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

"#1%&

k1 째 [ ]의 주어 역할을 하는 동명사구이다.
01
본문 6~17쪽
Wee

강 어휘 및 어구

1④ 2③ 3① 4② 5④ 6⑤ editor 편집자
7④ 8① 9③ 10 ① 11 ① 12 ④ academic journal 학술지
concerned 우려하는
medium 매체, 도구
Exercise 1 정답 ④ venture onto 과감히 ~에 뛰어들다
strike ~ as ... ~에게 …하다는 느낌[인상]을 주다
소재 월드 와이드 웹에서의 검색 용이성 resolve 해결하다
해석 적어도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월드 와이드 웹은 빠르 refine 개선하다, 정제하다
게 진화하지만, 한 가지 고질적인 문제를 가진 공간, 즉 효율적인 functional 기능적인, 편리한
검색 기능 없이 항상 확장되는 정보 저장소였다. 1994년에 웹에 drive 강한 욕구, 충동
서 출판을 시작한 최초의 학술지 중 하나인 Postmodern Culture game (자신의 이익에 맞게) 이용하다
sole 단 하나의, 유일한
의 편집자들은 이 새로운 매체에 대해 대단히 우려한 나머지 독자
rank 순위를 차지하다
들에게 경고하기를, 1993년 6월에 대략 100개의 사이트에서 12
dictate 영향을 미치다, 좌우하다
월에 이르러 600개가 넘는 사이트로 늘어난 웹으로 과감히 뛰어
들면 ‘일종의 정보 현기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고 했다. 지금은 이 Word Search
경고가 독자들에게 매우 웃기다는 느낌을 줄지도 모르지만, 1990 | 정답 | 1. medium 2. resolve 3. dictate
년대 많은 기간 동안 웹상에서 무언가를 찾는 것이 문제였다는 점
은 주목할 만하다. 이 문제가 해결되기까지는 거의 10년이 걸렸을
것이다. 하지만 검색 엔진이 개선되고 더 기능적이게 되면서 ‘시스
템을 이용하려는’ 강한 욕구도 증가했다. 그리고 더 많은 개인과 Exercise 2 정답 ③
조직이 어떤 검색에서라도 높은 순위를 차지하려는 단 하나의 목
적을 가진 웹용 콘텐츠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소위 검색 용이성이 소재 글로 기록하는 것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생각
많은 콘텐츠가 생산되고 있는 이유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해석 기록된 문서의 중요성을 보여 주는 특히 흥미로운 사실을
문제 해설 드러내는 발췌는 소크라테스가 한 말에 나온다. 소크라테스는 고
2000년대 초반까지는 월드 와이드 웹(인터넷)에 효율적인 검색 대 그리스의 중요한 철학자였는데, 그는 자기 생각을 글로 기록하
기능이 없어서 정보를 찾기가 쉽지 않았으며, 검색 엔진이 개선되 여 남기는 데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소크라테스는 젊은 학생
고 더 기능적이게 되면서 검색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려는 목적 (Phaedrus)과의 대화에서 이집트의 Thoth 신이 이집트 왕에게
으로 콘텐츠가 제작되었다는 내용이므로, 빈칸에는 ④ ‘검색 용이 주사위, 체커(서양 장기), 숫자, 기하학, 천문학 그리고 기록을 포
성’이 가장 적절하다. 함한 온갖 종류의 발명품을 어떻게 권했는지를 이야기했다. 그 신
① 신뢰성 과 왕은 다양한 선물의 장점과 결점에 대해서 논의했고 기록이라
② 호환성 는 선물에 이르기까지는 대체로 동의했다. 그 신은 정보를 기억할
③ 상상 가능성 수 있다는 장점을 강조한 데 반해, 왕은 다음과 같이 반대했다.
⑤ 일반화 가능성 “만약 인간이 이것을 배우면 그들의 영혼에 건망증을 심을 것이
구조 분석 며, 그들이 기록된 것에 의존하여 더는 자기 내면으로부터가 아니
■ [While this warning may now strike readers as 라 외부에 있는 표시로 사물을 상기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기억력

extremely funny], it is worth noting [that for much 을 사용하지 않게 될 것입니다.” 대화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소

of the 1990s, {finding anything on the web} was a 크라테스가 이집트 왕의 의견에 진심으로 동의했고 책을 이용할

problem]. 수 있음이 학생들을 게으르게 만들고 제대로 공부하고자 하는 의


첫 번째 [ ]는 양보의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절이다. 「it is worth 욕을 꺾는다고 생각했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ing」는 ‘~할 만하다’, ‘~할 가치가 있다’라는 뜻이고, 두 번째 문제 해설

[ ]는 noting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이다. { }는 두 번 소크라테스는 자기 생각을 글로 기록하는 데 전혀 관심이 없었으

2 EBS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