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정답 및 해설 [수학 영역]

2024학년도 6월 평가원 대비 The First 모의고사

정답표
선택과목
공통과목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문항 문항 문항 문항 문항
정답 배점 정답 배점 정답 배점 정답 배점 정답 배점
번호 번호 번호 번호 번호
1 ⑤ 2 12 ⑤ 4 23 ② 2 23 ② 2 23 ③ 2
2 ② 2 13 ⑤ 4 24 ② 3 24 ④ 3 24 ④ 3
3 ① 3 14 ③ 4 25 ③ 3 25 ① 3 25 ③ 3
4 ④ 3 15 ① 4 26 ② 3 26 ④ 3 26 ③ 3
5 ② 3 16 3 3 27 ③ 3 27 ① 3 27 ① 3
6 ② 3 17 4 3 28 ⑤ 4 28 ④ 4 28 ④ 4
7 ② 3 18 15 3 29 891 4 29 5 4 29 7 4
8 ④ 3 19 38 3 30 7 4 30 51 4 30 8 4
9 ③ 4 20 2 4
10 ④ 4 21 284 4
11 ④ 4 22 5 4

7. 정답 ②
공통과목 
(  )  이 짝수일 때 log   의  제곱근 중에서 음의

1. 정답 ⑤ 
실수인 것이 존재하려면 log     즉    이어야

 
log   log 
      한다.
 
따라서    ,  ,  이다.
2. 정답 ② 
(  )  이 홀수일 때 log   의  제곱근 중에서 음의

의 공차를  라 하면        이므로

 실수인 것이 존재하려면 log     즉    이어야
   이다. 따라서        

한다.
따라서    , 
3. 정답 ① (  ), ( )에서 구하는 모든 자연수  의 값의 합은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는 적분상수)
따라서            8. 정답 ④
     
4. 정답 ④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정답 ② 

  
  

 ≥  이면  이    에서

불연속이므로   


lim      lim    이고            , lim     이므로
→ → 
→
lim    이므로 구하는 값은      는   또는 
→ 

   이므로   
6. 정답 ② 
   에서 연속성을 따져보면
′     가    일

때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이므로    따라서     
∴     

- 1 -
수학 영역
9. 정답 ③  lim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를 시간  로 미분한 가속도  는 으로 좌, 우 극한 값이 다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     않는다.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lim 
 →   ′ 
위치  는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정답 ④ 
 
따라서            이고    이다.

A 의 좌표는 A    이고
B 의 좌표는 B   이다. 13. 정답 ⑤
세 점    , A , B 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선분 AB 가 지름이므로 ∠ACB  
  
직선 AC 와 직선 BD 의 교점을 E 라 하면 삼각형


 ,
      EBC 에서∠CBD  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원  의 중심을 P 라 하면 ∠CPD  
log  log   log   log  
 BD    이므로 ∠DPB   ×   
CD 
log   log  
∴  
log   log  ∠DCB   , ∠CDB  

BC sin∠CDB sin  
11. 정답 ④ 사인법칙에 의해  
CD
   
sin∠CBD sin  

 
cos  cos        sin   sin   

14. 정답 ③
sin sin      , sin  는  
또는  이다.
   가 미분가능하고,
 
  sin  그래프와    ,    그래프의 교점을 함수  
 

관찰하면    일 때 처음으로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이 됨을 알 수 있다.  도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다.


따라서 양수  의 최솟값은  이다.
 도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 따라서 함수


12. 정답 ⑤ 미분가능하고, ㄱ은 옳다.



lim         에서    이고
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고 이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로 놓으면 함수의    일 때의 값이  이므로 이 점에서


( )    일 때, 미분계수가  이어야 하고,     임을 알 수 있다.

lim 
      
  ′ 
또한, 함수  의 극솟값이 존재하면 이 극솟값이

 →

            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 lim   lim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인 실수  에 대해    이면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

( )    일 때,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lim 
 →    ′ 

- 2 -
수학 영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면  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이면        ,    이면
   이므로  ≤  이어야 한다. 따라서 ㄴ은 옳지 않다.         
따라서    은  의 배수인 자연수 또는  ,

함수  의 극솟값이 존재하면 이 극솟값이  보다

       는  의 배수인 자연수 또는  임을 알 수

크거나 같아야 하고       이므로  는 있다.



