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4교시

과 학
중학교 3학년 ( ) 반 ( ) 번 이름 ( )

1. 문제지는 10면이 모두 있는지 확인하시오. 3. 그림과 같이 지게차를 이용하여 1개의 무게가 10 N인 벽돌


2. 선다형 문항의 답안은 컴퓨터용 수성 사인펜을 사용하여 1000개를 바닥에서 높이 2 m인 선반에 올려 놓으려고 한다. 표는
OMR 답안지에 바르게 표기하시오. 이때 이용할 지게차를 고르기 위해서 조사한 지게차의 성능이다.

3. 서답형 문항의 답안은 OMR 답안지 뒷면의 서답형 답란에 <지게차의 성능>
볼펜 등 검정색 필기도구(연필 제외)를 사용하여 작성하시오.
지게차 A B
일률(J/s) 2500 5000
한 번에 실을 수
선 다 형 있는 벽돌 수(개)
1000 1000

가장 빠르게 벽돌을 올리고자 할 때, 이용할 지게차와 이때


1. 다음은 서린이의 일기 중 일부이다.
걸리는 시간으로 옳은 것은? (단, 벽돌을 지게차에 싣고 내리는
시간은 제외한다.)

수현이에게서 지금 어디냐고 묻는 문자 메시지가 왔다. 지게차 걸리는 시간(s) 지게차 걸리는 시간(s)
무선 인터넷으로 버스 위치 정보를 검색한 후 수현이와 ① A 4 ② B 4
영상 통화하며 도착 시간을 알려 주었다. 수현이를 만나 ③ A 8 ④ B 8
엘리베이터로 전망대에 오른 뒤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⑤ A 10
찍어 SNS에 올렸다. 다들 멋지다는 반응에 기분이 좋았다.

이와 관련하여 과학기술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영상 통화로 멀리서도 얼굴을 보며 의사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②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고층까지 빠르게 오를 수 있게 되었다.
③ 무선 인터넷의 발달로 실시간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④ 스마트폰으로 지도 검색, SNS 등 다양한 일을 할 수 있게
되었다.
4. 다음은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에 관한 실험이다.
⑤ 통신 위성의 발달로 버스 도착 시간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게
되었다.
[실험 과정]
(가) 추의 질량을 측정한 후 추를 실에
묶어 스탠드의 A 지점에 매단다.
(나) 스탠드의 B와 C 지점에 속력
측정기를 설치한다.
(다) ( )을/를 측정한다.
2. 그림 (가)~(다)는 일상생활의 다양한 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라) 실을 잘라 추를 낙하시킨 후 B와
C 지점에서 추의 속력을 측정한다.
(마) 각 지점에서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의 크기를 비교한다.

과정 (다)에서 측정해야 할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나) (다) ① 추의 밀도


② 속력 측정기의 질량
힘이 작용하여 나타난 현상을 모두 고른 것은?
③ 그릇에 담긴 모래의 질량
① (가) ② (다) ③ (가), (나) ④ 각 지점(A∼C)에서의 온도
④ (나), (다) ⑤ (가), (나), (다) ⑤ 바닥에서 각 지점(A∼C)까지의 높이

10 - 1
중학교 3학년 과 학

5. 다음은 전류가 흐르는 구리 막대 주위의 자기장에 관한 실험이다. 7. 다음은 영희의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실험 과정] 정지한 상태에서 출발한 영희는 1분 동안 점점 빠르게


그림과 같이 실험 장치를 걷다가 일정한 속력으로 4분 동안 달린 후 속력을 줄여 정지
설치한 후, 스위치를 닫고 하였다.
나침반 바늘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시간에 따른 영희의 속력을 나타낸 그래프로 가장 적절한 것은?

[실험 결과] ① ②
◦ 스위치를 닫았을 때, 나침반 A~D의 바늘의 변화

③ ④


실험 결과에 근거하여, 전류가 흐르는 구리 막대 주위에 생기는
자기장에 대해 타당한 주장을 한 사람은?

