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6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분당중앙고/2020년/ L3 /D

10 삼각함수의 그래프 4. 4.

첫째항이 이 아니고 공비가 인 등비수열 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 이라 하자.
수열의 합(STEP1)       
   일 때, 양수 의 값은? [점]
      

분당고/2020/C1/D

     
①  ②  ③ 
1.    ,
1.

   일 때,      의 값은? [ 점]


    
 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불곡고/2020년/L3/D

 
5. 수열  에서
5.





 ,    



  일 때,


분당대진고/2020년/L3/D
  의 값은? [4.4점]
 

2.2.

첫째항이 이고 공차가 인 등차수열 의 첫째항부터



  ①  ②  ③ 
항까지의 합이 일 때, 


의 값이  이다.  의 값은?

   ④  ⑤ 
(단, 와 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4.6점 ]

①  ②  ③ 
④  ⑤ 

불곡고/2020년/L3/D


6.   6.

 
      
 
 의 값은? [4.5점]
①  ②  ③ 
④  ⑤ 
분당중앙고/2020년/ L3 /D

3.3.

 ×  ×  × ⋯  ×의 값은?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 1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영덕여고/2020년/L3/D 신봉고/2020년/L3/D
  
10. 제항이 , 공차가  인 등차수열 의 첫째항부터
     의 값은? [점]
10.

7. 7.

  , 

 일 때, 

  


제항까지의 합을  이라 할 때,  이 최대가 되는 의 값은?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성남고/2020년/L3/D
운중고/2020년/L3/D
 
  
8. 8.

       의 값은? [점]




 

11.         일
11.

때,     의 값은? [ 점]

   

①   ②   ③ 
①  ②  ③ 
④  ⑤  ④  ⑤ 

이매고/2020년/L3/D
신봉고/2020년/L3/D   

9. 9.

함수 가   ,   를 만족시킬 때, 12.         일


12.

때,   
   의 값은?
    
 
[ 점]
     의 값은? [점]
  

①   ②   ③ 
①  ②  ③  ④  ⑤ 
④  ⑤ 

- 2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운중고/2020년/L3/D 판교고/2020년/L3/D

13. 13.  
  ⋯   의 값은? [ 점]   
16.         의 값은?
16.

[4.3점]
  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이매고/2020년/L3/D 한솔고/2020년/L3/D

  
14. 다음
14.

중 옳지 않은 것은? [ 점]
17.      일 때,    의 값은? [3.1점]
 
1 7.

   

     
  
① ①  ②  ③ 
  
 ④  ⑤ 
②      


 

③ 
   



 

 
④       
 
 
⑤           




풍덕고/2020년/L3/D

  
18. 18.




  
 

  일 때,      의 값은?

 

[ 점]

태원고/2020년/L3/D ①  ②  ③ 
     ④  ⑤ 
15. 15.

    ⋯ 
        
일
   
때,

 의 값은? (단,   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 3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현암고/2020년/L3/D 서현고/2020년/L3/C
    
19. 19.

   ,  

  일 때,    의 값은?


22.          가
22.

되는 상수    에
    

대하여      의 값은? [4.3점 ]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서현고/2020년/L3/C
늘푸른고/2020년/L3 /C

23. 등차수열 에
23.

대하여       일 때,


20. 20.

  
    일 때, 상수 의 값은?[4.0점] 

  의 값은? [4.4점]
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성남여고/2020년/J5/C
분당고/2020/B6/C


21.       
21.

⋯  의 값은? [ 점]
 24. 24.

     을 만족시키는 상수 의 값은? [점]





①  ②  ③ 
①  ②  ③ 
④  ⑤ 
④  ⑤ 

- 4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성복고/2020년/L3/C 성일고/2020년/L3/C
 

25.       의
25.


값은? [4 점] 28. 28.

함수  
  에 대하여
      일 때, 의
 

값은?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성일고/2020년/L3/C [수내고/2020년/L3/C]

26.    
수열         ⋯의 제항까지의 합을 구하면? 

   의 값은? [3.6점]


26.

29. 2 9.
 


[점]
①  ②  ③ 
①  ②  ③  ④  ⑤ 
④  ⑤ 

성일고/2020년/L3/C

   수지고/2020년/L3/C
27. 27.

       일 때,     를 의  


   
30.    일
30.

때,     의 값은? [4점]



   
식으로 나타낸 것은? [점]

①  ②   ③   ①  ② 
④  ⑤  ③ 
④  ⑤ 

- 5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수지고/2020년/L3/C 영덕여고/2020년/L3/C

31. 31.







⋯ 

의 값은? [4.3점] 34. 34.

다음 수열의 합은? [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 ②  ③ 
  
  
  ①  ②  ③ 
  
④  ⑤ 
 
 
④  ⑤ 
 

숭신여고/2020년/L3/C 운중고/2020년/L3/B
   
32. 32.

          일 때,     의



 

 

  35.  loglog 의
35.

 
값은? [ 점]

값은? [점]
①  ②  ③ 
①  ②  ③  ④  ⑤ 
④  ⑤ 

신봉고/2020년/L3/C 홍천고/2020년/L3/C
 
    
33. 33.

      




 일 때, 양수 의 값은? [점] 36. 36.

수열  ,   ,   ,   ,  ,  의 첫째항부터


    

제 항까지의 합이    일 때,   의 값은? (단, 는

①  ②  ③ 
상수) [점]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 6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홍천고/2020년/L3/C
수열의 합(STEP2)
37. 37.

수열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    일


 늘푸른고/2020년/L1 /C
때, 
 
   의 값은? [ 점]
38. 38.

