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JKITS), Vol. 17, No. 5, pp.

999~1006, October 2022

https://doi.org/10.34163/jkits.2022.17.5.020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


ISSN 1975-7700 (Print), ISSN 2734-0570 (Online)
http://www.kkits.or.kr

A Research on the Continuous Growth of Coupang


Kwang-Hyun Kim , Tae-In Le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Business and Commer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measures for sustainable growth of Coupang, a famous e-commerce company in
Korea. Coupang is a company that has grown rapidly since its establishment and is very well known to
consumers using e-commerce in Korea. However, studies have found that these successful and successful
companies also have problems. The biggest reason consumers use Coupang is because of the rocket
delivery service that enables next-day delivery, but while this rocket delivery service is Coupang's
strength, it also causes problems. (Worker problem, large-scale deficit, etc.) Until now, Coupang has
focused only on increasing the size of the company through huge investment without paying attention to
these issues in order to secure a share in the domestic e-commerce market. However, it was discovered
that it would be impossible for Coupang to continue to grow without solving the problem.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oupang in order to understand this and prepare
a plan for continuous growth of Coupang, and compare it with Amazon, which is a benchmarking
company and a successful business model, and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built by Coupang's huge
investment. We will examine whether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the problematic weaknesses while
preserving strengths such as and rocket delivery service. In addition, conclusions are drawn from this
process.
Ⓒ 2022 KKITS All rights reserved

K E Y W O R D S : Coupang, Amazon, E-commerce, E-business, Rocket delivery

A R T I C L E I N F O : Received 13 August 2022, Revised 5 October 2022, Accepted 7 October 2022.

*
Corresponding author is with the Department of E-mail address: khkim@ut.ac.kr
International business & Commer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50 Daehak-ro Chungju,
27469, KOREA.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JKITS), Vol. 17, No. 5, pp. 999~1006, October 2022

1. 서 론 점을 분석하고, 아마존과의 비교를 통하여 최종 3


장에서 결론을 도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쿠팡은 국내 많은 소비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전 [4,12,13,15].
자상거래 플랫폼이다. 쿠팡은 2010년 8월 창업을 한
이후 고속성장을 해왔고, 2020년 기준 국내 전자상 2.1 성공요인
거래 기업 중 거래액 규모 1위 네이버(30조원) 뒤를
잇는 2위(22조원)를 기록했다. 쿠팡의 근무 중인 직 2.1.1 로켓배송서비스
원수는 43,171명(2020년 기준)으로 삼성전자, 현대차
에 이어 고용 3위 기업을 기록했다. 이처럼 현재 쿠 로켓배송은 물류센터에 미리 상품을 직매입해
팡은 국내를 대표하는 전자상거래 기업이 되었다. 재고로 보관하여 익일 배송(밤 12시 이전에 주문하
또한 많은 소비자들이 애용하고 있는 전자상거래 면 다음날 배송)을 가능하게 하는 배송방식이다.
플랫폼이며, 온라인 주문&배송뿐만 아니라 OTT서 일반적으로 이커머스 업체들이 택배업체를 이용하
비스, 배달 등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업을 넓혀 면 화주사 물류센터 픽업 및 허브터미널까지의 간
가고 있다. 그러나 모든 것에 장점만 있을 수 없듯 선물류 이동과정이 발생하게 되는데 로켓배송은
이 쿠팡에도 문제점은 있다. 대규모 적자, 소비자들 이 중간과정이 생략된 것이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
에 대한 쿠팡의 이미지 등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내면 아래와 같다.
위해서는 해결하고 나아가야 할 문제들이 많다. 이
를 해결하지 않고는 쿠팡이 지속적인 성장을 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음을 알게 되었고, 쿠팡의 지속적
인 성장을 위한 분석연구를 하게 되었다.

