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3

제 0강

화학의 기초
고등학교 화학Ⅰ에서 꼭 필요한

주 기 율 표

1족 2족 13족 14족 15족 16족 17족 18족

1H 2He
1주기
수소 헬륨
9F
3Li 4Be 5B 6C 7N 8O 10Ne
2주기 플루오
리튬 베릴륨 붕소 탄소 질소 산소 네온

12Mg 13Al
11Na 14Si 15P 16S 17Cl 18Ar
3주기 마그네 알루미
나트륨 규소 인 황 염소 아르곤
슘 늄
19K 20Ca 35Br
4주기
칼륨 칼슘 브로민
53I
5주기 아이오

화학의 기초 3
1. 원소와 원자
(1) 원소
① 원소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성분 종류
: ( )

② 원소 기호
원소 글자 수 한 글자 원소 기호 두 글자 원소 기호
표시 방법 대문자 첫 번째 글자 대문자 -

두 번째 글자 소문자 -
수소 (Hydrogen) : H 구리 (Cuprum) : Cu

예 산소 (Oxygen) : O 코발트 (Coboltum) : Co

탄소 (Carbonicum) : C 철 (Ferrum) : Fe

(2) 원자
① 원자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입자
:

② 원자의 구성
㉠ 원자핵 원자의 질량 을 결정하며 양전하를 띠는 양성자와 전하를 띠지 않는 중성자로 되어있다
: , .

㉡ 전자 원자의 크기를 결정하며 음전하를 띠고 있다


: , .

구성 입자 상대적 상대적 관련특성


전하량 질량
원자 양성자 원자번호 +1 1
원 핵 중성자 동위원소

0 1

전 자 


화학적 성질 -1

• 중성 원자 원자는 전기적으로 중성 양성자 수 전자 수


( ) : ( = )

 Li 는 양성자 수 개
 전자 수 개 (3 ) = (3 )

※ 원소와 원자
H 개 1 CO 개1 CO 개 5 NaOH 3개 CHO 개3 CHO 1개
원소 1종류 2종류 2 종류 3 종류 3 종류 3 종류
원자 2개 3개 15개 9 개 12 개 24 개

(3) 원자의 표시
Z 질량수→ 12

A
X 원자번호→ 6
C
A : 원자 번호 = 양성자 수 = 전자 수
Z : 질량수 = 양성자 수 + 중성자 수
4 화학의 기초

2. 이온
(1) 이온 중성의 원자나 원자단이 전자 를 잃거나 얻어서 전하를 띠게 된 입자
:

종류 양이온 음이온 (+) (-)

형성
과정
중성 원자가 전자를 잃어 중성 원자가 전자를 얻어
전하를 띠게 된 입자
(+) 전하를 띠게 된 입자
(-)

입자수 양성자 수 전자 수 > 양성자 수 전자 수 <

전하량 전하량
(+) 전하량 > (-) 전하량
(+) 전하량 < (-)

(2) 이온의 표시 및 명명법


① 이온의 표시
양이온 음이온
원소 기호의 오른쪽 위에 잃은  원소 기호의 오른쪽 위에 얻은 
전자 개수를 쓰고 부호를
붙인다 단 은 생략
.( , 1
, +

)
X 전자 개수를 쓰고 부호를
붙인다 단 은 생략
.( , 1
, -

)
X

표시

H 이 전자 개 잃음 1 ⇒ H
+ F이 전자 1개 얻음 ⇒ F
-

Na 이 전자 개 잃음 1 ⇒ Na
+
O이 전자 2개 얻음 ⇒ O
2-

Mg 이 전자 개 잃음 2 ⇒ Mg
2+
이 전자
Cl 1개 얻음 ⇒ Cl
-

Al 이 전자 개 잃음 3 ⇒ Al
3+
S이 전자 2개 얻음 ⇒ S
2-
화학의 기초 5

② 이온의 명명법
양이온 음이온
원자 이름 ‘화 이온’ +

명명법 원자 이름 ‘이온’ 단 ‘~소’와 같은 원자 이름의 경우 ‘소’


( ,
+
를 뺀 후 ‘화 이온’을 쓴다 .)

 O산소화 이온 ➡ 산화 이온
2-
: (X) (O)

H
+
: 수소 이온 플루오린화 이온 F
-
:

Li
+
: 리륨 이온 염화 이온 Cl
-
:

Na
+
: 나트륨 이온 산화 이온 O
2-
:

K
+
: 칼륨 이온 황화 이온 S
2-
:

예 Ca
2+
: 칼슘 이온 아이오딘화 이온 I
-
:

Mg
2+
: 마그네슘 이온 질산 이온NO3
-
:

Al
3+
: 알루미늄 이온 탄산 이온CO3
2-
:

Cu
2+
: 구리 이온 황산 이온SO4
2-
:

Zn
2+
: 아연 이온 아세트산 이온
CH3COO
-
:

NH4
+
: 암모늄 이온 수산화 이온 OH
-
:

(3) 이온 결합 물질
① 이온 결합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의 전기적 인력에 의한 결합 일반적으로 금속 원소와 비금속
: .

원소 간의 결합

② 이온 결합 물질의 표시
㉠ 전기적으로 중성이 되어야 하므로 양이온과 음이온의 총 전하수가 같아야 한다 .

㉡ 다원자 이온이 개 이상이면 괄호로 묶는다


2 .

㉢ 일 때 는 생략한다
a = b a, b .

→ Na
+
+ Cl
-
NaCl

→ Mg
2+
+ Cl
-
MgCl2

→ Na
+
+ CO3
2-
Na2CO3

→ Ca
2+
+ NO3
-
Ca(NO3)2

→ NH4
+
+ SO4
2-
(NH4)2SO4

→ Ca
2+
+ O
2-
CaO

→ Mg
2+
+ SO4
2-
MgSO4
6 화학의 기초

③ 이온 결합 물질의 명명 음이온을 먼저 읽고 양이온을 나중에 읽는다


: .

종류의 원소로 구성 종류 이상의 원소로 구성


3
2
다원자 이온 포함 물질
( )

명명법 음이온 이름 “화” 양이온 이름 + + 음이온 이름 양이온 이름 +

염화 나트륨
NaCl : Ca(OH)2 : 수산화 칼슘
산화 알루미늄
Al2O3 : Na2SO4 : 황산 나트륨
이산화 망가니즈
MnO2 : AgNO3 : 질산 은
예 염화 마그네슘
MgCl2 : NH4OH : 수산화 암모늄
염화 은
AgCl : CaCO3 : 탄산 칼슘
산화 구리
CuO : NaHCO3 : 탄산수소 나트륨
아이오딘화 칼륨
KI : NaOH : 수산화 나트륨
· 음이온과 양이온 사이는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함

3. 분자
(1)분자
① 물질을 끝없이 쪼개어 나갈 때 마지막으로 그 물질의 고유한 성질 을 가지는 가장 작은 입자
② 셀 수 있는 독립된 단위체
③ 일반적으로 비금속 원자들이 공유 결합 하여 형성 예외 단원자 분자 족 원소
( : (18 ))

※ 비분자성 물질 금속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금속 결합 물질 이온 결합 물질


: ( , )

비금속 원소만으로 구성되었으나 독립된 단위체가 아닌 경우 흑연 석영 등 ( , )

(2) 공유 결합 비금속 원자들이 전자쌍을 공유하여 형성된 결합


:
화학의 기초 7

(3) 분자의 표시 분자식 ( )

① 분자를 이루고 있는 원자의 원소 기호를 모두 쓴다 .

② 분자를 이룬 원자의 수를 원소 기호의 오른쪽 아래에 작은 숫자를


써서 나타낸다 .

물질 헬륨 질소 물 메테인 암모니아
분자식 He N H O CH  NH 

분자모형
원자 수 1 2 3 5 4

구성 원소 He N H, O C, H N, H

원소의 종류 1 1 2 2 2

4. 주기율표
주기율표의 구성
(1)

① 주기 주기율표의 가로줄 의미 같은 주기의 원소들은 같은 수의 전자 껍질 을 갖는다


: . .

