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구성 단계 예

가 ㉠ 기본 조직계
효소 작용

전자를 다른 분자에 전달하여 전자
다 잎
를 잃거나 얻는 반응에 관여한다
기질의 작용기를 떼어 다른 분자로
옮겨준다

 생




Ⅰ Ⅱ
Ⅰ Ⅱ

물질 전환 과정 ㉠∼㉢
생물 과명 목명
㉠ →
㉡ 피루브산 → 아세틸 누에콩 콩과 콩목
㉢ 아세트알데하이드 → 에탄올 아몬드
자주개자리 콩과
장미 장미과
뽕나무 장미목


Ⅱ Ⅳ

과정 ㉠ ㉡ ㉢
Ⅰ ○ × ×
ⓐ ○ ×
생물
ⓑ ○ ○ 특징 특징 ㉠∼㉢
ⓒ × × ㉠ ○
∙ 배엽성 동물이다
○ 생성됨 × 생성 안 됨 ㉡ × ∙ 원구가 입이 된다
㉢ ○ × ○ ∙ 체절이 있다
○ 있음 × 없음

개체군의 크기가 작을수록 자 창시자 효과는 서로 다른 특정 대립유전자를 갖


연재해 등으로 인하여 대립유 두 개체군 사이에서 개체 는 개체가 생존이나 번
전자의 빈도가 급격하게 변할 의 이주가 일어나 유전자 식에 유리하면 자연 선
가능성이 높아져. 풀이 변하는 현상을 뜻해. 택에 의해 유전자풀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어.




생명과학Ⅱ
  

   
 
 
   
염기 개수 개
가닥 
㉠ ㉡ ㉢ ㉣


   
ⓒ Ⅰ Ⅱ

Ⅱ Ⅲ

 
 

  

′ ′

폴리 아미노산 수
펩타이드 ㉠ ㉡ 아르지닌

 


 

 

  구분 중층 ㉮

 



Ⅰ Ⅳ

Ⅰ Ⅳ
Ⅰ Ⅳ

대장균 결실 부위
Ⅰ ㉠ 특징

Ⅱ ∙ Ⅰ∼Ⅳ 중 개에서 ⓐ가 생성된다.


