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4

이 책의 차례

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01 동아시아 선사 문화의 전개 8

02 국가의 성립과 발전 15

수능 마스터 26

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03 인구 이동과 정치·사회 변동  30

04 국제 관계의 다원화 39

05 유학과 불교 52

수능 마스터 64

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06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72

07 교역망의 발달과 은 유통 85

08 사회 변동과 서민 문화 96

수능 마스터 105
Contents

Ⅳ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09 새로운 국제 질서와 근대화 운동 ~서양 문물의 수용 112

10 제국주의 침략 전쟁과 민족 운동 127

수능 마스터 140

Ⅴ 오늘날의 동아시아

11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냉전 체제 148

12 동아시아의 경제 성장과 정치 발전 ~ 갈등과 화해 160

수능 마스터 172

[부록] 연표로 이해하는 동아시아사


이 책의 구성과 특징

핵심 내용 정리 자료 탐구
교과서의 핵심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1단계에서는 대수능 모의평가 및 대수능의 대표 기출 자료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습니다. 를 엄선하여 분석하였고, 2단계에서는 이에 대한 응용 문제
를 통해 기출의 유형과 빈출 주제를 완벽히 익힐 수 있도록
보조단 개념 설명 하였습니다.

핵심 내용과 관련된 보충 설명이나 자료를 제시하여 개념 이해


를 도울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자료
탐구
자료 1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업

동아시아사 기출 자료 분석

02 국가의 성립과 발전
기원전 60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볍씨와 벼의 모습이 새겨진 토기 등이 발견되어, 벼농
ㅣ2015학년도 대수능 6월 모의평가ㅣ

갑골문 2. 국가의 출현 사가 가장 먼저 시작된 곳으로 알려져 있다. 고온 다습하여 벼농사에 적합한 기후 조건을
(1) 중원 지역의 국가 형성 갖고 있는데, 11세기 이후에는 점성도(占城稻)라고 불리는 조생종 벼가 새로 보급되면서 생
① 하(夏) : 문헌 기록상의 왕조 산력이 더욱 발전하였다.
② 상(商) : 기원전 1600년경 성립, 신정 정치, 갑골문, 은허(수도 유적)
③ 주(周) 자료 분석 제시된 자료에서 기원전 6000년경으로 추정되는 볍씨와 벼의 모습이 새겨진 토기 등이 발견되었다는 점,
•성립 : 기원전 11세기경 상을 멸망시키고 호경을 수도로 삼음 고온 다습하여 벼농사에 적합한 기후 조건을 갖고 있다는 점 등을 통해 창장강 유역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봉건제 실시 : 왕이 수도와 직할지를 통치, 제후가 지방을 다스림 자료 공략 동아시아 자연환경과 생업의 특징을 자료로 제시하고 지도에서 위치를 파악하는 문제가 주로 출제된다. 동

•정치사상 : 천명사상과 덕치를 강조 아시아 자연환경과 생업의 특징을 지형과 기후를 고려하여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거북의 배딱지나 동물의 뼈 등
을 이용하여 전쟁과 농사 및 제 •쇠퇴 : 제후가 왕의 통제에서 벗어나며 왕실 권위 약화
사 등에 대해 점을 친 뒤, 그 내
용과 결과를 새겨 넣은 것이다. (2) 춘추·전국 시대의 전개
상의 유적에서 대량으로 출토 ① 성립
되었다.
•춘추 시대 : 기원전 8세기 이민족의 침입으로 주가 동쪽으로 천도[호경 → 낙읍(뤄양)] → 주
왕실의 통제력 상실 → 세력이 강한 제후(춘추 5패)가 정국 주도 유형 연습
봉건제 •전국 시대 : 봉건 질서 붕괴 → 전국 7웅 대두(하극상, 약육강식의 시대) → 상앙 등 법가 사상
왕이 제후에게 토지와 백성을 가를 등용하여 부국강병책을 추진한 진(秦)에 의해 통일 1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15-0001 ]
하사하고 그 대신 제후에게 군
② 특징
역과 공납 의무를 부과한 제도
이다. 주는 수도와 직할지를 제 •군현제, 관료제 등의 통치 방식 도입
외한 지역에 왕족과 공신 등을 정치
•철제 무기 보급 → 군사력 강화, 전쟁 규모 확대 연평균 강수량이 400~600mm인 (가)
제후로 보내어 대대로 다스리
•우경과 철제 농기구 보급 → 농업 생산력 발전, 토지 사유화 진전 지역의 특징에 대하여 발표해 볼까요?
게 하였다. 경제
•상공업 발달(대상인 출현) → 화폐 유통, 도시 발달
사회 능력을 중시하여 인재 등용 → 제자백가 등장 동해

군현제 황해

지방을 군, 현으로 나누고 중앙 자료 플러스 춘추 5패와 전국 7웅


에서 각각 군수와 현령 등의 관
리를 파견하여 다스리게 한 제 춘추 시대에는 200개가 넘는 제후국이 있었는데, 세력이
도이다. 강한 제후가 ‘주 왕실을 받들고 오랑캐를 물리친다(존왕


양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다른 여러 제후국과 맹약을 맺
위 진(晉) 제 황해 으면서 질서를 유지하였다. 세력이 강한 제후 중에 춘추 ㈎ - “신상지리자료”, 2019 -
호경 낙읍(뤄양)
한 5패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진(秦)
초 오 기원전 5세기에는 봉건 질서가 무너지면서 전국 시대가 시
월 작되었다. 전국 시대에는 제후들이 스스로 왕을 칭하면서 ① 벼의 이기작이 가능해요.
춘추 시대의 세력 범위 주변의 소국을 병합하는 등 약육강식의 치열한 경쟁을 벌 ② 동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고원 지대예요.
❶( ) 왕조는 점을 친 후 그 전국 시대의 세력 범위
춘추 5패
이며 부국강병을 위한 개혁을 추진하였다. 제후국들이 점 ③ 주로 밭농사나 목축 등을 행하고 있어요.
내용과 결과를 기록한 갑골문
전국 7웅 차 7대 강국을 중심으로 통합되어 전국 7웅을 이루었다.
을 남겼다. ④ 대부분의 생필품을 가축으로부터 충당해요.
❷ 주 왕조는 제후에게 토지와 백 ⑤ 신석기 시대에는 허무두 문화가 발달하였어요.
성을 하사하고 그 대신 군역과
공납 의무를 부과하는 ( )
를 실시하였다. 3. 중원의 통일과 여러 나라의 성립
❸ 진의 ( )는 이사 등을 등 (1) 진(秦)의 전국 통일(기원전 221) 10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용하여 사상을 통제하는 분서
① 시황제 : 법가 사상을 바탕으로 부국강병을 이루어 전국 통일
갱유를 단행하였다.
② 중앙 집권 체제 강화 : 황제 칭호 최초 사용, 군현제 실시, 3공 9경의 관료제 시행, 도량형·화
|정답| ❶ 상 ❷ 봉건제 ❸ 시황제
폐·문자 통일, 도로망 정비, 사상 통제(분서갱유)

16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문항 코드

개념 check 자료 플러스 문항별 해설 강의 검색 서비스를 통해 속 시원한 해설 강의가


바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개념 check 문항을 통 핵심 내용과 관련된 주
해 학습한 내용을 바로 요 자료를 제시하고 이
확인하고 넘어갈 수 있 에 대한 분석 및 해설을
도록 하였습니다. 제시하였습니다.
Structure

수능 기본 문제 수능 마스터
기본 개념을 묻는 문항이나 간단한 분석 수준의 문항들로 구 대단원마다 학습 내용을 최종 점검할 수 있는 고난도 문항
성하여 교과 내용에 대한 기본 이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과 통합 문항을 제공함으로써 수능 실전 감각을 키울 수 있
하였습니다. 도록 하였습니다.

수 능 기본 문제 정답과 해설 1쪽 Ⅰ. 수능 마스터

01
[20015-0003 ] [20015-0005]

01 (가) 사람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03 다음 인류가 등장한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밑줄 친 ‘이 지역’을 지도에서 옳게 고른 것은?
20015-0027
사진은 중국 베이징의 산딩둥[山頂洞]에서 Postcard
▣ 학습 목표 : 동아시아 지역에서 (가) 와/과 유
발견된 인류의 화석을 복원한 것이다. 이 인 ◯ ◯ 에게
목민의 생활 모습을 비교할 수 있다.
류는 약 1만 8천 년 전에 살았을 것으로 추 안녕! 오늘 여행한 곳을 소개할게. 중 만, 오늘날에는 제나라의 국력보다 노
▣ 이번 차시 학습 주제 : 전근대 시기 (가) 의 정된다. 국은 34개 행정 구역으로 나뉘고, 각 나라의 문화를 기리는 것 같아.
생활 지역을 한 글자의 약칭으로 나타내 자 이 지역은 신석기 시대 다원커우 문
▣ 학습 주요 내용 동차 번호판에 표시하는데, 이 지역의 화로 유명하며, 발해관이 설치된 곳
1. 계절의 순환에 따른 생활 : 계절에 맞추어 씨를 뿌 약칭은 ‘노(魯)’야. 공자의 고향으로 과 장보고가 세운 법화원이 있는 곳
①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였다.
리고 곡물이 열릴 때까지 기다림 유명한 노나라를 뜻하는 것이지. 춘 으로도 잘 알려져 있지. 자세한 이야
②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거주하였다. 추·전국 시대에 이 지역의 제나라가 기는 돌아가서 말해 줄게. 안녕!
2. 사회의 발전 : 주민을 효율적으로 동원하기 위한
조직 발달 → 권력이 소수에게 집중 → 중앙 집권 ③ 돌보습, 돌괭이를 도구로 사용하였다. 춘추 5패이자 전국 7웅으로 유명했지
수능 실전 문제 적인 권력 출현 ④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토기를 만들었다.
⑤ 씨족의 조상을 신으로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
연표로 이해하는 동아시아사
① (가) ② (나) ③ (다)
① 정착 생활을 하였다. ④ (라) ⑤ (마)
수능에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문항들을 수록하여 응
② 다양한 농기구를 개발하였다.
각국의 주요 사건을 시대순으로 ㈎
일괄 정리하여 동아시아의

③ 공동 노동으로 저수지를 축조하였다. [20015-0006]

용력과 탐구력 및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④ 흉노, 선비, 몽골 등의 민족이 해당되었다. 04 (가)에 들어갈수
유물로있도록
적절한 것은? 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주요 사건의

⑤ 대체로 연평균 강수량이 600mm 이상인 지역에서 벼를 동아시아 선사 시대 토기 박물관
였습니다.
재배하였다. 랴오
이해를 돕는 지도 및 사료, 설명 등을 제공하였습니다.

▲ 훙산 토기 랴오허강 유역 황허강 중류 황허강


동아시아 선사허시대 하류 창장강 하류 한반도 일본 열도 ▲ 빗살무늬 토기
강 토기 박물관
훙산 문화
02
랴오허강 유역에서 발달한 한반도 신석기 문화의
훙산 문화는 기하학적랴오허강
무늬 유역 황허강 중류 황허강 하류 창장강 하류 한반도 일본 열도 대표적인 토기이다.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양사오 토기 가 있는 토기가 특징이다. 동해 20015-0028

수능 실전 문제
황허강 중류 지역에서 발
달한 양사오 문화에서는 양사오 문화 황허강
•제작
다원커우 문화
(가)
한반도
시기 : 신석기 시대조몬 문화
신석기 문화 연표로 이해하는 <지역으로 보는 동아시아사>
동아시아사 지도에 표시된 지역에 대하여
•황해
용도 : 제사용으로 추정 발표해 볼까요?
무늬가 그려진 채도가
유행하였다.
1
연대 주요 사건
20015-0007 밑줄 친 ‘이 지역’을 지도에서 옳게 고른 것은? 동해
[20015-0004 ]
허무두 문화
02
① ② 기원전 황해
밑줄 친 ‘이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양
강 동아시아에서 가장
쯔 넘는
이 지역에는 평균 해발 고도 4,500m가 높고 큰 고원이 있다. 또한 이 ★
동중국해
10000년 10000년경 중국, 신석기 문화 시작
지역에는 중국 한나라 이전부터 중국 내륙 지역과 인도를 연결해 준 고대의 무역로가 존재하 한국, 신석기 문화 시작★
~

이들은 물과 풀을 따라 옮겨 랴 오 다닌다. 글이나 책이 없었으 ▲ 빗살무늬 토기 ▲ 훙산 토기 랴오


▲ 빗살무늬 토기
▲ 훙산 토기 허 허

▲ 조몬 토기 8000년경 일본, 조몬 토기 사용★


초기에는 덧무늬 토기 등이
강였는데, 차와 말을 교역한 데서 ‘차마고도’라고 불린다.

랴오허강 유역에서 발달
훙산 문화 만들어졌으며, 이후 신석기
며, 말로써 약속을 하였다. 훙산 문화이들은 한가할 때에는 가축을 한반도 신석기 문화의
하였고, 기하학적 무늬가
시대를 대표하는 빗살무늬
랴오허강 유역에서 발달한 풍응우옌 문화 있는 토기가 만들어졌다. 토기가 만들어졌다.

따라 다니면서 랴오 조몬 문화를
▲ 빗살무늬대표하는
토기 토기
▲ 양사오 토기
조몬 문화
동해

무늬 새나 짐승을 사냥하는 것을 생업으로 삼는대표적인 토기이다.


한반도
훙산 문화는 기하학적 ▲ 훙산 토기 허 황허강 중류 지역에서 발 다원커우 문화 신석기 문화
③ ④ 강 양사오 문화 황허강

다. …… 이들은
▲ 가축의
풍응우옌 살코기를
토기 먹고 그 가죽으로 옷을 로 토기 표면에 주로 새끼줄 달하였고, 무늬가 그려진
채도가 만들어졌다.
황해

▲ 양사오 토기 가 있는 토기가 특징이다. 동해 랴오허강 유역에서 발달한 훙산 문화 한반도 신석기 문화의 지도에 표시된 지역을 중국에서는 몽염의 활약 이후 신진(新秦)이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만들어 입었다.
풍응우옌 문화를 상징하는한반도 훙산 문화는 기하학적 무늬 대표적인 토기이다.2333 고조선 라 불렀고,
건국위청, 곽거병의 활약 이후 신진중(新秦中)이라 불렀다.
허무두 문화
황허강 중류 지역에서 발 다원커우 문화 ㈎문화
조몬 창
장 강 동중국해
신석기 문화 가㈒있는 토기가 특징이다.
달한 양사오 문화에서는 양사오 문화 황 허 강토기로, 돌림판을 사용해 황해▲ 양사오 토기 동해
▲ 다원커우 토기 한반도
1600년경 상 성립 ▲ 조몬 토기

무늬가 그려진 채도가 ① 주로 이동식 정교한가옥에서 무늬를 새겨거주하였다.


황허강 넣은중류 지역에서 발 조몬 문화
표면에 새끼줄 무늬가
새겨진 토기 등이 제작
황허강 하류 동해 지역의 다원커우 다원커우 문화
유행하였다. ② 계절에것이 따라특징이다.
생활 터전을 달한옮겨양사오 다녔다.
문화에서는 양사오 문화 황 허 강 ▲ 돼지신석기 문화
그림 토기 기원전 ① 진시황제 때 흉노로부터 뺏은 지역이에요.
되었다.


문화에서는 ㈑ 홍도가 만
초기에 황해 ▲ 다원커우 토기 ▲ 돼지 그림 토기

황해 양쯔강 하류 지역에서 출토 1000 11세기경 주 건국 황허강 하류 지역에서 발달 창장강 하류 지역에서

③ 부족 단위로 편성되어 무늬가 그려진 채도가 ② 장건이 최종 목표지로 삼아 파견된 곳이에요. 하였다. 후기에 양사오 문화와 발달하였다. 흑도, 홍도
허무두 부족장의
문화 권한이

강하였다. 들어졌다. 중기에 들어가면서 함께 룽산 문화로 발전하였다. 등이 제작되었다.
유행하였다. 태평양
된 토기로 당시 돼지, 개 등을
④양수리 쯔 강시설과 제방 축조를 위한 조직을 발전시켰다. ㈐회도, 흑도가 늘어났으며, 이 ③ 남비엣을 정벌한 후 군을 설치한 지역이에요.
동중국해 가축으로 길렀음을 알 수 있다.

EBS 스마트북 활용 안내
▲ 동아시아의 신석기 문화
후동중국해
룽산 문화로 이어졌다. 허무두 문화 770 ④주의
한 고조가 묵특시대
동천, 춘추 선우의
시작흉노 군대에 포위된 곳이에요.
⑤ 가축으로부터 의식주에 필요한 대부분의 물품을 얻었다.

남중국해
▲ 조몬 토기쯔 강 동중국해 ⑤ 주가 이민족의 침략을 받자 새롭게 수도를 옮긴 곳이에요.
풍응우옌 문화
EBS 스마트북은 스마트폰으로 바로 찍어 해설 영상을 수강할 수 있고, 교재 문제를26파일(한글,
조몬이용하는
[ 검토용 ] EBS 허락없이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사, 복제, 제본, 2차적 저작물 작성 등으로 문화를일체의
대표하는
행위는토기 이미지)로 다운로드하여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법에 따라 금지되어 있습니다.
고조선
[ 검토용 ] EBS 허락없이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사, 복제, 제본, 2차적 저작물 작성 등으로 이용하는 일체의 행위는 관련법에 따라 금지되어 있습니다. 동해 연
▲ 풍응우옌 토기 12 로 토기 표면에 주로 새끼줄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① (가) ② (나) ③문화
풍응우옌
무늬가
(다)
▲ 조몬 토기
④ (라)
있는 것이 특징이다.
⑤ (마)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403 중국, 전국 시대 시작(~221)★ 위

조몬 문화를 대표하는 토기 허
강 제 황해
풍응우옌 문화를 상징하는 한

로 토기 표면에
3세기경주로 새끼줄
일본, 야요이 문화 시작 진

모르는 문제, 찍어서 해설 강의 수강 교재 문항을 한글(HWP)문서로 저장


토기로, 돌림판을 사용해 ▲ 풍응우옌 토기
학생 교사

▲ 다원커우 토기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秦) 초



정교한 무늬를 새겨 넣은
황허강 하류 지역의 다원커우 풍응우옌 문화를 상징하는 동중국해
것이 특징이다. ▲ 돼지 그림 토기 221 진, 중국 통일
문화에서는 초기에 홍도가토기로, 만 돌림판을 사용해
▲ 다원커우 토기
[ 20015-0001 ] [ 20015-0001 ]
양쯔강새겨
정교한 무늬를 하류넣은
지역에서 출토 202 한 건국 전국 7웅
들어졌다. 중기에 들어가면서 기원전
된 토기로 당시 돼지, 개 등을 황허강 하류 지역의 다원커우 ▲ 돼지 그림 토기
회도, 흑도가 늘어났으며,것이 이 특징이다. ▲ 전국 시대의 형세
1. 윗글에 대해
후 룽산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문화로 이어졌다.
가축으로 길렀음을 알 수 있다. 문화에서는 초기에 홍도가 만
양쯔강 하류 지역에서1. 윗글에 200 200 백등산 전투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EBS 교재 문항을 한글(HWP)파일로
2
출토
20015-0008 들어졌다.
밑줄 친 ‘이들’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중기에 들어가면서 198 한 고조, 흉노와 화친★
★묵특이 흉노의 선우가 된 후 종종 한의 땅을 넘나들며 침범하였다. 한이

회도, 흑도가 늘어났으며, 이


된 토기로 당시 돼지, 개 등을
가축으로 길렀음을 알 수 있다.
다운로드하여 이용할
이를 우환으로 여겨 종실의 공주를수묵특있습니다
선우의 연지로 삼게 하고, 비단과
100 후 룽산 문화로 이어졌다. 100 108 한 무제의 침입으로 고조선 멸망
술, 식량 등을 매년 보내고 형제의 나라가 되기로 약속하였다.

80 80
[ 20015-0001주거] 문화로 보는 동아시아 - ◯◯◯편
60 60 위 5호 16국 동위 북제
1. 윗글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북위
후한

40 40 기원후 8 왕망, 신 건국 촉

서위 북주
사진은 이들의 이동식 가 수
20 100 20 수학 영역
옥이다. 나무로 벽과 지붕 25 광무제, 후한 건국 오 동진 송 제 양 진(陳)
0 80 0
60
의 뼈대를 세우고 그 위에 남북조 시대
40

1 20
0
# 스마트폰 문제 촬영
양털을 압축하여 가공한 1
▲ 위·진·남북조 시대

2 찰칵! 흰색 천을 덮었다. 여름에


# 인공지능 단추 푸리봇 연결 2
1 는 천막 아래쪽을 걷어 올 100 다운로드
3 2 # 해설 강의 수강
려 통풍과 온도 조절을 할 3 유연
고구려
3
4 수 있고, 겨울에는 원형 구조로 바람의 저항을 적게 받는다는 장점 4 220 후한 멸망★ 토욕혼
동해

4 북위
신라
백제
백제신라
이 있다. 황해 가야

※ EBSi 고교강의 앱 설치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72 고구려, 불교 수용·태학 설립


① 부족장의 역할을 알아본다.
※ EBSi 홈페이지 및 앱 검색창에서 문항코드 입력으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② 양, 염소, 낙타 등의 용도를 찾아본다.
※ 교사지원센터(http://teacher.ebsi.co.kr) 접속 후 ‘교사 인증’을 통해 이용 가능 송 동중국해

427 고구려, 평양 천도
③ 개간과 간척을 실시한 목적을 조사한다.
439 북위의 화북 통일, 남북조 성립★ 남중국해 북위의 최대 영역
④ 계절에 따라 옮겨 다닌 이유를 파악한다. 송의 최대 영역
475 백제, 웅진 천도 ▲ 5세기경 동아시아 형세
⑤ 기마 능력 향상을 위해 제작한 도구를 살펴본다.
[ 검토용 ] EBS 허락없이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사, 복제, 제본, 2차적 저작물 작성 등으로 이용하는 일체의 행위는 관련법에 따라 금지되어 있습니다.
01. 동아시아 선사 문화의 전개 13 178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
동아시아 역사의
Ⅰ 시작
이 단원에서는 동아시아 세계의 범위와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나타난 삶의 모습을 농경과 목축을 중심으로 파


악합니다. 구석기·신석기·청동기 시대의 유물을 중심으로 각 시대의 생활상을 이해하고, 동아시아 지역에
서 성립하였던 국가들의 발전 과정을 학습합니다.

연계 사례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동아시아사 1번

■ 학습 주제 : 베트남 지역의 신석기 문화


1 . 호아빈 문화
- 뗀석기와 초보 수준의 간석기 사용
2 . ◯ ◯ ◯ ◯ 문화
- 신석기 후기에 발달
- 농경 실시, 갈돌 사용
- 돌림판을 사용하여 토기 제작
01강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선사 문화의 전개

4. 선사동아시아
01 문화의 전개 선사 문화의 전개
뗀석기 (1) 인류의 등장과 구석기 시대의 생활

02 국가의 성립과 발전
① 대표적 구석기인 : 베이징인, 평양 만달리인, 오키나와의 미나토가와인 등
② 생활 모습 : 채집·수렵·어로 활동, 뗀석기 사용, 이동 생활(동굴이나 막집 거주), 불·언어 사용
(2) 신석기 시대의 사회 변화와 각 지역의 신석기 문화
① 농경(조·수수·밀·보리 등)과 목축의 시작
② 간석기·토기·뼈바늘 등 사용, 정착 생활(움집 거주)
▲ 주먹도끼
③ 사회 생활 : 씨족 구성원 증가, 움집·옷감·토기 제작, 씨족장의 권한 강화, 자연현상이나 조
구석기인들은 다양한 뗀석기
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대표적
학습신으로
상 등을 요소모시고 공동 제사 의식 거행
인 뗀석기인 주먹도끼는 찍는 ④ 중국 본토(중원)와 만주 지역의 신석기 문화
날과 자르는 날이 모두 있어 •동아시아의 범위 •동아시아의 자연환경 및 농경과 목축
중류 양사오 문화 채도 등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었다. 황허강 룽산 문화로 발전(흑도 등)
•동아시아의
하류구석기·신석기·청동기
다원커우 문화 홍도 등 문화 •동아시아 지역에서 성립한 국가들의 발전
양쯔강
•중원 하류 흉노
왕조와 허무두
간의문화교류와
벼농사
전쟁시작, 흑도·홍도·돼지 그림 토기 등 량주 문화로 발전(옥기 등)
훙산 문화 랴오허강 훙산 문화 한반도
채도, 여신의지역
얼굴상, 용 모양 옥기, 다양한 형태의 돌보습·돌쟁기 등

⑤ 한반도의 신석기 문화
•토기 제작 : 이른 민무늬 토기, 덧무늬 토기, 빗살무늬 토기(대표적) 등
•생활 모습 : 돌보습·돌괭이 사용, 조·피·수수 등 재배, 돼지·개 등 가축 사육
⑥ 일본 열도의 조몬 문화 : 조몬 토기▲제작,
덧무늬여성
토기모양의 토우(풍요
▲ 빗살무늬기원)
토기 제작, 농경보다는 수
▲ 여신의
▲ 여신의얼굴상
얼굴상
렵·채집·어로로 생계 유지, 움집 거주 덧무늬 토기 등이 만들어졌으며,
초기에는
화는 기하학적 무늬가
랴오허강 유역의 있유
훙산 문화
⑦ 베트남 지역 2020학년도이후
EBS 수능특강
대표적인 동아시아사
토기인 빗살무늬 10쪽
토기가 연계 분석 및 학습 대책
허 강

루는 기술이 뛰어나
적에서 발견된 용모
것으로 여신에
제작되었다.
•호아빈 문화 : 뗀석기와 초보적 간석기 사용
숭배도대한 숭배 사상이 있었음을 보
있었다.

여 준다.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동아시아


•풍응우옌 문화 : 신석기 후기에 발달, 농경 시작, 돌림판을 사용해 정교한 문양을 새긴 토기 제작


사 1번 문제는 2020학년도 EBS 수능특강
황 자료 플러스 동해신석기 문화
동아시아 각 지역의
개념 check 동아시아사 10쪽의 자료플러스를 연계하여

1. 구석기인은강주먹도끼를 비롯 출제되었다. 대수능에서 동아시아의 신석기
하여 다양한 ( )를 만들 황해
어 도구로 사용하였다. ▲ 훙산 토기
랴오
허 ▲ 빗살무늬 토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를 묻는 문제는 대표적
개념 check 훙산 문화

한반도 신석기 문화의
2. 양쯔강 하류 지역에서 발달
랴오허강 유역에서 발달한
훙산 문화는 기하학적 무늬 일본 열도 대표적인 토기이다. 인 유물을 제시하고 해당 지역을 찾는 문제
한 ( ) 문화 유적에서 ▲ 양사오 토기 가 있는 토기가 특징이다. 동해

벼농사가 시작되었음을 알려 황허강 중류 지역에서 발 다원커우 문화


한반도
신석기 문화
조몬 문화 나, 글 자료를 제시하고 이에 해당되는 유물
달한 양사오 문화에서는 양사오 문화 황허강 황해
주는 유물이 발견되었다. 무늬가 그려진 채도가
유행하였다.
을 찾는 문제가 주로 출제되었다. 2020학년
3. 주로 새끼줄
양무늬가강새겨져
정답 1. ?? 2. ?? 쯔
3. ?? 도 대수능에서도 수능특강 자료를 연계하여
있는 ( ) 토기는 일본 동중국해 양
쯔 강
허무두 문화
동중국해
열도의 조몬 문화를 대표하
▲ 조몬 토기 베트남 지역의 신석기 문화에 대한 지문을
정답는 1.
토기이다.
?? 2. ?? 3. ?? ▲ 조몬 토기
풍응우옌 문화
표면에 새끼줄 무늬가 새겨 조몬 문화를 대표하는 토기 주고 해당 유물을 찾는 문제로 구성하였다.
4. 베트남 지역에서는 신석기 시 로 토기 표면에 주로 새끼줄
대 후기에 돌림판을 사용해
▲ 풍응우옌 토기 진 토기 등 다양한 형태의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풍응우옌 문화를 상징하는
조몬 토기가 제작되었다. EBS 연계 문제 중에서는 본문 내용이나
정교한 무늬를 새긴 ( ) 토기로, 돌림판을 사용해
▲ 다원커우 토기
토기가 제작되었다.
정교한 무늬를 새겨 넣은
것이 특징이다. 황허강 하류 지역의 다원커우 ▲ 돼지 그림 토기 자료플러스에서 제시된 사진, 지도, 자료를
문화에서는 초기에 홍도가 만
다원커우 문화와 룽산 문화 허무두 문화와 량주 문화
들어졌다. 중기에 들어가면서
양쯔강 하류 지역에서 출토
연계하여 출제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정답 1. 뗀석기 2. 허무두 회도, 흑도가 늘어났으며, 이
된 토기로 당시 돼지, 개 등을
가축으로 길렀음을 알 수 있다.
3. 조몬 4. 풍응우옌 후 룽산 문화로 이어졌다.
EBS 교재의 문제 풀이에만 집중할 것이 아
징 니라, 본문과 자료플러스까지 꼼꼼히 살펴
판을 10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Ⅰ. 국가의 형성

문양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자료플러스는 새로운


다. ▲ 홍도(다원커우) ▲ 흑도(룽산) 자료들이 제시된 경우가 많으므로 자료 설
▲ 허무두 토기 ▲ 량주 문화의 옥기
황허 강 하류에서는 홍도 등을 사용한
양쯔 강 하류에서는 흑도, 홍도 등을 제작한 허무두 명까지 꼭 이해하도록 한다.
다원커우 문화가 양사오 문화와 함께
문화가 발달하였고, 이후 옥기 제작을 특징으로 하는
룽산 문화로 발전하였다.
량주 문화가 발전하였다.
01
동아시아사

동아시아 선사 문화의 전개

일본 열도 1. 동아시아 세계의 과거와 현재


규슈, 혼슈, 시코쿠, 홋카이도
네 개의 큰 섬과 오키나와 등
(1) 동아시아의 범위와 국가
여러 개의 부속 섬으로 이루어 ① 범위 : 동서로는 일본 열도에서 티베트고원, 남북으로는 베트남에서 몽골고원에 이르는 지역
져 있다.
② 국가 : 한국, 중국, 일본, 몽골, 베트남 등
(2) 오늘날의 동아시아
티베트고원
① 상호 의존도 증가 : 경제 교류 활성화, 인적·문화적 교류 확대 → 동아시아 국가 간 협력 필요
평균 해발 고도 4,500m가 넘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고원 ② 상호 협력의 어려움 : 역사 인식을 둘러싼 갈등, 영토 분쟁, 일본의 식민 지배와 침략 전쟁에
지대로 중국의 서쪽 지역에 위 대한 사과 및 배상 문제 미해결 등
치하고 있다.
(3) 동아시아사 학습의 의의
필요성 동아시아 공동의 가치관 등을 확인 → 동아시아 세계가 당면한 현재의 과제 이해 및 해결 방안 모색
유목
유의점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시각으로 동아시아의 과거와 현재를 탐구하고 미래를 구상하는 자세 필요
가축에게 먹일 물과 풀을 찾아
계절에 따라 이동하며 생활하
는 형태이다. 2. 자연환경과 생업
(1) 지형과 기후
지형 서쪽에 티베트고원이 있으며, 동쪽에는 해발 고도 1,000m 이하의 구릉과 평원 지대 분포
주요 지역 티베트고원, 몽골고원, 중국 본토, 만주, 한반도, 일본 열도, 베트남 북부, 타이완 등
•온대 기후(베트남 북부, 중국 화중과 화남, 한반도 남부 및 일본 열도 대부분), 건조 기후(화북 일부,
몽골고원), 냉대 기후(한반도 북부, 만주, 홋카이도), 열대 기후(하이난섬, 베트남 중·남부) 등
기후
•계절풍의 영향으로 겨울에는 춥고 건조한 날씨, 여름에는 덥고 습한 날씨, 대륙 내부로 갈수록 기
온의 연교차가 큰 대륙성 기후가 나타남

(2) 지역과 생업
지역 기온과 강수량 주된 생업
중국 화남 지역, 일본 규슈 남부, 베트남 등 연평균 기온이 높고 연평균 강수량 벼농사(벼의 이기작)
한반도 중·남부, 중국 화중 지역, 일본 혼슈 등 풍부(600mm 이상) 벼농사
한반도 북부, 중국 화북 지역, 만주 남부, 일본 홋 벼농사 지역보다 기온이 낮고 연평
밭농사, 목축
카이도 등 균 강수량이 적음(400~600mm)
기온의 연교차가 큰 대륙성 기후, 연
만주 일부, 몽골고원, 티베트고원 등 유목
평균 강수량이 적음(400mm 이하)

(3) 밭농사와 벼농사


❶ 동아시아의 범위는 서쪽으로
( )에서 동쪽으로 일본 ① 밭농사 : 잡곡을 주로 재배, 토양 유실과 지력 감소가 심하여 생산력이 낮음
열도에 이른다. ② 벼농사 : 다양한 농기구 필요, 벼농사 기술을 가진 집단이 이동하면서 동아시아 전역으로 전파
❷ 동아시아에서 연평균 기온이
높고 연평균 강수량이 600mm
3. 농경 사회와 유목 사회
이상의 지역에서는 주로
( )농사가 실시되었다. (1) 농경과 농경민의 생활
❸ 연평균 강수량이 400mm 이하 ① 농경의 발전
인 몽골고원 등지에서는 생업
•밭농사 : 기원전 8000년~기원전 7500년경 황허강 유역에서 시작, 조·수수·기장·콩 등을 재배
으로 ( )이 실시되었다.
•벼농사 : 기원전 7000년~기원전 6000년경 창장강 유역에서 실시
|정답| ❶ 티베트고원 ❷ 벼 ❸ 유목
② 농경민의 생활 : 정착 생활, 수리 시설 축조, 개간과 간척 실시, 공동 노동을 위한 조직 발생

8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2) 유목과 유목민의 생활 게르

① 지역 : 몽골고원 등 동아시아 내륙의 초원 지대


② 생활 : 계절에 따라 생활 터전을 옮기는 유목 생활, 주로 이동식 가옥(게르)에서 거주, 대부분
의 생필품을 가축으로부터 충당함
③ 사회 : 부족 단위로 편성 → 부족장의 권한이 강함 초원 지대의 이동식 가옥으로
분해와 조립이 쉬워 이동에 편
④ 민족 : 흉노, 선비, 돌궐, 위구르, 거란, 몽골 등
리하였다.

4. 선사 문화의 전개
(1) 인류의 등장과 구석기 시대의 생활 훙산 문화의 용 모양 옥기
① 대표적 구석기인 : 베이징인, 산딩둥인(산정동인), 덕천인, 오키나와의 미나토가와인 등
② 생활 : 채집·수렵·어로 활동, 뗀석기 사용, 이동 생활(동굴이나 막집 거주), 불·언어 사용
(2) 신석기 시대의 사회 변화와 동아시아의 신석기 문화
① 농경(조, 피, 수수, 밀, 보리 등)과 목축의 시작
② 간석기·토기·뼈바늘 등 사용, 정착 생활(움집 거주)
③ 씨족장의 권한 강화, 자연현상이나 조상 등을 신으로 모시고 공동 제사 의식 거행
훙산 문화 지역에서는 용 모양
④ 중원 지역과 만주 지역의 신석기 문화 옥기 외에도 봉황, 멧돼지 등을
형상화한 옥기가 다량으로 출
중류 양사오 문화 채도 등 토되었다.
황허강 룽산 문화로 발전(흑도 등)
하류 다원커우 문화 홍도, 백도, 흑도 등
창장강 하류 허무두 문화 벼농사 실시, 흑도(돼지 그림 토기 등)·홍도 등 량주 문화로 발전(옥기 등)
랴오허강 훙산 문화 채도, 여신의 얼굴상, 용 모양 옥기 등

⑤ 한반도의 신석기 문화
•토기 제작 : 이른 민무늬 토기, 덧무늬 토기, 빗살무늬 토기(대표적) 등
•생활 모습 : 돌보습·돌괭이 사용, 조·피·수수 등 재배, 돼지 등 가축 사육
⑥ 일본 열도의 조몬 문화 : 조몬 토기 및 토우 제작, 농경보다는 수렵·채집·어로로 생계 유지

자료 플러스 동아시아 각 지역의 신석기 문화

▲ 빗살무늬 토기
▲ 훙산 토기 랴오

강 초기에는 덧무늬 토기 등이
랴오허강 유역에서 발달
훙산 문화 만들어졌으며, 이후 신석기
하였고, 기하학적 무늬가
시대를 대표하는 빗살무늬
있는 토기가 만들어졌다. 토기가 만들어졌다.
▲ 양사오 토기 동해
한반도 조몬 문화
황허강 중류 지역에서 발 다원커우 문화 신석기 문화
달하였고, 무늬가 그려진 양사오 문화 황허강 황해
채도가 만들어졌다.
❶ 초원 지대의 유목민은 주로 이
동식 가옥인 ( )에서 거
허무두 문화

장 강
주하였다.
동중국해
❷ 신석기인들은 정착 생활을 하
▲ 조몬 토기 면서 주로 ( )에 거주하
표면에 새끼줄 무늬가
새겨진 토기 등이 제작
였다.
되었다. ❸ 신석기 시대에 일본 열도에서
▲ 다원커우 토기 ▲ 돼지 그림 토기
는( ) 토기가 제작되었다.
황허강 하류 지역에서 발달 창장강 하류 지역에서
하였다. 후기에 양사오 문화와 발달하였다. 흑도, 홍도
함께 룽산 문화로 발전하였다. 등이 제작되었다. |정답| ❶ 게르 ❷ 움집 ❸ 조몬

01. 동아시아 선사 문화의 전개 9


자료
탐구
자료 1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업

기출 자료 분석
ㅣ2015학년도 대수능 6월 모의평가ㅣ

기원전 60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볍씨와 벼의 모습이 새겨진 토기 등이 발견되어, 벼농


사가 가장 먼저 시작된 곳으로 알려져 있다. 고온 다습하여 벼농사에 적합한 기후 조건을
갖고 있는데, 11세기 이후에는 점성도(占城稻)라고 불리는 조생종 벼가 새로 보급되면서 생
산력이 더욱 발전하였다.

자료 분석 제시된 자료에서 기원전 6000년경으로 추정되는 볍씨와 벼의 모습이 새겨진 토기 등이 발견되었다는 점,


고온 다습하여 벼농사에 적합한 기후 조건을 갖고 있다는 점 등을 통해 창장강 유역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자료 공략 동아시아 자연환경과 생업의 특징을 자료로 제시하고 지도에서 위치를 파악하는 문제가 주로 출제된다. 동
아시아 자연환경과 생업의 특징을 지형과 기후를 고려하여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유형 연습

1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15-0001 ]

연평균 강수량이 400~600mm인 (가)


지역의 특징에 대하여 발표해 볼까요?

동해

황해

㈎ - “신상지리자료”, 2019 -

① 벼의 이기작이 가능해요.
② 동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고원 지대예요.
③ 주로 밭농사나 목축 등을 행하고 있어요.
④ 대부분의 생필품을 가축으로부터 충당해요.
⑤ 신석기 시대에는 허무두 문화가 발달하였어요.

10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자료 2 동아시아의 신석기 문화 정답과 해설 1쪽

기출 자료 분석
ㅣ2019학년도 대수능ㅣ

큐레이터가 소개하는 동아시아의 선사 유물


큐레이터가 소개하는 동아시아의 선사 유물
황허강 유역 한반도 일본 열도 북부 베트남
황허강 유역 한반도 일본 열도 북부 베트남

•제작 시기 : 신석기 시대
•용도 : 곡물 저장 및 조리
(가) •특징 : 한반도의 대표적인 유물로 표면에
비스듬한 줄이 일정한 형태와 간격으로
나타나 있음

자료 분석 제시된 자료에서 신석기 시대에 제작되었다는 점, 용도가 곡물 저장 및 조리라는 점, 한반도의 대표적인 유


물로 표면에 비스듬한 줄이 나타나 있다는 점 등을 통해 (가) 유물은 빗살무늬 토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신석기 시
대 한반도의 대표적인 토기는 빗살무늬 토기이다.
자료 공략 신석기 시대를 묻는 문제는 유물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고 해당 유물을 찾거나, 그 유물이 출토된 지역을 찾
는 형식으로 자주 출제된다. 동아시아 각 지역을 대표하는 신석기 유물의 특징과 출토 지역을 파악해야 한다.
랴오 ▲ 빗살무늬 토기
▲ 훙산 토기 허

랴오허강 유역에서 발달한 훙산 문화 한반도 신석기 문화의
훙산 문화는 기하학적 무늬 대표적인 토기이다.
가 있는 토기가 특징이다. 동해 랴오
▲ 훙산한반도토기 허 ▲ 빗살무늬 토기
유형 연습◈… 동아시아의 문화 …◈
조몬 문화 강
다원커우 문화 특별전
신석기 문화 훙산 문화 한반도 신석기 문화의
양사오 문화 황 허 강 랴오허강 유역에서 발달한
2
황해
(가)에 해당하는 유물로 훙산적절한
문화는것은?기하학적 무늬 대표적인 토기이다.
[20015-0002]

▲ 양사오 토기 가 있는 토기가 특징이다. 동해


① ②
◈… 동아시아의 문화 …◈ 한반도 조몬 문화
황허강 중류 지역에서 발 다원커우 문화 신석기 문화
허무두 문화특별전 황
달한 양사오 문화에서는양 양사오 문화 허강 황해
쯔 강 동중국해
무늬가 그려진 채도가
유행하였다.
동아시아에서 농경과 목축이 시작된 ◯◯◯ 시대의 문화를 다양 ▲ 조몬 토기 랴오
풍응우옌 문화 한 유물로 살펴볼 수 있는 특별전을 개최합니다. 허무두 문화 ③ ④
▲ 훙산 토기
양 조몬 문화를 대표하는 토기 훙산 문화
■기간 : 2020년 3월 △일∼3월 △△일쯔 강 랴오허강 유역에서 발달한
동중국해로 토기 표면에 주로 새끼줄
■장소 :   박물관 특별 전시실 훙산 문화는 기하학적 무늬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양사오 토기 가 있는 토기가 특징이다.
▲ 조몬 토기
제  1  실 : 랴오허강 유역 - 훙산 토기 등
▲ 다원커우 토기 풍응우옌 문화 황허강 중류 지역에서 발
제2실 : 황허강 중류 지역 - 양사오 토기 등 조몬 문화를 대표하는 다원커우토기문화
황허강 하류 지역의 다원커우 달한 양사오 문화에서는 ⑤ 양사오 문화 황 허 강 황
제3실 : 창장강 하류 지역 - ▲
(가) 돼지 그림 토기 로 토기 표면에 주로 새끼줄
▲ 풍응우옌 토기 문화에서는 초기에 홍도가 만 무늬가 그려진 채도가
제4실 : 한반도 - 빗살무늬 토기 양쯔강등 하류 지역에서 출토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풍응우옌 문화를 상징하는들어졌다. 중기에 들어가면서 유행하였다.
된 토기로 당시 돼지, 개 등을
토기로, 돌림판을 사용해회도, 흑도가 늘어났으며, 이
가축으로▲길렀음을
다원커우 알토기
수 있다.
정교한 무늬를 새겨 넣은후 룽산 문화로 이어졌다. 허무두 문화
것이 특징이다. 황허강 하류 지역의 다원커우 ▲ 돼지 그림 토기 양
쯔 강 동중국
문화에서는 초기에 홍도가 만
양쯔강 하류 지역에서 출토
들어졌다. 중기에 들어가면서
된 토기로 당시 돼지, 개 등을
01. 동아시아 선사 문화의 전개 11
회도, 흑도가 늘어났으며, 이
가축으로 길렀음을 알 수 있다.
풍응우옌 문화
후 룽산 문화로 이어졌다.
수 능 기본 문제 정답과 해설 1쪽

[20015-0003 ] [20015-0005]

01 (가) 사람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03 다음 인류가 등장한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사진은 중국 베이징의 산딩둥[山頂洞]에서
▣ 학습 목표 : 동아시아 지역에서 (가) 와/과 유
발견된 인류의 화석을 복원한 것이다. 이 인
목민의 생활 모습을 비교할 수 있다.
류는 약 1만 8천 년 전에 살았을 것으로 추
▣ 이번 차시 학습 주제 : 전근대 시기 (가) 의 정된다.
생활
▣ 학습 주요 내용
1. 계절의 순환에 따른 생활 : 계절에 맞추어 씨를 뿌
①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였다.
리고 곡물이 열릴 때까지 기다림
②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거주하였다.
2. 사회의 발전 : 주민을 효율적으로 동원하기 위한
조직 발달 → 권력이 소수에게 집중 → 중앙 집권 ③ 돌보습, 돌괭이를 도구로 사용하였다.
적인 권력 출현 ④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토기를 만들었다.
⑤ 씨족의 조상을 신으로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

① 정착 생활을 하였다.
② 다양한 농기구를 개발하였다.
③ 공동 노동으로 저수지를 축조하였다. [20015-0006]

④ 흉노, 선비, 몽골 등의 민족이 해당되었다. 04 (가)에 들어갈 유물로 적절한 것은?


⑤ 대체로 연평균 강수량이 600mm 이상인 지역에서 벼를 동아시아 선사 시대 토기 박물관
재배하였다. 랴오
▲ 훙산 토기 랴오허강 유역 황허강 중류 황허강
동아시아 선사허시대 하류 창장강 하류 한반도 일본 열도 ▲ 빗살무늬 토기
강 토기 박물관
랴오허강 유역에서 발달한 훙산 문화 한반도 신석기 문화의
훙산 문화는 기하학적랴오허강
무늬 유역 황허강 중류 황허강 하류 창장강 하류 한반도 일본 열도 대표적인 토기이다.
▲ 양사오 토기 가 있는 토기가 특징이다. 동해
•제작 시기
한반도 : 신석기 시대
황허강 중류 지역에서 발 조몬 문화
다원커우 문화
(가) •출토신석기
지역 문화
: 랴오허강 유역
달한 양사오 문화에서는 양사오 문화 황허강 황해
무늬가 그려진 채도가 •용도 : 제사용으로 추정
유행하였다.
[20015-0004 ]
허무두 문화
02 밑줄 친 ‘이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②

쯔 강 동중국해

이들은 물과 풀을 따라 옮겨 랴 오 다닌다. 글이나 책이 없었으 ▲ 빗살무늬 토기


▲ 훙산 토기 허
강 ▲조
며, 말로써 약속을 하였다.훙산 문화이들은 한가할 때에는 가축을한반도 신석기 문화의
랴오허강 유역에서 발달한 풍응우옌 문화
따라다니면서 랴오 조몬 문화를
▲ 빗살
훙산 문화는 기하학적 무늬 새나 짐승을 사냥하는 것을 생업으로 삼는대표적인 토기이다. ▲ 훙산 토기 허

③ ④ 로 토기 표면
가 있는 토기가다. …… 이들은
특징이다. 가축의 토기
▲ 풍응우옌 살코기를 먹고 그 동해
가죽으로 옷을 랴오허강 유역에서 발달한 훙산 문화 한반도 신
무늬가 있는
만들어 입었다.
풍응우옌 문화를 상징하는한반도 훙산 문화는 기하학적 무늬 대표적인
조몬 문화
다원커우 문화 신석기 문화
양사오 문화 황 허 강토기로, 돌림판을 사용해
황해▲ 양사오 토기 가 있는 토기가 특징이다. 동해
▲ 다원커우 토기 한반도
① 주로 이동식 정교한가옥에서
무늬를 새겨거주하였다.
넣은
황허강 중류 지역에서 발 조몬 문화
황허강 하류 지역의황 다원커우 다원커우 문화
▲ 돼지신석기 문화
그림 토기
② 계절에것이 따라특징이다.
생활 터전을달한옮겨양사오 다녔다.
문화에서는 ⑤양사오
문화에서는
문화 허 강
초기에 홍도가 만 황해
③ 부족 단위로 편성되어 무늬가
부족장의 그려진
권한이채도가
강하였다. 양쯔강 하류 지역에서 출토
허무두 문화 들어졌다. 중기에 들어가면서
유행하였다. 된 토기로 당시 돼지, 개 등을
④양수리쯔 강시설과 제방 축조를 위한 조직을 발전시켰다. 회도, 흑도가 늘어났으며, 이
동중국해 가축으로 길렀음을 알 수 있다.
후 룽산 문화로 이어졌다. 허무두 문화
⑤ 가축으로부터 의식주에 필요한 대부분의 물품을 얻었다.