② 족 주기율표의 세로줄 의미 같은 족의 원소들은 원자가 전자 수가 같으므로 화학적 성질이 비슷하다


: . .


주기 1 2 13 14 15 16 17 18

1H 2He

수소
1
( ) 헬륨 ( )
3Li 4Be 5B 6C 7N 8O 9F 10Ne

리튬 베릴륨
2
( 붕소 탄소 질소 산소 플루오린 네온
) ( ) ( ) ( ) ( ) ( )( )( )
11Na 12Mg 13Al 14Si 15P 16S 17Cl 18Ar

나트륨 마그네슘
3
( 알루미늄 규소)( 인 황 염소 아르곤 ) ( )( ) ( ) ( ) ( ) ( )

칼륨 칼슘
4
(
… 19K

) (
20Ca

원자가
전자수 1 2 3 4 5 6 7 0

※ 어두운 바탕 위치는 비금속 또는 준금속 이다 ( ) .

(2) 비활성 기체와 옥텟규칙


① 비활성 기체 족 원소로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며 원자가 전자 수가 개이다
: 18 , 0 .

② 옥텟 규칙 원자들이 족 원소와 같이 가장 바깥쪽 껍질에 전자 개를 채워 안정한 전자 배치를


: 18 8

이루고자 하는 경향
(3) 금속과 비금속 원소
① 금속 원소 전자를 잃고 양이온 이 되기 쉬운 원소
:

② 비금속 원소 전자를 얻어 음이온 이 되기 쉬운 원소


:
8 화학의 기초

5. 물질의 변화
(1) 물질의 분류
① 순물질 다른 물질이 섞여 있지 않고 한 종류만으로 이루어진 물질로 고유한 성질을 가지며
: ,

끓는점 녹는점 밀도 등이 일정 , ,

② 혼합물 둘 이상의 순물질이 물리적으로 단순히 섞여 있는 물질


:

③ 원소 홑원소물질 단일한 원소로 되어있으며 고유한 화학적 성질을 가진 물질


(= ) :

④ 화합물 두 종류 이상의 다른 화학 원소가 일정 비율로 결합하여 만들어진 물질


:

(2) 물질의 변화
① 물리적 변화 물질이 화학적인 조성 변화 없이 에너지를 얻거나 잃어 그 상태만 변화하는 현상
:

 상변화 응고 융해 기화 액화 승화 분별 증류 원유 →
( , , , 가솔린 등유 아스팔트 …
, ), ( LPG+ + + + ),

용해 설탕 물 → 설탕물 등
( + )

② 화학적 변화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들의 결합이 에너지를 받아 분해되거나 재결합하여 새로운


:

물질을 생성하며 물질의 화학식이 변화함 ,

 연소 반응 CH  O → CO  H O 중화 반응 HCl  NaOH → H O  NaCl 등


(     ), (  )

(3) 상태 변화
① 기화 Q. ①~⑥ 중 에너지를 흡수하는 과정은 ?
② 액화 ① ③ ⑥
, ,
③ 승화
④ 승화 Q. ①~⑥ 중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은 ?
⑤ 응고 ② ④ ⑤
, ,
⑥ 융해
1
제 강

화학과 우리 생활
제 강 화학과 우리 생활
1 11

학습 목표

 화학이 식량 문제 의류 문제 주거 문제 해결에 기여한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


, ,

할 수 있다 .

 탄소 화합물이 일상생활에 유용하게 활용되는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

1. 화학과 실생활 문제 해결
(1) 식량 문제 해결
질소 N 생물체 내 ( ):
질소 비료의 ․산업 혁명 이후 급격한 인구증가에 따른 식량 부족 에서 단백질 핵산 ,

필요성 → 농업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 질소 비료의 대량 생산 필요 등을 구성하는 원소


이지만 대부분의 생
․하버 보슈법-
명체는 공기 중의 질
공기 중의 질소 기체 N 를 수소 기체 H 와 반응시켜 질소
( ) ( ) 소 N 를 직접 이용
( )

암모니아의 비료의 원료인 암모니아 NH 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공정


( ) 하지 못함
대량 합성 
℃ 기압
N g  H g  NH g

촉매 

암모니아 합성 질소 비료 식량문제 해결

(2) 의류 문제 해결
합성섬유의 ․천연 섬유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 원료가 제한적 ,  천연 섬유
필요성 → 강도가 약하며 수명이 비교적 짧고 구김이 잘 감 ,
․ 면 마 모 실크 등
, , ,

․ 흡습성이 좋음
종류 구성원소 특징 ․ 생산량이 일정하지
․질기면서 부드러운 성질 않음
나일론 C, H , O , N
․다양한 제품 이용  합성 섬유
․강도와 내구성 탁월 ․ 질기고 쉽게 닳지 않음
합성섬유의 폴리에스터 C, H , O
․여러 가지 형태 변형 가능 ․ 흡습성이 좋지 않음
종류 ․ 대량 생산이 가능
폴리아크릴 ․열에 잘 견딤 ․ 세탁 간편
나이트릴 C, H , N
․천연 섬유인 모 대용품 ․ 해충과곰팡이피해없음
기타 기능성 ․합성 섬유 가공
섬유 -
→ 다양한 기능 추가 기능복
․운동복  고어텍스 ( )

․방탄복  케블라 등 ( )

Ⅰ 화학의 첫걸음
.
12 제 강 화학과 우리생활
1

(3) 주거 문제 해결
인공재료의 ․인구 증가 → 대규모 주거 공간 필요 → 천연 재료 나무 ( ,

필요성 흙 돌 등 부족 → 수급의 용이성 건축의 편리성 대두


, ) ,

종류 특징
석회석 CaCO 를 가열하여 생석회 CaO 로 만든
( ) ( )

시멘트 후 점토와 섞은 건축 재료
CaCO → CaO CO +
석회석 생석회
 

인공재료의
종류 콘크리트 ․시멘트에 물 모래 자갈 등을 섞은 건축 재료 , ,

․압축엔 강하나 잡아당기는 힘에는 약함


스타이로 ․단열재로 사용
폼 ․가볍고 부식되지 않으나 열에 약함
유리 ․단단하고 투명도 높음
SiO
( ․건물의 외벽과 창 등에 이용
)

2. 탄소 화합물
(1) 탄소 화합물
정의 ․탄소를 기본 골격으로 하여 H O N S 등이 결합 되어
만들어진 물질
, , ,

탄소 화합물

․아미노산 ․탄소 원자 개는 최대 개의 다른 원자들과 결합이 가능
1 4

․다양한 결합 방법으로 여러 가지 구조의 탄소 화합물을 만듦


, DNA,

화석 연료 의약품
, ,

합성 섬유 등 결합 모양
단일 결합 이중 결합 , 사슬 모양 고리 모양
, , ,
탄소 화합물의 활용 삼중 결합 가지 달린 사슬 모양
․연료 용매 화장품
, , ,

식품 의약품 의류
, , , 탄소화합물
플라스틱 등 다양성

Ⅰ 화학의 첫걸음
.
제 강 화학과 우리 생활
1 13

(2) 탄화수소
 탄화수소
성분 분자모형 특징 ․탄소 C 와 수소 H ( ) ( )

․가장 간단한 탄화수소 로만 이루어진 탄소


․정사면체 구조 화합물
메테인 ․액화 천연 가스 의 주성분 ․연료로 많이 사용
(LNG)

( CH ) 으로 가정용 연료 ․완전 연소되면


․냄새와 색깔이 없고 물에 거의 이산화탄소 CO 와
,
( )

녹지 않으며 공기보다 가벼움 물 H O 이 생성 (  )

프로페인 ․액화 석유 가스 의 주성분


(LPG)
( CH )

과 으로 취사용이나 야외용 연료
뷰테인 ․냄새와 색깔이 없고 물에 거의 ,

( CH )
녹지 않으며 공기보다 무거움
휘발유 ․자동차 연료
( C~C )

