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8

공학석사 학위논문

콘크리트 사장교의

장기거동 해석을 위한 예측 모델 비교

2008년 8월

부경대학교 대학원

토 목 공 학 과

강 대 희
공학석사 학위논문

콘크리트 사장교의

장기거동 해석을 위한 예측 모델 비교

지도교수 이 환 우

이 논문을 공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08년 8월

부경대학교 대학원

토 목 공 학 과

강 대 희
강대희의 공학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2008년 8월 27일

주 심 공학박사 이 동 욱 ㊞

위 원 공학박사 국 승 규 ㊞

위 원 공학박사 이 환 우 ㊞
목 차

1. 서 론 ·················································································································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 동향 ····································································································· 3
1.3 연구방법 및 범위 ······················································································· 4

2. 사장교 설계와 시공 ··················································································· 5


2.1 사장교 개요 ································································································· 5
2.2 사장교 현황 ································································································· 6
2.3 사장교 설계 ································································································· 8
2.3.1 경간분할 ······························································································ 9
2.3.2 케이블부의 설계 ·············································································· 11
2.3.3 주탑의 설계 ······················································································ 12
2.3.4 주형의 설계 ······················································································ 13
2.4 사장교 시공 ······························································································· 14
2.4.1 주탑의 가설 ······················································································ 14
2.4.2 케이블의 시공 ·················································································· 15
2.4.3 주형의 시공 ······················································································ 15

3. 콘크리트 재료의 시간의존적 성질 ··················································· 17


3.1 재령효과(aging effect) ············································································ 17
3.2 건조 수축(shrinkage) ·············································································· 17
3.3 크리프(creep) ···························································································· 18
3.4 영향 인자 ··································································································· 19
3.4.1 건조수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9
3.4.2 크리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0

- i -
3.5 예측 모델식 비교 ······················································································· 22
3.5.1 개요 ······································································································ 22
3.5.2 모델의 특징 및 사용한계 ································································ 24

4. 수치 해석 ······································································································ 25
4.1 대상교량 ····································································································· 25
4.1.1 개요 ······································································································ 25
4.1.2 해석교량의 제원 ················································································ 28
4.1.3 해석부재의 모델링 ············································································ 29
4.1.4 해석 범위 ···························································································· 29
4.1.5 시공단계 해석 ···················································································· 30
4.1.6 시공단계의 정의 ················································································ 32
4.2 해석 결과 ··································································································· 39
4.2.1 시공단계에 따른 크리프와 건조수축의 영향 ······························ 39
4.2.2 상대습도 변화에 따른 영향 ···························································· 60
4.2.3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에 따른 영향 ·········································· 64

5. 결 론 ··············································································································· 69

참고문헌 ············································································································· 70

부 록
부록 A. ACI 모델 ······························································································· 72
부록 B. CEB-FIP 모델 ····················································································· 83
부록 C. B3 모델 ·································································································· 94

- ii -
Comparison of Prediction Model for Long-Term

Behaviors Analysis of Concrete Cable-Stayed Bridges

Dae-Hui, Kang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Recently, for the stability of structures and the economy, the construction of cable-stayed
bridges using the composit girder and th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tends to increase. In the
characteristics of its concrete material, the cable-stayed bridge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long-term behavior of concrete like creep and drying shrinkage. To predict the long-term
behavior of concrete, ACI Committee 209(hereinafter, ACI model), CEB-FIP (1990), and B3 models
are generally used. In this study, for the correct use of these models, the features of each model
were analyzed. The B3 model with many influential factors has a merit that it can most
appropriately reflect the behavior according to time duration but it seems too complex to use.
Moreover,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diverse influence factors on the long-term behavior
prediction models, the parametric analyses were made. When ACI model and CEB-FIP model
were compared in each stage of construction, ACI model was estimated more conservative than
CEB-FIP model except under pylon. And, as a result of variables analysis on the relative
humidity and the strength, it was concluded that the yearly average relative humidity of each
loc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its design, and that the pylon where the stresses are
concentrated and the places such as the rigid connections of decks where the change of stress is
great according to the strength increase should also be given special attention.

keyword: concrete cable-stayed bridges, creep, shrinkage, ACI Committee 209 model,
CEB-FIP (1990) model, B3 model

- iii -
1. 서 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사장교의 근대적인 형식은 1955년 스웨덴의 Stromsund교가 건설되면서


부터 개막되었다. 그 후 사장교는 급속도로 경간이 길어지고 규모 또한 대

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경제성을 위해 합성

형 주형이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주형을 이용하는 사장교 건설이 증


가하고 있는 추세이다(황재웅, 200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주형을 이용한 사장교는 콘크리트 재료의 특성

상 크리프, 건조수축에 의한 장기거동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러한 장기


거동의 특성으로 인하여 강재 사장교와 비교할 때 응력의 재분배와 시공

중 구조계의 변화 등 구조해석상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아진다. 콘크리트

장기변형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이 놓인 환경조


건과 일치하는 예측 모델식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많은 나라에서 다양한

모델식을 제시하고 있지만 실제 구조물과 실험실에서 사용한 재료가 차이

가 나고, 다양한 영향인자 파악에 대한 한계와 환경의 가변성 등으로 장기


거동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하다(김용빈 등, 1998). 국내의

경우 콘크리트 장기거동 예측 모델은 설계기준(건설교통부, 2005)에서

CEB-FIP(1990) 모델을 표준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장기거동 예측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CEB-FIP(1990)

(CEB-FIP(1990), 이하 CEB-FIP 모델), ACI Committee 209(1992)(ACI

Committee 209(1992), 이하 ACI 모델), B3(1995)(B3(1995), 이하 B3 모델)


모델의 특징과 사용한계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다양한 영향인

- 1 -
자들이 장기거동 예측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변수해석을

수행하였다.

- 2 -
1.2 연구동향

사장교에 대한 연구동향은 주탑형상 및 케이블 배치 등이 설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기하구조적인 문제와 강재 및 프리스트레스트 콘크

리트 등의 재료적인 문제에 대한 접근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그 중에

서 경제적인 이점이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주형을 가지는 사장교


를 대상으로 재료적인 문제에 국한 하였다.

윤영만(2003)은 실무에서의 합리적인 설계를 위해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대한 적용기준 및 주형받침의 경계조건, 초기 케이블력 결정을 위한 주탑


변위 조건 등 영향변수들의 거동특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이 연구에서

는 설계단면이 작으면 각 기준적용에 따른 차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큰 단면을 갖는 주탑의 하단부에 대해서는 많은 차이가 있다는 연구 결과


를 제시하였다. 김용빈 등(1998)은 기존의 유한요소법에 의한 탄성 해석 프

로그램과 크리프, 건조수축에 의한 비탄성 변형을 등가 하중으로 치환하는

방법을 서로 비교하였다. 노한승(2005)은 CEB-FIP, ACI 모델을 서울대에


서 개발한 사장교 전용프로그램으로 콘크리트의 시간의존적 특성을 고려하

여 실제 시공된 교량을 해석하였다. 이재석 등(2007)은 시공단계를 고려한

PSC 거더교 및 PS 사장교의 시간의존적 해석을 비선형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CI, CEB-FIP 모델에 따른 장기거동을 비교하였다. 전쌍순 등

(2002)은 윈도우 환경에서 CEB-FIP 모델 및 ACI 모델의 크리프와 건조수

축 변형률을 계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두 모델을 비교하였다.

- 3 -
1.3 연구방법 및 범위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장기변형 예측을 위해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

고 있는 모델식인 ACI , CEB-FIP, B3 모델의 특징 및 사용한계 그리고


영향인자를 분석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장기거동 해석 모델식의 비교․분

석을 위해 ACI 모델과 CEB-FIP 모델을 각각 적용하여 해석하고, 구조거

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별 상대습도에 대한 특성을 고려하고, 강도변화


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

는 이들 두 영향인자에 대한 변수 해석을 수행하였다.

크리프와 건조수축의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사장교의 가설단계와 시간


이력을 정확히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가설단계와

시간이력을 적절히 모사할 수 있는 순방향해석방법을 이용하였다.

- 4 -
2. 사장교 설계와 시공

2.1 사장교 개요
사장교(cable-stayed bridges)는 사장케이블의 인장강도와 주탑(pylon)

및 주형(deck)의 휨·압축강도를 효과적으로 결합시킨 구조물이다. 또한 구


조적 효율성을 극대화시킨 형식이며, 많은 설계 변수를 가지고 있다(한국

건설기술연구원, 1995).

사장교의 구조설계시에는 예기치 못한 시공변화, 콘크리트 주형․주탑과


케이블의 비선형 등 많은 설계변수로 인해 매우 복잡한 구조거동을 한다.

따라서 고정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정적해석과 고유진동해석, 이동차량해

석, 지진하중해석 및 풍하중해석과 같은 동적해석도 반드시 수행해야 한다.


또한 사장교에 있어서 케이블 설치시에 도입하는 케이블 긴장력을 결정하

기 위해서는 우선 완성계 상태에서 사하중에 대한 초기평형상태를 결정하

고 시공과정에 따른 시공단계해석이 수행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장교


의 설계시 완성계 상태의 전체해석에서는 구조물의 제원과 케이블의 단면

및 장력을 산정하고, 시공단계해석에서는 단계별 케이블의 도입장력과 강

형의 제작캠버(fabrication camber) 및 시공캠버를 결정한다.


시공단계해석은 역방향해석(backward analysis)과 순방향해석(forward

analysis)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역방향해석은 시공과정과 반대로 초기평형

상태의 완성계 형상이 결정된 구조물에서 가설부재와 하중을 시공의 역방


향으로 제거해 나가면서 해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순방향해석은 시공이

진행되는 순서대로 해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순방향해석에서는 시간이력

을 고려할 수 있고, 각 계산 단계에서의 힘과 모멘트가 결정되므로 가설


중 구조물의 응력을 검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5 -
2.2 사장교 현황
표 2.1은 국내에서 현재 사용 중인 사장교 현황을 보여주고 있으며, 표

2.2는 현재 시공중인 국내 사장교 현황을 보여주고 있다(포스코건설 등,

2007).

표 2.1 국내 사장교 교량 현황(2007)

교 량 명 준공년 설 계 사 시 공 사 경간 구성 (M) 거더 형식
돌산대교 1984 RPT(영) 대림산업 85+280+85 강상판상형
진도대교 1985 RPT(영) 현대건설 70+344+70 강상판상형
삼우기술단
올림픽대교 1989 유원건설 150+150 PSC BOX
VCE(오)
벽산Eng.
신행주대교 1995 벽산건설 2@50+120+2@50 강합성형
DSI
삼우기술단
서해대교 2001 대림산업 200+470+200 강합성형
TYlin(미)
영흥대교 2001 유신Corp. 현대건설 110+240+110 강상판상형
삼천포대교 2003 유신Corp. 대림산업 103+230+110 강합성형
제2진도대교 2005 유신Corp. 현대건설 70+344+70 강상판상형
어등대교 2005 (주)삼안 SK건설(주) 105+105 강상판상형

- 6 -
표 2.2 현재 시공중인 국내 사장교 현황
거더
교 량 명 설계년 설 계 사 시 공 사 경 간 구 성 (M)
형식
120+198+480+198
금빛대교 2003 DM Eng. 현대건설 복합트러스
+120
신완도대교 2003 서영기술단 삼성건설 90+200+140 강상판상형
고하 ․ 죽교 2004 다산Consul. GS건설 200+500+200 강상판상형
71+189+500
돌산 ․ 화태 2004 유신Corp. 한진중공업 강합성형
+189+71
마창대교 2004 현대 Eng. 현대건설 170+400+170 강합성형
청풍대교 2005 Envico 대림산업 22+35+327+35+22 복합형
우두 ․ 종화 2005 유신Corp. 대림산업 35+82+230+82+35 PSC
COWI(덴) 220+475+220+106
거가대교 시공병행 대우건설 강합성형
DM +2@230+106
80+260+800
인천대교 시공병행 Chodai(일) 삼성건설 강상판상형
+260+80
월드컵대교 - 유신Corp. 미정 100+225+120+95 강합성상형
한돌대교 2004 유신Corp. (주)한진중공업 2@71+2@189+150 강합성상형
경사형
북항대교 - 유신Corp. 현대산업개발 60+227+540+227+60 Edge I형
Girder
콘크리트박
운남대교 - 유신Corp. (주)남양건설 70+2@152.5+70
스거더
3@50+57.5+85+2@22 콘크리트
세풍대교 - (주)청석Eng (주)대립산업
0+85+57.5 Edge 거더
콘크리트
화포대교 - (주)서영Eng. 삼성건설 46.5+113.5+260+100
Edge 거더
도화/신성Eng 콘크리트박
화명대교 2007 현대건설 115+270+115
. 스거더

최근 시공중인 사장교는 2000년대 초기에는 강상판상형이나 강합성상형


의 거더형식이 많고, 후반부로 갈수록 콘크리트를 재료로 하는 형식의 사

장교가 증가하고 있다.

- 7 -
2.3 사장교 설계

사장교는 고차의 부정정구조물로서 케이블, 주탑, 주형의 형식에 따라 구

조물의 거동이 민감하게 변화하게 된다. 또한 시공 공법이 다양하므로 공


법별로 시공단계에서 엄밀한 해석이 요구되며, 주형의 강성이 일반형식을

갖는 교량보다 비교적 작으므로 처짐 및 동적거동에 대해서 엄밀한 검토를

해야한다(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5).
사장교는 일반적인 교량형식에 비해 다음과 같은 우수한 구조특징을 가

지고 있다.

① 케이블 배치, 주탑형상 등에 따른 형태가 다양하여, 설계의 자유도가


많다.

② 지간장의 적용범위가 넓기 때문에, 지간분할의 제약조건이 비교적

적다.
③ 케이블 긴장력의 조정에 따라 주탑 및 거더의 응력조정이 가능하며,

경제적 설계가 가능하다.

④ 케이블을 이용한 켄틸레버식 가설이 가능하므로, 합리적 가설방법이


채택 될 수 있다.

