이므로 a=4, b=3
=lim tÛ`{;3!;-
t
} ⑶ x Ú`2일 때 (분자) Ú`0이고 0이 아닌 극한값이
"Ã9tÛ`+3
존재하므로 (분모) Ú`0이다.
t`Ú¦

tÛ`("Ã9tÛ`+3-3t) 즉, lim(a'Äx-1+b)=0이므로
=lim  x`Ú 2
t`Ú¦ 3"Ã9tÛ`+3
a+b=0   ∴ b=-a
tÛ`("Ã9tÛ`+3-3t)("Ã9tÛ`+3+3t)
=lim  x-2 x-2
t`Ú¦ 3"Ã9tÛ`+3("Ã9tÛ`+3+3t) ∴ lim   =lim 
x`Ú 2 a'Äx-1+b x`Ú 2 a'Äx-1-a
3tÛ`
=lim  x-2
t`Ú¦ 3(9tÛ`+3+3t"Ã9tÛ`+3) =lim 
x`Ú 2 a('Äx-1-1)
tÛ`
=lim  (x-2)('Äx-1+1)
t`Ú¦ 9tÛ`+3+"Ã81tÝ`+27tÛ` =lim 
x`Ú 2 a(x-2)
1
=lim  'Äx-1+1
t`Ú¦ 3 27 =lim  =;a@;
9+ +¾¨81+ x`Ú 2 a
tÛ` tÛ`
1 ;a@;=1이므로 a=2, b=-2
= =;1Á8;
9+9
답 ⑴ a=4, b=4  ⑵ a=4, b=3
답 ⑴ 2  ⑵ ;3!;  ⑶ ;1£6;  ⑷ ;1Á8; ⑶ a=2, b=-2

20
19 lim
`f(x)
=2에서 f(x)는 이차항의 계수가 2인 이
xÛ`+1
⑴ x Ú`2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x`Ú¦

차함수임을 알 수 있다.
(분자) Ú`0이다.
`f(x) `f(x)
즉, lim(xÛ`-a)=0이므로 또, lim  =lim  =-1에서
x`Ú 1 xÛ`-1 x`Ú 1 (x-1)(x+1)
x`Ú 2

4-a=0   x Ú`1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 a=4 (분자) Ú 0이다.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9
즉, lim`f(x)=0이므로 f(1)=0
x`Ú 1 24
f(x)=2(x-1)(x+a)`(a는 상수)로 놓으면 2x+1<f(x)<2x+5의 각 변을 세제곱하면
`f(x) 2(x-1)(x+a) (2x+1)Ü`<{`f(x)}Ü`<(2x+5)Ü`
lim  =lim 
x`Ú 1 (x-1)(x+1) x`Ú 1 (x-1)(x+1)
xÜ`+1>0이므로 각 변을 xÜ`+1로 나누면
2(x+a) (2x+1)Ü` { f(x)}Ü` (2x+5)Ü`
  =lim  < <
x`Ú 1 x+1
xÜ`+1 xÜ`+1 xÜ`+1
  =1+a=-1 (2x+1)Ü` (2x+5)Ü`
이때 lim =8, lim =8이므로
∴ a=-2 x`Ú¦ xÜ`+1 x`Ú¦ xÜ`+1
따라서 f(x)=2(x-1)(x-2)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2(x-1)(x-2) { f(x)}Ü`
lim  =lim 2(x-1)=2 답 2 lim =8 답 8
x`Ú 2 x-2 x`Ú 2 x`Ú¦ xÜ`+1

21 25
`f(x)-2xÜ` tÛ`
lim   =2에서 f(x)는 삼차항의 계수가 직선 OP의 기울기가 =t이므로 점 P를 지나고 직
x`Ú¦ xÛ` t
2, 이차항의 계수가 2인 다항함수임을 알 수 있다. 선 OP와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1
=-3에서 x Ú`0일 때 (분모) Ú`0
`f(x) y-tÛ`=- (x-t)
또, lim   t
x`Ú 0 x
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0이다. 위의 식에 x=0을 대입하면 y=tÛ`+1이므로

즉, lim `f(x)=0이므로 f(0)=0 f(t)=tÛ`+1


x`Ú 0
∴ lim`f(t)=lim(tÛ`+1)=1 답 1
t`Ú 0 t`Ú 0
f(x)=2xÜ`+2xÛ`+ax`(a는 상수)로 놓으면
`f(x)
lim 
x`Ú 0 x
=lim 
x`Ú 0
2xÜ`+2xÛ`+ax
x 26
  =lim(2xÛ`+2x+a)=-3 ⑴ f(1)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불연속이다.
x`Ú 0
⑵ lim `f(x)=3, lim `f(x)=2이므로
∴ a=-3 x`Ú1+ x`Ú1-

∴ f(x)=2xÜ`+2xÛ`-3x lim `f(x)+ lim `f(x)


x`Ú1+ x`Ú1-

답 f(x)=2xÜ`+2xÛ`-3x
‌따라서 lim`f(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불연속
x`Ú1

이다.
22 ⑶ f(1)=1이고 lim`f(x)=2이므로
x`Ú1
lim(2x+1)=3, lim(xÛ`+2)=3이므로
x`Ú 1 x`Ú 1
lim`f(x)+f(1)
x`Ú1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lim h(x)=3 답 3
x`Ú 1
답 풀이 참조

23 27
5x+3 5xÛ`-2x+7 ⑴ f(2)=0, lim`f(x)=0이므로
lim =5, lim =5이므로
x`Ú¦ x+2 x`Ú¦ xÛ` x`Ú2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f(x)=f(2)


x`Ú2

lim `f(x)=5 답 5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연속이다.


x`Ú¦

10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개념원리 익히기
확인체크
⑵ x=2일 때, 함숫값 f(2)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⑶ Ú x>2일 때, Z ZG Y

함수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xÛ`-4


f(x)= 
답 ⑴ 연속  ⑵ 불연속
|x-2|
(x-2)(x+2) 0
=   Y
x-2 
=x+2 
28 Û x<2일 때,
답 ⑴ [-2, 1] ⑵ (-1, 2) ⑶ [0, 2)
xÛ`-4 (x-2)(x+2)
⑷ (1, 3] ⑸ (-¦, -2) ⑹ [3, ¦) f(x)= =
|x-2| -(x-2)
=-x-2
Ü ‌x=2일 때, 함숫값 f(2)는 존재하지 않는다.
29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⑴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므로 ⑷ x+2일 때, Z ZG Y

(-¦, ¦) xÛ`-3x+2
f(x)=
⑵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은 x-1¾0, 즉 x¾1인 x의 x-2

값들의 집합이므로 [1, ¦) (x-2)(x-1)
= 0   Y
x-2 
답 ⑴ (-¦, ¦)  ⑵ [1, ¦)
=x-1
Ú x=2에서의 함숫값은 f(2)=1
Û lim`f(x)=lim(x-1)=1
30 x`Ú2 x`Ú2

⑴ Ú x>2일 때, Z Ú, Û에서 lim`f(x)=f(2)


x`Ú2
ZG Y

f(x)=x-2이므로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연속이다.



lim `f(x) ⑸ lim `f(x)=0, Z
x`Ú2+ x`Ú2+ ZG Y

0  Y
= lim (x-2)=0 lim `f(x)=-1이므로
x`Ú2+ x`Ú2-
0 
Û x<2일 때, lim `f(x)+ lim `f(x) Y
x`Ú2+ x`Ú2- 
f(x)=-(x-2)=-x+2이므로
‌따라서 극한값 lim`f(x)가
x`Ú2
lim `f(x)= lim (-x+2)=0
x`Ú2- x`Ú2-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2에서 불연속
Ü x=2일 때,
이다.
f(2)=|2-2|=0
답 ⑴ 연속  ⑵ 불연속  ⑶ 불연속
Ú~Ü에서 lim`f(x)=f(2)
x`Ú2  ⑷ 연속  ⑸ 불연속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연속이다.
⑵ x+2일 때, Z

xÛ`+x-6 
ZG Y

31
f(x)=
x-2  x=1, x=2, x=3에서 함수 f(x)의 연속성을 조사
(x-2)(x+3) 한다.
=
x-2
Ú x Ú`1일 때의 극한값은
 0  Y
=x+3
lim `f(x)=3, lim `f(x)=2
‌x=2일 때, 함숫값 f(2)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 x`Ú1+ x`Ú1-

수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이므로 lim `f(x)+ lim `f(x)


x`Ú1+ x`Ú1-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11
따라서 lim`f(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lim `f(x)g(x)= lim `f(x)´ lim `g(x)
x`Ú1 x`Ú0- x`Ú0- x`Ú0-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1)´1=-1


Û x=2에서의 함숫값은 f(2)=4 따라서 lim`f(x)g(x)=-1이므로
x`Ú0
x Ú`2일 때의 극한값은 lim`f(x)g(x)+f(0)g(0)
x`Ú0
lim `f(x)= lim `f(x)=3
x`Ú2+ x`Ú2-
즉, f(x)g(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따라서 lim `f(x)+f(2)이므로 f(x)는 x=2에
x`Ú2 ㄷ. x Ú`0+일 때 f(x)=1이고, x Ú`0-일 때
서 불연속이다. f(x)=-1이므로
Ü x=3에서의 함숫값은 f(3)=4 lim `g(`f(x))=g(1)=-1
x`Ú0+
x Ú`3일 때의 극한값은 lim `g(`f(x))=g(-1)=1
x`Ú0-
lim `f(x)= lim `f(x)=4
x`Ú3+ x`Ú3-
따라서 lim `g(`f(x))+ lim `g(`f(x))이므로
x`Ú0+ x`Ú0-
따라서 lim`f(x)=4이므로 lim`f(x)=f(3)
x`Ú3 x`Ú3
g(`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즉, f(x)는 x=3에서 연속이다. ㄹ. ‌x Ú`0+일 때 g(x)=-1이고, x Ú`0-일 때
Ú~Ü에서 x=1에서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g(x)=1이므로
a=1 lim `f(g(x))=f(-1)=-1
x`Ú0+
또, x=1, x=2에서 불연속이므로 b=2
lim `f(g(x))=f(1)=1
∴ ab=1´2=2 답 2 x`Ú0-

따라서 lim `f(g(x))+ lim `f(g(x))이므로


x`Ú0+ x`Ú0-

f(g(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32 그러므로 x=0에서 연속인 함수는 ㄱ뿐이다.
ㄱ. x=0에서의 함숫값은 답 ㄱ

f(0)+g(0)=;2!;+{-;2!;}=0
33
x Ú`0일 때의 극한값은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lim {`f(x)+g(x)}= lim `f(x)+ lim `g(x) lim `f(x)=f(-1)이어야 하므로
x`Ú0+ x`Ú0+ x`Ú0+
x`Ú-1
=1-1=0 xÛ`+2ax+3
lim   =b yy`㉠
lim {`f(x)+g(x)}= lim `f(x)+ lim `g(x) x`Ú-1 x+1
x Ú`-1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x`Ú0- x`Ú0- x`Ú0-

=-1+1=0
(분자) Ú`0이다.
따라서 lim{`f(x)+g(x)}=0이므로
x`Ú0
즉, lim (xÛ`+2ax+3)=0이므로
x`Ú-1
lim{`f(x)+g(x)}=f(0)+g(0)
x`Ú0
1-2a+3=0   ∴ a=2
즉, f(x)+g(x)는 x=0에서 연속이다.
a=2를 ㉠에 대입하면
ㄴ. x=0에서의 함숫값은 xÛ`+4x+3
b= lim  
x+1
f(0)g(0)=;2!;´{-;2!;}=-;4!;
x`Ú-1

(x+1)(x+3)
x Ú`0일 때의 극한값은
= lim  
x`Ú-1 x+1
lim `f(x)g(x)= lim `f(x)´ lim `g(x) = lim (x+3)=2
x`Ú0+ x`Ú0+ x`Ú0+ x`Ú-1

=1´(-1)=-1 ∴ a+b=2+2=4 답 4

12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개념원리 익히기
34 36

확인체크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려면 x=1에서 x+-1, x+2일 때,
연속이어야 한다. xÝ`+ax+b xÝ`+ax+b
f(x)= =
xÛ`-x-2 (x+1)(x-2)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이므로
lim`f(x)=f(1)이어야 하므로
x`Ú1
x=-1, x=2에서도 연속이다.
a"ÃxÛ`+8-b a-1
lim  =  yy`㉠ Ú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x`Ú1 x-1 2
x Ú`1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xÝ`+ax+b
f(-1)= lim `f(x)= lim  
x`Ú-1 x`Ú-1 (x+1)(x-2)
(분자) Ú`0이다.
x Ú`-1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
즉, lim`(a"ÃxÛ`+8-b)=0이므로
x`Ú 1 므로 (분자) Ú`0이다.
3a-b=0   ∴ b=3a yy`㉡ 즉, lim (xÝ`+ax+b)=0이므로
x`Ú-1
㉡을 ㉠에 대입하면
1-a+b=0 ……`㉠
a"ÃxÛ`+8-3a
lim  Û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x`Ú1 x-1
a("ÃxÛ`+8-3) xÝ`+ax+b
f(2)=lim`f(x)=lim 
=lim  x`Ú2 x`Ú2 (x+1)(x-2)
x-1
x Ú`2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
x`Ú1

a("ÃxÛ`+8-3)("ÃxÛ`+8+3)
=lim 
x`Ú1 (x-1)("ÃxÛ`+8+3) 로 (분자) Ú`0이다.
a(x-1)(x+1) 즉, lim(xÝ`+ax+b)=0이므로
=lim  x`Ú2
x`Ú1 (x-1)("ÃxÛ`+8+3)
16+2a+b=0 ……`㉡
a(x+1)
=lim  =;3A;
x`Ú1 "ÃxÛ`+8+3
㉠, ㉡을 연립하여 풀면

a-1 a=-5, b=-6


;3A;= 이므로 2a=3a-3   ∴ a=3
2 xÝ`-5x-6
∴ f(2)=lim 
x`Ú2 (x+1)(x-2)
a=3을 ㉡에 대입하면 b=9
∴ b-a=9-3=6 답 6 (x+1)(x-2)(xÛ`+x+3)
=lim 
x`Ú2 (x+1)(x-2)
=lim(xÛ`+x+3)
x`Ú2

35 =4+2+3=9 답 9

'Äx+15-4
x+1일 때, f(x)=
x-1
함수 f(x)가 x¾-15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
37
이므로 x=1에서도 연속이다.
ㄱ. 2f(x), 3g(x)가 x=a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Äx+15-4
∴ f(1)=lim`f(x)=lim  2f(x)+3g(x)도 x=a에서 연속이다.
x`Ú1 x`Ú1 x-1
('Äx+15-4)('Äx+15+4) g(x)
=lim  ㄴ. ‌f(a)=0이면 는 x=a에서 정의되지 않으
x`Ú1 (x-1)('Äx+15+4) f(x)
x-1 g(x)
=lim  므로 함수 f(x)+ 는 x=a에서 불연속이다.
x`Ú1 (x-1)('Äx+15+4) f(x)
1 ㄷ. {`f(x)}Û`=f(x)´f(x)이므로 함수 {`f(x)}Û`도
=lim  =;8!; 답 ;8!;
x`Ú1 'Äx+15+4
x=a에서 연속이다.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13
ㄹ. 함수 g(`f(x))가 x=a에서 연속이려면 ⑵ 반닫힌 구간 (1, 4]에서 함수 Z ZG Y

lim`g(`f(x))=g(`f(a))이어야 한다. 2x+1


x`Úa f(x)= 
x-1
‌즉, 함수 g(x)는 x=f(a)에서 연속이어야 한다는 
3
= +2 0   Y
조건이 더 필요하다. x-1
따라서 x=a에서 항상 연속인 함수는 ㄱ, ㄷ이다.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답 ㄱ, ㄷ ‌따라서 f(x)는 최댓값은 없고, x=4에서 최솟값
3을 갖는다.
답 ⑴ 최댓값: 없다., 최솟값: 3
⑵ 최댓값: 없다., 최솟값: 3
38
⑴ ‌함수 f(x)=|x|는 닫힌 Z
ZG Y

구간 [-1, 3]에서 연속 
이고 닫힌구간 [-1, 3] 40

에서 함수 y=f(x)의 그 ⑴ ‌f(x)=3xÜ`-2xÛ`+1로 놓으면
 0  Y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함수 f(x)는 닫힌구간 [-3, 3]에서 연속이고
다. f(-3)=-98<0, f(3)=64>0
‌따라서 f(x)는 x=3에서 최댓값 3, x=0에서 최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
솟값 0을 갖는다. 은 열린구간 (-3, 3)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⑵ ‌함수 f(x)='Ä 8 -2x는 Z 갖는다.
 ⑵ ‌f(x)=xÝ`+xÜ`-9x+1로 놓으면
닫힌구간 [-4, 2]에서 ZG Y

 함수 f(x)는 닫힌구간 [1, 3]에서 연속이고


연속이고 닫힌구간
[-4, 2]에서 함수  0   Y f(1)=-6<0, f(3)=82>0
y=f(x)의 그래프는 오른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
쪽 그림과 같다. 은 열린구간 (1, 3)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
‌따라서 f(x)는 x=-4에서 최댓값 4, x=2에서 는다.
최솟값 2를 갖는다. 답 풀이 참조

답 ⑴ 최댓값: 3, 최솟값: 0
⑵ 최댓값: 4, 최솟값: 2

41
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닫힌구간
39 [-2, 3]에서 연속이다.
⑴ ‌함수 f(x)=xÛ`-4x+7은 열 Z ZG Y
f(-2)f(-1)<0, f(-1)f(0)>0, f(0)f(1)<0,
린구간 (1, 4)에서 연속이고  f(1)f(2)>0, f(2)f(3)>0
열린구간 (1, 4)에서 함수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2, -1), (0, 1)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그림과 같다. Y
갖는다.
0  
‌따라서 f(x)는 최댓값은 없고, 따라서 열린구간 (-2, 3)에서 적어도 2개의 실근을
x=2에서 최솟값 3을 갖는다. 갖는다. 답 2개

14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개념원리 익히기
`f(a+h)-f(a)-f(a-h)+f(a)

확인체크
=;2!; lim 
Ⅱ. 미분 h`Ú 0 h
`f(a+h)-f(a) `f(a-h)-f(a)
=;2!; lim[ + ]
h`Ú 0 h -h
42 =;2!;{ f '(a)+f '(a)}
Dy `f(3)-f(1)
(평균변화율)= =
Dx 3-1 =f '(a)=2
(3Û`+3+1)-(1Û`+1+1) ⑷ (주어진 식)
=
2 `f(a+3h)-f(a)-f(a+h)+f(a)
=lim 
2h
=:Á2¼:=5
h`Ú 0

`f(a+3h)-f(a)
`f(a+Dx)-f(a) =lim 
`f '(a)= lim h`Ú 0 2h
Dx`Ú 0 Dx
`f(a+h)-f(a)
{(a+Dx)Û`+(a+Dx)+1}-(aÛ`+a+1)  -lim 
= lim h`Ú 0 2h
Dx`Ú 0 Dx
`f(a+3h)-f(a)
(Dx)Û`+2aDx+Dx =lim  ´;2#;
= lim h`Ú 0 3h
Dx`Ú 0 Dx
`f(a+h)-f(a)
= lim (Dx+2a+1)=2a+1  -lim  ´;2!;
Dx`Ú 0
h`Ú 0 h
즉, 2a+1=5이므로 a=2 답 2 =;2#; f '(a)-;2!; f '(a)

=f '(a)=2
43 답 ⑴ 0  ⑵ -6  ⑶ 2  ⑷ 2
Dy `f(4)-f(1)
(평균변화율)= =
Dx 4-1
45
(4Û`-4'a+4)-(1Û`-'a+4)
= `f(a-2h)-f(a+h)+g(h)
4-1 lim 
h`Ú 0 h
15-3'a
= `f(a-2h)-f(a+h) g(h)
3 =lim  +lim 
h`Ú 0 h h`Ú 0 h
=5-'a
`f(a-2h)-f(a)-f(a+h)+f(a)
즉, 5-'a=1이므로 'a=4 =lim 
h`Ú 0 h
∴ a=16 답 16 g(h)
 +lim 
h`Ú 0 h

44 =lim 
h`Ú 0
`f(a-2h)-f(a)
-2h
´(-2)
`f(a+hÛ`)-f(a)
⑴ (주어진 식)=lim[ ´h] `f(a+h)-f(a) g(h)
h`Ú 0 hÛ`  -lim  +lim 
h`Ú 0 h h`Ú 0 h
=f '(a)´lim  h=0 g(h)
h`Ú 0
=-2f '(a)-f '(a)+lim 
`f(a-3h)-f(a) h`Ú 0 h
⑵ (주어진 식)=lim  ´(-3)
h`Ú 0 -3h g(h) g(h)
=-3f '(a)+lim  =9+lim 
=-3f '(a)=-6 h`Ú 0 h h`Ú 0 h

⑶ (주어진 식) g(h) g(h)


즉, 9+lim  =2에서 lim  =-7
h`Ú 0 h h`Ú 0 h
`f(a+h)-f(a-h)
=;2!; lim   답 -7
h`Ú 0 h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15
46 49
x-2 x=0, y=0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주어진 식)=lim[ ´(xÛ`+2x+4)]
x`Ú 2 `f(x)-f(2) f(0)=f(0)+f(0)+0   ∴ f(0)=0
1
[ ]
=lim ´(xÛ`+2x+4) `f(1+h)-f(1)
x`Ú 2 `f(x)-f(2) f '(1)=lim 
h`Ú 0 h
x-2
{ f(1)+f(h)+h}-f(1)
1 =lim 
= ´lim(xÛ`+2x+4) h`Ú 0 h
`f '(2) x`Ú 2
`f(h)+h
=lim 
=;3!;(4+4+4)=4 답 4 h`Ú 0 h
`f(h)
=lim  +1
h`Ú 0 h
47 `f(h)-f(0)
=lim  +1
(주어진 식) h`Ú 0 h
2f(x)-2f(2)-xf(2)+2f(2) =f '(0)+1
=lim 
x`Ú 2 x-2 이고 f '(1)=3이므로 f '(0)+1=3
2{ f(x)-f(2)}-(x-2)f(2) ∴ f '(0)=2
=lim 
x`Ú 2 x-2
`f(3+h)-f(3)
`f(x)-f(2) (x-2)f(2) ∴ f '(3)=lim 
=2 lim  -lim  h`Ú 0 h
x`Ú 2 x-2 x`Ú 2 x-2
{ f(3)+f(h)+3h}-f(3)
=2f '(2)-f(2) =lim 
h`Ú 0 h
=2´1-3=-1 답 -1 `f(h)+3h
=lim 
h`Ú 0 h

48 =lim 
h`Ú 0
`f(h)
h
+3
x=0, y=0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f(h)-f(0)
f(0)=f(0)+f(0)+1   ∴ f(0)=-1 =lim  +3
h`Ú 0 h
`f(4+h)-f(4) =f '(0)+3=2+3=5 답 5
f '(4)=lim 
h`Ú 0 h
{ f(4)+f(h)+1}-f(4)
=lim 
h
h`Ú 0
50
`f(h)+1 `f(h)-f(0)
=lim  =lim  f(x)=xÜ`-x로 놓으면 점 (2, 6)에서의 접선의 기울
h`Ú 0 h h`Ú 0 h
=f '(0) 기는 함수 f(x)의 x=2에서의 미분계수 f '(2)와 같

이고 f '(4)=1이므로 f '(0)=1 으므로

`f(2+h)-f(2) `f(x)-f(2)
f '(2)=lim  f '(2)=lim 
h`Ú 0 h x`Ú 2 x-2

{ f(2)+f(h)+1}-f(2) (xÜ`-x)-6
=lim  =lim 
h`Ú 0 h x`Ú 2 x-2

`f(h)+1 `f(h)-f(0) (x-2)(xÛ`+2x+3)


=lim  =lim  =lim 
h`Ú 0 h h`Ú 0 h x`Ú 2 x-2

=f '(0)=1 =lim (xÛ`+2x+3)=11


x`Ú 2

∴ f(0)+f '(2)=-1+1=0 답 0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11이다. 답 11

16 Ⅱ. 미분
개념원리 익히기
51

확인체크
⑵ Ú f(1)=0이고 Z
ZG Y

lim`f(x)=lim`|xÛ`-1|
ㄱ. 곡선 y=f(x)와 직선 y=g(x)가 x=a인 점에 x`Ú 1 x`Ú 1

서 접하므로 f(a)=g(a) (참) =0
ㄴ. x=a에서의 곡선 y=f(x)의 접선의 기울기와 직 이므로 lim`f(x)=f(1)  0  Y
x`Ú 1

선 y=g(x)의 기울기가 같으므로 따라서 함수 f(x)는 x=1


f '(a)=g '(a) (참) 에서 연속이다.
ㄷ. ㄱ, ㄴ에서 f(a)=g(a), f '(a)=g '(a)이므로 `f(x)-f(1) |xÛ`-1|
Û lim = lim
`f(x)-g(x) x`Ú 1+ x-1 x`Ú 1+ x-1
lim 
x`Ú a x-a xÛ`-1
= lim
`f(x)-f(a)+g(a)-g(x) x`Ú 1+ x-1
=lim 
x`Ú a x-a = lim (x+1)
x`Ú 1+
`f(x)-f(a) g(x)-g(a)
=lim  -lim  =2
x`Ú a x-a x`Ú a x-a
`f(x)-f(1) |xÛ`-1|
=f '(a)-g '(a)=0 (참) lim = lim
x`Ú 1- x-1 x`Ú 1- x-1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답 ㄱ, ㄴ, ㄷ
-(xÛ`-1)
= lim
x`Ú 1- x-1
= lim {-(x+1)}
52
x`Ú 1-

=-2
⑴ Ú f(1)=0이고 Z ZG Y

따라서 f '(1)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lim`f(x)
x`Ú 1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lim x|x-1|=0 0 Ú, Û에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지만 미
x`Ú 1
 Y
Å 분가능하지 않다.
이므로
lim`f(x)=f(1) ⑶ Ú f(1)=1이고 Z ZG Y

x`Ú 1
lim `f(x)= lim xÛ`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다. x`Ú 1+ x`Ú 1+

`f(x)-f(1) x|x-1| =1
Û lim = lim 0  Y
x`Ú 1+ x-1 x`Ú 1+ x-1 lim `f(x)= lim (2x-1) 
x`Ú 1- x`Ú 1-
x(x-1)
= lim =1
x`Ú 1+ x-1
이므로 lim`f(x)=1
= lim x=1 x`Ú 1
x`Ú 1+
∴ lim`f(x)=f(1)
`f(x)-f(1) x|x-1| x`Ú 1
lim = lim
x`Ú 1- x-1 x`Ú 1- x-1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다.
-x(x-1) `f(x)-f(1) xÛ`-1
= lim Û lim = lim
x`Ú 1- x-1 x`Ú 1+ x-1 x`Ú 1+ x-1

= lim (-x)=-1 = lim (x+1)=2


x`Ú 1- x`Ú 1+

따라서 f '(1)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f(1) 2x-1-1


lim = lim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x`Ú 1- x-1 x`Ú 1- x-1
Ú, Û에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지만 미 2(x-1)
= lim =2
x`Ú 1- x-1
분가능하지 않다.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17
따라서 f '(1)의 값이 존재하므로 함수 f(x)는 55
x=1에서 미분가능하다. ⑴ y'=(10Û`)'=0
Ú, Û에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고 미분
⑵ y'={4xÜ`-;2!;xÛ`+3}'=12xÛ`-x
가능하다.
 답 ⑴ 연속, 미분가능하지 않다. ⑶ y'=(5xÝ`+xÜ`-3x-8)'=20xÜ`+3xÛ`-3
 ⑵ 연속, 미분가능하지 않다. 답 ⑴ y'=0  ⑵ y'=12xÛ`-x

 ⑶ 연속, 미분가능하다. ⑶ y'=20xÜ`+3xÛ`-3

53 56
① 점 (3, f(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0보다 크므 ⑴ y'=(xÜ`+2)'(xÛ`-1)+(xÜ`+2)(xÛ`-1)'
로 f '(3)>0이다. =3xÛ`(xÛ`-1)+(xÜ`+2)´2x
② lim `f(x)= lim `f(x)이므로 lim`f(x)의 값이 =5xÝ`-3xÛ`+4x
x`Ú 2+ x`Ú 2- x`Ú 2
⑵ y'=(xÛ`-1)'(2x+1)(3x-2)
존재한다.
 +(xÛ`-1)(2x+1)'(3x-2)
③ x=4, x=5에서 불연속이다.
 +(xÛ`-1)(2x+1)(3x-2)'
④ 불연속인 점과 뾰족점에서는 미분가능하지 않으므
=2x(2x+1)(3x-2)
로 x=2, x=4, x=5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2(xÛ`-1)(3x-2)+3(xÛ`-1)(2x+1)
⑤ x=2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24xÜ`-3xÛ`-16x+1
답 ⑤
⑶ y'=12(2x-1)Ü`(2x-1)'
=12(2x-1)Ü`´2
54 =24(2x-1)Ü`
`f(x+h)-f(x) 3-3 답 ⑴ y'=5xÝ`-3xÛ`+4x
⑴ f '(x)=lim  =lim  =0
h`Ú 0 h h`Ú 0 h ⑵ y'=24xÜ`-3xÛ`-16x+1
`f(x+h)-f(x) ⑶ y'=24(2x-1)Ü`
⑵ f '(x)=lim 
h`Ú 0 h
{(x+h)-4}-(x-4)
=lim 
h`Ú 0 h
57
h
=lim  =1 f(x)=(x-1)(x-2)(x-3)y(x-7)에서
h`Ú 0 h

`f(x+h)-f(x) f '(x)=(x-2)(x-3)y(x-7)
⑶ f '(x)=lim 
h`Ú 0 h  +(x-1)(x-3)y(x-7)
{8(x+h)Û`+7(x+h)}-(8xÛ`+7x)  +`y`+(x-1)(x-2)y(x-6)
=lim 
h`Ú 0 h 따라서
8hÛ`+16xh+7h f '(1)=(1-2)(1-3)y(1-7)
=lim 
h`Ú 0 h
=(-1)´(-2)´`y`´(-6)=720
=lim (8h+16x+7)
h`Ú 0 f '(5)=(5-1)(5-2)(5-3)(5-4)(5-6)(5-7)
=16x+7 =4´3´2´1´(-1)´(-2)=48
답 ⑴ f '(x)=0  ⑵ f '(x)=1 `f '(1)
이므로 =15 답 15
⑶ f '(x)=16x+7 f '(5)

18 Ⅱ. 미분
개념원리 익히기
58 62

확인체크
f(x)=axÛ`+bx+c에서 f '(x)=2ax+b f(x)=xÜ`+axÛ`+bx에서 f '(x)=3xÛ`+2ax+b
f '(1)=-4에서 2a+b=-4 yy`㉠ `f(x)-f(2)
lim  =5에서 f '(2)=5
f '(-1)=8에서 -2a+b=8 yy`㉡
x`Ú 2 x-2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2 즉, f '(2)=12+4a+b=5에서

f(0)=5에서 c=5 4a+b=-7 yy`㉠

∴ a=-3, b=2, c=5 답 a=-3, b=2, c=5 xÜ`-1 (x-1)(xÛ`+x+1)


lim  =lim 
x`Ú 1 `f(x)-f(1) x`Ú 1 `f(x)-f(1)
xÛ`+x+1 3
59 =lim 
x`Ú 1 `f(x)-f(1)
=
`f '(1)
x-1
f(x)=xÜ`+axÛ`-3에서 f '(x)=3xÛ`+2ax
3
∴ f '(1)=3+2a yy`㉠ =-;2#;이므로 f '(1)=-2
`f '(1)
g(x)=(xÛ`+1)f(x)에서 즉, f '(1)=3+2a+b=-2에서
g '(x)=2xf(x)+(xÛ`+1)f '(x) 2a+b=-5 yy`㉡
∴ g '(1)=2(a-2)+2(3+2a)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3
=6a+2 yy`㉡ ∴ a+b=-4 답 -4
f '(1)=g '(1)이므로 ㉠, ㉡에서

3+2a=6a+2   ∴ a=;4!; 답 ;4!; 63


f(x)=xÜ`+axÛ`+bx+1에서 f '(x)=3xÛ`+2ax+b

60 lim 
h`Ú 0
`f(1+h)-f(1)
h
=4에서 f '(1)=4
`f(1+h)-f(1)
(주어진 식)=lim  즉, f '(1)=3+2a+b=4에서
h`Ú 0 h
2a+b=1 yy`㉠
`f(1-h)-f(1)
 +lim  `f(-2-h)-f(-2)
h`Ú 0 -h lim 
h`Ú 0 h
=f '(1)+f '(1)=2 f '(1)
`f(-2-h)-f(-2)
한편, f(x)=xÝ`-2xÜ`+x+4에서 =-lim 
h`Ú 0 -h
f '(x)=4xÜ`-6xÛ`+1이므로 f '(1)=-1
=-f '(-2)=-1
∴ 2f '(1)=2´(-1)=-2 답 -2
에서 f '(-2)=1
즉, f '(-2)=12-4a+b=1에서
61 4a-b=11 yy`㉡
`f(x)-f(2) 1
(주어진 식)=lim[ ]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3
´
x`Ú 2 x-2 xÛ`+2x+4 따라서 f(x)=xÜ`+2xÛ`-3x+1이므로
=;1Á2; f '(2) f(1)=1+2-3+1=1 답 1

한편, f(x)=xÜ`-3xÛ`+4x+3에서
f '(x)=3xÛ`-6x+4이므로 64
f '(2)=3´2Û`-6´2+4=4 f(x)=xÚ`â`+x로 놓으면 f(1)=2
xÚ`â`+x-2 `f(x)-f(1)
∴ ;1Á2; f '(2)=;1Á2;´4=;3!; 답 ;3!; lim  =lim  =f '(1)
x`Ú 1 x-1 x`Ú 1 x-1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19
g(x)=a(x-4)Û`+b (x¾2)
이때 f '(x)=10xá`+1이므로 다른풀이 f(x)=[ 
h(x)=xÛ`` (x<2)
f '(1)=10+1=11 답 11
g'(x)=2a(x-4) (x>2)
으로 놓으면 f '(x)=[ 
h'(x)=2x (x<2)
65 함수 f(x)가 x=2에서 미분가능할 조건은
=k에서 x Ú`2일 때
xÇ`-xÜ`-x-6 Ú g(2)=h(2) Û g'(2)=h'(2)
lim 
x`Ú 2 x-2
이므로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0이다.
g(2)=h(2)에서 a(2-4)Û`+b=2Û`  
즉, lim (xn-xÜ`-x-6)=0이므로
x`Ú 2 ∴ 4a+b=4 yy`㉠
2n-8-2-6=0, 2n=16=2Ý`   g'(2)=h'(2)에서 2a(2-4)=2´2  
∴ n=4 ∴ a=-1 yy`㉡
이때 f(x)=xÝ`-xÜ`-x-6으로 놓으면 ㉠, ㉡에서 a=-1, b=8
f(2)=0, f '(x)=4xÜ`-3xÛ`-1이므로
xÝ`-xÜ`-x-6 `f(x)-f(2)
lim  =lim  =f '(2)
x-2 x-2
67
x`Ú 2 x`Ú 2

  =4´2Ü`-3´2Û`-1=19=k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미분가능하면 x=1에
∴ n+k=4+19=23 답 23
서도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속이다.
즉, lim`f(x)=f(1)에서 2+1=1+a+b
66
x`Ú 1

∴ a+b=2 yy`㉠
함수 f(x)가 x=2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2에서 연 또, 미분계수 f '(1)이 존재하므로
속이다. `f(x)-f(1)
lim
즉, lim`f(x)=f(2)에서 4=4a+b yy`㉠ x`Ú 1+ x-1
x`Ú 2

또, 미분계수 f '(2)가 존재하므로 (xÜ`+axÛ`+bx)-(1+a+b)


= lim
x`Ú 1+ x-1
`f(x)-f(2)
lim (x-1){xÛ`+(a+1)x+a+b+1}
x`Ú 2+ x-2 = lim
x`Ú 1+ x-1
a(x-4)Û`+b-(4a+b)
= lim = lim {xÛ`+(a+1)x+a+b+1}
x`Ú 2+ x-2 x`Ú 1+

a(x-2)(x-6) =2a+b+3
= lim
x`Ú 2+ x-2 `f(x)-f(1) (2xÛ`+1)-(1+a+b)
lim = lim
= lim a(x-6)=-4a x`Ú 1- x-1 x`Ú 1- x-1
x`Ú 2+

`f(x)-f(2) xÛ`-(4a+b) 2xÛ`+1-3


lim = lim = lim (∵ ㉠)
x`Ú 2- x-2 x`Ú 2- x-2 x`Ú 1- x-1
2(x+1)(x-1)
xÛ`-4 = lim
= lim (∵ ㉠) x`Ú 1- x-1
x`Ú 2- x-2
(x+2)(x-2) = lim 2(x+1)=4
x`Ú 1-
= lim
x`Ú 2- x-2
즉, 2a+b+3=4이므로
= lim (x+2)=4 2a+b=1 yy`㉡
x`Ú 2-

즉, -4a=4이므로 a=-1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3


a=-1을 ㉠에 대입하면 b=8 답 a=-1, b=8 ∴ ab=-3 답 -3

20 Ⅱ. 미분
개념원리 익히기
g(x)=xÜ`+axÛ`+bx (x¾1)

확인체크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다른풀이 f(x)=[ 
h(x)=2xÛ`+1 (x<1) 1-2+4=a+b   ∴ a+b=3
로 놓으면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g'(x)=3xÛ`+2ax+b (x>1) 100xá`á`-6xÛ`=2(x-1)Q(x)+(x-1)Û`Q'(x)+a
f '(x)=[ 
h'(x)=4x (x<1)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할 조건은 100-6=a   ∴ a=94, b=-91
Ú g(1)=h(1) Û g'(1)=h'(1)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94x-91 답 94x-91
이므로 다른풀이 f(x)=xÚ`â`â`-2xÜ`+4를 (x-1)Û`으로 나누
g(1)=h(1)에서 1+a+b=3   었을 때의 나머지는 f '(1)(x-1)+f(1)
∴ a+b=2 yy`㉠ f '(x)=100xá`á`-6xÛ`에서 f '(1)=100-6=94
g'(1)=h'(1)에서 3+2a+b=4   f(1)=1-2+4=3
∴ 2a+b=1 yy`㉡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3 94(x-1)+3=94x-91
∴ ab=-3

68 70
다항식 xÝ`+axÛ`+b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
다항식 xÛ`â`-ax+b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
을 Q(x)라 하면
을 Q(x)라 하면
xÝ`+axÛ`+b=(x+1)Û`Q(x)+2x+3 yy`㉠
xÛ`â`-ax+b=(x-1)Û`Q(x) yy`㉠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a+b=1   ∴ a+b=0 yy`㉡
1-a+b=0   ∴ a-b=1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4xÜ`+2ax=2(x+1)Q(x)+(x+1)Û`Q'(x)+2
20xÚ`á`-a=2(x-1)Q(x)+(x-1)Û`Q'(x)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4-2a=2   ∴ a=-3
20-a=0   ∴ a=20, b=19
a=-3을 ㉡에 대입하면 b=3
∴ a+b=39 답 39
∴ ab=-9 답 -9
다른풀이 f(x)=xÛ`â`-ax+b가 (x-1)Û`으로 나누어
떨어질 조건은
f(1)=0, f '(1)=0 71
f(1)=1-a+b=0에서 a-b=1 yy`㉠ ⑴ f(x)=2xÛ`+4x-3으로 놓으면 f '(x)=4x+4
f '(x)=20xÚ`á`-a에서 f '(1)=20-a=0 yy`㉡ 곡선 y=f(x)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의 기울
㉠, ㉡에서 a=20, b=19 기는 f '(1)이므로
∴ a+b=20+19=39 f '(1)=4+4=8
⑵ f(x)=xÜ`-2x+1로 놓으면 f '(x)=3xÛ`-2
69 곡선 y=f(x) 위의 점 (2, 5)에서의 접선의 기울
다항식 xÚ`â`â`-2xÜ`+4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기는 f '(2)이므로
몫을 Q(x), 나머지를 ax+b`(a, b는 상수)라 하면 f '(2)=12-2=10
100
x -2xÜ`+4=(x-1)Û`Q(x)+ax+b yy`㉠  답 ⑴ 8  ⑵ 10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21
72 곡선 y=f(x) 위의 점 (-1, c)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f(x)=xÛ`-4x-1로 놓으면 f '(x)= 2x-4 가 -;2#;이므로 f '(-1)=-;2#;


곡선 y=f(x) 위의 점 (4,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 -2a+b=-;2#; yy`㉡
는 f '( 4 )=8-4= 4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기울기가 4 이고, ㉠, ㉡을 연립하여 풀면
점 (4, -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이므로 a=1, b=;2!;
y-( -1 )= 4 (x- 4 )  
∴ f(x)=xÛ`+;2!;x+;2!;
∴ y= 4x-17  답 풀이 참조
점 (-1, c)는 곡선 y=f(x) 위의 점이므로
f(-1)=c
73 1-;2!;+;2!;=c   ∴ c=1
f(x)=3xÛ`+2x+1로 놓으면 f '(x)= 6x+2
접점의 좌표를 (a, 3aÛ`+2a+1)이라 하면 접선의 기 ∴ abc=1´;2!;´1=;2!; 답 ;2!;

울기가 8이므로
f '(a)= 6a+2 =8, 6a=6   ∴ a=1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1, 6 )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76
방정식은 f(x)=xÜ`-2xÛ`+1로 놓으면 f '(x)=3xÛ`-4x
y- 6 = 8 (x- 1 )   곡선 y=f(x)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
∴ y= 8x-2  답 풀이 참조 기는 f '(-1)=3+4=7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기울기가 7이고, 점
(-1,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이므로
74 y-(-2)=7{x-(-1)}
f(x)=xÜ`+axÛ`+bx로 놓으면 ∴ y=7x+5 답 y=7x+5
f '(x)=3xÛ`+2ax+b
곡선 y=f(x)가 점 (1, 5)를 지나므로 f(1)=5
1+a+b=5   ∴ a+b=4 yy`㉠ 77
곡선 y=f(x) 위의 점 중 x좌표가 -1인 점에서의 f(x)=xÜ`+axÛ`+bx로 놓으면
접선의 기울기가 1이므로 f '(-1)=1 f '(x)=3xÛ`+2ax+b
3-2a+b=1   ∴ -2a+b=-2 yy`㉡ 곡선 y=f(x)가 점 (2, 4)를 지나므로 f(2)=4
㉠, ㉡을 연립하여 풀면 8+4a+2b=4  
a=2, b=2 답 a=2, b=2 ∴ 2a+b=-2 yy`㉠
곡선 y=f(x) 위의 점 (2, 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2)=12+4a+b
75 그런데 접선의 기울기가 6이므로
f(x)=axÛ`+bx+;2!;로 놓으면 f '(x)=2ax+b f '(2)=12+4a+b=6
∴ 4a+b=-6 yy`㉡
곡선 y=f(x)가 점 (1, 2)를 지나므로 f(1)=2
㉠, ㉡을 연립하여 풀면
a+b+;2!;=2   ∴ a+b=;2#; yy`㉠ a=-2, b=2 답 a=-2, b=2

22 Ⅱ. 미분
개념원리 익히기
78 f '(a)=-2a=2   ∴ a=-1

확인체크
f(x)=xÜ`-x+1로 놓으면 f '(x)=3xÛ`-1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1, 0)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곡선 y=f(x)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방정식은 y-0=2{x-(-1)}

f '(1)=2이므로 점 (1, 1)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직선 ∴ y=2x+2 답 y=2x+2

의 기울기는 -;2!;이다.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81
y-1=-;2!;(x-1) f(x)=xÜ`-11x+2로 놓으면 f '(x)=3xÛ`-11

∴ y=-;2!;x+;2#; 답 y=-;2!;x+;2#; 구하는 접선이 직선 x-8y+3=0, 즉 y=;8!;x+;8#;

에 수직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8이다.