다음 세 가지의 그래프의 개형을 가질 수 있다.     이므로 가능한 순서쌍
 

           은   과   뿐이다.


(  )  인 경우
     이어야 하는데

        이므로    ⇒ 모순 ( ∵    )
I의 경우에는   ≥  이므로
 (  )   인 경우
          ,      ≤  이어야 한다.
          ≥  이고,  ≥  이다.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제곱수) (∵
III의 경우에는 ㄴ에서 알 수 있듯이  ≤  이다.  이 정수)
I ∼ III의 경우에서  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 ≥  ,    이므로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모든 양수  에 대해 ′  × ′      이        ⇒ 

   ×   

성립하려면  가 증가하는 구간의 길이가  보다 작거나 

같아야 하고,  ≤  ≤  ,  ≤  ≤  이다. 또한, 이때 II의        ⇒ 


  
 

경우에는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I의 경우에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16. 정답 
,    ≥  이므로  의 최댓값이  이고,  의

   
최댓값도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III의 경우에는     

      17. 정답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부채꼴의 반지름을  , 호의 길이를  라 하자.
 주어진 조건으로부터         이므로     를
 ≥    이므로  의 최댓값이  이다. 따라서 이때   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또는    이다. 각각의 경우에
 의 최댓값 또한  이다. 따라서 ㄷ은 옳다.
    ,    이므로 부채꼴의 중심각은 각각의 경우에
  이다.
15. 정답 ① 따라서 구하는 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수학 영역
18. 정답  성립하지 않는 것과 같으므로    ≤ log     ,
  
이차함수  가 lim    이므로    log       이다.
→ 
 ≤  이면 조건을 만족하는  이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    일 때
  
lim    에서    이므로  ≤ log     ,   log     이므로   또는
→ 
    이다.
   ,  의    에서의 미분계수가
 (  )    일 때

′   ′     ′    이므로 ′     ≤ log     ,   log  이므로    ≥  이다.

(  )    일 때

구하는 값은  ×     ≤ log  ,   log     이므로    ≥  이다.

(  )    일 때
19. 정답   ≤ log     ,   log     이므로
sin   cos 에서 cos   인
경우, 방정식을      ≥  이다.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cos ≠  이다.  

양변을 cos 로 나누어 정리하면 따라서     이고,  


    이려면
 
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값은  이다.
tan    에서 일반 해는      (단,  은

정수)이므로
22. 정답 

   (단,  은 정수)라 둘 수 있다. 방정식 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 이고,



따라서      이므로 방정식    의 실근은  ,  이다.




    ×  따라서 ′    또는 ′    인  의 개수가  이다.
    ×      이다.
 

 
이때  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  의
최솟값은  이고, 실수  (    )에 대하여
20. 정답 
′       이고,  는 일대일 대응이다. 또한,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삼차함수  에 대하여
′    이므로    이다.
     가
‘      인 임의의 두 실수  ,  에 대하여 방정식    는  가 일대일대응이므로
′    와 같고,      를 정리하면
  ≤  ’를 만족시켜야 하므로
        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열린구간  ∞   에서  ≤  ,

열린구간   ∞ 에서  ≥       이다.

이 되어야 한다. 
   이므로      ,    이므로    ,

따라서    이므로    이다.  
   , ′      이다.
함수 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해야 하므로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이고 ∴   
         이다.

