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1

III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04
별의 물리량과 진화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22쪽 150쪽

02
외계 행성계 탐사

136쪽

03
외계 생명체 탐사

144쪽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III. 우주

출제 A 별의 물리량
별의 물리량
별의 물리량을 나타낸 표나 )–3도에
1. 별의 표면 온도
나타낸 별의 특성을 분석하여 별의 물리 ⑴ 색과 표면 온도 : 표면 온도가 높은 별일수록 최대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이 짧아 파란색으로
량을 비교하는 문제가 자주 출제된다.
보인다.
⑵ 색지수와 표면 온도 : 별의 표면 온도가 높을수록 색지수(#7)가 작다.
빈의 변위 법칙
⑶ 분광형과 표면 온도 : 별의 표면 온도에 따른 흡수선의 종류와 세기를 기준으로 별의 분광형을 0, #,
흑체의 표면 온도(5)가 높을수록 최대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GNBY)이 짧아진다.
", ', (, ,, .형의 개로 분류하며, 각각의 분광형은 (고온)~(저온)의 등급으로 세분한다.
① 태양의 흡수선과 분광형 : 태양은 표면 온도가 약  ,인 노란색의 별로 이온화된 칼슘($BⅡ)
B
GNBY
5 흡수선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며 분광형은 (형이다.
(B.@ HN・,)
② "형 별의 흡수선과 분광형 : 표면 온도가 약  ,인 "형 별의 색지수는 이고, 이 별에서
중성 수소()*) 흡수선이 강하다.
색지수(#7) 분광형 0 # " ' ( , .
•파란색 별 : # 등급  7 등급 색지 색 청색 청백색 백색 황백색 황색 주황색 적색
수는 () 값
•노란색 별 : # 등급  7 등급 색지 색지수 ()  ( )
수는 ( ) 값 표면 온도 높다  , 낮다

슈테판・볼츠만 법칙 2. 별의 광도와 크기
흑체가 단위 시간 동안 단위 면적에서 방 ⑴ 별의 광도 : 별의 표면에서 단위 시간 동안 방출하는 총 에너지양
출하는 에너지양(&)은 표면 온도(5)의
제곱에 비례한다.
광도는 별의 표면적( L3)과 별이 단위 시간 동안 단위 면적에서 방출하는 에너지양(N5)을 곱
하여 구할 수 있다.
&N5
(N.@ 8・N・, ) ⑵ 별의 반지름 : 별의 광도(-)와 표면 온도(5)를 알면 구할 수 있다.

- h-
-L3・N5 3|Š a 
 LN5 5

3. 별의 광도 계급 별을 Ⅰ~Ⅶ로 분류하며, 분광형이 같을 때 광도 계급의 숫자가 클수록 광도와 반지


름이 작아진다.
태양은 표면 온도가 약  ,이고 주계열성이므로, 태양은 .–, 분류법으로 ( 7이다.

B )-3도와 별의 종류
1. )–3도 가로축은 분광형(표면 온도, 색지수), 세로축은 별의 광도(절대 등급)로 하여 별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

2. )–3도와 별의 종류
)–3도와 광도 계급 구분 분포 특징 예

 밝은 초거성
)-3도의 왼쪽 위에서 오른쪽 •)-3도의 왼쪽 위에 분포할수록 표면 온도가
태양, 스피카,
덜 밝은 초거성 ⅠB 주계열성 아래로 이어지는 좁은 띠 모양 높고, 광도, 반지름, 질량이 크다.
 밝은 거성
ⅠC 시리우스 "
절대 등급

Ⅱ 으로 분포 •별의 약  는 주계열성에 속한다.


 거성 Ⅲ
준거성Ⅳ •표면 온도가 낮아 붉은색을 띠며 반지름이 매우
 주계 )-3도에서 주계열의 오른쪽 아르크투루스,
준왜 열성 적색 거성 커서 광도가 크다.
 성 위에 분포 알데바란
백색
왜성 Ⅴ •주계열성보다 반지름이 크고 평균 밀도는 작다.
 Ⅶ Ⅵ )-3도에서 적색 거성보다 더 •적색 거성보다 광도와 반지름이 크고, 평균 밀도 베텔게우스,
초거성
위에 분포 는 작다. 안타레스
0 # " ' ( , .
분광형 •표면 온도가 높아 백색으로 보이며, 반지름이
)-3도에서 주계열성의 왼쪽
백색 왜성 매우 작기 때문에 광도가 작다. 시리우스 #
초거성은 밝기에 따라 ⅠB(밝은 초거성) 아래에 분포
와 ⅠC(덜 밝은 초거성)로 나눈다. •주계열성보다 평균 밀도가 매우 크다.

122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C 별의 탄생과 진화 출제
질량에 따른 원시별의 진화 경로
1. 별의 탄생 질량이 서로 다른 여러 원시별의 진화 경
⑴ 별의 탄생 과정 : 별은 주로 기체 밀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암흑  › š .◉ 로가 제시된 자료를 분석하여 진화 속도,
™ 질량을 비교하는 문제가 자주 출제된다.
성운 내부에서 탄생한다. .◉
› œ
⑵ 원시별의 진화 과정 : 원시별의 질량이 클수록 중력 수축이 빨라 › š

광도
.◉
.◉
주계열성에 빠르게 도달하며 광도가 크고 표면 온도가 높은 주 ™  œ .◉

계열성이 된다. -◉
영년 주계열
œ
 œ
 .◉
① 질량이 큰 원시별 : 광도는 거의 변하지 않고, 표면 온도는 크
(단위 : 년) ž
게 상승하여 주계열의 왼쪽 위에 위치한다. 
‘™ -◉: 태양의 광도
.◉: 태양의 질량 d
)–3도에서 수평 방향으로 진화
    
② 질량이 작은 원시별 : 광도는 크게 감소하고, 표면 온도는 약 표면 온도 ,
간 상승하여 주계열의 오른쪽 아래에 위치한다. ▲ 질량에 따른 원시별의 진화 경로
)–3도에서 수직 방향으로 진화

2. 별의 진화
⑴ 주계열 단계
① 에너지원 : 수소 핵융합 반응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
② 정역학 평형 : 중력과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이 평형을 이루며 별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③ 별의 수명 : 질량이 클수록 수명이 짧다.
주계열의 질량이 클수록 중심부 온도가 높아 수소 연소 효율이 크기 때문에 수소를 매우 빠르게
소모하므로 수명이 짧다.
⑵ 거성, 초거성 단계 : 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별은 주계열 단계를 떠나면 적색 거성이 되고, 태양보다 태양보다 질량이 매우 큰 별의 핵융
합 반응과 진화
질량이 매우 큰 별은 적색 거성보다 반지름과 광도가 크게 증가하여 적색 초거성이 된다.
태양보다 질량이 매우 큰 별의 중심핵에
서는 헬륨보다 무거운 탄소, 네온, 산소
중심부에서 중심부 중심부 바로 바깥쪽에서 별의 바깥층 팽창으로 등에 의한 핵융합 반응이 순차적으로 일
수소 고갈 수축 수소 핵융합 반응 별의 크기 증가 어나면서 초거성으로 진화한다.

광도 증가, 붉은색으로 보이는 적색 거성이나 적색 거성의 중심부에서 초신성 폭발과 원소 생성


표면 온도 감소 적색 초거성으로 진화 헬륨 핵융합 반응
초신성 폭발 때 많은 에너지가 발생하므
로, 이때 금, 은, 우라늄 등의 철보다 무거
⑶ 별의 종말 : 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별은 적색 거성 이후 행성상 성운과 백색 왜성으로, 태양보다 운 원소가 생성된다.

질량이 매우 큰 별은 초거성 이후 초신성 폭발을 거쳐 중성자별이나 블랙홀로 종말을 맞이한다.

태양 질량의 약 배 이하인 별 태양의 진화 과정


원시별
별 갈색 왜성

 거문고자리
거 문고
문 고자
고 자리

태양 질량의 약 배~배인 별 33
3 3형 변
변광성 적색
거성
원시별
별 백생 왜성
백생 왜성
절대 등급

주계열성
주계열성
 팽창
행성상 성
성운운 원시별
성운 원시별
별 백생
백 생 왜성
왜성 태양
태양 수축
주계열성
주계열
열성 적색
적색 거성
거성 
태양 질량
량정정도인
도인
도인 별 행성상
행성상 성운
행성 백색 왜성

주계열
주계
주 계
중성자별 
원시별

주계열성
주계열
열성
열성 초거성
초거
초 거성
   
태양보다 질량이 매우
우큰별 초신성
초신성 블랙홀
블랙
랙홀
랙홀
표면 온도 ,
▲ 질량에 따른 별의 진화 과정

D 별의 에너지원과 내부 구조
1. 별의 에너지원
⑴ 원시별의 에너지원 : 중력에 의해 수축할 때 위치 에너지의 감소로 생성되는 중력 수축 에너지
⑵ 주계열성의 에너지원
① 수소 핵융합 반응 : 중심부 온도가 만 , 이상일 때 개의 수소 원자핵이 융합하여 개의 헬륨
원자핵을 생성하는 반응

01. 별의 물리량과 진화 12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출제 ② 수소 핵융합 반응의 종류
수소 핵융합 반응의 종류 구분 양성자・양성자 반응(Q-Q 반응) 탄소・질소・산소 순환 반응($/0 순환 반응)
중심핵의 온도에 따른 에너지 생성률을 조건 중심부 온도가 만 , 이하인 별에서 우세하다. 중심부 온도가 만 , 이상인 별에서 우세하다.
제시하고 두 가지 수소 핵융합 반응의 특 탄소A
중수소 헬륨
성을 비교하는 문제가 자주 출제된다. 수소
헬륨A
질소A
수소 질소
헬륨 수소 
수소 수소
수소 핵융합 반응의 원리 과정 수소 수소 수소
수소
수소
핵에너지 탄소
수소

) ) 산소A 양성자
융합 )F 헬륨A
) ) 수소 중성자
중수소 질소A 에너지 방출
질량 합 : 질량 :
 
⑶ 주계열성 이후의 에너지원
수소 원자핵 개의 질량 합보다 헬륨 원
자핵 개의 질량이 작고, 이 과정에서 감 ① 헬륨 핵융합 반응 : 중심부 온도가 억 , 이상일 때 헬륨 원자핵 개가 결합하여 탄소 원자핵 개가
소한 질량이 질량 에너지 등가 원리에 의 생성되는 반응
해 에너지로 전환된다.
② 헬륨보다 무거운 원소의 핵융합 반응 : 탄소, 네온, 산소, 규소 등 헬륨보다 무거운 원소의 핵융합
반응으로, 초거성의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가장 무거운 원소는 철이다.
질량 에너지 등가 원리
핵융합 반응에서 감소한 질량을 $N(질 2. 별의 내부 구조
량 결손)이라 하고, 빛의 속도를 D라고 할 주계열성의 내부 구조 거성의 내부 구조
때, 핵융합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에너지
&$ND에 해당한다. 별의 질량에 따라 에너지 전달 방식(대류, 복사)이 다르기 거성 및 초거성의 내부에서는 중심부로 갈수록 무거운
때문에 내부 구조가 다르다. 원소로 이루어진 양파 껍질 같은 구조를 이룬다.
복사와 대류 태양 질량의 태양 질량의 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별의 태양보다 질량이 매우 큰
별의 중심핵에서 생성된 에너지는 주로 배 이하인 별 배 이상인 별 최종 내부 구조 별의 최종 내부 구조
복사와 대류를 통해 별의 표면으로 전달
수소
되는데, 이중 대류는 온도 차가 클 때 에 수소 헬륨
너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이다. 탄소
헬륨 산소
규소
핵 대류핵 탄소 철

복사층
대류층 복사층

실전 자료 원시별의 진화 과정과 주계열성의 내부 구조

그림 (가)는 원시별 "와 #가 주계


광도 태(양

› 대류층
열성으로 진화하는 경로를, (나)의 " 복사층
# 복사층
㉠과 ㉡은 "와 #가 주계열 단계 ™
중심핵 대류핵


에 있을 때의 내부 구조를 순서 없 

이 나타낸 것이다.
)

‘™
   ㉠ ㉡
표면 온도 ,
(가) (나)

❶ )–3도상에서 원시별의 질량에 따른 진화 과정 비교하기


원시별의 질량이 클수록 중력 수축이 빠르게 일어나 주계열성으로 진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고,
표면 온도와 광도가 크므로 )–3도에서 주계열성의 왼쪽 위에 위치한다.
❷ 주계열성의 질량에 따른 내부 구조의 차이 비교하기
㉠은 태양 질량의 배 이하인 주계열성의 내부 구조이고, ㉡은 태양 질량의 배 이상인 주계열성의 내부
구조이다. #가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이므로 "가 주계열 단계에 있을 때의 내부 구조는 ㉡이다.
❸ 주계열성의 질량에 따른 수소 핵융합 반응의 종류 구분하기
$/0 순환 반응은 질량이 큰 주계열성의 중심핵에서 우세하게 일어나고, 에너지 생성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중심핵의 안과 밖에서 온도 차가 커져서 대류핵이 나타난다.