Ⅲ ∙ Ⅱ와 Ⅳ에서 ⓑ가 생성된다.
Ⅳ ㉣



Ⅱ Ⅲ

Ⅱ 구분 염기 서열
Ⅰ ′ ㉣㉣㉡㉡㉡㉢㉢ ′
Ⅱ ′ ㉣㉣㉡㉢㉠㉣㉡ ′
Ⅲ ′ ㉣㉠㉡㉣㉡㉢㉠ ′

Ⅰ Ⅱ 

Ⅰ Ⅱ
Ⅰ Ⅱ


Ⅰ Ⅱ

처리한 제한 효소 가 나 다 라 마
 조각의 염기 수
Ⅰ 


Ⅱ 

Ⅰ Ⅱ

Ⅱ 



Ⅰ Ⅱ


Ⅱ 
Ⅰ 

생명과학Ⅱ , 가 생성되고, 탄소 화합물이 탄소 . 특정 대립유전자가 있는 개체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화합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 , 자연 선택이 일어나면 개체군의 유전자풀에 변화가
1. 생명 과학의 역사 정답 ③
일어난다.
가 생성되며, 탄소 화합물이 옥살아세트산으로 전환
ㄱ. ㉠은 다윈, ㉡은 멘델, ㉢은 린네이다.
되는 과정에서 ,  가 생성된다. Ⅰ에
ㄴ. 린네(㉢)가 동식물의 체계적인 분류 방법을 제안하 13. 의 구조 정답 ⑤
서 ㉠만 생성되었으므로 는 탄소 화합물, ㉠은
고, 이명법을 고안한 시기는 년이고, 멘델(㉡)
이다. 따라서 는 옥살아세트산, 는 시트 ㄱ. 의 단일 가닥인   ,   ,   에는 이 없고,
이 유전의 기본 원리를 밝힌 시기는 년이다.
르산, 는 탄소 화합물이다. 옥살아세트산( )이 에는 대신 이 있다. 따라서 ㉡과 ㉣ 중
ㄷ. 이명법(ⓐ)은 속명과 종소명, 명명자로 구성된다.
시트르산( )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는 , , 하나가 인데, ⓒ에 ㉡과 ㉣이 모두 있으므로 ⓒ가
가 모두 생성되지 않으므로 ⓒ가 Ⅱ이고,  이다. 만약 ㉣이 이면 ⓐ, ⓑ, ⓓ 중 하나에서
2. 식물의 유기적 구성 정답 ④
탄소 화합물( )에서는 탄소 화합물( )로 전환되 의 개수가 개이어야 한다. 그런데 이 개인 가
ㄱ. (가)는 조직계, (다)는 기관이므로 (나)는 세포이다.
는 과정에서 , , 가 모두 생성되므 닥은 없으므로 ㉡이 이다.  는   을 주형 가닥으
ㄴ. 표피 조직은 표피 조직계를 구성하며, 기본 조직계
로 ⓑ가 Ⅳ이다. 따라서 ⓐ는 시트르산( )이 탄소 로 이용하여 전사되었으므로 의 개수가 개인 ⓐ
(㉠)는 울타리 조직, 해면 조직과 같은 유조직으로
화합물( )로 전환되는 Ⅲ이다. Ⅲ(ⓐ)에서 생성되는 가   이다.
구성된다.
㉡은  이고, 생성되지 않는 ㉢은 이다.
ㄷ. 세포(나)는 동물의 구성 단계에도 있다. ㄴ.   와  는 과 을 제외한 나머지 염기 개수가
ㄴ. 분자당 탄소 수는 옥살아세트산( )이 , 시트르
서로 같다. ⓑ가   라면 ㉠은 이고,   에서 이
3.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 정답 ① 산( )이 이므로 가 보다 많다.
개, 이 개(또는 개), 이 개(또는 개), 이
ㄷ. 탄소 화합물( )이 탄소 화합물( )로 전환되는
ㄱ, ㄷ. 가 사용되면서 세포막을 통해 가 세포
과정 Ⅳ(ⓑ)에서 는 기질 수준 인산화에 의해 개이다. 이 경우  에서 인 조건을 만
안에서 밖으로 이동하므로 의 이동 방식인 (가)는
생성된다.
능동 수송이다. 능동 수송은 농도 기울기를 거슬러 족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가   이고, ㉠은 ,㉢
물질을 수송할 수 있으므로 가 능동 수송(가)의
9. 광합성 정답 ④ 과 ㉣은 각각 과 중 하나이다. 이를 바탕으로
방식으로 이동한다고 하더라도 세포 안팎의 의 농
ㄱ, ㄷ. 엽록체에서 가 있는 ㉠은 스트로마이고, ⓐ~ⓓ에서 염기 ㉠~㉣과 의 개수를 나타내면 표
도는 최종적으로 같아지지 않는다.
㉡은 틸라코이드 내부이다. 과정 Ⅰ은 의 환원 와 같다.