이때, 열린 구간   ∞ 에서  ≥  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     ≥  즉,    이다.
따라서       이다.
∴   

21. 정답 
   를 만족시키는  의 조건은
   에서 부등식이 성립하고,      에서 부등식이

- 4 -
수학 영역
확률과 통계 에서 곱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  
23. 정답 ②  

H  C 
28. 정답 ⑤
24. 정답 ②  학년 학생  명을 원형으로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    

전체 경우의 수는    이고, 이 각각에 대하여  학년 학생  명을  학년 학생  명의

양 끝에 를 위치시킨 후, ,  ,  를 나열하는 경우의 사이 중  곳을 선택하여 배열하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  P   ×  
수는    이므로 구하는 확률은 
  이 각각에 대하여  학년 학생  명은 반드시  학년
학생이 앉지 않은  학년 학생 사이에 배열하고, 나머지
25. 정답 ③  명은 남은  곳 중  곳에 배열하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P     , P      라
하면  × P   
두 사건  와  가 서로 독립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P  ∩    P   × P      ×  ×   
   P ×   P 

       이다. 29. 정답 

     인 사건을  , ∈ 인 사건을  , ∈ 인

      사건을  라 하자.

구하는 값은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의 값을
        이므로 각각 구한 후,
   ∩ ∪ ∩ 
  또는    이다.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임을 이용하자.
 
세 집합  ,  ,  를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6. 정답 ②

 
  
  의  의 계수는  × C  ,

 

 
의 계수는   × C  이다. 따라서 주어진 식의

 의 계수는

     이므로    이다.

27. 정답 ③    인 영역을  , ∩ 인 영역을  ,    인 영역을


 장의 카드를 모두 한 번씩 사용하여 일렬로 나열하는
 ,  ∪   인 영역을  라 하자.
경우의 수는   
문자 A 가 적혀 있는 카드와 문자 B 가 적혀 있는 카드
사이에 있는 숫자 카드의 개수가  이도록 카드를 배열하는

( )  ∩ 일 때
     이고 ∈ 이어야 하므로  이 포함된 영역에
경우의 수는
따라 경우를 나누어 살펴보자.
숫자 카드  장을 배열하는 경우의 수   
숫자 카드가 놓인 상태에서 A 와 B 사이에 있는 숫자가
ⅰ①
( - )  이 영역 에 포함될 때
     이므로  에 포함될 원소  개를 고른 후,
적혀 있는 카드의 개수가  이도록 자리를 정하는 경우의
나머지 원소들을  ,  ,  에 배열하면 된다. 따라서 경우의

×  
수는  ×    이다.
C의 자리를 정하는 경우의 수  ⅰ②
( - )  이 영역  에 포함될 때

- 5 -
수학 영역
      이므로  에 포함될 원소  개를 고른 후, 30. 정답 
나머지 원소들을  ,  ,  에 배열하면 된다. 따라서 경우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는 C ×    이다.         는 음이 아닌 정수)
따라서  ∩       이다.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이어야 하므로  가 포함된 영역에
    ,     는
음이 아닌 정수)
따라 경우를 나누어 살펴보자.
ⅱ①
( - )  가 영역  에 포함될 때
조건 (나)에서 네 자연수     의 합        는
짝수이므로
      이므로  에 포함될 원소  개를 고른 후,
나머지 원소들을  ,  ,  에 배열하면 된다. 따라서 경우의
(  ) 네 자연수     중 모두 짝수일 때,
수는 C ×    이다.
네 자연수     중 모두 짝수이려면
ⅱ②
( - )  가 영역  에 포함될 때     는 자연수이어야 하므로
      이므로  에 포함될 원소  개를 고른 후,
                 
나머지 원소들을  ,  ,  에 배열하면 된다. 따라서 경우의
    는 자연수이고     는 음이 아닌
수는 C ×    이다.
정수)
따라서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는
음이 아닌 정수)
      이고 ∈ , ∈ 이어야 하므로  과  가 ′  ′  ′  ′   ,         

