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시장 세분화 (SEGMENTATION)

세부 시장 해당 시장 특성

- 일반적으로 유동인구가 많음
관광지 시장 - 주중과 주말의 차이는 크지 않으나 비수기와 성수기의 차이가 극명함
- 일반적으로 점포들의 물가가 높고 관광객의 특성 상 소비에 관대한 경향성이 있음
지리적 특성
-전반적인 유동인구는 관광지 시장보다 적음
직장가 시장 - 비수기와 성수기가 따로 존재하지 않음
- 일반적으로 합리적인 물가를 지향하지만 전반적인 단가는 비싼 편

- 트렌드에 민감하고 맛집에 대한 정보가 풍부한 조기 수용자층


학생층 - SNS 를 위시한 IT 기기에 대한 친숙도가 가장 높음
- 허나 이를 실행할 금전적인 소비력은 다소 떨어지는 편

-
소비력이 가장 높고 금전적인 여유가 풍부한 수요층
연령별 특성 중장년층 - 소비에 대한 관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편
- IT 기기를 활용한 편의시설등에 대한 적응력은 학생층보다는 떨어지나 일반적인 기능 사용은 친숙함

- 학생층보다는 소비력이 높은 편이나 소비 품목에 대한 관성이 제일 강함


노년층 - 신체적 거동이 불편한 수요층이 만큼 편의성 측면에선 다른 연령별 시장에 비해 민감함
- it 기기를 활용한 서비스에는 취약함
표적시장 설정 (TARGETING)

시장 세분화 시장 규모 자사 적합성 경쟁요소 수익성

식당가 위주
미슐랭 맛집 다수 구루
관광지 시장 설비 관광지 시장
해마다 관광객 n 명 가격 경쟁 승리 ?
제공노하우
지리적 특성
홍콩 금융허브 관광지 시장
직장가 시장 직장시장 관광지 시장
식당가 n 개

학생층

연령별 특성 중장년층

노년층
포지셔닝 전략 (POSITIONING)

관광지 중심 표적시장 직장인 중심 표적시장

제품 속성에 편리성 강조
따른 포지셔닝 어플을 통한 원터치 예약
전략 현재 웨이팅 상황을 한눈에

점심시간이 한정된 상황에서 예약 가능


사용상황에 일정이 빠듯한 관광객에게 불확실성
비즈니스 미팅이 많은 금융권 특성상 장소
따른 포지셔닝 제거
선정에 용이

점심시간이 한정된 직장인


한국 관광객과의 유동성 강조
제품 사용자에 비즈니스 미팅 장소를 선정하는 직장인
한국에서 쓰던 어플을 그대로 해외에서 !
따른 포지셔닝 공유 기능을 통해 정확한 위치 좌표를
Ui 의 거부감을 감소시킬수 있음
알려줄 수 있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