124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및 해설 214쪽

1 | 2022년 10월 교육청 10번 | 3 | 2022년 10월 교육청 16번 |


그림은 단위 시간 동안 별 ㉠과 ㉡에서 방출된 복사 에너지 세기를 그림은 원시별 ", #, $를 )–3도에 나타낸 것이다. 점선은 원시별
파장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와 가로축 사이의 면적은 각각 이 탄생한 이후 경과한 시간이 같은 위치를 연결한 것이다.
4, 4이다.

㉠과 ㉡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광도는 ㉡이 ㉠의 배이다. ", #, $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ㄴ. 표면 온도는 ㉡이 ㉠의 배이다. [점]
ㄷ. 반지름은 ㉡이 ㉠의 배이다. 보기
ㄱ. 주계열성이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가 $보다 길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ㄴ. #와 $의 질량은 같다.
ㄷ. $는 표면에서 중력이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보다 크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2 | 2022년 10월 교육청 13번 |


그림은 태양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단위 시간당 누적 에너지
생성량과 누적 질량을 나타낸 것이다. ㉠, ㉡, ㉢은 각각 핵, 대류층,
4 | 2022년 7월 교육청 13번 |
표는 별 "~%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 중 주계열성은 개
복사층 중 하나이다.
이다.

별 광도(태양) 표면 온도(,)
"  
#  
$  
%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점]

보기 보기
ㄱ. 단위 시간 동안 생성되는 에너지양은 ㉠이 ㉡보다 많다. ㄱ. 별의 반지름은 "가 $보다 배 이상 크다.
ㄴ. ㉢에서는 주로 대류에 의해 에너지가 전달된다. ㄴ. $BⅡ 흡수선의 상대적 세기는 $가 "보다 강하다.
ㄷ. 평균 밀도는 ㉡이 ㉢보다 크다. ㄷ. 별의 평균 밀도가 가장 큰 것은 %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1. 별의 물리량과 진화 12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5 | 2022년 7월 교육청 16번 | 7 | 2022년 4월 교육청 14번 |
그림은 어느 별의 진화 경로를 ) - 3도에 나타낸 것이다. 표는 별 "와 #의 물리량을 태양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광도 반지름 최대 복사 에너지

(상댓값) (상댓값) 방출 파장(ON)
태양   
"   ㉠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이 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
보기
은?
ㄱ. ㉠은 보다 크다.
보기 ㄴ. ㉡은 이다.
ㄱ. 절대 등급은 B 단계에서 C 단계로 갈수록 작아진다. ㄷ.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에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양은
반지름 "보다 #가 많다.
ㄴ. 은 D 단계가 C 단계보다 크다.
표면 온도
ㄷ. 반지름은 D 단계가 E 단계보다 크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6 | 2022년 7월 교육청 20번 | 8 | 2022년 4월 교육청 15번 |

그림은 별의 중심 온도에 따른 Q – Q 반응과 $/0 순환 반응, 헬륨 그림은 주계열성 내부의 에너지 전달 영역을 주계열성의 질량과 중심
핵융합 반응의 상대적 에너지 생산량을 ", #, $로 순서 없이 나타 으로부터의 누적 질량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와 #는 각각 복사
낸 것이다. 와 대류에 의해 에너지 전달이 주로 일어나는 영역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점]

보기 보기
ㄱ. "와 #는 수소 핵융합 반응이다. ㄱ. " 영역의 평균 온도는 질량이 ㉠인 별보다 ㉡인 별이 높다.
ㄴ. 현재 태양의 중심 온도는 ㉠보다 낮다. ㄴ. #는 복사에 의해 에너지 전달이 주로 일어나는 영역이다.
ㄷ. 주계열 단계에서는 질량이 클수록 전체 에너지 생산량에 ㄷ. 질량이 ㉠인 별의 중심부에서는 Q–Q 반응보다 $/0 순환
서 $에 의한 비율이 증가한다. 반응이 우세하게 일어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126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및 해설 216쪽

9 | 2022년 4월 교육청 16번 | 11 | 2022년 3월 교육청 12번 |


그림은 질량이 태양과 비슷한 별의 나이에 따른 광도와 표면 온도 표는 주계열성 ", #의 물리량을 나타낸 것이다.
를 "와 #로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 ㉡, ㉢은 각각 원시별,
광도 질량 예상 수명
적색 거성, 주계열성 단계 중 하나이다. 주계열성
(태양) (태양) (억 년)
"   
#   9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보기
ㄱ. "에서는 Q–Q 반응이 $/0 순환 반응보다 우세하다.
ㄴ. 9는 보다 작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ㄷ. 중심핵의 단위 시간당 질량 감소량은 "가 #보다 많다.

보기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ㄱ. "는 표면 온도이다.
ㄴ. ㉠의 주요 에너지원은 수소 핵융합 반응이다.
ㄷ. 별의 평균 밀도는 ㉡보다 ㉢일 때 작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10 | 2022년 3월 교육청 5번 |
다음은 )–3도를 작성하여 별을 분류하는 탐구이다.

[탐구 과정]
표는 별 B~G의 분광형과 절대 등급이다.
별 B C D E F G
분광형 " # ( . . #
절대 등급      

(가) 각 별의 위치를 )–3도에 표시한다.


(나) )–3도에 표시한 위치에 따라 별들을 백색 왜성, 주계
열성, 거성의 세 집단으로 분류한다.

[탐구 결과] 12 | 2022년 3월 교육청 16번 |


표는 별 ", #의 표면 온도와 반지름을, 그림은 ", #에서 단위 면적
당 단위 시간에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의 파장에 따른 세기를 ㉠과
㉡으로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별 " #
표면 온도
 
(,)
반지름
 
(상댓값)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보기
ㄱ. B와 G는 집단 Ⅰ에 속한다. ㄱ. "는 ㉡에 해당한다.
ㄴ. 집단 Ⅱ는 주계열성이다. ㄴ. #는 붉은색 별이다.
ㄷ. 별의 평균 밀도는 집단 Ⅰ이 집단 Ⅲ보다 크다. ㄷ. 별의 광도는 "가 #의 배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1. 별의 물리량과 진화 12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3 | 2022년 3월 교육청 20번 | 15 | 2021년 10월 교육청 12번 |
그림 (가)는 질량이 태양과 같은 어느 별의 진화 경로를, (나)의 ㉠과 그림 (가)는 ) – 3도를, (나)는 별 "와 # 중 하나의 중심부에서 일
㉡은 별의 내부 구조와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영역을 나타낸 것 어나는 핵융합 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이다. ㉠과 ㉡은 각각 "와 # 시기 중 하나에 해당한다.

(가) (나)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가) (나)
보기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ㄱ. (나)는 "의 중심부에서 일어난다.
보기 ㄴ. 별의 평균 밀도는 "가 #보다 크다.
ㄱ. ㉠에 해당하는 시기는 "이다. ㄷ. 광도 계급의 숫자는 "가 #보다 크다.
ㄴ. ㉡의 헬륨핵은 수축하고 있다.
ㄷ. $ 시기 이후 중심부에서 탄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4 | 2021년 10월 교육청 9번 | 16 | 2021년 10월 교육청 13번 |

그림은 중심부의 핵융합 반응이 끝난 별 (가)와 (나)의 내부 구조를 그림은 주계열성 (가)와 (나)가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상대적인 세
나타낸 것이다. 기를 파장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의 분광형은 각각 "
형과 (형 중 하나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별


의 크기는 고려하지 않는다.) 이 자료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보기 보기
ㄱ. ㉠은 'F보다 무거운 원소이다. ㄱ. )Ⅰ 흡수선의 세기는 (가)가 (나)보다 약하다.
ㄴ. 별의 질량은 (가)가 (나)보다 크다. ㄴ. 복사 에너지를 최대로 방출하는 파장은 (가)가 (나)보다 길다.
ㄷ. (가)는 이후의 진화 과정에서 초신성 폭발을 거친다. ㄷ. 별의 반지름은 (가)가 (나)보다 크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28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및 해설 223쪽

17 | 2021년 7월 교육청 13번 | 19 | 2021년 7월 교육청 17번 |


그림은 주계열성 "와 #가 그림은 별 "~%의 상대적 크기를, 표는 별의 물리량을 나타낸 것
각각 거성 "′와 #′로 진화하 이다. 별 "~%는 각각 ㉠~㉣ 중 하나이다.
는 경로의 일부를 )–3도에
광도 표면 온도
나타낸 것이다. 별
(태양) (태양)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  
㉡  
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  
고른 것은?
㉣  
보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주계열에 머무는 기간은 "가 #보다 짧다.
[점]
ㄴ. 절대 등급의 변화량은 "가 "′로 진화했을 때가 #가 #′
로 진화했을 때보다 크다. 보기
$/0` 순환` 반응에` 의한` 에너지` 생성량 ㄱ. 표면 온도는 "가 #보다 높다.
ㄷ. 은 "가 #보다
Q`–`Q` 반응에 `의한` 에너지 `생성량 ㄴ. 광도는 #가 %보다 작다.
작다. ㄷ. $는 주계열성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8 | 2021년 7월 교육청 16번 |


그림은 지구 대기권 밖에서 단위 시간 동안 관측한 주계열성 ", #,
$의 복사 에너지 세기를 파장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20 | 2021년 4월 교육청 14번 |


표는 주계열성 (가)와 (나)의 분광형과 절대 등급을 나타낸 것이다.

별 분광형 절대 등급
(가) " Ⅴ 
(나) .Ⅴ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가)가 (나)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점] 것은?

보기 보기
ㄱ. 표면 온도는 "가 #보다 높다. ㄱ. 표면 온도
ㄴ. 광도는 #가 $보다 크다. ㄴ. 광도
ㄷ. 반지름은 "가 $보다 작다. ㄷ. 주계열에 머무는 시간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1. 별의 물리량과 진화 12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21 | 2021년 4월 교육청 15번 | 23 | 2021년 3월 교육청 7번 |
그림 (가)는 어느 별의 진화 경로를, (나)는 이 별의 진화 과정 일부 그림 (가)는 전갈자리에 있는 세 별 ㉠, ㉡, ㉢의 절대 등급과 분광형
를 나타낸 것이다. 을, (나)는 )–3도에 별의 집단을 나타낸 것이다.

(가) (나)

이 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 (가) (나)


은? [점]
별 ㉠, ㉡, ㉢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
보기 은? [점]
ㄱ. 별의 평균 밀도는 "보다 #일 때 작다.
보기
ㄴ. $일 때는 ㉠ 과정에 해당한다.
ㄱ. ㉠은 주계열성이다.
ㄷ. ㉡ 과정에서 별의 중심핵은 정역학 평형 상태이다.
ㄴ. ㉡은 파란색으로 관측된다.
ㄷ. 반지름은 ㉢이 가장 크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22 | 2021년 4월 교육청 16번 | 24 | 2021년 3월 교육청 14번 |

그림 (가)는 별의 중심부 온도에 따른 수소 핵융합 반응의 에너지 그림은 태양 내부의 온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 ㉡, ㉢은 각각
생산량을, (나)는 주계열성 "와 #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중심핵, 복사층, 대류층 중 하나이다.
"와 #의 중심부 온도는 각각 ㉠과 ㉡ 중 하나이다.