첫째항이 같은 두 수열  이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①  ②  ③ 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킨다.
④  ⑤  

     일 때, 

의 값을 구하고 그 과정을
 

논술하시오..
[6.0점]

판교고/2020년/L1/C


39. 첫째항이
39.


이고, 공차가   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
제  항까지의 합을   이라 할 때, 

 의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 의 값은? [4.5점]

①  ②  ③ 
④  ⑤ 

- 7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분당고/2020/C1/C 분당대진고/2020년/L3/C

40. 40.

그림과 같이 곡선   
 위의 점 P를 지나고 기울기가 43. 수열 의 첫째항부터
43.

제 항까지의 합을  이라 하면
  
  인 직선이 축과 만나는 점을 Q라 하자.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이다. 수열      이라 할 때, 다음
  
 값들을 구하시오. [6점]

PQ 이 되도록 하는 점 Q의 좌표를  이라 할 때,  의


값을 구하고, 그 과정을 쓰시오. [ 점] (1)   [2점 ]


(2)  ≥ 일 때 수열  일반항 [2점]


(3) 




[2점 ]

분당중앙고/2020년/ L3 /C

 

분당대진고/2020년/L3/C
44. 44.

수열 에 대하여 
 
   일 때,  

   의 값을

41. 41.

자연수 에 대하여 에 대한 이차방정식 로 나눈 나머지는? [점]

      의 두 근을   이라 할 때,


 ①  ②  ③ 
 


  의 값은?
  [4.6점] ④  ⑤ 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분당중앙고/2020년/ L3 /C

분당대진고/2020년/L3/C 45. 45.

첫째항이 이고 공비가 음수인 등비수열 의 첫째항부터

42.42. 제항까지의 합을  , 수열   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 ×   ×    × ⋯    ⋯ ×  이라 하자.

의 값은? [4.7점]
   일 때,   의 값은? [점]
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 8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분당중앙고/2020년/ L3 /C 불곡고/2020년/L3/C

46. 46.

  ,   인 수열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을 48. 수열  이


48.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이라 하자. 수열   은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고, 수열  

은 공비가 인 등비수열일 때,   ,     을



 

   


만족시키는 자연수 의 값은? [점]  
을 만족시킨다. 


  일 때,

  의 값은? (단,  와  는

①  ②  ③ 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4.7점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분당중앙고/2020년/ L3 /C 불곡고/2020년/L3/C

47. 47.

어느 홈페이지의 퀴즈 이벤트에 참여한 사람들이 일 동안 49. 한


49.

변의 길이가  인 정삼각형 ABC 의 세 변 AB ,

개의 퀴즈를 풀었는데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했다는 사실을 BC , CA 의 중점을 각각 P , Q, R 이라 하고, 세 삼각형

알게 되었다. APR , BQP, CRQ 의 무게중심을 각각 A , B , C 라

하자. 또, 삼각형 ABC 의 세 변 AB , BC , CA 의 중점을


 퀴즈 이벤트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매일 명씩 늘어났다.
각각 P , Q , R 라 하고, 세 삼각형 APR , BQP , CRQ 의
 같은 날 참여한 모든 사람들은 같은 수의 퀴즈를 풀었다.
 각각의 사람들이 푼 퀴즈의 수는 매일 개씩 감소하였다. 무게중심을 각각 A , B, C 이라 하자. 이와 같은 과정을
계속하여 삼각형을 그려나갈 때, 삼각형 ABC 의 한 변의
퀴즈 이벤트를 시작한 지 일째 되는 날에 참여한 사람의 수를 

구하고, 그 과정을  기호를 사용하여 식을 세우고 서술하시오. (단, 길이를  이라 하자.  log
 
 

의 값은? [5.4점 ]

첫날 참여한 사람의 수는 명, 한 사람이 푼 퀴즈의 수는  개이고,


   이다.)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 9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불곡고/2020년/L3/C 서현고/2020년/L3/C



    ≤ 
50. 자연수  에 대하여 이차함수     의 그래프 위의 점
50.

53. 수열 이     
53.

이고
    

 
 
A     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을 

    


    일 때,


     의



  
  이라 하자. 원   이  축 및  축과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값은? [4.4점 ]
개수를  이라 할 때, 
 
 의 값은? [5.6점]
①   ② 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서현고/2020년/L3/B

54. 수열 의
54.

첫째항부터 제  항까지의 합 이


서원고/2020년/L3/C 
 
 
        일 때    의 값은? [4.6점]
51. 51.



    일 때, 


 
  이다.   의



값은? (단, 와 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서원고/2020년/L3/C
성남고/2020년/L3/C
52. 52.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수열 이


     의 값은? [점]
  

 55. 55.

     ⋯⋯      일 때,  의 값은? [4.5점]     

①  ②  ③  ①  ②  ③ 
④  ⑤  ④  ⑤ 

- 10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성남고/2020년/L3/C 성남외고/2020/C2/C
  
56. 56.

     일 때,   의 값은? [점]


 59. 그림과 같이
59.

이 자연수일 때, 함수        의 그래프



 

①  ②  ③ 

 

위의 한 점      과 두 점   ,  을 세


④  ⑤ 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넓이를  이라고 하자.
 
  의 값은?

[4.5점]

성남고/2020년/L3/C
     
  ①  ②    ③ 
    
57. 57.


    


 

의 값은? [점]
  
④  ⑤  

  
①  ②  ③ 
  
 
④  ⑤ 
 

성남외고/2020/B4/C


60. 등차수열 에서
60.