(3) 알코올
성분 분자모형 특징  알코올
․히드록시기  OH 개 ․탄화수소의 C 원자에
개 이상의 하이드록시
( ) 1

메탄올 ․가장 간단한 알코올 1

기  OH 가 결합되어
( CHOH ) ․메탄올 연료 전지 (DMFC)
(

있는 탄소 화합물
)

․화학 공업의 원료 ․수용액은 중성


․히드록시기  OH 개
( ) 1

에탄올 ․술의 주성분 용매 소독용


, , 에탄올
( CHOH ) 알콜 연료 약품의 원료
, ,
․효모로 곡류나 과일
․물과 기름에 모두 잘 녹음 속의 당을 발효시켜
얻음
․히드록시기  OH 개
( ) 2

에틸렌글리콜 ․자동차 부동액 및 합성 섬


유인 폴리에스터의 원료

글리세롤 ․히드록시기  OH 개
( ) 3

․보습 화장품의 원료

Ⅰ 화학의 첫걸음
.
14 제 강 화학과 우리생활
1

(4) 카복실산
아세트산
성분 분자모형 특징

․메테인 CH 에서
( )

H원자 개 대신 카 1 ․식초 ~ 수용액 성분


(5 6% )

복시기  COOH 가
( ) ․신맛 자극성 냄새
,

탄소 원자에 결합 ․약한 산성
․자연 상태에서 에탄 아세트산 ․어는점이 ℃로 겨울철에 17
올을 발효시켜 얻음 (CHCOOH ) 쉽게 얼어버려 빙초산이라
고도 함
․아스피린과 같은 의약품과
플라스틱 염료 등의 원료
,

(5) 그 밖의 탄소 화합물
성분 분자모형 특징
폼알데하이드 ․플라스틱 가구용 접착제
,
( HCHO)

아세톤 ․물과 탄소 화합물에 잘 녹음


(CHCOCH ) ․용매 매니큐어 제거제
,

(6) 의약품
성분 분자모형 특징
․최초의 합성의약품
아스피린 ․호프만이 버드나무 껍질에서
아세틸 추출한 살리실산과 아세트산
(

살리실산 을 반응시켜 합성
)
․효능 해열 진통완화 소염
: , ,

효과 혈액응고방지
,

․최초의 항생제
페니실린 ․플레밍이 푸른곰팡이에서 발

Ⅰ 화학의 첫걸음
.
제 강 화학과 우리 생활
1 15

(7) 원유
정의 ․지하의 기름 층에서 채굴한 가공하지 않은 천연 그대로의
탄화수소 혼합물
․분별 증류를 이용하여 분리 분별 증류
물질의 끓는점 차이를
증류탑의 위쪽 증류탑의 아래쪽 이용하여 물질을 분
끓는점이 낮은 물질 끓는점이 높은 물질 리하는 방법
탄소수 적음 탄소수 많음
나프타를 고온에서
분해하여 얻은 물질
원유의 을 원료로 플라스틱 ,

분별증류 의약품 화장품 페


, ,

인트 합성 고무 등
,

의 석유 화학 제품을
만들 수 있는데 이 ,

러한 제품 모두가 탄
소 화합물

활용 ․연료 용매 화장품 식품 의약품 의류 플라스틱 등


, , , , , ,

(8) 탄소 화합물과 우리 생활

 플라스틱
원유에서 분리된 나
프타를 원료로 합성
한 탄소 화합물로 ,

가볍고 외부 충격에
강하며 녹슬지 않고
,

대량 생산이 가능하
며 값이 쌈

Ⅰ 화학의 첫걸음
.
16 제 강 화학과 우리생활
1

개념길라잡이

1.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은 ×표 하시오 , .

1)암모니아 NH 는 질소 비료의 원료이다 ○


( ) . ( )

2)플라스틱은 고분자 화합물이다 ○ . ( )

3)탄소는 개의 결합을 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 ×


3 . ( )

4)플라스틱과 아스피린에는 공통적으로 탄소와 수소가 포함된다 ○ . ( )

5)분자당 탄소 원자 수는 아세트산이 에탄올보다 크다 × . ( )

6)에탄올을 물에 녹인 수용액은 염기성이다 × . ( )

2. 표는 몇 가지 탄소 화합물에 대한 자료이다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 .

이름 화학식 이용 및 특징
메테인 CH 가정용 연료 등 

아세트산 CHCOOH 식초 성분 약한 산성 ,

에탄올 소독용 알코올 약품의 원료 , ,

용매 연료 등
CHOH
,

아세톤 CHCOCH 용매 매니큐어 제거제,

3. 다음의 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쓰시오


( ) .

공기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기체의 성분 원소이며 단백질을 구성하


1) ,

는 원소는 질소 이다 ( ) .

아세틸살리실산은 살리실산과 아세트산 을 반응시켜 합성한 탄소 화합물


2) ( )

로 해열제나 진통제로 사용된다 .

메테인 은 가장 간단한 탄화수소로 천연 가스의 주성분이다


3) ( ) .

에탄올을 완전 연소시키면 물 과 이산화탄소 가 생성된다


4) ( ) ( ) .

Ⅰ 화학의 첫걸음
.
제2강

화학식량과 몰
제 강 화학식량과 몰
2 21

학습 목표
 원자량과 분자량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 몰과 아보가드로수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 몰과 입자수 질량 기체의 부피 사이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 .

1. 화학식량
(1) 원자량
① 원자량 질량수가 인 탄소 C 원자의 질량을 으로 정하고 이를  원자 개의 질량
: 12 (

) 12.00 ,
1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다른 원자들의 상대적인 질량으로 단위가 없음 수소 H  ×  ( ):


 
g

탄소 C( ):   ×   
g

산소 O( ):   ×   
g

질량수
〓양성자수 중성자수 +

1 ×C = 12 ×H ×C 4 = 3 ×O
1 × 12 = 12 × (1) × 4 12 = 3 × ( 16 )

<여러 가지 원소의 원자량 >

원소기호 H C N O Na S Cl K Ca

원자량 1 12 14 16 23 32 35.5 39 40

(2) 분자량 분자의 상대적 질량을 나타낸 값으로 분자를 구성하는 모든 원자들의 원
:

자량을 합한 값이며 단위가 없음 ,

① H O의 분자량

② NH 의 분자량 = (N 의 원자량× 1) + ( H 의 원자량× 3) = 17

예제 1 다음 물질의 분자량을 쓰시오 .

화학식 CO O N CH H CH NO

분자량 44 32 28 16 2 44 44

Ⅰ 화학의 첫걸음
.
22 제 강 화학식량과 몰
2

(3) 분자가 아닌 물질의 화학식량


① 이온 결합 물질 금속 결합 물질 공유 결정 등은 분자가 아님
, ,

② 화학식을 이루는 각 원자들의 원자량을 합한 값으로 구함

화학식 CaCO NaOH MgO CaOH


화학식량 100 40 40 74

2. 몰
(1) 몰 원자 분자 이온 등과 같이 매우 작은 입자의 양을 나타내는 묶음 단위
: , ,

① 아보가드로수  탄소 C 원자 속에 들어 있는 원자 수로  × 개


( A) : (

) 12g ,


 여러 가지 묶음 단위 ② 몰과 입자 수 입자 몰에는 그 입자가  × 개 들어 있음


: 1


원자 탄소 원자 C 몰 C  × 개 ( ) 1


분자 물 분자 H O 몰 H O  × 개 (  ) 1



이온 나트륨 이온 Na 몰 Na  × 개 (



) 1
 

③ 물질의 양 몰 을 알면 그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의 양 몰 도 알 수 있음


( ) ( )

예제 2 다음의 물질 속에 들어있는 입자의 양(몰)과 입자 수를 구하시오 .