A B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별의 크기는 고려하지 않는다.) [점]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중심부 온도가 ㉠인 주계열성의 중심부에서는 $/0 순 보기
환 반응보다 Q–Q 반응이 우세하게 일어난다. ㄱ. 태양 중심에서 표면으로 갈수록 온도는 낮아진다.
ㄴ. 별의 질량은 "보다 #가 크다. ㄴ. ㉠에서는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ㄷ. "의 중심부 온도는 ㉡이다. ㄷ. ㉢에서는 주로 대류에 의해 에너지 전달이 일어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30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및 해설 227쪽

25 | 2021년 3월 교육청 17번 | 27 | 2020년 10월 교육청 15번 |


그림은 두 주계열성 (가)와 (나)의 파장에 따른 복사 에너지 세기의 그림은 세 별 (가), (나), (다)의 스펙트럼에서 세기가 강한 흡수선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의 분광형은 각각 #형과 (형 중 개의 상대적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가), (나), (다)의 분광형은 각각
하나이다. "형, 0형, (형 중 하나이다.

(가) (나) (다)


(가) (나)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보기
ㄱ. 표면 온도가 태양과 가장 비슷한 별은 (가)이다.
ㄱ. 표면 온도는 (가)가 (나)보다 낮다.
ㄴ. (나)의 구성 물질 중 가장 많은 원소는 $B이다.
ㄴ. 질량은 (가)가 (나)보다 작다.
ㄷ. 단위 시간당 단위 면적에서 방출되는 에너지양은 (나)가
ㄷ. 태양의 파장에 따른 복사 에너지 세기의 분포는 (가)보다
(다)보다 적다.
(나)와 비슷하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6 | 2020년 10월 교육청 12번 |


그림 (가)와 (나)는 서로 다른 두 시기에 태양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에 따른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를 나타낸 것이다. "와 #는 각각 수 28 | 2020년 10월 교육청 16번 |
소와 헬륨 중 하나이다. 표는 별 ㉠~㉣의 절대 등급과 분광형을 나타낸 것이다. ㉠~㉣ 중
주계열성은 개, 백색 왜성과 초거성은 각각 개이다.

별 절대 등급 분광형
㉠  #
㉡  "
㉢  #

(가) (나) ㉣  #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보기 보기
ㄱ. 태양의 나이는 (가)보다 (나)일 때 많다. ㄱ. ㉠의 중심에서는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ㄴ. (가)일 때 핵의 반지름은 @ LN보다 크다. ㄴ. 별의 질량은 ㉡이 ㉢보다 작다.
ㄷ. ㉠에서는 주로 대류에 의해 에너지가 전달된다. ㄷ. 광도 계급의 숫자는 ㉡이 ㉣보다 크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1. 별의 물리량과 진화 13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29 | 2020년 7월 교육청 12번 | 31 | 2020년 7월 교육청 16번 |
그림은 별 "와 #에서 단위 시간당 동일한 양의 복사 에너지를 방 그림은 중심부 온도에 따른 Q–Q 반응과 $/0 순환 반응에 의한
출하는 면적을 나타낸 것이다. "의 광도는 #의 배이다. 광도를 ", #로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 #는 흑체로 가정한다.) [점]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표면 온도는 #가 "보다 배 높다. 보기
ㄴ. 반지름은 "가 #보다 배 이상이다. ㄱ. 태양에서는 " 반응이 우세하다.
ㄷ. 최대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은 #가 "보다 길다. ㄴ. 태양의 중심부 온도는 만 ,이다.
ㄷ. 주계열성의 질량이 클수록 전체 광도에서 #에 의한 비율이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감소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30 | 2020년 7월 교육청 15번 |


32 | 2020년 4월 교육청 14번 |
그림은 주계열성 ", #, $가 원시별에서 주계열성이 되기까지의 그림은 서로 다른 두 별 "와 #에서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의 상대
경로를 )–3도에 나타낸 것이다. 세기와 수소 흡수선의 파장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별 "와 #를 비교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점]

보기
① 광도는 "가 크다.
ㄱ. 주계열성이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가 #보다 길다. ② 반지름은 "가 크다.
ㄴ. "의 내부는 복사층이 대류층을 둘러싸고 있는 구조이다. ③ 표면 온도는 #가 높다.
ㄷ. 절대 등급은 $가 가장 크다. ④ 수소 흡수선의 세기는 #가 크다.
⑤ 단위 시간당 동일한 면적에서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는 "가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크다.

132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및 해설 232쪽

33 | 2020년 4월 교육청 15번 | 35 | 2020년 3월 교육청 10번 |


그림은 서로 다른 질량의 주계열성 "과 #이 진화하는 경로의 일 그림 (가)는 양성자・양성자 반응을, (나)는 어느 주계열성의 내부
부를 )–3도에 나타낸 것이다. "와 ", #와 #은 별 "과 #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각각 진화하는 경로상에 위치한 별이고, "과 #의 중심핵에서
는 헬륨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가) (나)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은 헬륨 원자핵이다.
[점]
ㄴ. (나)는 태양보다 질량이 큰 별의 내부 구조이다.
보기 ㄷ. (나)의 대류핵에서는 탄소・질소・산소 순환 반응보다
ㄱ. 별의 질량은 "보다 #이 크다. (가)의 반응이 우세하다.
ㄴ. "와 #의 내부에서는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의 반지름 # 의 반지름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ㄷ.   이다.
"의 반지름 #의 반지름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34 | 2020년 4월 교육청 16번 |


그림은 질량이 서로 다른 주계열성 "와 #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36 | 2020년 3월 교육청 11번 |
그림은 태양과 별 (가), (나)의 파장에 따른 복사 에너지 분포를,
표는 세 별의 절대 등급을 나타낸 것이다.

별 절대 등급
태양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별의 크기는 고려하지 않는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보기 보기
ㄱ. 별의 질량은 "보다 #가 작다. ㄱ. 별이 단위 시간 동안 단위 면적에서 방출하는 에너지양은
ㄴ. "와 #는 정역학적 평형 상태에 있다. (가)가 태양보다 많다.
ㄷ. 수소 핵융합 반응 중 $/0 순환 반응이 차지하는 비율은 ㄴ. (나)는 파란색 별이다.
"보다 #가 높다. ㄷ. 별의 반지름은 (나)가 (가)의 배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1. 별의 물리량과 진화 13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37 | 2020년 3월 교육청 12번 | 39 | 2019년 10월 교육청 지Ⅱ 14번 |
그림은 )–3도에 별 (가)~(라)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주계열성 ", #가 적색 거성 "′, #′으로 진화하는 경로를
)–3도에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별의 평균 밀도는 (가)가 (나)보다 크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ㄴ. (다)는 초신성 폭발을 거쳐 형성되었다.
보기
ㄷ. 별의 수명은 (가)가 (라)보다 짧다.
ㄱ. "가 "′으로 진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가 #′으로
진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길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ㄴ. 색지수는 "가 #보다 작다.
ㄷ. 질량은 "가 #보다 작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0 | 2018년 10월 교육청 지Ⅱ 13번 |


그림 (가)는 질량이 다른 주계열성 ㉠, ㉡의 내부 구조를, (나)는 중
심핵의 온도에 따른 Q–Q 연쇄 반응과 $/0 순환 반응에 의한 에
너지 생성량을 순서 없이 ", #로 나타낸 것이다.

38 | 2019년 10월 교육청 지Ⅱ 10번 |


그림은 별 B~E의 겉보기 등급과 분광형을, 표는 이 별들까지의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별 거리(QD)
B 
C 
D 
E  (가) (나)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과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의 크기는 고려하지 않는다.) [점]

보기 보기
ㄱ. 표면 온도는 B가 D보다 낮다. ㄱ. 별의 질량은 ㉠이 ㉡보다 작다.
ㄴ. 광도는 B가 E보다 작다. ㄴ. "는 Q–Q 연쇄 반응에 의한 에너지 생성량이다.
ㄷ. 반지름은 C가 E보다 작다. ㄷ. $/0 순환 반응에 의한 에너지 생성량은 ㉡이 ㉠보다 많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34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및 해설 237쪽

41 | 2018년 7월 교육청 지Ⅱ 10번 | 43 | 2017년 7월 교육청 지Ⅱ 19번 |


그림은 별의 진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질량이 서로 다른 세 별의 주계열 이전 진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백색 왜성의 중심부에서 철이 생성된다.
ㄴ. 태양 정도의 질량인 별은 (가) 과정을 따라 진화한다.
ㄷ. 별의 진화 과정 중 주계열성 단계에서 머무르는 시간은
적색 거성 단계보다 길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별의 질량은 (가)가 (나)보다 크다.
ㄴ. 전주계열성의 에너지원은 수소 핵융합 반응이다.
ㄷ. (가)와 (나)는 주계열성으로 진화하면서 절대 등급이 계속
감소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2 | 2017년 10월 교육청 지Ⅱ 10번 |


그림은 별의 분광형에 따른 흡수선의 종류와 세기를, 표는 "형과
,형인 두 주계열성의 스펙트럼 특징을 순서 없이 (가)와 (나)로 나
타낸 것이다.

44 | 2016년 10월 교육청 지Ⅱ 11번 |


그림은 주계열성의 색지수(#7)와 표면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스펙트럼 특징
(가) 수소()Ⅰ) 흡수선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
(나) 칼슘 이온($BⅡ) 흡수선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이 자료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표면 온도는 (가)의 별이 (나)의 별보다 높다. 보기
ㄴ. 크기는 (가)의 별이 (나)의 별보다 작다. ㄱ. 색지수가 클수록 표면 온도는 높다.
ㄷ. (나)의 별은 중심부에서 $/0 순환 반응이 Q–Q 연쇄 반응 ㄴ. 표면 온도가  ,인 별은 # 등급이 7 등급보다 크다.
보다 우세하게 일어난다. ㄷ. 별의 질량은 9가 :보다 크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1. 별의 물리량과 진화 13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2 III. 우주

출제 A 외계 행성계 탐사 방법
외계 행성계 탐사
출제 빈도수는 중심별의 시선 속도를 이
1.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
용하는 방법  식 현상을 이용하는 방 ⑴ 도플러 효과 : 파동을 방출하는 물체가 관측자의 시선 방향에서 멀어지면 파장이 길어지고, 가까워
법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는 방
지면 파장이 짧아지는 현상이다.
법 순인데, 외계 행성계 탐사 방법에 대해
서는 매회 시험에서 한 문제가 출제되며 ⑵ 탐사 방법 : 중심별과 행성이 공통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공전할 때 중심별의 시선 속도가 변하면서
최근에는 시선 속도 변화 그래프를 분석 나타나는 도플러 효과에 따른 별빛의 파장 변화를 측정하여 행성을 탐사한다.
하는 문제가 고난도 문제로 출제된다.
⑶ 특징 : 질량이 크고, 공전 궤도 반지름이 작은 행성일수록 존재를 확인하기 쉽다.
중심별의 중심별의 물리량 변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탐사
위치 지구와의 거리 시선 속도 파장 스펙트럼
청색 편이
 
별  가까워짐 () 짧아짐


행성
공통 질량 적색 편이
중심 멀어짐 ( ) 길어짐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와 식 현상 2. 식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


을 이용한 탐사 방법의 한계
⑴ 탐사 방법 : 행성이 별 주위를 공전하면서 식 현상이 일어날 때 별의 밝기가 감소하는 현상을 관측하여
행성의 공전 궤도면이 관측자의 시선 방
향과 수직일 때는 도플러 효과와 식 현상 행성을 탐사한다.
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시선 속도 변화와 중심별의 밝기 변화 주기는 행성의 공전 주기와 같다.
식 현상을 이용한 외계 행성계의 탐사가
⑵ 특징 : 반지름이 큰 행성일수록 존재를 확인하기 쉽다.
불가능하다.
식 현상을 이용한 탐사 행성의 위치 중심별의 밝기 변화
중심별  중심별의 밝기 변화가 없다.

행성    행성의 일부가 중심별의 일부를 가려 중심별의 밝기가


밝기


감소한다.

행성이 중심별 앞을 지나면서 행성 전체가 중심별을 가려



시간 중심별의 밝기가 가장 어둡다.