ㄴ. 폐포와 모세 혈관 사이에서의 산소의 이동 방식은
과정으로 명반응에서 생성된 와 비순환적 전자 염기 개수 개
확산이다.
흐름(비순환적 광인산화)에서 생성된 (ⓐ) 가닥 ㉠ ㉡ ㉢ ㉣
가 소모된다. 또는 또는
4. 세포의 구조와 기능 정답 ④
ㄴ. 탄소 고정 반응(암반응)의 일부인 과정 Ⅰ은 스트 ⓐ 
ㄱ. 는 미토콘드리아, 는 리보솜, 는 중심체이
로마(㉠)에서 일어난다. ⓑ 
다. 미토콘드리아( )에는 와 리보솜이 있으
므로 단백질 합성이 일어난다. ⓒ 
10. 생물의 분류와 계통수 정답 ③
ㄴ. 리보솜( )은 막 구조가 아니다. ⓓ 
ㄱ, ㄴ. 누에콩과 자주개자리는 모두 콩과이므로 같은
ㄷ. 중심체( )는 방추사 형성에 관여한다.
콩목에 속한다. 뽕나무는 장미목에 속하는데, 제시 ㄷ.  에서 쌍의 개수는 개, 쌍의 개수
된 생물 종류가 개의 목으로 분류되므로 아몬드, 는 개이다. 따라서  에서 염기 간 수소 결합의
5. 효소의 종류와 특성 정답 ③
㉡, 뽕나무는 같은 장미목에, ㉠은 콩목에 속한다. 총개수는 × × 개이다.
ㄱ, ㄴ. 수소( )나 산소( ) 원자 또는 전자를 다른
이때 제시된 생물 종류가 개의 과로 분류된다고
분자에 전달하여 전자를 잃거나 얻는 반응에 관여하 14. 복제 실험 정답 ①
하였으므로 ㉠은 콩목에 콩과에 속한다. 장미목에서
는 효소는 산화 환원 효소( )이고, 기질의 작용기를
뽕나무를 제외하고 나머지 종류의 생물은 한 분기 ㄱ. 실험 결과  에서 중층의 상대량이 ㉮의
떼어 다른 분자로 옮겨주는 효소는 전이 효소( )이
점에서 갈라져 나왔으므로 모두 같은 과에 속하며, 상대량의 배이므로 ⓐ와 ㉡은 각각 와
다. 광합성 과정에서 산화 환원 반응이 일어나므로
이 중 장미가 장미과에 속하므로 아몬드와 ㉡도 장 중 서로 다른 하나이다. ㉠이 라면 은
산화 환원 효소( )가 이용된다.
미과에 속한다. 의 만 가진다. 이 경우  에서는
ㄷ. ㉠은 수소 원자쌍을 다른 분자에 전달하는 산화
ㄷ. 아몬드는 장미목에 장미과, 자주개자리는 콩목에 ⓐ가 라면 중층( )에서만 가존
환원 반응을 촉매하므로 산화 환원 효소( )에 해당
콩과, 장미는 장미목에 장미과에 속하므로 아몬드와 재하거나, ⓐ가 이면 중층( )과 하층
한다.
자주개자리의 유연관계는 아몬드와 장미의 유연관 ( )에서 같은 양의 가 존재해야 한
6. 생명의 기원 정답 ② 계보다 멀다. 다. 그런데  에서 중층의 상대량이 ㉮에서
보다 많으므로 ㉠은 이고, ㉡은 이다.
ㄱ, ㄴ. ㉠은 최초의 무산소 호흡 종속 영양 생물이다.
11. 동물의 분류 정답 ⑤ ㄴ, ㄷ.  에서 중층의 상대량이 ㉮의 배가
무산소 호흡 종속 영양 생물은  를 방출하므로
ㄱ, ㄷ. 나비는 절지동물, 달팽이는 연체동물, 말미잘 되려면 ⓐ는 , ㉡은 이어야 하며, ㉮는 상층
ⓐ는  이고, ⓑ는  이다.
은 자포동물, 불가사리는 극피동물이다. 이 중 배 ( )이다. 이를 바탕으로  ~  의
ㄷ. ㉡은 최초의 광합성 세균이고, ㉢은 최초의 산소
엽성 동물은 말미잘이고, 원구가 입이 되는 동물은 추출하고 각각 원심 분리하여 상층( ), 중
호흡 세균이다. 산소의 농도와 유기물의 양의 증가
나비, 달팽이이며, 체절이 있는 동물은 나비이다. 층( ), 하층( )에 존재하는 이중
로 최초의 산소 호흡 세균(㉢)이 출현하게 되었다.
㉠~㉢ 중 가지 생물이 갖는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나선 의 상대량을 정리하면 표와 같다.
‘원구가 입이 된다.’뿐이므로 ㉢이 ‘원구가 입이 된
7. 세포 호흡과 발효 정답 ① 구분 상층 ㉮ 중층 하층
다.’이다. 따라서 ㉢을 갖는 와 는 각각 나비와
ㄱ. Ⅰ은 미토콘드리아 기질, Ⅱ는 세포질이다. 미토 달팽이 중 하나인데, 나비만 가지 특징을 가지므로

