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2021년 8월 30일 발행 / 발행처·한국노동연구원 / 발행인·황덕순 / 편집인·오계택 /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 Tel.

044-287-6814

2021년 제7호(통권 제64호) No. 2 / www.kli.re.kr

임금체계 개편 사례

최윤제 (노사발전재단 선임전문위원)

1. 사업장 개요

상호 H기업 지역 경기

업종 제조(건설폐기물 처리, 순환골재·모래생산 등)

근로자 105명(2019년 말 기준)


규모
매출액 400백만 원(2019년 말 기준)

목적 임금체계 개선

대상 전체 근로자

총 23개 직무를 ‘사무기술직군’과 ‘생산현장직군’으로 재분류하고, 직무가치 평가를 위해 직군 내 직무들을


● ‌

통합하여 재구성
● 직무평가를
‌ 위해서 직무 특성 및 요건, 직무수행 과정, 직무수행 결과를 고려하여 조직에 맞는 11개 평가요소를
선별, 평가요소별 구체적 평가기준(5개)을 만들어 각 평가 항목에 점수 부여
방식 ● 직무평가
‌ 결과 사무기술직군과 생산현장직군의 직무별 대표 직무를 각각 11개, 6개 선정하여 평가 진행
● 직무평가
‌ 결과를 바탕으로 점수구간별로 나눠 직무를 5개 그룹으로 설정
● 동일
‌ 직무라 하더라도 성과 및 숙련에 따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직종(영업, 생산)이 편재된 조직의 특성을
고려하여 직무그룹별 범위직무급 유형 채택
● 임금인상은
‌ 평가결과에 따라 누적식 차등 인상 방식으로 운영하여 성과에 따른 보상 강화

다양한 직무의 특성과 개인의 능력 차이를 반영한 직무중심의 임금체계 개선을 통해 임금 결정 기준의 공정성 확보
● ‌
기대효과
및 인재 유인책 마련

6 임금정보브리프
2. 개편 배경(내외부 환경변화)

■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사업을 통하여 ICT를 활용한 스마트 공장을 도입하여 실시간 생산현장관리,
물류정보통관리 추진에 따라 업무 프로세스 및 업무분장 변경 예상

■ ‌매출액 대비 인력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매출액 증가율에 비해 인력 증가율이 낮고, 근로자가 임금
처우에 불만족하며, 과중한 업무라고 인식하고 있어 구인난 해소를 위해 장시간근로 개선과 임금수준
의 내·외부 공정성 확보를 위한 제도 마련 필요

3. 임금체계 개편

1) 개편방향
■ ‌직무가치가 상이한 다양한 직무가 존재하고 동일한 직무 내에서도 개인의 능력차이가 존재하므로 직무
평가 결과에 따른 임금 차등이 가능한 직무중심의 임금체계로 개편

■ ‌직무분류체계를 통해 직무를 분류하고, 직무평가를 시행, 평가 결과에 따라 임금구간(Pay Band) 설계

<직무급 설계 프로세스>

2) 직무분류체계 확정
■ ‌직군별 임금체계 검토를 위해 총 23개 직무를 ‘사무기술직군’과 ‘생산현장직군’으로 재분류하고, 직무가치
평가를 위해 직군 내 직무들을 통합하여 재구성

7 임금정보브리프
<직무분류체계 재구성>

3) 직무평가
■ ‌직무평가는 대내적 임금격차를 합리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직무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으로 점수법, 서
열법, 분류법, 요소비교법 등 총 4개의 방법 활용 가능
- 주관성을 최소화하고 직무 간 가치 비교가 가능해서 근로자들의 수용성이 높은 점수법 채택

<직무평가 결정 방법>

■ ‌점수법을 통한 직무평가를 위해서 직무 특성 및 요건(직무수행 노하우 및 직무 복잡성), 직무수행 과정


(의사소통, 문제해결 난이도, 의사결정 권한), 직무수행 결과(직무 영향력)를 고려하여 결정

8 임금정보브리프
<직무평가 요소 결정 구조>

■ ‌직무평가를 위해 경영진 및 관리자들로 직무평가위원회를 구성하고, 고용부 직무평가 도구 활용 매뉴


얼을 기준으로 조직에 맞는 11개 평가요소 선별

<최종 직무평가 요소 확정>


평가요소 정의 하위항목 정의 및 설명

단독으로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작업도구나 기계


기기처리
조작과 관련된 기술이 필요한 직무인지
기술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비고장, 사건/사고 등이 없는 정상근무 여건하에서 해당 직무를
기술 직무담당자에게 요구되는 경험
단독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작업경험
지식과 경험의 수준
문제해결 다양한 기능이나 기술을 활용하여 상황을 합리적으로 이해하고
및 판단력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창의력, 인지력, 판단력, 기획력 등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예측할 수 없는 업무대응, 정신집중 등 정신적