접점의 좌표를 (a, aÜ`-11a+2)라 하면 접선의 기울
79 기가 -8이므로
f(x)=xÛ`으로 놓으면 f '(x)=2x
f '(a)=3aÛ`-11=-8
곡선 y=f(x)의 접선이 x축의 양의 방향과 45ù의 각
3aÛ`=3, aÛ`=1
을 이루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tan`45ù=1이다.
∴ a=-1 또는 a=1
접점의 좌표를 (a, aÛ`)이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1이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1, 12), (1, -8)이므로 구
므로
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f '(a)=2a=1   ∴ a=;2!; y-12=-8{x-(-1)}, y-(-8)=-8(x-1)
∴ y=-8x+4, y=-8x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2!;, ;4!;}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답 y=-8x+4, y=-8x
방정식은

y-;4!;=1´{x-;2!;}   ∴ y=x-;4!;

답 y=x-;4!; 82
⑴ f(x)=-xÛ`+2x+3으로 놓으면
참고 직선 y=mx+n Z
ZNY O
f '(x)=-2x+2
(m>0)과 x축의 양의 방
접점의 좌표를 (t, -tÛ`+2t+3)이라 하면 이 점에
향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aù`(0ù<aù<90ù)일 때,
=± f '(t)=-2t+2
직선의 기울기 m=tan`aù 0 Y
따라서 기울기가 -2t+2이고 점
이다.
(t, -tÛ`+2t+3)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tÛ`+2t+3)=(-2t+2)(x-t)
80 ∴ y=(-2t+2)x+tÛ`+3 yy`㉠
f(x)=-xÛ`+1로 놓으면 f '(x)=-2x 이 직선이 점 (2, 4)를 지나므로
구하는 접선이 직선 2x-y+3=0, 즉 y=2x+3에 4=(-2t+2)´2+tÛ`+3
평행하므로 구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2이다. tÛ`-4t+3=0
접점의 좌표를 (a, -aÛ`+1)이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 (t-1)(t-3)=0
가 2이므로 ∴ t=1 또는 t=3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23
이것을 ㉠에 각각 대입하면 Z 이 접선이 점 (k, 30)을 지나므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30=12k-18, 12k=48   ∴ k=4 답 4


y=4, y=-4x+12

0   Y 84
ZY™ Y  f(x)=;4!;xÝ`+3으로 놓으면 f '(x)=xÜ`
⑵ f(x)=xÜ`-2x로 놓으면 f '(x)=3xÛ`-2
접점 P를 P {t, ;4!;tÝ`+3}이라 하면 점 P에서의 접선
접점의 좌표를 (t, tÜ`-2t)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
의 기울기는
선의 기울기는
f '(t)=tÜ`
f '(t)=3tÛ`-2
따라서 점 P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기울기가 3tÛ`-2이고 점 (t, tÜ`-2t)를 지나
는 직선의 방정식은 y-{;4!;tÝ`+3}=tÜ`(x-t)
y-(tÜ`-2t)=(3tÛ`-2)(x-t) 이 직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 y=(3tÛ`-2)x-2tÜ`  yy`㉠
-{;4!;tÝ`+3}=tÜ`´(-t)
이 직선이 점 (0, 2)를 지나므로
2=-2tÜ`, tÜ`=-1 ;4#;tÝ`-3=0, `tÝ`-4=0
∴ t=-1 (tÛ`+2)(t+'2)(t-'2)=0
t=-1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 t=-'2 또는 t='2
y=x+2 따라서 P(-'2, 4) 또는 P('2, 4)이므로 선분 OP
답 ⑴ y=4, y=-4x+12
의 길이는
⑵ y=x+2
¿¹('2 )Û`+4Û`='1Œ8=3'2 답 3'2

83 85
f(x)=xÜ`-2로 놓으면 f '(x)=3xÛ`
f(x)=xÜ`으로 놓으면 f '(x)=3xÛ`
접점의 좌표를 (t, tÜ`-2)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곡선과 직선의 접점의 좌표를 (t, tÜ`)이라 하면
기울기는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t)=3tÛ`, 접선의 방
f '(t)=3tÛ`
정식은
따라서 기울기가 3tÛ`이고 점 (t, tÜ`-2)를 지나는 직선
y-tÜ`=3tÛ`(x-t)
의 방정식은
∴ y=3tÛ`x-2tÜ` yy`㉠
y-(tÜ`-2)=3tÛ`(x-t)
㉠이 y=ax+2이므로
∴ y=3tÛ`x-2tÜ`-2  yy`㉠
3tÛ`=a, -2tÜ`=2
이 직선이 점 (1, -6)을 지나므로
-2tÜ`=2에서 tÜ`=-1   ∴ t=-1
-6=3tÛ`-2tÜ`-2, 2tÜ`-3tÛ`-4=0
∴ a=3´(-1)Û`=3 답 3
(t-2)(2tÛ`+t+2)=0
다른풀이 f(x)=xÜ`으로 놓으면 f '(x)=3xÛ`
∴ t=2 {∵ 2tÛ`+t+2=2{t+;4!;}Û`+:Á8°:>0} 곡선과 직선의 접점의 좌표를 (t, tÜ`)이라 하면 이 점
t=2를 ㉠에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y=12x-18 f '(t)=3tÛ`

24 Ⅱ. 미분
개념원리 익히기
확인체크
곡선과 직선의 접점은 곡선과 직선의 교점이므로 y좌 두 곡선 y=f(x), y=g(x) 모두 점 (-1, 0)을
표가 같다. 즉, 지나므로 f(-1)=0, g(-1)=0
tÜ`=at+2 yy`㉠ -1-a=0   ∴ a=-1 yy`㉠
또한, 접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a이므로 b+c=0 yy`㉡
f '(t)=3tÛ`=a   ∴ a=3tÛ` yy`㉡ 두 곡선의 접점 (-1, 0)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을 ㉠에 대입하면 tÜ`=3tÛ`´t+2 같으므로 f '(-1)=g'(-1)
-2tÜ`=2, tÜ`=-1   ∴ t=-1 3+a=-2b, 2=-2b (∵ ㉠)
t=-1을 ㉡에 대입하면 a=3 ∴ b=-1
따라서 ㉡에서 c=1
86 ⑵ 접점의 좌표는 (-1, 0)이고, 접선의 기울기는
f(x)=xÜ`-ax+2로 놓으면 f '(x)=3xÛ`-a f '(-1)=g'(-1)=2이므로 두 곡선에 공통으로
곡선과 직선의 접점의 좌표를 (t, tÜ`-at+2)라 하면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t)=3tÛ`-a, 접선의 y-0=2{x-(-1)}  
방정식은 ∴ y=2x+2
y-(tÜ`-at+2)=(3tÛ`-a)(x-t) 답 ⑴ a=-1, b=-1, c=1  ⑵ y=2x+2
∴ y=(3tÛ`-a)x-2tÜ`+2 yy`㉠
㉠이 y=5x이므로 88
3tÛ`-a=5, -2tÜ`+2=0 f(x)=xÛ`-1, g(x)=axÛ``(a+0)으로 놓으면
-2tÜ`+2=0에서 tÜ`=1   ∴ t=1 f '(x)=2x, g'(x)=2ax
3-a=5   ∴ a=-2 답 -2 두 곡선 y=f(x), y=g(x)의 교점의 x좌표를 t라 하
다른풀이 f(x)=xÜ`-ax+2로 놓으면 면 f(t)=g(t)
f '(x)=3xÛ`-a tÛ`-1=atÛ` yy`㉠
곡선과 직선의 접점의 좌표를 (t, tÜ`-at+2)라 하면 두 곡선의 교점에서의 각각의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두 접선의 기울기의 곱이 -1이다. 즉,
f '(t)=3tÛ`-a f '(t)g'(t)=-1
곡선과 직선의 접점은 곡선과 직선의 교점이므로 y좌 2t´2at=-1, 4atÛ`=-1
표가 같다. 즉, ∴ atÛ`=-;4!; yy`㉡
tÜ`-at+2=5t yy`㉠
㉡을 ㉠에 대입하면
또한, 접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5이므로
f '(t)=3tÛ`-a=5   ∴ a=3tÛ`-5 yy`㉡ tÛ`-1=-;4!;, tÛ`=;4#;
㉡을 ㉠에 대입하면
㉡에서 ;4#;a=-;4!;
tÜ`-(3tÛ`-5)t+2=5t, -2tÜ`+2=0
∴ t=1 ∴ a=-;3!; 답 -;3!;

t=1을 ㉡에 대입하면 a=-2


89
87 ⑴ 함수 f(x)=xÛ`-6x는 닫힌구간 [1, 5]에서 연속
⑴ f(x)=xÜ`+ax, g(x)=bxÛ`+c로 놓으면 이고 열린구간 (1, 5)에서 미분가능하다. 또한,
f '(x)=3xÛ`+a, g'(x)=2bx f(1)=f(5)=-5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25
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 이때 f '(x)=xÛ`+2x-3이므로
간 (1, 5)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f '(c)=cÛ`+2c-3=(c+3)(c-1)=0
이때 f '(x)=2x-6이므로 ∴ c=1 (∵ -3<c<3) 답 c=1, a=3
f '(c)=2c-6=0
∴ c=3
⑵ 함수 f(x)=-xÛ`+2x+4는 닫힌구간 [0, 2]에서 91
연속이고 열린구간 (0, 2)에서 미분가능하다. 또한, ⑴ 함수 f(x)=xÛ`-4x+3은 닫힌구간 [2, 4]에서
f(0)=f(2)=4 연속이고 열린구간 (2, 4)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
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 균값 정리에 의하여
간 (0,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f(4)-f(2) 3-(-1)
= =2=f '(c)
4-2 2
이때 f '(x)=-2x+2이므로
인 c가 열린구간 (2, 4)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f '(c)=-2c+2=0
이때 f '(x)=2x-4이므로
∴ c=1
f '(c)=2c-4=2   ∴ c=3
⑶ 함수 f(x)=xÜ`-xÛ`-5x-3은 닫힌구간
⑵ 함수 f(x)=-xÜ`+x는 닫힌구간 [0, 2]에서 연속
[-1, 3]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1, 3)에서 미
이고 열린구간 (0, 2)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분가능하다. 또한,
정리에 의하여
f(-1)=f(3)=0
`f(2)-f(0) -6-0
이므로 f '(c)=0인 c가 열린구간 (-1, 3)에 적어 = =-3=f '(c)
2-0 2
도 하나 존재한다. 인 c가 열린구간 (0,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f '(x)=3xÛ`-2x-5이므로 이때 f '(x)=-3xÛ`+1이므로
f '(c)=3cÛ`-2c-5=0
f '(c)=-3cÛ`+1=-3, -3cÛ`=-4, cÛ`=;3$;
(c+1)(3c-5)=0
2'3
∴ c=;3%; (∵ -1<c<3) ∴ c= (∵ 0<c<2)
3
2'3
 답 ⑴ 3  ⑵ 1  ⑶ ;3%;  답 ⑴ 3  ⑵
3

90 92
함수 f(x)=;3!;xÜ`+xÛ`-3x+2는 닫힌구간
함수 f(x)=;3!;xÜ`-xÛ`+1은 닫힌구간 [0, 3]에서 연
[-a, a]에서 롤의 정리의 조건을 만족시키므로
속이고 열린구간 (0, 3)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f(-a)=f(a)이다. 즉,
정리에 의하여
-;3!;aÜ`+aÛ`+3a+2=;3!;aÜ`+aÛ`-3a+2 `f(3)-f(0) 1-1
= =0=f '(c)
3-0 3
;3@;aÜ`-6a=0, aÜ`-9a=0 인 c가 열린구간 (0, 3)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a(a+3)(a-3)=0 이때 f '(x)=xÛ`-2x이므로
∴ a=3 (∵ a는 자연수) f '(c)=cÛ`-2c=0, c(c-2)=0
따라서 함수 f(x)는 닫힌구간 [-3, 3]에서 롤의 정 ∴ c=2 (∵ 0<c<3)
리의 조건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실수 c는 2의 1개이다. 답 1

26 Ⅱ. 미분
개념원리 익히기
93

확인체크
‌따라서 함수 f(x)는 반닫힌 구간 (-¦, -3]과 반

f(-2)=19, f(a)=2aÛ`-4a+3 닫힌 구간 [5, ¦)에서 증가하고, 닫힌구간

f '(x)=4x-4에서 [-3, 5]에서 감소한다.


 답 풀이 참조
f '{-;2!;}=4´{-;2!;}-4=-6
참고 도함수 y=f '(x)의 그래프는 각각 다음과 같다.
함수 f(x)=2xÛ`-4x+3에 대하여 닫힌구간 ⑴ ⑵ ZG  Y


[-2, a]에서 평균값 정리가 성립하므로   Y
 
`f(a)-f(-2)
=f '{-;2!;}
a-(-2)    Y
ZG  Y

(2aÛ`-4a+3)-19
=-6
a+2
95
2aÛ`-4a-16=-6a-12
2aÛ`+2a-4=0, 2(a+2)(a-1)=0 ⑴ f(x)=;3!;xÜ`+axÛ`+(5a-4)x+2에서
∴ a=1 (∵ a>-2) 답 1 f '(x)=xÛ`+2ax+(5a-4)
‌삼차함수 f(x)가 열린구간 (-¦, ¦)에서 증가하
94 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어야 하므

⑴ f(x)=-xÜ`+3x-4에서 로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f '(x)‌=-3xÛ`+3=-3(x+1)(x-1) =aÛ`-(5a-4)=aÛ`-5a+4É0
4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a-1)(a-4)É0   ∴ 1ÉaÉ4
x=-1 또는 x=1
⑵ f(x)=-xÜ`+axÛ`-12x-1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f '(x)=-3xÛ`+2ax-12
같다.
‌삼차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려면
x y -1 y 1 y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É0이어야 하므로 이
f '(x) - 0 + 0 - 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x) ↘ -6 ↗ -2 ↘ D
=aÛ`-(-3)´(-12)=aÛ`-36É0
4
‌따라서 함수 f(x)는 반닫힌 구간 (-¦, -1]과 반 (a+6)(a-6)É0   ∴ -6ÉaÉ6
닫힌 구간 [1, ¦)에서 감소하고, 닫힌구간 답 ⑴ 1ÉaÉ4  ⑵ -6ÉaÉ6
[-1, 1]에서 증가한다.
⑵ f(x)=xÜ`-3xÛ`-45x-6에서
96
f '(x)=3xÛ`-6x-45=3(x+3)(x-5) f(x)=-4xÜ`+axÛ`+36x-1에서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f '(x)=-12xÛ`+2ax+36


삼차함수 f(x)가 닫힌구간 Z
x=-3 또는 x=5
ZG  Y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2, 1]에서 증가하려면

같다. 닫힌구간 [-2, 1]에서


f '(x)¾0이어야 하므로 오
x y -3 y 5 y
른쪽 그림에서  0  Y
f '(x) + 0 - 0 +
f '(-2)‌=-48-4a+36
f(x) ↗ 75 ↘ -181 ↗
¾0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27
-4a¾12   ∴ aÉ-3 yy`㉠ x y 0 y 2 y
f '(1)=-12+2a+36¾0
f '(x) + 0 - 0 +
2a¾-24   ∴ a¾-12 yy`㉡
3 -5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f(x) ↗ ↘ ↗
극대 극소
-12ÉaÉ-3 답 -12ÉaÉ-3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3, x= 2  에서
극솟값 -5  를 갖는다.
97 답 6, -12, 2, 2, -5, 2, -5
f(x)=xÜ`+ax+1에서
f '(x)=3xÛ`+a
삼차함수 f(x)가 닫힌구간 Z ZG  Y

100
[-1, 1]에서 증가하려면 f(x)=-xÝ`+2xÛ`-3에서

닫힌구간 [-1, 1]에서 f '(x)‌= -4  xÜ`+( 4 )x=-4x(x+1)(x-1)

f '(x)¾0이어야 하므로 오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0  Y
른쪽 그림에서 x=-1 또는 x= 0 또는 x=1

f '(0)=a¾0 Û ([-1, 1]에서 f '(x)의 최솟값)¾0


f '(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0이다. 답 0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1 y 0 y 1 y
98 f '(x) + 0 - 0 + 0 -
f(x)=2xÜ`-3axÛ`+(6a-6)x-1에서 -2 -3 -2
f(x) ↗ ↘ ↗ ↘
f '(x)=6xÛ`-6ax+(6a-6) 극대 극소 극대
함수 f(x)가 감소하는 구 ZG  Y

따라서 함수 f(x)는 x=-1과 x=1에서 극댓값


간이 닫힌구간 [1, 5]이므
-2, x= 0  에서 극솟값 -3  을(를) 갖는다.
로 f '(x)É0인 x의 값의
답 -4, 4, 0, 0, -, -3, 0, -3
범위가 1ÉxÉ5이다. 즉,   Y

이차부등식 f '(x)É0의
해가 1ÉxÉ5이므로 101
f '(x)‌=6(x-1)(x-5) ⑴ f(x)=xÛ`(3-x)=-xÜ`+3xÛ`에서

=6xÛ`-36x+30 f '(x)=-3xÛ`+6x=-3x(x-2)

따라서 -6a=-36, 6a-6=30이므로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2

a=6 답 6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99 x y 0 y 2 y

f(x)=2xÜ`-6xÛ`+3에서 f '(x) - 0 + 0 -

f '(x)= 6  xÛ`+( -12 )x=6x(x-2) 0 4


f(x) ↘ ↗ ↘
극소 극대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 2
f '(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솟값 0, x=2에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서 극댓값 4를 갖는다.

28 Ⅱ. 미분
개념원리 익히기
확인체크
⑵ f(x)=2xÜ`+3xÛ`-12x-4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f '(x)=6xÛ`+6x-12=6(x+2)(x-1) 같다.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 y -3 y -1 y 0 y
x=-2 또는 x=1
f '(x) - 0 + 0 - 0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22 10 5
같다. f(x) ↘ ↗ ↘ ↗
극소 극대 극소

x y -2 y 1 y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극솟값 -22,


f '(x) + 0 - 0 + x=-1에서 극댓값 10, x=0에서 극솟값 5를 갖
16 -11 는다.
f(x) ↗ ↘ ↗
극대 극소
⑵ f(x)=-xÝ`+4xÜ`-13에서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 16, f '(x)=-4xÜ`+12xÛ`=-4xÛ`(x-3)
x=1에서 극솟값 -11을 갖는다.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답 ⑴ 극댓값: 4, 극솟값: 0 x=0(중근) 또는 x=3
⑵ 극댓값: 16, 극솟값: -1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02 x y 0 y 3 y
f(x)=-2xÜ`+15xÛ`-24x-2에서 f '(x) + 0 + 0 -
f '(x)‌=-6xÛ`+30x-24 14
f(x) ↗ -13 ↗ ↘
=-6(x-1)(x-4) 극대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4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극댓값 14를 갖고,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
극솟값은 없다.
다.
답 ⑴ 극댓값: 10, 극솟값: -22, 5
x y 1 y 4 y ⑵ 극댓값: 14, 극솟값: 없다.
f '(x) - 0 + 0 -
-13 14
f(x) ↘ ↗ ↘
극소 극대
104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솟값 -13, x=4에 f(x)=-3xÝ`+8xÜ`+6xÛ`-24x에서
서 극댓값 14를 가지므로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는 f '(x)‌=-12xÜ`+24xÛ`+12x-24
14-(-13)=27 답 27 =-12(x+1)(x-1)(x-2)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103 x=-1 또는 x=1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⑴ f(x)=3xÝ`+16xÜ`+18xÛ`+5에서
f '(x)‌=12xÜ`+48xÛ`+36x=12x(xÛ`+4x+3) x y -1 y 1 y 2 y
=12x(x+3)(x+1) f '(x) + 0 - 0 + 0 -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19 -13 -8
f(x) ↗ ↘ ↗ ↘
x=-3 또는 x=-1 또는 x=0 극대 극소 극대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29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19, x=1에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이 x=-4 또는 x=2
서 극솟값 -13, x=2에서 극댓값 -8을 가지므로 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극댓값의 합은 19+(-8)=11, 극솟값의 합은 -13 음과 같다.
∴ M=11, m=-13
x y -4 y 2 y
∴ M-m=11-(-13)=24 답 24
f '(x) + 0 - 0 +
80+b -28+b
f(x) ↗ ↘ ↗
극대 극소
105
따라서 함수 f(x)는 x=-4에서 극댓값 80+b,
f(x)=axÜ`+bxÛ`+3bx+2에서
x=2에서 극솟값 -28+b를 갖는다.
f '(x)=3axÛ`+2bx+3b
그런데 f(x)가 x=c에서 극솟값 2를 가지므로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 x=3
c=2, -28+b=2   ∴ b=30
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f '(-1)=0, f '(3)=0
따라서 f(x)의 극댓값은 80+b=80+30=110  
즉, 이차방정식 f '(x)=0의 두 근이 x=-1, x=3
∴ d=110
이므로
∴ a+b+c+d=3+30+2+110=145 답 145
f '(x)=3a(x+1)(x-3)=3axÛ`-6ax-9a
따라서 2b=-6a, 3b=-9a이므로
b=-3a yy`㉠
또한,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가 32이므로 107
|`f(-1)-f(3)|=32 Z
|(-a+b-3b+2)-(27a+9b+9b+2)|=32 ZG  Y


|-28a-20b|=32 B 0
D E  F G C Y
∴ |28a+20b|=32 yy`㉡ 
㉠을 ㉡에 대입하면
|28a-60a|=32, |-32a|=32, |32a|=32
닫힌구간 [a, b]에서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
32a=32 또는 32a=-32
을 위의 그림과 같이 c, d, 0, e, f 라 할 때, f(x)의 증
∴ a=1 (∵ a>0)
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에서 b=-3
∴ ab=1´(-3)=-3 답 -3 x a y c y d y 0 y e y f y b
f '(x) - 0 + 0 - 0 - 0 + 0 +
극 극 극
f(x) ↘ ↗ ↘ ↘ ↗ ↗
106 소 대 소

f(x)=xÜ`+axÛ`-24x+b에서 따라서 f(x)가 극댓값을 갖는 x의 값은 d의 1개, 극


f '(x)=3xÛ`+2ax-24 솟값을 갖는 x의 값은 c, e의 2개이다.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4에서 극댓값을 가지 ∴ m=1, n=2
므로 f '(-4)=0, 즉 ∴ m-n=1-2=-1 답 -1
48-8a-24=0   ∴ a=3 참고 f '(0)=0이지만 x=0의 좌우에서 f '(x)의 부
∴ f(x)=xÜ`+3xÛ`-24x+b 호가 음(-)에서 음(-) 그대로이므로 f(x)는 x=0
f '(x)=3xÛ`+6x-24=3(x+4)(x-2) 에서 극값을 갖지 않는다.

30 Ⅱ. 미분
개념원리 익히기
확인체크
마찬가지로 f '( f )=0이지만 x=f의 좌우에서 f '(x) ‌f '(2)=0이지만 함수 f(x) Z

의 부호가 양(+)에서 양(+) 그대로이므로 f(x)는 는 x=2에서 극값을 갖지 않  ZG Y

x=f 에서 극값을 갖지 않는다. 고, 곡선 y=f(x) 위의 점


(2, -4)에서의 접선의 기 
0 Y
108 울기가 0이다. 또한
f(0)=4이므로 y=f(x)의 
f(x)=2xÜ`+axÛ`+bx+c에서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f '(x)=6xÛ`+2ax+b
다.
y=f '(x)의 그래프에서 f '(-2)=0, f '(1)=0이므
⑵ f(x)=-2xÜ`+3xÛ`-2에서
로 이차방정식 f '(x)=0의 두 근이 x=-2, x=1이
f '(x)=-6xÛ`+6x=-6x(x-1)
다. 즉,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f '(x)‌=6(x+2)(x-1)
x=0 또는 x=1
=6xÛ`+6x-1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따라서 2a=6, b=-12이므로 a=3
같다.
∴ f(x)=2xÜ`+3xÛ`-12x+c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이 x=-2 또는 x=1 x y 0 y 1 y
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f '(x) - 0 + 0 -
음과 같다. -2 -1
f(x) ↘ ↗ ↘
극소 극대
x y -2 y 1 y
f '(x) + 0 - 0 + ‌함수 f(x)는 x=0에서 Z

20+c -7+c 극솟값 -2, x=1에서 0 Y
f(x) ↗ ↘ ↗
극대 극소 극댓값 -1을 가지므로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솟값 -7+c를 갖 y=f(x)의 그래프는 오
른쪽 그림과 같다.
는다. 그런데 극솟값이 -12이므로 
-7+c=-12   ∴ c=-5 ZG Y

따라서 f(x)=2xÜ`+3xÛ`-12x-5이므로
⑶ f(x)=xÜ`+;2(;xÛ`+9x+1에서
f(-1)=-2+3+12-5=8 답 8

f '(x)=3xÛ`+9x+9=3{x+;2#;}Û`+;4(;>0
109 ‌따라서 함수 f(x)는 실수 전 Z
ZG Y

⑴ f(x)=-xÜ`+6xÛ`-12x+4에서 체의 집합에서 증가하고,


f '(x)=-3xÛ`+12x-12=-3(x-2)Û` f(0)=1이므로 y=f(x)의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2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0 Y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다.
같다.


x y 2 y
f '(x) - 0 -
f(x) ↘ -4 ↘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31
⑷ f(x)=3xÝ`+8xÜ`+6xÛ`-2에서 D={-3(a-1)}Û`-4´3´(-3a)É0
f '(x)=12xÜ`+24xÛ`+12x=12x(x+1)Û` 9aÛ`+18a+9É0, 9(a+1)Û`É0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 a=-1 답 -1
x=-1 또는 x=0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112
같다. f(x)=xÜ`+3kxÛ`-(3k+1)x-2에서

x y -1 y 0 y f '(x)=3xÛ`+6kx-(3k+1)

f '(x) - 0 - 0 + 삼차함수 f(x)가 Z ZG  Y

-2 -1<x<1에서 극댓값과 극
f(x) ↘ -1 ↘ ↗
극소 솟값을 모두 가지면 이차방정
식 f '(x)=0은 -1<x<1
‌f '(-1)=0이지만 함수 ZG Y
Z  0  Y
에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
f(x)는 x=-1에서 극
 지므로
값을 갖지 않고, 곡선 0 Y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0
y=f(x) 위의 점 
D
(-1, -1)에서의 접선 =(3k)Û`-3{-(3k+1)}>0
4

9kÛ`+9k+3=9{k+;2!;}Û`+;4#;>0
의 기울기가 0이다.
‌또한 함수 f(x)는 x=0에서 극솟값 -2를 가지므
∴ k는 모든 실수 yy`㉠
로 y=f(x)의 그래프는 위의 그림과 같다.
y=f '(x)의 그래프의 축이 직선 x=-k이므로
 답 풀이 참조
-1<-k<1   ∴ -1<k<1 yy`㉡
f '(-1)=3-6k-(3k+1)>0
110
f(x)=xÜ`+kxÛ`+3x+2에서 ∴ k<;9@; yy`㉢
f '(x)=3xÛ`+2kx+3 f '(1)=3+6k-(3k+1)>0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가질 필요충분조건은 이차방
∴ k>-;3@; yy`㉣
정식 f '(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 것이므로
㉠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3@;<k<;9@; 답 -;3@;<k<;9@;
=kÛ`-3´3=kÛ`-9>0
4
(k+3)(k-3)>0   ∴ k<-3 또는 k>3
 답 k<-3 또는 k>3
113
f(x)=xÜ`+2axÛ`-4aÛ`x에서

111 f '(x)=3xÛ`+4ax-4aÛ`
삼차함수 f(x)가 -1<x<1 Z ZG  Y

f(x)=xÜ`-;2#;(a-1)xÛ`-3ax+2에서 에서 극댓값, x>1에서 극솟


f '(x)=3xÛ`-3(a-1)x-3a 값을 가지면 이차방정식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을 필요충분조건은 이 f '(x)=0이 -1<x<1에서  0 Y

차방정식 f '(x)=0이 중근을 갖거나 허근을 갖는 것 실근 한 개, x>1에서 실근 한


이므로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개를 가지므로

32 Ⅱ. 미분
개념원리 익히기
확인체크
f '(-1)=3-4a-4aÛ`>0 x=-1이 xÛ`-x+a=0의 근이 될 수 없으므로
4aÛ`+4a-3<0, (2a+3)(2a-1)<0 1+1+a+0   ∴ a+-2 yy`㉠

∴ -;2#;<a<;2!; yy`㉠ xÛ`-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1)Û`-4a=1-4a>0
f '(1)=3+4a-4aÛ`<0
4aÛ`-4a-3>0, (2a+1)(2a-3)>0 4a<1   ∴ a<;4!; yy`㉡

∴ a<-;2!; 또는 a>;2#; yy`㉡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a+-2이고 a<;4!; yy`㉢

-;2#;<a<-;2!; 답 -;2#;<a<-;2!;  {즉, a<-2 또는 -2<a<;4!;}

‌㉢은 f(x)가 극댓값을 갖기 위한 실수 a의 값의 범위

114 이다.
따라서 f(x)가 극댓값을 갖지 않기 위한 실수 a의 값
f(x)=-xÝ`+8xÜ`+2axÛ`에서
의 범위는
f '(x)=-4xÜ`+24xÛ`+4ax=-4x(xÛ`-6x-a)
최고차항의 계수가 음수인 a=-2 또는 a¾;4!; 답 a=-2 또는 a¾;4!;
극대 극대
사차함수 f(x)가 극솟값을 극소 다른풀이 사차함수 f(x)가 극댓값을 갖지 않으려면
가지려면 삼차방정식 극댓값 개, 극솟값 개 삼차방정식 f '(x)=0이 Ú 한 실근과 두 허근 또는
f '(x)=0이 서로 다른 세 Û 한 실근과 다른 중근 또는 Ü 삼중근을 가져야 한다.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xÛ`-6x-a=0이 0 Ú ‌f '(x)=4(x+1)(xÛ`-x+a)=0의 한 실근이
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x=-1이므로 xÛ`-x+a=0이 두 허근을 가져야
x=0이 xÛ`-6x-a=0의 근이 될 수 없으므로 한다. 즉,
-a+0   ∴ a+0 yy`㉠
D=1-4a<0   ∴ a>;4!;
xÛ`-6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Û ‌
㈀ xÛ
 `-x+a=0이 x+-1인 다른 중근을 가지
=(-3)Û`-(-a)>0   ∴ a>-9 yy`㉡
4 는 경우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D=1-4a=0   ∴ a=;4!;
-9<a<0 또는 a>0 답 -9<a<0 또는 a>0
‌㈁ xÛ`-x+a=0이 x=-1을 한 근으로 가지는
경우
115 1+1+a=0   ∴ a=-2
먼저 f(x)가 극댓값을 가질 조건을 구한 후 그 조건을
Ü f '(x)=0이 삼중근을 갖는 경우는 없다.
부정하면 된다.
Ú~Ü에서 f(x)가 극댓값을 갖지 않기 위한 실수 a
f(x)=xÝ`+2(a-1)xÛ`+4ax에서
의 값의 범위는 a=-2 또는 a¾;4!;
f '(x)‌=4xÜ`+4(a-1)x+4a
=4(x+1)(xÛ`-x+a)
‌f(x)가 극댓값을 가지려면 삼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116
xÛ`-x+a=0이 -1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 ⑴ f(x)=-xÜ`+3xÛ`+9x-1에서
져야 한다. f '(x)=-3xÛ`+6x+9=-3(x+1)(x-3)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33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따라서 f(x)는 x=2에서 Z

x=3 최솟값 -14를 갖고, 최댓
‌닫힌구간 [-2,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 값은 갖지 않는다. 
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0 Y
x -2 y -1 y 2
f '(x) - 0 +  ZG Y

-6
f(x) 1 ↘ ↗ 21 ⑵ f(x)=-xÝ`+2xÛ`에서
극소
f '(x)=-4xÜ`+4x=-4x(x+1)(x-1)
‌따라서 f(x)는 x=2에서 최댓값 21, x=-1에서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최솟값 -6을 갖는다.
x=0 또는 x=1
⑵ f(x)=xÝ`+4xÜ`-16x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f '(x)‌=4xÜ`+12xÛ`-16=4(x+2)Û`(x-1)
같다.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2 또는
x=1 x y -1 y 0 y 1 y

‌닫힌구간 [-3,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 f '(x) + 0 - 0 + 0 -

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0 1


f(x) ↗ ↘ ↗ ↘
극대 극소 극대
x -3 y -2 y 1 y 2
‌따라서 f(x)는 x=-1과 Z
f '(x) - 0 - 0 +  ZG Y

x=1에서 최댓값 1을 갖
-11
f(x) 21 ↘ 16 ↘ ↗ 16 고, 최솟값은 갖지 않는다.  0  Y
극소

따라서 f(x)는 x=-3에서 최댓값 21, x=1에서


최솟값 -11을 갖는다. 답 ⑴ 최댓값: 없다., 최솟값: -14

답 ⑴ 최댓값: 21, 최솟값:-6 ⑵ 최댓값: 1, 최솟값: 없다.


⑵ 최댓값: 21, 최솟값:-11
118
117 f(x)=-2xÜ`+3xÛ`+a에서
⑴ f(x)=3xÝ`-4xÜ`-12xÛ`+18에서 f '(x)=-6xÛ`+6x=-6x(x-1)
f '(x)=12xÜ`-12xÛ`-24x=12x(x+1)(x-2)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1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닫힌구간 [0,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
x=0 또는 x=2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x 0 y 1 y 2
같다. f '(x) + 0 -
x y -1 y 0 y 2 y 1+a
f(x) a ↗ ↘ -4+a
극대
f '(x) - 0 + 0 - 0 +
13 18 -14 따라서 f(x)는 x=1에서 최댓값 1+a, x=2에서 최
f(x) ↘ ↗ ↘ ↗
극소 극대 극소 솟값 -4+a를 갖는다.

34 Ⅱ. 미분
개념원리 익히기
121

확인체크
그런데 f(x)의 최솟값이 -5이므로
-4+a=-5   ∴ a=-1 점 A의 x좌표를 t라 하면 두 점 A(t, tÛ`), B(3, 0)에
따라서 f(x)의 최댓값은 대하여
1+a=1+(-1)=0 답 0
ABÓ="Ã(t-3)Û`+(tÛ`-0)Û`
="Ã(t-3)Û`+tÝ`

119 Û
f(t)=ABÓ `=(t-3)Û `+tÝ`=tÝ`+tÛ`-6t+9라 하면

f(x)=axÝ`-4axÜ`+b에서 f '(t)=4tÜ`+2t-6

f '(x)=4axÜ`-12axÛ`=4axÛ`(x-3) =2(t-1)(2tÛ`+2t+3)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3 f '(t)=0을 만족시키는 t의 값은 t=1

a<0이므로 닫힌구간 [1, 4]에서 함수 f(x)의 증가 함수 f(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t y 1 y

x 1 y 3 y 4 f '(t) - 0 +

f '(x) + 0 - 5
f(t) ↘ ↗
극소
-27a+b
f(x) -3a+b ↗ ↘ b
극대 따라서 f(t)는 t=1에서 최솟값 5를 가지므로 ABÓ의

따라서 f(x)는 x=3에서 최댓값 -27a+b, x=4에 최솟값은 '5이다.   ∴ m='5

서 최솟값 b를 갖는다. ∴ mÛ`=5 답 5

그런데 f(x)의 최댓값이 3, 최솟값이 -6이므로

-27a+b=3, b=-6   ∴ a=-;3!;


122
∴ ab=-;3!;´(-6)=2 답 2 C(t, 9-tÛ`)`(0<t<3)이라 하면
CDÓ=2t, ABÓ=6, 사다리꼴의 높이가 9-tÛ`이므로 사
다리꼴 ABCD의 넓이를 f(t)라 하면
120 f(t)=;2!;(2t+6)(9-tÛ`)
f(t)=-;4!;tÝ`-;3!;tÜ`+2tÛ`+4t에서 =(t+3)(9-tÛ`)
f '(t)=-tÜ`-tÛ`+4t+4=-(t+1)(t-2)(t+2) f '(t)‌=(9-tÛ`)+(t+3)´(-2t)
f '(t)=0을 만족시키는 t의 값은 t=2 (∵ 0<t<3) =-3(t+3)(t-1)
0<t<3에서 함수 f(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f '(t)=0을 만족시키는 t의 값은 t=1 (∵ 0<t<3)
면 다음과 같다. 0<t<3에서 함수 f(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면 다음과 같다.
t 0 y 2 y 3
f '(t) + 0 - t 0 y 1 y 3
f(2) f '(t) + 0 -
f(t) ↗ ↘
극대 32
f(t) ↗ ↘
극대
따라서 f(t)는 t=2에서 최대가 되므로 순이익이 최대
가 되려면 A회사의 주식을 구입하여 2년 후에 팔아야 따라서 f(t)는 t=1에서 최댓값 32를 가지므로 사다
한다. 답 2년 후 리꼴 ABCD의 넓이의 최댓값은 32이다. 답 32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35
123 따라서 함수 y=f(x)의 그 Z ZG Y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래프는 x축과 한 점에서 만  


I 0 Y
x`(0<x<1), 높이를 h라 하면 Y 나므로 방정식 f(x)=0의 

(3-h)`:`x=3`:`1  실근의 개수는 1이다.


I 
3x=3-h  
∴ h=3-3x ⑵ f(x)=2xÜ`-3xÛ`-12x+15로 놓으면

원기둥의 부피를 V(x)라 하면 f '(x)‌=6xÛ`-6x-12=6(x+1)(x-2)
V(x)‌=pxÛ`h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pxÛ`(3-3x) x=-1 또는 x=2
=3p(-xÜ`+xÛ`)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
V'(x)=3p(-3xÛ`+2x)=-3px(3x-2) 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V'(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3@; x y -1 y 2 y
(∵ 0<x<1) f '(x) + 0 - 0 +
0<x<1에서 함수 V(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22 -5
f(x) ↗ ↘ ↗
내면 다음과 같다. 극대 극소

따라서 함수 y=f(x)의 그 Z
x 0 y ;3@; y 1 ZG Y

래프는 x축과 서로 다른 세
V'(x) + 0 -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V{;3@;} f(x)=0의 실근의 개수는 3


V(x) ↗ ↘
극대 이다. 
 Y

따라서 V(x)는 x=;3@;에서 최대가 되므로 원기둥의
⑶ f(x)=2xÝ`-4xÛ`+1로 놓으면
부피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f '(x)‌=8xÜ`-8x=8x(x+1)(x-1)
길이는 ;3@;이다. 답 ;3@;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0 또는 x=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
124 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⑴ f(x)=xÜ`-6xÛ`+9x-5로 놓으면 x y -1 y 0 y 1 y
f '(x)=3xÛ`-12x+9=3(x-1)(x-3)
f '(x) - 0 + 0 - 0 +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3
-1 1 -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 f(x) ↘ ↗ ↘ ↗
극소 극대 극소
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함수 y=f(x)의 그 Z

x y 1 y 3 y 래프는 x축과 서로 다른 네 

f '(x) + 0 - 0 +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0 Y
-1 -5 f(x)=0의 실근의 개수는 4  ZG Y

f(x) ↗ ↘ ↗
극대 극소 이다.

36 Ⅱ. 미분
개념원리 익히기
확인체크
⑷ f(x)=xÝ`+4xÜ`+5로 놓으면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f '(x)=4xÜ`+12xÛ`=4xÛ`(x+3) y=f(x), y=k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따라서 두 함수 y=f(x), y=k의 그래프가
x=-3 또는 x=0 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 범위를 구하면 -2<k<2
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⑵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을
구하면 k=-2 또는 k=2
x y -3 y 0 y
⑶ ‌한 점에서만 만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f '(x) - 0 + 0 +
구하면 k<-2 또는 k>2
-22
f(x) ↘ ↗ 5 ↗ 답 ⑴ -2<k<2
극소
⑵ k=-2 또는 k=2
따라서 함수 y=f(x)의 그 Z
⑶ k<-2 또는 k>2
래프는 x축과 서로 다른 두  ZG Y

참고 ⑵에서 곡선 y=f(x)와 직선 y=k는 접한다.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0 Y
f(x)=0의 실근의 개수는 2
이다.
 126
 답 ⑴ 1  ⑵ 3  ⑶ 4  ⑷ 2 3xÝ`-4xÜ`-12xÛ`+15-k=0에서

참고 ⑷에서 f '(0)=0이지만 f(x)는 x=0에서 극


3xÝ`-4xÜ`-12xÛ`+15=k yy`㉠

값을 갖지 않는다. 이때 곡선 y=f(x) 위의 점 (0, 5) f(x)=3xÝ`-4xÜ`-12xÛ`+15로 놓으면

에서의 접선은 x축에 평행하다. f '(x)=12xÜ`-12xÛ`-24x=12x(x+1)(x-2)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125 x=-1 또는 x=0 또는 x=2
xÜ`-3x-k=0에서 xÜ`-3x=k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f(x)=xÜ`-3x로 놓으면 그리면 다음과 같다.
f '(x)‌=3xÛ`-3=3(x+1)(x-1)
x y -1 y 0 y 2 y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1
f '(x) - 0 + 0 - 0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10 15 -17
그리면 다음과 같다. f(x) ↘ ↗ ↘ ↗
극소 극대 극소
x y -1 y 1 y
Z ZY› Yš Y™ 
f '(x) + 0 - 0 +

2 -2
f(x) ↗ ↘ ↗ ZL
극대 극소 

Z  0 Y
ZYš Y


ZL 

 0 Y
방정식 ㉠의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f(x), y=k
 의 실근의 개수와 같으므로 두 함수 y=f(x), y=k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37
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네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128
k의 값의 범위를 구하면 xÜ`-3xÛ`-9x+k=0에서
10<k<15 답 10<k<15
-xÜ`+3xÛ`+9x=k yy`㉠
f(x)=-xÜ`+3xÛ`+9x로 놓으면
127
f '(x)=-3xÛ`+6x+9=-3(x+1)(x-3)
곡선 y=xÜ`-10x-4와 직선 y=2x+a의 교점의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3
개수는 방정식 xÜ`-10x-4=2x+a, 즉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xÜ`-12x-4=a yy`㉠
그리면 다음과 같다.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와 같다.
f(x)=xÜ`-12x-4로 놓으면 x y -1 y 3 y
f '(x)=3xÛ`-12=3(x+2)(x-2) f '(x) - 0 + 0 -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2 또는 x=2 -5 27
f(x) ↘ ↗ ↘
극소 극대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ZG Y
Z
ZL

x y -2 y 2 y  ZL

f '(x) + 0 - 0 +
12 -20 
f(x) ↗ ↘ ↗ Y
극대 극소 0 

ZL 

Z ZYš Y ZL

ZB  방정식 ㉠의 실근은 두 함수 y=f(x), y=k의 그래


프의 교점의 x좌표와 같다. 따라서
 0 Y
⑴ ‌y=f(x), y=k의 그래프가 접하고, 접점이 아닌

다른 교점의 x좌표가 음수인 경우이므로 k=27

⑵ ‌y=f(x), y=k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가 두 개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는 서로 다른 양수, 한 개는 음수인 경우이므로

y=f(x), y=a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0<k<27

따라서 두 함수 y=f(x), y=a의 그래프가 ⑶ ‌y=f(x), y=k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가 두 개

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는 서로 다른 음수, 한 개는 양수인 경우이므로

범위를 구하면 -20<a<12 -5<k<0

⑵ 접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면 ⑷ ‌y=f(x), y=k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가 한 개

a=-20 또는 a=12 뿐이고, 그것이 양수인 경우이므로 k<-5

 답 ⑴ -20<a<12  ⑵ a=-20 또는 a=12 답 ⑴ k=27  ⑵ 0<k<27

참고 곡선 y=xÜ`-10x-4와 직선 y=2x+a가 접 ⑶ -5<k<0  ⑷ k<-5

한다.
HjK 곡선 y=xÜ`-12x-4와 직선 y=a가 접한다. 129
HjK 방정식 xÜ`-12x-4=a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f(x)=2xÜ`-3xÛ`+a로 놓으면
갖는다. f '(x)=6xÛ`-6x=6x(x-1)

38 Ⅱ. 미분
개념원리 익히기
확인체크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1
x y -;2!; y 1 y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 + 0 - 0 +
x y 0 y 1 y
7-k -20-k
f '(x) + 0 - 0 + f(x) ↗ ↘ ↗
극대 극소
a -1+a
f(x) ↗ ↘ ↗
극대 극소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 7-k,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a, x=1에서 x=1에서 극솟값 -20-k를 갖는다.


