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언론정보학과 ❚ 1

●● 언론정보학과 (Department of Media and Communication)


▶▶ 사무실 : 9­409호, ☎ 032)860-8790, Fax 032)863-3022, 조교 : 이선경

1. 학과 정보

■ 학과 소개
인하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과는 커뮤니케이션학과 미디어 연구 분야의 차세대 연구자 양성을 위한
정규 석·박사 과정이다. 이 과정은 또한 언론, 방송, 영상, 광고, PR, 소셜미디어 등 미디어 산업과 공
공기관에 종사하는 전문 인력에 대한 재교육을 실시하며, 이들의 전문성을 고양하기 위한 목적도 갖는
다. 언론정보학 분야와 미디어 산업은 앞으로도 상당 기간 성장잠재력이 인정되고 있는 바, 이 과정을
통해 이 분야에 종사할 전문 연구자 및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대학원 과정이다.

■ 전공과정
언론정보학(Median and Communication) 전공

■ 교수진
김상훈 교수 연세대 신문방송학과/미 Univ. of Texas 광고학 박사, 1990
광고학 전공, 연구실 9-309, 전화 8792, 전자우편 samk20@inha.ac.kr
김대호 교수 서울대 언론정보학과/영 Birmingham대 언론학 박사, 1994
방송학 전공, 연구실 6-210, 전화 8793, 전자우편 jinseon@inha.ac.kr
박인규 교수 서강대 사학과/영 Glasgow대 언론학 박사, 2005
방송제작 전공, 연구실 9-618, 전화 8794, inkyupaCOM@inha.ac.kr
박정의 교수 한국외국어대 신문방송학과/미 Michigan State Univ. 박사. 1999
커뮤니케이션학 전공, 연구실 6-312, 전화 8795, 전자우편 cheongyi@inha.ac.kr
하주용 교수 고려대 신문방송학과/미 Southern Illinois Univ., Carbondale 언론학 박사, 2004
인터넷/멀티미디어 전공, 연구실 9-616, 전화 8796, 전자우편 iq100@inha.ac.kr
문성준 교수 한국외국어대 신문방송학과/미 Univ. of Wisconsin-Madison 언론학 박사, 2004
국제광고 전공, 연구실 6-308, 전화 8797, 전자우편 maclean97@inha.ac.kr
호세다비드 교수 필리핀 국립대 저널리즘ㆍ영화과/미 뉴욕대(NYU) 시네마 스터디 박사, 2002
문화연구ㆍ영화ㆍ영상이론, 연구실 9-611, 전화 8791, 전자우편 208197@inha.ac.kr
심민선 교수 서울대 언론정보학과/미 Univ. of Pennsylvania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2008
소셜미디어/헬스커뮤니케이션 전공, 연구실 9-619, 전화 8798, 전자우편
mshim@inha.ac.kr
2. 학과 내규

■ 입학 지원자격
과 정 일 반 지 원 자 격 학과 필수 사항
1. 4년제 정규대학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
석사과정 2. 외국에서 4년제 정규대학 교육과정을 수료한 자로서 총장이
(통합과정) 적합하다고 인정한 자.
3. 기타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이 지정하는 학교의 졸업자.
1. 국내외 대학원, 특수대학원, 전문대학원 등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자 또는 받기로 확정된 자.
박사과정
2. 석사학위 이상의 자격이 있는 자로 총장이 적합하다고
인정한 자.

■ 입학전형 방법 및 입학사정원칙
과 정 전 형 방 법 입학사정원칙
1. 대학성적 평점평균 : 50%
석사과정 1. 서류심사
2. 구술시험 : 50%
(통합과정) 2. 면접시험
합산점수 우선순위로 선발한다.
1. 대학성적 평균평점 : 30%
1. 서류심사 2. 석사과정 평균평점 : 30%
박사과정
2. 면접시험 3. 구술시험 : 40%
합산점수 우선순위로 선발한다.

