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1

화학1 문풀반

4강
원자의 구조

-1-
-2-
04 원자의 구조 Ⅱ. 원자의 세계

개념 체크  원자의 구성 입자
톰슨은 음극선이 전자의 흐름 (1) 전자의 발견
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① ‌음극선:진공관 안에 전극을 연결하여 높은 전압을 걸어 주면 (-)극에서 (+)극으로 빛의
흐름이 나타나는데, 이를 음극선이라고 한다.
1. 음
 극선의 진로에 장애물을
설치하면 그림자가 생기는 (-)
것은 음극선이 ( )하기
때문이다.
고전압
(+)

2. 전
 기장에서 음극선의 진로 ② 음극선 실험:1897년 톰슨은 음극선에 대한 몇 가지 실험 결과를 통해 음극선이 질량을 가
가 (+)극 쪽으로 휘는 것
은 음극선이 ( )를 띠
지며 (-)전하를 띤 입자의 흐름임을 알아내었다. (-)극으로 사용한 금속의 종류와 방전
기 때문이다. 관에 들어 있는 기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음극선이 같은 특성을 보이므로 음극선의 구성 입자
가 모든 물질의 공통적인 입자라고 생각하였고, 이를 전자라고 하였다.

탐구자료 살펴보기 음극선의 성질

탐구 자료 및 자료 해석
(가) 음극선의
‌ 진로에 장애물을 설치하면 그림자가 생긴다.
 음극선이 직진함을 알 수 있다.
장애물 그림자
(-)
고전압
(-) (+)

고전압 (+)

(나) 음극선의
‌ 진로에 바람개비를 설치하면 바람개비가 회전한다.
 음극선이 질량을
장애물 가진 입자의 흐름임을 알 수 있다.
그림자
(-)
고전압
(-) (+)

고전압 (+)

‌
(다) 전기장에서 음극선의 진로가 (+)극 쪽으로 휜다.
 음극선이 (-)전하를 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

( -)

(+) (+)
고전압

정답
분석 point
1. 직진
음극선은 직진하면서 질량을 갖는 (-)전하를 띠는 입자의 흐름이다.
2. (-)전하

-3-

책1.indb 54 2023-01-02 오후 2:15:19


③ 톰슨의 원자 모형:톰슨은 음극선 실험을 통해 원자가 (-) (+)전하가
개념 체크
고르게
전하를 띠는 입자인 전자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 분포된 공
a 입자 산란 실험에서 대부분
전하가 고르게 분포된 공 속에 (-)전하를 띤 전자가 박혀 있는 의 a 입자는 금박을 그대로 통과
하여 직진한다.
원자 모형을 제안하였다. 전자

a 입자를 금박에 충돌시켰을 때


톰슨의 원자 모형 극히 일부의 a 입자가 크게 휘어
지거나 튕겨 나오는 이유는 원자
(2) ‌원자핵의 발견 중심에 (+)전하를 띤, 크기가 매
우 작고 원자 질량의 대부분을 차
① ‌a 입자 산란 실험:1911년 러더퍼드는 금박에 (+)전하를 띤 a 입자를 충돌시키는 실험을
지하는 원자핵이 있기 때문이다.
한 결과, 대부분의 a 입자는 금박을 그대로 통과하지만 극히 일부의 a 입자가 크게 휘어지거
나 튕겨 나오는 현상을 관찰하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원자의 대부분이 빈 공간이며 원자
1. 톰 (+) 전하가 고르
 슨은
의 중심에 원자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크기가 매우 작고 (+)전하를 띤 입자가 있음
게 분포된 공 속에 (-)전
을 발견하였고, 이를 원자핵이라고 하였다. 하를 띤 ( )가 박혀 있
는 원자 모형을 제안하였
다.
탐구자료 살펴보기 a 입자 산란 실험과 원자핵의 발견
2. 러 a 입자 산란
 더퍼드는
실험 과정 실험을 통해 ( )을 발
금박 주위에 원형 형광 스크린을 장치하고 a 입자를 금박에 충돌시킨다. 견하였다.

크게 휘어진 a 입자 그대로 통과한 a 입자

튕겨 나온 a 입자
원자핵

금박

a 입자원

a 입자
형광 스크린

실험 결과
1. 대부분의 a 입자는 금박을 그대로 통과하여 직진한다.
2. 극히 일부의 a 입자는 경로가 크게 휘어지거나 튕겨 나온다.