포함된 영역에 따라 경우를 나누어 살펴보자. ′ ′ ′ ′ ,     는 음이 아닌 정수)
ⅲ①
( - )  은 영역 에,  는 영역  에 포함될 때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   이므로  에 포함될 원소  개를 고른 후, H × H  C × C  
나머지 원소들을  ,  ,  에 배열하면 된다. 따라서 경우의
수는  ×    이다. (  ) 네 자연수     중 짝수가  개, 홀수가  개일
ⅲ②
( - )  은 영역 에,  는 영역  에 포함될 때 때,
      이므로  에 포함될 원소  개를 고른 후,  ,  가 짝수이고   가 홀수라고 하면
나머지 원소들을  ,  ,  에 배열하면 된다. 따라서 경우의                    
수는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ⅲ③
( - )  과  가 모두 영역  에 포함될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에 포함될 원소  개를 고른 후,   는 자연수이고     는 음이 아닌 정수)
나머지 원소들을  ,  ,  에 배열하면 된다. 따라서 경우의
H × H  C × C  
수는 C ×    이다.
따라서 네 자연수     중  개가 짝수일 때이므로
ⅲ④
( - )  은 영역  에,  는 영역  에 포함될 때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   이므로  에 포함될 원소  개를 고른 후,
C ×   
나머지 원소들을  ,  ,  에 배열하면 된다. 따라서 경우의
(  ) 네 자연수     가 모두 홀수일 경우
수는 C ×    이다. 조건 (가)를 만족시키는 순서쌍은 없다.
따라서 (  )~(  )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순서쌍
 ∩ ∩  ∩           이다.     의 경우의 수는
    
ⅰ ⅲ
( )~( )에 의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 ,  의 순서쌍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   의 개수는  
 
       이다.  
이므로      
∴   

- 6 -
수학 영역
미적분 한편,

,
23. 정답 ②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lim   lim  ×    × ln   ln 
 →    →  ∘  ′
 ln 
24. 정답 ④   ′ln × ′  ×    ×   
   ln   

역함수의 미분법에 의해
       에서 lim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lim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정답 ④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CBC   , tan ∠MBC    이므로 삼각함수의
 
25. 정답 ① 덧셈정리에 의하여
몫의 미분법에 의해 
 
  ′   ln  ×   
′    tan ∠CBM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이므로   
ln
이고, 
BB  AB  B C      ,   이므로
B C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ln 
 ,
BC    닮음비가    이므로
 


26. 정답 ④ 

        ×  이다.  
등비수열 의 공비를 라 하면  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29. 정답 

     ∠APB     이므로 사인법칙에 의하여
    이다.
 sin  sin  sin  sin 

BP  , 
 AP  이고,    
  sin  sin  sin 
 

       에서

 한편, A 에서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A′ , B 에서  에 내린

       
  이고
수선의 발을 B′ 라 하면 
A′ C  ,
tan 
 
  
  
정리하면             이므로 B′ D  이므로 
 CD      , 두 삼각형
tan  tan  tan 
㉠으로부터    이다. ABP 와 CDP 가 닮음이므로     × 
CD

∞ 따라서

따라서 
 
    
 lim     lim   × 
 
CD   이다.
  →  →  


따라서 구하는 값은  ×    이다.
27. 정답 ① 


  30. 정답 
  
  함수      에서  축과   과  에서 만나고,
ln   ln
 이고  ln  이므로    에서 중근을 가지므로

  
 함수     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 ∘   

- 7 -
수학 영역
(i)에서와 같이    ( 은 정수)에서  의
미분계수가 존재하지 않고,
함수 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기
위해서는
′ ′  이 되어야 하므로,
      이다.
위의 그래프에서  가    에서 미분불가능하고
′     , ′     이다.
또, 함수     는    에서 미분이
한편, 함수  sin      의 그래프는 다음과
불가능하므로, 함수 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같다.
미분가능하기 위해서는
 ′  이고       인    가 존재하면
된다.

     (  는 정수)일 때,       이므로,

   일
때,    이고    일 때,    이다.
 따라서, 집합  의 원소   는    ,    이다.
위의 그래프에서      ( 는 정수)에서 극대이자

최댓값이    ,    ( 은 정수)에서 극소이자 (i), (ii), (iii)을 종합해보면,
최솟값은  임을 알 수 있고,    (  은 정수)에서 집합  의 원소   는
미분불가능하다.    ≤  인 실수  에 대하여    과
   ≤  인 실수  에 대하여    이고
(i)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인 경우 (      )
   (  은 정수)에서  의 미분계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기
위해서는 ′ ′  이 되어야 한다.
함수  는      에서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따라서, 집합  의 원소   는
     인 실수  에 대하여    과
     인 실수  에 대하여    이다.