극솟값 -1+a를 갖는다. f(x)가 극값을 가질 때, 삼차방정식 f(x)=0이 중근
f(x)가 극값을 가질 때, 삼차방정식 f(x)=0이 과 다른 한 실근을 가질 필요충분조건은
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질 필요충분조건은 (극댓값)_(극솟값)=0이므로
(극댓값)_(극솟값)<0이므로 (7-k)(-20-k)=0
a(-1+a)<0   ∴ 0<a<1 ∴ k=7 또는 k=-20
⑵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가질 필요충분조건은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극댓값)_(극솟값)>0이므로 7+(-20)=-13 답 -13

a(-1+a)>0   ∴ a<0 또는 a>1 다른풀이 16xÜ`-12xÛ`-24x-k=0에서

 답 ⑴ 0<a<1  ⑵ a<0 또는 a>1 16xÜ`-12xÛ`-24x=k yy`㉠


다른풀이 2xÜ`-3xÛ`+a=0에서 f(x)=16xÜ`-12xÛ`-24x로 놓 Z

ZL
-2xÜ`+3xÛ`=a yy`㉠ 으면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f(x)=-2xÜ`+3xÛ`으로 놓으면 방정식 ㉠의 서로 다 개수는 두 함수 y=f(x), y=k의 0 Y

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f(x), y=a의 그래프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Å

교점의 개수와 같다. 두 함수 y=f(x), y=k의 그래


두 함수 y=f(x), y=a의 그래프가 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 
ZL
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 Z 록 하는 실수 k의 값은
⑵ ZB
 k=7 또는 k=-20
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⑴ ZB
범위는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0   Y
0<a<1 ⑵ 7+(-20)=-13
ZB
⑵ ‌한 점에서만 만나도록 하
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131
a<0 또는 a>1 f(x)=xÝ`-2xÛ`+a로 놓으면
f '(x)=4xÜ`-4x=4x(x+1)(x-1)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130 x=-1 또는 x=0 또는 x=1
f(x)=16xÜ`-12xÛ`-24x-k로 놓으면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48xÛ`-24x-24=24(2x+1)(x-1)
x y -1 y 0 y 1 y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f '(x) - 0 + 0 - 0 +
x=-;2!; 또는 x=1 -1+a a -1+a
f(x) ↘ ↗ ↘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극소 극대 극소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39
따라서 f(x)는 x=-1과 x=1에서 최솟값 -1+a 따라서 x>1일 때, f(x)는 x=3에서 최솟값 a-6을
를 가지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0이 성립 가지므로 x>1일 때 f(x)>0이 항상 성립하려면
하려면 f(3)=a-6>0   ∴ a>6 답 a>6
f(-1)=-1+a¾0   ∴ a¾1 답 a¾1

134
132 0<x<3일 때 부등식 f(x)¾g(x), 즉
y=f(x)의 그래프가 y=g(x)의 그래프보다 항상 위 f(x)-g(x)¾0이 항상 성립해야 하므로
쪽에 있으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g(x)이 h(x)=f(x)-g(x)로 놓고 0<x<3일 때
어야 한다. 즉, h(x)=f(x)-g(x)로 놓고, h(x)‌=(5xÜ`-10xÛ`+k)-(5xÛ`+2)

h(x)=xÝ`-:Á3¤:xÜ`+6xÛ`+k>0임을 보이면 된다.


=5xÜ`-15xÛ`+k-2¾0
임을 보이면 된다.
h'(x)=4xÜ`-16xÛ`+12x=4x(x-1)(x-3)
h'(x)=15xÛ`-30x=15x(x-2)
h'(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h'(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2
x=0 또는 x=1 또는 x=3
0<x<3일 때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내면 다음과 같다.
x y 0 y 1 y 3 y
x 0 y 2 y 3
h'(x) - 0 + 0 - 0 +
h'(x) - 0 +
k ;3%;+k -9+k k-22
h(x) ↘ ↗ ↘ ↗ h(x) ↘ ↗
극소 극소 극소
극대

따라서 h(x)는 x=3에서 최솟값 -9+k를 가지므로 따라서 0<x<3일 때, h(x)는 x=2에서 최솟값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h(x)>0이 성립하려면 k-22를 가지므로 0<x<3일 때 h(x)¾0이 항상
h(3)=-9+k>0   ∴ k>9 답 k>9 성립하려면
h(2)=k-22¾0   ∴ k¾22
따라서 실수 k의 최솟값은 22이다. 답 22
133
xÜ`+9x+a>6xÛ`+6에서
xÜ`-6xÛ`+9x+a-6>0 135
즉, f(x)=xÜ`-6xÛ`+9x+a-6으로 놓고, x>1일 ⑴ ‌f(x)=xÜ`-12x+a로 놓고, -2<x<2일 때
때 f(x)>0임을 보이면 된다. f(x)>0임을 보이면 된다.
f '(x)=3xÛ`-12x+9=3(x-1)(x-3) f '(x)=3xÛ`-12=3(x+2)(x-2)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3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일 때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x=-2 또는 x=2
다음과 같다. -2ÉxÉ2일 때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내면 다음과 같다.
x 1 y 3 y
f '(x) - 0 + x -2 y 2

a-6 f '(x) -
f(x) ↘ ↗
극소 f(x) 16+a ↘ -16+a

40 Ⅱ. 미분
개념원리 익히기
137

확인체크
-2<x<2일 때 f '(x)<0이므로 f(x)는 닫힌구
간 [-2, 2]에서 감소한다.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를 v, 가속도를 a라 하면
‌따라서 -2ÉxÉ2일 때, f(x)는 x=2에서 최솟값 dx dv
v= =tÛ`-7t+6, a= =2t-7
-16+a를 가지므로 -2<x<2일 때 f(x)>0 dt dt
이 항상 성립하려면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속도는 0이므로
f(2)=-16+a¾0   ∴ a¾16 v=0에서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16이다. tÛ`-7t+6=0, (t-1)(t-6)=0
⑵ ‌x¾2일 때 f(x)¾g(x), 즉 f(x)-g(x)¾0이 ∴ t=1 또는 t=6
항상 성립해야 하므로 h(x)=f(x)-g(x)로 놓 0<t<1일 때 v>0, 1<t<6일 때 v<0, t>6일 때
고 x¾2일 때 v>0이므로 점 P는 t=1에서 첫 번째로 운동 방향을
h(x)=(xÜ`+a)-(xÛ`+x)=xÜ`-xÛ`-x+a¾0 바꾸고, t=6에서 두 번째로 운동 방향을 바꾼다.
임을 보이면 된다. 따라서 t=6에서의 점 P의 위치는
h'(x)=3xÛ`-2x-1=(3x+1)(x-1) ;3!;´6Ü`-;2&;´6Û`+6´6=-18
h'(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가속도는
x=-;3!; 또는 x=1 2´6-7=5 답 위치: -18, 가속도: 5

x¾2일 때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내면 다음과 같다. 138
로켓이 지면에 떨어지는 순간의 높이는 0이므로 x=0
x 2 y
에서
h'(x) +
20t-5tÛ`=0, 5t(4-t)=0
h(x) a+2 ↗
∴ t=0 또는 t=4
x>2일 때 h'(x)>0이므로 h(x)는 반닫힌 구간 따라서 로켓이 다시 지면에 떨어지는 것은 4초 후이다.
[2, ¦)에서 증가한다. t초 후의 로켓의 속도를 v라 하면
따라서 x¾2일 때, h(x)는 x=2에서 최솟값 a+2를 dx
v= =20-10t
가지므로 x¾2일 때 h(x)¾0이 항상 성립하려면 dt
h(2)=a+2¾0   ∴ a¾-2 이므로 4초 후의 로켓의 속도는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2이다. 20-10´4=-20(m/s) 답 -20`m/s

 답 ⑴ 16  ⑵ -2
139
136 t초 후의 공의 속도를 v라 하면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를 v, 가속도를 a라 하면 dx
v= =50-2at
dt
dx dv
v= =6tÛ`-18t+12, a= =12t-18 최고 높이에 도달하는 순간의 속도는 0이고, 걸린 시간
dt dt
점 P의 속도가 72이므로 v=72에서 은 5초이므로 v=0, t=5에서
6tÛ`-18t+12=72, 6tÛ`-18t-60=0 50-2a´5=0   ∴ a=5
6(t+2)(t-5)=0   ∴ t=5 (∵ t¾0) ∴ x=40+50t-5tÛ`
따라서 t=5에서의 점 P의 가속도는 따라서 공이 도달하는 최고 높이는 Û t=5에서의 높이
12´5-18=42 답 42 40+50´5-5´5Û`=165(m) 답 165`m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41
140 4.8:1.6=y:(y-x), 1.6y=4.8y-4.8x

ㄱ. ‌t=3에서 점 P의 속도 v(3)>0이므로 점 P는 양 -3.2y=-4.8x   ∴ y=;2#;x


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운동 방향을 바꾸지 않
∴ y=;2#;´70t=105t (∵ ㉠)
는다. (거짓)
ㄴ. ‌t=2에서 점 P의 속도가 0이고, 속도가 음(-)에 따라서 그림자의 머리끝이 움직이는 속도는
서 양(+)으로 바뀌므로 점 P는 운동 방향을 바꾼 dy
=105(m/min)
dt
다. (거짓)
⑵ t분 후의 그림자의 길이를 l`m라 하면
ㄷ. ‌시각 t에서의 점 P의 가속도 a는 시각 t에서의 속
l=y-x=105t-70t=35t
도 v의 순간변화율(미분계수), 즉
dl
dv ∴ =35(m/min)
a= =v'(t)이다. 속도 v(t)의 그래프 위의 점 dt
dt 답 ⑴ 105`m/min  ⑵ 35`m/min

(4, v(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0이므로 t=4
에서의 점 P의 가속도는 0이다. (참)
143
따라서 옳은 것은 ㄷ이다. 답 ㄷ
t초 후의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 세로의 길이는 각각
(9+0.2t)`cm, (4+0.3t)`cm
141 이므로 직사각형의 넓이를 S`cmÛ`라 하면
ㄱ. ‌t=0일 때 점 P의 위치가 3이므로 점 P는 수직선 S‌=(9+0.2t)(4+0.3t)=0.06tÛ`+3.5t+36
위의 점 3에서 출발한다. (참) dS
∴ =0.12t+3.5
dt
ㄴ.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 v는 시각 t에서의 위치
직사각형이 정사각형이 되는 것은
dx
x의 순간변화율(미분계수), 즉 v= =x'(t)
dt (가로의 길이)=(세로의 길이)일 때이므로
이다. 위치 x(t)의 그래프 위의 점 (5, x(5))에서 9+0.2t=4+0.3t   ∴ t=50
의 접선의 기울기가 양수이므로 t=5에서의 점 P 따라서 t=50일 때, 직사각형의 넓이의 변화율은
의 속도는 양수이다. (거짓) 0.12´50+3.5=9.5(cmÛ`/s) 답 9.5`cmÛ`/s
ㄷ. ‌0<t<1에서 위치 x(t)의 그래프의 접선의 기울
기가 음수이므로 0<t<1에서 점 P의 속도는 음수 144
이다. 즉, 점 P는 음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거짓) t초 후의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 높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답 ㄱ 이를 h`cm라 하면 r=20-0.2t, h=5+0.5t
원기둥의 부피를 V`cmÜ`라 하면

142 V=prÛ`h=p(20-0.2t)Û`(5+0.5t)
1 p
오른쪽 그림에서 가로 = (100-t)Û`(10+t)
 N 50
등이 지면과 닿는 지점  N " p
MN = (tÜ`-190tÛ`+8000t+100000)
을 원점 O, 사람이 움 U N 50
0 YN # $ dV p
직이는 방향을 수직선 ZN ∴ = (3tÛ`-380t+8000)
ZY
N dt 50
의 양의 방향이라 할
따라서 t=10일 때, 원기둥의 부피의 변화율은
때, t분 후의 사람의 위치를 x`m, OCÓ=y`m라 하면
p
´(300-3800+8000)=90p(cmÜ`/s)
⑴ x=70t yy`㉠ 50
이고, △POC∽△ABC이므로  답 90p`cmÜ`/s

42 Ⅱ. 미분
개념원리 익히기
확인체크
답 ⑴ f(x)=2  ⑵ f(x)=6x+1
Ⅲ. 적분
⑶ f(x)=-;2#;x+;3@;

⑷ f(x)=12xÛ`-10x+11
145
ㄱ. (xÞ`)'=5xÝ`
ㄴ. (-xÞ`)'=-5xÝ` 148
ㄷ. (xÞ`+100)'=5xÝ` 8xÜ`+axÛ`-2x+1=(bxÝ`+2xÜ`+cxÛ`+x+C)'
ㄹ. (xÞ`+x)'=5xÝ`+1 =4bxÜ`+6xÛ`+2cx+1
따라서 함수 5xÝ`의 부정적분인 것은 ㄱ, ㄷ이다. 즉, 8=4b, a=6, -2=2c이므로
답 ㄱ, ㄷ a=6, b=2, c=-1
∴ abc=-12 답 -12

146
149
⑴ (7x)'=7이므로 : 7`dx=7x+C
{;2!;x-1} f(x)={;3!;xÜ`-;4!;xÛ`-3x+C}'
⑵ (-2x)'=-2이므로 : (-2)dx=-2x+C
=xÛ`-;2!;x-3
⑶ (3xÛ`)'=6x이므로 : 6x`dx=3xÛ`+C
=;2!;(2xÛ`-x-6)
⑷ (-xÝ`)'=-4xÜ`이므로 : (-4xÜ`)dx=-xÝ`+C
=;2!;(x-2)(2x+3)
⑸ (-xÜ`+x)'=-3xÛ`+1이므로

: (-3xÛ`+1)dx=-xÜ`+x+C
={;2!;x-1}(2x+3)

따라서 f(x)=2x+3이므로
⑹ (xà`+xÛ`)'=7xß`+2x이므로

: (7xß`+2x)dx=xà`+xÛ`+C
f(1)=2´1+3=5 답 5

답 ⑴ 7x+C ⑵ -2x+C
150
[ : xf(x)dx]=xf(x)
⑶ 3xÛ`+C ⑷ -xÝ`+C
⑸ -xÜ`+x+C ⑹ xà`+xÛ`+C d
F(x)=
dx
=x(2xÜ`+2x)
=2xÝ`+2xÛ`
147 따라서 F(x)의 모든 항의 계수의 합은
⑴ f(x)=(2x+C)'=2 2+2=4 답 4
⑵ f(x)=(3xÛ`+x+C)'=6x+1

⑶ f(x)={-;4#;xÛ`+;3@;x+C}'
151
=-;2#;x+;3@;
f(x)=: [ {;3@;xÜ`-2xÛ`+;2!;}]dx
d
dx
⑷ f(x)=(4xÜ`-5xÛ`+11x+C)'
=12xÛ`-10x+11 =;3@;xÜ`-2xÛ`+;2!;+C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43
이때 f(1)=-1이므로 154
;3@;-2+;2!;+C=-1   ∴ C=-;6!; d
{ f(x)+g(x)}=2에서
dx
따라서 f(x)=;3@;xÜ`-2xÛ`+;2!;-;6!;이므로 : [
d
{ f(x)+g(x)}]`dx=: 2`dx
dx
f(-1)=-;3@;-2+;2!;-;6!;=-;3&; 답 -;3&; ∴ f(x)+g(x)=2x+CÁ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f(0)+g(0)=CÁ이고
152 f(0)=1, g(0)=-5이므로 CÁ=-4
yy`㉠
f(x)=: [
d ∴ f(x)+g(x)=2x-4
(xÛ`+6x)]dx
dx d
{ f(x)g(x)}=2x-4에서
=xÛ`+6x+C dx
: [
=(x+3)Û`+C-9 d
{ f(x)g(x)}]`dx=: (2x-4)dx
dx
이때 f(x)의 최솟값이 -4이므로
∴ f(x)g(x)=xÛ`-4x+Cª
C-9=-4   ∴ C=5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따라서 f(x)=xÛ`+6x+5이므로
f(0)g(0)=Cª이고
f(-2)=(-2)Û`+6´(-2)+5=-3 답 -3
f(0)=1, g(0)=-5이므로 Cª=-5
∴ f(x)g(x)=xÛ`-4x-5

153 =(x+1)(x-5) yy`㉡


㉠, ㉡에서 f(x), g(x)는 일차함수이므로
f(x)+g(x)=xÛ`-x-1 yy`㉠
f(x)=x+1, g(x)=x-5 또는
f(1)=0이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x)=x-5, g(x)=x+1
f(1)+g(1)=1-1-1=-1
이때 f(0)=1, g(0)=-5가 성립해야 하므로
∴ g(1)=-1
d f(x)=x+1, g(x)=x-5
{ f(x)-g(x)}=6x-5에서
dx ∴ f(4)-g(3)=(4+1)-(3-5)
: [
d =5-(-2)=7 답 7
{ f(x)-g(x)}]dx=: (6x-5)dx
dx
∴ f(x)-g(x)=3xÛ`-5x+C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55
f(1)-g(1)=-2+C이고
⑴ : (3xÛ`+7)dx
f(1)=0, g(1)=-1이므로 C=3
∴ f(x)-g(x)=3xÛ`-5x+3 yy`㉡ =: 3xÛ``dx+: 7`dx
㉠+㉡을 하면 2f(x)=4xÛ`-6x+2
=3: xÛ``dx+7: dx
∴ f(x)=2xÛ`-3x+1
㉠-㉡을 하면 2g(x)=-2xÛ`+4x-4 =3{;3!;xÜ`+CÁ}+7(x+Cª)
∴ g(x)=-xÛ`+2x-2
=xÜ`+7x+3CÁ+7Cª
∴ f(3)+g(-1)
여기서 3CÁ+7Cª=C라 하면

: (3xÛ`+7)dx=xÜ`+7x+C
=(2´3Û`-3´3+1)+{-(-1)Û`+2´(-1)-2}
=10+(-5)=5 답 5

44 Ⅲ. 적분
개념원리 익히기
156

확인체크
⑵ : (-4xÜ`+x+2)dx

=: (-4xÜ`)dx+: x`dx+: 2`dx ⑴ :`(x+2)(2-x)dx=: (-xÛ`+4)dx

=-4: xÜ``dx+: x`dx+2: dx =: (-xÛ`)dx+:`4`dx

=-4{;4!;xÝ`+CÁ}+{;2!;xÛ`+Cª}+2(x+C£) =-:`xÛ``dx+4:`dx

=-xÝ`+;2!;xÛ`+2x-4CÁ+Cª+2C£ =-;3!;xÜ`+4x+C

여기서 -4CÁ+Cª+2C£=C라 하면

: (-4xÜ`+x+2)dx=-xÝ`+;2!;xÛ`+2x+C
⑵ :`(2x-1)(x-4)dx

=:`(2xÛ`-9x+4)dx
⑶ : (2xÞ`-5xÝ`)dx
=:`2xÛ``dx-:`9x`dx+:`4`dx
=: 2xÞ``dx-: 5xÝ``dx
=2:`xÛ``dx-9:`x`dx+4: dx
=2: xÞ``dx-5: xÝ``dx
=2´;3!;xÜ`-9´;2!;xÛ`+4x+C
=2{;6!;xß`+CÁ}-5{;5!;xÞ`+Cª}
=;3@;xÜ`-;2(;xÛ`+4x+C
=;3!;xß`-xÞ`+2CÁ-5Cª
⑶ :`(3t-1)(2t+3)dt
여기서 2CÁ-5Cª=C라 하면

: (2xÞ`-5xÝ`)dx=;3!;xß`-xÞ`+C
=:`(6tÛ`+7t-3)dt

=: 6tÛ``dt+: 7t`dt-: 3`dt


⑷ : (-8xà`+4xÛ`-1)dx
=6: tÛ``dt+7: t`dt-3: dt
=: (-8xà`)dx+: 4xÛ``dx-: 1`dx
=6´;3!;tÜ`+7´;2!;tÛ`-3t+C
=-8: xà``dx+4: xÛ``dx-: dx
=2tÜ`+;2&;tÛ`-3t+C
=-8{;8!;x¡`+CÁ}+4{;3!;xÜ`+Cª}-(x+C£)
⑷ : (y+1)(yÛ`-y+1)dy=: (yÜ`+1)dy
=-x¡`+;3$;xÜ`-x-8CÁ+4Cª-C£

여기서 -8CÁ+4Cª-C£=C라 하면 =: yÜ``dy+: dy

: (-8xà`+4xÛ`-1)dx =;4!;yÝ`+y+C

=-x¡`+;3$;xÜ`-x+C 답 ⑴ -;3!;xÜ`+4x+C

답 ⑴ xÜ`+7x+C
⑵ ;3@;xÜ`-;2(;xÛ`+4x+C
⑵ -xÝ`+;2!;xÛ`+2x+C
⑶ 2tÜ`+;2&;tÛ`-3t+C
⑶ ;3!;xß`-xÞ`+C
⑷ ;4!;yÝ`+y+C
⑷ -x¡`+;3$;xÜ`-x+C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45
157 ⑵ :`(-3x+2)Û``dx=
1
-3
´;3!;(-3x+2)Ü`+C

⑴ :`(x+1)Û``dx =-;9!;(-3x+2)Ü`+C
1
=:`(xÛ`+2x+1)dx ⑶ :`(3-2x)Ü``dx= ´;4!;(3-2x)Ý`+C
-2
=:`xÛ``dx+2:`x`dx+: dx =-;8!;(3-2x)Ý`+C

=;3!;xÜ`+xÛ`+x+C ⑷ :`(3y-1)Ü``dy=;3!;´;4!;(3y-1)Ý`+C

⑵ :`(-3x+2)Û``dx =;1Á2;(3y-1)Ý`+C

=:`(9xÛ`-12x+4)dx 참고 n이 0 또는 양의 정수이고 a`(a+0), b는 상수,


C는 적분상수일 때

: (ax+b)n`dx=;a!;´
=9:`xÛ``dx-12:`x`dx+4: dx
1
(ax+b)n+1+C
n+1
=3xÜ`-6xÛ`+4x+C

⑶ :`(3-2x)Ü``dx 158
=:`(-8xÜ`+36xÛ`-54x+27)dx ⑴ :`(x-y)Û``dx=:`(xÛ`-2xy+yÛ`)dx

=-8:`xÜ``dx+36:`xÛ``dx-54:`x`dx =;3!;xÜ`-xÛ`y+xyÛ`+C

 +27: dx ⑵ :`(x+5)Û``dx-:`(x-5)Û``dx

=-2xÝ`+12xÜ`-27xÛ`+27x+C =:`{(x+5)Û`-(x-5)Û`}dx

⑷ :`(3y-1)Ü``dy =: 20x`dx=10xÛ`+C

=:`(27yÜ`-27yÛ`+9y-1)dy 답 ⑴ ;3!;xÜ`-xÛ`y+xyÛ`+C  ⑵ 10xÛ`+C

=27: yÜ``dy-27: yÛ``dy+9: y`dy-: dy

=:ª4¦:yÝ`-9yÜ`+;2(;yÛ`-y+C
159
(yÛ`+y+1)(yÛ`-y+1)
⑴ (주어진 식)=: `dy
답 ⑴ ;3!;xÜ`+xÛ`+x+C yÛ`+y+1
=: (yÛ`-y+1)dy
⑵ 3xÜ`-6xÛ`+4x+C
⑶ -2xÝ`+12xÜ`-27xÛ`+27x+C =;3!;yÜ`-;2!;yÛ`+y+C
⑷ :ª4¦:yÝ`-9yÜ`+;2(;yÛ`-y+C
}`dx
xÛ` 1

다른풀이 :`(ax+b) `dx


⑵ (주어진 식)=:`{ +
x-1 1-x
n
xÛ`-1
=: `dx
x-1
1
=;a!;´ (ax+b)n+1+C이므로 (x+1)(x-1)
n+1 =: `dx
x-1
⑴ :`(x+1)Û``dx=;3!;(x+1)Ü`+C
=: (x+1)dx=;2!;xÛ`+x+C

46 Ⅲ. 적분
개념원리 익히기
⑶ (주어진 식)=:`[{;2{;+2}Û`-{;2{;-2}Û`]`dx

확인체크
kÜ`-3kÛ`+12k-20=0, (k-2)(kÛ`-k+10)=0

=: 4x`dx=2xÛ`+C ∴ k=2 (∵ k는 실수) 답 2

}`dx
xÜ`+2x 2x+1
⑷ (주어진 식)=:`{
x-1
-
x-1 162
xÜ`-1 f '(x)=4xÜ`+6xÛ`-2이므로
=: `dx
x-1
(x-1)(xÛ`+x+1) f(x)=: f '(x)dx=: (4xÜ`+6xÛ`-2)dx
=: `dx
x-1 =xÝ`+2xÜ`-2x+C
=: (xÛ`+x+1)dx 이때 f(-1)=1이므로
1-2+2+C=1   ∴ C=0
=;3!;xÜ`+;2!;xÛ`+x+C
따라서 f(x)=xÝ`+2xÜ`-2x이므로
답 ⑴ ;3!;yÜ`-;2!;yÛ`+y+C  ⑵ ;2!;xÛ`+x+C f(2)=2Ý`+2´2Ü`-2´2=28 답 28

⑶ 2xÛ`+C  ⑷ ;3!;xÜ`+;2!;xÛ`+x+C
163
f '(x)=9xÛ`-2x+1이므로
160 f(x)=: f '(x)dx=: (9xÛ`-2x+1)dx
f(x)=: (10xá`+9x¡`+8xà`+ y +2x+1)dx
=3xÜ`-xÛ`+x+C
=xÚ`â`+xá`+x¡`+ y +xÛ`+x+C 이때 f(0)=2이므로 C=2

∴ : f(x)dx=: (3xÜ`-xÛ`+x+2)dx
이때 f(0)=0이므로 C=0
따라서 f(x)=xÚ`â`+xá`+x¡`+ y +xÛ`+x이므로
f(1)=1+1+1+ y +1+1=10 답 10 =;4#;xÝ`-;3!;xÜ`+;2!;xÛ`+2x+C
(

10개
답 ;4#;xÝ`-;3!;xÜ`+;2!;xÛ`+2x+C

161
f(x)=:
xÜ`
`dx+:
8
`dx
164
x+2 x+2 F(x)=f(x)+xf(x)-2xÝ`+4xÛ`의 양변을 x에 대
xÜ`+8
=: `dx 하여 미분하면
x+2
(x+2)(xÛ`-2x+4) F'(x)=f '(x)+f(x)+xf '(x)-8xÜ`+8x
=: `dx
x+2 f(x)의 한 부정적분이 F(x)이므로
=: (xÛ`-2x+4)dx F'(x)=f(x)
f(x)=f '(x)+f(x)+xf '(x)-8xÜ`+8x
=;3!;xÜ`-xÛ`+4x+C (x+1)f '(x)=8xÜ`-8x=8x(x+1)(x-1)
이때 f(1)=2이므로 ∴ f '(x)=8xÛ`-8x

;3!;-1+4+C=2   ∴ C=-;3$; ∴ f(x)=: f '(x)dx=: (8xÛ`-8x)dx

따라서 f(x)=;3!;xÜ`-xÛ`+4x-;3$;이므로 =;3*;xÜ`-4xÛ`+C

f(k)=:Á3¤:에서 ;3!;kÜ`-kÛ`+4k-;3$;=:Á3¤: 이때 f(1)=-;3!;이므로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47
;3*;-4+C=-;3!;   ∴ C=1 ∴ lim 
`f(x)-f(1)
=lim[
`f(x)-f(1)
´
1
]
x`Ú 1 xÛ`-1 x`Ú 1 x-1 x+1
∴ f(x)=;3*;xÜ`-4xÛ`+1   =;2!; f '(1)

답 f(x)=;3*;xÜ`-4xÛ`+1
   =;2!;(5+2-1)=3 답 3

165 168
3xÛ`-1 (x>-1)
f '(x)=[  이므로 f(x)=: (6xÛ`-4x+k)d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
2x+1 (x<-1)
xÜ`-x+CÁ (x¾-1) 분하면
f(x)=[ 
xÛ`+x+Cª (x<-1) f '(x)=6xÛ`-4x+k
이때 f(0)=2이므로 CÁ=2 `f(1+h)-f(1)
lim  =f '(1)=4이므로
한편,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h`Ú 0 h
f '(1)=6-4+k=4
x=-1에서도 연속이다.
∴ k=2, f '(x)=6xÛ`-4x+2
즉, lim `f(x)= lim `f(x)=f(-1)에서
x`Ú -1+ x`Ú -1-

CÁ=Cª=2 ∴ f(x)=: f '(x)dx


xÜ`-x+2 (x¾-1)
∴ f(x)=[  =:`(6xÛ`-4x+2)dx
xÛ`+x+2 (x<-1)
=2xÜ`-2xÛ`+2x+C
∴ f(-2)+f(1)=(4-2+2)+(1-1+2)
이때 f(0)=1이므로 C=1
=4+2=6 답 6
따라서 f(x)=2xÜ`-2xÛ`+2x+1이므로
f(1)=2-2+2+1=3 답 3

166
점 (x, y)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3xÛ`-6x+4이므로
f '(x)=3xÛ`-6x+4 169
∴ f(x)=: f '(x)dx=: (3xÛ`-6x+4)dx f(x)=:`(3xÛ`+ax-24)d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xÜ`-3xÛ`+4x+C 미분하면

곡선 y=f(x)가 점 (0, -2)를 지나므로 f '(x)=3xÛ`+ax-24

C=-2 f(x)가 x=4에서 극솟값 -72를 가지므로

∴ f(x)=xÜ`-3xÛ`+4x-2 f '(4)=0, f(4)=-72

∴ f(-1)=-1-3-4-2=-10 답 -10 f '(4)=48+4a-24=0   ∴ a=-6


∴ f '(x)=3xÛ`-6x-24=3(x+2)(x-4)
f '(x)=0에서 x=-2 또는 x=4이므로 f(x)의 증
167 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f(x)=: (5xÛ`+2x-1)d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 x y -2 y 4 y

분하면 f '(x) + 0 - 0 +

f '(x)=5xÛ`+2x-1 f(x) ↗ 극대 ↘ 극소 ↗

48 Ⅲ. 적분
개념원리 익히기
171

확인체크
따라서 f(x)는 x=-2에서 극댓값을 갖고, x=4에
서 극솟값을 갖는다. f(x+y)=f(x)+f(y)+xy(x+y)의 양변에
한편, x=0, y=0을 대입하면
f(x)=: f '(x)dx f(0+0)=f(0)+f(0)+0에서 f(0)=0
f '(0)=6이므로
=:`(3xÛ`-6x-24)dx
`f(0+h)-f(0) `f(h)
f '(0)=lim  =lim  =6
=xÜ`-3xÛ`-24x+C h`Ú 0 h h`Ú 0 h
에서 f(4)=-72이므로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f '(x)를 구하면
f(4)=64-48-96+C=-72   ∴ C=8 `f(x+h)-f(x)
f '(x)=lim 
h`Ú 0 h
즉, f(x)=xÜ`-3xÛ`-24x+8이므로 f(x)의 극댓값은
`f(x)+f(h)+xh(x+h)-f(x)
f(-2)=(-2)Ü`-3´(-2)Û`-24´(-2)+8=36 =lim 
h`Ú 0 h
답 a=-6, 극댓값: 36 `f(h)
=lim[x(x+h)+ ]=xÛ`+6
h`Ú 0 h
∴ f(x)=: f '(x)dx=:`(xÛ`+6)dx
170
=;3!;xÜ`+6x+C
f '(x)=k(x+2)(x-2)=0에서
x=-2 또는 x=2 이때 f(0)=0이므로 C=0
이때 k<0이므로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 f(x)=;3!;xÜ`+6x 답 f(x)=;3!;xÜ`+6x

x y -2 y 2 y
f '(x) - 0 + 0 -
172
f(x) ↘ 극소 ↗ 극대 ↘
f(x+y)=f(x)+f(y)+2xy의 양변에 x=0, y=0
따라서 f(x)는 x=-2에서 극솟값을 갖고, x=2에 을 대입하면
서 극댓값을 갖는다. f(0+0)=f(0)+f(0)+0에서 f(0)=0
∴ f(-2)=-12, f(2)=20
f '(1)=3이므로
한편,
`f(1+h)-f(1)
f '(1)=lim 
f(x)=: f '(x)dx h`Ú 0 h
`f(1)+f(h)+2h-f(1)
=: k(xÛ`-4)dx =lim 
h`Ú 0 h
`f(h)
=lim  +2=3
=k{;3!;xÜ`-4x}+C h`Ú 0 h
`f(h)
이므로 ∴ lim  =1
h`Ú 0 h
f(-2)=-12에서 :Á3¤:k+C=-12 yy`㉠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f '(x)를 구하면
`f(x+h)-f(x)
f(2)=20에서 -:Á3¤:k+C=20 yy`㉡ f '(x)=lim 
h`Ú 0 h
㉠, ㉡을 연립하여 풀면 C=4, k=-3 `f(x)+f(h)+2xh-f(x)
=lim 
h`Ú 0 h
∴ f(x)=-xÜ`+12x+4
`f(h)
 답 f(x)=-xÜ`+12x+4 =2x+lim  =2x+1
h`Ú 0 h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49
∴ f(x)=: f '(x)dx=:`(2x+1)dx ⑷ :#1 (3yÛ`-y+1)dy

=xÛ`+x+C =-:!3 (3yÛ`-y+1)dy=-[yÜ`-;2!;yÛ`+y]3!`


이때 f(0)=0이므로 C=0
따라서 f(x)=xÛ`+x이므로 =-[{3Ü`-;2!;´3Û`+3}-{1Ü`-;2!;´1Û`+1}]
f(-2)=(-2)Û`+(-2)=2 답 2 =-24

답 ⑴ 0  ⑵ 0  ⑶ ;3*;  ⑷ -24

173 175
⑴ :)1 4x`dx=[2xÛ`]1)=2´1Û`-2´0Û`=2
⑴ :!2 6(x-1)Û`dx=6:!2 (x-1)Û`dx
⑵ :@4 3xÛ``dx=[xÜ`]4@=4Ü`-2Ü`=56
=6:!2 (xÛ`-2x+1)dx
⑶ :_2!`(2x+3)dx

=6[;3!;xÜ`-xÛ`+x]2!
=[xÛ`+3x]2_!`

=6[{;3*;-4+2}-{;3!;-1+1}]
=(2Û`+3´2)-{(-1)Û`+3´(-1)}
=2
=12

⑷ :_0@`(-tÛ`+2t-1)dt
⑵ :)1 (xÛ`+2)dx+:)1 (-xÛ`+2)dx

=[-;3!;tÜ`+tÛ`-t]0_@
=:)1 {(xÛ`+2)+(-xÛ`+2)}dx

=:)1 4`dx=[4x]1)=4
=0-[-;3!;´(-2)Ü`+(-2)Û`-(-2)]
⑶ :!2 (2x-1)dx+:@3 (2x-1)dx
=-:ª3¤:
=:!3 (2x-1)dx=[xÛ`-x]3!
답 ⑴ 2  ⑵ 56  ⑶ 12  ⑷ -:ª3¤:
=(9-3)-(1-1)=6

⑷ :)1 (3xÛ`-2x+1)dx-:@1 (3xÛ`-2x+1)dx


174 =:)1 (3xÛ`-2x+1)dx+:!2 (3xÛ`-2x+1)dx
⑴ :@2 (xÜ`-6x+1)dx=0

⑵ :_-! 1 (5tÛ`+3t-2)dt=0
=:)2 (3xÛ`-2x+1)dx

=[xÜ`-xÛ`+x]2)`=(8-4+2)-0=6
⑶ :)-` 1 (-2xÛ`+4x)dx
답 ⑴ 2  ⑵ 4  ⑶ 6  ⑷ 6

=-:_0!`(-2xÛ`+4x)dx
176
=-[-;3@;xÜ`+2xÛ`]0_!
⑴ :_1!`(4xÜ`-3xÛ`+2x)dx

=[xÝ`-xÜ`+xÛ`]1_!
=-[0-[-;3@;´(-1)Ü`+2´(-1)Û`]]

=;3*; =(1-1+1)-{1-(-1)+1}=-2

50 Ⅲ. 적분
⑵ :_-! 3 (3y+1)(3y-1)dy

개념원리 익히기
확인체크
(2k+5)(k-2)=0

=:_-! 3 (9yÛ`-1)dy
∴ k=2 (∵ k>0) 답 2

=-:_-# 1 (9yÛ`-1)dy

=-[3yÜ`-y]-_1#
179
:!k (-4x+2)dx=[-2xÛ`+2x]k!
=-[{-3-(-1)}-{-81-(-3)}]
=(-2kÛ`+2k)-(-2+2)
=-76 =-2kÛ`+2k
xÜ`+1
⑶ :!0
x+1
`dx =-2{k-;2!;}Û`+;2!;
(x+1)(xÛ`-x+1)
=:!0 `dx 이므로 주어진 정적분은 k=;2!;일 때, 최댓값 ;2!; 을 갖
x+1
는다. 답 ;2!;
=:!0 (xÛ`-x+1)dx

=-:)1 (xÛ`-x+1)dx

=-[;3!;xÜ`-;2!;xÛ`+x]1) 180
⑴ (주어진 식)

=:_1@`(2xÛ`+3x-1)dx-:_1@`(2xÛ`-x+3)dx
=-[{;3!;-;2!;+1}-0]

=:_1@`{(2xÛ`+3x-1)-(2xÛ`-x+3)}dx
=-;6%;

=:_1@`(4x-4)dx=[2xÛ`-4x]1_@
답 ⑴ -2  ⑵ -76  ⑶ -;6%;

=(2-4)-(8+8)=-18
177
:)1 xÛ`f(x)dx=:)1 xÛ`(xÛ`+4x)dx ⑵ (주어진 식)=:)2 (3xÛ`+1)dx

=:)1 (xÝ`+4xÜ`)dx =[xÜ`+x]2)=(8+2)-0=10

=[;5!;xÞ`+xÝ`]1)
8 yÜ`
⑶ (주어진 식)=:)1 `dt-:)1 `dy
t-2 y-2

={;5!;+1}-0=;5^; 답 ;5^;
8 tÜ`
=:)1 `dt-:)1 `dt
t-2 t-2

=:)1 { }dt
8 tÜ`
-
t-2 t-2
178
:_k!`(2x+k)dx=[xÛ`+kx]k_!
tÜ`-8
=-:)1 `dt
t-2
=-:)1 (tÛ`+2t+4)dt
=(kÛ`+kÛ`)-(1-k)
=2kÛ`+k-1 =-[;3!;tÜ`+tÛ`+4t]1)
이므로
2kÛ`+k-1=9, 2kÛ`+k-10=0 =-[{;3!;+1+4}-0]=-:Á3¤: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51
⑷ (주어진 식) ∴ :_2! f(x-1)dx

=:@4 (xÛ`-4x)dx+:$3 (xÛ`-4x)dx =:_1!`x`dx+:!2 (xÛ`-4x+4)dx

 +:!2 (xÛ`-4x)dx =[;2!;xÛ`]1_!+[;3!;xÜ`-2xÛ`+4x]2!

답 ;3!;
=:!2 (xÛ`-4x)dx+:@4 (xÛ`-4x)dx =;3!;

 +:$3 (xÛ`-4x)dx
183
=:!3 (xÛ`-4x)dx ⑴ f(x)=|2x+3|이라 하면 닫힌구간 [-2, 0]에서

=[;3!;xÜ`-2xÛ`]3!`=(9-18)-{;3!;-2} ( -2x-3 {-2ÉxÉ-;2#;}


f(x)={
=-:ª3ª: 9 `2x+3 {-;2#;ÉxÉ0}

답 ⑴ -18  ⑵ 10  ⑶ -:Á3¤:  ⑷ -:ª3ª:


Z Z]Y ]

 0 Y
181 Å

0ÉxÉ1일 때, f(x)=xÛ` 따라서 구하는 정적분의 값은

:_0@`|2x+3|dx
1ÉxÉ2일 때, f(x)=-2x+3
이므로

:)2 xf(x)dx =:_@ `(-2x-3)dx+: 0 (2x+3)dx


-;2#;

-;2#;

-;2#;
=:)1 x´xÛ``dx+:!2 x(-2x+3)dx =[-xÛ`-3x]_@ +[xÛ`+3x]0 =;2%;
-;2#;

=:)1 xÜ``dx+:!2 (-2xÛ`+3x)dx ⑵ f(x)=|x-xÛ`|이라 하면 닫힌구간 [-1, 1]에서

=[;4!;xÝ`]1)+[-;3@;xÜ`+;2#;xÛ`]2!
-x+xÛ` (-1ÉxÉ0)
f(x)=[`
`x-xÛ` (0ÉxÉ1)
=;1Á2; 답 ;1Á2; Z Z]YY™ ]


Y
182  0 

x+1 (xÉ0) 따라서 구하는 정적분의 값은

:_1!`|x-xÛ`|dx
f(x)=[ 에서
xÛ`-2x+1 (x¾0)
(x-1)+1 (x-1É0)
=:_0!`(-x+xÛ`)dx+:)1 (x-xÛ`)dx

f(x-1)=[
(x-1)Û`-2(x-1)+1 (x-1¾0)

=[-;2!;xÛ`+;3!;xÜ`]0_!+[;2!;xÛ`-;3!;xÜ`]1)=1
x (xÉ1)
∴ f(x-1)=[
xÛ`-4x+4 (x¾1)

52 Ⅲ. 적분
개념원리 익히기
⑶ f(x)=|xÛ`+x-2|라 하면 닫힌구간 [0, 2]에서 184

확인체크
-xÛ`-x+2 (0ÉxÉ1)
f(x)=[  |xÛ`-1|=|(x+1)(x-1)|
`xÛ`+x-2 (1ÉxÉ2)
Ú (x+1)(x-1)¾0, 즉 xÉ-1 또는 x¾1일 때,
Z Z]Y™ Y] |xÛ`-1|=xÛ`-1
 Û (x+1)(x-1)É0, 즉 -1ÉxÉ1일 때,
|xÛ`-1|=-xÛ`+1

적분 구간이 [0, a]이고 a>1이므로
 0   Y :)a |xÛ`-1|dx

따라서 구하는 정적분의 값은

:)2 |xÛ`+x-2|dx
=:)1 (-xÛ`+1)dx+:!a (xÛ`-1)dx

=[-;3!;xÜ`+x]1)+[;3!;xÜ`-x]a!
=:)1 (-xÛ`-x+2)dx+:!2 (xÛ`+x-2)dx
={-;3!;+1}+[{;3!;aÜ`-a}-{;3!;-1}]
=[-;3!;xÜ`-;2!;xÛ`+2x]1)+[;3!;xÜ`+;2!;xÛ`-2x]2!
=;3!;aÜ`-a+;3$;
=3
⑷ f(x)=(|x|+x+1)Û`이라 하면 닫힌구간 따라서 ;3!;aÜ`-a+;3$;=:°3¤:이므로
[-2, 1]에서 aÜ`-3a-52=0
(-x+x+1)Û` (-2ÉxÉ0) (a-4)(aÛ`+4a+13)=0   ∴ a=4 답 4
f(x)=[  ,
`(x+x+1)Û` (0ÉxÉ1)
1 (-2ÉxÉ0)
즉 f(x)=[ 
(2x+1)Û` (0ÉxÉ1)
185
⑴ (주어진 식)

=:_2@`(xÞ`-2xÜ`-3x)dx+:_2@`(6xÛ`-1)dx
Z Z ]Y] Y 
™

=2:)2 (6xÛ`-1)dx

=2[2xÜ`-x]2)=28

⑵ (주어진 식)

=:_0!`(4xÜ`+3xÛ`+2x+1)dx
 0  Y

따라서 구하는 정적분의 값은

:_1@`(|x|+x+1)Û`dx  +:)1 (4xÜ`+3xÛ`+2x+1)dx

=:_0@`1`dx+:)1 (2x+1)Û`dx =:_1!`(4xÜ`+3xÛ`+2x+1)dx

=:_0@`dx+:)1 (4xÛ`+4x+1)dx =:_1!`(4xÜ`+2x)dx+:_1!`(3xÛ`+1)dx

=[x]0_@+[;3$;xÜ`+2xÛ`+x]1)=:Á3»:
=2:)1 (3xÛ`+1)dx

=2[xÜ`+x]1)=4
답 ⑴ ;2%;  ⑵ 1  ⑶ 3  ⑷ :Á3»:
답 ⑴ 28  ⑵ 4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53
186 189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이므로 ⑴ ;dë[;:)/ (tÛ`+2)dt=xÛ`+2

⑵ ;dë[;:_/!`(3tÛ`-2t+3)dt=3xÛ`-2x+3
y=f(x)는 그래프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기함수이
다.

∴ :_3# f(x)dx=0 ⑶ ;dë[;:@/ (5tÜ`-3tÛ`)dt=5xÜ`-3xÛ`

⑷ ;dë[;:_/@`(3tÛ`+t)(t-1)dt=(3xÛ`+x)(x-1)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g(-x)이므로
y=g(x)는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인 우함수이
=3xÜ`-2xÛ`-x

⑸ ;dë[;:?/` Ñ` 2 (tÛ`-2t+1)dt
다.