분석 point
1. 대부분의 a 입자가 금박을 그대로 통과하므로 금박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의 대부분은 빈 공간이다.
2. ‌극히 일부의 a 입자가 금박에서 크게 휘어지거나 튕겨 나오므로 a 입자를 크게 휘어지게 하거나 튕겨 내는 입자는
크기가 매우 작고, (+)전하를 띠며, 원자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3. ‌러더퍼드는 이 결과를 해석하여 원자의 중심에 원자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전하를 띤 입자가 모여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이를 원자핵이라고 하였다.

② ‌러더퍼드의 원자 모형:원자핵을 발견한 러더퍼드는 (+)전하


를 띠는 매우 작은 크기의 원자핵이 원자의 중심에 있고, (-) 전자

전하를 띠는 전자가 원자핵 주위를 돌고 있는 원자 모형을 제안 원자핵

하였다. 정답
1. 전자
2. 원자핵
러더퍼드의 원자 모형

-4-

책1.indb 55 2023-01-02 오후 2:15:20


04 원자의 구조

(3)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


개념 체크
양성자와 중성자는 원자핵을 ① ‌원자의 구조 : 원자는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입자로, 원자의 중심에 (+)전하를 띠는 원자
구성한다. 핵이 있고, 원자핵 주위에 (-)전하를 띠는 전자가 위치한다. 원자핵은 양성자와 중성자로
전자의 질량은 양성자와 중성 이루어져 있다.
자의 질량에 비해 매우 작다.
②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의 성질
‌ 자 번호=양성자수=원자의
원 구성 입자 질량(g) 상대적 질량 전하량(C) 상대적 전하
전자 수
양성자(p) 1.673_10ÑÛ`Ý` 1 +1.6_10ÑÚ`á` +1
원자핵
질량수=양성자수+중성자수 중성자(n) 1.675_10ÑÛ`Ý` 1 0 0

전자(eÑ) 9.109_10ÑÛ`¡` ;18Á36; -1.6_10ÑÚ`á -1

1. ( )는 양성자와 질량이 원자핵


거의 같으며 전하를 띠지
전자
않는 입자이다.
중성자

2. 양
 성자와 ( )는 전하량
의 크기는 같고, 부호는 반
양성자
대이다.

•‌양성자(p):중성자와 함께 원자핵을 구성하는 입자로, 원소에 따라 그 수가 다르다. 같은


3. ºŒ Z 원자에서 중성자수는
( )이다. (단, Z는 임의 원소의 원자는 양성자수가 같으며, 원자를 구성하는 양성자수가 그 원소의 원자 번호이다.
의 원소 기호이다.) •‌중성자(n):양성자와 질량이 거의 같으며 전하를 띠지 않는 입자로 양성자와 함께 원자
핵을 구성한다. 같은 원소의 원자라도 중성자수는 다를 수 있다.
•‌전자(eÑ):양성자와 전하량의 크기는 같고 부호는 반대인 (-)전하를 띠는 입자로, 질량

은 양성자 질량의 ;18Á36;배 정도이다.

•‌양성자와 전자는 전하량의 크기는 같지만 전하의 부호가 서로 반대이며, 원자에서 양성자
수와 전자 수는 같으므로 원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4) 원자의 표시
① ‌원자 번호:원자의 종류는 원자핵 속 양성자수에 따라 달라지므로 원자 번호는 양성자수로
정하며, 원소 기호의 왼쪽 아래에 표시한다. 전기적으로 중성인 원자는 양성자수와 전자 수
가 같다.

원자 번호=양성자수=원자의 전자 수

② ‌질량수:원자핵을 구성하는 양성자수와 중성자수를 합한 수를 질량수라고 한다. 질량수는


원소 기호의 왼쪽 위에 표시한다.

질량수=양성자수+중성자수

질량수=양성자수+중성자수

정답 12
1. 중성자 원소 기호
2. 전자 6
3. b-a 원자 번호=양성자수=원자의 전자 수

-5-

책1.indb 56 2023-01-02 오후 2:15:20


 동위 원소 개념 체크

(1) 동위 원소 동위 원소는 양성자수가 같아


원자 번호는 같으나 중성자수가
양성자수가
‌ 같아 원자 번호는 같으나 중성자수가 달라 질량수가 다른 원소로, 질량수가 클 달라 질량수가 다른 원소이다.