출제 3.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 ⑴ 탐사 방법 : 두 별이 같은 시선 방향에 있을 때 뒤쪽에 있는 별로부터 오는 빛이 앞쪽에 있는 별이나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은 행성의 중력에 의해 미세하게 굴절되어 더 밝게 보이는 현상을 이용하여 행성을 탐사한다.
최근들어 자주 출제되고 있는데 시선 방 먼 천체 앞을 외계 행성계가 여러 번 지나가지 않기 때문에 주기적인 관측이 불가능하다.
향에서 먼 별과 가까운 별에서의 밝기 변
화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⑵ 특징 : 관측자의 시선 방향과 공전 궤도면이 수직인 행성, 공전 궤도 반지름이 큰 행성, 질량이 작은
행성을 찾을 수 있다.
행성이 없는 별 "에 의한 별 #의 밝기 변화 별 "와 행성에 의한 별 #의 밝기 변화
행성에 의한
진행 방향 밝기 변화 행성의 진행 방향
공전 궤도
시 별"
간 지구 별# 시 별"
간 지구 별#
별 "에 의한
밝기 밝기 변화 별 "에 의한 행성
밝기 밝기 변화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별 #가 지구와 가까운 별 별 " 주위를 행성이 공전하고 있는 경우에는 별 #의 밝


"의 중력에 의한 미세 중력 렌즈 현상으로 인해 더 밝게 기 변화에 행성의 중력으로 나타나는 밝기 변화가 추가
보인다. 적으로 나타난다.

136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4. 직접적인 탐사 방법
⑴ 탐사 방법 : 외계 행성계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외계 행성에서 반사된 별빛이나 행성 자체의 복
사 에너지를 직접 관측하여 탐사하는데, 외계 행성계를 직접 관측할 때는 행성의 밝기가 중심별에
비해 매우 어두우므로 중심별을 가리고 행성을 직접 촬영하여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⑵ 특징 : 행성이 방출하는 에너지는 대부분 적외선 영역이므로 행성을 촬영할 때 주로 적외선 영역에
서 촬영한다.

B 외계 행성계 탐사 결과 출제
외계 행성계 탐사 방법으로 발견한
1. 외계 행성계 탐사 결과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와 식 현상으로 관측된 외계 행성의 수가 가장 많고, 행성들의 특징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은 대부분 공전 궤도 반지름이 작고, 반지름이 큰 목성 규모이다. 외계 행성계 탐사 방법으로 발견한 행성
들의 특징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유
2. 외계 행성계 탐사 방법으로 발견한 행성들의 특징 형보다 여러 탐사 방법으로 발견된 자료
를 제시하고 자료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
⑴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발견한 행성들은 대부분 질량이 크다.
있는지를 묻는 유형의 문제가 자주 출제
⑵ 식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발견한 행성들은 대부분 공전 궤도 반지름이 작다. 된다.
⑶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발견한 행성들은 대부분 공전 궤도 반지름이 크다.


질량 지(구


지구형 행성 탐사

목성형 행성과 같이 기체형 행성에는 생
 )

명체가 살 수 없으므로, 최근 외계 생명체


  식 현상 를 찾기 위해 지구형 행성을 중심으로 탐
시선 속도 변화
사하고 있다.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를
미세 중력 렌즈 현상
 이용하여 알아낸 행성의 질량과 식 현상
기타
을 이용하여 알아낸 행성의 반지름으로
     행성의 밀도를 알고, 이렇게 알아낸 행성
공전 궤도 반지름 지구
의 밀도로부터 기체형(목성형) 행성과 암
▲ 최근까지 발견한 외계 행성의 특징 석형(지구형) 행성을 구분할 수 있다.

실전 자료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와 식 현상을 이용한 탐사 방법

그림 (가)와 (나)는 어느 외계 행성에 의한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와 겉보기 밝기 변화를 관측하여


각각 나타낸 것이다.
겉보기 밝기

후퇴
시선 속도

( )

()
접근

5„ 5m 5f 5e 5s 시간 U„ Um Uf Ue Us 시간
(가) (나)

❶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로 중심별과 행성의 위치 파악하기


(가)에서 중심별의 시선 속도가 일 때는 지구에서 가장 멀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이다. 5일 때는 시선
속도가 ()에서 ( )로 변하므로 지구에 가장 가까울 때이고, 5일 때는 시선 속도가 ( )에서 ()로
변하므로 지구에서 가장 멀 때이다.
❷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로 식 현상이 나타나는 위치 파악하기
겉보기 밝기가 최소일 때는 식 현상이 일어날 때이다. (가)에서 식 현상은 중심별이 후퇴(시선 속도 )
하다가 접근(시선 속도 )하는 시기, 즉 행성이 접근하다가 후퇴하는 시기인 5일 때 일어난다.
❸ 겉보기 밝기 변화로 중심별과 행성의 운동 방향 찾기
(나)에서 U일 때는 식 현상이 일어나기 전이다. 따라서 이때 외계 행성은 지구에 가까워지고, 중심별은
지구에서 멀어진다.

02. 외계 행성계 탐사 13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 2022년 10월 교육청 20번 | 3 | 2022년 4월 교육청 19번 |
그림 (가)는 어느 외계 행성계에서 공통 질량 중심을 원 궤도로 공 그림 (가)는 중심별을 원 궤도로 공전하는 외계 행성 "와 #의 공전
전하는 중심별의 모습을, (나)는 중심별의 시선 속도를 시간에 따라 방향을, (나)는 "와 #에 의한 중심별의 겉보기 밝기 변화를 나타낸
나타낸 것이다. 이 외계 행성계에는 행성이 개만 존재하고, 중심별 것이다. "와 #의 공전 궤도 반지름은 각각 . "6와 . "6이고,
의 공전 궤도면과 시선 방향이 이루는 각은 °이다. #의 공전 궤도면은 관측자의 시선 방향과 나란하다.

(가) (나)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보기
보기
ㄱ. 공전 주기는 "보다 #가 길다.
ㄱ. 지구로부터 행성까지의 거리는 중심별이 ㉠에 있을 때가
ㄴ. 반지름은 "가 #의 배이다.
㉡에 있을 때보다 가깝다.
ㄷ. ㉠ 시기에 "와 # 사이의 거리는  "6보다 멀다.
ㄴ. 중심별의 공전 속도는 W이다.
ㄷ. 중심별의 공전 궤도면과 시선 방향이 이루는 각이 현재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보다 작아지면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 주기는 길어진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2 | 2022년 7월 교육청 19번 |


그림은 어느 외계 행성과 중심별이 공통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공전
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행성은 원 궤도로 공전하며 공전 궤도면

4
은 관측자의 시선 방향과 나란하다.
| 2022년 3월 교육청 8번 |
그림은 어느 외계 행성계에서 공통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행성 1와 중심별 4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1의 공전 궤도면은
관측자의 시선 방향과 나란하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이 자료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보기
ㄱ. 행성이 1에 위치할 때 중심별의 적색 편이가 나타난다. 보기
ㄴ. 중심별의 질량이 클수록 중심별의 시선 속도 최댓값이 커 ㄱ. 1와 4가 공통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주기는 같다.
진다. ㄴ. 1의 질량이 작을수록 4의 스펙트럼 최대 편이량은 크다.
ㄷ. 중심별의 어느 흡수선의 파장 변화 크기는 행성이 1에 ㄷ. 1의 반지름이 작을수록 식 현상에 의한 4의 밝기 감소율
위치할 때가 1에 위치할 때보다 크다. 은 작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138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및 해설 242쪽

5 | 2021년 7월 교육청 19번 | 7 | 2021년 3월 교육청 18번 |


그림은 외계 행성이 중심별 주위를 공전하며 식 현상을 일으키는 그림 (가)와 (나)는 어느 외계 행성에 의한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
모습과 중심별의 밝기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외계 행성에 의해 와 밝기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중심별의 도플러 효과가 관측된다.

(가) (나)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관측 시간은 5이 5보다 길다.
보기
ㄴ. U일 때 외계 행성은 지구로부터 멀어진다.
ㄱ. 행성의 반지름이 배 커지면 " 값은 배 커진다. 행성의 반지름
ㄷ. 값이 클수록 ㉠은 커진다.
ㄴ. U 동안 중심별의 적색 편이가 관측된다. 중심별의 반지름
ㄷ. 중심별과 행성의 공통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속
도는 중심별이 행성보다 느리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8 | 2020년 7월 교육청 17번 |


그림은 광도가 동일한 서로 다른 주계열성을 공전하는 행성 "와 #
6 | 2021년 4월 교육청 17번 |
에 의한 중심별의 밝기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가)와 (나)는 어느 외계 행성에 의한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
와 겉보기 밝기 변화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나)의 U는 (가)의 5,
5, 5, 5 중 하나이다.

(가) (나)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점] (단, 시선 방향과 행성의 공전 궤도면은 일치한다.) [점]

보기 보기
ㄱ. 중심별은 5일 때 적색 편이가 나타난다. ㄱ. 공전 주기는 "가 #보다 짧다.
ㄴ. 지구로부터 외계 행성까지의 거리는 5보다 5일 때 멀다. ㄴ. 반지름은 "가 #의 배이다.
ㄷ. (나)의 U는 (가)의 5이다. ㄷ. 5 시기에는 ", # 모두 지구에 가까워지고 있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2. 외계 행성계 탐사 13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9 | 2020년 4월 교육청 17번 | 11 | 2019년 10월 교육청 20번 |
다음은 어느 외계 행성계에 대한 기사의 일부이다. 그림 (가)는 어느 외계 행성의 식 현상에 의한 중심별의 밝기 변화
를, (나)는 이 외계 행성의 공전 궤도면과 시선 방향이 이루는 각이
한글 이름을 사용하는 외계 행성계 ‘백두’와 ‘한라’ 달라졌을 때 예상되는 식 현상에 의한 중심별의 밝기 변화를 나타
우리나라 천문학자가 발견한 외 낸 것이다.
계 행성계의 중심별과 외계 행
성의 이름에 각각 ‘백두’와 ‘한라’
가 선정되었다. ‘한라’는 ‘백두’의
㉠ 시선 속도 변화를 이용한 탐
<‘백두’의 시선 속도 변화>
사 방법으로 발견하였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보기 보기
ㄱ. 5일 때 ‘백두’는 적색 편이가 나타난다. ㄱ. 외계 행성의 공전 궤도면이 시선 방향과 이루는 각은
ㄴ. 태양으로부터 ‘한라’까지의 거리는 5보다 5일 때 멀다. (가)보다 (나)일 때 크다.
ㄷ. ㉠에서 행성의 질량이 클수록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가 중심별의 단면적
ㄴ. 은 보다 크다.
커진다. 행성의 단면적
ㄷ. 식 현상이 반복되는 주기는 (가)와 (나)에서 같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2 | 2019년 7월 교육청 20번 |


10 | 2020년 3월 교육청 19번 | 그림 (가)는 원 궤도로 공전하는 외계 행성 B, C에 의한 중심별의
그림은 외계 행성의 식 현상에 의해 일어나는 중심별의 밝기 변화 밝기 변화를, (나)는 "일 때 B, C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를 나타낸 것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이 외계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행성계의 행성은 한 개이다.) [점] [점]

보기 보기
ㄱ. " 기간은 행성의 공전 주기에 해당한다. ㄱ. B와 C의 공전 궤도면은 시선 방향과 수직이다.
ㄴ. 행성의 반지름이 배가 되면 #는 배가 된다. ㄴ. (가)에서 행성에 의한 식이 진행되는 시간은 B보다 C가
ㄷ. $ 기간에 중심별의 스펙트럼을 관측하면 적색 편이가 길다.
청색 편이보다 먼저 나타난다. ㄷ. 공전 궤도 반지름은 C보다 B가 짧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140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및 해설 248쪽