8. 다음은 자석과 코일을 이용한 실험이다.

[실험 과정]
(가) 그림과 같이 코일과 검류계를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고,
자석을 준비한다.

(나) 실험 조건을 달리하면서 검류계 바늘의 움직임을 확인한다.

[실험 결과]
6. 그림은 책에 물방울이 떨어져 글자가 확대되어 보이는 모습을
실험 조건 검류계 바늘
나타낸 것이다.
◦ 자석을 코일 안으로 넣을 때 움직임
◦ 자석을 코일 안에서 빼낼 때 움직임
◦ 자석을 코일 안에 가만히 둘 때 움직이지 않음

이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는 결론으로 옳은 것은?

①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자석이 된다.


② 코일에 전류가 흐르려면 전지가 있어야 한다.
이 현상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빛의 성질은?
③ 자기장 속에서 전류가 흐르는 코일은 힘을 받는다.
① 빛의 직진 ② 빛의 반사 ③ 빛의 굴절 ④ 자석의 세기가 바뀌면 코일에 흐르는 전류 방향도 바뀐다.
④ 빛의 분산 ⑤ 빛의 합성 ⑤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장이 변하면 코일에 전류가 흐른다.

10 - 2
과 학 중학교 3학년

9. 다음은 물결파의 성질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11. 표는 일정 압력에서 어떤 기체의 온도에 따른 부피를 측정한
것이다.
[실험 과정]
(가) 그림과 같이 물결파 실험 장치에 온도(℃) 20 40 60 80
물을 채우고 탁구공을 띄운다.
부피(mL) 107.3 114.7 122.0 129.3
(나) 긴 자를 이용하여 수면 위를
규칙적으로 두드리면서 물결파와 표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물의 온도를 낮출 때 나타날 수 있는
탁구공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현상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실험 결과] <보 기>
◦ 물결파는 직선 모양으로 퍼져 나가고, 탁구공은 제자리에서 ㄱ. ㄴ. ㄷ.
위아래로만 진동한다.

이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는 물결파의 성질로 옳은 것은?

① 물결파는 매질이 없어도 진행한다.


② 물결파는 매질의 진동 없이 에너지를 전달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③ 물결파의 진행 방향은 매질의 진동 방향과 나란하다.
④ 매질은 제자리에서 위아래로 진동하고 에너지만 전달된다.
⑤ 매질이 물결파를 따라 실험 장치의 가장자리 쪽으로 이동한다.

10. 다음은 물에 잉크를 떨어뜨리는 실험이다.

[실험 과정]
(가) 동일한 크기의 두 비커에 찬물과 따뜻한 물을 100 mL씩
넣는다.
(나)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잉크를 한 방울씩 동시에 떨어
뜨린다.
(다) 두 비커에서 잉크가 퍼지는 모습을 관찰한다. 12. 그림은 어떤 순수한 고체 물질을 가열할 때 시간에 따른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 결과]
◦ 따뜻한 물에서 잉크가 더 빨리 퍼졌다.

이 실험에서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온도에 따른 잉크의 확산 속도 ① 구간 A에서 물질의 상태는 고체이다.


② 온도에 따른 물의 증발 속도 ② 구간 B에서 상태 변화가 일어난다.
③ 온도에 따른 잉크의 밀도 ③ 구간 C에서 가해준 열은 물질의 온도를 높인다.
④ 온도에 따른 물의 밀도 ④ 구간 D에서 가해준 열은 물질의 상태 변화에 쓰인다.
⑤ 온도에 따른 물의 부피 ⑤ 구간 E에서 기체와 액체가 공존한다.