수록 더 무겁다. 동위 원소는 화학적 성질은 거의 같으나, 질량이 다르므로 물리적 성질은


동위 원소는 화학적 성질은 거
다르다. 의 같으나 물리적 성질은 다르다.

 수소(H)의 동위 원소
동위 원소 수소(ÚÁH) 중수소(ÛÁH) 삼중수소(ÜÁH)
1. ÜÁH 원자는 양성자수가 ( ),
양성자수 1 1 1 중성자수가 ( ), 전자 수가
중성자수 0 1 2 ( )이다.
전자 수 1 1 1
질량수 1 2 3 2. 동
 위 원소는 ( )가 같
고, ( )가 다르다.
전자 전자 전자

원자 모형
양성자양성자 양성자 중성자중성자 중성자

과학 돋보기 수소와 산소의 동위 원소로 이루어진 다양한 물 분자

수소의 동위 원소가 Ú`H, Û`H, Ü`H의 3가지, 산소의 동위 원소가 Ú`ß`O, Ú`à`O, Ú`¡`O의 3가지로 존재할 경우, 이로부터 생성되는
물(HªO) 분자의 종류는 모두 18가지이다. 또한 물 분자에서 원자들의 질량수의 합은 18, 19, 20, 21, 22, 23, 24로 모
두 7가지이다. 질량수의 합이 18인 보통의 얼음(Ú`HªÚ`ß`O(s))은 물(Ú`HªÚ`ß`O(l))에 뜨지만 질량수의 합이 20인 중수소
(Û`H)로 이루어진 얼음(Û`HªÚ`ß`O(s))은 물(Ú`HªÚ`ß`O(l))보다 밀도가 커서 가라앉는다.

보통의 얼음
(Ú HªÚ ß O(s))

(Ú HªÚ ß O(l))
중수소로 이루어진 얼음
(Û HªÚ ß O(s))

HªO을 구성하는 원자들의 질량수의 합

HªO Ú`ß`O Ú`à`O Ú`¡`O


Ú`H, Ú`H 18 19 20
Ú`H, Û`H 19 20 21
Ú`H, Ü`H 20 21 22
Û`H, Û`H 20 21 22
Û`H, Ü`H 21 22 23
Ü`H, Ü`H 22 23 24

과학 돋보기 원자의 표시

원자 번호는 원소마다 고유하므로 원자 번호는 생략하고 원소 기호에 질량수만 써서 원자를 표시하기도 하는데, 예
정답
를 들어 탄소의 동위 원소 중 Ú`Û¤C는 Ú`Û`C로, Ú`ܤC는 Ú`Ü`C로 나타낼 수 있다. 원자를 표시하는 또 다른 방법에는 Ú`Û`C를 탄
1. 1, 2, 1
소-12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원소 이름-질량수’로 표시하는 방법도 있다.
2. 양성자수, 중성자수

-6-

책1.indb 57 2023-01-02 오후 2:15:21


04 원자의 구조

개념 체크 (2) 평균 원자량

평균
‌ 원자량 ① ‌평균 원자량: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위 원소의 존재 비율을 고려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낸 원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위 원소의 자량이다.
존재 비율을 고려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낸 원자량이다.
② ‌평균 원자량을 구하는 방법: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동위 원소의 (동위 원소의 원자량_동
위 원소의 존재 비율)의 합으로 계산한다.
 ‌탄소(C)의 평균 원자량 구하기:원자량이 12인 Ú`Û`C의 자연 존재 비율은 98.93%이고,
1. ( )은 자연계에 존재하
는 동위 원소의 존재 비율 원자량이 13.003인 Ú`Ü`C의 자연 존재 비율은 1.07%이다.
을 고려하여 평균값으로 Ú Û C의 Ú Û C의 Ú Ü C의 Ú Ü C의
나타낸 원자량이다. 원자량 자연 존재 비율 원자량 자연 존재 비율