13 | 2019년 4월 교육청 20번 | 15 | 2018년 7월 교육청 13번 |


그림 (가)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외계 행성 탐사 방법을, (나)는 그림 (가)와 (나)는 외계 행성에 의한 미세 중력 렌즈 현상과 식 현상의
(가)에서 행성의 공전 궤도면과 관측자의 시선 방향이 이루는 각(D) 겉보기 밝기 변화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에 따른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가) (나) [점]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점] ㄱ. 미세 중력 렌즈 현상에 의한 겉보기 밝기 변화는 (나)이다.
보기 ㄴ. (가)를 이용한 탐사는 외계 행성의 반지름이 클수록 행성
ㄱ. (가)에서 행성의 공전 방향은 "이다. 을 발견하는 데 유리하다.
ㄴ. (나)에서 D가 클수록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가 크다. ㄷ. (가)와 (나)는 외계 행성의 공전 궤도면과 관측자의 시선
ㄷ. (나)에서 D±일 경우 5 시기에는 적색 편이가 관측 방향이 나란해야만 외계 행성 탐사에 이용할 수 있다.
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14 | 2018년 10월 교육청 20번 |


그림 (가)와 (나)는 외계 행성을 탐사하는 서로 다른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16 | 2018년 4월 교육청 18번 |


그림 (가)는 식 현상, (나)는 미세 중력 렌즈 현상에 의한 별의 밝기
변화를 이용하여 외계 행성을 탐사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가) (나)
(가) (나)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점]
ㄱ. (가)는 행성의 반지름이 클수록 행성을 발견하기 쉽다.
ㄴ. (나)의 그래프는 행성의 중심별의 밝기 변화를 나타낸 것 보기
이다. ㄱ. (가)에서 행성의 반지름이 클수록 별의 밝기 변화가 크다.
ㄷ. (가)와 (나)는 행성의 공전 궤도면이 시선 방향에 나란한 ㄴ. (나)에서 "는 행성의 중력 때문에 나타난다.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다. ㄷ. (가)와 (나)는 행성에 의한 중심별의 밝기 변화를 이용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2. 외계 행성계 탐사 14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7 | 2018년 3월 교육청 1번 | 19 | 2017년 4월 교육청 20번 |
그림 (가)는 최근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의 공전 주기에 따른 개수를, 그림 (가)와 (나)는 외계 행성을 탐사하는 서로 다른 방법을 나타낸
(나)는 이 외계 행성들의 공전 주기와 중심별의 질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가) (나) (가) 도플러 효과 이용 (나) 식 현상 이용

이 자료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와 #의 공전 궤도면은 관측자의 시선 방향에 나란하다.) [점]

보기 보기
ㄱ. 외계 행성은 대부분 지구보다 공전 주기가 길다. ㄱ. (가)에서 행성이 " 위치를 지날 때 별빛은 적색 편이한다.
ㄴ. 중심별의 질량은 대부분 태양 질량의 배를 넘지 않는다. ㄴ. (나)에서 행성의 크기가 클수록 별의 밝기 변화가 크다.
ㄷ. 행성에 의한 중심별의 밝기 변화가 나타나는 주기는 "가 ㄷ. (가)와 (나) 모두 관측자의 시선 방향과 행성의 공전 궤도
#보다 짧다. 면이 수직일 때 이용할 수 있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18 | 2017년 10월 교육청 20번 |


다음은 외계 행성을 탐사하는 어떤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외계 행성은 별에 비해서 훨씬 어둡지만 밝은 중심별을 가리


면 외계 행성에서 반사된 빛을 관측할 수 있다. 중심별을 가
리는 차단막을 이용하여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 행성을 직접
관측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을 스타쉐이드(TUBSTIBEF)라
고 한다.
20 | 2017년 3월 교육청 18번 |
그림은 외계 행성에 의한 중심별의 겉보기 밝기 변화를 나타낸 것
이다.

이 탐사 방법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ㄱ. 행성의 반지름이 클수록 발견하기 쉽다.
ㄴ. 차단막의 시직경이 중심별의 시직경보다 작아야 행성 관측에 보기
유리하다. ㄱ. 중심별의 반지름이 클수록 B 구간이 길어진다.
ㄷ. 행성의 공전 궤도면이 시선 방향과 나란할 경우에도 행성 ㄴ. 중심별의 스펙트럼 편이량은 C 구간에서 가장 크다.
관측이 가능하다. ㄷ. D의 크기는 행성의 반지름이 클수록 크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42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및 해설 254쪽

21 | 2016년 10월 교육청 20번 | 23 | 2016년 4월 교육청 20번 |


그림 (가)는 어떤 외계 행성계의 모습을, (나)는 행성 ", #의 식 현상에 그림은 서로 다른 두 외계 항성계에서 각 항성계에 속한 행성 ", #
의한 중심별의 겉보기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에 의한 중심별의 밝기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행성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의 공전 궤도면은 관측자의 시선 방향과 나란하다.) [점] (단, 행성의 공전 궤도면은 시선 방향과 나란하다.) [점]
보기
보기
ㄱ. 식 현상이 지속되는 시간은 "가 #보다 길다. ㄱ. 중심별의 밝기 변화는 미세 중력 렌즈 현상 때문에 나타
ㄴ. 행성의 반지름은 "가 #보다 크다. 난다.
ㄷ. "에 의해 식 현상이 나타나는 주기는 #보다 길다. ㄴ. 중심별에 대한 행성의 반지름의 비는 "가 #보다 작다.
ㄷ. 행성의 공전 주기는 "가 #보다 길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2 | 2016년 7월 교육청 20번 |


그림 (가)는 ~년까지 여러 탐사 방법으로 발견한 외계
행성의 개수를, (나)는 각 방법으로 발견한 외계 행성들의 궤도 장반
경과 질량을 나타낸 것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보기
ㄱ. 가장 많은 외계 행성을 찾은 방법은 식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ㄴ. 외계 행성의 궤도 장반경이 작을수록 직접 관측법으로 찾
는 것이 유리하다.
ㄷ. 미세 중력 렌즈 현상보다 식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질량이 작은 외계 행성을 더 많이 발견했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02. 외계 행성계 탐사 14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3 III. 우주

출제 A 생명 가능 지대
생명 가능 지대
별의 질량에 따른 생명 가능 지대의 거리
1. 생명 가능 지대 별의 주위에서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거리의 범위이다.
와 폭의 변화에 대해 묻는 문제가 자주 ⑴ 중심별의 질량과 생명 가능 지대 : 주계열성인 중심별의 질량이 클수록 생명 가능 지대는 중심별로부터
출제된다. 최근에는 생명 가능 지대에 도
멀어지고 생명 가능 지대의 폭은 넓어진다.
달하는 복사 에너지의 세기와 연계하여
고난도 문제로 자주 출제된다. ⑵ 태양계에서 생명 가능 지대 : 금성과 화성 사이에 위치한다.

별의 질량 태(양
생명 가능 지대

토성
수성 지구 해왕성

태양 금성 화성 목성 천왕성


) 
    
태양의 진화에 따른 태양계 생명 가능 공전 궤도 반지름(지구)
지대의 변화
▲ 생명 가능 지대
억 년 전
생명 가능
억 년 전 지대 2. 생명 가능 지대의 위치에 따른 물의 상태
시간

현재 ⑴ 생명 가능 지대 안쪽 영역 : 행성이 생명 가능 지대보다 중심별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면 표면 온도가


억 년 후
높아 물이 기체 상태로 존재한다.
⑵ 생명 가능 지대 바깥쪽 영역 : 생명 가능 지대보다 중심별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면 표면 온도가 낮아
억 년 후
    물이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6
•태양이 진화함에 따라 태양의 광도가
3. 주계열성의 분광형과 생명 가능 지대
점차 커지므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태
광도 태(양

양으로부터 생명 가능 지대까지의 거 . (. : 태양 질량)


리가 점차 멀어지고 생명 가능 지대의  . •0형에 가까운 별(스피카) : 생명 가능 지대가 별로부터 멀고 폭이
폭도 넓어진다. . 넓다.
•지구는 현재 생명 가능 지대에 위치하 › .
별의 수명이 짧기 때문에 행성에서 생명체가 탄생하여 진화할


스피카 .
지만 미래(약 억 년 후보다 이후)에  ™ 시간이 부족하다.
억 년
)

는 생명 가능 지대가 지구보다 바깥쪽 억 년 . •,형에 가까운 별(백조자리 #) : 생명 가능 지대가 별로부터
에 위치하여 지구는 현재보다 온도가  태양 . 가깝고 폭이 좁다.
높아 물이 모두 증발할 것이다. 억 년
‘™ 백조자리 # 행성의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가 같아 밤낮의 변화가 거의 없어서
억 년 생명체가 존재하기 어렵다 .
(수명)
‘› •(형인 별(태양) : 생명 가능 지대에 위치한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할
분광형 0 # " '( , .
가능성이 있다.
표면 온도(,)   

행성의 동주기 자전
B 외계 생명체 탐사
1.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행성의 조건
⑴ 액체 상태의 물 : 행성이 생명 가능 지대에 위치하여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해야 한다.
물은 다양한 물질들을 쉽게 녹일 수 있고, 비열이 매우 커서 온도 변화가 쉽게 일어나지 않기
별 때문에 생명체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행성
⑵ 적절한 중심별의 질량 : 행성에서 생명체가 진화하기 위해서는 행성이 생명 가능 지대에 오랫동안
머물러 있어야 한다.
① 중심별의 질량이 매우 큰 경우 : 별의 진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즉, 별의 수명이 짧아서 생명체가
행성이 중심별에 너무 가까이 위치하면 진화할 시간이 부족하여 생명체가 존재하기 어렵다.
별의 기조력에 의해 행성의 자전 속도가 ② 중심별의 질량이 매우 작은 경우 : 생명 가능 지대의 폭이 좁아 행성이 생명 가능 지대에 있을 확
느려져서 행성의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
가 같아지는데, 이를 동주기 자전이라고
률이 낮고, 생명 가능 지대가 중심별과 매우 가까운 곳에 형성되고, 행성이 중심별과 매우 가까워
한다. 동주기 자전을 하므로 밤낮의 변화가 거의 없어 생명체가 존재하기 어렵다.

144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⑶ 적당한 두께와 성분의 대기 : 유해한 자외선을 차단하고 온실 효과를 일으켜 적당한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⑷ 자기장 : 중심별과 우주에서 날아오는 유해한 우주선과 고에너지 입자들을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⑸ 지구의 달과 같은 위성의 존재 : 행성 주위에 위성이 존재하여 행성의 자전축 경사각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2. 외계 생명체 탐사 활동 출제
⑴ 우주 탐사선 : 태양계 일부 천체 혹은 외계 행성의 생명체를 탐사하는 탐사선으로 보이저호, 파이어 외계 생명체 탐사 활동
니어호, 큐리오시티 등이 있다. 외계 생명체 탐사 활동에 대해 직접적으
⑵ 세티(4&5*) 프로젝트 : 전파 망원경을 이용하여 인공적인 전파를 찾거나 전파를 보내서 외계 지적 로 묻는 문제는 지금까지 출제된 적은 없
지만, 각 탐사 활동에 대한 특징과 외계
생명체를 찾고 있다. 생명체 탐사 방법을 연계하여 출제된다.
⑶ 우주 망원경 : 테스 망원경, 제임스 웹 망원경 등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행성을 찾고 있다.
대기에 의해 차단되어 지표에 거의 도달하지 못하는 전자기파 영역(감마선, 엑스선, 자외선, 적외선)
에서 정밀하게 관측하기 위해 우주에 설치한다.
년 월 임무가 종료될 때까지 외계 행성을 개 이상 발견하였으며, 생명체가 존재할
케플러
가능성이 높은 지구형 행성도 여 개 발견하였다.
망원경
식 현상을 이용하여 외계 행성을 탐사하였다.
케플러 우주 망원경보다 약 배 더 넓은 우주를 탐사하면서 행성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테스
별 개를 발견하였으며, 지구와 비슷한 규모의 행성 두 개를 찾아냈다. 외계 생명체 탐사
망원경
주로 식 현상을 이용하여 외계 행성을 탐사한다. 우주에서 오는 전파를 분석할 뿐만 아니
적외선 영역에서 우주를 탐사하여 우주의 초기 상태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적외선 영역에서 탐사 라 최근에는 우주 망원경으로 생명 가능
제임스 웹 하므로 중심별의 별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외계 행성이나 주변의 고리 등을 찾는 임무를 수행할 지대에 속한 지구형 외계 행성을 찾고 행
성의 대기 성분을 분석하여 생명체가 존
망원경 예정이다.
재할 수 있는 환경인지 파악하는 연구도
외계 행성을 직접 촬영하여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진행하고 있다.

