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8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Korea Earth Science Olympiad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제2부
지구 외적 과정들
(SULPTING EARTH’S SURFACE)
Chapter3. Landscapes Fashioned by Water
물이 빚은 지형들

동해광희고 경암(敬庵) 허준혁(eartheo@naver.com)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1 02
지구의 외부 작용 물의 순환
(Earth’s External Processes)과 (The Hydrologic Cycle)
사태(Mass-Wasting)

03 04
유수(Running Water)의 작용 지하수(Ground Water)의 작용

1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1
지구의
외부작용과 사태
지구의 외부작용과 내부작용
사태: 중력의 작용

2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1. 지구의 외부작용과 사태

1. 지구의 외부 작용

✓ 외부 작용(external process): 지구 표면이나 표면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와 중력의 작용으로 발생. 암석 순환의 기본
예) 풍화(weathering), 사태(mass wasting), 침식(erosion) 등
Q. 풍화와 침식은 어떻게 다를까?

✓ 내부 작용(internal process): 지구 내부에너지에 의해


일어나는 지구 내부의 작용
✓ 예) 조산운동(orogeny), 화산활동(volcanism)

3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1. 지구의 외부작용과 사태

2. 사태: 중력의 작용

사태

지표를 구성하는 물질(토양이나 사태의제어요인과유발요인 사태와 지형의 발달


암석)이 중력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사면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는 현상.
풍화 다음 단계로 나타남
사태의 유발 요인 속도가 빠른 형태의 사태
✓ 물의 역할 ✓ 붕락, 암설사태
✓ 사면의 급경사화(안식각) ✓ 쇄설류, 토사류
✓ 식생의 제거
✓ 지진 속도가 매우 느린 사태
✓ 포행(creep)

4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1. 지구의 외부작용과 사태

사태의 제어 요인과 유발 요인

✓ 사태의 제어 요인: 중력, 마찰력(사면)


fs
✓ 사태의 유발 요인: 경사면의 안정도
θ
✓ 사면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① 사면의 기울기 → 기울기가 클수록…
② 물의 함량 → 물의 함량이 많을수록… 경사면에 놓여 있는 암석에 작용하는 힘

③ 경사면을 구성하는 물질
✓ 안식각: 사면에서 물체가 미끄러져 내리지 않는 최대각

5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1. 지구의 외부작용과 사태

사면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사면의 안정도는 사면 위 물질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결정
사면의 구동력과 반대로 작용하는 저항력 사이의 관계

사면의 구동력을 증가시키는 요소 사면의 저항력을 감소시키는 요소


① 사면의 경사를 증가시킴으로써 측면의 ① 풍화 작용: 결정질 암석의 기계적인 입상
지지력 감소: 하천, 빙하, 해파에 의한 침식 붕괴 → 조립질 퇴적암의 교결물 제거 →
작용 → 도로 건설, 채석장, 계단식 축대 점토 광물의 건조
건설 ② 공극수: 사면 물질 사이의 공극수의 압력
② 하부 지지력 감소: 지하 암석의 용융 → 증가
지하 광산 개발 ③ 암석의 파쇄: 암석의 팽대 → 구조적 이동
③ 질량 증가: 건축물, 인위적 매립, 쓰레기
④ 생물들의 활동: 동물들의 굴착 → 암석 틈을
매립 → 빗물, 눈과 얼름, 식생
파고드는 식물 뿌리 → 식물의 부식
④ 측면 압력 감소: 사면 물질 내에 있는 물의
⑤ 진동: 지진 → 쿵 하고 울리는 소리, 발파,
결빙 → 점토 광물의 팽창
교통 소음 등

6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1. 지구의 외부작용과 사태

사태의 분류: 물질의 종류, 이동 형태, 속도


구성물질 이동 형태
암석이나 암설 흐름

덜 고화된 물질(토양, 퇴적물) 미끄러짐 또는 떨어짐

속도 비교적 빠르게 이동하는 사태

빠름: 5km/hour 또는 그 이상, 붕락


높은 공기 함량 암설사태 미끄러짐

쇄설류
느림: 1cm/year, 흐름
토사류
낮은 수분(물) 함량

7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1. 지구의 외부작용과 사태

사태는 일반적으로 사태에 수반되는 물질의 종류와 이동 형태에 따라 암석 낙하(rockfall),


함몰 사태(slump), 미끄럼 사태(rockslide), 포행(creep) 등으로 분류함.