  ,    
 
 
  일 때,




 
   의 값은? [4.9점]
성남여고/2020년/J5/C

58. 58.

자연수 에 대하여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을


①  ②  ③ 

④  ⑤ 
  이라고 할 때,    의 값을 구하고, 그 과정을




서술하시오. [ 점]

- 11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성남외고/2020/C1/C 성복고/2020년/L3/C

61. 61.

그림과 같이 중심각         ⋯인 부채꼴 63. 63.

자연수  에 대하여 두 함수           



       의 그래프는 두 점에서 만난다. 두 교점의
OAB 의 점 B 에서 선분 OA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이라 할 때, 


BH  , 
BH 
, 
BH 
 , ⋯이다. 이 부채꼴의 호의
 좌표를     이라 할 때, 
 


 
값은? [ 점]



길이를  이라 할 때, 


의 값을 구하고, 그 과정을
   
①  ②  ③ 
 
논술하시오. [8.0점]

④  ⑤ 


성복고/2020년/L3/C

64. 64.

<보기> 중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 점]

[보 기]

성복고/2020년/L3/C
ㄱ.      ⋯   
 

     
62.     일
62.


때,  

     

   의 값은? ㄴ.         
   
 
[ 점]
ㄷ.    
 



     

  
①  ②  ③  ㄹ.     


 
   
 

④  ⑤ 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 12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성복고/2020년/L3/3 성복고/2020년/L3/C

65. 65.

좌표평면에서 자연수  에 대하여 그림과 같이 곡선


67. 
  
       ⋯   의
67.

값을 구하고, 그
     
    과 직선   
  가 제  사분면에서 만나는 점을 P  이라
과정을 서술하시오. [ 점]
하자. 점 P  을 지나고 직선   
  와 수직인 직선이  축,
 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Q  R 이라 하자. 삼각형 OQ R 의
  
넓이를  이라 할 때, 



의 값은? (단, O 는 원점이다.)

[ 점]

성복고/2020년/L3/C


68. 68.

첫째항이  이고 공비가  인 등비수열 에 대하여



  
    일 때,
  



   인 자연수  의 값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서술하시오.

[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성복고/2020년/L3/C

성복고/2020년/L3/C
69. 69.

수열 의 첫째항부터 제  항까지의 합을  이라고

하자.        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총 점]


66. 66.

첫째항이  이고 공비가    인 등비수열 에



대하여 수열  의 각 항이 아래와 같을 때, 

   이다. (1) 수열의 일반항  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서술하시오. []
 의 값은? [ 점]

  log 

  log   × log  


  log   × log   × log  

⋮ (2) 양의 실수  에 대하여 세 수  


   가 이 순서대로
  log   × log   × log   ×⋯× log     등비수열을 이룰 때,  의 값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서술하시오.
⋮ [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 13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성일고/2020년/L3/C [송림고/2020년/L3/C]

70. 70. 
자연수 에 대하여 이차방정식      의 두 근을 73. 첫째항부터
73.

제 n항까지의 합 이     인 수열



{ }의 첫째항은   이고    ≥ 일 때, p+q+r의
  이라 할 때,  
 


  의 값은? [점]
값은?
[4.2점]
①  ②  ③  ① 9 ②10 ③ 11
④  ⑤  ④ 12 ⑤ 13

성일고/2020년/L3/B 송림고/2020년/L3/C]

[
71. 71.

가 실수일 때,      의 최솟값을 구하는 과정을




74. 좌표평면에 그림과 같이 직선
74.

 이 있다. 자연수 n에 대하여


논술하시오. [점]
점 (n,0)을 지나고 x축에 수직인 직선이 직선  과 만나는 점의


y좌표를  이라 하자.      일 때,
   의 값은?


[4.4점]

[송림고/2020년/L3/C]

72. 첫째항이 22,
72.

공차가 –4인 등차수열 { }에 대하여    의




값은?
[4.0점]
① 452 ② 456 ③ 460
④ 464 ⑤ 468

① 515 ② 520 ③ 525


④ 530 ⑤ 535

- 14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수내고/2020년/L3/C] 수지고/2020년/L4/C

75.
 

      
               의 값은? 78. 78.

수열 이               ⋯으로


 
75.

       
정의 될 때,   을 만족시키는 상수 의 값은?[4.5점]
[3.4점 ]
  
①  ②  ③  ①  ② 
  
  ③ 
④  ⑤ 
  ④  ⑤ 

수지고/2020년/L3/C

[수내고/2020년/L3/C] 79. 자연수79.

에 대하여 에 대한 이차방정식
76. 76.

수열 { 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을   이라고       의 두 근을   이라고 할떄,



하면      이다.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
 
고른 것은 ? [3.7점 ]
 

  의 값은? [4.8점]
  

[보 기]
ㄱ.      
①  ②  ③ 
  

ㄴ.      
 ④  ⑤ 
 
ㄷ. 수열 {  }의 공비는 8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숭신여고/2020년/L3/C
[수내고/2020년/L3/C]


77. 77.

수열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80. 80.

수열 에 대하여    


    
 
   일 때,
 


일 때,  의 값은? [3.9점]   의 값은? [점]


 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 15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숭신여고/2020년/L3/C 신봉고/2019년/L3/C

81. 두 수열  에서   을 두 근으로 하는 


81.

84. 84.

수열 에 대하여    일 때,


  
이차방정식이      일 때,   
 의 값은?
  

[점]




   

의 값은? [점]
  

①  ②  ③  ①  ②  ③ 


④  ⑤  ④  ⑤ 

숭신여고/2020년/L3/C 신봉고/2020년/L3/C

 
  85. 85.