▲ 조몬 토기 강 동중국해
풍응우옌 문화
조몬 문화를 대표하는 토기
12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로 토기 표면에 주로 새끼줄
풍응우옌
무늬가문화
있는 것이 특징이다.

▲ 풍응우옌 토기
수능 실전 문제
20015-0007
1 밑줄 친 ‘이 지역’을 지도에서 옳게 고른 것은?

이 지역에는 평균 해발 고도 4,500m가 넘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높고 큰 고원이 있다. 또한 이


지역에는 중국 한나라 이전부터 중국 내륙 지역과 인도를 연결해 준 고대의 무역로가 존재하
였는데, 차와 말을 교역한 데서 ‘차마고도’라고 불린다.



동해

황해

㈏ 태평양

동중국해

남중국해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20015-0008
2 밑줄 친 ‘이들’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주거 문화로 보는 동아시아 - ◯◯◯편

사진은 이들의 이동식 가


옥이다. 나무로 벽과 지붕
의 뼈대를 세우고 그 위에
양털을 압축하여 가공한
흰색 천을 덮었다. 여름에
는 천막 아래쪽을 걷어 올
려 통풍과 온도 조절을 할
수 있고, 겨울에는 원형 구조로 바람의 저항을 적게 받는다는 장점
이 있다.

① 부족장의 역할을 알아본다.


② 양, 염소, 낙타 등의 용도를 찾아본다.
③ 개간과 간척을 실시한 목적을 조사한다.
④ 계절에 따라 옮겨 다닌 이유를 파악한다.
⑤ 기마 능력 향상을 위해 제작한 도구를 살펴본다.

13
01. 동아시아 선사 문화의 전개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2쪽

20015-0009
3 (가) 시대 사람들의 생활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학회 춘계 학술 발표 대회
일자 : 2020년 3월  일 장소 : △△대학교 강당

동아시아의 (가) 시대에 대한 연구는 베이징인 화석


의 발견으로 본격화되었습니다. (가) 시대의 뗀석기
는 사람이 의도적으로 떼어낸 흔적이 관찰되며, 자연적으
로 깨진 돌이나 다른 시기의 석기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
줍니다. 한반도의 (가) 시대를 대표하는 석기로는
랴오 주먹도끼, 찍개, 긁개 등을 들▲수빗살무늬
있습니다. 토기
▲ 훙산 토기 허

랴오허강 유역에서 발달한 훙산 문화 한반도 신석기 문화의
훙산 문화는 기하학적 무늬 대표적인 토기이다.
가 있는 토기가 특징이다.① 돌보습을 제작하였다. 동해
한반도
② 조, 피, 수수 등을 재배하였다. 조몬 문화
다원커우 문화 신석기 문화
양사오 문화 황 허 강 ③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황해
거주하였다.
④ 빗살무늬 토기에 음식물을 저장하였다.
⑤ 씨족의 조상을 신으로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

허무두 문화

쯔 강 동중국해

풍응우옌 문화
20015-0010
4 (가) 지역을 지도에서 옳게 고른 것은? ▲ 조몬 토기
조몬 문화를 대표하는 토기
(가) 로 토기 표면에
지역에서 주로토기
출토된 새끼줄
의 표면에무늬가 있는 것이
있는 무늬를 특징이다.
통해 신석기
시대부터 벼농사가 행해지고, 돼지
등이 사육되었음을 알 수 있다.
▲ 다원커우 토기
황허강 하류 지역의 ▲ 벼다원커우
이삭 무늬 토기 ▲ 돼지 그림 토기
▲ 돼지 그림 토기
문화에서는 초기에 홍도가 만
양쯔강 하류 지역에서 출토
들어졌다. 중기에 들어가면서
된 토기로 당시 돼지, 개 등을
회도, 흑도가 늘어났으며, 이
가축으로 길렀음을 알 수 있다.
후 룽산 문화로 이어졌다. A
동해
D E
B 황해

C
동중국해

태평양
남중국해

①A ②B ③C ④D ⑤E

14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02
동아시아사

국가의 성립과 발전

1. 동아시아의 청동기 문화 얼리터우 문화


황허강 유역의 룽산 문화권에
(1) 청동기 시대 사회의 발전 서 발전한 청동기 문화이다. 얼
① 사회 변화 : 신석기 시대 말부터 농경 기술과 도구의 발달 → 농업 생산력 증가, 인구 증가 → 리터우에서 확인된 궁전 유적은
문헌 기록에 나오는 하 왕조와
잉여 생산물의 축적, 사유 재산 출현 → 계급 분화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② 청동기의 사용 : 주로 지배층의 무기와 제사용 도구 제작(지배층의 권위를 보여 줌)
③ 부족 통합 : 청동기를 사용한 집단이 전쟁을 통해서 이웃 부족 통합

(2) 동아시아 각 지역의 청동기 문화 반달 돌칼

•얼리터우 문화 : 룽산 문화권에서 발전, 청동 술잔 등 제작 → 궁전 터와 성벽을 갖춘 도성 유적


중국
을 통해 초기 국가 단계로 발전한 것으로 추정
황허강 유역
•상 왕조 시기에 청동제 도구·무기·제사용 도구 등 제작
•유라시아 초원 및 삼림 지대에서 발전
몽골 지역
•청동제 무기, 마구, 사슴돌, 판석묘, 돌무지 제사 유적 등을 남김
•기원전 2000년경~기원전 1500년경 청동기 등장 → 비파형 동검, 화살촉, 청동 거울 등 제작 청동기 시대에 사용된 석기로
만주·한반도 •반달 돌칼 등 돌로 만든 도구 제작 곡식의 이삭을 따는 용도로 사
•고인돌 : 한반도를 중심으로 일본의 규슈나 만주의 랴오닝 등지에 분포 용되었다.
•기원전 3세기경 한반도로부터 벼농사 기술을 비롯하여 청동기, 철기 수용(청동기 문화와 철기
일본 열도 문화 공존) → 야요이 문화 시작
•생활 : 종 모양 청동기(동탁) 등 청동 제기 및 장신구 제작, 철제 농기구·무기 제작

자료 플러스 동아시아 각 지역의 청동기 문화

얼리터우의 청동 술잔과 상의 네발
중국 황허강
달린 솥이다. 주로 제사 의식에 사용
유역
되었다.

고리가 달린 북방식 단검과 판석묘


몽골 지역 이다. 판석묘는 시신을 안치하고, 주
변에 여러 장의 판석을 세운 것이다.

청동제 무기인 비파형 동검과 지배


❶ 얼리터우 궁전 유적은 문헌 기
층의 무덤인 고인돌이다. 만주와 한
록에 나오는 ( ) 왕조와
만주·한반도 반도에서 주로 출토되며, 고조선 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련 문화 범위를 알려 주는 문화유산
❷ 한반도 등지에서 발견되는 석
이다.
기인 ( )은 청동기 시대
에 곡식의 이삭을 따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야요이 문화의 유물인 종 모양 청동 ❸ 종 모양의 청동기인 ( )


일본 열도 은 야요이 시대에 사용된 제사
기(동탁)로 제사용 도구이다.
용 도구이다.

|정답| ❶ 하 ❷ 반달 돌칼 ❸ 동탁

02. 국가의 성립과 발전 15


동아시아사

02 국가의 성립과 발전

갑골문 2. 국가의 출현
(1) 중원 지역의 국가 형성
① 하(夏) : 문헌 기록상의 왕조
② 상(商) : 기원전 1600년경 성립, 신정 정치, 갑골문, 은허(수도 유적)
③ 주(周)
•성립 : 기원전 11세기경 상을 멸망시키고 호경을 수도로 삼음
•봉건제 실시 : 왕이 수도와 직할지를 통치, 제후가 지방을 다스림
거북의 배딱지나 동물의 뼈 등
•정치사상 : 천명사상과 덕치를 강조
을 이용하여 전쟁과 농사 및 제 •쇠퇴 : 제후가 왕의 통제에서 벗어나며 왕실 권위 약화
사 등에 대해 점을 친 뒤, 그 내
용과 결과를 새겨 넣은 것이다. (2) 춘추·전국 시대의 전개
상의 유적에서 대량으로 출토 ① 성립
되었다.
•춘추 시대 : 기원전 8세기 이민족의 침입으로 주가 동쪽으로 천도[호경 → 낙읍(뤄양)] → 주
왕실의 통제력 상실 → 세력이 강한 제후(춘추 5패)가 정국 주도
봉건제 •전국 시대 : 봉건 질서 붕괴 → 전국 7웅 대두(하극상, 약육강식의 시대) → 상앙 등 법가 사상
왕이 제후에게 토지와 백성을 가를 등용하여 부국강병책을 추진한 진(秦)에 의해 통일
하사하고 그 대신 제후에게 군
② 특징
역과 공납 의무를 부과한 제도
이다. 주는 수도와 직할지를 제 •군현제, 관료제 등의 통치 방식 도입
외한 지역에 왕족과 공신 등을 정치
•철제 무기 보급 → 군사력 강화, 전쟁 규모 확대
제후로 보내어 대대로 다스리
•우경과 철제 농기구 보급 → 농업 생산력 발전, 토지 사유화 진전
게 하였다. 경제
•상공업 발달(대상인 출현) → 화폐 유통, 도시 발달
사회 능력을 중시하여 인재 등용 → 제자백가 등장
군현제
지방을 군, 현으로 나누고 중앙 자료 플러스 춘추 5패와 전국 7웅
에서 각각 군수와 현령 등의 관
리를 파견하여 다스리게 한 제 춘추 시대에는 200개가 넘는 제후국이 있었는데, 세력이
도이다. 강한 제후가 ‘주 왕실을 받들고 오랑캐를 물리친다(존왕


양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다른 여러 제후국과 맹약을 맺
위 진(晉) 제 황해 으면서 질서를 유지하였다. 세력이 강한 제후 중에 춘추
호경 낙읍(뤄양)
한 5패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진(秦)
초 오 기원전 5세기에는 봉건 질서가 무너지면서 전국 시대가 시
월 작되었다. 전국 시대에는 제후들이 스스로 왕을 칭하면서
춘추 시대의 세력 범위 주변의 소국을 병합하는 등 약육강식의 치열한 경쟁을 벌
❶ ( ) 왕조는 점을 친 후 그 전국 시대의 세력 범위
춘추 5패
이며 부국강병을 위한 개혁을 추진하였다. 제후국들이 점
내용과 결과를 기록한 갑골문
전국 7웅 차 7대 강국을 중심으로 통합되어 전국 7웅을 이루었다.
을 남겼다.
❷ 주 왕조는 제후에게 토지와 백
성을 하사하고 그 대신 군역과
공납 의무를 부과하는 ( )
를 실시하였다. 3. 중원의 통일과 여러 나라의 성립
❸ 진의 ( )는 이사 등을 등 (1) 진(秦)의 전국 통일(기원전 221)
용하여 사상을 통제하는 분서
① 시황제 : 법가 사상을 바탕으로 부국강병을 이루어 전국 통일
갱유를 단행하였다.
② 중앙 집권 체제 강화 : 황제 칭호 최초 사용, 군현제 실시, 3공 9경의 관료제 시행, 도량형·화
|정답| ❶ 상 ❷ 봉건제 ❸ 시황제
폐·문자 통일, 도로망 정비, 사상 통제(분서갱유)

16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③ 쇠퇴 : 대규모 토목 공사와 가혹한 법치에 대한 불만으로 시황제 사후 농민 봉기 발생 군국제
황제가 수도를 중심으로 직할
자료 플러스 진시황제의 통일 정책 지에는 군현을 두고 지방관을
파견하여 직접 다스리고, 그 외
<문자 통일> 의 지역은 황족이나 공신들을
즉위하신 지 28년, 황제께서는 새로운 시대를 여셨다. 법도가 바르게
제후로 봉하여 다스리게 한 제
정비되고 만물의 질서가 바로잡히니, 인간의 관계가 명백해지고 부자
도이다.
(父子)가 조화를 이루었다. …… 온 천하가 한마음 한뜻, 기기의 규격
이 통일되고 문자도 통일되었다. …… 법령을 확정하여 의심을 제거하
니, 모두가 금하는 바를 알게 되었다.  - “사기” -
전매제
진(秦)은 법가 사상가를 등용하고 유목 민족의 기마 전술을 받아들 국가가 특정 상품의 생산 또는
<화폐 통일>
판매를 독점하는 제도이다. 한
이는 등 부국강병을 이루기 위한 개혁을 추진하면서 여러 나라를
무제는 대외 정복 활동 등으로
정복하여 기원전 221년에 전국을 통일하였다. 진의 왕 정은 자신 발생한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을 ‘시황제’라고 칭하였고, 도량형·화폐·문자를 통일하고 분서갱 위해 소금, 철 등에 대한 전매
유를 단행하여 사상을 통제하였다. 또한 도로망을 정비하고 군현 제를 실시하였다.

제를 확대하여 중앙 집권 체제를 정비하였다.


흉노의 통치 조직

선우
(2) 한(漢)의 발전
우골도후 좌골도후
① 한의 전국 재통일(기원전 202) : 진 멸망 이후 유방(한)이 항우(초)와의 전쟁에서 승리
우방 좌방
② 대내 정책
•고조(유방) : 법가 통치 완화, 군국제 실시(군현제와 봉건제의 절충) 일축왕 우현왕 우록리왕 좌록리왕 좌현왕

•무제 : 군현 확대, 전매제 실시(소금·철 등), 상공업 통제, 동중서의 건의를 수용하여 유교를 -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

흉노의 영역은 크게 중앙과 좌


통치 이념으로 삼고 유교적 소양을 갖춘 인물을 관리로 선발
방, 우방으로 구분되었다. 중앙
③ 왕망의 등장 : 신(新) 건국 → 토지 국유화 등 급진적 개혁 실시 → 호족들의 반발로 실패 은 선우가 직접 통치하였고, 좌
④ 후한의 성립과 멸망(25~220) 방은 좌현왕을 비롯한 좌방장
들이, 우방은 우현왕을 비롯한
•성립 : 신이 멸망한 후, 호족의 후원을 받은 광무제(유수)가 후한을 건립 우방장들이 배치되었다. 좌골
•멸망 : 환관·외척의 전횡 등으로 중앙의 통치력 약화, 호족의 대토지 소유로 농민 반란 빈발 도후와 우골도후는 선우의 정
치를 보좌한 주요 대신들로서
→ 유력한 호족들의 독립 세력화 → 위·촉·오로 분열(삼국 시대)
중요한 일부 가문에서 주로 맡
았다.
(3) 흉노의 성장
① 성장 : 기원전 3세기 후반에 유라시아 대륙 북부의 유목 지대에서 강력한 세력으로 성장
② 발전 : 묵특 선우 때 만리장성 이북의 초원 지대 통합(동호 정복, 월지를 중앙아시아 방면으로
몰아냄), 한과의 전쟁에서 고조를 굴복시킴 → 한 무제에 의해 고비 사막 이북으로 쫓겨 갈 때
까지 60여 년간 한에 대해 우위 유지
❶ 한 고조는 군현제와 봉건제를
③ 정치 : 여러 부족을 통합한 연맹체 국가 형성 → 선우 아래 좌현왕과 우현왕 등을 둠 절충한 ( )를 실시하였다.
❷ ( )는 동중서의 건의를
(4)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수용하여 유교를 통치 이념으
로 받아들였다.
① 성립 : 청동기 문화를 기반으로 만주와 한반도 지역에서 성립한 최초의 국가 ❸ 고조선은 ( )의 집권 이
② 발전 : 상·경·대부·장군 등의 관직 설치, 사회의 기본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8조의 법 제정 후 철기 문화를 본격적으로 수
용하였다.
③ 대립 : 전국 7웅 중 하나였던 연과 대립 → 연의 침략을 받기도 함
④ 위만의 집권 : 위만의 망명 → 준왕을 몰아내고 집권(기원전 194) → 철기 문화의 본격적 수용, |정답| ❶ 군국제 ❷ 한 무제
❸ 위만
한과 한반도 남부 지역 간의 중계 무역으로 번영

02. 국가의 성립과 발전 17


동아시아사

02 국가의 성립과 발전

야요이 문화 (5) 만주와 한반도의 여러 나라


일본 열도에서 기원전 3세기경
~기원후 3세기경에 농경에 기 부여 만주의 쑹화강 일대에서 성립, 왕은 중앙을 통치하고 대가들이 사출도를 나누어 다스렸음
반을 둔 새로운 문화가 발전하 고구려 부여의 일부 세력이 남하하여 압록강 유역에서 건국
였는데, 이를 야요이 문화라고 삼한 소국들이 연맹체를 형성하여 마한·진한·변한 성립, 농경 발달, 제정 분리 사회
한다.
(6) 일본 열도에서의 국가 성립
① 기원 전후 : 야요이 문화를 기반으로 여러 정치체의 등장
장건
한 무제가 흉노를 견제하기 위 ② 3세기경 : 30여 개의 소국이 존재, 히미코 여왕의 야마타이국을 중심으로 연맹체 형성
해 대월지에 파견한 인물이다.
장건은 흉노의 포로로 잡혀 억 4. 동아시아 국가 간의 교류와 전쟁
류되었다가 탈출하여 10여 년
(1) 흉노와 중원 왕조
만에 돌아오는 등 온갖 고초를
겪었으나 대월지와 동맹을 맺 ① 흉노의 정책 : 유목민인 흉노는 농경 지역에 대한 교역과 약탈을 병행
는 데는 실패하였다. 하지만 그 ② 진시황제 : 흉노를 북방 초원 지대로 몰아내고 오르도스 지방 차지 → 흉노의 재침입을 막기
는 서역에 대한 많은 정보를 가
지고 귀국하여 한과 서역의 교 위해 만리장성 축조
류에 기여하였다. ③ 한 고조 : 평성의 백등산 전투에서 묵특 선우가 이끄는 흉노의 군대에 포위되었다가 가까스로
탈출(평성의 치욕, 기원전 200) → 흉노에 공물을 바치고 공주를 시집보내 평화 유지
④ 한 무제 : 흉노를 견제하기 위해 장건을 대월지에 파견, 흉노를 고비 사막 이북으로 쫓아냄(흉
노 정벌 이후 비단길 장악) 흉노
고조선
(2) 중원 왕조와 베트남·한반도·일본 열도의 국가 •기원전 133년부터 전쟁
•북으로 밀어냄 •기원전 108년 멸망
•4군 설치
① 한 무제의 정복 전쟁
•남비엣(남월) 정복, 9군 설치 서역

•고조선이 한과 한반도 남부 간의 중계 무역으로 번성 → 기원전 139년 장건 파견

고조선과 흉노의 연합을 막기 위해 고조선 정복, 4군 설치


② 위와 야마타이국 : 3세기경 야마타이국의 히미코 여왕이 남비엣
•기원전 111년 멸망
위에 사신을 보내 조공 → 히미코 여왕은 ‘친위왜왕’이 •9군 설치

라는 칭호를 받음 ▲ 한 무제의 대외 정책

자료 플러스 흉노와 진·한의 관계

부여
기원전 3세기에 흉노가 성장하여 초원
흉노
지대의 패자가 되자, 진의 시황제는 이
동해 들을 오르도스 지역에서 몰아내고 재
❶ 3세기경 일본 열도에는 30여
황해 왜
침입을 막기 위하여 만리장성을 축조
개의 소국이 존재하였는데, 그
한 하였다. 흉노는 묵특 선우 때 다시 세
중에서 히미코 여왕의 ( )
이 가장 강성하였다. 력을 회복하여 동호를 복속시키고 월
❷ ( )는 평성 백등산 전투 한의 영역(무제 즉위기) 지를 중앙아시아 방면으로 내쫓는 등
에서 흉노의 군대에 포위되었 한의 최대 영역
흉노의 영역(묵특 선우 시기) 강성하였다. 한 고조는 흉노의 침입에
다가 가까스로 탈출하였다. 오르도스
맞서 직접 군대를 이끌고 원정을 떠났
❸ 한 무제는 흉노를 견제하기 위
하여 ( )을 대월지에 파 지만 대패하는 치욕을 겪었다(평성의 치욕). 그 후 한은 흉노와 화친을 맺고 공주와 공물을 보내 평
견하였다. 화를 유지하였다. 하지만 한 무제는 기마병을 육성하고, 흉노를 견제하기 위하여 장건을 대월지에
|정답| ❶ 야마타이국 ❷ 한 고조
파견하는 등 흉노와의 전쟁을 준비하다가 기원전 2세기 후반 흉노에 대한 전면전을 시작하였다.
❸ 장건 결국 흉노는 국력이 약해져 서역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하고 고비 사막 이북으로 후퇴하였다.

18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자료
탐구
자료 1 봉건제와 군현제 정답과 해설 3쪽

기출 자료 분석
ㅣ2017학년도 대수능ㅣ
(가) (나)

제후 현 현

제후 천자 제후 현 군 황제 군 현


제후 현 현

천자에게 분봉을 받은 제후는 공납 황제의 명령에 따라 군과 현에 파


등의 의무를 가지며 자신의 봉토를 견된 관리가 행정을 관할하였다.
통치하였다.

자료 분석 제시된 자료에서 제후는 천자에게 분봉을 받았다는 점, 제후가 공납의 의무를 가지며 자신의 봉토를 통치
하였다는 점 등을 통해 (가)는 주의 봉건제임을 알 수 있다. 황제의 명령에 따라 군과 현에 관리가 파견된다는 점, 관
리가 군현의 행정을 관할한다는 점 등을 통해 (나)는 진 등에서 실시한 군현제임을 알 수 있다.
자료 공략 주의 봉건제와 진, 한 등에서 실시한 군현제는 자주 출제된다. 봉건제, 군현제, 군국제의 차이점을 비교하
며 이해하도록 한다.

유형 연습

1 다음 제도를 처음 실시한 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011]

① 남비엣을 멸망시켰다.
② 친위왜왕의 칭호를 받았다.
황제 분봉
③ 준왕을 몰아내고 집권하였다.
관리 ④ 도량형, 화폐, 문자를 통일하였다.
임명 제후
군 ⑤ 평성의 백등산 전투에서 흉노에 포위되었다.
분봉

현 현
제후

황제가 수도를 중심으로 직할지에는


군현을 두고 지방관을 파견하여 직접
다스리고, 그 외의 지역은 황족이나
공신들을 제후로 봉하여 다스리게 하
였다.

02. 국가의 성립과 발전 19


자료
탐구
자료 2 한 무제의 대외 정책 정답과 해설 3쪽

기출 자료 분석
ㅣ2019학년도 대수능ㅣ

(가) 의 군대가 고조선으로 침입하니 우거왕은 군사를 보내 험준한 곳에서 대항하


였다. 고조선은 1년여간 저항하였으나 결국 왕검성이 함락되었다. (가) 은/는 낙
랑, 진번, 임둔, 현도의 4군을 설치하였다.

자료 분석 제시된 자료에서 고조선을 침입하여 왕검성을 함락한 후 4군을 설치하였다는 점 등을 통해 (가) 국가가 한
임을 알 수 있다. 중계 무역으로 성장한 고조선이 흉노와 연합할 가능성이 있었기에, 한은 고조선을 침략하였다.
자료 공략 한 무제 때 동아시아 정세를 묻는 문항이 자주 출제된다. 무제 때 한과 흉노, 남비엣, 고조선의 관계를 이해
하고 있어야 한다.

유형 연습

2 (가) 인물을 파견한 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012]

흉노
노구수

투루판
대월지
동해

황해
룽시
장안

한의 최대 영역
㈎ 의 이동로

① 고조선을 정복하였다.
② 항우와 싸워 승리하였다.
③ 신이 멸망한 후 한을 다시 세웠다.
④ 백등산 전투에서 흉노의 군대에 포위되었다.
⑤ 전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라고 칭하였다.

20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수 능 기본 문제 정답과 해설 3쪽

[20015-0013] [20015-0015]

01 밑줄 친 ‘청동제 유물’로 옳은 것은? 03 밑줄 친 ‘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황허강 유역의 룽산 문화권에서 ◯◯◯◯ 문화가 발전하 즉위하신 지 26년, 천하를 아우른 다음 말씀하시기를 “짐
였다. ◯◯◯◯에서는 대규모 궁전 유적이 발견되었는데, 을 ‘시황제’라 하고, 후세는 수로 헤아려 2세, 3세라 하여
여기에서 청동제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만세에 이르기까지 길이 전하도록 하라!” …… 즉위하신
지 28년, 황제께서는 새로운 시대를 여셨다. 법도가 바르
① ② 게 정비되고 만물의 질서가 바로잡히니, 인간의 관계가 명
백해지고 부자(父子)가 조화를 이루었다. …… 온 천하가
한마음 한뜻, 기기의 규격이 통일되고 문자도 통일되었다.
…… 법령을 확정하여 의심을 제거하니, 모두가 금하는 바
를 알게 되었다. - “사기” -

③ ④ ① 8조의 법을 제정하였다.
② 한을 멸망시키고 신을 건국하였다.
③ 분서갱유를 통해 사상을 통제하였다.
④ 흉노에 패해 비단 등의 공물을 제공하였다.
⑤ 동중서의 건의를 수용하여 유교를 진흥하였다.

[20015-0014]

02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016 ]

사진은 갑골문으로 (가) 의마


04 밑줄 친 ‘이 사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지막 수도였던 은의 유적에서 발견되 사진은 ‘한병천하(漢幷天下)’라는
었다. 갑골문에는 나라의 중대한 결정 글자가 새겨진 와당이다. 와당은
사항에서부터 일상생활의 모습까지 지붕의 처마를 장식하는 기와의
다양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일종인데, 이 사람이 항우를 물리
갑골문을 통해 (가) 의 정치와 치고 전국을 다시 통일한 것을 기
경제의 모습은 물론 생활상까지도 살 념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수도 장안의 궁전과 관청에서 사
펴볼 수 있다. 용되었다.

① 만리장성을 축조하였다. ① 군국제를 실시하였다.


② 왕이 제사장을 겸하였다. ② 장건을 서역으로 파견하였다.
③ 종법적 봉건제를 실시하였다. ③ 도량형, 화폐, 문자를 통일하였다.
④ 최고 지배자를 선우라고 불렀다. ④ 남비엣을 정복하고 군을 설치하였다.
⑤ 대가들이 사출도를 나누어 다스렸다. ⑤ 좌현왕, 우현왕 등을 두어 나라를 다스렸다.

02. 국가의 성립과 발전 21


수 능 기본 문제 정답과 해설 3쪽

[20015-0017] [20015-0019]

05 밑줄 친 ‘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7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흉노는 고조와의 약속을 저버리고 한을 배반하여, 여러 차 우리 군사가 국경을 넘어가니 (가) 의 국왕 위우거
례 변경을 침략해 왔습니다. 이에 황제께서는 요새를 구축 가 군사를 일으켜 막았다. …… 왕검성은 아직 떨어지지 않
하고 봉수를 갖추는 한편, 흉노를 북으로 밀어내고 군대를 았는데, 옛날 위우거의 대신이었던 성기(成己)가 다시 반란
주둔시켜 변경을 방비토록 하셨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변 을 일으켰다. 좌장군은 위우거의 아들인 위장과 항복한 재
경 방비에 소용되는 재정이 부족하였기 때문에 소금, 철 등 상인 노인의 아들로 하여금 그 백성에게 알리게 하여 성기
에 대한 전매 제도를 시행하고 균수법을 실시해서 재정을 를 주살하였다. 이로써 평정하고 낙랑, 임둔, 현도, 진번의
확충하여 변경 방비에 소용되는 비용으로 충당하고자 하신 4군을 설치하였다. - “자치통감” -
것입니다.
① 3공 9경의 관료제를 시행하였다.
① 신(新)을 건국하였다. ② 한의 군대와 백등산에서 대치하였다.
② 남비엣을 정복하였다. ③ 신이 멸망한 후 호족의 후원으로 수립되었다.
③ 준왕을 몰아내고 집권하였다. ④ 법가 사상가를 등용하여 부국강병을 추구하였다.
④ 항우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였다. ⑤ 위만의 집권 이후 철기 문화를 본격적으로 수용하였다.
⑤ 전국 시대의 혼란을 수습하고 문자 등을 통일하였다.

[20015-0020]

08 (가) 인물이 파견될 당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안서 4진의 존폐에 대하여 의논하였는데, 최융이 아뢰기
를, “고조는 백만의 군사로도 평성에서 곤란에 빠졌습니
[20015-0018] 다. 그 후 무제는 이에 분개하였는데 (가) 의 파견으

06 다음 통치 조직을 가진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로 비로소 서역과 통하여 하서 4군을 설치하고 2관에 의지
하여 흉노의 오른팔을 끊었습니다. 점차 황허와 황수를 건
선우 너 영거에 성을 쌓아 흉노와 남쪽 강족 사이의 연락을 두절
시켰습니다. …… 안서 4진을 지키지 못하면 오랑캐의 병
우골도후 좌골도후
사가 서역에 이르고, 서역이 불안하면 남쪽 강족이 동요하
여 서로 연결되니 하서가 반드시 위험해집니다.”라고 하였
우방 좌방
다.  - “신당서” -

일축왕 우현왕 우록리왕 좌록리왕 좌현왕 ① 친위왜왕의 칭호를 받는 히미코 여왕


-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 ② 왕망이 신을 건국하였음을 알리는 농민
① 갑골문을 사용하였다. ③ 능력을 중시한 제후국에 등용되는 상앙
② 만리장성을 축조하였다. ④ 한과 한반도 남부 지역 간의 중계 무역 상황을 보고하는
③ 종법적 봉건제를 시행하였다. 고조선 관리
④ 춘추 5패가 정국을 주도하였다. ⑤ 흉노를 몰아내고 오르도스 지방을 차지하였음을 알리는
⑤ 한과 화친을 맺고 공물을 제공받았다. 진(秦)의 장수

22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수능 실전 문제
20015-0021
1 밑줄 친 ‘이 유물’로 옳은 것은?

이 유물은 농경과 관련된 풍요를 기원하는 제사용 도구로 추정되며, 정치적 지배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혼슈 등에서 출토되었으며, 표면에는 농경 생활, 수렵하는 모습,
랴오 ▲새겨져
가옥 등의 문양이 빗살무늬
있다.토기
이 유물을 통해 일본 열도에 금속기 문화가 전래되었음을 알

강 수 있다.
달한 훙산 문화 한반도 신석기 문화의
무늬 ①
대표적인 토기이다.
② ③
다. 동해
한반도 조몬 문화
다원커우 문화 신석기 문화
강 황해

④ ⑤

허무두 문화
강 동중국해

▲ 조몬 토기
조몬 문화를 대표하는 토기
로 토기 표면에 주로 새끼줄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원커우 토기
류 지역의 다원커우 ▲ 돼지 그림 토기
는 초기에 홍도가 만
양쯔강 하류 지역에서 출토
중기에 들어가면서
된 토기로 당시 돼지, 개 등을
도가 늘어났으며, 이
가축으로 길렀음을 알 수 있다.
문화로 이어졌다.
20015-0022
2 (가), (나) 시기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가) 신후가 이민족과 연합하여 주를 공격해 오자, 주는 난을 피해 수도를 호경에서 낙읍(뤄양)


으로 옮겼다.
(나) 진(秦)의 왕 정은 내정을 공고히 하고, 교묘한 외교술과 기마를 중심으로 한 강병책을 통
해 6국을 평정하고 통일을 달성하였다.

① 남비엣이 멸망하였다.
② 군국제가 시행되었다.
③ 분서갱유가 단행되었다.
④ 제자백가가 등장하였다.
⑤ 위만이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들어왔다.

23
02. 국가의 성립과 발전
수능 실전 문제

20015-0023
3 밑줄 친 ‘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묵특 선우가 자주 북쪽 변경을 고통스럽게 하였다. 황제가 이를 근심하여 유경에게 물으니, 유


경이 말하기를, “천하가 평정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사졸들이 전투에서 피로하니 아직은 무력으
로 복속시킬 수 없습니다. …… 폐하께서 진실로 공주를 그에게 보내어 그가 처로 삼게 하면,
저들은 반드시 흠모하여 연지로 삼을 것이며, 아들을 낳으면 반드시 태자가 될 것입니다. 묵특
선우가 사위가 되는 것이며, 죽는다 하여도 외손자가 선우가 될 것인데, 어찌 외손자가 감히 외
조부와 대항할 수 있겠습니까? ”라고 하였다. 황제가 말하기를, “훌륭하오.”라고 하였다.

① 항우를 물리쳤다.
② 분서갱유를 단행하였다.
③ 준왕을 몰아내고 집권하였다.
④ 황제 칭호를 최초로 사용하였다.
⑤ 신이 멸망한 후 다시 한을 세웠다.

20015-0024
4 밑줄 친 ‘이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 나라의 모든 좌방(左方)의 왕과 장(將)은 동쪽에 살며, 상곡군 동쪽으로 예맥과 조선과 접하


고 있었다. 우방(右方)의 왕과 장들은 서쪽에 살며, 상군(上郡) 서쪽의 저, 강과 접하고 있었다.
선우정은 대군, 운중군을 담당하였다. …… 24명의 장들은 또한 각각 스스로 천장(千長), 백장
(百長), 십장(什長), 비소왕, 상봉, 도위, 당호, 저거 등의 속관을 두었다.

① 3공 9경의 관료제를 시행하였다.


② 도량형, 화폐, 문자를 통일하였다.
③ 야요이 문화를 기반으로 발전하였다.
④ 한으로부터 비단 등의 공물을 제공받았다.
⑤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8조의 법을 제정하였다.

24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정답과 해설 5쪽

20015-0025
5 (가), (나)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가) 의 왕께서는 무왕, 성왕이 정벌하신 상(商)의 판도를 시찰하시고 …… “측아, 의


(宜)의 제후가 되어라. …… 토지를 주겠다. 그 토지의 하천은 300여 갈래, 그 읍(邑)은 35개
가 있다. 또한 의에 있는 왕인(王人) 17성(姓)을 주겠다. …… 의의 서인(庶人) 66명을 주
겠다.” 측은 왕의 은총을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아버지 정(丁)의 제기를 만들었다.
• (나) 은/는 만리장성의 북쪽에 있는데, 남쪽으로는 고구려와 접해 있다. ……
(나) 의 관직명은 모두 가축의 이름으로 정하여 마가, 우가, 저가, 구가, 대사자, 사
자가 있다. 부락에는 호민(豪民)이 있으며, …… 제가들은 별도로 사출도를 주관하는데, 큰
곳은 수천 가(家)이며, 작은 곳은 수백 가였다.

① (가) - 천명사상과 덕치를 강조하였다.


② (가) - 월지를 중앙아시아 방면으로 내몰았다.
③ (나) - 춘추 5패가 정국을 주도하였다.
④ (나) - 나라를 다스리는 8조의 법이 있었다.
⑤ (가), (나) - 최고 지배자를 선우라고 불렀다.

20015-0026
6 밑줄 친 ‘너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히미코에게 조서를 내리노라. 네가 있는 곳은 대단히 먼


데도 사신을 파견하여 공물을 바쳤다. 이는 너의 충성과
효심이니, 나는 너를 심히 어여쁘게 여기노라. 이제 너를
친위왜왕(親魏倭王)으로 삼고, 금으로 만든 인장과 자주
색의 도장끈을 수여하노라. 너는 너의 나라 사람들을 편
안하게 하고 어루만져 주며, 짐에게 효순(孝順)하는 데
힘쓰도록 하라.

① 소국들이 포함된 연맹체의 중심이었다.


② 남비엣과 고조선을 공격하여 멸망시켰다.
③ 위만이 왕이 된 후 철기 문화를 본격적으로 수용하였다.
④ 한(漢)과 한반도 남부를 잇는 중계 무역으로 번성하였다.
⑤ 중원 왕조의 공격을 받아 고비 사막 이북으로 쫓겨 갔다.

02. 국가의 성립과 발전 25


Ⅰ. 수능 마스터

01 밑줄 친 ‘이 지역’을 지도에서 옳게 고른 것은?


20015-0027
Postcard
◯ ◯ 에게
안녕! 오늘 여행한 곳을 소개할게. 중 만, 오늘날에는 제나라의 국력보다 노
국은 34개 행정 구역으로 나뉘고, 각 나라의 문화를 기리는 것 같아.
지역을 한 글자의 약칭으로 나타내 자 이 지역은 신석기 시대 다원커우 문
동차 번호판에 표시하는데, 이 지역의 화로 유명하며, 발해관이 설치된 곳
약칭은 ‘노(魯)’야. 공자의 고향으로 과 장보고가 세운 법화원이 있는 곳
유명한 노나라를 뜻하는 것이지. 춘 으로도 잘 알려져 있지. 자세한 이야
추·전국 시대에 이 지역의 제나라가 기는 돌아가서 말해 줄게. 안녕!
춘추 5패이자 전국 7웅으로 유명했지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02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15-0028
<지역으로 보는 동아시아사>
지도에 표시된 지역에 대하여
발표해 볼까요?

동해

황해

지도에 표시된 지역을 중국에서는 몽염의 활약 이후 신진(新秦)이


라 불렀고, 위청, 곽거병의 활약 이후 신진중(新秦中)이라 불렀다.

① 진시황제 때 흉노로부터 뺏은 지역이에요.


② 장건이 최종 목표지로 삼아 파견된 곳이에요.
③ 남비엣을 정벌한 후 군을 설치한 지역이에요.
④ 한 고조가 묵특 선우의 흉노 군대에 포위된 곳이에요.
⑤ 주가 이민족의 침략을 받자 새롭게 수도를 옮긴 곳이에요.

26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정답과 해설 6쪽

03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20015-0029

◯ ◯ 문화가 중국에 미친 영향
흉노에는 ‘우리의 연지산을 잃어
우리 여인들이 화장을 못 하게 되
었네.’라는 민요가 있습니다. 흉노 초원 지대에서 성립한 흉노 등
의 여성들이 연지산에서 자라는 화 의 ◯◯ 문화는 그 외에도 중국
초의 붉은 즙으로 얼굴이나 입술을 에 많은 영향을 미쳤죠. 그 예로
빨갛게 칠하는 풍습이 있었던 것이 (가)
죠. 이것이 중원에 전해져 화장할
때 사용하는 붉은 빛깔의 물감을
연지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①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게 되었어요.


② 바지를 입고 의자를 사용하게 되었어요.
③ 유교를 국가의 통치 이념으로 삼았어요.
④ 공동 노동으로 수리 시설과 제방을 만들었어요.
⑤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빗살무늬 토기 등을 제작하였어요.

04 (가)에 들어갈 사료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0015-0030

<탐구 활동 주제 - 한의 대외 정책>

•활동 : 사료를 찾아 사건이 일어난 순서대로 배열하기

대월지로 가는 길은 반드시 흉노 땅을 지나야만 하므로 사신으로 갈 만한 사


람을 모집하였다. 장건이 모집에 지원하여 사신으로 가게 되었다.

(가)

왜의 노국이 공물을 바치고 조공하였는데, 사신은 대부를 자칭하였다. 노국은


왜에서 남쪽에 있는 나라이다. 황제는 노국 사자에게 도장을 하사하였다.

ㄱ. 진나라와 초나라는 서로 경계하지 말고, 좋아함과 싫어함을 함께 하며 재난을 함께 구제하고 흉포한 환난을
함께 대비하고 구제한다.
ㄴ. 과선장군과 하려장군의 군대 및 치의후가 징발한 야랑국의 군사가 미처 당도하기도 전에 남비엣은 평정되었
다. 마침내 이곳에 9군을 설치하였다.
ㄷ. 한은 종실의 공주를 선우의 연지로 삼게 하고, 해마다 흉노에 일정량의 비단, 술, 쌀 등과 같은 식품을 보내 주
어 형제의 나라가 될 것을 약속하였다.
ㄹ. 천하를 통일한 후 몽염에게 군대를 이끌고 가서 강족들이 번성한 곳을 빼앗게 하였다. 서쪽 여러 융을 쫓아내고
북쪽의 적(狄)을 물리치고 만리장성을 쌓아 경계를 삼으니, 여러 강족이 다시는 남쪽으로 넘어오지 못하였다.

①ㄱ ②ㄴ ③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수능 마스터 27
동아시아 세계의
Ⅱ 성립과 변화
이 단원에서는 동아시아 지역의 인구 이동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유발되었으며, 그 결과 지역 간의 문화


교류가 증대되고 동아시아 세계가 성립되었음을 파악합니다. 특히 조공·책봉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다양한
외교 형식이 각국 간에 끼친 영향과 의미를 파악하고, 율령과 유학에 기초한 통치 체제, 불교 등을 공유하게
되었음을 이해합니다. 나아가 각국에서 유교·불교·성리학이 수용되는 과정과 그 영향을 상호 비교합니다.

연계 사례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동아시아사 3번

제△△회
제△△회동아시아사
제△△회 동아시아사 퀴즈대회
동아시아사 퀴즈
퀴즈 대회
대회

마지막 힌트입니다.
마지막 힌트입니다.
문제 어느 나라일까요?

1단계 선비족이 건국하였습니다.

2단계 화북 지역을 통일하였습니다.

3단계 수도를 평성에서 뤄양으로 옮겼습니다.

4단계 (가)
03 인구 이동과 정치·사회 변동
04 국제 관계의 다원화
05 유학과 불교

학습 요소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인구 이동과 정치 변화 •조공·책봉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다양한 외교 형식
•북방 민족의 성장과 몽골 제국 •율령 체제의 정비와 확산
•동아시아 불교의 특징과 승려들의 활동 •성리학의 성립 및 확산과 그 영향

2020학년도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 33쪽 3번 연계 분석 및 학습 대책


문제 정답과 해설 5쪽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동아시아
[9015-0030] 사 3번 문제는 2020학년도 EBS 수능특강
영향으로 적절한 것은? 03 밑줄 친 ‘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동아시아사 33쪽 3번 문제를 재구성하여 출
제되었다. 수능특강에서는 북위 효문제의
께 서진의 수도 뤄양 부 황제는 평성에서 뤄양으로 천도하고, 호복을 착용하는 것 정책을 설명하는 자료를 제시하고 호한 융
대는 그들에게 패하여 과 조정에서 선비 말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였다. 또 황제 합 정책 추진을 정답으로 찾는 문제였는데,
사공 순번 등 명문 출신 의 성씨인 탁발씨를 원씨로 바꾸었다. 대수능에서는 북위에 대한 퀴즈 형식으로
로 달아났다. 자료를 재구성하여 북위의 호한 융합 정책
명의 병력을 거느리고 ① 군국제를 실시하였다. 을 파악하는 문제로 변형되었다. 특히 정답
에 이르렀을 즈음에는 ② 남비엣을 정복하였다. 선지가 수능특강과 동일한 내용이어서 수능
례 패전하여 죽은 자가 ③ 전국 시대의 혼란을 수습하였다. 특강을 충실히 학습한 학생이라면 쉽게 정
나라 안이 크게 혼란하
④ 호족과 한족의 융합을 추진하였다. 답을 찾았을 것이다.
중원에서 피란 온 선비
강을 건너갔다.
⑤ 흉노의 침략에 대비하여 만리장성을 축조하였다. 따라서 EBS 교재를 학습할 때에는 모든
문제의 자료와 선지 등을 주의 깊게 살펴보

. 도록 한다. 특히 본문에 제시된 자료 플러스


까지 꼼꼼히 파악한다면 EBS 교재 연계 문
었다.
제들을 비교적 쉽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입되었다.
국되었다.
나라를 세웠다.
03
동아시아사

인구 이동과 정치·사회 변동

5호 1. 인구 이동의 전개
중국 북방의 다섯 유목 민족인
흉노, 갈, 선비, 저, 강족을 가리
(1) 인구 이동의 배경과 영향
킨다. ① 배경 : 기후 변화와 자연재해로 인한 식량 부족, 인구 증가, 정치적 갈등과 이민족의 침략, 국
가 간 전쟁 등
위·진·남북조 시대의 전개
② 특징 : 대체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이동, 기원 전후부터 활발
③ 영향 : 토착민과 이주민 사이의 갈등 초래 → 2, 3차 연쇄 이동 발생 → 새로운 정권이나 국가 성
후한
립, 문화의 전파와 교류 등
위 촉 오 고구려
선비
(2) 화북, 강남 방면으로의 이동 북연 동해

진 흉노 전연
후한 말 혼란기부터 대거 이동 북량 신라
(晉) 5호의 서량 전량 후연 백제
→ 4세기 이후 화북 지역에 여 하 전조
후조 남연
황해 가야
이동 후량 갈
러 국가 건국(5호 16국 시대) 서진
남량
5호 동진 한족의 한족 일부가 창장강 이남 지역 강
16국 (東晉) 후진 전진
이동 으로 이동 → 동진 건국 강
건강(난징)
저 창
북위


송 북방 민족이 화북에 세운 북조 성한
결과 와 한족 왕조인 남조의 대립 → 5호
동진
남북조 시대

16국( 한족이 세운 나라)


제 남북조 시대 전개 한족의 이동 방향
서위

동위


▲ 5호의 국가 건설과 한족의 이동
(3) 한반도 방면으로의 이동
북주

북제


(陳)
부여족의 이동 기원전 1세기경 부여족의 일부인 주몽 집단이 압록강 중류의 졸본 지방으로 남하 → 고구려 건국
고구려인의 지배층 내부의 갈등으로 고구려인 일부가 한강 유역으로 남하 → 온조 집단이 백제 건국 → 한

이동 반도 남부 지역으로 세력 확대
고조선 유민의 고조선이 멸망한 후 유민의 일부가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남하 → 경주 지역의 토착민 세력과
이동 결합하여 신라 건국의 토대 마련

도왜인
낙랑군 유민의 4세기 고구려에 의해 멸망한 낙랑군 유민의 일부가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이동 → 백제 발전에
이동 이바지함
한반도나 중국 등지에서 일본
열도로 건너간 사람으로, 일본
에서는 이들을 도래인(渡來人) 자료 플러스 고조선 유민과 고구려인의 이동
이라고 부른다.
•고조선의 유민들이 산골짜기에 나누어 살아 육촌을 이루었다. …… 이것이 진한 6부가 되었다.
 - 김부식, “삼국사기”, 신라 본기 -
•주몽이 북부여에서 낳은 아들이 와서 태자가 되자, 비류와 온조는 태자에게 용납되지 않을 것을 두려워하
였다. 마침내 오간, 마려 등 신하들과 함께 남쪽으로 가니 백성 가운데 그를 따르는 이가 많았다.
❶ 4세기 이후 중국 북방의 다섯
 - 김부식, “삼국사기”, 백제 본기 -
유목 민족인 ( ), 갈, 선
비, 저, 강족이 화북 지역에 여 첫 번째 자료는 국가 멸망으로 일어난 인구 이동을, 두 번째 자료는 정치 집단 내의 갈등으로 일어
러 국가를 세웠다. 난 인구 이동을 보여 준다. 이러한 인구 이동은 각각 신라와 백제라는 새로운 국가 수립으로 이어
❷ 4세기에 한족의 일부가 창장강 졌다.
이남 지역으로 이동하여
( )을 세웠다.
❸ 기원전 1세기경 고구려인의 일 (4) 일본 열도로의 이동
부가 한강 유역으로 남하하여
① 인구 이동의 양상 : 한반도의 삼국 간 항쟁 시기 한반도 주민 및 중국의 위·진·남북조 시기
( )를 건국하였다.
한족이 일본 열도로 이주 → 도왜인 증가(각종 선진 기술을 일본에 전함)
|정답| ❶ 흉노 ❷ 동진 ❸ 백제
② 인구 이동의 영향 : 야마토 정권의 성립과 발전에 이바지함

30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북위의 뤄양 천도
자료 플러스 일본 열도로의 이주(도왜인)
평성(다퉁)
북위
덴무 10년, 삼한(三韓)의 사람들에게 조를 내려 “…… 귀화한 첫해에 함께 온 자손도 아울러 역의 부과를 모

두 면제한다.”라고 하였다. …… 덴무 14년에 당인(唐人), 백제인, 고구려인 147인에게 작위를 주었다. 황

 - “일본서기” - 뤄양
장안

남조(제) 강
자료는 동아시아 국제 전쟁인 삼국 통일 전쟁이 끝난 직후 도왜인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한반 창

도 주민은 삼국이 항쟁하던 시기에도 꾸준히 일본 열도로 이주하였고, 오랜 전쟁에 시달리던 한족 천도

중에서도 일본 열도로 이주하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열도로 건너간 도왜인들은 일본의 발전에 영 북위 효문제는 한화 정책을 본
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수도를
향을 주었다.
한족의 정치·문화적 중심지인
뤄양으로 옮겼다.

