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문제 제작 및 해설

담당교수 ; 이정훈 교수 26주차 진도 점검 test 제한시간: 60분

        
1. lim  은 함수        ln의  1) 축 따라 접근 ; lim   lim   ,

 →  →   →

   에서 벡터    방향으로의 방향 도함수를 나타내며


 
2) 축 따라 접급 ; lim   



∇       ln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3)    따라 접근 ; lim  
lim  의 최솟값은  ∇    이다.  →   
→  
      
정답 ; ① 1)2)≠  이므로 lim  은 발산한다.
 →      
     
  lim   
이고 분자의 최소차수  분모의 차수이므로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lim   
은 발산한다.
     →     

      이므로 행렬  의 특성 다항식이      이며


 

행렬  와   은 고유치가 같으므로 특성다항식이 같다. 


 1) 축 따라 접근 ; lim   ,
   → 
그러므로  의 특성 다항식은      이다.

정답 ; ① 2) 축 따라 접급 ; lim   
→  
 
3)   따라 접근 ; lim   

  →  
  
3.       log            
ln ln   1)2)≠  이므로 lim 은 발산한다.

   →      
 ln 
 ′         ,
ln ln

 분자의 최소차수  분모의 차수이므로
  ln 
 ″          이므로 
ln lim 은 발산한다.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정답 ; ①
 
또한  ″ 이고  ″ 이므로 구간  사이에서 변곡점이
존재한다.
정답 ; ① 5.           이므로        이거나
     가 중근을 갖을 때, 모든 에 대하여 미분 가능하다.
       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     ⇔      이어야
4.  1) 축 따라 접근 하며,      가 중근을 갖기 위해서는  ± 이다,
 sin   sin     cos  
; lim 
→ 
 lim    lim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일 때, 모든 에 대하여 미분 가능하다.
따라서 미분 가능한 정수 의 개수는 이다.
 정답 ; ③
2)  축 따라 접급 ; lim  

→  

3)   따라 접근
 sin    sin     cos   
; lim 
→


 lim    lim   
 →     →
6.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또는   이지만
 sin      조건    에 의하여   이다.
1)과 2)와 3)에 의하여 lim   으로 수렴한다.
 →             
  를 이용하면        이므로         이고
       

lim
 sin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이다.

 →  

 

 
lim            이다.   
정답 ; ⑤


 1) 축 따라 접근 ; lim   lim  ,
→  →
7.   에 대하여   일 때 심프슨 공식에 의하여
 
2)  축 따라 접급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단, ∆   )이 성립한다.

 
3)   따라 접근 ; lim   lim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과 2)와 3)에 의하여 lim   으로 수렴한다.

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  이다.
  
정답 ; ②
       
 
lim  은 수렴한다.
  →     

- 1 -

8.       sin tan 일 때, 13. 두 곡선     ,     에 의하여


∇   sin  cos 

  
  cos 

   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     ,     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와 같다.
⇒ ∇      이고 벡터 〈
   〉방향의 단위 벡터를 또한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교점은    과   이다.
라 할 때, 
       이므로
   따라서 두 곡선       ,     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방향도함수 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고 할 때,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정답 ; 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두 곡선     ,     을 연립하면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9.         이고 교점은    과   이다.
   따라서 두 곡선      ,     으로 둘러싸인 넓이를  라고 할 때,
행렬식의 성질에 의하여 det   det   과      

det  det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et   det           이다.
정답 ; ④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정답 ; ④


10.     이므로 양변에 ln을 취하면
  
14.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ln   ln    
  
 
⇔ ln   ln     ln ln이고
 곡면을 자르는 평면의 기울기는 tan   
 이므로 축과
   
양변을 전미분 하면       이므로 단위 방향벡터가 이루는 각은    이 된다.
   
 
  
백분율오차는  ×        × 이다.
      

 
따라서  cos   sin      이 된다.
      