콘드리아 기질(Ⅰ)에는 미토콘드리아의 ,리 가 나비이고, 가 달팽이이다. ㉡은 나비( )가


보솜 등이 있다.  
가지지 않는 특징이므로 ‘ 배엽성 동물이다.’이고,
ㄴ. ㉠은 가 합성되는 과정으로 미토콘드리아 따라서 ㉠이 ‘체절이 있다.’이다. 달팽이( )는 촉수

기질(Ⅰ)과 세포질(Ⅱ)에서 모두 일어나고, ㉡은 피 따라서


담륜동물에 속한다. 의 상층(㉮)에는 ⓐ로 표지된 가
루브산의 산화 과정으로 미토콘드리아 기질(Ⅰ)에 ㄴ. 는 ㉡을 가지지 않으므로 불가사리이고, 는 말 없으며,  는 이다.
서 일어나며, ㉢은 알코올 발효 과정의 일부로 세포 미잘이다.
질(Ⅱ)에서 일어난다. 15. 벤슨의 실험 정답 ②
ㄷ. 알코올 발효 과정 중 일어나는 아세트알데하이드 12. 유전자풀의 변화 요인 정답 ④ ㄱ. 광합성 속도가 증가한 조건에서  는 ‘있음’(ⓑ)
가 에탄올로 전환되는 과정(㉢)에서는  가 생성 . 개체군의 크기가 작을수록 유전적 부동에 의해 유 이다. 따라서 ⓐ는 ‘없음’, ⓑ는 ‘있음’이다.
되지 않고, 피루브산이 아세틸 로 전환되는 피 전자풀의 변화가 급격하게 변할 가능성이 높다. ㄴ.  는 명반응 과정 중 비순환적 광인산화 과정에서
루브산의 산화 과정(㉡)에서는  가 생성되므로 . 창시자 효과는 어떤 개체군에서 일부가 우연히 새 물의 광분해로 생성된다. 구간 Ⅰ에서 빛은 ‘없음’
㉡에서만 탈탄산 반응이 일어난다. 로운 지역으로 떨어져 나와 정착하면서 나타나는 현 (ⓐ)이고, 구간 Ⅱ에서 빛은 ‘있음’(ⓑ),  는 ‘없
상이다. 개체군 사이에서 개체의 이주가 일어나 대 음’(ⓐ)이므로 단위 시간당 생성되는 의 양은 구
8. 회로 정답 ⑤ 립유전자가 개체군 안으로 유입되거나 개체군 밖으 간 Ⅰ에서가 구간 Ⅱ에서보다 적다.
ㄱ. 시트르산이 탄소 화합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로 유출되는 현상은 유전자 흐름이다. ㄷ. 빛을 이용하는 명반응은 구간 Ⅱ에서만 일어나므

59 64
59
스트로마의 대립유전자의 빈도 유전자형에 따른 개체 수
로 는 구간 Ⅱ에서가 구간 집단
틸라코이드 내부의 열성 우성 20. 제한 효소 정답 ③
Ⅲ에서보다 크다. Ⅰ

16. 유전자의 발현 정답 ② ◦ ㉠은 아데닌( ), ㉡은 사이토신( ), ㉢은 구아닌
ㄱ, ㄷ.  의 전사 주형 가닥으로부터 전사된 ( ), ㉣은 타이민( )이고, Ⅰ은 ㉱, Ⅱ는 ㉯, Ⅲ은
의 염기 서열과 의 아미노산 서열은 표와 같다. ㄱ, ㄴ. Ⅰ의 총개체 수를 , Ⅱ의 총개체 수를 이 ㉰이다.
라 하고, Ⅰ에서 의 빈도를 , 의 빈도를 , ◦ (가)~(마)의 절단 위치와  의 염기 서열은 그림과


Ⅱ에서 의 빈도를 , 의 빈도를 라고 하자. 같다.
메싸이오닌 류신 세린 프롤린 아르지닌 류
i) Ⅰ이 하디 · 바인베르크 평형이 유지되는 집단이
신 세린 아르지닌 발린 세린 류신 고, 가 에 대해 우성일 경우:Ⅰ에서 를