■ 이수학점
가. 2009학년도 제2학기)까지의 입학생

과 정 전 공 명 졸업이수학점 전공(필수)학점 잔여학점


석 사 언론정보학 24 18(6) 6
박사/통합 언론정보학 60 36(6) 24

※ 전공학점은 전공필수를 포함 함.
※ ( )안은 전공필수학점을 기록.
※ 박사과정은 석사과정 학점인정 포함.

나. 2010학년도 제1학기) 이후 입학생


과 정 전 공 명 졸업이수학점 전공(필수)학점 잔여학점
석 사 언론정보학 24 18(6) 6
박 사 언론정보학 36 18(6) 18
통 합 언론정보학 60 33 27
※ 전공학점은 전공필수를 포함 함.
※ ( )안은 전공필수학점을 기록.
언론정보학과 ❚ 3

■ 전공필수
과 정 전 공 명 과 목 명 비 고
커뮤니케이션이론
석 사 언론정보학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Ⅰ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 II
박 사 언론정보학
커뮤니케이션이론세미나

■ 지정과목
가. 박사 신입생 지정과목
① 타 학과 (언론정보/신문방송 외) 전공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본과 박사과정에 진학했을
때 본과 석사 전공 필수 2과목 (커뮤니케이션이론,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I)을 지정과목으로
선택해야 한다.
② 타 학교에서 언론정보/신문방송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는 본과 석사 전공 필수 2과목 중에서
한 과목을 지정과목으로 선택해야 한다.
③ 타 학교 또는 타 학과에서 석사를 취득한 자는 한 학기에 정규 학점(9학점)외에 지정과목(3
학점)까지 최대 12학점을 수강할 수 있다.
④ 지정과목 학점은 졸업학점에 포함되지 않는다.
⑤ 이 내규는 2010년 3월 입학생부터 시행한다.

■ 수여학위명
(1) 석사과정 : 언론정보학석사 (2) 박사과정 : 언론정보학박사
- 한자명 : 言論正報學碩士 - 한자명 : 言論正報學博士
- 영문명 : Master of Arts in Media - 영문명 : Doctor of Philosophy in
Communication Media Communication

■ 자격시험
가. 전공자격시험
합 격
과 정 전 공 명 범 용 과 목 과 목 명 비 고
과목수
석사/ 커뮤니케이션이론 커뮤니케이션이론 1
통합 언론정보학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 I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 I 1 3
(중간) 언론정보학1 전공과목 중 선택 1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 II 1
II
커뮤니케이션 이론세미나 커뮤니케이션 이론세미나 1 중간전공
언론정보학2 방송이론 1 자격시험
박사/
언론정보학 광고이론 5 과목과
통합
언론정보학3 저널리즘연구 1 중복
PR론 불인정
언론정보학4 뉴미디어 멀티미디어 연구 1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연구

나. 영어자격시험 : 대학원 규정을 따름.


■ 학위논문제출자격
대학원 학칙 및 규정을 충족하여야 하며, 아래의 연구실적을 만족하여야 한다.
가. 석사학위 청구 자격
① 전공자격시험에 합격할 것.
② 영어 시험에 합격할 것.
③ 석사학위 논문계획서 제출 및 공개발표 개최.
나. 박사학위 청구자격
① 전공자격시험에 합격할 것.
② 영어 시험에 합격할 것.
③ 박사학위 논문계획서 제출 및 공개발표 개최.
④ 박사학위 논문 제출 시 다음의 표에 의해 산출된 200% 이상의 연구실적을 제출하여야 한다.

■ 출판물 실적 환산률
연 구 실 적 구 분
항 목 비 고
국내 학진등재후보지 이상 국제 SCI(E)급 학술지
1 단독연구물 150% 단독연구물 300%
2 2인의 공동연구물 100% 2인의 공동연구물 200%
3 3인의 공동연구물 80% 3인의 공동연구물 150%
4 4인 이상의 공동연구물 50% 4인 이상의 공동연구물 80%

■ 부칙
1. (적용시기) 이 개정 내규는 2007년 3월 1일부터 적용한다.
(경과조치) 전공 이수학점은 2008년 신입생부터 적용한다.
2. (적용시기) 이 개정 내규는 2009년 3월 1일부터 적용한다.
(경과조치) 전공자격시험은 2009년 3월 1일부터 적용한다.
3. (적용시기) 이 개정 내규는 2010년 9월 1일부터 적용한다.
4. (적용시기) 이 개정 내규는 2011년 3월 1일부터 적용한다.
언론정보학과 ❚ 5