그림 2. 쿠팡의 로켓배송 과정
Figure 2. Coupang Rocket Delivery Process

쿠팡은 로켓배송을 위해 물류센터 투자를 많이


그림 1. 국내 전자상거래 거래액 TOP 5
Figure 1. Top 5 e-commerce transactions in Korea 하였고, 현재 전국 30여개 지역에 2,322,576㎡ 규모
https://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의 물류 인프라 100여개를 구축하고 운영하고 있
(출처 : 통계청)
다. 이러한 설비들을 구축하여 쿠팡은 고객의 주문
이에 따라 논문구성은 2장에서 성공요인과 문제 부터 제품관리, 포장, 최종 배송까지 모든 과정을

- 1000 -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JKITS), Vol. 17, No. 5, pp. 999~1006, October 2022

자체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전자상거래 특성상 물 아이템위너가 되면 이전 판매자가 올린 대표 상


품을 받는 데까지 오래 걸리는데, 쿠팡은 이를 해 품이미지와 고객 문의 및 상품평 등을 모두 가져
결해 익일 배송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의 만족 가는 구조인데, 기존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이미지
을 이끌어냈다. 이는 소비자들이 쿠팡을 이용하는 와 상품평 등을 되찾기 위해서는 더 낮은 가격을
이유 중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하다. [3,5,7] 제시하여 다시 아이템위너로 선정되는 방법뿐이라
판매자 간 출혈 경쟁을 유도한다.
2.1.2 아이템위너 정책

아이템위너란 같은 상품을 파는 판매자가 여러


명일 경우, 이들 중에서 가장 낮은 가격을 제시한
판매자를 대표 상품판매자로 단독 노출 시키는 승
자독식 시스템이다. 쿠팡에서 소비자가 상품을 검
색하면, 관련 상품의 대표 상품 이미지들이 노출된
다. 그중 하나를 클릭하여 다시 들어가면 해당 상
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는 오직 1인만 있는 것처럼
표시된다. 하지만 제품 이미지 오른쪽의 ‘다른 판매 그림 4. 승자독식 아이템위너 정책
Figure 4. Winner-take-all item-winner policy
자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다른 판매자를 확인할
수 있다. 한 사람이 파는 제품처럼 보이지만, 실제
로는 같은 상품을 파는 다른 판매자들이 존재하고 판매자들에게는 최악의 시스템이지만 소비자 입
있는 것이다. 이를 이른바 쿠팡의 아이템위너 정책 장에서는 판매자들의 출혈경쟁을 통해 타 사이트보
이라고 한다. 다 더욱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살 수 있으며, 여러
판매자들의 상품을 볼 필요 없이 대표 상품만 보면
되니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9]

2.2 문제점

2.2.1 대규모 적자

쿠팡의 가장 큰 특징이자 의문인 부분은 매년 엄


청난 적자를 감수하며 수익이 나지 않는다는 사실
이다. 2010년 개업 이후 단 한 해도 영업 이익을 낸
적이 없다. 때문에 아직까지 한국 정부에 법인세를
그림 3. 쿠팡에서 운동화를 검색한 결과 낸 적도 없으며, 쿠팡의 자금난을 우려한 금융감독
Figure 3. Search for sneakers on Coupang
원으로부터 경영 개선 권고까지 받았을 정도다.
쿠팡뿐만 아니라 위메프와 티몬, 11번가 등 살아

- 1001 -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JKITS), Vol. 17, No. 5, pp. 999~1006, October 2022