2. 자
 연계에 존재하는 염소 탄소의 98.93 1.07
= 12 _ - + 13.003 _ - = 12.011
평균 원자량 100 100
(Cl)는 Ü`Þ`Cl, Ü`à`Cl 2가지이
며, 각각의 원자량은 35.0,
37.0이다. Cl의 평균 원자
량이 35.5인 것으로 보아
과학 돋보기 질량수와 원자량
자연계 존재 비율은 ( )
가( )보다 크다. 질량수는 원자핵을 구성하는 양성자수와 중성자수를 합한 수이고, 동위 원소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원자의 질량은 대부분 원자핵이 차지하므로 원자의 질 Ú`Ü`C
`Ú Û`C
량수는 원자의 상대적 질량을 대략적으로 알려준다. Ú`Û`C와 Ú`Ü`C는 양성자수가 같으 1.07%
98.93%
나 중성자수가 달라 질량수가 다른 동위 원소로 질량수가 큰 Ú`Ü`C가 질량수가 작
은 Ú`Û`C보다 원자의 질량이 크다. 그러나 질량수와 원자량이 반드시 같은 것은 아
니다. 양성자와 중성자 등과 같은 입자가 결합하여 원자를 형성할 때 에너지가 방
출되면서 질량이 감소하므로 단순히 질량수만으로 각 동위 원소의 원자량을 알 탄소의 동위 원소 존재 비율(%)
수가 없다.
•Ú`Ü`C의 원자량 : 질량수와 원자량은 유사한 값을 갖지만 항상 같지는 않다. Ú`Ü`C의 원자량은 13.003이다.

탐구자료 살펴보기 붕소의 평균 원자량 구하기

탐구 자료
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붕소(B)의 원자량과 존재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동위 원소 원자량 존재 비율(%)
Ú`â`B 10.0 19.9
Ú`Ú`B 11.0 80.1

자료 해석
1. Ú‌`â`B의 존재 비율인 19.9%와 Ú`Ú`B의 존재 비율인 80.1%의 합이 100%이므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B의 동위 원소
는 Ú`â`B와 Ú`Ú`B 2가지이다.
2. B
 의 평균 원자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의 평균 원자량=(Ú`â`B의 원자량)_(Ú`â`B의 존재 비율)+(Ú`Ú`B의 원자량)_(Ú`Ú`B의 존재 비율)
=10.0_ 19.9 +11.0_ 80.1 ?10.8
100 100
‌ 의 평균 원자량은 존재 비율이 작은 Ú`â`B의 원자량인 10.0보다 존재 비율이 큰 Ú`Ú`B의 원자량인 11.0에 더 가까운 값
3. B
이다.
정답
분석 point
1. 평균 원자량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위 원소의 원자량과 존재 비율을 이용하여 평균 원자량을 구할 수 있다.
2. Ü`Þ`Cl, Ü`à`Cl

-7-

책1.indb 58 2023-01-02 오후 2:15:21


화학
화학11 문풀반
문풀반
[23024-0063]
01
[23024-0064]
다음은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에 대한 설명이다. ㉠~㉢은 02 다음은 입자 X에 대한 자료이다.
각각 양성자, 중성자, 전자 중 하나이다.
○ 중성자수는 양성자수보다 1만큼 크다.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의 종류에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 ○ 전자 수는 양성자수보다 1만큼 크다.
가 있다. 모든 원자에는 ㉠ 와 ㉡ 가 들어 있고,
㉢ 는 원자핵을 구성하는 입자 중 하나이다. 질량은 다음 중 입자 X로 가장 적절한 것은?
㉡ 가 ㉠ 보다 크다.
① ÛÁH ② à£Li± ③ Ú`à¥OÛ`Ñ
④ Ú`á»FÑ ⑤ ÜÁà¦ClÑ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은 ܪHeÛ`±을 구성하는 입자이다.


ㄴ. ㉡은 모든 이온에 들어 있는 입자이다.
ㄷ. ㉢은 ÚÁH를 구성하는 입자이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4강

Chemistry for Gifted Students Made by Ha T


-8-
010.4006.3649
화학
화학11 문풀반
문풀반
[23024-0066]
04
[23024-0065]
03 그림은 원자 또는 이온 (가)~(다)를 구성하는 입자를 모형 다음은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 X의 발견과 관련된 실험이다.
으로 나타낸 것이다. , , 은 각각 양성자, 중성자, 전자 중 하
[실험 과정 및 결과]
나이고, (가)~(다) 중 원자는 1가지이다.
(가) 음극선의 진로에 장애물을 설치하였더니 그림자가
생겼다.
(나) 음극선의 진로에 바람개비를 설치하였더니 바람개비
가 회전하였다.
장애물 그림자
(가) (나) (다) (-) 고전압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고전압 (+)

(가) (나)
ㄱ. (다)는 ÜÁH±이다.
ㄴ. 중성자수는 (가)와 (나)가 같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ㄷ. ÛÁÜÁNa±에서 입자 수는 이 보다 크다.