등차수열 에 대하여   일 때,


82. 82.

   에 대하여  

  일 때, 의 값은? [점]

  
      
    의 값은? (단, 공차는 이 아닌 수) [점]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①  ②  ③ 
  
 
④  ⑤ 
 

수지고/2020년/L3/C


신봉고/2020년/L3/C
   ⋯  
83.  
83.



의 값은? [4.6점]
86. 수열 에 대하여
 
86.



 
                ⋯이라 할 때,
①  ②  ③   
 

        의 값은? [점]


④  ⑤ 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16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신봉고/2020년/L3/C 야탑고/2020년/L3/C

87. 87.

등차수열 log      log과 등비수열 90. 90.

수열 이   이고,           ⋯을


    ⋯  에 대하여   ,   라 할 때,   log의 만족시킬 때, 수열 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값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서술하시오. [점]
(가)   
(나) 곡선    위의 한 점 P 을 지나고

기울기가  인 직선과 곡선    의 교점 중 점 P 가
아닌 점의 좌표는   이다.


이때   의 값은? [점]


야탑고/2020년/L3/C
    ①  ②  ③ 
88. 88.



          의 값은?
   
④  ⑤ 

[점]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야탑고/2020년/L3/C

 
91. 91.

수열 에서      이고
 
 
야탑고/2020년/L3/C
   
   ⋯  이 주어진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룰 때,
89. 89.

공차가 이고 각 항이 양수인 등차수열 에 대하여 


   

      ⋯  의 값은? (단, 수열 의 각



  일 때,  의 값은? [점]
     

항은 이 아니다.) [점]

①  ②  ③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④  ⑤ 
 

- 17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야탑고/2020년/L3/C 야탑고/2020년/L3/C

92. 
방정식     의 한 허근을 라 하자. 모든 자연수 에 

  log 
92.

95. 95.

    이 성립할 때, log 의 값에서 정수를


 
대하여  의 실수 부분을  이라 정의할 때,  
 
    의 값은? 제외한 부분이 이다. 이때 의 값을 구하는 풀이과정과 답을
[점] 쓰시오. (단, 수열 의 모든 항은 양수이다.)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영덕여고/2020년/L3/C

96. 96.

세 수열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야탑고/2020년/L3/C 

93. 93.

수열 이      의 값은? [점]


 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 ①  ②  ③ 

 

     
의 값은? (단,   이다.) [점]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운중고/2020년/L3/B


97. 등차수열
97.

{  }이 

    을 만족시킬 때,
야탑고/2020년/L3/C
   의 값은? [ 점]
94. 94.

다음 문제에 대한 풀이과정과 답을 쓰시오.



(1)    [ 점]

①  ②  ③ 
④  ⑤ 


(2) 
  
 [점]

- 18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이매고/2020년/L3/C 태원고/2020년/L3/C

98. 수열98.

{  }의 일반항이      
일 때, 101. 모든 실수에 대하여 정의된 함수
101.

는

      ≤  ≤ 과    를 만족하는

log  ×log 

의 값은? [ 점]
     주기함수이다.
 
좌표평면 위에서 각 자연수 에 대하여 직선       과 함수
    
①  ②  ③ 
     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를  이라고 할 때,
  

④  ⑤ 
  
    
  
의 값을 구하고, 그 과정을


논술하시오. [  점]

판교고/2020년/L3/C
죽전고/2020년/L3/B

99. 두 99.

수열  에 대하여 102. 수열  이


102.

 

        을 만족할 때,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의 값은? [4.5점]

  


     의 값은? [ 점]



 
  
①  ②  ③ 
①   ②   ③     
④  ⑤   
④  ⑤ 
 

판교고/2020년/L3/C 풍덕고/2020년/L3/C

100. 모든 자연수 10 0.

 에 대하여 103. 103.

 ×     ×   ×   ⋯  ×   ×  의

 ×  ×    ×   ⋯    × 값은? [ 점]


  

 ①  ②  ③ 
가 성립할 때, 상수  ,  ,  에 대하여   의 값을 구하고 그 ④  ⑤ 
과정을 논술하시오. [7.0점]

- 19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풍덕고/2020년/L3/D 한솔고/2020년/L3/C

104. 10 4.

자연수  에 대하여 이차방정식 107. 수열 이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의 두 근을   이라고 할 때, 

 

      


    의 값은? [ 점] 

를 만족시킬 때, 


의 값은? [4.0점 ]

107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①  ②  ③ 
  
 
④  ⑤ 
 

풍덕고/2020년/L3/C 현암고/2020년/L3/C

 
105. 10 5.

수열  의 첫째항부터 제  항까지의 합  이


108. 108.

       일 때,  의 값은?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이다. 서로소인 두 자연수

  
  
  에 대하여    의 값은? [ 점] ①  ②  ③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④  ⑤ 

풍덕고/2020년/L3/C

106. 10 6.

함수   log   의 그래프를 직선    에 대하여 현암고/2020년/L3/B

     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 
대칭이동한 후 다시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하면 함수
109. 109.

의
   의 그래프와 일치한다. 첫째항이  이고     를   

 값은?
만족시키는 등차수열  에 대하여     의 값은? [ 점]


①  ②  ③ 

  
  
  ④  ⑤ 
①  ②  ③ 
  
     
④  ⑤ 
 

- 20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홍천고/2020년/L3/C 홍천고/2020년/L3/C
   
 
110. 11 0.



 
   의 값은? [점]
 
113. 113.

