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 7월 6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방송·통신 : 7. 5.(화) 12:00 이후 보도 가능)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보도자료
6월 모의평가 2022. 7. 6.(수)
홍보실 ☏ 043-931-0615

채점 결과 보도자료 [자료 문의] 대학수학능력시험본부장 문영주, 수능기획분석실장 신진아


☏ 043-931-0521, 0252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이규민)은 지난 6월 9일(목) 실시된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6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를 7월 6일(수)에
수험생에게 통지하였다. 개인별 성적통지표는 접수한 곳(재학 중인 학교, 시험
2022. 7. 지구 교육청, 출신 학교 등)을 통하여 수험생에게 교부하였다. 아울러 수험생
진학 지도를 위해 「영역/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 및 도수분포」자료도
공개하였다.
□ 2023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에 응시한 수험생은 393,502명으로 재학생은
이 자료는 2022년 7월 6일(수) 조간부터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28,489명, 졸업생과 검정고시 합격자 등은 65,013명이었다.
(인터넷· 방송·통신 : 7. 5.(화). 12:00 이후 보도 가능) ◦ 영역별 응시자 수는 국어 영역 391,224명, 수학 영역 387,575명, 영어 영역
392,839명, 한국사 영역 393,502명, 사회·과학탐구 영역 384,730명, 직업탐구
영역 6,308명, 제2외국어/한문 영역 7,553명이었다.
◦ 사회·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중 사회탐구만 응시한 수험생은 192,644명,
과학탐구만 응시한 수험생은 181,111명, 두 영역을 조합해 응시한 수험생은
10,975명이었으며, 응시자 대부분(99.4%)이 2개 과목에 응시하였다.