ㄱ. X는 질량을 가진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ㄴ. (나)에서 (-)극으로 사용한 금속의 종류를 다르게 하
더라도 바람개비는 회전한다.
ㄷ. 이 실험으로 X가 원자핵 주위를 돌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4강

Chemistry for Gifted Students Made by Ha T


-9-
010.4006.3649
화학
화학11 문풀반
문풀반
[23024-0068]
06
[23024-0067]
05 다음은 원자 또는 이온에 대한 자료이다. 다음은 X와 Y의 동위 원소와 분자 XY가 자연계에 존재
하는 비율에 대한 자료이다. a+b=x+y=1이다.
○ Ú`Ü`W와 Ú`Ý`X는 중성자수가 같다.
○ Ü`Þ`YÑ과 Ü`ß`ZÛ`Ñ은 전자 수가 같다. ○ X의 동위 원소 자연계 존재 비율
동위 원소 존재 비율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à`á`X a

(단, W ~Z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Ú`X b

○ Y의 동위 원소 자연계 존재 비율
ㄱ. 전자 수는 Ú`Ý`X가 Ú`Ü`W보다 1만큼 크다.
동위 원소 존재 비율
ㄴ. 중성자수는 Ü`ß`ZÛ`Ñ이 Ü`Þ`YÑ보다 1만큼 크다. Ü`Þ`Y x
ㄷ. Ú`Ü`W와 Ü`Þ`YÑ의 양성자수의 합은 Ú`Ý`X와 Ü`ß`ZÛ`Ñ의 양성자 Ü`à`Y y
수의 합과 같다.
○ XY의 자연계 존재 비율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분자 존재 비율

à`á`XÜ`Þ`Y ;8#;

à`á`XÜ`à`Y ;8!;

¡`Ú`XÜ`Þ`Y ;8#;

¡`Ú`XÜ`à`Y ;8!;

x_y
는? (단, X, Y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a_b

① ;8#; ② ;4#; ③1 ④ ;3$; ⑤ ;3*;

4강

Chemistry for Gifted Students Made by Ha T


-10-
010.4006.3649
화학
화학11 문풀반
문풀반
[23024-0069] [23024-0070]
07 그림은 원자 A와 이온 BÛ`±에 대한 자료이다. (가)와 (나)는 08 표는 원자 (가)~(다)에 대한 자료이다. ㉠은 양성자와 중성
각각 A와 BÛ`± 중 하나이고, ㉠~㉢은 각각 양성자, 중성자, 전자 자 중 하나이다.
중 하나이다.
원자 (가) (나) (다)
입자 수 원자 번호 x x-1
n+1 질량수 2x+1 2x 2x
n
;5^;
㉠ ㉠의 수
1
㉡ 전자 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0
(가) (나)

ㄱ. ㉠은 중성자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ㄴ. (가)와 (다)는 동위 원소이다.
(단, A, B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ㄷ. (나)와 ÛÁâ¼Ne은 동위 원소이다.

ㄱ. ㉢은 중성자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ㄴ. 원자 번호는 A>B이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ㄷ. BÛ`±의 전자 수는 n-1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강

Chemistry for Gifted Students Made by Ha T


-11-
010.4006.3649
화학
화학11 문풀반
문풀반
[23024-0071]
01 다음은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 X를 발견한 톰슨의 실험과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 Y를 발견한 러더
퍼드의 실험을 나타낸 것이다.

a 입자원 방향으로
튕겨 나온 a 입자
a 입자
(-) 휘어진 a 입자

a 입자원
(-)
금박
고전압
(+)
(+)
형광 스크린
휘어지지 않은 a 입자

(가) 톰슨의 실험 (나) 러더퍼드의 실험

○ (가)에서 음극선의 진로가 (+)극 쪽으로 휘었다.


○ (나)에서 극히 일부의 a 입자의 경로가 크게 휘어지거나 튕겨 나왔고, 대부분의 a 입자는
금박을 그대로 통과하였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원자에서 X와 Y 사이에는 정전기적 인력이 작용한다.