물질의 몰수 구성 입자의 양 몰 과 입자 수 ( )

C 원자 몰 × × 개
CO 분자 몰
23
0.5 = 0.5 6.02 10

O 원자 몰 × 개
 0.5
23
1 = 6.02 10

C 원자 몰 × × 개
CH 분자 몰
23
0.1 = 0.1 6.02 10

H 원자 몰 × × 개
 0.1
23
0.4 = 0.4 6.02 10

포도당 C H O 분자 H 원자 몰몰 ×× ××
C 원자 3 = 3 6.02 10
23


(   )
6 = 6 6.02 10
23

O 원자 몰 × × 개
0.5
23
3 = 3 6.02 10

CaCl 몰
이온 몰 × × Ca
2+
2 = 2 6.02 10
23

Cl 이온 몰 × × 개
 2
 23
4 = 4 6.02 10

Ⅰ 화학의 첫걸음
.
제 강 화학식량과 몰
2 23

몰과 질량
(2)

① 몰의 질량 물질의 화학식량에 그램 단위를 붙인 질량


1 : (g)

구분 몰의 질량 예 1

원자 원자량 C 원자 몰의 질량 g 1 = 12 g

분자 분자량 H O 분자 몰의 질량 g  1 = 18 g

이온 결합 물질 화학식량 NaCl 몰의 질량 g 1 = 58.5 g


CO
CO분자 몰 1 = 44g

C 원자 몰 존재 C 원자 존재
1

( CO 분자량 1 = 12g

O 원자 몰 존재 O 원자 존재
: 44)
2 = 32g

NH 분자 몰

NH
 2 = 34 g

N 원자 몰 존재 N 원자 존재
2

( NH 분자량 2 = 28 g

H 원자 몰 존재 H 원자 존재
: 17)
6 = 6 g

② 몰과 질량의 관계
질량 (g) = 1 몰의 질량 몰 × 물질의 양 몰 (g/ ) ( ) 입자 개의 질량 계산1

질량 몰× 몰의 질량
= 1
물질의 양 몰  질량g
몰의 질량g몰
( ) = 질량 입자수×입자 개의
= 1

질량
∴ 몰의 질량 화학식량
1 ( )

예제 3 다음의 빈칸을 채우시오 . = ×입자 개의 질량


 1

화학식 CO HO Na NaOH CH CHO 예 탄소원자의 개질량


) 1 =

화학식량 44 18 23 40 16 180  g
  ×   g
몰 0.5 2 2 0.5 0.25 0.1

  ×  

질량 (g) 22 36 46 20 4 18

③ 물질 에 포함된 양 몰 과 구성 원자의 개수 비 질량 비
1g ( ) ,
원자량 기준 변화할 때
분자 메테인 CH 이산화 탄소 CO ( ) ( ) •변화하는 것
분자량 16 44 :원자량 아보가드로수 , ,

에 포함된 분자의 양 몰
1g ( ) 1/16 1/44 기체의 부피
에 포함된 전체 원자의 양 몰
1g ( ) 5/16 3/44
•변화하지 않는 것
구성 원자의 개수 비 C : H = 1 : 4 C : O = 1 : 2
:원자 개의 질량 밀도1 ,

구성 원자의 질량 비 C : H = 3 : 1 C : O = 3 : 8

예제 4 동일 질량 속에 들어 있는 메테인 CH 과 산소 O 의 분자 수 비는 전체 ( ) ( ) ?

원자의 개수 비는 ?

2 : 1, 5 : 1

Ⅰ 화학의 첫걸음
.
24 제 강 화학식량과 몰
2

(3) 몰과 기체의 부피
 일정한 온도 압력에 , ① 아보가드로 법칙 온도와 압력이 같을 때 모든 기체는 같은 부피 속에 같은
:
서 기체의 부피는 분자 수의 분자를 포함
수 몰 에 비례
( )
② 기체 몰의 부피 ℃ 기압에서 모든 기체 몰의 부피는
1 : 0 이며
, 1 1 22.4 L ,
부피가 배이면 분자
:

수도 배 2
2 ,
그 속에는  × 개의 분자가 들어 있음 

기체 몰의 부피 1 = 22.4 L ( 0 ℃ 기압, 1 )

1 몰의 입자 수 질량 , ,
기체 H 1 몰 O 1 몰 CO 1 몰 NH 1 몰
기체의 부피 ℃ 기압 (0 , 1 )

1 몰⇒ × 개 6.02 10
23

⇒ 화학식량 ( )g
모형
⇒ 22.4 L

분자수 개  ×


( ) 
 ×  ×  ×

원자수 개 × ×


( ) 2

2× × 
3× × 
4× × 

질량 (g) 2 32 44 17

부피 (L)
℃ 기압
(0 , 1 )
22.4 22.4 22.4 22.4

③ 몰과 기체의 부피와의 관계
기체의 부피 기체 몰의 부피 몰 × 물질의 양 몰
(L) = 1 (L/ ) ( )

물질의 양 몰  기체의 부피L


기체 몰의 부피L몰
( ) =

예제 5 다음은 ℃ 기압에서 여러 가지 기체의 화학식이다 빈 칸을 채우시오


0 , 1 . .

화학식 CO N NH O CH

몰 0.5 0.1 2 0.25 0.2

부피 (L) 11.2 2.24 44.8 5.6 4.48

Ⅰ 화학의 첫걸음
.
제 강 화학식량과 몰
2 25

몰의 환산
(4)

몰수 = 
질량g
몰의질량g몰
= 
입자수개
 ×  개몰
=
기체의부피L
L몰
(0 ℃ 기압
, 1 )

(0 ℃ 기압에서 , 1 )

분자 수  × 개 몰 × 몰  × 개


O g 몰 :

/ 1 =


질량 몰× 몰
1

( 분자량 부피 몰× 몰
: 32 )
: 32g/

: 22.4L/
1

1
= 32g

= 22.4L

몰 분자 수  × 개 몰 × 몰  × 개  


: / 0.5 =
CO g
질량 몰× 몰
 0.5

( 분자량 부피 몰× 몰
: 44 )
: 44g/

: 22.4L/
0.5

0.5
=

=
22 g

11.2 L

C H g 몰
분자 수  × 개 몰 × 몰  × 개 :

/ 2 =


질량 몰× 몰
  2

( 분자량 부피 몰× 몰
: 44 )
: 44g/

: 22.4L/
2

2
=

=
88

44.8 L
g

예제 6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1) 0 ℃ 기압에서 산소 O 의 질량이
, 1 ( ) 64g 일때 , O 의 부피는 ? 44.8L

2) 0 ℃ 기압에서 이산화탄소 CO 의 부피가


, 1 ( ) 11.2L 일때 , CO 의 질량 은 (g) ?

22g

예제 7 ℃ 기압에서 메테인 CH 기체 0 1 ( ) 11.2L 가 있다 다음 값을 구하시오


. .

1) 메테인의 분자 수 × 개 3.01 10
23

2) 메테인의 질량 8g

3) 탄소의 질량 6g

4) 수소 원자의 몰 수 몰 2

Ⅰ 화학의 첫걸음
.
26 제 강 화학식량과 몰 2

예제 8 ℃에서
0 용기에 뷰테인 C H
44.8L (   ) 기체를 기압이 되도록 넣었다 단
1 . ( ,

아보가드로수는  × 이다 


.)

CH 의 양 몰 몰
1)   ( ) 2

C H 의 질량
2)   116g

수소 원자의 개수  × × 개


3)


C H 의 밀도
4)   ÷ (g/L) 58 22.4

(5) 기체의 분자량 구하기


① 질량 이용 기체 의 질량 ℃ 기압 기체의 분자량
: 22.4L (0 , 1 ) =

② 밀도 이용 기체 밀도 × 기체 몰의 부피
: 몰 (g/L) 1 (22.4L/ )

일정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의 분자량 =

기체의 밀도는 분자량에 ③ 아보가드로의 법칙 이용 :


비례 온도와 압력이 같다면 같은 부피 속의 질량 비 분자량 비 밀도 비 = =
질량
밀도  
부피
기체A의 질량 기체A의 분자량 기체A의 밀도
몰수 × 분자량  =  = 
  ∝분자량 기체B의 질량 기체B의 분자랑 기체B의 밀도
부피
∵ 동일 온도 압력에서
( ,

몰수

부피
 일정 )
예제 9 다음 기체의 분자량을 구하시오 .