함몰 미끄럼 사태
(slump) (rockslide)

쇄설류 토사류
(debris flow) (earth flow)

8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1. 지구의 외부작용과 사태

✓ 암석 낙하: 절벽의 사면으로부터 커다란 암석


덩어리나 암석 파편 또는 흙이 중력에 의해
굴러 떨어지는 현상. 도로면의 절개지나
경사가 급한 사면에서 빈번히 발생
✓ 함몰 사태: 오목하게 파인 미끌림 면을 따라
커다란 암석 덩어리나 토사가 흘러내리는
사태. 폭우가 내리거나 장기간 동안 비가 내려
미고결 표토가 물로 포화되거나 사면의
경사가 매우 급할 때 발생
✓ 미끄럼 사태: 경사면이나 평탄한 미끄러운
사면을 따라 토양과 암석이 미끄러져
흘러내리는 형태의 사태. 암석 내의 균열,
층리면, 엽리면을 따라 발생
사태에 수반된 물질의 종류와 이동 형태에 따른 사태의 종류
9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1. 지구의 외부작용과 사태

이동 속도가 매우 느린 사태(포행, creep)

이동 속도가 1년에 수 mm에서 수 cm로 측정되는 매우 느린 종류의 사태

10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1. 지구의 외부작용과 사태

✓ 일교차가 매우 클 때

✓ 온대나 한대지방

✓ 겨울철 토양에 포함된 물이 얼면서


서릿발을 형성.

✓ 서릿발을 따라 지형면(경사면)에 수직으로


이동한 토양 입자는 낮이 되어 따뜻해 지면
중력에 의해 사면의 아래쪽으로 서서히
이동

11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2
물의 순환
지구의 물 분포
지구상의 물의 평형

12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2. 물의 순환

1. 지구의 물 분포
담수호: 0.009%
✓ 수권의 물의 총량: 약 13억 6,000만 km2 염호 및 내해:
0.008%
✓ 지구의 물 대부분은 해수(바닷물, 97.2%) 토양 수분:0.005%
대기: 0.001%
유수: 0.0001%0
✓ 해수 이외의 물: 빙하(2.15%)→지하수(0.62%)

✓ 물은 온도와 압력에 따라 상태를


수권
변화하면서 수권, 기권, 지권, 생물권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끊임없이 순환
→ 물의 순환(water cycle)
비해성성분
전체 수권에서의 %

13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2. 물의 순환

지구상의 물의 평형

✓ 해양에서의 증발량-강수량
(320,000-284,000)km3=36,000km3

✓ 육지에서의 증발량-강수량
(60,000-96,000)km3=-36,000km3

✓ Total 증발량: 해양+육지


(320,000+60,000) km3 =380,000 km3

✓ Total 강수량: 해양+육지


(284,000+96,000) km3 =380,000 km3

14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2. 물의 순환

물의 순환

15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하류와 유수의 작용
하천 하도, 기준면과 하천의 침식
하곡의 형성, 퇴적 지형

16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유역 분지와 강수계

유역 분지와 분수계 강수계


하도의 하천망 뿐만
아니라 유역분지
전체를 포함.

침식지대, 퇴적물
운반지대, 퇴적물
퇴적지대루 구성되며
보통 하나가 지배적

17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1. 하류와 유수의 작용

✓ 물의 흐름
층류(laminar flow): 유속이 느린 하천, 물 입자가 하도에 평행, 직선 경로로 이동.
난류(turbulent flow): 대부분의 하천, 소용돌이나 회오리, 급류 등에서 보임.
→ 난류는 강바닥의 퇴적물을 들어 올리기 때문에 하도 침식에 기여

✓ 하천의 침식, 운반 능력은 유속에 의존함. 따라서 유속의 변화에 따라 물이 운반할 수 있는


퇴적물의 양에는 커다란 변화가 발생함.

✓ 유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사도, 하도의 모양, 규모, 거친 정도, 유량

18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경사도와 하도의 특성 일직선 구간: 수면 바로


아래 하도의 중앙부
곡선 구간: 수면 바로
아래 바깥쪽

✓ 경사도(gradient): 특정한 거리에


대한 하천의 수직 낙차

✓ 유속: 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마찰력의 영향을 많이 받음. 바깥쪽: 유속이 빨라 침식
일어남(급경사 지형 형성)

✓ 마찰력의 크기: 하도의 모양,


안쪽: 유속이 느려 퇴적이
규모, 거친 정도 등에 따라 다름. 일어남(경사진 층리 형성)

✓ 하도에서 마찰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 바닥과 강둑의 유속은 느림.