ㄴ. 원자에서 |X의 전체 전하량|=|Y의 전체 전하량|이다.
ㄷ. (가)와 (나)의 결과를 통해 X는 Y 주위의 정해진 궤도를 원운동하는 원자 모형이 제안되
었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강

Chemistry for Gifted Students Made by Ha T


-12-
010.4006.3649
화학
화학11 문풀반
문풀반
[23024-0072]
02 그림은 이온 (가)~(라)에 대한 자료이다. (가)~(라)는 각 ㉠의 수
( 나) (라)
2
각 ÛÁH±, ÜÁH±, ܪHeÛ`±, ݪHeÛ`± 중 하나이고, ㉠은 양성자와 중성자
중 하나이다. (가 ) (다)
1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
은? 0 a b 중성자수
양성자수

a
ㄱ. =;4!;이다.
b
ㄴ. ㉠은 양성자이다.
이온의 전하량
ㄷ. (가)~(라) 중 은 (가)가 가장 크다.
중성자수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4강

Chemistry for Gifted Students Made by Ha T


-13-
010.4006.3649
화학
화학11 문풀반
문풀반
[23024-0073]
03 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수소(H)와 산소(O)의 동위 원소에 대한 자료이다. a+b=100이고,
a>b이다.

원소 동위 원소 원자량 존재 비율(%)
Ú`H 1 a
H
Û`H 2 b
Ú`ß`O 16 99.76
O Ú`à`O 17 0.04
Ú`¡`O 18 0.2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H와 O의 각 동위 원소의 존재 비


율은 자연계에서와 각각 Oª에서 및 HªO에서가 같다.)

ㄱ. H의 평균 원자량은 1.5보다 작다.


Oª 중 분자량이 36인 Oª의 존재 비율(%)
ㄴ. 자연계에서 =5이다.
Oª 중 분자량이 35인 Oª의 존재 비율(%)
HªO 중 분자량이 21인 HªO의 존재 비율(%)
ㄷ. 자연계에서 <2이다.
HªO 중 분자량이 22인 HªO의 존재 비율(%)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강

Chemistry for Gifted Students Made by Ha T


-14-
010.4006.3649
화학
화학11 문풀반
문풀반
[23024-0074]
04 그림 (가)는 t¾, 1`atm에서 실린더 Ⅰ과 Ⅱ에 기체가 들어 있는 것을, (나)는 실린더 Ⅰ과 Ⅱ에
들어 있는 전체 ㉠의 수 비율과 전체 ㉡의 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과 ㉡은 각각 양성자와 중성자 중
하나이다.

피스톤 실린더 Ⅱ
3
실린더 Ⅰ
;10;` 실린더 Ⅰ 실린더 Ⅱ
Ú`HÛ`H 3`g 7 ;7$; ;7#;
Û`HÛ`H b`g ;10;`
Ú`Û`CÚ`H¢ a`g

실린더 Ⅰ 실린더 Ⅱ ㉠의 수 비율 ㉡의 수 비율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H, C의 원자 번호는 각각 1, 6이


고, Ú`H, Û`H, Ú`Û`C의 원자량은 각각 1, 2, 12이며, 실린더 속 기체의 온도와 압력은 일정하다.)

ㄱ. (나)에서 ㉠은 양성자이다.
ㄴ. (가)에서 실린더 속 기체의 양(mol)은 Ⅰ과 Ⅱ가 같다.
ㄷ. a+b=14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강

Chemistry for Gifted Students Made by Ha T


-15-
010.4006.3649
화학
화학11 문풀반
문풀반
[23024-0075]
05 표는 원자 또는 이온에 대한 자료이다.

양성자수
원자 또는 이온 전자 수(상댓값) 중성자수-전자 수
중성자수
W 1 a-2
ÁªX 2 a-2 1

Y± b a ;8#;a

¥ZÛ`Ñ a-2 c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W ~Z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① a=1이다. ② 원자 번호는 W>Y이다.


③ 중성자수는 W와 X가 같다. ④ 전자 수는 Y와 Z가 같다.

⑤ b_c=;3$;이다.

4강

Chemistry for Gifted Students Made by Ha T


-16-
010.4006.3649
화학
화학11 문풀반
문풀반
[23024-0076]
06 다음은 원자 X의 평균 원자량을 구하기 위해 수행한 탐구 활동이다.