실전 자료 생명 가능 지대

그림은 케플러–과 케플러–를 중심별로 하는 두 외계 행성계와 태양계를 생명 가능 지대와


함께 나타낸 것이다.

케플러-계
생명 가능 지대

케플러-계

태양계

케플러-C 케플러-G 수성 금성 지구

❶ 행성의 표면 온도 비교하기
행성의 표면 온도는 생명 가능 지대 안쪽에 위치하면 높고, 생명 가능 지대에 위치하면 적정하고, 바깥
쪽에 위치하면 낮다. 따라서 행성의 표면 온도는 생명 가능 지대에 위치하는 케플러 G가 생명 가능
지대 안쪽에 위치하는 수성보다 낮다.
❷ 생명 가능 지대에 머무르는 시간 비교하기
별의 질량이 클수록 생명 가능 지대의 거리가 별에서 멀어지고 별의 수명이 짧아 행성이 생명 가능 지대에
머물 수 있는 시간이 짧다. 따라서 생명 가능 지대에 머물러 있는 시간은 지구가 케플러–C보다 길다.
❸ 행성에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지 여부 파악하기
생명 가능 지대는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거리의 범위이다. 따라서 생명 가능 지대에 위치한
케플러–G와 케플러–C에서는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03. 외계 생명체 탐사 14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 2022년 4월 교육청 17번 | 3 | 2021년 4월 교육청 19번 |
표는 외계 행성계 (가)와 (나)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는 그림은 주계열성 4의 생명 가능 지대를, 표는 4를 원 궤도로 공전
각각 중심별과 중심별을 원 궤도로 공전하는 하나의 행성으로 구성 하는 행성 B, C, D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은 생명 가능 지대의
된다. 가운데에 해당하는 면이다.

구분 (가) (나)
중심별의 분광형 'Ⅴ .Ⅴ
생명 가능 지대("6) _ ( )
행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6)  
행성의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에 입사하는
 ㉠
중심별의 복사 에너지양(지구)
㉠으로부터 행성 공전 단위 시간당 단위 면적이 받는
행성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궤도까지의 최단 거리("6) 복사 에너지(행성 B)
B  
보기
C  
ㄱ. (가)의 행성에서는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D  
ㄴ. (나)에서 생명 가능 지대의 폭은 . "6보다 넓다.
ㄷ. ㉠은 .보다 크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행성의 대기 조건은 고려하지 않는다.) [점]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보기
ㄱ. 광도는 태양보다 4가 작다.
ㄴ. B에서는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ㄷ. 행성의 평균 표면 온도는 C보다 D가 높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 | 2021년 10월 교육청 7번 |


그림은 행성이 주계열성인 중심별로부터 받는 복사 에너지와 중심
별의 표면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행성 ", #, $ 중 #와 $만 생명 4 | 2020년 10월 교육청 13번 |

가능 지대에 위치하며 "와 #의 반지름은 같다. 다음은 한국 천문 연구원에서 발견한 어느 외계 행성계에 대한


설명이다.

국제 천문 연맹은 보현산 천문
대에서 ㉠ 분광 관측 장비로 별
의 주기적인 움직임을 관측해
발견한 외계 행성계의 중심별
 6.J와 외계 행성  6.J C
의 이름을 각각 백두와 한라로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행 결정했다. 한라는 목성보다 무
성은 흑체이고, 행성 대기의 효과는 무시한다.) [점] 거운 가스 행성으로 백두로부터 약 . "6 떨어져 있다.

보기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ㄱ. 행성이 복사 평형을 이룰 때 표면 온도(,)는 "가 #의
배이다. 보기
ㄴ. 공전 궤도 반지름은 #가 $보다 작다. ㄱ. 백두는 주계열성이다.
ㄷ. "의 중심별이 적색 거성으로 진화하면 "는 생명 가능 ㄴ. ㉠의 과정에서 백두의 도플러 효과를 관측하였다.
지대에 속할 수 있다. ㄷ. 한라는 백두의 생명 가능 지대에 위치한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46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및 해설 259쪽

5 | 2020년 4월 교육청 18번 | 7 | 2019년 7월 교육청 2번 |


그림은 서로 다른 주계열성 ", #, $를 각각 원궤도로 공전하는 그림은 주계열성 "를 돌고 있는 행성 C, D의 공전 궤도를 생명 가능
행성을 나타낸 것이다. 지대와 함께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행성의 대기 조건은 고려하지 않는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보기
ㄱ. ㉠에서는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ㄱ. 수명은 태양보다 "가 짧다.
ㄴ. 행성의 평균 표면 온도는 ㉡보다 ㉢이 높다. ㄴ. D에서는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ㄷ. 생명 가능 지대의 폭은 ", #, $ 중 $가 가장 넓다. ㄷ. 단위 시간당 단위 면적에서 받는 "의 복사 에너지양은
D보다 C가 많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6 | 2019년 10월 교육청 1번 |


그림은 공전 궤도 반지름이 . "6인 어느 외계 행성 1의 표면 온도
변화를 중심별의 나이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8 | 2019년 4월 교육청 1번 |
그림은 미래 어느 시기의 태양계 생명 가능 지대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1


의 중심별은 주계열성이고, 행성의 표면 온도는 중심별의 광도에 의 현재의 태양계와 비교할 때, 이 시기에 증가한 값으로 옳은 것만을
한 효과만 고려한다.)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보기
ㄱ. 중심별의 광도는 증가하고 있다. ㄱ. 태양의 광도
ㄴ. " 시기에 1는 생명 가능 지대에 위치한다. ㄴ. 생명 가능 지대의 폭
ㄷ. 생명 가능 지대의 폭은 " 시기가 # 시기보다 넓다. ㄷ. 지구에 존재하는 액체 상태 물의 양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3. 외계 생명체 탐사 14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9 | 2019년 3월 교육청 1번 | 11 | 2018년 4월 교육청 1번 |
다음은 세 학생 ", #, $가 지구에 생명체가 번성할 수 있는 이유에 그림은 주계열성 "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 ㉠, ㉡의 궤도와 생명 가능
대해 나눈 대화이다. 지대를 수성의 공전 궤도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지구는 태양으로부 지구의 대기는 자외


태양의 수명은 생명
터 적절한 거리에 떨 선을 흡수하여 생명
체가 탄생하고 진화
어져 있어 물이 액체 체를 보호하는 역할
히기에 충분히 길어.
상태로 존재할 수 을 해.
있어.

#
"
$

제시한 내용이 옳은 학생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행성의 대기 효과는 무시한다.)
①" ②# ③ ", $ ④ #, $ ⑤ ", #, $
보기
ㄱ. ㉠에서는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ㄴ. 행성의 평균 표면 온도는 ㉡보다 수성이 높다.
ㄷ. 별의 수명은 "보다 태양이 길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0 | 2018년 7월 교육청 5번 |
표는 세 중심별의 광도와 각 중심별의 생명 가능 지대에 속한 행성과
그 행성의 공전 주기를 나타낸 것이다.
12 | 2018년 3월 교육청 11번 |

중심별 중심별 광도 행성 공전 주기 표는 외계 행성계 9, :의 중심별에서 생명 가능 지대의 안쪽 경계


행성
(주계열성) (태양  ) (일) 까지의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태양  지구 
프록시마 프록시마 행성계 거리("6)
 
센터우리 센터우리C 9 
베타 픽토리스  베타 픽토리스C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9보다 :가 더 큰 값을 가지는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중심별은 모두 주계열성이다.)
보기
ㄱ. 질량은 베타 픽토리스가 태양보다 크다. 보기
ㄴ. 생명 가능 지대의 폭은 프록시마 센터우리가 태양보다 좁다. ㄱ. 중심별의 수명
ㄷ. 공전 궤도 장반경은 프록시마 센터우리C가 베타 픽토리스C ㄴ. 중심별의 질량
보다 작다. ㄷ. 생명 가능 지대의 폭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48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및 해설 264쪽

13 | 2017년 10월 교육청 1번 | 15 | 2017년 3월 교육청 5번 |


그림은 중심별의 물리량 9에 따른 생명 가능 지대의 범위를 나타낸 그림은 글리제 계를 이루는 행성 중 C, H, G의 위치를 나타낸 것
것이다. 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표면 온도는 C가 G보다 높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ㄴ. 표면에서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행성은 H이다.
중심별은 모두 주계열성이다.) ㄷ. 글리제 은 태양보다 질량이 크다.
보기
ㄱ. 중심별의 광도는 물리량 9가 될 수 있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ㄴ. 생명 가능 지대의 폭은 ㉠이 ㉡보다 넓다.
ㄷ. 행성 "에 온실 효과가 일어나면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
할 수 있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4 | 2017년 4월 교육청 3번 |
그림은 어느 항성 "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 ㉠~㉢의 궤도와 생명 가능
지대의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16 | 2016년 10월 교육청 1번 |
그림은 어느 주계열성의 진화에 따른 생명 가능 지대의 변화와 행성
", #, $의 현재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행성의 반지름은 모두 같다.) [점]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보기
ㄱ. "의 광도는 태양보다 작다. ① 생명 가능 지대의 폭은 U보다 U일 때 좁다.
ㄴ. 행성에 도달하는 "의 복사 에너지양은 ㉠이 ㉢보다 많다. ② 별의 광도는 U보다 U일 때 작다.
ㄷ. ㉡에는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③ 현재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행성은 "이다.
④ U일 때 #는 생명 가능 지대에 위치할 것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⑤ 이 별의 질량은 태양보다 작다.

03. 외계 생명체 탐사 14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4 III. 우주

출제 A 외부 은하
외부 은하
허블의 분류에 따른 외부 은하의 종류별
1. 은하의 분류 허블은 외부 은하를 가시광선 영역에서 관측되는 모양에 따라 타원 은하, 나선 은하,
특징과 특이 은하의 특징을 정확히 이해 불규칙 은하로 분류하였다. 은하의 모양과 진화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하고 주어진 자료를 해석할 수 있는지를
•&~&로 세분하며, &로 갈수록 편평도가 증가한다.
묻는 자료 제시형 문제가 자주 출제된다.
타원 은하 •성간 물질이 상대적으로 적어 새로운 별의 탄생은 거의 없다.
•나이가 많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어 대체로 붉은색을 띤다.