남은 e커머스 대부분이 몇 년째 만성 적자에 시달 리하여 흑자전환을 하게 되어도 이익을 낼 수 있


리고 있지만, 쿠팡은 하루가 다르게 대규모 적자가 는 규모가 적다보니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투자한
누적되고 있다. 현재 쿠팡의 누적적자액은 총 6조 만큼 이익을 내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원에 달한다. 이렇게 쿠팡이 대규모 적자 상태에 이는 사소한 문제가 아닐 수 있다. 쿠팡이 한국이
이르게 된 주된 원인은 바로 “로켓배송 서비스”를 아닌 다른 나라에도 시장개척을 하여 영업규모를
위한 end-to-end 시스템 구축을 위해 대규모 물류 늘릴 필요성이 충분히 보여지는 파트이다. 심지어
투자를 했기 때문이다. 쿠팡은 빠른 배송과 중간상 쿠팡의 문제는 이것뿐만이 아니다. 이러한 적자 상
의 필요성을 없애기 위해 자체 물류센터와 배송시 태 유지로 인해 운영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쿠
스템을 만들기 위해 거액의 투자를 하였다. 쿠팡은 팡은 직원들 월급 정산 문제에 대한 곤란을 겪고
이와 같이 무리한 투자를 하게 된 이유는 바로 국 있는데, 쿠팡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판매자들의
내 대규모 물류시스템 구축을 통해 국내 전자상거 정산시기를 늦추는 방법을 택했다. 판매자에게는
래 기업들과의 치킨게임 경쟁에서 이겨 한정된 소 정산을 1~3달 후에 해주지만 소비자에게는 정산을
비자들의 점유율을 상승시켜 국내 물류를 독식하 바로 받는 방법으로 현금을 확보하여 직원들 월급
여 흑자전환을 노렸기 때문이다. 과 기업 자금을 마련한다. 예를 들어 100만 원어치
를 팔면 쿠팡은 판매자에게 50~80만 원의 이자없는
대출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이다. 즉 쿠팡의 운영
자금은 판매자에게 줄 외상 대금이 상당 부분 차
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쿠팡이 만일 자금
경색에 빠지는 순간에는 쿠팡에 판매를 한 판매자
들의 판매 대금은 모두 공중 분해될 가능성이 있
다는 점에서 우려를 금치 않을 수 없다. 쿠팡은 이
렇게 지금 잘 나가고 있는 것 같은 겉모습과는 다
르게 내부에서는 매우 위태로운 모습을 보이며 멈
출 수 없이 계속 나아가야만 하는 아슬아슬한 줄
그림 5. 쿠팡 2013-2019년도 매출액과 영업이익 타기를 하며 기업 운영을 해나가고 있는 것이다.
Figure 5. Coupang 2013-2019 Sales and Operating Income
이는 분명히 쿠팡이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해
결하여야 할 문제점으로 보여지며, 본 연구를 하는
그런데 이러한 생각은 쿠팡의 오산일수도 있다. 데에 가장 주된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여겨진
왜냐하면 이는 아마존의 성공전략을 따라한 것일 다.[4,12,13,15]
수 있는데, 실제 아마존의 경우도 1994년부터 수년
간 적자를 기록하였는데, 지금은 안정적인 흑자운 2.2.2 근로자 문제
영을 하고 있다. 하지만 아마존의 경우는 미국을
주 소비층으로 영업을 하고 있으며, 미국시장은 한 쿠팡은 근로자 문제가 매우 심각한데, 특히 물류
국시장보다 15배 큰 시장규모를 가지고 있다. 즉, 센터 근로자와 배송일을 하는 근로자에게 더욱 심
쿠팡이 국내 e커머스 기업들과의 치킨게임에서 승 각하다.

- 1002 -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JKITS), Vol. 17, No. 5, pp. 999~1006, October 2022