3. 교과 과정

■ 원어강의 교과목 (Course Offered in English)


Course Course Course RemaCO
Major Course Title Credit Professor Semester
Area Type Number M
Major- Common
- - - - -
Required Course
Studies in Mass
COM605 3 J. David 2
Major- Culture
Major Advertising Kim
Elective COM610 3 1
Communicat Foundation Course Theory Sanghoon
ion&Informa COM615 Histories of Film 3 J. David 2
tion
COM702 Theories of Film 3 J. David 1
Major- Research in
Major- COM714 3 J. David 2
Elective Cultural Studies
Advanced
Course Advanced Film
COM715 3 J. David 1
Criticism

■ 일반 교과목

전공 교과 종별 학수 교과목명 학점 담당교수 개설 비고
영역 번호 학기
COM5001 커뮤니케이션이론 3 박정의 2
전공 COM5002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I 3 문성준 2
공통
필수 COM5003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II 3 문성준 2
COM5004 커뮤니케이션 이론세미나 3 하주용 1
COM6001 국제커뮤니케이션이론 3 2
COM6002 영상커뮤니케이션이론 3 박인규 2
COM6003 언론사연구 3 1
COM6004 미디어법제 3 하주용 2
COM6005 대중문화연구 3 호세다비드 2
COM6006 정보 문화 산업론 3 김대호 2
언론
COM6007 여론과 미디어 3 1
정보
COM6008 방송이론 3 김대호 1
전공 전공 COM6009 저널리즘연구 3 2
기초 선택 COM6010 광고이론 3 김상훈 2
COM6011 PR론 3 김상훈 2
COM6012 정치커뮤니케이션세미나 3 박정의 2
COM6013 헬스켐페인커뮤니케이션 3 박정의 2
COM6014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연구 3 박정의 2
COM6015 영화의 역사 3 호세다비드 2
COM6016 다매체편성론 3 박인규 2
COM6017 디지털미디어론 3 하주용 2
COM6018 광고와 사회 3 문성준 2
COM7001 헬스커뮤니케이션 세미나 3 박정의 1
COM7002 영화이론 3 호세다비드 1
COM7003 언론문제연습 3 1
COM7004 브랜드 관리론 3 김상훈 2
COM7005 전략커뮤니케이션캠페인 3 김상훈 1
COM7006 멀티미디어 광고론 3 김상훈 2
COM7007 뉴미디어 멀티미디어연구 3 김대호 2
COM7008 비교커뮤니케이션론 3 1
COM7009 미디어경제학 3 하주용 1
COM7010 매체비평 3 2
COM7011 멀티미디어와 정보사회이론 3 김대호 2
COM7012 통계분석 및 연구설계 3 박정의 2
언론 전공 전공
정보 심화 선택
COM7013 사이버커뮤니케이션 3 하주용 1
COM7014 문화연구세미나 3 호세다비드 2
COM7015 영화비평연구 3 호세다비드 1
COM7016 광고연구세미나 3 김상훈 2
COM7017 광고크리에이티브론 3 문성준 1
COM7018 소비자 행동론 3 김상훈 1
COM7019 PR기획론 3 김상훈 2
COM7020 방송연구 3 박인규 1
COM7021 문화정책세미나 3 박정의 2
COM7022 소셜 커뮤니케이션연구 3 심민선 2
COM7023 커뮤니케이션 논문 세미나1 3 문성준 2
COM7024 커뮤니케이션 논문 세미나2 3 문성준 1
COM7025 미디어 정책 3 김대호 2

■ 교과목 개요

COM5001 커뮤니케이션 이론(Theories of Communication)