1) 0 ℃ 기압에서
, 1 의 질량이 인 기체 11.2L 22g 44

2)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밀도가 메테인 CH 의 배인 기체 ( ) 2 32

3) 30 ℃ 기압에서 밀도가
, 1 인 기체 단 ℃ 기압에서 몰의 부피 0.68g/L ( , 30 , 1 1

는 이다
25L .) 17

예제 10 의 반응 용기에 산소 O 기체를 채우고 질량을 달아보니


10g ( ) 11.6g 이었고
같은 조건에서 기체를 채우고 질량을 달아보니 이었다
A 11.4g . A 기체의
분자량은 또한 산소 기체와 기체의 밀도 비는
? , A ?

28, 8 : 7

예제 11 다음은 ℃ 기압에서 X와 Y로 이루어진 기체에 대한 자료이다


t , 1 .

분자식 XY XY

의 부피 상댓값1g ( ) 22 15

1) X와 Y의 원자량의 비는 ? 7:8

2) XY와 X Y의 에 들어있는 X 원자 수의 비는
 1g ? 11:15

Ⅰ 화학의 첫걸음
.
제 강 화학식량과 몰
2 27

개념길라잡이

1. 다음의 를 채우시오 ( ) .

1)원자량은 질량수가 인 원자를 기준으로 정한 원자의 상대적인 질량 12 ( C )

값이다 .

2)원자나 분자 몰은 × 개를 의미하며 이 수를 아보가드로수 라


1 ( 6.02 10
23
) , ( )

고 한다 .

℃ 기압에서 모든 기체 몰의 부피는
3) 0 , 1 이다 1 ( 22.4 ) L .

아보가드로 법칙 온도와 압력이 같을 때 모든 기체는 같은 부피 속에 같은


4) ( ) :

수의 분자를 포함한다는 법칙

2. 다음 물질 속에 들어있는 입자의 양 몰 을 구하시오 ( ) .

1)수소 H 속의 수소 원자의 양 몰 은 몰
(  ) 1g ( ) ? 1

2)산소 O 속의 산소 분자의 양 몰 은 몰
(  ) 16g ( ) ? 0.5

3)이산화탄소 CO ℃ 기압 속의 산소 원자의 양 몰 은 몰
(  ) 22.4L(0 , 1 ) ( ) ? 2

4)염화나트륨 NaCl 속의 총 이온의 양 몰 은 몰


( ) 58.5g ( ) ? 2

5)암모니아 NH 속의 총 원자의 양 몰 은 몰
(  ) 17g ( ) ? 4

6)포도당 C H O 몰 중에 들어 있는 전체 원자의 양 몰 은 몰
(   ) 1 ( ) ? 24

3.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은 ×표 하시오 , .

1)아보가드로 법칙은 모든 기체에 성립한다 ○ . ( )

℃ 기압에서 수소 기체  × 개가 차지하는 부피는


2) 0 , 1 이다 × 
22.4L .( )

℃ 기압에서 기체의 밀도 에 기체 몰의 부피
3) 0 , 1 를 곱하면 기체의 (g/L) 1 (22.4L)

분자량을 구할 수 있다 ○ . ( )

4)기체일 때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같은 부피 속의 질량 비는 분자량 비와


,

같다 ○ . ( )

℃ 기압에서 질소 기체의 밀도는 수소 기채의 배이다 ×


5) 0 , 1 (N2) (H2) 7 . ( )

Ⅰ 화학의 첫걸음
.
28 제 강 화학식량과 몰 2

4. 다음은 ℃ 기압에서 여러 가지 기체의 화학식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0 , 1 . .

화학식 CO H NH O  CH    

몰 0.5 3 2 0.2 0.25

질량 (g) 22 6 34 6.4 4

부피 (L) 11.2 67.2 44.8 4.48 5.6

원자의 양 몰 ( ) 1.5 6 8 0.4 1.25

5. 25 ℃ 기압에서 수소 H 기체
, 1 ( ) 12L 속에 수소 분자 개가 들어 있다 같은 n .

온도와 압력에서 산소 O 기체 ( ) 24L 속에 들어 있는 산소 분자의 개수는 ?

2n

6. 그림은 ℃ 기압에서 실린더에 들어 있는 기체 가 와 나 를 나타낸 것이다


0 , 1 ( ) ( ) .

다음을 구하시오 단 와 의 원자량은 각각 이다


. ( , C H 12, 1 .)

1) 분자 수 비는 가 나 ( ) : ( ) = 1 : 2

2) 전체 원자 수 비는 가 나 ( ) : ( ) = 2 : 3

3) 분자량의 비는 가 나 ( ) : ( ) = 15 : 14

4) 질량 비는 가 나 ( ) : ( ) = 15 : 28

5) 밀도 비는 가 나 ( ) : ( ) = 15 : 14

Ⅰ 화학의 첫걸음
.
3
제 강

화학반응식과
용액의 농도
제 강 화학반응식과 용액의 농도
3 35

학습 목표
 여러 가지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고 이를 이용해서 화학 반응에서의 양
적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 용액의 농도를 몰 농도로 표현할 수 있다 .

1. 화학 반응식
(1) 화학 반응식 화학 반응을 화학식과 기호를 이용하여 나타낸 식
:

(2) 화학 반응식을 나타내는 방법


 메테인 CH 이 공기 중 산소와 반응하여 완전 연소되면 이산화 탄소와 물 생성
( )

화학 반응식을 나타내는 순서 화학 반응식


단계 반응물과
1
로 나타냄
생성물을 화학식으 •반응물 메테인
•생성물 이산화 탄소
산소

:

:
(CH4),

(CO2),
(O2)

(H2O)

반응물은 왼쪽에 생성물은 ,

단계 오른쪽에 쓰고 ‘ ’와 ‘→’로
2 →
, + CH4 + O2 CO2 + H2O

연결
화학식 앞에 계수를 붙여 반 • 원자의 개수를 맞추기 위해 H H2O

응물과 생성물의 원자수가 앞에 계수 를 붙임 2

단계 같아지게 함
3 • 원자의 개수를 맞추기 위해 앞 O O2

계수는 가장 간단한 정수로 에 계수 를 붙임


( 2

나타내고 이면 생략 1 → ) CH4 + 2O2 CO2 + 2H2O

물질의 상태는 안에 기호 ( )

를 써서 화학식 뒤에 표시 •반응물과 생성물 뒤에 상태 표시


단계 고체
4
액체
(solid) :


(liquid) :
→ CH4(g) + 2O2(g)

기체 g (gas) :
CO2(g) + 2H2O(l)

수용액 
(aqueous solution) :

예제 1 휴대용 가스렌지의 연료로 사용되는 뷰테인 C H 이 완전연소하면 이산화 (   )

탄소 CO 와 물 H O 이 생성된다 이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시오


( ) (  ) . .