호한 융합
호족(胡族)과 한족의 융합이라
2. 국가의 통합과 발전 는 뜻으로, 호(胡)는 한족이 북
(1) 남북조 시대의 전개 방 민족을 통칭할 때 사용한 표
현이다.
① 북위의 한화 정책
•배경 : 5호의 남하로 이주민인 유목민과 토착민인 농경민의 갈등 심화 → 북위 등 북조의 여러
나라가 융합 정책 추진
•내용 : 효문제 때 적극적으로 추진 → 수도를 평성에서 뤄양으로 옮김, 한족의 언어와 풍습 수
용(선비어 사용 금지 등), 한족의 성씨 사용과 한족과의 혼인 장려 등
•결과 : 유목 민족 문화와 한족 문화가 점차 융합(호한 융합)
② 남조의 변화 : 화북 지역에서 창장강 유역 및 그 이남으로 한족 이주 → 풍부한 노동력과 선진
적인 토목 기술을 바탕으로 강남 지역 개발 → 농업 생산력 발전

자료 플러스 북위 효문제의 한화 정책

도무제
효문제가 말하기를, “…… 이제 북방의 언어(선 명원제
비어)를 금지하고 오로지 올바른 중원의 언어 태무제
유귀인 태자황
만 사용토록 한다. 서른 살 이상인 사람은 습관 (한족) 문성제
두귀빈
이 굳어져 갑자기 말을 바꾸기 어렵기에 어쩔 (한족) 하부인 헌문제
(선비족) 여씨 효문제
수 없지만, 조정에 있는 서른 살 이하의 사람은 (선비족) 이귀인
예전처럼 말해서는 안 된다. 만약 고의로 북방 (한족) 이귀인
(한족)
의 언어를 쓴다면 관직을 박탈할 것이다. …… - “아틀라스 중국사” -
올바른 언어에 익숙해지면 풍속이 새롭게 교화
▲ 북위 황실의 혼인 상황 ❶ 한반도에서 삼국 간의 항쟁이
될 것이다. ……” 라고 하였다. - “위서” -
 본격화되면서 일본 열도로 이
주하는 사람들이 증가하였는
북위의 효문제는 수도를 한족의 정치·문화적 중심지인 뤄양으로 옮기고 호복 금지, 조정에서 선 데, 이들을 ( )이라고 부
비어 사용 금지 등을 시행하였고, 한족의 성씨 사용과 한족과의 혼인을 장려하였다. 북위 황실도 른다.
한족과의 혼인에 앞장서 황후의 대부분이 한족 출신이었다. 이러한 한화 정책으로 유목 민족 문화 ❷ 북위의 ( )는 뤄양으로
와 한족 문화가 본격적으로 융합하였다. 천도하고 적극적으로 한화 정
책을 추진하였다.
❸ 남북조를 통일한 국가인 (
(2) 수·당의 건국과 전쟁 )는 여러 차례 고구려를 침
공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수 남북조 통일(6세기 후반), 대운하 건설, 과거제 실시, 여러 차례 고구려를 침공하였으나 실패
|정답| ❶ 도왜인 ❷ 효문제 ❸ 수
당 수의 뒤를 이어 중원 장악(7세기 초), 고구려 침공 실패 후 신라와 연합하여 백제·고구려를 멸망시킴

03. 인구 이동과 정치·사회 변동 31


동아시아사

03 인구 이동과 정치·사회 변동

전방후원분 (3) 삼국의 항쟁


고구려 5세기에 한반도 주도권 장악 → 6~7세기 돌궐·백제·왜와 연결하여 수·당 견제
백제 4세기에 고구려와 패권 다툼, 남조·왜와 연결하여 세력 유지 노력
신라 6세기에 한강 유역 확보 및 가야 병합, 황해를 통해 중국과 직접 교류

(4) 야마토 정권의 성장


① 성립 : 4세기경 일본 열도에서 야마토 지방의 호족들이 연합하여 성립
▲ 다이센 고분(일본 사카이시)
② 야마토 정권의 발전 : 지배자들은 거대한 무덤(전방후원분)을 만들어 권력 과시
앞은 네모난 모양(전방)이고, 뒤
는 둥근 모양(후원)의 고분이 ③ 선진 문화의 수용 : 중국의 남조 및 한반도 삼국과 가야의 선진 문물 수용 → 스에키 제작, 아
다. 사각형 부분은 의식을 치르 스카 문화 발전
는 제단, 뒤쪽 둥근 부분은 시
신을 안치하는 곳이다. 전방후
원분은 야마토 정권의 성장과 3. 동아시아 국제 전쟁과 지역 통일 국가의 등장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7세기 동아시아 국제 전쟁
① 양상 : 나·당 연합과 고구려·백제·왜 연합의 대결로 진행
스에키 ② 과정
일본 열도에서 백제와 가야의
•7세기 중엽 나·당 연합 결성 → 백제 멸망(660) → 백강 전투(663) → 고구려 멸망(668)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토기로,
언덕 경사면에 가마를 만들고 •당의 한반도 전체 지배 의도 표출 → 신라가 백제·고구려 유민과 함께 당 축출 → 신라의 삼
1,000℃ 이상의 고온에서 구워
국 통일(676)
내어 이전까지의 토기보다 단
단한 것이 특징이다.
자료 플러스 7세기 동아시아 국제 전쟁

백제(부흥군)가 적의 계획을 알고 여러 장수에게 “지금 일본에서 우리를 구원하러 장수 노원군신이 용사 1만


아스카 문화
여 명을 거느리고 바다를 건너오고 있다. 여러 장군은 미리 계획을 세우기 바란다.” …… 당의 장군이 함선
7세기 전반에 아스카 지역(현
170척을 이끌고 백강에 진을 쳤다. 일본의 수군 중 처음 도착한 배들이 당의 수군과 싸웠지만 불리하여 후퇴
재의 나라현)에서 발달한 불교
하였다. 당군은 좌우에서 수군을 동원하여 협공하였다. 눈 깜짝할 사이에 일본군이 패하였다. - “일본서기” -
문화를 말한다.

7세기 중엽 백제의 공격으로 곤경에 빠진 신라는 고구려 침략에 실패한 당과 연합하여 백제, 고구
려를 차례로 멸망시켰다. 백제가 멸망한 뒤 왜가 지원군을 보냈지만, 백강 전투에서 나·당 연합
군에 패하였다. 이처럼 한반도 삼국의 통일 전쟁은 당사국뿐만 아니라 주변국까지 참전한 동아시
아 국제전의 양상을 띠었다.

(2) 지역 국가의 성립
① 당 : 동아시아의 패자로 성장 → 당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 형성
❶ 일본 ( ) 정권의 지배자
② 신라 : 대동강 이남의 한반도 지배
들은 거대한 전방후원분을 만
들어 권력을 과시하였다. ③ 발해 : 고구려 유민이 말갈족을 거느리고 건국(698) → 통일 신라와 발해가 병존하는 남북국
❷ ( )가 건국되어 통일 신 시대 전개
라와 병존하는 남북국 시대가
④ 일본의 발전
전개되었다.
❸ 일본은 당의 장안성을 모방하
•다이카 개신(645) 단행 : 당의 율령 체제를 도입하여 중앙 집권 국가를 수립하려는 정치 개혁
여 나라에 ( )를 건설하 •견당사를 파견하여 당의 선진 문물 수용
였다.
•7세기 말에 ‘일본’ 국호 및 ‘천황’ 칭호 사용 시작
|정답| ❶ 야마토 ❷ 발해 •당의 장안성을 참고하여 나라에 헤이조쿄를 건설하고 천도(710), 이후 교토에 헤이안쿄를 건
❸ 헤이조쿄
설하고 천도(794)

32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자료
탐구
자료 1 4세기 인구 이동 정답과 해설 8쪽

기출 자료 분석
ㅣ2019학년도 대수능 9월 모의평가ㅣ

중원에서 흉노를 비롯한 5호가 난리를 일으킨 이래 백성들이 회수와 양쯔강을 건너 남쪽으
로 이주하였다. 조정에서는 남하한 이주민들이 머무는 지역에 새로이 지방관을 두었다. 이
후 전진(前秦)이 다시 침입하자 남쪽으로 이주하는 사람이 더욱 많아졌다.

자료 분석 제시된 자료에서 흉노를 비롯한 5호가 난리를 일으켰다는 점, 백성들이 회수와 창장강(양쯔강)을 건너 남
쪽으로 이주하였다는 점 등을 통해 5호가 화북 지방에서 여러 나라를 세우자, 그곳에 살던 한족이 창장강 이남으로
이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창장강 이남으로 이동한 한족은 건강(난징)을 도읍으로 동진을 세웠다.
자료 공략 인구 이동은 원인과 이동 방향 등을 통해 그 시기와 지역 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인구 이동
의 영향으로 나타난 새로운 국가 건설, 경제적 변화 등을 묻는 문항이 자주 출제되므로 관련 내용을 정리해 두어야
한다.

유형 연습

1 다음 상황이 나타난 배경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15-0031 ]

진 회제는 영가 5년(311)에 흉노가 세운 전조의 유총에게 사로잡혔다. 이듬해 가필 등이 이미 진왕(秦王) 사마업을 받들어 황태
자로 삼고 장안에 도읍을 두었지만, 아직 황제 자리에 오르지 않다가 영가 7년(313)에 이르러 회제가 붕어했다는 소식을 듣고
비로소 황제를 칭하였으니, 이가 민제이다. 민제는 건흥 4년(316)에 유요에게 항복하였다. 이듬해 원제가 건강(난징)에서 진왕
(晉王)을 칭하였지만 역시 제위에 나아가지 않다가, 민제가 붕어했다는 소식을 들은 후에야 비로소 황제를 칭하였다.

①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멸망시켰다.


② 고구려가 돌궐과 연합을 도모하였다.
③ 한 무제가 장건을 서역에 파견하였다.
④ 5호가 화북 지역에서 세력을 확대하였다.
⑤ 진시황제가 흉노를 초원 지대로 몰아냈다.

03. 인구 이동과 정치·사회 변동 33


자료
탐구
자료 2 북위의 한화 정책 정답과 해설 8쪽

기출 자료 분석
ㅣ2017학년도 대수능 6월 모의평가ㅣ

(가) 왕조는 지도와 같이 수도를 옮기


고, 한족의 언어와 의복을 사용하도록 하는
평성
등 적극적인 한화 정책을 펼쳤어요.
동해

황해

뤄양

수도

자료 분석 제시된 자료에서 평성에서 뤄양으로 수도를 옮겼다는 점, 한족의 언어와 의복을 사용하도록 하는 등 적극
적인 한화 정책을 펼쳤다는 점 등을 통해 북위의 효문제가 실시한 정책임을 알 수 있다. 5호의 남하로 이주민인 유목
민과 토착민인 농경민 사이에 갈등이 심화되자, 북조의 여러 나라는 북방 민족과 한족을 융합하는 정책을 추진하였
다. 특히 북위의 효문제는 선비어와 선비족의 복장을 금지하고 한족의 언어와 의복을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성씨도
한족처럼 바꾸고 한족과의 혼인을 장려하는 등 본격적인 한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자료 공략 효문제가 실시한 한화 정책을 제시하고 북위나 효문제를 묻거나 당시 동아시아 정세를 묻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다. 효문제가 실시한 한화 정책의 내용과 당시 동아시아 정세를 잘 정리해 두어야 한다.

유형 연습

2 다음 정책이 실시된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032 ]

황제가 조서를 내려 “북인(北人)은 토(土)를 탁(拓), 후(后)를 발(跋)이라고 한다. 우리 선조는 황제(黃帝)*에게서 나왔고, 토덕(土
德)으로써 왕이 되었기 때문에 탁발씨(拓跋氏)라고 하였다. 무릇 토(土)는 황중(黃中)의 색이고, 만물의 원(元)이다. 그러니 탁발
씨를 원씨로 중원 왕조의 성(姓)과 같이 바꾸도록 하라.”라고 하였다.
* 황제(黃帝) : 중국 고대의 전설적 제왕

① 다이카 개신을 단행하였다.


② 신라와 연합하여 백제를 멸망시켰다.
③ 5호 16국 시대의 혼란을 수습하였다.
④ 히미코 여왕을 친위왜왕으로 삼았다.
⑤ 좌현왕과 우현왕 등 여러 왕을 두었다.

34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수 능 기본 문제 정답과 해설 8쪽

[20015-0033 ] [20015-0035 ]

01 지도의 인구 이동이 끼친 영향으로 옳은 것은? 03 밑줄 친 ‘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 지도는 5호가 화북 지역에서 세력을 •황제가 말하기를 “이제 여러 북방의 언어를 쓰지 못하게
확장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입니다.
하고, 오로지 올바른 중원의 언어만 사용하게 하려 한
다. …… 만약 고의로 북방의 언어를 쓴다면 마땅히 작위
선비 동해
를 낮추고 관계(官界)에서 내칠 것이다.”라고 하였다.
흉노
•황제는 왕공(王公)과 관료들을 불러 놓고, 수도에 머물던
황해
관료들에게 “어제 부녀자들의 의복을 보니, 여전히 옷깃

이 좁고 소매도 좁았다. …… 그대들은 무슨 까닭으로 예

전의 호복 금지 조칙을 어기고 있는가? ”라고 꾸짖었다.

 - “위서”-

① 수도를 뤄양으로 옮겼다.


② 중국의 남북조를 통일하였다.
③ 여러 차례 고구려를 침략하였다.
① 진(秦)이 중국을 통일하였다.
④ 준왕을 몰아내고 정권을 잡았다.
② 한이 대월지와 제휴를 모색하였다.
⑤ 백등산에서 흉노에 포위당하였다.
③ 일본에서 조몬 문화가 발달하였다.
④ 강남 지역에 한족 왕조가 세워졌다.
⑤ 위만이 무리를 이끌고 한반도로 이주하였다.

[20015-0036 ]

04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사진은 일본에서 가장 규모가 큰 다이센 고분입
니다. 이러한 전방후원분 형식의 고분이 유행하
[20015-0034 ] 던 시기의 동아시아 상황을 말해 볼까요?

02 다음 자료를 활용한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덴무 10년, 삼한(三韓)의 사람들에게 조를 내려 “…… 귀
화한 첫해에 함께 온 자손도 아울러 역의 부과를 모두 면
제한다.”라고 하였다.
•덴무 14년, 당인(唐人), 백제인, 고구려인 147인에게 작
위를 주었다. …… 귀화해 온 고구려인들에게 물건을 주
었는데, 각각 차이가 있었다.
 - “일본서기” -

① 농경민과 유목민의 교류 ① 중국에서 제자백가가 등장하였어요.


② 위와 야마타이국의 관계 ② 일본 열도에서 야마토 정권이 성장하였어요.
③ 국제 정세의 변동과 도왜인 ③ 만주와 한반도 지역에서 고조선이 발전하였어요.
④ 한족의 남하와 강남 지역 개발 ④ 흉노가 만리장성 이북의 초원 지대를 통합하였어요.
⑤ 고조선 유민의 이동과 신라 건국 ⑤ 청동기·철기 문화를 기반으로 야요이 문화가 성립되었어요.

03. 인구 이동과 정치·사회 변동 35


수능 실전 문제
20015-0037
1 다음의 인구 이동이 일어난 배경을 알아보기 위한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소정방이 왕과 태자 효, 왕자 태·융·연 및 대신과 장사 88명, 주민 1만 2,807명을 당의 수


도로 호송하였다. 백제는 원래 5부 37군 2백 성에 76만 호로 되어 있었다. - “삼국사기” -
•총장 2년 여름 4월, 고구려의 백성 중에 마음이 떠나 배반하는 자가 많아 칙서를 내려 고구
려의 3만 8천 2백 호를 강회의 남쪽 및 산남, 경사 서쪽 여러 주의 빈 땅으로 옮기고 빈약자
를 남겨 안동을 지키게 하였다. - “자치통감” -

① 전국 7웅의 대두
② 나·당 연합군의 활동
③ 5호의 화북 지역 장악
④ 흉노의 초원 지대 통합
⑤ 혈연관계에 기초한 봉건제의 시행

20015-0038
2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수행 평가 계획서>

•단원 : 인구 이동과 정치·사회 변동


•주제 : 고대 한반도에서 일본 열도로 건너간 도왜인의 활동
•모둠별 과제
1모둠 혜자의 활동 내용을 파악한다.
2모둠 호류사 건립에 끼친 백제의 영향을 살펴본다.
3모둠 (가)

ㄱ. 조몬 토기의 특징을 분석한다.


ㄴ. 장건의 활동 내용을 파악한다.
ㄷ. 아스카 문화의 형성 배경을 알아본다.
ㄹ. 단단한 토기인 스에키의 유래를 찾아본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36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정답과 해설 9쪽

20015-0039
3 밑줄 친 ‘그’가 재위하던 시기의 동아시아 상황으로 옳은 것은?

그는 나라 풍속이 비루하다고 여겨 수도를 뤄양으로 옮김으로써 옛 풍습을 변화시키려고 하였


다. 먼저 임성왕 탁발징과 그것을 논의하며 말하기를, “평성은 무예를 쓰는 땅이라 문화를 일
으킬 수 있는 곳이 아니니, 마땅히 중원에서 천하를 밝게 다스려야 한다.”라고 하였고, 탁발징
이 찬성하니 이를 결정하였다. …… 그는 문학에 뛰어났고, 본래 풍속이 누추한 것을 싫어해서
중국 풍습으로 그것을 변화시키려고 하였으므로 이런 거사를 일으키는 것을 꺼리지 않았던 것
이다.  - “이십이사차기” -

① 한국 - 부여족의 일부가 남하하여 고구려를 세웠다.


② 한국 - 8조의 법을 제정하여 사회 질서를 유지하였다.
③ 중국 - 남조와 북조가 대립하였다.
④ 중국 - 남비엣을 정복하고 9군을 설치하였다.
⑤ 일본 - 히미코가 친위왜왕의 칭호를 받았다.

20015-0040
4 지도의 형세가 나타난 시기 (가) 국가에 대한 학생들의 발표 내용으로 옳은 것은?

유연 고구려

동해
토욕혼 북위
백제 신라
황해 가야 ㈎

송 동중국해

남중국해 북위의 최대 영역
송의 최대 영역

① 다이카 개신을 단행하였어요.


② 나·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멸망하였어요.
③ 선우 아래에 좌현왕과 우현왕을 두었어요.
④ 선비어의 사용을 금지하는 조칙을 내렸어요.
⑤ 지배자들이 전방후원분을 축조하여 권력을 과시하였어요.

03. 인구 이동과 정치·사회 변동 37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9쪽

20015-0041
5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가) 의 양제는 남녀 백여만 명을 징발하여 운하를 만들었다. 뤄양 서쪽 황제의 정원


에서부터 곡수·낙수를 끌어들여 황허강에 이르게 하고, 황허강의 강물을 끌어들여 화이허
강과 바다로 통하게 만들었다. - “통전” -
•살수에 이르러 (가) 의 군사가 반쯤 강을 건넜을 때, 고구려 군사가 후방에서 적군의
후속 부대를 공격하였다. 여기에서 적장 우둔위장군 신세웅이 전사하였다. 이에 여러 부대
가 한꺼번에 무너져 걷잡을 수 없게 되었다.  - “삼국사기” -

① 대가야를 병합하였다.
② 남비엣과 고조선을 정복하였다.
③ 백제, 왜와 연결하여 당을 견제하였다.
④ 사상 통제를 위해 분서갱유를 단행하였다.
⑤ 진(陳)을 멸망시키고 남북조를 통일하였다.

20015-0042
6 다음 자료를 활용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8월 17일 당의 장군이 함선 170척을 이끌고 백강에 진을 쳤다.


•8월 27일 일본의 수군 중 처음 도착한 배들이 당의 수군과 싸웠지만 불리하여 후퇴하였다.
당의 수군은 진영을 굳게 하여 지켰다.
•8월 28일 일본의 장수들이 병졸을 이끌고 다시 나아가 당의 군사를 공격하였다. 그러자 당이
좌우에서 배를 둘러싸고 싸우므로 눈 깜짝할 사이에 일본군이 패하였다.
 - “일본서기” -

① 제자백가의 등장 배경을 이해한다.


② 호한 융합 정책의 내용을 파악한다.
③ 평성 백등산 전투의 결과를 조사한다.
④ 7세기에 일어난 동아시아 국제 전쟁을 살펴본다.
⑤ 한족의 이동이 창장강 이남 지역에 끼친 영향을 알아본다.

38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04
동아시아사

국제 관계의 다원화

1. 조공·책봉 관계의 형성 조공·책봉 관계의 변화


책봉(제후로 임명)
책봉(제후로 임명)
주왕 제후
(1) 주대 조공·책봉 관계 성립 : 혈연관계를 기초로 하여 주의 왕과 제후 사이에 성립된 관계 주왕 조공(예물)
조공(예물)
제후

책봉(지배권 확인)
책봉(지배권 확인)
한 주변국
한 조공(실리 추구)
주변국
조공(실리 추구)
(2) 한대의 외교 관계
① 고조 : 북방 유목 민족 국가인 흉노와의 전쟁에서 패배 → 매년 많은 물자를 보내는 조건으로
화친을 맺음 조공과 책봉의 외교 형식

② 무제 : 한이 동아시아 강대국으로 성장, 유교적 통치 이념과 화이관 확립 → 주변 국가와의 외 조공은 주변국이 중원 왕조에
예물을 바치며 형식적인 존중
교 관계에 조공과 책봉의 형식 적용 을 표명하는 것이고, 책봉은 중
③ 조공·책봉 외교의 특징 원 왕조가 주변국의 군주에게
그 지배권을 확인해 주는 것
•직접 지배나 실제적인 간섭을 하지 않는 외교의 틀
이다.
•주변국은 한과의 문화적·경제적 교류를 위한 통로로 적극 활용
•각국의 필요에 따라 형성된 외교 관계 → 대내외적 필요에 따라 중단 가능
화이관(화이론)
•책봉 없이 교역을 위한 조공만 이루어지기도 함
중화와 이민족을 구분하는 논
리이다. 한대에는 문화가 발달
자료 플러스 한과 흉노의 관계
한 중국(중화)이 천하의 중심이
고, 그렇지 못한 주변 지역은
이 무렵 한나라 장수 가운데 흉노에 투항하는 자가 많았다. 묵특은 언제나 대군(代郡) 일대를 넘나들며 약탈 오랑캐로 여기는 화이관이 체
하였다. 한나라 고제(고조)는 고민 끝에 유경을 시켜 종실의 딸을 공주로 삼아 선우의 부인으로 삼게 하고, 해 계화되었다.
마다 흉노에 일정량의 고치솜, 비단, 술과 곡물 등을 보내어 형제의 나라가 되기로 약속하였다.
 - 사마천, “사기”, 흉노 -

자료는 한의 고조가 흉노와의 전쟁에서 패배한 후, 흉노의 선우에게 공주를 시집보내고 매년 많은


물자를 보내는 조건으로 화친을 맺었음을 보여 준다. 표면상 대등한 형제의 나라라고는 하지만,
한이 막대한 물자를 제공하고 맺은 우호 관계에 가까웠다. 이러한 관계는 한 무제가 흉노를 공격
하여 고비 사막 이북으로 축출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3) 남북조 시대의 다원적 외교


① 조공·책봉 관계의 변화
•한 멸망 이후 각국이 새로운 정세를 자국에 유리하게 만들기 위한 외교 활동 전개
•조공·책봉 관계가 강대국 중심의 외교 형식에서 상호 우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현실적·다
❶ 한 무제는 주변국과의 외교 관
원적 외교로 변화 계에 ( )의 형식을 적용
② 각국의 외교 활동 하기 시작하였다.
❷ 남북조는 서로 사절을 교환하
•주변 소국들을 책봉하고 조공을 받음
남북조 였고, 상대국 사절을 ( )
•서로 사절 교환, 상대국 사절을 조공 사절로 간주
사절로 간주하기도 하였다.
•고구려 : 남북조와 모두 조공·책봉 관계를 맺음 ❸ ( )는 6세기에 백제의 중
만주· •백제 : 주로 남조와 지속적으로 조공·책봉 관계 유지 개로 남조와 조공·책봉 관계
한반도 •신라 : 6세기에 백제의 중개로 남조와 조공·책봉 관계를 맺음 → 한강 유역 장악 후 남북조와 직 를 맺었다.
접 교류
|정답| ❶ 조공·책봉 ❷ 조공
•5세기에 남조와 조공·책봉 관계 형성
왜 ❸ 신라
•백제, 신라와 사절 교환

04. 국제 관계의 다원화 39


동아시아사

04 국제 관계의 다원화

돌궐 (4) 당대 동아시아 국제 관계
튀르크계 민족으로, 6세기 중
① 당 중심의 국제 질서 수립 : 주변국에 당 중심의 조공·책봉 관계 요구
엽부터 중앙유라시아 일대에
대제국을 건설하였다. ② 신라, 발해와 당의 관계
•당 중심의 조공·책봉 관계 수용 : 정권 안정과 선진 문물 도입, 대외적인 군사적 위협 대처 목적
•자국의 이익을 위해 당의 침략이나 간섭에는 강력하게 대응(나·당 전쟁, 발해의 산둥반도 공
화번공주
중원 왕조가 정략상 인접 국가 격 등)
의 왕에게 시집보낸 황제나 황 ③ 일본과 주변국의 관계
족의 딸을 일컫는다. 돌궐에 보
•당과 조공 관계만 맺음 : 견당사 파견(당의 문물 수용 목적) → 9세기 말 파견 중지
낸 의성 공주, 토번에 보낸 문
성 공주, 위구르에 보낸 함안 •신라, 발해와 사신 교환
공주 등이 있다. ④ 돌궐, 위구르, 토번과 당의 관계
•당 중심의 조공·책봉 관계 미수용 → 경제적 교류를 위한 조공 관계만 원함
5대 10국 •경제적 이익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당을 공격 → 당이 화친 정책의 하나로 화번공주 파견
10세기경 화북 지역에 차례로 ⑤ 자국 중심의 천하관 대두
나타났던 다섯 왕조와 화북의
일부 및 그 외 중국 지역에 세
•동아시아 각국은 주변국과의 외교 관계에 자국을 중심에 놓고 조공·책봉의 외교 형식을 활용
워졌던 10개의 지방 정권을 의 •독자적 연호와 군주 칭호 사용
미한다.
자료 플러스 당의 화번공주 파견

연운 16주 북방의 만이(蠻夷)는 예로부터 대대로 중원에 침범하여 난폭한 짓을 해 왔다. 지금 철륵*의 설연타는 완강하
거란은 936년 석경당이 후당을 다. 이에 대한 대책을 서두르지 않으면 안 된다. …… 저들에게 화친을 바라게 하여 혼인의 인연을 맺는 것이
멸망시키고 후진을 건국할 때 좋다. …… 북방 민족의 습속은 여인의 권세가 강하여 무슨 일이든 여인의 주장에 좌우되는 일이 많다고 한
원조한 대가로 연운 16주를 차 다. 그뿐 아니라 내 딸이 자식을 낳는다면 그 아이는 내게 외손자가 된다. 외손자라면 반드시 중국에 대한 침
지하였다. 지금의 베이징 일대 략을 일삼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국경 주변이 30년간 무사할 것이다.  - “정관정요” -
를 포함한다.
*철륵 : 돌궐계 부족

자료는 당이 북방 유목 민족과 전쟁을 피하기 위해 정략적으로 화번공주를 보냈음을 보여 준다.


당은 자국에 대한 적대적 행동을 방지하고자 주변국과 적극적으로 화친을 추진하고, 화번공주를
빈번하게 보냈다.

2. 북방 민족의 성장과 새로운 외교 질서


(1) 동아시아 국제 질서의 재편
❶ 중원 왕조가 정략상 인접 국가 ① 중국 : 당 멸망 후 5대 10국의 성립 → 송 건국(960) 후 중국을 통일하여 분열을 수습함
의 왕에게 시집보낸 황제나 황
② 북방 유목 민족 : 거란(요), 서하, 여진(금)의 성장 → 다원적 국제 관계 형성
족의 딸을 ( )라고 한다.
❷ 일본은 당에 대규모 사절단인
(2) 북방 민족의 성장
( )를 보내 문물을 수용
하였다. ① 거란(요)
❸ ( )은 발해를 정복하였으
건국 야율아보기가 건국(916)
며, 만리장성 이남의 연운 16주
를 차지하였다. •발해 정복
성장
•만리장성 이남의 연운 16주 차지, 송을 압박하여 전연의 맹약 체결(1004)
|정답| ❶ 화번공주 ❷ 견당사
•이원적 통치 정책 : 북면관제(유목민)ㆍ남면관제(농경민) 실시
❸ 거란(요) 정책
•고유 관습 유지 노력 : 거란 문자 사용 등

40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② 서하 탕구트족
7~13세기에 걸쳐 중국 북서부
건국 11세기 초에 탕구트족이 건국 등지에 존재하였던 티베트 계
•비단길을 통해 동서 무역 전개 통의 민족이다. 11세기 초에 탕
성장
•송과 책봉·교역을 둘러싸고 전쟁 → 화약을 맺고 송으로부터 은과 비단, 차 등을 제공받음 구트족의 이원호가 서하를 건
국하였다.
정책 서하 문자를 사용하는 등 고유 관습 유지 노력

③금
남송(南宋)
건국 아구다가 여진족을 통합하여 건국(1115) 금에 화북 지역을 빼앗긴 송의
황실과 귀족들은 남쪽으로 내
•송과 연합하여 거란(요) 공격 → 금이 거란(요) 정복(1125)
려가 남송을 건국하고 임안(항
성장 •송을 공격하여 화북 지방 차지
저우)을 수도로 삼았다. 남송과
•남송, 고려, 서하와 군신 관계 체결
구분하기 위해 이전의 송을 북
•이원적 통치 정책 : 맹안ㆍ모극제(여진족, 거란족 등)와 주현제(농경민) 실시 송(北宋)이라고도 한다.
정책
•고유 관습 유지 노력 : 여진 문자 사용 등

자료 플러스 거란(요)과 금의 이원적 지배 체제 12세기 동아시아

•관직을 북면과 남면으로 나누어 전통적인 제도로써 거란족을 다스리고, 중국의 제도로써 한인을 다스렸 중도(연경) 동해
개경
다. 요국의 관제는 간단하고 소박하였으며, 한인의 관제는 과거와 같은 복잡한 명칭을 그대로 계승하였다. 서하
고려
금 황해
요국의 관제는 북원과 남원으로 나뉘어 있었다. 북원을 중심으로 한 북면관은 궁장(宮帳)과 부족, 속국의
일을 관장하였고, 남원을 중심으로 한 남면관은 한인의 주현과 조세 징수, 군마(軍馬) 등에 관한 일을 관장
임안
하였다. - “요사” - (항저우)
동중국해

•부족장을 패근이라 하고 군대를 지휘하게 되면 맹안, 모극이라 하였는데, 군사의 많고 적음에 따라 붙여진 남송
이름이었다. 맹안은 천부장이고 모극은 백부장이다. …… 태조의 즉위 2년째에 2,500명으로 거란의 장군
대리
야율사십을 격파한 다음, 비로소 300호를 모극으로 하고, 10모극을 맹안으로 하라고 명령하였다. 남중국해
대월
 - “금사” -

유목 민족 국가인 거란(요)과 금은 한족의 문화에 동화되지 않기 위해 고유 문자를 만들어 사용하


별무반
였다. 한편 유목민과 농경민을 분리하여 통치하는 이원적 통치 제도를 시행하였다. 거란(요)은 북 고려 숙종 때 윤관의 건의에 따
면관제로 유목민을, 남면관제로 농경민을 다스렸고, 금은 맹안·모극제로 부족민을, 주현제로 농 라 여진 정벌을 위해 설치된 군
경민을 통치하였다. 대이다. 기병인 신기군과 보병
인 신보군, 승병인 항마군으로
편성되었다. 고려는 별무반의
활약으로 여진을 북방으로 몰
아낼 수 있었다.
(3) 송의 성쇠
① 문치주의 정책
•내용 : 절도사 권한 대폭 축소, 황제권 강화 추구
•결과 : 군사력 약화 초래 → 거란(요)과 서하에 물자(세폐)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평화 유지
❶ 금은 부족민을 ( )로, 농
② 남송 성립 : 금의 공격으로 변경(카이펑) 함락, 북송 멸망 → 송의 황족이 남송을 세우고 임안 경민을 주현제로 다스렸다.
(항저우)을 도읍으로 삼음 → 금과 군신 관계 체결 ❷ 금의 공격으로 북송이 멸망하
자, 송의 황족이 ( )을 건
국하고 임안(항저우)을 도읍으
로 삼았다.
(4) 고려의 대외 관계 ❸ 고려는 거란(요)의 1차 침입 당
시 서희의 외교 담판을 계기로
거란(요)과 관계 1차 침입 때 서희의 외교 담판을 계기로 강동 6주 확보, 3차 침입 격퇴 이후 친선 관계 유지
( )를 확보하였다.
•윤관이 별무반을 이끌고 여진을 정벌하여 동북 9성 축조
금과 관계
•여진이 금을 건국한 이후 군신 관계 체결 |정답| ❶ 맹안·모극제 ❷ 남송
❸ 강동 6주
송과 관계 우호 관계를 유지하며 교류 지속

04. 국제 관계의 다원화 41


동아시아사

04 국제 관계의 다원화

쇼군(정이대장군)
자료 플러스 서희의 외교 담판
본래 혼슈 동북쪽에 있던 이민
족을 정벌하기 위해 파견된 군
우리나라는 고구려의 옛 땅에서 일어난 나라이기에 나라 이름을 고려라 하고 평양에 도읍하였소. 만일 영토
대의 대장을 의미한다. 미나모
의 경계로 따진다면 그대 나라의 동경(랴오허강 중류 부근)이 모두 우리 땅이거늘 어찌 침범이라 하리오. 또
토노 요리토모가 천황으로부터
압록강의 안팎도 모두 우리 땅인데, 지금 여진이 거주하면서 두 나라 사이를 가로막고 있어 …… 만일 여진
이 직함을 받으면서 막부의 최
을 내쫓고 우리의 옛 땅을 되찾은 다음에 성을 쌓고 도로를 통하게 하면 어찌 (그대 나라와) 친선 관계를 맺
고 통치자를 지칭하게 되었다.
지 않으리오.  - “고려사”, 서희 열전 -

거란(요)은 송을 공격하기 전에 고려를 침공하였는데, 이때 고려의 서희가 거란(요)의 소손녕을 만


쿠릴타이
나 외교 담판을 벌였다. 서희는 고려가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임을 내세워 압록강 동쪽의 강동 6주
몽골에서 중요한 일을 결정하
기 위해 주요 부족장 등이 참여 를 확보하였다.
한 회의이다.

(5) 일본의 대외 관계
천호·백호제 ① 9세기 말 견당사 파견 중지 → 10세기 이후 주변국과의 공식적인 외교 관계 축소
유목민을 1천 호씩 나누어 각각 ② 민간 차원의 교류
천호장에게 맡기고, 그 아래 백
호장과 십호장을 두어 운영한
•송과의 교류 : 송의 동전을 대량으로 수입, 송 상인과 불교 승려를 통한 교류 지속
군사·행정 조직이다. •고려와의 교류 : 쓰시마를 통한 교류 지속
③ 가마쿠라 막부 시기 : 12세기 말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가마쿠라에 막부를 세우고 천황으로

쩐흥다오
부터 쇼군(정이대장군)의 직함을 받음, 주변국과 외교 관계에 소극적, 민간 교류는 지속
베트남 쩐 왕조의 장수로 소수
의 병력으로 몽골의 침입을 격 3. 몽골 제국의 등장과 동아시아
퇴하였다. 사후에 흥다오 대왕
(1) 성립 : 13세기 초, 몽골 지역에서 테무친이 몽골계 부족 통합 → 쿠릴타이에서 칭기즈 칸으로
으로 신격화되었다.
추대(1206), 예케 몽골 울루스(대몽골 제국) 수립
(2) 발전
① 칭기즈 칸 키예프
주치 울루스
카라코룸
사라이
•천호·백호제 재편(군사력 강화) 에밀
차가타이 울루스 대도

사마르칸트 동해
•서하·금 침공, 호라즘 정복(비단길 장 고려
황해
일본
훌라구 울루스
악) → 그의 후계자들은 동유럽까지 진 바그다드
호르무즈 항저우
파간 광저우
출해 유라시아를 아우르는 대제국 건설 아라비아 인도
대월 태평양
아라비아해 벵골만
② 오고타이(우구데이) 칸 : 고려 침공, 금 참파
몽골 제국의 최대 영역
정복
▲ 몽골 제국의 영토 확장
③ 쿠빌라이 칸
❶ 12세기 말 미나모토노 요리토 •카라코룸에서 대도(베이징)로 천도, 국호를 원으로 변경(1271)
모는 ( ) 막부를 세우고 •고려 복속, 일본 침공(1274, 1281), 남송 정복(1279) → 유목 민족이 중국 전역 지배
천황으로부터 쇼군의 직함을
받았다. (3) 통치 방식 : 몽골 제일주의를 바탕으로 한 지배 질서 확립(몽골인이 정치·군사 담당, 색목인이
❷ 몽골의 ( )은 호라즘을 정 재정 담당, 한인과 남인은 피지배층), 지방에 행성 설치
복하여 비단길을 장악하였다.
❸ 몽골의 ( )은 대도(베이
(4) 동아시아 각국의 대몽 항쟁
징)로 천도하고 국호를 원으로 ① 고려 : 강화도로 천도하여 장기 항전
바꾸었다.
② 대월 : 몽골의 세 차례 침략 → 쩐흥다오의 활약으로 격퇴, 이후 쩐 왕조는 전쟁을 피하기 위해
|정답| ❶ 가마쿠라 ❷ 칭기즈 칸 몽골에 조공
❸ 쿠빌라이 칸
③ 일본 : 몽골과 고려 연합군이 두 차례 일본 원정 → 가마쿠라 막부의 저항과 태풍으로 실패

42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5) 교역망의 통합과 교류의 활성화 역참 통행증
역참 이용에 필요한 통행증으
•몽골 제국의 역참 설치, 초원길·비단길 등 안정적 확보 로, 이를 소지한 사람들은 역참
•시박사 설치 : 항저우·취안저우 등, 무역 관리 에서 말과 마차, 식량 및 숙소
교역망의 통합
•동아시아 교역망 형성 : 고려, 일본, 베트남, 동남아시아 연결 를 제공받았다.
•교초 발행 : 몽골 제국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유통
•서아시아 문물 전래 : 천문학, 역법, 수학, 지도학 등
동서 교류
•마르코 폴로와 이븐 바투타의 활동 등 교초

4. 명의 건국과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


(1) 명
① 성립 : 홍건적 출신의 주원장이 난징에 도읍하여 명 건국(1368) → 몽골 세력을 초원 지역으로
축출하고 한족 문화 회복 노력
② 발전 : 영락제 때 베이징으로 천도, 몽골 공격, 정화의 항해 추진
원에서 발행한 지폐로 제국 전
자료 플러스 정화의 항해 역에서 광범위하게 유통되었다.

정화는 영락제의 명에 따라
흑해

사마르칸트
베이징
동해 1405년 첫 항해에 나선 뒤 마르코 폴로(1254~1324)
카슈가르 조선 일본
명 난징
황해
쑤저우
1433년까지 모두 7차례에 걸 원대 중국을 방문한 뒤 “동방
견문록”을 남겼다. 이 책을 통

호르무즈
푸저우
쳐 대규모 선단을 이끌고 항
류큐 해 그는 중국의 역참을 비롯한

해에 나섰다. 그의 함대는 동 새로운 문물을 유럽에 알렸다.
아덴
아라비아해
캘리컷 벵골만
태평양
남아시아, 인도, 아라비아반
꾸이년
도, 아프리카 동해안의 말린
모가디슈
세무데라 디까지 항해하였고, 여러 나 홍건적
원 말기에 봉기한 한족 농민 반
말린디
정화의 4차 항해(본대)
인도양
스리위자야
라를 조공·책봉 체제로 끌어
정화의 4차 항해(파견대) 란군으로, 머리에 붉은 두건을
들였다. 둘러 홍건적이라고 불렸다.
- “아틀라스 중국사” -

(2) 조선 : 이성계와 혁명파 신진 사대부가 조선 건국(1392)


(3) 무로마치 막부
① 성립
•가마쿠라 막부의 쇠퇴 : 몽골·고려 연합군의 침략 격퇴 → 이후 정치 혼란으로 쇠퇴
•무로마치 막부의 성립 : 무사들의 지지를 받은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막부 수립(1336)
② 남북조 분열(1336~1392) : 교토의 천황(북조)과 요시노로 피신한 천황(남조)의 대립이 약 60 ❶ 몽골은 주요 간선 도로에 일정
년간 지속 한 간격으로 ( )을 설치
하였다.
③ 남북조 통일 :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통일(1392) → 일본 열도에 대한 지배권 확립
❷ 송, 원 등은 항저우와 취안저우
(4) 국제 질서의 재편 등에 ( )를 설치하여 무
역선을 관리하게 하였다.
•주변국에 명 중심의 조공·책봉 관계 요구 → 명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국제 질서 형성(조선, 류
❸ ( ) 막부의 3대 쇼군인 아
명 큐, 여진, 일본 포함)
시카가 요시미쓰는 명 황제로
•정화의 항해 이후 동남아시아에서도 명에 조공
부터 일본 국왕으로 책봉받았다.
조선 건국 직후 요동 정벌 추진(명과 대립) → 태종 이후 명과 안정적인 조공·책봉 관계 형성
|정답| ❶ 역참 ❷ 시박사
•명과 국교 수립 : 명 황제가 무로마치 막부의 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를 일본 국왕으로 책봉
일본 ❸ 무로마치
•명과 감합 무역 전개

04. 국제 관계의 다원화 43


자료
탐구
자료 1 북방 민족의 성장

기출 자료 분석
ㅣ2019학년도 대수능ㅣ

그림은 11세기에 건국된 이 나라의 왕릉 유적이다.


비단길의 요충지를 장악한 이 나라는 송과 여러
차례 전쟁을 하였다. 이후 송과 맹약을 체결하여
매년 비단, 은, 차 등의 세폐를 받았다.

자료 분석 제시된 자료에서 11세기에 건국되었다는 점, 비단길의 요충지를 장악하였다는 점, 송과 맹약을 체결하여


세폐를 받았다는 점 등을 통해 밑줄 친 ‘이 나라’가 서하임을 알 수 있다. 서하는 탕구트족이 세운 나라로, 송으로부
터 세폐를 받을 정도로 강성하였다.
자료 공략 10세기 이후 북방 민족의 성장과 관련해서는 거란(요), 서하, 금에 대한 문제가 출제되고 있다. 이들 국가가
등장하였던 시기 동아시아 형세를 나타낸 지도, 거란(요)이나 금의 이원적 통치 체제에 대한 표와 사료 등을 이용한
문항이 출제된다. 자료에서 설명하는 국가가 어떤 국가인지를 파악하고, 해당 국가의 특징을 알아 두어야 한다.

유형 연습

1 지도의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043]

거란(요) 상경
(임황부)
㈎ 흥경 개경
동해

일본
황해 고려 헤이안쿄
(교토)
변경
(카이펑)

동중국해

대리

대월 탕롱

① 선우 아래에 좌현왕과 우현왕을 두었다.


② 비단길을 이용한 동서 교역을 통해 발전하였다.
③ 쩐흥다오의 활약으로 몽골의 침략을 격퇴하였다.
④ 부족민은 맹안·모극제, 농경민은 주현제로 다스렸다.
⑤ 거란(요)과의 외교 담판을 계기로 강동 6주를 확보하였다.

44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자료 2 원대 교역망의 통합 정답과 해설 11쪽

기출 자료 분석
ㅣ2018학년도 대수능 9월 모의평가ㅣ

자료는 (가) 에서 발행한 지폐로 수도인 대도를 중심으로 유통


되었습니다. 지폐에 쓰인 문자는 파스파 문자와 한자입니다. 이 지
폐에는 “위조한 자는 사형에 처하고, 위조하는 사람을 신고하는 자
에게는 범인의 재산 등을 상으로 준다.”라는 내용이 쓰여 있습니다.

자료 분석 제시된 자료에서 수도인 대도를 중심으로 유통되었다는 점, 파스파 문자를 사용했다는 점 등을 통해 원이


발행한 지폐인 교초임을 알 수 있다. 원대에는 고려, 일본, 베트남과 동남아시아를 연결하는 동아시아 교역망이 형
성되고 동서 교류가 활발해졌으며, 지폐인 교초가 발행되어 몽골 제국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유통되었다.
자료 공략 몽골 제국의 발전 과정에서 있었던 사실이나 동아시아 각국의 대몽 항쟁 내용, 그리고 교역망의 통합과 교
류 내용을 묻는 문제가 출제된다. 특히 몽골 제국의 역참 제도와 관련된 문제가 자주 출제된다. 몽골 제국과 관련된
내용은 물론, 몽골 제국 시기 동아시아 정세에 대해서도 정리해 두어야 한다.

유형 연습

2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044]

지폐는 당의 비전(飛錢)에서 시작되었다. …… (가) 은/는 초기에 당, 송, 금의 제도를 모방하여 지폐를 통용하였으나 기
록이 없어 상세한 내용을 알 수 없다. 중통 원년에 비로소 교초를 만들어 은 50냥을 교초 1,000냥과 통용하도록 하였다. 다른
물품의 가격은 비단을 기준으로 삼았다.

① 정화의 항해를 추진하였다.


② 두 차례에 걸쳐 일본 원정에 나섰다.
③ 송과 연합하여 거란(요)을 공격하였다.
④ 몽골 세력을 초원 지역으로 축출하였다.
⑤ 여진을 정벌하고 동북 9성을 축조하였다.