10 - 3
중학교 3학년 과 학

13. 다음은 일정 성분비 법칙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15. 다음은 수소 원자가 이온이 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 과정]
(가) 6개의 시험관 A~F를 준비하여 5% 아이오딘화 칼륨
수용액을 6 mL씩 넣는다.
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한 모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나) 각 시험관에 5% 질산 납 수용액의 부피를 달리하여 넣는다.
(다) 생성되는 아이오딘화 납 앙금의 높이를 측정한다. ①

[실험 결과] ③

시험관 A B C D E F
아이오딘화 칼륨 수용액(mL) 6 6 6 6 6 6
질산 납 수용액(mL) 0 2 4 6 8 10 ④
앙금의 높이(mm) 0 5 10 15 15 15

이 실험 결과에 대한 해석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B에서 납 이온이 모두 반응한다.
② C에서 납 이온이 남아 있다.
③ D에서 아이오딘화 이온이 모두 반응한다.
④ E에 아이오딘화 칼륨 수용액을 더 넣으면 앙금의 높이가
증가한다.
⑤ F에 질산 납 수용액을 더 넣어도 앙금의 높이는 변하지
않는다.

14. 다음은 끓는점이 물질의 특성임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16. 그림은 염화 나트륨, 염화 칼슘, 설탕 수용액 상태에서의
입자 모형과 수용액에 전류가 흐르는지를 확인한 것이다.
(가) 메탄올, 아세트산 50 mL를 가열하여 끓는점을 측정한다.

물질 메탄올 아세트산
부피(mL) 50 50
끓는점(℃) 65 118

(나) ( )
(다) 과정 (가), (나)의 결과를 비교한다. 염화 나트륨 수용액 염화 칼슘 수용액 설탕 수용액

과정 (나)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이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① 각 물질의 밀도를 구한다. ① 모든 물질은 물에 녹아 이온을 생성한다.


② 각 물질의 성분 원소를 조사한다. ② 물에 녹는 물질은 수용액에서 전기가 통한다.
③ 각 물질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구한다. ③ 물에 녹아 이온이 생성될 때 양이온과 음이온의 수는 같다.
④ 각 물질이 끓을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④ 물에 녹아 이온을 생성하는 물질은 수용액에서 전기가 통한다.
⑤ 각 물질의 부피를 달리하여 끓는점을 측정한다. ⑤ 수용액에서 양이온은 (+)극으로, 음이온은 (-)극으로 이동한다.

10 - 4
과 학 중학교 3학년

17. 그림은 물질 (가)~(다)를 각각 다른 원자인 , 을 이용하여 20. 그림은 뜨거운 주전자에 손이 닿았을 때 자극에 대한 반응이
입자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일어나기까지의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가) (나) (다)

(가)~(다)를 순물질과 혼합물로 옳게 분류한 것은?

순물질 혼합물 이와 같은 자극에 대한 반응 경로의 예에 해당하는 것은?


① (가) (나), (다)
① 음식을 먹다가 맛이 이상해서 뱉었다.
② (나) (가), (다)
③ (다) (가), (나) ② 무릎 뼈 바로 아래를 쳤더니 다리가 올라갔다.

④ (가), (나) (다) ③ 수업이 시작되는 종소리를 듣고 자리에 앉았다.


⑤ (나), (다) (가) ④ 신 레몬을 생각하니 입 안에 저절로 침이 고였다.
⑤ 신호등이 초록색으로 바뀌는 것을 보고 횡단보도를 건넜다.

18. 다음은 폐포에 대한 설명이다.

폐의 기관지 끝에는 수많은 폐포들이 포도


송이 모양으로 모여 있다. 이와 같은 모양의 폐포
들은 표면적이 넓어 효율적으로 기체교환을
할 수 있다.

밑줄 친 것과 같은 원리가 적용된 예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 기>
ㄱ. 열기구는 내부 공기를 가열하면 상승한다.
ㄴ. 빨래를 펴서 말리면 뭉쳐 있을 때보다 빨리 마른다.
ㄷ. 체조 선수가 착지할 때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무릎을
굽힌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 그림은 뿌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19. 다음 중 오줌을 생성하여 몸 밖으로 배설시키는 기관계로 옳은


것은?