∴ :_3# g(x)dx=2:)3 g(x)dx=2´2=4

∴ :_3#`{ f(x)+g(x)}dx
={(x+2)Û`-2(x+2)+1}-(xÛ`-2x+1)
=4x
=:_3# f(x)dx+:_3# g(x)dx=0+4=4 답 4 ⑹ ;dë[;:?/` Ñ` 1 (2t+1)(t-2)dt

=;dë[;:?/` Ñ` 1 (2tÛ`-3t-2)dt
187 ={2(x+1)Û`-3(x+1)-2}-(2xÛ`-3x-2)
f(x+3)=f(x)이므로

:!4 f(x)dx=:$7 f(x)dx=:&1`0 f(x)dx=5


=4x-1
답 ⑴ xÛ`+2 ⑵ 3xÛ`-2x+3

∴ :!1`0 f(x)dx
⑶ 5xÜ`-3xÛ` ⑷ 3xÜ`-2xÛ`-x

=:!4 f(x)dx+:$7 f(x)dx+:&1`0 f(x)dx


⑸ 4x ⑹ 4x-1

=5+5+5=15 답 15
190
⑴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88 f(x)=4x-5
f(x+4)=f(x)이므로

:)4 f(x)dx=:$8 f(x)dx


⑵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2x+3

∴ :)1`0 f(x)dx
⑶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4 f(x)dx+:$8 f(x)dx+:*1`0 f(x)dx


f(x)=9xÛ`-6
⑷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12xÛ`+6x+2
=:)4 f(x)dx+:)4 f(x)dx+:)2 f(x)dx
⑸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4 f(x)dx+:)2 f(x)dx f(x)=1´(x-3)+(x+1)´1=2x-2
⑹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4 (-xÛ`+4x)dx+:)2 (-xÛ`+4x)dx
f(x)=4x(x+2)+(2xÛ`+3)´1=6xÛ`+8x+3
=2[-;3!;xÜ`+2xÛ`]4)+[-;3!;xÜ`+2xÛ`]2) 답 ⑴ f(x)=4x-5 ⑵ f(x)=-2x+3
⑶ f(x)=9xÛ`-6 ⑷ f(x)=12xÛ`+6x+2
=:¥3¼: 답 :¥3¼:
⑸ f(x)=2x-2 ⑹ f(x)=6xÛ`+8x+3

54 Ⅲ. 적분
개념원리 익히기
191 즉, k=;3*;+8k이므로 k=-;2¥1;

확인체크
⑴ f(x)=xÛ`+:)1 xf(t)dt에서 따라서 f(x)=xÛ`-;7*;x-;2¥1;이므로

f(x)=xÛ`+x:)1 f(t)dt f(1)=1-;7*;-;2¥1;=-;2!1!;

:)1 f(t)dt=k`(k는 상수) yy`㉠ ⑷ f(x)=3xÛ`+:)1 (2x-t)f(t)dt

로 놓으면 f(x)=xÛ`+kx =3xÛ`+2x:)1 f(t)dt-:)1 tf(t)dt

:)1 f(t)dt=a, :)1 tf(t)dt=b`(a, b는 상수)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k=:)1 (tÛ`+kt)dt=[;3!;tÜ`+;2!;ktÛ`]1)=;3!;+;2!;k
놓으면
즉, k=;3!;+;2!;k이므로 k=;3@; f(x)=3xÛ`+2ax-b

따라서 f(x)=xÛ`+;3@;x이므로 a=:)1 f(t)dt=:)1 (3tÛ`+2at-b)dt

f(1)=1Û`+;3@;´1=;3%; =[tÜ`+atÛ`-bt]1)

⑵ :)1 tf(t)dt=k`(k는 상수) yy`㉠ =1+a-b


즉, a=1+a-b이므로 b=1
로 놓으면 f(x)=-2xÛ`+3x+k
이것을 ㉠에 대입하면 b=:)1 tf(t)dt=:)1 t(3tÛ`+2at-1)dt

k=:)1 t(-2tÛ`+3t+k)dt =:)1 (3tÜ`+2atÛ`-t)dt

=:)1 (-2tÜ`+3tÛ`+kt)dt =[;4#;tÝ`+;3@;atÜ`-;2!;tÛ`]1)

=[-;2!;tÝ`+tÜ`+;2K;tÛ`]1)=;2!;+;2K; =;3@;a+;4!;

즉, k=;2!;+;2K;이므로 k=1 즉, b=;3@;a+;4!;이므로 a=;8(;

따라서 f(x)=-2xÛ`+3x+1이므로 따라서 f(x)=3xÛ`+;4(;x-1이므로


f(1)=-2+3+1=2
f(1)=3+;4(;-1=:Á4¦:
⑶ f(x)=xÛ`+:)2 (3x+1)f(t)dt
답 ⑴ ;3%;  ⑵ 2  ⑶ -;2!1!;  ⑷ :Á4¦:
=xÛ`+3x:)2 f(t)dt+:)2 f(t)dt

이때 :)2 f(t)dt=k (k는 상수) yy`㉠

로 놓으면 f(x)=xÛ`+3kx+k
192
이것을 ㉠에 대입하면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k=:)2 (tÛ`+3kt+k)dt f(x)=2x-3

=[;3!;tÜ`+:£2ð:tÛ`+kt]2)
주어진 식의 양변에 x=a를 대입하면

0=aÛ`-3a-10, (a+2)(a-5)=0
=;3*;+6k+2k=;3*;+8k 그런데 a<0이므로 a=-2
∴ f(a)=f(-2)=-4-3=-7 답 -7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55
193 194
⑴ :?2 f(t)dt=-:@/ f(t)dt이므로 주어진 등식을 정리하면

x:!/ f(t)dt-:!/ tf(t)dt=xÝ`-3xÛ`+2x


xf(x)=xÜ`-3xÛ`+:@/ f(t)dt  yy`㉠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t)dt+xf(x)-xf(x)=4xÜ`-6x+2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xf '(x)=3xÛ`-6x+f(x)
xf '(x)=3xÛ`-6x   ∴ :!/ f(t)dt=4xÜ`-6x+2
∴ f '(x)=3x-6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x)=: f '(x)dx=:`(3x-6)dx f(x)=12xÛ`-6

=;2#;xÛ`-6x+C (C는 적분상수) ∴ f(-1)=12-6=6 답 6

 yy`㉡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195
2f(2)=8-12   ∴ f(2)=-2 ⑴ 주어진 등식을 정리하면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x:!/ f(t)dt-:!/ tf(t)dt=xÝ`+axÛ`+1 yy`㉠
f(2)=6-12+C=-2   ∴ C=4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t)dt+xf(x)-xf(x)=4xÜ`+2ax
따라서 f(x)=;2#;xÛ`-6x+4이므로

∴ :!/ f(t)dt=4xÜ`+2ax
f(-1)=;2#;+6+4=:ª2£:

⑵ xÛ`f(x)=;3@;xß`-;2!;xÝ`-;6!;+2:!/ tf(t)dt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yy`㉠ f(x)=12xÛ`+2a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xf(x)+xÛ`f '(x)=4xÞ`-2xÜ`+2xf(x) 0=1+a+1   ∴ a=-2
xÛ`f '(x)=xÛ`(4xÜ`-2x)   ∴ f(x)=12xÛ`-4
∴ f '(x)=4xÜ`-2x ⑵ 주어진 등식을 정리하면
∴ f(x)=: f '(x)dx x:!/ f(t)dt-:!/ tf(t)dt=xÜ`+axÛ`+bx

=:`(4xÜ`-2x)dx  yy`㉠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t)dt+xf(x)-xf(x)=3xÛ`+2ax+b
=xÝ`-xÛ`+C (C는 적분상수) yy`㉡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3@;-;2!;-;6!;   ∴ f(1)=0 ∴ :!/ f(t)dt=3xÛ`+2ax+b yy`㉡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1)=1-1+C=0   ∴ C=0 f(x)=6x+2a yy`㉢
따라서 f(x)=xÝ`-xÛ`이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1-1=0 0=1+a+b   ∴ a+b=-1 yy`㉣
답 ⑴ :ª2£:  ⑵ 0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56 Ⅲ. 적분
개념원리 익히기
yy`㉤

확인체크
0=3+2a+b   ∴ 2a+b=-3 x y 0 y 2 y
㉣, ㉤을 연립하여 풀면 F'(x) - 0 + 0 -
a=-2, b=1 F(x) ↘ 극소 ↗ 극대 ↘
a=-2를 ㉢에 대입하면 f(x)=6x-4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답 ⑴ f(x)=12xÛ`-4  ⑵ f(x)=6x-4
F(2)=:!2 (-tÛ`+2t)dt

=[-;3!;tÜ`+tÛ`]2!

196 ={-;3*;+4}-{-;3!;+1}
f(x)=:_/#`(tÛ`+t+k)dt
=;3@; 답 ;3@;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xÛ`+x+k
함수 f(x)가 x=-3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198
f '(-3)=0, 즉 9-3+k=0   ∴ k=-6 f(x)=:)/ (t-1)(t-5)dt
∴ f '(x)=xÛ`+x-6=(x+3)(x-2)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0에서 x=-3 또는 x=2
f '(x)=(x-1)(x-5)
x y -3 y 2 y f '(x)=0에서 x=1 (∵ 0ÉxÉ3)
f '(x) + 0 - 0 +
x 0 y 1 y 3
f(x) ↗ 극대 ↘ 극소 ↗
f '(x) + 0 -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소이므로 극솟값은

f(2)=:_2#`(tÛ`+t-6)dt
f(x) ↗ 극대 ↘

따라서 0ÉxÉ3일 때, 함수 f(x)는 x=1에서 극대


=[;3!;tÜ`+;2!;tÛ`-6t]2_# 이면서 최대이므로 최댓값은

f(1)=:)1 (t-1)(t-5)dt
=-:Á;6@;°: 답 -:Á;6@ ;°:

=:)1 (tÛ`-6t+5)dt

=[;3!;tÜ`-3tÛ`+5t]1)

197 =;3!;-3+5=;3&;` 답 ;3&;


주어진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y=ax(x-2) (a<0)
또한, 주어진 그래프가 점 (1, 1)을 지나므로 199
1=a´(-1)   ∴ a=-1 f(x)=:?/` Ñ` 1 (2tÛ`+2t)dt
∴ f(x)=-x(x-2)=-xÛ`+2x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 f(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2(x+1)Û`+2(x+1)}-(2xÛ`+2x)
F'(x)=f(x) =4x+4
F'(x)=0에서 x=0 또는 x=2 f '(x)=0에서 x=-1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57
:! `(2tÛ`+3t-1)dt
1 xÛ`
x -2 y -1 y 1 lim 
x`Ú 1 x-1

:! `(2tÛ`+3t-1)dt
f '(x) - 0 + xÛ`

f(x) ↘ 극소 ↗
=lim 
x`Ú 1 x-1

[F(t)]!
이때

f(-2)=:_- @1 (2tÛ`+2t)dt=[;3@;tÜ`+tÛ`]-_1@
xÛ`

=lim 
x`Ú 1 x-1
={-;3@;+1}-{-:Á3¤:+4}=;3%; F(xÛ`)-F(1)
=lim 

f(-1)=:_0!`(2tÛ`+2t)dt=[;3@;tÜ`+tÛ`]0_!
x`Ú 1 x-1
F(xÛ`)-F(1)
=lim[ ´(x+1)]
x`Ú 1 xÛ`-1
=0-{-;3@;+1}=-;3!; =2F'(1)

f(1)=:!2 (2tÛ`+2t)dt=[;3@;tÜ`+tÛ`]2!`
이때 F'(t)=f(t)이므로
2F'(1)=2f(1)
={:Á3¤:+4}-{;3@;+1}=:ª3£: =2(2+3-1)=8
⑶ f(t)=|t-4|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이므로 -2ÉxÉ1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ª3£:,
F(t)라 하면
최솟값은 -;3!;이다. :!/ |t-4|dt
1
lim 
x`Ú 1 xÛ`-1

:!/ |t-4|dt
∴ M=:ª3£:, m=-;3!;
=lim 
∴ M-m=8 답 8 x`Ú 1 xÛ`-1

[F(t)]/!
=lim 
x`Ú 1 xÛ`-1
200 F(x)-F(1)
⑴ f(t)=(t-2)Ü`으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lim 
x`Ú 1 xÛ`-1
F(t)라 하면 F(x)-F(1)
=lim[ ]
1
:!/ (t-2)Ü`dt
´
1 x`Ú 1 x-1 x+1
lim 
x`Ú 1 x-1

:!/ (t-2)Ü``dt
=;2!;F'(1)

=lim  이때 F'(t)=f(t)이므로
x`Ú 1 x-1

[F(t)]/!
;2!;F'(1)=;2!;f(1)

=lim 
x`Ú 1 x-1 =;2!;|1-4|=;2#;
F(x)-F(1) ⑷ f(x)=3xÛ`-x+1로 놓고 f(x)의 한 부정적분을
=lim 
x`Ú 1 x-1
F(x)라 하면

lim  :@2_Ñ Hh (3xÛ`-x+1)dx


=F'(1)
1
이때 F'(t)=f(t)이므로 h`Ú 0 h

:@2_Ñ Hh (3xÛ`-x+1)dx
F'(1)=f(1)=(1-2)Ü`=-1
⑵ f(t)=2tÛ`+3t-1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lim 
F(t)라 하면 h`Ú 0 h

58 Ⅲ. 적분
개념원리 익히기
[F(x)]2@Ñ_hH 즉, ;1Á2;kÝ`=12이므로 kÝ`=144

확인체크
=lim 
h`Ú 0 h (kÛ`+12)(k+2'3`)(k-2'3`)=0
F(2+h)-F(2-h) ∴ k=2'3 (∵ k>0) 답 2'3
=lim 
h`Ú 0 h
F(2+h)-F(2)+F(2)-F(2-h)
=lim 
h`Ú 0 h 203
F(2+h)-F(2) 곡선 y=-xÛ`+2x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lim 
h`Ú 0 h x= 0 또는 x= 2  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 `(-xÛ`+2x)dx
F(2-h)-F(2) 2
 +lim 
h`Ú 0 -h

=[-;3!;xÜ`+xÛ`]2)= ;3$;
0

=F'(2)+F'(2)=2F'(2)
이때 F'(x)=f(x)이므로
2F'(2)=2f(2)  답 풀이 참조

=2(12-2+1)=22

답 ⑴ -1  ⑵ 8  ⑶ ;2#;  ⑷ 22
204
곡선 y=xÛ`-4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x= 0 또는 x= 3  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 `{-x-( xÛ`-4x )}dx


201 3

f(x)=ax-xÛ`으로 놓고 f(x)의 한 부정적분을


3
F(x)라 하면 =:) `( -xÛ`+3x )dx

lim  :_-!1` Ñ` h (ax-xÛ`)dx =[-;3!;xÜ`+;2#;xÛ`]3)


1
h`Ú 0 h

=lim  [F(x)]-_1!Ñ `h
1 = ;2(; 
h`Ú 0 h
답 풀이 참조

F(-1+h)-F(-1)
=lim 
h`Ú 0 h
205
=F'(-1)=-3
두 곡선 y=xÛ`+x, y=-2xÛ`+x+3의 교점의 x좌
이때 F'(x)=f(x)이므로
표는 x= -1 또는 x= 1  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 1 ` {( -2xÛ`+x+3 )-(xÛ`+x)}dx


F'(-1)=f(-1)=-a-1
따라서 -a-1=-3이므로 a=2 답 2

=: 1 ` ( -3xÛ`+3 )dx


-1

=[-xÜ`+3x]1_!
202
-1

곡선 x=y(y-k)Û`과 y축과의 교점의 y좌표는


y(y-k)Û`=0에서 y=0 또는 y=k =4 답 풀이 참조

0ÉyÉk일 때, x¾0이므로 곡선 x=y(y-k)Û`과 y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206
:)k y(y-k)Û``dy=:)k (yÜ`-2kyÛ`+kÛ`y)dy ⑴ 곡선 y=-xÛ`+6x-8과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4!;yÝ`-;3@;kyÜ`+;2!;kÛ`yÛ`]k)=;1Á2;kÝ`
-xÛ`+6x-8=0에서 (x-2)(x-4)=0
∴ x=2 또는 x=4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59
따라서 곡선 Z ZY™ Y ⑷ ‌곡선 y=-xÜ`-3xÛ`+x+3과 x축과의 교점의 x
 
‌y=-xÛ ` +6x-8과 x축 0 Y 좌표는
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오 -xÜ`-3xÛ`+x+3=0에서
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 xÜ`+3xÛ`-x-3=0, (x+3)(x+1)(x-1)=0
과 같다.  ∴ x=-3 또는 x=-1 또는 x=1
2ÉxÉ4에서
‌ y¾0이므로 따라서 곡선 Z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y=-xÜ`-3xÛ`+x+3 ZYš Y™ Y  

S=:@4 (-xÛ`+6x-8)dx 과 x축으로 둘러싸인




=[-;3!;xÜ`+3xÛ`-8x]4@=;3$;
부분은 오른쪽 그림의  0  Y
색칠한 부분과 같다.
⑵ 곡선 y=xÛ`-2x-8과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3ÉxÉ-1에서 yÉ0, -1ÉxÉ1에서 y¾0이
xÛ`-2x-8=0에서 (x+2)(x-4)=0 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 x=-2 또는 x=4 S=-:_-# 1 (-xÜ`-3xÛ`+x+3)dx

+:_1!`(-xÜ`-3xÛ`+x+3)dx
따라서 곡선 Z ZY™ Y

‌y=xÛ`-2x-8과 x축으로

=-[-;4!;xÝ`-xÜ`+;2!;xÛ`+3x]-_1#
0
  Y
둘러싸인 부분은 오른쪽 그

+[-;4!;xÝ`-xÜ`+;2!;xÛ`+3x]1_!
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2ÉxÉ4에서
‌ yÉ0이므 
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8
S=-:_4@`(xÛ`-2x-8)dx

 답 ⑴ ;3$;  ⑵ 36  ⑶ ;1#2&;  ⑷ 8

=-[;3!;xÜ`-xÛ`-8x]4_@

=36
⑶ ‌곡선 y=xÜ`-xÛ`-2x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207
xÜ`-xÛ`-2x=0에서 x(x+1)(x-2)=0 곡선 y=-xÛ`+kx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 x=-1 또는 x=0 또는 x=2 -xÛ`+kx=0에서 x(x-k)=0
따라서 곡선 Z ZYš Y™ Y ∴ x=0 또는 x=k
‌y=xÜ ` -xÛ ` -2x와 x축  이때 k<0이므로 곡선 Z
0  Y
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오 y=-xÛ`+kx와 x축으로 둘러
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 싸인 부분은 오른쪽 그림의 색 L 0 Y

과 같다. 칠한 부분과 같다.


‌-1ÉxÉ0에서 y¾0, 0ÉxÉ2에서 yÉ0이므로 kÉxÉ0에서 y¾0이므로 넓
ZY™ LY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이는
S=:_0!(xÜ`-xÛ`-2x)dx-:)2`(xÜ`-xÛ`-2x)dx :K0 (-xÛ`+kx)dx=[-;3!;xÜ`+;2!;kxÛ`]0K

=[;4!;xÝ`-;3!;xÜ`-xÛ`]0_!-[;4!;xÝ`-;3!;xÜ`-xÛ`]2) =-{-;3!;kÜ`+;2!;kÜ`}

=;1#2&; =-;6!;kÜ`

60 Ⅲ. 적분
개념원리 익히기
즉, -;6!;kÜ`=36이므로

확인체크
(a+1)(2aÛ`-11a+11)=0

kÜ`=-216   ∴ k=-6 답 -6
∴ a=-1 (∵ a는 0보다 작은 정수) 답 -1

208 210
곡선 y=xÛ`-3x+2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⑴ ‌곡선 y=-2xÛ`+x+4와 직선 y=x+2의 교점

xÛ`-3x+2=0에서 (x-1)(x-2)=0 의 x좌표는

∴ x=1 또는 x=2 -2xÛ`+x+4=x+2에서 xÛ`=1

따라서 곡선 y=xÛ`-3x+2와 Z
∴ x=-1 또는 x=1
ZY™ Y 
‌오른쪽 그래프에서 Z ZY 
x축 및 직선 x=3으로 둘러싸

 -1ÉxÉ1일 때,
인 부분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
한 부분과 같다. -2xÛ`+x+4¾x+2

1ÉxÉ2에서 yÉ0, 0    Y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2ÉxÉ3에서 y¾0이므로 구 S라 하면 
0  Y
S

=:_1!`{(-2xÛ`+x+4)-(x+2)}dx
하는 넓이를 S라 하면  ZY™ Y 

S=-:!2 (xÛ`-3x+2)dx+:@3 (xÛ`-3x+2)dx

=-[;3!;xÜ`-;2#;xÛ`+2x]2!+[;3!;xÜ`-;2#;xÛ`+2x]3@ =:_1!`(-2xÛ`+2)dx

=1 답 1 =2:)1 (-2xÛ`+2)dx

=2[-;3@;xÜ`+2x]1)
209
곡선 y=-xÛ`+3x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2´;3$;=;3*;

-xÛ`+3x=0에서 x(x-3)=0 ⑵ 곡선 y=xÜ`-6xÛ`+9x와 직선 y=x의 교점의 x


∴ x=0 또는 x=3 좌표는
a가 0보다 작은 정수이므로 Z ZY™ Y xÜ`-6xÛ`+9x=x에서
곡선 y=-xÛ`+3x와 x축 및 xÜ`-6xÛ`+8x=0
B
직선 x=a로 둘러싸인 부분 0  Y x(x-2)(x-4)=0
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 ∴ ‌x=0 또는 x=2 또는 x=4
과 같다. 오른쪽 그래프에서 Z ZYš Y™ Y
ZY
aÉxÉ0에서 yÉ0, 0ÉxÉ2일 때,
0ÉxÉ3에서 y¾0이므로 넓이는 xÜ`-6xÛ`+9x¾x

-:A0 (-xÛ`+3x)dx+:)3 (-xÛ`+3x)dx 2ÉxÉ4일 때,

=-[-;3!;xÜ`+;2#;xÛ`]0A+[-;3!;xÜ`+;2#;xÛ`]3)
xÜ`-6xÛ`+9xÉx Y
0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3!;aÜ`+;2#;aÛ`+;2(;
S=:)2 {(xÜ`-6xÛ`+9x)-x}dx
즉, -;3!;aÜ`+;2#;aÛ`+;2(;=:Á3»:이므로
 +:@4 {x-(xÜ`-6xÛ`+9x)}dx
2aÜ`-9aÛ`+11=0에서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61
=:)2 (xÜ`-6xÛ`+8x)dx 오른쪽 그래프에서  ZY™  Z

-1ÉxÉ2일 때,
 +:@4 (-xÜ`+6xÛ`-8x)dx
xÜ`¾3xÛ`-4
=[;4!;xÝ`-2xÜ`+4xÛ`]2)+[-;4!;xÝ`+2xÜ`-4xÛ`]4@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0  Y

S라 하면

S=:_2!{xÜ`-(3xÛ`-4)}dx
=8
답 ⑴ ;3*;  ⑵ 8
ZYš


=:_2!(xÜ`-3xÛ`+4)dx

=[;4!;xÝ`-xÜ`+4x]2_!=:ª4¦:
211 ⑵ 두 곡선 y=xÜ`-3xÛ`-x+3, y=xÛ`-2x-3의 교
곡선 y=xÛ`-2x와 직선 y=ax의 교점의 x좌표는 점의 x좌표는
xÛ`-2x=ax에서 xÛ`-(a+2)x=0 xÜ`-3xÛ`-x+3=xÛ`-2x-3에서
x{x-(a+2)}=0 xÜ`-4xÛ`+x+6=0
∴ x=0 또는 x=a+2 (x+1)(x-2)(x-3)=0
오른쪽 그래프에서 Z ZY™ Y ZBY ∴ x=-1 또는 x=2 또는 x=3
0ÉxÉa+2일 때, 다음 그래프에서
xÛ`-2xÉax -1ÉxÉ2일 때, xÜ`-3xÛ`-x+3¾xÛ`-2x-3
따라서 주어진 곡선과 직 2ÉxÉ3일 때, xÜ`-3xÛ`-x+3ÉxÛ`-2x-3
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0 B  Y
Z ZYš Y™ Y 
넓이는

:)a `Ñ `2` {ax-(xÛ`-2x)}dx

=:)a `Ñ `2` {-xÛ`+(a+2)x}dx

 0  Y

=[-;3!;xÜ`+;2!;(a+2)xÛ`]a) Ñ` 2 
ZY™ Y
=;6!;(a+2)Ü`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2!`{(xÜ`-3xÛ`-x+3)-(xÛ`-2x-3)}dx
즉, ;6!;(a+2)Ü`=;2(;이므로

(a+2)Ü`=27, a+2=3
∴ a=1  답 1  +:@3` {(xÛ`-2x-3)-(xÜ`-3xÛ`-x+3)}dx

=:_2!`(xÜ`-4xÛ`+x+6)dx

 +:@3``(-xÜ`+4xÛ`-x-6)dx
212
=[;4!;xÝ`-;3$;xÜ`+;2!;xÛ`+6x]2_!
⑴ 두 곡선 y=xÜ`, y=3xÛ`-4의 교점의 x좌표는
xÜ`=3xÛ`-4에서 xÜ`-3xÛ`+4=0  +[-;4!;xÝ`+;3$;xÜ`-;2!;xÛ`-6x]3@
(x+1)(x-2)Û`=0
∴ x=-1 또는 x=2 =:¦6Á: 답 ⑴ :ª4¦:  ⑵ :¦6Á:

62 Ⅲ. 적분
개념원리 익히기
213 215

확인체크
두 곡선 y=;2!;xÛ`, y=-;2!;xÛ`+x의 교점의 x좌표는 f(x)=xÜ`-3xÛ`+x+4 Z ZYš Y™ Y 

라 하면  ZY 
;2!;xÛ`=-;2!;xÛ`+x에서 xÛ`-x=0 f '(x)=3xÛ`-6x+1 

x(x-1)=0 ∴ f '(0)=1
∴ x=0 또는 x=1 따라서 점 (0, 4)에서의
0  Y
오른쪽 그래프에서 Z 접선의 방정식은
ZÆY™
0ÉxÉ1일 때,  y-4=1(x-0)   ∴ y=x+4
곡선 y=xÜ`-3xÛ`+x+4와 직선 y=x+4의 교점의
;2!;xÛ`É-;2!;xÛ`+x Æ
0   Y x좌표는
1ÉxÉ2일 때,
xÜ`-3xÛ`+x+4=x+4에서 xÜ`-3xÛ`=0
ZÆY™ Y
;2!;xÛ`¾-;2!;xÛ`+x xÛ`(x-3)=0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 x=0 또는 x=3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1 [{-;2!;xÛ`+x}-;2!;xÛ`]dx
S=:)3`{(x+4)-(xÜ`-3xÛ`+x+4)}dx
+:!2 [;2!;xÛ`-{-;2!;xÛ`+x}]dx
=:)3`(-xÜ`+3xÛ`)dx

=[-;4!;xÝ`+xÜ`]3)=:ª4¦:
=:)1 (-xÛ`+x)dx+:!2 (xÛ`-x)dx

=[-;3!;xÜ`+;2!;xÛ`]1)+[;3!;xÜ`-;2!;xÛ`]2!
답 :ª4¦:

다른풀이 공식을 이용하면


=1 답 1 |1|(3-0)Ý`
S= =:ª4¦:
12

214 216
f(x)=xÛ`-1이라 하면 ZY™  Z `2xÛ`+2x (xÉ-1 또는 x¾0)
y=|2xÛ`+2x|=[ 
f '(x)=2x   -2xÛ`-2x (-1ÉxÉ0)

∴ f '(2)=4 곡선 y=|2xÛ`+2x|와 Z Z]Y™ Y]
0
따라서 점 (2, 3)에서의  Y x축과의 교점의 x좌표
접선의 방정식은 는
y-3=4(x-2)  ZY 2xÛ`+2x=0에서
∴ y=4x-5 2x(x+1)=0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 x=-1 또는 x=0
 0 Y
S=:)2 {(xÛ`-1)-(4x-5)}dx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Y
S라 하면

S=:_-@1 (2xÛ`+2x)dx+:_0! (-2xÛ`-2x)dx
=:)2 (xÛ`-4x+4)dx

=[;3!;xÜ`-2xÛ`+4x]2)
=[;3@;xÜ`+xÛ`]-_1@+[-;3@;xÜ`-xÛ`]0_!
=;3*; 답 ;3*;
=2 답 2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63
217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으므로
`x(x-1) (xÉ0 또는 x¾1) :)2`a``x(x-4)(x-2a)dx=0

:)2`a {xÜ`-(2a+4)xÛ`+8ax}dx=0
y=|x(x-1)|=[ 
-x(x-1) (0ÉxÉ1)
Ú xÉ0 또는 x¾1일 때  Z]Y™ Y] Z ZY 
곡선 y=x(x-1)과 [;4!;xÝ`-;3!;(2a+4)xÜ`+4axÛ`]2)a` =0
직선 y=x+3의 교점
의 x좌표는
 4aÝ`-;3*;aÜ`(2a+4)+16aÜ`=0

x(x-1)=x+3에서 4aÝ`-16aÜ`=0, 4aÜ`(a-4)=0


0   Y
xÛ`-2x-3=0 ∴ a=4 (∵ a>2) 답 4
(x+1)(x-3)=0
∴ x=-1 또는 x=3
219
Û 0ÉxÉ1일 때
두 곡선의 교점의 x좌 Z ZY LY

ZY™ LY

곡선 y=-x(x-1)과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표는
-x(x-1)=0에서 x(x-1)=0
x(k-x)=xÛ`(k-x)
∴ x=0 또는 x=1
에서 0  L Y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3!`{x+3-(xÛ`-x)}dx-2:)1`(-xÛ`+x)dx
x(x-1)(k-x)=0
∴ x=0 또는 x=1 또는 x=k

=[-;3!;xÜ`+xÛ`+3x]3_!-2[-;3!;xÜ`+;2!;xÛ`]1)
두 곡선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아야 하므로

:)k``{x(k-x)-xÛ`(k-x)}dx=0
=:£3Á: 답 :£3Á:
:)k``{xÜ`-(k+1)xÛ`+kx}dx=0
참고 구하는 넓이는 곡선 y=xÛ`-x와 직선

[;4!;xÝ`- xÜ`+;2!;kxÛ`]k)=0
y=x+3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에서 곡선 k+1
3
y=-xÛ`+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의 2배
(k+1)kÜ`
를 뺀 것과 같다. ;4!;kÝ`- +;2!;kÜ`=0
3
kÜ`(k-2)=0
∴ k=2 (∵ k>1) 답 2


Y
220
y=xÛ ` -6x+a의 그래 Z
ZY™ Y B

프의 대칭축은 x=3이므
218 로 넓이 B는 직선 x=3
곡선 Z
ZY Y
YB
에 의하여 이등분된다.
" 
y=x(x-4)(x-2a)와 0 Y
즉, 오른쪽 그림에서 빗 #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금 친 도형의 넓이는 A
0  B Y
x(x-4)(x-2a)=0에서
와 같으므로

:)3 (xÛ`-6x+a)dx=0
x=0 또는 x=4 또는
x=2a

64 Ⅲ. 적분
[;3!;xÜ`-3xÛ`+ax]3)=0

개념원리 익히기
확인체크
한 부분의 넓이의 2배이므로

:)
a+3
9-27+3a=0 {ax-(xÛ`-3x)}dx=-2:)3 (xÛ`-3x)dx

[-;3!;xÜ`+;2!;(a+3)xÛ`]a) Ñ` 3`=-2[;3!;xÜ`-;2#;xÛ`]3)
∴ a=6 답 6

221 ;6!;(a+3)Ü`=9, (a+3)Ü`=54


곡선 y=-xÛ`+2x와 직 Z ∴ a=3(Ü '2-1) 답 3(Ü '2-1)
ZBY
선 y=ax의 교점의 x좌
표는 -xÛ`+2x=ax에서
x(x+a-2)=0 0 B

Y 223
∴ x=0 또는 x=2-a 기울기가 m이고 점 (1,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ZY™ Y
곡선 y=-xÛ`+2x와 x y-2=m(x-1)   ∴ y=m(x-1)+2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곡선과 직선의 교점의 x좌표를 a, b(a<b)라 하면 a,

S=:)2 (-xÛ`+2x)dx=[-;3!;xÜ`+xÛ`]2)=;3$;
b는 방정식
xÛ`=m(x-1)+2, 즉 xÛ`-mx+m-2=0
곡선 y=-xÛ`+2x와 직선 y=ax로 둘러싸인 도형 의 두 근이다.
의 넓이를 SÁ이라 하면 ∴ a+b=m, ab=m-2

SÁ=:)2` -` a (-xÛ`+2x-ax)dx
(b-a)Û`=(b+a)Û`-4ab=mÛ`-4m+8에서
b-a="ÃmÛ`-4m+8="Ã(m-2)Û`+4 (∵ a<b)
=:)2` -` a {-xÛ`+(2-a)x}dx 곡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xÛ`]2) -` a
2-a S=:òÕ (mx-m+2-xÛ`)dx`
=[-;3!;xÜ`+
2 (b-a)Ü`
= =;6!;{"Ã(m-2)Û`+4}Ü``
=;6!;(2-a)Ü` 6
;2#;
=;6!;{(m-2)Û`+4}
S=2SÁ이므로 ;3$;=2´;6!;(2-a)Ü`
따라서 도형의 넓이는 m=2일 때, 즉 직선의 기울기
∴ (2-a)Ü`=4 답 4
가 2일 때, 최소가 된다. 답 2

222
직선 y=ax와 곡선 Z
ZY™ Y
224
y=xÛ`-3x의 교점의 x좌표 ZBY f(x)=xÛ`+2라 하면 f '(x)=2x   ∴ f '(a)=2a

는 ax=xÛ`-3x에서 따라서 점 (a, aÛ`+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xÛ`-(a+3)x=0 y-(aÛ`+2)=2a(x-a)   ∴ y=2ax-aÛ`+2


0  Y
x(x-a-3)=0 B  ZY™  Z ZBYB™ 

∴ x=0 또는 x=a+3
곡선 y=xÛ`-3x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xÛ`-3x=0에서 x(x-3)=0 

∴ x=0 또는 x=3
0  Y
따라서 직선과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색칠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65
위의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S라 하면 위의 그림에서 :)2 f(x)dx=A, :#1`1 g(x)dx=B,

S=:)2 {(xÛ`+2)-(2ax-aÛ`+2)}dx 빗금 친 부분의 넓이를 C라 하면 B=C이므로

:)2 f(x)dx+:  `g(x)dx


f(2)

=:)2 (xÛ`-2ax+aÛ`)dx

=:)2 f(x)dx+:#1`1 g(x)dx


f(0)
`

=[;3!;xÜ`-axÛ`+aÛ`x]2)
=A+B=A+C=2´11=22 답 22
=;3*;-4a+2aÛ`

=2(a-1)Û`+;3@; 227
⑴ ‌점 P의 운동 방향이 바뀌는 순간의 속도는 v(t)=0
따라서 도형의 넓이는 a=1일 때 최소가 된다. 답 1
이므로
v(t)=-tÛ`-t+6=0에서 tÛ`+t-6=0
225 (t+3)(t-2)=0   ∴ t=2 (∵ t>0)
두 곡선 y=f(x)와 Z ZG Y

ZY
∴ (점 P의 위치)=:)2 (-tÛ`-t+6)dt

=[-;3!;tÜ`-;2!;tÛ`+6t]2)
y=g(x)는 직선 y=x
ZH Y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Å


두 곡선으로 둘러싸인 0 Y
=:ª3ª:
도형의 넓이는 곡선
y=f(x)와 직선 y=x ⑵ 시각 t=0에서 t=3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은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의 2배와 같다. :)3 (-tÛ`-t+6)dt=[-;3!;tÜ`-;2!;tÛ`+6t]3)=;2(;
곡선 y=2xÜ`+xÛ`+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⑶ 시각 t=0에서 t=3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3 |-tÛ`-t+6|dt
2xÜ`+xÛ`+x=x에서 xÛ`(2x+1)=0

∴ x=0 또는 x=-;2!;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2 (-tÛ`-t+6)dt+:@3 (tÛ`+t-6)dt

S=2:`0 `{(2xÜ`+xÛ`+x)-x}dx
-;2!;
=[-;3!;tÜ`-;2!;tÛ`+6t]2)+[;3!;tÜ`+;2!;tÛ`-6t]3@

=2:`0 `(2xÜ`+xÛ`)dx =:¤6Á:


-;2!;

=2[;2!;xÝ`+;3!;xÜ`]0` =;4Á8;
 답 ⑴ :ª3ª:  ⑵ ;2(;  ⑶ :¤6Á:
답 ;4Á8;
-;2!;

228
226 정지할 때의 속도는 v(t)=0이므로
f(x)=xÜ`+3에서 Z ZG Y
v(t)=24-2t=0   ∴ t=12(초)
 ZY
f '(x)=3xÛ`¾0, 따라서 열차는 제동을 건 뒤 12초 후에 정지한다.
$
f(0)=3, f(2)=11 그러므로 열차가 정지할 때까지 달린 거리는

:)1`2``|24-2t|dt=:)1`2``(24-2t)dt
 " ZH Y

이므로 y=f(x)의 그래


=[24t-tÛ`]1)2`=144(m)
#
프는 두 점 (0, 3), 0   Y

(2, 11)을 지나는 증가하
는 곡선이다.  답 144`m

66 Ⅲ. 적분
개념원리 익히기
229

확인체크
⑵ t=4일 때, 운동 방향이 바뀌므로 움직인 거리는

⑴ 이 물체가 최고 높이에 도달했을 때는 v(t)=0이므로 :)4 |v(t)|dt


-10t+60=0에서 t=6(초)
=:)1 |2t|dt+:!2 |2|dt+:@4 |-t+4|dt
따라서 t=6일 때 최고 높이에 도달하게 되며, 그때
의 최고 높이 x`m는 =:)1 2t dt+:!2 2 dt+:@4 (-t+4)dt

=[tÛ`]1)+[2t]2!+[-;2!;tÛ`+4t]4@
x=:)6 (-10t+60)dt

=[-5tÛ`+60t]6)=180(m) =5
⑵ 발사 후 8초 동안 물체가 움직인 거리 s`m는 ⑶ :)5 |v(t)|dt=:)4 |v(t)|dt-:$5 (-t+4)dt

=5-[-;2!;tÛ`+4t]5$ (∵ ⑵)
s=:)8 |-10t+60|dt

=:)6 (-10t+60)dt+:^8 (10t-60)dt
=5+;2!;
=[-5tÛ`+60t]6)+[5tÛ`-60t]8^=200(m)

=:Á2Á:


⑶ t초 후의 물체의 높이는

:)t (-10t+60)dt=[-5tÛ`+60t]t)
 답 ⑴ ;2(;  ⑵ 5  ⑶ :Á2Á:

다른풀이 넓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도 있다.


=-5tÛ`+60t(m)
⑴ :)5 v(t)dt=:)4 v(t)dt+:$5 v(t)dt
땅에 떨어질 때의 높이는 0`m이므로
-5tÛ`+60t=0, t(t-12)=0 =;2!;´(1+4)´2-;2!;´1´1
∴ t=12(초)
따라서 t=12일 때 속도는 =;2(;

v(12)=-10´12+60=-60(m/s) ⑵ (움직인 거리)=;2!;´(1+4)´2


 답 ⑴ 180`m  ⑵ 200`m  ⑶ -60`m/s
=5

⑶ (움직인 거리)=5+;2!;´1´1

230 =:Á2Á:
점 P의 속도 v(t)를 구하면
( 2t (0ÉtÉ1)
v(t)= { 2 (1ÉtÉ2)
9 -t+4 (2ÉtÉ5)
⑴ 시각 t=5에서 점 P의 위치를 x라 하면

x=:)5 v(t)dt

=:)1 2t dt+:!2 2dt+:@5 (-t+4)dt

=[tÛ`]1)+[2t]2!+[-;2!;tÛ`+4t]5@

=;2(;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67
연습문제·실력

4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xÜ`-2x-4를 인수정리에 의한 조립제법으로 인수분
해하면
1 xÜ`-2x-4=(x-2)(xÛ`+2x+2)
x Ú`2+일 때, x>2이므로 ∴ lim 
xÜ`-2x-4 (x-2)(xÛ`+2x+2)
=lim 
x`Ú 2 x-2 x`Ú 2 x-2
|x-2|=x-2
(x-2)(x-3)   =lim(xÛ`+2x+2)
xÛ`-5x+6 x`Ú 2
∴ lim = lim
x`Ú 2+ |x-2| x`Ú 2+ x-2   =2Û`+2´2+2=10 답 10
= lim (x-3)=-1
x`Ú 2+

x Ú`2-일 때, x<2이므로 5
|x-2|=-(x-2) x=-t로 놓으면 x Ú`-¦일 때 t Ú`¦이므로
xÛ`-5x+6 (x-2)(x-3) x-"ÃxÛ`-1 -t-"ÃtÛ`-1
∴ lim = lim lim =lim
x`Ú 2- |x-2| x`Ú 2- -(x-2) x`Ú -¦ x+1 t`Ú¦ -t+1
= lim (-x+3)=1 t+"ÃtÛ`-1
x`Ú 2-
=lim
t`Ú¦ t-1
xÛ`-5x+6 xÛ`-5x+6
따라서 lim + lim 이므로 1
x`Ú 2+ |x-2| x`Ú 2- |x-2| 1+¾¨1-
tÛ`
xÛ`-5x+6 =lim =2 답 ②
lim  은 존재하지 않는다. t`Ú¦
1-
1
x`Ú 2 |x-2| t
 답 존재하지 않는다.