⑤ 케이블, 주탑, 거더로 구성되어 현대적 조형미를 가진다.

반면에, 다음과 같은 점은 설계․시공단계에서 주의해야 할 점이다.


① 일반적으로 세장한 구조를 가지므로 내풍, 내진에 대한 정밀검토가

필요하다.

② 전체구조계의 내하력은 물론 대변형이 발생하는 가설시 거동의 검토


가 필요하며, 케이블 세그(sag)에 따른 비선형성의 검토가 필요하다.

③ 케이블 피로, 방식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④ 가설시 케이블 장력 및 주탑, 거더의 형상관리가 필요하다.

- 8 -
그림 2.1은 사장교의 구조적 거동을 나타낸 그림이다. 사장교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가 케이블의 인장력으로 지탱되기 때문에 케이블 정착점에서

탄성지지된 구조물로서 거동한다.

주탑

케이블

보강형

그림 2.1 사장교의 구조적 거동

2.3.1 경간분할

그림 2.2와 같은 3경간 사장교에서 중앙경간의 인장 영역 의 길이는

케이블 정착 간격 보다 크게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경간

분할은 사하중 상태에서 측경간과 중앙경간의 하중이 평형을 이루도록 하

고 특정경간에 발생하는 휨모멘트를 줄일 수 있다.

- 9 -
ac Lo

그림 2.2 소수케이블 시스템

그림 2.3 다중케이블 시스템

그림 2.3은 다중케이블 시스템의 일반적인 경간분할을 나타낸다. 사하중

상태에서 그림 2.3과 같은 구조계는 측경간과 중앙경간의 하중이 평형상태


를 이루므로 구조적인 효율성이 좋다. 하지만 다중 케이블 시스템의 측경

간 케이블 부재의 단면은 소수케이블 시스템에 비해 매우 작고 강성 또한

낮다. 따라서 활하중 재하시에는 케이블 부재에 응력집중이 발생하므로 주


의해야 한다.

- 10 -
2.3.2 케이블의 설계

케이블의 배치를 결정할 때에 고려해야할 사항은 아래 표 2.3과 같다.

표 2.3 케이블 배치시 고려사항

고려사항 종 류

․ 소수케이블
케이블 수
․ 다수케이블(multi cable)
․ 방사형식
케이블 측면 배치 형식 ․ 팬(fan)형식
․ 하프(harp)형식
․ 중앙 1면 지지
케이블의 지지면 수
․ 양측 2면 지지

소수케이블 시스템은 주로 초기에 사장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식이

다. 하지만 구조해석 기술의 발달과 시공기술의 발달로 최근에는 일부 사

장교를 제외하곤 거의 다수 케이블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그림 2.4는 케이블의 측면 배치 형식과 케이블의 지지면 수를 나타내고

있다.

- 11 -
(a)방사형 (d) 일면케이블

(b) 팬 형

(c)하프 형 (e) 이면케이블

그림 2.4 케이블의 측면 배치 형식과 케이블의 지지면 수

2.3.3 주탑의 설계

기본적으로 주탑은 케이블의 구조형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림 2.5는

일반적인 주탑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2.5 주탑의 형상

주탑의 설계에 있어서 형식과 높이의 결정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

적으로 주탑높이는 경간길이에 비례한다. 또한 케이블 부재와 경사각도 충


분히 고려해서 너무 낮은 주탑으로 인해 케이블 부재의 경사각이 작아지는

- 12 -
것에 대해서도 주의해야 한다.

2.3.4 주형의 설계

주형의 단면형상은 케이블 배치와 주탑의 형식 및 내풍안정성을 고려해

서 결정한다. 과거에는 구조해석 기술의 부족으로 소수 케이블시스템을 사


용했기 때문에 주형도 어느 정도 휨강성을 가지는 단면이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다수 케이블시스템의 사장교가 보편화 되면서 주형의 휨강성

도 작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주형의 휨강성에 의한 문제보다는 비틂강


성이나 진동문제가 단면선정시 더욱 중요해 지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유선

형 박스 형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 13 -
2.4 사장교의 시공

사장교는 케이블로 지지되는 교량으로서 시공 시작단계에서 완성계에 이

르는 단계까지 구조계가 수시로 변화하기 때문에 엄밀한 시공관리가 필요


하다.

2.4.1 주탑의 시공
주탑은 강재, 콘크리트로 시공할 수 있다. 강재 주탑을 시공하는 공법은

공장에서 제작된 탑 본체를 대형 크레인을 이용해서 한번에 일괄 시공하는

공법과 주탑부재를 운반 가능한 중량과 치수의 블록 단위로 제작하여 현장


에서 조립하는 방법이 있다.

콘크리트 주탑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① 단면은 높이에 따라 변하는 경우가 많고 형식 특징에 따라 주탑에 과


도한 휨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다.

② 사장재 정착을 고려, 유지 점검용 통로 설치 등으로 단면 형상이 복

잡하다.
③ 주탑본체의 시공 외에 케이블 설치용 작업대, 인장 작업용 비계 등을

설치해야 한다.

④ 콘크리트 주탑에서는 일반적으로 프리캐스트 공법보다는 현장타설공


법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⑤ 케이블 정착부 시공은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콘크리트 주탑은 시공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한 단계에 2∼


5m 정도 타설하면서 시공한다. 또한 경사진 주탑을 시공할 경우에는 휨에

의한 콘크리트의 인장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14 -
2.4.2 케이블의 시공

케이블의 시공은 주탑 및 보강형의 정착부에 케이블을 설치하는 작업과


다음 단계로 케이블에 장력을 도입해서 보강형을 케이블이 지지할 수 있도

록 하는 작업으로 나눌 수 있다. 표 2.4는 케이블 설치 공법과 특징을 나타

내고 있다.

표 2.4 케이블 설치 공법

공 법 특 징
․작업효율이 우수하다.
크레인을 이용한 직접정착법 ․직경이 큰 케이블의 가설에는 부적합하다.
․별도의 보조장비가 불필요하다.
․시공성이 떨어진다.
행거 공법 ․직경이 큰 케이블의 가설이 가능하다.
․임시케이블 설치가 필요하다.
․직경이 큰 케이블의 가설이 가능하다.
캣워크 공법
․캣워크와 임시기둥의 설치가 필요하다.

2.4.3 주형의 시공

사장교에서 주형의 시공은 주탑․주형의 응력 및 변위와 케이블의 정착

방법 등을 고려해서 공법을 산정한다. 표 2.5는 대표적인 주형의 시공방법


을 나타낸 것이다.

- 15 -
표 2.5 대표적인 주형의 시공방법

교량형식 시공 방법

동바리공법

압출공법 임시 교각을 이용한 시공


강 교
일반 크레인을 이용한 시공
캔틸레버 공법
가동인양기에 의한 시공

전체 동바리
동바리 공법
임시교각을 설치한 동바리

압출공법 임시교각을 이용한 시공


콘 현장타설
이동식 작업차에 의한 시공

캔틸레버 공법
리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병행 시공

회전공법

동바리 공법

프리캐스트 일반 크레인을 이용한 시공


캔틸레버 공법
가동인양기에 의한 시공

이동식 작업차에 의한 바닥판 현장 타설


합성교 캔틸레버 공법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

- 16 -
3. 콘크리트 재료의 시간의존적 성질

콘크리트는 다공질의 재료로서 내부에 여러 가지 형태의 수분이 존재하


며, 시멘트 수화물 자체도 점성변형을 일으키는 특성을 갖는다. 내부 수분

분포의 변화와 자체의 점성으로 인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지

않아도 시간에 따라 변형이 증가하게 된다. 시간의존적 변형은 재령 효과


(aging effect), 건조 수축(shrinkage), 크리프(creep) 현상이 있다.

3.1 재령효과(aging effect)

콘크리트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증가한다. 콘

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가 압축강도의 크기에 의해 크게 좌우되므로,

장기하중에 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좀 더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시


간경과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3.2 건조수축(shrinkage)

콘크리트는 습기를 흡수하면 팽창하고 건조하면 수축한다. 건조수축은

내부의 응력과 온도변화와는 무관하게 콘크리트가 시간에 따라서 지속적으

로 변형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거동의 원인은 콘크리트 내부의 화학적 자


유수가 건조대기 상태로 증발하는 경우에 발생된다.

- 17 -
3.3 크리프(creep)

콘크리트 등의 재료에 하중을 일정기간 재하하면 하중 재하 동시에 발생

하는 탄성변형 이외에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추가적인 변형이 발생한다.


이 추가변형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증가하는데 이를 크리프변형이

라고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재료의 특성을 크리프라고 한다. 그림 3.1에

서 보는 바와 같이, 하중 재하 시점에서 생기는 탄성 변형과 건조조건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하는 기본크리프(basic creep), 건조조건에서

발생하는 건조크리프(drying creep)에 의한 변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림 3.1 하중재하와 건조가 동시에 일어날 때 변형

- 18 -
3.4 영향 인자

3.4.1 건조수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강도와 강성

탄성계수의 증가는 건조수축량을 감소시키는데 탄성계수가 큰 골재를 사


용함으로서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2) 물-시멘트비
수화된 시멘트 페이스트의 건조수축은 물/시멘트 비가 클수록 증가한다.

왜냐하면 물/시멘트 비가 클수록 페이스트내의 증발가능한 물의 양이 커지

고 물이 시료의 표면으로 이동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Brooks는 물/


시멘트 비가 20~60%일 때 수화된 시멘트 페이스트의 건조수축량이 물/시

멘트 비에 비례하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Brooks 등, 1983).

(3) 상대습도

수축은 오랜 기간동안 발생한다. 심지어 몇몇 연구결과들은 28년이 경과

한 후에도 수축이 발생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건조수축량은 외기의 건조환


경에 독립적이다(수분이 매우 낮은 상대습도상태로 이동하여 콘크리트가

파괴되는 경우는 예외). 빠른 건조는 크리프에 의한 응력의 재분배를 제한

하여 균열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나 바람이나 강제적인 확산이 콘크리트


의 증발율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초기재령은 제외). 왜냐하면 콘크리

트의 수분확산이 매우 낮아서 매우 작은 증발율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러한 현상은 여러 실험들에 의해 증명되었다.

- 19 -
3.4.2 크리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강도와 강성

크리프는 가압응력에 비례하고 시료의 강성에 반비례한다. 많은 실험결

과들이 3일 이하의 초기재령을 제외하고는 가압응력과 크리프가 비례한다


는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

(2) 배합설계
콘크리트의 제작변수 중 가장 큰 것으로 물-시멘트 비를 들 수 있는데

이 양이 변화하면 단위 시멘트양과 콘크리트의 강도 역시 변화한다. 물-시

멘트비가 증가함에 따라 큰크리트의 압축강도는 감소하고 크리프는 증가하


는 경향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염화칼륨 성분이 든 혼화제의 경우 크리프

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혼화제가 사용되는 배합에서는 사전실험에 의해 크

리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해 보아야 한다.

(3) 구조물의 크기와 형태

콘크리트 부재의 크기와 형태는 부재 고유의 특성이지만 이러한 요소들


의 중요성은 실험시료의 크리프 결과를 실제 부재에 적용하는데 있다. 몇

몇 경우에는 다른 성질을 가진 부재들의 크리프 차이가 매우 중요할 수 있

다. 일반적으로 크리프에 대한 크기의 영향은 가압 후의 초기재령에서 크


고 몇 주일이 경과하면 시료의 크기에 관계없이 크리프율이 비슷하다.

(4) 골재의 성질
골재의 입도(grading), 최대치수(maximum size), 형태(shape) 등도 크리

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이다.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가장 큰 영향

- 20 -
을 주는 골재의 물리적인 성질은 골재의 탄성계수이다. 골재의 탄성계수가

커짐에 따라, 수화된 시멘트 페이스트의 잠재적인 크리프량을 억제하는 골


재의 영향이 커진다. 경량골재와 일반골재의 크리프 성질에 대한 기본적인

차이는 없다. 경량골재가 일반골재보다 크리프량이 더 큰 것은 골재의 탄

성계수가 경량골재가 좀 더 작기 때문이다.

(5) 상대습도

크리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외부 요소 중 하나는 주변의 상대


습도이다. 일반적으로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콘크리트의 크리프는 크다.

- 21 -
3.5 예측 모델식 비교

3.5.1 개요

콘크리트 장기 변형을 예측하기 위한 많은 모델식들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어떠한 모델식도 콘크리트의 장기 변형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


다. 그 이유는, 첫째 실험실에서 행하는 재료와 실제 구조물에 사용되는 재

료와의 차이 때문이고, 둘째 장기변형에 미치는 영향인자를 파악하는데 한

계가 있으며, 셋째 실제 구조물이 놓이는 환경은 매우 가변적이어서 이러


한 가변성을 모두 고려한 모델식 개발은 불가능 하다. 표 3.1은 여러 가지

모델식의 영향인자를 보여준다. 모델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많은 영향

인자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장기변형 예측을 위해 실제 구


조물과 동일한 재료와 동일한 환경에서의 단기간의 실험값에 의해 보정하

는 것이 필요하다. 이 장에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ACI,

CEB-FIP 및 B3 모델의 사용한계와 특징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부록에 모


델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서술하였다.

