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명제_2 수학의정상 M A T H P E A K

1. 다음 명제 “  이고,   이면   이다.”의 대우


1) 4. 다음 조건 중에서 조건 가 조건 이기 위한
4)

명제는?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이 아닌 것은?


①   이면   이고   이다. ①   마름모  평행사변형
②  ≥ 이면  ≥ 이고  ≥ 이다. ②          
③   이면   이거나   이다. ③    이 정수     이 정수
④  ≥ 이면  ≥ 이거나  ≥ 이다. 
④        ≠          ≠ 
⑤  ≥ 이거나  ≥ 이면  ≥ 이다.
⑤      

2. 다음 명제 중 참인 것은?
5. 두 조건  를 만족하는 집합을 각각 P  Q 라 하자.
2)

5)

①     이면     이다. ~은 이기 위한 필요조건일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②      이면    이다. 것은?
③ 가 의 배수이면 는 의 배수이다.
① PC⊂Q
④  ≠ 이면      ≠ 이다.
② P⊂QC
⑤     이면    또는   이다.
③ QP Q
④ P ∩Q  ∅
⑤ QPC∅

3. 다음에서 는 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단,   는


3)

실수)
①        
6. 명제   에 대하여  ⇒ ~, ~ ⇒ 라고 할 때,
②       
6)

   
다음 중 참인 명제는?
③      
        
① ⇒ ② ~ ⇒  ③ ⇒ 
④             
④ ~ ⇒  ⑤  ⇒ ~
⑤      
7.  ≥ 는  ≥ 이기 위한 필요조건이고   ≤  ≤ 는
7) 10.     ≤  또는  ≥ 의 부정을 바르게 나타낸
10)

 ≥ 이기 위한 충분조건일 때, 의 최솟값과 의 것은?


최댓값의 합은? ①    또는     
①  ②  ③  ②  ≤   그리고     
④  ⑤  ③  ≤   또는   
④  ≤  또는     
⑤   ≤    그리고   

8. 세 조건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8)

가 이기 위한 충분조건이 되도록 하는 의 최솟값을


, 이 이기 위한 필요조건이 되도록 하는 의 11. 두 조건  를 만족하는 집합을 각각
11)

최댓값을 이라 할 때, 의 값은? P  ∣   ≤  ≤    


①  ②  ③  Q  ∣         ≤  ≤  
④  ⑤  라고 하자. Q 이기 위한 P 가 충분조건일 때, 정수
의 개수는?
① 개 ② 개 ③ 개
④ 개 ⑤ 개

9. 다음의 빈칸 안에 알맞은 조건을 써 넣은 것은?


9)

  이고   인 것은   이기 위한
( 가 )조건이다. 12. 다음 보기의 ㉠, ㉡이 모두 참일 때, 다음 중 참인
12)

           은   이기 위한
명제는?
( 나 )조건이다.
     은   이기 위한 ㉠ 비만인 사람은 성인병 위험이 크다.
( 다 ) 조건이다. ㉡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은 비만이다.

① 충분, 필요, 필요충분


① 운동을 하면 성인병 위험이 크지 않다.
② 충분, 필요, 필요
② 비만인 사람은 운동을 안 한다.
③ 필요, 충분, 충분
③ 성인병 위험이 큰 사람은 비만이다.
④ 필요충분, 필요, 충분
④ 비만이 아닌 사람은 성인병 위험이 크지 않다.
⑤ 충분, 필요, 충분
⑤ 성인병 위험이 크지 않은 사람은 운동을 잘한다.
13.   가 모두 실수일 때, 다음 <보기> 중에서 가
13) 16. 두 조건  를 만족하는 집합 P  Q 에 대하여
16)

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모두 몇 개인가? P  Q ∪ P  Q c∩Q  Q 일 때, 다음 중 참인


<보기> 것은?
① → ② ~→~ ③ ~→~
㉠       
④ →~ ⑤ ~→
㉡             
㉢ A⊂B   A∩B 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개 ② 개 ③ 개
④ 개 ⑤ 개

17. 어느 회사에 면접시험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17)

얻었다. 이때, A  B  C  D 중 합격자는 누구인가?