   인 수열  에 대하여 첫째항부터 제


일반항이   

항까지의 합을  이라 할 때,  보기 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①  ②  ③  고른 것은? [점]
④  ⑤  [보 기]
ㄱ. 수열 log 은 등차수열이다.
ㄴ. 수열  은 등비수열이다.
ㄷ.       가 성립한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홍천고/2020년/L3/C

 
111. 수열 이
11 1.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을 



만족시킬 때, 

의 값은? [점]
  

  
①  ②  ③ 
  
 
④  ⑤ 
 

홍천고/2020년/L3/C


112. 수열 에 대하여
11 2.



  라 할 때, 등식

      ≥ 가 성립한다.  의 값은? (단, 는 상수이다.)


[점]

  
①  ②  ③ 
  
 
④  ⑤ 
 

- 21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현암고/2020년/L3/B
수열의 합(STEP3)
116. 116.

이차함수 와 수열  이 다음 조건을 모두


불곡고/2020년/L3/C 만족시킨다.
114. 그림과 같이 자연수 에 대하여 함수     의
11 4.

(가)  
그래프가 두 직선   ,    과 만나는 점을 각각 A  , 
A   이라 하자. 선분 A  A   을 대각선으로 하고, 각 변이 (나)  

      ⋯ 

축 또는 축과 평행한 직사각형의 넓이를   이라 하자. (다) 곡선   는   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
 
  일 때, 자연수 의 값은? [5.3점] 이때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  
ㄴ.   
ㄷ.    ⋯   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 ②  ③ 
④  ⑤ 

분당중앙고/2020년/ L3 /C

117. 117.

임의의 두 자연수 , 에 대하여 함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이매고/2020년/L3/B

115. 자연수 11 5.

에 대하여 이차함수     의 그래프와   


직선    의 교점의 좌표를 각각  ,  이라 할 때,


    
  
    의 값은? [ 점]

 
  
  
   이다.  의 값은? (단, ,  는 서로소인
①  ②  ③ 

 

  
 

④  ⑤  자연수이다.)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 22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현암고/2020년/L3/B 풍덕고/2020년/L3/A

118. 11 8.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수열  에 대하여 부등식 120. 120.

집합    는 이하의 자연수 의 부분집합


     ⋯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


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 의 최솟값은?

(가) 집합  의 임의의 두 원소    ≠ 에 대하여


(가)       ≠ 이다.
    
(나)           ⋯
 (나)    
 

(다)         ⋯
      
(라)           ⋯

  의 값은? [ 점]
  

①  ②  ③ 


①  ②  ③ 
④  ⑤ 
④  ⑤ 

한솔고/2020년/L3/B

121. 공차가 양수인 등차수열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홍천고/2020년/L3/B
때,    의 값은? [4.8점]
119. 수열 이
12 1.

11 9.

                으로

정의 될 때,  보기 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


(가)     
[점]    


[보 기]
(나)  

  
 
ㄱ. 
 
   (다)     

ㄴ.     

ㄷ.  
 
 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 23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풍덕고/2020년/L3/A 영덕여고/2020년/L3/B

122. 12 2.

등차수열  에 대하여 124. 124.

자연수 에 대하여 원      과 직선   가


 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자.  과 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만나는 두 점 A , B 사이의 거리를  이라 할 때, 
 


 

 의 값은? [ 점] 값은? [점]


(가)    ① 
 ②  
 ③ 


(나)  ≥  일 때,     

④  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영덕여고/2020년/L3/A

125. 125.

첫째항이 이고 공차가 정수인 등차수열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판교고/2020년/L3/B
이라 하자.     을 만족시키는 의 최솟값은 이다.
123.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12 3.

 에 대하여
[총점]




  일 때,  의 값은? [4.8점]

⑴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점]

(가)  
(나)  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⑵    의 값을 구하시오. [점]

- 24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운중고/2020년/L3/B 야탑고/2020년/L3/B

128. 수열 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  이
 
128.

126. 수열 12 6.

{  }이   를 만족시킬 때,
 
              


  의 값은? [ 점]

 를 만족시킨다. 

  의 값을  로 나타낼 때,  의 값은?
 

(단,  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점]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성남여고/2020년/K2/B
불곡고/2020년/L3/B
129. 129.

수열 이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127. 자연수 12 7.

 에 대하여 두 점 A   , B    과  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    이다.  의

원점 O 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AOB 가 있다. 삼각형 
     
AOB 의 내부에 포함된 정사각형 중 한 변의 길이가  이고 값은? (단, 와 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점]
꼭짓점의  좌표와  좌표가 모두 자연수인 정사각형의 개수를

①  ②  ③ 
 이라 하자.   의 값은? (단, 정사각형의 모든 꼭짓점은


④  ⑤ 
삼각형 AOB 의 둘레를 제외한 내부의 점이다.) [5.8점 ]

①  ②  ③ 


④  ⑤ 

- 25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성남여고/2020년/J1/B 성남외고/2020/C1/B

132. 모든 항이 양수인 수열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  일 때, 옳은 것만을
132.

130. 13 0.

자연수 에 대하여  


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점]   


(가)      ⋯ 
  


[보 기] (나) 
 

  

 
     ⋯
ㄱ.   

ㄴ.  

 
      ×    

  의 값은? [5.3점]

 
ㄷ. 이 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은 홀수이다.

  
①  ②  ③ 
  
① ㄱ ② ㄱ,ㄴ ③ ㄱ,ㄷ
④  ⑤ 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숭신여고/2020년/L3/B
성남외고/2020/B6/B
133. 133.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수열 에서   이고


131. 등차수열 log 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 의 값은?
13 1.



[5.1점] 
 
  일 때,  을 구한 것은? [점]


(가)  log

    (가)             
(나)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이다.