- 1 -
□ 국어 영역에서 선택과목별 응시자 비율은 화법과 작문 64.1%, 언어와 매체
35.9%이었다. Ⅰ. 영역/과목별 응시자 현황

□ 수학 영역에서 선택과목별 응시자 비율은 확률과 통계 51.5%, 미적분


42.8%, 기하 5.7%이었다. ◦ 영역별 응시자 현황은 <표Ⅰ-1>과 같다. 전체 응시자 393,502명 중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응시자는 각각 391,224명, 387,575명,
□ 국어, 수학, 영어 영역 응시자의 탐구 영역별 응시자 비율은 다음과 같다. 392,839명, 393,502명, 391,038명, 7,553명이었다.
◦ 국어 영역의 경우, 사회탐구 영역 48.9%, 과학탐구 영역 46.1%이었으며,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영역을 조합해 응시한 비율은 2.8%이었다. <표Ⅰ-1> 영역별 응시자 현황
◦ 수학 영역의 경우, 사회탐구 영역 48.5%, 과학탐구 영역 46.6%이었으며, 영역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사회·과학 탐구 직업 계
제2외국어
/한문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영역을 조합해 응시한 비율은 2.8%이었다. 인원(명) 391,224 387,575 392,839 393,502 384,730 6,308 391,038 7,553
◦ 영어 영역의 경우, 사회탐구 영역 48.9%, 과학탐구 영역 46.1%이었으며, 비율(%)* 99.4 98.5 99.8 100.0 97.8(98.4) 1.6(1.6) 99.4(100.0) 1.9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영역을 조합해 응시한 비율은 2.8%이었다. * 전체 응시자(한국사 기준)에 대한 비율임. ‘탐구’ 영역의 괄호 안 비율은 탐구 영역 응시자(계)에
대한 비율임.
□ 성적통지표에는 영역 및 과목별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을 표기하였다. ◦ 국어, 수학, 영어 영역에 모두 응시한 수험생 수는 전체 응시자의 98.2%인
◦ 국어, 수학, 탐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경우에는 선택과목명을 함께 표기 386,259명이고, 국어, 수학, 영어, 탐구 영역에 모두 응시한 수험생 수는 전체
하였다. 응시자의 97.6%인 384,243명이었다.
◦ 국어, 수학 영역은 평균 100, 표준편차 20으로, 탐구 영역은 평균 50,
표준편차 10으로 변환한 표준점수를 표기하였다. ◦ 국어, 수학 영역의 선택과목별 응시자 현황은 <표Ⅰ-2>와 같다. 국어 영역 응시자
◦ 영어,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경우 절대평가에 따른 등급만 가운데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의 응시자 비율은 각각 64.1%, 35.9%이었고,
표기하였다. 수학 영역 응시자 가운데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의 응시자 비율은 각각
51.5%, 42.8%, 5.7%이었다.
□ 온라인 응시 홈페이지를 통해 응시한 수험생 363명의 점수는 채점 결과
분석에 반영하지 않았다. <표Ⅰ-2> 국어, 수학 영역 선택과목별 응시자 현황
◦ 이 수험생들에게는 채점 결과의 영역/과목별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국어 수학
등을 기준으로 산출한 별도의 성적을 제공하였다. 구분 화법과 언어와
작문 매체 계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계
인원(명) 250,909 140,315 391,224 199,393 165,977 22,205 387,575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비율(%) 64.1 35.9 100.0 51.5 42.8 5.7 100.0
홍보실 임혜균 담당(☎ 043-931-0615)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2 - - 3 -
◦ 탐구 영역 응시자 가운데 사회·과학탐구, 직업탐구 영역의 응시자 비율은 각각 ◦ 직업탐구 영역의 과목별 응시자 현황은 <표 Ⅰ-5>와 같다. 공통과목인 성공적인
98.4%, 1.6%이었다(<표Ⅰ-1>참조). 직업생활의 응시자가 가장 많았고, 선택과목 중에서는 상업 경제를 선택한 응시자가
많았으며, 수산·해운 산업 기초를 선택한 응시자는 적었다.
◦ 사회·과학탐구 영역의 과목별 응시자 현황은 <표Ⅰ-3>과 같다. 생활과 윤리를
선택한 응시자가 많았으며, 물리학Ⅱ를 선택한 응시자는 적었다. <표Ⅰ-5> 직업탐구 영역 과목별 응시자 현황
과목명 인원(명) 과목명 인원(명)
<표Ⅰ-3> 사회·과학탐구 영역 과목별 응시자 현황 성공적인 직업생활 6,025 상업 경제 2,432
과목명 인원(명) 과목명 인원(명) 농업 기초 기술 690 수산·해운 산업 기초 97
공업 일반 1,216 인간 발달 1,834
생활과 윤리 125,552 물리학 Ⅰ 52,931
윤리와 사상 30,708 화학 Ⅰ 62,797 ◦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과목별 응시자 현황은 <표 Ⅰ-6>과 같다. 중국어 Ⅰ을
한국지리 32,076 생명과학 Ⅰ 118,860 선택한 응시자가 많았으며, 베트남어 Ⅰ을 선택한 응시자는 적었다.
세계지리 25,271 지구과학 Ⅰ 116,228
동아시아사 18,847 물리학 Ⅱ 3,982 <표Ⅰ-6> 제2외국어/한문 영역 과목별 응시자 현황
세계사 14,697 화학 Ⅱ 4,510 과목명 인원(명) 과목명 인원(명)
독일어 Ⅰ 536 러시아어 Ⅰ 226
경제 5,974 생명과학 Ⅱ 7,943 프랑스어 Ⅰ 753 아랍어 Ⅰ 360
정치와 법 25,273 지구과학 Ⅱ 5,018 스페인어 Ⅰ 830 베트남어 Ⅰ 100
사회·문화 116,333 중국어 Ⅰ 1,976 한문 Ⅰ 1,036
일본어 Ⅰ 1,736
◦ 사회·과학탐구 영역에서 선택과목 수에 따른 응시자 현황은 <표Ⅰ-4>와 같다.
사회·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중 사회탐구, 과학탐구 각 영역 내에서 2개 과목을
선택한 수험생은 각각 99.2%, 99.5%, 1개 과목을 선택한 수험생은 각각 0.8%,
0.5%로, 응시자 대부분(99.4%)이 최대 선택과목 수인 2개 과목을 선택하였다.
<표Ⅰ-4> 사회·과학탐구 영역별 선택과목 수에 따른 응시자 현황
선택과목 사회탐구 과학탐구 사회+과학탐구 계
수 인원(명) 비율(%) 인원(명) 비율(%) 인원(명) 비율(%) 인원(명) 비율(%)
1개 1,532 0.8 928 0.5 2,460 0.6
2개 191,112 99.2 180,183 99.5 10,975 100.0 382,270 99.4
계 192,644 100.0 181,111 100.0 10,975 100.0 384,730 100.0

