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중1 2-2-1.

정수와 유리수의 덧셈과 뺄셈

수의 덧셈과 뺄셈, 덧셈의 계산법칙


1. 정수와 유리수의 덧셈
(1) 부호가 같은 두 수의 덧셈
: 두 수의 절댓값의 합에 두 수의 공통인 부호를 붙인다.

(2) 부호가 다른 두 수의 덧셈
: 두 수의 절댓값의 차에 절댓값이 큰 수의 부호를 붙인다.

2. 정수와 유리수의 뺄셈
: 두 수의 뺄셈은 빼는 수의 부호를 바꾸어 덧셈으로 고쳐서 계산한다.

덧셈에서 교환법칙, 결합법칙


3. 덧셈의 계산 법칙 : 세 수    에 대하여 이 성립하므로  개 이상의 수
를 더할 때 어떤 순서로 더하
(1) 덧셈의 교환법칙 :      거나 어느 두 수를 먼저 더하
(2) 덧셈의 결합법칙 :         여도 그 결과는 같다.

▣ 다음을 계산하여라.

(1)     (2)    


(1)  
(2)  

  
 
(3)     
   
  
(4)        
   (3)  
(4) 

3. zb3) 다음 덧셈의 계산 과정 중 (가), (나)에 사용된 법


칙이 순서대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계산 결과가 가장 큰 것은?
      
zb1)

①     ②     
          ⋯ 가
 
 

③   
   
  

④   
             ⋯ 나
 
 
⑤    
      



① 교환법칙, 결합법칙 ② 교환법칙, 분배법칙
2. zb2) 다음 중 계산이 옳은 것은?
③ 결합법칙, 교환법칙 ④ 분배법칙, 결합법칙
①     ②    
⑤ 결합법칙, 분배법칙

 
 
③       
      





④       

⑤     

I410-ECN-0199-2017-001-000057213
- 1 -
2-2-1.정수와 유리수의 덧셈과 뺄셈

수의 덧셈과 뺄셈의 혼합계산

1. 덧셈과 뺄셈의 혼합 계산
(1) 뺄셈은 모두 덧셈으로 고친다. 뺄셈에서는 교환법칙과 결합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2) 덧셈의 교환법칙, 결합법칙을 이용하여 적절하게 순서를 바꾸어  ≠ 
양수는 양수끼리, 음수는 음수끼리 계산하면 편리하다.       ≠      

2. 부호가 생략된 수의 계산
(1) 양수는 양의 부호와 괄호를 생략하여 나타낼 수 있다.
분수가 있는 식은 분모가
(2) 음수는 식의 맨 앞에 나올 때 괄호를 생략하여 나타낼 수 있다. 같은 것끼리 모아서 계산하는

⇨ 부호가 생략된 수의 계산은 부호와 괄호를 살려서 계산한다. 것이 편리하다.

▣ 다음 괄호 안에 부호를 포함한 알맞은 수를 써넣어라.


  
(1)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6. zb6) 계산 결과가 옳은 것은?

①         ②       


4. 다음 계산 중 옳은 것은?
  
zb4)

     
③         ④      
①       ②            
⑤        

   
③       
   ④        

    
⑤        
    
7. zb7) 다음 그림은 수직선을 이용하여 두 수의 덧셈을 나
타낸 것이다. 이 그림이 나타내는 식은?

5. zb5) 다음 중 계산 결과가 가장 작은 것은?

①     ②     
  
③    ④        ①      
  
②      
 
⑤       
  ③       
④      
⑤      

I410-ECN-0199-2017-001-000057213
- 2 -
2-2-1.정수와 유리수의 덧셈과 뺄셈

8.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의 값 12.
zb12) 표에서 가로, 세로, 대각선에 있는 세 수의 합이
 
zb8)

모두 같도록 빈칸에 알맞은 수를 써넣을 때,    


은? 의 값은?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9. zb9)
  보다  만큼 작은 수를 ,   보다   만큼
큰 수를  라 할 때,    의 값은?
①  ②  ③ 
④  ⑤ 

10. zb10)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유리수    에 대


하여     의 값은? 13.
zb13) 어떤 유리수에서  를 빼야 할 것을 잘못하여 더하
였더니 그 결과가   가 되었다. 바르게 계산한 값
(가) 는   보다   만큼 작은 수
은?

(나) 는  보다   만큼 큰 수 ①   ②  ③ 

  ④  ⑤ 
(다) 는   보다  만큼 작은 수
 
  
①  ②  ③ 
  
 
④  ⑤ 
 


14.
zb14) 어떤 유리수에   를 더해야 할 것을 잘못하여


빼었더니 그 결과가  이 되었다. 이 때 바르게 계산
11. zb11)
  보다  만큼 작은 수를 ,   보다  만큼 큰 수 
를  라고 할 때,    ≤  를 만족하는 정수  의 개 된 것은?
수를 구하면?   
①  ②  ③ 
  
①  개 ②  개 ③  개
 
④  개 ⑤  개 ④  ⑤ 
 

I410-ECN-0199-2017-001-000057213
- 3 -
2-2-1.정수와 유리수의 덧셈과 뺄셈

덧셈의 교환법칙 두 수   에 대하여


세 수    에 대하여        

▩ 정수와 유리수의 덧셈에서

• 부호가 같은 두 수의 덧셈은 두 수의 에 두 수의 부호를 붙인다.