6
2 3x+2
3+;[@;
lim (x+1)=2, lim xÛ`=1 ① lim =lim =3
x`Ú¦ x-5
1-;[%;
x`Ú¦
x`Ú 1+ x`Ú 1-

② x=-t로 놓으면 x Ú`-¦일 때 t Ú`¦이므로


따라서 lim `f(x)+ lim `f(x)이므로
x`Ú 1+ x`Ú 1-

lim`f(x)는 존재하지 않는다. x+1 -t+1


x`Ú 1 lim =lim
x`Ú -¦ "ÃxÛ`+x-x t`Ú¦ "ÃtÛ`-t+t
 답 존재하지 않는다.
1
-1+
t
=lim =-;2!;
3 t`Ú¦
®É1- +1
1
t
`f(x)
10x-9+ 'Äx+2-2
10xÛ`-9x+f(x) x ③ lim 
lim  =lim  x`Ú 2 x-2
x`Ú 0 2xÛ`+3x-f(x) x`Ú 0 `f(x)
2x+3- ('Äx+2-2)('Äx+2+2)
x =lim 
-9+a
x`Ú 2 (x-2)('Äx+2+2)
  =
3-a x-2
=lim 
x`Ú 2 (x-2)('Äx+2+2)
-9+a
즉, =5에서 -9+a=15-5a
3-a 1
=lim  =;4!;
6a=24   ∴ a=4 답 4 x`Ú 2 'Äx+2+2

68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④ lim ('x-'Äx-1)
x`Ú¦ 9
('x-'Äx-1)('x+'Äx-1) lim `f(x)= lim {-(x-2)Û`+k}=-1+k
=lim
'x+'Äx-1
x`Ú 1+ x`Ú 1+
x`Ú¦
lim `f(x)= lim (3x+5)=8
1 x`Ú 1- x`Ú 1-
=lim =0
x`Ú¦ 'x+'Äx-1 이때 lim`f(x)의 값이 존재하므로
⑤ x Ú`-¦일 때, x<0이므로 |x|=-x
x`Ú 1

lim `f(x)= lim `f(x)


x`Ú 1+ x`Ú 1-
x+3|x|+1 x-3x+1
∴ lim = lim -1+k=8  
x`Ú -¦ 2x-4|x|+1 x`Ú -¦ 2x+4x+1

-2x+1 ∴ k=9
= lim
x`Ú -¦ 6x+1 -(x-2)Û`+9 (x>1)
이때 x=-t로 놓으면 x Ú`-¦일 때 t Ú`¦이
따라서 f(x)=[ 이므로
3x+5 (xÉ1)
므로 f(4)=-(4-2)Û`+9=5 답 5

연습문제
실력
-2x+1 2t+1
lim =lim =-;3!; 답 ⑤
x`Ú -¦ 6x+1 t`Ú¦ -6t+1

U
10 P
7 lim `f(x)=3, lim  g(x)=-3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x Ú`-1-일 때
x`Ú 2+ x`Ú 2+

lim `f(x)g(x)= lim `f(x)´ lim  g(x)


f(x) Ú`-2이므로 x`Ú 2+ x`Ú 2+ x`Ú 2+

a= lim `f(x)=-2 =3´(-3)=-9


x`Ú -1-
lim `f(x)=-3, lim  g(x)=3이므로
x+3=t로 놓으면 x Ú`-2+일 때 t Ú`1+이므로 x`Ú 2- x`Ú 2-

lim `f(x+3)= lim `f(t)=1 답 ④ lim `f(x)g(x)= lim `f(x)´ lim  g(x)
x`Ú -2+ t`Ú 1+ x`Ú 2- x`Ú 2- x`Ú 2-

=(-3)´3=-9
따라서 lim `f(x)g(x)= lim `f(x)g(x)=-9이
8 x`Ú 2+ x`Ú 2-

므로
-1<x<0일 때, [x]=-1
lim`f(x)g(x)=-9 답 -9
0<x<1일 때, [x]=0 x`Ú 2

∴ lim [x]=0, lim [x]=-1,


x`Ú 0+ x`Ú 0-

lim [x+1]=1, lim [x-1]=-2,


x`Ú 0+ x`Ú 0-
11
lim [x-3]=0
x`Ú 3+ x-2=t로 놓으면 x Ú`2일 때 t Ú`0이므로
x `f(x-2) `f(t)
① lim =0 lim  =lim 
x`Ú 0- [x] x`Ú 2 xÛ`-4 t`Ú 0 (t+2)Û`-4

[x] `f(t)
② lim =0   =lim 
x`Ú 0+ x t`Ú 0 t(t+4)

[x-1] `f(t) `1
③ lim
x-1
=2   =lim[ ´ ]
x`Ú 0- t`Ú 0 t t+4
x+1 `f(t) `1
④ lim
[x+1]
=1   =lim  ´lim 
x`Ú 0+ t`Ú 0 t t`Ú 0 t+4

[x-3]
⑤ lim =0 답 ③   =3´;4!;=;4#; 답 ;4#;
x`Ú 3+ x-3

연습문제·실력 UP 69
12 ∴ lim
x`Ú¦
`f(x)+4g(x)
-2f(x)+6g(x)
xÜ`-aÜ` (x-a)(xÛ`+ax+aÛ`) `f(x)+2{3f(x)-h(x)}
lim  =lim  =lim
x`Ú a xÛ`-aÛ` x`Ú a (x-a)(x+a) x`Ú¦ -2f(x)+3{3f(x)-h(x)}
xÛ`+ax+aÛ` 3aÛ` 7f(x)-2h(x)
  =lim  = =lim
x`Ú a x+a 2a
7f(x)-3h(x)
x`Ú¦

3aÛ` h(x)
즉, =6에서 a=4 (∵ a+0) 7-2´
2a `f(x) lim h(x)
 Û x`Ú¦
h(x) x`Ú¦
=lim lim = =0
lim ("ÃxÛ`+ax-"ÃxÛ`+bx) x`Ú¦ h(x) `f(x) lim `f(x)
x`Ú¦ 7-3´ x`Ú¦
`f(x)
("ÃxÛ`+ax-"ÃxÛ`+bx)("ÃxÛ`+ax+"ÃxÛ`+bx)
=lim
"ÃxÛ`+ax+"ÃxÛ`+bx
7-2´0
x`Ú¦ = =1 답 1
7-3´0
ax-bx
=lim
x`Ú¦ "ÃxÛ`+ax+"ÃxÛ`+bx

=lim
a-b
15
®É1+;[A;+®É1+;[B;
x`Ú¦

0<a<2이므로 x Ú`2일 때, xÛ`-a>0


a-b |xÛ`-a|+a-4 (xÛ`-a)+a-4
= ∴ lim  =lim 
2 x`Ú 2 x-2 x`Ú 2 x-2
a-b 4-b xÛ`-4
즉, =3에서 =3 =lim 
2 2 x`Ú 2 x-2

∴ b=-2 (x-2)(x+2)
=lim 
∴ a+b=4+(-2)=2 답 2 x`Ú 2 x-2
=lim(x+2)=4 답 4
x`Ú 2

13 16
lim `f(x-1)에서 x-1=t로 놓으면
x`Ú 0+ ( f½g)(x)=f(g(x))=(2x-1)Û`,
x Ú`0+일 때 t Ú`-1+이므로 (g½f)(x)=g( f(x))=2xÛ`-1이므로
lim `f(x-1)= lim `f(t)=-1 (주어진 식)
x`Ú 0+ t`Ú -1+

lim `f(-x)에서 -x=s로 놓으면 (2x-1)Û`-(2xÛ`-1)


x`Ú -1- =lim 
x`Ú 1 (xÛ`-1)(xÜ`-1)
x Ú`-1-일 때 s Ú`1+이므로 2(x-1)Û`
=lim 
lim `f(-x)= lim `f(s)=-3 x`Ú 1 (x+1)(x-1)(x-1)(xÛ`+x+1)
x`Ú -1- s`Ú 1+

2
∴ lim `f(x-1)+ lim `f(-x)=-1+(-3) =lim  =;3!; 답 ;3!;
x`Ú 0+ x`Ú -1- x`Ú 1 (x+1)(xÛ`+x+1)

=-4 답 ②

17
d(x)=OPÓ
14 ="Ã(3x-1)Û`+(4x+1)Û`
3f(x)-2g(x)=h(x)로 놓으면 ="Ã25xÛ`+2x+2
2g(x)=3f(x)-h(x), lim  h(x)=1 이므로
x`Ú¦

70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lim {d(x)-5x}
x`Ú¦ 20
=lim ("Ã25xÛ`+2x+2-5x) x Ú`-3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
x`Ú¦

("Ã25xÛ`+2x+2-5x)("Ã25xÛ`+2x+2+5x) 로 (분자) Ú``0이다.


=lim
x`Ú¦ "Ã25xÛ`+2x+2+5x 즉, lim ("ÃxÛ`-x-3+ax)=0이므로
x`Ú -3

=lim
2x+2 'Ä9+3-3-3a=0
x`Ú¦ "Ã25xÛ`+2x+2+5x
3-3a=0   ∴ a=1
2
2+
x 2 "ÃxÛ`-x-3+ax
=lim = =;5!; 답 ;5!; ∴ b= lim
x`Ú -3 x+3
5+5
¾¨25+ + +5
x`Ú¦ 2 2
x xÛ` "ÃxÛ`-x-3+x
= lim
x`Ú -3 x+3
("ÃxÛ`-x-3+x)("ÃxÛ`-x-3-x)
18 = lim
(x+3)("ÃxÛ`-x-3-x)

연습문제
실력
x`Ú -3

=k에서 x Ú`2일 때 (분모) Ú`0


xÛ`-ax+2 -(x+3)
lim  = lim
x`Ú 2 x-2 x`Ú -3 (x+3)("ÃxÛ`-x-3-x)
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0이다.
U
-1 P
= lim =-;6!;
즉, lim(xÛ`-ax+2)=0이므로
x`Ú 2
x`Ú -3 "ÃxÛ`-x-3-x
4-2a+2=0   ∴ a=3 ∴ a+b=;6%; 답 ;6%;
xÛ`-3x+2 (x-1)(x-2)
∴ k=lim  =lim 
x`Ú 2 x-2 x`Ú 2 x-2
=lim (x-1)=1
x`Ú 2

∴ ak=3´1=3 답 3
21
=9에서 x Ú`1일 때 (분모) Ú`0이
`f(x)+1
lim 
x`Ú 1 x-1
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0이다.
19
즉, lim{`f(x)+1}=f(1)+1=0이므로
x Ú`-2일 때 (분자) Ú`0이고 0이 아닌 극한값이 x`Ú 1

존재하므로 (분모) Ú`0이다. f(1)=-1


즉, lim ('Äx+a-b)=0이므로 b='Äa-2 { f(x)}Û`+f(x)
x`Ú -2 ∴ lim 
x`Ú 1 xÜ`-1
x+2
∴ lim `f(x){ f(x)+1}
x`Ú -2 'Äx+a-b =lim 
x`Ú 1 (x-1)(xÛ`+x+1)

x+2
= lim `f(x)+1 `f(x)
x`Ú -2 'Äx+a-'Äa-2 =lim 
x`Ú 1 x-1
´lim 
x`Ú 1 xÛ`+x+1

(x+2)('Äx+a+'Äa-2)
= lim -1
x`Ú -2 ('Äx+a-'Äa-2 )('Äx+a+'Äa-2 ) =9´ =-3 답 -3
3
(x+2)('Äx+a+'Äa-2)
= lim
x`Ú -2 x+2
= lim ('Äx+a+'Äa-2)
x`Ú -2
22
=2'Äa-2=6 `f(x)-3xÛ`
lim   =a에서 f(x)는 이차항의 계수가
따라서 a=11, b=3이므로 x`Ú¦ x
a+b=14 답 14 3, 일차항의 계수가 a인 이차함수임을 알 수 있다.

연습문제·실력 UP 71
=2에서 x Ú`0일 때 (분모) Ú`0이
`f(x) 즉, lim(xÛ`+ax+a)=0에서
또, lim  x`Ú 1
x`Ú 0 x
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0이다. 2a+1=0   ∴ a=-;2!;
즉, lim`f(x)=0이므로 f(0)=0 xÛ`+ax+a
x`Ú 0
∴ b=lim 
x`Ú 1 (x-1)(x+1)
f(x)=3xÛ`+ax로 놓으면
`f(x) 3xÛ`+ax xÛ`-;2!;x-;2!;
lim  =lim  =lim 
x`Ú 0 x x`Ú 0 x x`Ú 1 (x-1)(x+1)

  =lim(3x+a)=2 2xÛ`-x-1
x`Ú 0
=lim 
x`Ú 1 2(x-1)(x+1)
∴ a=2 답 2
(2x+1)(x-1)
=lim 
x`Ú 1 2(x-1)(x+1)

2x+1
=lim 
23 x`Ú 1 2(x+1)

1+5x-3xÛ` 2-x =;4#;


lim =-1, lim =-1이므로
x`Ú¦ 3xÛ` x`Ú¦ x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 b-a=;4#;-{-;2!;}=;4%; 답 ;4%;

lim `f(x)=-1 답 -1
x`Ú¦

26
24 lim
`f(x)
=1에서 f(x)는 이차항의 계수가
x`Ú¦ 2xÛ`-x+3
`f(x) xÛ`+ax+b
lim  =lim  =4에서 2인 이차함수임을 알 수 있다.
x`Ú 0 x x`Ú 0 x
x Ú`0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또, lim
`f(x)
=-1에서 x Ú-2일 때
(분자) Ú`0이다.
x`Ú -2 xÛ`+3x+2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0
즉, lim(xÛ`+ax+b)=0이므로 b=0
x`Ú 0
이다.
xÛ`+ax
∴ lim  =lim(x+a) 즉, lim `f(x)=0이므로 f(-2)=0
x`Ú 0 x x`Ú 0 x`Ú -2

=a=4 f(x)=2(x+2)(x+a)`(a는 상수)로 놓으면


따라서 f(x)=xÛ`+4x=(x+2)Û`-4이므로 `f(x) 2(x+2)(x+a)
lim = lim
함수 f(x)의 최솟값은 x=-2일 때 -4이다. x`Ú -2 xÛ`+3x+2 x`Ú -2 (x+1)(x+2)
답 -4
2(x+a)
= lim
x`Ú -2 x+1
2(-2+a)
= =-1
-2+1

25 ∴ a=;2%;

{
1 xÛ` xÛ`+ax+a
lim 
x`Ú 1 x-1 x+1
+a}=lim 
x`Ú 1 (x-1)(x+1)
=b 따라서 f(x)=2(x+2){x+;2%;}=(x+2)(2x+5)

x Ú`1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이므로


(분자) Ú`0이다. f(1)=3´7=21 답 21

72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27 lim 
`f(x)
x`Ú 2 xÛ`+x-6
=lim 
a(x-2)
x`Ú 2 (x-2)(x+3)

=-6에서 x Ú`1일 때 (분모) Ú`0이고


`f(x) a
lim    =lim 
x`Ú 1 x-1
x`Ú 2 x+3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0이다.


  =;5A;=p
즉, lim`f(x)=0이므로 f(1)=0
x`Ú 1
∴ a=5p
=2에서 x Ú`-1일 때 (분모) Ú`0이
`f(x)
lim   `f(x) 5p(x-2)
x`Ú -1 x+1 lim = lim
x`Ú ¦ 2x-"ÃxÛ`+3 x`Ú ¦ 2x-"ÃxÛ`+3
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0이다.
x-2
즉, lim `f(x)=0이므로 f(-1)=0 =5p lim
x`Ú -1
x`Ú ¦ 2x-"ÃxÛ`+3
f(x)=(x-1)(x+1)g(x)로 놓으면 1-;[@;
`f(x) (x-1)(x+1)g(x) =5p lim
lim  =lim  x`Ú ¦ 3

연습문제
실력
x`Ú 1 x-1 x`Ú 1 x-1 2-¾¨1+
xÛ`
  =lim(x+1)g(x)=2g(1)
x`Ú 1 =5p=2
U
2g(1)=-6에서 g(1)=-3 yy`㉠
따라서 p=;5@;, a=2이므로 P
`f(x) (x-1)(x+1)g(x)
lim = lim
x`Ú -1 x+1 x`Ú -1 x+1 f(x)=2(x-2)=2x-4
= lim (x-1)g(x)=-2g(-1)
x`Ú -1 답 f(x)=2x-4, p=;5@;

-2g(-1)=2에서 g(-1)=-1 yy`㉡


㉠, ㉡을 만족시키는 차수가 가장 낮은 다항함수는 일
차함수이므로 g(x)=ax+b`(a, b는 상수)로 놓으면
g(1)=a+b=-3 yy`㉢ 29
g(-1)=-a+b=-1 yy`㉣ 주어진 부등식의 각 변에
1
 을 곱하면
x-1
㉢, ㉣을 연립하여 풀면
Ú x>1일 때
a=-1, b=-2
2xÜ`-6xÛ`+4x `f(x) xÝ`-2xÜ`+1
∴ g(x)=-x-2 É É
x-1 x-1 x-1
∴ f(x)=-(x-1)(x+1)(x+2) Û x<1일 때
답 f(x)=-(x-1)(x+1)(x+2)
xÝ`-2xÜ`+1 `f(x) 2xÜ`-6xÛ`+4x
É É
x-1 x-1 x-1
그런데
28 2xÜ`-6xÛ`+4x 2x(x-1)(x-2)
lim  =lim 
`f(x) x`Ú 1 x-1 x`Ú 1 x-1
lim =2에서 f(x)는 일차함수임을 알
2x-"ÃxÛ`+3
x`Ú ¦
  =lim 2x(x-2)=-2
x`Ú 1
수 있다.
xÝ`-2xÜ`+1 (x-1)(xÜ`-xÛ`-x-1)
lim  =lim 
=p에서 x Ú`2일 때 (분모) Ú`0
`f(x) x-1 x-1
또, lim  x`Ú 1 x`Ú 1
x`Ú 2 xÛ`+x-6
  =lim(xÜ`-xÛ`-x-1)=-2
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0이다. x`Ú 1

즉, lim`f(x)=0이므로 f(2)=0 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x`Ú 2
`f(x)
f(x)=a(x-2)`(a는 상수)로 놓으면 lim  =-2 답 -2
x`Ú 1 x-1

연습문제·실력 UP 73
30 이때

x=-t로 놓으면 x Ú`-¦일 때 t Ú`¦이므로 {2+


1
}{a- }
2
(2xÛ`+1)(axÛ`-2) xÛ` xÛ`
lim ("ÃxÛ`+3ax+2-"ÃaxÛ`+ax+1) lim =lim
x`Ú -¦ x`Ú¦ xÝ`+2 x`Ú¦ 2
1+
=lim("ÃtÛ`-3at+2-"ÃatÛ`-at+1) xÝ`
t`Ú¦
=2a
tÛ`-3at+2-atÛ`+at-1
=lim  
{2+ }{a+ }
t`Ú¦ "ÃtÛ`-3at+2+"ÃatÛ`-at+1
1 2
(2xÛ`+1)(axÛ`+2) xÛ` xÛ`
lim =lim
(1-a)tÛ`-2at+1 x`Ú¦ xÝ`+2 x`Ú¦ 2
=lim  1+
t`Ú¦ "ÃtÛ`-3at+2+"ÃatÛ`-at+1 xÝ`
1 =2a
(1-a)t-2a+
t
=lim   =b 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¾¨1-
t`Ú¦ 3a 2 a 1
+ +¾¨a- + (2xÛ`+1)f(x)
t tÛ` t tÛ` lim =2a=4
x`Ú¦ xÝ`+2
1-a=0일 때, 극한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a=1
∴ a=2
-2
∴ b= =-1 즉, 2xÛ`-2Éf(x)É2xÛ`+2에서 x+0일 때
1+1
∴ a+b=1+(-1)=0 답 0 2 `f(x) 2
2- É É2+
xÛ` xÛ` xÛ`

그런데 lim {2- }=2, lim {2+ }=2이므로


2 2
31 x`Ú¦ xÛ` x`Ú¦ xÛ`
㈎에서 f(x)는 이차 이하의 함수임을 알 수 있다.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에서 x Ú`1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 `f(x)
lim =2 답 2
므로 (분자) Ú`0이다. xÛ`
x`Ú¦

즉, lim`f(x)=0이므로 f(1)=0
x`Ú 1
33
f(x)=(ax+b)(x-1)`(a, b는 상수)로 놓으면
점 P의 좌표는 {t,
2
`f(x) (ax+b)(x-1) +1}이므로
lim  =lim  t
x`Ú 1 x-1 x`Ú 1 x-1 2
Q(t, 0), R{0, +1}
  =lim(ax+b) t
x`Ú 1
따라서 두 점 Q, R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 m(t)는
  =a+b=1 yy`㉠
㈐에서 f(2)=4이므로 2a+b=4 yy`㉡ ;t@;+1-0
t+2
m(t)= =-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2 0-t tÛ`
따라서 f(x)=(3x-2)(x-1)이므로 t+2 t+2
∴ lim   = lim  
t`Ú -2 m(t) t`Ú -2 t+2
f(3)=7´2=14 답 14 -
tÛ`
= lim (-tÛ`)
t`Ú -2

32 =-(-2)Û`=-4 답 -4
2xÛ`+1>0, xÝ`+2>0이므로 ㈎에서
(2xÛ`+1)(axÛ`-2) (2xÛ`+1)f(x)
xÝ`+2
É
xÝ`+2
34
(2xÛ`+1)(axÛ`+2)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xÛ`+yÛ`=rÛ`
 É
xÝ`+2 점 P(x, y)는 원과 곡선 y='x 위에 있으므로

74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xÛ`+yÛ`=rÛ`, y='x를 연립하여 r를 구하면 ④ f(0)=1이고 lim`f(x)=lim(xÛ`+1)=1
x`Ú0 x`Ú0
xÛ`+x=rÛ`   ∴ r="ÃxÛ`+x (∵ r>0) 따라서 lim`f(x)=f(0)이므로 x=0에서 연속이다.
x`Ú0
∴ QHÓ=r-x="ÃxÛ`+x-x
⑤ f(0)=3
Û
또한, PHÓ `=yÛ `=('x)Û`=x이므로
xÛ`-3x
PHÓ Û` x lim`f(x)=lim 
x`Ú0 xÛ`+x
lim = lim x`Ú0
x`Ú 0+ QHÓ x`Ú 0+ "ÃxÛ`+x-x
x(x-3)
=lim 
x("ÃxÛ`+x+x) x`Ú0 x(x+1)
= lim
x`Ú 0+ ("ÃxÛ`+x-x)("ÃxÛ`+x+x)
x-3
=lim  =-3
x`Ú0 x+1
= lim ("ÃxÛ`+x+x)=0 답 0
x`Ú 0+
따라서 lim `f(x)+f(0)이므로 x=0에서 불연속
x`Ú0

이다. 답 ③, ⑤
35

연습문제
실력
오른쪽 그림에서 Z

f(a)=c, lim `f(x)=c, D


ZG Y

37 U
x`Úa+
C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려면 P
lim `f(x)=b x=-1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x`Úa-

0 B Y
이므로 lim`f(x)의 값이 존재 lim `f(x)= lim `f(x)=f(-1)
x`Úa x`Ú-1+ x`Ú-1-

하지 않는다. 이때 lim `f(x)= lim (xÜ`+bx+2)=1-b,


x`Ú-1+ x`Ú-1+
따라서 함수 f(x)는 x=a에서 불연속이다. 답 ④
lim `f(x)= lim (-xÛ`+x+a)=a-2이므로
x`Ú-1- x`Ú-1-

1-b=a-2=2
36 ∴ a=4, b=-1
x=0에서 연속이면 lim`f(x)=f(0) ∴ ab=-4 답 -4
x`Ú0

① f(0)=0이고 lim`f(x)=lim`x|x|=0
x`Ú0 x`Ú0

‌따라서 lim`f(x)=f(0)이므로 x=0에서 연속이다.


x`Ú0
38
함수 f(x)가 x=0에서 연속이려면 lim`f(x)=f(0)
② f(0)=0이고 x`Ú0

lim  [x]=0, lim  [x]=-1이므로 이어야 하므로


'Ä1+x-'Ä1-x
x`Ú0+ x`Ú0-

lim `f(x)= lim  x[x]=0, lim`f(x)=lim 


x`Ú0+ x`Ú0+ x`Ú0 x`Ú0 x
lim `f(x)= lim  x[x]=0 2x
x`Ú0- x`Ú0- =lim 
x`Ú0 x('Ä1+x+'Ä1-x`)
따라서 lim`f(x)=f(0)이므로 x=0에서 연속이다.
x`Ú0 2
=lim  =1
|x| x`Ú0 'Ä1+x+'Ä1-x
③ lim `f(x)= lim   = lim `;[{;=1
x`Ú0+ x`Ú0+ x x`Ú0+
∴ a=1 답 1
|x| -x
lim `f(x)= lim   = lim   =-1
x`Ú0- x`Ú0- x x`Ú0- x

∴ lim `f(x)+ lim `f(x)


x`Ú0+ x`Ú0- 39
따라서 lim`f(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Ú0

x=0에서 불연속이다. lim`f(x)=f(1)


x`Ú1

연습문제·실력 UP 75
lim 
x`Ú1
(xÜ`-1)f(x)
x-1
=lim 
x`Ú1
(x-1)(xÛ`+x+1)f(x)
x-1 42
=lim(xÛ`+x+1)f(x)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x`Ú1
lim`f(x)=f(1)이어야 하므로
=lim(xÛ`+x+1)´lim`f(x) x`Ú1
x`Ú1 x`Ú1
xÜ`+ax+b
=3 f(1)=12 lim  =c yy`㉠
x`Ú1 (x-1)Û`
∴ f(1)=4 답 4 x Ú`1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0이다.
40 즉, lim(xÜ`+ax+b)=0이므로
x`Ú1

ㄱ. lim `f(x)=1>0 (참) 1+a+b=0   ∴ b=-a-1 yy`㉡


x`Ú-1-

ㄴ. -x=t로 놓으면 x Ú`1-일 때 t Ú`-1+이므로 ㉡을 ㉠에 대입하면


lim `f(-x)= lim `f(t)=-2<0 (참) xÜ`+ax-a-1
lim 
x`Ú1- t`Ú-1+ x`Ú1 (x-1)Û`
ㄷ. 열린구간 (-2, 2)에서  Z
(x-1)(xÛ`+x+1+a)

Z]G Y
] =lim 
‌함수 y=|`f(x)|의 그 x`Ú1 (x-1)Û`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xÛ`+x+1+a
=lim  =c
x`Ú1 x-1
고 x=-1에서 그래프
여기서 다시 x Ú`1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0   Y
가 끊어져 있으므로 불연
존재하므로 (분자) Ú`0이다.
속인 x의 값의 개수는 1이다. (참)
즉, lim(xÛ`+x+1+a)=0이므로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 ㄱ, ㄴ, ㄷ x`Ú1

1+1+1+a=0   ∴ a=-3

41 a=-3을 ㉡에 대입하면 b=2


xÜ`-3x+2
ㄱ. g(x)=t로 놓으면 x Ú`1-일 때 t Ú`1-이므로 ∴ lim`f(x)=lim 
x`Ú1 x`Ú1 (x-1)Û`
lim `f(g(x))= lim `f(t)=1 (참) xÛ`+x-2
x`Ú1- t`Ú1- =lim 
x`Ú1 x-1
ㄴ. lim `f(x)g(x)= lim `f(x)´ lim `g(x) (x-1)(x+2)
x`Ú1+ x`Ú1+ x`Ú1+
=lim 
=(-1)´0=0 x`Ú1 x-1
=lim(x+2)
lim `f(x)g(x)= lim `f(x)´ lim `g(x) x`Ú1
x`Ú1- x`Ú1- x`Ú1-
=3=c
=1´1=1
∴ a+b+c=-3+2+3=2 답 2
따라서 lim `f(x)g(x)+ lim `f(x)g(x)이므로
x`Ú1+ x`Ú1-

함수 f(x)g(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참)


ㄷ. ‌f(x)=t로 놓으면 x Ú`0+일 때 t Ú`0+이므로
43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lim `g(`f(x))= lim `g(t)=0
x`Ú0+ t`Ú0+
lim`f(x)=f(1)이어야 하므로
x Ú`0-일 때 f(x)=1이므로
x`Ú1

|x|-1 |x|-1
lim `g(`f(x))=g(1)=1 lim  =lim 
x`Ú0- x`Ú1 xÛ`-1 x`Ú1 (|x|-1)(|x|+1)

따라서 lim `g(`f(x))+ lim `g(`f(x))이므로 1


x`Ú0+ x`Ú0-   =lim  =;2!;
x`Ú1 |x|+1
함수 g(`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거짓)
∴ a=;2!; 답 ;2!;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 ㄱ, ㄴ

76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ax-b
44 lim 
x`Ú1 x-1
=2 ……`㉠
함수 f(x)가 열린구간 (-¦, ¦)에서 연속이려면 x Ú`1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x=-1, x=2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분자) Ú`0이다.
Ú x=-1에서 연속이려면 즉, lim('¶ax-b)=0이므로
x`Ú1
lim `f(x)= lim `f(x)
x`Ú-1+ x`Ú-1- 'a-b=0
lim (xÛ`-2x+b)= lim (ax+1)
x`Ú-1+ x`Ú-1- ∴ b='a ……`㉡
1+2+b=-a+1 ㉡을 ㉠에 대입하면
∴ a+b=-2 ……`㉠ '¶ax-'a 'a('x-1)
lim  =lim 
Û x=2에서 연속이려면 x`Ú1 x-1 x`Ú1 x-1
lim `f(x)= lim `f(x) 'a('x-1)('x+1)
x`Ú2+ x`Ú2-   =lim 
x`Ú1 (x-1)('x+1)

연습문제
실력
lim (ax+1)= lim (xÛ`-2x+b)
'a(x-1)

x`Ú2+ x`Ú2-
  =lim 
x`Ú1 (x-1)('x+1)
2a+1=4-4+b
'a 'a
U
∴ 2a-b=-1 …… ㉡   =lim  = P
x`Ú1 'x+1 2
㉠, ㉡을 연립하여 풀면
'a
a=-1, b=-1 =2에서 'a=4   ∴ a=16
2
∴ 2a+b=2´(-1)-1=-3 답 -3 a=16을 ㉡에 대입하면 b=4
다른풀이 함수 f(x)가 열린구간 (-¦, ¦)에서 연 ∴ a+b=16+4=20 답 20
속이기 위해서는 그래프가 끊어져 있지 않고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p(x)=ax+1, q(x)=xÛ`-2x+b라 하면
x=-1, x=2일 때, R Y
Y™ Y C
46
axÛ`-bx
p(x)와 q(x)의 함숫값이 x+-2일 때, f(x)=
x+2
각각 같아야 그래프는 연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이므로
결된다. Q Y
BY  x=-2에서도 연속이다.
 
p(-1)=q(-1)에서 axÛ`-bx
∴ f(-2)= lim `f(x)= lim  
-a+1=1+2+b x`Ú-2 x`Ú-2 x+2
∴ a+b=-2 ……`㉠ x Ú`-2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p(2)=q(2)에서 2a+1=4-4+b (분자) Ú`0이다.
∴ 2a-b=-1 ……`㉡ 즉, lim (axÛ`-bx)=0이므로
x`Ú-2

㉠, ㉡을 연립하여 풀면 4a+2b=0   ∴ b=-2a


a=-1, b=-1 axÛ`+2ax
∴ f(-2)= lim  
x`Ú-2 x+2
∴ 2a+b=-3
ax(x+2)
= lim  
x`Ú-2 x+2
45 = lim `ax
x`Ú-2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2a=2


lim`f(x)=f(1)이어야 하므로 따라서 a=-1, b=2이므로 a+b=1 답 1
x`Ú1

연습문제·실력 UP 77
47 50
0<x<2에서 0<xÛ`<4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Z
ZG Y


Ú 0<xÛ`<1일 때, [xÛ`]=0 f(x)=
4x
=-
4
+4
x+1 x+1 
Û 1ÉxÛ`<2일 때, [xÛ`]=1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Ü 2ÉxÛ`<3일 때, [xÛ`]=2
따라서 f(x)는 x=3에서 최댓  0   Y
Ý 3ÉxÛ`<4일 때, [xÛ`]=3
값 M=3, x=1에서 최솟값
따라서 함수 f(x)=[xÛ`] Z
Z<Y™ >

m=2를 가지므로
이 불연속인 x의 값은
M+m=5 답 5
1, '2, '3의 3개이다. 

답 3
0     Y™

Y Y 51
f(x)=xÜ`+x-9로 놓으면
① f(0)f(1)=(-9)´(-7)>0
48 ② f(1)f(2)=(-7)´1<0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2 ③ f(2)f(3)=1´21>0
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lim`f(x)의 값이 존재한다. ④ f(3)f(4)=21´59>0
x`Ú2

즉, lim `f(x)= lim `f(x)이므로 ⑤ f(4)f(5)=59´121>0


x`Ú2+ x`Ú2-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
lim (xÛ`+ax+b)= lim (2x-4)
x`Ú2+ x`Ú2-
린구간 (1, 2)에서 실근 a를 갖는다. 답 ②
∴ 4+2a+b=0 yy`㉠
또, f(x)=f(x+4)이므로 f(0)=f(4)
∴ -4=16+4a+b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8, b=12
52
g(x)=f(x)-x로 놓으면 함수 g(x)는 모든 실수
2x-4 (0Éx<2)
따라서 f(x)=[  이므로 x에서 연속이므로 닫힌구간 [-2, 2]에서 연속이다.
xÛ`-8x+12 (2ÉxÉ4)
g(-2)=-1-(-2)=1
f(11)‌=f(7)=f(3)
g(-1)=-2-(-1)=-1
=3Û`-8´3+12=-3 답 -3
g(0)=1-0=1
g(1)=-2-1=-3
49 g(2)=-;2!;-2=-;2%;
f(x) xÛ`
h(x)= = 이므로 g(-2)g(-1)<0, g(-1)g(0)<0,
f(x)-g(x) xÛ`-2x-3
xÛ` g(0)g(1)<0, g(1)g(2)>0
=
(x+1)(x-3)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g(x)=0은 열린구간
따라서 (x+1)(x-3)+0, 즉 x+-1, x+3인 모 (-2, -1), (-1, 0), (0, 1)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
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열린구간 (-¦, -1), 의 실근을 갖는다.
(-1, 3), (3, ¦)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방정식 f(x)=x는 열린구간 (-2, 2)에서 적
 답 (-¦, -1), (-1, 3), (3, ¦) 어도 3개의 실근을 갖는다. 답 3개

78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53 즉, lim`f(x)=0이므로 f(2)=0
x`Ú2
……`㉡

함수 f(x)g(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려면 x=1 ㉠, ㉡에서 f(x)=(x-1)(x-2)g(x)`(g(x)는 다


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항식)로 놓을 수 있다.
함수 f(x)g(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f(x) (x-1)(x-2)g(x)
lim  =lim 
x`Ú1 x-1 x`Ú1 x-1
lim `f(x)g(x)= lim `f(x)g(x)=f(1)g(1)
x`Ú1+ x`Ú1-
  =lim(x-2)g(x)
x`Ú1
이어야 한다.
lim `f(x)g(x)=3´(1+k)=3+3k   =-g(1)=;2!;
x`Ú1+

lim `f(x)g(x)=1´(1+k)=1+k
x`Ú1- ∴ g(1)=-;2!; ……`㉢
f(1)g(1)=3´(1+k)=3+3k f(x) (x-1)(x-2)g(x)
lim  =lim 
즉, 3+3k=1+k이므로   x`Ú2 x-2 x`Ú 2 x-2
  =lim(x-1)g(x)

연습문제
실력
k=-1 답 -1 x`Ú2

  =g(2)=;2!; ……`㉣
54 U
P
㉢, ㉣에서 g(1)g(2)=-;4!;<0
=;2!;에서 x Ú`1일 때 (분모) Ú`0이고 극
f(x)
lim 
x`Ú1 x-1
따라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g(x)=0은 열
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0이다.
린구간 (1, 2)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즉, lim`f(x)=0이므로 f(1)=0 ……`㉠
x`Ú1
즉, 방정식 f(x)=0은 닫힌구간 [1, 2]에서 적어도`
=;2!;에서 x Ú`2일 때 (분모) Ú`0이
f(x)
또, lim  3개의 실근을 갖는다. 답 3개
x`Ú2 x-2

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0이다.

연습문제·실력 UP 79
57
Ⅱ. 미분
(주어진 식)
{ f(h)-f(0)}-{ f(-2h)-f(0)}
=lim 
55 h`Ú 0 2h
`f(h)-f(0)
(평균변화율)=
`f(a)-f(1) =lim  ´;2!;
a-1 h`Ú 0 h
(aÜ`-2a+5)-(1-2+5) `f(-2h)-f(0)
=  -lim  ´(-1)
a-1 h`Ú 0 -2h

=
aÜ`-2a+1 =;2!; f '(0)+f '(0)=;2#; f '(0)
a-1
(a-1)(aÛ`+a-1) 즉, ;2#; f '(0)=3에서 f '(0)=2 답 2
=
a-1
=aÛ`+a-1
즉, aÛ`+a-1=3에서 aÛ`+a-4=0 58
{ f(x)}Û`-1
이것은 a에 대한 이차방정식이므로 모든 a의 값의 곱 lim 
x`Ú 1 xÛ`-1
은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4이다. 답 -4
`f(x)-1 `f(x)+1
=lim[ ´ ]
x`Ú 1 x-1 x+1
`f(x)-1 `f(x)+1
=lim  ´lim 
x`Ú 1 x-1 x`Ú 1 x+1
56 `f(1)+1
`f(1-2h)-f(1) =f '(1)´
2
① (주어진 식)=lim  ´(-2)
h`Ú 0 -2h
1+1
=2´ =2 답 2
=-2f '(1) 2
`f(1+5h)-f(1)
② (주어진 식)=lim  ´5
5h
59
h`Ú 0

`f(1+3h)-f(1)
 -lim  ´3 `f('x)-f(1)
h`Ú 0 3h lim 
x`Ú 1 xÛ`-1
=5f '(1)-3f '(1)
`f('x)-f(1)
=2f '(1) =lim 
x`Ú 1 (x-1)(x+1)

`f(1+4h)-f(1) `f('x)-f(1) 1 1
③ (주어진 식)=lim  ´2 =lim[ ´ ´ ]
4h 'x-1 'x+1 x+1
h`Ú 0
x`Ú 1

=2f '(1)
=f '(1)´;2!;´;2!;=;4!; 답 ;4!;
`f(x)-f(1) 'x+1
④ (주어진 식)=lim[ ´ ]
x`Ú 1 'x-1 'x+1

=lim[
x`Ú 1
`f(x)-f(1)
x-1
´('x+1)] 60
`f(0+h)-f(0)
=2f '(1) f '(0)=lim 
h`Ú 0 h
`f(xÛ`)-f(1)
⑤ (주어진 식)=lim[ ´(x+1)] { f(0)+f(h)}-f(0)
x`Ú 1 xÛ`-1 =lim 
h`Ú 0 h
=2f '(1)
`f(h)
답 ① =lim  =-2
h`Ú 0 h

80 Ⅱ. 미분
`f(1+h)-f(1) ④ f(x)=x|x| Z ZG Y

∴ f '(1)=lim 
h`Ú 0 h
xÛ`` (x¾0)
{ f(1)+f(h)+2h}-f(1) =[ 
=lim  -xÛ``(x<0)
h`Ú 0 h 0 Y
따라서 모든 점에서 연속이
`f(h)
=lim  +2 고 미분가능하다.
h`Ú 0 h
=f '(0)+2 ⑤ x=0에서 우극한과 좌극한을 구하면
=-2+2=0 답 0 lim `f(x)= lim [x+1]=1
x`Ú 0+ x`Ú 0+

lim `f(x)= lim [x+1]=0


61
x`Ú 0- x`Ú 0-

∴ lim `f(x)+ lim `f(x)


x`Ú 0+ x`Ú 0-
① Ú f(0)=0이고 lim`f(x)=lim|x|Û`=0이므로
x`Ú 0 x`Ú 0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불연속이므로
lim`f(x)=f(0)
x`Ú 0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연습문제
실력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다.  답 ③
Û f(x)=|x|Û`=xÛ`이므로 U
`f(x)-f(0) P
f '(0)=lim 
x`Ú 0 x-0 62
xÛ` ① 점 (2, f(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0보다 크므
=lim 
x`Ú 0 x
로 `f '(2)>0이다.
=lim x=0 ② lim `f(x)= lim `f(x)이므로 lim `f(x)의 값이
x`Ú 0
x`Ú 3+ x`Ú 3- x`Ú 3
Ú, Û에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고 미분 존재한다.
가능하다. ③ x=3, x=5에서 불연속이다.
② f(x)=xÛ`-1은 모든 점에서 연속이고 미분가능하 ④ 불연속인 점과 뾰족점에서는 미분가능하지 않으므
다. 로 x=1, x=3, x=5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③ Ú f(0)=0이고 ⑤ f '(x)=0인 x의 값은 열린구간 (-1, 1)에서 1개
lim`f(x)=lim(|x|-x)=0이므로 존재한다.
x`Ú 0 x`Ú 0

lim`f(x)=f(0) 답 ⑤
x`Ú 0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다.