- 4 - - 5 -
◦ 국어, 수학, 영어 영역 응시자의 탐구 영역별 응시 비율은 <표Ⅰ-7>과 같다.
- 국어 영역의 경우,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응시자 비율은 각각 48.9%, 46.1%이었으며, Ⅱ. 영역/과목별 등급
사회탐구와 과학탐구를 함께 선택한 응시자 비율은 2.8%이었다.
직업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은 1.6%, 미응시자 비율은 0.6%이었다.
- 수학 영역의 경우,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응시자 비율은 각각 48.5%, 46.6%이었으며, 1. 국어 영역
사회탐구와 과학탐구를 함께 선택한 응시자 비율은 2.8%이었다.
직업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은 1.6%, 미응시자 비율은 0.5%이었다. 국어 영역의 등급 구분 표준점수와 등급별 인원 및 비율은 <표 Ⅱ-1>과 같다.
- 영어 영역의 경우,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응시자 비율은 각각 48.9%, 46.1%이었으며,
사회탐구와 과학탐구를 함께 선택한 응시자 비율은 2.8%이었다. <표 Ⅱ-1> 국어 영역 등급 구분 표준점수, 등급별 인원 및 비율
직업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은 1.6%, 미응시자 비율은 0.6%이었다. 등급 등급 구분 점수 인원(명) 비율(%)
1 133 16,927 4.33
<표 Ⅰ-7> 국어, 수학, 영어 영역 응시자의 탐구 영역별 응시 비율 2 125 28,441 7.27
국어 수학 3 117 44,918 11.48
구분 화법과 언어와 소계 확률과 미적분 기하 소계 영어 4 107 67,793 17.33
작문 매체 통계
5 95 80,103 20.47
사회 인원(명) 137,831 53,417 191,248 174,064 9,878 3,832 187,774 192,259
6 83 64,916 16.59
사회 비율(%) 54.9 38.1 48.9 87.3 5.9 17.3 48.5 48.9
· 인원(명) 99,287 81,332 180,619 12,905 150,652 17,164 180,721 180,970 7 72 48,330 12.35
과학 과학 비율(%) 39.6 58.0 46.1 6.5 90.8 77.3 46.6 46.1 8 66 28,300 7.23
탐구 사회 인원(명) 8,013 2,831 10,844 6,850 3,367 605 10,822 10,936
+ 비율(%) 9 66미만 11,496 2.94
과학 3.2 2.0 2.8 3.4 2.0 2.7 2.8 2.8
직업탐구 인원(명)
비율(%)
4,190
1.7
1,978
1.4
6,168
1.6
4,400
2.2
1,329 430
0.8 1.9
6,159
1.6
6,276
1.6
미응시 인원(명)
비율(%)
1,588
0.6
757
0.5
2,345
0.6
1,174
0.6
751 174
0.5 0.8
2,099
0.5
2,398
0.6
계 인원(명)
비율(%)
250,909
100.0
140,315
100.0
391,224
100.0
199,393
100.0
165,977 22,205
100.0 100.0
387,575
100.0
392,839
100.0

