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우레탄 고무의 특성 •

에테르계
우레탄고무
기계적강도
5 에테르계
우레탄고무
기계적강도
5
니트릴고무
기계적강도
5 에테르계
5
우레탄고무
니트릴고무
기계적강도
클로로프렌 고무
기계적강도
5
기계적강도
5
클로로프렌 고무 에틸렌 고무
니트릴고무
기계적강도
5
기계적강도
5
기계적강도
5
에틸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기계적강도
5
기계적강도
5 에테르계
우레탄고무
기계적강도
5
에틸렌 고무
기계적강도
5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

내한성 0 내후성 내한성 0 내후성


내한성 0 내후성 내한성 내한성
0 내한성
내후성
0 내후성
0 내후성 내한성 내한성
0 내한성
내후성
0 내후성
0 내후성 내한성 내한성
0 내후성
0 내후성
내한성 0 내후성내한성 0

Q우레탄 특성치
내열성
E인장강도, 신장의 각エステル系
내유성
특성치는 JIS규격 K6251에
내열성
エステル系
내유성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Q각종 고무의
내열성 내유성내열성 내유성
エステル系
특성
내유성 내열성 내열성 내유성내열성 내유성 내유성 내열성 내열성 내유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
エステル系
내열성 내
내약품성 내약품성의거해 시험을 실시합니다.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우레탄
우레탄고무
우레탄고무우레탄고무
우레탄고무 니트릴고무 니트릴고무 클로로프렌
니트릴고무니트릴고무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클로로프렌
클로로프렌 고무 고무 에틸렌 고무
에틸렌 고무 에틸
에틸렌 고무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
항목 단위 에테르계 에테르계
5 에테르계
5 에테르계
5 5 5 5 5 5 5 5 5 5 5 5 5
표준 불코란 Ⓡ
내마모 제전성 우레탄 내열 저반발 초저경도 세라믹 우레탄 내염성
내염성 내염성 내마모성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

경도 쇼어A 95 90 70 50 30 92 68 90 70 90 70 50 90 70 15 95 90 70 50
내한성 0
내한성 내후성
내한성
0 내후성
내한성
0 내후성
0 내한성내후성 0
내한성 내후성
내한성
0 내한성
내후성
0 내후성
0 내한성내후성 0
내한성 내후성
내한성
0 내한성
내후성
0 내후성
0 내한성내후성 0
내한성 내후성
내한성
0 내한성
내후성
0

비중 - 1.13 1.13 1.2 1.2 1.2 1.26 1.2 1.13 1.2 1.2 1.13 1.03 1.02 1.13 1.13 1.2 1.2
내열성 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 내유성
내열성 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내열성 내
인장강도 MPa 44 27 56 47 27 46.5 60 44.6 31.3 26 53 45 44.6 11.8 0.6 42 26 53 45 내약품성 エステル系
내약품성 エステル系
내약품성 エステル系 エステル系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

신장 % 380 470 720 520 600 690 650 530 650 440 680 490 530 250 445 360 440 680 불소고무
490 ® ®
부틸고무 부틸고무 불소고무 부틸고무실리콘고무 실리콘고무불소고무
저탄성고무(하네나이트 저탄성고무(하네나이트
) 실리콘고무
) 부틸고무 저탄성고무(하네나이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체적고유저항률 (Ω•cm) 109~12 - - 2.1×1058 - - - 5
- - 5 5 5 5 5 5 5 5 5 5 5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
내열性 ℃ 70 80 70 70 120 70 80 70 70
(단기간120도)
내한성 0 내후성 내한성 0 내후성
내한성 0 내후성 내한성 내한성
0 내후성
내한성
0 내후성
0 내후성 내한성 내한성
0 내후성
내한성
0 내후성
0 내후성 내한성 내한성
0 내후성
0 내한성
내후성 0 내후성내한성 0
내한성 ℃ -40 -20 -20 -20 -20 -20 -20 -40 -40 -20
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열성 내유성내열성 내유성 내유성 내열성 내열성 내유성내열성 내유성 내유성 내열성 내열성 내유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
E체적저항률은 JIS규격 K6271-1에 의거해내약품성
시험을 실시하고 있습니다.내약품성
Q고무 특성치 내약품성
E인장강도, 신장의 각 특성치는 JIS규격 K6251에 의거해 시험을 실시합니다.
내약품성
부틸고무 부틸고무 부틸고무부틸고무
내약품성 내약품성
불소고무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실리콘고무
내약품성
저탄성고무(하네나이트
내약품성
) 저탄성고무
내약품성
®
내약품성
®
기계적강도
210℃ 불소고무 불소고무불소고무
기계적강도
실리콘고무실리콘고무
기계적강도
실리콘고무 저탄성고무(하네나이트 )
저탄성고무(하네나이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
니트릴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에틸렌 고무 부틸 고무 불소 고무 실리콘 고무(SI) 저탄성 고무 천연 고무 5 5 5 5 5고내열 5 5 5 5 5 불소고무 기계적강도
5 5 5 5 5
실리콘
項目 단위 내염성 내염성 내마모성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약품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고성능
내염성 내마모성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
(NBR) (CR) (EPDM) (IIR) (FPM) 표준 고강도 (하네나이트Ⓡ) (NR)
표준우레탄
150℃ 에틸렌
경도 쇼어A 70 50 65 65 65 80 60 70 50 50 57 32 45 내한성 0
내한성 내후성
내한성
0 내한성
내후성
0 내후성
0 내한성내후성 0
내한성 내후성
0 내한성
내후성
내한성 내후성 0 내후성
0 내한성내후성 0내열
내한성 내후성
내한성
0 내한성
내후성
0 내후성
0 내한성내후성 0
내한성 내후성
내한성
0 내후성
내한성
0
비중 - 1.6 1.3 1.6 1.2 1.5 1.8 1.9 1.2 1.2 1.3 1.2 0.9
부틸
인장강도 MPa 12.7 4.4 13.3 12.8 7.5 12.5 10.8 7.4 8.8 7.8 8.3 10.3 16.1 내수・