은하의 분류 •은하핵을 가로지르는 막대 모양 구조의 유무에 따라 막대 나선 은하(4#)와 정상 나선 은하(4)


정상 나선 은하
로 분류한다.
4C 4D 불규칙 •은하핵의 크기와 나선팔이 감긴 정도에 따라 B~D로 세분한다.
4B 은하 나선 은하
B → C → D로 갈수록 중심핵의 크기는 작고, 나선팔이 느슨하게 감겨 있다.
타원 은하
•은하의 중심부 : 나이가 많은 붉은색의 별이 주로 분포한다.
& & 4 *SS •은하의 나선팔 : 많은 양의 성간 물질이 분포하며 나이가 적은 파란색의 별이 주로 분포한다.
4#B
불규칙 은하 모양이 일정하지 않으며, 성간 물질과 나이가 적은 별들이 많다.
4#C 4#D
막대 나선 은하
2. 특이 은하 허블의 은하 분류 체계로 분류되지 않는 은하
관측된 외부 은하 중 나선 은하는 약 
로 가장 많고, 타원 은하는 약  이 •전파 영역에서 매우 높은 에너지를 방출한다.
고, 불규칙 은하는 약  로 가장 적다. 전파 은하 •중심핵을 가지고 양쪽에 거대한 돌출부인 로브가 있으며, 로브와 중심은 제트로 연결되어 있다.
•가시광선 영역에서 대부분 타원 은하로 관측된다.
•은하의 중심핵이 매우 밝고 스펙트럼에서 넓은 방출선이 나타난다.
충돌 은하 세이퍼트은하
•가시광선 영역에서 대부분 나선 은하로 관측된다.
은하가 충돌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은하
•적색 편이가 매우 크게 나타난다. 매우 먼 거리에 있는 우주 탄생 초기의 은하임을 알 수 있다.
로, 은하가 충돌할 때 별의 크기보다 별 퀘이사
•하나의 별처럼 관측된다.
사이의 공간이 크기 때문에 내부에 있는
별들이 서로 충돌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하지만 격렬한 충격으로 급격히 기체가
압축되어 많은 별들이 탄생할 수 있다.
B 허블 법칙과 우주론
1. 허블 법칙과 우주 팽창
출제
⑴ 허블 법칙 : 외부 은하의 후퇴 속도(W)는 외부 은하까지의 거리(S)에 비례한다.
허블 법칙
허블 상수())는 허블 상수는 허블 법칙의 그래프에서 기울기에 해당하며,  .QD당 우주가 팽
은하의 스펙트럼 자료를 분석하여 후퇴
속도와 허블 상수를 구할 수 있는지를 묻
창하는 속도(LNT)를 나타내는 값이다.
는 문제가 자주 출제된다.
W)@S () : 허블 상수)

허블의 외부 은하 관측
S 
허블은 외부 은하를 관측하여 은하의 적 우주의 나이(U) 허블 상수의 역수 U 
W )
색 편이량($G)이 클수록 후퇴 속도 (W)가
D
빠름을 알게 되었다. 우주의 크기(S)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S)는 광속(D)으로 멀어지는 은하까지의 거리 S
)
$G
W @D ⑵ 우주의 팽창 : 허블 법칙은 우주 공간이 모든 방향에 대하여 균일하게 팽창하고 있음을 나타내는데
G
(G0 : 원래의 흡수선 파장, D : 광속) 우주에서 특별한 팽창의 중심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멀리 있는 은하일수록 빠르게 멀어진다.

2. 빅뱅 우주론과 정상 우주론
구분 빅뱅 우주론(대폭발 우주론) 정상 우주론
우주의 질량 일정 증가
우주의 밀도 감소 일정
우주의 온도 감소 일정
•온도와 밀도가 매우 높은 한 점에서 대폭발이
일어난 후 점차 팽창한다. 우주의 팽창으로 생겨난 빈 공간을 같은 밀도로
특징
•증거 : 우주 배경 복사,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 채우기 위해 새로운 물질이 계속 생성된다.
약:

150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3. 급팽창 이론과 가속 팽창 우주 빅뱅 우주론과 급팽창 이론 비교
⑴ 급팽창 이론 : 빅뱅 이후(우주 탄생 후  ~초 사이) 우주가 빛보다 빠른 속도로 팽창하였다 급팽창 이전 급팽창 이후

는 이론으로, 빅뱅 우주론으로는 설명하지 못하는 세 가지 문제점을 설명하였다. 우주의 창 우주의


지평선 급팽 지평선
빅뱅 우주론의 문제점 급팽창 이론에서의 설명
급팽창 이전의 우주 탄생 초기에는 우주의 크기가 우주의 지평선의 크기보다 작았기 때
우주의 지평선 문제
문에 양끝의 두 지점에서 정보를 충분히 교환할 수 있었다. 급팽

우주가 둥근 풍선의 표면처럼 휘어져 있어도 우주 생성 초기에 급격히 팽창하여 공간의
우주의 평탄성 문제
크기가 매우 커지게 되면 관측되는 우주의 영역은 평탄하다. 기존 빅뱅 우주론에서 우주의 크기 변화
우주가 생성 초기에 급격히 팽창하면서 자기 홀극의 밀도가 관측 가능량 미만으로 크게 급팽창 이론에서 우주의 크기 변화
우주의 자기 홀극 문제
감소하였기 때문에 발견하기 어렵다.

⑵ 가속 팽창 우주 : ⅠB형 초신성의 관측 결과 초신성까지의 거리가 은하의 후퇴 속도로 예측한 거리 급팽창 이론

우주의 반지름
보다 더 멀었다. 우주의 팽창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급팽창 시기
›
‘š  ~‘š › 초
™

‘™ 기존 빅뱅 우주론
C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N)
‘› 급팽창 이론

‘ 현재
1. 우주의 구성 물질 보통 물질(. ), 암흑 물질(. ), 암흑 에너지(. )로 이루어져 있다. ‘› ‘š ‘™ ‘˜  ˜ ™
시간(초)
•빛을 방출하거나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관측할 수 없고, 중력을 통해서만 그 존재를 추정
급팽창은 공간 자체의 팽창으로 빛의 속도
할 수 있는 물질이다.
보다 빠르게 일어날 수 있다.
암흑 물질 •암흑 물질의 추정 방법 : 나선 은하의 회전 속도 곡선, 중력 렌즈 현상 등
•역할 : 암흑 물질은 질량이 있어 중력의 작용으로 물질을 끌어당기기 때문에 우주 초기에 별과
은하를 생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출제
•우주 공간에서 진공 자체의 척력이 암흑 에너지로 추정된다.
암흑 에너지 우주의 미래 모형
•우주에 널리 퍼져 있는 암흑 에너지가 우주를 가속 팽창시킨다.
우주의 구성 요소 비율, 우주의 모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미래 우주의 변화
2. 우주의 미래 암흑 에너지의 영향력이 커져서 계속 가속 팽창할 것으로 예측된다. 경향에 대해 예측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
우주의 크기

제가 자주 출제된다.
•우주의 평균 밀도  임계 밀도
열린 우주 열린 우주
•말 안장 모양의 음()의 곡률
•우주의 평균 밀도  임계 밀도
닫힌 우주 평탄 우주
•공 모양의 양( )의 곡률
닫힌 우주
•우주의 평균 밀도임계 밀도
평탄 우주
•편평한 모양의 의 곡률
현재 시간

실전 자료 허블 법칙

그림은 은하 "와 #의 관측 스펙트럼에서 방출된 (가) (나) ±


단위 : "
비교 스펙트럼
(가)와 (나)가 각각 적색 편이된 것을 비교 스펙트  
(가) (나)
럼과 함께 나타낸 것이다. 은하 "와 #는 동일한 은하 "
시선 방향에 위치하고, 허블 법칙을 만족한다. 
(가) (나)
은하 #
㉠ 

❶ 파장의 변화량으로 은하의 후퇴 속도 계산하기


$G 
은하 "의 후퇴 속도는 W" @D @@(LNT)이다.
G 
❷ 비교 스펙트럼으로 은하의 파장 변화량 파악하기
± ()이고, 은하 #에서 (나)의 파장 변화량은 "
은하 "에서 (나)의 파장 변화량은 " ±

()이므로, 은하 "보다 은하 #의 후퇴 속도가 배 빠르다. 은하 #의 후퇴 속도가


㉠
 LNT이므로 W# @@에서 ㉠은 이다.


04.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5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 2022년 10월 교육청 7번 | 3 | 2022년 10월 교육청 15번 |
그림은 표준 우주 모형에 근거하여 시간에 따른 우주의 크기 변화 표는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 은하 (가)와 (나)의 스펙트럼에서
를 나타낸 것이다. 관측된 방출선 "와 #의 고유 파장과 관측 파장을 나타낸 것이다.
우리은하로부터의 거리는 (가)가 (나)의 두 배이다.

관측 파장(ON)
방출선 고유 파장(ON)
은하 (가) 은하 (나)
" ( ㉠ )  
#  ( ㉡ ) ( ㉢ )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가)와 (나)는 허블 법칙을 만족한다.) [점]
보기 보기
ㄱ. ㉠ 시기에 우주의 모든 지점은 서로 정보 교환이 가능하 ㄱ. ㉠은 이다.
였다. ㄴ. ㉡㉢이다.
ㄴ. ㉡ 시기에 우주는 불투명한 상태였다. ㄷ. (가)에서 (나)를 관측하면 "의 파장은  ON보다 길다.
암흑 에너지 밀도
ㄷ. 는 현재가 ㉡ 시기보다 크다.
물질 밀도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4 | 2022년 7월 교육청 17번 |


2 | 2022년 10월 교육청 14번 | 그림 (가)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관측된 어느 퀘이사를, (나)는 퀘이사
그림 (가)와 (나)는 어느 전파 은하의 가시광선 영상과 전파 영상을 의 적색 편이에 따른 개수 밀도를 나타낸 것이다.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가) (나) (가) (나)

이 은하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보기
ㄱ. (가)는 전파 영상이다. ㄱ. 퀘이사의 광도는 항성의 광도보다 크다.
ㄴ. 허블의 분류 체계에 따르면 타원 은하에 해당한다. ㄴ. 퀘이사는 우리은하 내부에 있는 천체이다.
ㄷ. ㉠은 은하 중심부에서 방출되는 물질의 흐름이다. ㄷ. 퀘이사의 개수 밀도는 정상 우주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52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및 해설 269쪽

5 | 2022년 7월 교육청 18번 | 7 | 2022년 4월 교육청 20번 |


표는 은하 "~%에서 서로 관측하였을 때 스펙트럼에서 기준 파장 표는 우주 모형 ", #, $의 ,N과 ,Λ 를 나타낸 것이고, 그림은 ",
이  ON인 흡수선의 파장을 나타낸 것이다. 은하 "~%는 같은 #, $에서 적색 편이와 겉보기 등급 사이의 관계를 $를 기준으로
평면상에 위치하며 허블 법칙을 만족한다. 하여 ⅠB형 초신성 관측 자료와 함께 나타낸 것이다. ㉠과 ㉡은 각
(단위 : ON)
각 "와 #의 편차 자료 중 하나이고, ,N과 ,Λ 는 각각 현재 우주의
은하 " # $ %
물질 밀도와 암흑 에너지 밀도를 임계 밀도로 나눈 값이다.
"   
#    우주
,N ,Λ
$   ㉠ 모형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단, 광속은 @ LNT이고, 허블 상수는  LNT.QD이다.) $  
[점]
보기


ㄱ. "와 # 사이의 거리는 .QD이다.

ㄴ. ㉠은 보다 작다.
ㄷ. %에서 거리가 가장 먼 은하는 #이다.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것은? [점]

보기
ㄱ. ㉠은 #의 편차 자료이다.
ㄴ. [.인 천체의 겉보기 등급은 "보다 #에서 크다.
ㄷ. ⅠB형 초신성 관측 자료와 가장 부합하는 모형은 "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6 | 2022년 4월 교육청 18번 |


그림은 어느 퀘이사의 스펙트럼 분석 자료 중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와 #는 각각 방출선과 흡수선 중 하나이다.

"의 정지 상태 파장 
"의 관측 파장 
#의 정지 상태 파장 ㉠
#의 관측 파장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는 흡수선이다.
ㄴ. ㉠은 이다.
ㄷ. 이 퀘이사는 우리은하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4.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5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8 | 2022년 3월 교육청 18번 | 10 | 2021년 10월 교육청 16번 |
그림은 빅뱅 이후 시간에 따른 우주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가), (나), (다)는 타원 은하, 나선 은하, 불규칙 은하를 순서 없이
"와 #는 각각 헬륨 원자핵과 중성 원자가 형성된 시기 중 하나이다. 나타낸 것이다.

(가) (나) (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가)는 (나)로 진화한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ㄴ. 은하를 구성하는 별들의 평균 나이는 (나)가 (다)보다 많다.
ㄷ. 은하에서 성간 물질이 차지하는 비율은 (가)가 (다)보다
보기
크다.
ㄱ. "는 헬륨 원자핵이 형성된 시기이다.
ㄴ. 우주의 밀도는 " 시기가 # 시기보다 크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ㄷ. 최초의 별은 # 시기 이후에 형성되었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9 | 2022년 3월 교육청 19번 |


11 | 2021년 10월 교육청 20번 |
그림 (가)는 지구에서 관측한 어느 퀘이사 9의 모습을, (나)는 9의 표는 현재 우주 구성 요소 ", #, $의 비율이고, 그림은 시간에 따
스펙트럼과 )= 방출선의 파장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9의 절대 른 우주의 상대적 크기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 #, $는 각각 보
등급은 .이고, 우리은하의 절대 등급은 .이다. 통 물질, 암흑 물질, 암흑 에너지 중 하나이다.