① ② ③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④ ⑤ <보 기>
ㄱ. 뿌리는 물과 함께 무기 양분을 흡수한다.
ㄴ. B는 여러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ㄷ. A는 B에서 흡수한 물이 이동하는 통로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0 - 5
중학교 3학년 과 학

22. 그림은 식물세포와 동물세포를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24. 다음은 식물의 증산 작용에 관한 실험이다.

[실험 과정]
(가) 암실에 두었던 봉숭아를 크기와 잎의 수를 같게 하여
A에는 빛을 비추고, B에는 빛을 비추지 않는다.

식물세포 동물세포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B
① A는 세포의 생명 활동으로 생긴 노폐물을 저장한다. (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장소에서 충분한 시간이
② B는 식물세포의 모양을 유지하고 세포 안쪽을 보호한다. 지난 후, A와 B의 눈금실린더 안의 물의 높이 변화를
③ C는 세포의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든다. 관찰한다.
④ D는 세포의 생명 활동을 조절한다. (다) A와 B의 비닐 주머니 안의 변화와 식물 잎의 기공을
⑤ E는 세포 안팎으로 물질이 드나드는 것을 조절한다. 관찰한다.

[실험 결과]
A B
물의 높이 낮아짐 거의 변화 없음

23. 다음은 식물을 이용한 실험이다. 비닐 주머니 안 물방울이 맺힘 거의 변화 없음

[실험 과정] 식물 잎의 기공
(가) 같은 부피의 공기가 들어 있는 비닐봉지 2개 중 하나에는
식물을 넣고, 다른 하나에는 넣지 않는다.
(나) 그림과 같이 2개의 비닐봉지를 모두 빛이 없는 어둠상자
이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에서 하루 동안 보관한다.
<보 기>
ㄱ. 밤에는 기공이 열려 있다.
ㄴ. 증산 작용은 빛이 있을 때 활발하다.
ㄷ. 물은 기공을 통해 식물체 밖으로 나간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어둠상자

(다) 비닐봉지 안의 기체를 각각 석회수에 통과시킨다.

[실험 결과]
◦ 식물이 들어 있는 비닐봉지 안의 기체만 석회수를 뿌옇게
했다.

이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는 결론으로 옳은 것은?

① 식물은 산소를 이용하여 호흡한다.


② 식물은 호흡으로 이산화 탄소를 생성한다.
③ 식물은 광합성 과정을 통해 산소를 생성한다.
④ 식물은 이산화 탄소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한다.
⑤ 식물은 빛이 없을 때 호흡으로 영양분을 생성한다.

10 - 6
과 학 중학교 3학년

25. 그림은 혈당량 조절 과정을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기 위한 27. 표는 동해, 홍해, 북극해의 해수 1 kg 속 염류의 질량과 비율을
코딩 중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나타낸 것이다.

동해 홍해 북극해
해역
염류 질량 비율 질량 비율 질량 비율
(g) (%) (g) (%) (g) (%)
염화 나트륨 25.6 77.7 31.1 77.7 23.3 77.7
염화 마그네슘 3.6 10.9 4.4 11.0 3.3 11.0
기타 3.8 11.4 4.5 11.3 3.4 11.3
계 33.0 100.0 40.0 100.0 30.0 100.0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북극해는 홍해보다 염분이 높다.


그림에서 조건, 기관 A, 호르몬, 기관 B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② 전 세계 모든 바다의 염분은 거의 같다.
것은?
③ 장소가 다르면 염분비는 크게 달라진다.
조건 기관 A 호르몬 기관 B ④ 홍해와 북극해의 염화 나트륨의 염분비는 다르다.
⑤ 남해의 염류 중 염화 나트륨의 비율은 약 77.7%일 것이다.

26. 다음은 인터넷으로 원각사지십층석탑을 검색한 결과이다.

28. 그림 (가)는 비행기에서 나오는 안내 방송과 화면을, (나)는


기권의 연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 중 ㉠을 활용한 것은?