내열
내열성 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약품
내유성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내열성 내
신장 % 370 400 460 490 380 330 270 300 330 400 810 840 730 온도 클로로프렌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불코란R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
체적저항률 (Ω•cm) 1010이하 109이하 108이하 108이하 106이하 106이하 1011이하 1013이하 1014이하 - - - 니트릴고무 고강도
내유성
최고사용온도 ℃ 90 90 100 120 120 230 천연고무
230 200 200 천연고무
60 60 70 천연고무 천연고무
특수기능 에테르계 우레탄 에스테르계 우레탄 내마모 우레탄
연속사용온도 ℃ 80 80 80 80 80 210 기계적강도
210 150 150 기계적강도
30 30 70 기계적강도 70℃ 표준 표준 고강도 기계적강도
5 5 5 5
내한성 ℃ -10 -10 -35 -40 -30 -10 -10
내염성 -70
내마모성내염성 -50 10 10
내마모성 0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E값은 참고치이며 보증치는 아닙니다. 고강도
30℃ 저탄성
내한성 0 내후성
내한성 0 내후성 내한성 0 내후성 충격흡수 내한성 0 내후성
Q경도표기에 대해서 Q경도의 이미지 내열성
Q참고 경도별
내유성 내열성
굴곡 시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
미스미의 우레탄·고무·스폰지에서는 3종류 경도표 쇼어A95 골프공 딱딱함 시험 조건 표준 우레탄 두께 5mm 폭 30mm 길이 40mm
저내열
기를 사용하고있습니다. 쇼어A90 야구의 경식구
내약품성
부시 풀게이지로 하중 5N로내약품성
잡아당겼을 때 내약품성 저강도 기계강도 고강도 내약품성
천연고무 천연고무 천연고무천연고무
1쇼어A 쇼어A70 야구의 연식구
우레탄·고무 소재 경도에 사용. 쇼어A95 쇼어A50 기계적강도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
쇼어A50 플라스틱 지우개 5 5 5 재질
5 특징
신JIS규격 K6253 듀로미터 타입A에서 측정한 값을 『쇼어 내염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 내마모성
내염성표준 내마모성 내마모성
쇼어A30 자전거 타이어 튜브 우레탄 반복 강도와 쿠션성이 뛰어나 매커니즘 스토퍼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A70』으로 표기.
쇼어A15 곤역 정도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가수분해를 일으키기 때문에 습기가 많은 곳이나 물 주변에서는 이용하지 마십시오.
2아스카C 부드러움
스폰지 소재의 경도에 사용.
·경도의 허용 범위:기재값에 대해서 ±5입니다.
내한성 내한성
0 내후성
내한성
0 내한성
내후성 내후성
0
0 제전성 우레탄 대전 방지 효과가 높은 우레탄입니다.
내후성
일본 고무협회 표준 규격 SRIS0101 스프링식 ASKER(아스 기계적 강도와 정전기 대책이 필요한 장소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카)C형에서 측정한 값을 『아스카C25』로 표기. 120℃까지의 내열성을 가진 우레탄입니다. (표준 우레탄의 내열 온도는 70℃ )
상기의 2점에 대해서는 수치가 클수록 경도가 딱딱한 것입니다. 듀로미터 A 10 20 30 40 50 60 70 80 90 내열성 내열성 내유성 내열성내열 내유성
내열성 내유성 우레탄 내유성고온 영역에서 높은 기계적 강도가 필요한 곳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3침입도 (쇼어A)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내약품성
초고내마모 우레탄 기존의 우레탄에서는 볼 수 없는 내마모성 및 내하중성을 갖춘 초고내마모 우레탄 불코란Ⓡ입니다. 절단 강도가 우수하며 표준 우레탄의 6배의 내
겔 소재의 경도에 사용. 아스카ーC 20 30 40 50 60 70 80 90 (불코란Ⓡ) 마모성, 15배의 기계적인 강도를 갖습니다.
SRIS 0101 C형 쇼어A90 쇼어A30
JIS 규격 K2207에 의한 측정 방법 규정 중량의 침을 시료 독자적인 배합으로 비용을 줄여서 표준 우레탄의 2.5배 정도의 내마모성을 갖는 우레탄입니다. 교환 빈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색은 짙은
중에 수직에 진입시켜 진입한 침의 길이로 표기. 내마모 우레
갈색입니다.
침입도의 값은 1/10mM을 1과 하여 수치가 높을 수록 말랑
말랑한 소재입니다. 세라믹 가루를 자체 배합한 미스미 오리지널 우레탄입니다. 국소 하중에 대하여 세라믹 가루가 내성을 발휘합니다. 단, 절삭시 입자가 산산조각이
세라믹 우레탄
날 수 있으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듀로미터의 종류와 측정 대상 재질 니트릴고무(NBR) 내유성이 우수하고 저렴해서 범용적으로 이용되는 고무입니다. 오링 및 패킹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레탄 ・고무
스펀지 ・펠트
듀로미터 F형 C형 A형 D형 내후성, 내열성, 내유성, 내약품성이 뛰어난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합성 고무입니다. 접촉에 의해 색이 묻어나거나 오염을 최대한 억제한 비오염성 타입도
클로로프렌 고무(CR)
마련하였습니다.
쇼어A70 쇼어A15
에틸렌 고무(EPDM) 내후성, 내한성, 내약품성이 뛰어나 패킹이나 도어 스톱 등 범용적인 용도로 이용됩니다.
화장용 경질고무
연 스펀지 스펀지
일반고무 플라스틱 경 내열이 높아 전기 특성(절연성)에도 우수합니다. 생리적으로도 안전하기 때문에 의료 관련 기기, 식품 관련 기기를 비롯하여 전가기구 관련 등 내
실리콘 고무(SI)
열성이 필요한 다양한 곳에 사용됩니다.
고가이지만 뛰어난 내열성·내유성·내용제성·내약품성에 더욱 폭 넓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불소 고무는 테플론이나 바이턴Ⓡ의 명칭으로 널리
경도를 측정할 듀로미터는 위의 그림과 같이 시료의 종류에 맞춰 다양한 타입(형태)이 있습니다. 우레탄·고무용 불소 고무(FPM)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내오존성·내열성·내유성·내약품성은 고무 중에서도 가장 뛰어납니다.
으로는 JIS K 6253 준거 타입 A 듀로미터(아스카 A형)가 가장 일반적입니다. 우레탄·고무보다 부드러운 재질에 충격·진동 흡수성이 뛰어난 제진 고무로 외력을 받아도 거의 반발하지 않고 에너지를 흡수합니다. 물성·내구성은 일반적인 고무와 동등합니다.
대해서는 아스카 C형 또는 아스카 형으로 측정합니다. 충격 흡수 젤은 더욱 부드러워 아스카 F형으로 측정하는 저탄성 고무(하네나이트Ⓡ)
정음, 저진동 제품의 부재로서 많이 채용되고 있습니다.
초경질의 재질입니다.
내유성이 약하고 쉽게 끈적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내열, 내한, 내후성이 뛰어나고, 물과 약품에도 내성이 있어 외부 환경에서 사용하기 좋습니
부틸 고무(IIR)
다.