 
 
이제 주어진 조건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
       
  

       이다.
 
정답 ; ③

정답 ; ④

        

   
11.   에서 테일러 전개하면       
15.    이고
        
ln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이다.

 
    이므로        .
 
따라서 오차가 이하의 근사값은  
      
ln≈               이다.
      또한    ,   
 
   
,      이라 할 때,
정답 ; ②
    
      으로 분할 할 수 있다.
    
12.   일 때, 점   을 지나며
 ′  cos   sin  ⇒  ′   ,
따라서        에 대하여
 ″  sin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cos   sin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곡률  열률        이다.
    
별해) 공간 곡선   sin  cos 라고 할 때,   
그러므로     에 의하여   ,   이고
 
    
곡률   이고 비틀림률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 할 때,
  
따라서 곡률  열률        이다.      
  

정답 ; ②       으로 분할 할 수 있다.   에 대하여

     
  은   의 열의 성분과 같다. 따라서    의 첫 열의 성분과 같다.

- 2 -
 따라서   
 
   에 대하여 18. 곡선   위의 점    과 점    사이의 거리를 라 할 때,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이라 할 때,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 
 는     ⇔    이므로         이
   
그러므로     이다.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성립한다. 또한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에서 임계점을 갖으며       이다.


그러므로 거리의 최솟값은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이고   ,   이므로
정답 ; ③
    이다.
정답 ; ③

  
   
  
 
19.        (   ,    라고 치환) ⇒     이므로
16. 점     에서 점     로 향하는
방향으로의 방향도함수는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이다.      
  
또한 점     에서 점     로 향하는 따라서        
  
방향으로의 방향도함수가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이다. 정답 ; ④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방향도함수의
 
최댓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sin 
     
 
sin  
 
20. lim  lim  lim
  → ∞ 
  

     
정답 ; ③ →∞  →∞  
cos  cos  
      
  

17.  sin cos ln cos 위에서


 sin     cos     cos     
 



 
       

sin
 ′ cos  sin    cos  sin  tan 이므로
 cos
 cos     sin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이고 ″  sin  cos  sec   이므로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따라서 곡률       이다. 
 ′ 
정답 ; ①
 또한  ′  cos   sin    tan      tan    sec이고

  ′     sec tan  이므로

21.    은    cos ,    sin 이므로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cos    sin 이고
   
   
  
′
  또한 단위 접선 벡터  


′  


 
 
     
  
cos   sin cos   cos  
      
sin sin 다.

   cos  sin  tan 

  tan  

또한      


  일 때,      이므로 값을 대입하면
 
 cos  cos  sin  tan    cos  sin cos sin  

(∵   일 때, cos  )  cos   sin sin 이고
 


     
 
 cos      


    sin  
  cos  

 ′ cos sin cos cos   sin cos cos 
 ′ 

   

   
   cos     sin   sin  
     
단위법선 벡터       sin cos cos 이다.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일 때, 단위법선 벡터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다.
 

정답 ; ④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정답 ; ②

- 3 -
22. 원점    , 임의의 점     , 회전변환 된 25.   평면에서 중심이  이고
 반지름이 인 원을 매개화 하면     cos,   ,   sin이므로
점  ′′   ′  ′, 직선방향의 단위 벡터를  
    이라 하면
  축 중심으로 회전하여 얻은 곡면  는
      cos cos ,     cos sin ,   sin이다.
 ′          cos    ×  sin 
 

 
  
 따라서  ×    sincos  sin sin cos
  

 

       cos sin   cos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과 평행이므로 단위 법선벡터는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그러므로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이다.    

정답 ; ④
정답 ; ①

  

2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      ≤ 이어야 한다.
따라서  ≤   을 만족해야한다.
정답 ; ④

  

    
 
24. 행렬   이라 하여 최소 제곱해를 이용하여 구하여 보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주어진 원소의 합은 이 된다.
정답 ; ①

- 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