19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유량, 상류에서 하류로의 변화

하천의 길이 방향에
✓ 유량: 유량은 시간이나 지역에 따라 변화가 심함. 따라 자른 횡단면
두부: 급한 경사

유량(m3/초)=하도 너비(m) x 하도 깊이(m) x 유속(m/s)

✓ 강의 단면과 경사도의 관계
하구: 완만한 경사
두부(근원지)가 있는 상류는 경사가 급하고, 하구가
있는 강의 하류는 경사가 완만함.
→ 하류로 갈수록 지류들이 본류에 물을 공급하고,
지하수에서 물이 추가로 공급되어 유량이 증가.

20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유수의 작용(침식)
✓ 하천이 강 바닥의 퇴적물 입자들 들어내어
이동시킬 수 있는 능력: 난류의 강도와 유속의 영향 침식

✓ 일반적으로, 난류성 흐름이 증가하면 퇴적물


입자를 들어올리는 능력도 증가함. 하지만, 실트와 운반 퇴적
점토는 예외 → 실트와 점토는 점착력이 있어 매우
빠른 유속이 아니면 침식이 잘 되지 않기 때문

✓ 단단한 기반암의 침식: 하천이 운반하고 있는


Hjulstrom Curve(유속과 입자의 운반을 나타내는 그림) 다양한
입자에 따라 크게 증가 → 사포 위의 모래 입자가 크기를 갖는 퇴적물 입자의 침식, 운반 및 퇴적이 유속에 의해

나무 조각을 깎아내는 것과 같이 기반암을 마모 어떻게 제어되는지 보여줌.

21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유수의 작용(운반)
✓ 모든 하천은 암석 물질을 운반하며 운반되는 암석
물질의 특성에 따라 세 가지 방식으로 운반
① 녹은짐(dissoved load): 석회암과 기타 녹을 수
있는 암석이 기반암인 습윤한 지역에서 가장 풍부 녹은짐 뜬짐

② 뜬짐(suspended load): 하천이 운반하는 퇴적물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 홍수 시 양이 급증
③ 바닥짐 혹은 밑짐(bed load): 미끄러지거나, 바닥짐(밑짐)

구르거나, 마닥을 튀면서 이동


퇴적물의 운반 방식 녹은짐이나 뜬짐은 유수의 일반적인 운반
✓ 하천의 운반 능력(competence)과 운반 용량(capacity) 방식이며, 바닥짐은 모래나 굵은 모래, 잔자갈이나 왕자갈과 같은

① 운반 능력: 유속이 빠를수록 증가 굵은 입자들로 큰 힘이 작용할 때 운반됨.

② 운반 용량: 유량이 많을수록 증가

22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유수의 작용(퇴적)
✓ 하천의 유속 감소 → 운반되는 퇴적물들의 퇴적
임계퇴적속도 〉 하천의 유속 → 큰 입자부터 퇴적
충적층
분급이 나쁘다
✓ 분급(sorting): 퇴적물 입자가 운반 과정에서 크기,
모양, 비중 등의 특성이 유사한 입자끼리 선별되는
것. 퇴적 환경을 유추하는데 활용 → 일정한 속도로
멀리까지 운반된 퇴적물의 경우 분급이 좋음. 하천의 흐름

✓ 충적층(alluvium): 하천에 의해 퇴적물이 쌓여 생긴 인편구조(강원도 정선읍 조양강 주변) 암편 혹은 지층이 같은


방향으로 포개져 배열되어 비늘 모양과 같이 일정한 방향성을
굳지 않은 퇴적층. 주로 모래, 진흙, 점토, 자갈
보여주는 구조를 인편구조라고 함.
등으로 구성되며 유기물을 풍부하게 포함.

23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2. 하천 하도, 기준면과 하천의 침식


하천 하도
(Stream Channels)

암반 하도 충적 하도
(Bedrock Channels) (Alluvial Channels)

✓ 암반 하도: 경사도가 급한 상류에서 주로 기반암을 침식. 기울기가 완만한 부분과 기울기가 급해


기반암이 드러나는 부분에서 교대로 나타남. 급류가 발생, 폭포가 형성되기도 함.