정신적 노력
노력의 수준과 빈도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직무담당자가 기울여야 하는 직무수행 시 요구되는 육체적 노력의 특성, 수준, 빈도, 지속기간 등
노력 육체적 노력
정신적 혹은 육체적 노력이 요구되는 정도
육체적인 수고의 정도
직무를 수행하면서 직무 담당자가 육체적, 정신적, 감정적 혹은
집중도
시각적으로 기울여야 하는 집중의 정도

조직이 기대하는 성과 및 사람 및 안전에 사람 및 안전에 대한 책임은 감독 조정 또는 종업원 관리, 안전 등에 대한


책임 목표달성과 관련된 대한 책임 책임의 정도
직간접적인 영향력의 정도 성과에 대한 책임 조직 전체의 목표를 달성함에 있어 그 직무에서 요구되는 기여의 정도

근로시간 노동시간의 불규칙 및 노동시간 동안 휴식을 취하기 어려운 정도


노동시간의 불규칙,
작업 작업환경으로 인해 직무수행 직무 담당자가 먼지, 더러움, 추위/더위, 연기, 소음과 같은 작업환경에
작업환경
조건 담당자가 불편하거나 불쾌하게 노출되는 정도
느끼는 상황이 발생하는 정도
유해성 인체에 유해한 가수, 중기, 고온 등의 위험요소에 노출되는 정도

■ ‌11개 평가요소별 가중치 도출을 위해 평가요소 모형(Matrix)을 구성하여 요소비교법을 활용해 하위항
목별 가중치 도출

■ ‌직무평가는 평가요소별 구체적 평가기준(5개)을 만들어 각 평가 항목에 점수 부여

9 임금정보브리프
<직무평가요소 가중치 도출> <직무평가 점수표>

■ ‌직무평가 결과 사무기술직군과 생산현장직군의 직무별 대표 직무를 각각 11개, 6개 선정하여 평가 진행


- 사무기술직군 중 ‘영업’ 직무가치가 가장 높고, ‘총무’ 직무가치가 낮음
- 생산현장직군 중 ‘공사’ 직무가치가 가장 높고, ‘세륜’ 직무가치가 낮음

<사무기술직군 직무평가 결과> <생산현장직군 직무평가 결과>

4) 직무등급 결정
■ ‌직무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점수구간별로 나누어 사무기술직군 및 생산현장직군의 직무를 5개 그룹으
로 설정
- ‌또한 동일 직무 내에서 수행역할에 따른 직무가치의 차이를 고려하여 하위·상위 직무를 추가하고 이
에 대해 직무평가 결과를 고려하여 직무등급 추가 부여

<사무기술직군 직무등급 조정> <생산현장직군 직무등급 조정>

10 임금정보브리프
<사무기술직군 직무등급 및 현황> <생산현장직군 직무등급 및 현황>

5) 임금구간(Pay Band) 설계
■ ‌직무급 운영방식은 다양하나 동일 직무라 하더라도 성과 및 숙련에 따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직종(영
업, 생산)이 편재된 조직의 특성을 고려하여 직무그룹별 범위직무급 유형 채택

<직무급 도입 유형>

11 임금정보브리프
■ ‌직군별 임금구간(Pay Band)은 현행 임금수준을 유지하면서 조직의 급격한 성장에 따른 체계를 정비하
고자 직무등급별 현행 임금수준을 반영하였고, 직무와 수행역할에 따라 구간 적용
- 직무등급 내 유연한 보상이 가능하도록 사무기술직군과 생산현장직군 P5등급의 보상범위(Range
spread)를 넓게 설정
- 사무기술직군 G2~G3등급 및 생산현장직군 P1~P2 등급의 경우 직무평가 결과 차이에 비해 직무수
행 조건 및 제공되는 노동력의 가치가 유사하여 직무등급별 구간의 중첩률(Over lap) 크게 반영

<직무등급 운영 원칙>

직무등급 변화 없는 경우 직무등급 변화 있는 경우

사무기술직군 임금구간(Pay Band) 생산현장직군 임금구간(Pay Band)

6) 임금구간(Pay Band) 운영 방안
■ ‌직무급은 현행 월 책정 급여를 기준으로 적용하고, 신입 및 경력직 채용 시 적용방안 따로 마련

■ ‌임금인상은 평가결과에 따라 누적식 차등 인상 방식으로 운영하여 성과에 따른 보상 강화

12 임금정보브리프
<임금구간(Pay Band) 운영 및 적용 방안>

■ ‌직무등급별 임금구간(Pay Band) 적용 시 구간 상·하한을 벗어나는 이탈자(Outlier)의 경우 유형에 따라


관리 필요

<임금구간 이탈자(Outlier) 관리 방안>

4. 기대효과

■ ‌직군별 직무가치 및 개인성과에 따른 직무등급에 기반한 임금체계 개선을 통해 동일가치노동·동일임


금 실현

■ ‌임금결정 기준의 객관성 및 공정성 확보를 통한 근로자 성장 동기부여 제고 및 성과관리 능력 강화

13 임금정보브리프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