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안전공학(Safety Engineering)

Safety Engineering

안 전 공 학
(4-2) 전기안전

Industrial Engineering
울산대학교

안전공학 Safety Engineering Safety Engineering

산업안전관리론
◈ 산업안전관리개요
▶ 안전관리 개요 ▶ 재해조사 및 통계분석
▶ 안전관리조직 및 운영 ▶ 보호구 및 안전표지
▶ 무재해 운동(안전활동기법) ▶ 작업환경관리
◈ 산업심리와 산업안전
◈ 안전교육  전격재해 및 방지대책
 전기 설비기기 및
전기 작업 안전
인간공학 및 시스템 안전공학  전기화재의 예방
◈ 인간공학  정전기의 재해방지
◈ 시스템 안전공학  전기설비의 방폭
 전기안전 관계법규 및
전기설비 기술기준
산업분야 안전기술
◈ 기계산업 안전 ◈ 전기산업 안전
◈ 화공산업 안전 ◈ 건설산업 안전
2

산업경영공학(Industrial Engineering) 1
안전공학(Safety Engineering)

전기산업안전 Safety Engineering

 전격재해 및 방지대책

 전기 설비기기 및 전기 작업 안전

 전기화재의 예방

 정전기의 재해방지

 전기설비의 방폭

 전기안전 관계법규 및 전기설비 기술기준

전격재해 및 방지대책 Safety Engineering

 전격(electric shock)
 전격의 정의
인체의 일부 또는 대부분에 전류가 흘렀을 때 일어나는 생리적 현상 (사망 또는
중경상)

 감전의 영향
 인체 내에 흐르는 전류에 크기에 따른 감전의 영향

산업경영공학(Industrial Engineering) 2
안전공학(Safety Engineering)

전격재해 및 방지대책 Safety Engineering

 전격(electric shock)
 통전 전류의 크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 최소감지전류 : 전류의 흐름을 느낄 수 있는 최소전류 (1 mA)
 고통한계전류 : 고통을 참을 수 있는 한계전류 (7~8 mA)
 이탈전류 : 자력으로 전기에서 이탈할 수 있는 전류 (10~15 mA)
 마비한계전류 : 근육이 수축현상을 일으켜 신경이 마비되고 신체를 움직일 수
없으며, 구조를 요청하려 해도 말을 할 수 없는 상태 (15~23 mA)
 심실세동전류 : 인체에 흐르는 전류의 일부가 심장으로 흘러 혈액순환이
곤란하게 되어 심장이 마비되는 현상 (70 ~ 110 mA)
 위험한계에너지

전격재해 및 방지대책 Safety Engineering

 전격(electric shock)
 전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
 통전전류의 세기
 통전경로
 통전시간
 전원의 종류 : 교류, 직류
 인체저항
 통전전압의 크기, 주파수, 파형
 전격시 심장맥동 주기의 위상

산업경영공학(Industrial Engineering) 3
안전공학(Safety Engineering)

전격재해 및 방지대책 Safety Engineering

 전격(electric shock)
 인체의 전기저항
 인체 부위별 저항률의 크기
 피부의 전기저항
 조직의 전기저항

전격재해 및 방지대책 Safety Engineering

 전격(electric shock)
 통전회로의 전기저항
 피부 저항
 내부조직 저항
 발과 신 사이
 신발과 대지 사이

 안전전압
 우리나라 : 30V

산업경영공학(Industrial Engineering) 4
안전공학(Safety Engineering)

전격재해 및 방지대책 Safety Engineering

 전격(electric shock)
 감전사고 방지대책
 전기 설비의 점검 철저
 전기 기기 및 장치의 정비
 전기 기기에 대한 위험표시
 유자격자 이외는 전기 기기 및 기구에 접촉금지
 설비의 필요한 부분에 보호접지
 충전부가 노출된 부분에 절연 방호구
 작업자의 보호구 착용

전격재해 및 방지대책 Safety Engineering

 전격(electric shock)
 감전사고 발생시 조치
 위험지역으로부터 상해자 구출 (구조자는 보호용구 또는 방호용구를 사용)
 인공호흡이나 심장마사지 등의 소생법 시술

10

산업경영공학(Industrial Engineering) 5
안전공학(Safety Engineering)

전기설비기기 및 전기안전 작업 Safety Engineering

 전기설비 및 기기
 전선
 전선의 구비조건 : 도전율, 이장강도, 내식성, 접속 용이성
 전선의 굵기를 결정하는 요인 : 선로의 전압 강하, 허용전류, 기계적 강도
 절연전선의 전기저항