✓ 충적 하도: 퇴적물이 지속적으로 침식, 운반, 재퇴적 되어 모양이 바뀔 수 있음. 하도의 모양은
퇴적물이 평균 크기, 하도의 경사, 유량에 따라 변함. 충적 하도의 두 가지 흔한 형태는 사행
하도(Meandering Channels)과 망상 하도(Braided Channels)가 있음.

24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사행 하천과 우각호의 형성

곡류목

차수 구하도

우각호 서강

청령포

우각호의 형성 뜬짐으로 운반하는 하천이 방절리 구하도 강원도 영월군 청령포 일대의 방절리 구하도(Abandoned
사행(meander)이라 불리는, 크게 굽이치는 형태로 channel, Old river channel) 모습. 강원도 영월, 정선, 평창 일대를 흐르는
이동함. 곡류의 안쪽과 바깥쪽의 유속 차이로 인해 동강과 서강은 대표적인 암반 하도로 감입 사행천의 모습을 보임.
퇴적과 침식이 발생

25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망상 하천

✓ 망상하천: 여러 개의 하도가, 하도 사이에


존재하는 사주나 섬 양쪽으로 갈라져
흐르고 다시 합쳐짐이 반복하며 복잡한
망을 이루는 하천

✓ 사행 하천과 망상 하천의 차이점: 사행


하천의 경우 대체로 가는 입자들이 깊고
매끈한 하도에서 뜬 짐으로 이동될 때
생겨나는 반면, 넓고 얕은 망상 하천은 굵은
입자의 충적층이 바닥짐으로 운반될 때 발달 녹고 있는 빙하의 말단 부근에 있는 망상 하천이 퇴적물로 메워져 있는 모습

26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사행 하천과 망상 하천

사행 하천

망상 하천

27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기준면과 하천의 침식
최종 기준면

지역 기준면
최종 기준면

지역 기준면

새로운 기준면

단단한 암석층은 지역(임시) 기준면으로 작용할 수 있음. 단단한 댐이 건설되고 인공 호수가 형성될 때, 하천의 기준면은 상승하게 됨.
층이 좀 더 천천히 침식 되기 때문에 상류의 하방 침식을 제한함. 저수지는 유속을 감소시키고 퇴적을 유발하여 댐 상류쪽의 경사도를 줄임.

28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 암반 하도: 03. 유수의 작용

3. 하곡의 형성, 퇴적 지형

이 모든 것이 하곡!

29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계곡 깊게 만들기와 계곡 넓히기

✓ V자형 계곡의 형성: 경사가 급하고 하도가


기준면보다 높게 위치한 하천의 빠른 이동에
의한 침식에 의해… 급류(rapids), 폭포(waterfall)

✓ 하도가 기준면까지 깍여 내려가면서 하천의


에너지가 옆으로 작용하여 강이 한쪽 둑을 먼저
깎고 다른 쪽 둑을 깎으면서 계곡이 확장.

✓ 침식과 퇴적이 반복되며 충적층으로 덮힌 넓고


평평한 지형인 범람원(floodplain) 형성.

30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기준면의 변화와 감입 사행천(감입 곡류 하천)

✓ 감입 사행천(감입 곡류 하천): 하천의


중상류에서 기준면의 하강 또는 지반의
융기로 경사가 급하고 좁은 계곡에서 point bar
곡류 내측:퇴적
사행하는 하천

✓ 감입 사행천의 형성 미앤더(meander)
곡류 외측:침식
① 기준면의 하강: 빙하시대 해수면의
하강으로 인해 바다로 흐르던 하천의 침식
② 대지의 국지적 융기: 평원의 융기로 인해
하천이 기준면보다 높이 있을 경우

31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전치층은 수역이 들어간

퇴적 지형(삼각주) 정치층은 범람이


일어나는 동안
후에 곧 떨어져 굵은
입자로 구성됨. 선상지가
성장함에 따라 이 층들은
전치층 맨 위에 분류 저지층을 덮음
쌓이게 됨.
✓ 하천(강)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흐름이
거의 없이 고여 있는 물을 만났을 때
(하천의 퇴적물 운반 능력이 떨어져
퇴적물의 집적이 일어나) 생기는 지형

✓ 퇴적 작용(강, 파도 및 조류, 기타 특징)에


저치층은 강 하구 넘어
의해 다양하게 나타남. 침전 되었된 가는 실트와
점토 입자들로 구성됨.

