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① 원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②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된 ( 8 )의 질량이 원자 질


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⑵ 원자 번호와 질량수
원자의 구조 ① 원자 번호=( 9 ) =원자의 전자 수
② 질량수=양성자수+( 10 )

1. 성 의 ⑶ 동위 원소와 평균 원자량
⑴ 전자의 발견(톰슨, 1897년) ① 동위 원소: 양성자수(원자 번호)는 같지만 중성자수가 달
구분 내용
라 질량수가 다른 원소로 화학적 성질이 같다.
진공 방전관에 높은 전압을 걸어 주면 (-)극에서 (+)극 쪽으로
② 평균 원자량: 동위 원소가 존재하는 경우 각 동위 원소의
음극선
빛을 내며 나오는 선 원자량과 존재 비율을 곱한 값을 더하여 구한다.
(-)극
(-)극
(-)극 (-)극
(-)극 물체
물체
(-)극물체 바람개비
바람개비
바람개비
(-)극
(-)극
(-)극 (-)극
(-)극
(-)극

(+)극
(+)극
(+)극
고전압
고전압
고전압 고전압(+)극
고전압
고전압 고전압
고전압
고전압
음극선 (+)극
(+)극
(+)극 (+)극
(+)극 (+)극
(+)극
(+)극
실험
음극선은 음극선은
(1 ) 전하
음극선은 직진하는
(2 )을 가
원자 모형과 전자 배치
성질이 있다.
를 띤다. 진 입자의 흐름이다.

결론
음극선은 (-)전하를 띠며 질량을 갖는 입자의 흐름으로, 이 입 1.
자는 원자를 구성하는 공통적인 입자인 ( 3 ) 이다. ⑴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 수소 방전관에서 발생하는 빛을
⑵ 원자핵의 발견(러더퍼드, 1911년) 프리즘에 통과시키면 선 스펙트럼이 얻어진다. 수소
원자의 에너지 준위가 불연속적이기 때문이다.
구분 내용
⑵ 보어 원자 모형
알파 ( )
알파( ) 산란된 알파 ( ) 입자
입자 ① 원자핵 주위의 전자는 특정한 에너지 준위의 궤도(전자
입자 대부분의 알파 ( ) 껍질)에서만 원운동을 하며, 원자핵에 가까운 전자 껍질
산란 입자는 산란되지
형광 스크린
실험 않는다. 부터 K(n=1), L(n=2), M(n=3) … 등의 순서로 기
금박
호를 붙이고, n을 주 양자수라고 한다.
원자의 대부분은 빈 공간이고 중심에 (+)전하를 띠며, 원자 질
1312
결론 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 4 ) 이 있고, 원자핵 주위에 ② 전자 껍질의 에너지 준위는 E n =- 2 `kJ /mol
(-)전하를 띠는 ( 5 ) 가 운동한다. n
(n=1, 2, 3 … )이다.
⑶ 톰슨과 러더퍼드의 원자 모형 ③ 전자가 다른 전자 껍질로 전이할 때는 두 전자 껍질의 에
너지 차이만큼의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방출한다.
ΔE=E처음-E나중
n=
N(n=4) 에 n=4
M(n=3) 너
톰슨 모형 러더퍼드 모형 L(n=2) 지 n=3
K(n=1) n=2
2. 의 에너지 에너지
⑴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의 성질 원자핵 흡수 방출
전자
구성 입자 상대적인 전하 상대적인 질량 n=1
보어 원자 모형과 전자 껍질의 에너지 준위
양성자 +1 1
원자핵 ⑶ 선 스펙트럼이 나타나는 까닭: 전자가 에너지 준위가 낮은
중성자 0 ( 6 )
1 전자 껍질로 전이할 때 에너지 준위 차이에 해당하는 불
전자 ( 7 )
1837 연속적인 에너지의 빛만 방출하기 때문이다.