(나)  log

   

①  ②  ③ 
①  ②  ③ 
④  ⑤ 
④  ⑤ 

- 26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수내고/2020년/K3/B] 서현고/2020년/L3/B

134. 13 4.

자연수 에 대하여 좌표평면 위의 두 점   이 136. 136.

모든 항이 양수인 수열 이 다음 조건을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만족시킨다.

(가) 점  은 축 위의 점이고, 점  은 축 위의 점이다.   


(가)    ⋯   
(나)       
   

(다) 
  
    
  
   (단, O는 원점이다.) (나)           ⋯

그림과 같이 선분  위에 좌표와  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을 

찍을 때,  좌표와  좌표의 합이 작을수록, 합이 같을 때는 



 의 값은? [4.9점 ]

 좌표가 작을수록 작은 번호를 붙여 번째 점을  라 하자.


예를 들어, 점  은 점  ,   는 점  이다. ①  ②  ③ 
  의 값을 구하면? (단, 점  의  좌표, 점  의 ④  ⑤ 
 좌표는 모두 양수이다.) [5.2점]

서원고/2020년/L3/A

137. 137.

자연수 에 대하여 함수   log    의 그래프와


①  ②  ③ 
 축 및  축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 이라 하자. 영역  의 경계 또는
④  ⑤ 
내부에 꼭짓점의 좌표가 모두 이상의 정수이고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의 최대 개수를  이라 하자. 예를 들어      이다.


  의 값은? (단, 정사각형의 각 변은 축 또는 축에 평행하다.)


 

[5.0점]

①  ②  ③ 


④  ⑤ 

[수내고/2020년/L3/B]

135. 135.

수열 이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 의


값은? [4.6점]
①  ②  ③ 
④  ⑤ 

- 27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서원고/2020년/L3/B 분당고/2020/B6/B

138. 13 8.

자연수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의 140. 수열 이


140.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개수를  이라 하자. 


 
    를 만족시킬 때, 


  

의 값은?
  
(가)   
[ 점]

(나) 보다 큰 어떤 실수 에 대하여    이
성립한다.

 

①  ②  ③ 


 
예를 들어   이다.   의 값은? [5.0점]
 

④ 

 
⑤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분당대진고/2020년/L3/B

139. 13 9.

함수   는   를 만족시키고, 그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인 수열  이
 
 

있다. 이 보다 작은 자연수일 때,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의 최솟값은? [5.1점 ]

①  ②  ③ 
④  ⑤ 

- 28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48. ②
49. ①
1. ④ 50. ④
2. ⑤ 51. ①
3. ⑤ 52. ④
4. ④ 53. ➁
5. ③ 54. ➁
6. ④ 55. ⑤
7. ② 56. ③
8. ⑤ 57. ④
9. ① 58. 
10. ② 59. ④
11. ① 60. ⑤
12. ⑤ 
  
61. 
13. ② 
14. ③ 62. ③
15. ③ 63. ①
16. ④ 64. ③
17. ① 65. ④
18. ② 66. ⑤
19. ③ 67. 
20. ① 68.  
21. ④ 69. (1)      (  ≥  ) (2)  
22. ➃ 70. ①
23. ➂ 71.    
24. ② 72. ➃
25. ④ 73. ⑤
26. ④ 74. ⑤
27. ④ 75. ⑤
28. ② 76. ④
29. ③ 77. ⑤
30. ③ 78. ②
31. ① 79. ①
32. ① 80. ⑤
33. ① 81. ④
34. ④ 82. ②
35. ① 83. ②
36. ② 84. ②
37. ⑤ 85. ②
38.  86. ⑤
39. ② 87. 
40.  88. ②
41. ① 89. ⑤
42. ④ 90. ①
  91. ③
43. (1)  (2)     ≥  (3) 
  92. ①
44. ③ 93. ⑤
45. ⑤    
94. (1)  (2) 
46. ②  
47.  95. 

- 29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96. ③
97. ⑤
98. ②
99. ①
100. 

101. 
102. ⑤
103. ④
104. ⑤
105. ③
106. ③
107. ②
108. ⑤
109. ②
110. ②
111. ④
112. ③
113. ③
114. ②
115. ④
116. ②
117. ④
118. ⑤
119. ⑤
120. ①
121. ②
122. ④
123. ③
124. ①
125. ⑴  ⑵ 
126. ④
127. ⑤
128. ④
129. ①
130. ②
131. ②
132. ④
133. ③
134. ①
135. ①
136. ➂
137. ⑤
138. ②
139. ③
140. ①

- 30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8. ⑤
 

        


 

       
 
1. ④
   
 


     

   
 
  


9. ①
  ×    ×  
          
  

2. ⑤
10. ②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값이 최대가 되게 하는 자연수 의 값은 7이다.


     

∴            11. ①
  
 

3. 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4. ④
      
   12. 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②
    
 
∴       ⋯   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   이다.


 
5.



 

 이므로,

     





 이므로
14. ③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③

  

 
    이다.
 수열 
  
     ⋯ 
        

  
의 제  항을  라

하면
6. ④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주어진 수열의 합은
 

     
 
  
7. 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16. ④
 
23. ➂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     
     
 
17. 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②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25. ④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④

19. ③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④
20. 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②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21. ④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이므로   이다.
  
  
 29. ③
 
   

22. ➃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③


    ⋯    ×   

- 32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31. 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
  
        초항을 하자.
  
수열  은 주어진 점화식에서 등차수열이므로      에서
32. ① 초항은 , 공차는  이다.
 