(담당교수: 박정의,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사회과학의 독립된 학문영역으로서 커뮤니케이션이론을 정립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강의하고,
지금까지의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이론을 검토한다. 또한, 새로운 매스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맞는 커뮤니
케이션 이론을 모색해 본다.
COM5002 커뮤니케이션 연구 방법론Ⅰ(Communication Research Method Ⅰ)
(담당교수: 문성준,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사회조사방법을 주로 하여 경험적 자료를 분석, 평가한다. 개념화, 논리적 분석, 조작화, 측정의 개발, 연
구의 설계, 표본추출 등의 기본적인 사회과학 연구과정과 실험연구, 설문조사, 내용분석, 현장관찰, 사례
조사 등의 구체적인 연구방법 등의 원리와 기술적인 문제들을 심층적으로 검토하고 실습으로 익힌다.
COM5003 커뮤니케이션 연구 방법론 II(Communication Research Method II)
(담당교수: 문성준, 학점: 3학점, 개설학기: 1학기)
사회과학 전통의 계량적 연구방법에 대비되는 명칭으로서 ʻ비계량적 연구방법론ʼ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언론정보학과 ❚ 7

방법론에 대한 인식론적 그거를 토의하고 각 연구단계를 익히고 결과물의 효과적 제시법을 검토한다. 이
러한 학습과정은 기존의 동일한 연구방법론을 사용한 연구물의 비판적 읽기와 실제 개인별 연구과제의
시행과 병행된다.
COM5004 커뮤니케이션 이론세미나(Seminar in Advanced Communication Theories)
(담당교수: 하주용, 학점: 3학점, 개설학기: 1학기)
(박사과정) 이 강좌는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국내외 최신 동향을 이해하고 각 이론들의 언론정보학 연구에서 적용방안을 살펴본다.

COM6001 국제 커뮤니케이션이론(International Communication)