04. 국제 관계의 다원화 45


수 능 기본 문제
[20015-0045 ] [20015-0047 ]

01 다음 자료에 나타난 외교 형식에 대한 학생들의 발표로 적 03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후진 고조가 야율덕광에게 구원을 요청하고 그 대가로
•경초 2년(238) 왜 여왕 히미코가 대부 난승미(難升米) 등 연운 16주를 할양하였다. 이후 (가) 의 야율덕광
을 파견하여 조공하니 그녀를 친위왜왕(親魏倭王)에 봉 은 수도를 상경 임황부라고 하였다. - “동도사략” -
하였다. - “삼국지” - •송의 황제는 (가) 의 황제와 형제의 교분을 갖는
•보통 원년(520) 고구려 세자 안(安)이 사신을 보내 입공 다. 토산품 구입비와 군사비로 매해 비단 20만 필, 은 10
하였다. 2월 계축일에 안을 영동장군 고구려왕으로 삼았 만 냥을 보낸다. - “속자치통감장편” -
다. - “자치통감” -
① 발해를 멸망시켰다.
② 다이카 개신을 단행하였다.
ㄱ. 경제 교류를 위한 통로로 활용되었어요. ③ 맹안·모극제를 실시하였다.
ㄴ. 주대부터 주변국과의 관계에 적용되었어요. ④ 5대 10국 시대의 혼란을 수습하였다.
ㄷ. 각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중단되기도 했어요.
⑤ 선우 아래 좌현왕과 우현왕을 두었다.
ㄹ. 군사적 우위를 바탕으로 한 직접 지배를 동반하였어요.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20015-0046]

02 (가)~(라) 국가의 대외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상경


[20015-0048 ]

동해 04 다음 논의가 이루어진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황해 ㈐ 금성
㈑ 백관을 불러 모아 여진이 세운 나라를 섬길지 말지를 의논
장안 헤이조쿄
하니 모두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유독 이자겸, 척
㈎ 준경 두 사람만이 “이 나라가 과거 소국(小國)일 때는 요
동중국해 (遼)와 우리나라를 섬겼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나날이 강대
해지고 있습니다. 또 우리와는 서로 국경이 맞닿아 있어서
수도
섬기지 않을 수 없는 상황입니다.”라고 말하니, 왕이 그 말
을 따랐다.

ㄱ. (가) - (나)에 화번공주를 보냈다.


ㄴ. (나) - (가)와 조공·책봉 관계를 맺었다. ㈎ ㈏ ㈐ ㈑ ㈒
ㄷ. (다) - (가)와 조공 관계만을 맺었다. 고려 송 전연의 윤관, 테무친, 무로마치
ㄹ. (라) - (나), (다)와 사신을 교환하였다. 건국 건국 맹약 체결 동북 9성 칭기즈 칸으로 막부 수립
개척 추대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46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정답과 해설 11쪽

[20015-0049] [20015-0051]

05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7 (가), (나) 시기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중서문하성이 아뢰기를, “아구다가 세운 (가) 의침 (가) 몽골군이
 배에서 내려 말을 타고 깃발을 높이 들고 쳐
공을 받아 거란(요)이 곧 멸망할 지경에 이르렀으니, 그들 들어왔다. …… 일본군이 전열을 가다듬어 쳐들어가
의 연호를 쓸 수가 없습니다. 지금부터는 공사 문서에 천경 면, 그 가운데를 뒤로 물리고 양쪽 끝에서 포위해 남김
(天慶)이라는 연호를 빼고 간지(干支)만을 써야 되겠습니 없이 도륙하였다.
다.”라고 하니 왕이 이 건의를 따랐다. - “고려사” - (나) 일본의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황제 폐하께 국서를 올립
니다. …… 예로부터 전해오는 법규에 따라 상인 고이
① 북면관·남면관제를 실시하였다. 즈미를 승려 소아와 함께 동행하게 하고 친교를 맺고
② 몽골 침략에 맞서 강화도로 천도하였다. 자 토산물을 헌상합니다.

③ 남북조를 통일하고 대운하를 건설하였다.


① 주원장이 명을 건국하였다.
④ 몽골과 고려 연합군의 공격을 격퇴하였다.
② 고려가 몽골과 강화를 맺었다.
⑤ 송을 무너뜨리고 화북 지역을 지배하였다.
③ 변경(카이펑)이 함락되어 북송이 멸망하였다.
④ 일본이 견당사를 파견해 선진 문물을 수용하였다.
⑤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정이대장군의 직함을 받았다.

[20015-0052]

08 밑줄 친 ‘항해’가 이루어진 시기의 동아시아 정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 배는 영락제 때 정화의 항해에서 대규모 선단이


이용한 보선을 복원한 것입니다. 길이가 130여m나
되는 대형 선박이었다고 합니다.

[20015-0050 ]

06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초봄에 그는 흰 깃발을 세우고 많은 사람들과 함께 장엄하
게 쿠릴타이를 열어 축복을 받으며 보좌에 앉았다. 콩코탄
종족 출신인 뭉릭 에치게의 아들 쿠케추가 강하고 단단하
다는 뜻의 ‘칭’의 복수형인 ‘칭기즈’를 칭호로 올렸다.

① 남송을 정복하였다. ① 한국 - 요동 정벌을 추진하였다.


② 분서갱유를 단행하였다. ② 중국 - 한화 정책을 실시하여 호한 융합을 도모하였다.
③ 장건을 대월지에 파견하였다. ③ 중국 - 혈연관계에 바탕을 둔 봉건제로 지방을 통치하였다.
④ 절도사의 권한을 축소하였다. ④ 일본 - 중국과 감합 무역을 전개하였다.
⑤ 호라즘을 정복하고 비단길을 장악하였다. ⑤ 일본 - 남북조의 분열 시기가 지속되었다.

47
04. 국제 관계의 다원화
수능 실전 문제
20015-0053
1 다음 자료를 모두 활용해 내릴 수 있는 결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동부여는 옛적에 추모왕의 속민이었는데 중간에 배반하여 조공을 하지 않자, 왕이 친히 군


대를 끌고 가 토벌하였다.  - 광개토 대왕릉비문 -
•백제의 동성왕이 탐라에서 공납과 조세를 바치지 않으므로 직접 치려고 무진주에 이르렀다.
 - “삼국사기” -
•왜 사신이 가져온 국서에 이르기를, “해 뜨는 곳의 천자가 해 지는 곳의 천자에게 글을 보내
노라. 평안하신가? ”라고 하였다.  - “수서” -

① 유목민과 농경민의 교류가 활발하였다.


② 도왜인이 야마토 정권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③ 중원 왕조 중심의 조공·책봉 관계가 형성되었다.
④ 동아시아 각국은 자국 중심의 천하관을 갖고 있었다.
⑤ 한반도에서의 인구 이동이 새로운 국가의 수립으로 이어졌다.

20015-0054
2 (가) 국가의 대외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발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가) 이/가 두 나라와 모두 교통하였다. 북주 사람들이 동쪽을 근심하며 북제가 그들


과 좋아하는 관계가 깊어질까 두려워하였고, 북제가 서쪽을 걱정하며 북주와 그들의 교류가
두텁게 될까 하여 두려워하였다. 오랑캐 뜻의 경중에 따라 나라의 안위가 달려 있다고 여겼
으며, 큰 적에 대한 근심은 있지 않았고 변방의 방비를 덜려고만 생각하였다.
•수 문제 개황 17년에 (가) 의 돌리 가한이 사신을 보내 공주를 보내 달라고 하였다.
황제는 사신을 태상시에 머무르게 하고 그들에게 육례를 가르친 다음, 종실의 딸인 안의 공
주를 돌리 가한에게 시집보냈다. - “수서” -

① 당의 화번공주를 받아들였어요.
② 당과 연합하여 백제를 멸망시켰어요.
③ 해로를 통해 견당사를 파견하였어요.
④ 백강에서 당의 군사와 전투를 벌였어요.
⑤ 당의 간섭에 대항하여 나·당 전쟁을 벌였어요.

48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정답과 해설 13쪽

20015-0055
3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미 거란과 우호 관계를 맺어 변방에 위급한 일이 없게 되어 백성이 생업에 안정되어 있으니


이런 방법으로 나라를 보전하는 것이 상책입니다. 지난 경술년에 보내왔던 거란의 문죄서(問
罪書)에서 말하기를 “너희 고려가 동으로 여진과 결탁하고 서로는 (가) 와/과 왕래하니
이것이 무슨 꾀를 쓰고자 함인가? ”라고 하였으며, …… 만일 거란과 국교를 영원히 끊지 않으
려면 (가) 와/과 사절을 교환해서는 안 됩니다.  - “고려사” -

① 맹안·모극제로 부족민을 다스렸다.


② 11세기 초에 탕구트족에 의해 세워졌다.
③ 선우 아래에 좌현왕과 우현왕을 두었다.
④ 문치주의 정책을 펴 절도사의 권한을 축소하였다.
⑤ 몽골 세력을 몰아내고 한족 문화를 회복하려고 노력하였다.

20015-0056
4 지도의 형세가 나타난 시기 (가), (나) 국가의 대외 교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중도(연경) 동해
개경

황해
㈎ ㈏
헤이안쿄
(교토)

임안
(항저우)
동중국해

남중국해
수도

① (가) - 외교 담판을 통해 강동 6주를 확보하였다.


② (가) - 송과 책봉 문제를 둘러싸고 전쟁을 벌였다.
③ (나) - 위에 조공하고 친위왜왕의 칭호를 받았다.
④ (나) - 송의 동전을 대량으로 수입하여 유통시켰다.
⑤ (가), (나) - 군사적 우위를 바탕으로 송과 맹약을 체결하였다.

49
04. 국제 관계의 다원화
수능 실전 문제

20015-0057
5 다음 자료의 상황이 나타나게 된 배경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6월 삼별초 지유 김세충이 문을 밀치고 들어가 실권을 잡고 있던 최우에게 힐문하기를, “개경


은 태조 때부터 역대로 지켜 내려와 무려 2백여 년이 되었습니다. 성이 견고하고 군사와 양식
이 족하니, 마땅히 힘을 합하여 지켜 사직을 보위할 것인데 이곳을 버리고 장차 어디에 도읍하
겠다는 것입니까.” 하였다. 최우가 수성책을 물으니 김세충이 능히 대답하지 못하였다.
7월 왕이 개경을 출발하여 승천부에 머물고 다음 날 강화의 객관에 들었다. 이때 장맛비가 열
흘이나 계속되어 흙탕물이 정강이까지 차고, 사람과 말이 엎어지고 넘어졌다. 고위 관리와 양
가의 부녀자들 중에서 맨발로 이고 지고 가는 사람까지 있었다.

① 몽골이 고려를 침략하였다.


② 윤관이 동북 9성을 개척하였다.
③ 흉노가 한의 군대를 격퇴하였다.
④ 금이 고려에 군신 관계를 요구하였다.
⑤ 5호가 화북 지역에 여러 나라를 세웠다.

20015-0058
6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그는 유병충에게 명하여 환주 동쪽과 난수 북방의 지세를 살피게 한 다음 용강에 성곽을 건설


하게 하였다. 그 작업이 3년 만에 끝나자 개평부라 부르고, 이어 상도로 승격시켰으며, 연주를
중도로 삼았다. 지원 4년에 다시 유병충에게 명하여 중도성을 쌓게 하고 그 안에 처음으로 종
묘와 궁전을 지었다. 지원 8년에 유병충의 상주에 따라 국호를 대원이라 하고 중도를 대도(大
都)라 하였다.

① 서하를 침공하였다.
② 정화의 항해를 추진하였다.
③ 쇼군(정이대장군)의 칭호를 받았다.
④ 두 차례에 걸쳐 일본 원정을 단행하였다.
⑤ 호라즘을 정복하고 비단길을 장악하였다.

50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정답과 해설 13쪽

20015-0059
7 밑줄 친 ‘이 나라’에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이 도시는 이 나라의 동남쪽에 위치해 있다. 주민들은 우상 숭배자이며 대칸에 복속하고 있
고 지폐를 사용한다. 강가에 있는 이 도시에서는 많은 양의 곡물과 쌀이 집적되고, 이 도시
에서 저 멀리 대칸의 궁정이 있는 대도시 캄발룩까지도 수로로 운반된다.
•이 나라에서 누군가가 캄발룩을 출발하여 내가 말하는 그 길들을 따라 25마일 정도 가면, 역
참 하나를 만나게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것은 그들의 언어로 잠(jam)이라고 부르는데,
우리 말로는 말이 준비된 역을 뜻한다.

① 전방후원분 건설에 동원된 농민


② 여진 정벌에 나선 별무반 소속 군사
③ 흉노의 선우에게 시집가는 화번공주
④ 교초를 이용해 상품을 거래하는 상인
⑤ 선비어 사용 금지 명령을 내리는 황제

20015-0060
8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의 동아시아 정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황제가 말하기를 “조선은 수도로부터 압록강에 이르기까지의 요충지에 비축하는 군량이 역


마다 1, 2만 석 또는 7, 8만 석, 10여만 석에 이른다고 한다. 하지만 랴오둥은 군량이 모자라
군사들이 굶주리고 있다. 만일 조선이 20만 군을 내어 쳐들어오면 우리 군대가 어떻게 대응
하겠는가? ”라고 하였다.
•정도전이 남은과 깊이 결탁하여 상서하기를, “사졸(士卒)이 이미 훈련되었고 군량이 이미
갖추어졌으니, 동명왕의 옛 강토를 회복할 만합니다.”라고 하였다.

① 지배층이 수도를 강화도로 옮겼다.


② 송이 5대 10국 시대의 혼란을 수습하였다.
③ 유목 국가인 원이 중국 전역을 지배하였다.
④ 명이 주변국에 조공·책봉 관계를 요구하였다.
⑤ 무로마치 막부가 중국과 감합 무역을 중단하였다.

51
04. 국제 관계의 다원화
05
동아시아사

유학과 불교

조·용·조 1. 율령과 유교에 기초한 통치 체제


수·당대에 정비된 수취 제도
이다. 곡물을 납부하는 조(租),
(1) 율령과 유교
성인 남자에게 부과하는 노역 ① 율령의 의미 : 넓은 지역을 다스리는 일률적 통치 기준, 국가 통치 조직·관리 복무 사항·백성
이나 노역 대신 직물을 내게 하
의 조세와 노역 등을 규정
는 용(庸), 비단이나 삼베를 부
과하는 조(調)를 말한다. •율 : 범죄 행위와 처벌을 규정하는 형벌 위주 법률
•영 : 국가의 조직과 운용, 신분과 수취 제도 등을 규정한 행정 위주 법률
② 법가의 발전
부병제 •전국 시대 법가 사상가 활약(상앙, 이사 등)
균전제에 따라 토지를 지급받 •진시황제 : 법치에 입각한 정책, 진의 법률을 한이 계승
은 농민에게 군역의 의무를 부
③ 유교 통치 이념
과한 병농 일치의 제도이다.
•유교 윤리 : 군주에 대한 충성을 강조, 가족 및 향촌 질서 유지
•한 무제가 동중서의 건의를 받아들여 유교를 국가 통치 이념으로 삼음, 태학 설립
④ 법가와 유가의 결합 : 한대에 정교한 법의 통제와 가족 및 공동체 질서를 존중하는 사고가 율
령에 반영 → 수·당대에 이르러 율령 체제 완성

(2) 수·당의 통치 제도
① 율·영·격·식 완성 : 율령에 격(율령 추가·보완)과 식(구체적 시행 세칙)을 추가
② 3성 6부 : 3성(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이 황제
조 용 조
의 통치를 보좌, 6부가 행정 업무 담당
③ 형벌 : 귀천·존비·장유에 따라 형벌에 차등 당 조정
균전제
농민
토지 지급
④ 토지 및 수취 제도
부병제 잡요
균전제 농민에게 일정 면적의 토지 지급 ·병농 일치의 군사 제도 지방 관청에서
·무기와 의복은 본인 부담 부과하는 노역
조·용·조 토지를 받은 농민이 국가에 부담한 세금
부병제 성인 남자의 군역 의무 ▲ 당의 수취·토지·군사 제도

⑤ 과거제로 관리 선발

자료 플러스 당률의 성격

•무릇 주인이 부곡을 구타하여 죽였다면 도형 1년에 처한다. 고의로 죽였다면 1등을 더한다. 그러나 (부곡이)
잘못을 범하여 처벌하다가 죽였거나 과실로 죽였다면 각각 논죄하지 않는다.
•무릇 조부모나 부모에게 욕하였다면 교수형에 처한다. 구타하였다면 참수형에 처한다. …… 자손이 가르침
❶ 한 무제는 동중서의 건의를 받
이나 명령을 위반하여 조부모나 부모가 구타하여 죽였다면 도형 1년 반에 처한다.
아들여 ( )를 통치 이념
 - “당률소의” -
으로 삼았다.
❷ 당은 중앙 관제로 ( )를
당률에 규정된 형벌은 유교 사상의 귀천, 존비, 장유 등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되었다. 윗사람이
설치하여 황제의 통치를 보좌
하고 행정을 담당하게 하였다. 아랫사람보다, 양인이 천인보다, 남편이 아내보다 법적 지위가 우월하였다. 그래서 전자가 후자를
❸ 당 은 균 전 제 를 바 탕 으 로 범하면 처벌이 가벼웠지만, 후자가 전자를 범하면 중죄에 처하였다.
( )의 수취 제도를 운영
하였다.
(3) 유교와 율령의 동아시아 전파
|정답| ❶ 유교 ❷ 3성 6부 ① 각국의 유교와 율령 수용 : 통치 기구와 이념·관료 선발·교육 제도에 영향, 동아시아 문화권
❸ 조·용·조
형성에 영향, 각국의 신분 질서와 관습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국의 율령 수용

52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② 한반도의 수용 모습 독서삼품과
신라에서 국학의 학생을 대상
•신라 : 골품제를 유지하면서 독서삼품과를 실시하여 관리 선발에 활용
으로 시행한 제도이다. 학생들
•발해 : 당과는 명칭이나 운영 방식이 다른 3성 6부제 시행 을 유교 경전 이해 능력에 따라
③ 일본 : 다이카 개신(소가씨 제거, 당의 율령 체제 수용 시도), 다이호 율령 반포(2관 8성, 제사 3등급으로 구분하여 관리 선발
에 활용하였다.
를 담당하는 신기관 설치, 지방에 국·군·리를 두어 중앙 집권적 국가 체제를 꾀함)

자료 플러스 동아시아 각국의 중앙 관제


다이호 율령
701년 일본이 당의 율령을 참
황제 왕 천황
조하여 만든 율령이다. 2관 8성
의 중앙 관제와 국·군·리의

중정대

문적원

주자감
3성
국자감
어사대

비서성

신기관 태정관 탄정대 오위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 중대성 선조성 정당성 지방 행정 체제가 담겨 있다.
제사 행정 감찰 궁성 경비
정책 입안 정책 심의 행정 집행

6부 좌사정 우사정 좌변관 우변관

이부 호부 예부 병부 형부 공부 충부 인부 의부 지부 예부 신부 중무성 식부성 치부성 민부성 병부성 형부성 대장성 궁내성 전시


문관 조세, 외교, 사법, 토목, 문관 재정, 교육, 사법, 토목, 조서 인사, 의례, 사법, 궁중
군사 군사 조세 군사 재정 황제가 과거의 최종 시험을 직
인사 재정 교육 형벌 건축 인사 경제 외교 형벌 건축 작성 교육 외교 형벌 업무
접 주관하는 제도로 송대에 본
▲ 당의 중앙 관제 ▲ 발해의 중앙 관제 ▲ 일본의 중앙 관제
격적으로 시행되었다. 황제권
당의 율령 체제가 주변 국가로 전해지면서 각국의 중앙 관제도 당의 중앙 관제에 영향을 받아 정 의 강화에 기여하였다.

비되었다. 발해는 당의 3성 6부제를 기반으로 관제를 편성하였으나 정당성 아래 좌사정과 우사정


을 두고 각각 3부씩 나누어 운영하는 등 나름의 독자성을 띠었다. 일본 역시 제사를 담당하는 신
원효
기관과 행정을 담당하는 태정관을 설치하고, 태정관 아래 8성을 두는 등 중국과는 다른 독자성을 ‘나무아미타불’을 열심히 외우
보였다. 면 죽어서 극락정토에서 다시
태어날 수 있다는 아미타 신앙
을 보급하여 불교 대중화에 공
(4) 과거제의 발전 헌하였다.

•수 : 과거제 시작(유교 경전 시험을 통해 관리 후보 선발)


중국
•송 : 황제가 시험을 직접 주관하는 전시 제도 정례화
•고려 : 광종 때 쌍기의 건의로 도입
한반도
•조선 : 문과, 무과, 잡과 실시
과거제의 영향 새로운 학자 관료층 성장, 학문적 능력 중시, 유학 발전, 귀족 세력을 견제하고 군주권 강화

2. 불교의 전파와 문화 교류
(1) 대승 불교
❶ 신라는 유교 경전 이해 능력을
① 성립 : 기원전 1세기경 일반 신도를 중심으로 이타행 강조, 부처(석가모니) 신격화, 부처의 자
시험하는 ( )를 시행하여
비로 중생이 구제될 수 있다고 주장 관리 선발에 활용하였다.
② 전파 : 주로 중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에 전파 ❷ 일본은 ( ) 율령을 반포
하고 2관 8성의 중앙 관제를
•중앙아시아를 거쳐 화북에 전파 운영하였다.
중국
•황제의 권위를 드러내기 위해 많은 사찰과 거대한 불상 건립
❸ 수대에 관리 후보 선발을 위한
•삼국 시대 중앙 집권 체제 확립 과정에서 불교 수용 제도로 ( )를 처음 시행
•고구려는 소수림왕 때 전진에서, 백제는 침류왕 때 동진에서 수용, 신라는 5세기 고구려를 통해 하였다.
한국
수용했으나 법흥왕 때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공인 → 왕실과 귀족 중심으로 발전 ❹ 일본은 ( )로부터 불교를
•통일 신라 시대 원효, 의상에 의해 대중화 수용하였다.
•6세기 중엽 백제에서 전래, 토착 신앙과의 갈등 속에 보급
|정답| ❶ 독서삼품과 ❷ 다이호
일본 열도 •왕실과 유력 가문의 권력 과시를 위해 대규모 사찰 건립
❸ 과거제 ❹ 백제
•한반도의 영향 : 호류사 건축, 고류사의 목조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등

05. 유학과 불교 53
동아시아사

05 유학과 불교

부모은중경 (2) 불교의 토착화


불교가 성립된 인도에는 없던
① 국가 불교 성격
경전이다. 부모의 크고 깊은 은
혜에 보답해야 한다는 유교의 •군주가 부처라는 논리로 왕권 강화, 사회 안정
가르침을 담은 경전으로 중국 •국가의 지원과 주도로 대장경 제작, 사찰과 거대한 불상 건립(윈강·룽먼 석굴 사원, 황룡사와
에서 만들어져 한국과 일본 등
지에 전해졌다. 석굴암, 도다이사 등)

신토(신도)
현재까지 일본 사람들이 믿고
있는 전통적 신앙이다. 각종 씨
족신, 지방신, 태양신 등을 숭
배한다.
▲ 윈강 석굴 사원의 대불 ▲ 석굴암 본존불 ▲ 도다이사 대불

② 전통 사상이나 고유 신앙과 결합
신불습합
신토와 불교, 또는 신토의 신과
•유교 윤리 수용 : “부모은중경”(유교의 덕목인 효를 강조한 새로운 경전) 간행
부처의 융합을 뜻한다. •토착 신앙과 결합 : 산신·칠성·용 신앙과 결합, 사찰 내에 산신각이나 칠성각을 세움
•일본 신토(신도)와 결합 : 부처도 여러 신 중의 하나로 인식, 신토의 신들이 부처나 보살로 나
타남, 신불습합으로 이어짐
③ 선종의 발달
•특징 : 직관적 깨달음과 참선 중시
•확산 : 신라 말 호족의 지원, 가마쿠라 시대 무사 사회에 유행

자료 플러스 불교의 토착화

▲ 부모은중경 ▲ 산신각 ▲ 하치만 신상

불교는 동아시아에 뿌리내리면서 전통 사상이나 신앙과 결합하기도 하였다. “부모은중경”은 인도


에 없던 경전으로 유교의 효 사상을 반영하였다. 한반도에서는 토착 신앙과 결합하여 사찰 안에
산신각이나 칠성각이 건립되기도 하였다. 일본에서는 하치만 신상과 같이 신토의 신을 불교의 신
❶ ( )은 유교의 효 사상을
으로 간주하기도 하였다.
반영한 불교 경전이다.
❷ ( )은 일본의 신토와 불 (3) 불교문화의 발전과 확산
교의 융합을 의미한다.
❸ 신라 말 호족의 지원으로 직관
① 불교 예술 : 불상, 불화(회화 기법의 발전), 범종 등
적 깨달음을 중시하는 ( ) ② 건축 : 사찰과 탑의 제작[중국의 전탑(벽돌탑), 한국의 석탑, 일본의 목탑 발달], 기단, 주춧돌,
이 유행하였다.
기와 사용
|정답| ❶ 부모은중경 ❷ 신불습합 ③ 목판 인쇄술 : 신라의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일본의 백만탑다라니경, 송·거란(요)·금의 대장
❸ 선종
경, 고려의 팔만대장경

54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4) 인적·지적 교류의 증대 대당서역기
당의 승려 현장이 인도 구법 여
① 불교문화 교류 : 사찰(교류와 지식 전파의 장소), 승려(구법 활동, 지식인으로 국제 교류)
행 중에 겪었던 일을 남긴 책으
② 승려들의 활동 로 장안을 출발하여 인도에 다
녀온 여정을 담고 있다.
현장 인도에 유학하고 불경을 가져와 번역, “대당서역기”를 남김

감진 일본에 건너가 계율을 전함
고구려 혜자 일본 쇼토쿠 태자의 스승 거경궁리와 격물치지
의상 당에 유학하고 귀국하여 신라 화엄종 개창 성리학의 수양 방법이다. 잡념
신라 이나 망상을 끊은 상태에서 마
혜초 인도와 중앙아시아를 순례하고 “왕오천축국전” 저술
음에 본래 있는 이(理)를 밝히
일본 엔닌 당에 유학, 적산 법화원에 머물며 장보고의 도움을 받음, “입당구법순례행기” 저술 는 것을 거경궁리(居敬窮理)라
하고, 사물의 의미를 끝까지 탐
구하여 깨달음을 얻는 것을 격
3.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
물치지(格物致知)라고 한다.
(1) 당의 개방성 : 국제 도시 장안(발해 상경성, 일본 헤이조쿄 구조에 영향), 각국의 사신·상인·
승려·예술가 등 외국인 체류, 신라방·발해관 등 설치
사서집주
(2) 교류 활성화 : 신라의 장보고가 청해진을 거점으로 당–한반도–일본을 잇는 해상 교역 주도,
주희가 사서인 “논어”, “맹자”,
발해도 당·신라·일본과 교류 “대학”, “중용”에 주석을 달아
(3) 일본의 견당사 파견 : 당의 문물 수용, 일본에 당풍 유행 편찬한 책이다. 절대적 권위를
가진 성리학 교재(경전)로 통용
(4) 동아시아 문화권 형성 : 율령·유교에 기초한 통치 체제, 불교, 한자 등 공유
되었다.

4. 성리학의 성립
(1) 성리학
① 송대 이전 유학
한 유학의 관학화(통치 이념 역할), 훈고학 발달
남북조 불교와 도교의 융성으로 약화
수·당 과거제 시행으로 부흥, 당대 “오경정의” 편찬으로 훈고학 집대성

② 송대 성리학 성립
•배경 : 사대부층의 성장(과거를 통해 관직 진출, 황제 중심의 문신 관료 체제하에 새로운 지배
층으로 성장), 거란(요)과 금의 압박으로 송대 한족의 민족의식 강화(중화사상, 화이관 중시)
•성립 : 유학이 불교와 도교의 형이상학적 논리 체계 수용(이론적 탐구와 수양 강조 경향) → 우
주 원리와 인간 본성을 탐구하는 신유학 대두
•주희(주자) : 성즉리 주장, 거경궁리와 격물치지를 수양 방법으로 제시, 성리학 집대성, 오경
보다 사서 중시, “사서집주”·“근사록” 편찬

자료 플러스 성리학의 특징 ❶ 8세기에 당의 승려 ( )은


일본에 건너가 계율을 전하
성(性)은 곧 이(理)이다. 천하의 이는 그 시작하는 곳을 살펴보면 선이 아닌 것이 없다. 희로애락이 밖으로 나 였다.
타나기 전에는 무엇이든 선하지 않은 것이 없다. 밖으로 나타나서 절도에 맞는다면 또한 선하지 않은 것이 ❷ 당대에는 ( )가 편찬되어
없다. - “근사록” - 훈고학이 집대성되었다.
❸ 남송의 ( )가 성리학을
주희는 만물의 근본 원리인 ‘이(理)’를 중시하였다. 특히 인간과 만물이 하늘로부터 받은 본질인 ‘성 집대성하였다.
(性)’이야말로 모든 인간과 자연의 본질인 ‘이’와 같은 것이라 이해하여 성즉리(性卽理)를 주장하였
|정답| ❶ 감진 ❷ 오경정의
다. 그리고 인간 본성을 회복하기 위한 실천적 수양 방법으로 ‘거경궁리’와 ‘격물치지’를 강조하였다. ❸ 주희(주자)

05. 유학과 불교 55
동아시아사

05 유학과 불교

주자가례 ③ 성리학의 영향
사대부 집안의 예법과 의례를
•“주자가례”와 “소학”의 보급 : 동아시아에 성리학적 가치관 확산
정리하여 편찬한 책으로 관례,
혼례, 상례, 제례의 네 가지 의 •대의명분론과 화이관 강조
례로 구성되었다. ④ 성리학의 보급
•서원 : 선현 제사와 후학 양성을 위한 사설 교육 기관, 사대부 결집에 영향
심즉리 •향약 : 상부상조 정신과 유교 윤리가 결합된 향촌의 자치 규약 → 서민에게 성리학적 규범이
주자의 성즉리에 맞서 왕수인 확산되는 데 기여
등이 주장하였다. 인간 마음이
•명·청대 신사층이나 조선 시대 양반층에 의해 유교 의례와 이념 확산
곧 천리(天理)임을 믿고 적극적
으로 실천하자는 주장이다.
(2) 양명학의 발전
① 등장 배경 : 성리학이 과거 합격에 치중, 사회 모순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함
강항 ② 왕수인(왕양명) : ‘마음이 곧 이(理)’라는 심즉리 강조, 인간은 본질적으로 평등하고, 앎과 실천
정유재란 때 포로로 일본에 끌
을 일치시켜야 한다는 지행합일 주장
려간 조선의 유학자로 후지와
라 세이카를 만나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5. 성리학의 확산
(1) 한반도
① 전래와 기능
•13세기 말 안향 등이 원으로부터 고려에 도입함, 신진 사대부에 의해 확산
•고려 말 신진 사대부가 추진한 개혁의 사상적 기반 → 불교와 권문세족 비판
•조선 건국의 이념적 기반, 국가 통치 이념, 각종 사회 의례의 기준
② 성리학의 이해 심화 : 우주론과 인간 심성 문제 논쟁, 학파를 통해 붕당 형성
③ 사림의 성장 : 서원과 향약 보급, 이황(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이이(통치 체제 정비와 수취
제도 개혁 방안 제시)의 성리학 연구
④ 성리학적 사회 질서 확산 : “주자가례”에 의한 관혼상제 확산, 부모 삼년상, 가묘와 사당 건
립, 장자 중심의 상속과 제사 확산

(2) 일본
① 전래 : 가마쿠라 시대 후기에 전래되어 승려들 사이에서 연구
② 에도 시대 성리학의 발전
•후지와라 세이카 : 조선의 강항과 교유, “사서오경왜훈” 집필
•하야시 라잔 : 성리학을 바탕으로 에도 막부의 각종 제도와 의례 정비, 성리학이 관학으로 자
❶ 성리학은 서원과 ( )을
통해서 보급되었다. 리 잡는 데 기여
❷ 성리학에 대한 반발로 심즉리
와 지행합일을 강조하는 자료 플러스 하야시 라잔의 성리학
( )이 발전하였다.
❸ 고려 말 ( )는 성리학을 인간 세계는 만사가 상하 관계 또는 전후 관계로 이루어지게 마련이다. 이러한 진실을 순순히 인정하고 세계
사상적 기반으로 삼아 개혁을 를 예(禮)의 마음으로 꽉 채운다면 군신 관계가 어지럽지 않고, 그에 따라 마땅히 인간 사회 또한 평화롭게 안
추진하였다. 정될 것이다. - 하야시 라잔, “삼덕초” -
❹ ( )는 강항과 교유하고
“사서오경왜훈”을 집필하였다. 후지와라 세이카의 제자인 하야시 라잔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등용되어 에도 막부의 각종
제도와 의례를 정비하는 데 공헌하였다. 상하 신분 질서를 강조하는 성리학적 명분론은 무사 중심
|정답| ❶ 향약 ❷ 양명학 ❸ 신진
사대부 ❹ 후지와라 세이카 의 신분 질서를 정비하는 데 이용되었다. 이후 성리학은 에도 막부의 관학으로 자리 잡았다.

56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자료
탐구
자료 1 7~9세기 동아시아 승려들의 활동 정답과 해설 15쪽

기출 자료 분석
ㅣ2019학년도 대수능 9월 모의평가ㅣ

“왕오천축국전”은 1908년 중국 둔황 천불동에서 프랑스인 펠리오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


것은 (가) 이/가 여러 해 동안 인도와 중앙아시아 등지를 순례하며 보고 들은 내용
을 기록한 것으로, 당시의 지리, 식생, 문화, 언어 등을 알려 주는 귀중한 여행기이다.

자료 분석 자료는 “왕오천축국전”에 대한 설명이다. 통일 신라의 승려 혜초가 인도와 중앙아시아를 순례하고 저술한


“왕오천축국전”은 중국과 서역의 교통로에 있던 둔황에서 발견되었다. 고대 동아시아 사회에서 승려는 단순한 종교
인이 아니라 최고 지식인으로서 각 지역을 돌아다니며 국제적인 활동을 펼쳤다. 이들은 당대 지식과 기술의 전파에
큰 역할을 하였다.
자료 공략 동아시아 각국의 승려들이 펼친 활동을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되고 있다. 당의 현장과 감진, 일본의 엔닌,
신라의 원효와 의상, 혜초, 고구려의 혜자 등이 출제의 빈번한 소재이다. 이들이 벌인 활동과 저술을 파악하고 있어
야 한다.

유형 연습

1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061 ]

그는 신라의 승려로 복잡한 수행을 통해서가 아니라 염불만으로도 구제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때문에 많은 신라 사람
이 ‘나무아미타불’을 외우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그가 해골에 담긴 물을 마시고, ‘이 세상의 온갖 현상은 모두 마음에서 일어나
며, 모든 법은 오직 인식일 뿐이다. 마음 밖에 법이 없는데, 어찌 따로 구할 필요가 있겠는가.’라는 깨달음을 얻었다는 일화가 전
해진다. 그의 주요 사상은 ‘도는 모든 존재에 미치지만, 결국은 하나의 마음의 근원으로 돌아간다.’라는 일심 사상과, 종파들의
서로 다른 이론을 인정하면서도 이들의 대립을 좀 더 높은 차원에서 통합하기 위해 노력한 화쟁 사상이라 할 수 있다.

① 불교 대중화에 공헌하였다.
② 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하였다.
③ 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
④ 일본에 건너가 계율을 전하였다.
⑤ 인도를 순례하여 불교 연구에 힘썼다.

05. 유학과 불교 57
자료
탐구
자료 2 성리학 정답과 해설 15쪽

기출 자료 분석
ㅣ2019학년도 대수능ㅣ

송의 유학자들은 오경보다 사서를 더 중시하였다. 그는 이러한 사상적 흐름 속에서 “대학”


을 새롭게 해석하여 “대학장구”라 하고, “중용”에 대한 새 해석을 더해 “중용장구”라고 하
였다. 또한 그는 “논어”와 “맹자”에 대한 새로운 주석서로서 “논어집주”와 “맹자집주”를
저술하였다.

자료 분석 자료는 주희에 대한 설명이다.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희는 성즉리를 주장하고 실천적 수양 방법으로 거경궁
리와 격물치지를 강조하였다. 특히 유학의 경전으로 중시되던 오경보다 사서인 “대학”, “중용”, “논어”, “맹자”를
더 높이 평가하여, 여기에 주석을 단 “사서집주”를 편찬하였다. 이후 “사서집주”는 성리학의 절대적 권위를 가진 책
으로 인식되었다.
자료 공략 성리학의 발전 부분에서는 주희의 사상을 묻는 문제가 많이 출제된다. 성리학의 특징을 묻거나 주희라는
인물 자체를 묻기도 한다. 또한 성리학과 관련된 각 국가의 인물이나 확산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 등이 주요 출제 소
재가 되고 있다.

유형 연습

2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062]

그는 학문을 연마하는 데 있어서 무엇보다 힘써야 할 것이 사서를 공부하는 것이라 하여 “사서집주”를 편찬하는 등 성리학을
집대성하였다. 사서에 주석을 붙인 “사서집주”는 이후 유학자들에게 절대적 권위를 가진 책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어린아이를
위해 성리학의 기본 개념과 수행 방법, 예절 등을 담은 “소학”을 제자들에게 편찬하도록 하였다.

① 오경정의를 편찬하였다.
② 사서오경왜훈을 집필하였다.
③ 고려에 성리학을 소개하였다.
④ 거경궁리와 격물치지를 중시하였다.
⑤ 성즉리에 맞서 심즉리를 강조하였다.

58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수 능 기본 문제 정답과 해설 15쪽

[20015-0063]
[20015-0065]

01 밑줄 친 ㉠의 사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03 (가) 승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율령 체제는 통치 기구, 교육 제도, 관리 임용 제도, 수취
제도, 군사 제도 등 국가의 통치 체제 전반을 제도화한 것
이었다. 수·당대의 율령 체제는 동아시아 각국으로 확산
되었다. ㉠각국은 수·당의 율령 체제를 수용하면서도 자
국의 현실에 맞게 변용하여 적용하였다.

① 고조선 - 상, 대부, 장군을 임명하였다.


② 신라 - 독서삼품과를 실시하였다.
③ 발해 - 정당성 아래 6부를 이원적으로 운영하였다.
④ 고려 - 2성 6부제를 시행하였다.
▲ “서유기”를 통해 잘 알려진 ▲ (가) 이/가 인도에서 가
⑤ 일본 - 2관 8성을 설치하였다. 승려 (가) 을/를 그린 그림 져온 불경과 불상을 보관하기
이다. 그는 인도 날란다 사원에 위해 건립된 탑이다. 벽돌로 만
서 불교를 연구하고 많은 경전 들어졌으며, 현재 높이는 약
을 중국으로 가져왔다. 64m이다.

① 대당서역기를 남겼다.
② 일본에 계율을 전하였다.
③ 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하였다.
④ 견당사를 따라 당에 들어갔다.
⑤ 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

[20015-0064 ]

02 (가) 국가에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20015-0066 ]

04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일본은 (가) 에서 공부한 유학생 등을 중심으로
(가) 의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군주 중심의 그는 스승 후지와라 세이카의 추천으로 쇼군 도쿠가와 이
정치 개혁을 도모하였다. 균전제를 모방하여 반전수수법을 에야스를 알현하였다. 이후 쇼군에게 경서를 강의하고 막
실시하고 이에 따라 농민에게 토지를 나누어 주고 조세를 부의 관리로 임용되어 조선의 통신사 응접, 외교 문서 작
징수하였다. 이어 701년에는 다이호 율령을 반포하여 체제 성, 역사서 편찬 등에 관여하였다. 성리학의 관점에서 불교
를 정비하였다. 를 비판하고, 일본 성리학의 보급과 제자 양성에 힘썼다.

① 주자감에서 공부하는 학생 ① 사서집주를 편찬하였다.


② 별무반 편성을 명하는 임금 ② 향약을 만들어 보급하였다.
③ 제사를 준비하는 신기관의 관리 ③ 당의 적산 법화원에 머물렀다.
④ 부병으로 군대에서 복무하는 농민 ④ 권문세족의 횡포를 비판하였다.
⑤ 평성에서 뤄양으로 천도를 준비하는 관리 ⑤ 에도 막부의 제도와 의례를 정비하였다.

59
05. 유학과 불교
수능 실전 문제
20015-0067
1 다음 자료를 이용한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한 문제 때 신체형이 내려진 아버지를 위해 소녀가 상소를 올리는데, “죽은 자는 두 번 다시


살아날 수 없고, 육형을 받은 자는 다시 원래의 신체로 돌릴 수 없습니다. 제가 관노비가 되
어 아버지의 죄를 갚겠으니 …….” 하니 문제가 감동을 받아 육형을 폐지하라고 명령하였다.
대신 태형이 만들어졌다.
•싸움 중에 병장기를 사용한 경우 사람이 맞지 않았더라도 장형 100대로 가중하며, 날 선 쇠
붙이로 사람을 상해하거나 사람의 늑골을 부러뜨렸거나 두 눈을 손상하거나 낙태시킨 경우
는 도형 2년에 처한다.

① 제자백가의 등장 배경
② 율령 체제 형성의 특징
③ 조공과 책봉 체제의 특징
④ 유목 민족과 한족 문화의 융합
⑤ 인구 이동에 따른 국가의 성립

20015-0068
2 (가)에 들어갈 수 있는 문화유산의 사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탐구 계획서>

1.  단원 : 국가 불교의 성격을 보여 주는 고대 동아시아의 문화유산


2. 수행 과제 : 모둠별로 불교 문화유산을 제시하고, 국가 권력과 밀접한 관련
을 맺고 발전한 국가 불교의 특징을 설명한다.
3. 모둠별 탐구 주제
1모둠 : 도다이사 - 일본 쇼무 천황의 명에 의해 건립
2모둠 : 황룡사 9층 목탑 - 신라 선덕여왕 때 왕업의 평안을 기원하며 건립
3모둠 : (가) - ‘왕(군주)이 곧 부처’라는 사상의 반영

① ② ③

▲ 윈강 석굴 사원의 대불 ▲ 승려 감진상 ▲ 부모은중경

④ ⑤

▲ 하치만 신상 ▲ 왕오천축국전

60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정답과 해설 16쪽

20015-0069
3 다음 자료를 공통으로 활용한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법흥왕이 불교를 일으키려고 하였으나 …… (신하들이) 불평을 많이 하였으므로 왕이 근심


하였다. (왕의) 가까운 신하인 이차돈이 아뢰기를, “제 목을 베어 여러 사람의 논의를 진정
시키십시오.”라고 하였다.  - “삼국사기” -
•백제 성왕이 석가모니상 등을 보내자, 천황이 받고는 여러 신하에게 물었다. 신하들은 “우
리 국신(國神)의 마음을 거스를까 두렵습니다. 다른 나라의 신(부처)을 예배해서는 안 됩니
다.”라고 하였다.  - “원흥사연기” -

① 대승 불교의 성립
② 불교 예술의 발전
③ 선종의 유행과 그 영향
④ 불교와 유교 사상의 융합
⑤ 불교 수용 과정에서의 갈등

20015-0070
4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장안을 출발하여 양저우로 가게 된 승려 (가) 은/는 845년 8월에 등주에 도착하였다.


그곳에서 적산 법화원이 무참히 파괴된 모습을 보았지만 다시 한 번 재당 신라인의 보호하에
머물렀다. 847년 봄에는 장영이 그의 귀국을 위해 준비한 배에 합류하기 위해 등주를 떠나 6
월 초주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그가 초주에 도착하였을 때, 타기로 했던 재당 신라인 김진 등
의 배는 이미 초주를 떠난 뒤였다. 다시 배를 수소문하여 산둥 연안으로 올라가 유산포에서 김
진 등의 배를 타고 마침내 9월 2일 적산포를 출발하여 귀국길에 올랐다. 한반도 서남해안을 따
라 15일간의 항해 끝에 드디어 하카타에 도착하였다. 견당사의 일원으로 출발한 지 10년 만에
54세의 나이로 귀국한 것이다.

① 도다이사를 창건하였다.
② 왕오천축국전을 남겼다.
③ 인도에 구법 여행을 다녀왔다.
④ 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
⑤ 입당구법순례행기를 저술하였다.

61
05. 유학과 불교
수능 실전 문제

20015-0071
5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자료는 남송의 학자로 신유학을 집


대성한 (가) 의 주장입니다.

•성(性)은 본래 선한 것이니, 이(理)를


좇아 행하게 된다.
•인간 본성을 회복하는 수행의 방법은
거경궁리와 격물치지이다.
•“ 대학”은 학문하는 사람이 맨 처음
배워야 할 덕행의 지름길이다.

① 사서집주를 편찬하였다.
② 백운동(소수) 서원을 세웠다.
③ 고려에 성리학을 소개하였다.
④ 심즉리와 지행합일을 강조하였다.
⑤ 일본에 잡혀가 일본 성리학 발전에 기여하였다.

20015-0072
6 (가) 학문이 각국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사실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가) 에 대해
말해 보세요. 우주 원리와 인간 본성
을 탐구하려는 유학이었 서원과 향약에 의해 에도 막부의 제도와 의례
어요. 확산되었어요. 정비에 기여하였어요.

ㄱ. 한국 - 고려 광종이 과거제를 실시하였다.


ㄴ. 한국 - 고려 말 신진 사대부 세력이 불교를 비판하였다.
ㄷ. 일본 - 다이호 율령이 반포되었다.
ㄹ. 일본 - 후지와라 세이카가 강항과 교유하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62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정답과 해설 16쪽

20015-0073
7 다음 주장을 펼친 학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맹자의 이른바 ‘시비지심’은 사람들이 모두 지니고 있는 것이다. 시비지심은 사려분별을 하


지 않고도 알고 배우지 않고도 능한 것이니, 그런 까닭에 그것을 일컬어 ‘양지(良知)’라고 한
다. 이것이 바로 하늘이 명한 본성이고, 내 마음의 본체로서 자연히 영명하고 밝아서 환하게
깨닫는 것이다.
•앎은 행위의 시작이고, 행위는 앎의 완성이다. 성인의 학문은 다만 하나의 공부이니, 앎과
행위를 두 가지 일로 나눌 수 없다. 성인의 학문은 지(知)와 행(行)으로 분리할 수 없는 본래
하나인 구체적인 삶을 온전히 경험하는 일이다.

① 심즉리를 강조하였다.
② 오경정의를 편찬하였다.
③ 성리학을 집대성하였다.
④ 사서오경왜훈을 저술하였다.
⑤ 일본 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

20015-0074
8 다음과 같은 주장이 제기된 공통적인 배경으로 적절한 것은?

•적자가 있으면 지손(支孫)이 제사를 받들지 못하는 것이 마땅한 예인데도 자기 어버이의 기


일을 맞아 각 집에서 돌아가면서 제사를 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풍속은 예법에 지극히 어
긋나는 것이므로 마땅히 금하도록 하소서. - “중종실록” -
•본조(本朝 : 일본)에는 …… 예를 아는 자가 없다. 따라서 귀천도 없고, 불교식으로 장례를
치른다. 근래에 뜻이 있는 사람이 “주자가례”에 마음을 둔다 해도, 풍속에 가로막혀 하고자
해도 할 수 없는 이들이 있다.  - “읍혈여적” -

① 사림 세력이 붕당을 형성하였다.


② 과거를 통해 인재가 등용되었다.
③ 무사들이 집권하여 막부가 성립되었다.
④ 지행합일을 강조하는 양명학이 전해졌다.
⑤ 성리학적 윤리를 보급하려는 노력이 전개되었다.

63
05. 유학과 불교
Ⅱ. 수능 마스터

01 다음 정책을 시행한 왕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075
황제는 나라의 풍속이 전대(前代)의 비루함을 잇고 있다고 여겨 뤄양으로 옮김으로써 옛 풍속을 변화시키고자 하
였다. …… 또 조서를 내려 의복을 혁신하도록 하였다. 일찍이 외출하였다가 부녀자들이 여전히 옷깃이 좁고 소매
가 작은 것을 보고는 곧 함양왕 (탁발)희 등을 질책하였다. 또 조서를 내려 뤄양으로 옮긴 사람이 죽었을 때는 하
남에 묻고 북으로 돌아가지 못하도록 하였다. 황실의 성을 원(元)씨로 고쳤다.

① 헤이안쿄를 건설하였다.
② 고구려의 조공을 받았다.
③ 야율아보기에 의해 세워졌다.
④ 위, 촉, 오 삼국 시대를 통일하였다.
⑤ 화북과 강남을 잇는 대운하를 건설하였다.