UPH 관리는 상식적인 수준을 뛰어넘는다. UPH는


목표 생산량에 따라 투입 인원과 인당의 생산량을
산출하여 적정한 노동 강도를 유지해야 함에도 불
구하고, 쿠팡은 이를 노동자 내부의 상호 경쟁을
위한 장치로 활용한다는 점이다. 노동 과정에서 방
송을 통한 개별호출, 하위순위자라는 주의, 저성과
자 퇴출 가능성을 상시적으로 주지시키면서 노동
자가 물먹는 시간, 화장실 가는 시간 등 매우 기본
적인 생리 활동을 자발적으로 통제하게 만들고 있
다. 노동자들은 목표량을 채워야 한다는 압박감보
다 하위 몇 퍼센트로 떨어져 방송으로 호출되거나
불려가는 수치나 모욕감을 더 견디기 힘들어하고
그림 6. 쿠팡 2020-2021년 근로자 사망사고
Figure 6. Coupang 2020-2021 Workers' Deaths
있다. 이러한 모욕감을 회피하기 위해 목표 UPH보
다는 순위에 더 연연할 수밖에 없다. 물류센터의
‘로켓배송’이라는 쿠팡의 전략이 노동자들에게 극 중층적인 계약 형태와 배송 노동의 레벨제도와 같
단적인 노동 강도를 강제하기 때문이다. ‘로켓배송’의 은 장치들은 “로켓배송”을 전면에 내세운 쿠팡의
핵심은 빠른 배송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배송의 지연’ 혁신 성장의 본질이 결국 저임금 노동의 과로 노
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의미 또한 포함한다. 고객이 동이라는 낡은 비밀에 근거한다는 것을 알 수 있
상품을 주문하는 것과 동시에 노동자의 노동강도 다. 쿠팡의 “혁신”은 데이터에 기반을 둔 전자감시
는 주어진 인력, 노동시간과 상관없이 무조건 달성 시스템과 노동자에게 가해지는 불안과 모욕감을
해야 하는 과업이 된다. 주변 동료가 미처 채우지 경쟁의 땔감으로 사용하는 경쟁 시스템 결합의 결
못하는 업무량은 곧 다른 노동자들의 추가적인 노 과로 등장했다. 또한 그 혁신은 한국 사회의 밀집
동량으로 부여된다. 당일 소화해야 할 업무량을 정 된 인구 구조와 대도시화, 그리고 코로나19로 촉진
해진 시간에 달성하기 위해 쿠팡은 노동자 내부 되고 있는 실직 노동자들의 광범위한 저임금 예비
성과를 경쟁적으로 강제하기 위한 상대평가를 불 노동력 형성이라는 조건 위에 형성되는 퇴행적 혁
안정 고용 형태와 결합해 불안정 노동의 불안을 신이라는 이율배반을 본질적 특징으로 한다. 가장
원료로 심아 극단적인 노동 강도를 추구하고 있다. 큰 문제는 윤리적 문제뿐만 아니라 이러한 노동자
물류센터 노동자들은 개별적인 UPH(Unit Per 문제가 매체들을 타면서 소비자들의 보이콧 현상
Hour/시간 당 생산량)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실시간 으로까지 이어져 쿠팡의 이미지와 이윤 창출에도
으로 순위를 매기고 하위 성과자들에게 은근한 불 타격을 가져오는 것이다. 쿠팡의 성장을 위해서는
이익을 줄 뿐만 아니라, 전체 방송을 통해 성과가 핵심인 로켓배송 시스템을 앞세워야 하는데 이게
낮은 노동자를 직접 호명, 호출하며 모욕감을 주는 오히려 독이 되는 상황이 되고 있으니 쿠팡입장에
방식으로 노동 강도를 강제한다. 기업에서 생산성 서는 난처해질 수밖에 없다. 로켓배송 시스템을 관
에 대한 관리는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반드시 필 둘 수도 더 앞세울 수도 없기 때문이다[2,3,7].
요한 일이라고 반박할 수 있다. 그러나 쿠팡의

- 1003 -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JKITS), Vol. 17, No. 5, pp. 999~1006, October 2022