(담당교수: ,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국가개념을 기본 단위로 국제 사회에 존속하는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비교, 분석하며 상호작용 분석차원
에서 심층 분석한다. 국제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핵심적인 연구 분야라 할 수 있는 ʻ국제 정보질서 운동ʼ,
ʻ국제 뉴스보도ʼ, ʻ문화제국주의/문화종속이론ʼ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특히, 멀티미디어 시대의 도래
와 함께 새로운 형태로 변모하고 있는 다국적 영상산업에 대해 중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문화적, 정치적 정보 지배에 대해 논한다.
COM6002 영상커뮤니케이션이론(Studies in Visual Communication)
(담당교수: 박인규,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현대 사회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위상을 가지고 있는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특성을 다룬다. 방
송, 영화, 광고 등에서 영상 이미지 분석을 중심으로 한다.
COM6003 언론사 연구(Communication History)
(담당교수: , 학점: 3학점, 개설학기: 1학기)
한국과 세계의 언론체계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어떻게 변천해 왔는 가를 대중 매체가 등장하기 이전의
전통사회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고찰, 분석, 논의, 정리한다.
COM6004 미디어법제(Media Ethics and Law)
(담당교수: 하주용,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매체별 특성에 맞는 언론 자유와 책임의 문제를 논의한다. 언론의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법익간의 이익
형량 평가 논리를 국내 외 판례를 중심으로 해독하고 비교, 분석한다. 이와 더불어, 언론의 구조적 통제
나 내용적 심의 기준이 어떻게 시대 변화에 따라 변화되어야 하는지를 토의한다.
COM6005 대중문화연구(Studies in Mass Culture)
(담당교수: 호세다비드,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대중문화 현상에 대한 논의를 역사적으로 검토하고 오늘날 대중문화의 상징인 미디어 이벤트를 분석, 평
가한다. 대중문화와 대중매체와의 상호작용관계를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입각해서 토의, 분석한다. 또한,
대중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습득케 한다.
COM6006 정보문화산업론(Information and Cultural Industries)
(담당교수: 김대호,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현대사회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하는 대중매체, 정보통신 및 문화산업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산업
별로 소개하고, 산업분야별 현황 분석과 전망을 통해 실제와의 접목을 모색한다.
COM6007 여론과 미디어(Public Opinion and the Media)
(담당교수: , 학점: 3학점, 개설학기: 1학기)
여론 형성과정에 있어서의 미디어의 역할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여론과 미
디어의 관계를 연구, 분석한다. 여론과 민주주의, 여론과 현대 정치와의 관계 속에서 미디어의 위치를 재
조명해 본다.
COM6008 방송이론(Theories of Broadcasting)
(담당교수: 김대호, 학점: 3학점, 개설학기: 1학기)
방송 프로그램 기획, 편성, 제작, 구매, 판매에 이르기까지 방송 전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다룬다.
제작 산업의 변화와 수용자의 시청 행태의 변화로 인해 방송은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COM6009 저널리즘연구(Advanced Studies in Journalism)
(담당교수: ,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신문과 전자 신문 등을 중심으로 주로 전통적인 인쇄미디어세서 비롯되어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도 살
아남을 멀티미디어 저널리즘을 심층적으로 다룬다.
COM6010 광고이론(Advertising Theories)
(담당교수: 김상훈,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광고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제반 이론을 다룬다. 광고이론의 근간이 되는 설득 커뮤니케이션
이론들과 광고 정보원, 광고 메시지, 광고 매체, 광고 수용자 등과 관련된 주요 이론들을 살펴본다.
COM6011 PR이론(Theories of Public Relations)
(담당교수: 김상훈,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PR의 역사, 목적, 원리, 매체, 기능, 효과 등을 심층 분석한다. PR에 대한 체계적 이론과 조사 및 설계를
연구, 검토함으로써 새로운 PR영역과 그 문제점들을 토의한다. 특히, 현대 사회에 있어서의 PR 매체의
역할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활동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COM6012 정치커뮤니케이션 세미나(Seminar in Political Communication)
(담당교수: 박정의,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정치과정내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이해가 중심이 된다. 나아가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주
체로서 공중, 정치인, 언론 삼자를 삼정하고 서로의 역학관계를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라는 차원에서 조망한
다. 주제로는 여성 정치인과 인터넷, 미디어와 정치 캠페인,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과 정치사회화, 미디어
와 청소년의 정치 사회화 등이다.
COM6013 헬스캠페인커뮤니케이션 (Health campaign communication)
(담당교수: 박정의,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헬스커뮤니케이션의 전반적인 리서치 경향을 파악하고 후반부에는 1) 헬스커뮤니케이션 이론 , 2) 헬스
커뮤니케이션에 사용되는 방법론 등을 검토한다.
COM6014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연구(Studies in intercultural communicastion)
(담당교수: 박정의,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각 문화권의 문화적 특성과 커뮤니케이션 특성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증진. 언어습관과 비언어적 행태
의 차이를 바탕로 무역과 같은 비즈니스 상황을 비롯한 각종 상황에서의 문화적 충돌과 화해를 연구한
다.
언론정보학과 ❚ 9

COM6015 영화의 역사(Histories of Film)