- 6 - - 7 -
2. 수학 영역 3. 영어 영역
수학 영역의 등급 구분 표준점수와 등급별 인원 및 비율은 <표 Ⅱ-2>와 같다. 영어 영역의 등급 구분 원점수와 등급별 인원 및 비율은 <표 Ⅱ-3>과 같다.
<표 Ⅱ-2> 수학 영역 등급 구분 표준점수, 등급별 인원 및 비율 <표 Ⅱ-3> 영어 영역 등급 구분 원점수, 등급별 인원 및 비율
등급 등급 구분 점수 인원(명) 비율(%) 등급 등급 구분 점수 인원(명) 비율(%)
1 134 15,851 4.09 1 90 22,546 5.74
2 127 26,893 6.94 2 80 54,322 13.83
3 118 50,449 13.02 3 70 71,989 18.33
4 107 65,939 17.01 4 60 70,091 17.84
5 92 76,982 19.86 5 50 56,290 14.33
6 79 70,097 18.09 6 40 43,379 11.04
7 75 44,808 11.56 7 30 32,222 8.20
8 72 21,379 5.52 8 20 29,044 7.39
9 72미만 15,177 3.92 9 20미만 12,956 3.30

- 8 - - 9 -
4. 한국사 영역 5. 사회·과학탐구 영역
한국사 영역의 등급 구분 원점수와 등급별 인원 및 비율은 <표 Ⅱ-4>와 같다. 사회·과학탐구 영역의 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와 등급별 인원 및 비율은
<표 Ⅱ-5>와 같다.
<표 Ⅱ-4> 한국사 영역 등급 구분 원점수, 등급별 인원 및 비율
등급 등급 구분 점수 인원(명) 비율(%) <표 Ⅱ-5> 사회·과학탐구 영역 등급 구분 표준점수, 등급별 인원 및 비율
1 40 61,837 15.71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한국지리 세계지리
2 35 50,707 12.89 등급 등급
구분 인원 비율 등급 인원 비율 등급 인원 비율 등급 인원 비율
점수 (명) (%) 구분 점수 (명) (%) 구분
점수 (명) (%) 구분
점수 (명) (%)
3 30 58,641 14.90 1 64 12,400 9.88 70 1,539 5.01 68 1,351 4.21 68 1,147 4.54
4 25 58,827 14.95 2 63 1,741 1.39 66 1,970 6.42 65 2,442 7.61 64 2,208 8.74
5 20 48,358 12.29 3 58 21,237 16.91 58 3,868 12.60 58 3,870 12.07 59 2,919 11.55
6 15 37,075 9.42 4 53 19,031 15.16 50 5,978 19.47 52 5,875 18.32 52 4,635 18.34
5 48 22,686 18.07 44 8,498 27.67 47 5,824 18.16 46 4,397 17.40
7 10 52,459 13.33 6 42 19,690 15.68 42 2,113 6.88 42 5,632 17.56 41 4,365 17.27
8 5 20,541 5.22 7 36 16,394 13.06 39 4,665 15.19 38 3,572 11.14 38 2,863 11.33
9 5미만 5,057 1.29 8 32 8,403 6.69 38 936 3.05 34 2,908 9.07 35 2,287 9.05
9 32미만 3,970 3.16 38미만 1,141 3.72 34미만 602 1.88 35미만 450 1.78
동아시아사 세계사 경제 정치와 법
등급 등급
구분 인원 비율 등급 인원 비율 등급 인원 비율 등급 인원 비율
점수 (명) (%) 구분 점수 (명) (%) 구분
점수 (명) (%) 구분
점수 (명) (%)
1 69 945 5.01 71 632 4.30 72 341 5.71 68 1,336 5.29
2 65 1,234 6.55 66 1,065 7.25 66 324 5.42 65 1,677 6.64
3 59 2,255 11.96 58 1,736 11.81 57 722 12.09 59 2,818 11.15
4 52 3,375 17.91 50 2,723 18.53 49 1,151 19.27 52 4,500 17.81
5 45 3,676 19.50 44 3,710 25.24 44 1,359 22.75 46 4,901 19.39
6 41 4,018 21.32 42 1,699 11.56 42 1,169 19.57 41 4,264 16.87
7 38 1,847 9.80 40 1,857 12.64 40 534 8.94 38 3,493 13.82
8 36 906 4.81 37 940 6.40 38 215 3.60 36 1,791 7.09
9 36미만 591 3.14 37미만 335 2.28 38미만 159 2.66 36미만 493 1.95