02 (가) 국가의 대외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0015-0076
지도와 같은 상황에서 (가) 은/는
결국 동돌궐과 고구려를 제압하였고,
동돌궐 고구려
동아시아의 패자로 군림하였어요.
동해
황해
신라

백제
토욕혼

토번
동중국해

남중국해

ㄱ. 신라와 군사 동맹을 맺었다.


ㄴ. 주변국에 화번공주를 보냈다.
ㄷ. 고구려를 침공하였다가 살수에서 패하였다.
ㄹ. 히미코 여왕에게 친위왜왕이라는 칭호를 주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64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정답과 해설 17쪽

03 (가), (나) 시기 사이에 동아시아에서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동아시아사 신문 동아시아사 신문
20015-0077 (가) (나)

동아시아사 신문 동아시아사 신문

개신의 조칙 반포 헤이조쿄 천도
나카노오에 황자가 유학생 등의 지원을 얻어 유력자 겐메이 천황이 조칙을 내려 천도를 결정하였다. 이
인 소가씨를 조정에서 제거한 데 이어 개신의 조칙 에 따라 후지와라쿄에서 헤이조쿄로 천도가 단행되
이 반포되었다. 었다.

① 당이 건국되었다.
② 신라가 멸망하였다.
③ 백강 전투가 벌어졌다.
④ 야마토 정권이 성립되었다.
⑤ 가마쿠라 막부가 수립되었다.

04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078
서희가 말하는 기운이 매우 강개하므로 소손녕은 강요할 수 없음을 알고는 드디어 사실을 정리하여 황제에게 아
뢰었다. (가) 의 황제가 말하기를 “고려가 이미 화해를 청하였으니 마땅히 군대를 철수시키도록 할 것이
다.”라고 하였다. …… 서희가 저들의 군영에 7일이나 머물다 돌아오는데 소손녕이 낙타 10마리, 말 100마리, 양
1,000마리와 비단 500필을 주니, 성종이 크게 기뻐하여 강나루까지 나아가 그를 맞이하였다.

① 남송을 멸망시켰다.
② 쇼군이 통치하였다.
③ 맹안·모극제를 시행하였다.
④ 탕구트족에 의해 건국되었다.
⑤ 송과 전연의 맹약을 체결하였다.

수능 마스터 65
Ⅱ. 수능 마스터

05 (가), (나)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0015-0079
(가) 의 군대는 대도를 공격하였다. 그러나 몇몇 장수를 제외하고 대도에 남아 있는 (나) 의 군대는
거의 없었다. 결국 대도는 새로운 주인을 맞게 되었다. 후퇴하였던 (나) 의 군대는 대도 탈환 계획을 세우
고 고려에 군사적 도움을 요청하였으나, 고려는 사태를 관망하면서 중원의 새로운 지배자로 떠오른 신흥 강국
(가) 와/과 조공·책봉 관계를 맺음으로써 정치적 안정을 도모하려 하였다.

ㄱ. (가) - 서하를 멸망시켰다.


ㄴ. (가) - 북로남왜의 화를 입었다.
ㄷ. (나) - 일본 정벌에 실패하였다.
ㄹ. (나) - 당의 침입으로 멸망하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06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080
몽골은 고려와 대월에 군사적 원조를 요구함으로써 동맹을 견고히 하고자 하였다. 정복 전쟁에서 수적 열세를 극
복하기 위해 ‘동맹’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은 몽골의 전통적인 대외 전략의 하나였다. 전쟁을 앞두고 고려에
군대와 전함 준비, 군량 비축과 같은 군사적 책임을 재차 강조하였다. 1268년 몽골의 (가) 정벌이 시작되
면서 동아시아는 전시 체제로 돌입하였다. 결국 1276년 창장강 전역에서 벌어진 몽골의 대규모 군사 활동이 성과
를 거두었고, 임안이 함락되었다.

① 맹안·모극제를 운영하였다.
② 천호·백호제를 실시하였다.
③ 금과 군신 관계를 체결하였다.
④ 북면관·남면관제를 시행하였다.
⑤ 쇼군이 정치적 실권을 장악하였다.

66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정답과 해설 17쪽

07 다음 항해가 이루어진 시기 동아시아 각국에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옳은 것은?


20015-0081 <중국의 함대가 거친 항구 수>
지역 구분
항해 차수 주요 기항지
동남아시아 아랍·인도 아프리카
1 5 1 0 팔렘방, 캘리컷 등
2 5 7 0 캘리컷, 실론 등
3 5 4 0 코지, 캘리컷 등
4 9 8 4 캘리컷, 호르무즈 등
5 7 7 3 아덴, 모가디슈 등
6 4 10 3 호르무즈, 아덴 등
7 10 13 2 모가디슈, 브라와 등

 - ‘◯◯의 출사와 인도양 네트워크’, 2018 -

① 한국 - 몽골의 침략에 맞선 삼별초의 군대


② 중국 - 홍건적에 가담하여 봉기하는 농민
③ 중국 - 장거정의 개혁에 불만을 표하는 관리
④ 일본 - 견당사로 중국에 파견되는 관리
⑤ 일본 - 무사들을 지휘하는 무로마치 막부의 쇼군

08 (가), (나)와 같이 수도가 변하는 정치적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082
동해 연경(베이징)
개경 동해

한성
황해
변경 황해
(카이펑) ㈏

동중국해
난징
임안 동중국해
(항저우)

① (가) - 5호의 침입이 배경이 되었다.


② (가) - 북위가 추진한 한화 정책의 일환이었다.
③ (나) - 자금성 건설에 따라 단행되었다.
④ (나) - 고려를 복속시킨 왕조에 의해 추진되었다.
⑤ (가), (나) - 새로운 왕조 건국과 함께 이루어졌다.

수능 마스터 67
Ⅱ. 수능 마스터

09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083

<  아카데미 춘계 강좌>



인물로 본 ◯◯ 제국
강좌 시간 : 14:00~16:00

날짜 강사 강좌
◎◎◎◎, 제국의 여명
3. 14.(토) 김△△ •부족의 통일과 천호·백호제 재편
•서하와 호라즘 정벌
, 세계 제국으로의 도약
•통치 체제의 확립 및 제국 내 교통망
4. 11.(토) 이▽▽
정비
•금 정복, 서방 원정의 시작
(가) , 중국 대륙 장악
5. 16.(토) 박 •대도 건설(천도)
•자와 원정

① 발해를 멸망시켰다.
② 백강 전투에서 패하였다.
③ 일본 원정을 추진하였다.
④ 5호 16국의 분열을 수습하였다.
⑤ 별무반을 편성하여 여진을 정벌하였다.

10 다음 자료의 조서가 내려진 시기 동아시아에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0015-0084
쇼무 천황이 조서를 내렸다. “불교를 융성하게 하고 널리 중생을 구하고 싶은 염원을 담아 노사나불 금동상 1구를
만들고자 한다. 온 나라의 구리를 모두 모아 불상을 주조하고 큰 산을 깎아 불당을 세우고 불법을 널리 세계에 펼
쳐 짐의 불법 수행 동지로 삼고 싶다.”

ㄱ. 외적과 싸우는 고구려 군사


ㄴ. 도호부로 파견되는 당의 관리
ㄷ. 소가씨 가문 타도를 모의하는 관리
ㄹ. 정치를 논의하는 발해 정당성의 관리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68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Ⅱ.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정답과 해설 17쪽

11 (가) 승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085

승려 ◯◯에 대해 조사해야 해.

“서유기”에 나오는 삼장법사의


실제 인물?

응, 당의 승려로 7세기경 인도에 다녀왔지. 많


은 경전과 불상을 가지고 당으로 돌아왔대.

8세기경 신라의 승려로 당을 거쳐 인도에


다녀온 (가) 도 함께 조사해 보자.

① 선종을 창시하였다.
② 대당서역기를 남겼다.
③ 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하였다.
④ 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
⑤ 견당선을 타고 당에 입국하였다.

12 밑줄 친 ‘이 학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0015-0086
그림의 인물은 조선에서 포로로 납치되어
온 강항과 같은 유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일
본에서 처음으로 이 학문의 연구에 필요한
기초적인 문헌을 완성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래서 사서오경 및 그 외의 경전 주석 작
업을 진행하였습니다.

ㄱ. 심즉리와 지행합일을 강조하였다.


ㄴ. 오경정의의 편찬으로 집대성되었다.
ㄷ. 조선에서 서원과 향약을 통해 확산되었다.
ㄹ. 일본에서 무사 중심의 신분 질서를 합리화하는 데 활용되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수능 마스터 69
동아시아의 사회
Ⅲ 변동과 문화 교류
이 단원에서는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들에 대해 살펴보고, 각 전쟁이 동아시아 정세에 끼친 영향과 전

쟁을 통한 교류의 사례들을 학습합니다. 이 밖에도 16~18세기 경제의 발달 양상과 사회 변동, 서민 문화와
학문의 발달 등을 학습하면서 이 시기 동아시아 사회의 모습을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연계 사례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동아시아사 15번

이곳은 자금성 문연각입니다. 문연각은 황제의 명으로 관학자를 동원


하여 중국의 역대 서책을 경(經)·사(史)·자(子)·집(集)의 4부로 분
류·편찬한 서적을 보관했던 곳입니다.
06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07 교역망의 발달과 은 유통
08 사회 변동과 서민 문화

학습 요소
•임진왜란의 배경, 전개 및 영향 •병자호란의 배경 및 국제 질서의 변화
•교역망의 발달과 은 유통의 활성화 •선교사를 통한 문화 교류
•사회 변동과 서민 문화의 발달 •인구의 증가와 도시 및 상공업의 발달

2020학년도 EBS 수능완성 동아시아사 110쪽 11번 연계 분석 및 학습 대책

9055-0251 9055-0253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동아시아

탐구 활동으로 가장 11 밑줄 친 ‘세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사 15번 문제는 2020학년도 수능완성 동아


시아사 110쪽 11번 문제와 연계되어 출제되
었다. 수능완성에 이용된 자료의 내용을 변
포로로 끌려간 우리의 당시 세자께서는 구왕(九王) 도르곤*을
형하였고, 사진을 추가하여 관광 안내사가
따라 베이징에 들어가 문연각에 유숙하였다. 나중에 이 건물을
설명하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하지만 수능
모방하여 지어진 원명원의 문원각, 열하의 문진각, 봉천의 문소
완성은 소현 세자와 아담 샬의 교유에 관한
충청 각 도의 동학 각에 “사고전서”가 저장되었다.
내용을 묻는 문제였다면, 대수능은 “사고전
되살아나고 있습 * 도르곤 : 누르하치의 14번째 아들 서”를 핵심 키워드로 하여 이 시기 동아시아
아산에서 우리 군
지역의 문화를 묻는 문제로 주제를 변경하
잔여 세력 역시 ① 아담 샬과 교유하였다. 여 난이도를 높였다.
인근 지역에서도
② 해체신서를 간행하였다. 이러한 변형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우리 군대를 본
③ 반정을 통해 왕위에 올랐다. EBS 문제 해설을 통해 제시문을 정확히 이
④ 전례 문제로 인해 추방되었다. 해하고, 문항 주제와 관련된 역사적 사실이
나 배경 지식 등을 학습해 두어야 한다.
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를 제작하였다.

다.
사한다.
06
동아시아사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사대교린 1. 임진왜란 이전 동아시아의 정세 변동


큰 나라를 섬기고 이웃 나라와
교류하는 외교 정책이다. 조선
(1) 명의 동요와 장거정의 개혁
은 명에 대해서는 큰 나라이자 ① 명의 동요(15~16세기)
문명국을 섬긴다는 ‘사대 ’를,
여진 및 일본 등과는 ‘교린’을 대내 환관 득세, 향촌 질서 동요
원칙으로 삼았다. •15세기 : 오이라트부와 대립 과정에서 토목 타타르부
몽골 침입 보의 변 발생 오이라트부
(북로) •16세기 : 타타르부의 침략으로 수도 베이징
대외 포위
오닌의 난
무로마치 시대에 쇼군의 후계 왜구 침입 명의 무역 통제에 불만을 품은 왜구가 동남 토목보 베이징 조선 동해

자 문제를 둘러싸고 교토를 비 (남왜) 해안 일대에서 약탈 자행


황해 한성 일본
롯한 각지에서 일어난 내란이 교토
다. 이 난을 계기로 쇼군의 권 ② 장거정의 개혁 : 몽골에 대한 유화책으로 대외 안정 추구 하카타
명 히라도
난징
력이 약화되고 다이묘가 독자 → 토지 조사 실시, 일조편법 확대 시행 → 장거정 사후 닝보
세력화한 센고쿠 시대가 전개 쌍서도
되었다.
관료와 신사층의 불만이 높아짐 동중국해 류큐
푸저우
취안저우
광저우 타이완섬
(2) 조선의 정세 마카오
오이라트부의 최대 영역
타타르부의 최대 영역
나가시노 전투 왜구의 침입로
•15세기 이후 공신들이 훈구 세력 형성 하이난섬 왜구의 침략지(16세기)
오다 노부나가가 이끈 연합군 •15세기 말 등장한 사림 세력이 훈구 세력의 부정과 비
이 조총을 이용하여 다케다 가 ▲ 북로남왜
리를 비판
쓰요리의 기마 부대를 격파한 대내
•16세기 후반 사림 세력이 정계 주도권 장악 → 붕당 형성
전투이다. •토지 겸병의 심화와 방납의 폐단 등으로 농민 부담 가중
•오랜 평화와 군역의 문란으로 국방력 약화
조선 초 명과 사대 외교, 여진과 일본에 대하여 교린 정책
대외
추진

자료 플러스 조선의 군역 문란

백성의 고생이 지금보다 심한 적이 없었습니다. …… 보병이 한 번 군역에 복무하는 데 드는 값이 베 150필까


지 되므로 가난한 백성이 파산하여 집안이 망하고, 두 번 복무하면 지탱할 수 없어 도망쳐 흩어집니다. 도망
치면 그 친척에게 거두기 때문에 친척도 지탱하지 못하고 모두 흩어집니다.  - “중종실록” -

16세기 조선에서는 사림 세력이 중앙 정계를 장악한 이후 붕당이 만들어지고, 이들 사이의 대립이


격화되었다. 또한 이 시기 농민층의 동요로 군에 복무할 인원과 전세 수입이 감소하였다. 이에 조
선 정부는 농민에게 부과하던 군역 대신 군포를 받아 그것으로 군대 운영 비용을 충당하고자 하였
❶ 15세기 오이라트부와 대립 과정
다. 그 결과 실제 전쟁에 동원할 수 있는 군인의 수는 감소하였다.
에서 명의 황제가 포로로 사로
잡히는 ( )이 일어났다.
❷ ( )은 일부 지방에서 시
(3) 일본의 정세
행하던 일조편법을 확대 시행
하여 재정을 확보하였다. ① 오닌의 난(1467~1477) 이후 각지의 다이묘 세력이 각축을 벌이는 센고쿠 시대 전개 → 포르투
❸ ( ) 전투에서 오다 노부 갈 상인으로부터 조총 전래 → 나가시노 전투(1575)로 오다 노부나가 세력 확대 → 오다 노부
나가가 이끈 연합군이 조총을
나가의 뒤를 이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16세기 말 혼란 수습
이용하여 다케다 가쓰요리의
기마 부대를 격파하였다. ②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정책
|정답| ❶ 토목보의 변 ❷ 장거정 정책 전국적인 토지 조사(검지) 실시, 도량형 통일, 농민의 무기 몰수, 신분 간 이동 금지
❸ 나가시노
결과 무사·상공업자의 거주지(조카마치)와 농민의 거주지(농촌)가 구분, 병농 분리 확립

72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벽제관 전투
자료 플러스 일본의 조총 전래
1593년 벽제관에서 명군과 일
본군 사이에 있었던 전투이다.
덴분[天文] 12년(1543)에 말이 통하지 않는 괴상한 생김새의 사람들을 태운 배가 표류하다가 다네가시마에
이 전투에서 이여송의 명군은
도착하였다. 그 배에 타고 있던 오봉이라고 하는 명나라 유생이 필담으로 언급한 내용에 따르면 배 안의 손
일본군에게 대패하였고, 이후
님은 ‘서남 야만족 상인(포르투갈인)’이었다. 상인의 우두머리가 갖고 있던 길이 2, 3척의 낯선 무기는 굉음과
명군은 전쟁에 소극적으로 임
함께 탄환을 표적에 적중시키는 위력을 지니고 있었다. 다네가시마 도키타카는 그 철포를 넘겨받자마자 사
하였다.
격 기술을 익히고, 이듬해에는 제조법도 부하들에게 습득시켰다. 그 후 철포는 빠르게 전국으로 퍼졌다.
 - “뎃포기” -

동아시아 삼국의 전쟁 명칭
1606년 일본에서 쓰인 “뎃포기”에는 조총의 전래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다. 이 내용을 근거로
한국 임진왜란, 정유재란
1543년 다네가시마에 표착한 포르투갈인에 의해 일본에 조총이 전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센고쿠
일본 분로쿠 게이초의 역
시대에 유력 다이묘였던 오다 노부나가는 조총을 활용하여 나가시노 전투에서 기마 부대로 이루 중국 항왜원조
어진 다케다 가쓰요리의 주력군을 격파하고 센고쿠 시대의 주도권을 장악할 수 있었다.
임진왜란에 대한 호칭은 삼국
모두 다르다. 한국은 ‘왜가 일
2. 임진왜란과 정유재란(1592~1598) 으킨 난동’이라는 의미의 왜란
으로, 중국은 ‘일본에 맞서 조
(1) 배경 선을 도운 전쟁’이라는 뜻의 항
① 명과의 무역 재개에 대한 일본의 열망 왜원조로 지칭한다. 일본의 경
우 침략의 의미가 없는 ‘분로
② 일본의 국내 정치 안정 도모
쿠’와 ‘게이초’라는 연호를 사
용하여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2)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전개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 침입로 지칭한다.
정유재란 당시 일본군 침입로
•발발 : 일본군의 부산포 급습(1592) → 일본 명의 파병로 여진 종성
회령
군의 한성 함락, 함경도 진격
•대응 : 조선의 수군(이순신)과 의병의 활약,
명의 파병
명의 원군 파병(동아시아 국제전으로 확 랴오양 1차 조승훈, 2차 이여송
임진
대)으로 전세 역전 → 조·명 연합군의 평 의주
왜란
양성 탈환 → 명군의 벽제관 전투 패배 → 동해
안변
명의 제의로 강화 협상 본격화 평양
한성 함락
•명의 참전 목적 : 조공국 보호를 통한 중화 해주 개성 춘천
질서 유지(명분), 랴오둥 보호(실제) 평양 함락
한성 삼척
조·명 연합군, 평양 탈환 죽산 원주 울진
•일본의 요구 : 명의 공주를 천황의 후궁으 청주
황해
로 보낼 것, 조선의 남부 4도를 넘길 것, 명 부여
경주
강화 금산
과의 무역 재개 등 담양 울산
협상 진주
•일본의 무리한 요구로 3년에 걸친 강화 협 나주 부산포
파견 거제도
상 결렬 명의 수
군 해남
란 당시
정유재 나고야
•강화 협상 실패 후 일본의 조선 재침략(정 (가라쓰)
정유
유재란, 1597) ▲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전개 과정
재란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 후 일본군 철수
❶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으로
일본군이 부산포를 급습하면
자료 플러스 명의 참전 목적 서( )이 발발하였다.
❷ 평양성 탈환 이후 이여송이 이
신이 근심하는 것은 조선이 아니라 우리 나라(명) 국경입니다. …… 랴오둥은 베이징의 팔 같은 것이고, 조선 끄는 명군은 ( )에서 일
은 랴오둥의 울타리 같은 것입니다. …… 200년 동안 푸젠성과 저장성이 항상 왜(왜구)의 화를 입었으나, 랴 본군에게 대패하였다.
오양과 톈진에 왜가 없었던 것은 조선이 울타리처럼 막았기 때문입니다.  - “선조수정실록” -
❸ 3년에 걸친 강화 협상이 결렬
된 후 일본은 조선을 재침략
임진왜란의 발발 소식을 접한 명은 조선이 일본과 연합하여 명을 침공하는 안내자 역할을 할지 모 하였는데, 이를 ( )이라
른다고 의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일본에 맞선 조선의 저항이 분명하고 일본의 명 침공 가능성이 한다.
확인되자, 명은 랴오둥을 방어하고 수도인 베이징을 지키기 위해 참전을 결정하였다. 이로써 임진
|정답| ❶ 임진왜란 ❷ 벽제관
왜란은 동아시아 삼국 간의 국제전으로 확대되었다. ❸ 정유재란

06.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73


동아시아사

06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재조지은 (3)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영향


조선의 지배층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명이 참전한 것을 •인구 감소와 국토 황폐화, 국가 재정 악화
‘나라를 다시 세워 준 은혜(재 조선 •명을 숭앙하는 분위기 고조(재조지은)
조지은)’로 받아들였고, 명을 더 •일본과 기유약조 체결(1609) : 왜관을 통한 무역을 쓰시마번에 허용
욱 숭앙하게 되었다.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정권을 장악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 막부 수립(1603)
일본
•조선과 관계 회복 후 기유약조 체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참여로 재정 소모 심각, 세금 징수 과정에서 환관의 횡포 심화로 전국 각지

세키가하라 전투(1600) 에서 농민 반란 발생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은 후, 여진 조선과 명이 전쟁으로 국력이 약화된 틈을 타 누르하치가 부족 통합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도요토미
가문의 추종 세력과 벌인 전투
이다. 이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
자료 플러스 전쟁의 피해
에야스가 승리하여 정권을 장
악하였다. •적군의 배(일본 배)에 강제로 태워져 순천 앞바다까지 가는 동안 600~700척의 배가 바다를 메우고 있었
다. 이들 배에는 우리나라의 남녀가 일본인과 거의 같은 수로 있었는데, 배마다 나오는 통곡 소리가 바다
와 산을 진동시킬 정도였다.  - 강항, “간양록” -
•일본 나고야성에 도착한 사타케 요시노부는 “농민들이 세금을 내지 않으면 여자나 어린아이를 가리지 않
팔기제
고 죽여도 좋다. 마을이 폐허가 되어도 상관없다.”라고 지시하였다. 그렇게 해서 사타케군이 인부로 동원
여진족의 수렵 관행에 기초하
한 일반 백성은 약 1,500명이었다. 탈주자가 생기자 죽여서라도 탈주를 막으려고 하였다.
여 만들어진 행정과 군사 조직
 - “마주 보는 한일사” -
이다. 만주 팔기에서 시작하여
몽골 팔기와 한인 팔기로 확대
되었다.
첫 번째 자료는 강항을 비롯한 수많은 조선인이 일본에 끌려가는 상황이다. 전쟁으로 조선은 큰
피해를 입었다. 한성을 비롯한 많은 도시가 약탈과 방화로 파괴되고, 농지가 황폐해졌다. 인구는
크게 줄고 민생이 피폐해졌으며 수많은 사람이 포로로 잡혀갔다. 정유재란 때 일본에 잡혀간 강항
모문룡 의 기록에는 그가 목격한 전쟁의 참상이 잘 나타나 있다. 두 번째 자료는 일본에서 다이묘들이 백
1621년 후금의 랴오둥 공격 당 성을 강제로 동원하는 상황이다. 일본에서는 조선 침략 과정에서 다이묘들이 병사 징발과 전쟁 비
시 조선으로 도망친 명의 장수
용 조달이라는 부담을 떠맡아야 했다. 이에 무거운 조세 부담을 져야 했던 농민들이 큰 피해를 입
로, 광해군의 허락을 받아 명군
과 난민 등을 이끌고 1622년부 었다.
터 1629년까지 평안도 철산 앞
바다의 가도에 머물렀다.

3.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1) 정묘호란 이전의 상황
•누르하치의 세력 확장 → 여진 부족 통합, 팔기제 정비 → 후금 건국(1616)
후금
•누르하치가 랴오둥 진출을 시도하여 명 압박
❶ ( ) 전투 이후 정권을 장 •명이 ‘재조지은’을 근거로 후금과의 전쟁에 조선의 출병 요청 → 강홍립 부대 파견
악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 광해군 •중립 외교 : 광해군은 명의 요청을 들어주면서도 후금을 자극하지 않기를 희망 → 강홍립은 후
조 금과의 적극적인 전투를 피하면서 사르후 전투에서 후금에 투항
도 막부를 수립하였다.

❷ ( )가 후금을 건국하고 •인조반정(1623) : 서인 세력이 광해군을 중립 외교 실시 등의 이유로 축출 → 인조 즉위
인조
랴오둥에 진출하여 명을 압박 •대외 정책의 변화 : 집권 세력인 서인이 친명배금 정책 실시 → 후금의 반발 초래
하자, 명은 조선에 출병을 요구
하였다.
(2)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❸ 인조반정 이후 집권한 서인 세
력은 가도에 주둔하던 명의 장 ① 정묘호란(1627)
수( )에 대한 지원을 강
인조반정 이후 조선의 친명배금 정책과 가도에 주둔하던 명의 장수 모문룡에 대한 조선의 원조 확
화하였다. 배경
대에 반발, 조선으로부터 경제적 이득 획득 추구
|정답| ❶ 세키가하라 ❷ 누르하치 전개 후금이 군대를 이끌고 조선 침략 → 2개월간 지속
❸ 모문룡
결과 명의 위협 등을 의식한 후금이 조선과 형제의 맹약을 맺고 철수

74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② 청의 성립 : 후금의 홍타이지가 황제를 칭하고 국호를 청으로 변경(1636), 조선에 군신 관계 홍타이지
누르하치의 여덟 번째 아들로
요구 → 조선 내에서 척화론과 주화론 대립 → 척화론 득세
내몽골을 평정한 후 국호를 청
③ 병자호란(1636~1637) 으로 고치고, 연호를 숭덕이라
백마산성
용골산성 개원하였다(1636). 같은 해 그는
배경 조선이 청의 군신 관계 요구 거부
안주 청의 칭제건원에 반발하는 조
능한산성
홍타이지가 대규모 병력을 동원하여 조선 침략 → 가도 맹산 선을 침공하였다(병자호란).
전개 동해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여 항전
평양
•인조가 삼전도에서 청에 항복
황해
•청과 조공·책봉 관계 체결, 명과 관계 단절 → 평산 토산 북벌론
결과 조선은 청의 요구로 명과의 항쟁에 필요한 물
· 정묘호란 때의 침입로
조선의 군사력을 키워 청을 정
김화
영향 자·세폐 제공 병자호란 때의 침입로
개성
벌하자는 주장으로, 효종과 숙
정묘호란 때의 주요 격전지 강화도 한성
•조선은 연이은 전쟁으로 경작지 축소 및 황폐화 남한산성 종 때 제기되었다. 그러나 청이
병자호란 때의 주요 격전지
•효종 때 북벌론 대두 산성 수원 강성해지면서 실현되지 못하
▲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였다.

자료 플러스 일본의 중국 인식
삼번의 난
숭정제가 사망하고 (남명을 수립한) 홍광제는 달로(여진)에게 패하였다. 당왕이라든가 노왕이 겨우 남쪽 귀퉁 청의 강희제 때 오삼계를 비롯
이를 보존할 뿐 중원은 달로가 횡행하고 있다. 이것은 화(華)가 이(夷)에 의해 대체되는 사태이다. …… 최근 한 삼번 세력이 일으킨 반란이
에 오삼계나 정경이 각 성에 격문을 날려 (명 왕조) 회복을 위한 군병을 일으켰다. 그 승패의 행방은 듣지 못 다. 청은 삼번의 난을 진압함으
했지만, 만약 이가 화를 대신하는 사태가 된다면, 비록 이역의 일이라고는 해도 이 어찌 상쾌한 일이 아니겠 로써 중국 본토를 완전히 장악
는가? - “화이변태” - 하게 되었다.

명 멸망 이후 청이 중국 전역을 지배하면서 동아시아 각국에서는 중화사상의 변화가 나타났다. 일


본에서는 18세기에 하야시 슌사이가 “화이변태”를 편찬하였다. 이 책에는 명을 화(華)로 보고 청 타이완의 정씨 세력
을 이(夷)로 보는 화이관이 나타나 있으며, 당시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정세에 대한 내용이 실려 명 멸망 이후 반청 운동을 전개
있다. 이 책에는 나가사키에 온 중국인들로부터 들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으며, 쓰시마를 통해 조 하던 정성공은 1662년에 타이
완을 근거지로 삼았다. 정성공
선에서 전해진 중국 정보를 입수하여 기록하기도 하였다. 사후 그의 후손들이 타이완에
서 반청 운동을 지속하였지만,
결국 청에 의해 진압되었다.

4.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과 문물의 교류


(1)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
① 중국
러시아 네르친스크
명 말기 전국 각지에서 농민 반란 발
명 생 → 이자성의 난으로 베이징이 점
캬흐타
령되면서 명 멸망(1644) 신장
이리 몽골
백두산
•이자성의 난 이후 오삼계 등의 도 베이징
우루무치 ❶ 후금의 ( )는 황제를 칭하
움으로 베이징 점령 → 중원 장악 동해
톈진 조선 고 국호를 청으로 변경하였다.
•강희제 : 삼번의 난과 타이완의 정 청 황해 일본
청 티베트 시안
❷ 효종 시기에 병자호란의 치욕
씨 세력(반청 세력) 진압 라싸
강녕
(난징) 을 씻기 위해 청을 정벌하자는
•건륭제 : 티베트, 신장, 몽골을 포 델리
( )이 대두하였다.
함하는 영토 확보 광저우
미얀마 ❸ 청의 강희제는 오삼계 등이 일
무굴 제국 대월
② 조선 : 명 멸망 후 조선이 유일한 중화 벵골만
시암
으킨 ( )과 타이완의 정
남중국해
씨 세력을 진압하였다.
라는 ‘조선 중화주의’ 확산
청의 최대 영역
③ 일본 : 에도 막부는 청과 국교를 수립하 현재의 중국 국경 |정답| ❶ 홍타이지 ❷ 북벌론
❸ 삼번의 난
지 않았으나, 조선과는 외교 관계 유지 ▲ 청의 최대 영역

06.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75


동아시아사

06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항왜(항왜인)
임진왜란 중 조선에 투항한 일
자료 플러스 중화 의식의 변화
본인이다. 항왜의 대표적인 인
물은 가토 기요마사 부대에 있 •천하가 모두 오랑캐를 따르지만, 우리나라만은 명나라의 제도를 고치지 않으니 청나라도 우리를 예의의
었던 사야가이다. 조선 조정은 나라라 하여 감히 예의에 벗어난 것을 우리에게 강요하지 못합니다. 이 하늘 밑에 우리만이 중화를 위하고
그에게 김충선이라는 이름과 있는데, 귀국(일본)에서도 중화의 것을 쓸 용의가 있습니까?
벼슬을 내려주었다.  - 통신사 조태억과 아라이 하쿠세키의 필담(1711) -
•우리는 저들(청)과 비교하여 한 치도 나은 점이 없다. 머리를 깎지 않고 상투를 틀고 있는 것만 가지고 스스
로 천하 제일이라고 하면서 “지금의 중국은 옛날의 중국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 중국 고유의 훌륭한
법과 제도마저 배척해 버리고 만다. 그렇다면 장차 어디에서 본받아 행하겠는가. - 박지원, “연암집” -
하멜
네덜란드의 선원으로 일본을
향해 가던 도중 제주도에 표착
병자호란 이후 조선은 표면상 청과 사대 관계를 맺고 교류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명에 대한 의
하였다. 그는 귀국 후 조선에서 리를 지키고 청에 당한 치욕을 씻자는 인식하에 북벌 운동이 추진되었다. 하지만 현실적인 이유로
의 경험을 담아 “하멜표류기” 실행되지 못하였고, 실질적 중화는 조선밖에 없다는 조선 중화주의가 확산되었다. 18세기에는 현
를 남겼다.
실을 직시하고 청을 배우자는 북학 운동이 대두하였다. 이는 기존의 중화와 오랑캐를 가르는 화이
관이 변화하면서 나타난 모습이었다.
소현 세자
소현 세자는 인조의 맏아들로 (2) 문물의 교류
병자호란 이후 인질이 되어 청
에 끌려갔다. 그곳에서 그는 아 ① 전쟁을 통한 문물의 교류
담 샬 등 서양 선교사와 교류하
•항왜를 통해 조총 제조, 사신을 통해 화포 제작법 입수, 벨테브레이·하멜 등 표류한 서양인을 통
였고, 서양의 과학 기술에 많은
해 서구 문물 수용(화포 등)
관심을 가졌다. 조선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조선에 담배, 고추 등 신작물 전래
•청에 포로로 끌려갔던 소현 세자는 아담 샬과 교류, 천주교 서적 등을 가지고 귀국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과정에서 조선의 서적과 구리 활자, 불화 약탈, 유학자와 도공 등의 기술자를
연행사 일본
포로로 끌고 감 → 에도 시대의 학문과 기술 발전에 이바지
조선 후기에 청의 수도 베이징
(연경)에 파견된 사절이다. 사절 ② 사절단의 왕래
단은 베이징에서 5개월 정도
머물렀으며, 전체 일행은 200 통신사 왜란 이후 조선은 에도 막부에 통신사 파견 → 학술과 문물 교류 촉진
~300명 정도였다. 병자호란 이후 조선은 청과 조공·책봉 관계를 맺고, 정기적으로 연행사 파견 → 청과의 교류 과정
연행사
에서 북학 운동 대두

자료 플러스 통신사와 문화 교류

•작은 배를 타고 오사카에서 출발하여 큰 배로 옮겨 탔다. 이날 송환된 사람은 120여 명이었다.


 - 오윤겸, “동사상일록” -
•돌아가는 길에 고구마를 구해서 동래의 관리에게 줄 예정이다. 문익점이 목화를 퍼뜨렸듯이 이것들을 다
살려서 우리나라에 널리 퍼뜨린다면 큰 도움이 되지 아니하겠는가. - 조엄, “해사일기” -

❶ 제주도에 표착한 네덜란드인


임진왜란 이후 조선은 일본에 회답겸쇄환사라는 사절을 보내 일본의 상황을 파악하는 동시에 전쟁 중
벨테브레이는 조선의 ( )
제작에 참여하였다.
끌려간 사람들을 데려왔고, 일본과의 국교를 재개하였다. 이후 무역에 관한 협정인 기유약조(1609)를
❷ 병자호란 이후 청에 인질로 끌 맺었다. 조선은 19세기 초까지 막부의 쇼군이 바뀔 때마다 통신사를 계속 파견하였고, 이 과정에
려간 소현 세자는 서양인 선교 서 문물 교류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1763년(영조 40)에 통신사 조엄은 쓰시마에서 고구마 종자를
사( )과 교류하였다. 가져와 조선에 전하였다.
❸ 병자호란 이후 조선은 청과 조
공·책봉 관계를 맺고 정기적
으로 ( )를 파견하였다.

|정답| ❶ 화포 ❷ 아담 샬
❸ 연행사

76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자료
탐구
자료 1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정답과 해설 20쪽

기출 자료 분석
ㅣ2018학년도 대수능 6월 모의평가ㅣ

(가) 왜군의 일부가 식량과 말을 싣고 자기 나라로 돌아가기 시작하였다. 이때 경상좌병사로


부터 왜군의 철수는 관백(關白)이 사망한 뒤 권력을 잡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우리나
라에 파견된 왜장들을 소환하였기 때문이라는 보고가 올라왔다.
(나) 오랑캐가 국경을 넘어 쳐들어와 명과의 왕래를 끊고 자신과 서로 형제가 되기를 하늘
에 맹세하면 군대를 철수하겠다고 회유하였다. 강화도로 피신한 국왕은 사정이 너무
급박해 이를 받아들여 화친의 맹약을 맺었다.

자료 분석 (가)는 관백(도요토미 히데요시)이 사망한 뒤 권력을 잡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왜장들을 소환한다는 내용


을 통해 정유재란이 끝나는 시점임을 알 수 있다. (나)는 오랑캐가 국경을 넘어 쳐들어와 명과의 왕래를 끊고 형제가
되기를 요구하였다는 내용을 통해 정묘호란 시기의 사실임을 알 수 있다.
자료 공략 임진왜란 이후 국제 정세의 변화는 자주 출제되고 있다. 명, 조선, 일본, 만주 지역 모두 정치적 변화가 일
어났기 때문에 이 시기 일련의 정치 변화를 모두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특히 (가), (나) 시기 사이, 또는 특정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을 묻는 형태로 자주 출제되기 때문에 시기를 꼼꼼하게 정리해 두어야 한다.

유형 연습

1 밑줄 친 ㉠, ㉡ 전쟁 시기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0015-0087 ]

•㉠전쟁이 시작되었을 때 사야가는 가토 기요마사 군대의 장수 중 한 명이었으나, 조선에 귀화한 후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


다. 선조는 사야가에게 ‘김충선’이라는 이름을 내려주고 큰 벼슬을 하사하였다.
•㉡전쟁 당시 나라의 운수가 불행하여 인조께서 거가*를 타고 도성을 떠나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셨으며, 강화도마저 함락되었
다. 이때에 나는 대군과 함께 적의 진영에 포로로 잡혀 있었는데, 종묘사직의 안위는 숨 쉴 사이도 없이 다급하였다.
*거가 : 임금이 타던 수레

①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회군하였다.


② 청의 군대가 베이징을 점령하였다.
③ 타이완의 정씨 세력이 진압되었다.
④ 조선과 일본이 기유약조를 체결하였다.
⑤ 오다 노부나가가 나가시노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06.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77


자료
탐구
자료 2 정묘호란 정답과 해설 20쪽

기출 자료 분석
ㅣ2019학년도 대수능ㅣ

평양성을 함락시킨 가도에 있는 명의 모문룡 군대에 대한


저들은 어떤 조건을 지원을 끊고, 자신들에게 목면 등의 세
내세우던가요? 폐를 보내며 국경 지역에서 개시를 열
어 준다면 철군한다고 합니다.

자료 분석 평양성을 함락시키고, 가도에 있는 명의 모문룡 군대에 대한 지원을 끊고 개시를 열 것을 요구한다는 등의


내용을 통해 후금이 조선을 침략하였던 정묘호란 시기의 사실임을 알 수 있다. 명은 조선 정부에 인조반정을 묵인하
는 대가로, 가도에 주둔하던 명의 장수 모문룡과 연합하여 후금을 공격할 것을 요구하였고, 인조는 모문룡에 대한 지
원을 강화하였다. 모문룡이 후금 정벌과 랴오둥 수복을 천명하자, 후금은 1627년 조선을 침공하였고, 조선과 형제
관계를 체결하고 2개월 만에 철수하였다. 이후 후금의 홍타이지는 스스로 황제를 칭하는 한편, 국호를 청으로 고치
고 조선에 군신 관계를 요구하였다. 조선이 이를 거절하자 홍타이지는 1636년 조선을 침략하였는데, 이를 병자호란
이라 한다.
자료 공략 임진왜란부터 병자호란 사이의 사실을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되므로 두 전쟁 시기 사이의 사실을 정확히
정리해 두어야 한다.

유형 연습

2 밑줄 친 ‘오랑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0015-0088]

쓰시마 번주가 “귀국이 오랑캐와 국교를 맺은 것은 어째서인가? 또한 소현 세자와 왕자가 선양에 인질로 가 있다는데, 모두 별
고 없는가? ”라고 물으니, 역관 홍희남이 “우리나라는 문한(文翰)을 숭상하여 싸움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런데 오랑캐가 전쟁
을 일으켜 국도(國都)에 쳐들어와 황급히 도성을 떠나 화친을 맺은 것이다. 세자가 선양에 가 있는 이유는 저들이 항상 우리를
의심하기 때문에 성의를 보여 의심을 풀어 주고자 함일 뿐이다.”라고 대답하였다.

ㄱ. 전연의 맹약을 맺고 세폐를 받았다.


ㄴ. 베트남 지역에 안남도호부를 두었다.
ㄷ. 조선으로부터 연행사를 받아들였다.
ㄹ. 팔기제를 시행하여 군사력을 강화하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8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수 능 기본 문제 정답과 해설 20쪽

[20015-0089] [20015-0091]

01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03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지도에는 당시 명이 겪고 있던 대외적 위기가 나타나 있어요. 이 그가 말하기를 “나는 지난해 조선에 서한을 보내어 나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는 어떠한 것이 있었을까요?
뜻을 전했으나 조선이 이제껏 답서를 보내지 않으니 정벌
하지 않을 수 없도다. 명나라를 치기 전에 우선 조선을 침
타타르부
략할 것이다. 조선이 나의 명령에 따른다면 일본군의 선봉
조선 에 서게 해 명나라로 나아가리라. 만약 나의 명에 따르지
동해
베이징 않는다면 조선을 섬멸한 뒤에 명나라로 들어가는 것이 뭐
황해 한성
일본 어렵겠는가? ”라고 하였다.
교토
난징
명 ① 삼번의 난을 진압하였다.
② 백련교의 난을 진압하였다.
③ 농민의 무기를 거두어들였다.
몽골 침입로
왜구 침입로 ④ 절도사의 권한을 축소하였다.
⑤ 에도를 근거지로 막부를 세웠다.

① 주변국에 화번공주를 파견하였어요.


② 세폐를 지급하여 침략을 막으려 했어요.
③ 천호·백호의 군사 제도를 정비하였어요.
④ 왜구의 근거지인 쓰시마섬을 정벌하였어요.
⑤ 몽골과 강화를 맺어 군사비를 절감하였어요.

[20015-0092]

[20015-0090]
04 (가), (나) 시기 사이의 사실로 옳은 것은?
02 다음 약조에 따른 교역이 이루어진 시기에 볼 수 있는 모 (가) 이날 왜선이 쓰시마섬으로부터 바다를 뒤덮으며 몰려
습으로 적절한 것은? 왔다. 멀리서 바라보니 그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였
다. 부산 첨사 정발은 절영도에 출렵 중이었는데 낭패
•대마도주에게 매년 200석의 쌀과 콩을 하사한다. 하여 성으로 도망해 들어왔다. 왜병이 그 뒤를 쫓아 상
•대마도주는 매년 50척의 배를 보낼 수 있고, 부득이하게 륙하여 얼마 되지 않아 성을 함락시켰다.
보고할 일이 있으면 정해진 숫자 외에 특송선을 보낼 수 (나) 그들이 이번에 전쟁을 일으켜 랴오둥을 침범해 들어갔
있다. 으니, 비록 천하의 군대를 동원한다 하더라도 섬멸시
•부산포, 제포, 염포 등 3포에 머무르는 날짜는 20일로 한 키기는 어려울 듯합니다. 이른바 여진족이 1만 명이
정하고, 상경한 자의 배를 지키는 간수인은 50일로 하며 모이면 천하가 감당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들은 자
이들에게 식량을 지급한다. 신들을 후금이라 칭하는데, 병마(兵馬)가 정예롭고 강
 - “증정교린지” - 성한 것이 예전 못지않습니다.

① 에도를 방문하는 통신사 일행 ① 아구다가 금을 건국하였다.


② 티베트 지역을 공략하는 팔기병 ② 토목보의 변이 발생하였다.
③ 부산진을 공격하는 일본의 조총 부대 ③ 일본이 명과 감합 무역을 하였다.
④ 여진의 사절을 받아들이는 조선 관리 ④ 조선과 일본이 기유약조를 체결하였다.
⑤ 공행 소속 상인들과 거래하는 서양 상인 ⑤ 장거정이 일조편법을 전국으로 확대하였다.

79
06.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수 능 기본 문제 정답과 해설 20쪽

[20015-0093] [20015-0095 ]

05 다음 주장이 제기된 시기 동아시아 정세로 옳은 것은? 07 다음 문서가 작성된 배경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신도 진실로 성상께서 염려하시는 바를 알고 있습니다. 다 정묘년에는 종사와 생령들을 위해 임시로 화친을 허락하고
만 생각건대, 중국에 난리가 있으면 달려가 돕는 것이 춘추 치욕을 감수하였다. 지금 오랑캐가 황제를 참칭하고 우리
의 대의입니다. 하물며 우리나라는 지난 전쟁 때 재조의 은 나라를 업신여기므로 천하의 대의를 위해 그 사신을 배척
혜를 입어 오늘에까지 이를 수 있었으니, 황제의 은혜를 어 했다가 이 같은 환란을 만났다. 이제 화의는 이미 끊어졌고
찌 갚아야 할지 모를 정도입니다. …… 이제는 우리가 양껏 오로지 결전이 있을 뿐이다. 이기면 상하가 모두 온전할 것
군병을 모아, 황제의 칙서가 오는 대로 강홍립을 도원수로 이요, 이기지 못하면 상하가 모두 망할 것이다.
삼아 국경 밖으로 출동시켜야 합니다. 그런데 어찌 성상께
서는 원군 파병을 거절하는 사신을 보내어 요행을 도모한 ① 에도에 막부가 수립되었다.
단 말입니까? ② 이자성의 난으로 명이 멸망하였다.
③ 서인 세력에 의해 북벌론이 제기되었다.
① 일본 군대가 부산진을 함락하였다.
④ 인조가 청의 군신 관계 요구를 거절하였다.
②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었다.
⑤ 타이완을 근거지로 반청 운동이 확대되었다.
③ 조·명 연합군이 평양성을 탈환하였다.
④ 누르하치가 세운 후금이 명과 대립하였다.
⑤ 오삼계, 상지신, 경정충이 반란을 일으켰다.

[20015-0096 ]

08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15-0094]

06 밑줄 친 ‘전쟁’의 영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수행 평가 보고서>


전쟁 당시 임금이 머무르던 강화도의 분위기는 흉흉하였 •주제 : (가)
다. 불과 100리 밖까지 여진의 대병이 압박해 왔기 때문이 •관련 사례
다. 그래서 조정 신료들은 대개 화친이 이루어지기를 바랐 1. 이삼평에 의해 아리타 자기가 발전함
다. 척화파들도 큰소리를 치긴 했지만 속으로는 마찬가지 2. 귀화한 왜인들에 의해 조총 제작법이 조선에
였다. 하지만 여론이 무서워 자기 입으로 홍타이지와의 화 전래됨
의를 말하지 못하였다. 그런데 유독 최명길만이 주저하지 3. 소현 세자가 서양 선교사 아담 샬과 교류함
않고 화의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 “계곡만필” -

① 왕안석의 신법이 추진되었다. ① 동아시아 문화권의 공통 요소


② 일본에서 도자기 기술이 발달하였다. ② 조공 사절단을 통한 교류 활동
③ 연공 징수를 위해 지토가 파견되었다. ③ 몽골 제국 시기에 이루어진 교류
④ 후금과 조선이 형제 관계를 체결하였다. ④ 전쟁을 통해 이루어진 문물 교류
⑤ 삼별초가 진도로 항쟁의 근거지를 옮겼다. ⑤ 서양 문물의 전래와 과학 기술의 발전

80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수능 실전 문제
20015-0097
1 다음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시행된 정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정 38년에 타타르부의 알탄은 수만 명의 무리를 이끌고 여러 진을 습격하여 점거하였다.


이에 복아해(卜兒孩)가 달아나 숨어버리니, 마침내 알탄이 제멋대로 여러 지역을 약탈하고
베이징을 포위하였다. 얼마 후 무리를 이끌고 돌아갔지만, 그의 아들들이 쑹산과 칭하이를
점거하여 머물게 하니, 시닝 역시 그들의 환란을 당하였다.
•가정 38년 4월에 마침내 왜구가 푸저우를 에워싸고, 한 달이 지나도록 포위를 풀지 않았다.
왜구로 인해 푸칭·융푸의 여러 성이 모두 공격당하여 파괴되었으며, 싱화까지 만연하였고,
장저우까지 내달아 돌진하였다. 이때가 되자 차오저우, 광저우 등지에서도 왜구의 출몰 경
고가 자주 보고되었다.