098 II - 1. 원자의 구조
정답친해 43쪽

스펙트럼 계열 스펙트럼 영역 전자 전이 ⑷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


라이먼 계열 자외선 nj2 → n=1 수소 원자 다전자 원자
발머 계열 ( 11 ) nj3 → n=2 주 양자수(n)가 같을 때 오비탈의 모 주 양자수(n)와 오비탈의 모양에 따
파셴 계열 적외선 nj4 → n=3 양에 관계없이 에너지 준위가 같다. 라 에너지 준위가 달라진다.
n 2 n=1 n 3 n=2 n 4 n=3 1s<2s=2p<3s=3p=3d<… 1s<2s<2p<3s<3p<4s<3d …
라이먼 계열 발머 계열 파셴 계열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5 (생략) 5 (생략) 4p
4s 4p 4d 4f 3d
0 400 800 1200 1600 2000 4 (생략) 4 4s
3p
파장(nm) 에 3s 3p 3d 에
수소 원자의 스펙트럼 계열 너3 너 3 3s
지 지
2p
2. 의 2s 2p
2 2 2s
⑴ 오비탈: 원자핵 주위에서 전자가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률 분포로 나타낸 것 1s 1s
1 1
s 오비탈 p 오비탈 n n
수소 원자의 에너지 준위 다전자 원자의 에너지 준위
zzz zzz zzz zzz
yyy yyy yyy yyy

xxx xxx xxx xxx


3.
px py pz ⑴ 전자 배치 규칙
공 모양으로 방 아령 모양으로 L 전자 껍질(n=2)부터 존재하며, 방향 구분 내용
향성이 없다. 성이 있다.
쌓음 원리 에너지가 가장 낮은 오비탈부터 전자가 차례대로 채워진다.

⑵ 양자수의 종류 1개의 오비탈에는 같은 방향의 스핀을 갖는 전자가 배치될 수


파울리 없고, 전자가 최대 2개까지만 들어갈 수 있다.
종류 의미 존재 가능한 값 배타 원리
( ) ( ) ( ) ( )
오비탈의 에너지
주 양자수(n) 1, 2, 3, 4 … X
준위 결정 에너지 준위가 같은 오비탈에 전자가 배치될 때 가능한 한
훈트 규칙
오비탈의 모양(s, 주 양자수(n)에 의해 결정되며, 0, ( 13 ) 가 최대가 되도록 전자가 배치된다.
방위(부) 양자수(l)
p, d, f) 결정 1, 2, … (n-1)까지 n개 존재
⑵ 바닥상태와 들뜬상태의 전자 배치
방위(부) 양자수(l)에 의해 결정되
오비탈의 공간적
자기 양자수(ml) 며, -l, … -2, -1, 0, +1, 바닥상태 들뜬상태
인 방향 결정
+2 …, +l까지 (2l+1)개 존재 전자 배치 규칙에 따라 배치되어 에 원자가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자가
스핀 자기 양자수 전자의 스핀 방향 너지가 가장 낮은 안정한 상태의 전 높은 에너지 준위의 오비탈로 전이
+ ,-
(ms) 결정 자 배치 된 전자 배치

⑶ 전자 껍질에 따른 양자수와 오비탈의 관계 ⑶ 원자가 전자: 원자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에서 가장 바깥


전자 껍질에 배치된 전자로, 화학 결합에 참여하며 원자
전자 껍질 K L M
의 화학적 성질을 결정한다. 원자가 전자 수가 같으면
주 양자수(n) 1 2 3
방위(부)
화학적 성질이 비슷하다.
0 0 1 0 1 2 ⑷ 이온의 전자 배치: 원자가 이온으로 될 때는 비활성 기체
양자수(l)
오비탈 종류 1s 2s 2p 3s 3p 3d 와 같은 전자 배치를 가지려고 한다.
자기 양자수 양이온 음이온
0 0 -1, 0, +1 0 -1, 0, +1 ( 12 )
(ml)
가장 바깥 전자 껍질에 있는 전자를 비어 있는 오비탈 중 에너지 준위가
오비탈 수(n2) 1 4 9 잃는다. 가장 낮은 오비탈에 전자가 채워진다.
최대 수용 11Na: 1s22s22p63s1 8O: 1s22s22px22py12pz1
2 2 8 18 + 2 2 6 2- 2 2 6
전자 수(2n ) 11Na : 1s 2s 2p 8O : 1s 2s 2p