- 22 -
표 3.1 장기거동 해석모델의 영향인자(손호웅, 2004)

METHOD

골재형태(aggregate type) X
골재-시멘트비(A/C ratio) X
공기량(air content) X
단위시멘트량(cement content) X X
시멘트형태(cement type) X X X X
콘크리트 밀도(concrete density) X X
잔골재/골재(fine/total aggregate ratio) X
슬럼프치(slump) X
물/시멘트 비(W/C ratio) X X
단위수량(water content) X
초기하중재하시간(age at first loading) X X X X X X X X
시료의 재령(age of sample) X
작용하중(applied stress) X X X X X X X X
하중재하시 강도
X X
(characteristic strength at loading)
단면형상(cross-section shape) X
양생조건(curing conditions) X
28일 강도(compressive strength at 28 days) X X X X X X
하중지속 시간(duration of load) X X X X X X
유효두께(effective thickness) X X X X X X X X
하중재하시 탄성계수 X X X
(elastic modulus at age of loading)
28일 탄성계수(elastic modulus at 28 days) X X X X X X X X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 X X X X X X X X
온도(temperature) X X
건조시작시간(time drying commences) X

* SABS : South African Bureau of Standards


** BS :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 AS : Standards Association of Australia

- 23 -
3.5.2 모델의 특징 및 사용한계

ACI 모델은 ACI 209에 의해 제시된 것으로서 이 위원회의 연구 보고서


인『Prediction of Creep, Shrinkage, and Temperature Effects in Concrete
Structures』에 수록되어 있다. ACI 모델식은 일반적인 환경에 놓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수한 환경, 예를 들면 매스콘크리
트 구조물 또는 높은 열을 받는 구조물 등에는 적용할 수 없다.
CEB-FIP 모델은 일반적인 구조용 콘크리트 강도인 압축강도가 12MPa
에서 80MPa인 콘크리트에 응력이 약 0.4f cm (t') 미만이 작용할 때 이용할

수 있다(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해설, 2007). 물론 0.6f cm ( t') 까지 사용 가능

하도록 되어 있으나 그러한 경우에는 그에 대한 적절한 보정을 요구하고


있다. 또 보통 구조물이 놓이게 되는 상대습도가 40%에서 100%, 평균온도
가 5℃ ~ 30℃정도에 이용될 수 있다. 이 모델식은 압축력을 받을 때에 이

용될 수 있는 것이나, 인장력에 대해서도 큰 오차없이 이용될 수 있다. 이


모델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콘크리트의 평균압축강도   ′ 또는
설계기준압축강도   ′ , 부재의 크기, 주위공기의 평균상대습도, 재하시의

재령, 건조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재령, 재하기간 등이 필요하다. 또한 시


멘트의 종류, 양생온도, 온도변화, 작용하중 등이 주어지면 보다 정확하게
보정된 모델식을 이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B3 model은 Northwestern대학의 Bazant교수에 의해 1995년
에 수정하여 제시한 모델식이다. 모델식의 사용 가능한 범위로는 1) 포틀
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 2)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2500≦ f c ' ≦10000psi,

3) 물시멘트가 0.3≦ w/c ≦0.85, 4) 단위시멘트량이 10≦ c ≦45 lb/ft , 5)


3

골재시멘트 중량비가 2.5≦ a/c ≦13.5 로 정하고 있다. 그러나 다소 이 범위


를 벗어난다 하더라도 실험결과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정된다면 사용할 수
있다.

- 24 -
4. 수치 해석

4.1 대상 교량

4.1.1 개요

대상교량은 주경간 270m의 FCM공법을 적용한 3경간의 2주탑 일면 콘


크리트 박스거더 사장교로 계획하였다. 주탑의 형식은 일면 콘크리트 주탑

이며 케이블형식은 다중스트랜트 형식(multi strand cable type)의 1면 팬

형식(fan type) 배치이고, 기초는 현장타설말뚝기초를 사용하였다.

(1) 구조형식

표 4.1은 대상 교량의 주경간교 구조형식을 나타낸다. 총 연장이 500m,


폭원이 27.8m이다. 그림 4.1에서는 해석 대상교량의 경간 구성과 상부구조

그리고 주탑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표 4.1 대상교량의 주경간교 구조형식

구분 형식 연장 폭원

2주탑 일면
115+270+115 =
주경간교 콘크리트 27.8m
500m
박스거더 사장교

- 25 -
총 연 장 500,000

경 간 장 115,000 270,000 115,000


3,0002,600 2,6003,000
케이블장2@2,5002@3,400 12 @ 6,800 = 81,600 32,000 17 @ 6,800 = 115,600 6,800 17 @ 6,800 = 115,600 32,000 12 @ 6,800 = 81,600 2@3,4002@2,500
=5,000 =6,800 =6,800 =5,000
SEG.길이 7,0505,600 14 @ 6,800 = 95,200 9,300 19 @ 6,800 = 129,200 2,300 19 @ 6,800 = 129,200 9,300 14 @ 6,800 = 95,200 5,6007,050
2,500 (KEY SEG) 2,500
(KEY SEG) (KEY SEG)

- 26 -
PY2 P11
P10 PY1
27,800

400 2,600 450 500 2@3,500=7,000 1,000 450 3,000 450 1,000 2@3,500=7,000 3,500 450

400 4,600 1,500 750 1,500 5,150 5,150 1,500 750 1,500 4,550 450

부산신항만 무근콘크리트 CL 산성터널


(t=80mm)
칼라ASCON 포장
CL of ROAD 배수용 개구부 CL of ROAD
(t=40mm) SBS-PMA 포장 SBS-PMA 포장
SBS-PMA 포장 (t=80mm) C.T.C 10,000 (t=80mm)
(t=40mm)

230
S=-2.000% S=-2.000%

320
500
230
300

PSC 콘크리트 1,500x300


fck=40MPa
670

4,000
700 750 500

3,180
3,722

1,950
0
40
2,252

73°
1,000x230
10

270
351
270

49 .1

5,000 1,500 2,900 4,500 4,500 2,900 1,500 5,000

9,000

(b) 상부 구조

단 면 A-A
3,200
4,500
300 1,600 300
800 800 1,150 2,200 1,150
2,000

800
1,600
4,000

3,200
1,500

800

A A
17@1,200=20,400

단 면 B-B
7,000

1,150 4,700 1,150


800
1,600
3,200

800
60,000

18,100

치 수 표 단 면 D-D
5,000
구 분 PY1 P Y2
H1 22, 720 23,820 1,000 3,000 1,000
H2 31, 800 32,900
A 4.0 90m 4.076m
1,000

B 51.400m 51. 100m


20,000

3,100

교축방향
27,800

B B
9,000

800
80
4,000

3,100
1,000
H1

C C 단 면 E-E
H2

9,000
4,500 2,000

1,250 6,500 1,250


1,719

교 축직각방 향
5,000

22,000

2,000 4,500 5,562

D D
100

현장타설 말뚝
1,719

D=2,000mm
L = A
연암층 근입깊이 현 장타설말뚝
2@2,828
B

(2D) D=1,850mm
3,269 =5,658 3,269
2,440 2,462 2,462 2,440
2,000 6,219 5,562 6,219 2,000 22,000
22,000

(c) 주 탑

그림 4.1 해석대상 교량(계속)

- 27 -
4.1.2 해석교량의 제원

(1) 교량형식 : 2주탑 일면 콘크리트 박스거더 사장교

(2) 교량연장 : 115m + 270m + 115m = 500m


(3) 폭 원 : 27.8m (차로폭원 20.0m)

(4) 교량등급 : 1등급

(5) 포 장 : 아스팔트포장
(6) 사용 재료

가. 콘크리트 - 설계기준강도

- 보강형, 주탑 : 40MPa
- 주탑, 기초 : 35MPa

- 현장타설말뚝 : 27MPa

나. 철근 - 항복강도
- 보강형, 주탑, 주탑기초, 현장타설말뚝 : 400MPa

- 방호벽, 난간연석 : 300MPa

다. 케이블

- 사용텐던 탄성계수  = 195,000MPa

- 극한강도   = 1,860MPa

- 항복강도   = 1,600MPa

라 PS강연선

- 극한강도   = 1,900MPa

- 항복강도   = 1,600MPa

(7) 사용하중
가. 고정하중

․ 보강형과 주탑의 자중은 단위중량에 단면적을 곱하여 프로그램

- 28 -
자동산정

․ 2차 고정하중 : 아스팔트, 방호책, 난간


나. 활하중

․ DL24 및 DB24 의 영향선 재하

4.1.3 해석 부재의 모델링

해석에 사용된 모델링 형상은 그림 4.2와 같다. 주형 세그먼트 및 케이블

은 2차원 정의하여 수행하였고, 범용해석 프로그램인 MIDAS CIVIL 2006

을 사용하였다.

그림 4.2 프로그램 모델링 형상

4.1.4 해석 범위

이 연구의 해석 대상교량인 3경간 콘크리트 박스거더 사장교는 주탑, 주


형 그리고 기초가 콘크리트로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대한 특성 및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ACI 모델, CEB-FIP 모델

- 29 -
을 각각 적용하여 해석하였다.

4.1.5 시공단계 해석

(1) 개요

사장교에서의 시공단계 해석을 통해 대상구조물의 시공시 안정성 확보여

부와 실제 시공 가능 여부를 검증하는 것으로, 시공장비 운용계획 및 시공


순서의 적정성, 가설벤트 및 내풍케이블과 같은 가시설 유무 및 적용할 위

치 등을 결정한다. 대상교량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사장교이므로 가설 중

크리프와 건조수축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순방향해석을 통해서 초기치해


석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시공단계를 고려한 초기평형상태를 구현하였다.

(2) 초기장력 산정

케이블 초기장력의 도입으로 부정정구조물에서 부정정력을 조절하여 특


정하중상태에서 원하는 응력을 유도하며, 시공완료 후 10,000일이 경과된

시점을 목표로 하여 최종 종단선형이 설계선형과 같도록 초기치해석을 수

행하였다.
(3) 케이블 초기장력 도입시 고려사항

- 완성계(사하중 + 케이블 초기장력)에서 보강형의 휨모멘트 최소화 및

균등화 유도
- 완성계(사하중 + 케이블 초기장력)에서 주탑의 수평변위를 구속하여

휨모멘트 최소화

- 케이블 장력의 규칙적인 분포 및 중간지점부의 부반력 감소 유도


(4) 시공단계를 고려한 초기장력 산정 및 단면검토

- 측경간과 주경간부는 이동식거푸집(form traveller)을 이용한 켄틸레버

가설방법에 의해 한 세그씩 타설후 케이블 긴장

- 30 -
(5) 작용하중

- 보강형, 주탑 및 교각 자중(크리프 및 건조수축 영향 고려)


- 케이블 초기장력 및 내부강연선 프리스트레스

- 이동식거푸집 작업하중 (2000kN) : 전위하중 Pr=2195kN, 후위하중

Pr=195kN, 간격=4.65m
- 가설시 작업하중(10kN/m)

- 31 -
4.1.6 시공단계의 정의
(1) 시공단계의 정의

표 4.2는 본 대상교량의 시공단계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최초 주탑 1


이 가설되는 1070단계에서 시공완료 후 10,000일 이후 크리프와 건조수축

의 영향이 모두 완료되는 시점으로 보는 1720단계까지 총 108단계로 구성

되었다. 각 단계의 주요 공정은 주탑가설, 보강형 세그먼트 가설, 텐던의


설치 및 긴장, 케이블 가설 등이 있으며, 이동식거푸집 설치 및 이동과 크

리프, 건조수축 적용 단계 등으로 구분된다.

- 32 -
표 4.2 시공단계의 구성
시공 단계 케이블
단계 구분 단계별 시공개요 Days 보강형 강연선 측경간 중앙경간 F/T

1 1070 Pylon 가설 01   Pylon01        

2 1080 Pier table, Seg01 가설   Pier        


Table,
SEG01
3 1090 Pylon 가설 02   Pylon02        

4 1100 Pylon 가설 03   Pylon03        

5 1101 Creep Shrinkage 45          

6 1111 Tendon01 설치 및 긴장     Tendon      


01
7 1130 FT 설치           F/T

8 1140 seg02 가설, Tendon02 설치   SEG02 Tendon      


및 긴장 02

9 1150 측경간 케이블02 긴장       SC02    

10 1160 중앙경간 케이블02 긴장         MC02  

11 1161 FT 이동           F/T

12 1162 Creep Shrinkage 15          

13 1170 seg03 가설, Tendon03 설치   SEG03 Tendon      


및 긴장 03
14 1180 측경간 케이블03 긴장       SC03    

15 1190 중앙경간 케이블03 긴장         MC03  

16 1191 FT 이동           F/T

17 1192 Creep Shrinkage 15          

18 1200 seg04 가설   SEG04        


19 1210 측경간 케이블04 긴장       SC04    
20 1220 중앙경간 케이블04 긴장         MC04  
21 1221 FT 이동           F/T
22 1222 Creep Shrinkage 15          
23 1230 seg05 가설   SEG05        
24 1240 측경간 케이블05 긴장       SC05    
25 1250 중앙경간 케이블05 긴장         MC05  
26 1251 FT 이동           F/T
27 1252 Creep Shrinkage 15          
28 1260 seg06 가설   SEG06        
29 1270 측경간 케이블06 긴장       SC06    
30 1280 중앙경간 케이블06 긴장         MC06  