에서 개씩 있는 ㉠과 ㉡은 각각 류신과 세린 중 가진 개체들을 합쳐서 구한 의 빈도 

하나이다.  는  의 전사 주형 가닥에서 연속된 개의

염기가 회 결실된 것이고, 에서 류신, 세린, 아르지  이므로, 이다. 따라서 Ⅰ에서 검은

닌의 수가 각각 이므로  의 전사 주형 가닥으로부터 색 몸 개체 수는 × 이며, Ⅱ에 ㄱ.  에 (마)를 처리하였을 때 생성된 두 조각
전사된 에서 결실된 부위(밑줄 친 부위)와 서 검은색 몸 개체 수는 , 유전자형이 중 한 조각의 염기 수가 이므로 (마)에 의해 절단되는
의 합성에 이용되는 종결 코돈의 위치, 그리고 의 인 개체 수는 이다. Ⅱ에서 를 가 위치는 Ⅰ에 있고, (다)를 처리하였을 때 생성된 두
아미노산 서열은 표와 같다.  조각 중 한 조각의 염기 수가 이므로 (다)에
진 개체들을 합쳐서 구한 의 빈도가  이므로
′  의해 절단되는 위치는 Ⅲ에 있다. 이를 바탕으로  의
′ ×( 인 개체 수) ( 인 개체 수)  염기 서열 일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
메싸이오닌 류신 세린 프롤린 아르지닌 
며, Ⅰ에서 의 빈도가 이고 Ⅱ에서 의빈
 는  의 전사 주형 가닥으로부터 합성된 에 도는 이므로
가 회 삽입되고, 에서 ㉠과 ㉡, 아르지닌의 ×( 인 개체 수) ( 인 개체 수) 
 인
수를 모두 더한 값이 이므로 의 합성에 이용된  표에 제시된 Ⅰ이 ㉮이면, ㉣은 , ㉡은 이고,
종결 코돈보다 앞에 삽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 의   Ⅲ에서 ′ 말단의 두 번째와 세 번째 염기가 각각
데, 이 두 식에서  × 의 값과  × 의
전사 주형 가닥으로부터 합성된 에 삽입된   (㉣)과 (㉡)이거나, ′ 말단의 다섯 번째와 여섯
위치(밑줄 친 부위)와 의 아미노산 서열은 표와 같다. 값이 같을 수 없다. 번째 염기가 각각 (㉣)과 (㉡)이어야 한다. 그런
ii) Ⅰ이 하디 · 바인베르크 평형이 유지되는 집단이
′ 데 이 경우 표에 제시된 Ⅲ이 ㉰와 ㉳ 중 어느 것이라
′ 고, 가 에 대해 우성일 경우:Ⅰ에서 검은색
도 만족하지 않는다. 표에 제시된 Ⅰ이 ㉱이면, ㉢은
메싸이오닌 류신 세린 아르지닌 류신 글리 몸 개체 수는 × 이며, Ⅱ에서
, ㉡은 이고, Ⅲ에서 ′ 말단의 두 번째와 세
신 아르지닌 발린 세린 류신 검은색 몸 개체 수는 이다. Ⅱ에서
번째 염기가 각각 (㉡)과 (㉢)이거나, ′ 말단의
따라서 에서 류신은 개, 세린은 개이므로 ㉠은 × 인 개체 수 
이므로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염기가 각각 (㉡)과 (㉢)
×( 인 개체 수) 

세린, ㉡은 류신이다. 이어야 하며, 이는 표에 제시된 Ⅲ이 ㉰인 경우에
인 개체 수는 이고, 인 개체 수는
ㄴ.  의 전사 주형 가닥으로부터 전사된 에서 가능하다. 따라서 표에 제시된 Ⅰ은 ㉱이고, ㉠은
유전자형이 인 개체 수
′ ′ 이 결실되었으므로  의 전사 주 이다. 이는 Ⅱ에서 아데닌( ), ㉡은 사이토신( ), ㉢은 구아닌( ), ㉣
유전자형이 인 개체 수
형 가닥에서 결실된 개의 염기 서열은 ′ 은 타이민( )이다. 이를 바탕으로 표의 염기 서열을

′ 이다. 따라서 ⓐ에서 아데닌( )의 수는 이다.  이라는 조건에 모순이다. 정리하여  의 일부 서열을 추가하면 그림과 같다.

iii) Ⅱ가 하디 · 바인베르크 평형이 유지되는 집단이 구분 염기 서열
17. 젖당 오페론 정답 ③
고, 가 에 대해 우성일 경우 : Ⅱ에서 를 Ⅰ㉱ ′ ′
ㄱ, ㄴ. 젖당 오페론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배열은 젖당
 Ⅱ㉯ ′ ′
오페론을 조절하는 조절 유전자 – 젖당 오페론의 프 가진 개체들을 합쳐서 구한 의 빈도 
 Ⅲ㉰ ′ ′
로모터 – 젖당 오페론의 작동 부위 – 젖당 오페론의