① ② ③
(가) (나)

기권의 연직 구조 중 현재 이 비행기가 운항하고 있는 층에 대한


석영을 사용한 고령토로 만든 대리암으로 만든
설명으로 옳은 것은?
반도체 도자기 조각상
① 성층권에 해당한다.
④ ⑤
② 오로라가 발생한다.
③ 4개의 층 중 공기가 가장 희박하다.
④ 바람이 불고 눈이나 비가 내리는 기상 현상이 나타난다.
현무암으로 만든 황동석을 사용한 ⑤ 태양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점점
돌하르방 구리 전선 높아지는 층이다.

10 - 7
중학교 3학년 과 학

29. 다음은 상대 습도를 알아보는 실험 과정이다. 31. 다음은 현장체험학습 중 학생들이 나눈 대화와 암석의 순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 과정]
(가) 실험실의 현재 기온을 측정한다. 민수 : 암석 속에 조개 화석이 들어 있네. 어떻게 단단한 암석
(나) 실온의 물을 넣은 알루미늄 컵 속에 온도계를 꽂은 다음, 속에 조개 화석이 들어 있을 수 있을까?
얼음을 넣고 저어 주며 알루미늄 컵의 표면을 관찰한다. 영희 : 흙이나 자갈, 모래 등이 바다나 호수 밑에서 겹겹이
(다) ( )을/를 측정한다. 쌓여 다져지고 눌러져 굳으면 암석이 되는데, 이 과정
(라) 그래프에서 현재 기온과 이슬점을 이용하여 포화 수증기 에서 조개가 묻혀 함께 굳어진거야.
량에 대한 현재 수증기량의 비율을 구한다.

과정 (다)에서 측정해야 할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컵 속의 얼음물의 질량
② 컵 표면에 맺힌 물방울의 부피
③ 얼음이 다 녹은 후의 컵의 온도
④ 얼음이 다 녹은 후의 실험실의 기온
A~E 중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과정은?
⑤ 컵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기 시작하는 순간의 온도
①A ②B ③C ④D ⑤E

32. (가)는 크라카타우 화산 폭발에 대한 글이고, (나)는 지구계의


구성 요소이다.

30. 다음은 날씨와 관련된 신문 기사를 나타낸 것이다. 1883년 크라카타우 화산 폭발은
전세계 평균 기온을 낮아지게 만들
었다. 화산재가 바람에 의해 대기
중에 머무르면서 태양으로부터 유입
되는 빛을 차단했기 때문이다.

(가) (나)

(가)에서 나타난 지구계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의 예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② ③

이 기사와 관련된 A 기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일 혜성 황사
① 북태평양에서 발생한 기단이다. ④ ⑤
② 일년 내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다.
③ 고위도 지역에서 만들어진 기단이다.
④ 춥고 건조한 날씨를 만드는 기단이다.
⑤ 사막 위에 오래 머물러 있다가 발생한 기단이다. 해식 지형 태풍

10 - 8
과 학 중학교 3학년

【서답형 3】다음은 몇 가지 물질의 구성 이온과 불꽃 반응색이다.


서 답 형
구성 이온
물질 불꽃 반응색
【서답형 1】다음은 열의 이동과 관련한 경험을 나타낸 것이다. 음이온 양이온
질산 나트륨 질산 이온 나트륨 이온 노란색
추운 겨울날 캠핑장에 피워진 ㉠ 모닥불을 쪼이니 손바닥이
질산 칼륨 질산 이온 칼륨 이온 보라색
따뜻해졌다. 잠시 후 모닥불 위에 놓인 ㉡ 주전자를 손으로
질산 구리 질산 이온 구리 이온 청록색
잡았다가 뜨거워서 놀랐다.
염화 구리 염화 이온 구리 이온 청록색
황산 구리 황산 이온 구리 이온 청록색

위 자료를 이용하여 염화 칼륨의 불꽃 반응색을 예상하여 쓰고,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 불꽃 반응색 :

◦ 이유 :

㉠과 ㉡에 해당하는 열의 이동 방법을 각각 쓰고, 이 두 가지


열의 이동 방법이 어떻게 다른지 설명하시오.