- 33 -
표 4.2 시공단계의 정의(계속)
시공 단계 케이블
단계 구분 단계별 시공개요 Days 보강형 강연선 측경간 중앙경간 F/T

31 1281 FT 이동           F/T

32 1282 Creep Shrinkage 15          

33 1290 seg07 가설   SEG07        

34 1300 측경간 케이블07 긴장       SC07    

35 1310 중앙경간 케이블07 긴장         MC07  

36 1311 FT 이동           F/T

37 1312 Creep Shrinkage 15          

38 1320 seg08 가설   SEG08        

39 1330 측경간 케이블08 긴장       SC08    

40 1340 중앙경간 케이블08 긴장         MC08  

41 1341 FT 이동           F/T

42 1342 Creep Shrinkage 15          

43 1350 seg09 가설   SEG09        

44 1360 측경간 케이블09 긴장       SC09    

45 1370 중앙경간 케이블09 긴장         MC09  

46 1371 FT 이동           F/T

47 1372 Creep Shrinkage 15          

48 1380 seg10 가설   SEG10        

49 1390 측경간 케이블10 긴장       SC10    

50 1400 중앙경간 케이블10 긴장         MC10  

51 1401 FT 이동           F/T

52 1402 Creep Shrinkage 15          

53 1410 seg11 가설   SEG11        

54 1420 측경간 케이블11 긴장       SC11    

55 1430 중앙경간 케이블11 긴장         MC11  

56 1431 FT 이동           F/T

57 1432 Creep Shrinkage 15          

58 1440 seg12 가설   SEG12        

59 1450 측경간 케이블12 긴장       SC12    

60 1460 중앙경간 케이블12 긴장         MC12  

61 1461 FT 이동           F/T

62 1462 Creep Shrinkage 15          

63 1470 seg13 가설   SEG13        

- 34 -
표 4.2 시공단계의 정의(계속)
시공 단계 단계별 시공개요 케이블
단계 구분 Days 보강형 강연선 F/T
측경간 중앙경간

67 1492 Creep Shrinkage 15          

68 1500 seg14 가설   SEG14        

69 1510 측경간 케이블14 긴장       SC14    

70 1520 중앙경간 케이블14 긴장         MC14  

71 1521 FT 이동           F/T

72 1522 Creep Shrinkage 15          

73 1530 seg15 (측경간:5.6m,중앙경   SEG15        


간:6.8m) 가설

74 1540 측경간 케이블15 긴장       SC15    

75 1550 중앙경간 케이블15 긴장         MC15  

76 1551 FT 이동           F/T

77 1552 Creep Shrinkage 15          

78 1560 측경간 FSM 구간 가설 F S M ,          


측경간 키세그 설치 Key SEG
측 경 간
내부강연
선긴장
79 1570 seg16가설   SEG16        

80 1580 측경간 케이블16 긴장       SC16    

81 1590 중앙경간 케이블16 긴장         MC16  

82 1591 FT 이동           F/T

83 1592 Creep Shrinkage 15          

84 1600 seg17가설   SEG17        

85 1610 측경간 케이블17 긴장       SC17    

86 1620 중앙경간 케이블17 긴장         MC17  

87 1621 FT 이동           F/T

88 1622 Creep Shrinkage 15          

89 1630 seg18 가설   SEG18        

90 1640 측경간 케이블18 긴장       SC18    

91 1650 중앙경간 케이블18 긴장         MC18  

92 1651 FT 이동           F/T

93 1652 Creep Shrinkage 15          

94 1660 seg19 가설   SEG19        

- 35 -
표 4.2 시공단계의 정의(계속)
시공 단계 케이블
단계 구분 단계별 시공개요 Days 보강형 강연선 F/T
측경간 중앙경간

95 1670 측경간 케이블19 긴장       SC19    

96 1680 중앙경간 케이블19 긴장         MC19  

97 1681 PY1의 FT을 PY2로 이동           PY2-


PY1의 FT제거 F/T

98 1682 Set back 하중 도입     Set Back      


하중도입

99 1683 Creep Shrinkage PY1-315          


PY1측에 300일 시간함수 PY2-15
재하
100 1690 중앙경간 KEY SEG 가설   Cen-Key        
(강성만 고려)
Set back 도입하중 제거
101 1691     중앙경간      
내부강연
선 긴장

102 1692 중앙경간 KEY SEG 하중            


재하
103 1693 Creep Shrinkage 15          

104 1700 PY2의 FT제거            

105 1710 Fine Tuning     케이블      


추가
장력도입
106 1711 2차고정하중 재하            

107 1712 Creep Shrinkage 20          

108 1720 10,000days Creep 10,000          


Shrinkage

- 36 -
(2) 가설단계 시공순서도

그림 4.3은 2단계(주두부 가설), 4단계(주탑1), 20단계(케이블 04긴장), 78

단계(측경간 FSM 구간 가설), 98단계(케이블 19긴장), 100단계(중앙경간

KEY 세그 설치)를 나타낸 그림이다. 우선 크레인을 이용하여 PY1측 교각


가설용 거푸집 설치 후 교각을 가설한다. 그리고 주두부 상단에 타워크레

인 및 이동식거푸집 설치하여 주탑을 가설한다. 주탑 가설이 완료되면 이

동식거푸집을 이동시키며 1세그씩 타설해나가면서 주형과 케이블 가설한


다. 주형과 케이블 가설과정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측경간 Key 세그와

중앙경간의 Key 세그를 가설한다.

그림 4.3 가설단계 시공순서도

- 37 -
그림 4.3 가설단계 시공순서도(계속)

- 38 -
4.2 해석 결과

4.2.1 시공단계에 따른 크리프와 건조수축의 영향


(1) 주경간 KEY 세그 폐합 전

표 4.4은 주경간 KEY 세그 폐합 전 단계의 주형, 주탑, 케이블의 부재력

과 변위를 나타낸 것이다. ACI와 CEB-FIP 모델을 적용한 것과 시간의존


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선형탄성 해석을 하였다. 괄호 안의 숫자는 ACI

모델을 기준으로 다른 두 모델의 부재력을 비교한 것이다. 각 모델에 적용

된 입력값은 표 4.3과 같으며, 이외에도 ACI 모델은 공기량 6%, 시멘트량

5.32  , 콘크리트 압축강도 계수 a=4, b=0.85가 입력된다.

표 4.3 모델에 적용된 입력값

입력값 28일 상대습도 개념부재 건조시작 시멘트 슬럼프 잔골재량


모 델 강도(MPa) (%) 치수(mm) 시간(day) 종류 계수 (m) (%)

ACI 40 70 386 3 - 0.18 -

CEB-FIP 40 70 386 3 0.25 - 45

그림 4.4는 해석 대상모델의 주형, 주탑, 케이블의 부재력과 변위의 검토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검토 위치 선정기준은 최대 변위와 부재력 예상지

점이며, 단면이 큰 주탑의 최하단과 주형과 주탑이 강결로 모델링된 교차


지점 그리고 주형의 처짐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중앙경간을 검토하였다.

- 39 -
그림 4.4 대상 모델의 부재력, 변위 검토 위치

그림 4.5 ~ 그림 4.8은 주형과 주탑의 위치별 단면력을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 4.5와 4.6의 주형의 부재력에서 가로축은 주형의 위치를 나타내고, 그

림 4.7과 4.8의 주탑의 부재력에서 가로축은 주탑 부재의 요소 번호로서

401이 주탑 최상부이고, 437이 주탑의 최하단이다. 이 단계의 주형의 축력


은 위 3가지 경우 차이가 1%로 거의 일치하며, 모멘트는 주탑과 교차하는

부분에서 선형탄성 해석을 했을 때 약 30%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주탑의 축력은 모든 모델의 값이 거의 동일하고, 모멘트는 주탑의 최하단


에서 ACI와 CEB-FIP 모델을 이용하여 크리프와 건조수축을 고려한 값보

다 선형탄성 해석을 했을 때 12%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선형탄성 해석시 과대설계가 될 우려가 있으며, 약 300일 경과시점


에서는 ACI, CEB-FIP 모델에 의한 해석값이 유사하므로 어느 모델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 40 -
표 4.4 주경간 KEY 세그 폐합 전
모 델
ACI CEB-FIP 선형탄성 해석
내 용

축력(kN) 107383.7(1) 107302.9(0.99) 108885.5(1.01)


주 형
모멘트(kN․m) 89266.3(1) 87465.9(0.97) 116015.8(1.29)

축력(kN) 149406.4(1) 149412.5(1.00) 149528.3(1.00)


주 탑
모멘트(kN․m) 111781.1(1) 112483.6(1.01) 125619.6(1.12)

주탑 0.059(1) 0.051(0.86) 0.059(1)


변위
(m)
주형 -0.044(1) -0.0521(1.18) -0.025(0.57)

케이블 장력(kN) 6435.5(1) 6441.2(1.00) 6346.1(0.98)

- 41 -
0 52 106 164 216 268 321 373 431 485
0

ACI model
-20000 CEB-FIP model
선형탄성해석
주형 축력(k N )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주 형 부 재

그림 4.5 주경간 KEY 세그 폐합 전 주형의 축력

0 52 106 164 216 268 321 373 431 485


150000
ACI model

100000 CEB-FIP model


주형 모멘트(kN.m)

선형탄성해석

50000

-50000

-100000
주 형 부 재

그림 4.6 주경간 KEY 세그 폐합 전 주형의 모멘트

- 42 -
401 404 407 410 413 416 419 422 425 428 431 434 437
0

-20000 ACI model

CEB-FIP model
-40000
선형탄성해석
주탑 축력(kN)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주 탑 부 재

그림 4.7 주경간 KEY 세그 폐합 전 주탑의 축력

401 404 407 410 413 416 419 422 425 428 431 434 437
100000

50000
주탑 모멘트(kN.m)

-50000
ACI model

CEB-FIP model
-100000
선형탄성해석

-150000
주 탑 부 재

그림 4.8 주경간 KEY 세그 폐합 전 주탑의 모멘트

- 43 -
(2) 주경간 KEY 세그 폐합 후

표 4.5는 주경간 KEY 세그 폐합 후 단계의 주형, 주탑, 케이블의 부재력


과 변위를 나타낸 것이다. KEY 세그 폐합 전 단계와 마찬가지로 ACI와

CEB-FIP 모델의 값은 거의 동일하고 크리프와 건조수축의 영향으로 주형

과 주탑의 모멘트 값이 차이가 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부재력과 변


위의 검토 위치는 그림 4.4와 같다. 그림 4.9 ~ 그림 4.12는 주형과 주탑의

위치별 단면력을 나타낸 그림이며, 이 단계의 주형의 축력은 위 3가지 경

우가 약 1% 차일로 거의 일치하며, 모멘트는 주탑과 교차하는 부분에서


선형탄성 해석했을 때 약 33%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주탑의 축력은

모든 경우 거의 동일한 값을 가지고, 모멘트는 주탑의 최하단에서 ACI와

CEB-FIP 모델을 이용하여 크리프와 건조수축을 고려한 값보다 선형탄성


해석시 약 19%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단계와

마찬가지로 약 300일 경과시점에서는 ACI, CEB-FIP 모델에 의한 해석값

이 유사하므로 어느 모델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 4.5 주경간 KEY 세그 폐합 후


모 델
ACI CEB-FIP 선형탄성 해석
내 용

주 형 축력(kN) 104353.9(1) 104213.5(0.99) 105898.7(1.01)

모멘트(kN․m) 81703.8(1) 79818.3(0.97) 108405.9(1.33)

주 탑 축력(kN) 149976.8(1) 149986.6(1.00) 150085.6(1.00)

모멘트(kN․m) 75322.6(1) 75089.0(0.99) 89563.3(1.19)

변 위 주탑 -0.057(1) -0.049(0.86) -0.025(0.044)

(m) 주형 -0.037(1) -0.045(1.22) -0.025(0.68)

케이블 장력(kN) 6358.4(1) 6363.1(1.00) 6262.8(0.98)

- 44 -
0 52 106 164 216 268 321 373 431 485
0
ACI model

CEB-FIP model
-20000
선형탄성해석

-40000
주형 축력(kN)

-60000

-80000

-100000

-120000
주 형 부 재

그림 4.9 주경간 KEY 세그 폐합 후 주형의 축력

0 52 106 164 216 268 321 373 431 485


150000
ACI model
CEB-FIP model
100000
선형탄성해석
주형 모멘트(kN.m)

50000

-50000

-100000
주 형 부 재

그림 4.10 주경간 KEY 세그 폐합 후 주형의 모멘트

- 45 -
401 404 407 410 413 416 419 422 425 428 431 434 437
0

-20000 ACI model

CEB-FIP model
-40000
주탑 축력(kN)

선형탄성해석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주 탑 부 재

그림 4.11 주경간 KEY 세그 폐합 후 주탑의 축력

401 404 407 410 413 416 419 422 425 428 431 434 437
80000

60000

40000
주탑 모멘트(kN.m)

20000

-20000
ACI model
-40000
CEB-FIP model
-60000
선형탄성해석
-80000

-100000
주 탑 부 재

그림 4.12 주경간 KEY 세그 폐합 후 주탑의 모멘트

- 46 -
(3) 가설완료 후

표 4.6는 가설완료 후 단계의 주형, 주탑, 케이블의 부재력과 변위를 나


타낸 것이다. 축력은 3가지 경우 거의 동일한 값을 가지며, 주탑과 주형의

모멘트값이 모든 경우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진다. 여기서 부재력과 변위의

검토 위치는 그림 4.4와 같다. 그림 4.13 ~ 그림 4.16은 주형과 주탑의 위


치별 단면력을 나타낸 그림이며, 모멘트는 주탑과 교차하는 부분에서 ACI

모델이 CEB-FIP 모델보다 3% 크고, 선형탄성 해석을 했을 때의 값이

ACI, CEB-FIP 모델을 이용하여 크리프와 건조수축을 고려했을 때 보다


약 33%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주탑의 축력은 모든 모델의 값이 거

의 동일하고, 모멘트는 주탑의 최하단에서 ACI 모델이 CEB-FIP 모델 보

다 17%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설완료 후 약


350일 시점에서는 ACI 모델이 CEB-FIP 모델보다 보수적인 값을 가진다.