① 평성에서 뤄양으로 천도가 단행되었다.


② 대외 무역 통제를 위해 신패가 발급되었다.
③ 제포와 염포에 일본인의 거주가 허용되었다.
④ 장거정의 제안으로 국정 쇄신을 위한 개혁이 단행되었다.
⑤ 후금과 명의 대립 상황에서 조선이 중립 외교를 전개하였다.

20015-0098
2 다음 상황이 동아시아 각국에 미친 영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명의 포르투갈인을 태우고 표류하던 중국 배가 일본 규슈 남쪽의 섬 다네가시마에 도착하였


다. …… 다네가시마의 다이묘는 포르투갈인이 보여 준 불을 내뿜는 신기한 막대기 두 자루를
샀다. 다이묘는 자신의 부하에게 이와 똑같이 만들 것을 지시하였으나 총신이 폭발하는 등 제
작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 계속된 실패로 고민을 거듭하던 대장장이는 결국 포르투갈
인에게 그 기밀을 얻어냈다.  - “뎃포기” -

① 명의 황제가 토목보에서 포로로 사로잡혔다.


② 쇼군의 후계자 문제로 오닌의 난이 일어났다.
③ 나가시노 전투에서 오다 노부나가가 승리하였다.
④ 5호가 화북 지역을 차지하여 여러 국가를 세웠다.
⑤ 두 명의 천황이 서로 대립하는 분열기가 전개되었다.

81
06.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수능 실전 문제

20015-0099
3 다음 대화에서 비판하는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그는 우리나라 백세(百世)의 원 그는 전쟁을 일삼고 무


수입니다. 다행히 도쿠가와 씨 력을 남용하여 죄 없는
가 그를 따르던 세력을 멸망시 이들을 많이 죽였습니
킨 다음, 우리나라의 왕릉을 파 다. 그의 가문은 천벌을
헤친 사람을 처형하였고, 또 그 받아 지금 남아 있는 후
때 전쟁에 나선 그의 부하들을 손이 없습니다.
죽였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도쿠가와 씨와 화의를 맺었고,
양국 사이에 화목한 기운이 가
득 찼습니다. 혹시 그의 후손이
남아 있습니까?

① 남북조 내란의 혼란기를 수습하였다.


② 오삼계 등이 일으킨 반란을 진압하였다.
③ 무사와 농민의 신분 이동을 금지하였다.
④ 팔기제를 정비하여 군사력을 강화하였다.
⑤ 고케닌을 슈고로 삼아 지방에 파견하였다.

20015-0100
4 다음 교지가 내려질 당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왜적에게 잡혀간 백성의 죄는 묻지 않으며, 왜적을


잡아 오거나 포로로 잡혀 있는 우리 동포를 데리고
나오면 양반, 천인을 막론하고 벼슬을 시켜 주겠다.
얼마 전 명군과 합세하여 평양을 되찾았고, 곧 그 여
세를 몰아 왜국까지 쳐들어갈 계획도 있으니 그 전
에 서로 연락해 빨리 왜적의 손에서 빠져나오라.

① 사르후에서 명군과 싸우는 후금의 군대


② 관군을 도와 일본군과 전투를 벌이는 항왜
③ 세키가하라 전투에 참여한 도쿠가와의 군대
④ 군대를 이끌고 쓰시마섬 정벌에 나선 조선의 장수
⑤ 염포에서 일본인의 통상을 허용하는 조선의 국왕

82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정답과 해설 22쪽

20015-0101
5 밑줄 친 ‘전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전쟁이 시작될 무렵 우리나라에는 원래 조총이 없었고 사용 방법도 몰랐다. 조총 제작법을 알


고 있었던 김충선은 병마절도사에게 처음으로 조총 제작법을 가르쳤다. 이에 조정은 훈련청을
설치하고 항왜 300여 명을 모집하여 화약을 만들고 화포를 만들었다.

① 몽골이 화북을 차지하는 결과를 낳았다.


② 전연의 맹약을 맺어 전쟁이 종결되었다.
③ 조선에서 북벌론이 대두되는 계기가 되었다.
④ 명이 랴오둥반도 보호를 목적으로 참전하였다.
⑤ 모문룡에 대한 조선 정부의 지원이 원인이 되었다.

20015-0102
6 (가), (나) 시기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가) 1월에 여진이 철기를 규합하여 의주로 들이닥치니 적들이 이르는 곳마다 닭과 개의 씨를
말려 평양과 황주까지 이르렀다. 백성들은 놀라 흩어지고 조야가 흉흉하게 두려워하여 임
금께서는 강화도로 들어가시고 세자께서는 전주로 남하하였다.
(나) 임금이 오랑캐에게 포위된 남한산성 안에 있는데 안으로는 믿을 만한 형세가 없고, 밖에
서는 개미 새끼 한 마리 구원하러 오지 않는다. 나라의 존망이 경각에 달렸는데 그들과의
강화는 이미 끝장났다. 경은 속히 병력을 이끌고 들어와 구원하라.

① 사르후 전투가 벌어졌다.


② 누르하치가 후금을 건국하였다.
③ 청의 군대가 한성을 함락하였다.
④ 조선이 명과의 관계를 단절하였다.
⑤ 소현 세자가 아담 샬과 교유하였다.

83
06. 17세기 전후의 동아시아 전쟁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22쪽

20015-0103
7 다음 글을 공포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만주의 신(臣)이 감히 하늘과 땅에 고합니다. 저와 같은 하찮은 존재


가 칸의 자리를 계승한 이래 대도(大道)를 위하여 항상 힘쓰기를 10
년이 되었습니다. 하늘의 자비로 몽골을 하나로 통합하고 옥새와 강
토를 얻었습니다. …… 뭇 사람들의 뜻을 따라 황제의 존호를 받아
들이고 국호를 고쳐서 대청, 연호를 개원하여 숭덕 원년으로 하였습
니다.

① 난징을 수도로 국가를 세웠다.


② 카라코룸에서 대도로 천도하였다.
③ 삼전도에서 인조로부터 항복을 받았다.
④ 천호·백호제를 군사적 기반으로 삼았다.
⑤ 남송을 멸망시키고 중국 전역을 확보하였다.

20015-0104
8 다음 자료들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천하가 모두 오랑캐를 따르지만, 우리나라만은 명나라의 제도를 고치지 않으니 청나라도 우


리를 예의의 나라라 하여 감히 예의에 벗어난 것을 우리에게 강요하지 못합니다. 이 하늘 밑
에 우리만이 동주(東周)를 위하고 있는데, 귀국(일본)에서도 중화의 것을 쓸 용의가 있습니
까?
•옛날에는 땅을 가지고 화이를 분별하였다. 동쪽이면 동이, 서쪽이면 서이, 북쪽은 북이, 그
리고 가운데 중국을 두었다. 각각 경계가 있어서 서로 넘지 않았다. 그래서 우리도 이적의
이름을 얻었었다. 그런데 지금은 이적이 중국에 들어가서 중국인들이 그들을 임금으로 삼고
그 풍속을 따르며 서로 혼인하여서 종족이 섞여 버렸다. 이제 땅을 가지고 구별할 수가 없고
오직 사람을 가지고 논해야 한다. 그런즉 지금 우리에게 중화가 귀속되지 않는다면 누구에
게 돌아가겠는가?

① 조선에서 나타난 중화주의의 특징을 찾아본다.


② 임진왜란 시기의 문물 교류 사례들을 확인한다.
③ 에도 막부에 통신사를 파견하게 된 원인을 알아본다.
④ 임진왜란 당시 일본이 제시한 강화 조건을 분석한다.
⑤ 타이완을 근거지로 반청 운동을 전개한 세력을 조사한다.

84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07
동아시아사

교역망의 발달과 은 유통

1. 명의 해금 정책과 동아시아의 조공 무역 체제 삼포
세종 때 일본인의 왕래와 거주
(1) 명 중심의 조공 무역 질서 형성 를 허가한 세 포구이다. 부산포
① 해금 정책 : 명은 건국 초부터 민간인이 국외로 건너가 무역하는 것을 금지 (부산), 제포(진해), 염포(울산)를
말한다.
② 조공 무역 : 명은 정규 조공 사절단에게만 감합을 발급하여 무역 허가
공무역 사절단을 통한 조공과 회사의 형식
사무역 사절단을 구성하는 사행원 중 역관을 중심으로 한 사적인 교역 왜관
조선 시대에 일본인의 교역과
거주를 위해 설치한 관사 또는
(2) 밀무역의 성행
일본인의 집단 거주지이다. 임
① 해금 정책으로 생계를 위협받던 명의 상인들과 명의 물품을 구입하려는 일본 상인들이 왜구로 진왜란 이후에는 부산에 왜관이
설치되었다.
가장하여 밀무역 자행 → 명의 노력에도 밀무역 근절 실패
② 16세기 후반 해금 정책 완화 : 동남아시아 방면의 도항과 무역 허용

자료 플러스 명의 해금 정책과 밀무역

바다는 푸젠 사람들에게는 경작지나 마찬가지이다. …… 가난한 사람들은 자주 바다에 나가 도적을 따라 서


로 모여들어서 망명의 무리가 되기도 하였다. 명대가 되어 해금이 엄격해지자 식량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연해를 약탈하게 되었다. 연해의 백성은 속수무책으로 강탈을 당하였으며, 자녀들과 은과 재산을 모
두 약탈을 당하게 되었으니 피해가 더욱 심해졌다.  - “천하군국리병서” -

명 중심의 조공 무역 강화는 밀무역 확대를 불러왔다. 해금 정책으로 교역이 어려워지면서 명 상


인들은 동남아시아 상인들과 밀무역을 하였다. 일본의 무역선이 닝보에서 난을 일으키고, 16세기
중엽 감합 무역마저 중단되자, 명 상인과 일본 상인 사이의 밀무역이 활발해졌다. 명이 단속을 강
화하자 밀무역 상인들은 해적 집단에 합류하였고, 이에 왜구가 성장하였다. 이를 우려한 명은 해
금령을 완화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들여 사무역을 허용하여 동남아시아 방면의 도항과 무역을 허
락하였다.

(3) 명과 주변국의 무역
•조선은 조천사를 통해 명과 공무역(조공 무역) 전개
조선 •조선은 생사, 비단, 서적 등을 수입하고 종이와 붓, 인삼 등을 수출
•조선의 사절단에 속한 역관들이 은을 매개로 사무역 전개
•무로마치 막부는 15세기 초 명의 책봉을 받은 후 명과 감합 무역 전개
무로마치 막부
•무로마치 막부는 생사·비단·도자기·서적 등 수입, 금·동·유황·칼 등 수출
•류큐는 명과 조공 무역 전개
•명의 해금 정책으로 류큐가 중계 무역의 거점으로 성장(류큐는 명에 조공하여 받은 물품을 ❶ 명은 건국 초부터 민간인이 국
류큐
일본과 동남아시아 등지에 수출) → 명의 해금 정책 완화와 포르투갈 상인의 진출로 류큐의 외로 건너가 무역하는 것을 금
중계 무역 쇠퇴 지하는 ( )을 실시하였다.
❷ 15세기 초 무로마치 막부는 명
(4) 조선과 주변국의 교역 의 책봉을 받고 명과 ( )
무역을 시작하였다.
•쓰시마섬 토벌(세종) → 삼포(3포) 개방(왜관 설치), 제한된 범위 내에서 무역 허용 → 삼포 왜란 → ❸ 조선은 세종 때 왜구의 근거지
일본 교역 축소 →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으로 단절 → 부산에 왜관 설치(17세기) 인( )을 토벌하였다.
•일본에 쌀과 서적 등 수출, 구리와 유황 등 수입
|정답| ❶ 해금 정책 ❷ 감합
•조선은 여진의 사절을 통한 무역 허용
여진 ❸ 쓰시마섬
•국경 일대에 무역소를 두고 여진에 필요한 물품 제공

07. 교역망의 발달과 은 유통 85


동아시아사

07 교역망의 발달과 은 유통

갈레온 무역
자료 플러스 류큐의 중계 무역
16세기 이후 에스파냐가 갈레온
선이라 불리는 배를 이용하여
류큐는 남해의 이름난 지역으로 삼한(조선)의 빼어남을 모아놓았고, 대명(중국)과 ‘광대뼈와 턱’과 같은 관계
전개한 무역을 일컫는다. 에스
이면서 일역(일본)과도 ‘입술과 치아’와 같은 관계이다. 류큐는 이들 사이에서 봉래도(蓬萊島 : 낙원)이다. 선
파냐는 멕시코의 아카풀코에서
박이 오가며 만국의 가교가 되고, 외국의 산물과 보배는 온 나라에 가득하다.
은을 가져와 필리핀에서 중국
 - 다카라 구라요시, “류큐 왕국” -
인의 비단, 도자기 등과 교환하
였다.
명의 해금 정책으로 류큐 왕국은 16세기 중반까지 중계 무역으로 번성하였다. 류큐는 명에 사절을
보내 도자기, 생사 등을 수입하여 일본과 동남아시아 등지에 팔았으며, 조선에 일본과 동남아시아
데지마 산 물건을 팔기도 하였다.
에도 막부가 포르투갈인을 수
용하기 위해 나가사키에 건설
한 인공 섬이다. 그러나 에도 막 2. 유럽인의 동아시아 진출과 교역망의 확대
부는 선교 문제를 이유로 포르
투갈인을 추방하고, 네덜란드인 (1) 유럽인의 동아시아 진출
의 상관을 이곳으로 옮겼다.
•16세기 이후 동남아시아 진출, 명으로부터 마카오 거주권 획득
포르투갈 •마카오를 근거지로 일본과 명 사이에서 중계 무역 전개
•일본에서 얻은 은을 이용하여 중국과 무역
공행
•필리핀 마닐라에 무역 근거지 마련
청 정부로부터 유럽 상인과의 에스파냐
•갈레온 무역으로 아메리카의 은을 중국 상품과 교환
교역을 공식적으로 허가받은
상인들의 동업 조합이다.
17세기 일본에 진출 → 에도 막부는 선교 문제를 이유로 17세기 전반 포르투갈 상인의 무역 금지, 네
네덜란드
덜란드 상인에게만 나가사키의 데지마에서 무역 허용
•18세기부터 청과 본격적 교역
•청으로부터 비단, 차, 도자기 등을 수입하고 목화와 은을 수출 → 청은 18세기 중엽 광저우의 공행
영국
을 통한 제한적 무역 허용
•18세기 말부터 무역 적자 타개를 위해 아편 무역 전개 → 청의 은 유출 증가

자료 플러스 서양 상인의 진출과 교역의 변화

•(문순득은) 마카오에 도착하였다. 필리핀 사람과 홍모(紅毛) 서양인 수만 호가 살고 있다. 땅은 좁고 사람은


많아서 집 위에 집을 올리고 있다. 관청이 하나 있는데 주로 변방을 살피고 손님을 접대하며 상인에게 세
금을 징수한다. - 정약전, “표해시말” -
•에스파냐 사람이 필리핀 제도를 영유하고 나서부터는 훨씬 많은 중국인이 오게 되었습니다. 매년 적어도
여덟 척, 어떤 해는 스무 척에서 서른 척이나 되는 중국 배가 내항하였고, 모두 면포와 비단 같은 옷감을
가득 싣고 있었습니다.  - Blair and Robertson -

포르투갈은 1557년에 명의 관헌으로부터 마카오 거주 허가를 얻어 중국 연안에 거점을 확보하고


❶ 포르투갈은 명으로부터 ( ) 있었다. 1570년 무렵에는 일본에서도 기독교를 믿고 있던 다이묘인 오무라 스미타다의 영내에 나
거주권을 획득하여 무역의 근 가사키항이 열려 나가사키와 마카오를 잇는 교역이 포르투갈인에 의해 이루어졌다. 일본을 경계
거지로 삼았다.
한 명은 일본인의 중국 내항과 중국인의 일본 도항을 금지하고 있었지만, 포르투갈인은 그 간극을
❷ 에도 막부는 선교 문제를 이유
로 17세기 전반에 네덜란드 상 메우면서 일본의 은과 중국의 생사를 무역하며 큰 이익을 올렸다. 이 밖에도 에스파냐가 필리핀에
인에게만 나가사키의 ( ) 마닐라를 건설한 이후, 에스파냐가 아메리카로부터 가져온 은의 상당수가 마닐라에 모여든 중국
에서 무역을 허용하였다. 선박에 의해 중국으로 유입되었다.
❸ 청은 18세기 중엽 유럽 상인들
이 광저우에서 무역을 하도록
하였으며, 거래 또한 ( ) (2) 교역망의 확대와 문물의 교류
을 통해서만 할 수 있게 하였다.
① 유럽 상인들의 거점인 믈라카, 마카오, 마닐라, 광저우, 타이완 등이 은 유통의 중심지로 성장
|정답| ❶ 마카오 ❷ 데지마 ② 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감자, 고구마 등의 작물 전래
❸ 공행
③ 유럽에서 중국의 도자기 유행 → 도자기 복제 기술 발달

86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3. 동아시아 각국의 은 유통과 교역의 변화 천계령
해상권을 장악하고 반청 운동
(1) 중국의 은 유통과 경제 변화 을 전개하던 정씨 세력과 연해
•건국 초 보초와 동전 유통 시도 → 보초에 대한 불신으로 민간 거래에서 은 유통 → 세금의 은납 세력의 교류를 단절하기 위해
명 화(일조편법)와 상공업 등의 발달로 은에 대한 수요 증가 청의 강희제가 푸젠·광둥성
•포르투갈, 에스파냐 상인들에 의해 대량의 은 유입 등의 연해 주민을 내지로 이주
시킨 정책이다.
•베이징 장악 후 반청 세력을 막고자 무역 통제(천계령 실시) → 타이완의 정씨 세력 진압 후 해제
→ 청 상인의 동남아시아, 나가사키 등 해외 진출

•유럽, 일본과의 교역 → 은의 대량 유입
지정은제
•18세기 초 지정은제의 전국 시행
청대에 인두세인 정세를 토지
세에 포함시켜 은으로 납부하
자료 플러스 명의 조세 제도와 은 게 한 제도이다.

오늘날 지폐는 통용되지 않고, 동전만이 겨우 작은 교역에만 사용될 뿐, 모든 조세 업무를 은 하나로만 하니


은이 부족하게 되었다. …… 은이 부족해지는데도 부세는 옛날 그대로이고 교역도 변함이 없다. 허둥지둥 은
회취법
을 구하고자 해도 어디에서 구할 수 있겠는가?  - 황종희, “명이대방록” 재계편 -
불순물이 포함된 은광석을 납
과 함께 가열하여 불순물이 제
은의 대량 유입으로 명대에는 은을 중시하는 경제 체제가 형성되었다. 이의 영향을 받아 조세 제 거된 납과 은의 혼합물을 만든
도 역시 지세와 정세를 은으로 징수하는 일조편법이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다. 농민들은 은을 마련 뒤, 그것을 다시 재 위에 올려
하기 위해 상품 작물 재배와 같은 생산 활동을 시작하였고, 이는 상공업의 발달을 가져왔다. 가열하여 순은을 얻는 방법이다.

(2) 일본의 교역과 은 유통


슈인장
센고쿠 •조선에서 회취법(연은 분리법) 도입, 이와미 은광의 본격 개발 → 은 생산량 급증 배를 타고 나가 무역할 수 있도
시대 •은이 국내 화폐와 무역 결제 대금으로 사용 록 에도 막부가 발급한 증명서
•슈인장을 발급하여 특정 상인에게만 교역 허용 → 슈인선은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일본산 은으로 로 붉은 도장이 찍혀 있다.
물품 구매
에도 •크리스트교의 유입 → 해금 본격화(포르투갈 상인 축출, 슈인장 발급 폐지 등), 17세기 전반 서양
막부 인 중 네덜란드 상인에게만 나가사키 데지마에서의 교역 허용
•청의 천계령 해제 후 나가사키에 청 상인의 진출 증가 → 무역량 급증으로 은 유출 심화 → 청 상
인에게 신패를 발급하여 무역량 통제

자료 플러스 에도 시대의 은광 개발

게이초 12년(1607) 4월 처음으로 다량의 은을 발견했을 때, 인근 지역뿐만 아니라 먼 곳까지도 이 소문이 널


리 퍼졌다. 같은 해 8월과 9월에는 각지에서 사람들이 매일같이 끊임없이 몰려들었다. 그중에는 주군을 잃은
무사도 있었다. 게이초 13년 봄에는 이들이 대여섯씩 무리를 지어 계곡과 인나이 촌락에 집을 짓기 시작하였
고, 더는 빌릴 만한 장소가 없게 되었다.  - “일본서민생활사료집성” -

❶ 청은 반청 세력을 막기 위해 푸
일본의 은 생산량은 이와미 은광이 개발되고 조선에서 회취법(연은 분리법)이 도입되면서 급증하
젠·광둥성 등의 연해 주민을
였다. 센고쿠 시대 다이묘들은 재정 확보를 위해 은광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대외 무역에 내지로 이주시키는 ( )을
적극적이었다. 16세기 말 일본의 은 생산량은 전 세계의 3분의 1에 달하였다. 17세기 이후 은 생산 실시하였다.

량이 감소하자, 막부는 무역량을 제한하고 은의 함량을 낮춘 은화를 발행하기도 하였다. ❷ 센고쿠 시대에 은 제련술인
( )이 조선에서 전래되어
은 생산량이 급증하였다.
(3) 조선의 은 유통과 교역의 변화 ❸ 에도 막부는 배를 타고 나가 무
역하는 상인에게 무역 허가증
15세기 초기에 은 유통 부진, 은광 개발에 소극적
인( )을 발급하였다.
16세기 중국과의 교역 증가로 은 수요 증가 → 단천 은광을 비롯한 은광 개발 증가
|정답| ❶ 천계령 ❷ 회취법(연은 분
임진왜란 •명군에 의해 다량의 은 유입 → 민간에 은 유통
리법) ❸ 슈인장
이후 •조선의 인삼, 중국산 생사와 비단을 일본의 은과 교환 → 일본 은이 조선을 거쳐 청으로 유출

07. 교역망의 발달과 은 유통 87


동아시아사

07 교역망의 발달과 은 유통

전례 문제
자료 플러스 임진왜란과 조선의 은 유통
크리스트교 포교 과정에서 중
국인의 조상 숭배 등 중국 전례
우리 동방에는 은광이 많아 고려 말에 명의 과도한 요구로 백성이 견디지 못하였다. 조선 초에 요구하여 명
의 인정 여부를 두고 벌어진 선
으로 보내는 공물(은자)을 면제받았으나 그것을 화폐로 쓸 수도 없으므로 왕께서 은 채굴을 금지하는 법령을
교사들 사이의 논쟁이다. 이후
제정하셨다. …… 그 후 2백 년이 지나 임진왜란에 이르러 명에서 은을 우리나라에 주고, 군량과 군공 포상도
청 조정과 예수회의 선교 방침
모두 은을 썼다. 이로써 은화가 유행하였다.  - 신흠, “상촌고” -
을 비판한 교황청의 대립으로
확대되었다.
임진왜란 당시 명군의 봉급과 군수 물자 구매 비용 등으로 대량의 은이 조선으로 유입되면서 농민과
소상인들이 은을 사용하는 데 익숙해졌다. 한동안 조선이 중국과 일본 사이에 은 유통의 중개 역할을
해체신서 담당하였지만, 청의 천계령 해제 이후 청 상인이 나가사키에서 교역하면서 그 비중은 점차 줄어들었다.
18세기에 스기타 겐파쿠 등이
서양의 해부학 책을 번역한 의
학서이다. 이를 계기로 에도 시 4. 서양 문물의 전래
대에 난학이 본격적으로 발달
하였다.
(1) 명·청대 서양 문물의 수용
① 서양 선교사를 통한 서양의 자연 과학 지식 유입, 예수회 선교사들이 포교를 위해 과학 지식과
총포 제작술 등 소개
기기도설
•마테오 리치 : 명대 중국 지식인과 함께 ‘곤여만국전도’ 제작(중국인의 세계관 변화에 영향),
명대에 예수회 선교사 테렌즈
가 16세기까지의 서양 기술을 크리스트교 교리 문답서인 “천주실의” 저술, 서광계와 함께 “기하원본” 간행
그림으로 그려 중국에 소개한 •아담 샬 : 청대 역법 개정(시헌력) 주도
책이다.
•카스틸리오네 : 원명원 설계에 영향
② 17세기 중반 이후 전례 문제 발생 → 크리스트교 선교 금지, 선교사 추방
(2) 일본의 서양 문물 수용
① 크리스트교 탄압 : 16세기 중반 프랜시스코 하비에르가 크리스트교 포교 → 에도 막부의 크리
스트교 금지령 반포, 포르투갈 상인의 내항 금지(1639)
② 윌리엄 애덤스(미우라 안진) : 에도 막부의 외교 고문으로 네덜란드, 영국과의 통상 및 상관 설
치에 기여
③ 네덜란드와 교류하면서 서양 문물 수용 → 18세기 난학 발전(“해체신서” 간행)
(3) 조선의 서양 문물 수용
① 벨테브레이, 하멜과 같이 표착한 서양인들에 의해 서양 문물 도입
② 명에서 서양 선교사로부터 천리경·자명종 등 입수, 소현 세자는 청에서 아담 샬과 교류, 청의
시헌력 수용
③ 홍대용이 지구의 자전설 주장, 정약용이 “기기도설”을 참고하여 거중기 설계
❶ ( )는 서광계와 함께 “기
하원본”을 간행하여 유클리드
자료 플러스 서양 선교사의 활동
이론을 중국에 소개하였다.
❷ ( )는 에도 막부의 외교 •중국 지식인 : 천주가 태초에 만물을 창조하고 그것을 변화·발전시킨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습니까?
고문으로 일본과 네덜란드, 영 •서양 선교사 : 집은 스스로 세워질 수 없고 언제나 목수들이 완성합니다. 천지는 스스로 이루어질 수 없으
국 간의 통상에 기여하였다. 므로 천주가 반드시 계심을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 마테오 리치, “천주실의” -

❸ 조선 후기 정약용은 ( )
을 참고하여 거중기를 설계하 예수회 선교사인 마테오 리치는 중국에 와서 30여 년 동안 중국 옷을 입고 중국의 언어를 배우면
였다. 서, 천문학에 대한 뛰어난 식견으로 지배층의 신임을 얻었다. 그는 중국 지식인과 함께 세계 지도
|정답| ❶ 마테오 리치 ❷ 윌리엄 애
인 ‘곤여만국전도’를 제작하였고, 서광계와 함께 “기하원본”을 간행하여 유클리드의 기하학을 소
덤스(미우라 안진) ❸ 기기도설 개하였다. 또한 한문으로 된 최초의 크리스트교 교리 문답서인 “천주실의”를 저술하였다.

88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자료
탐구
자료 1 유럽인의 동아시아 진출 정답과 해설 25쪽

기출 자료 분석
ㅣ2018학년도 대수능ㅣ

불랑기포를 중국에 전래한 포르투갈은 광둥 지방관에게 마카오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허락


을 받고, 이곳을 중국 진출의 교두보로 삼았다. 이로부터 얼마 후 에스파냐는 마닐라를 점
령하여 동아시아 진출을 위한 전진 기지로 삼았다.

자료 분석 제시된 자료에서 포르투갈인이 마카오에 거주하게 되었으며, 얼마 후 에스파냐가 필리핀의 마닐라를 점령


하였다는 사실을 통해 16세기 동아시아 상황임을 알 수 있다.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16세기 이후 동아시아 방면으
로 진출하여 중국 상인과 무역을 전개하였다. 포르투갈은 1511년에 믈라카를 점령하고 아시아와 유럽 사이의 향신료
무역을 독점하였다. 이후 에스파냐는 1571년에 필리핀의 마닐라에 무역 기지를 건설하였고, 멕시코의 아카풀코에서
가져온 은으로 명의 비단과 도자기 등을 사들였다.
자료 공략 최근 서양 세력의 동아시아 진출을 시기와 관련하여 묻는 문항이 자주 출제되고 있다. 따라서 16세기 에스
파냐와 포르투갈의 진출, 16세기 말 네덜란드의 진출, 18세기 영국의 진출 등을 시기별로 정리해 둘 필요가 있다.

유형 연습

1 밑줄 친 ‘그 나라’ 사람들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20015-0105 ]

갈레온선을 앞세운 그 나라 사람들이 필리핀을 차지하고 나서부터는 훨씬 많은 중국인이 오게 되었습니다. 매년 적어도 여덟


척, 어떤 해는 스무 척에서 서른 척이나 되는 중국 배가 내항하였고, 모두 면포와 비단 같은 옷감을 가득 싣고 있었습니다.

① 나가사키 데지마에 근거지를 두었다.


② 책문 후시에서 중국 상인과 교역하였다.
③ 중국으로부터 마카오 거주를 허락받았다.
④ 무역을 위해 중국으로부터 감합을 발급받았다.
⑤ 아메리카산 은을 가져와 중국 상인과 무역하였다.

07. 교역망의 발달과 은 유통 89


자료
탐구
자료 2 16세기 이후 은의 유통 정답과 해설 25쪽

기출 자료 분석
ㅣ2019학년도 대수능 6월 모의평가ㅣ

•에스파냐인은 갈레온선을 이용하여 멕시코에서 마닐라로 매년 대량의 (가) 을/


를 운반하였고, 푸젠 상인이 들여오는 중국 상품을 구입하여 아메리카로 가지고 돌아갔다.
•조선에서 (가) 을/를 제련하는 기술인 회취법이 개발되었다. 그 방법이 일본으
로 도입되면서 이와미 광산 등에서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자료 분석 제시된 자료에서 에스퍄냐인이 갈레온선을 이용하여 아메리카에서 가져온다는 내용, 조선에서 제련 기술


인 회취법이 개발되었다는 등의 내용을 통해 (가)는 은임을 알 수 있다. 16세기 이후 은이 국제 무역의 결제 수단이
되면서 유럽인을 통해 아메리카의 은이 동아시아에 대량으로 유입되었다. 은은 명·청뿐만 아니라 조선과 일본에서
도 쓰였으며, 일본은 조선의 인삼을 구입하기 위해 특별한 은화를 제작하기도 하였다.
자료 공략 16세기 이후 은을 매개로 하여 세계적인 교역망이 발전하였음을 파악하고, 국가별 은의 사용과 유통 과정
을 정리해 둘 필요가 있다.

유형 연습

2 (가) 물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0015-0106]

•왕자들의 길례에 소용되는 각종 물품의 값을 마련할 길이 없습니다. 단천(端川)에서 채굴하여 보내온 (가) 을/를 조
정에 보관해 둔 것이 있으니, 값을 우선 지급하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지금 왜관에 정련된 (가) 이/가 2천 7, 8백 관이 있는 것으로 안다. 이를 조선 상인들이 베이징으로 가져가 생사(비
단실)를 구입하는 데 사용한다면 대략 6, 7백 관가량 이익이 날 것이다.

ㄱ. 이와미 광산의 개발로 생산량이 증대되었다.


ㄴ. 징더전의 주요 생산품으로 외국에 수출되었다.
ㄷ. 중국에서 아편 구입 증가로 영국 등에 대량 유출되었다.
ㄹ. 조선 상인이 왜관을 통해 일본에 수출하는 주요 품목이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90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수 능 기본 문제 정답과 해설 25쪽

[20015-0107] [20015-0109 ]

01 다음 정책에 대한 학생들의 대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03 밑줄 친 ‘그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것은?
왜구 토벌의 책임을 맡은 어사 주환이 죽은 뒤에 해금이 다
짐은 해로가 외방과 통하므로 일찍이 그 왕래를 금지하였 시 이완되자, 그들은 해상을 종횡하며 두려운 바 없이 교역
다. 하지만 근래에 푸저우의 관리들이 사사로이 사람을 보 하였다. 아울러 마카오에 시장을 벌여서 집을 짓고 성을 건
내 바다에 나가 장사하게 했다고 한다. 어찌 그와 같은 자 설하여 웅거하였는데, 이는 마치 한 나라와 같았다. 그 지
가 그들밖에 없겠는가. 만약 금지하고 경계하지 않으면 사 역의 관리 가운데 일부는 그들의 마카오 거주를 인정하고
람들이 이익에 혹하여 또다시 바다에 나아가 교역하는 범 있었다.
죄를 저지를 것이니, 사람을 보내 깨우치고 사사로이 바다
에 나가는 자는 법에 근거하여 논죄하도록 하라. ① 일본에 조총을 전하였다.
② 왜관에서 조선 상인들과 교역하였다.
① 막부가 신패를 발급하는 원인이 되었어요. ③ 조선의 만상을 통해 인삼을 수입하였다.
② 영국이 아편 무역을 전개하는 결과를 낳았어요. ④ 필리핀의 마닐라에 무역 기지를 건설하였다.
③ 명과 일본 상인의 밀무역 증가를 초래하였어요. ⑤ 광저우에서 서양 상인과의 무역을 독점하였다.
④ 에도 막부가 해금을 본격화하는 이유가 되었어요.
⑤ 조선의 통신사가 에도에 파견되는 계기가 되었어요.

[20015-0108 ]

02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110 ]

04 다음 법령이 시행된 시기 동아시아 교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동해 (가) 은/는 남해의 승지에 위
황해 치해 조선의 빼어난 점을 모두 취 一. 네덜란드인은 매년 2월 에도에 도착하여 예를 올린 후
하고, 명과 일본을 불가분의 관계
에 관청으로 찾아뵙고, 진상품은 그에 앞서 나가사키야
로 삼아 상호 의존하고 있다. 그
겐에몽이 가지고 가서 말씀을 드린다.
중간에 불쑥 솟아오른 봉래섬. 배
㈎ 一. 네덜란드인은 상관장, 서기, 의사 이상 3명이 찾아뵙고
를 타고 오가는 만국의 교량으로
서 이국의 산물과 보물이 나라에
정해진 장소에 앉으면, 심부름꾼이 나가서 이야기를 듣
넘친다. 고 돌아와 그 말을 전하고 나서 음식을 준다.

① 마닐라를 거점으로 무역을 전개하였다. ① 일본에서 견당사를 파견하였다.


② 삼포를 개방하여 일본과 무역을 하였다. ② 벽란도에서 국제 무역이 이루어졌다.
③ 인삼을 수입하기 위한 은화를 제작하였다. ③ 중국과 일본이 감합 무역을 전개하였다.
④ 중국의 생사와 도자기를 일본에 판매하였다. ④ 일본이 중국의 동전을 대량으로 수입하였다.
⑤ 데지마에 설치된 상관을 통해 일본과 교역하였다. ⑤ 조선의 국경 주변에서 개시 무역이 이루어졌다.

91
07. 교역망의 발달과 은 유통
수 능 기본 문제 정답과 해설 25쪽

[20015-0111 ] [20015-0113]

05 (가) 물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07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오늘날 지폐는 통용되지 않고, 동전만이 겨우 작은 교역에 이것은 에도 막부 시기 청 상인에게 발급된 것으로,
입항 예정 연도와 무역 허용량 등이 기재되어 있어
만 사용될 뿐, 모든 조세 업무를 (가) 하나로만 하
요. 이것이 발행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니 부족하게 되었다. …… (가) 이/가 부족해지는데
도 일조편법은 옛날 그대로이고 교역도 변함이 없다. 허둥
지둥 구하고자 해도 어디에서 구할 수 있겠는가?

① 송이 거란에 세폐로 지급한 품목이었다.


② 명에서 조세 납부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③ 공행과 유럽 상인들의 거래에 사용되었다.
④ 왜관을 통해 조선이 일본에 수출한 주요 물품이었다.
⑤ 아편 수입의 증가로 청에서 영국으로 대량 유출되었다.
① 시박사가 설치되었어요.
② 회취법이 도입되었어요.
③ 은 유출량이 증가하였어요.
④ 견당사 파견이 중지되었어요.
⑤ 해외로 나가는 상인들을 통제하기 위해서였어요.

[20015-0114]

08 밑줄 친 ‘그’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20015-0112]

06 다음 명령이 내려진 시기에 동아시아에서 볼 수 있는 모습


으로 적절한 것은? 사료로 보는 동서 교류
사료로 보는 동서 교류
역적 정씨 세력은 해상에 자리를 잡은 지 몇 년이 되었으 서승(西僧)인 그는 자명종을 가지고 있다. 그 속에
며, 바다를 소굴로 삼고 있기에 자생할 토지와 물자가 없으 기관이 들어 있는데, 한 시간마다 종을 친다. 이처럼
니 사용하는 대부분의 물자는 모두 육지에서 생산된 것이 하여 1년이 지나도 시간에 착오가 없으니, 신기한
다. 만약 백성이 상인과 소통하여 몰래 도와주지 않는다면 일이다.
역적이 곤경에 처하는 것을 앉아서 기다릴 수 있을 것이다.
중국에 진출하였던 예수회 선교사들은 자신을 중국인에
이제까지는 연해 각 지역의 간사한 백성과 상인이 암암리 게 익숙한 천축국 사람으로 인식시키고자 하는 전략으
에 소통하고 서로 무역함으로 인해 내지의 각종 물자를 역 로 승복을 입고 활동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이 글에서
적에게 공급해 왔다. 이에 백성에게 알리니 바다로 나가는 명에 자명종을 전하고 “기하원본”을 간행한 그를 서승
것을 엄히 금지한다. (西僧)으로 소개하고 있다.

① 대도의 건설을 명하는 황제 ① 원명원 설계에 도움을 주었다.


② 조선을 침략하는 후금의 군대 ② 조선의 소현 세자와 교류하였다.
③ 일본군을 공격하는 조선의 의병 ③ 전례 문제로 중국에서 추방당하였다.
④ 베이징을 방문하는 연행사 일행 ④ 세계 지도인 곤여만국전도를 제작하였다.
⑤ 가도에 머무르고 있는 모문룡 세력 ⑤ 해부학 책을 번역하여 난학 발전에 기여하였다.

92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수능 실전 문제
20015-0115
1 밑줄 친 ‘법령’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대저 조공은 반드시 공물과 상호 무역을 겸행해야 하지, 무역을 단절시켜서는 안 된다. 가정


6, 7년 이후 엄격히 법령을 시행하니 상업의 길이 통하지 않게 되고, 상인들은 이익을 잃게 되
어 해구(海寇)로 전락하게 되었다. 가정 20년 이후에는 법령이 더욱 엄격해져 왕직과 같은 왜
구가 극성하였고 허동이나 이광두 무리들의 명성과 위세가 더욱 확대되어, 화(禍)가 시간이 지
남에 따라 더욱 쌓이게 되었다. 오늘날 벌어지고 있는 일은 실제 이로 인한 것이다.

① 기유약조의 주요 내용을 알아본다.


② 정유재란이 일어난 이유를 분석한다.
③ 에도 막부가 슈인장을 발급한 목적을 조사한다.
④ 류큐가 중계 무역으로 번성한 배경을 찾아본다.
⑤ 타이완의 정씨 세력 진압 이후 청의 정책 변화를 파악한다.

20015-0116
2 다음 상황이 나타난 시기 동아시아 교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봉황성의 땅은 모두 버려져서 황폐한 것이 책문 밖과 다름이 없었는데, 근래에는 양국의 매매


가 점차 성행한 뒤로 생활 형편이 더욱 나아지고 사람들의 거주도 더욱 번창하여 하나의 큰 진
이 되었다. 책문 아래에도 또한 큰 마을이 만들어져 책문에서부터 봉황성까지 모두 논밭을 이
루어 닭과 개 소리가 서로 들리게 되었다. 매번 개시 때가 되면 …… 수레와 말들이 폭주하고,
남방의 상선들이 바닷가 어귀에 이르러 정박하며, 근래에는 베이징의 사람들도 또한 백사를
싣고서 책문에 이르렀다. - “통문관지” -

① 조선은 일본과 삼포를 통해 교역하였다.


② 부산의 왜관에 일본 상인들이 거주하였다.
③ 일본이 중국에서 대량의 동전을 들여왔다.
④ 일본이 중국에 감합 무역 재개를 요구하였다.
⑤ 중국에서 교초가 발행되어 전역에서 사용되었다.

93
07. 교역망의 발달과 은 유통
수능 실전 문제

20015-0117
3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그래프는 17세기 전반 일본과 아메리카에서


중국으로 유입되는 은의 양을 보여 줍니다.
이는 일본과 아메리카의 은 유출량 중 약 1/5
<일본과 필리핀에서 중국으로의 은 유입 추계>
(톤) 에서 1/3 정도라고 합니다. 이렇듯 많은 은이
500 중국으로 유입되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일본 은
400 마닐라 경유 아메리카 은

300

200

100
? ?
1601 1606 1611 1616 1621 1626 1631 1636 (년)
~

~
’05 ’10 ’15 ’20 ’25 ’30 ’35 ’40
- “동아시아의 근세” -

① 영국이 인도산 아편을 중국에 수출했어요.


② 조선 인삼을 구하기 위해 많은 은이 필요했어요.
③ 해금 정책으로 류큐의 중계 무역이 번성하였어요.
④ 일조편법의 시행 등으로 은의 수요가 늘어났어요.
⑤ 부산포, 제포, 염포에 일본 상인들의 거주지가 마련되었어요.

20015-0118
4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표류민들이 “영력제가 남쪽 지역에 나라를 세웠다.”라고 한다는


표류해 온 사람들이 말하는데, 그는 청
데 이는 주씨의 자손이 아직 남아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천하
에 귀순하지 않고 무리를 이끌고 타이
가 진동할 터인데 어찌 잠잠한가. 이는 믿을 수 없는 이야기이다.
완으로 들어가 저항 운동을 벌인다고
합니다.

① 청의 천계령 실시에 영향을 주었다.


② 사르후 전투에서 후금에 투항하였다.
③ 농민군을 이끌고 베이징을 점령하였다.
④ 청의 통치에 반발하여 삼번의 난을 일으켰다.
⑤ 천호·백호제를 정비하여 군사력을 강화하였다.

94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정답과 해설 27쪽

20015-0119
5 다음 논의가 전개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일본에서 새로 발행한 신은(新銀)이 예전 은에 비해 순도가 낮습니다. 이는 일본 내의 은이 부


족하여 일어난 것이지만, 우리는 물품 값을 올리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 명백합니다. 그런데
일본 측이 조선 상인에게 가져오는 일본 물품 값은 신은의 순도와 상관이 없는데도, 조선의 물
품과 마찬가지로 값을 올리겠다고 하니 근거가 없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말씀하신다
면 조선 상인들이 곤란해할 것입니다.

① 회취법이 끼친 영향을 찾아본다.


② 일본이 신패를 발급한 배경을 알아본다.
③ 포르투갈이 마카오에 진출한 과정을 알아본다.
④ 정화의 항해가 가져온 국제 질서의 변화를 파악한다.
⑤ 막부가 상인들에게 슈인장을 발급한 목적을 조사한다.

20015-0120
6 밑줄 친 ‘그’가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천주당은 서양국 사람이 머무는 곳인데, 서양국은 서쪽 바다 가운데 있는 나라로 중국에서 수


만 리 밖에 있다. 그 나라의 풍속은 이치에 합당하여 온갖 기계를 매우 정교하게 만든다. 그러
므로 이마두(마테오 리치)가 죽은 후 서양 사람이 이어서 중국에 계속 왔고, 그중 그에게 벼슬
을 내리고 녹봉을 후하게 주어 시헌력 만드는 일을 완전히 맡겼다. 그 사람들은 한번 나오면
돌아가는 법이 없어서 각각 집을 지어 따로 거처를 정하고 중국 사람들과 섞여 살지 않았는데,
동서남북 네 집이 있으며 그 이름을 천주당이라 하였다. 이는 하늘을 주(主)로 한다는 뜻이다.

① 청에 머무르고 있는 소현 세자 일행
② 일본에 조총을 전하는 포르투갈 상인
③ 공행에게 도자기를 구입하는 영국 상인
④ 난학 교습소에서 해체신서를 읽고 있는 지식인
⑤ 국가 재정 안정을 위해 개혁안을 건의하는 장거정

95
07. 교역망의 발달과 은 유통
08
동아시아사

사회 변동과 서민 문화

18, 19세기 청의 인구 변동 1. 17~19세기 농업의 발달과 인구 증가


청은 신작물 재배, 의료 기술 발
달, 장기간의 평화로 인해 19세
(1) 농업 생산력의 증대
기 중반 인구가 약 4억 3천만 ① 농업 기술 향상 : 개간, 수리 시설 개선, 품종 개량, 농서 보급, 농기구 개량 등
명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인
② 아메리카 대륙에서 전래된 옥수수, 감자, 고구마, 땅콩 등 재배
구가 늘어나자 경작지 부족, 물
가 상승, 실업자와 유민의 증가 ③ 수공업 원료와 상품 작물 재배 : 뽕나무, 면화, 담배, 고추, 인삼 등
등 부작용도 나타났다.
(2) 인구 증가 : 의학 발달(의학 서적 보급 등), 농업 생산력 증대, 장기간 평화, 구황 작물 재배
(억 명) (만 명) (만 명)
5 4,000 4,000
18세기 일본의 인구 변동 4.3 3,229
4 3,127 2,987
3.13 3,000 3,000
일본은 18세기에 인구가 3,000
3
만 명이 넘을 정도로 늘어났으 2,000 1,822 1,640 2,000
2 1,435
1.5 1.5 1,172 1,227
나 18세기 후반 다이묘의 수탈, 1,000 1,000
1
자연재해로 인한 대기근, 전염
0 0 0
병 등으로 정체되기도 하였다. 1600 1700 1794 1850(년) 1600 1700 1790 1850(년) 1600 1721 1792 1846(년)
- 동북아 역사 재단, 2012 - - 동북아 역사 재단, 2012 - - 동북아 역사 재단, 2012 -

▲ 중국의 인구 변동 ▲ 조선의 인구 변동 ▲ 일본의 인구 변동

공인
조선 후기 대동법의 실시 이후
왕실이나 관청에 물품을 조달
2. 17~19세기 상업의 발달과 도시의 성장
하던 상인이다. (1) 상업과 수공업의 발달
•민영 수공업의 발달 : 견직물, 면직물, 제철, 도자기 산업 등
명·청
•대운하로 물자 운송, 차와 도자기 수출로 경제적 번영
시진
•상업 발전 : 수공업의 발전, 포구·장시의 성장
공식적인 행정 지위를 가지지 조선
•대동법 : 공물을 토산물 대신 쌀이나 포로 납부, 공인 등장 → 상품 화폐 경제의 발전 촉진
는 않았지만 비단과 면포 생산,
미곡 유통 등 업종별로 전문화 •광업과 수공업 : 금·은 채굴과 제련 기술 발달, 견직물·도자기·술 등 특산품 생산
일본
된 중소 상공업 도시를 가리킨 •육상과 해상 교통로 정비 : 거대한 시장 및 도시 성장에 영향
다. 인구는 10만 명을 넘지 않
는 규모로, 명·청대 강남 지역 (2) 대상인의 출현
에서 발달하였다.
산시 상인과 휘저우 상인 : 면화, 쌀, 목재, 직물 등의 유통망 확보, 동향인 중심으로 회관을 설립하
명·청
여 거점으로 삼음
•송상, 만상, 내상 등이 무역 활동 주도
조선
•경강상인 : 서남해 연안과 한강에서 쌀, 소금, 목재, 어물 등 거래
•조닌(도시에서 활동한 상인과 수공업자)의 성장
일본
•대상인 : 에도 상인, 오사카 상인 등

❶ 대동법 실시에 따라 등장한 조 (3) 도시의 성장


선의 ( )은 대상인으로 ① 명·청
성장하였다.
•베이징(최대 소비 도시), 쑤저우(최대 상공업 도시) 등
❷ 명·청대 강남 지역에서는 중
소 상공업 도시인 ( )이 •시진의 성장 : 교통의 요지에 형성된 업종별로 전문화된 상공업 도시, 아메리카와 일본의 은
발달하였다. 유입으로 도시 발전
❸ 에도 시대 일본은 상공업 발달
② 조선
로( )층이 성장하였다.
•장시의 성장과 상업 발달
|정답| ❶ 공인 ❷ 시진 ❸ 조닌
•한양의 도시화 : 정치, 행정, 군사의 중심이자 상업 도시

96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③ 일본 조카마치
다이묘(영주)의 성을 중심으로
•조카마치 : 다이묘(영주)가 거주하는 성을 중심으로 형성, 상업 도시로 발전
무사, 상공업자 등이 거주한 도
•대도시의 발전 : 에도, 오사카, 교토 등 시를 가리킨다.
•산킨코타이 제도 : 막부의 다이묘 통제, 교통과 숙박업 발달 및 에도가 소비 도시로 성장하는
데 영향을 줌
산킨코타이 제도
에도 막부가 지방의 다이묘들
자료 플러스 일본의 도시 성장
을 통제하기 위하여 정기적으
로 다이묘들을 에도로 불러들
긴 다리 일곱 개를 지나서 비로소 오사카에 당도하니, 곧 모든 배가 정박하는 곳이었다. …… 길 양쪽의 긴 건 인 제도이다. 일본의 교통로와
물 중 층층의 집이 아닌 것이 없었으니, 이것은 온갖 물건을 파는 점포였다. …… 에도 길 옆에 있는 회랑은 도시, 상공업 발전에 영향을 주
모두 상점이었다. …… 여러 사람의 눈이 빽빽하여 한 치의 빈틈도 없고, 옷자락에는 꽃이 넘치고 주렴 장막 었다.
은 햇빛을 받아 반짝이는 모습이 오사카와 교토보다 세 배는 더하였다.  - 신유한, “해유록” -

조선 숙종 때 통신사의 일원으로 일본에 다녀온 신유한의 글이다. 당시 일본에서는 광업, 수공업,


우키요에
상업이 성장하면서 교통로가 정비되고 도시가 성장하였다. 특히 바다와 육지가 만나 물산이 집결 일반적으로 에도 시대에 유행
하는 오사카와 인구 100만 명이 넘는 거대한 소비 도시인 에도의 발전상은 조선의 사절단을 놀라 한 채색 판화로 ‘우키요’는 속
게 하기에 충분하였다. 세를 뜻한다. 그림의 소재는 인
물, 풍속, 경치 등 다양하였다.