구조 유전자 순이다. 포도당은 없고 젖당만 있는 배지  이므로, , 이다. Ⅱ에서 검은색

에서 Ⅰ~Ⅳ를 배양했을 때 젖당 분해 효소는 프로모 몸 개체 수는 ( )× 이다.
터와 구조 유전자가 결실된 대장균에서는 생성될 수 따라서 Ⅰ에서 검은색 몸 개체 수는 이어야
없으므로 Ⅰ~Ⅳ 중 개에서 생성되는 ⓐ는 억제 단 하는데, Ⅰ의 총 개체 수가 이므로 검은색 몸 ㄴ. 표에 제시된 Ⅱ가 ㉯와 ㉲ 중 어떤 경우라도 ′
백질이며, ⓑ는 젖당 분해 효소이다. 따라서 Ⅱ와 개체 수가 일 수 없다. 따라서 Ⅱ가 하디 · ′ 가 있을 수 없으므로 (나)의 인식 서
Ⅳ는 각각 젖당 오페론을 조절하는 조절 유전자와 바인베르크 평형이 유지되는 집단이며, 가 에 열의 위치는 그림과 같다. 따라서 (나)에 의해 절단
작동 부위 중 서로 다른 하나가 결실된 돌연변이이다. 대해 우성이다. Ⅱ에서 검은색 몸 개체 수는 되는 위치는 Ⅲ에 있다.
그림에서 Ⅱ는 ㉡, Ⅳ는 ㉣이 결실된 돌연변이이므 이며, Ⅰ에서 검은색 몸 개체 수는 이다.
로 ㉣은 젖당 오페론을 조절하는 조절 유전자, ㉡은 Ⅰ에서 유전자형이 인 개체 수를 , 인
젖당 오페론의 작동 부위, ㉢은 젖당 오페론의 프로  ×   X 
개체 수를 라고 하면,  
모터, ㉠은 젖당 오페론의 구조 유전자이다. Ⅰ~Ⅳ  ×   X 
중 젖당 오페론을 조절하는 조절 유전자(㉣)가 결실 이다. 따라서 는 이고, 도 이다.
ㄷ.  에 (가)를 처리하여 얻은 조각 중 염기
된 Ⅳ에서만 억제 단백질(ⓐ)이 생성되지 않는다. ㄷ. Ⅰ에서 인 개체 수는 , Ⅱ에서 인
수가 인 것이 있으므로 나머지 한 조각의 염기
ㄷ. Ⅱ에서 젖당 분해 효소(ⓑ)가 생성되었으므로 Ⅱ  
개체 수는 이므로,   이다. 수는 이다. (가)의 인식 서열은 ′
는 중합 효소가 젖당 오페론의 프로모터(㉢)  
′ 이므로 Ⅱ에 있고, 표에 제시된 Ⅱ가 ㉯를
에 결합하여 젖당 오페론의 구조 유전자(㉠)의 전사
19. 생명 공학 기술 정답 ⑤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가)~(마)
가 일어난 돌연변이이다. 따라서 Ⅱ는 ㉡과 ㉢ 중
ㄱ. 는 정자와 난자의 수정으로 형성된 수정란이고, 의 절단 위치 및  의 염기 서열을 정리하면 그림과
㉡이 결실된 돌연변이이다.
배반포의 내세포 덩어리를 채취 및 배양하여 줄기세 같다.
포 를 얻었으므로 는 배아 줄기세포이다.
ㄴ. 를 얻는 과정에서 핵치환 기술은 이용되지 않았
18. 하디 바인베르크 법칙 정답 ⑤
으며, 조직 배양 기술이 이용되었다.
ㄷ. 수정란( )이 배반포를 형성하는 과정과 채취한 내
◦ Ⅱ가 하디 · 바인베르크 평형이 유지되는 집단이다. 세포 덩어리를 배양하는 과정에서 모두 체세포 분열  에 (가)와 (라)를 함께 처리하여 생성된 개의
◦ Ⅰ과 Ⅱ에서 각 대립유전자의 빈도와 유전자형에 이 일어나므로 와 에 있는 모든 유전자는 염기 조각의 염기 수는 각각 적은 것부터 , ,
따른 개체 수는 표와 같다. 서열이 동일하다. 이다.

60 60 6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