2C4H10(g) +13O2(g) 8CO2(g) + 10H2O(l)

Ⅰ 화학의 첫걸음
.
36 제 강 화학반응식과 용액의 농도
3

2. 화학 반응식에서의 양적관계
(1) 화학 반응식의 의미와 이용
① 반응물질과 생성물질의 종류를 알 수 있음
②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에서 반응하는 몰수비와 분자수의 비를 알 수 있음
③ 화학 반응식으로부터 반응하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부피와 질량 관계를 구할
수 있음
화학 반응에서의 부피 (2)화학 반응식의 양적관계
관계
․화학 반응에서의 부피 반응식 N2(g) + 3H2(g) → 2NH3(g) 비
관계는 기체에 대해 몰수 1 3 2 1 : 3 : 2

서만 성립 분자수 × 6.02 10
23
× ×
3 6.02 10
23
× ×
2 6.02 10
23
1 : 3 : 2
․모든 기체는 종류에 부피 ℃ 기압 (0 ,1 ) 22.4 L ×
3 22.4 L ×
2 22.4 L 1 : 3 : 2
관계없이 온도와 압력
이 일정할 때 몰의
1
질량 28g + 3 × 2g = 2 × 17g 14 : 3 : 17

부피가 같다는 사실
을 이용
화학 반응식의 계수 비 반응하는 몰 비 반응하는 분자수 비 = =

반응하는 부피 비 기체 ≠ 반응하는 질량 비
= ( )

화학 반응식 : A + B → C + D

계수비 = 몰수비
를 이용하여 C의 몰수 구함
주어진 양 찾는 양
A의 양 C의 양
질량 부피
( , )
A 의 몰수 C 의 몰수 ( 질량 부피
, )

몰수 질량 기체부피 ℃ 기압
=
화학식량 L
=
22.4
(0 ,1 )

A 의 양 ➡ A 의 몰수 변환
C의 몰수 ➡ C의 양 변환

Ⅰ 화학의 첫걸음
.
제 강 화학반응식과 용액의 농도
3 37

℃ 기압에서 질소 N 기체 과 수소 H 기체 이 반응하여 암모
0 1 ( ) 56g ( ) 12g

니아 NH 를 생성할 때 암모니아의 질량과 부피는 얼마인가


( ) ?

① 화학 반응식으로 표현
○ 화학반응식 : N2(g) + 3H2(g) → 2NH3(g)

② 반응물의 질량을 몰수로 변환


○ 질소 N 분자량 (  : 28 )

몰  몰 1 : 28 g = : 56g ∴ = 2 몰
○ 수소 H 분자량 (  : 2 )

몰 1 : 2 g =  몰 : 12g ∴ = 6 몰
③ 화학 반응식에 적용
○「반응」의 몰 수 변화 비는 계수 비와 같다 .

N H → ( g ) + ( g ) NH ( g )
반응 전 몰 몰 2 6

반응 몰 몰 -2 -6 +4 몰
반응 후 몰 몰 0 0 4 몰

④ 생성된 암모니아 NH 분자량 의 질량 및 부피 (  : 17 )

○ 암모니아 NH 질량 ( )

몰 몰 ∴ 1 : 17 g = 4 : ag a = 68 g

○ 암모니아 NH 부피 ( )

몰 1 : 22.4 L = 4 몰 : bL ∴ b = 4 × 22.4 L

예제 2 다음은 화학 반응식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은 × . ,

표 하시오 .

반응 물질과 생성 물질의 원자수는 항상 같다 ○


1) . ( )

반응 물질과 생성 물질의 분자수는 항상 같다 ×


2) . ( )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는 반응하는 물질들의 질량비와 같다 ×


3) . ( )

Ⅰ 화학의 첫걸음
.
38 제 강 화학반응식과 용액의 농도
3

 Mg 을 충분한 양의 묽은 염산에 넣어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결된


0.243g .

후 발생한 H 기체의 부피가


, 일 때 마그네슘의 원자량은 얼마인가
 240mL ?

단 기체의 부피를 측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 몰의 부피는  L


( , )

 Mg HCl → MgCl  H  는 반응 계수

① 화학 반응식 계수 맞추기 : Mg(s) + 2HCl(aq) → MgCl2(aq) + H2(g)

② 생성물의 부피를 몰수로 변환 수소 기체 몰의 부피는 : (1 24L)

몰  몰1 ∴
: 24 L = : 240mL(0.24L) = 0.01 몰
③ 화학 반응식에 적용 한계반응물 ( : Mg )

Mg ( s ) + HCl ( ) → MgCl ( ) + H ( g )

반응 전 0.01 몰
반응 -0.01 몰 +0.01 몰 +0.01 몰
반응 후 0 몰 0.01 몰 0.01 몰

④ 반응물의 질량과 몰수로 원자량 구하기


몰 0.01 몰  ∴ : 0.243 g = 1 : g = 24.3

예제 3 다음은 자동차 에어백에서 일어나는 반응이다 .

NaN s → Nas + Ng

0℃ 기압에서 질소 를 얻으려면 몇 의 아지드화 나트륨이 필요한


, 1 5.6L g

가 분수로 나타내시오 단 Na의 원자량은 N의 원자량은 이다


? ( .) ( , 23, 14 .)

65/6 g

예제 4 천연가스의 주성분은 메테인이다 메테인은 공기 중에서 다음과 같이 .

연소된다 단 . ( , H , C, O 의 원자량은 각각 1, 12, 16 이다 .)

CH g  O g → CO g  HOg

1) 메테인 이 연소될 때 생성되는 이산화 탄소의 양 몰 은 몰


8g ( ) ? 0.5

2) 메테인 이 연소될 때 생성되는 수증기의 질량 은


16g (g) ? 36g

3) 0 ℃ 기압에서 메테인 을 연소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산소의 부피


, 1 24g (L)

는 ×
? 3 22.4L

Ⅰ 화학의 첫걸음
.
제 강 화학반응식과 용액의 농도
3 39

3. 화학 반응의 양적 관계 심화
(1) 화학의 기본 법칙
① 질량보존의 법칙 화학반응 전과 후의 질량의 합은 항상 일정:

② 일정성분비의 법칙 화합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질량 사이에는 항상 일정한


:

질량 비가 성립함 → 두 물질이 화합하여 화합물을 만들 때 반응하는 물질 사


이의 질량 비도 일정
③ 아보가드로의 법칙 온도와 압력이 같은 기체의 경우 같은 부피 속에 같은
: ,

분자 수가 들어 있음 →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의 몰 비 부피 비 =

④ 기체 반응의 법칙 반응하는 기체와 생성되는 기체 분자들 사이의 부피 비는


:

항상 일정하며 간단한 정수 비가 성립 ,

예제 5 다음은 기체 와 가 반응하여 기체 를 생성하는 반응의 화학 반응식이


A B C

다 .

A  B → C

실험 반응전 질량비 반응후 질량비


가 ( ) A:B=2:1 A:C=1:11

나 ( ) A:B=    B:C=4:11

   를 구하시오 . 7:8

예제 6 다음은 A와 B가 반응하는 화학 반응식이다 .

는 반응 계수
Ag    Bg  →  Cg  (  ,  )

그림 가 와 같이 실린더에 기체 A와 B를 넣어 반응을 완결시켰더니 나


( ) ( )

와 같이 되었다 나 에 B  몰을 더 넣어 반응을 완결시켰더니 다 와 같이


. ( ) ( )

되었다 .

 의 값을 구하시오 . 1

Ⅰ 화학의 첫걸음
.
- 39 -
40 제 강 화학반응식과 용액의 농도
3

(2) 한계 반응물을 이용한 양적 관계 계산


 한계 반응물을 찾는
Tip
① 한계 반응물 화학 반응에서 다른 반응물들보다 먼저 완전히 소비되는 반응물
: .

: 

계수
이 작은 물질이 한계 반응물이 생성물의 양을 결정함
한계 반응물 H g  O g → HOg

H g의양몰 O g의양몰 HOg의양몰

가( ) 2 몰 8 2

나( ) 4 몰 4 4

다( ) 8 몰 2 4

② 한계 반응물을 이용한 계수 찾기
㉠ 한계 반응물 증가 ⇒ 생성물의 양 증가 따라서 생성물의 양이 증가 했다 :

면 증가한 물질이 한계 반응물 모두 소모 ( )

㉡ 반응물 중 양을 늘렸을 때 생성물이 증가하는 물질을 확인 ,

㉢ 반응물의 증가한 비율과 생성물의 증가한 비율을 비교하기


A  B → C A  B → C

처음 몰 몰 6 1 처음 몰 몰 6 4

반응 반응
반응 후 반응 후

예제 7 다음은 기체 와 가 반응하여 기체 를 생성하는 반응의 실험 결과이다


X Y Z .