이제, 집합            에 대하여


∩ ≠ ∅ 이 되도록 하는 자연수  의 값을 구해보자.

(ii)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인 경우 (   )


위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   과    까지 거리가
   (  은 정수)에서  의 미분계수가 존재하지
  이고,    까지 거리가   이므로 만족하는
않으므로,
   (  은 정수)에서 함수  의 미분계수도
자연수  는    이다.
존재하지 않는다. 또, 원의 중심   과    까지의 거리가  이고,
따라서, 만족하는   는 존재하지 않는다.    까지의 거리가   이므로, 만족하는 자연수  는
    이다.
(iii)   을 만족하는  의 값이 존재하는 ∩ ≠ ∅ 를 만족하는 집합  의 원소와  의 원소를
경우( ≤  ≤    ) 그래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8 -
수학 영역
기하
23. 정답 ③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24. 정답 ④

    
∴   
따라서, 모든 자연수  의 합은  이다.
25. 정답 ③
조건 (가)에 의하여 쌍곡선  의 두 초점의 좌표는
±   이므로      이다. ⋯⋯ ㉠
조건 (나)에 의하여 쌍곡선  의 한 점근선의 기울기는

   이고 (단,    ,    )

기울기가  인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즉     ± 
  이다.


일반성을 잃지 않고 직선      
  를 고려하면 이


직선이  축,  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가 각각    ,
   
    이므로 이때 삼각형의 넓이
   
 ×   ×        에서    이다. ⋯⋯
 



㉠  × ㉡에서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따라서 주축의 길이는  이다.

26. 정답 ③
점 P 의 좌표를   라 하면

AP⋅
B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P⋅   이므로            에서
BP
         
따라서 원  의 반지름의 길이는 
 이므로 원  의
넓이는  이다.

27. 정답 ①
     
 AD   ,  AB   라 하면 사각형 ABCD 가
 
평행사변형이므로

AC   
  이다.

- 9 -
수학 영역

AE   ,    

DE  
AE  
AF
AD      사각형 PQAB 의 넓이 
 


      





CF  
AF  
AC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따라서 

AC   
DE   
CF     
     
 
   이다.
이므로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가 되어     
   29. 정답 
타원의 두 초점의 좌표를 F      , F ′  
   이라
28. 정답 ④ 하자.
∠PF ′ F  ∠PAF 에서 호 PF 에 대한 두 원주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사각형 PFAF ′ 은 원에 내접한다.
따라서 ∠FPF ′  ∠FAF ′   이다.
 
∠FAF ′    이므로, ∠FPF ′    이다.
 

준선과  축의 교점을 R 라 하면
RF  이다.

     이다.
∠PFO   라 하면 tan    이므로 PR 
 
 
   에     를 대입하면     이므로
 
  PF  , 
 PF ′   로 두고
PB         이다.

  삼각형 FPF ′ 에서 코사인법칙을 적용하면

AQ  라
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F  이다.



        cos 

⋯⋯ ㉠
점 F 에서 직선 AQ 에 내린 수선의 발을 S 라 하면 점 P 는 장축의 길이가  인 타원 위의 점이므로

cos   이므로 

AS   , 

QS   이다.
   ⋯⋯ ㉡
  
㉠, ㉡을 연립하여 정리하면    이다.
QS RF  이므로    이다.
 
따라서 모든 길이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PF × 
PF ′  

따라서     
타원의 두 초점의 좌표를 F  
   , F ′  
   이라
해도 동일한 결과가 나온다.

30. 정답 

AB⋅
AM  이고 M 은 선분 CD 의 중점이므로

AB⋅  
AC AB⋅   이다.
AD
점 C , D 가 모두 원 위의 점이고, 선분 AB 가 원의
지름이므로

AB× cos∠BAC  
AC ,

AB× cos∠BAD  
AD

- 10 -
수학 영역
이고, 
AC  
AD   , 
 
AD  이다.

AC⋅   이므로 cos∠CAD   ,
AD 


sin ∠CAD   이고,


CD  

AC  

AD  

AC⋅   이므로
AD
  이다.
CD 

CD 
따라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
AB     
sin ∠CAD


∴   

- 1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