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파이썬 개념 정리 : 10 장]

[중첩 조건문]
1)----------------------------------
if num > 0 : 조건 1) num 이 양수라면,
if num % 2 == 0 : 조건 2) num 을 2 로 나눈 나머지가 0 과 같다면(num 이 짝수니?)
print(‘num 은 짝수’)
else :
print(‘num 은 양수가 아니다.’)
*조건 2)에 부합하지 않으면, 조건문 1 끝까지 완전히 밖으로 빠져나옴.

2)-----------------------------------
n = int(input(‘숫자입력?’))
if n > 0 : 조건 1) n 이 양수라면,
print(‘입력숫자 =’, n)
if n % 2 == 0 : 조건 2) n 이 짝수니?
print(‘짝수’) 조건 2)에 부합하지 않으면 완전히 밖으로 빠져나옴.
else :
print('음수’)
숫자입력? 123
입력숫자 = 123 홀수에 대한 언급이 없었기 때문에, 조건문 1 끝까지 완전히 밖으로 빠져나옴.
------------------------------------

[datetime]
import datetime >> 라이브러리(라이브러리 안에는 여러 개의 클래스가 있음.)
해석 : datetime 에 대한 라이브러리를 가져오면서
from datetime >> class 의 한 종류
해석 : 그 안에 있는 datetime 이라는 class 를 사용하겠다.
datetime.today( ).day
해석 : datetime 안에 있는 today 라는 함수 이용. today 년월일 중에서 day 를 가져와라.
-----------------------------------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선언
dayNum = datetime.today( ).day

[반복문]
-for 문 : 횟수에 따른 반복 , -while 문 : 조건식 결과에 따른 반복

[for 문] for~in
1) -------------------------------------
for i in range(1, 11, 1) :
print(i)
-------------------------------------
range(1, 11, 1) >>> 1, 2, 3, 4, 5, 6, 7, 8, 9, 10
시작 값 1, 종료 값 11, 증감 값 1 이므로, 1 부터 10 까지 1 씩 증가하는 정수(종료값 11 은 제외)
** 들여쓰기를 안하면 for 문과 상관없는 문장이 되고, 들여쓰기를 하면 for 문과 관련된 문장이 됨.
** 코드블록을 한 칸 안쪽으로 들여 써야 함.
2) --------------------------------------
Tip)만약 종료 값을 포함하고 싶다면? >>> 종료값에 ‘변수+1’ 넣어주면 됨.
a = int(input(‘반복 숫자’))
for a in range(1, a+1, 1) :
print(a)
반복숫자 7
1 2 3 4 5 6 7 >>>

** 1 에서 6 까지 가고 싶으면 (1, 7, 1)
** 1 에서 7 까지 가고 싶으면 (1, 7+1, 1)

3) ------------------------------------------
a = int(intput(‘반복숫자’))
for a in range(1, a+1, 1) : 1 부터 a+1 까지 쭉 나열되는데,
if a % 3 == 0 : 그 중에 3 의 배수만 프린트 해라.
print(a)
반복숫자 20
3 6 9 12 15 18 >>>

4) ---------------------------------------
<구구단 만들기>
a = int(input(‘숫자’))
for i in range(1, 10, 1):
print(a, end = ‘ ‘) end = ‘ ‘ 줄바꿈 하지 말고 옆으로 작성해라!
print(‘*’, end = ' ‘)
print('i’, end = ‘ ‘)
print('=’, end = ‘ ‘)
print(a * i)
숫자 3
3*1=3
3 * 2 = 6 ,,,,,,
3 * 9 = 27

[반복문 ‘for 문’ 속의 들여쓰기 내어쓰기(들여쓰기 X)의 차이]


[헷갈림 중요]

sum = 0
for b in range(1, 11, 1) :
sum = sum + b sum 0 + b 1 , sum 1 + b 2 , sum 2 + b 3 ,,,,, 이런 식으로 반복.
print(‘sum = ‘, sum) 내어쓰기 함으로써 print 를 반복문 밖으로 빼줌. 반복 안함.
sum = 55

sum = 0
for b in range(1, 11, 1) :
sum = sum + b sum 0 + b 1 , sum 1 + b 2 , sum 3 + b 3 ,,,,, 이런 식으로 반복.
print(‘sum = ‘, sum) 들여쓰기 함으로써 print 를 반복문 안에 넣어주고, print 를 반복시킴
sum = 1
sum = 3
sum = 6
,,,,,,
sum = 5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