수열  은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고 초항이 인 등차수열이다.


   

  라 하면
 가 항에서 이므로 항까지의 합과 항부터 항 까지의

합을 각각 구하면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연립하면      이다.


 39. ②
따라서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33. ①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는양수
   일 때, 최댓값을 가진다.

34. ④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최댓값은 과

     

 
          는 부분분수의 합을
 ×  ×  ×  ×  ×  의 가운데 값이  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
   
이용해서  ×  ×     
       
 

∴   
35. ①
 40. 
 log log  

  
P  라 하면, 직선 PQ의 방정식은
 log log ×log ×log × ⋯ log  
     

 loglog  log  

Q 을 지나므로      
  

36. ②

      
      

 

PQ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⑤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①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33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         46. ②
두 근   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이려면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이고, (짝수번째항) 이므로
   은 홀수번째 항이고
          
은 짝수이다.
     
   ∈이라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④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문제의 조건을 만족한다.
43. (1)  (2)     ≥  (3) 
  ∴
(1)    이므로   

(2)  ≥ 일 때          48. ②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면        에서
 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44. ③
   49. ①
삼각형 ABC 의 한 변의 길이    이고, 삼각형 ABC 과
   
삼각형 A  B  C   은 닮음비가    이므로 그 변의 길이
         ⋯
  
 은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이다. 따라서 삼각형 ABC 의 한
 

   

    



∴

변의 길이   
   
이고, log    log   이므로


 
  
45. ⑤
  
 log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50. ④
   원   이  축 및  축과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  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이다.

- 34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5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③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④
 
 

    


   
52. ④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일반항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
근과 계수와의 관계에 따라
53. ➁ 두근의 합     두근의 곱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④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이다.   




54. ➁
60. ⑤
                       
공차를 라 하면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55. ⑤           에서   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  

- 35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  
 
  이고    이므로 
BH   OB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66. ⑤
 


 
    



 

 
 
   
log  log  log   
       ×  × ⋯ ×   log    
  log  log  log 

    log 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 log


     log    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  67. 

   ⋅  ⋅ ⋯ ⋅
 




 

62. ③
 

 
 
      
 
    6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①
           
두 함수의 교점 구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좌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③
 69. (1)      (  ≥  ) (2)  
ㄱ.      ⋯   
 
 
(거짓)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ㄴ. 

  

   

 (참)
      
        (  ≥  )   
ㄷ.     
 

 

           

(거짓)
(2)  
   등비수열 중항    × 
 

ㄹ.     
 




70. 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
 
             
 
65. ④
  
       
두함수의 교점 P     
 와 수직인 직선   

   ×   ×    


    
 
71.    
Q 
n   R   n
         ⋯    은

   
   ≤  ≤  일때 최솟값을 갖는다.

- 36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      ⋯       78. ②
     
    ⋯    
     은 등차수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①
    
  
       
 
72. ➃
 
등차수열의 일반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등차수열의 합   

    
80. ⑤
제 1항부터 제 6항까지 양수이고 제 7항부터는 음수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 ⑤  
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에 의해     이고
        이므로         
따라서 
 
  이다.

∴    
81. ④
74. ⑤       
점 이 직선 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웃하는 두 항간의            
차가 일정하게 되므로 수열  은 등차수열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82. 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준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 ④
수열의 합으로부터 수열의 일반항을 도출할 수 있다.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ㄱ.             이므로   이다.
     

ㄴ.   ,      에서        
83. ②
ㄷ.         이므로 공비는  
   × 


 
  ×    ×  
  
77. ⑤

   
84. 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85. ② ※     ·   ·   이다.
         이므로 이 직선을

  
      
③   과 연립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6. 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 ③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87.  따라서    이다.

등차수열의 공차를 라 하고 등비수열의 공비를 이라 하면  


log  log  log      log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따라서   log    log,     이다.
∴ log     
 
   

   

88. ②
  92. ①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이 반복된다.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로 일정하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3. ⑤
89. ⑤ 
부분분수를 이용하면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이용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 
 
 
   

따라서   이다.    
      


 

90. ①      
 


①    

② P 를 지나고 기울기  인 직선은
         ∴        
94. (1)  (2) 
 

- 38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  
      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9. 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5. 
 
 log    log 



 log     
100. 
  

log            에서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이다.       


 

96.


 
      
 

   ,    ,    라고 치환하여 주어진 식을  


               
   

정리하면     ⋯ ①,      ⋯ ② 이 된다.

주어진 문제는    를 구하는 것이므로 ①÷   ×②를






  ⋅     ⋅  
   
  
 
  
하면 된다.         

97.

⑤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   
  
  
 
 은 등차수열이므로, 공차를 라고 하자.
   ,   ,   
즉,   ⋯   은 첫째항이 이고, 공차가 인 ∴    
등차수열의 합이다.
  × 
∴ ×    101. 
 
이때,   
그러므로, { }은 첫째항이 ,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다.
∴      

98. ②
    
   이므로,       에서
 
log    

    일 때   
log        
  
이다.    일 때        
 
 
   따라서 두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는
∴ 

 
      ≤  ≤  에서  개
        
      ≤  에서  개

- 39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  
    ≤   에서  개
 【검수자 다른풀이】
    ≤    에서  개
 ①            

따라서 교점의 개수는   이므로
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5. ③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2. ⑤
     
  를 

  이라 하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준식에 대입하면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6. ③
103. ④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4. ⑤ 

   
  ×  
   
   
   

107. ②
 



 
           ≥ 

    ≥  -①
      

 

  ⋅⋅     ① 식에서    이면 



   


∴    

- 40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8. 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3. ③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ㄱ. log

    log 
      × log
  등차수열 맞음 (참)
   
 

109. ②
  
  
 
 
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등비수열이 아니다. (거짓)
  
  

      
 ㄷ.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 

110. ② 114. ②
  
  
     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두 직선   과 만나는 점
        
A  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og 
이고,    과 만나는 점 A    의 좌표는
111. ④
  log  이므로 선분 A  A    을 대각선으로 하고, 각
 




     변이  축 또는  축과 평행한 직사각형의 넓이   은


∴      

 
   log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log 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log   ,   ,   이다.
 
