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수학1 단원별 모의고사 1-2

 

1-1 지수, 로그, 지수함수, 로고함수 3. 3)  이 아닌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의 값은? [  점]
1. 1)


 이 어떤 자연수  의 제곱근이 되도록 하는 두 자리 ①  ②  ③ 
자연수 의 개수는? [  점]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 


4. 4)

     이 모두 자연수가 되게 하는 자연수 의


2.         일 때,  
의 값은? [  점]
최솟값의 각 자리 숫자의 합은? [5.3점]
2)

①  ②  ③ 
①  ②  ③ 
④  ⑤ 
④  ⑤ 

- 1 -
수학1 단원별 모의고사 1-2

5. 5)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log         가 정의 7.   ×  이라


7) 할 때, log    log    로
되기 위한 정수 의 값을 구하는 풀이과정을 서술하고, 정답을 계산하여 상수   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쓰시오. (단,   log    이고,  는 정수이다.) [7.0점]

8.   ×  이라
8) 할 때, log    log    로
6. 6)  loglog   에 대하여 계산하여 상수   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  ⋯   (단,   log    이고,  는 정수이다.) [7.0점]
일 때, 의 값은? (단, ≠  ,    ) [ 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 2 -
수학1 단원별 모의고사 1-2

9. 약물의  
9) 혈중 농도는 약물을 복용한 후 줄어들기 시작하는데
그 변화는 지수함수를 따른다고 한다. 어느 약물의 혈중 농도가
11. 1 1)

  
다음 중 함수   에 대하여 [보 기]에서 옳은

 시간 마다 반으로 줄어든다고 할 때, 이 약물의 혈중 농도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 점]

현재의  가 되는 것은 약물을 복용하고 몇 시간 후인가?(단, [보 기]


log   으로 계산한다.)[4.8점] ㄱ.    이면  이다.
  ㄴ. 임의의 두 실수  ,  에 대하여
①  ②  ③ 
   이면    이다.
 
④  ⑤  ㄷ. 그래프가 제  사분면과 제  사분면을 지난다.
 
ㄹ. 서로 다른 두 실수  ,  에 대하여
    
 
    이다.
 

① ㄱ ② ㄱ, ㄹ ③ ㄴ, ㄹ
④ ㄱ, ㄴ, ㄹ ⑤ ㄱ, ㄷ, ㄹ

 
10. 두 10 ) \

 
함수           에 대하여,

  ≤  ≤  에서   의 최댓값이 M 이고 최솟값이
m
12. 1 2) 그림과 같이 점 A 와 점 C 는 곡선    위의
 일 때, M 과 m 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서술하시오. [8.0점]
점이고, 두 점 B , D 는 곡선    위의 점이다. 선분 AB , BC ,

CD
CD 가  축 또는  축에 평행하고    일 때,  의

AB

값은?[  점]

 
①  ②  ③ 
 

④  ⑤ 

- 3 -
수학1 단원별 모의고사 1-2

13. 13 )  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모든 정수  의 15. 1 5) 방정식 loglog     의 두근을  라 할 때,


개수가  개일 때, 자연수 의 최댓값을 구하고 과정을  의 값은?
서술하시오. 
①  ②  ③ 
[  점] 

④  ⑤ 


14. 14 ) 정의역이    ≤  ≤ 인 함수


log
  log log   × log   ×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 4 -
수학1 단원별 모의고사 1-2

log  
정답 및 풀이
 
 log   loglog   loglog
log
1) ③  loglog loglog
풀이
 loglog loglog
 


 가 어떤 자연수  의 제곱근이 되어야하므로   

를  loglog loglog

성립하는  값을 찾으면 된다. 두 자리이면서  의 배수를 ⋮


구하면 총  개가 나온다.  loglog loglog
모두 더해주면
2) ⑤  ⋯   loglog loglog
풀이

[풀이]   
 log  
log
log 
   에서  log

   
따라서   
  


      7)      
풀이

3) ⑤   ×  의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풀이  log   log 



  ×   log 

  
  의 양변을 제곱하면,    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log    이고,  는 정수이므로
     
     
  log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한편, log    이므로   
∴      
4) ②
풀이 8)      
      풀이

   

   라 두면   ,   모두 자연수가 되어야
  ×  의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하므로
 log   log 
만족하는 최소의         ⋅  
 ×   log 
  log  
5) 정수 는 없다.
풀이
이때   log    이고,  는 정수이므로
log     
log         에서
한편, log    이므로   
밑의 범위는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진수의 범위는           9) ①
              풀이

    농도를  , 시간을  라고 하면 두 관계는 지수함수의


즉,     ≠ 이므로 만족시키는 관계이므로
정수 는 없다.   

 시간 후의 농도가 처음 농도의  이므로
6) ⑤ 
풀이

   ⋯ ㉠

- 5 -
수학1 단원별 모의고사 1-2

 풀이

 


  
    라 하면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이고 이를 만족하는 정수  가  개뿐이므로 가능한


㉠ ×㉡ 에서
정수  는        이다.

    
 따라서  ≤     ≤    이므로 의 최댓값은  이다.
양변에 log를 취하면
     log 14) ①
 풀이

  이므로


   ≤  ≤  의 범위를 log 에 대하여 바꾸면  ≤ log ≤  이

 되고, log  log 이므로 log   라 하고  의 범위를 구하면

 


     log   ≤  ≤  이 된다. 식을  에 대하여 정리하면

        이고 완전제곱식으로 바꾸면
       log
        이 되므로    일 때 최솟값  을 갖고,
     ×     일 때, 최댓값  을 갖는다. 그러므로 합은  가 된다.

  
 15) ③
 풀이
 

loglog     에서
log  log     이므로 두근은 loglog

10) M   m    
log  log        

풀이

주어진 범위에서 의 범위는  ≤  ≤ 




따라서 M  
  
 
 
m   이다.

M   m   

11) ④
풀이

ㄱ. 감소함수이다. (참)
ㄴ. 일대일이다. (참)
ㄷ. 제  사분면과 제  사분면을 지난다. (거짓)
ㄹ. 아래로 볼록하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ㄹ

12) ⑤
풀이

A , B  , C  , D 



CD   
        에서    이다.

AB   
따라서   

13) 

- 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