표 4.6 가설완료 후
모 델
ACI CEB-FIP 선형탄성 해석
내 용

축력(kN) 115373.9(1) 115152.6(0.99) 117853.9(1.02 )


주 형

모멘트(kN․m) 84918.7(1) 83114.5(0.97) 112819.6(1.33)

축력(kN) 167140.1(1) 167065.2(0.99) 167067.3(0.99)


주 탑

모멘트(kN․m) 36578.5(1) 30378.4(0.83) 63957.3(1.74)

주탑 0.0291(1) 0.0348(1.20) 0.0182(0.63)


변위
(m)
주형 -0.116(1) -0.122(1.05) -0.076(0.66)

케이블 장력(kN) 8965.8(1) 8976.8(1.00) 8924.1(0.99)

- 47 -
0 52 106 164 216 268 321 373 431 485
0

-20000 ACI model


CEB-FIP model
-40000 선형탄성해석
주형 축력(kN)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주 형 부 재

그림 4.13 가설 완료 후 주형의 축력

0 52 106 164 216 268 321 373 431 485


150000

ACI model
100000 CEB-FIP model
주형 모멘트(kN.m)

선형탄성해석

50000

-50000

-100000
주 형 부 재

그림 4.14 가설 완료 후 주형의 모멘트

- 48 -
401 404 407 410 413 416 419 422 425 428 431 434 437
0

-20000
ACI model
-40000
CEB-FIP model
주탑 축력(kN)

-60000
선형탄성해석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주 탑 부 재

그림 4.15 가설 완료 후 주탑의 축력

401 404 407 410 413 416 419 422 425 428 431 434 437
100000

50000
주탑 모멘트(kN.m)

-50000
ACI model

CEB-FIP model
-100000
선형탄성해석

-150000
주 탑 부 재

그림 4.16 가설 완료 후 주탑의 모멘트

- 49 -
(4) 가설완료 후 10,000일 경과 시

표 4.7은 가설완료 후 10,000일 단계의 주형, 주탑, 케이블의 부재력과 변


위를 나타낸 것이다. 10,000일이 지난 후의 단면력은 모델식의 특징에 따라

그 차이가 뚜렷하다. 또한 여기서 부재력과 변위의 검토 위치는 그림 4.4와

같다. 그림 4.17 ~ 그림 4.20은 주형과 주탑의 위치별 단면력을 나타낸 그


림이며, 선형탄성 해석, ACI 모델, CEB-FIP 모델 순으로 단면력이 크며,

ACI 모델이 CEB-FIP 모델보다 약 8%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주형의

모멘트는 CEB-FIP 모델은 ACI 모델의 약 60% 정도의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주탑의 축력은 모든 모델이 거의 동일한 값을 가지며, 모

멘트는 단면이 큰 주탑의 최하단에서 CEB-FIP 모델이 ACI 모델보다 약

7배가량 큰 값을 가진다. 각 단계에서의 이러한 차이는 크리프와 건조수축


의 영향에 의한 응력의 재분배 등의 이유로 발생한 것이라 판단되며, 적용

모델 선정시 부재크기에 따른 영향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ACI 모델은 주탑하부를 제외하고 CEB-FIP 모델보다 보수적으로 평가됨


을 알 수 있다.

표 4.7 가설완료 후 10,000일 경과시


모 델
ACI CEB-FIP 선형탄성 해석
내 용
축력(kN) 112517.4(1) 103733.7(0.92) 117695.4(1.05)
주 형
모멘트(kN․m) 74809.9(1) 44875.3(0.60) 112720.2(1.52)

축력(kN) 169592.3(1) 169896.1(1.0) 167077.0(0.98)


주 탑
모멘트(kN․m) 20080.2(1) 140063.5(6.98) 644501.8(32)

변위 주탑 0.058(1) 0.125(2.16) 0.018(0.31)


(m) 주형 -0.29(1) -0.285(0.98) -0.076(2.62)
케이블 장력(kN) 8751.0(1) 8582.2(0.98) 8926.6(1.02)

- 50 -
0 52 106 164 216 268 321 373 431 485
0

-20000 ACI model


CEB-FIP model
-40000 선형탄성해석
주형 축력(kN)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주 형 부 재

그림 4.17 가설 완료 후 10,000일 경과시 주형의 축력

0 52 106 164 216 268 321 373 431 485


150000

100000
주형 모멘트(kN.m)

50000

ACI model
-50000
CEB-FIP model
선형탄성해석
-100000
주 형 부 재

그림 4.18 가설 완료 후 10,000일 경과시 주형의 모멘트

- 51 -
401 404 407 410 413 416 419 422 425 428 431 434 437
0

-20000
ACI model
-40000 CEB-FIP model

-60000 선형탄성해석
주탑 축력(kN)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주 탑 부 재

그림 4.19 가설 완료 후 10,000일 경과시 주탑의 축력

401 404 407 410 413 416 419 422 425 428 431 434 437
150000

ACI model
100000 CEB-FIP model
선형탄성해석
주탑 모멘트(kN.m)

50000

-50000

-100000
주 탑 부 재

그림 4.20 가설 완료 후 10,000일 경과시 주탑의 모멘트

- 52 -
(5) ACI, CEB-FIP 모델의 단계별 부재력

그림 4.21 ~ 4.28은 ACI 모델과 CEB-FIP 모델의 단계별 부재력을 나타


낸 그림이다. ACI 모델에서 폐합 후 단계는 완성계 상태의 구조물이 되므

로 중앙경간에서 주형의 축력은 크게 증가한다. 모멘트 값은 주경간 폐합

전․후 와 시공완료 후와 10,000일 이후 단계가 비슷하다. 단계별 주탑의


부재력을 살펴보면, 축력은 중앙경간 폐합 전․후와 시공완료 후, 완료 후

10,000일 시점의 크기가 비슷하며, 시간에 따른 응력의 재분배로 인해 주탑

의 모멘트는 단계별 부재력의 차이는 있지만 경향이 비슷하다.


그림 4.25의 CEB-FIP 모델의 단계별 주형의 축력은 ACI 모델과 경향이

비슷하며, 모멘트값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주탑과 주형의 강결지점, 중앙경

간의 모멘트 값의 차이가 크다. 단계별 주탑의 축력은 중앙경간 폐합 전․


후와 시공완료 후, 완료 후 10,000일 단계에서 크기가 비슷하며, 모멘트값

은 시공완료 후와 10,000일 값이 주탑의 최하단에서 단면크기 등의 영향으

로 정모멘트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크리프와 건조수축의 영향으로 시공중은 물론 시공이 완료된 후에

도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주탑의 최하단부에서와 같이 단면이 큰 부분의 경우 해석


모델 선정시 영향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53 -
0 52 106 164 216 268 321 373 431 485
0

10,000day
-20000 시공완료 후
중앙경간폐합후
-40000 중앙경간폐합 전
주형 축력(kN)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주 형부재

그림 4.21 ACI 모델의 단계별 주형 축력

0 52 106 164 216 2 68 321 373 431 485


12 0 0 0 0

10 0 0 0 0

80000
주형 모멘트(kN.m)

60000

40000

20000

-2 0 0 0 0

-4 0 0 0 0 10, 000day
-6 0 0 0 0 시공완료 후
중앙경간 폐합후
-8 0 0 0 0
중앙경간 폐합 전
-10 0 0 0 0
주 형 부 재

그림 4.22 ACI 모델의 단계별 주형 모멘트

- 54 -
401 404 407 410 413 416 419 422 425 428 431 434 437
0

-20000 10,000day
시 공 완료 후
-40000
중 앙 경간 폐 합 후
-60000 중 앙 경간 폐 합 전
주탑 축력(kN)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주 탑 부 재

그림 4.23 ACI 모델의 단계별 주탑 축력

4 01 404 407 41 0 413 4 16 419 422 42 5 428 4 31 434 4 37


1 5 0 0 00

1 0 0 0 00
주탑 모멘트(kN.m)

5 0 00 0

-5 0 0 00
10 , 0 00 d a y
시공완료 후
-1 0 0 0 0 0
중앙경간폐합후
중앙경간폐합 전
-1 5 0 0 0 0
주 탑 부 재

그림 4.24 ACI 모델의 단계별 주탑 모멘트

- 55 -
0 52 106 164 216 268 321 373 431 4 85
0

10,000day
-20 000
시공완료 후
중앙경간폐합후
-40 000 중앙경간폐합 전
주형 축력(kN)

-60 000

-80 000

-100 000

-120 000

-140 000
주 형 부 재

그림 4.25 CEB-FIP 모델의 단계별 주형 축력

0 52 106 164 216 268 32 1 37 3 43 1 48 5


12 0000

10 0000

8 0000

6 0000
주형 모멘트(kN.m)

4 0000

2 0000

-2 0000

-4 0000 10,000day
-6 0000 시공완료 후
중앙경간폐합후
-8 0000 중앙경간폐합 전
-10 0000
주 형 부 재

그림 4.26 CEB-FIP 모델의 단계별 주형 모멘트

- 56 -
401 404 407 410 413 416 419 422 425 428 431 434 437
0

-20000 10,000day
시공완료 후
-40000 중앙경간폐합후
중앙경간폐합 전
주탑 축력(kN)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주 탑 부 재

그림 4.27 CEB-FIP 모델의 단계별 주탑 축력

401 404 407 410 413 416 419 422 425 428 431 434 437
150000

100000
주탑 모멘트(kN.m)

50000

-50000
10,000day
-100000 시공완료 후
중앙경간폐합후
중앙경간폐합 전
-150000
주 탑 부 재

그림 4.28 CEB-FIP 모델의 단계별 주탑 모멘트

- 57 -
(6) 케이블 장력

그림 4.29과 그림 4.30은 ACI, CEB-FIP 모델의 가설완료 후 10,000일


경과시 케이블 장력을 나타낸 것이다. 케이블은 사장교에 작용하는 하중을

직접 지탱하기 때문에 시공단계를 고려한 초기 장력산정이 무엇보다 중요

하다. 여기서 초기치해석은 완성계의 보강형, 주탑, 케이블장력, 지점반력을


개선할 목적으로 사하중이 초기프리스트레스와 평형을 이루도록 각 케이블

에 장력을 도입하는 것을 말한다. 해석결과 케이블의 장력은 ACI 모델이

CEB-FIP 보다 최대 약 3%정도 크지만, 모델에 따른 영향이 미소한 것을


알 수 있다.

- 58 -
장 력(kN) 장 력(kN)

-100
-50
0
50
100
150
200
250
70
1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10000
70
70 1
3 70
70 3
5 70
70 5
7 70
70 7
9 70
71 9
1 71
71 1
3 71
71 3
5 71
71 5
7 71
72 7
1 72
72 1
3 72
72 3
5 72
72 5
7 72
72 7
9 72
73 9
1 73
73 1
3 73
73 3
5 73
73 5
7 73
73 7
9 73
74 9

- 59 -
1 74
74 1

Differences

케이 블 번호
3 74

케 이블 번호
74 3
5 74
74 5
7 74
74 7
9 74
75 9
1 75
75 1
3 75
75 3
5 75
75 5
9 75
76 9
1 76
76 1
3 76
ACI 모델

76 3
5 76
5
CEB-FIP 모델

그림 4.29 가설완료 후 10,000일 경과시 케이블 장력

76
7 76
76 7
9 76

그림 4.30 가설완료 후 10,000일 경과시 케이블 장력 비교


77 9
1 77
77 1
3 77
3
77
5 77
5
4.2.2 상대습도 변화에 따른 영향

표 4.8은 2007년 지역별 평균 상대습도를 나타낸 자료이다. 지역별로 상


대습도가 60%가 안되는 지역도 있고, 80%에 가까운 지역도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설계시에는 상대습도 70%를 적용하고 있다. 하지

만 교량이 시공되는 지역별로 연평균 상대습도의 차이가 있고, 주탑과 주


형의 콘크리트 타설시기가 다르다. 또한 대부분의 교량은 강이나 바다 등

습도가 높은 곳에서 시공되기 때문에 모델별로 상대습도의 영향에 따라 구

조거동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상대습도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60%,


70%, 80%를 적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림 4.31 ~ 그림 4.34는 부재 위치별 ACI, CEB-FIP 모델의 가설완료

후 10,000일 경과시 상대습도에 따른 주형의 부재력을 나타낸 그림이며, 표


4.9은 이를 정리한 것이다. 여기서 부재력과 변위의 검토 위치는 4.2.1절의

그림 4.4와 같다. 주형과 주탑의 축력에는 변화가 거의 없지만, 주형의 모

멘트 값은 70%를 기준으로 ACI 모델은 상대습도가 10%건조한 경우 4%


감소, 습윤한 경우 5%증가 한다. 그리고 CEB-FIP 모델은 상대습도가

10%건조한 경우 15% 감소, 10%습윤한 경우 19%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

다. 따라서 설계시 지역별 연평균 상대습도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


다. 또한 CEB-FIP 모델이 ACI 모델보다 상대습도에 변화에 대해서 영향

을 크게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4.8 지역별 연평균 상대습도(기상청, 2007)

지역 인천 대구 광주 통영 여수 군산 거제 부산

상대습도 68.8 58.4 68.4 71.3 65.0 78.2 69.4 61.5

- 60 -
표 4.9 시공완료 직 후 10,000일 경과시 상대습도에 따른 영향

상대습도
60% 70% 80%
내 용

ACI 112270.7(0.99) 112610.3(1) 112973.9(1.00)


축력(kN)
CEB-FIP 101930.8(0.98) 103622.5(1) 105797.8(1.02)
주 형

ACI 70871.1(0.96) 74150.0(1) 77664.3(1.05)


모멘트(kN․m)
CEB-FIP 38200.2(0.85) 44987.9(1) 53485.7(1.19)

ACI 167545.1(1.00) 167515.3(1) 167483.4(0.99)


축력(kN)
CEB-FIP 167901.5(1.00) 167822.8(1) 167722.9(0.99)
주 탑

ACI 859.5(0.20) 4249.8(1) 7951.9(1.874)


모멘트(kN․m)
CEB-FIP 155826.8(1.18) 131753.5(1) 101216.4(0.78)

ACI 0.063(1.07) 0.058(1) 0.054(0.93)


주탑(Dx)
CEB-FIP 0.143(1.13) 0.126(1) 0.105(0.83)
변위
(m)
ACI -0.177(1.08) -0.164(1) -0.153(0.93)
주형(Dz)
CEB-FIP -0.323(1.13) -0.286(1) -0.243(0.85)

ACI 8517.4(0.97) 8809.8(1) 8830.6(1.00)


케이블
장력(kN)
CEB-FIP 8417.2(0.98) 8578.7(1) 8654.2(1.01 )

- 61 -
0 52 106 164 216 268 321 373 431 485
0

-20000 ACI model 60%


ACI model 70%
-40000
주형 축력(kN)

ACI model 8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주 형 부 재

그림 4.31 ACI 모델의 상대습도에 따른 주형 축력

0 52 106 164 216 268 321 373 431 485


100000

80000

60000
주형 모멘트(k N.m)