Û lim
x`Ú 0+
`f(x)-f(0)
x-0
= lim
x`Ú 0+
|x|-x
x
63
f '(a)=2이므로
x-x
= lim =0 `f(a+2h)-f(a) g(h)
x (주어진 식)=lim[ ]
x`Ú 0+
´2-
h`Ú 0 2h h
`f(x)-f(0) |x|-x
lim = lim g(h)
x`Ú 0- x-0 x`Ú 0- x =2f '(a)-lim 
h`Ú 0 h
-x-x
= lim =-2 g(h)
x`Ú 0- x =2´2-lim 
h`Ú 0 h
따라서 f '(0)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g(h)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4-lim  =0
h`Ú 0 h
Ú, Û에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지만 미
g(h)
분가능하지 않다. ∴ lim  =4 답 4
h`Ú 0 h

연습문제·실력 UP 81
64 67
`f(1+h)-f(1)
ㄱ. lim 
⑴ (주어진 식)
=0이면 함수 f(x)의
h`Ú 0 h xÛ`f(x)-f(x)+f(x)-1
=lim 
x=1에서의 미분계수 f '(1)이 존재하므로 함수 x`Ú 1 xÛ`-1
f(x)는 x=1에서 연속이다. (참) (xÛ`-1)f(x) `f(x)-f(1)
=lim[ ]
1
+ ´
`f(1+h)-f(1-h) x`Ú 1 xÛ`-1 x-1 x+1
ㄴ. lim 
h`Ú 0 2h =f(1)+;2!;f '(1)
`f(1+h)-f(1)+f(1)-f(1-h)
=;2!; lim 
h`Ú 0 h =1+;2#;=;2%;
`f(1+h)-f(1) `f(1-h)-f(1)
=;2!; lim[ + ] ⑵ (주어진 식)
h`Ú 0 h -h
xÜ`f(1)-f(1)+f(1)-f(xÛ`)
`f(1+h)-f(1) =lim 
=;2!; lim  x`Ú 1 x-1
h`Ú 0 h
(xÜ`-1)f(1) `f(xÛ`)-f(1)
`f(1+(-h))-f(1) =lim[ - ´(x+1)]
 +;2!; lim  x`Ú 1 x-1 xÛ`-1
h`Ú 0 -h
=0 (참) =lim
x`Ú 1
[(xÛ`+x+1)f(1)
ㄷ. f(x)=|x-1|일 때,
`f(xÛ`)-f(1)
`f(1+h)-f(1-h)  - ´(x+1)]
lim  xÛ`-1
h`Ú 0 2h
=3f(1)-2f '(1)
|1+h-1|-|1-h-1|
=lim  =3´1-2´3=-3
h`Ú 0 2h
|h|-|-h| 답 ⑴ ;2%;  ⑵ -3
=lim  =0 (참)
h`Ú 0 2h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답 ⑤
68
65 f(1)=0이므로
{ f(x)}Û`-2f(x)
f(x+2)-f(2)=xÜ`+6xÛ`+14x이므로 lim 
x`Ú 1 1-x
`f(2+x)-f(2)
f '(2)=lim  `f(x){2-f(x)}
x`Ú 0 x =lim 
x`Ú 1 x-1
=lim 
xÜ`+6xÛ`+14x
`f(x)-f(1)
x`Ú 0 x =lim  ´lim{2-f(x)}
x`Ú 1 x-1 x`Ú 1
=lim (xÛ`+6x+14)=14 답 14
x`Ú 0 =f '(1)´{2-f(1)}=2f '(1)
즉, 2f '(1)=10이므로 f '(1)=5 답 5
66
=a에서 x Ú 3일 때 (분모) Ú 0이고 극
`f(x)
lim 
x`Ú 3 x-3 69
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다.
=5에서 x Ú 2일 때 (분모) Ú 0
`f(x+1)-8
lim 
즉, lim`f(x)=0이므로 f(3)=0 x`Ú 2 xÛ`-4
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다.
x`Ú 3

`f(x)-f(3)
따라서 lim  =a이므로 즉, lim{ f(x+1)-8}=0이므로 f(3)=8
x`Ú 3 x-3 x`Ú 2

f '(3)=a 답 a x+1=t라 하면 x Ú 2일 때 t Ú 3이므로

82 Ⅱ. 미분
`f(x+1)-8 `f(t)-f(3)
lim  =lim   Û f(3)=8 따라서 f '(1)=30이므로
x`Ú 2 xÛ`-4 t`Ú 3 tÛ`-2t-3
f '(0)=f '(1)-2=28 답 28
`f(t)-f(3)
  =lim  ´lim 
1
t`Ú 3 t-3 t`Ú 3 t+1

  =;4!; f '(3)=5 71
`f(x)-f(0)
∴ f '(3)=20 ㄱ. lim = lim ;[{;=1
x`Ú 0+ x-0 x`Ú 0+
∴ f(3)+f '(3)=8+20=28 답 28
`f(x)-f(0) -x
lim = lim =-1
x`Ú 0- x-0 x`Ú 0- x

즉, f '(0)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미분가능하지


70 않다.
x=0, y=0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g(x)-g(0) (x+1)Û`-1
ㄴ. lim = lim
x`Ú 0+ x-0 x`Ú 0+ x

연습문제
실력
f(0)=f(0)+f(0)-1   ∴ f(0)=1
xÛ`+2x
`f(h)-f(0) `f(h)-1 = lim
f '(0)=lim  =lim 

이므로 x`Ú 0+ x
h`Ú 0 h h`Ú 0 h U
= lim (x+2)=2 P
`f(x+h)-f(x)
f '(x)=lim 
x`Ú 0+

h`Ú 0 h g(x)-g(0) (2x+1)-1


lim = lim
{ f(x)+f(h)+2xh-1}-f(x) x-0 x
=lim 
x`Ú 0- x`Ú 0-

h`Ú 0 h 2x
= lim =2
`f(h)-1 x
=2x+lim 
x`Ú 0-
=2x+f '(0) yy`㉠
h`Ú 0 h 즉, g '(0)의 값이 존재하므로 미분가능하다.
=14에서 x Ú 1일 때
`f(x)-f '(x)
lim  ㄷ. lim h(x)= lim (xÛ`+x+1)=1
x`Ú 0+ x`Ú 0+
x`Ú 1 xÛ`-1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다. lim h(x)= lim (-xÛ`+x-1)=-1
x`Ú 0- x`Ú 0-

즉, lim { f(x)-f '(x)}=0이므로 f(1)-f '(1)=0 즉, lim h(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미분가능


x`Ú 1 x`Ú 0

∴ f(1)=f '(1) 하지 않다.
㉠에서 f '(1)=2+f '(0)이므로 따라서 x=0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는 ㄴ이다. 답 ㄴ

f '(0)=f '(1)-2=f(1)-2
`f(x)-f '(x)
∴ lim 
x`Ú 1 xÛ`-1
72
`f(x)-2x-f '(0) f(x)=xÜ`-3x+1에서 f '(x)=3xÛ`-3
=lim 
x`Ú 1 xÛ`-1 이때 f '(x)=9이므로 3xÛ`-3=9
`f(x)-2x-f(1)+2 xÛ`=4   ∴ x=2 또는 x=-2
=lim 
x`Ú 1 xÛ`-1 따라서 두 점은 (2, 3), (-2, -1)이므로 두 점 사이
`f(x)-f(1) 2(x-1)
=lim  -lim  의 거리는
x`Ú 1 xÛ`-1 1 xÛ`-1
"Ã(-2-2)Û`+(-1-3)Û`=4'2
x`Ú 
답 ④
`f(x)-f(1) 1
=lim[ ´ ]
x`Ú 1 x-1 x+1

 -lim 
2(x-1)
x`Ú 1 (x-1)(x+1)
73
f '(x)=(xÛ`+1)'g(x)+(xÛ`+1)g '(x)
=;2!; f '(1)-1=14 =2xg(x)+(xÛ`+1)g '(x)

연습문제·실력 UP 83
∴ f '(1)=2g(1)+2g '(1) 한편, f(x)=xÜ`+axÛ`+bx-b에서
=2´(-1)+2´2=2 답 ④ f '(x)=3xÛ`+2ax+b이므로
f(1)=1+a+b-b=0   ∴ a=-1
74 f '(1)=3+2a+b=1   ∴ b=0
점 (1, -1)이 곡선 y=xÜ`+axÛ`+bx 위의 점이므로 ∴ ab=0 답 0

-1=1+a+b
∴ a+b=-2 yy`㉠ 77
곡선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2이므로
f(x)=xÚ`â`+xá`+x¡`+xà`+xß`으로 놓으면
y'=3xÛ`+2ax+b에서 3+2a+b=2
f(-1)=1-1+1-1+1=1이므로
∴ 2a+b=-1 yy`㉡
xÚ`â`+xá`+x¡`+xà`+xß`-1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3 lim
x`Ú -1 x+1
 답 a=1, b=-3 `f(x)-f(-1)
= lim =f '(-1)
x`Ú -1 x-(-1)

75 이때 f '(x)=10xá`+9x¡`+8xà`+7xß`+6xÞ`이므로
f '(-1)=-10+9-8+7-6=-8 답 -8
f(1)=g(1)=5
f '(x)=1+2x+3xÛ`+4xÜ`+5xÝ`,
g '(x)=4xÜ`+5xÝ`+6xÞ`+7xß`+8xà`이므로 78
f '(1)=1+2+3+4+5=15 p'(x)=f '(x)g(x)+f(x)g'(x)이고
g '(1)=4+5+6+7+8=30 주어진 그래프에서 f(2)=-2이고 f '(2)=0이므로
∴ (주어진 식) p'(2)=f '(2)g(2)+f(2)g'(2)
`f(1+2h)-f(1)-{g(1-h)-f(1)}
=lim  =-2g'(2)=6
h`Ú 0 3h
∴ g'(2)=-3 답 -3
f(1+2h)-f(1)-{g(1-h)-g(1)}
=lim 
h`Ú 0 3h

=lim 
f(1+2h)-f(1)
´;3@; 79
h`Ú 0 2h
f '(x)=g(x)이므로
g(1-h)-g(1)
+lim  ´;3!; { f(x)+g(x)}'=f '(x)+g '(x)=g(x)+g '(x)
h`Ú 0 -h
∴ g(x)+g '(x)=xÜ`+3xÛ`+4x+5 yy`㉠
=;3@; f '(1)+;3!; g '(1)
g(x)는 삼차함수이고 삼차항의 계수는 1이므로
=;3@;´15+;3!;´30=20 답 20 g(x)=xÜ`+axÛ`+bx+c`(a, b, c는 상수)라 하면
g '(x)=3xÛ`+2ax+b yy`㉡

76 ㉡을 ㉠에 대입하면
xÜ`+axÛ`+bx+c+3xÛ`+2ax+b=xÜ`+3xÛ`+4x+5
=1에서 x Ú 1일 때 (분모) Ú 0이고 극
`f(x)
lim  ∴ xÜ
 `+(a+3)xÛ`+(2a+b)x+b+c
x`Ú 1 x-1

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다. =xÜ`+3xÛ`+4x+5


즉, lim `f(x)=0이므로 f(1)=0 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x`Ú 1

`f(x) `f(x)-f(1) a+3=3, 2a+b=4, b+c=5


∴ lim  =lim  =f '(1)=1
x`Ú 1 x-1 x`Ú 1 x-1 ∴ a=0, b=4, c=1

84 Ⅱ. 미분
따라서 g(x)=xÜ`+4x+1이므로 g '(1)=f(1)+f '(1)
g '(x)=3xÛ`+4 =5+9=14 답 14
∴ g '(-1)=3+4=7 답 7

82
80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
=1에서 x Ú`3일 때 (분모) Ú`0이고
f(x)-2
lim  속이다.
x`Ú 3 x-3
즉, lim`f(x)=f(1)에서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0이다. x`Ú 1

즉, lim{ f(x)-2}=0이므로 f(3)-2=0 b+a+b=a+bÛ`


x`Ú 3
bÛ`-2b=0, b(b-2)=0
∴`f(3)=2
∴ b=0 또는 b=2 yy`㉠

연습문제
실력
f(x)-2 f(x)-f(3)
∴ lim  =lim  또, 미분계수 f '(1)이 존재하므로
x`Ú 3 x-3 x`Ú 3 x-3

`f(x)-f(1) (axÜ`+bÛ`)-(a+bÛ`) U
=f '(3)=1 lim = lim
x`Ú 1+ x-1 x`Ú 1+ x-1 P
=2에서 x Ú`3일 때 (분모) Ú`0
g(x)-1
또, lim  a(x-1)(xÛ`+x+1)
x`Ú 3 x-3 = lim
x`Ú 1+ x-1
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0이다.
= lim a(xÛ`+x+1)
즉, lim{ g(x)-1}=0이므로 g(3)-1=0 x`Ú 1+
x`Ú 3
=3a
∴ g(3)=1
`f(x)-f(1)
g(x)-1 g(x)-g(3) lim
∴ lim  =lim  x`Ú 1- x-1
x`Ú 3 x-3 x`Ú 3 x-3
(bxÛ`+ax+b)-(a+bÛ`)
=g '(3)=2 = lim
x`Ú 1- x-1
y=f(x)g(x)에서 (x-1)(bx+a+b)
= lim (∵ a+bÛ`=2b+a)
y'=f '(x)g(x)+f(x)g '(x)이므로 x`Ú 1- x-1
f '(3)g(3)+f(3)g '(3)=1´1+2´2=5 답 5 = lim (bx+a+b)
x`Ú 1-

=2b+a
즉, 3a=2b+a에서 a=b yy`㉡
81 ㉠, ㉡에서 a+0이므로 a=2, b=2  
∴ f '(1)=6
=9에서 x Ú`1일 때 (분모) Ú`0이고
`f(x)-5
lim 
x-1 `f(1+2h)-f(1-h)
∴ lim 
x`Ú 1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0이다. h`Ú 0 h


`f(1+2h)-f(1)-f(1-h)+f(1)
즉, lim { f(x)-5}=0이므로 f(1)-5=0
x`Ú 1 =lim 
h`Ú 0 h
∴ f(1)=5 `f(1+2h)-f(1)
`f(x)-5 `f(x)-f(1) =lim[ ´2
h`Ú 0 2h
∴ lim  =lim 
x`Ú 1 x-1 x`Ú 1 x-1 `f(1-h)-f(1)
 + ]
=f '(1)=9 -h
한편, g(x)=xf(x)에서 =2f '(1)+f '(1)
g '(x)=f(x)+xf '(x)이므로 =3f '(1)=18 답 18

연습문제·실력 UP 85
83 ㉡, ㉢에 대입하면

다항식 xÚ`â`-ax+3b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a=-1일 때, b=-;3!;, c=;9%;


몫을 Q(x)라 하면 a=3일 때, b=-3, c=1
xÚ`â`-ax+3b=(x+1)Û`Q(x)+3x-2 yy`㉠
∴ f(x)=-xÛ`-;3!;x+;9%;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a+3b=-3-2   또는 f(x)=3xÛ`-3x+1
∴ a+3b=-6 yy`㉡ 답 f(x)=-xÛ`-;3!;x+;9%;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또는 f(x)=3xÛ`-3x+1
10xá`-a=2(x+1)Q(x)+(x+1)Û`Q'(x)+3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0-a=3   ∴ a=-13
85
`f(x)-xÜ`
㈎ lim =2에서 f(x)는 삼차항의 계수가
a=-13을 ㉡에 대입하면 b=;3&; x`Ú¦ xÛ`+2
1, 이차항의 계수가 2인 삼차함수임을 알 수 있다.
∴ 3b-a=3´;3&;-(-13)=20 답 20
f(x)=xÜ`+2xÛ`+ax+b`(a, b는 상수)라 하면
㈐ f(0)=0이므로 b=0

84 ∴ f(x)=xÜ`+2xÛ`+ax yy`㉠
`f(x)-f(1)
주어진 식을 변형하면 ㈏ lim 
x`Ú 1 xÛ`-1
f '(x){ f '(x)+2}-8f(x)=12xÛ`-5
`f(x)-f(1)
f(x)가 n차식일 때, f '(x)는 (n-1)차식이므로 좌 =lim 
x`Ú 1 (x-1)(x+1)

변은 (n-1)+(n-1),`즉 (2n-2)차식이다. `f(x)-f(1)


=lim[ ]
1
´
또, 우변은 2차식이므로 x`Ú 1 x-1 x+1
2n-2=2   ∴ n=2 `f(x)-f(1) 1
=lim  ´lim 
x`Ú 1 x-1 x`Ú 1 x+1
따라서 f(x)는 이차함수이므로
f(x)=axÛ`+bx+c`(a, b, c는 상수)라 하면 =f '(1)´;2!;=4
f '(x)=2ax+b 이므로 f '(1)=8 yy`㉡
이것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에서 f '(x)=3xÛ`+4x+a,
(2ax+b)(2ax+b+2) ㉡에서 f '(1)=8이므로
=8(axÛ`+bx+c)+12xÛ`-5 3+4+a=8   ∴ a=1
∴ 4aÛ
 `xÛ`+4a(b+1)x+b(b+2) 따라서 f(x)=xÜ`+2xÛ`+x이므로
=(8a+12)xÛ`+8bx+8c-5 f(1)=1+2+1=4 답 4
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4aÛ`=8a+12 yy`㉠ 86
yy`㉡
;n!;=h로 놓으면 n Ú ¦일 때 h Ú 0이므로
4a(b+1)=8b
b(b+2)=8c-5 yy`㉢
㉠에서 aÛ`-2a-3=0 lim n[ f {1+;n#;}-f {1-;n$;}]
n`Ú¦

(a+1)(a-3)=0 `f(1+3h)-f(1-4h)
=lim 
∴ a=-1 또는 a=3 h`Ú 0 h

86 Ⅱ. 미분
=lim 
h`Ú 0
{ f(1+3h)-f(1)}-{ f(1-4h)-f(1)}
h
88
y'=n{ f(x)}n-1f '(x) yy`㉠
`f(1+3h)-f(1)
=lim  ´3 Ú n=1일 때, y'=f '(x)
h`Ú 0 3h
`f(1-4h)-f(1) 따라서 n=1일 때, ㉠은 성립한다.
 -lim  ´(-4)
h`Ú 0 -4h Û n=k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3f '(1)+4f '(1)=7f '(1) y'=k{ f(x)}k-1f '(x)이므로
f '(x)=5xÝ`-4xÜ`+3xÛ`이므로 f '(1)=4 y={ f(x)}k+1={ f(x)}kf(x)에서
∴ (주어진 식)=7f '(1)=7´4=28 답 ③ y'=[{ f(x)}k]'f(x)+{ f(x)}kf '(x)
=k{ f(x)}k-1f '(x)f(x)+{ f(x)}kf '(x)

87 =k{ f(x)}kf '(x)+{ f(x)}kf '(x)
=(k+1){ f(x)}kf '(x)
다항식 f(x)를 (x-1)Û`(x-2)로 나누었을 때의 몫

연습문제
실력
따라서 ㉠은 n=k+1일 때도 성립한다.
을 Q(x)라 하면 나머지가 g(x)이므로
Ú, Û에 의하여 ㉠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한
f(x)=(x-1)Û`(x-2)Q(x)+g(x) U
다. 답 풀이 참조 P
이때 g(x)의 차수는 2 이하이므로
g(x)=axÛ`+bx+c`(a, b, c는 상수)라 하면
f(x)=(x-1)Û`(x-2)Q(x)+axÛ`+bx+c
그런데 (x-1)Û`(x-2)Q(x)는 (x-1)Û`으로 나누어
89
f(x)=xÜ`+ax로 놓으면
떨어지므로 f(x)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
f '(x)=3xÛ`+a
지는 axÛ`+bx+c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
곡선 y=f(x) 위의 점 (1, 1+a)에서의 접선의 기울
지와 같다.
기는 f '(1)=3+a
즉, axÛ`+bx+c는 (x-1)Û`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그런데 접선의 기울기가 6이므로
axÛ`+bx+c=a(x-1)Û`
f '(1)=3+a=6  
∴ f(x)=(x-1)Û`(x-2)Q(x)+a(x-1)Û`
∴ a=3
 yy`㉠
따라서 곡선 y=f(x) 위의 점 (1, 4)에서의 접선의
한편, f(x)를 x-2로 나누면 나머지가 2이므로
방정식은
㉠에서 f(2)=a(2-1)Û`=2  
y-4=6(x-1)  
∴ a=2
∴ y=6x-2
따라서 g(x)=2(x-1)Û`=2xÛ`-4x+2이므로
따라서 b=-2이므로
g(2+2h)-g(2-h)
lim  a+b=3+(-2)=1 답 1
h`Ú 0 h
g(2+2h)-g(2)+g(2)-g(2-h)
=lim 
h`Ú 0 h

=lim 
g(2+2h)-g(2)
´2+lim 
g(2-h)-g(2) 90
h`Ú 0 2h h`Ú 0 -h
f(x)=xÜ`-1로 놓으면 f '(x)=3xÛ`
=2g'(2)+g'(2)=3g'(2)
곡선 y=f(x)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
이때 g'(x)=4x-4이므로
울기는 f '(-1)=3이므로 이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g'(2)=4´2-4=4
∴ 3g'(2)=12 답 12 기울기는 -;3!;이다.

연습문제·실력 UP 87
따라서 기울기가 -;3!;이고 점 (-1, -2)를 지나는 t=1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직선의 방정식은 y=3x-4

y-(-2)=-;3!;{x-(-1)}   이고, 이 직선은 x축과 점 {;3$;, 0}에서 만난다.

∴ x+3y+7=0 답 ⑤ ∴ a=;3$; 답 ②

91 94
f(x)=xÛ`-3x+4로 놓으면 f '(x)=2x-3 f(x)=xÜ`+ax+3, g(x)=xÛ`+2로 놓으면
접점의 좌표를 (a, aÛ`-3a+4)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 f '(x)=3xÛ`+a, g'(x)=2x
가 5이므로 두 곡선 y=f(x), y=g(x)가 한 점에서 접하므로 접
f '(a)=2a-3=5   ∴ a=4 점의 x좌표를 t라 하면 f(t)=g(t)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4, 8)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방 tÜ`+at+3=tÛ`+2 yy`㉠
정식은 두 곡선의 접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같으므로
y-8=5(x-4)   f '(t)=g'(t)
∴ y=5x-12 답 ⑤ 3tÛ`+a=2t   ∴ a=-3tÛ`+2t yy`㉡
㉡을 ㉠에 대입하면

92 tÜ`+(-3tÛ`+2t)t+3=tÛ`+2
2tÜ`-tÛ`-1=0, (t-1)(2tÛ`+t+1)=0
f(x)=xÜ`-3xÛ`으로 놓으면 f '(x)=3xÛ`-6x
∴ t=1 (∵ 2tÛ`+t+1>0)
곡선 y=f(x)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이 x축과
따라서 ㉡에서 a=-3+2=-1 답 -1
평행하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0이다. 즉,
f '(a)=3aÛ`-6a=0, 3a(a-2)=0
∴ a=2 (∵ a+0)Û a=0이면 b=0 (점 (a, b)가 원점)
95
점 (2, b)는 곡선 y=f(x) 위의 점이므로 f(x)=xÜ`+axÛ`, g(x)=-xÛ`+4로 놓으면

f(2)=b   ∴ b=8-12=-4 f '(x)=3xÛ`+2ax, g'(x)=-2x

∴ a+b=2+(-4)=-2 답 -2
두 곡선 y=f(x), y=g(x)가 모두 점 (t, -tÛ`+4)
를 지나므로 f(t)=g(t)=-tÛ`+4
tÜ`+atÛ`=-tÛ`+4 yy`㉠
93 두 곡선의 접점 (t, -tÛ`+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f(x)=xÜ`-2로 놓으면 f '(x)=3xÛ`
같으므로 f '(t)=g'(t)
접점의 좌표를 (t, tÜ`-2)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3tÛ`+2at=-2t
기울기는
3t+2a=-2 (∵ ㉠에서 t+0)
f '(t)=3tÛ`
2a=-3t-2   ∴ a=-;2#;t-1 yy`㉡
따라서 기울기가 3tÛ`이고 점 (t, tÜ`-2)를 지나는 접선
의 방정식은 ㉡을 ㉠에 대입하면
y-(tÜ`-2)=3tÛ`(x-t) tÜ`+{-;2#;t-1}tÛ`=-tÛ`+4
∴ y=3tÛ`x-2tÜ`-2 yy`㉠
이 직선이 점 (0, -4)를 지나므로 -;2!;tÜ`=4, tÜ`=-8, tÜ`+8=0

-4=-2tÜ`-2, tÜ`=1   ∴ t=1 (t+2)(tÛ`-2t+4)=0   ∴ t=-2

88 Ⅱ. 미분
㉡에서 a=-;2#;´(-2)-1=2 ⑤ Z
ZY 

∴ a+t=2+(-2)=0 답 ②
 0  Y

96
함수 f(x)=xÝ`-4xÛ`+1은 닫힌구간 [0, 2]에서 연속 ①, ③, ④는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고, ②는 x=0
이고 열린구간 (0, 2)에서 미분가능하다. 또한, 에서 연속이 아니므로 닫힌구간 [-1, 1]에서 평균값
f(0)=f(2)=1 정리가 성립하는 것은 ⑤이다. 답 ⑤

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간 x+1 (x¾0)


참고 ④ f(x)=[ 
(0,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x+1 (x<0)
이때 f '(x)=4xÜ`-8x이므로
f '(c)=4cÜ`-8c=0, 4c(cÛ`-2)=0 99

연습문제
실력
∴ c='2 (∵ 0<c<2) 답 '2 Z
ZG Y

U
97 B
0 C Y P

함수 f(x)=-xÛ`+kx에 대하여 닫힌구간 [1, 3]에


서 롤의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가 2이므로
`f(b)-f(a)
f '(x)=-2x+k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f '(c)를
b-a
f '(2)=-4+k=0   ∴ k=4 만족시키는 c`(a<c<b)의 개수는 두 점 (a, f(a)),
f(x)=-xÛ`+4x에 대하여 닫힌구간 [1, 5]에서 평 (b, f(b))를 잇는 직선과 기울기가 같은 접선의 접점
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가 c이므로 의 개수와 같으므로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5이다.
`f(5)-f(1) -5-3  답 5
= =-2=f '(c)
5-1 4
f '(c)=-2c+4=-2, -2c=-6
∴ c=3 100
∴ k+c=4+3=7 답 7 y=xÜ`+kxÛ`-(2k-1)x+k+3을 k에 대한 내림차
순으로 정리하면

98 (x-1)Û`k+xÜ`+x+3-y=0
이것이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닫힌구간 [-1, 1]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1, 1)
(x-1)Û`=0, xÜ`+x+3-y=0
에서 미분가능하면 평균값 정리가 성립한다.
∴ x=1, y=5
① Z ② Z
Z]Y] Z:Å 즉, 주어진 곡선은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1, 5)를 지난다.
 0  Y 0  Y

f(x)=xÜ`+kxÛ`-(2k-1)x+k+3으로 놓으면
f '(x)=3xÛ`+2kx-(2k-1)
③ Z ④ Z Z]Y] 
점 (1, 5)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Z]Y] 

f '(1)=3+2k-2k+1=4
 0  Y  0  Y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기울기가 4이고 점
(1, 5)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이므로

연습문제·실력 UP 89
y-5=4(x-1)   -3(aÛ`+a)Û`+3aÝ`
=lim
a`Ú¦ aÜ`
∴ y=4x+1 답 y=4x+1
-6aÜ`-3aÛ`
=lim
a`Ú¦ aÜ`

101 =-6 답 ①

=24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2일 때


`f(xÜ`)
lim 
x`Ú 2 x-2

(분모) Ú`0이므로 (분자) Ú`0이다. 즉, 103


lim`f(xÜ`)=0 f(x)=xÜ`+axÛ`-a-1로 놓으면
x`Ú 2

그런데 함수 f(xÜ`)은 연속함수이므로 f '(x)=3xÛ`+2ax


f(2Ü`)=0   ∴ f(8)=0 곡선 y=f(x) 위의 점 (1, 0)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xÜ`) `f(xÜ`)-f(8) f '(1)=3+2a
lim  =lim 
x`Ú 2 x-2 x`Ú 2 x-2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 f(xÜ`)-f(8)}(xÛ`+2x+4)
  =lim  y=(3+2a)(x-1)
x`Ú 2 (x-2)(xÛ`+2x+4)
이 직선이 곡선 y=f(x)와 점 (2, k)에서 다시 만나
`f(xÜ`)-f(8)
  =lim[ ´(xÛ`+2x+4)] 므로
x`Ú 2 xÜ`-8
  =f '(8)´12 k=3+2a, f(2)=k
  =24 ∴ f(2)=3+2a
12 f '(8)=24이므로 f '(8)=2 그런데 f(2)=8+4a-a-1=3a+7이므로
따라서 곡선 y=f(x) 위의 점 (8, f(8)), 즉 (8, 0) 3a+7=3+2a   ∴ a=-4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k=3+2´(-4)=-5 답 ①

y-0=2(x-8)   ∴ y=2x-16
 답 y=2x-16
104
f(x)=xÜ`+3xÛ`+ax-1로 놓으면
102 곡선 y=f(x) 위의 점 (x, f(x))에서의 접선의 기
f(x)=xÝ`으로 놓으면 f '(x)=4xÜ`
울기는 f '(x)이므로
곡선 y=f(x) 위의 점 (a, aÝ`)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f '(x)=3xÛ`+6x+a=3(x+1)Û`-3+a

f '(x)는 x=-1에서 최솟값 -3+a를 갖는다.
f '(a)=4aÜ`
그런데 f '(x)의 최솟값이 5이므로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3+a=5   ∴ a=8 답 8
y-aÝ`=4aÜ`(x-a)
∴ y=4aÜ`x-3aÝ`
이 직선과 y축의 교점의 좌표는 (0, -3aÝ`)이므로
h(a)=-3aÝ`
105
f(x)=xÝ`-2xÛ`+8로 놓으면 f '(x)=4xÜ`-4x
h("ÃaÛ`+a)-h(a)
∴ lim 접점의 좌표를 (t, tÝ`-2tÛ`+8)이라 하면 접선의 기울
a`Ú¦ aÜ`
기는
-3("ÃaÛ`+a)Ý`-(-3aÝ`)
=lim f '(t)=4tÜ`-4t
a`Ú¦ aÜ`

90 Ⅱ. 미분
Z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기울기가 -1이고 점
ZY› Y™ 
 (-1, 0)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이므로
1 1
y-0=-{x-(-1)}
∴ y=-x-1 답 y=-x-1

0 Y
107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f(x)=xÜ`-5x로 놓으면 f '(x)=3xÛ`-5
y-(tÝ`-2tÛ`+8)=(4tÜ`-4t)(x-t) 곡선 y=f(x) 위의 점 A(1, -4)에서의 접선의 기
∴ y=(4tÜ`-4t)x-3tÝ`+2tÛ`+8 울기는
이 직선이 원점 (0, 0)을 지나므로 f '(1)=3-5=-2
0=-3tÝ`+2tÛ`+8, 3tÝ`-2tÛ`-8=0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연습문제
실력
(tÛ`-2)(3tÛ`+4)=0, tÛ`=2 y-(-4)=-2(x-1)
∴ t=-'2 또는 t='2 ∴ y=-2x-2
U
따라서 두 접점은 P'(-'2, 8), P('2, 8)이므로 삼 이 접선과 곡선 y=f(x)가 만나는 점의 x좌표를 구 P
각형 OPP'의 넓이는 하면

;2!;´2'2´8=8'2 답 8'2
xÜ`-5x=-2x-2
xÜ`-3x+2=0
(x-1)Û`(x+2)=0
∴ x=1 또는 x=-2
106 따라서 점 B의 x좌표는 -2이므로 B(-2, 2)
f(x)=xÜ`-3xÛ`-8x-4, g(x)=3xÛ`+7x+4로 놓
∴ ABÓ="Ã(-2-1)Û`+{2-(-4)}Û`
으면
='Ä9+36
f '(x)=3xÛ`-6x-8, g '(x)=6x+7
=3'5 답 ④
두 곡선 y=f(x), y=g(x)의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
면 f(t)=g(t)이므로 yy`㉠
tÜ`-3tÛ`-8t-4=3tÛ`+7t+4 108
tÜ`-6tÛ`-15t-8=0, (t+1)Û`(t-8)=0 f(x)=xÜ`+ax에서 f '(x)=3xÛ`+a
∴ t=-1 또는 t=8 곡선 y=f(x) 위의 점 A(-1, -1-a)에서의 접선
또한, f '(t)=g'(t)이므로 yy`㉡ 의 기울기는 f '(-1)=3+a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3tÛ`-6t-8=6t+7, 3tÛ`-12t-15=0 y-(-1-a)=(3+a){x-(-1)}
3(t+1)(t-5)=0 ∴ y=(3+a)x+2 yy`㉠
∴ t=-1 또는 t=5 직선 ㉠이 곡선 y=f(x)와 만나는 점의 x좌표를 구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t의 값은 하면
t=-1 Q 또는 (-1, f(-1))
xÜ`+ax=(3+a)x+2
따라서 점 P(-1, g(-1)), 즉 P(-1, 0)에서의 접 xÜ`-3x-2=0, (x+1)Û`(x-2)=0
선의 기울기는 ∴ x=-1 또는 x=2
f '(-1)=g'(-1)=1 따라서 점 B의 x좌표는 2이다.   ∴ b=2
이므로 이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1이다. 곡선 y=f(x) 위의 점 B(2, 8+2a)에서의 접선의

연습문제·실력 UP 91
기울기는 f '(2)=12+a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이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1이므로
y-(8+2a)=(12+a)(x-2) f '(t)=-3tÛ`+6t-1=-1
∴ y=(12+a)x-16 yy`㉡ -3tÛ`+6t=0, -3t(t-2)=0
직선 ㉡이 곡선 y=f(x)와 만나는 점의 x좌표를 구 ∴ t=0 또는 t=2
하면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0, 1), (2, 3)이므로 접선의
xÜ`+ax=(12+a)x-16 방정식은
xÜ`-12x+16=0, (x-2)Û`(x+4)=0 y-1=-(x-0), y-3=-(x-2)
∴ x=2 또는 x=-4 ∴ y=-x+1, y=-x+5
따라서 점 C의 x좌표는 -4이다.   ∴ c=-4 위의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점 (0, 1)과 직선
f(2)+f(-4)=-80이므로 y=-x+5, 즉 x+y-5=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
8+2a+(-64-4a)=-80, -2a=-24 로
∴ a=12 답 ③ |0+1-5| 4
= =2'2 답 2'2
"Ã1Û`+1Û` '2

109
f(x)=xÜ`-3xÛ`+2x로 놓으면 111
f '(x)=3xÛ`-6x+2 f(x)=xÛ`-2x-3으로 놓으면 f '(x)=2x-2
곡선 y=f(x)의 접선 중 직선 y=-x+2에 평행한 곡선 y=f(x)의 접선 중에서 직선 y=2x-10과 평
접선은 기울기가 -1인 직선이므로 이 접선의 접점의 행한 접선의 접점의 좌표를 (t, tÛ`-2t-3)이라 하면
좌표를 (t, tÜ`-3tÛ`+2t)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f '(t)=-1 f '(t)=2t-2=2   ∴ t=2
3tÛ`-6t+2=-1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2, -3)이다.
3(t-1)Û`=0   ∴ t=1 Z
ZG Y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1, 0)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0=-(x-1)   ∴ y=-x+1 yy`㉠ 0 Y
직선 ㉠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
 ZY
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ZY
y-b=-(x-a)+1
∴ y=-x+a+1+b 곡선 y=f(x) 위의 점과 직선 y=2x-10, 즉
이고, 이것이 직선 y=-x+2와 일치하므로 2x-y-10=0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은 점 (2, -3)
a+1+b=2 과 직선 2x-y-10=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 a+b=1 답 1 |2´2-(-3)-10| 3 3'5 3'5
= = 
'5

"Ã2Û`+(-1)Û` 5 5

110
f(x)=-xÜ`+3xÛ`-x+1로 놓으면 112
f '(x)=-3xÛ`+6x-1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접점의 좌표를 f(x)는 닫힌구간 [x-1, x+3]에서 연속이고 열린
(t, -tÜ`+3tÛ`-t+1) 구간 (x-1, x+3)에서 미분가능하다.

92 Ⅱ. 미분
따라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삼차함수 f(x)가 닫힌구간 ZG  Y

`f(x+3)-f(x-1) [-3, 1]에서 감소하려면


=f '(c)
(x+3)-(x-1) 닫힌구간 [-3, 1]에서  0 
를 만족시키는 실수 c가 열린구간 (x-1, x+3)에 적  Y
f '(x)É0이어야 하므로 오
어도 하나 존재한다. 른쪽 그림에서
이때 x`2Ú`¦이면 c`2Ú`¦이므로 f '(1)=3+12+aÉ0  
lim {`f(x+3)-f(x-1)} ∴ aÉ-15 yy`㉠
x`Ú¦

`f(x+3)-f(x-1) f '(-3)=27-36+aÉ0  
=4 lim =4 lim `f '(c)
x`Ú¦ (x+3)-(x-1) x`Ú¦
∴ aÉ9 yy`㉡
=4 lim ``f '(c)=4´2=8 답 8
c`Ú¦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aÉ-15 답 aÉ-15

113

연습문제
실력
f(x)=xÜ`+axÛ`+2ax에서
116 U
f '(x)=3xÛ`+2ax+2a P
삼차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f(x)는 일대
삼차함수 f(x)가 열린구간 (-¦, ¦)에서 증가하려
일대응이어야 하므로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어야 하므로 이
증가하거나 감소해야 한다. 이때 f(x)의 최고차항의
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계수가 양수이므로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
D
=aÛ`-3´2a=aÛ`-6aÉ0 한다.
4
a(a-6)É0   ∴ 0ÉaÉ6 f(x)=xÜ`+kxÛ`+3kx-2에서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6, 최솟값은 0이므로 f '(x)=3xÛ`+2kx+3k
M=6, m=0 삼차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려면
∴ M-m=6-0=6 답 ④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어야 하므로 이차
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114 4
=kÛ`-3´3k=kÛ`-9kÉ0

f(x)=-xÜ`+axÛ`+bx-1에서 k(k-9)É0   ∴ 0ÉkÉ9


f '(x)=-3xÛ`+2ax+b 따라서 정수 k는 0, 1, 2, y, 9의 10개이다. 답 10

함수 f(x)가 증가하는 구간이 닫힌구간 [1, 3]이므로


이차부등식 f '(x)¾0의 해가 1ÉxÉ3이다. 즉,
f '(x)‌=-3(x-1)(x-3)
117
임의의 실수 xÁ, xª에 대하여 xÁ<xª이면
=-3xÛ`+12x-9
f(xÁ)>f(xª)이므로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
따라서 2a=12, b=-9이므로 a=6
에서 감소한다.
∴ a+b=6+(-9)=-3 답 -3
∴ k<0
f(x)=kxÜ`-xÛ`+3kx+k에서
115 f '(x)=3kxÛ`-2x+3k
f(x)=xÜ`+6xÛ`+ax-2에서 삼차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려면
f '(x)=3xÛ`+12x+a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É0이어야 하므로 이차

연습문제·실력 UP 93
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 y -5 y -1 y
D
=(-1)Û`-3k´3k=1-9kÛ`É0 f '(x) + 0 - 0 +
4
31 -1
9kÛ`-1¾0, (3k+1)(3k-1)¾0 f(x) ↗ ↘ ↗
극대 극소
kÉ-;3!; 또는 k¾;3!;
따라서 함수 f(x)는 x=-5에서 극댓값 31,
∴ kÉ-;3!; (∵ k<0) x=-1에서 극솟값 -1을 갖는다.
∴ M=31, m=-1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은 -;3!;이다. 답 -;3!;
∴ M-m=31-(-1)=32 답 ③

118 120
Z f(x)=-2xÜ`-6xÛ`+a에서
ZG  Y

f '(x)=-6xÛ`-12x=-6x(x+2)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2 또는 x=0
    0   Y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2 y 0 y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f '(x) - 0 + 0 -
x=-4 또는 x=-2 또는 x=-1 또는 x=1이므로
-8+a a
닫힌구간 [-5,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f(x) ↘ ↗ ↘
극소 극대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솟값 -8+a를 갖
x -5 y -4 y -2 y -1 y 1 y 2 는다. 그런데 f(x)가 x=b에서 극솟값 1을 가지므로
f '(x) + 0 + 0 - 0 + 0 - b=-2, -8+a=1   ∴ a=9
f(x) ↗ ↗ ↘ ↗ ↘ ∴ a+b=9+(-2)=7 답 ②

ㄱ. f(x)는 닫힌구간 [-5, -4]에서 증가한다.


 (거짓) 121
ㄴ. f(x)는 닫힌구간 [-2, -1]에서 감소한다. (참)
f(x)=xÜ`+axÛ`+bx-9에서
ㄷ. f(x)는 닫힌구간 [-1, 1]에서 증가하므로 닫힌
f '(x)=3xÛ`+2ax+b
구간 [0, 1]에서 증가한다. (참)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 x=3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 ㄴ, ㄷ
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f '(-1)=0, f '(3)=0
즉, 이차방정식 f '(x)=0의 두 근이 x=-1, x=3
119 이므로
f(x)=xÜ`+9xÛ`+15x+6에서 f '(x)‌=3(x+1)(x-3)
f '(x)‌=3xÛ`+18x+15 =3xÛ`-6x-9
=3(x+5)(x+1) 따라서 2a=-6, b=-9이므로 a=-3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 f(x)=xÜ`-3xÛ`-9x-9
x=-5 또는 x=-1 f(-1)=-1-3+9-9=-4,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3)=27-27-27-9=-36

94 Ⅱ. 미분
이므로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는 124
|`f(-1)-f(3)|‌=|-4-(-36)| y=f '(x)의 그래프에서 Z
=32 답 32
f '(x)=0을 만족시키는 x
ZG  Y


의 값은 -2, 0, 2이므로  0 Y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122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xÜ`+3xÛ`-9x+a에서
x y -2 y 0 y 2 y
f '(x)=3xÛ`+6x-9=3(x+3)(x-1)
f '(x) + 0 - 0 + 0 -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3 또는 x=1
f(x) ↗ 극대 ↘ 극소 ↗ 극대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f(x)가 극댓값을 갖는 x는 -2, 2의 2개, 극
x y -3 y 1 y

연습문제
실력
솟값을 갖는 x는 0의 1개이다.
f '(x) + 0 - 0 +
∴ m=2, n=1
27+a -5+a
f(x) ↗ ↘ ↗ ∴ m-n=2-1=1 답 1 U
극대 극소 P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극댓값 27+a,


x=1에서 극솟값 -5+a를 갖는다.
125
Z
극댓값과 극솟값의 절댓값이 같으므로
(27+a)+(-5+a)=0
ZG  Y


22+2a=0   ∴ a=-11 답 -11 
    0      Y
 

123 닫힌구간 [-5, 5]에서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f(x)=xÜ`-;2#;axÛ`-6aÛ`x에서 값 -4, -2, -1, 1, 2, 3, 4 중에서
Ú ‌f '(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는
f '(x)‌=3xÛ`-3ax-6aÛ`=3(xÛ`-ax-2aÛ`)
x의 값은 -2, 1, 3
=3(x+a)(x-2a)
‌즉, f(x)는 x=-2, x=1, x=3에서 극댓값을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a 또는
가지므로
x=2a이고, f(x)가 극댓값과 극솟값을 각각 1개씩 가
M=-2+1+3=2
지므로 f(x)는 x=-a와 x=2a에서 극값을 갖는다.
Û f '(x)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는
f(-a)=-aÜ`-;2#;aÜ`+6aÜ`=;2&;aÜ`,
x의 값은 -1, 2
f(2a)=8aÜ`-6aÜ`-12aÜ`=-10aÜ` ‌즉, f(x)는 x=-1, x=2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이고,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가 ;2!;이므로 m=-1+2=1


∴ M-m=2-1=1 답 1
|f(-a)-f(2a)|=;2!;

|;2&;aÜ`-(-10aÜ`)|=;2!;, |:ª2¦:aÜ`|=;2!;, |aÜ`|=;2Á7; 126


f(x)=xÜ`+axÛ`+bx+c에서
aÜ`=;2Á7; (∵ a>0)   ∴ a=;3!; 답 ②
f '(x)=3xÛ`+2ax+b

연습문제·실력 UP 95
y=f '(x)의 그래프에서 f '(0)=0, f '(2)=0이므로 점 (3, -9)와 직선 y=-3x-;3$;, 즉
이차방정식 f '(x)=0의 두 근이 x=0, x=2이다. 즉, 9x+3y+4=0 사이의 거리는
f '(x)=3x(x-2)=3xÛ`-6x |9´3+3´(-9)+4| 4 4
=    ∴ d=
따라서 2a=-6, b=0이므로 a=-3 "Ã9Û`+3Û` '9Œ0 '9Œ0
∴ f(x)=xÜ`-3xÛ`+c 4 Û`
∴ 90dÛ`=90´{ } =16 답 16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이 x=0 또는 x=2이 '9Œ0
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과 같다.
128
g(x)=(xÜ`+2)f(x) yy`㉠
x y 0 y 2 y
에서
f '(x) + 0 - 0 +
g '(x)=3xÛ` f(x)+(xÜ`+2) f '(x) yy`㉡
c -4+c
f(x) ↗ ↘ ↗ 미분가능한 함수 g(x)가 x=1에서 극솟값 24를 가지
극대 극소
므로 g '(1)=0, g(1)=24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c를 갖는다. 그 x=1을 ㉠에 대입하면
런데 극댓값이 5이므로 c=5 g(1)=3 f(1), 24=3 f(1)   ∴ f(1)=8
따라서 함수 f(x)의 극솟값은 x=1을 ㉡에 대입하면
-4+c=-4+5=1 답 1 g '(1)=3 f(1)+3 f '(1)
0=3´8+3 f '(1)   ∴ f '(1)=-8
∴ f(1)-f '(1)=8-(-8)=16 답 16
127
f(x)=;3!;xÜ`-xÛ`-3x에서 129
f '(x)=xÛ`-2x-3 f(x)=xÜ`+axÛ`+bx+100에서

=(x+1)(x-3) f '(x)=3xÛ`+2ax+b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3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6에서 극값을 가지므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로 f '(-6)=0


108-12a+b=0   ∴ 12a-b=108 yy`㉠
x y -1 y 3 y
곡선 y=f(x) 위의 점 (-3, f(-3))에서의 접선의
f '(x) + 0 - 0 +
기울기가 9이므로 f '(-3)=9
;3%; -9 27-6a+b=9   ∴ 6a-b=18 yy`㉡
f(x) ↗ ↘ ↗
극소 ㉠, ㉡을 연립하여 풀면 a=15, b=72
극대
∴ a+b=15+72=87 답 87
함수 f(x)는 x=3에서 극솟값 -9를 갖는다.
∴ a=3, b=-9
130
f '(2)=-3, f(2)=-:ª3ª:이므로 곡선 y=f(x) 위
f(x)=xÜ`+axÛ`+bx+c에서
의 점 (2, f(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f '(x)=3xÛ`+2ax+b
y-{-:ª3ª:}=-3(x-2)   곡선 y=f(x) 위의 점 (1, f(1))에서의 접선의 기울
기가 6이므로 f '(1)=6
∴ y=-3x-;3$;
3+2a+b=6   ∴ 2a+b=3 yy`㉠

96 Ⅱ. 미분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을 가지 132
므로 f '(-1)=0 g(x)=f(x)-kx에서
3-2a+b=0   ∴ -2a+b=-3 yy`㉡ g '(x)=f '(x)-k=xÛ`-1-k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0 미분가능한 함수 g(x)가 x=-3에서 극값을 가지므
로 g '(-3)=0
∴ f(x)=xÜ`+;2#;xÛ`+c
9-1-k=0   ∴ k=8 답 ⑤
곡선 y=f(x) 위의 점 (1, f(1))에서의 접선의 방정
식은
y-f(1)=f '(1)(x-1)
133
f '(x)=0을 만족시키 Z
∴ y=f '(1)x-f '(1)+ f(1) yy`㉢
는 x의 값은 -1, 2, 4 ZG  Y

㉢이 y=6x-1이므로
이므로 함수 f(x)의
 

연습문제
실력
f '(1)=6, -f '(1)+ f(1)=-1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
0     Y
∴ f(1)=5 
타내면 다음과 같다. U
f(1)=1+;2#;+c=5   ∴ c=;2%; P
x y -1 y 2 y 4 y
따라서 f(x)=xÜ`+;2#;xÛ`+;2%;이므로 f '(x) - 0 + 0 - 0 +
f(x)
f(3)=27+:ª2¦:+;2%;=43
↘ 극소 ↗ 극대 ↘ 극소 ↗
답 43
① f(x)는 닫힌구간 [-1, 2]에서 증가한다. (거짓)
② f(x)는 닫힌구간 [2, 4]에서 감소한다. (거짓)
131 ③ f(x)는 x=2에서 극대이다. (거짓)

=-2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0일 때


f(x) ④ f(x)는 x=-1에서 극소이다. (참)
lim 
x`Ú 0 x
⑤ f(x)는 3개의 극값을 갖는다. (거짓) 답 ④
(분모) Ú`0이므로 (분자) Ú`0이다.
즉, lim`f(x)=0
134
x`Ú 0

그런데 f(x)는 연속함수이므로 f(0)=lim`f(x)=0


x`Ú 0
Z
f(0)=0이므로 삼차함수 f(x)는

f(x)=axÜ`+bxÛ`+cx`(a, b, c는 상수, a+0)  0  Y
 
f '(x)=3axÛ`+2bx+c
f(x) f(x)-f(0)
또한, lim   =lim   =f '(0)=-2 ZG  Y

x`Ú 0 x x`Ú 0 x-0


에서 f '(0)=-2이므로 c=-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f(x)=axÜ`+bxÛ`-2x, f '(x)=3axÛ`+2bx-2
x y -1 y 1 y
함수 f(x)가 x=1에서 극솟값 -3을 가지므로
f '(x) + 0 - 0 -
f '(1)=0, f(1)=-3
f(x) ↗ 극대 ↘ ↘
3a+2b-2=0, a+b-2=-3
위의 식을 연립하여 풀면 a=4, b=-5 함수 f(x)는 반닫힌 구간 (-¦, -1]에서 증가, 닫
따라서 f(x)=4xÜ`-5xÛ`-2x이므로 힌구간 [-1, 1]에서 감소, 반닫힌 구간 [1, ¦)에서
f(-1)=-4-5+2=-7 답 -7 감소한다.