- 10 - - 11 -
사회·문화 6. 직업탐구 영역
등급
등급 구분 인원 비율
점수 (명) (%) 직업탐구 영역의 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와 등급별 인원 및 비율은 <표Ⅱ-6>과
1 65 7,508 6.45
2 62 9,435 8.11 같다.
3 59 13,635 11.72
4 55 16,088 13.83 <표 Ⅱ-6> 직업탐구 영역 등급 구분 표준점수, 등급별 인원 및 비율
5 48 23,309 20.04 성공적인 직업생활 농업 기초 기술 공업 일반
6 40 21,366 18.37 등급 등급 인원 비율 등급 인원 비율 등급 인원 비율
7 36 14,071 12.10 구분
점수 (명) (%) 구분
점수 (명) (%) 구분 점수 (명) (%)
8 35 6,470 5.56 1 67 298 4.95 73 28 4.06 68 79 6.50
9 35미만 4,451 3.83 2 62 541 8.98 64 55 7.97 65 67 5.51
물리학 Ⅰ 화학 Ⅰ 생명과학 Ⅰ 지구과학 Ⅰ 3 58 636 10.56 56 76 11.01 60 137 11.27
등급
등급 구분 인원 비율 등급 등급 등급 인원 비율 4 53 1,168 19.39 50 118 17.10 51 225 18.50
인원
(명) 비율
구분 인원 비율 구분 (명) (%)
점수 (명) (%) 점수 (%) 구분
점수 (명) (%) 점수 5 47 1,033 17.15 46 142 20.58 45 231 19.00
6 42 1,130 18.76 43 163 23.62 40 356 29.28
1 66 3,191 6.03 69 3,128 4.98 66 7,005 5.89 67 6,823 5.87 7 37 608 10.09 40 40 5.80 - - -
2 63 3,940 7.44 64 4,511 7.18 63 7,842 6.60 64 7,766 6.68 8 32 552 9.16 38 49 7.10 37 84 6.91
3 60 5,470 10.33 58 6,901 10.99 59 13,415 11.29 59 14,102 12.13 9 32미만 59 0.98 38미만 19 2.75 37미만 37 3.04
4 54 9,176 17.34 52 10,874 17.32 53 24,138 20.31 52 19,446 16.73 상업 경제 수산·해운 산업 기초 인간 발달
5 46 10,944 20.68 45 13,834 22.03 47 20,088 16.90 46 22,273 19.16 등급 등급
구분 인원 비율 등급 인원 비율 등급 인원 비율
점수 (명) (%) 구분
점수 (명) (%) 구분 점수 (명) (%)
6 40 9,766 18.45 42 9,579 15.25 41 20,918 17.60 42 20,336 17.50 1 73 104 4.28 75 4 4.12 70 74 4.03
7 37 6,902 13.04 38 8,639 13.76 37 14,779 12.43 38 16,106 13.86 2 63 178 7.32 66 7 7.22 62 146 7.96
8 35 1,810 3.42 36 3,021 4.81 33 8,657 7.28 35 6,737 5.80 3 56 278 11.43 55 12 12.37 56 216 11.78
9 35미만 1,732 3.27 36미만 2,310 3.68 33미만 2,018 1.70 35미만 2,639 2.27 4 49 519 21.34 48 25 25.77 51 365 19.90
물리학 Ⅱ 화학 Ⅱ 생명과학 Ⅱ 지구과학 Ⅱ 5 45 509 20.93 47 11 11.34 46 426 23.23
등급 인원 비율 6 43 393 16.16 43 16 16.49 42 282 15.38
등급 등급
구분 인원 비율 등급 인원 비율 등급 인원 비율
구분 구분 (명) (%) 7 41 266 10.94 42 19 19.59 39 159 8.67
점수 (명) (%) 점수 (명) (%) 구분 점수 (명) (%) 점수 8 38 99 4.07 - - - 37 108 5.89
1 73 212 5.32 72 181 4.01 73 327 4.12 73 243 4.84 9 38미만 86 3.54 42미만 3 3.09 37미만 58 3.16
2 66 261 6.55 65 408 9.05 67 704 8.86 66 321 6.40
3 56 460 11.55 58 481 10.67 56 822 10.35 55 635 12.65
4 48 851 21.37 49 785 17.41 48 1,494 18.81 49 856 17.06
5 45 675 16.95 45 945 20.95 45 1,585 19.95 45 1,205 24.01
6 43 833 20.92 43 784 17.38 43 1,320 16.62 44 676 13.47
7 41 371 9.32 40 582 12.90 41 1,179 14.84 41 647 12.89
8 39 247 6.20 39 187 4.15 40 210 2.64 38 260 5.18
9 39미만 72 1.81 39미만 157 3.48 40미만 302 3.80 38미만 175 3.49