(담당교수: 호세다비드,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Traditional narratives and modern historiography of the cinema
COM6016 다매체편성론(Multi-channel Programming)
(담당교수: 박인규,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다매체다채널 시대의 도래에 따라 전통적인 의미의 방송편성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전통적인 편성개념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다매체다채널 환경을 고려한 새로운 편성개념을 이해하며,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편
성전략을 살펴본다.
COM6017 디지털미디어론(Theories of Digital Media)
(담당교수: 하주용,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디지털혁명 이후에 나타난 미디어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 특히, 디지털미디어의 기술적 특성과 사회문
화적 특성, 경제적 특성 등과 더불어 디지털 시대 미디어이용자의 변화를 이론적으로 조망해본다.
COM6018 광고와 사회(Advertising and Society)
(담당교수: 문성준,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이 과목을 통하여, 광고와 사회적 및 대중 문화적 측면의 여러 논의에서 나타나고 있는 광고의 기능과
관련되거나 관련될 수 있는 이론들을 종합ㆍ정리함으로써 광고의 사회ㆍ문화적 기능들을 살펴보고자 한
다. 광고는 사회에 대해 기호환경을 제공하는데 이는 특정의 소비자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사회에
미치는 환경이다. 광고와 사회라는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기호 세계를 제시하여 전반적인 광고이론
을 강의 할 것이다.
COM7001 헬스커뮤니케이션 세미나(Seminar in health communication)
(담당교수: 박정의, 학점: 3학점, 개설학기: 1학기)
헬스캠페인커뮤니케이션의 후속과목. 건강및 보건 관련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독립적 헬스커
뮤니케이션 모델 정립을 목표로 한다.
COM7002 영화이론(Theories of Film)
(담당교수: 호세다비드, 학점: 3학점, 개설학기: 1학기)
영화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 가운데 특정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영화 역사, 영화
산업과 정책, 영화이론, 영화 분석 및 비평, 영화 관객, 영화와 사회의 다양한 분야들을 다룬다.
COM7003 언론문제연습(Seminar in Media Studies)
(담당교수: , 학점: 3학점, 개설학기: 1학기)
언론, 정보, 신문, 방송, 영상, 광고 분야의 특정 주제를 선정,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를 한다.
COM7004 브랜드 관리론(Brand Management)
(담당교수: 김상훈,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세계적인 유명 브랜드들은 소비자들의 변치 않는 사랑을 얻기 위해 지속적이면서 체계적인 마케팅 노력
을 기울인다. 따라서 미래의 기업 간의 경쟁 환경은 강력한 브랜드들 간의 전쟁, 즉 강력한 브랜드 구축
을 통한 시장점유가 경재의 핵심이 될 것이다. 이러한 강력한 브랜드를 형성하는 데 있어 광고는 핵심적
인 역할을 한다. 본 강의의 목적은 강력한 브랜드 구축을 위한 전략적인 광고의 역할 및 브랜드 관리체
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전략적인 브랜드 관리를 위해서는 소비자에 대한 이해, 즉 시장에 대한 철저한 통
찰력이 필요하고, 이에 적절한 광고 및 마케팅 전략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전략적인 브랜드 관
리를 통해 관련 분야에서의 효과적인 마케팅을 수행하고 나아가 기업의 성장을 이룩함에 있어서도 본 과
목은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
COM7005 전략 커뮤니케이션 캠페인(Strategic Communication Campaign)
(담당교수: 김상훈, 학점: 3학점, 개설학기: 1학기)
현 미국에서 유행하고 있는 전략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강좌를 개설하고자 한다. 전략 커뮤니케이션이란
마케트들이 실행하는 전략적이고도 효율적인 광고 및 홍보 활동을 의미한다. 한 학기동안, 세미나 식의
수업을 통하여, 전략컴의 정의 및 적용을 이론적으로 학습 할 예정이며, 아울러 학습된 체계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대학원생들의 광고/홍보와 관련된 실무적인 접근까지 학습할 예정이다.
COM7006 멀티미디어 광고론(Studies of Multimedia Advertising)
(담당교수: 김상훈,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멀티미디어라고 일컬어지는 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매체는 다대다의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제공하고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통적인 기존 매체들과는 전혀 다른 광고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텔
레비전이 등장함에 따라 사회 전반의 커뮤니케이션 양식과 광고 산업에 영향을 주었던 것처럼 21세기의
매체 환경은 또 다른 전환기가 될 것이다. 본 강의의 목적은 이러한 멀티미디어가 초래할 혁명이 광고
산업에 어떤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이에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심층적으로 분석,
연구하는 것이다.
COM7007 뉴미디어.멀티미디어 연구(Theories of New Communication Media)
(담당교수: 김대호,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새로운 정보기술의 발전과 함께 나날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뉴미디어 및 멀티미디어의 성격과 사회적
함의를 연구 주제로 한다.
COM7008 비교커뮤니케이션론(Comparative Communications)
(담당교수: , 학점: 3학점, 개설학기: 1학기)
세계 커뮤니케이션의 이데올로기, 형태, 조직, 내용, 영향력, 특성 등을 비교학적 차원에서 비교 분석한
다.
COM7009 미디어 경제학(Media Economics)
(담당교수: 하주용, 학점: 3학점, 개설학기: 1학기)
최근 영화, 텔레비전, 음반 등의 영상매체는 개별 산업으로서의 확산은 물론 상호 밀접하게 연계되어 가
고 있다. 이 강의 는 미디어 산업과 미디어 기업의 구조와 운영을 연구하고 소비자의 미디어 이용 행위
를 분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COM7010 매체비평(Media Criticism)
(담당교수: ,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다양한 비판적 접근을 통하여 영화와 텔레비전의 텍스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한다. 구조주의 언
어학과 기호학을 기초로 발전된 다양한 비평이론들(기호학, 서사이론, 장르연구, 수용자 반응 비평, 이데
올로기 비평, 정신 분석학적 비평, 페미니스트 비평), 그리고 미학적 방법론(사실주의, 표현주의) 등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상매체의 텍스트를 분석, 연구한다.
COM7011 멀티미디어와 정보사회이론(Theories of Multimedia and Information Society)
(담당교수: 김대호,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언론정보학과 ❚ 11