하천이 하도를 확장하면서 경사도가 감소함. 홍수기 동안 일부의 흐름은


새로운 분류를 형성하는 더 짧고 높은 길로 우회함. 오래된 지류들은
점차 수초들에 의해 잠식되고 퇴적물로 메워짐.

32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퇴적 지형(삼각주)
✓ 삼각주의 분류: 주된 퇴적 작용에 따라 주로 분류

✓ 강, 파도, 조류 중 파도와 조류가 삼각주 지형의 위치,


입도(퇴적물 입자의 크기)의 분포를 결정

✓ 하천 우세(river-dominated) 삼각주: 조족형(bird-foot-


type), 미국 미시시피 삼각주
파도 우세(wave-dominated) 삼각주: 첨점형(cuspate),
브라질 사오프란시스코 삼각주
조석우세(tide-dominated) 삼각주: 다수의 사주형,
파푸아뉴기니 플라이강 삼각주 주된 퇴적작용에 의해 분류되는 삼각주(modified from Galloway, 1996)

33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퇴적 지형(삼각주)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삼각주

✓ 부산광역시 강서구, 사하구와


경상남도 김해시에 걸쳐 발달

✓ 낙동강 하구에서 유입된 퇴적물이


파도와 조석에 영향을 받는 곳

✓ 하구둑 건설 이후 하천 퇴적물
가덕도 다대포
유출과 파도에 의한 퇴적물
재이동으로 지형이 변화되고 있음. 낙동강의 삼각주(Google earth Pro). 부산광역시 강서구·사하구, 경상남도 김해시에 걸쳐 발달

34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퇴적 지형(선상지)
✓ 충적 선상지는 산 아래의 평원에 강에 의해 운반된
자갈, 모래 등의 물질이 퇴적되어 만들어진 부채
모양의 지형

✓ 강이 유입되는 하나의 지점에서부터 퇴적물이 퇴적될


때 크고 무거운 자갈이 먼저 퇴적되고, 더 작은 모래와
점토 들이 멀리까지 방사상으로 운반되어 부채꼴
모양을 형태를 이룸.

✓ 처음 퇴적될 때 입자의 크기가 작으나 위로 갈수록


충적 선상지(alluvial fan). Death valley National park, California U.S
커지는 역점이층리(reverse grading) 양상을 보임.

35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3. 유수의 작용

퇴적 지형(자연제방)
계곡 조립 퇴적물 세립 퇴적물

홍수기 유로에서 강물이 범람할 때,

배후 습지 하도의 주변의 유속이 느려져 다량의


운반 물질이 하도 주변에 퇴적됨.

홍수기 자연 제방
야주 지류 하도의 가까운 곳에는 많은 양의
조립 퇴적물이 쌓이고 먼 곳은 적은
양의 세립 퇴적물이 쌓임.
조립 퇴적물
세립 퇴적물 홍수 이후

하도에서 먼 곳은 퇴적물 공급이


적으며, 세립의 가벼운 물질이

자연 흘러들어 낮은 저지대를 형성.


제방

반복되는 홍수로 하도와 평행하고


경사가 완만한 자연제방이 형성되고
범람원과 배후 습지가 형성됨.

36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4
지하수의 작용
지하수의 분포와 이동
샘, 우물과 자분정
지하수와 관련된 환경 문제
지하수의 지질학적 작용

37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4. 지하수의 작용

지하수의 중요성과 지질학적 역할

석회동굴의 내부
미국 켄터키 주 Mammoth 동굴의
내부 모습. 지하수의 용해 작용에
의해 다양한 동굴 생성물을 형성

싱크홀 지형
뉴질랜드 South Island Timaru 서부의
움푹 파인 지형의 모습. 용해 작용을
통해 지반 침하를 야기하여 형성된
지형. 흰색 점들은 방목하는 양들의
지구의 담수 모습임.
지하수는 액체 담수의 주요 저장고 이며,
전 세계에 걸쳐 식수, 산업 용수, 농업 용수로
활용되고 있음.