- 12 - - 13 -
7. 제2외국어/한문 영역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과목별 등급 구분 원점수와 등급별 인원 및 비율은
<표 Ⅱ-7>과 같다.
<표 Ⅱ-7> 제2외국어/한문 영역 등급 구분 원점수, 등급별 인원 및 비율
독일어 Ⅰ 프랑스어 Ⅰ 스페인어 Ⅰ
등급 등급
구분 인원 비율 등급 인원 비율 등급 인원 비율
점수 (명) (%) 구분점수 (명) (%) 구분 점수 (명) (%)
1 45 45 8.40 45 27 3.59 45 87 10.48
2 40 103 19.22 40 72 9.56 40 135 16.27
3 35 84 15.67 35 130 17.26 35 109 13.13
4 30 65 12.13 30 131 17.40 30 88 10.60
5 25 40 7.46 25 96 12.75 25 103 12.41
6 20 31 5.78 20 68 9.03 20 93 11.20
7 15 42 7.84 15 93 12.35 15 118 14.22
8 10 85 15.86 10 88 11.69 10 72 8.67
9 10미만 41 7.65 10미만 48 6.37 10미만 25 3.01
중국어 Ⅰ 일본어 Ⅰ 러시아어 Ⅰ
등급 등급 인원
구분 (명) 비율 등급 인원 비율 등급
구분 인원 비율
점수 (%) 구분점수 (명) (%) 점수 (명) (%)
1 45 271 13.71 45 144 8.29 45 12 5.31
2 40 348 17.61 40 234 13.48 40 34 15.04
3 35 304 15.38 35 234 13.48 35 33 14.60
4 30 261 13.21 30 170 9.79 30 30 13.27
5 25 203 10.27 25 162 9.33 25 15 6.64
6 20 167 8.45 20 181 10.43 20 19 8.41
7 15 186 9.41 15 181 10.43 15 19 8.41
8 10 176 8.91 10 288 16.59 10 31 13.72
9 10미만 60 3.04 10미만 142 8.18 10미만 33 14.60
아랍어 Ⅰ 베트남어 Ⅰ 한문 Ⅰ
등급 등급
구분 인원 비율 등급 인원 비율 등급 인원 비율
점수 (명) (%) 구분점수 (명) (%) 구분 점수 (명) (%)
1 45 24 6.67 45 4 4.00 45 31 2.99
2 40 3 0.83 40 14 14.00 40 53 5.12
3 35 4 1.11 35 15 15.00 35 76 7.34
4 30 2 0.56 30 5 5.00 30 125 12.07
5 25 3 0.83 25 4 4.00 25 137 13.22
6 20 27 7.50 20 2 2.00 20 198 19.11
7 15 77 21.39 15 8 8.00 15 176 16.99
8 10 142 39.44 10 33 33.00 10 186 17.95
9 10미만 78 21.67 10미만 15 15.00 10미만 54 5.21

- 1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