연습문제·실력 UP 97
또한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갖고, x=1에서 따라서 f(x)는 x=0에서 극댓값, x=2a에서 극솟값
의 미분계수가 0이므로 곡선 y=f(x) 위의 점 을 갖는다. 이때 극댓값 f(0)=4a+0이므로 극솟값
(1, f(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0이다. f(2a)=0이다. 즉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이 될 수 있는 f(2a)=8aÜ`-12aÜ`+4a=0
것은 ④이다. 답 ④ -4aÜ`+4a=0, -4a(a+1)(a-1)=0
∴ a=1 (∵ a>0) 답 1

135
f(x)=xÜ`+(2-a)xÛ`-(2a-1)x에서
f '(x)‌=3xÛ`+2(2-a)x-(2a-1) 137
=(x+1){3x-(2a-1)} f(x)=-2xÜ`+axÛ`-24x-1에서
2a-1 f '(x)=-6xÛ`+2ax-24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 또는
3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을 필요충분조건은
x=-1
이차방정식 f '(x)=0이 중근을 갖거나 허근을 갖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삼차 ZG Y

것이므로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함수 f(x)가 x=-1에서 극솟
D
값을 가지므로 f(x)는 =aÛ`-(-6)´(-24)=aÛ`-144É0
4
2a-1 (a+12)(a-12)É0   ∴ -12ÉaÉ12
x= 에서 극댓값을 갖는 B 
3 
따라서 자연수 a의 최댓값은 12이다. 답 12
다. 즉,
2a-1
<-1
3
2a-1<-3   ∴ a<-1 답 a<-1
참고 3xÛ`+2(2-a)x-(2a-1)의 인수분해는 조립
138
f(x)=xÜ`+(k-3)xÛ`+(2-k)x-3에서
제법을 이용한다.
f '(x)=3xÛ`+2(k-3)x+(2-k)
-1 3 2(2-a) -(2a-1)
삼차함수 f(x)가 0<x<1에서 극댓값, 1<x<2에서
-3   `-1+2a
극솟값을 가지려면 이차방정 Z ZG  Y

3 1-2a 0
식 f '(x)=0이 0<x<1에
서 실근 한 개, 1<x<2에서

136 실근 한 개를 가져야 하므로 0  Y

삼차함수 f(x)=xÜ`-3axÛ`+4a의 그래프가 x축에 접 오른쪽 그림에서


하므로 다음 그림과 같이 극댓값 또는 극솟값이 0이다. f '(0)=2-k>0   ∴ k<2 yy`㉠
ZG Y
ZG Y
f '(1)=3+2(k-3)+(2-k)<0
Y ∴ k<1 yy`㉡
Y f '(2)=12+4(k-3)+(2-k)>0

∴ k>-;3@; yy`㉢
f '(x)=3xÛ`-6ax=3x(x-2a)
㉠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2a`(a>0) -;3@;<k<1 답 ②

98 Ⅱ. 미분
139 x 2 y 4 y 5
f(x)=-3xÝ`+axÜ`-24xÛ`+3에서 f '(x) - 0 +
f '(x)‌=-12xÜ`+3axÛ`-48x -32+a
f(x) -16+a ↘ ↗ -25+a
=-3x(4xÛ`-ax+16) 극소

f(x)가 극솟값을 가지려면 따라서 f(x)는 x=4에서 최솟값 -32+a, x=2에


삼차방정식 f '(x)=0이 서 서 최댓값 -16+a를 갖는다.
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극댓값 개, 극솟값 개 그런데 f(x)의 최솟값이 -20이므로
하므로 이차방정식 -32+a=-20   ∴ a=12
4xÛ`-ax+16=0이 0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 따라서 f(x)의 최댓값은
져야 한다. -16+a=-16+12=-4 답 ①
x=0은 4xÛ`-ax+16=0의 근이 될 수 없으므로
142

연습문제
실력
4xÛ`-ax+16=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a)Û`-4´4´16>0, aÛ`-16Û`>0 f(x)=xÜ`-3xÛ`+a에서
U
(a+16)(a-16)>0   ∴ a<-16 또는 a>16 f '(x)=3xÛ`-6x=3x(x-2) P
따라서 자연수 a의 최솟값은 17이다. 답 ⑤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2
닫힌구간 [1, 4]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
140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xÜ`-3x-5에서 x 1 y 2 y 4
f '(x)=3xÛ`-3=3(x+1)(x-1) f '(x) - 0 +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1 -4+a
f(x) -2+a ↘ ↗ 16+a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극소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f(x)는 x=2에서 최솟값 -4+a, x=4에서
x -1 y 1 y 3 최댓값 16+a를 갖는다.
f '(x) - 0 + 그런데 f(x)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이 20이므로
-7 (16+a)+(-4+a)=20, 2a+12=20
f(x) -3 ↘ ↗ 13
극소 2a=8   ∴ a=4 답 4

따라서 f(x)는 x=1에서 최솟값 -7, x=3에서 최


댓값 13을 갖는다.
143
f(x)=axÜ`-3ax+2b`(a>0)에서
∴ M=13, m=-7
f '(x)=3axÛ`-3a=3a(x+1)(x-1)
∴ M-m=13-(-7)=20 답 20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1
a>0이므로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증
141
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xÜ`-6xÛ`+a에서
f '(x)=3xÛ`-12x=3x(x-4) x -1 y 1 y 3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4 f '(x) - 0 +
닫힌구간 [2, 5]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 -2a+2b
f(x) 2a+2b ↘ ↗ 18a+2b
극소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연습문제·실력 UP 99
따라서 f(x)는 x=1에서 최솟값 -2a+2b, x=3에 Dª
=aÛ`-3´(-3a)=aÛ`+9aÉ0
4
서 최댓값 18a+2b를 갖는다.
a(a+9)É0   ∴ -9ÉaÉ0 yy`㉡
그런데 f(x)의 최댓값이 22, 최솟값이 2이므로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18a+2b=22, -2a+2b=2
-9Éa<-3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따라서 정수 a는 -9, -8, -7, y, -4의 6개이다.
∴ ab=1´2=2 답 2
 답 6

144 146
f(x)=xÝ`-4aÜ`x+1에서 a=0이면 f(x)는 일차함수이므로 극값을 갖지 않는
f '(x)=4xÜ`-4aÜ`=4(x-a)(xÛ`+ax+aÛ`) 다.   ∴ a+0
xÛ`+ax+aÛ`={x+;2A;}`Û +;4#;aÛ`>0`(∵ a>0)이므로 f(x)=axÜ`-3x+b에서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a f '(x)=3axÛ`-3=3a {xÛ`-;a!;}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가지므로 이차방정식

x y a y f '(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즉

f '(x) - 0 + ;a!;>0   ∴ a>0


f(a)
f '(x)=3a {xÛ`-;a!;}=3a {x+ }{x- }
f(x) ↘ ↗ 1 1
극소 'a 'a

따라서 f(x)는 x=a에서 최솟값 f(a)를 갖는다. 1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 또는
'a
그런데 f(x)의 최솟값이 -47이므로 1
x=
f(a)=aÝ`-4aÝ`+1=-3aÝ`+1=-47 'a
aÝ`=16   ∴ a=2 (∵ a>0) 답 ② 1 1
따라서 f(x)는 x=- 에서 극댓값 4, x= 에
'a 'a
서 극솟값 2를 가지므로
145 f {-
1
}=-
1
+
3
+b=
2
+b=4
f(x)=xÜ`+axÛ`+3x+1에서 'a 'a 'a 'a

f { }=
1 1 3 2
f '(x)=3xÛ`+2ax+3 - +b=- +b=2
'a 'a 'a 'a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가질 필요충분조건은 이차방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4, b=3
정식 f '(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는 것이므
∴ ab=4´3=12 답 12
로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4
=aÛ`-9>0, (a+3)(a-3)>0 147
∴ a<-3 또는 a>3 yy`㉠ xÜ`의 계수가 음수인 삼차함 ZG Y

g(x)=xÜ`+axÛ`-3ax+2에서 수 y=f(x)의 그래프가 x Y


g '(x)=3xÛ`+2ax-3a 축에 접하고, f(x)의 극솟
삼차함수 g(x)가 극값을 갖지 않을 필요충분조건은 값이 -4이므로 f(x)의 극
이차방정식 g '(x)=0이 중근 또는 허근을 갖는 것이 댓값은 0이다.
므로 이차방정식 g '(x)=0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y=f(x)의 그래프가 원점 이외의 점에서 x축과 접하

100 Ⅱ. 미분
므로 x축과 접하는 점의 좌표를 (a, 0)(a+0)이라 하 xÛ`-ax+(a+3)=0이 0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
면 을 가져야 한다.
f(x)‌=-x(x-a)Û` (a+0) x=0이 xÛ`-ax+(a+3)=0의 근이 될 수 없으므로
=-xÜ`+2axÛ`-aÛ`x a+3+0   ∴ a+-3 yy`㉠
f '(x)‌=-3xÛ`+4ax-aÛ` xÛ`-ax+(a+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3x-a)(x-a) D=(-a)Û`-4(a+3)=aÛ`-4a-12>0
a (a+2)(a-6)>0   ∴ a<-2 또는 a>6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 또는 x=a
3
a  yy`㉡
따라서 함수 f(x)는 x= =

3 =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에서 극솟값 -4를 가지므 Y
a<-3 또는 -3<a<-2 또는 a>6 yy`㉢
로 ㉢은 f(x)가 극솟값을 갖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
a a

연습문제
실력
위이므로 f(x)가 극솟값을 갖지 않도록 하는 실수 a
f { }=- {-;3@;a}Û`=-4
3 3 의 값의 범위는 a=-3 또는 -2ÉaÉ6
4
- aÜ`=-4, aÜ`=27   ∴ a=3  답 a=-3 또는 -2ÉaÉ6 U
27 P
∴ f(x)‌=-x(x-3)Û` 다른풀이 f(x)가 극솟값을 갖지 않으려면 삼차방정식

=-xÜ`+6xÛ`-9x f '(x)=0이 Ú 한 실근과 두 허근 또는 Û 한 실근과


따라서 m=6, n=-9이므로 다른 중근 또는 Ü 삼중근을 가져야 한다.
mn=6´(-9)=-54 답 -54 Ú ‌f '(x)=-12x{xÛ`-ax+(a+3)}=0의 한 실
참고 함수 근이 x=0이므로 xÛ`-ax+(a+3)=0이 두 허
f(x)=-xÜ`+mxÛ`+nx 근을 가져야 한다. 즉,
=-x(xÛ`-mx-n) D=aÛ`-4a-12<0
의 그래프가 x=a(a+0)에서 x축과 접하면 y=f(x) ∴ -2<a<6
의 그래프는 점 (a, 0)을 지나므로 Û ㈀ xÛ
 `-ax+(a+3)=0이 x+0인 다른 중근을
f(x)=-x(x-a)(x-b) (b+0) 가지는 경우
그런데 a+b이면 y=f(x)의 그래프는 x축과 서로 다 D=aÛ`-4a-12=0
른 세 점에서 만난다. 즉, x축과 접하지 않으므로 ∴ a=-2 또는 a=6
a=b ㈁ xÛ`-ax+(a+3)=0이 x=0을 한 근으로 가
∴ f(x)=-x(x-a)Û` 지는 경우
a+3=0   ∴ a=-3
Ü f '(x)=0이 삼중근을 갖는 경우는 없다.
148 Ú~Ü에서 f(x)가 극솟값을 갖지 않도록 하는 실수
먼저 f(x)가 극솟값을 가질 조건을 구한 후 그 조건을 a의 값의 범위는 a=-3 또는 -2ÉaÉ6
부정하면 된다.
f(x)=-3xÝ`+4axÜ`-6(a+3)xÛ`-1에서
f '(x)‌=-12xÜ`+12axÛ`-12(a+3)x 149
=-12x{xÛ`-ax+(a+3)} f(x)=xÜ`-3x에서
f(x)가 극솟값을 가지려면 삼차방정식 f '(x)=0이 f '(x)=3xÛ`-3=3(x+1)(x-1)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1

연습문제·실력 UP 10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P(x)는 x=40에서 최대이므로 이익을 최대
로 하기 위해 하루에 생산해야 할 A제품은 40개이다.
x y -1 y 1 y
 답 40
f '(x) + 0 - 0 +
2 -2
f(x) ↗
극대

극소

151
정삼각기둥의 밑면의 한 변의 Y
ㄱ. ‌f(x)는 x=-1에서 극댓값 2, x=1에서 극솟값
길이는 15-2x이므로
-2를 갖는다. (참)
15-2x>0 Y
ㄴ. ‌f(2)=8-6=2이고, f(x)는 반닫힌 구간 ± Y
[1, ¦)에서 증가하므로 x¾2이면 ∴ 0<x<:Á2°: Y
Y
Y UBO ± ±
f(x)¾f(2)=2이다. (참) 또한 정삼각기둥의 높이는
ㄷ. ‌닫힌구간 [-2,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 x
x´tan`30ù= 이므로 정삼각기둥의 부피를 V(x)
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3
라 하면
x -2 y -1 y 1 y 2 '3 x
V(x)= (15-2x)Û`´
f '(x) + 0 - 0 + 4 '3
2 -2 =;4{;(15-2x)Û`
f(x) -2 ↗ ↘ ↗ 2
극대 극소
=;4!;(4xÜ`-60xÛ`+225x)
따라서 -2ÉxÉ2일 때, f(x)의 최댓값은 2, 최
솟값은 -2이므로 |x|É2이면 | f(x)|É2이다. V'(x)=;4!;(12xÛ`-120x+225)
 (참)
=;4#;(4xÛ`-40x+75)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답 ㄱ, ㄴ, ㄷ

=;4#;(2x-5)(2x-15)

V'(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150 x=;2%; {∵ 0<x<:Á2°:}
하루에 A제품 x`(x>0)개를 판매하여 얻은 이익을
P(x)(원)이라 하면 0<x<:Á2°:에서 함수 V(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
P(x)‌=1200x-f(x) 타내면 다음과 같다.
=1200x-(xÜ`-60xÛ`+1200x+5000)
=-xÜ`+60xÛ`-5000 x 0 y ;2%; y :Á2°:

P'(x)=-3xÛ`+120x=-3x(x-40) V'(x) + 0 -
P'(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x=40 V{;2%;}
V(x) ↗ ↘
x>0에서 함수 P(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극대
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V(x)는 x=;2%;에서 최대가 되므로 정삼각기
x 0 y 40 y
P'(x) + 0 - 둥의 부피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x의 값은 ;2%;이다.
P(40)
P(x)
답 ;2%;
↗ ↘
극대 

102 Ⅱ. 미분
152 =
1
'2
(tÛ`+2t+3)|t-2| (∵ tÛ`+2t+3>0)
h(x)=f(x)-g(x)로 놓으면 1
ㄱ. ‌세 함수 y= , y=tÛ`+2t+3, y=|t-2|는 실
h(0)=f(0)-g(0)=0 '2
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g(t)는 실수
또한 h'(x)=f '(x)-g '(x)>0이므로 h(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참)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는 함수이다.
ㄴ. t>2일 때,
따라서 x>0이면 h(x)>h(0), 즉
1 1
f(x)-g(x)>0   ∴ f(x)>g(x) g(t)= (tÛ`+2t+3)(t-2)= (tÜ`-t-6)
'2 '2
따라서 참인 것은 ② f(1)>g(1)이다. 답 ②
이므로
1
g '(t)= (3tÛ`-1)>0
153 '2
t<2일 때,
f(x)=;3!;xÜ`+2xÛ`+5|x-2a|+1에서

연습문제
실력
1
g(t)= (tÛ`+2t+3)(-t+2)
x>2a일 때, '2
1 U
f(x)=;3!;xÜ`+2xÛ`+5(x-2a)+1 =
'2
(-tÜ`+t+6)
P

f '(x)=xÛ`+4x+5=(x+2)Û`+1>0 이므로
x<2a일 때, 1
g '(t)= (-3tÛ`+1)
'2
f(x)=;3!;xÜ`+2xÛ`-5(x-2a)+1 1
= ('3t+1)(-'3t+1)
f '(x)=xÛ`+4x-5=(x+5)(x-1) '2
g '(t)=0을 만족시키는 t의 값은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해야 하므로
1 1
x<2a에서 f '(x)¾0이어야 한다. t=- 또는 t=
'3 '3
(x+5)(x-1)<0인 x의 값 Z
함수 g(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의 범위가 -5<x<1이므로 같다.
2aÉ-5   ∴ aÉ-;2%;
1 1
t y - y y 2 y
 '3 '3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2%; 
 g '(t) - 0 + 0 - +
B  0  Y
이다. 답 -;2%; g(t) ↘ 극소 ↗ 극대 ↘ ↗


 1
‌따라서 함수 g(t)는 t=- 에서 0이 아닌
ZG  Y

'3
극솟값 g {- }을 갖는다. (참)
1

'3
154
g(t)-g(2)
점 (t, tÜ`)과 직선 x-y+6=0 사이의 거리 g(t)는 ㄷ. lim
t`Ú2+ t-2
|t-tÜ`+6| 1 1
g(t)= = |-tÜ`+t+6| (tÛ`+2t+3)(t-2)
"Ã1Û`+(-1)Û` '2 = lim '2
t`Ú2+ t-2
1
= |-(t-2)(tÛ`+2t+3)|
'2 = lim [
1
(tÛ`+2t+3)]=
11
t`Ú2+ '2 '2
1
= |(t-2)(tÛ`+2t+3)|
'2

연습문제·실력 UP 103
lim
g(t)-g(2) 156
t-2
C{;2!;, ;2!;}, D{;2!;, ;2#;}
t`Ú2-
Z ZY™
1 " % +
(tÛ`+2t+3)(-t+2)
= lim '2 이고, 정사각형 EFGH & )
t`Ú2- t-2 #  $
의 두 대각선의 교점의 * U U™

= lim [-
1
(tÛ`+2t+3)] ' (
t`Ú2- '2 좌표를 (t, tÛ`)(t>0)이 0 Y
11 라 하면
=-
'2
g(t)-g(2) g(t)-g(2) E{t-;2!;, tÛ`+;2!;}, F{t-;2!;, tÛ`-;2!;}
따라서 lim + lim 이
t`Ú2+ t-2 t`Ú2- t-2
BCÓ와 EFÓ의 교점을 I, EHÓ와 CDÓ의 교점을 J라 하면
므로 함수 g(t)는 t=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거짓) EJÓ=;2!;-{t-;2!;}=1-t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 ③
EIÓ={tÛ`+;2!;}-;2!; =tÛ`

따라서 직사각형 EICJ의 넓이를 f(t)라 하면

155 f(t)‌=EJÓ´EIÓ=(1-t)tÛ`
=-tÜ`+tÛ`
xÛ`+3yÛ`=9에서 yÛ`=;3!;(9-xÛ`)¾0
f '(t)=-3tÛ`+2t=-t(3t-2)
xÛ`-9É0, (x+3)(x-3)É0  
f '(t)=0을 만족시키는 t의 값은 t=;3@; (∵ t>0)
∴ -3ÉxÉ3
t>0에서 함수 f(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또한,
다음과 같다.
xÛ`+xyÛ`=xÛ`+x´;3!;(9-xÛ`)
t 0 y ;3@; y
xÛ`+xyÛ`=-;3!;xÜ`+xÛ`+3x
f '(t) + 0 -
이므로 f(x)=-;3!;xÜ`+xÛ`+3x로 놓으면
;2¢7;
f(t) ↗ ↘
f '(x)=-xÛ`+2x+3
극대
=-(x+1)(x-3)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3 따라서 f(t)는 t=;3@;에서 최댓값 ;2¢7; 를 가지므로 구
-3ÉxÉ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
하는 넓이의 최댓값은 ;2¢7;이다. 답 ①
타내면 다음과 같다.

x -3 y -1 y 3
f '(x) - 0 + 157
xÜ`+3xÛ`-9x+4-k=0에서
-;3%;
f(x) 9 ↘ ↗ 9 xÜ`+3xÛ`-9x+4=k yy`㉠
극소
f(x)=xÜ`+3xÛ`-9x+4로 놓으면
따라서 f(x)는 x=-1에서 최솟값 -;3%; 를 가지므로 f '(x)=3xÛ`+6x-9=3(x+3)(x-1)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3 또는 x=1
xÛ`+xyÛ`의 최솟값은 -;3%;이다. 답 -;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04 Ⅱ. 미분
x y -3 y 1 y -25<a<7

f '(x) + 0 - 0 + 따라서 자연수 a의 최댓값은 6이다. 답 6

31 -1
f(x) ↗ ↘ ↗
극대 극소
159
방정식 ㉠의 서로 다른 Z ZYš Y™ Y  xÜ`-27x-a=0에서 xÜ`-27x=a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f(x)=xÜ`-27x로 놓으면
y=f(x), y=k의 그래 f '(x)=3xÛ`-27=3(x+3)(x-3)
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 ZL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3 또는 x=3
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0
따라서 두 함수  Y
 x y -3 y 3 y
y=f(x), y=k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
f '(x) + 0 - 0 +

연습문제
실력
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면 -1<k<31
54 -54
따라서 정수 k는 0, 1, 2, y, 29, 30의 31개이다. f(x) ↗ ↘ ↗
극대 극소 U
 답 ② P
따라서 두 함수 y=f(x), Z
ZYš Y
y=a의 그래프의 교점의 x 

158 좌표가 한 개는 음수, 두 개


 0

Y
두 곡선 y=xÜ`-2xÛ`-6x+2, y=xÛ`+3x+a의 교 는 서로 다른 양수가 되도록 ZB

점의 개수는 방정식 xÜ`-2xÛ`-6x+2=xÛ`+3x+a,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즉 구하면

xÜ`-3xÛ`-9x+2=a yy`㉠ -54<a<0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와 같다. 따라서 정수 a는 -53, -52, -51, y, -1의 53개

f(x)=xÜ`-3xÛ`-9x+2로 놓으면 이다. 답 53

f '(x)=3xÛ`-6x-9=3(x+1)(x-3)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3 160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곡선 y=xÜ`-6xÛ`+9x-a와 x축의 교점의 개수는 방
x y -1 y 3 y 정식 xÜ`-6xÛ`+9x-a=0, 즉
f '(x) + 0 - 0 + xÜ`-6xÛ`+9x=a yy`㉠
7 -25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와 같다.
f(x) ↗ ↘ ↗
극대 극소 f(x)=xÜ`-6xÛ`+9x로 놓으면

Z
f '(x)‌=3xÛ`-12x+9=3(x-1)(x-3)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3
수는 두 함수 y=f(x), y=a의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0 Y

따라서 두 함수 y=f(x), y=a x y 1 y 3 y


ZB
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세 점에 f '(x) + 0 - 0 +
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4 0
 f(x) ↗ ↘ ↗
범위를 구하면 ZYš Y™ Y  극대 극소

연습문제·실력 UP 105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 Z ZYš Y™ Y 따라서 f(x)는 x=1에서 최솟값 -11+k를 가지므
의 개수는 두 함수 y=f(x), 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0이 성립하려면
 ZB
y=a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 f(1)=-11+k¾0   ∴ k¾11
수와 같다. 따라서 실수 k의 최솟값은 11이다. 답 11
0   Y
따라서 두 함수 y=f(x),
y=a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은 a=4 또는 a=0이므로
162
양수 a의 값은 a=4 답 4
xÜ`+a¾6xÛ`+15x에서
다른풀이 f(x)=xÜ`-6xÛ`+9x-a로 놓으면
xÜ`-6xÛ`-15x+a¾0
f '(x)‌=3xÛ`-12x+9=3(x-1)(x-3)
f(x)=xÜ`-6xÛ`-15x+a로 놓으면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3
f '(x)=3xÛ`-12x-15=3(x+1)(x-5)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5
x y 1 y 3 y x>0일 때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f '(x) + 0 - 0 + 다음과 같다.
4-a -a
f(x) ↗ ↘ ↗ x 0 y 5 y
극대 극소
f '(x) - 0 +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4-a, x=3에 -100+a
f(x) ↘ ↗
서 극솟값 -a를 갖는다. 극소
f(x)가 극값을 가질 때,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따라서 x>0일 때, f(x)는 x=5에서 최솟값
다른 두 실근을 가질 필요충분조건은 함수 y=f(x)의
-100+a를 가지므로 x>0일 때 f(x)¾0이 항상
그래프가 x축에 접하는 것이므로
성립하려면
(극댓값)_(극솟값)=0
f(5)=-100+a¾0   ∴ a¾100
-a(4-a)=0   ∴ a=0 또는 a=4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100이다. 답 100
∴ a=4`(∵ a>0)

161 163
xÝ`+3xÜ`+k¾-xÜ`+16x에서 -1<x<1일 때 f(x)¾g(x), 즉 f(x)-g(x)¾0
xÝ`+4xÜ`-16x+k¾0 이 항상 성립해야 하므로 h(x)=f(x)-g(x)로 놓고
f(x)=xÝ`+4xÜ`-16x+k로 놓으면 h(x)=(4xÜ`-2xÛ`-4x+3)-(xÛ`+2x+a)
f '(x)‌=4xÜ`+12xÛ`-16=4(x+2)Û`(x-1) =4xÜ`-3xÛ`-6x+3-a¾0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2 또는 x=1 임을 보이면 된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h'(x)=12xÛ`-6x-6=6(2x+1)(x-1)
h'(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 y -2 y 1 y
f '(x) - 0 - 0 + x=-;2!; 또는 x=1
-11+k -1ÉxÉ1일 때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
f(x) ↘ 16+k ↘ ↗
극소 타내면 다음과 같다.

106 Ⅱ. 미분
x -1 y -;2!; y 1 165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
h'(x) + 0 -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Á4»:-a
h(x) 2-a ↗ ↘ -2-a x y a y b y c y
극대
f '(x) - 0 + 0 - 0 +

따라서 -1ÉxÉ1일 때, h(x)는 x=1에서 최솟값 -2 2 1


f(x) ↘ ↗ ↘ ↗
극소 극대 극소
-2-a를 가지므로 -1<x<1일 때 h(x)¾0이 성
립하려면 따라서 함수 y=f(x) Z
ZG Y

h(1)=-2-a¾0 의 그래프의 개형은 오


 Z
∴ aÉ-2 답 aÉ-2 른쪽 그림과 같다. 
B
방정식 f(x)-;2#;=0, 0C D Y

연습문제
실력


164 즉 f(x)=;2#;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U


P
방정식 2xÜ`-6ax-3a=0, 즉 2xÜ`-6ax=3a가 한
y=f(x), y=;2#;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개의 실근과 두 개의 허근을 가지므로 두 함수
y=2xÜ`-6ax, y=3a의 그래프의 교점은 한 개뿐이다. 4이다. 답 4

g(x)=2xÜ`-6ax로 놓으면
g '(x)=6xÛ`-6a=6(xÛ`-a)
g(x)의 극값이 존재하므로 a>0
166
f(x)=g(x)에서 f(x)-g(x)=0
g '(x)=6(x+'a)(x-'a)=0을 만족시키는 x의
(3xÜ`-xÛ`-3x)-(xÜ`-4xÛ`+9x+a)=0
값은 x=-'a 또는 x='a
2xÜ`+3xÛ`-12x=a yy`㉠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h(x)=2xÜ`+3xÛ`-12x로 놓으면
x y -'a y 'a y h'(x)‌=6xÛ`+6x-12=6(x+2)(x-1)
g '(x) + 0 - 0 + h'(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2 또는 x=1
4a'a -4a'a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g(x) ↗ ↘ ↗
극대 극소
x y -2 y 1 y
따라서 두 함수 y=g(x), Z ZH Y

h'(x) + 0 - 0 +
ZB BB
y=3a의 그래프가 한 점에서만
20 -7
B h(x) ↗ ↘ ↗
만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Y 극대 극소
B 0
범위를 구하면
BB 방정식 ㉠의 실근은 두 함수 Z
3a<-4a'a 또는 3a>4a'a 
y=h(x), y=a의 교점의 x좌
그런데 a>0이므로 3a>4a'a ZI Y

표와 같다.
3>4'a, 9>16a  
따라서 교점의 x좌표가 두 개는
∴ 0<a<;1»6; (∵ a>0) 답 0<a<;1»6; 0 
서로 다른 양수, 한 개는 음수가  Y
ZB
참고 함수 f(x)의 극값이 존재하므로 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 
g(x)=f(x)+3a의 극값도 존재한다. 위를 구하면

연습문제·실력 UP 107
-7<a<0 ㄱ. 0<x<2에서
‌ h(x)는 감소한다. (참)
따라서 정수 a는 -6, -5, -4, -3, -2, -1의 6 ㄴ. h(x)는
‌ x=2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참)
개이다. 답 6 ㄷ. h(x)는
‌ x=0에서 극댓값 0 Z ZI Y

을 가지므로 y=h(x)의 그
0 
래프는 x=0에서 x축에 접 Y
167 한다.
f(x)=2xÜ`+3xÛ`+k로 놓으면 따라서 방정식 h(x)=0은
f '(x)=6xÛ`+6x=6x(x+1) 중근과 다른 한 실근, 즉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1 또는 x=0 다. (거짓)
xÉ-1일 때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 ③
내면 다음과 같다.

x y -1 169
f '(x) +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를 v라 하면
f(x) ↗ 1+k dx
v= =9-tÛ`
dt
x<-1일 때 f '(x)>0이므로 
Y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속도는 0이므로 v=0
함수 f(x)는 반닫힌 구간
에서
(-¦, -1]에서 증가한다.
9-tÛ`=0, (3+t)(3-t)=0
따라서 xÉ-1일 때, f(x)는 ZG Y

∴ t=3`(∵ t>0)
x=-1에서 최댓값 1+k를
따라서 t=3에서의 점 P의 위치는
가지므로 x<-1일 때 f(x)<0이 항상 성립하려면
27-9=18 답 18
f(-1)=1+kÉ0   ∴ kÉ-1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은 -1이다. 답 -1
170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를 v, 가속도를 a라 하면
168 v=
dx
=3tÛ`-14t+12, a=
dv
=6t-14
dt dt
주어진 그래프에서 f '(0)=g '(0), f '(2)=g '(2)이
점 P가 원점을 지나면 x=0이므로
므로 h'(x)=f '(x)-g '(x)=0을 만족시키는 x의
x=tÜ`-7tÛ`+12t=0에서
값은 x=0 또는 x=2
t(t-3)(t-4)=0
x<0 또는 x>2에서 f '(x)>g '(x)
∴ t=0 또는 t=3 또는 t=4
0<x<2에서 g '(x)>f '(x)
따라서 점 P가 출발한 후 마지막으로 원점을 통과하는
h(0)=f(0)-g(0)=0
것은 t=4일 때이므로 t=4에서의 점 P의 가속도는
따라서 h'(x)=f '(x)-g'(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
6´4-14=10 답 10
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0 y 2 y
h '(x) + 0 - 0 +
171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를 v라 하면
0 h(2)
h(x) ↗ ↘ ↗ dx
극대 극소 v= =-2t+4
dt

108 Ⅱ. 미분
t=a에서 점 P의 속도가 0이므로 -2a+4=0 에 도달한다.   ∴ a=1
∴ a=2 답 ② 그때 장난감 로켓의 최고 높이는
20+10´1-5´1Û`=25(m)   ∴ b=25
∴ a+b=1+25=26 답 26
172 다른풀이 x=-5tÛ`+10t+20=-5(t-1)Û`+25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를 v라 하면
x는 t=1에서 최댓값 25를 가지므로 장난감 로켓은
dx
v= =3tÛ`-9t+6=3(t-1)(t-2) 쏘아 올린 후 1초만에 최고 높이 25`m에 도달한다.
dt
v=0을 만족시키는 t의 값은 t=1 또는 t=2 ∴ a=1, b=25
함수 x(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 ∴ a+b=1+25=26
다.

t 0 y 1 y 2 y 174

연습문제
실력
v(t) + 0 - 0 + 공이 지면에 닿는 순간의 높이는 0이므로 x=0에서
50+15t-5tÛ`=0, -5(t+2)(t-5)=0
;2%; 2 U
x(t) ↗ ↘ ↗ ∴ t=5 (∵ t>0) P
극소
극대
따라서 공이 다시 지면에 닿는 것은 공을 위로 던진 지
ㄱ. ‌점 P가 출발할 때의 속도는 t=0에서의 속도이므 5초가 지난 후이다.
로 6이다. (참) t초 후의 공의 속도를 v라 하면
ㄴ. ‌점 P는 속도가 양(+)이면 수직선의 양의 방향, dx
v= =15-10t
속도가 음(-)이면 수직선의 음의 방향으로 움직인 dt
이므로 5초 후의 공의 속도는
다. t=1과 t=2에서 속도의 부호가 각각 한 번씩
15-10´5=-35(m/s)
바뀌므로 점 P는 운동 방향을 두 번 바꾼다. (참)
∴ k=-35 답 -35
‌ `-;2(;tÛ`+6t(t¾0)의
ㄷ. x=tÜ Y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175
같이 t>0에서 원점과 만
 속도 v(t)의 부호가 바뀌는 시각 t에서 점 P의 운동
나지 않는다. 즉, 점 P는
방향이 바뀐다.
출발 후 원점을 다시 지나
U W U

지 않는다. (거짓) 0  
E F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 ㄱ, ㄴ 0 B C  D   U

173 따라서 그림에서 속도 v(t)의 부호가 바뀌는 시각은


t=b, t=c, t=d이므로 점 P의 운동 방향은 3번 바
t초 후의 로켓의 속도를 v라 하면
뀐다. 답 3번
dx
v= =10-10t
dt
장난감 로켓이 최고 높이에 도달하는 순간의 속도는 0
176
이므로 v=0에서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를 v라 하면
10-10t=0   ∴ t=1
dx
v= =tÛ`-8t+10=(t-4)Û`-6
따라서 장난감 로켓은 쏘아 올린 후 1초만에 최고 높이 dt

연습문제·실력 UP 109
0ÉtÉ5일 때, v는 t=4에서 최솟값 -6, 179
t=0에서 최댓값 10을 가지므로 -6ÉvÉ10 수면의 높이가 매분 1`m씩 올라가 AN
0
따라서 점 P의 속력 |v|의 최댓값은 10이다. 답 10
므로 t분 후의 수면의 높이는 t`m이
다른풀이 |v|=|(t-4)Û`-6| " #
고, 이때의 수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SAN
오른쪽 그림과 같이 ]W]
r`m라 하면 오른쪽 그림의 직각삼



0ÉtÉ5일 때, |v|는 t=0에서 0
각형 OAB에서 
 U
최댓값 10을 갖는다. 
(5-t)Û`+rÛ`=5Û`
U #
따라서 점 P의 속력 |v|의 최댓 rÛ`=25-(25-10t+tÛ`) " S
0   U
값은 10이다. ∴ rÛ`=10t-tÛ`

 따라서 t분 후의 수면의 넓이를 S`mÛ`이라 하면
S=prÛ`=p(10t-tÛ`)
dS
∴ =p(10-2t)
dt
177 따라서 물을 넣기 시작한 지 2분 후의 수면의 넓이의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각각 vP, vQ라 하면 변화율은
vP=P'(t)=tÛ`+4 p(10-2´2)=6p(mÛ`/min)
vQ=Q'(t)=4t ∴ a=6 답 6
두 점 P, Q의 속도가 같아지는 순간은 vP=vQ에서
tÛ`+4=4t, tÛ`-4t+4=0
(t-2)Û`=0   ∴ t=2
t=2일 때, 두 점 P, Q의 위치는 각각
180
t초 후 수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ADN
P(2)=;3!;´2Ü`+4´2-;3@;=10
r`cm, 수면의 높이를 h`cm라
Q(2)=2´2Û`-10=-2 하면 h=2t yy`㉠
따라서 t=2일 때, 두 점 P, Q 사이의 거리는 이고,
ADN SADN
10-(-2)=12 답 12 6:24=r:h

∴ r=;4H; IADN

따라서 t초 후의 물의 부피를 V`cmÜ`라 하면


178 p
V=;3!;prÛ`h=;3!;p´{;4H;}Û`´h= hÜ`
수직선 위의 점은 속도가 양(+)이면 양의 방향, 속도 48
가 음(-)이면 음의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두 점 P와 p p
= ´(2t)Ü`= tÜ` (∵ ㉠)
48 6
Q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은 속도의 부호
dV p
가 다르다는 뜻이다. ∴ = tÛ`
dt 2
점 P의 속도는 f '(t)=4t-2, 점 Q의 속도는 수면의 높이가 8`cm이면 h=8이므로
g '(t)=2t-8이므로 두 점의 속도의 부호가 반대인 8=2t   ∴ t=4
시각 t의 범위는 따라서 t=4일 때의 물의 부피의 변화율은
(4t-2)(2t-8)<0, 4(2t-1)(t-4)<0 p
´4Û`=8p`(cmÜ`/s)
2
∴ ;2!;<t<4 답 ①
∴ k=8 답 8

110 Ⅱ. 미분
∴ fÁ(2)-fª(-1)
Ⅲ. 적분 =(2´2Û`-2+1)-{2´(-1)Û`-(-1)}
=7-3=4 답 4

181
함수 F(x)=2xÜ`+axÛ`+3bx가 함수 f(x)의 부정적 184
분 중 하나이므로 xÜ` 1
f(x)=: `dx+: `dx
f(x)=F'(x)=(2xÜ`+axÛ`+3bx)' 1-x x-1
xÜ`-1
=6xÛ`+2ax+3b =: `dx=-:`(xÛ`+x+1)dx
1-x
f(0)=-3에서 3b=-3   ∴ b=-1
=-{;3!;xÜ`+;2!;xÛ`+x}+C
f '(x)=12x+2a이므로 f '(1)=0에서
12+2a=0   ∴ a=-6 이때 f(0)=1이므로 C=1

연습문제
실력
∴ a+b=-6+(-1)=-7 답 -7 따라서 f(x)=-;3!;xÜ`-;2!;xÛ`-x+1이므로

182 f(2)=-;3!;´2Ü`-;2!;´2Û`-2+1 U

:`(2x-1)f '(x)dx=2xÜ`+;2!;xÛ`-2x+3의 양변을
P

=-:Á3¦: 답 -:Á3¦: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x-1)f '(x)=6xÛ`+x-2=(2x-1)(3x+2)
∴ f '(x)=3x+2
185
f '(x)=6xÛ`+4이므로
∴ f(x)=: f '(x)dx=:`(3x+2)dx
f(x)=: f '(x)dx=:`(6xÛ`+4)dx
=;2#;xÛ`+2x+C =2xÜ`+4x+C

이때 f(-1)=;2!;이므로 한편, 함수 y=f(x)의 그래프가 점 (0, 6)을 지나므


로 f(0)=6
;2#;-2+C=;2!;   ∴ C=1 즉, f(0)=C=6
따라서 f(x)=2xÜ`+4x+6이므로
따라서 f(x)=;2#;xÛ`+2x+1이므로
f(1)=2+4+6=12 답 12
f(2)=;2#;´2Û`+2´2+1=11 답 11

186
183
f(x)=2xÛ`-x이므로 f(x)=: f '(x)dx=:`(12xÛ`-4x+a)dx

fÁ(x)=: [
d =4xÜ`-2xÛ`+ax+C
`f(x)]dx=f(x)+C
dx
이때 f(x)가 xÛ`-3x+2=(x-1)(x-2)로 나누어
=2xÛ`-x+C
떨어지므로
이때 fÁ(1)=2이므로
f(1)=0에서 4-2+a+C=0 yy`㉠
2-1+C=2   ∴ C=1
f(2)=0에서 32-8+2a+C=0 yy`㉡
∴ fÁ(x)=2xÛ`-x+1

[ : f(x)dx]=2xÛ`-x
㉡-㉠을 하면 22+a=0
d
또한, fª(x)= ∴ a=-22 답 -22
dx

연습문제·실력 UP 111
187 참고 y=f '(x)의 그래프가 오 극소 극대
른쪽 그림과 같이 주어졌을 때,  B C  Y
곡선 y=f(x) 위의 임의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2x+1에 정비례하므로 f(x)는 x=a에서 극솟값을 갖 ZG Y

f '(x)=k(2x+1)`(k+0)로 놓으면 고, x=b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f(x)=: f '(x)dx

=: k(2x+1)dx 190
=kxÛ`+kx+C f(x)=: xg(x)d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곡선 y=f(x)는 두 점 (0, -1), (1, 3)을 지나므로
f '(x)=xg(x) yy`㉠
f(0)=C=-1, f(1)=k+k+C=3
∴ C=-1, k=2 d
{ f(x)-g(x)}=4xÜ`+2x에서
dx
∴ f(x)=2xÛ`+2x-1 답 f(x)=2xÛ`+2x-1
f '(x)-g'(x)=4xÜ`+2x yy`㉡
㉠을 ㉡에 대입하면
188 xg(x)-g'(x)=4xÜ`+2x yy`㉢
f(x)=: (2xÛ`-3)d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즉, g(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4인 이차함수이므로
g(x)=4xÛ`+ax+b`(a, b는 상수)로 놓으면
f '(x)=2xÛ`-3
g'(x)=8x+a
`f(xÛ`)-f(1)
∴ lim  ㉢에서 x(4xÛ`+ax+b)-(8x+a)=4xÜ`+2x
x`Ú 1 x-1
`f(xÛ`)-f(1) 4xÜ`+axÛ`+(b-8)x-a=4xÜ`+2x
=lim[ ´(x+1)]
x`Ú 1 xÛ`-1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2f '(1)=2(2-3)=-2 답 -2
a=0, b-8=2   ∴ a=0, b=10
따라서 g(x)=4xÛ`+10이므로
189 g(1)=4+10=14 답 ⑤
f '(x)=0의 두 근이 -1, 0이므로
f '(x)=ax(x+1)=axÛ`+ax`(a<0)로 놓으면

f(x)=: f '(x)dx 191


d
{ f(x)+g(x)}=2x+1의 양변을 x에 대하여
=: (axÛ`+ax)dx dx
적분하면
=;3A;xÜ`+;2A;xÛ`+C f(x)+g(x)=xÛ`+x+CÁ
a<0이므로 f(x)는 x=-1에서 극솟값을 갖고,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x=0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f(0)+g(0)=CÁ에서 CÁ=2-1=1
∴ f(-1)=-1, f(0)=1 d
{ f(x)g(x)}=3xÛ`-2x+2의 양변을 x에 대하
dx
즉, f(-1)=-;3A;+;2A;+C=-1, f(0)=C=1 여 적분하면
∴ a=-12, C=1 f(x)g(x)=xÜ`-xÛ`+2x+Cª
∴ f(x)=-4xÜ`-6xÛ`+1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답 f(x)=-4xÜ`-6xÛ`+1 f(0)g(0)=Cª에서 Cª=2´(-1)=-2

112 Ⅲ. 적분
∴ f(x)+g(x)=xÛ`+x+1 CÁ=3, Cª=3을 ㉠에 대입하면
f(x)g(x)=xÜ`-xÛ`+2x-2 xÜ`+x+3 (x¾1)
f(x)=[ 
=(x-1)(xÛ`+2) 2xÛ`+3 (x<1)
 f(x)=x-1  f(x)=xÛ`+2 ∴ f(2)=2Ü`+2+3=13 답 13
∴ [  또는 [ 
g(x)=xÛ`+2 g(x)=x-1
이때 f(0)=2, g(0)=-1이므로
f(x)=xÛ`+2, g(x)=x-1
194
∴ f(2)+g(1)=6+0=6 답 6
f(x)=:`(x+1)(xÛ`+2x+4)dx의 양변을 x에 대

하여 미분하면
f '(x)=(x+1)(xÛ`+2x+4)
192 `f(1+h)-f(1-h)

연습문제
실력
∴ lim 
f(x)=:`(1+2x+3xÛ`+ y +nx n-1
)dx h`Ú 0 h
{ f(1+h)-f(1)}-{ f(1-h)-f(1)}
=x+xÛ`+xÜ`+ y +xn+C =lim  U
h`Ú 0 h P
이때 f(0)=1이므로 C=1 `f(1+h)-f(1) `f(1-h)-f(1)
=lim  +lim 
또한, f(1)=4이므로 h`Ú 0 h h`Ú 0 -h
=f '(1)+f '(1)=2f '(1)
f(1)=1+1+1+y+1+C=4
=2(1+1)(1+2+4)=28 답 28
(
|
{
|
9

n개
즉, n+1=4이므로 n=3
따라서 f(x)=1+x+xÛ`+xÜ`이므로
f(2)=1+2+2Û`+2Ü`=15 195
∴ n+f(2)=3+15=18 답 18
=1에서 x Ú 2일 때 (분자) Ú 0이고 극
`f(x)
lim 
x`Ú 2 x-2

한값이 존재하므로 (분모) Ú 0이다.