새로운 정보통신기술과 멀티미디어의 성장에 따른 사회 변화의 문제에 관한 기존의 여러 이론적 논의를


비교, 분석하고 그러한 테크놀로지의 도입과 이용에 따라 사회의 제반영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구체적인
변화의 특성과 문제점들을 한국 사회와 관련시켜 연구한다.
COM7012 통계분석 및 연구설계(Statistical Analysis & Research Design)
(담당교수: 박정의,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매스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있어서 필수적인 통계분석 지식과 응용능력을 기르며 독자적인 연구와 평가
를 위한 실험설게, 자료분석 및 가설 검증 등을 검토, 연구한다.
COM7013 사이버커뮤니케이션(Theories of Cyber-communication)
(담당교수: 하주용, 학점: 3학점, 개설학기: 1학기)
인터넷의 발전으로 사이버공간의 실재성이 점증하고 있으며, 사이버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행위가 갖
는 사회적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사이버커뮤니케이션의 특징과 이용자의 속성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고찰을 시도한다.
COM7014 문화연구세미나(Research in Cultural Studies)
(담당교수: 호세다비드,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Students in this course will begin by exploiting the advantages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hen
they will utilize critical methods to provide useful framewoCOMs and woCOM out areas of conflict;
finally, they will identify and study a specific and distinctive social unit as a way of testing the
validity of their framewoCOMs and methods.
COM7015 영화비평연구(Advanced Film Criticism)
(담당교수: 호세다비드, 학점: 3학점, 개설학기: 1학기)
Principles of film commentary for media. This course will instruct students on how film releases
may be viewed, assessed, and written about, with several exercises culminating in a medium-length
film critique.
COM7016 광고연구세미나(Advertising Research Seminar)
(담당교수: 김상훈,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이 수업은 광고의 기본이 되는 기초적인 이론에서부터 기호학과 행태주의, 게슈탈트 심리학, 그리고 정
신분석학을 아우르며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길을 강의할 예정이다.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과학적 특징과
본질에 대해 강의 할 것이며, 행태주의와 이를 이용한 크리에이티브를 제시하여 최종적으로 심리학과
정신분석학의 정의와 광고에 적용되는 것을 세미나를 통하여 강의 할 예정이다.
COM7017 광고크리에이티브론(Advertising Creative)
(담당교수: 문성준, 학점: 3학점, 개설학기: 1학기)
이 수업은 광고의 기본이 되는 기초적인 이론에서부터 기호학과 행태주의, 게슈탈트 심리학, 그리고 정
신분석학을 아우르며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길을 강의할 예정이다.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과학적 특징과
본질에 대해 강의 할 것이며, 행태주의와 이를 이용한 크리에이티브를 제시하여 최종적으로 심리학과
정신분석학의 정의와 광고에 적용되는 것을 세미나를 통하여 강의 할 예정이다.
COM7018 소비자행동론(Consumer behavior)
(담당교수: 김상훈, 학점: 3학점, 개설학기: 1학기)
소비자 행동론 수업을 통하여, 어떤 특정 개인이 재화나 서비스의 구매여부와 언제 , 어디서, 무엇을 , 어
떻게, 누구로 부터 구매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과정을 이론적으로 교육할 것이다. 소비자들이 그들의 욕
구를 충족 시켜 주리라고 기대 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탐색하고 구매, 가용, 평가 및 처분하는데 나타나는
행동을 좀 더 세분화하여 교육할 것이다.
COM7019 PR기획론(PR Planing)
(담당교수: 김상훈,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PR은 공중(소비자,언론,지역주민, 정부,주주 등)들과 창조적인 방법으로 커뮤니케이션하여 공중들이 기