2.3 아마존과의 비교 통 업체이면서 동시에 애플, 구글과 함께 세계 3대


테크기업 중 하나로 꼽히는 독특한 기업이다.
쿠팡은 아마존을 벤치마킹하여 한국에 도입한 아마존은 FBA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많은 투
기업이다. 쿠팡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로켓배송 자를 했다. FBA는 단순한 서비스가 아니며 이를
도 사실 아마존의 프라임배송을 가져온 것인데, 아 실제 비즈니스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마존도 이 프라임배송을 위해 FBA(Fulfillment By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예를 들어 수많은 셀러의
Amazon)이라고 불리는 물류센터 인프라를 미국전 상품들을 풀필먼트 센터에 빠르게 입고한 후 재고
역에 설립하였다.(단, 프라임배송의 경우 익일 배송 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합배송 발생 시 전국 각
이 아닌 2일 이내 배송). 이것만 보면 두 기업은 지 풀필먼트 센터에 흩어져 있는 상품들의 최적
매우 동일해 보이지만 내부를 들여다보면 상당한 이동경로를 계산해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 신
차이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자동화 설비의 차이이 속하게 배송해야 한다.
다. 쿠팡은 2020년 12월 기준 30개 이상의 도시에 많은 유통업체가 알면서도 FBA와 같은 서비스
100개 이상의 풀필먼트 물류센터를 운영 중이지만, 를 제공하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어
아마존만큼의 자동화 설비를 갖추진 못했다. 주문 설픈 시스템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다가는 엄청난
이 접수되면 풀필먼트 물류센터에 보관 중인 상품 비용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이다. 아마존은 FBA 서
을 꺼내는 일부터 포장까지 사람이 직접하고 있다. 비스 구현을 위해 수년 동안 MIT 출신 등 뛰어난
반면, 아마존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 자동화 설 과학자와 엔지니어를 동원해 수학적 모델을 연구
비를 적용했다. 2012년 창고 로봇 제조사 키바 하고 최적의 시스템을 개발했다.
(KIVA) 시스템을 7억7천만달러에 인수한 아마존은 FBA와 관련된 아마존의 수많은 투자 사례가 있
AI로봇 ‘키바’를 풀필먼트 센터에 투입했다. 2019년 지만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로봇 기술에 대한 투
기준 약 20만대의 로봇을 투입. 자다. 아마존은 2012년 키바 시스템즈(Kiva
키바는 재고를 보관하는 선반을 관리하고 제품 Systems)를 7억 7천만 달러라는 거액에 인수한 바
요청시 바코드 길을 따라 이를 피킹해 작업자에게 있다. 이후 2015년 아마존 로보틱스(Amazon
가져다주는 역할을 한다. 사람이 직접 돌아다니며 Robotics)로 회사명을 변경했으며, 2019년 6월 기준
상품을 찾고 가져와 처리하는 작업을 훨씬 효율적 20만 대의 로봇을 아마존 풀필먼트 센터에 투입하
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키바는 로봇인 동시에 재고 고 있다. 풀필먼트 센터에서 운용되는 대표적인 아
관리와 적재, 피킹 과정을 컨트롤하는 시스템이기 마존 로봇은 드라이브 유닛(Drive Unit)이라고 불리
도 하다. 아마존은 키바를 이용해 물류비용의 20% 는 선반 운반 로봇이다. 드라이브 유닛은 고객이
를 절감하고, 재고 보관공간을 50% 증대하는 데 주문한 상품이 보관된 선반을 자동으로 찾아서 상
성공했다. 품을 운반한다. 또 다른 주요 로봇은 로보스토우
CF. 아마존의 자동화 시스템 (RoboStow)다. 로보스토우는 화물을 옮기는 로봇
FBA 서비스가 비즈니스 모델이라면, 이를 성공적 팔인데 최대 24피트(약 7.3m)높이에 있는 3천 파운
으로 운영할 수 있는 건 아마존이 인공지능 로봇, 클 드 (약 1,360kg) 중량의 화물을 이동할 수 있다.
라우드, 빅데이터 등과 같은 첨단 테크놀로지에 있어 이처럼 아마존은 풀필먼트 센터의 서비스와 기
탁월한 기술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아마존은 유 술력이 상당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6,9-11,14].

- 1004 -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JKITS), Vol. 17, No. 5, pp. 999~1006, October 2022

3. 결 론 platform companies: based on coupang case,


Korean Regulatory Society, Vol. 30, No. 2,
쿠팡이 지속적인 성장을 하려면 해외시장 개척 pp. 221-262, 2021.
과 자동화 시스템 도입 전략을 펼칠 필요성이 있 [5] J. S. Park, and T. H. Lee, Obstacles that

어 보인다.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 영업 규모를 확 the development of the courier service in


relation to delivery war of social commerce
장하여 국내 시장으로는 해결하지 못할 흑자전환
with a case study on rocket delivery of
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주의할 점은 아마
coupang, Korea Management Consulting
존이 이미 진출한 해외시장은 피하는 것이 좋다.
Association, Vol. 16, No. 4, pp. 173-184,
아마존과 쿠팡은 전략이 같을 뿐만 아니라 아마존 2016.
은 쿠팡보다 기업규모가 훨씬 크기 때문에 쿠팡이 [6] C. H. Bin, and B. J. Jeon, Platform and
특별한 전략이 있지 않는 한 같은 시장에서 경쟁 Logistics innovation for e-commerce
하는 것은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또 쿠팡은 물류 competitiveness: the case of amazon.com,
센터에 아마존과 같이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Korea Electronic Trade Research Institute,