112. ③
115. ④
    
이차함수      와 직선    의 교점의 좌표들은
 
      모두
 
     을 만족한다.

- 41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즉,   은        의 두 근이다.       
이때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을 만족한다.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6. 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9. ⑤
ㄱ.         이므로        

ㄴ.      ,    이므로    ㄱ. 


 

      

ㄷ.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
 
 
  
 



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7. ④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
∴  
 의 값은 ㉠을 이용하여 축차대입으로 ㄷ.     (참)
 
   
   
120. ①
   
(가) 조건에 의하여 집합  는  중 한 개,   중 한 개,
변변 더하면
⋯,   중 한 개를 원소를 갖는다.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를 얻을 수 있다.
  
 ×  × 
[참고]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log 라고 놓고 풀어도 관계없다.   

   이므로    따라서   log 라고 두고 풀어도
된다.
정리하면 
 


 

 
118. ⑤    
∴     

- 42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121. ②
가: 공차가 양수이므로 증가하는 수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호동일,    부호가 다르다  
   
  
⇒ 까지는 음수, 부터 양수 

나: 가에 의해 이때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다: 가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2. ④ 124. ①
 원의 중심인 P 에서 직선 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라
(가)에서   

하면 선분 PM의 길이는 점과 직선사이의 거리를 통해  로 알
정리하면    
수 있고, 직각삼각형 PMB 에서 MB  
  로 정리된다.
등차수열을 첫째항부터 나열하면

선분 A B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나)에서  이상의 모든  에 대하여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인 모든  에 대하여  
           이 성립
 
  

   
    

          
125. ⑴  ⑵ 
     
   를 만족 시키는 의 값이 에서      을

∴  ≥  인 모든  에 대하여  ≥ 
찾을수 있고 첫째항이 인 등차수열이므로
       에서   를 구할수 있고
즉    이고   ⋯  는 음수  부터는  이상이다.
   
따라서       ⋯      ⋯ 
⑴  의 최솟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일
 
 때 최솟값   을 갖는다.
    
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 

123. ③
126. ④
(나)에서    ≠ , 즉 ≠   ≠± 일 때

  라고 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따라서
127. ⑤
 



 



 




 

 

  두 점 A   , B    과 원점 O 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AOB의 내부에 포함된 정사각형 중 한 변의 길이가  이고

- 43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꼭짓점의  좌표와  좌표가 모두 자연수인 정사각형의 개수를  
 ×    ×  


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
⋮  
ㄷ. 반례   이면      거짓
  
       ⋯    ×    

131. ②
이다. 따라서

 

     

 log
 
   log    에서 log    
   


 
 × ×
   


 ×
 ×    ×

 log
 
   log    에서 log    
 

      수열의 공차를 라 하면 log    log    이므로   

이다. log    log         ×  이므로   

128. ④ 132. ④
※         (가)에서     
※           

준식에 대입하면,
(나)에서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면
전개하면              

  
양변을      으로 나누면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따라서
 
 
 은 초항 
 

, 공차  인 등차수열이다.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
  이므로   
 
 

129. 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항부터 부분분수 적용해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0. ② 133. ③
   
      (가)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ㄱ.      참

      

- 44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에서   ⋯ 의 값이 반복되므로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이다.

134. ①
 
     이라 하자.
조건 (나), (다)에 의해           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수열  은 등비수열이며    
이다.     일 때,   
    일 때,   
또한 
 상에 존재하는 정수점들은
    일 때,   
 ,     , ...,    으로 총     개다.     일 때,    의 값을 갖는다.
점  이   에 존재한다면 (ⅰ)  ≤  ≤    ≤  ≤ 에 존재하는 정사각형의 개수는
   ×개 이다.
   
 ≺  ≤    
을 만족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ⅱ)  ≥ 에 존재하는 정사각형의 개수를 구하면



 부터  까지 선분 위에 존재하는 정수점들의 총 개수는 정사각형의 우측상단 꼭짓점의 좌표가
  인 정사각형은  개
       개이므로
  인 정사각형은  개
점               인 정사각형은  개 이므로
∴      ≥  영역의 정사각형의 개수를  이라고 할 때
  
135. ①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6. ➂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7. ⑤
∴ 정사각형의 총 개수는    

138. ②
준식에 의하여 ×  


 
   이다.

 



  이므로    는 증가함수
  
보다 큰 어떤 에서   와 교점이 생기려면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자연수 에 대해 다음 그림이 만족하는 의 값을 구해보면

- 45 -
20년 성남, 용인, 수원 내신대비 단원별 기출문제 수학1 수열의 합




 
 
  일 때,    을 만족하는    ∴  


  일 때,      을 만족하는        ∴  



따라서 자연수 에 대한 의 개수는
     에서    개 라고 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139. ③
은  ≤  ≤ 인 자연수이므로
      ⋯       
그래프를 보면
    에서   이므로
          
조건을 성립하도록 하는 의 값은  ≤  ≤ 인 자연수이므로
최솟값은 이다.

140. ①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