3. 서민 문화의 성장
(1) 명·청대 서민 문화의 발전
① 배경 : 상공인층의 성장과 도시 인구 증가로 유흥과 오락·소비문화 확대, 종교 시설의 행사나
축제, 대규모 공연 등도 발달
② 서민 문화의 발전
•“삼국지연의”, “서유기”, “홍루몽” 등
소설
•서민의 문화적 욕구 충족, 인쇄술과 출판업의 발달
경극 청대 베이징에서 유행(베이징의 오페라로 불림), 황실과 상인이 극단 지원
연화 귀신을 쫓고 복을 불러들이는 풍습에 따라 그려진 그림

(2) 조선 후기 서민 문화의 성장
① 배경 : 상공업 발달, 서민 의식 성장
② 서민 문화의 발달
문학 한글 소설과 판소리(춘향가, 심청가, 흥부가 등), 사설시조
가면극 탈춤, 산대놀이 → 춤과 노래, 사설로 양반층의 위선이나 사회 문제를 풍자
미술 풍속화(김홍도, 신윤복), 민화(문자도, 까치 호랑이 등)
❶ 에도 막부는 지방의 다이묘들
(3) 에도 막부 시대 조닌 문화의 유행 이 정기적으로 에도에 와서 머
물도록 하는 ( ) 제도를
① 배경 : 에도 시대 정치 안정과 경제 성장, 조닌층의 성장 실시하였다.
② 조닌 문화의 발달 ❷ 청대 베이징에서는 ( )
공연이 유행하였다.
•노래, 춤, 연기를 결합한 대중 연극
❸ ( )는 에도 막부 시대에
가부키 •무사의 복수나 남녀 간의 사랑 등을 다룬 통속적인 내용
유행한 풍속화로, 주로 채색 판
•화려한 의상과 복잡한 무대 장치
화의 형태로 제작되었다.
•인물, 풍속, 경치 등을 그린 일본식 목판화
우키요에
•유럽 인상파 화가에 영향 |정답| ❶ 산킨코타이 ❷ 경극
❸ 우키요에
분라쿠 사람 크기의 인형을 조종하여 동작과 표정 연기

08. 사회 변동과 서민 문화 97
동아시아사

08 사회 변동과 서민 문화

데라코야 (4) 서민 교육 기관
에도 시대에 주로 서민들을 대
① 조선 : 서당 교육 확대, 평민 중에 서당 경영, 실용적 교재 출판
상으로 한 교육 기관으로 읽기,
쓰기, 계산하기뿐 아니라 실생 ② 일본 : 읽기, 쓰기, 셈법 등을 가르치는 데라코야 확산
활에 필요한 지식을 종합적으
로 교육하였다.

4. 새로운 학문의 대두
경세치용(經世致用)
사상과 학문이 세상을 다스리는 (1) 명·청대의 학문
데 도움을 주고 현실 문제를 개 ① 명 말, 청 초의 경세치용 학문 경향
혁하는 데 쓰여야 한다는 주장
이다.
•성리학과 양명학에 대한 반발과 현실 개혁적 학문 경향 등장
•농학, 지리학, 의학, 역법 등 실용적 학문 : “농정전서”, “천공개물”, “본초강목” 등 편찬
천공개물 •고염무·황종희 등이 연구, 실사구시적 성격으로 고증학 발달에 영향
명 말에 송응성이 중국의 산업
기술을 그림과 함께 기술한 책 자료 플러스 경세치용 학문의 발전
이다.
옛날에는 천하가 주인이고 군주는 객이었다. 군주가 일생 동안 경영한 것은 천하를 위한 것이었다. 지금은 군
실사구시 주가 주인이고 천하가 객이 되었다. 무릇 천하가 안녕을 얻지 못하는 것은 군주 때문이다. …… 만약 군주가
사실을 토대로 진리를 구하는 없다면 사람들이 각자의 이로움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 황종희, “명이대방록” -
것이다.
황종희가 군주 제도의 폐해를 비판한 글이다. 황종희는 명 말, 청 초의 사상가로 그의 저술인 “명
사고전서
이대방록”에서 군주의 전제 정치를 비판하여 ‘중국의 루소’라 불린다. 이처럼 명 말 서양 학문이
청대 건륭제의 명으로 편찬된 들어오고 상공업이 발달하면서 경세치용의 입장에서 개혁적이고 실용적인 학문이 발달하였다. 이
총서로, 고금의 책들을 망라하 러한 학문은 청의 고증학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여 경(유교 경전)·사(역사서)·
자(사상서)·집(문집)으로 분류
② 고증학 : 18세기 이후 실증적 방법으로 경전이나 금석문 연구, “사고전서” 등의 대규모 편찬
하고 정리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사업으로 고증학 발달
고사기 ③ 공양학 : 청 말 “춘추공양전” 연구를 통해 현실 개혁적 성향의 학자들 등장, 변법자강 운동에
고대 일본의 신화, 전설, 사적 영향
등을 기록한 책으로 8세기에
완성되었다.
(2) 조선 후기 학문 경향
① 17~19세기 실학의 등장 : 조선 사회 개혁 주장
•이익, 정약용 : 토지 개혁을 통한 농민 생활 안정 추구
•박지원, 박제가 : 상공업 진흥과 청 문물 수용, 소비를 통한 생산 진흥 강조
❶ 조선 후기 서민 교육 기관으로 •양명학 : 소론 학자들에 의해 연구, 실천 강조
( )이 많이 만들어졌다. ② 국학 : 조선의 역사·지리·언어 분야 연구, “발해고”·“택리지”·‘대동여지도’ 제작
❷ 청대에는 실증적 방법으로 경
③ 서학 : 연행사를 통해 전래, 천문·역법·기계 제작에 영향, 학문적 관심으로 크리스트교 수용
전이나 금석문을 연구하는
( )이 유행하였다. (3) 일본의 고학, 국학, 난학 발전
❸ 박지원, 박제가 등은 ( )
•성리학 극복을 위해 공자·맹자 시대 유학으로 복귀 주장
진흥과 청 문물 수용을 주장하 고학
•이토 진사이(주자를 비판), 오규 소라이(중국 고대 성인의 도를 밝히고 육경을 강조)
였다.
❹ 에도 시대 나가사키를 통해 들 •일본의 언어, 문학, 신화 등을 통해 일본 고대의 참모습 강조
어온 서양 학문을 바탕으로 국학 •불교, 유교 등의 외래 사상 비판
( )이 발달하였다. •모토오리 노리나가 : “고사기” 연구, 일본 우월주의, 존왕 운동에 영향
•나가사키를 통해 어학, 의학, 지리학, 천문학 등 서양 학문 수용(난학 교습소 설치)
|정답| ❶ 서당 ❷ 고증학 ❸ 상공업
난학 •스기타 겐파쿠 등의 주도로 “해체신서” 집필 : 본격적인 난학 발전의 계기
❹ 난학
•영향 : 경험적·실증적 학문 방법론 발전

98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자료
탐구
자료 1 17~19세기 상업과 도시의 발전 정답과 해설 29쪽

기출 자료 분석
ㅣ2019학년도 대수능 9월 모의평가ㅣ

(가) 이/가 안정기에 접어든 이후 새로운 농경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개간과 간척


이 활발해졌다. “농업전서”, “비황초목도” 등과 같은 농서도 편찬되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농업 생산력이 높아졌다. 미곡의 유통도 활발해져서 그 집산지인 오사카는 ‘천하의 부엌’으
로 불렸다.

자료 분석 자료는 17세기 이후 일본에서 농업 생산력이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으로, (가)는 에도 막부에 해당


한다. 에도 막부 시대에는 농서가 편찬되고 다이묘들이 개간을 장려하며 각종 농기구를 개발하면서 농업 생산력이
높아지고 인구가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상업이 발달하고 미곡 유통도 활발해져 도시가 성장하였다. 특히 바다와 육
상 교통의 요지였던 오사카는 상업 도시로서 크게 성장하였다.
자료 공략 17~19세기 동아시아 지역의 농업 생산력 증대, 상품 작물의 재배와 아메리카 대륙에서 전래된 구황 작물
의 재배 등은 잘 다루어지는 소재이다. 이를 배경으로 한 인구 증가, 시진이나 조카마치와 같은 도시의 발전 모습도
알아두어야 한다. 한국, 중국, 일본에서 나타난 상업의 발달과 상인의 종류, 도시의 발전 모습 등을 각각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유형 연습

1 다음 상황이 나타난 시기 동아시아 각국의 상황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015-0121 ]

상품 화폐 경제가 발전하면서 상평통보가 널리 사용되었다. 육상 교통의 요지나 포구 등을 중심으로 상거래가 활발해지고 장


시가 번성하였다. 이와 함께 경강상인, 송상, 만상 등 대상인이 성장하였다. 경강상인은 한강을 중심으로 서해와 남해까지 진출
하여 미곡, 소금, 어물 등을 거래하였다. 송상, 내상, 만상 등은 대외 무역을 통해 큰 부를 쌓았다.

① 한국 - 대동법이 시행되었다.
② 중국 - 강남 지역에 시진이 발달하였다.
③ 중국 - 산시 상인이 전국에서 활동하였다.
④ 일본 - 산킨코타이 제도가 실시되었다.
⑤ 일본 - 중국과 감합 무역을 전개하였다.

08. 사회 변동과 서민 문화 99
자료
탐구
자료 2 17~19세기 서민 문화의 발전 정답과 해설 29쪽

기출 자료 분석
ㅣ2019학년도 대수능ㅣ

그림은 소설 “홍루몽”의 한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이 소설은 상류층의 애정 관계를 줄거리로 하면서
도, 일상생활에 대한 섬세한 묘사와 깊이 있는 사
회 비평을 담고 있다. “홍루몽”이 지어진 이 시기
에는 출판 문화의 발달로 많은 대중적인 소설이 출
간되었다.

자료 분석 자료는 “홍루몽”을 소재로 하고 있다. “홍루몽”은 청나라 때 조설근이 지은 장편 소설이다. 명·청대에는


서민층의 흥미를 자극하는 통속 소설이 유행하였다. “수호전”, “삼국지연의”, “서유기”, “금병매”, “홍루몽”, “유
림외사” 등이 출간되어 많이 읽혔다. 당시 인쇄술과 출판업의 발달도 다양한 소설이 유행하는 요인이었다.
자료 공략 17~19세기 청, 조선 후기, 에도 막부 시대의 서민 문화를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된다. 동아시아 삼국의 사
회 경제적 변동에 따라 서민층이 성장한 사실이나, 이와 관련된 사상·공연·예술 등의 문화를 시기와 연관지어 묻는
문제 등이 계속 출제되고 있다. 중국의 경극, 통속 소설, 조선의 한글 소설, 탈춤, 판소리, 민화, 에도 막부 시대의 우
키요에, 가부키, 분라쿠 등의 특징과 유행 배경 등을 숙지하도록 한다.

유형 연습

2 다음 공연 예술이 등장하여 유행하던 시기의 동아시아 사회 모습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015-0122]

① 한국 - 탈춤이 유행하였다.
② 한국 - 한글 소설이 유행하였다.
③ 중국 - 홍루몽이 인기를 끌었다.
④ 일본 - 견당사가 파견되었다.
⑤ 일본 - 가부키가 유행하였다.

100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수 능 기본 문제 정답과 해설 29쪽

[20015-0123] [20015-0125 ]

01 (가), (나) 인구 변화의 배경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03 다음 작품을 보고 나눈 대화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17~19세기 중국과 조선의 인구 변화> 고른 것은?
(억 명) (만 명)
5 4,000
4.3
4 3,000
3.13
3
2,000 1,822 1,640
2 1,435
1.5 1.5 1,172
1 1,000
0 0
1600 1700 1794 1850(년) 1600 1700 1790 1850(년)
㈎ ㈏
① (가) - 감자, 고구마 등의 구황 작물이 재배되었다.
② (가) - 품종 개량, 시비법, 개간 등의 농업 기술이 발달하
ㄱ. 일본의 조닌 문화를 잘 보여 줍니다.
였다. ㄴ. 유럽 인상파 화가에게 영향을 주었어요.
③ (나) - 대체로 전쟁이 없는 시기가 지속되었다. ㄷ. 양반의 위선을 풍자하여 인기를 끌었어요.
④ (나) - 동의보감 등의 여러 의학서를 통해 의료 지식이 ㄹ. 복을 기원하는 내용이 주된 소재였습니다.
보급되었다.
⑤ (가), (나) - 정부가 발행한 지폐가 널리 활용되어 상업이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발달하였다.

[20015-0126]

04 다음 자료의 학문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역사를 읽는 사람들도 억지로 문법(이론적 틀)을 세우거


나, 멋대로 더하거나 덜어서 찬양하거나 비난해서는 안
된다. 다만 그 사건과 흔적의 사실 여부를 상고함에 있어
[20015-0124] 서 연도를 날줄로 삼고 사건을 씨줄로 삼아 분류하여 배
02 다음 자료를 이용한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치하거나 모아서 차례를 정하고, 기록의 같고 다름 및 보
고 들은 것의 어긋남과 합치됨을 하나하나 조목별로 분
오사카 항구에서 에도로 운송되는 술을 빚어 가문을 일으 석하여 의심이 없게 한다.  - 왕명성, “십칠사상각” -
킨 사람도 있고, 구리 광산에 손을 대 벼락부자가 된 사람 •나는 어려서부터 사서(四書)의 주석을 읽고 그 내용을 믿
도 있다. 요시노의 옻을 팔아서 다른 사람이 알지 못하는 었으며 …… 자라면서 그것들을 의심하기 시작하였다.
사이에 거금을 손에 쥔 사람도 있다. 쾌속선을 만들어 선박 나는 이미 육경과 공자·맹자의 말을 깊이 읽고 이것들
업으로 이름을 날린 사람도 있다. 집을 저당잡아 고리대로 을 사서의 주석에 있는 말과 비교해, 주석이 말하는 심
부귀하게 된 사람도 있다. 철광산의 채굴을 청부받아 점차 (心), 이(理), 성(性), 도(道)의 뜻이 육경 및 공자·맹자의
부자가 된 사람도 있다. 이들은 최근 30년 이내에 이렇게 말과는 크게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벼락부자가 된 상인들이다.  - 단옥재, “경운루집” -

① 경강상인, 송상 등 사상의 성장 ① 화이론의 성립 과정을 살펴본다.


② 상공업의 발달과 조닌층의 성장 ② 사고전서 편찬 과정을 조사한다.
③ 중국과 이루어진 감합 무역의 배경 ③ 향약 확산 관련 자료를 수집한다.
④ 성세자생도를 통해 본 도시의 모습 ④ 우키요에의 유행 원인을 찾아본다.
⑤ 중소 규모의 시장 도시인 시진의 발달 ⑤ 동방견문록 저술 배경을 파악한다.

101
08. 사회 변동과 서민 문화
수능 실전 문제
20015-0127
1 다음 상황이 나타났던 시기 동아시아에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한양 주민 중에서 관직에 있는 자는 봉록을 받아 살며, 서리는 자질구레한 늠*으로 살고, 군


인들은 군포를 받아 살고, 영세 소상인들은 조그만 이익에 의지해 살고, 수공업자는 힘들게
제조하여 생계를 유지한다. 그러나 아침에 모였다가 저녁에 흩어지고 여기저기 떠돌아다니
면서 농사도 짓지 않고, 옷감을 짜지도 않고 먹고사는 무리가 무려 수십만이나 된다. 공인,
시전 상인은 한양 주민 중에서 가장 생활이 안정된 자들이다.  - “비변사등록” -
•긴 다리 일곱 개를 지나서 비로소 오사카에 당도하니, 곧 모든 배가 정박하는 곳이었다.
…… 길 양쪽의 긴 건물 중 층층의 집이 아닌 것이 없었으니, 이것은 온갖 물건을 파는 점포
였다. …… 에도 길 옆에 있는 회랑은 모두 상점이었다. …… 여러 사람의 눈이 빽빽하여 한
치의 빈틈도 없고, 옷자락에는 꽃이 넘치고 주렴 장막은 햇빛을 받아 반짝이는 모습이 오사
카와 교토보다 세 배는 더하였다.  - 신유한, “해유록” -

 *늠 : 급료로 받은 쌀

① 동의보감을 읽고 치료법을 찾는 의관
② 왜관에서 일본인을 만나고 있는 내상
③ 나가사키에서 무역을 하는 서양 상인
④ 회관을 거점으로 장사를 하는 산시 상인
⑤ 감합을 가지고 중국으로 가는 일본 상인

20015-0128
2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에도를 중심으로 한 5가도(5개의 주요 도로)와


기타 도로입니다. 전국적인 유통망을 형성하
주요 육로 여 상공업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지요. 특히
주요 해로
수도 이 도로들의 정비는 (가)
막부 소재지
아오모리

니가타
센다이
히로시마 오사카
교토 에도
후쿠오카
나가사키 나고야
나라
구마모토
시모다
가고시마

① 센고쿠 시대에 이루어졌습니다.


② 상평통보의 유통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③ 산킨코타이 제도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④ 슈고와 지토의 지방 통치에 기여하였습니다.
⑤ 휘저우 상인이 상권을 넓혀 크게 성장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102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정답과 해설 30쪽

20015-0129
3 (가), (나)에 들어갈 공연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8~19세기 동아시아 각국의 공연 문화>
공연 문화 탈춤 (가) (나)
국가 조선 청 일본
춤과 노래, 사설로 서민들의 노래, 몸짓, 무술, 대사 등으로 화려한 장치가 있는 극장에서
특징 애환이나 사회 현실을 풍자하 이루어진 작품들로, 역사나 설 배우가 노래와 춤, 연기를 과
였다. 화 등의 소재가 많았다. 장된 몸짓으로 연기하였다.
송파 산대놀이, 하회별신굿 탈 고쿠센야갓센, 가나데혼 주신
작품(종류) 귀비취주, 패왕별희 등
놀이 등 구라 등

현재의
공연 모습

ㄱ. (가) - 베이징을 중심으로 유행하였다.


ㄴ. (가) - 무대에서 사람 크기의 인형을 조종하였다.
ㄷ. (나) - 조닌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모았다.
ㄹ. (나) - 주로 성리학적 신분 질서에 대한 비판을 해학적으로 풀어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20015-0130
4 다음 자료의 주장을 이해하기 위한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옛날에는 천하 사람이 주인이고 군주는 객이었다. 군주가 일생 동안 경영한 것은 천하를 위


한 것이었다. 지금은 군주가 주인이고 천하가 객이 되었다. 무릇 천하가 안녕을 얻지 못하는
것은 군주 때문이다. …… 만약 군주가 없다면 사람들이 각자의 이로움을 취할 수 있을 것이
다.  - 황종희, “명이대방록” -
•백성이 살면서 한 사람이 이웃과 다투어 해결을 보지 못하자 공정한 말을 잘하는 한 노인을
찾아가서 해결을 보았다. 사방의 이웃들이 다 감복하여 그 노인을 추대하여 이정(里正)으로
삼았다. …… 이상과 같은 사정과 순서를 밟아서 …… 여러 고을의 우두머리들이 한 사람을
추대하여 지방 장관을 정하였고, 또 이들이 한 사람을 추대하여 황왕(皇王)이라 하였으니 황
왕의 근본은 이정에서 시작된 것이다.  - 정약용, “여유당전서” -

① 성리학을 비판하는 양명학의 특징을 분석한다.


② 경세치용과 실사구시 경향의 학문을 찾아본다.
③ 사회 변혁을 추구하는 공양학의 발전 과정을 조사한다.
④ 청 문물 수용을 강조하는 실학자들의 활동을 파악한다.
⑤ 자국 문화의 우수성을 강조하는 국학의 영향을 살펴본다.

103
08. 사회 변동과 서민 문화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30쪽

20015-0131
5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역사 ○○
역사 ○○ 검색 검색
역사 ○○
역사 ○○ 검색 검색

연관검색어 연관검색어
오규 소라이,오규
이토소라이,
진사이이토 진사이
연관검색어 연관검색어
오규 소라이,오규
이토소라이,
진사이이토 진사이

◯◯
17세기 후반 일본에서 등장한 학문으로 이토 진사이 등이
주도적으로 연구하였다. 성리학을 비판하며 유교 경전에 따
른 해석을 중시하여 (가)
이들은 실증적 방법으로 옛 경전을 연구하며 현실 정치와
사회 문제에도 관심을 가졌다.

① 공자와 맹자 시대 유학으로의 복귀를 강조하였다.


② 춘추공양전에서 정치 개혁의 이념을 찾고자 하였다.
③ 고전에 깃든 일본의 정신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였다.
④ 마음이 만물의 원리이고 인간의 본질은 평등하다고 하였다.
⑤ 일본 절대 우월주의로 이어져 천황 신격화에 영향을 주었다.

20015-0132
6 대화의 소재가 된 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스기타 겐파쿠 등 여러 사람들 신경, 동맥, 연골과 같은 의학 책을 집필한 후에는 막부에 바


이 그림을 그리고 글을 번역하 용어가 이 책에서 유래하였대. 쳐 문제가 될 소지를 막으려 했
는 등의 노력으로 집필되었어. 다는군.

① 난학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② 양명학의 성립에 기여하였다.
③ 그림을 넣은 산업 기술서였다.
④ 서광계 등이 번역에 참여하였다.
⑤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주된 연구 대상이었다.

104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Ⅲ. 수능 마스터 정답과 해설 31쪽

01 다음 사건이 동아시아 정세에 미친 영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15-0133
가을 7월 경신일에 에센의 부대가 크게 쳐들어왔다. 오극충과 오극근이 분전하다가 전사하였고, 이들을 구하기
위해 달려간 주용과 설수가 요아령에서 굴복하였다. 다음날 토목에서 포위당하였고 죽은 자가 수십만에 달하였으
며, 황제는 포로가 되었다. 패전 소식이 베이징에 전해지자, 여러 신하들은 조정에 모여서 곡을 하였고, 서정은
난징으로 천도를 주장하였다. 그러나 병부시랑 우겸은 절대로 안 된다고 반대하였다.

① 삼포에서 왜구가 난을 일으켰다.


② 고려가 강동 6주 지역을 차지하였다.
③ 이자성의 군대가 베이징을 함락하였다.
④ 송과 금이 연합하여 거란(요)을 공격하였다.
⑤ 몽골에 대비하여 만리장성의 정비가 이루어졌다.

02 다음 시가 쓰인 배경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15-0134
이 시는 표류한 한인(漢人)들을 조정에서 다시 돌려
남쪽 가에서 뗏목 타고 바다를 건너오니,
보내자, 송시열이 이를 안타까워하며 지은 것입니
붉은 구름 한 무리 해 옆에서 이는구나.
다. 시의 내용을 통해 당시 지식인들이 중국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생각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천추의 대의를 아는 사람 없으니,
김상헌의 무덤 앞에 가서 통곡하고 돌아오네.

홀연 중화의 의관(衣冠) 어디에서 왔을까?


랴오둥과 베이징의 비린 구름 개지 않았는데.

우리가 무슨 일로 통곡 소리를 삼키는가?


선왕 효종의 무덤 앞에 다시 다녀오누나.

① 만주족이 중국 전역을 장악하였다.


② 난징을 수도로 삼아 명이 건국되었다.
③ 진승·오광의 난으로 진이 쇠퇴하였다.
④ 쿠빌라이 칸에 의해 남송이 멸망하였다.
⑤ 야율아보기가 거란의 여러 부족을 통합하였다.

105
수능 마스터
Ⅲ. 수능 마스터

03 다음 자료에 나타난 학문 경향에 대한 학생들의 발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15-0135
선생은 크게는 국도를 건설하고 향읍을 구획하는 것에서부터, 작게는 금석문·고고학·의기·잡복 등에 이르기까
지 정확하게 연구하지 않은 것이 없었고, 사실에 근거하여 탐구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규모가 방대하고 종합한
이론이 치밀하여 모두 경전을 보좌할 만한 것이니, 선생의 도를 드러내 보인 것들이다.

① 조선 후기 북벌론의 주장이 담겨 있어.


② 해체신서의 집필을 계기로 발전하였어.
③ 천황 중심의 통치 체제가 확립되는 토대가 되었어.
④ 학문 연구에 있어 실사구시의 방법론을 강조하였어.
⑤ 북방 민족의 침략 상황에서 대의명분론과 의리론을 강조하였어.

04 다음 편지를 작성한 인물이 활동할 당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옳은 것은?


20015-0136
서양의 세계 지도, 해시계, 천구의 및 그 밖의 기계들을 만들어 보였는데, 특히
그들은 제가 만든 ‘곤여만국전도’에 많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이후 뛰어난 천문
학자 한 사람만 제가 청하는 대로 보내 주신다면, 서양 천문표를 중국어로 번역
한 뒤(이런 번역은 제게는 아주 간단합니다.) 중국 역법의 개량을 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일만 해내면 우리 명성은 더욱 높아져 우리의 중국 입국은 보다 자
유롭게 될 것이며, 포교에 훨씬 유리하게 될 것을 확신합니다.

① 시헌력을 제작하는 아담 샬
② 의산문답을 집필하는 홍대용
③ 기하원본을 간행하는 서광계
④ 원명원을 설계하는 카스틸리오네
⑤ 일본에 처음으로 조총을 전해 주는 포르투갈 상인

106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정답과 해설 31쪽

05 밑줄 친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137

한동안 우리 나라는 사분오열되어 전쟁이 계속되었는데, 내가 발분하여 불과 수


년 만에 말끔히 평정하였다. …… 사람이 백 년을 채 살지 못하는데 어찌 한 나라
에만 머물러 시간을 헛되이 써버리겠는가. 그래서 나는 대군을 명에 보내어 4백
여 주를 호령코자 한다. 조선에서는 반드시 선봉에 서서 내가 명에 출병하는 것을
돕기 바란다. 이에 각별히 귀국과 교린의 우호를 맺고자 한다.

① 조선과 기유약조를 체결하였다.


② 농민의 신분 이동을 금지하였다.
③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하였다.
④ 만리장성을 넘어 베이징을 포위하였다.
⑤ 스스로 황제를 칭하고 국호를 변경하였다.

06 다음 명령이 내려질 당시 동아시아 정세로 적절한 것은?


20015-0138
5년 전 사르후 전투 이후 그들의 세가 커지는 상황에서 의주 사람들이 국가를 위
해 정탐하러 가는 뜻이 가상하다. 다만 너무 깊이 들어간다면 사달을 일으킬 우려
가 있으니 각별하게 거듭 주의를 시켜서 요성(遼城)으로 너무 깊이 들어가지 말도
록 해라. 은밀하게 정탐하고 돌아와 명군과 그들의 군세를 보고토록 하라.

① 오삼계 등이 삼번의 난을 일으켰다.


② 이자성의 반란군이 베이징을 점령하였다.
③ 정성공 세력이 타이완을 근거지로 삼았다.
④ 홍타이지가 조선에 군신 관계를 요구하였다.
⑤ 후금의 누르하치가 랴오둥 지역으로 진출하였다.

107
수능 마스터
Ⅲ. 수능 마스터

07 밑줄 친 ‘그대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139
우리나라는 본래 그대 나라와 원한이 없다. 우리나라는 2백여 년이나 명을 상국으로 섬겨 왔다. …… 가령 그대들
도 명을 배반하기 전이라면 따르지 않을 수 있었겠는가? 모문룡은 바로 명의 관료이니 우리 경내에 와서 임시로
머물러 있는 것을 의리상 거절할 수가 없다. 그대들과 이미 원한도 없고 또한 은덕도 없을뿐더러 국경이 가로막혀
사신도 왕래하지 않았는데, 그대 나라에 경조가 있는 것을 우리가 어떻게 들어 알 수 있었겠는가.

① 지방에 행성을 두었다.


② 주변국에 화번공주를 파견하였다.
③ 군사 제도로 팔기제를 마련하였다.
④ 윤관의 공격으로 북방으로 밀려났다.
⑤ 북면관을 두어 유목민을 통치하였다.

08 다음 상황이 전개된 시기에 동아시아에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20015-0140
세모법(稅帽法)을 시작하여 사상에게 모자 값을 자신들이 준비하여 1,000척 한도로 무역해 오게 하되, 매 척에 세
금 40냥, 합계 4만 냥을 의주에서 징수하였다. 이를 만상에게 내주어 은을 무역하게 하여 공용에 썼다. 동지사,
성절사 등에 은 6,000냥, 역서(曆書)를 받으러 가는 사행에 은 5,000냥, 만부세로 3,000냥, 사역원 공용으로
1,850냥을 아울러 덜어내고, 그 나머지는 저축해 두어 별사(別使) 공용에 쓰게 하였다. 별사에게는 은 4,500냥,
심양사에게는 은 3,000냥, 별자관에게는 은 1,000냥을 마련하여 지급하였다.

① 오닌의 난에 참여한 무사
② 반량전을 주조하는 기술자
③ 삼포 왜란을 진압하는 군인
④ 유럽 상인과 교역하는 공행
⑤ 벽란도에 방문한 아라비아 상인

108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Ⅲ.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문화 교류


정답과 해설 31쪽

09 (가) 물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0015-0141
우리나라에는 원래 통용되는 화폐가 없었지만, 임진년 명군이 들 그대의 뜻을 알겠다. 앞으로 호조와 상평청
어왔던 이래 (가) 을/를 화폐처럼 사용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등에서 상평통보를 주조하고, (가) 1냥
청과의 교역이 확대되면서 그 사용이 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 을 400문으로 하도록 하라.
은 일반 서민이 소유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 폐해가 많습니다. 반
면 동전은 어디서나 통용되는 화폐입니다. 백성 모두 동전의 유통
을 바라고 있으니 지금이야말로 동전을 통용시켜야 할 때입니다.

ㄱ. 송에서 가마쿠라 막부로 대량 수출되었다.


ㄴ. 지정은제에 따라 세금 납부에 이용되었다.
ㄷ. 대동법의 시행으로 주요 징수 품목이 되었다.
ㄹ. 회취법의 도입으로 일본에서의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10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142
• (가) 은/는 …… 벼와 곡식이 풍족하여 천민도 굶주리지 않는다. 풍속이 도둑질하지 않는다. …… 토산
품은 백은(白銀)과 유황(硫黃) 등이다. 유황이 특히 많아, 토산품이라 하여 청에 공물로 바치는 것은 오로지 유
황만 쓴다. 후추와 등나무는 아주 흔하다.
• (가) 의 나하는 제1 부두인데 내항(內港)과 외항(外港)이 있다. 반 리 떨어진 시가지는 두 항구의 사이에
위치하여 내항을 향하고 외항을 등진다. 외항의 항만에는 서양 선박 수 척을 정박할 수 있다. 항구의 남쪽과 북
쪽에 두 개의 포대가 있으며, 그 아래에 일본 선박 30척을 수용한다.

① 정화 함대의 요청으로 명에 조공을 시작하였다.


② 믈라카를 거점으로 향신료 무역을 독점하였다.
③ 일본의 칼, 구리 등을 명과 조선에 판매하였다.
④ 조선 인삼을 수입하기 위해 화폐를 주조하였다.
⑤ 동남아시아에 진출하여 필리핀에 무역 기지를 두었다.

수능 마스터 109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Ⅳ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이 단원에서는 동아시아 각국의 개항과 근대화 운동,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해 전개된 노력을 살펴보고, 일제를

비롯한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에 맞서 동아시아 지역의 사람들이 연대하고 저항하였음을 학습합니다. 이를 통
해 개항 이후 동아시아 각국이 걸어온 역사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연계 사례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동아시아사 16번


09 새로운 국제 질서와 근대화 운동 ~ 서양 문물의 수용
10 제국주의 침략 전쟁과 민족 운동

학습 요소
•불평등 조약 체결에 따른 동아시아 각국의 개항 •동아시아에서 전개된 근대화 운동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략 확대 •일제 침략에 맞선 동아시아인들의 저항
•서양 근대 사상과 문물의 수용(개항~1910년대)

수 능 기본 문제
2020학년도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 126쪽 1번 연계 분석 및 학습 대책
[9015-0162] [9015-0164]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동아시아
01 다음 자료를 활용한 탐구 활동으로 적절한 것을 <보기>에 03 (가),사(나)16번조약에
문제는대한 설명으로 옳지
2020학년도 EBS않은 것은?
수능특강
서 고른 것은? 동아시아사 126쪽 1번 문제와 연계되어 출
•일본은 미국과 (가) 을/를 체결하여 이즈의 시모
<청으로 유입된 아편량 추이> 제되었다. 수능특강은 아편 유입 증가가 끼
다, 마쓰마에의 하코다테 두 항구를 개항하여 제한적 무
유입량(상자) 친 영향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파악하
40,000 역을 허용하였다.
•베트남은는 문항이었고,
프랑스와 대수능은(나) 청을/를
조정의체결하여
아편 단 다낭 등
30,000 속을 구실로
세 항구를 영국이
개항하고 일으킨 제1차
크리스트교 아편자유를
선교의 전쟁 허용하
였다.의 결과를 알고 있는지 확인하는 문항이었
20,000
다. 아편이라는 핵심 개념을 연계하였지만,
10,000 ① (가) -문항의
영사 주재를
주제를허용하였다.
다르게 설정한 것이다. 그러
② (가) -나
미국에 최혜국 대우를
해당 내용은 이미 인정하였다.
수능특강의 본문에서
0
1811~1820 1821~1830 1835~1839 1840 ③ (나) -도
프랑스에 배상금 지불을
충실히 다루어지고 있다.약속하였다.
이처럼 수능에
(연평균) (연평균) (연평균)
④ (나) -서의
코친차이나 동부문항에서
EBS 연계는 3성의 할양을
다뤄진규정하였다.
핵심 개
- 허빙셴, “중국적무역사고(中國的貿易史稿)” -
⑤ (가), (나)
념을-차용하고
전쟁을 종결지으며
다른 자료를체결되었다.
제시하거나, 좀
더 심화된 지식을 묻는 형식으로 이루어지
ㄱ. 천계령이 실시된 이유를 알아본다.
기도 한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EBS 교
ㄴ. 주인장이 발급된 배경을 파악한다.
ㄷ. 청의 은 유출 증가 원인을 분석한다. 재의 해설과 본문의 내용까지 확인하면서
ㄹ. 광저우에서 벌인 임칙서의 활동을 조사한다. 문항의 주제와 관련된 역사적 사실이나 배
경 지식도 학습해 두어야 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9015-0163] [9015-0165 ]
09
동아시아사

새로운 국제 질서와 근대화 운동 ~ 서양 문물의 수용

영사 재판권 1. 서양 세력의 침략과 동아시아의 개항


영사 재판권을 가진 국가의 국
민이 조약을 맺은 상대국의 영
(1) 아편 전쟁과 청의 개방 확대
토에서 범죄 혐의로 체포된 경 ① 아편 무역 : 영국이 대청 무역 적자를 만회하기 위해 인도산 아편을 청에 밀수출 → 청의 아편
우, 그 용의자가 소속된 국가의
중독자 증가, 은 유출에 따른 재정 악화
영사가 재판을 담당하도록 하
는 것이다. ② 제1차 아편 전쟁(1840~1842)
경과 청이 임칙서를 광저우에 보내 아편 단속 → 아편 전쟁 발발 → 청 패배
•난징 조약(1842) : 홍콩 할양, 상하이를 비롯한 5개 항구의 개항, 공행 폐지
최혜국 대우 결과
•추가 조약을 통해 영사 재판권, 최혜국 대우 허용
국가 간의 통상 조약 등에서 다
른 국가에 허용한 가장 유리한
대우를 조약 상대국에게도 적 자료 플러스 아편 무역의 전개
용하도록 하는 조항이다.
18세기(편무역) 19세기(삼각 무역)

인도
동인도 회사

베이징 조약 차·비단
공행

베이징 조약에 따라 청은 영국 ·도자기 면직물 아편


영국 청 은 은
에 주룽반도를 할양하였다. 러

시아는 베이징 조약을 중재한 차·비단·도자기
영국 청
대가로 연해주를 차지하였다. 은

인도와 동남아시아에서 세력을 확대한 영국은 18세기 이후 동아시아로 진출하여 청과의 교역을 늘
운요호 사건 려 나갔다. 영국은 차, 비단, 도자기 등을 구매하면서 막대한 양의 은을 지불하였고, 이로 인해 대
1875년 일본 군함 운요호가 강 청 무역 적자가 크게 늘어났다. 영국은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동인도 회사를 통해 인도산 아편을 청
화도와 영종도를 공격하여 조
에 밀수출하였다. 아편은 양귀비의 열매에서 원액을 채취하여 만들어지는 마약류의 일종이어서 아
선의 군인과 민간인들을 살상
하였다.
편 무역의 결과 청의 아편 중독자가 증가하고, 청의 은이 인도를 거쳐 영국으로 대량 유출되었다.

③ 제2차 아편 전쟁(1856~1860)
경과 영국이 청에 무역 확대를 요구하며 프랑스와 함께 침공
•톈진 조약(1858) : 개항장 추가, 크리스트교 포교 자유 인정, 서양 외교관의 베이징 주재 허용
결과
•베이징 조약(1860) : 톈진 조약 내용 비준, 영국에 주룽반도 할양

(2) 페리의 내항과 일본의 개국


① 에도 막부의 대외 정책 : 해금(쇄국) 정책 고수 → 제1차 아편 전쟁 이후 해금을 완화하는 한
편, 외세에 대한 방어 태세 강화
② 미·일 화친 조약(1854) : 페리 함대의 무력 시위 → 시모다·하코다테 개항, 최혜국 대우 규정
❶ 영국은 대청 무역 적자를 만회
③ 미·일 수호 통상 조약(1858) : 미국의 자유 무역 요구 → 추가 개항, 협정 관세, 영사 재판권
하기 위해 인도산 ( )을
청에 밀수출하였다. 등 명시
❷ 제1차 아편 전쟁의 결과 청은
(3) 조선과 베트남의 문호 개방
영국에 ( )을 할양하였다.
❸ ( )가 이끄는 미국 함대 ① 조선
의 무력 시위에 굴복한 에도 •흥선 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 정책 : 프랑스와 미국의 침략 방어
막부는 미·일 화친 조약을 체
•고종의 친정 이후 통상 개화에 대한 관심 고조
결하였다.
•강화도 조약(1876) : 일본이 운요호 사건을 빌미로 개항 요구 → 부산 외 2개 항구 개항, 영사
|정답| ❶ 아편 ❷ 홍콩 ❸ 페리
재판권 등 규정

112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Ⅳ.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② 베트남 홍수전
여러 차례 과거 시험에 낙방한
•16세기 이후 포르투갈, 네덜란드 등 서양 각국과 교역
홍수전은 크리스트교의 영향을
•제1차 사이공 조약(1862) : 프랑스가 크리스트교 박해를 구실로 군대 파견 → 선교의 자유, 영 받아 배상제회를 조직하였다.
토의 할양, 항구의 개항, 배상금 지급 등 명시 그리고 청을 타도하고 평등한
나라를 세운다는 목표 아래 봉
기하여 태평천국을 수립하였다.

2. 근대화 운동의 전개
(1) 청의 양무운동 이와쿠라 사절단
① 태평천국 운동(1851~1864) : 홍수전 등 주도, 청 왕조 타도·평등 사회 건설·토지 균분 등을 서양과 맺은 불평등 조약을 개
정하기 위한 예비 교섭을 추진
내세우며 세력 확대 → 서양의 개입과 한인 관료·신사층에 의해 진압 하고, 서양 문물과 제도를 조사
② 양무운동 하기 위해 1871년에 파견한 사
절단이다. 불평등 조약 개정에
배경 아편 전쟁과 태평천국 운동 진압 과정에서 서양 무기의 우수성 절감 는 실패하였지만, 1년 10개월
주도 증국번, 이홍장 등 한인 관료층 동안 미국과 유럽의 여러 국가
논리 중체서용(중국의 전통을 근본으로 삼고 서양의 과학 기술 수용) 를 시찰하고, 서구 문물의 수용
에 기여하였다.
•서양식 무기와 군함 도입, 금릉 기기국 등 군수 공장 설립
내용
•기선 회사, 방직 공장 등 근대적 기업 설립
한계 중앙 정부의 체계적 지원 부족, 양무파 내부의 분열, 청·일 전쟁의 패배로 한계가 드러남
폐번치현
다이묘가 다스리던 지방의 번
(2) 일본의 메이지 유신 을 폐지하고, 현을 설치하여 중
앙 정부가 임명한 관리가 통치
① 메이지 정부의 수립 : 개항 이후 물가 급등 등 경제 혼란 → 반막부 세력이 존왕양이 운동 전개
하게 한 정책이다. 이를 통해
→ 막부의 탄압을 받고, 서양과의 군사적 충돌에서 패배 → 서구 문물 수용과 막부 타도 운동 메이지 정부의 중앙 집권이 강
으로 전환 → 막부를 무너뜨리고 천황 중심의 메이지 정부 수립(1868) 화되었다.

② 근대화 정책
•청과 대등한 입장에서 청·일 수호 조규 체결(1871)
외교 •불평등 조약 개정과 서양 문물 시찰을 위해 이와쿠라 사절단 파견
•정한론 대두, 류큐 병합, 타이완 침공 등 대외 침략 모색(근대화 정책에 따른 무사들의 반발 해소 목적)
내정 폐번치현, 징병제 실시, 서양식 공장 설립, 봉건적 신분제 폐지, 교육 확대 등

자료 플러스 조약에 기초한 동아시아 질서의 형성

제8조 양국의 개항장에는 서로 이사관(영사관)을 두고, 자국 상민을 단속한다. 재산, 산업, 공사, 소송에 관련
된 사건은 모두 그 나라의 재판에 맡기고, 자국의 법률에 따라 재판한다. - 청·일 수호 조규(1871) -
❶ 베트남은 1862년에 맺은 제1차
위 조항은 청·일 두 나라가 상대국에 영사관을 설치하고 영사 재판권을 갖도록 규정하는 것으로, ( ) 조약을 통해 크리스
트교 선교의 자유 등을 허용하
청과 일본이 대등한 입장에서 청·일 수호 조규를 체결하였음을 보여 준다. 청과 조공·책봉 관계
였다.
를 맺었던 조선 역시 러시아와 독자적인 조약 체결을 모색하기도 하였고, 청은 청·일 전쟁의 결과 체 ❷ 증국번, 이홍장 등은 ( )
결한 시모노세키 조약에서 조선이 독립국임을 인정하였다. 이후 대한 제국은 청과 대등한 입장에서 의 원칙 아래 양무운동을 주도
한·청 수호 통상 조약을 체결하였다. 이로써 조약에 기초한 국제 질서가 동아시아에 자리 잡았다. 하였다.
❸ 메이지 정부는 지방의 번을 폐
지하고 현을 설치하는 ( )
(3) 조선의 개화 정책과 갑오개혁 을 단행하여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였다.
① 임오군란(1882)
•별기군 설치 등 개항 이후 추진된 개화 정책에 대한 반발로 발생 |정답| ❶ 사이공 ❷ 중체서용
❸ 폐번치현
•결과 : 청의 내정 간섭 강화, 개화 세력이 온건파(동도서기)와 급진파(문명개화)로 분화

09. 새로운 국제 질서와 근대화 운동 ~ 서양 문물의 수용 113


동아시아사

09 새로운 국제 질서와 근대화 운동 ~ 서양 문물의 수용

김옥균 ② 갑신정변(1884)
임오군란 이후 청의 간섭으로
개화 정책에 어려움을 겪게 되 경과 청·프 전쟁을 틈타 김옥균 등 급진 개화파가 정변 시도 → 청군의 개입으로 실패
자 갑신정변을 일으켰으나 실 개혁 주장 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인민 평등권 확립, 조세 제도 개혁 등
패하였다. 이후 일본으로 망명
하였고, 상하이에서 암살당하 ③ 갑오·을미개혁
였다. •배경 : 청·일 전쟁을 계기로 일본의 지원을 받은 개화 세력이 정권 장악
•갑오개혁(1894) : 왕실과 정부의 분리, 근대적 내각제 수립, 조세 제도 합리화, 신분제 폐지 등
대일본 제국 헌법 •을미개혁(1895) : 태양력 채용, 단발령 시행 등
천황이 국민에게 하사하는 형
식으로 공포된 헌법으로, 천황
이 주권자임이 명시되었다. 또
한 의회와 내각의 견제 없이 전
쟁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천황에게 막강한 권한이 부여 3.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
되었다.
(1) 자유 민권 운동과 대일본 제국 헌법
① 자유 민권 운동 : 1870년대부터 서양식 입헌 제도의 도입과 헌법 제정을 요구하는 운동 본격화
② 메이지 정부의 대응 : 자유 민권 운동 탄압, 서양식 정치 제도의 필요성 인정
③ 대일본 제국 헌법 제정(1889) : 입헌제 국가의 제도적 기반 마련, 천황에게 막강한 권한 부여
→ 제국 의회 구성(1890)

자료 플러스 자유 민권 운동

신들이 엎드려 현재 정권이 누구에게 있는가 살펴보니, …… 오로지 일부 실권자들에게 있습니다. …… 지금


민선 의원을 설립한다면 정부와 인민 사이에 소통이 되고 서로 일체가 되어 국가와 정부가 비로소 강하게 될
것입니다.  - 이타가키 다이스케 등, ‘민선 의원 설립 건백서’ -

이타가키 다이스케는 메이지 정부의 관료였으나 중앙 정계에서 밀려났다. 이후 그는 일부 실권자


들의 권력 독점을 비판하며 의회 설립을 주장하였다. 그의 주장이 신문에 보도된 이후 전국 각지
에서 정당이 결성되었고, 국민들이 정부를 타도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헌법안이 만들어지는 등
자유 민권 운동이 확대되었다.

