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디어유 버블 서비스 리뷰 및 벤치마킹

미래디스커버리실
21.12.06
DearU Bubble 서비스 분석
디어유 버블 서비스는 메시지 형태의 팬과 아티스트 사이의 유료구독 컨텐츠

• 개요: SM의 자회사 디어유에서 운영하는


디어유 버블 서비스 형태 및 특징
아티스트-팬 사이의 프라이빗 메신저 서비스
• 현황
팬1 • 디어유 21년 상반기 매출 184억,
1:N 플랫폼 영업이익66억
(20년 매출 130억/영업손실 3억원)
• 23개 기획사의 238명 아티스트가 활동중
팬2 • 유료구독 120만건
일괄 메신저 • 앱 9개 운영
전송 메신저
(사진/메시지) 답장(댓글)
아티스트 팬N 앱을 소속사 별로 별도로 보유

• 벤치마킹사례: 일본 AKB48/HKT48
아티스트는 비정기적으로 본인이 편할 때 메시지 및 사진 보냄 (비동기) 프라이빗메일
팬과 아티스트 사이의 실질적 대화는 이루어 지지 않음 • 300엔을 내면 원하는 팀의 멤버가 메일
아티스트 인당 메신저 구독 비용: 4,500원/월 보내주는 어플
DearU Bubble 서비스 분석
실제 서비스 사용 리뷰 : SM엔터 소속의 에스파 카리나 메신저 구독

대화는 불가능함 원할 때 찾아옴 TMI대방출 갑자기 영상/사진보내기


DearU Bubble 서비스 분석
실제 서비스 사용 리뷰: JYP엔터 소속의 ITZY 류진 메신저 구독

대화는 불가능 팬의 이름 불러주는 기능은 있음 갑자기 TMI 다른 플랫폼에서 못 구하는 사진


DearU Bubble 서비스의 핵심
디어유 버블 서비스는 메신저가 아니라 팬과 아티스트의 Needs가 맞는 소통 플랫폼
• 현재 Bubble에서는 ‘대화’수준의 interaction이 서비스에 중요하지는 않음

각자의 스타일로 원할 때마다 팬들에게 TMI(사진/일상)을 방출하는 창구


프라이빗 SNS

아티스트 팬

1:N

4,500원을 주고 내 최애 아티스트의 프라이빗한 셀카,일상을 엿들을 수 있는 창구


돈이 안아까운 유료 구독 컨텐츠
IP와 고객/팬의 소통창구 Next
DearU의 Bubble은 아티스트라는 IP를 플랫폼에서 텍스트 방식으로 풀어내서 팬과 연결시킨 케이스

Tech Enabler Format

AI Text
• Big Model
아티스트
IP Image 팬
Blockchain
• NFT
• DAO/Social Token
Video

Metaverse Space
• 3D space Intelligent
• Platform Character

Problem: IP와 서비스의 한계때문에 쌍방형 소통이 불가능함


IP와 고객/팬의 소통창구 Next
Solution: K2가 갖고 있는 다양한 IP에 기술이 결합되어 쌍방향의 다양한 Format으로 고객/팬과 소통할 수 있음
• ex) K2보유의 IP에 AI가 결합되면?
Tech Enabler Format

AI Text
• Big Model

IP Image 팬/고객
Blockchain +
• NFT
• DAO/Social Token
Video
Game
IP

Celebrity Metaverse Space


Contents • 3D space Intelligent
• Platform Character
Digital Human
Healthcare (심리상담)
Format의 진화
#참고사례 Blockchain(NFT)기반 소통 사례
가상셀럽 IP를 NFT를 통해 적극적으로 팬들과 소통할 수 있게 창구를 마련해 줌

Tech Enabler Format

AI Text
• Big Model

가상셀럽
IP
Image 팬
Blockchain
• NFT
• DAO/Social Token
Virtual Celebrity Video
Lil Miquela
Janky&Guggimon
Metaverse Space
• 3D space Intelligent
• Platform Character
#참고사례 Blockchain(NFT)기반 소통 사례
스토리텔링기반으로 잘 구축한 가상셀럽 IP가 NFT라는 기술을 이용해 팬들과 긴밀히 소통할 수 있게 함

가상셀럽 IP로 진행한 NFT프로젝트와 그 목적 (21.08) NFT시장을 이끈 Dapper Labs에 인수됨

있게 창구를 마련해 줌

(1) build radical and accessible entertainment for


new generations
• NFT기반으로 미래지향적인 스토리텔링 가능

(2) creator and fan will be much more


intertwined and NFTs
• 글로벌 팬들과의 긴밀한 소통창구

source: Brud Interview


+
가장 힙한 가상셀럽 스타트업 가장 힙한 NFT 스타트업
#참고사례 Blockchain(NFT)기반 소통 사례
스토리텔링기반으로 잘 구축한 가상셀럽IP가 NFT를 통해 팬들과 긴밀히 소통할 수 있게 함
①NFT Sales ②NFT기반 스토리텔링

• NFT로 만드는 Jankyverse 스토리기반 오리지널 컨텐츠


제작 예정
• NFT에 팬들을 위한 Utility 고도화시킬 예정
• 예)NFT보유자들만 방문할수 있는 특별 온오프라인 공간
• “The whole NFT thing is just another way to sort of
Superplastic은 올해 NFT판매로만 약 83억 수익 거둠 play within our narrative”(Founder, Paul Budnitz)
#참고사례 AI(Digital Human)기반 소통 사례
정신적으로 의지할 수 있는 AI기반 헬스케어 디지털휴먼 만들어서 고객들과 쌍방형 소통가능

Tech Enabler Format

AI Text
• Big Model

디지털휴먼
IP
Image 고객
Blockchain
• NFT
• DAO/Social Token
Digital Human Video

Metaverse Space
• 3D space Intelligent
• Platform Character
#참고사례 AI(Digital Human)기반 소통 사례
정신적으로 의지할 수 있는 AI기반 헬스케어 디지털휴먼 만들어서 쌍방형 대화를 통한 멘탈케어

디지털휴먼(챗봇)을 통한 우울증 완화 24시간 내 곁에 있는 디지털휴먼 친구

• 텍스트 대화를 넘어 유저의 디지털휴먼과 AR로 마주보고


대화하기, 게임하기, 전화하기 등 다양한 활동 가능
• 디지털휴먼의 페르소나를 유저가 직접 고도화시킬 수
있음 (디지털휴먼 성격, 특징 등을 구매 가능)
E.O.D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