38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4. 지하수의 작용

1.지하수의 분포와 이동
실패한 우물
✓ 습기 토양대(토양 수분층) 부유 지하수면 실패한 우물: 불포화대
성공한 우물 성공한 우물: 포화대

✓ 포화대와 불포화대
① 포화대: 퇴적물과 암석의
공극이 물로 완전히 채워지는
부분
② 불포화대: 지하수면 위쪽으로
반대수층
토양, 퇴적물, 암석이 포화되지
주 지하수면
않은 부분
지하수면의 모양은
대체로 지면과 유사하여
✓ 지하수면: 포화대에 존재하는 물 불포화지대 포화지대 언덕에선 높고 계곡에선
낮아지며 슾지는
지표면이 지하수면 임.
포화대의 상부 경계에 해당함.

39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4. 지하수의 작용

1. 지하수의 분포와 이동
✓ 지하수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① 공극률: 암석이나 퇴적물 전체의 부피에 대해 충전
지역
이들이 포함한 공극(토양 입자 사이의 틈)의 비율
② 투수성: 액체를 통과시키는 정도
배출(유출)
③ 반대수층과 대수층: 물의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지역

막는 층을 반대수층, 물이 비교적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암석이나 퇴적물의 투수층을 대수층이라 함.
지하
수면
✓ 지하수의 이동: 중력의 영향을 받아 하루 수 cm
정도 이동. 지하수면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배출 화살표는 투수성이 동일한 물질 내에서 지라수의 움직임을 나타냄.
휘어진 곡선은 아래로 당기는 중력과 압력이 감소하는 지역으로
지역)으로 이동. 오른쪽 그림은 지하수가 모든 움직이려는 지하수의 성향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됨.

방향에서 하천(배출 지대)으로 스며들 수 있음을 보임.

40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4. 지하수의 작용

2. 샘(Spring), 우물(Well)과 자분정(Artesian)


✓ 샘(spring): 자연적으로 흘러나오는
지하수의 유동. 마치 물이 솟는 것처럼
보임.

✓ 가장 단순한 샘은 지면과 지하수면이


교차하는 곳에서 발생. 즉, 대수층이
지표로 드러나는 곳에서 나타남.
작은 샘은 거의 모든 암석에서 나타나지만, 샘(spring)의 예 강원도 영월의 물무리골 습지와 정선의 화암약수

큰 샘은 거의 모두가 용암, 석회암,


자갈에서 나타남.

41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4. 지하수의 작용

2. 샘(Spring), 우물(Well)과 자분정(Artesian)

✓ 샘의 형성
ⓐ ⓑ
ⓐ 투수성이 좋은 암석 근처에 있는 불투수
암석이 존재할 때
ⓑ 다공질 모래가 불투수성의 점토층 위에
놓여 두 층의 경계가 절벽이나 계곡 측면에
놓일 때
ⓒ ⓓ
ⓒ 절리를 많이 발달시키며 불투수층 위에
놓여 있는 용암류
ⓓ 절리를 많이 발달시키며 불투수층 위에
놓여 있는 단층 선

42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4. 지하수의 작용

2. 샘(Spring), 우물(Well)과 자분정(Artesian)

✓ 온천(hot spring): 지하수가 지열에 의하여 주변 충북 수안보 온천의


노천탕
지역의 연평균 대기 온도 이상(6~9℃) 데워져 지표로
용출되는 샘

✓ 간헐천(geyser): 강한 힘에 의해 다양한 시간 간격(몇


분 ~ 몇 주)을 두고 기둥 형태로 분출되는 간헐적
미국 옐로스톤
온천이나 분수 국립공원 Old Faithful

① 공동설: 공동에 괸 물이 밑에 있는 과열 증기, 지열


등에 의한 수증기압에 밀려 분출
② 수직관설: 좁고 긴 수직 분수관의 상부(저온)와
하부(고온)의 온도차에 의해 불완전 대류가 일어나 분출

43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4. 지하수의 작용

2. 샘(Spring), 우물(Well)과 자분정(Artesian)


새로운
✓ 우물(well): 지하수를 뽑아내기 위해 대용량의
우물 장소
대수층까지 뚫은 구멍, 작은 저수지 역할

✓ 건기와 우기에 따라 우물 수위의 변화가


발생 지하수면

✓ 수위 저하: 우물에서 물을 퍼낼 때, 우물 많은 양의
마른 우물
양수 이전
주위의 지하수면이 낮아지는 현상.
수위 저하곡면
우물로부터 멀어질수록 약해짐. → 많은 양의
양수 이후