(1)     (  )

(2)      (  )

• 부호가 다른 두 수의 덧셈은 두 수의 에 두 수의 절댓값이 큰 수의 부호를 붙인다.

(1)     = (  )

(2)     = (  )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다른 두 수의 합은 이다. ⇨     

▩ 덧셈의 : 두 수의 덧셈에서 두 수의 순서를 바꾸어 더하여도 그 결과는 같다.

    

▩ 덧셈의 : 세 수의 덧셈에서 어느 두 수를 먼저 더하여도 그 결과는 같다.

      

▩ 정수와 유리수의 뺄셈에서 두 수의 뺄셈은 빼는 수의 를 바꾸어 으로 고쳐서 계산한다.

(1)        

(2)          
뺄셈은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

▩ 수의 덧셈과 뺄셈의 혼합계산

• 은 모두 으로 고친다.

• 덧셈의 법칙과 법칙을 이용하여 순서를 적절히 바꾸어 양수는 양수끼리, 음수는 음수끼리
계산하면 편리하다.
• 부호가 생략된 수의 혼합 계산은 부호와 괄호를 살려서 계산한다.

 
  
    

(1)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I410-ECN-0199-2017-001-000057213
- 4 -
2-2-1.정수와 유리수의 덧셈과 뺄셈

덧셈의 교환법칙 두 수   에 대하여      


덧셈의 결합법칙 세 수    에 대하여        

▩ 정수와 유리수의 덧셈에서

• 부호가 같은 두 수의 덧셈은 두 수의 절댓값의 합 에 두 수의 공통인 부호를 붙인다.

(1)      (    ) 

(2)       (    )  

• 부호가 다른 두 수의 덧셈은 두 수의 절댓값의 차 에 두 수의 절댓값이 큰 수의 부호를 붙인다.

(1)     =  (    )  

(2)     =  (    )  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다른 두 수의 합은  이다. ⇨      

▩ 덧셈의 결합법칙 : 두 수의 덧셈에서 두 수의 순서를 바꾸어 더하여도 그 결과는 같다.

     

▩ 덧셈의 교환법칙 : 세 수의 덧셈에서 어느 두 수를 먼저 더하여도 그 결과는 같다.

        

▩ 정수와 유리수의 뺄셈에서 두 수의 뺄셈은 빼는 수의 부호 를 바꾸어 덧셈 으로 고쳐서 계산한다.

(1)            

(2)            
뺄셈은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
▩ 수의 덧셈과 뺄셈의 혼합계산

• 뺄셈 은 모두 덧셈 으로 고친다.

• 덧셈의 교환 법칙과 결합 법칙을 이용하여 순서를 적절히 바꾸어 양수는 양수끼리, 음수는 음수끼리
계산하면 편리하다.
• 부호가 생략된 수의 혼합 계산은 부호와 괄호를 살려서 계산한다.

 
  
    
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410-ECN-0199-2017-001-000057213
- 5 -
2-2-1.정수와 유리수의 덧셈과 뺄셈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
1) 제작연월일 : 2018년 1월 12일
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
2) 제작자 : 교육지대㈜
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일부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터 5년간 보호됩니다.

7) [정답] ②
[해설] 원점  에서 오른쪽으로  만큼 이동한 후
  만큼 이동하였으므로       이다.
1) [정답] ②
[해설] ①     
8) [정답] ③
②          
[해설]            
 

   
③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④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⑤              9) [정답] ①


[해설]              
2) [정답] ③
        에서           
[해설] ①         
②           10) [정답] ①

   

  
③              
   



  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④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정답] ①

[해설] (가) 덧셈의 교환법칙 (나) 덧셈의 결합법칙  


4) [정답] ③ 11) [정답] ④


[해설] ①      ②       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
③             
  


    ≤  인 정수  는
      ⋯   에서  개이다.
④         
           12) [정답] ①
⑤          
      [해설] 대각선의 합은          이다.
가로, 세로 대각선의 합이   이 되도록 수를
5) [정답] ⑤
써넣으면
[해설] ①       ②       
   
       
③        
        
④             
 
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정답] ①
[해설] 어떤 유리수를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6) [정답] ③ 바르게 계산하면       
[해설] ①        
14) [정답] ①
②        
[해설] 어떤 유리수를  라 하면
        
③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④            
    
바르게 계산하면          

   
⑤           

I410-ECN-0199-2017-001-000057213
- 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