Q우레탄의 변색에 대한 주의
우레탄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색상의 변화, 황변이 발생합니다. 물성적으 ・불코란Ⓡ의 변색에 대해서 Q내열온도비교 Q내약품성비교
로는 문제없이 특성도 유지됩니다. 양해 부탁 드립니다. ■온도특성 내열온도(℃)
불코란Ⓡ은 배합의 특수성으로 자외선에 의한 변색이 다른 우레탄에 비해 현저합니다. 우레탄 니트릴 클로로프렌 에틸렌 부틸 불소 실리콘 저탄성
특히 변색이 강한 제전성 우레탄과 불코란에 대해서 소개해드립니다. 아래 사진은 햇빛이 닿는 야외에 설치했을 경우의 변색 과정입니다. -70 -60 -50 -40 -30 -2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 210 220 230

・제전성 우레탄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색 시험개시 1일경과 6일경과 20일경과 우레탄고무 내열우레탄 휘발유,경유 P P g n n p r-g r

저탄성고무
물 r P p p p p g r
※황변의 시간이나 정도는 사용 환경등 *변색의 물성 및 특성 변 실리콘고무
에서 큰 차이가 발생합니다. 화는 없습니다.
불소고무 강산 n g g g p p r r
경화전 경화후
니트릴고무 강알카리 n g p p p n p g
부틸고무
에테르 n n-r n-r g r-g n-r n-r r
에틸렌고무
클로로프렌고무 케톤 n n n-g p p n g n

2 -433 p=우수、g=양호、r=가능、n=불가 2 -43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