40000

20000

-20000

-40000 ACI model 60%


ACI model 70%
-60000
ACI model 80%
-80000
주 형 부 재

그림 4.32 ACI 모델의 상대습도에 따른 주형 모멘트

- 62 -
0 52 106 164 216 268 321 373 431 485
0

CEB-FIP model 60%


-20000
CEB-FIP model 70%

-40000
CEB-FIP model 80%
주형 축력(kN )

-60000

-80000

-100000

-120000
주 형 부 재

그림 4.33 CEB-FIP 모델의 상대습도에 따른 주형 축력

0 52 106 164 216 268 321 373 431 485


60000

40000
주형 모멘트(kN.m)

20000

-20000

-40000
CEB-FIP model 60%
-60000 CEB-FIP model 70%
CEB-FIP model 80%
-80000
주 형 부 재

그림 4.34 CEB-FIP 모델의 상대습도에 따른 주형 모멘트

- 63 -
4.2.3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에 따른 영향

그림 4.35에서 그림 4.38은 ACI, CEB-FIP 모델의 강도 변화에 따른 주


형의 부재력을 정리한 것이다. 강도 변화 범위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최소 설계기준강도와 대상교량의 배합강도를 고려하여 강도에 따른 영향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해석에 적용한 강도는 35MPa, 40MPa, 45MPa 이


며 표 4.10는 이를 정리한 것이다. 역시 여기서 부재력과 변위의 검토 위치

는 4.2.1절의 그림 4.4와 같다. 강도 변화에 따른 해석 수행 결과 주형의 모

멘트 값은 40Mpa에서 ±5Mpa 변할 때 마다 ACI 모델은 ±3%, CEB-FIP


모델은 ±10% 변한다. 주탑의 모멘트는 ACI 모델의 경우 ±5Mpa 변할 때

마다 +37%, -43% 변하고, CEB-FIP 모델의 경우 ±7% 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주형의 모멘트 값은 CEB-FIP 모델이, 주탑의 모멘트


값은 ACI 모델이 강도 변화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또한 설계시 응력이 집중되는 주형과 주탑의 강결 지점 등 강도 증가

에 따라 응력변화가 큰 지점은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64 -
표 4.10 시공완료 직 후 10,000일 경과시 강도에 따른 영향

강도(MPa)
35 40 45
내 용

ACI 112398.(1.00) 112610.4(1) 112793.3(1.00)


축력
(kN)
CEB-FIP 102879.5(0.99) 103622.6(1) 104363.8(1.01)
주 형

ACI 71795.9(0.97) 74156.1(1) 76198.6(1.03)


모멘트
(kN․m)
CEB-FIP 40565.4(0.90) 45165.8(1) 49531.5(1.10)

ACI 167534.6(1) 167514.7(1) 167498.6(1.00)


축력
(kN)
CEB-FIP 167872.3(1) 167824.6(1) 167775.5(1.00)
주 탑

ACI 2421.3(0.57) 4249.9(1) 5830.2(1.37)


모멘트
(kN․m)
CEB-FIP 141183.8(1.07) 132274.2(1) 123046.4(0.93)

ACI 0.061(1.05) 0.058(1) 0.056(0.97)


주탑
CEB-FIP 0.135(1.07) 0.126(1) 0.118(0.94)
변위
(m)
ACI -0.172(1.04) -0.165(1) -0.158(0.96)
주형
CEB-FIP -0.307(1.07) -0.287(1) -0.268(0.93)

ACI 8797.7(1.00) 8809.8(1) 8819.9(1.00)


케이블
장력(kN)
CEB-FIP 8546.3(1.00) 8578.7(1) 8608.8(1.00)

- 65 -
0 52 106 164 216 268 321 373 431 485
0

-20000 ACI model 35MPa


ACI model 40MPa

-40000 ACI model 45MPa


주형 축력(k N)

-60000

-80000

-100000

-120000
주 형 부 재

그림 4.35 ACI 모델에서 강도변화에 따른 주형의 축력

0 52 106 164 216 268 321 373 431 485


100000

80000

60000
주형 모멘트(kN. m)

40000

20000

-20000
ACI model 35MPa
-40000
ACI model 40MPa
-60000 ACI model 45MPa
-80000
주 형 부 재

그림 4.36 ACI 모델에서 강도변화에 따른 주형의 모멘트

- 66 -
0 52 106 164 216 268 321 373 431 485
0

CEB-FIP model 35MPa


-20000 CEB-FIP model 40MPa
CEB-FIP model 45MPa
-40000
주형 축력(kN)

-60000

-80000

-100000

-120000
주 형 부 재

그림 4.37 CEB-FIP 모델에서 강도변화에 따른 주형의 축력

0 52 106 1 64 21 6 268 321 3 73 43 1 485


6 0000

4 0000
주형 모멘트(kN .m)

2 0000

-2 0000

-4 0000
CEB-FIP model 35MP a

-6 0000
CEB-FIP model 40MP a
CEB-FIP model 45MP a
-8 0000
주 형 부 재

그림 4.38 CEB-FIP 모델에서 강도변화에 따른 주형의 모멘트

- 67 -
5. 결 론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장기거동 예측 모델 중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ACI, CEB-FIP, B3 모델의 특징과 사용한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사장교 해석을 통하여 각 시공단계에 따른 크리프와 건조수축의

영향을 분석하였고, 상대습도와 강도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B3 모델은 ACI, CEB-FIP 모델에 비해 많은 영향인자를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시간에 따른 거동을 가장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

다는 장점은 있으나, 연관된 많은 영향인자의 입력자료를 정확히 적용하여

해석해야 하므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복잡한 모델이라 판단된다.

2) 시공단계별 ACI 모델과 CEB-FIP 모델을 비교하였다. 모든 단계에서

ACI 모델이 CEB-FIP 모델 보다 보수적으로 평가됨을 알 수 있다. 단 시


공완료 후 10,000일 에서의 주탑 모멘트가 CEB-FIP 모델이 ACI 모델 보

다 약 7배 크다. 그 이유는 두 모델식의 특징에 따라 건조수축과 크리프의

예측값이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3) 상대습도 변화에 따른 해석 수행에서 70%를 기준으로 주형 모멘트

값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ACI 모델은 10% 건조한 경우 4% 감소,


10% 습윤한 경우 5%증가 한다. 그리고 CEB-FIP 모델은 10% 건조한 경

우 15% 감소, 10% 습윤한 경우 19%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다. 여기서

건조한 경우란 상대습도 60%, 습윤한 경우란 80%를 의미한다. 따라서


CEB-FIP 모델이 ACI 모델보다 상대습도 변화에 대해 영향을 크게 받는

- 68 -
다. 또한 설계시 지역별 연평균 상대습도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강도 변화에 따른 해석 수행 결과 주형의 모멘트 값은 40Mpa에서

±5Mpa 변할 때 마다 ACI 모델은 ±3%, CEB-FIP 모델은 ±10% 변한다.

주탑의 모멘트는 ACI 모델의 경우 ±5Mpa 변할 때 마다 +37%, -43% 변


하고, CEB-FIP 모델의 경우 ±7% 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주형의 모멘트 값은 CEB-FIP 모델이, 주탑의 모멘트 값은 ACI 모델이 강

도 변화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설계시 응력


이 집중되는 주형과 주탑의 강결 지점 등 강도 증가에 따라 응력변화가 큰

지점은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69 -
참 고 문 헌

김용빈 등 (1998) 시공단계를 고려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해석에 관한 연

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권 11호.


노한승 (2005) 콘크리트의 시간의존적 거동을 고려한 강합성 사장교의 장

기거동에 관한 해석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부산광역시 건설본부 (2007) 화명대교 구조 및 수리계산서(I), pp. 1-10.


윤영만 (2003) 사장교 설계를 위한 주요 영향변수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이재석 등 (200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시간의존적 거동에 크


리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해석적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 27권

pp. 131-140.

전쌍순 등, 2002 콘크리트 크리프와 건조수축의 CEB-FIP Model Code와


ACI Model Code의 비교, 부산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논문집, 제 61집

pp. 63-67.

(주)마이다스아이티 (2006) MIDAS/CIVIL, (주)마이다스아이티.


(주)포스코건설 등 (2007) 2007 한국의 사장교, (주)포스코건설 등.

(주)한진중공업 등 (2003) 사장교의 기본계획 설계법, 과학기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5) 장대교량의 설계 및 시공에 관한 연구, 한


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콘크리트학회 (2007)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해설, 기문당.

황재웅 (2006) 시공단계와 크리프 현상을 고려한 콘크리트 사장교의 목


표형상 해석법,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ACI Committee 209 (1992), Prediction of Creep, Shrinkage and

Temperature Effects in Concrete Structures, American Concrete

- 70 -
Institude.

AS3600 (1988) Concrete Structures - AS 3600-1988, Standards


Association of Australia , North Sudeney, pp. 8-14, 32-34.

BS 8110 (1985) Structural Use of Concrete, Part 2, Code of Practice

for Design and Construction, London,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Comité Euro-International du Béton, Fédération International de la

Precontrainte (1991), CEB-FIP MODEL CODE 1990.


Gilbert, R.I. (1988) Time effect in concrete strecture, Elsevier,

Amsterdam

Neville, A.M., Dilger, W.H., and Brooks, J.J., "Creep of Plain and
Structural Concrete," Construction Press, 1983, London.

RILEM 107-GCS, "Creep and Shrinkage Prediction Model for

Analysis and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model B3", Mater.


Struct. 28(1995) 357-365.

Shon, Howoong. (2004) The Prediction of Concrete Creep, J. Korean

Geophysical Soc., Vol. 7, No. 4, pp. 227-282.


SABS 0100 (1992) Code of Practice for the Structural Use of

Concrete, Parts 1 &2, Part 1 : Design. Part 2 : Materrials;

Pretoria: South African Bureau of Standards


Z.P. Bazant, and J.C. Chern, "Concrete Creep at Variable Humidity:

Constitutive Law and Mechanism," Materials and Construction,

Vol. 18, No. 103, 1985, pp.1~20.

- 71 -
부 록 A. ACI 모델식

<재령에 따른 재료 상수>

(1)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콘크리트의 강도발현은 시멘트의 종류, 단위 시멘트량 등 많은 요인에

의해 다르게 나타나나 ACI에서는 아래와 같은 식(A.1)을 제시하고 있다.


′     ′ (A.1)
  

여기서, t 는 재령(일), f c'(t) 는 재령 t (일)에서의 압축강도, f c' 은 재령 28

일에서의 압축강도이며, α와β는 실험상수로서 시멘트 종류 및 양생 방법에

따라 다음 <표 A.1>에서와 같이 주어지고 있다.

- 72 -
<표 A.1> 실험상수 α, β

시멘트 종류 양생방법 α β

습윤 양생 4.0 0.85
1종 시멘트
증기 양생 1.0 0.95

습윤 양생 2.3 0.92
3종 시멘트
증기 양생 0.70 0.98

(2) 콘크리트 탄성계수


ASTM C649에 의해 탄성계수를 측정한다. 즉 아래 식(A.2)에 의해 콘크

리트의 탄성계수는 측정되는데 이는 secant modules를 의미한다.

′    
     (A.2)
  

여기서, E c (t) 는 재령 t 에서 탄성계수, f c, 0.0 0005 는 콘크리트 변형률이

0.00005에 해당하는 응력, ε c, 0.4 는 응력이 0.4f c'(t) 에 해당하는 변형률을

의미한다.

또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f c'(t) 가 주어지면 아래 식(A.3)에 의해 구할

수도 있다.

      
′   (A.3)

여기서, E c ( t) 와 f c'(t) 의 단위는 MPa 이고 ω의 단위는 kg/m 3 이다.

- 73 -
<건조수축 모델>

공시체가 시간 t 0 에서 공기중에 노출되었을 때, 시간 t 에서의 건조수축

량은 아래 식(A.4)에 의해 구한다.

   
       (A.4)
     

여기서, α는 콘크리트의 양생조건에 따른 상수로서 7일간 수중양생인 경우

35, 1~3일간의 증기양생인 경우에는 55를 각각 사용한다. 즉, 건조수축을


예측하는 식은 양생방법에 따라 다음 식(A.5) 및 (A.6)과 같이 주어진다. 7

일 동안 습윤 양생된 콘크리트에 대해서,

   
      (A.5)
     

1~3일 동안 증기 양생된 콘크리트에 대해서,

   
      (A.6)
     

이며, t 는 콘크리트의 재령(일)을 말하며 ε sh, u 는 시간이 무한히 지났을 때

의 건조수축량을 나타낸다. 이 ε sh, u 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그 크기가

변화하며 각 요인에 따른 변화 C sh 는 다음 식(A.7) 및 (A.8)과 같이 나타

낼 수 있다.

- 74 -
ε sh, u = - 780 × 10 - 6 C sh (A.7)

C sh = C cp C h C t C s C f C a C c (A.8)

식(A.8)의 각 요인에 따른 계수는 아래와 같다.

(1) 양생 기간에 따른 보정, C cp

식 A.5는 7일 동안의 표준 습윤양생에 대한 예측식이며, 7일 이외의 양


생기간에 대해서는 표 A.2에 주어진 값에 따라 보정한다.

표 A.2 양생기간에 따른 보정 C cp

습윤양생기간(일) 1 3 7 14 28 90

보정계수 C cp 1.2 1.1 1.0 0.93 0.86 0.75

(2) 공기의 상대습도, C h

구조물이 놓인 환경의 상대습도에 따라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은 크게 변


화하며 다음 식(A.9)와 같다.

1.40 - 0.010H ( 40%≤H≤80 %일 때 )


Ch =
{ 3.00 - 0.030H ( 80%≤H≤100% 일 때 )
(A.9)

여기서, H 는 공기중의 상대습도를 의미하며, 단위는 %이다.

(3) 부재의 두께, C t

- 75 -
식(A.5) 및 (A.6)은 평균두께 15cm에 대한 것으로서 그 밖의 두께에 대

한 보정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보정 방법은 2가지가 있다.

