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4차산업혁명 시대의

혁신과 기업가정신

Chapter 1. 기업가정신이란 무엇인가

최병철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
TABLE OF CONTENTS

1. 기업가정신이란 무엇인가

2. 창업활동과 경제체제

3. 신규창업의 종류와 유형

2
제1절 기업가정신이란 무엇인가

1. 창업활동과 기업가정신
- 개인을 창업으로 유도하는 힘인 기업가정신이란?

• 슘페터(J. Schumpeter)
- 창업가의 혁신활동(신상품 개발 등)의 결과로 자본주의 발전(창조적 파괴 발생)
- 기업가정신의 핵심은 ‘혁신’이며 창업가는 바로 그 ‘혁신의 주체’
제1절 기업가정신이란 무엇인가

• 커즈너(I. Kirzner)
- 창업활동은 시장의 수요공급 불균형 상태로 빚어진 ‘사업기회‘ 포착 행위
- 창업가의 이윤추구 행위를 통해 시장은 또 다른 균형 상태 이룸

• 칸티용(R. Cantillon)
- 생산요소를 조합하여 재정거래 행위와 불균형 시장상황을 통한 이익추구 위험 부담

• 셰인과 벤카트라만(Shane and Venkataraman)


- 새로운 사업기회의 검색과 포착의 중요성을 강조
- 그에 기반한 사업화라는 일련의 활동을 기업가정신의 핵심
제1절 기업가정신이란 무엇인가

※ 쉐이크쉑버거(Shake Shack Burger)


• 소비자에게 뉴욕의 햄버거를 즐기는 ‘체험’을 제공함
- 3시간 기다리는 것이 뉴욕 가는 비용보다 저렴함
- 동일 체험 위한 요구 효용 우위에서 비롯됨(비교효용우
- 2호점은 소비자에게 ‘지루함’ 문제해결하고 체험질 향상시킴
- 즉,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거나, 불편함을 줄임

기업가정신은 신상품과 신제품이라는 혁신으로, 때로 수요 공급 균형을 맞추


는 역할로 자본주의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는 것
제1절 기업가정신이란 무엇인가

• 티몬스(J. Timons): 기업가정신은 존재하지 않는 무엇인가를 창조하는 행위의 요체임

• 피터 드러커(Peter Drucker): 창조와 변화를 추구하는 기업가정신은 다시 ‘기회포착’ 행위임

• 스티븐스(H. Stevens): 가용자원에 얽매이지 않으며 기회를 추구하는 행위양식을 의미함

기업가정신은 상품혁신과 시장혁신을 가능케 해주는 일종의 사고 및 행위체계임

기업가정신은 새로운 것을 출현시키는 접근방식이며, 지속적인 기회 탐색행위를 통해 사업


기회를 포착하고, 그렇게 포착된 사업기회를 추구하기 위해 자원을 동원하는 일련의 행위체
계임
제1절 기업가정신이란 무엇인가

• 스티븐스(H. Stevens): 가용자원에 얽매이지 않으며 기회를 추구하는 행위양식을 의미함

이마트는 쿠팡이 될 수 있을까? 7


제1절 기업가정신이란 무엇인가

2. 경제적 행위로서의 창업

(1) 고용창출
• 지방자치단체의 대기업 유치 시, 지역의 고용창출 효과 급증

(2) 혁신
• 새로운 마켓니즈를 포착하고 이를 공략하기 위해 제품개발 등과 같은 혁신을 주도

(3) 사업기회 창출 및 개발
• 스타트업은 포착된 사업기회를 통해 이윤창출 방안 기획(새로운 비즈니스모델 개발)
• 연관산업의 붕괴 및 새로운 산업의 등장을 촉구
• 기존 산업의 가치사슬을 재편하여 동료 사업자들에게 새로운 수익창출 기회 제공
8
제1절 기업가정신이란 무엇인가

2. 경제적 행위로서의 창업

21년 3분기 세계 스타트업에 투자된 금액은 1,582억 달러


(약 189조 2,000억 원)로 종전 최대였던 2021년 2분기의
1,510억 달러를 넘어서며 역대 최대 금액 기록(CB
insights, 10.7)
제2절 창업활동과 경제체제

• 표1-1은 글로벌앙트러프러너십 모
니터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 창업
활동의 트렌드를 나타냄

• 경제활동 측면에서 창업은 단순한 창


업자의 생계유지를 넘어 기존 조직의
혁신 및 사회공동체에 기여

• 창업은 ‘사회적 문제’ 해결의 도구로서


각광받으며, ‘목적지향적’ 기업가정신
이라 부름

10
제3절 신규창업의 종류와 유형

1. 신생기업의 분류
- 새로운 기업의 유형은 어떤 것이 있을까?

1) 생계형
• 생계를 위한 수입 창출에 초점
• 기업의 생존 중요, 경영스타일 방어적
• 단순 기술의 개인사업체 대부분

2) 생활스타일형
• 창업자가 추구하는 모종의 생활스타일을
유지하는 창업
• 기존의 사업모델 유지 및 운영 초점

11
제3절 신규창업의 종류와 유형

1. 신생기업의 분류
- 새로운 기업의 유형은 어떤 것이 있을까?

3) 성장관리형
• 소규모에서 점진적 성장을 이뤄낸 사업체
• 전문투자자 개입, 사업확장하여 완만한 성장
추구

4) 성장지향형
• 창사초기부터고도성장을위한전략적창업
• 기술의존도가높으며, 가장높은기업가정신지향성
을보임
• 전문투자자및기관투자자관여함
• 고도성장을한소수기업을유니콘혹은데카콘이라
12
불림
제3절 신규창업의 종류와 유형

2. 기업가정신의 구현-CSI Entrepreneurship


- 좋은 기업이란 무슨 뜻일까?

13
제3절 신규창업의 종류와 유형

2. 기업가정신의 구현-CSI Entrepreneurship


1) 개인창업
• 치킨집부터 테슬라까지
• 개인의 역량으로 자금마련
• 개인 및 사업체의 이익이 최우선

14
제3절 신규창업의 종류와 유형

2. 기업가정신의 구현-CSI Entrepreneurship


2) 사내창업
• 모기업의 자금으로 창업
• 모기업과의 연결성: 신시장 개척, 조직개편 등
• 모기업의 이해관계가 중요

15
제3절 신규창업의 종류와 유형

2. 기업가정신의 구현-CSI Entrepreneurship


3) 사회적기업
• 영리를 추구하면서 사회적 문제에 공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창의성, 고객중심, 효율성

1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