(가) 합격자는 A  B  C  D 중 명뿐이다.


(나) B 나 D 가 합격자이면 A 도 합격자이다.
(다) B 나 D 가 합격자가 아니면 C 도 합격자가 아니다.
14. 명제 “      ≠ 이면    ≠ 이다”가 참이
(라) D 가 합격자가 아니면 B 도 합격자가 아니다.
14)

되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은?
①  ②  ③ 
① A B ② B C ③ C D
④  ⑤ 
④ B D ⑤ A D

15. 조건     를 만족하는 집합 P  Q  R  S에
15)

대하여 → →~ ~→ →가 참일 때, 다음


18. 명제 “    을 만족하는 모든 값은
18)

중 옳지 않은 것은?
     을 만족한다.”가 참이 될 값의 범위는?
① PQ
① ≤≤ ② ≤≤
② Q S
③   ④  ≤   또는  ≥ 
③ S R C  ∅ ⑤    또는   
④ Q ∪R  U
⑤ S∩R  ∅
19. 실수   에 대하여 두 조건  가      ≤ ,
19) 21. 세 사람 A  B  C 중에서 두 영화 P  Q 를 관람한
21)

       ≤ 일 때, 명제  → 를 참이 되게 하는 사람은 서로 다른 명씩이다. 다음은 A  B  C 세


의 최댓값은? 사람이 두 영화 P  Q 에 대하여 언급한 내용이다.
①  ②  ③ 
A : P 와 Q 를 모두 관람하지 못했다.
④  ⑤ 
B : P 는 관람을 했고 Q 는 관람하지 못했다.
C : P 를 관람하지 못했거나 Q 를 관람하지 못했다.

세 사람 A  B  C 중에서 거짓말을 한 사람이 적어도


한 명일 때, 항상 옳은 것은?
① 거짓말을 한 사람은 한 명뿐이다.
② 세 사람 모두 거짓말을 하였다.
③ A 의 말은 거짓말일 수 없다.
④ B 의 말이 거짓말일 수 있다.
20. 다음 (가), (나)가 성립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20)
⑤ C 의 말이 거짓말일 수 있다.

(가) 두 집합 X 와 F X  에 대하여 두 조건
  ∈X ∪ X ,   ∈F X  일 때,
조건 가 조건 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22. 전체집합 U    는 실수 에서의 조건이 아래
22)

(나) 집합을 원소로 갖는 집합 T에 대하여 두 조건 표와 같다.


  ∈G T  ,   어떤 Y ∈T에 대하여 ∈Y 일 때
조건 이 조건  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     또는  ≥ 
  는 소수
(1) A   ∅ , F A    A  이라 할 때, A  을
   ≤  ≤ 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시오. (단, ∅ 는 공집합이다.)
  는 의 양의 약수

  는 음의 실수
  는 의 양의 배수
      
      
(2) F A    A    이라 할 때, A  와 A  를 각각               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시오. (단, 는  또는 자연수이다.)   는 홀수

집합 X            ,
Y              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  X →Y 의 개수를 구하시오.

(가)      →  ∈X  ∈Y 


(3) T  A         일 때, G T  를
⊂      ∈X 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시오.

(나)     ∈X 의 원소의 개수는 개이다.


정답 (명제_2)

1) ④

2) ⑤

3) ②

4) ④

5) ①

6) ①

7) ①

8) ①

9) ⑤

10) ④

11) ③

12) ⑤

13) ④

14) ②

15) ①

16) ②

17) ⑤

18) ②

19) ④

20) (1) A   ∅ 
(2) A   ∅  ∅ , A   ∅  ∅  ∅  ∅ 
(3) T  ∅ ∅  ∅ ∅ 

21) ④

2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