① 평균두께방법

평균두께가 6inch(15cm) 이상 15inch(38cm) 이하인 경우에 다음 식


(A.10)을 적용할 수 있다.

1.23 - 0.038t ( t ≦ 1년에 대해서 )


Ct =
{ 1.17 - 0.029t ( 극한건조수축에 대하여 )
(A.10)

여기서, t 는 평균 두께로서 단위는 inch이다. 두께 t 를 cm단위로 하면 다

음 식(A.10a)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 
  
 
 ≤ 년에 대해서 
극한건조수축에 대하여 
(A.10a)

② 부피-표면적 비 방법

수분이 발산할 수 있는 표면적에 대한 전체 콘크리트 부피비로 이 계수


를 정할 수 있으며 아래 식(A.10b)와 같다.

C t = 1.2 exp ( - 0.12 v / s) (A.10b)

여기서 v/s 의 단위는 inch이고, cm 단위일 때에는 식(A.10c)와 같다.

C t = 1.2 exp ( - 0.0472 v / s) (A.10c)

- 76 -
(4) 슬럼프치, C s

콘크리트의 슬럼프에 따른 보정이 필요하며 C s 는 슬럼프치 S (inch)에

따라 변하는 계수이다.

C s = 0.89 + 0.041S (A.11)

그리고 슬럼프 S 의 단위가 cm인 경우에는 다음 식(A.11a)와 같다.

C s = 0.89 + 0.0161S (A.11a)

(5) 잔골재량, C f

C f 는 전체 골재량에 대한 잔골재(fine aggregate)량의 중량비 s/a (%)에

따라 변하는 계수이다.

0.88 + 0.014 s/a ( s/a ≤50%일 때 )


Cf =
{ 0.90 + 0.002 s/a ( s/a >50%일 때 )
(A.12)

(6) 공기량, C a

C a 는 공기량 A (%)에 따라 변하는 계수이다.

C a = 0.95 + 0.008 A (A.13)

- 77 -
(7) 단위 시멘트량, C c

C c 는 단위시멘트량 c( lb/yd 3 ) 에 따라 변하는 계수이다.

C c = 0.75 + 0.00036c (A.14)

그리고 단위 시멘트량 c 의 단위가 pcf( lb/ft 3 ) 일 때에는 아래 식(A.14a)

와 같고,  일 때에는 식(A.14b)와 같다.

C c = 0.75 + 0.00972 c (A.14a)

C c = 0.75 + 0.00061 c (A.14b)

<크리프 모델>

(1) 작용하중에 의한 변형

ACI 기준에서는 작용하중에 대한 특별한 언급은 없으나 중첩의 원리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0.4f c'(t') 혹은 0.5f c'( t') 정도 이하의 응력이 작용할

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환경조건도 특수한 경우가 아닌 일반적인 경우

에 한하며, 특수한 경우에는 그에 따른 검토가 필요하다. 또 ACI 기준에서

는 크리프 함수 J( t,t') 가 정의되어 있지 않고 크리프 계수 φ( t,t') 가 정의

되어 있으며, 그 관계는 아래 식과 같다.

1
J( t,t') = [1 + φ ( t,t')] (A.15)
E c (t')

- 78 -
여기서, E c (t') 은 시간 t' (일)에서의 콘크리트의 탄성계수(secant modulus)

를 나타내고, φ( t,t') 은 크리프 계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시간 t' 에서 σ c (t') 이 작용했을 때, 시간 t (일)에서 전체 변형률

ε c (t, t') 은 다음 식(A.16)과 같이 주어진다.

ε c ( t,t') = σ c (t') J( t,t') (A.16)

(2) 크리프 계수

ACI 모델의 크리프 계수는 다음 식(A.17)과 같이 표현된다.

0.6
φ (t,t') = ( t - t') φu (A.17)
0.6
10+( t- t')

여기서, t 는 크리프 변형을 구하고자 시간, t' 은 하중이 작용하는 시간을

각각 나타내며, 단위는 일(day)이다. φ u 는 극한 크리프 계수(final creep

coefficient)로서 외부환경 및 콘크리트의 배합조건에 따라 아래 식(A.18)으

로 구한다. 단, 표준조건하에서는 φ u = 2.35를 사용할 수 있다.

φ u = 2.35 C cu C h C t C s C f C a (A.18)

여기서, 각 계수는 아래와 같다.

(1) 양생조건, C cu

- 79 -
C cu 는 양생조건에 따라 변하는 계수로서, 습윤양생과 증기양생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며, 아래 식(A.19)와 같다.

- 0.118
1.25t' ( 습윤양생에 대해서 )
C cu =
{ 1.13t'
- 0.094
( 증기양생에 대해서 )
(A.19)

여기서, 습윤양생일 때 t' 는 7일 보다, 증기양생일 때는 3일 보다 커야 한

다.

(2) 공기중의 상대습도, C h

C h 는 상대습도 H (%)에 따라 변하는 계수이며, 40% 전후에 따라 아래

식(A.20)과 같이 각각 나타난다.

1.27 - 0.0067H ( H ≥ 40% 일 때 )


Ch =
{ 1.0 ( H ≤ 40% 일 때 )
(A.20)

(3) 부재의 두께, C t

① 평균두께 방법

평균두께가 15inch 이하인 경우에 이 식의 적용이 가능하며, 이때의 보

정계수 C t 값은 다음과 같다.

1.14- 0.023t ( 하중이 가해진 후 1년까지 )


Ct =
{ 1.10- 0.017t ( 그 이후 )
(A.21)

- 80 -
여기서, t 의 단위는 inch이고, cm 단위로 하면 아래 식(A.21a)와 같다.

1.14 - 0.0091t ( 하중이 가해진 후 1년까지 )


Ct =
{ 1.10 - 0.0067t ( 하중이 가해진 1년 이후부터 )
(A.21a)

② 부피-표면적비 방법

건조수축에서와 마찬가지로 부피-표면적비에 따라 이 C t 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다음 식(A.21b)와 같다.

2 (A.21b)
Ct = [ 1 + 1.13 exp ( - 0.54 v/s)]
3

여기서, v/s 의 단위는 inch이고, cm 단위일 때에는 다음 식(A.21c)와 같다.

2 (A.21c)
Ct = [ 1 + 1.13 exp ( - 0.213 v/s)]
3

(4) 슬럼프치, C s

C s 는 슬럼프치 S(inch)에 따라 변하는 계수이다. 그리고 S 의 단위가

cm인 경우에는 (A.22a)와 같다.

C s = 0.82 + 0.067 S (A.22)

C s = 0.82 + 0.0264 S (A.22a)

(5) 잔골재량, C f

- 81 -
C f 는 전체 골재량에 대한 잔골재(fine aggregate)량의 중량비 s/a(%)에

따라 변하는 계수이다.

C f = 0.88 + 0.0024 s/a (A.23)

(6) 공기량, C a

C a 는 공기량 A (%)에 따라 변하는 계수이다.

1.00 ( A ≤ 6%일 때 )
Ca =
{ 0.46 + 0.09A < 1.0 ( A ≥ 6%일 때 )

- 82 -
부 록 B. CEB-FIP 모델(1990)

<재령에 따른 재료 상수>

(1)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CEB-FIP 기준에서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ISO 1920, ISO 2736/2와 ISO

4012에 따른 φ150×300mm 원주 공시체에 따라 시험하며, 콘크리트의 평균


강도(배합강도의 의미도 있음)는 다음 식(B.24)과 같이 정의된다.

f cm = f ck + △f (B.24)

여기서, f ck 는 설계기준 압축강도로서 단위는 MPa 이고, △f = 8MPa 이다.

그리고 시간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 발현에 대한 식은 다음과 같다.

f cm ( t) = β cc (t) f cm (B.25)

여기서, β cc (t) 는 시간에 따른 강도 발현속도를 의미하며 아래 식과 같이

표현된다.

28
β cc (t) = exp
[ s (1- t/t 1 )] (B.26)

식(B.26)에서 t 1 = 1일 , s 는 시멘트 종류에 따른 상수를 나타내며, 조강

고강도 시멘트(RS)에 대해서 s =0.20, 보통시멘트(N) 및 조강시멘트(R)에

- 83 -
대해서 s =0.25, 중용열시멘트(SL)에 대해서 s =0.38이다.

(2)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CEB-FIP 기준에서는 초기접선 탄성계수 E ci 와 초기 소성변형을 고려한

E c 로 구별되어 있다. 먼저 초기 접선 탄성계수 E ci 는 아래 식(B.27)과 같

다.

E ci = E co [ (f ck + △f) / f cmo ]
1/3
(B.27)

여기서, E ci 는 28일 재령 콘크리트의 초기 접선 탄성계수 ( MPa) , f ck 는 28

일 재령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MPa) , △f = 8MPa, f cmo = 10MPa

그리고 E co = 2.15×10 4 MPa 이다. 또는 다음 식(B.27a)와 같이 나타낼 수 있

다.

E ci = E co [f cm / f cmo ]
1/3
(B.27a)

그리고, 초기 소성변형을 고려한 탄성계수 E c 와 E ci 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E c = 0.85E ci (B.28)

또한 시간에 따른 탄성계수의 변화는 강도 변화에서와 유사하게 다음 식

- 84 -
(B.2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 ci (t) = β E ( t) E ci (B.28)

여기서, E ci ( t) 는 재령 t 인 콘크리트의 초기 접선 탄성계수 ( MPa) 를 나타

내며, β E (t) 는 다음 식(B.29)와 같이 나타나는 시간에 따른 콘크리트의 탄

성계수 증가 함수이다.

β E (t) = β cc (t) (B.29)

여기서, β cc (t) 는 위의 식(B.26)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건조수축 모델>
건조수축에 대한 모델식도 크리프에 대한 식과 유사하게 시간이 무한히

흘렀을 때의 최종 수축량에 시간에 따른 함수를 곱하여 나타내고 있다. 즉

전체 수축변형률 또는 팽창 변형률은 식(B.30)와 같이 규정되고 있다.

ε sh ( t,t o ) = ε shoβ s (t- t o ) (B.30)

여기서, ε sho 는 개념수축계수(notional shrinkage coefficient), β s (t-t o ) 는

수축이 시작된 후의 시간에 따른 수축변형률의 변화를 나타내는 함수이고,

t o 는 수축이 시작되는 시간(일)이다. 또한 여기서 개념수축계수는 ε sho 는

아래 식(B.31)과 같이 정의된다.

- 85 -
ε sho = ε s ( f cm ) β RH (B.31)

또 ε s ( f cm ) 과 β RH 는 다음 식과 같이 각각 나타난다.

ε s ( f cm ) = [ 160 + 10β sc ( 9- f cm /f cmo )]×10 - 6 (B.32)

- 1.55β sRH (40%≤RH≤9 9%에 대해서 )


β RH =
{ 0.25 ( RH≥99%에 대해서 )
(B.33)

3
RH
β sRH = 1 -
( 100 ) (B.34)

여기서, f cm 은 28일 평균압축강도(MPa),       , β sc 값은 시멘트 종

류에 따라 중용열시멘트(SL)에 대해 4, 보통시멘트(N)와 조강시멘트(R)에

대해서는 5, 조강고강도시멘트(RS)에 대해서는 6이다. 그리고 RH는 외기의

상대습도(%)이다. 또 식(B.45)에서 β s (t-t o ) 는 다음 식(B.35)으로 규정되고

있다.

( t- t o )
t1
β s (t-t o ) = (B.35)
(t-to )
β SH +
t1

- 86 -
이 식에서 t 1 = 1 일, β SH = 350( h/h 0 ) 2 , h 0 = 100 mm, h = 2A c/u (mm)이다.

그리고 외기의 온도가 20℃가 아닌 경우에 대해서 CEB-FIP Model code

에서는 위의 식(B.33)의 β RH 항을 다음 식(B.36)과 같이 보정하고 식(B.35)

속의 β SH 항은 식(B.37)의 β SH, T 항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8 T - 20
β RH, T = β RH
[1 + (
103 - RH
) (
40
) ] (B.36)

β SH, T = β SH exp [ - 0.06 ( T - 20)] (B.37)

식(B.36)과 (B.37)의 T 는 온도를 의미하며 단위는 ℃이다.

<크리프 모델>
(1) 작용하중에 의한 변형

작용응력이 0.4f cm (t') 이하일 경우 중첩의 원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때 시간 t' 에서 σ c (t') 의 응력이 작용할 때 크리프만에 의한 변형률은 다

음 식(B.38)과 같이 나타난다.

σ c (t' )
ε cc (t,t ') = φ ( t,t') (B.38)
E ci

여기서, φ( t,t') 는 크리프 계수(creep coefficient)라고 하는데, 그 의미는 28

일 재령의 콘크리트의 즉시변형(instantaneous strain)에 대한 크리프만에

- 87 -
의한 변형의 비를 의미하며, E ci 는 28일 재령 콘크리트 초기접선 탄성계수

를 나타낸다. 따라서 시간 t' 에서의 즉시변형을 더한 응력으로 전체 변형

률은

1 φ ( t,t')
ε cσ (t,t' ) = σ c (t' )
[ E ci (t' )
+
E ci ]= σ c (t' ) J( t,t') (B.39)

가 되고 여기서 E ci ( t') 는 재하시의 콘크리트의 초기 접선 탄성계수를 나

타내고, J( t,t') 는 크리프 함수(creep function 또는 creep compliance)라고

말하며 단위응력이 시간 t' 에 작용했을 때, 시간 t 에서의 그 응력에 의한

전체 변형률을 의미한다. 따라서 J( t,t') 와 φ(t,t') 의 관계식은 다음 식

(B.40)와 같으며, CEB-FIP 모델에서는 크리프 계수 φ(t,t') 를 정의하고 있

다.