즉, lim`f(x)=0이고 f(x)는 연속함수이므로
193 x`Ú 2

3xÛ`+1 (x¾1) f(2)=0 yy`㉠


f '(x)=[  이므로 `f(x) `f(x)-f(2)
4x (x<1) lim  =lim  =f '(2)
x`Ú 2 x-2 x`Ú 2 x-2
xÜ`+x+CÁ (x¾1)
f(x)=[   yy`㉠ f '(2)=16+k=1이므로 k=-15
`2xÛ`+Cª (x<1)
따라서 f '(x)=8x-15이므로
이때 f(0)=3에서 0+Cª=3   ∴ Cª=3
한편,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 f(x)=: f '(x)dx

므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 (8x-15)dx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4xÛ`-15x+C
lim `f(x)= lim `f(x)
x`Ú 1+ x`Ú 1-
㉠에서 f(2)=0이므로
즉, lim (xÜ`+x+CÁ)= lim (2xÛ`+Cª)
x`Ú 1+ x`Ú 1- 16-30+C=0   ∴ C=14
1+1+CÁ=2+Cª, 2+CÁ=2+3 따라서 f(x)=4xÛ`-15x+14이므로
∴ CÁ=3 f(1)=4-15+14=3 답 3

연습문제·실력 UP 113
196 ∴ f(x)=: f '(x)dx=: (24xÛ`-18x)dx

f '(x)=axÛ`-3x-6이고 =8xÜ`-9xÛ`+C

f(x)가 x=-1에서 극댓값 :Á2Á: 을 가지므로 이때 f(1)=0이므로


8-9+C=0   ∴ C=1
f '(-1)=0, f(-1)=:Á2Á: ∴ f(x)=8xÜ`-9xÛ`+1
f '(-1)=a+3-6=0   ∴ a=3 f '(x)=24xÛ`-18x=6x(4x-3)이므로
∴ f '(x)=3xÛ`-3x-6=3(x+1)(x-2) f '(x)=0에서 x=0 또는 x=;4#;
f '(x)=0에서 x=-1 또는 x=2이므로 f(x)의 증
닫힌구간 [-1, 1]에서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나타내면
x y -1 y 2 y
x -1 y 0 y ;4#; y 1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f '(x) + 0 - 0 +

1 -;1!6!;
따라서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갖고, x=2에 f(x) -16 ↗ ↘ ↗ 0
극대 극소
서 극솟값을 갖는다.
한편, 따라서 닫힌구간 [-1, 1]에서 함수 f(x)는 x=0일
f(x)=: f '(x)dx 때 최댓값 1, x=-1일 때 최솟값 -16을 갖는다.
∴ M=1, m=-16
=: (3xÛ`-3x-6)dx
∴ M-m=17 답 17

=xÜ`-;2#;xÛ`-6x+C
198
에서 f(-1)=:Á2Á:이므로 f(x+y)=f(x)+f(y)+xy의 양변에 x=0, y=0
을 대입하면
f(-1)=-1-;2#;+6+C=:Á2Á:   ∴ C=2
f(0+0)=f(0)+f(0)+0   ∴ f(0)=0
즉, f(x)=xÜ`-;2#;xÛ`-6x+2이므로 f(x)의 극솟값은 f '(0)=3이므로
`f(0+h)-f(0)
f(2)=2Ü`-;2#;´2Û`-6´2+2=-8 f '(0)=lim 
h`Ú 0 h
 답 a=3, 극솟값: -8 `f(h)
=lim  =3
h`Ú 0 h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f '(x)를 구하면
197 `f(x+h)-f(x)
F(x)=xf(x)-6xÜ`(x-1) f '(x)=lim 
h`Ú 0 h
=xf(x)-6xÝ`+6xÜ` `f(x)+f(h)+xh-f(x)
=lim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h`Ú 0 h
F'(x)=f(x)+xf '(x)-24xÜ`+18xÛ` `f(h)
=x+lim 
h`Ú 0 h
f(x)의 한 부정적분이 F(x)이므로
=x+3
F'(x)=f(x)
∴ f(x)=: (x+3)dx=;2!;xÛ`+3x+C
f(x)=f(x)+xf '(x)-24xÜ`+18xÛ`
xf '(x)=24xÜ`-18xÛ`, f '(x)=24xÛ`-18x 이때 f(0)=0이므로 C=0

114 Ⅲ. 적분
따라서 f(x)=;2!;xÛ`+3x이므로 =:_0!`(xÛ`+x+1)dx-:!0 (xÛ`+x+1)dx

f(-2)=;2!;´(-2)Û`+3´(-2)=-4 답 -4 =:_0!`(xÛ`+x+1)dx+:)1 (xÛ`+x+1)dx

=:_1!`(xÛ`+x+1)dx=2:)1 (xÛ`+1)dx
199
f(x)=6xÛ`+2ax이므로 =2[;3!;xÜ`+x]1)=;3*;

:)1 f(x)dx=:)1 (6xÛ`+2ax)dx ⑶ (주어진 식)

=:_3!`(2x-1)dx+:!2 (2x-1)dx
=[2xÜ`+axÛ`]1)=2+a

f(1)=6+2a  +:#1 (2x-1)dx

그런데 :)1 f(x)dx=f(1)이므로 =:_3!`(2x-1)dx+:#1 (2x-1)dx

연습문제
실력
2+a=6+2a   ∴ a=-4 답 -4
 +:!2 (2x-1)dx

=:_2!`(2x-1)dx
U

200 P

:_1@`(-3xÛ`+4kx-2)dx =[xÛ`-x]2_!=0

=[-xÜ`+2kxÛ`-2x]1_@ 답 ⑴ 0  ⑵ ;3*;  ⑶ 0

=(-1+2k-2)-(8+8k+4)
=-15-6k
202
:)2 f(x)dx=:)1 (xÛ`+4)dx+:!2 (2x+3)dx
즉, -15-6k<3에서 6k>-18
∴ k>-3
따라서 정수 k의 최솟값은 -2이다. 답 -2
=[;3!;xÜ`+4x]1)+[xÛ`+3x]2!

=:Á3£:+6=:£3Á: 답 :£3Á:
201
⑴ (주어진 식)

=:_0@`(3x+2)dx+:)5 (3x+2)dx 203


-:_5@`(3x+2)dx
⑴ f(x)=|xÛ`+4x-5|라 하면 닫힌구간 [-2, 2]


=:_5@`(3x+2)dx-:_5@`(3x+2)dx
에서
-xÛ`-4x+5 (-2ÉxÉ1)
f(x)=[ 
`xÛ`+4x-5 (1ÉxÉ2)
=0
Z
⑵ (주어진 식)

=:_0!` `dx-:_0!`
 Z]Y™ Y]
xÜ` 1 
`dx
x-1 x-1 

 -:!0 (xÛ`+x+1)dx

=:_0!`
xÜ`-1   0   Y
`dx-:!0 (xÛ`+x+1)dx
x-1

연습문제·실력 UP 115
따라서 구하는 정적분의 값은 ∴ :_2@`(3xÜ`-2x+6)f(x)dx

:_2@`|xÛ`+4x-5|dx =:_2@`(3xÜ`-2x)f(x)dx+:_2@`6f(x)dx

=:_1@`(-xÛ`-4x+5)dx+:!2``(xÛ`+4x-5)dx =6:_2@`f(x)dx

=[-;3!;xÜ`-2xÛ`+5x]1_@+[;3!;xÜ`+2xÛ`-5x]2! =6´;2!;=3 답 3

=18+:Á3¼:=:¤3¢:
205
⑵ f(x)=|x-2|+|x-3|이라 하면 닫힌구간
=1에서 x Ú 1일 때 (분모) Ú 0이고 극
`f(x)
[0, 4]에서 lim 
x`Ú 1 x-1

(`-(x-2)-(x-3) (0ÉxÉ2) 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다.


f(x)= {`(x-2)-(x-3) (2ÉxÉ3), 즉, lim`f(x)=0
x`Ú 1

9`(x-2)+(x-3) (3ÉxÉ4) f(x)는 연속함수이므로


( -2x+5 (0ÉxÉ2) f(1)=a+b+3=0 yy`㉠
즉 f(x)= { 1 (2ÉxÉ3) 또, f(1)=0이므로
9 2x-5 (3ÉxÉ4) `f(x) `f(x)-f(1)
lim  =lim  =f '(1)
x`Ú 1 x-1 x`Ú 1 x-1
Z Z]Y] ]Y]
∴ f '(1)=1

f '(x)=3axÛ`+b이므로

f '(1)=3a+b=1 yy`㉡
 ㉠, ㉡을 연립하여 풀면
0    Y
a=2, b=-5

따라서 구하는 정적분의 값은 따라서 f(x)=2xÜ`-5x+3이므로 구하는 정적분의

:)4 (|x-2|+|x-3|)dx
값은

:)1 f(x)dx=:)1 (2xÜ`-5x+3)dx

=[;2!;xÝ`-;2%;xÛ`+3x]1)=1
=:)2 (-2x+5)dx+:@3 dx+:#4 (2x-5)dx

=[-xÛ`+5x]2)+[x]3@+[xÛ`-5x]4#
답 1

=6+1+2=9 206
답 ⑴ :¤3¢:  ⑵ 9 :)1 (x-k)Û`f(x)dx

204 =:)1 (xÛ`-2kx+kÛ`)f(x)dx

f(-x)=f(x)이므로 f(x)는 우함수이다. =:)1 xÛ`f(x)dx-2k:)1 xf(x)dx+kÛ`:)1 f(x)dx


∴ :_2@`f(x)dx=2:)2 f(x)dx=2´;4!;=;2!;
:)1 f(x)dx=1, :)1 xf(x)dx=2이므로
또한, xÜ`f(x), xf(x)는 기함수이므로
(주어진 식)=:)1 xÛ`f(x)dx-4k+kÛ`
(3xÜ`-2x)f(x)도 기함수이다.

∴ :_2@`(3xÜ`-2x)f(x)dx=0 =(k-2)Û`-4+:)1 xÛ`f(x)dx

116 Ⅲ. 적분
이때 정적분 :)1 xÛ`f(x)dx의 값은 상수이므로 주어진 ∴ :_3!`f(x)dx

식은 k=2일 때 최소가 된다. 답 2


=:_1!`f(x)dx+:!3 f(x)dx

=:_1!`(3xÛ`-4x+6)dx+:!3 (2x+3)dx
207
:_1! f(x)dx=:_0! f(x)dx+:)1 f(x)dx이고,
=2:)1 (3xÛ`+6)dx+:!3 (2x+3)dx

=2[xÜ`+6x]1)+[xÛ`+3x]3!
:_1! f(x)dx=:)1 f(x)dx=:_0! f(x)dx이므로
=14+14=28


:_1! f(x)dx=:_0! f(x)dx=:)1 f(x)dx=0 ∴ b=28


∴ a+b=6+28=34 답 34
한편, f(0)=-1이므로

연습문제
실력
f(x)=axÛ`+bx-1`(a, b는 상수, a+0)이라 하면

:_0! f(x)dx=:_0!`(axÛ`+bx-1)dx
209
=[;3A;xÜ`+;2B;xÛ`-x]0_!
f(x)=ax+b`(a, b는 상수, a+0)라 하면 U

:_1!`xf(x)dx=:_1!`(axÛ`+bx)dx
P

=;3A;-;2B;-1=0 yy`㉠ =2:)1 axÛ``dx

:)1 f(x)dx=:)1 (axÛ`+bx-1)dx =2[;3!;axÜ`]1)=;3@;a

=[;3A;xÜ`+;2B;xÛ`-x]1) :_1!`xf(x)dx=2이므로 ;3@;a=2   ∴ a=3

=;3A;+;2B;-1=0 yy`㉡ :_1!`xÛ`f(x)dx=:_1!`(axÜ`+bxÛ`)dx=2:)1 bxÛ`dx

=2[;3!;bxÜ`]1)=;3@;b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0

:_1!`xÛ`f(x)dx=-2이므로 ;3@;b=-2   ∴ b=-3


따라서 f(x)=3xÛ`-1이므로
f(2)=3´2Û`-1=11 답 11

따라서 f(x)=3x-3이므로
f(-2)=-6-3=-9 답 -9
208
3xÛ`-4x+a (xÉ1)
f(x)=[ 
2x+3 (x>1)
 yy`㉠ 210
f(x)=f(x+4)이므로

:@2)!0 *2 0 f(x)dx=:@2)!0 $1 6 f(x)dx=:@2)!0 )1 2 f(x)dx=`y


에서 함수 f(x)는 연속함수이므로 x=1에서도 연속
이다. 즉,

=:@4 f(x)dx=:_0@ f(x)dx


lim `f(x)= lim `f(x)
x`Ú 1- x`Ú 1+

∴ :@2)0!2*0 f(x)dx=:_0@ f(x)dx


lim (3xÛ`-4x+a)= lim (2x+3)
x`Ú 1- x`Ú 1+

3-4+a=2+3   ∴ a=6
a=6을 ㉠에 대입하면 =:_0@`(xÜ`-4x)dx

=[;4!;xÝ`-2xÛ`]0_@=4
3xÛ`-4x+6 (xÉ1)
f(x)=[  답 4
2x+3 (x>1)

연습문제·실력 UP 117
211 213
f '(x)=3xÛ`+2ax+(2a-3)이고 f(x)가 극값을 f(x)=x|x-a|라 하면 닫힌구간 [0, 1]에서
갖지 않기 위해서는 이차방정식 f '(x)=0이 중근 또 x(a-x)(0ÉxÉa)
f(x)=[ 
는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D라 x(x-a)(aÉxÉ1)
하면 Z
ZY]YB]
D
=aÛ`-3(2a-3)É0
4
aÛ`-6a+9É0, (a-3)Û`É0   ∴ a=3
0 B  Y
따라서 f(x)=xÜ`+3xÛ`+3x+1이므로

:!2
`f(x)
:)1 x|x-a|dx
`dx+:@1 ;[!;`dx
x
`f(x)
=:!2 `dx-:!2 ;[!;`dx
x
=:)a x(a-x)dx+:A1 x(x-a)dx
`f(x)-1
=:!2 `dx
x
=:)a (ax-xÛ`)dx+:A1 (xÛ`-ax)dx

=[;2A;xÛ`-;3!;xÜ`]a)+[;3!;xÜ`-;2A;xÛ`]1A
=:!2 (xÛ`+3x+3)dx

=[;3!;xÜ`+;2#;xÛ`+3x]2!
={;2!;aÜ`-;3!;aÜ`}+[{;3!;-;2A;}-{;3!;aÜ`-;2!;aÜ`}]
=:¢3¢:-:ª6»:=:°6»:
=;3!;aÜ`-;2!;a+;3!;
∴ (주어진 식)=6´:°6»:=59 답 59
g(a)=;3!;aÜ`-;2!;a+;3!;이라 하면

}{a- }
1 1
212 g '(a)=aÛ`-;2!;={a+
'2 '2
주어진 그림에서 f '(x)=2x이므로 1
g '(a)=0에서 a= (∵ 0ÉaÉ1)
'2
f(x)=: f '(x)dx=: 2x`dx=xÛ`+C
1
즉, g(a)는 a= 일 때 극솟값을 갖고, a=0일 때
f(0)=2이므로 C=2   ∴ f(x)=xÛ`+2 '2

∴ F(x)=:)1 f(x-t)dt g(0)=;3!;, a=1일 때 g(1)=;6!;이다.

=:)1 {(x-t)Û`+2}dt 따라서 정적분 :)1 x|x-a|dx의 값은 a=0일 때 최

대가 된다. 답 0
=:)1 (xÛ`-2tx+tÛ`+2)dt

=[xÛ`t-tÛ`x+;3!;tÜ`+2t]1) 214
㈎에서 f(1+x)=f(1-x)이므로 y=f(x)의 그래
=xÛ`-x+;3!;+2=xÛ`-x+;3&; 프는 직선 x=1에 대하여 대칭이다.

={x-;2!;}Û`+;1@2%;
Z Y
ZG Y

따라서 F(x)는 x=;2!;일 때, 최솟값 ;1@2%; 를 갖는다.

답 ;1@2%;  0    Y

118 Ⅲ. 적분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즉, k=4+2k이므로 k=-4

:@3 f(x)dx=:_0!`f(x)dx 따라서 f(x)=2x-4이므로


f(1)=2-4=-2 답 ②
=:)3 f(x)dx-2:)1 f(x)dx

㈏에서 :_0!`f(x)dx=a, :)3 f(x)dx=b이므로


218
a=b-2:)1 f(x)dx 주어진 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 :)1 f(x)dx=
b-a b-a 0=8-12a+6aÛ`-aÜ`
 답
2 2 aÜ`-6aÛ`+12a-8=0, (a-2)Ü`=0
∴ a=2
215 ∴ :@/ f(t)dt=xÜ`-6xÛ`+12x-8

연습문제
실력
㈎에서 f(-x)=f(x)이므로 f(x)는 우함수, 즉
이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y=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 :)2 f(x)dx=:_0@`f(x)dx=16
f(x)=3xÛ`-12x+12=3(x-2)Û` U
따라서 f(x)의 최솟값은 0이다. 답 ③ P

㈏에서 f(x)=f(x+4)이므로

:)2 f(x)dx=:_-$ 2 f(x)dx=16


219
∴ :_0$`f(x)dx=:_-$ 2 f(x)dx+:_0 @`f(x)dx=32
:)/ f(t)dt=xÜ`-2xÛ`-2x:)1 f(t)dt yy`㉠
∴ :_8$ f(x)dx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_0$ f(x)dx+:)4 f(x)dx+:$8 f(x)dx :)1 f(t)dt=1-2-2:)1 f(t)dt, 3:)1 f(t)dt=-1

=3:_0$ f(x)dx=3´32=96 답 96 ∴ :)1 f(t)dt=-;3!;

이것을 ㉠에 대입하면 :)/ f(t)dt=xÜ`-2xÛ`+;3@;x


216 이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 (tÜ`-1)dt f(x)=3xÛ`-4x+;3@;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a=f(0)=;3@;
F'(x)=xÜ`-1
∴ F'(2)=8-1=7 답 ③ ∴ 60a=60´;3@;=40 답 40

217
:)2 f(t)dt=k(k는 상수)로 놓으면 220
f(x)=2x+k f(x)=:_/#`(3tÛ`-6t-9)dt

∴ k=:)2 f(t)dt=:)2 (2t+k)dt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tÛ`+kt]2)=4+2k
f '(x)=3xÛ`-6x-9=3(x+1)(x-3)
f '(x)=0에서 x=-1 또는 x=3

연습문제·실력 UP 119
x y -1 y 3 y =[;7$;tÜ`-ktÛ`+kÛ`t]2!

f '(x) + 0 - 0 +
={:£7ª:-4k+2kÛ`}-{;7$;-k+kÛ`}
f(x) ↗ 극대 ↘ 극소 ↗
=4-3k+kÛ`
따라서 함수 f(x)는 x=-1일 때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f(-1)=:_-# 1``(3tÛ`-6t-9)dt
즉, k=4-3k+kÛ`이므로
kÛ`-4k+4=0, (k-2)Û`=0   ∴ k=2

=[tÜ`-3tÛ`-9t]-_1#=32
∴ 10:!2 f(x)dx=10k=20 답 20

또, x=3일 때 극소이므로 극솟값은

f(3)=:_3#`(3tÛ`-6t-9)dt 223
=[tÜ`-3tÛ`-9t]3_#=0 :)/ f(t)dt=;3*;xÜ`-3xÛ`+4x:)2 tf(t)dt

답 극댓값: 32, 극솟값: 0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8xÛ`-6x+4:)2 tf(t)dt

221 :)2 tf(t)dt=a`(a는 상수)로 놓으면


f(t)=|tÛ`-9|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 f(x)=8xÛ`-6x+4a
라 하면

lim  :@2_Ñ ?/ |tÛ`-9|dt


a=:)2 tf(t)dt=:)2 t(8tÛ`-6t+4a)dt
1
x`Ú 0 x

=lim  [F(t)]2@Ñ_/?
=:)2 (8tÜ`-6tÛ`+4at)dt

=[2tÝ`-2tÜ`+2atÛ`]2)
1
x`Ú 0 x

F(2+x)-F(2-x)
=lim  =32-16+8a=16+8a
x`Ú 0 x
F(2+x)-F(2)+F(2)-F(2-x) 즉, a=16+8a이므로 a=-:Á7¤:
=lim 
x`Ú 0 x
F(2+x)-F(2) F(2-x)-F(2) 따라서 f(x)=8xÛ`-6x-:¤7¢:이므로
=lim  +lim 
x`Ú 0 x x`Ú 0 -x
f(2)=32-12-:¤7¢:=:¦7¤:
=F'(2)+F'(2)=2F'(2)
이때 F'(t)=f(t)이므로 ∴ :)2 tf(t)dt+f(2)=-:Á7¤:+:¦7¤:=:¤7¼: 답 :¤7¼:
2F'(2)=2f(2)=2´5=10 답 ④

222 224
:!/ (x-t)f(t)dt=xÝ`+axÛ`+bx
:!2 f(t)dt=k`(k는 상수)로 놓으면
yy`㉠

에서
f(x)=:Á7ª:xÛ`-2kx+kÛ`
x:!/ f(t)dt-:!/ tf(t)dt=xÝ`+axÛ`+bx
k=:!2 f(t)dt
이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 {:Á7ª:tÛ`-2kt+kÛ`}dt :!/ f(t)dt+xf(x)-xf(x)=4xÜ`+2ax+b

120 Ⅲ. 적분
∴ :!/ f(t)dt=4xÜ`+2ax+b  yy`㉡ g'(x)=f(x)-f(x-1)

㉠, ㉡의 양변에 x=1을 각각 대입하면 =a(x+1)(x-3)-ax(x-4)

0=1+a+b =a(xÛ`-2x-3-xÛ`+4x)

0=4+2a+b =a(2x-3)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3, b=2 g'(x)=0에서 x=;2#;


∴ ab=-6 답 -6
a<0이므로 g(x)는 x=;2#;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다.

225 따라서 g(x)의 최댓값은 g{;2#;}이다. 답 ④

f(x)=:)/ (tÛ`+at+b)dt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27


f '(x)=xÛ`+ax+b :)/ f(t)dt=;3!;xÜ`+nx

연습문제
실력
x=3일 때, 극솟값 0을 가지므로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3)=9+3a+b=0 U
f(x)=xÛ`+n P
∴ 3a+b=-9 yy`㉠
이때 f(1)=4이므로 f(1)=1+n=4   ∴ n=3
f(3)=:)3 (tÛ`+at+b)dt ∴ f(x)=xÛ`+3

=[;3!;tÜ`+;2A;tÛ`+bt]3) F'(t)=tÛ`f(t)로 놓으면

:_/#`tÛ`f(t)dt
1
lim
=9+;2(;a+3b=0 x`Ú -3 xÛ`-9
F(x)-F(-3)
∴ ;2(;a+3b=-9 yy`㉡ = lim
x`Ú -3 xÛ`-9
F(x)-F(-3)
= lim [ ]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3 1
´
x`Ú -3 x+3 x-3
∴ f '(x)=xÛ`-4x+3
=(x-1)(x-3) =-;6!;F'(-3)=-;6!;´9f(-3)
f '(x)=0에서 x=1 또는 x=3
=-;6!;´9´12=-18 답 -18
따라서 f(x)는 x=1에서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f(1)=:)1 (tÛ`+at+b)dt
228
:)a [2+
=:)1 (tÛ`-4t+3)dt df(t)
]dt=:)a {2+f '(t)}dt=k`(k는 상수)
=[;3!;tÜ`-2tÛ`+3t]1)
dt
로 놓으면

=;3!;-2+3=;3$; 답 x=1일 때, 극댓값 ;3$; f(x)-xÛ`+2ax=3k


∴ f(x)=xÛ`-2ax+3k
이때 f(0)=0이므로
226 f(0)=3k=0   ∴ k=0
주어진 그래프에서
f(x)=a(x+1)(x-3)(a<0)으로 놓을 수 있다. ∴ k=:)a {2+f '(t)}dt=:)a (2+2t-2a)dt

g(x)=:?/_!`f(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t+tÛ`-2at]a)=-aÛ`+2a=0

연습문제·실력 UP 121
즉, aÛ`-2a=0에서 a(a-2)=0이므로 또한, 조건 ㈏에서 f(a)-f(b)=;6!;이므로
a=0 또는 a=2 f(a)-f(b)
그런데 a는 양수이므로 a=2 답 2
=:)a (t-a)(t-b)dt-:)b (t-a)(t-b)dt

=:)a (t-a)(t-b)dt+:B0 (t-a)(t-b)dt


229 =:B0 (t-a)(t-b)dt+:)a (t-a)(t-b)dt
G(x)=:!/ f(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Ba (t-a)(t-b)dt
G'(x)=f(x)=-xÜ`+;2#;xÛ`+6x-k
=:Ba {tÛ`-(a+b)t+ab}dt

tÛ`+abt]aB
최고차항의 계수가 음수인 사차함수 G(x)가 극솟값
a+b
을 가지려면 G'(x)=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3!;tÜ`-
2
가져야 하므로 f(x)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부호가 달
(a-b)Ü`
라야 한다. =- =;6!;
6
즉, (극댓값)_(극솟값)<0 -(a-b)Ü`=1, (a-b)Ü`=-1
한편, ∴ a-b=-1
f '(x)=-3xÛ`+3x+6
한편, b=;2!;이면 a=b-1=-;2!;이므로 a<0이 되어
=-3(xÛ`-x-2)
=-3(x+1)(x-2)=0 조건에 모순이므로 a=;2!;이어야 한다.
에서 x=-1 또는 x=2이므로
∴ a=;2!;, b=;2#;
f(-1)_f(2)
∴ a+b=2 답 2
={1+;2#;-6-k}(-8+6+12-k)<0

∴ -;2&;<k<10
231
따라서 정수 k의 최댓값은 M=9, 최솟값은 m=-3
이므로 f(x)-:@/ f(t)dt
lim  =;2!;에서 x Ú 2일 때
M 9 x`Ú 2 xÜ`-8
= =-3 답 ③
m -3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다.

즉, lim [ f(x)-:@/ f(t)dt]=0


x`Ú 2

230 f(2)-:@2 f(t)dt=0   ∴ f(2)=0

f(x)=:)/ (t-a)(t-b)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 한편,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하면

분하면 f(x)-:@/ f(t)dt


f '(x)=(x-a)(x-b) lim 
x`Ú 2 xÜ`-8

:@/ f(t)dt
f '(x)=0에서 x=a 또는 x=b
`f(x)
조건 ㈎에서 f(x)는 x=;2!;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lim[ - ]
x`Ú 2 xÜ`-8 xÜ`-8
`f(x)-f(2) F(x)-F(2)
a=;2!; 또는 b=;2!; =lim[ - ]
x`Ú 2 xÜ`-8 xÜ`-8

122 Ⅲ. 적분
`f(x)-f(2)
=lim[ 오른쪽 그래프에서 Z ZY Y
™
x`Ú 2 (x-2)(xÛ`+2x+4)
0ÉxÉ2일 때, ZY
F(x)-F(2)
 - ] x(x-3)Û`¾x
(x-2)(xÛ`+2x+4)
`f(x)-f(2) 2ÉxÉ4일 때,
=lim[ ]
1
´ 0    Y
x`Ú 2 x-2 xÛ`+2x+4 x(x-3)Û`Éx
F(x)-F(2)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lim[ ]
1
S=:)2`{x(x-3)Û`-x}dx+:@4`{x-x(x-3)Û`}dx
 ´
x`Ú 2 x-2 xÛ`+2x+4

=:)2`(xÜ`-6xÛ`+8x)dx+:@4`(-xÜ`+6xÛ`-8x)dx
=;1Á2;f '(2)-;1Á2;F'(2)

=[;4!;xÝ`-2xÜ`+4xÛ`]2)+[-;4!;xÝ`+2xÜ`-4xÛ`]4@
=;1Á2;f '(2)-;1Á2;f(2) (∵ F'(x)=f(x))

=;1Á2;f '(2)=;2!; (∵ f(2)=0)
=8 답 8

연습문제
실력
∴ f '(2)=6 답 ④

232 234 U
P
두 곡선 y=xÛ`, y=-xÛ`+1의 교점의 x좌표는
곡선 y=xÜ`+xÛ`-2x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xÜ`+xÛ`-2x=0에서 x(x+2)(x-1)=0 xÛ`=-xÛ`+1에서 xÛ`=;2!;
∴ x=-2 또는 x=0 또는 x=1 1 1
∴ x=- 또는 x=
따라서 곡선 Z '2 '2
ZYš Y™ Y
오른쪽 그래프에서 Z ZY™
y=xÜ`+xÛ`-2x와
1 1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 - ÉxÉ 일 때,
'2 '2
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
 0  Y xÛ`É-xÛ`+1
한 부분과 같다.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0  Y
-2ÉxÉ0에서  
S라 하면  

S=:_ '21 `{(-xÛ`+1)-xÛ`}dx


y¾0, 0ÉxÉ1에서 yÉ0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1
ZY™ 

하면

S=:_0@`(xÜ`+xÛ`-2x)dx-:)1 (xÜ`+xÛ`-2x)dx =:_ `(-2xÛ`+1)dx=2:) '2 `(-2xÛ`+1)dx


'2
1 1
'2

=[;4!;xÝ`+;3!;xÜ`-xÛ`]0_@-[;4!;xÝ`+;3!;xÜ`-xÛ`]1)
1
'2
1
2 2'2 2'2
=2[-;3@;xÜ`+x])'2 =2´ =  답
3'2 3 3
=;1#2&;

따라서 p=12, q=37이므로 235


p+q=49 답 49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1``3x(x+1)dx-:_0!`3x(x+1)dx
233
곡선 y=x(x-3)Û`과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_-@1`(3xÛ`+3x)dx-:_0!`(3xÛ`+3x)dx

=[xÜ`+;2#;xÛ`]-_1@-[xÜ`+;2#;xÛ`]0_!
x(x-3)Û`=x에서 x(xÛ`-6x+9)=x
x(xÛ`-6x+8)=0, x(x-2)(x-4)=0
∴ x=0 또는 x=2 또는 x=4 =3 답 3

연습문제·실력 UP 123
236 f(x)=;3!;xÜ`-x

A, B의 넓이가 같으므로 =;3!;x(x-'3)(x+'3)


:)3 {xÛ`(x-3)-ax(x-3)}dx=0 따라서 곡선 y=f(x)와 Z

:)3 {xÜ`-(3+a)xÛ`+3ax}dx=0
ZÅYš Y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4!;xÝ`- xÛ`]3)=0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
3+a 3a  0  Y
xÜ`+ 분과 같으므로 구하는 넓
3 2
이를 S라 하면
:¥4Á:-27-9a+:ª2¦:a=0
S=:`0` `{;3!;xÜ`-x}dx-:) `{;3!;xÜ`-x}dx
` '3

;2(;a-:ª4¦:=0   ∴ a=;2#; 답 ;2#;

=[;1Á2;xÝ`-;2!;xÛ`]00` -[;1Á2;xÝ`-;2!;xÛ`])
-'3

` '3
`
-'3

237 =;2#; 답 ④
f(x)=2xÛ`+3이라 하면 f '(x)=4x
곡선 y=2xÛ`+3 위의 접점의 좌표를 (a, 2aÛ`+3)이
라 하면 f '(a)=4a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239
곡선 y=xÛ`을 조건에 따라 이동시키면
y-(2aÛ`+3)=4a(x-a)
-(y-5)=(x+1)Û`
이 접선이 점 A(1, -3)을 지나므로
y=-(x+1)Û`+5
-3-(2aÛ`+3)=4a(1-a)
∴ g(x)=-(x+1)Û`+5
aÛ`-2a-3=0, (a+1)(a-3)=0
두 곡선 y=xÛ`과 y=g(x)의 교점의 x좌표는
∴ a=-1 또는 a=3
xÛ`=-(x+1)Û`+5에서
즉, 접선의 방정식은 y=-4x+1 또는 y=12x-15
xÛ`+x-2=0
따라서 두 접선과 곡선 y=2xÛ`+3으로 둘러싸인 도형
(x+2)(x-1)=0
의 넓이 S는

S=:_1!`{(2xÛ`+3)-(-4x+1)}dx
∴ x=-2 또는 x=1
오른쪽 그래프에서 Z ZY™

 +:!3 {(2xÛ`+3)-(12x-15)}dx -2ÉxÉ1일 때,

=:_1!`(2xÛ`+4x+2)dx+:!3 (2xÛ`-12x+18)dx
xÛ`É-(x+1)Û`+5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_1!`(2xÛ`+2)dx+:!3 (2xÛ`-12x+18)dx
 0  Y
하면

S=:_1@`{-(x+1)Û`+5-xÛ`}dx
ZH Y

=[;3@;xÜ`+2x]1_!+[;3@;xÜ`-6xÛ`+18x]3!=:£3ª:

=:_1@`(-2xÛ`-2x+4)dx
∴ 3S=3´:£3ª:=32 답 32

=[-;3@;xÜ`-xÛ`+4x]1_@

238 =9 답 9

f(x)=: (xÛ`-1)dx=;3!;xÜ`-x+C 다른풀이 공식을 이용하면


|1-(-1)|{1-(-2)}Ü`
f(0)=0에서 C=0이므로 S= =9
6

124 Ⅲ. 적분
240 242
f(x)=xÜ`+3xÛ`-x-3 Z 함수 y=f(x)의 그래프와 Z ZH Y

ZY
ZY 
이라 하면 그 역함수 y=g(x)의 그래
 ZG Y

f '(x)=3xÛ`+6x-1 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이므로 곡선 위의 점 대칭이므로 구하는 넓이 S 
 0
(-3, 0)에서의 접선  Y 는 곡선 y=f(x)와 직선 0   Y
의 기울기는 ZYš Y™ Y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
f '(-3)=3´(-3)Û`+6´(-3)-1=8 이의 2배이다.
따라서 곡선 위의 점 (-3, 0)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S=2:!3 {`f(x)-x}dx
y=8(x+3)   ∴ y=8x+24
곡선과 접선의 교점의 x좌표는 =2:!3 f(x)dx-2:!3 x`dx

=2´:Á2Á:-2[;2!;xÛ`]3!

연습문제
실력
xÜ`+3xÛ`-x-3=8x+24에서
xÜ`+3xÛ`-9x-27=0, (x+3)Û`(x-3)=0
=11-8=3 답 3 U
∴ x=-3 또는 x=3 P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243
S=:_3# {(8x+24)-(xÜ`+3xÛ`-x-3)}dx f(x)=-xÜ`+ax+b에서 f '(x)=-3xÛ`+a

=:_3#`(-xÜ`-3xÛ`+9x+27)dx
곡선 위의 점 (t, f(t))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t)=-3tÛ`+a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2:)3 (-3xÛ`+27)dx y-f(t)=(-3tÛ`+a)(x-t)

=2`[-xÜ`+27x]3)=108
∴ y‌=(-3tÛ`+a)(x-t)-tÜ`+at+b
답 108
=(-3tÛ`+a)x+2tÜ`+b
다른풀이 공식을 이용하면 곡선 y=f(x)와 접선의 교점의 x좌표는
|1|{3-(-3)}Ý`
S= =108 -xÜ`+ax+b=(-3tÛ`+a)x+2tÜ`+b에서
12
(x-t)Û`(x+2t)=0
241 ∴ x=-2t 또는 x=t (t>0)
0<a<b이고 곡선 y=(x-a)(x-b)xÛ`과 직선 이때 접선과 곡선 y=f(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y=0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으므로 S라 하면

:)b (x-a)(x-b)xÛ`dx=0 S=:_t@T{(-3tÛ`x+ax+2tÜ`+b)

:)b {xÝ`-(a+b)xÜ`+abxÛ`}dx=0 -(-xÜ`+ax+b)}dx

=:_t@T(xÜ`-3tÛ`x+2tÜ`)dx
[;5!;xÞ`- xÝ`+ xÜ`]b)=0
a+b ab

=[;4!;xÝ`-;2#;tÛ`xÛ`+2tÜ`x]t_@T
4 3
a+b ab
;5!;bÞ`- ´bÝ`+ ´bÜ`=0
4 3
60 =:ª4¦:tÝ`
b>0이므로 양변에  을 곱하면
bÝ`
12b-15(a+b)+20a=0, 5a=3b 따라서 :ª4¦:tÝ`=;3$;에서 tÝ`=;8!1^;

3b 5a 답 ;3@;
∴ = =5 답 5 t>0이므로 t=;3@;
a a

연습문제·실력 UP 125
244 그런데 a>0이므로

y=xÛ`-2x의 그래프의 Z ZY™ Y a=-1+'2 답 -1+'2

대칭축은 x=1이고
SÁ=2Sª이므로 오른쪽 그
246
4m
곡선 y=x(x-2)(x-a)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림에서 빗금 친 도형의 넓 
0 4„  B Y x(x-2)(x-a)=0에서
이는 Sª와 같다.

즉, :!a (xÛ`-2x)dx=0
x=0 또는 x=a 또는 x=2
따라서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3!;xÜ`-xÛ`]a!=0 Z ZY Y


YB

;3!;aÜ`-aÛ`-{;3!;-1}=0
0 B  Y
aÜ`-3aÛ`+2=0, (a-1)(aÛ`-2a-2)=0
∴ a=1 또는 a=1Ñ'3 이때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a)라
그런데 a>2이므로 a=1+'3 답 1+'3 하면

S(a)=:)a x(x-2)(x-a)dx

245 -:A2 x(x-2)(x-a)dx


두 곡선 y=-xÛ`+2x와 Z ZBY™
=:)a {xÜ`-(2+a)xÛ`+2ax}dx

-:A2`{xÜ`-(2+a)xÛ`+2ax}dx
y=axÛ`의 교점의 x좌표는
-xÛ`+2x=axÛ`에서

xÜ`+axÛ`]a)

(a+1)xÛ`-2x=0 2+a
=[;4!;xÝ`-
0  Y
B  3
xÜ`+axÛ`]2A
x{(a+1)x-2}=0
ZY™ Y 2+a
∴ x=0 또는 x=
2 -[;4!;xÝ`-
a+1 3
곡선 y=-xÛ`+2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6!;aÝ`+;3@;aÜ`-;3$;a+;3$;

:)2 (-xÛ`+2x)dx=[-;3!;xÜ`+xÛ`]2)=;3$;
S'(a)=-;3@;aÜ`+2aÛ`-;3$;

=-;3@;(a-1)(aÛ`-2a-2)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S'(a)=0에서 a=1 (∵ 0<a<2)
;3$;_;2!;=;3@;이므로

:) 
2 a 0 y 1 y 2
`{(-xÛ`+2x)-axÛ`}dx=;3@;
a+1
S'(a) - 0 +

:) 
2
S(a) ↘ 극소 ↗
`{-(a+1)xÛ`+2x}dx=;3@;
a+1

[- xÜ`+xÛ`]) =;3@;
2
따라서 S(a)는 a=1에서 극소이면서 최소가 되고, 그
a+1 a+1
3 때의 넓이는

4 S(1)=-;6!;+;3@;-;3$;+;3$;=;2!;
=;3@;, (a+1)Û`=2
3(a+1)Û`
a+1=Ñ'2   ∴ a=-1Ñ'2  답 a=1, (넓이)=;2!;

126 Ⅲ. 적분
247 tÜ`-4tÛ`+4t=12t-4tÛ`에서
Z tÜ`-8t=0, t(t+2'2)(t-2'2)=0
 ZG Y
ZY 그런데 t>0이므로
t=2'2(초 후) 답 2'2초 후

ZH Y


250
2초 후에 5`m의 상공에 도달하려면 :)2 v(t)dt=5

0    Y

위의 그림에서 색칠한 두 부분의 넓이가 같으므로 :)2 v(t)dt=:)2 (v¼-9.8t)dt

:!9 g(x)dx=2´9-1´1-:!2 f(x)dx =[v¼t-4.9tÛ`]2)=2v¼-19.6

=17-:!2 (xÜ`+x-1)dx 이므로 2v¼-19.6=5

=17-[;4!;xÝ`+;2!;xÛ`-x]2!

연습문제
실력
∴ v¼=12.3(m/s) 답 12.3`m/s

U
=17-:Á4¦:=:°4Á: 답 ③ 251 P

(구하는 높이)=:)3`5``v(t)dt

=:)2`0``t dt+:@3)5``(60-2t)dt
248
=[;2!;tÛ`]2)0`+[60t-tÛ`]3@5)`
시각 t=3에서 점 P의 위치는

0+:)3 v(t)dt=:)3 (6t-3tÛ`)dt

=[3tÛ`-tÜ`]3)=0
=275(m) 답 275`m

∴ a=0
시각 t=0에서 t=3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252
:)3 |v(t)|dt=:)2`(6t-3tÛ`)dt+:@3`(-6t+3tÛ`)dt
t=a일 때, 출발한 점에 다시 돌아온다고 하면

:)a v(t)dt=0이어야 한다.


=[3tÛ`-tÜ`]2)+[-3tÛ`+tÜ`]3@=8 오른쪽 그림에서 SÁ=Sª W U


∴ b=8 이므로 t=4일 때, 출발 4„ 
∴ a+b=0+8=8 답 8 한 점에 다시 돌아온다. 0   4m  U

∴ a=4(초) 답 4초

249
두 점 P, Q의 t초 후의 위치를 각각 xÁ, xª라 하면 253
xÁ=:)t (3tÛ`-8t+4)dt :)6 |v(t)|dt

=[tÜ`-4tÛ`+4t]t)=tÜ`-4tÛ`+4t =:)4 v(t)dt+:$6 {-v(t)}dt

xª=:)t (12-8t)dt =;2!;´1´1+;2!;´(1+2)´2+;2!;´1´2+;2!;´2´1

=[12t-4tÛ`]t)=12t-4tÛ` =:Á2Á: 답 :Á2Á:

연습문제·실력 UP 127
254 v(t)=20-kt(m/s) (단, k는 상수)

t=a(a>0)일 때, 점 P가 원점으로 다시 돌아온다고 정지할 때까지 걸린 시간은 v(t)=20-kt=0에서

하면 :)a (-3tÛ`-2t+12)dt=0이어야 한다.


20
t=
k

:)a (-3tÛ`-2t+12)dt=[-tÜ`-tÛ`+12t]a)=0
정지할 때까지 움직인 거리는 50`m이므로

:)  `|20-kt|dt=:)  `(20-kt)dt=50


:ªk¼: :ªk¼:

[20t-;2!;ktÛ`]) =50
-aÜ`-aÛ`+12a=0, a(a+4)(a-3)=0
:ªk¼:
∴ a=3 (∵ a>0)
따라서 3초 후에 원점으로 다시 돌아온다. 답 3초 후
-;2!;k{ } =50,
400 20 2 200
=50
k k k
255 ∴ k=4

점 P가 시각 t=0에서 t=a까지 움직인 거리가 58이 따라서 걸린 시간은


20 20
므로 t= = =5(초) 답 5초
k 4
a>2

∴ :)a |3tÛ`-6t|dt 258


t=a에서 t=b까지 움직일 때,

위치의 변화량은 :Ab v(t)dt


=-:)2 (3tÛ`-6t)dt+:@a (3tÛ`-6t)dt

=-[tÜ`-3tÛ`]2)+[tÜ`-3tÛ`]a@
움직인 거리는 :Ab |v(t)|dt
=aÜ`-3aÛ`+8=58
aÜ`-3aÛ`-50=0, (a-5)(aÛ`+2a+10)=0 ㄱ. ‌:)5 v(t)dt=;2!;(1+3)´2-;2!;´2´2=2
∴ a=5
이므로 출발점에 위치하지 않는다. (거짓)
∴ v(5)=3´5Û`-6´5=45 답 45
ㄴ. ‌2초 동안 멈추었다면 v(t)=0인 구간이 2초 동안
있어야 하므로 옳지 않다. (거짓)
256 ㄷ. ‌운동 방향을 바꾼 시각은 v(t)=0인 시각 t=3,
최고 높이에 도달할 때, 이 물체의 속도는 0이므로 t=5이므로 움직이는 동안 방향을 2번 바꿨다. (참)
v(t)=40-8t=0에서 t=5
ㄹ. :)3 |v(t)|dt=;2!;(1+3)´2=4이므로
최고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이 물체가 움직인 거리는

:)5 |40-8t|dt=:)5 (40-8t)dt


‌점 P가 출발하고 나서 3초 동안 움직인 거리는 4이

=[40t-4tÛ`]5)=100(m)
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ㄷ, ㄹ이다. 답 ㄷ, ㄹ

따라서 이 물체가 지면에 도달할 때까지 움직인 거리는


100+(100+20)=220(m) 답 220`m

257
72(km/h)=20(m/s)이고 속도가 일정한 비율로 감
소하였으므로 브레이크를 밟은 지 t초 후의 속도를
v(t)라 하면

128 Ⅲ. 적분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