수위저하곡면(cone of depression) 낮아진 지하수면

44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4. 지하수의 작용

2. 샘(Spring), 우물(Well)과 자분정(Artesian)

✓ 자분정(artesian): 우물의 지하수가


지표 이상으로 넘치는 우물

흐르지 않는
자분정
✓ 자분정 발생 조건 흘러나오는
자분정ㅍ
① 재충전 될 수 있는 지표면에 한쪽
끝이 드러나도록 기울어져 있는 재충전 지역 반대수층
대수층에 물이 갖혀 있어야 함. 피압 대수층
반대수층
② 대수층 상·하부에 불투수층(혹은 수압이 미치는 면

반대수층)이 있어 물이 새지 흐르지 않는
수압이 자분정(물은 흘러나오는
못하게 막고 있어야 함. 미치는 면 수압이 미치는
면에서지표로
지면으로
자분정
면에서 퍼
퍼올려져야만
올려져야만함함

45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4. 지하수의 작용

2. 샘(Spring), 우물(Well)과 자분정(Artesian)

✓ 자분정에서 물의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마찰력 → 재충전 지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물탱크
마찰력의 크기는 증가하고 물의 상승 높이는 감소
수압이 미치는 면
(지하수가 상승하는
높이)
✓ 자분정시스템의 활용: 자분정시스템은 재충전
지역에서 먼 거리에 위치한 배출 지역으로 물을
전달하는 자연산 파이프처럼 작용. 물을 끌어 물탱크
안으로

올리는 급수탑은 재충전 지역으로, 수도관은 올려진
지하수 압력이 파이프를
반대수층 사이에 갇혀 있는 피압 대수층으로, 통해 물을 흐르게 함

가정의 수도꼭지는 자분정으로… 도시의 급수 체계 인공 자분정으로 생각할 수 있음.

46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4. 지하수의 작용

3. 지하수와 관련된 환경 문제
재생 불가능한 자원인 지하수
지하수면의 높이
물이 추가되는 속도 = 물이 제거되는 속도 → 평형
물이 추가되는 속도 〈 물이 제거되는 속도 → 고갈

지하수 고갈로 인한 지반 침하
물이 추가되는 속도 〈 물이 제거되는 속도 → 고갈
→ 수압 하강 → 과중한 하중이 퇴적층에 전달 →
퇴적물 입자의 다져짐 → 지반 침하

지하수 오염
투수성이 뛰어난 대수층(균열이 많은 결정질
암석, 석회암층), 오염원(제설용 소금, 비료,
살충제 등)과 오염 형태(파이프라인, 저장용
탱크, 매립지, 정화용 연못 등) → 토양 오염

47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4. 지하수의 작용

재생 불가능한 자원인 지하수_회전식 관개 농업

지하수 채굴(Mining groundwater) 미국 최대의 대수층 중 하나인 high Plains의 회전식 관계 농업

48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4. 지하수의 작용

지하수 고갈로 인한 지반 침하_관개 농업으로 인한 지반 침하의 예


땅이 가라 앉는 느낌! 미국의
San Joaquin Valley의 지반
침하 모습.

관계 농업이 발달한 이 지역은


지하수를 다량으로 뽑아 쓰기
전인 1925년부터 지하수를
다량으로 뽑아 관개 농업에
활용한 1977년까지 52년 동안
30피트(약 9m)의 지반이
침하하였음.

49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4. 지하수의 작용

지하수 오염_두 종류의 대수층 비교

정화조 A. 오염수가 우물 1에 도달하기 전에 100m


오염수를
운반하는 이상을 이동했음에도 불구하고, 물은 공동이
우물 1 오염수 많은 석회암을 따라 매우 빨리 이동했기
공동이 많은 때문에 정화될 수 없음.
석회암

지하수면 B. 정화조로부터 유출된 물이 투수성이 좋은


사암층으로 침투함에 따라 비교적 짧은
거리를 지나면서도 정화가 됨.