1 φ ( t,t')
J( t,t') = +
E ci (t' ) E ci
(B.40)
E ci (t' )
=
1
E ci (t' ) [ 1+
E ci
φ(t,t')
]

(2) 기본적인 크리프 계수

‘기본적인’이란 의미는 보편적인 상황에서의 의미이고, 특별한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이거나, 고온 또는 저온에서 양생되거나 구조물이 특수한 환경


에 놓여 있는 경우 등에 대한 것은 다음에서 서술한다. 이와 같이 보편적

인 상황에서의 크리프에 대한 기본식은 다음과 같다.

- 88 -
φ ( t,t') = φ 0 β c (t-t' ) (B.41)

여기서, φ 0 는 개념 크리프 계수(notional creep coefficient)라고 하며, 크리

프 계수가 최대가 될 수 있는 값이다. 즉 수렴값이고, β c (t-t') 는 재하 후

에 시간에 따른 크리프 변화를 나타내는 계수이다. 또 개념 크리프 계수

φ 0 는,

φ 0 = φ RH β ( f cm )β(t') (B.42)

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RH
1-
RH o
φ RH = 1+ (B.43)
h 1/3
0.46 ( )
ho

β (f cm ) = 5.3 (B.44)
f cm
f cmo

β ( t' ) = 1 (B.45)
t' 0.2
0.1 + ( )
t1

이고, 여기서, RH 는 공기의 상대습도(%), RH 0 =100%, f cm 은 28일 평균

압축강도(MPa), f cm0 =10MPa, t 1 =1일, h 0 =100mm, 그리고 h = 2A c/u (mm)

- 89 -
인데, 이 h 를 개념 부재치수(notional size of member)라고 하며 A c 는 단

면적이고, u는 외기와 접촉하는 단면둘레를 의미한다.

또 β c (t-t') 는 1보다 작은 값으로 이는 CEB-FIP 1990 code도 ACI

code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의 크리프는 어느 점에 접근한다는 것을 의미

하며, 이 값은 식(B.46)과 같이 주어진다.

0.3
( t- t' )
β c (t-t' ) =
[ t1
β H + ( t - t')
t1 ] (B.46)

여기서도 t 1 = 1 일이며 β H 는 아래 식(B.47)와 같다.

β H = 150 1 + ( 1.2 RH ) 18 h + 250 ≤ 1500( 일 )


[ RH o ho ] (B.47)

식(B.47)에서 RH o = 100% , h o = 100mm 이고, h = 2A c/u(mm) 이다.

(3) 양생온도 및 시멘트 종류에 따른 보정


위에서 정의된 크리프 계수는 양생온도가 20℃이고, 하중이 가해진 후에

도 외기의 기온이 20℃인 경우를 기준으로 삼은 값이다. 따라서 양생하는

동안 온도의 변화가 있거나 20℃가 아닌 온도에 구조물이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 t 와 t' 는 보정이 필요하다. 즉, 아래 식(B.48)에 의해 t 를 t T 로 보

- 90 -
정하고, 식(B.49)에 의해 t o 를 보정한다.

n
4000
t T = ∑ △t i exp -
i= 1 ( 273 + T( △t i )
+ 13.65
) (B.48)

여기서, T( △t i ) 는 △t i 기간(일)동안 지속된 온도(℃)이고, △t i 는 일정한 온

도가 지속된 기간(일)을 의미하며, n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 단계의 수를

의미한다.

α
9
t o = t o, T
[ 2+
t o, T
t 1, T
+1
] ≥ 0.5( 일 ) (B.49)

여기서, t 1, T = 1 일, t 0, T 는 식(B.48)에 의해 t o (일)까지 보정한 값이며, α는

시멘트의 종류에 따른 계수로 다음과 같다.

- 1 ( 중용열 시멘트 ( SL)에 대해서)




α= 0 ( 보통 또는 조강 시멘트 ( N,R)에 대해서) (B.50)


 1 ( 조강 고강도 시멘트 ( RS)에 대해서 )

(4) 높은 응력 ( 0.4f cm ( t ') ≤| σ c |≤ 0.6f cm (t ') )에 대한 보정

개념크리프 계수 φ 0 의 값 대신에 다음 식(B.51)의 φ 0, k 값을 대입하여

구할 수 있다. 물론 이 φ 0, k 의 값은 항상 φ 0 값보다는 크다. 즉 높은 응력

- 91 -
이 작용하는 경우 콘크리트 내의 균열 등에 의해 최종의 크리프(개념 크리

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φ o, k = φ o exp [ 1.5( k σ - 0.4)] (B.51)

여기서, k σ =| σ c | / f cm (t') 로서 시간 t' 에서의 압축강도에 대한 작용응

력의 비이다.

(5) 온도변화에 대한 보정
하중이 가해지는 동안의 온도가 5℃에서 80℃까지 변화할 때의 크리프

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하도록 하고 있다.

φ(t,t',T) = φ oβ c (t-t' ) + △φ T, trans (B.52)

여기서, φ o 와 β c (t-t' ) 은 식(B.46)의 값과 같으나, 식(B.43)의 φ RH와 식

(B.47)의 β H를 다음 식(B.53)의 φ RH, T 와 식(B.55)의 β H, T 의 값으로 대체

시켜야 한다. 즉,

φ RH, T = φ T +( φ RH -1)φ 1.2


T
(B.53)

φ T = exp [0.015( T- 20)] (B.54)

β H, T = β Hβ T (B.55)

β T = exp
[ 27315000
+T
- 5.12 ] (B.56)

- 92 -
또, △φ T, trans 는 온도상승에 따른 추가되는 변형으로서 식(B.57)에 의해 계

산한다.

△ φ T, trans = 0.0004( T -20) 2 (B.57)

- 93 -
부 록 C. B3 모델

<재령에 따른 재료상수>

(1)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간에 따른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변화에 대한 언급은 없으며, ACI

model에서 제시한 방법을 택하면 가능하고, 콘크리트의 실제강도 f c' (psi)

을 모르나 설계기준강도 f ck (psi)가 주어졌을 때 f c' = f ck + 1200 psi 로

취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2) 콘크리트의 탄성 계수

일반적인 탄성변형이 아닌 순간탄성변형(instantaneous elastic

deformation)을 구할 수 있도록 E c (t') 대신에 E o 를 사용한다. 식(C.58)에

서와 같이 나타나며 근사적으로 이 E o 값은 E c (t') 값의 1.5배 정도이다.

E o = E c ( t ')/0.6 (C.58)

여기서, E c (t') 은 ACI model에서와 같은 것으로 식(C.2)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건조수축 모델>

주어진 단면에서의 평균 건조수축 변형률 ε sh (t,t o ) 는 식(C.59)과 같다.

ε sh (t,t o ) = ε sh∞ k h S( t) (C.59)

- 94 -
여기서, ε sh∞ 는 극한 건조수축량으로서 식(C.60), k h 는 외기의 상대습도에

따른 함수로서 식(C.62), S( t) 는 시간에 따른 건조수축증가량을 나타내는

함수로서 식(C.61)와 각각 같다.

E c ( 7+ 600)
ε sh∞ = ε s∞ (C.60)
E c (t o + τ sh )

t- t o
S(t) = tanh (C.61)
τ sh

 1 - h3 ( h ≤ 0.98 에 대해 )


kh =  - 0.2 ( h = 1.0 에 대해 ) (C.62)


 직선보간 ( 0.98 ≤ h ≤ 1.0 에 대해 )

그리고 h 는 외기의 상대습도(0.0≦ h ≦1.0)를 나타내며 ε s ∞와 τ sh 는 식

(C.63)과 (C.66)과 같이 나타난다.

ε s ∞ = - α 1 α 2 [ 26ω 2.1 /f c ' 0.28 + 270] ×10 - 6 (C.63)

여기서, α 1 은 시멘트 종류, α 2 는 양생방법에 따른 계수로서 식(C.64) 및 식

(C.65)와 같으며, w 는 단위수량으로 단위는 lb/ft 3 , f c' 은 콘크리트 압축강

도(설계기준강도가 아님)로서 단위는 psi이다.

- 95 -
 1.0 ( 1종 시멘트에 대해서 )


α1 =  0.85 ( 2종 시멘트에 대해서 ) (C.64)


 1.1 ( 3종 시멘트에 대해서 )

 0.75 ( 증기 양생의 경우 )


α2 =  1.0 ( 수중양생 또는 100% 습윤양생의 경우 ) (C.65)


 1.2 ( 감싼 상태에서 양생한 경우 )

그리고 τ sh 는 shrinkage half-time으로 크기는 아래 식(C.66)과 같다.

τ sh = k t (k s D) 2 (C.66)

여기서, k t 는 건조가 시작하는 재령과 콘크리트의 강도에 관계되는 계수로

서 단위는일/in  . 이고, k s 는 부재의 형상, 그리고 D 는 식(C.69)과 같은 유

효두께에 관계되는 값들이다.

k t = 190.8 /( t o 0.08
f c ' 0.25 ) (C.67)

- 96 -
  (무한한 크기의 슬래브판)

  
(무한한 원주 기둥)
(무한한 정사각형 단면 기둥) (C.68)


(구)
(정육면체)

D = 2ν/S (C.69)

여기서, ν/S 의 계산은 CEB-FIP와 ACI model에서와 같고, 단위는 inch이

다.

<크리프 모델>

크리프 함수 J( t,t') 은 순간탄성변형 q 1 과 기본 크리프 C o ( t,t') 및 건조

크리프량 C d ( t,t',t o ) 의 합으로 표시된다.

J( t,t') = q 1 + [C o ( t,t') + C d (t,t',t o )]×10 - 6 (C.70)

여기서, q 1 = 1/E o (C.71)

n
C o (t,t') = q 2 Q( t,t')+q 3 ln [ 1 + ( t - t') ] + q 4 ln ( t't ) (C.72)

C d (t,t',t o ) = q 5 exp - 8H ( t) - exp - 8H ( t') (C.73)

이며, n =0.1이고, E o 는 앞의 식(C.58)에 의해 구할 수 있으며 식(C.73)은

- 97 -
t'≥t o 일 때만 성립한다. 그리고 q 2, q 3, q 4 및 q 5 는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q 2 = 451.1 c
0.5
/f c '
0.9
(C.74)

q 3 = 0.29 ( w/c) 4 ․q 2 (C.75)

q 4 = 0.14 / ( a/c)
0.7
(C.76)

5
q 5 = 7.57×10 / ( f c '( ε sh ∞ ×10
6 0.6
) ) (C.77)

여기서, f c' 은 콘크리트 압축강도(psi), c 는 단위 시멘트량 ( lb/ft ) 이고


3

ε sh∝
는 식(C.60)에 있으며, H( t) 는 다음 식(C.78)와 같다.

H( t) = 1- ( 1 - h)S( t) (C.78)

여기서, h 는 공기의 상대습도이고 S 함수는 식(C.61)에 정의되어 있다.

그리고 식(C.72)의 Q( t,t') 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79)

′   ′    ′  ′        ′   (C.80)

그리고

- 98 -

  ′   ′  ′   n=0.1, m=0.5 (C.81)

이 B3 모델에는 상온(20℃)이 아닌 경우에 기본 크리프 C o (t,t ') 를

C o ( t,t',T) 로 수정하여 사용함으로써 크리프 변형을 예측할 수 있다.

n
C o (t,t',T) = R T(q 2Q(t T,t e ') +q 3ln[ 1 + ( t T - t e ') ]+q 4ln( t T /t e'))

(C.82)

U c'
R T= exp [ R
(
1
293
-
1
T
) ] (C.83)

t'
t e' = ⌠

β T (t")dt" (C.84)
0

t
t T = t e '+ ⌠ β
⌡t' T'(t')dt'
(C.85)

여기서, 함수 β T 와 β T' 는 다음 식(C.86) 및 (C.87)과 같다.

β T= exp [ 5000
293
-
5000
T ]
(C.86)

Uc
β T' = exp
[ R
(
1
293
-
1
T
) ] (C.87)

- 99 -
Uc
= 110f c '
0.54
/[ ( w/c)c]
0.27
(C.88)
R

U c' Uc
= 0.18 (C.89)
R R

위 식에서 T 는 외기 온도 (°K), f c' 의 단위는 psi, 그리고 c 는 단위시멘트

량으로서 단위는 lb/ft 3 이다.

- 100 -
감사의 글

대학원 진학이라는 결정을 내리고 구조설계 연구실에 첫발을 내딛은 지가 벌써


2년이 흘렀습니다. 대학원 과정을 거치면서 많이 배우고 여러 가지를 얻었지만,
무엇보다 가장 소중한 것은 훌륭하신 교수님을 비롯하여 구조설계 연구실의 여러
형님들과 후배님들을 알게 된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것은 앞으로의 사회생활에
큰 용기와 힘을 줄 것이라 의심치 않습니다.
항상 부족한 저를 올바른 길로 인도해 주시려고, 수없이 채찍질해 주신 이환우
교수님께 진심으로 고개 숙여 감사드립니다. 교수님의 은혜는 평생 잊지 못할 것
입니다. 그리고 열정적으로 강의 해주신 장희석 교수님, 이동욱 교수님, 김명식

교수님, 국승규 교수님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우여곡절 끝에 논문이 완성


되었습니다. 비록 부족한 논문이지만 연구실 후배들과 나아가서는 이 분야 관련
기술자들에게 작으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진정으로 후배를 생각해 주시는 광양형님 그리고 물심양면으로 저를 많이 챙겨


주신 구조설계 연구실 형님들께도 감사드립니다. 또 호준아, 도균아! 부족한 선
배를 믿고 잘 따라줘서 정말 고맙다. 그리고 착실한 재엽이, 영현이도 앞으로 교

수님과 선배말씀 잘 따르면서 잘 지내기 바란다. 또 각자 다른 연구실에서 고군


분투하고 있는 학우들에게도 고맙다는 말을 전합니다.
대학원을 핑계로 많이 소홀했지만 믿고 사랑해준 현지와 항상 따뜻하게 대해주

었던 안식처 산악부 선 ․ 후배님들! 감사합니다. 그리고 마음이 통하는 고등학교


친구들에게도 고마움을 전합니다.
든든한 후원자인 누나들과,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는 아버지와 어머니께 이 논

문을 바칩니다.

- 10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