우주 구성
비율()
요소
" 
# 
$ 

(가) (나)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보기
ㄱ. 9는 많은 별들로 이루어진 천체이다. ㄱ. #는 보통 물질이다.
9의 광도 ㄴ. 빅뱅 이후 현재까지 우주의 팽창 속도는 일정하였다.
ㄴ. 는 보다 작다.
우리은하의 광도 #의 비율 $의 비율
ㄷ. 은 억 년 후가 현재보다 작을
ㄷ. 9보다 거리가 먼 퀘이사의 스펙트럼에서는 )=방출선의 "의 비율
파장 변화량이 . ON보다 크다. 것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54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및 해설 274쪽

12 | 2021년 10월 교육청 18번 | 14 | 2021년 7월 교육청 20번 |


다음은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외부 은하의 후퇴 속도를 구하는 탐구 그림은 우주 모형 ", #와 외부 은하에서 발견된 ⅠB형 초신성의
이다. 관측 자료를 나타낸 것이다. ,N과 ,Λ 는 각각 현재 우주의 물질 밀
도와 암흑 에너지 밀도를 임계 밀도로 나눈 값이다.
[탐구 과정]
(가) 겉보기 등급이 같은 두 외부 은하 "와 #의 스펙트럼을
관측한다.
(나) 정지 상태에서 파장이 . ON와 . ON인 흡수선
이 "와 #의 스펙트럼에서 각각 얼마의 파장으로 관측되
었는지 분석한다.
(다) "와 #의 후퇴 속도를 계산한다. (단, 빛의 속도는 ×
LNT이다.)
[탐구 결과]

정지 상태에서 관측된 파장(ON)


흡수선의 파장(ON) 은하 " 은하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보기
ㄱ. ⅠB형 초신성의 관측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우주 모형은
•"의 후퇴 속도: ( ㉡ ) LNT
#보다 "이다.
•#의 후퇴 속도: ( ) LNT
ㄴ. [.인 ⅠB형 초신성의 거리 예측 값은 "가 #보다 크다.
ㄷ. 보통 물질, 암흑 물질, 암흑 에너지를 모두 고려한 우주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와
모형은 #이다.
#는 허블 법칙을 만족한다.) [점]

보기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ㄱ. ㉠은 .이다.
ㄴ. ㉡은 ×이다.
ㄷ. "와 #의 절대 등급 차는 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3 | 2021년 7월 교육청 18번 |

15
표는 우리은하에서 관측한 외부 은하 "와 #의 흡수선 파장과 거리
| 2021년 4월 교육청 18번 |
를 나타낸 것이다. "에서 관측한 #의 후퇴 속도는  LNT이
그림은 어느 전파 은하의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는 각각
고, 세 은하는 허블 법칙을 만족한다.
가시광선 영상과 전파 영상 중 하나이고, (다)는 (가)와 (나)의 합성
은하 흡수선 파장(ON) 거리(.QD) 영상이다.
"  
#  (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빛의 속도는 @ LNT이고, 이 흡수선의 고유 파장은 
(가) (나) (다)
ON이다.) [점]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가)는 이다. 보기
ㄴ. 허블 상수는  LNT.QD보다 크다. ㄱ. (가)는 가시광선 영상이다.
ㄷ. 우리은하로부터 "까지의 시선 방향과 #까지의 시선 방 ㄴ. (나)에서는 제트가 관측된다.
향이 이루는 각도는 °보다 작다. ㄷ. 이 은하는 특이 은하에 해당한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4.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5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6 | 2021년 4월 교육청 20번 | 18 | 2021년 3월 교육청 20번 |
그림 (가)는 현재 우주를 구성하는 요소 ㉠, ㉡, ㉢의 상대적 비율을, 그림 (가)는 현재 우주에서 암흑 물질, 보통 물질, 암흑 에너지가 차
(나)는 우주 모형 "와 #에서 시간에 따른 우주의 상대적 크기를 나 지하는 비율을 각각 ㉠, ㉡, ㉢으로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고, (나)는
타낸 것이다. ㉠, ㉡, ㉢은 각각 보통 물질, 암흑 물질, 암흑 에너지 우리은하의 회전 속도를 은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나타낸
중 하나이다. 것이다. "와 #는 각각 관측 가능한 물질만을 고려한 추정값과 실
제 관측값 중 하나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가) (나)
[점]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보기
ㄱ. 별과 행성은 ㉠에 해당한다. 보기
ㄴ. 대폭발 이후 현재까지 걸린 시간은 "보다 #에서 짧다. ㄱ. ㉠과 ㉡은 현재 우주를 가속 팽창시키는 역할을 한다.
ㄷ. "에서 우주를 구성하는 요소 중 ㉢이 차지하는 비율은 ㄴ. 관측 가능한 물질만을 고려한 추정값은 #이다.
5 시기보다 현재가 크다. ㄷ. "와 #의 회전 속도 차이는 ㉢의 영향으로 나타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9 | 2020년 10월 교육청 10번 |


그림 (가)는 가속 팽창 우주 모형에 의한 시간에 따른 우주의 크기
17 | 2021년 3월 교육청 9번 | 를, (나)는 5 시기와 5 시기의 우주 구성 요소의 비율을 ㉠과 ㉡
그림은 외부 은하 중 일부를 형태에 따라 (가), (나), (다)로 분류한 으로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 #, $는 각각 보통 물질, 암흑 물
것이다. 질, 암흑 에너지 중 하나이다.

㉠ ㉡
(가) (나) (다)
(가) (나)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보기
ㄱ. (가)는 타원 은하이다. 보기
ㄴ. (나)의 은하들은 나선팔이 있다. ㄱ. 5 시기에 우주의 팽창 속도는 증가하고 있다.
ㄷ. 은하를 구성하는 별의 평균 표면 온도는 (가)가 (다)보다 ㄴ. 5 시기의 우주 구성 요소의 비율은 ㉠이다.
낮다. ㄷ. 전자기파를 이용해 직접 관측할 수 있는 것은 $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56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및 해설 279쪽

20 | 2020년 10월 교육청 20번 | 22 | 2020년 7월 교육청 20번 |


그림 (가)와 (나)는 서로 다른 두 은하의 스펙트럼과 )= 방출선의 파 그림 (가)는 은하 "~%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는 #에서 관측한
장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는 각각 퀘이사와 일반 은 $와 %의 스펙트럼에서 방출선이 각각 적색 편이된 것을 비교 스펙
하 중 하나이다. 트럼과 함께 나타낸 것이다. "~%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허
블 법칙을 만족한다.

(가) (나)
(가) (나)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단, 광속은 @ LNT이다.) [점]
ㄱ. 퀘이사의 스펙트럼은 (나)이다. 보기
ㄴ. 은하의 후퇴 속도는 (가)가 (나)보다 크다. ㄱ. ㉠은 .이다.
은하 중심부에서 방출되는 에너지 ㄴ. 허블 상수는  LNT.QD이다.
ㄷ. 는 (가)가 (나)보다 크다.
은하 전체에서 방출되는 에너지
ㄷ. "에서 $까지의 거리는  .QD이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3 | 2020년 4월 교육청 19번 |


그림 (가)는 은하 #에서 관측되는 은하 "와 $의 후퇴 방향과 은하
사이의 거리를, (나)는 은하 #에서 관측되는 은하 "와 $의 스펙트
럼을 나타낸 것이다. 정지 상태에서 파장이 G인 방출선은 각각 파
장이 G"와 G$로 적색 편이되었다.
21 | 2020년 7월 교육청 18번 |
그림은 서로 다른 평탄 우주 ", #의 모형을 나타낸 것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은하 ", #, $는 한 직선상에 위치하고, 허블 법칙을 만족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보기 보기
ㄱ. 임계 밀도에 대한 우주의 평균 밀도 비는 "와 #가 같다. ㄱ. #는 우주의 중심에 위치한다.
ㄴ. 현재 암흑 에너지의 비율은 "가 #보다 크다. ㄴ. "에서 관측되는 후퇴 속도는 $가 #의 배이다.
ㄷ. 현재 우주의 나이는 "가 #보다 많다. ㄷ. G은  ON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04.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5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24 | 2020년 4월 교육청 20번 | 26 | 2020년 3월 교육청 20번 |
그림 (가)는 우주에 대한 두 과학자의 설명을, (나)는 현재 우주를 구 그림은 급팽창 우주론에 따른 우주의 크기 변화를 우주의 지평선과
성하는 요소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 ㉡, ㉢은 각각 보통 물질, 함께 나타낸 것이다.
암흑 물질, 암흑 에너지 중 하나이다.

급팽창 우주론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가) (나)
것은? [점]
"와 #를 (나)에서 찾아 옳게 짝지은 것은?
보기
" # " # ㄱ. 급팽창이 일어날 때 우주는 빛보다 빠른 속도로 팽창하였다.
①㉠ ㉡ ②㉠ ㉢ ㄴ. 급팽창 전에는 우주의 크기가 우주의 지평선보다 작았다.
③㉡ ㉠ ④㉡ ㉢ ㄷ. 우주 배경 복사가 우주의 모든 방향에서 거의 균일하게
⑤㉢ ㉠ 관측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7 | 2019년 10월 교육청 지Ⅱ 13번 |


그림은 대폭발 우주론과 급팽창 이론에 따른 우주의 크기 변화를
", #로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25 | 2020년 3월 교육청 9번 |
그림 (가)는 세이퍼트은하, (나)는 전파 은하를 관측한 것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보기
ㄱ. (가)에서는 나선팔이 관측된다. ㄱ. "는 대폭발 우주론에 따른 우주의 크기 변화이다.
ㄴ. (나)에서는 제트가 관측된다. ㄴ. "에서 우주 배경 복사는 ㉠ 시기에 방출되었다.
ㄷ. (가)와 (나)는 모두 특이 은하에 속한다. ㄷ. #에서 ㉠ 시기에 우주의 온도가 증가하였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58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및 해설 284쪽

28 | 2018년 10월 교육청 지Ⅱ 11번 | 30 | 2017년 10월 교육청 지Ⅱ 8번 |


그림은 대폭발 우주론에서 우주 구성 요소인 복사 에너지, 물질, 암 그림은 우주를 구성하는 요소의 시간에 따른 비율 변화를 예측하여
흑 에너지의 시간에 따른 밀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현재 우주에는 암흑 물질이 보통 물질보다 많다.
ㄴ. 우주의 물질 밀도는 점점 커질 것이다.
ㄷ. 억 년 후에는 현재보다 우주의 팽창 속도가 느려질 것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다.
보기
ㄱ. " 시기 이전에는 복사 에너지의 밀도가 물질의 밀도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크다.
ㄴ. 우주 구성 요소 중 암흑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계속
증가하였다.
ㄷ. 현재 우주는 가속 팽창하고 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9 | 2018년 10월 교육청 지Ⅱ 18번 |


그림은 특이 은하 (가)와 (나)의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는 각각 퀘이사와 세이퍼트은하 중 하나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보기
ㄱ. 은하의 후퇴 속도는 (가)가 (나)보다 크다.
ㄴ. (가)는 퀘이사이다.
ㄷ. (나)와 같은 종류의 특이 은하는 대부분 나선 은하의 형태로
관측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4.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5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및 해설 288쪽

31 | 2017년 10월 교육청 지Ⅱ 20번 | 32 | 2016년 10월 교육청 지Ⅱ 20번 |


그림은 년 이후 관측을 통해 구한 허블 상수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은 절대 등급이 일정한 ⅠB형 초신성의 적색 편이량과 겉보기
것이다. 등급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보기
ㄱ. 멀리 있는 ⅠB형 초신성일수록 허블 법칙으로 구한 밝기
ㄱ. 허블 상수는 " 시기가 # 시기보다 크게 측정되었다. 보다 더 어둡게 보이는 경향이 있다.
ㄴ. 허블 상수를 이용해 구한 우주의 나이는 # 시기가 " 시기 ㄴ. ⅠB형 초신성의 관측 결과는 우주의 팽창 속도가 점점 빨라
보다 크다. 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ㄷ. 허블 법칙을 이용해 구한 우주의 크기는 # 시기가 " 시기 ㄷ. 이러한 관측 결과는 암흑 에너지로 설명할 수 있다.
보다 크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60 NJ 우주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