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

Z-Skinny Guitar Support의 음향적 영향

2021. 7. 30

조영갑 Gregorio Guitar

1
기타와 음향학 (Guitar & Acoustics)

조영갑
Gregorio Cho

기타제작연구가 (Luthier) &


한국원자력연구원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2
목차
• 목적 및 목표
• 측정 조건
• Top Frequency without Support / with Support
• Back Frequency without Support / with Support
• Sustain of top tapping without Support / with Support
• Scale of String 1 without Support / with Support
• Scale of String 4 without Support / with Support
• Scale of String 5 without Support / with Support
• Scale of String 6 without Support / with Support
• 결론
3
목적 및 목표
 목적
Z-Skinny Guitar Support(기타 받침대)를 사용시 기타 음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목표
- 기타 받침대 사용 여부에 따른 진동 주파수 변동 분석
- 기타 받침대 사용 여부에 따른 음량 및 여음(sustain)의 변동 분석 및 평가

4
측정 조건
 동일한 연주실: 온도, 습도, 주변 가구 배치 등

 기타 받침대 미사용(전통적인 방식으로 발판을 사용하고 기타를 왼쪽 무릎


에 올리고 연주

 기타 받침대 사용: Z-Skinny 기타 받침대 부착 후 같은 방법으로 탄현

** 결과 그래프: 스케일 탄현시 음과 음 사이에 시차가 있으므로 동일한 크기로 비교할 수 있도록

시간축(X축)과 크기(Y축)를 동일 높이로 조정함.

5
Frequencies of guitar scale

Frequencies of tones

6
Top Frequencies
기타받침대 미부착

• Top(음향판)의 1차
고유진동수(216.8 Hz)
변동없고, 상위 주파
수도 영향 없음

• 기타 통에서 나오는
Helmholtz 주파수
(102.5 Hz) 영향 없음
기타받침대 부착

7
Back Frequency
0-1100 Hz 기타받침대 미부착
(1차 측정)

Back의 1차 고유진동
수가 196.3에서 193.4
으로 약간 변동
G(196 Hz)에서 받침대
없는 경우 약간의 울프
톤이 받침대 부착후 울
프톤이 개선됨(1번선 기타받침대 부착
scale 참조)

10
Back Frequency
0-1100 Hz
기타받침대 미부착
(2차 측정)

Back의 1차 고유진동수
가 196.3에서 193.4 으
로 약간 변동 G(196
Hz)에서 받침대 없는 경
우 약간의 울프톤이 받
침대 부착후 울프톤이
개선됨(1번선 scale 참조)
기타받침대 부착

11
Sustain of
Top tapping

기타받침대 미부착

영향 없음

기타받침대 부착

14
Scale of String 1
E to C
(1차 측정)

기타받침대 미사용

G 울프 감소

기타받침대 사용
15
Scale of String 1
E to C
(2차 측정)

기타받침대 미사용
G 울프 감소

기타받침대 사용
16
Scale of String 4
D to A
(1차 측정)

기타받침대 미사용

E, A 음량/여음 개선

기타받침대 사용
17
Scale of String 4
D to A
(2차 측정)

기타받침대 미사용
E, A 음량/여음 개선

기타받침대 사용
18
Scale of String 5
A to E
(1차 측정)

기타받침대 미사용
전반적으로
약간 개선

기타받침대 사용
19
Scale of String 5
A to E
(2차 측정)

기타받침대 미사용
전반적으로
약간 개선

기타받침대 사용
20
Scale of String 6
E to B
(1차 측정)

기타받침대 미사용
거의 영향 없음

기타받침대 사용
21
Scale of String 6
E to B
(2차 측정)

기타받침대 미사용
거의 영향 없음

기타받침대 사용 22
결론
1. 앞판(음향판)의 1차 고유진동수(216.8 Hz)의 변동은 전혀 없고, 상위 주파수도 영향이 거의 없음

2. 기타 통에서 나오는 Helmholtz 주파수에 영향이 전혀 없음(102.5 Hz)

3. 뒷판의 1차 고유진동수(196.3193.4 Hz) 약간 변동으로 1번선 G에서의 울프톤이 거의 사라짐: 측판에 붙은


Z-Skinny 기타 받침대의 무게(203g)는 동일 재료로 일체가 된 측판(310g)과 뒷판(300g)를 합친 무게의 약
1/3 정도 질량증가 효과로 인하여 주파수가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뒤판의 1차 고유진동수가 2.9Hz 낮아져서
기존의 울프톤에서 멀어지는 개선 효과를 봄. 이 기타의 경우 울프톤에서 멀어지는 개선 효과를 보았지만 기타
에 따라 원래의 주파수 특성이 다르므로 달라질 수 있음.

4. 상판 tapping tone의 여음(sustain) 변동은 없음

5. 1, 4, 5 번선 반음계 scale에서 일부 음량과 여음 변동은 약간의 개선 효과: 받침대를 사용하는 경우 기타 측판


이 몸에 닿는 면적을 줄이므로 진동 감쇠를 줄이는 효과(이는 Arm Rest가 진동 감쇠를 줄이는 효과와 유사하
다고 봄)

6. 이 기타의 경우 Z-Skinny 기타 받침대 사용에 따른 음향적 변동은 약간 개선 효과가 있음.


2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