◦ 열의 이동 방법 : ㉠ - ( ), ㉡ - ( )

◦ 차이점 :

【서답형 2】그림과 같이 길이가 다른 빗면 A~C를 이용하여 【서답형 4】다음은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하는 반응을
이삿짐을 트럭에 실으려고 한다. 화학 반응식으로 표현하고, 이를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2H2 + O2 2H2O

(1) 빈칸에 알맞은 모형을 그리시오.

(1) 마찰을 무시할 때, 가장 작은 힘으로 이삿짐을 실으려면


(2) (1)과 같이 그린 이유를 질량 보존 법칙과 관련지어 설명
A~C 중 어느 빗면을 이용해야 하는지 쓰시오.
하시오.

(2) (1)과 같이 답한 이유를 ‘일의 양’과 ‘이동 거리’를 모두 사용


하여 설명하시오.

같은 높이만큼 이삿짐을 옮길 때
( ).

10 - 9
중학교 3학년 과 학

【서답형 5】다음은 눈의 조절 작용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서답형 7】다음은 우리나라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해류에 대한
설명이고, 그림은 해수의 표층 순환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 과정]
(가) 두 명이 한 모둠이 되어 서로 마주 난류인 ( ) 해류는 우리나라 겨울철 동해의
보고 앉는다. 해안 지역이 내륙 지역보다 기온이 높아지게 한다.
(나) 서로의 눈을 마주 본 상태에서 교실
전등을 껐다, 켰다를 반복하며
상대방의 눈의 변화를 관찰한다.

[실험 결과]
어두울 때 밝을 때

눈의 변화

이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교실 전등을 켜서 밝아졌을 때 동공의


크기 변화를 홍채의 작용과 관련지어 설명하시오. 빈칸에 들어갈 해류를 그림에서 찾아 쓰고, 이 해류의 역할을
‘열에너지’를 사용하여 설명하시오.

◦ 해류 :

◦ 역할 :

【서답형 6】다음은 기체 교환의 원리를 알아보기 위한 자료이다.

[자료 1]
◦ 비커에 초록색 BTB 용액을 넣고 입김을
【서답형 8】다음은 지구 내부에서 깊이에 따른 지진파의 속도 변화와
불어 넣었더니 노란색으로 변하였다.
지진파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것이다.
◦ 표는 이산화 탄소 농도에 따른 BTB 용액의
색깔을 나타낸 것이다.
BTB 용액 색깔 초록색 노란색
이산화 탄소 농도

[자료 2]
◦ 표는 공기의 성분 비율을, 그림은 폐포와 모세 혈관을 나타
낸 것이다.
◦ 지진파의 종류는 대표적으로 P파와 S파가 있다.
<공기의 성분 비율>
◦ 지진이 발생했을 때, P파가 S파보다 먼저 도착한다.
비율(%)
기체의 종류 ◦ 고체에서는 P파와 S파가 통과하고, 액체에서는 P파만 통과
들숨 날숨
한다.
A 20.85 15.70
B 0.03 3.60
(1) 지진파의 속도 변화를 통해 알 수 있는 맨틀과 외핵을 이루는
기타 79.12 80.70
물질의 상태를 쓰시오.

(1) 공기의 성분 비율 표의 A, B 중에서 이산화 탄소에 해당하는 맨틀 : ( ), 외핵 : ( )


기호를 쓰시오.

(2) 폐포와 모세 혈관 사이에서 이산화 탄소의 이동 방향을 (2) (1)과 같이 답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화살표로 표시하고 이동하는 원리를 설명하시오.

◦ 이동 방향 : 폐포 모세 혈관

◦ 원리 : •••••••••••••••••••••• 끝

10 - 1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