[탐구 과정]
(가) X의 동위 원소와 자연계에 존재하는 비율을 조사한다.
(나) 자연계에 존재하는 X의 동위 원소의 원자량과 구성 입자에 대한 자료를 조사한다.
(다) X의 평균 원자량을 구한다.
[탐구 결과]
○ X의 동위 원소와 존재 비율 ○ 동위 원소의 원자량과 구성 입자
동위 원소 Ú`â`X Ú`Ú`X
Ú`â`X ;5!;
원자량 10 11
양성자수 a b
Ú`Ú`X ;5$;
중성자수 c d

○ 평균 원자량은 x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X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ㄱ. x=10.8이다.
c d
ㄴ. > 이다.
a b
1`g의 Ú`Ú`X에 들어 있는 전체 중성자수 10c
ㄷ. = 이다.
1`g의 Ú`â`X에 들어 있는 전체 중성자수 11d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4강

Chemistry for Gifted Students Made by Ha T


-17-
010.4006.3649
화학
화학11 문풀반
문풀반
[23024-0077]
07 다음은 X±과 YÛ`Ñ에 대한 자료이다.

=;2!;이다.
양성자수
○ YÛ`Ñ에서
질량수
○ 전자 수는 X±과 YÛ`Ñ이 같다.
○ 질량수는 X±이 YÛ`Ñ보다 7만큼 크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X와 Y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ㄱ. 전자 수는 X가 Y보다 3만큼 크다.


중성자수
ㄴ. 는 X±>YÛ`Ñ이다.
양성자수
양성자수
ㄷ. 는 X±>YÛ`Ñ이다.
양성자수+중성자수+전자 수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강

Chemistry for Gifted Students Made by Ha T


-18-
010.4006.3649
화학
화학11 문풀반
문풀반
[23024-0078]
08 그림은 µx XÛ`±과 ǵYÑ에 대한 자료이다. ㉠과 ㉡은 각각 중성자와 전자 중 하나이고, |m-n|
=10이며, m>2x이다.

㉠의 수 ㉡의 수
(상댓값) 2 (상댓값) 5

1
0 0
µ®`XÛ`± ǵYÑ µ®`XÛ`± ǵYÑ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X와 Y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ㄱ. ㉠은 전자이다.
ㄴ. m+n=27이다.
ㄷ. (중성자수-전자 수)는 X와 Y가 같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4강

Chemistry for Gifted Students Made by Ha T


-19-
010.4006.3649
화학
화학11 문풀반
문풀반
[23024-0079]
09 다음은 용기 (가)와 (나)에 들어 있는 COª(g)와 HªO(g)에 대한 자료이다.

Ú`Û`CÚ`ß`OÅ`O 0.1`mol Ú`HÚ`H´`O 0.3`mol


Ú`Ü`CÚ`ß`OÚ`ß`O a`mol Ú`HÛ`HÚ`ß`O 0.2`mol
b`L c`L

(가) (나)

○ 두 용기 속 기체의 온도와 압력은 같다.


○ 용기에 들어 있는 양성자수비는 (가) : (나)=33 : 25이다.
(나)의 Ú`HÚ`HyO 0.3`mol에 들어 있는 중성자수
○ =1이다.
(가)의 Ú`Û`CÚ`ß`OxO 0.1`mol에 들어 있는 중성자수
○ 용기에 들어 있는 중성자수비는 (가) : (나)=5 : 3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H, C, O의 원자 번호는 각각 1,


x y
6, 8이고, Ú`H, Û`H, Ú`Û`C, Ú`Ü`C, Ú`ß`O, O, O의 원자량은 각각 1, 2, 12, 13, 16, x, y이다.)

a_c
ㄱ. =;3!;이다. ㄴ. 용기에 들어 있는 Ú`ß`O의 양(mol)은 (가)와 (나)가 같다.
b
(나)에 들어 있는 Ú`HÚ`HyO의 질량(g)
ㄷ. =;5#;이다.
(가)에 들어 있는 Ú`Ü`CÚ`ß`OÚ`ß`O의 질량(g)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강

Chemistry for Gifted Students Made by Ha T


-20-
010.4006.3649
화학
화학11 문풀반
문풀반
[23024-0080]
10 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X의 동위 원소에 대한 자료를, 그림은 Xª의 분자량과 존재 비율을 나타
낸 것이다.

;8#;
원소 동위 원소 원자량 존재 비율(%) 평균 원자량 존재 비율
µ``X m 75
X x
n
X n 25 a
0 2m 72 74
;35;`m ;35;`m
Xª의 분자량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X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a
ㄱ. x=;3&5!;`m이다. ㄴ. =;4!;이다.
b
n
1`g의 X에 들어 있는 양성자수
ㄷ. m =;3#7%;이다.
1`g의 X에 들어 있는 양성자수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강

Chemistry for Gifted Students Made by Ha T


-21-
010.4006.364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