업을 지지하도록 하는 사회과학적 경영전략이다. PR의 도구로는 신문,방송뿐만 아니라 우리의 주위에
있는 모든 것이 될 수 있기에 PR전략은 무궁무진하게 개발될 수 있다. 이 과목을 통하여 효율적인 PR전
략을 이론적으로 습득할 예정이다.
COM7020 방송연구(Advanced Studies in Broadcasting)
(담당교수: 박인규, 학점: 3학점, 개설학기: 1학기)
방송법, 방송 체제, 방송사 조직과 문화, 프로그램의 편성과 제작 등 방송부문의 특정 주제를 선
정하여 체계적이고 심도 깊은 연구를 한다.
COM7021 문화정책세미나(Seminar in Culture, Communication & Policy)
(담당교수: 박정의,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계층간, 사회간 문화적 이동이 빈번해짐에 따라서 문화간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화적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한 각종 정책에 대한 이해에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를 학문적으로 접
근하고 실증적으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교과의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강의 전반부는 문화,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정책에 대한 기본 개념들을 중심으로 구성되
며 후반부는 해당년도의 문화정책과 관련된 핵심테마를 중심으로 토론과 모델링을 진행한다.
COM7022 소셜 커뮤니케이션연구(Studies in Social Media)
(담당교수: 심민선,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본 과목은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과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현상과 과정, 그리고 효과
를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소셜커뮤니케이션이 전통적인 방식의 커뮤니케이션과 비교하여 어떠
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소셜 커뮤니케이션이 대인, 집단 커뮤니케이션 양상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정체성, 자기 표현, 인상 형성, 집단 과정, 소셜 네
트워크와 커뮤니티, 공통과제 수행 등의 관련 이론들과 연구들을 읽고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이
소셜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비판적이고 분석적인 시각을 가지도록 한다.
COM7023 커뮤니케이션 논문 세미나 1(Communication Research Seminar 1)
(담당교수: ,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대한 다양한 주제를 잡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측정 논문 작성을 목표로 한
다. 특히 커뮤니케이션 논문세미나 1에서는 양적인 방법, 즉 실험, 서베이, 내용분석 방법을 사
용하여 대학원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논문 작성법을 배울 것이다. 언론정보 전공 1학기 대학원
설강 과목인 커뮤니케이션 논문 세미나 2의 경우 질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논문을 작성할 예정
이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논문 세미나 1과 차이점이 있다.
COM7024 커뮤니케이션 논문 세미나 2(Communication Research Seminar 2)
(담당교수: , 학점: 3학점, 개설학기: 1학기)
커뮤니케이션 논문 세미나 2에서는 질적인 방법, 즉 현지 관찰, 포커스 그룹 연구, 심층 면접,
언론정보학과 ❚ 13

사례연구를 사용하여 대학원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논문 작성법을 배울 것이다. 유사과목인 언


론정보 전공의 커뮤니케이션 논문 세미나 1의 경우 양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논문을 작성할 예
정이기 때문에 질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 논문 세미나 2와 차이점이 있다.
COM7025 미디어정책(Media policy)
(담당교수: , 학점: 3학점, 개설학기: 2학기)
본 과목은 미디어 정책에 대한 이론적, 현실적인 탐구를 강의한다. 미디어 정책의 이론적인 논
의 주제로서, 미디어 융합, 미디어 산업과 규제 정책의 관계, 다원주의, 미디어 산업과 표현의
자유, 미디어 생태계, 미디어 거버넌스 등을 다루며, 구체적인 정책 이슈로서 미디어 집중, 콘텐
츠 규제, 공공미디어, 미디어 재원, 산업 진흥 정책 등의 이슈를 다룬다. 이 강의를 통해 미디어
정책의 전반적인 특을 갖도록 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