재고 보관공간과 물류비용을 절약하고 근로자들의 Vol. 17, No. 4, pp. 1-22, 2019.
[7] S. Kang, The effects of last mile delivery
근로환경 개선을 하여 자금절약과 소비자들과 근
service loyalty and Shopping mall
로자들의 인식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satisfaction on online shopping mall loyalty,
Daejeon University General Graduate School,
References pp. 1-161, 2022.
[8] S. B. Kim, Comparative analysis of
[1] Y. G. Seo, and T. M. Kim, A study on consumer needs of products, services, and
coupang’s ESG management: centering on convergence product services: Focusing on
rocket delivery, Korea Commodity Amazon online reviews,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40, No. 1, pp. 67-75, Association, Vol. 20, No. 7, pp. 316-330,
2022. 2020.
[2] J. H. Jeon, Coupang's "rocket delivery" and [9] H. I. Kim, Innovative company, the light
the death of workers, Korea Unregular Labor and dark of Amazon - Organizational
Center, Vol. 148, No. 5, pp. 63-68, 2021. learning capacity vs. A winner-take-all
[3] J. M. Kim, The effects of coupang rocket culture, POSCO Research Institute, Vol. 19,
delivery satisfaction on purchase intention No. 4 , pp. 1-12, 2019.
and brand loyalty - rrice sensitivity as [10] S. J. Huh, The entry of Amazon.com and its
moderating variable, Korea Brand Design impact on the domestic delivery market,
Association, Vol. 19, No. 1, pp. 67-76,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olicy
2021. Research Institute, Vol. 14, No. 2, pp.
[4] J. S. Kim, and H. N. Kim, and G. Y. Song, 25-46, 2014.
and T. S. Oh, and A. R. Park, Changes in [11] Y. H. Jo, and C. Choi, A study on
the structural power and regulatory policy of architectural changes in logistics centers due

- 1005 -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JKITS), Vol. 17, No. 5, pp. 999~1006, October 2022

to automation and enlargement - Focusing 하는 주된 이유는 로켓배송서비스 때문인데, 이 로켓


on the cases of Coupang, E-Mart, and 배송서비스가 쿠팡의 강점이 되기도 하지만 문제점을
Amazon logistics centers, Korean Architecture 야기하기도 한다. (근로자 문제, 대규모 적자 등...)지
Society, Vol. 36, No. 1, pp. 37-48, 2020. 금까지는 시장점유율 확보를 위해 이러한 것들을 신
경쓰지 않고 나아간 쿠팡이지만 이제는 해결해야 한
[12] Y. S. Park, A fulfillment strategy for online
다.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고 성장을 지속하기에는 무
commerce considering service operation,
리가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이를 파악하고 쿠팡
graduate school of northeast asian logistics, 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방안을 쿠팡의 강점과 함께
Incheon National University, pp. 1-42, 2018. 약점을 분석하고 쿠팡의 벤치마킹 기업이자 성공적인
[13] M. S. Kang, Sustainable management of 비즈니스 모델인 미국의 아마존사와 비교를 통하여
major online platforms in the republic of 강점을 살리고 약점은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
고자 한다.
Korea, Korean Association for Commercial
Education, Vol. 36, No. 1, pp. 75-101, 2022
Kwang-Hyun Kim is
[14] C. J. Park, and K. Y. Kim, Logistics
Professor at Korea National
fulfillment technology analysis using patent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formation - Focusing on Coupang’s
from 1993. He has been to
patents, Korea Logistics Research
Interest and Research in
Association, Vol. 32, No. 1, pp. 93-104,
international trading
2022. environment, international locality research,
[15] J. G. Choi, and M. S, Choi, An empirical international business information, information
study on the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strategy, international leadership etc
credit rating and capital structure of E-mail address: khkim@ut.ac.kr
e-commerce companies, Korea Management
Education Association, Vol. 32, No. 2, pp. Tae-In Lee is studying at t
223-244, 2022. 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from 2017. He is interested
쿠팡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분석연구 in International business and
commerce, Inter national
김광현1, 이태인2 exchange, etc. He hopes research ways to help
1 Korean university students develop
한국교통대학교 국제통상학과 교수
2
한국교통대학교 국제통상학과 학생 entrepreneurship in graduate school.
E-mail address: dlxodls56@naver.com
요 약

본 논문에서는 국내 유명 전자상거래 기업인 쿠팡


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방안을 다루고 있다. 쿠팡은
창업 이후 빠르게 고도성장을 한 기업이고 국내에서
전자상거래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에게 매우 잘 알려져
있는 기업이다. 그러나 이렇게 승승장구하는 기업에게
도 문제점은 있기 마련이다. 소비자들이 쿠팡을 이용

- 100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