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 소개와 전망

한국정보화진흥원 김동화 연구원

『*사토라레』라는 영화를 보면, 마음속으로 하는 생각이 주변 사람들에게 전해지는 능력을 갖게 된


주인공이 등장합니다. 주인공의 솔직한 생각이 들은 주변 사람들은 당황하지만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
가서는 오히려 이러한 순수한 생각의 전달에 호감을 느끼게 됩니다.
* ‘사토라레’는 마음을 읽는 도깨비인 ‘사토리’에서 유래된 일본어

[그림 1] 영화 사토라레(2001)

손 하나 까딱하지 않고 생각만으로 사물을 움직이고, 대화를 나누며,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능


력, 누구나 한번쯤은 상상해 보았을 모습일 것입니다. 그런데, 영화 속에서나 등장했던 이런 상상이 우
리의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는 ‘인간의 뇌’에 관한 축적된 연구를 바탕으로, 최근 들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대


형 연구개발 프로젝트가 한 몫을 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2013년 브레인 이
니셔티브(BRAIN Initiative)를 출범시켰으며, 같은 해에 유럽연합(EU)은 인간 뇌 프로젝트(Human Brain
Project)를 진행하는 등 국가적 혹은 범국가적 차원의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뇌에 관한 연구들이 많은 분야에 응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기술 중 하나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Brain Computer Interface, 이하 BCI)입니다. BCI는 사용자의 뇌파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기술로, 뇌
신호를 이용하여 대화하고 기계를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국내외에서 미
래를 바꿀 유망 기술로써 높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기존의 BCI 연구는 신체적 활동이 어려운 사
람들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됐지만, 최근에는 웨어러블(Wearable) 기기와 뇌 신호 측정기기의 발달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BCI application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 BCI 기술의 적용에 사용되는 뇌 신호는 다양한 분류체계가 존재하지만,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BCI 응용기술(application)은 크게 다음과 같이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표1 – 뇌 신호 유도 방법에 따른 BCI 기술의 분류]

구 분 내 용
Active BCI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의식하여 뇌 활동을 조절하며, 외부 변화를 유도
Reactive BCI 외부자극에 대한 뇌활동의 반응을 측정
Passive BCI 외부 조절에 대한 의지나 외부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뇌 활동을 측정하여 정보 획득

❏ 또한, BCI 기술은 사용자의 뇌 신호를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사용하게 됩니다.

전처리(Preprocessing) → 특성 추출(Feature extraction) → 분류(Classification)

❍ BCI는 뇌 신호를 외부에 적용하기 위해 세 단계에 걸쳐 조정됩니다. 먼저,


1) 전처리(Preprocessing) 단계에서는 신호 획득 과정에서 발생한 잡음을 제거하고,
2) 특성 추출(Feature extraction) 단계에서는 여러 가지 뇌 신호가 혼재된 상태에서 특이적 신호
(일정한 패턴을 보이거나 자극 후 일정한 반응을 보이는)를 골라낸 후,
3) 분류(Classification) 단계에서는 추출된 특성으로부터 각각의 뇌파가 전환 알고리즘을 통해 어떤
종류의 뇌파 집단에 속하는지를 분류합니다.

위의 과정을 거쳐 외부 기기에 적용되는 유의미한 정보로 재해석된 뇌 신호는 아래의 그림들과 같이 다


양한 분야에 융합 적용될 수 있습니다.

[그림 1] [그림 2]
※출처 : University of Pittsburgh ※출처 : Graz University of Technology

[그림 3] [그림 4]
※출처 : University of Florida ※출처 : http://cnbi.epfl.ch/
대표적으로 BCI 기술은 외부 기기를 생각만으로 조종하는 매개체로써 응용되고 있습니다.
[그림 1]은 미국 피츠버그 대학의 연구팀이 사용자의 좌뇌 운동피질에 전극을 설치하여 생각만으로 로
봇 팔을 조종하는 모습입니다. BCI를 통해 [그림 2]처럼 뇌파로만 게임을 플레이하거나 [그림 3], [그
림 4]와 같이 드론이나 휠체어를 조종하는 일들도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과 연결되어 사물-사람 간의 교류를 증진시키며 지능정보화를 앞당길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외에도 뉴로피드백(neurofeedback)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거나, 사람의 감


정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피드백을 전달하는 등 인간의 뇌기능을 최대화하려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림 7] 뉴로피드백의 원리
※출처 : 네이버캐스트
물론 BCI로 인해 우려되는 부분도 존재합니다. 인간의 두개골이나 대뇌 피질에 설치하게 되는 침습형
장비는 외과적인 부작용을 끼칠 가능성이 있으며, 본인이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무언가를 조종하거나,
두뇌 활동의 정보를 해킹 당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림 6] 뇌 정보를 읽어내는 모습 [그림 7] 침습형 뇌 전극


※출처 : 마인너리티 리포트(2015) ※출처 : http://www.extremetech.com
BCI 기술은 지금까지 놀라운 성과들을 거두고 있으며, 이 기술이 상용화될 시, 우리사회의 모습은 큰
폭으로 바꾸어 놓을 것으로 예견됩니다. 하지만, 뇌의 작용은 굉장히 복잡한 과정을 통해 일어나기 때문
에 그 반응들 사이의 알고리즘을 명확히 파악하려는 연구가 충분히 수반되어야만 합니다. 또한, 예상되
는 역기능을 사전에 고려하는 기술적 설계가 필요하며, ICT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와의 효과적인 융합
노력이 동반된다면 이로 인한 시너지 효과와 긍정적 파급효과는 더 커질 것입니다.
□ 참고문헌
1. Thorsten O Zander & Christian Kothe(2011). Towards passive brain-computer interfaces:
applying brain-computerinterface technology to human-machine systems in general. Journal
of Neural Engineering, 8(2), 025005
2. S Marcel & JR Millan(2007). Person Authentication Using Brainwaves(EEG) and Maximum A
posteriori Model Adaption.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29(4), 743-752
3. University of Pittsburgh Medical Center. 2014. http://www.UPMC.com/BCI
4. University of Florida. 2016. https://youtu.be/C0s3w-wqcI8?list=PLNxwX7r4A556sgYxwQMsC3bk3PXLtcIZt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