 저압 옥내 배선공사
 애자 사용공사
 몰드 공사 : 목재 몰드, 합성수지 몰드, 금속 몰드
 관 공사 : 합성수지관, 금속관, 금속 덕트
 케이블 공사

 고압 옥내 배선공사
 애자 사용공사
 케이블 공사

11

전기설비기기 및 전기안전 작업 Safety Engineering

 전기설비 및 기기
 배선공사의 기술수준
 송배전 계통 : 발전소 -> 송전선로 -> 배전선로 -> 옥내배선
 송전
 배전

 특수장소의 배선
 먼지가 많은 장소의 저압 배선
 가연성 가스 등이 있는 곳의 저압 시설
 위험물이 있는 장소의 저압 배선
 화약류 저장소의 전기 공작물 시설
 부식성 가스 등이 있는 곳의 저압 배선
 흥행장의 저압 배선

12

산업경영공학(Industrial Engineering) 6
안전공학(Safety Engineering)

전기설비기기 및 전기안전 작업 Safety Engineering

 전기설비 및 기기
 개폐기
 개폐기는 각극에 설치
 60V 이상의 전압을 사용하는 전기 기계 기수에는 지락 차단 장치 등을 시설
(전기사업법 기술기준)

 퓨즈 (fuse)
 일정한 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융단

 과전류 차단기
 누전 차단기
 보호 계전기
 피뢰기 및 피뢰침

13

전기설비기기 및 전기안전 작업 Safety Engineering

 전기 작업 안전
 전기작업안전의 기본대책
 전기설비의 품질향상
 전기시설의 안전관리 확립
 취급자세의 안전

 안전작업공간
 작업공간의 확보

 정전 작업의 안전

 활선 작업의 안전
 작업조의 작업한계 및 인원
 접근 한계 거리
 이격 거리
 보호장구 : 절연용 보호구, 절연용 방호구
14

산업경영공학(Industrial Engineering) 7
안전공학(Safety Engineering)

전기설비기기 및 전기안전 작업 Safety Engineering

 전기 작업 안전
 보호 접지 설비
 접지공사의 방법
 접지공사의 종류
 접지극 : 접지핀, 접지관, 수도관의 접지 이용

 교류 아크 용접기의 안전
 아크 용접기의 시설
 아크 용접 작업의 안전
 아크 용접 작업의 재해

 전기집진장치의 안전

15

전기화재의 예방 Safety Engineering

 전기화재
 전기화재 발생원인
 원인별 화재발생 비율
 단락(25), 스파크(24), 누전(15), 접촉부 과열(12), 절연 열화(11), 과전류(8)

 발화원별 화재발생 비율
 이동 전열기(35), 전등, 전화 등의 배선(27),전기 기기(14), 전기장치(9),
배선기구(5), 고정된 전열기(5)

 누전 및 지락
 누전
 지락
 누전 및 지락의 방지대책

 스파크
 스파크
 스파크 화재 방지대책
16

산업경영공학(Industrial Engineering) 8
안전공학(Safety Engineering)

정전기 재해의 예방 Safety Engineering

 정전기 재해
 정전기의 발생
 정전기 발생의 원리 : 정전기 대전, 정전기 방전
 대전형태 : 마찰대전, 박리대전, 유동대전, 분출대전, 충돌대전, 파괴대전,
비말대전, 교반 및 침강 대전

 정전기의 영향
 전격의 위험
 정전기 방전 불꽃에 의한 화재 및 폭발
 생산 장해

17

정전기 재해의 예방 Safety Engineering

 정전기 재해
 정전기 재해의 방지대책
 접지(earth) 및 본딩(bonging)
 도전성 향상
 보호구 착용
 제전기 사용
 가습

18

산업경영공학(Industrial Engineering) 9
안전공학(Safety Engineering)

전기설비의 방폭 Safety Engineering

 전기설비의 방폭
 전기설비의 방폭 방법
 점화원의 방촉적 격리
 전기설비의 안전도 증강
 점화능력의 본질적 억제

 전기설비의 방폭구조
 내압 방폭구조
 유입 방폭구조
 안전증 방폭구조
 특수 방폭구조

 방폭 전기설비 선정의 고려사항


 발화도
 위험장소의 종류
 폭발성 가스의 폭발등급
19

산업경영공학(Industrial Engineering) 1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