반응식의 계수비  :  :  를 구하시오 .

Xg  Yg → Zg

실험 반응 전 반응 후
X( 몰 ) Y( 몰 ) 몰 Z( )

(가 ) 1 3 2
(나 ) 4 6 6

a : b : c = 1 : 2 : 2

예제 8 표는 와 의 몰수를 다르게 하여 반응을 완결시켰을 때 생성되는


X(g) Y(g)

의 몰수와 남은 반응물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Z(g) .

실험 반응 전 반응 후
몰 몰 몰 남은 반응물
X(g) Y(g) Z(g)

Ⅰ 3 가 6 4 ( )

Ⅱ 1 4 2 Y(g)

1) 실험Ⅰ에서 반응 후 남은 반응물 가 는 무엇인가 ( ) ? X

2) 실험Ⅱ에서 남은 반응물 Y(g) 는 몇 몰인가 몰 ? 1

- 40 - Ⅰ 화학의 첫걸음
.
제 강 화학반응식과 용액의 농도
3 41

화학 반응식과 분자량
(3)

화학반응식 분자량 관계식


A  B→C MA  MB  MC

A  B→C MA  MB  MC

A  B→C MA  MB  MC

▶ 분자량의 비 구하기

  


 

반응 질량 비 ÷ 계수 비 반응 몰 비
, ( ) = 분자량 비

예제 9 그림은 기체 에 일정한 질량의 기체 를 반응시켰을 때 의 질량에


A B , A

따른 의 질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이 반응의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


C ,

다 기체들의 분자량 비는
. ?

Ag  Bg → Cg

(4) 혼합기체 유형
→  aA(  ) +
  B(  ) cC( ) + dD( )

반응에서 반응 전후의 전체 분자수 변화는 반응물의 계수의 합 (a+b) 과 생성물의


계수 합 을 비교하여 구함
(c+d)

계수의 합 a+b=c+d a+b>c+d a+b<c+d

반응 전 후
전체 분자수

∙ 반응 전과 후 전체 몰수 해석
A  B→C ∑n n A  B→C ∑n n
처음 1 6 처음 0 4 6 0

반응 1 2 반응 2

후 0 4 후 2

∙반응이 한번 진행되면 반응물의 계수의 합과 생성물의 계수 의 합 의 차이만큼 ( )

전체 몰수의 변화  가 생김→반응양에 비례하여 전체 몰수의 변화  결정


( )

→ 반응양 ∝ 전체 몰수의 변화  ∝ 생성물의 양 ( )

Ⅰ 화학의 첫걸음
.
- 41 -
42 제 강 화학반응식과 용액의 농도
3

예제 10 다음은 기체 와 가 반응하는 화학 반응식이다 A B .

→ aA(  ) +
 B(  ) cC( ) + dD( )

표는 와 의 양 을 달리하여 반응을 완결시켰을 때 반응 전과 후


A B (mol) ,

기체의 양에 대한 자료이다 .

실 반응 전 기체의 양 반응후 (mol)

험   전체 기체의 양
A( ) B( ) (mol)

Ⅰ 1 10 12

Ⅱ 2 5 8

Ⅲ 2 10 14



는 ? 7/5

기체 첨가 유형
(5)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일정량의 기체에 다른 기체


를 첨가하는 경우
A  B → C

∙일정량의 기체 A가 다 반응하기 전 완결전 B ( ):

가 한계반응물 →전체 몰수의 변화는 계수 와 를 통해 비교 a c

∙A와 넣어준 기체 B가 모두 반응한 완결점에서는 생성물 C만 존재 →


반응계수비에 대한 정보를 얻음
∙완결점 이후 A가 한계 반응물 B는 과량 생성물 C는 더 이상 생성 ×
: , ,

예제 11 다음은 기체 와 가 반응하여 기체 를 생성하는 반응의 화학 반응식


A B C

이다 .

A  B → C  는 계수


그림은 일정한 질량의 가 들어 있는 실린더에 를 조금씩 넣어 가면서 반응시
A B

켰을 때 실험조건에서 기체 몰의 부피는
( 1 24L)

1) 반응 전 A의 몰수는 몰 ? 1

2) 반응계수 b+c = ? 3

3) B의 분자량은 ? 2w

- 42 - Ⅰ 화학의 첫걸음
.
제 강 화학반응식과 용액의 농도
3 43

4. 용액의 농도
용질 

(1) 퍼센트 농도 : 용액 100g에 녹아 있는 용질의 질량(g)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다른 물질에 녹아 들어


가는 물질
단위는 %
용매
퍼센트 농도 (%) =
용질의 질량g

용액의 질량g
×

다른 물질을 녹이는 물질
 용해
예제 12 15%설탕 수용액 200g에서 설탕과 물의 질량은 ? 두 종류 이상의 순물질이
설탕 물: 30g, 170g 균일하게 섞이는 현상
용액
퍼센트 농도가 같은 수용액에서 입자 수 비교 두 종류 이상의 순물질
이 균일하게 섞여 있는
(2)

혼합물
용질 용매 
+
용해
용액

가 포도당 수용액
( ) 10% 100g ( 나
) 10% 설탕 수용액 100g

• 용질의 질량 가 나 (g) : ( ) = ( )

• 용질의 분자 수 분자량은 포도당 ( 180, 설탕 342) : ( 가 ) > ( 나


)

(3) 몰 농도 용액
: 1L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양 (mol), 단위는 또는 M mol/L

몰 농도 (M) =
용질의 양mol
몰 농도와 온도

용액의 부피L 
온도가 높아지면 용질 ,

① 용액의 부피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사용 용이 의 양 은 변하지 않 (mol)

② 온도에 따라 용질의 양(몰)은 변하지 않지만 용액의 부피가 변하므로 몰 농도는 지만 용액의 부피가 증
온도에 따라 변화 가하여 몰 농도 감소
③ 용액의 몰 농도와 부피를 알면 녹아 있는 용질의 양(몰)을 구할 수 있음 함 따라서 일정한 몰 .

농도의 용액을 만드는


용질의 양(몰) = 몰 농도(몰/L) × 용액의 부피(L) 실험을 할 때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함
 1M 수산화 나트륨 (NaOH) 수용액 에는 수산화나트륨 몰이 녹아 있다
1L 1 .

Ⅰ 화학의 첫걸음
.
- 43 -
44 제 강 화학반응식과 용액의 농도
3

예제 13 표는 가지 물질의 화학식량에 대한 자료이다


3 .

물질 질산 나트륨 염화나트륨 수산화나트륨


화학식량 85 58.5 40

다음 용액의 몰 농도 를 각각 구하시오 (M) .

질산나트륨 이 녹아 있는 질산나트륨 수용액


1) 8.5g 100mL 1M

염화나트륨 몰을 녹여서
2) 0.3로 만든 수용액 100mL 3M

수산화나트륨 이 녹아 있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 40g 500mL 2M

(4) 특정 몰 농도 용액 만들기:부피 플라스크 전자저울 비커 씻기병 등이 필요 , , ,

 실험기구 [ 실험 ] 포도당 용액 만들기 0.1M 1L


이름 용도 과정[ ]
부피 ① 포도당 몰 을 정확히 측정한 다음 적당량의 증류수가 들어 있는 비
플라스크 표시선까지 용 18g(0.1 ) ,

매를 채워 일 커에 넣어 모두 녹인다 .
정 부피의 용 ② ①의 용액을 깔때기를 이용하여 부피플라스크에 넣는다 1L .
액을 만들 때 ③ 증류수로 비커와 깔때기를 씻어 묻어 있는 용액까지 넣는다
사용
.

④ 부피 플라스크에 증류수를  정도 넣은 다음 흔들거나 뒤집어서 용액을 ,

전자저울 잘 섞는다 .
용질의 질량을 ⑤ 표시선까지 증류수를 가하고 용액이 잘 섞이도록 충분히 흔들어 준다
측정 , .