중단원 핵심 정리 099
원소의 주기적 성질

1. 유효 핵전하
⑴ 가려막기 효과: 다전자 원자에서 전자 사이의 반발력이 작
주기율표
용하여 전자와 원자핵 사이의 인력을 약하게 만드는 현상
•같은 전자 껍질에 있는 전자의 가려막기 효과는 안쪽 전
1. 주기율표
자 껍질에 있는 전자의 가려막기 효과보다 작다.
⑴ 주기율표가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
과학자 내용 b
전자 c에 대한 가려막기 효과
화학적 성질이 비슷한 세 쌍 원소를 원자량 순으로 나열했 4+
a c a<b
되베라이너 을 때 중간 원소의 원자량은 나머지 원소의 원자량을 평균
한 값과 같다. 세 쌍 원소설
원소들을 원자량 순으로 배열했을 때 8번째마다 화학적 성 ⑵ 유효 핵전하: 전자가 실제로 느끼는 핵전하
뉴랜즈
질이 비슷한 원소가 나타난다. 옥타브설
구분 유효 핵전하의 주기성
원소들을 ( 1 ) 순으로 배열했을 때 성질이 비슷한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가
멘델레예프 원소가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고 최초의 주기율 같은
(9 ) 한다. 핵전하의 증가가 가려막기 효과의 증가보
표를 작성하였다. 주기
다 크기 때문이다.
원소들을 ( 2 ) 순으로 배열하여 현대 주기율표의
모즐리 같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가
틀을 만들었다.
족 ( 10 ) 한다.

⑵ 현대의 주기율표: 원소들을 ( 3 ) 순으로 배열한 표



효 7 Ar
주기율표의 세로줄(1 족 ̄ 18 족) 같은 족 원소들은 Cl
족 핵 6 S
( 4 ) 가 같아 화학적 성질이 비슷하다. 전 P Ne
하 5 Al Si F
주기율표의 가로줄(1주기 ̄7주기) 같은 주기 원소들 O
주기 4 Mg
은 전자가 들어 있는 ( 5 ) 가 같다. N
3 Na C
주기율이 원자 번호의 증가에 따라 ( 6 ) 가 주기적으로 2 B
나타나는 까닭 변하기 때문이다. Be
1 Li
0
1 2 13 14 15 16 17 18 족
유효 핵전하의 주기성
2. 원소의 분류
⑴ 금속 원소와 비금속 원소
2. 원자 반지름과 이온 반지름
구분 금속 원소 비금속 원소
⑴ 원자 반지름: 같은 종류의 두 원자가 결합하고 있을 때 두
주기율표에서의
왼쪽과 가운데 오른쪽 (단, 수소는 왼쪽)
위치 2이다.
원자핵간 거리의 1
/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전자를 얻어 음이온이 되기
이온 형성 같은 주기 같은 족
되기 쉽다. 쉽다. (단, 18족 제외)
실온에서의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 11 )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 12 )
고체(단, 수은은 액체) 기체, 고체(단, 브로민은 액체)
상태 진다. 전자가 들어 있는 전자 껍질 진다.전자가 들어 있는 전자 껍
수는 같지만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질 수가 커지는 효과가 원자가 전자
열, 전기 전도성 열과 전기를 잘 통한다. 열과 전기를 잘 통하지 않는다.
유효 핵전하가 증가하여 원자핵과 전 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의 증가보다
⑵ 동족 원소 자 사이의 인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크기 때문이다.

