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9

6장.

끊임없이 움직이는 지구

지진, 지구조, 조산운동


강의 내용과 순서

지진이란?
지구의 내부구조
지질구조
지구의 내부구조
지구의 내부구조를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은?
http://ds.iris.edu/seismon/
▪ 지진과 지진파

- 지진: 지구 내부에서 암석이 힘을 받


아 끊어 지면서 빠르게 방출된 에
너지에 의해 땅이 흔들리는 현상
- 지진파: 지진에 의해 그 진동이 전파
되는 것
▪ 지진과 지진파
탄성한계 이상의 힘을 받아 암석이 파괴되면서
진동이 발생. 단층을 형성.

San Andreas 단층
▪ 진원과 진앙
- 진원: 지구 내부에서 지진이 발생한 지점
- 진앙: 진원 바로 위의 지표상의 지점
▪ 지진기록계
- 지진을 기록하는 장치
▪ 지진기록
▪ 지진파의 종류
▪ P파와 S파

P파 : Primary wave S파 : Secondary wave


▪ 표면파
지진파가 전달되는 매질에 경계면이 있는 경
우 경계면 쪽에 에너지가 집중되어 전파되는
파이다. Love파와 Rayleigh파가 있으며 이들
의 속도는 S파보다 느리다.
Compressional Wave (P-Wave) Animation
Shear Wave (S-Wave) Animation
Rayleigh Wave (R-Wave) Animation
Love Wave (L-Wave) Animation
▪ 지진의 위치 찾기
주시곡선과 PS시를 이용해 진앙을 구할 수 있다.
▪ 지진의 위치 찾기
세 지점의 PS시를 통해 진앙과 진원을 결정

진앙

진원의 깊이: 진앙을 지나는


최단 현의 1/2
▪ 지진의 크기 측정

진도 : 지진이 관측된 장소에서의 피해나 흔들림 정도를 측정


진앙으로부터 멀러질수록 진도는 감소
관측 지역의 기반암과 표층의 성질에 따라 영향을 받음
규모 : 지진 발생 시 방출되는 에너지량을 나타내는 척도
▪ 진도(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 규모(리히터 규모)
▪ 지진의 규모와 예상되는 영향의 범위
▪ 모멘트 규모

좀 더 정확한 지진 규모를 계산하기 위해 개발


지진모멘트는 단층 평균 변이량, 균열면의 면적, 단층암의
전단강도 등을 사용해 계산
매우 큰 지진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유일한 규모척도
▪ 지진으로 인한 피해

지진파 증폭 : 부드러운 퇴적물은 기반암보다 진동을 증폭

액상화 : 지진이 발생하면 덜 고화된 퇴적물이 물이 포화되어


있는 지역에서 토양이 액체처럼 되는 현상

쓰나미 : 해저 지진에 의한 해일
▪ 지진파를 통한 지구 내부 탐사
불연속면의 발견

모호로비치불연속면 – 지각과 맨틀의 경계


구텐베르크면 – 맨틀과 외핵의 경계
- P파 암영대(103~143)
- S파 암영대(103~180)
레만면 – 외핵과 내핵의 경계
화강암

현무암
지각
대륙지각 :~70km, 화강암질 암석, 2.7g/㎤
해양지각 :~11km, 현무암질 암석, 3.0g/㎤
모호면 : 지각과 맨틀의 경계
맨틀
지구 전체 부피의 82%, 질량의 약 68% 차지
~2900km, 감람암질 암석, 3.5~5.5g/㎤
암석권
지각
암석권(100km) 연약권
연약권 상부맨틀
전이대 670km
맨틀 670km 중간권

하부맨틀)\ 암석권
(중간권) 고체 연약권
지각
부분용융
규산염암석
맨틀 하부맨틀
감람암 외핵 고체

철질
내핵
그림을 그려주세요.

외핵
~5100km, 철니켈화합물, 액체상태, 10g/㎤
레만면 : 외핵과 내핵의 경계
내핵
~6400km, 철니켈화합물, 고체상태, 12g/㎤
레만면 : 외핵과 내핵의 경계
(1) 지구의 층상구조

화학조성에 의한 층 물리적 성질에 의한 층


지질구조
지질 구조
• 지구의 표면은 지각 변동에 의해 끊임없이 모양이 변화됨.

• 변동의 흔적이 암석 속에 남겨짐.

• 지질 구조: 지각 변동의 기록
암석의 변형

• 변형: 암체의 원래 형태와 크기가 변하는 것

• 변형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온도, 균압, 암석 종류, 시간

• 탄성변형 : 암석에 응력이 작용할때 탄성적으로 변형,


응력 제거 후 다시 원래되로 회복
암석의 변형

• 취성변형(취성 파괴) : 온도와 균압이 낮은 지표 근처


암석이 단단하여 깨지는 것.
예) 단층

• 연성변형 : 온도와 압력이 큰 깊은 곳


암석이 찰흙처럼 길게 늘어나거나 얇게 펴져서 변형
예) 습곡
▪ 습곡

•수평으로 퇴적된 지층이 지하 깊은


곳에서 횡압력을 받아 휘어진 구조.
•횡압력의 세기, 방향, 암석의 물리적
성질에 따라 지층의 경사가 달라져서
여러 모양으로 나타남.
•배사: 습곡 구조 중 볼록하게 올라온
부분
•향사: 습곡 구조 중 아래로 휘어진
부분
▪ 습곡의 종류

종류 정습곡 경사 습곡 횡와 습곡

습곡축면이 수평면에 습곡축면이 수평면에 습곡축면이 거의 수


정의
대해 거의 수직인 습곡 대해 기울어진 습곡 평으로 누운 습곡

모습
▪ 단층

• 지각에 장력이나 횡압력이 작용


하면 암석의 약한 부분에 균열이
일어나 틈이 생김. 이 지층의 틈
을 경계로 양쪽 지반이 상대적으
로 이동하여 어긋난 구조.
• 온도가 낮은 지표 근처에서 생성
▪ 단층의 구조

단층면 지층이 끊어진 면

상반 단층면의 위쪽부분

하반 단층면의 아래쪽부분
▪ 정단층

• 장력에 의해 상반이 내려가고 상


대적으로 하반이 올라간 단층
▪ 정단층

• 지구 (Graben)
• 지루 (Horst)
▪ 역단층

• 횡압력에 의해 상반이 상대적으로 올라간 단층


• 스러스트 단층 : 45˚ 이하의 경사 역단층
▪ 주향이동단층

• 수평 방향의 힘에 의해 지층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 단층
▪ 절리
• 단층과 달리 지반의 상대적 이동 없이 암석에 생긴 틈

주상 절리 판상 절리

⋅오각형 또는 육각형 기둥 모양 ⋅얇은 판 모양


⋅화산암에서 잘 나타난다. ⋅심성암에서 잘 나타난다.
⋅용암의 빠른 냉각과 수축 ⋅외부 압력 감소→박리 현상
▪ 절리
▪ 관입과 포획암

• 관입: 마그마가 기존 암석의 틈을 따


라 들어가 화성암으로 굳어지는 현상

• 포획암: 마그마가 관입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암석 조각을 떼어 내어 화성
암 속에 포함하게 된 것
감사합니다. 4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