용질을 소량
비커 용매에 용해시
켜 용액을 만
든후 부피 플
,

라스크에 옮길
때 사용
병 안에 증류
씻기병 수를 넣어서
화학실험용 유 정리
리를 세척하거 [ ]

나 용기에 미 1. 500mL 부피플라스크를 사용하여 같은 농도의 포도당 수용액을 만들기 위


량의 액체를 해서는 몇 의 포도당을 넣어야 하는가
g ? 9g
첨가할 때 사

2. 부피플라스크에 물 를 먼저 넣고 포도당 을 녹여도
1L 18g 0.1M 포도당 수
용액을 만들 수 있는가 농도가 보다 작아진다? 0.1M .

- 44 - Ⅰ 화학의 첫걸음
.
제 강 화학반응식과 용액의 농도
3 45

(5)용액의 희석과 혼합
① 용액 희석하기
용액에 증류수를 가해 희석해도 녹아 있는 용질의 양 몰 은 동일
: , ( )

• 용액의 몰 농도가  몰 인 용액  에 증류수를 가하여 몰 농도는  ′


( /L) (L) ,

몰 부피는  ′ 가 되었을 때
( /L), (L)

용질의양몰  몰농도몰 ×용액의부피 

   ′ ′ ⇒ ′

′
몰 

예제 14 포도당 수용액
0.01M 0.5L 를 만들 때 필요한 0.1M 포도당 수용액의 부피를
구하시오 . 0.05 L

② 혼합 용액의 몰 농도
혼합 용액에 녹아 있는 용질의 양 몰 은 혼합 전 두 용액에 녹아 있는 용질의
: ( )

양 몰 의 합과 동일
( )

•  몰 인 용액  에  ′ 몰 인 용액  ′ 를 혼합하여 용액의 몰 농
( /L) (L) ( /L) (L)

도가  ″ 몰 용액의 전체 부피가  ″ 가 되었을 때


( /L), (L)

   ′ ′
   ′ ′   ″ ″ ⇒  ″   몰 
″

예제 15 용액
1M 와 NaCl 용액
NaCl 를 혼합한 용액의 몰농도를
300mL 2M 100mL

구하시오 단 혼합 전과 후의 전체 부피의 합은 변화 없음
. ( , )

1.25 M

Ⅰ 화학의 첫걸음
.
- 45 -
46 제 강 화학반응식과 용액의 농도
3

예제 16 그림과 같이 0.1M 아세트산 수용액 를 부피 플라스크에 넣고 증류


100mL 1L

수를 가하여 1L 용액으로 만들었다 단 아세트산의 분자량은 이다


.( , 60 .)

가 에 녹아 있는 아세트산의 질량 을 구하시오
1) ( ) (g) . 0.6g

나 에서 아세트산 수용액의 몰 농도 를 구하시오


2) ( ) (M) . 0.01M

- 46 - Ⅰ 화학의 첫걸음
.
제 강 화학반응식과 용액의 농도
3 47

개념길라잡이

1.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를 넣으시오 .

퍼센트 농도 용질의 질량 ( (g) )


×
1)
용액의 질량(%) =
( (g) )
100

몰 농도 ( 용질의 양 (mol) )
2) (M) =
( 용액의 부피 (L) )

묽은 용액의 몰농도 ( 묽은 용액의 몰농도 ×진한 용액의 부피 (M) (L) )


3) (M) =
묽은 용액의 부피 (L)

2. 다음의 화학 반응식의 계수를 맞추시오 .

1) 2 COg + 1 O g → 2 CO g

2) 1 N g + 3 H g → 2 NH g

3) 1 CH g + 2 O g → 1 CO g + 2 HOg

4) 1 CH g + 5 O g → 3 CO g + 4 HOg

5) 6 CO g + 6 HOg → 1 CHO s + 6 O g

3. 아래와 같은 화학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시오 .

1)질소 기체와 수소 기체가 반응하여 암모니아 기체가 생성


→ N2(g) + 3H2(g) 2NH3(g)

2) 수산화나트륨 수용액과 염산 수용액이 반응하여 물과 염화나트륨 수용액이 생성



NaOH(aq) + HCl(aq) H2O(l) + NaCl(aq)

3) 기체 상태의 에탄올 C H OH 를 연소시키면 이산화 탄소와 수증기가 생성


(   )


C2H5OH(g) + 3O2(g) 2CO2(g) + 3H2O(g)

Ⅰ 화학의 첫걸음
.
- 47 -
48 제 강 화학반응식과 용액의 농도
3

4. 화학반응식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
반응식 C H g O →  + g CO g + HO

몰수 1 5 3 4

분자수  ×  × ×  


 × ×  × ×
부피 × × ×
℃ 기압
(0 ,1 )
22.4 5 22.4 3 22.4 4 22.4

질량 × 44g + 5 32g = ×
3 44g + ×
4 18g

5. 그림은 반응 용기에 기체 X 와 Y 가 서로 반응하여 X Y가 생성되는 반응의   

화학식은 아래와 같다 .

X g  Y g → XYg

반응 용기에 기체 X 와 Y 가 아래 그림과 같이 존재한다면 반응 후 용기에


 

남겨진 기체들을 모형으로 나타내시오 .

6. 프로페인 C H 의 연소 반응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 ) .

1) 프로페인의 연소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시오 .

화학 반응식 → : C3H8(g) + 5O2(g) 3CO2(g) + 4H2O(g)

2) 프로페인 22g 이 완전 연소될 때 생성되는 H2O 는 몇 인가 g ? 36g

3) 0 ℃ 기압의 프로페인
, 1 가 연소될 때 생성되는 CO 의 분자수는 몇 개 11.2L 

인가 × × 개
? 1.5 6.02 10
23

4) 0 ℃ 기압의 프로페인
, 1 22g 이 완전 연소될 때 필요한 O 는 몇 인가  L ?

56.0L

5) 프로페인 C H 과 O 이 완전히 반응한 후 용기에 들어 있는 혼합


(   ) 22g  32g

기체의 총 몰수는 몇 몰인가 몰 ? 1.7

- 48 - Ⅰ 화학의 첫걸음
.
제 강 화학반응식과 용액의 농도
3 49

7. 그림은 반응 용기에 기체 X와 Y를 넣었을 때 기체 Z가 생성되는 반응을 모형


으로 나타낸 것이다 아래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옳지 않은 것
. ,

은 ×로 표시하시오 .

1) 반응하는 물질과 생성되는 물질의 분자수 비는 이다 ○ 3:2 . ( )

2) 위 반응의 화학 반응식은 Xg  Yg → Zg이다 × . ( )

3) 0 ℃ 기압에서 기체 Z 몰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기체 의 부피는


, 1 1 X

이다 ○
11.2L . ( )

8. 그림은 몰 농도 수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실험 기구이다 .

실험 기구를 이용하여 포도당 수용액 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시오


0.1M 200mL .

단 포도당의 분자량은 이다
( , 180 .)

포도당 몰 을 전자저울로 측정하여 증류수가 들어 있는 비커에 녹인 후


18g(0.1 )

부피 플라스에 넣고 비커에 남아 있는 용액을 씻어 넣는다 부피 플라스크


200mL .

에 증류수를 정도 넣은 다음 흔들거나 뒤집어서 용액을 잘 섞은 후 씻기병에


80%

채운 증류수를 가하여 용액을 표시선까지 채운 후 용액이 잘 섞이도록 충분히 흔


들어 준다 .

9. 다음은 탄산수소 나트륨 (NaHCO3) 과 아세트산 (CH3COOH) 의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

NaHCO s CHCOOHaq → CHCOONaaq CO g  HOl

4.2g 의과 완전히 반응하는 데 필요한


NaHCO3 0.1M CH3COOH 의 수용액의
부피 를 구하시오 단
(L) 의 화학식량은 이다
. ( , NaHCO3 84 .)

0.5L

Ⅰ 화학의 첫걸음
.
- 4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