투수성
높은 사암
깨끗한 물을
운반하는우물 2

50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4. 지하수의 작용

4.지하수의 지질학적 작용
✓ 한반도 내 석회암의 분포: 남한의 경우 고생대 전기에 형성된 해성층
→ 강원도의 강릉, 동해, 삼척, 태백, 영월, 평창, 정선 지역, 충청북도의
단양, 제천 지역, 경상북도의 문경 지역, 전라남도의 화순 지역 등에
걸쳐 분포
✓ 석회 동굴의 형성: 포화대 내의 지하수면, 또는 그 바로 아래에서 형성
→ 산성의 지하수(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녹은 빗물, 생명체에 의한
유기산 등)가 절리나 층리면과 같은 암석의 약한 부분을 따라
이동하면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용해 작용에 의해 공동들이 서서히
생겨나고 공동들이 확장하여 동굴을 형성. 지하수에 의해 용해된
물질들은 강과 합류하여 바다로 운반됨.

51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4. 지하수의 작용

여러 가지 동굴 생성물: 종유관, 종유석, 석순, 석주

종유관의 형성과정 모식도와 동굴 내 실제 종유관의 모습 종유석의 성장

석순과 에그후라이형 석순(평창 백룡동굴) 석주의 형성과정과 석회동굴에서 발달한 석주의 모습

52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4. 지하수의 작용

카르스트 지형
✓ 카르스트 지형: 빗물이나 지표의 물이 석회암의 표면이나 절리를 따라 흐르면서 침식 또는 용식 작용에
의해 형성된 지형
✓ 카르스트(Karst)의 어원: ‘물 없은 황량한 곳‘ 또는 ‘거친 암석 경관이 나타나는 곳'을 의미하는
슬로베니아어 ‘kras’ 또는 이탈리아어 ‘Carso’가 독일어 ‘Karst’를 거쳐 영어 ‘Karst’로 정착된 것으로 추정.
✓ 카르스트 지형의 주된 형성 작용: 빗물에 의한 암석의 용식, 습윤한 아열대나 열대 기후에서 잘 나타남.
CaCO3+H2O+CO2 ↔ Ca(HCO3)2
✓ 카르스트에서 나타나는 와지(窪地)형태의 지형
① 돌리네(doline) : 지표의 용식이나 함몰에 의해 생긴 와지
② 우발라(uvala) : 여러 개의 돌리네가 합쳐진 형태, 복합 돌리네라고도 함.
③ 폴리에(polies): 지표의 용식, 침하, 지하 침윤, 붕괴 등 다양한 과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 가장 큰 규모
④ 싱크홀(sink hole): 지하의 암석이 용해되거나 기존의 공동(동굴)이 붕괴되어 지표의 지형이 가라앉아 발생.

53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A. 04. 지하수의 작용
싱크홀
지하수면

카르스트 지형의 발달
석회암 용식
하천
A. 초창기에는 지하수가 절리와 층리면을 다라
석회암 속으로 침투함. 용해 작용은 지하수면과
B. 그 아래에서 동굴을 만들고 넓힘.
싱크홀

B. 시간이 흐를수록 동굴은 더 커지고 싱크홀의


용식
하천 수와 크기는 증가함. 지표면의 배수는 지표
지하수면
아래의 깔대기와 같은 좁은 공간(싱크홀)을 종종
이동함.
용식
하천
C.
싱크홀 C. 시간이 흐르면서 동굴이 커지고 합쳐진
용식
붕괴 계곡 싱크홀의 수가 늘어나며 규모도 커짐. 동굴이
함몰지
샘 무너지고 용식 함몰지(돌리네)가 합쳐지면서 더
크고 평형하게 움푹 들어간 곳이 형성됨.
결과적으로 용해 작용으로 지역에 있던
석회암의 대부분은 제거되고 그림처럼
잔여물들만 남게 됨.
54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04. 지하수의 작용

카르스트 지대 와지 형태의 지형
A B
A. 우발라(uvala)
강원도 영월 후탄리

B. 돌리네(doline)
강원도 정선 백복령

C D C. 폴리에(polies)
The Piano Grande, 이탈리아

D. 싱크홀(sink hole)
강원도 영월 후탄리
55
KESO 기초교육[사이버강의]

The End of Chapter 3

56
Thanks!
CREDITS: This presentation template was
created by Slidesgo, including icons by
Flaticon, infographics & images by Freepik
and illustrations by Stories

Do you have any questions?


eartheo@naver.com
+82 33 520 0777
DongHae KwangHee High School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