( 7 ) ( 8 ) 비활성 기체
수소를 제외한 1족 원 17족 원소로 -1의 음 18족 원소로 반응성이 3+
3+ 4+
4+ 3+
3+ 11+
11+

소로 + 1 의 양이온이 이온이 되기 쉽다. 거의 없고 실온에서 기


되기 쉽다. 체 상태이다. Li
Li > Be
Be Li
Li < Na
Na

138 II - 2. 원소의 주기적 성질


정답친해 65쪽

원 250 3. 이온화 에너지


자 ⑴ 이온화 에너지: 기체 상태의 원자 1`mol에서 전자 1`mol
반 200 K
지 Na Ca 을 떼어 내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이다.

150 Li Al
Mg M(g)+E M+(g)+e- (E: 이온화 에너지)
(

pm Si P S Cl
)

100 Be ① 원자핵과 전자 사이의 인력이 클수록 이온화 에너지가


B
50 C N O F 크다.
H
0 ② 이온화 에너지가 작은 원소일수록 양이온이 되기 쉽다.
1 2 13 14 15 16 17 족
원자 반지름의 주기성 같은 주기 같은 족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대체로 증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한다.
한다.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유 전자가 들어 있는 전자 껍질 수의
⑵ 이온 반지름 효 핵전하의 증가로 원자핵과 전자 증가로 원자핵과 전자 사이의 인력
양이온 반지름 음이온 반지름 사이의 인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원자 반지름보다 ( 13 ) 다. 원자 반지름보다 ( 14 ) 다.
금속 원소가 양이온이 되면 전자
비금속 원소가 음이온이 되면 전 이 2500 He 예외: 전자 배치의
온 Ne
가 들어 있는 전자 껍질 수가 작아 자 수가 커져 전자 사이의 반발력이 화 2000 특성 때문
지기 때문이다. 증가하기 때문이다. 에 N Ar
너 1500 F
지 P
1000 H Be O Mg Cl
C
(
kJ S Ca
1111++ 1111++ 99++ 99++ B Si
mol 500 Li Na Al K
)
0
++ --
2 4 6 8 10 12 14 16 18 20
Na
Na Na
Na FF FF 원자 번호
이온화 에너지의 주기성
① 이온 반지름의 주기성
같은 주기 같은 족 ⑵ 순차 이온화 에너지: 기체 상태의 다전자 원자 1`mol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의 반지름은 모두 양이온과 음이온의 반지름은 모두 전자를 1`mol씩 차례로 떼어 낼 때 각 단계마다 필요한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작아진다.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커진다. 에너지이다.
유효 핵전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전자가 들어 있는 전자 껍질 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M( g)+E1 M+( g)+e- (E1: 제1 이온화 에너지)
2
•M+( g)+E2 M +( g)+e- (E2: 제2 이온화 에너지)

1족 2족 16족 17족 •M2+( g)+E3 3
M +( g)+e- (E3: 제3 이온화 에너지)
주기

① 차수가 커질수록 이온화 에너지가 증가한다.


Li Li+ Be Be2+ O O 2- F F-
2주기 ② 순차 이온화 에너지와 원자가 전자: 원자가 전자를 모두 떼
152 60 112 31 73 140 71 136
어 내고 안쪽 전자 껍질에 있는 전자를 떼어 낼 때 이온화
에너지가 급격히 증가한다. ( 18 ) 를 알 수 있다.
Na Na+ Mg Mg2+ S S2- Cl Cl-
3주기
186 95 160 65 103 184 99 181 ⑶ 원소의 주기적 성질
비금속성 증가, 이온화 에너지 증가,
(단위: pm) 음이온이 되기 쉬움

② 등전자 이온의 반지름: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유효 핵전하


2- - +
가 증가하여 반지름이 작아진다. 8O >9F >11Na 비금속
③ 원자 반지름과 이온 반지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준금속
금속
유효 핵전하 전자 껍질 수 전자 수
유효 핵전하가 클수록 전자가 들어 있는 전자 전자 수가 클수록 반지
반지름이 껍질 수가 클수록 반지 름이 ( 17 ) 다. (단, 비금속성, 음이온의
금속성 증가, 이온화 에너지 감소,
( 15 ) 다. 름이 ( 16 ) 다. 경향성에서 18족은 제외)
양이온이 되기 쉬움

중단원 핵심 정리 13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