(2) 대한 제국의 수립과 독립 협회의 활동


① 대한 제국
수립 을미사변(1895) → 고종의 아관 파천(1896) → 고종이 경운궁으로 환궁 후 대한 제국 수립 선포(1897)
❶ 일본은 대일본 제국 헌법을 통
•근대적 회사 설립, 근대 학교 설립
해 입헌제 국가의 제도적 기반 광무개혁
•대한국 국제 반포(1899) : 대한 제국이 전제 군주정 국가임을 대내외에 선포
을 마련하였으나, ( )에게
막대한 권한을 부여하였다.
② 독립 협회(1896~1898) : 민중 계몽, 만민 공동회 개최(열강의 이권 침탈 비판 등), 의회 개설
❷ 1899년 대한 제국은 ( )
를 반포하여 전제 군주정 국가 운동 전개 → 보수 세력의 반발로 해산
임을 대내외에 밝혔다.
❸ 청·일 전쟁 패배 이후 캉유웨
(3) 변법자강 운동과 신해혁명
이 등이 의회 도입 등을 주장 ① 변법자강 운동 : 청·일 전쟁 패배 이후 캉유웨이, 량치차오 등이 의회 도입을 비롯한 정치 개
하며 ( )을 추진하였다.
혁 운동 전개 → 보수파의 반격으로 실패(1898)
|정답| ❶ 천황 ❷ 대한국 국제 ② 청 정부의 신정
❸ 변법자강 운동
•배경 : 의화단 운동 실패 이후 개혁 요구 고조

114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Ⅳ.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내용 : 신식 군대 편성·과거제 폐지 등 추진, 입헌파의 주장을 받아들여 흠정 헌법 대강 발표 혁명파와 입헌파
의화단 운동 이후 중국의 개혁
(1908)
세력은 혁명파와 입헌파로 나
뉘었다. 혁명파는 청 왕조 타도
자료 플러스 흠정 헌법 대강 와 공화정 수립을, 입헌파는 의
회제 수용 등 점진적 개혁을 주
제1조 대청 황제는 대청 제국을 통치하며, 만세일계(萬世一系)로 영원히 존중하여 떠받든다. 장하였다.
제2조 군상(君上)은 신성하고 존엄하며 침범할 수 없다.
제3조 무릇 법률은 의원의 의결을 거치더라도 황제에 의해 비준·반포되지 않으면 실행에 옮겨질 수 없다.
만국 공법
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한 것에 자극받은 입헌파는 입헌 군주제를 요구하였고, 청 정부도 이 만국 공법이라는 용어는 미국의
를 수용하여 흠정 헌법 대강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대일본 제국 헌법을 본보기로 삼아 황제에게 국제법 학자 헨리 휘튼이 저술
많은 권한을 부여하였다. 또 당시 내각이 황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입헌파의 다수 한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를 한문으로 번역하여 출
는 청 정부의 입헌 의지에 의문을 제기하고 혁명파에 동조하기 시작하였다.
간하는 과정에서 유래하였다.

③ 신해혁명(1911)
배경 청 왕조 타도와 공화국 수립을 목표로 쑨원 등이 중국 (혁명) 동맹회를 조직하는 등 혁명 사상 확산 후쿠자와 유키치의 탈아론

전개 혁명파의 이념에 영향을 받은 우창 신군의 봉기 → 각 성의 독립 선언 우리는 이웃 나라(청, 조선)의


개화를 기다려 함께 아시아를
중화민국 수립(1912, 공화제 채택), 쑨원이 임시 대총통에 취임 → 공화제 실시와 청 황제 퇴위를 조
결과 및 번영시킬 여유가 없다. 서양
건으로 군사적 실권을 쥐고 있던 위안스카이와 타협 → 청 황제 퇴위 이후 위안스카이가 대총통에 의 근대 문명을 받아들여 일
이후 정세
취임 → 제정 부활 시도 → 위안스카이 사후 군벌 난립 본의 낡은 틀에서 벗어나고,
아시아에서도 벗어나야 한다.

4. 서구적 세계관의 침투
(1) 만국 공법의 확산 옌푸
① 개념 중국 최초의 영국 유학생 중 한
명으로, 청·일 전쟁 패배에 충
•서양 국가들이 구축한 국제법 질서, 주권국 간의 대등한 관계 지향 격을 받고, “진화와 윤리”를 번
•모든 국가를 문명국, 반문명국, 미개국으로 서열화 → 불평등 조약과 침략 합리화 역한 “천연론”을 출간하여 사
회 진화론을 소개하였다.
② 동아시아 각국의 수용
청 중화를 자처하며 서양 열강과의 외교 실무 지침서로 사용
•서양 열강과 맺은 불평등 조약을 개정하는 근거로 활용
일본
•강화도 조약을 체결할 때 조선이 자주국임을 주장하는 근거로 사용
•영국의 거문도 점령과 청의 내정 간섭으로 만국 공법에 대한 회의론 고조
조선
•일본의 침략을 비판하고 주권 수호를 위한 외교 활동의 근거로 활용
❶ 1911년에 일어난 ( )으로
(2) 사회 진화론의 수용 공화제 국가인 중화민국이 수
립되었다.
① 개념 : 인간 사회에 약육강식과 자연 도태의 원리 적용, 서양 열강이 자신들의 침략 정당화
❷ 일본은 ( )을 근거로 강
② 동아시아 각국의 수용 화도 조약 체결 시 조선이 자
•자강 운동의 근거로 수용, 서양을 모델로 한 전면적 개혁에 활용 주국임을 주장하였다.
특징 ❸ 인간 사회에 약육강식과 자연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을 불가피한 것으로 수용하는 경향 등장
도태의 원리를 적용한 ( )
•자유 민권 운동 비판, 천황에 대한 충성 강조, 제국주의적 팽창 정당화
일본 은 교육과 산업의 진흥을 주장
•가토 히로유키, 후쿠자와 유키치 등
한 한국의 애국 계몽 운동에
•변법자강 운동에 영향 영향을 주었다.

•옌푸가 “천연론” 출간
|정답| ❶ 신해혁명 ❷ 만국 공법
•애국 계몽 운동에 영향, 교육과 산업을 진흥하자는 논리로 활용
한국 ❸ 사회 진화론
•유길준, 윤치호 등

09. 새로운 국제 질서와 근대화 운동 ~ 서양 문물의 수용 115


동아시아사

09 새로운 국제 질서와 근대화 운동 ~ 서양 문물의 수용

신보
자료 플러스 동아시아의 주요 사회 진화론자
1872년 영국 상인이 상하이에
서 창간한 신보는 특파원을 파
•백인이라는 우월한 인종이 야만스러운 미개인들과 침략, 약탈 전쟁을 벌이는 것은 세계 전체의 진화를 촉
견하여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
진하는 자연 선택 법칙에서 나오는 것이다.  - 가토 히로유키 -
하는 한편, 중국인들의 글을 많
•인생의 만사가 경쟁을 의지하지 않는 일이 없으니, 천하 국가의 일부터 한 몸, 한 집안의 일까지 실로 다 경
이 실어 큰 인기를 누렸다.
쟁으로 인해 진보하는 것이다.  - 유길준 -

가토 히로유키는 일본의 우선 과제가 자유와 인권 같은 인간의 기본권 확립이 아니라 천황제에 기


교육 칙어
유교적 덕목을 강조하면서 국
초한 국민 국가를 확고히 하여 제국주의 열강을 따라잡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일본, 미국 등지
가와 천황에 대한 충·효를 다 에서 유학한 유길준은 경쟁이 인간 사회의 발전에 중요하다고 보아 조선이 서양 사회를 닮아야 한
할 것을 당부하는 내용으로 이 다고 주장하였고, 갑오개혁에도 참여하였다.
루어져 있다. 메이지 정부는
이를 통해 천황제를 뒷받침하
였다. 5. 근대 지식의 확산
(1) 근대 신문의 발행
육영 공원 ① 역할 : 국내외 소식의 전달, 민권 관념의 보급, 여론 형성 등에 기여
1886년에 세워진 근대식 교육 ② 동아시아 각국의 신문 : 동아시아 각국은 허가제, 검열제 등으로 탄압 시도
기관으로 미국인 교사를 초빙
하여 양반 자제들을 가르쳤다. •영국 상인이 상하이에서 신보 창간(1872)

•청 정부가 등록제, 검열제 등으로 탄압
요코하마 마이니치 신문(일본 최초의 일본어 일간지), 요미우리 신문(흥미 위주, 청·일 전쟁과 러·
일본
교육입국 조서 일 전쟁을 보도하며 성장)

백성을 가르치지 않으면 나라 조선 한성순보(정부 발행), 독립신문(한국 최초의 민간지, 한글과 영문 발행, 국권 수호를 위한 여론 조성)
를 굳건히 하기가 매우 어렵
다. 세상 형편을 돌아보면 부
(2) 근대 교육의 확산
유하고 강성하며 독립하여 우
세를 가지고 남을 내려다보는 ① 배경 : 서양 문물 수용의 필요성 대두 → 교육 제도 개편, 서양식 학교 설립, 교육 기회 확대
여러 나라는 모두 그 나라 백
② 일본 : 근대 학제 제정(1872, 소학교 의무 교육 실시), 도쿄 대학 설립(1877), 교육 칙어 반포
성의 지식이 발달하였다.
(1890, 천황에 대한 충성 강조)
조선은 교육입국 조서를 통해
충군애국의 교육 목표와 지덕 ③ 조선 : 육영 공원 설립(1886), 교육입국 조서 발표(1895)
체를 겸비한 교육을 강조하였 ④ 청 : 베이징에 경사 대학당 설립(1898), 근대 학제 마련(1902)
다. 이에 따라 소학교, 사범학교,
외국어 학교 등이 설립되었다. (3) 여성 교육과 여성 권리 의식의 성장
① 특징 : ‘현모양처’ 육성을 목표로 각국에서 여학교 설립 → 점차 여성 권리 의식 향상
② 일본 : 부인 교풍회가 여성 운동 전개, 히라쓰카 라이초가 여성 해방 주장
③ 대한 제국 : 서울 양반 부인들이 여권통문 발표(여학교 설립 청원)
❶ ( ) 신문은 일본 최초의 ④ 중국 : 신해혁명과 신문화 운동 이후 여성 권리 신장 요구 증가
일본어 일간지이다.
❷ 일본은 1872년부터 6세 이상 자료 플러스 여권통문
학생을 대상으로 ( ) 의
무 교육을 실시하였다. 우리보다 먼저 문명이 개화한 나라들을 보면 남녀의 권리가 동등하다. …… 이제는 우리도 여아들로 하여금
❸ 청은 청·일 전쟁 패배 이후 최 여러 가지 재주를 배우게 하여 나중에 여자들이 훌륭한 인격자가 될 수 있도록 여학교를 세우고자 한다.
고 교육 기관이었던 국자감을  - 황성신문 -
대체하여 ( )을 설립하
였다. 1898년 서울 북촌에 사는 양반 부인 수백 명이 모여 여권통문을 발표하여 여성 교육과 여성의 사
회 진출을 요구하였다. 이후 이들은 찬양회를 조직하여 순성 여학교를 설립하였다. 이에 영향을
|정답| ❶ 요코하마 마이니치
❷ 소학교 ❸ 경사 대학당 받은 조선 여자 교육회 등은 여성 계몽 운동을 전개하였다.

116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Ⅳ.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6. 근대적 생활 방식의 확산 황성 만들기 사업
대한 제국 수립 이후 고종은 서
(1) 근대 도시의 형성 양의 도시를 본떠 도로를 넓히
① 조계(거류지) : 개항장에 외국인의 거주와 영업이 허용된 지역, 치외법권 적용 → 전신·전화· 고 포장하였으며, 탑골 공원과
같은 도시 공원을 만들었다. 그
전차 등 서구 문물의 수용 통로로 기능, 도시화 진행
리고 전차를 부설하는 등 한성
② 동아시아 각국의 도시화 을 근대 도시로 탈바꿈하고자
하였다.
청 상하이에 영국, 미국, 프랑스 등이 조계 설정·관리 → 무역과 경제를 비롯해 문화의 중심지로 성장
•시모다와 하코다테를 시작으로 개항, 개항장에 외국인 거류지 건설
일본 •요코하마 : 미·일 수호 통상 조약을 계기로 개항, 상하이·샌프란시스코와 연결되는 항로 개설
•도쿄 : 긴자에 대화재가 난 이후 서양식 거리 조성
청의 철도 부설 노력
•부산, 인천 등 개항장에 거류지 형성 청 정부는 1889년 철도 부설을
한국
•한성 : 외국인 거주 증가, 대한 제국 시기에 황성 만들기 사업 추진 기본 정책으로 확정하였다. 그
러나 1901년 신축 조약의 체결
(2) 철도의 부설 로 철도 부설권은 대부분 열강
의 손으로 넘어갔다. 한편, 청
① 철도 : 인구 이동과 물자 유통 촉진, 활동 공간과 시야 확대, 서양 열강의 침략 도구로 인식되
정부가 개혁에 필요한 자금을
어 갈등 초래 마련하기 위해 철도를 국유화
② 청 : 열강의 경제적·군사적 침탈, 크리스트교의 전파 및 풍수 문제 등을 우려하여 부정적 → 하자, 이에 반대하는 투쟁이 신
해혁명으로 이어졌다.
청·일 전쟁 이후 열강이 철도 부설권 침탈 → 이권 회수 운동 확산
③ 일본 : 철도를 문명의 이기로 보고 일찍부터 관심 → 도쿄와 요코하마 사이에 부설(1872) →
각 지역에서 철도 부설 유치 운동 전개
일본의 철도 부설
④ 대한 제국 : 일본에 의해 철도 건설, 러·일 전쟁에서 병력과 물자 수송에 활용, 부설 과정에서
일본은 한국의 경인선, 경부선,
철도 주변의 토지 약탈 → 의병들이 철도 공사장 공격 경의선을 부설하였고, 러·일
전쟁 이후에는 남만주 지역의
(3) 서양식 생활 방식의 수용 철도를 확보하였다. 이후 식민
① 의복의 변화 : 서양식 복장과 단발 확산 지인 타이완에서도 철도 부설
을 확대하였다.
② 서양식 시간관념의 도입
•양력 도입 : 일본(1873), 조선(1896, 을미개혁 이후), 중국(1912)
•하루를 24시간, 일주일을 7일로 하는 전국 공통의 시간관념 확산

자료 플러스 철도·학교의 확대와 근대적 시간관념의 확산

22
인천에서 매일 오전 7시에 취침
출발하여 유현에는 7시 6분, 소등

우각동에는 7시 11분, 부평 자습
에는 7시 36분, 소사에는 18 저녁 식사 배재 학당 기상,
시간표 아침 식사 ❶ 개항장에 설정된 ( )는 외
7시 50분, 오류동에는 8시 17 미확인
오후 점심 등교 국인의 거주와 영업이 허용된
15분, 노량진에는 8시 40분 16 수업 식사 오전 8
에 당도한다. 수업 9 지역으로, 치외법권이 적용되
미확인
 - 독립신문 - 었다.
13 12 11
- 배재 학당 역사 박물관 - ❷ 일본은 1872년 도쿄와 ( )
▲ 경인선 시간표 ▲ 배재 학당 시간표 를 잇는 일본 최초의 철도를
부설하였다.
경인선 시간표는 1899년 독립신문에 실린 것으로, 열차의 운행 시간이 분 단위로 표시되어 있다. ❸ 조선은 ( )개혁 때에 태
이처럼 시간에 맞춰 정확하게 운행되는 철도는 열차를 이용하지 않는 사람에게도 시간을 알려 주 양력을 채택하였다.
는 수단이 되었다. 근대 학교 역시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학생들이 생활하도록 통제하여 근대적 |정답| ❶ 조계(거류지) ❷ 요코하마
시간관념의 확산에 영향을 끼쳤다. ❸ 을미

09. 새로운 국제 질서와 근대화 운동 ~ 서양 문물의 수용 117


자료
탐구
자료 1 난징 조약

기출 자료 분석
ㅣ2019학년도 대수능ㅣ

(가) 제11조 청 정부는 영국 정부에 상하이, 닝보, 푸저우 등의 항구에 더하여 뉴좡, 덩저우,
타이난 등에서도 항구를 추가로 개항한다.
(나) 제10조 일본국 인민이 조선국 항구에서 죄를 지었거나 조선국 인민에게 관계되는 사
건은 모두 일본국 관원이 심판한다.

자료 분석 청은 1842년 난징 조약에 따라 영국에 상하이, 닝보, 푸저우 등 5개 항구를 열었다. (가)는 이 외에 뉴좡, 덩
저우, 타이난 등의 항구를 추가로 개항한다고 하였으므로, 제2차 아편 전쟁에 따라 체결된 톈진 조약임을 알 수 있
다. (나)는 일본 사람이 조선 항구에서 죄를 지었더라도 일본 관원이 심판한다는 내용을 통해 1876년에 체결된 강화
도 조약임을 알 수 있다.
자료 공략 서구 열강을 비롯해 동아시아 각국이 체결한 근대적 조약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도록 한다. 또 각 조약의 체
결 과정과 당시 동아시아의 상황도 알아 두어야 한다.

유형 연습

1 밑줄 친 ‘이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143 ]

1997년 시민들이 모금하여 청동으로 제작된 종이 사찰에 안치되었다. 이름하여 경세종이다. 종의 뒷면에는 지난 일을 잊지 않
고 훗일의 본보기로 삼는다는 뜻의 ‘전사불망 후사지사(前事不忘 後事之師)’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종의 높이인 1.842 m는
이 조약이 체결된 해를 상징한다. 종 꼭대기 7.1 cm 높이의 화구(火球)는 이 조약에 따라 할양되었던 홍콩이 다시 반환된 날짜
인 7월 1일을 상징한다.

① 운요호 사건을 계기로 체결되었다.


② 공행이 폐지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③ 제1차 사이공 조약 체결의 영향을 받았다.
④ 서양 외교관의 베이징 주재가 명시되었다.
⑤ 청과 일본 사이의 대등한 관계를 규정하였다.

118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Ⅳ.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자료 2 동아시아의 개항장 정답과 해설 33쪽

기출 자료 분석
ㅣ2019학년도 대수능 9월 모의평가ㅣ

<개항장별 무역량 비율(1865년)> 가나가와를 대신하여 개항한 (가) 은/는


나가사키 기타 나가사키 기타 그래프에서 보는 것처럼 몇 년 뒤에는 이 나
3.8 1.7 12.3 0.9 라 최대의 무역항으로 성장했습니다. 이 나라
에서 일간지가 최초로 발간된 곳도 바로 이
수출 수입 도시입니다.
㈎ 94.5 ㈎ 86.8
(단위 : %)

자료 분석 가나가와를 대신하여 개항하였다는 내용을 통해 (가)는 미·일 수호 통상 조약을 계기로 개항된 도시임을
알 수 있다. 일본에서 일간지가 최초로 발간된 곳은 요코하마이다. 미·일 수호 통상 조약에 따라 가나가와를 비롯하
여 나가사키, 니가타, 효고(고베) 등의 개항이 결정되었는데, 일본은 가나가와의 한적한 어촌이었던 요코하마에 개
항장을 설치하였다.
자료 공략 동아시아 주요 개항장을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되므로, 주요 도시들의 개항 경위와 개항 이후 성장 등을 정
리해 두어야 한다. 특히 상하이, 인천, 부산, 요코하마 등이 자주 출제된다.

유형 연습

2 (가) 도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144]

<수행평가 보고서>
■주제 : 한국 최초의 철도
■수집 자료
•1899년 개통 당시 노선도와 시간표
07:00 07:06 07:11 07:36 07:50 08:15 08:40
㈎ 유현 우각동 부평 소사 오류동 노량진

•철도 광고문
한성과 (가) 사이 80리 간에 철도가 놓였다. 한성
에 사는 사람이 매일 와서 일을 보고, 벼슬아치가 매일 한
성으로 출근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① 경사 대학당이 설립되었다.
② 태평천국의 수도가 되었다.
③ 강화도 조약에 따라 개항되었다.
④ 영국 상인이 신보를 창간하였다.
⑤ 황성 만들기 사업이 추진되었다.

09. 새로운 국제 질서와 근대화 운동 ~ 서양 문물의 수용 119


수 능 기본 문제
[20015-0145 ] [20015-0147]

01 밑줄 친 ‘전쟁’이 일어난 배경을 알아보기 위한 탐구 활동 03 밑줄 친 ‘우리 정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외국과의 교제는 나라의 안위와 관계가 있고, 이번에 서양
중국은 덕을 쌓지 못하고 지식을 연마하지 못해 자기들 바 에 파견한 사절의 능력 여부는 나라의 영욕과 관련된다. 지
깥에는 사람이 없다고 생각하며 세상 돌아가는 것을 모른 금 우리 정부가 유신 이후 해외 각국과 나란히 설 것을 도
채 깊은 잠에 빠져 있다. 결국 전쟁에 패해 화친을 구하여 모하는 시점에 조약을 개정해야 하는 사명을 받들었다. 외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하고, 상하이 등 5개 항구를 개방하 교, 내치, 앞으로의 대업, 그 성패는 실로 이번 임무에 있으
여야 했다. 그러나 여전히 달라지지 않은 채 지금에 이르렀 니, 어찌 큰 임무가 아니겠는가.
으니 그 꼴이 무어란 말인가. - 후쿠자와 유키치 -
① 폐번치현을 단행하였다.
① 홍타이지의 대외 정책을 알아본다. ②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하였다.
② 갑신정변의 전개 과정을 정리한다. ③ 태평천국 운동을 진압하였다.
③ 페리 함대가 내항한 경위를 파악한다. ④ 미·일 화친 조약을 체결하였다.
④ 북로남왜의 상황이 끼친 영향을 찾아본다. ⑤ 베트남을 두고 청과 전쟁을 벌였다.
⑤ 영국이 청에 밀수출한 아편의 양을 살펴본다.

[20015-0148]

04 (가), (나) 헌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나)
[20015-0146 ]

02 다음 취지에서 전개된 근대화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제1조 대일본 제국은 만 제1조 대청 황제는 대청
것은? 세일계의 천황이 제국을 통치한다.
통치한다. 제3조 무릇 법률은 의원
우리의 문물 제도는 바다 건너 야만의 풍속과는 전혀 다르 제4조 천황은 국가의 원 의 의결을 거치더
고, 나라를 잘 다스리는 튼튼한 기초를 굳히고자 하는 방법 수로서 통치권을 라도 황제에 의해
은 원래부터 존재하고 있습니다. …… 서양의 장점을 취하 총람하며, 이 헌법 비준·반포되지 않
여 우리의 장점으로 삼으면 서로 비교해 보아도 뒤처지지 의 조규에 따라 이 으면 실행에 옮길
않을 것입니다. - 이홍장의 상소 - 를 시행한다. 수 없다.

① 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삼았다. ① (가) - 대한국 국제의 영향을 받았다.


② 난징 조약이 체결되는 계기가 되었다. ② (가) - 쑨원 등이 참여하여 마련되었다.
③ 북학파 실학이 성장하는 토대가 되었다. ③ (나) - 독립 협회의 주장에 따라 반포되었다.
④ 조선의 온건 개화파에게 영향을 끼쳤다. ④ (나) - 제국 의회가 설립되는 토대가 되었다.
⑤ 일조편법이 전국으로 확대되는 배경이 되었다. ⑤ (가), (나) - 입헌제 국가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120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Ⅳ.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정답과 해설 33쪽

[20015-0149 ] [20015-0151 ]

05 밑줄 친 ‘개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7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술년 6, 7월 사이에 팔고문*을 폐지하고 학당을 설립하 •각국이 교제하는 모습을 보면, 문명에 도달하였다고 일
자는 상소가 제출되자, 광서제가 이를 윤허하였다. 나는 캉 컫는 국가에서도 걸핏하면 크게 전쟁을 벌인다. 그래서
유웨이에게 적당한 선에서 그만두고 개혁을 너무 서두르지 하나의 법률을 만들어 (가) (이)라고 하였다. 만
말라고 충고하였다. 그리고 기회를 봐서 남쪽 지방에 학당 국이 이를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은 아니나, 이를 어기면
을 설립하여 인재를 양성하면 장래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필히 적을 불러일으킬 것이기 때문에 각국이 모두 이를
덧붙였다. 하지만 그는 내 말을 듣지 않고 이 일들을 밀어 지키고 있다.
붙였다. •권리는 정당하고 동일해야 한다는 (가) 의 취지에
도 불구하고 교제 현장에서 보면 그렇지 않다. 서구인의
* 팔고문 : 명·청대에 과거 시험에 사용된 특별한 문체
손이 닿은 곳에서 능히 그 본국의 권리와 이익을 온전히
① 보수파의 반격으로 실패하였다. 지켜 참된 독립을 유지한 나라가 과연 있는가.

② 청·프 전쟁을 틈타 전개되었다.


① 청은 외교 실무의 지침서로 사용하였다.
③ 중체서용의 원칙에 따라 이루어졌다.
② 중국 중심의 전통적 국제 질서를 정당화하였다.
④ 강화도 조약 체결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③ 조선이 주권을 수호하기 위한 논리로 받아들였다.
⑤ 태양력 채용, 단발령 실시 등이 추진되었다.
④ 서구 열강이 불평등 조약을 합리화하는 수단이 되었다.
⑤ 일본이 조선을 자주국이라고 주장하는 근거가 되었다.

[20015-0152]
[20015-0150]
08 밑줄 친 ‘신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6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서재필이 미국에서 돌아와 중추원 고문관으로 활동하였다.
이 사건의 핵심 인물인 그는 임시 대총통으로 선출되었다. 이때 안경수 등 30여 명과 함께 독립 협회를 설립하였다.
당시 북방의 육군을 이끌고 있던 총사령관 위안스카이는 두 달 뒤 서재필과 계약을 맺고 잡지를 펴내도록 하였다.
기발한 아이디어를 고안해 냈다. 위안스카이는 자신이 초 매달 15일, 30일 두 번에 걸쳐 간행하였다. 이때 서재필은
대 대총통으로 취임한다는 조건으로 그가 이끌던 공화국을 이미 신문사를 창립하고 신문을 인쇄하여 널리 배포하고
승인하였다. 있었다.  - “대한계년사” -

① 변법자강 운동을 주도하였다. ① 한글과 영문으로 발행되었다.


② 민선 의원 설립 건백서를 작성하였다. ② 개항장의 조계에서 창간되었다.
③ 이와쿠라 사절단의 일원으로 활동하였다. ③ 청·일 전쟁 당시에 널리 읽혔다.
④ 중국 동맹회를 조직하고 혁명파를 이끌었다. ④ 신해혁명 당시의 소식을 전하였다.
⑤ 운요호 사건을 일으켜 조선에 개항을 강요하였다. ⑤ 통감부가 제정한 신문지법으로 탄압받았다.

121
09. 새로운 국제 질서와 근대화 운동 ~ 서양 문물의 수용
수능 실전 문제
20015-0153
1 (가) 전쟁의 결과로 옳은 것은?

수행평가 보고서
< (가) 에 대한 인식>

■수집 자료
•이미 천자가 거처하는 황성(皇城)을 점령한 서양 오랑캐
들이 혹시 그 기세를 몰아 우리 조선을 공격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습니다. 하지만 신(臣)은 꼭 그렇지 않다
고 생각합니다. 그들은 교역하고자 하는데, 우리나라는 교
역할 만한 재물이 없으니 무슨 까닭으로 우리를 가볍게
공격하겠습니까?  - “철종실록” -
•어느 날 강도 두 명이 원명원에 침입하였다. 한 명은 약
탈하고, 다른 한 명은 불을 질렀다. …… 두 승리자 가운
데 한 사람은 배낭을 가득 채웠고, 또 한 사람은 상자를
가득 채웠다. 그들의 행위는 두 강도의 역사다. 우리 유
럽인은 이런 행위를 야만이라고 불러왔다. 장차 역사의
심판을 받게 될 이 두 강도는 프랑스와 영국이다.
 - 빅토르 위고 -

① 광저우의 공행이 폐지되었다.


② 운요호가 영종도를 공격하였다.
③ 페리 함대가 수교를 요구하였다.
④ 푸저우 등 5개 항구가 개항되었다.
⑤ 서양 외교관의 베이징 주재가 허용되었다.

20015-0154
2 다음 취지에서 전개된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삼가 생각건대 우리는 태양의 땅으로 솟아났고, 황통은 대대로 이어져 먼 옛날부터 바뀌지
않았다. 그런데 오늘날 서양 오랑캐들이 천한 발로 사해를 뛰어다니고 전국을 유린하면서
감히 상국을 능욕하려 들다니, 교만하기 짝이 없도다.
•우리의 충성심은 다이묘들에게 아무런 감흥을 주지 못할 것이다. 그들은 폐하께 대권을 돌
려드린다는 사상에 대해서도, 왜 그런 행동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도 전혀 이해하지 못할 것
이다. 이러한 때에 우리 하급 무사들이 폐하의 심려를 헤아려 해야 할 일은 무엇이겠는가?

① 막부 타도를 위한 운동으로 이어졌다.


② 금릉 기기국이 설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③ 한인 신사층과 외국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④ 별기군과의 차별 대우에 반발한 구식 군인들이 일으켰다.
⑤ 프랑스와 미국 함대의 공격을 격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122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Ⅳ.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정답과 해설 35쪽

20015-0155
3 다음 주장에 대한 학생들의 발표 내용으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예나 지금이나 어느 나라에서도 인간이라는 것은, 위로는 천자에서 아래로는 만민에 이르기까


지 남녀 외에는 다른 구별이 없다. 그것을 상하로 나누고, 위계를 부여하고, 그 사람들에게 이
름을 붙이고, 또 사민(四民 : 사, 농, 공, 상)이라는 명목에 끼워 넣는다고 해도 결국 같은 인간
이라는 점은 변하지 않는다.

ㄱ. 조선에서는 갑오개혁으로 법제화되었어요.


ㄴ. 메이지 정부가 추진한 개혁에 반영되었어요.
ㄷ. 중국에서는 중체서용에 입각하여 수용되었어요.
ㄹ.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병농 분리 정책을 뒷받침하였어요.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20015-0156
4 다음 주장에 대한 학생들의 발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귀국은 서양 문예의 뛰어남, 기계의 정교함 같은 것들을 흠모하지만, 이는 곁가지에 불과합니


다. 오히려 아직 귀국에서 혐오하는 서양의 교법(크리스트교)을 비롯한 정신이야말로 그 본류
입니다. 지금 귀국에서는 그 곁가지를 좋아하고 본류를 미워하니 어리석다고 하겠습니다.
…… 좋은 나무에는 좋은 과일이 열리고, 나쁜 나무에는 나쁜 열매가 열립니다. 오늘의 개화가
날로 새로워지는 것은 그 과일입니다. 교법이야말로 나무입니다. 귀국에서 만약 서양의 과일
을 좋은 것이라고 생각하신다면, 그 나무가 좋다는 것을 의심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① 일본 국학파에 의해 제기되었어요.
② 양무운동의 사상적 토대가 되었어요.
③ 김옥균 등 급진 개화파가 동조하였어요.
④ 효종 때 북벌의 방안으로 제안되었어요.
⑤ 마음이 곧 만물의 이치임을 강조하였어요.

123
09. 새로운 국제 질서와 근대화 운동 ~ 서양 문물의 수용
수능 실전 문제

20015-0157
5 밑줄 친 ‘전쟁’의 결과로 옳은 것은?

1883년 프랑스는 군대를 동원하여 베트남을 보호국으로 삼는 조약을 맺었다. 이때 프랑스어로


조약문을 작성하였다. 베트남에 대한 종주국을 자처하였던 중원 왕조는 이 조약을 인정할 수
없다고 선언하였다. 프랑스는 “만일 일찍 베트남이 다른 나라의 속국임을 알았다면 어찌 우리
가 동등한 자격으로 조약을 맺었겠는가? 이제 베트남은 마땅히 우리 프랑스를 상국으로 대해
야 한다.”라고 주장하였다. 결국 베트남을 두고 두 나라 사이에 전쟁이 벌어졌다.

① 임칙서가 아편을 단속하였다.


② 청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가 약화되었다.
③ 쑨원 등 혁명파 세력이 공화정 수립을 모색하였다.
④ 청 왕조 타도를 내세우며 태평천국 운동이 전개되었다.
⑤ 불평등 조약 개정을 위해 이와쿠라 사절단이 파견되었다.

20015-0158
6 다음 자료에 나타난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왕정복고 이후 상하 동권(上下同權)의 주장은 전국의 인민으로 하여금 국가를 함께 지키게


하도록 다그치자는 것이다. 지금의 인민에게 위아래가 모두 대등한 권리를 가지며, 정부에
대해서도 쉽게 굴복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은 외부의 강적에 대항하는 훈련이
기도 하다.
•모 학자는 민권론, 국권론이라고 하는 두 권의 책을 출판하여 민권을 펼치는 것은 국권을 펼
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오호, 어찌 말이 이다지도 당치 않을 수 있단 말인가. 원래 국가는
민권을 위해 설립된 것인데, 어찌 민권보다 국권을 우선시한단 말인가.

① 홍수전의 주도로 확산되었다.


② 폐번치현이 단행되는 계기가 되었다.
③ 교육 칙어의 반포를 배경으로 본격화되었다.
④ 대일본 제국 헌법이 제정되는 데 영향을 끼쳤다.
⑤ 흥선 대원군이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추진하는 토대가 되었다.

124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Ⅳ.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정답과 해설 35쪽

20015-0159
7 다음 문서가 작성된 이후의 상황으로 옳은 것은?

제1조 대청 황제가 퇴위한 뒤에도 존호는 폐지하지 않는다.


새 정부는 외국의 군주를 상대하는 예의로 황제를 대
한다.
제2조 대청 황제가 퇴위한 이후 연 4백만 냥을 경비로 지불
한다. 새롭게 바뀐 화폐로는 4백만 위안으로 한다.
제3조 대청 황제가 퇴위한 이후에는 잠시 황궁 안에 머무르
게 한다.

① 일본이 류큐를 병합하였다.


② 우창의 신군이 봉기하였다.
③ 청·일 수호 조규가 체결되었다.
④ 위안스카이가 대총통의 자리에 올랐다.
⑤ 아편 단속을 구실로 영국이 전쟁을 일으켰다.

20015-0160
8 (가)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자료는 개항 이후 확산된 (가) 에 대한 유인


석의 비판입니다. 의병장이었던 유인석은 문명에
경쟁을 최고로 여긴다면 당우삼대*의 는 경쟁의 관념이 담길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훌륭한 통치 시대는 문명이 아니며,
춘추·전국의 경쟁 시대는 문명이란
말인가? 경쟁과 문명은 상반되는 것
인데, 어찌 이를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는가?
* 당우삼대 : 중국 고대의 요순 시대와 하·
상·주 시대를 함께 지칭하는 용어

① 대의각미록을 통해 집대성되었다.
② 청·일 전쟁의 패배로 한계를 노출하였다.
③ 변법자강 운동이 일어나는 데 영향을 주었다.
④ 해체신서의 간행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⑤ 공자와 맹자 시대의 유학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였다.

125
09. 새로운 국제 질서와 근대화 운동 ~ 서양 문물의 수용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35쪽

20015-0161
9 밑줄 친 ‘이 도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학 작품으로 읽는 동아시아사
<작품 해설>
상하이가 바다 건너 이 도시와 1896년에 상하이에서 직항 선
어떻게 비교될까? 박을 이용해 이 도시에 도착한
부두와 거리, 상가가 서로 다투 민영환이 남긴 작품이다. 민영
어 새로우며 환은 수도와 바로 연결되는 철
또한 기차가 있어 능히 번개 같 도를 비롯해 근대화된 모습에
으니 큰 감명을 받았다.
수도까지 한 시간이면 이른다네.

① 긴자 거리가 조성되었다.
② 일본 최초의 일본어 일간지가 발행되었다.
③ 교육입국 조서에 따라 학교가 설립되었다.
④ 신패를 소지한 청 상인의 왕래가 활발하였다.
⑤ 외국인 교사가 가르치는 육영 공원이 설치되었다.

20015-0162
10 밑줄 친 ‘이것’에 해당하는 근대 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것은 군사상 필요하다. 어느 날 아침 도쿄 조정 회의에서 의견 일치를 보고 마침내 개전·
출병한다는 명령 아래 수만 명의 군병이 즉각 도쿄에서 출발하여 이튿날 새벽에 시모노세키
항에 도착하고 바다를 건너 10시간 만에 부산에 상륙, 다시 저녁에는 경성의 남대문에 도착
할 수 있을 것이다.
•내정 개혁 절목 중 경성·부산 두 지역 및 경성·인천 두 지역 간에 이것을 부설하는 일은 조
선 정부에서 그 재정이 아직 윤택하지 못하므로, 일본 정부 혹은 일본의 어떤 회사와 계약을
체결하고 시기를 보아 기공할 것이다. 다만 현재 우여곡절이 있어서 추진이 어려울 뿐이다.

① 일본의 만주 침략에 이용되었다.


② 인구 이동과 물자 유통을 촉진하였다.
③ 근대적 시간관념의 확산에 기여하였다.
④ 홍수전이 이끄는 군대에 의해 파괴되었다.
⑤ 제국주의 열강의 이권 침탈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126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Ⅳ.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10
동아시아사

제국주의 침략 전쟁과 민족 운동

1. 제국주의 침략과 동아시아 질서의 변화 청·일 전쟁 직전의 상황


1894년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
(1) 청·일 전쟁(1894~1895) 나자 조선은 청에 원병을 요청
① 배경 : 임오군란, 갑신정변 이후 조선 하였고, 일본도 공사관과 거류
평양 전투 민 보호 등을 내세워 조선에 파
을 둘러싼 청·일의 대립 격화 (1894. 9.)
병하였다.
② 전개 : 동학 농민 운동 당시 청·일 양
다롄 평양 원산
국군 파병 → 조선의 철병 요구를 무시 뤼순 동해

한 일본이 경복궁을 점령하고 청군 공


웨이하이웨이 한성
격(청·일 전쟁) → 일본 승리 황해
삼국 간섭
웨이하이웨이 전투
③ 결과 (1895. 2.)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일본이
부산 랴오둥반도를 차지하자, 러시
•시모노세키 조약(1895) : 조선이 독립
풍도 해전 아는 독일, 프랑스와 함께 랴오
국임을 청이 인정, 일본이 랴오둥반도 (1894. 7.)
둥반도를 청에 반환하도록 압
시모노세키
와 타이완 등 차지, 청이 일본에 배상 력을 행사하였고, 일본이 이에
일본군의 이동로 굴복하였다.
금 지불 격전지
•삼국 간섭(1895)으로 일본이 랴오둥반 ▲ 청·일 전쟁의 전개
도 반환 → 러·일 대립 본격화
청에 대한 열강의 이권 침탈
자료 플러스 시모노세키 조약의 영향 청은 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라
일본에 지급할 배상금을 마련
하기 위해 서구 열강으로부터
제1조 청국은 조선국이 완전무결한 독립 자주국임을 확인한다.
차관을 들여왔고, 그 대가로 서
제2조 청국은 아래에 기록한 토지의 주권 및 해당 지방에 있는 성루, 무기 공장과 모든 공공 기물을 영원히
구 열강은 청의 철도 부설권,
일본국에 할양한다.
광산 채굴권 등을 차지하였다.
1. 봉천성 남부의 땅
2. 타이완 전체와 그에 딸린 여러 섬
제4조 청국은 군비 배상금으로 고평은 2억 냥을 일본국에 지급할 것을 약속한다.

시모노세키 조약에서 조선이 독립 자주국임을 청이 확인하여 청과 조선의 조공·책봉 관계가 끝


났고, 나아가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도 무너졌다. 또 일본은 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라 청으로
부터 거액의 전쟁 배상금을 받았는데, 이는 당시 일본 1년 재정 수입의 수배에 달하는 것이었다.
여기에 삼국 간섭에 의해 랴오둥반도를 청에 반환하는 대가로 추가적인 배상을 받았다. 일본은 이
금액의 대부분을 군비 증강과 관련된 산업에 투자하였고, 제철소와 철도 건설 등에 투입하였다.
그 결과 일본에서는 중공업 중심의 산업화가 본격화되었다. 또 타이완을 차지하여 동아시아 최초
로 식민지를 지배하는 국가가 되었다. 이처럼 시모노세키 조약은 일본이 제국주의 국가로 나아가
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❶ 청·일 전쟁의 결과 ( )
조약이 체결되어 일본이 타이
완 등을 차지하게 되었다.
(2) 의화단 운동(1899~1901) ❷ 러시아가 주도한 ( )으로
일본은 랴오둥반도를 청에 반
① 배경 : 청·일 전쟁 이후 청에 대한 열강의 이권 침탈 가속화
환하였다.
② 전개 : 산둥에서 의화단이 부청멸양을 내걸고 봉기(교회, 철도 등 공격) → 베이징·톈진 등지 ❸ ( ) 운동의 결과 신축 조
로 확대 → 8개국 연합군에 의해 진압 약이 체결되어 외국군의 베이
징 주둔이 허용되었다.
③ 결과
•신축 조약(1901) : 배상금 지불, 외국 군대의 베이징 주둔 허용 |정답| ❶ 시모노세키 ❷ 삼국 간섭
❸ 의화단
•러시아군이 만주에 주둔 → 일본이 이에 반발하면서 러·일 간의 갈등 고조

10. 제국주의 침략 전쟁과 민족 운동 127


동아시아사

10 제국주의 침략 전쟁과 민족 운동

영·일 동맹
자료 플러스 의화단 운동
의화단 운동 진압 과정에서 러
시아가 만주에 군대를 주둔하
당시 8개국 연합군은 이미 톈진을 함락하였다. 전투에서 패배하였다는 보도가 전해지자 서태후 등은 어찌할
자, 일본과 영국이 러시아를 견
바를 모른 채 허둥지둥했다. 의화단을 처벌하라는 조칙은 아마도 그때 전해진 듯하다. 이전과는 다른 방침에
제하기 위해 체결한 동맹이다.
우리는 의아했지만, 명령에 따라 출동하였다.
이후 일본과 영국은 동맹을 더
욱 강화해 나갔다.
19세기 말 등장한 의화단은 부청멸양을 내세워 교회와 철도를 파괴하는 등 반제국주의 운동을 전
개하였고, 청 정부 역시 이들을 이용하여 서구 열강에 대항하려 하였다. 그러나 서구 열강과 일본
등 8개국은 연합군을 구성하여 의화단을 진압하였다. 결국 청 정부는 열강과 신축 조약을 체결하
여 배상금을 지불하고 외국 군대의 베이징 주둔을 허용하였다.

(3) 러·일 전쟁과 일본의 한국 강제 병합


① 러·일 전쟁(1904~1905)
봉천 전투 압록강 전투
(1905) (1904) •전개 : 일본이 러시아 선제공격 → 미국과 영국의
베이징
봉천
지원을 받은 일본의 승리
의주
뤼순
다롄
동해
•결과 : 미국의 중재로 포츠머스 조약 체결(일본이 한
인천
황해 한성 울릉도독도 동해 해전 반도에 대한 독점적 지위 확보, 뤼순·다롄 조차권
일본, 뤼순 공격 (1905)
(1904. 2.~1905. 1.) 도쿄
과 남만주 철도 확보, 북위 50도 이남의 사할린섬
일본, 제물포 공격
(1904) 차지)
② 일본의 한국 강제 병합
•과정 : 을사조약(1905, 외교권 박탈) → 한국 병합
함대
발트

러시아의 발트 함대 진로
(1910, 식민지화)
▲ 러·일 전쟁의 전개
•저항 : 의병 운동, 애국 계몽 운동 등 → 일본의 탄압

2. 제1차 세계 대전과 동아시아


(1) 제1차 세계 대전(1914~1918)
① 일본의 참전 : 영·일 동맹을 구실로 참전 → 독일의 조차지였던 칭다오 일대 점령 → 중국에
‘21개조 요구’ 제출
② 파리 강화 회의(1919~1920) : 연합국의 승리로 베르사유 조약 체결, 열강이 산둥반도에 대한
일본의 권리 인정 → 중국의 반발

자료 플러스 21개조 요구(1915)


❶ 러·일 전쟁은 ( )의 중재
로 포츠머스 조약이 체결되어 •산둥반도의 독일 이권을 일본에 양도한다.
종결되었다. •일본이 뤼순, 다롄을 조차하는 기한을 99년간 연장하고, 남만주 등에서의 이권을 인정한다.
•중국의 항만, 섬을 일본 이외의 다른 나라에 할양·조차하는 것을 금지한다.
❷ 러·일 전쟁 이후 일본은 을사
•일본인의 정치·재정·군사 고문과 일본인 경찰관을 채용한다.
조약을 맺어 대한 제국의
( )을 박탈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일본군은 독일의 조차지인 산둥반도의 칭다오를 점령하고 중국 정부
❸ ( ) 회의 참가국들은 산
둥반도에 대한 일본의 이권을 에 ‘21개조 요구’를 제출하였다. 그 핵심은 독일이 가지고 있던 산둥반도 이권을 일본에 양도하고
인정하였다. 뤼순과 다롄의 조차 기한을 연장하는 것 등이었다. 파리 강화 회의에서 중국 정부는 ‘21개조 요구’
|정답| ❶ 미국 ❷ 외교권
가 무효라고 주장하였으나, 회의 참가국들은 중국의 주권을 인정하면서도 산둥반도에 대한 일본
❸ 파리 강화 의 이권도 인정하였다.

128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Ⅳ.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2) 워싱턴 회의(1921~1922) 워싱턴 회의
워싱턴 회의에서는 각국의 해
① 목적 : 중국 문제 등을 둘러싼 열강 간의 갈등 조절, 각국의 해군 군비 축소
군 군비 제한과 영·일 동맹 폐
② 내용 : 일본이 산둥반도에 대한 이권을 중국에 반환, 중국의 주권과 영토 보전 결정 기가 결정되었다. 회의 결과 일
본은 산둥반도의 이권을 중국
에 반환하였다. 중국은 주권과
(3) 한국의 민족 운동 영토 보전을 약속받았으나, 열
강의 중국 진출에 균등한 기회
① 3·1 운동(1919) 를 보장하여야 했다.
•배경 : 헌병 경찰을 앞세운 일제의 가혹한 무단 통치, 민족 자결주의
•전개 : 만세 시위가 전국·국외로 확산 → 일제의 무력 진압
민족 자결주의
②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1919) : 민주 공화제 채택, 외교 활동 전개 1918년 미국 대통령 윌슨이 발
③ 무장 투쟁 표한 평화 원칙 중 하나로, 각
민족은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독립군 : 만주의 독립군들이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 격파(1920)
결정할 권리가 있음을 강조하
•의열단 : 김원봉 주도로 결성, 식민 통치 기관을 파괴하고 주요 인물 암살 였다.
④ 민족 유일당 운동 : 3·1 운동 이후 사회주의 확산 → 좌우 합작으로 신간회 결성(1927)

신문화 운동

(4) 중국의 민족 운동 신해혁명 이후 위안스카이의


제정 부활 시도로 공화제가 유
① 5·4 운동(1919) 명무실해졌다. 천두슈 등은 이
•배경 : 신문화 운동의 전개, 3·1 운동의 영향, 파리 강화 회의에서 중국의 요구 거부 를 비판하면서 잡지 “신청년”
을 펴내 민주주의와 과학의 수
•전개 : 베이징의 대학생들이 반군벌·반일 시위 전개 → 각지로 확산
용을 주장하는 신문화 운동을
•결과 : 군벌 정부의 베르사유 조약 조인 거부 전개하였다.
② 제1차 국·공 합작과 국민 혁명
•제1차 국·공 합작(1924) : 쑨원이 중국 국민당 조직(1919), 천두슈 등이 중국 공산당 창당
5·30 사건
(1921) → 쑨원이 소련의 지원을 받아들여 중국 공산당과 제휴 1925년 상하이에서 일어난 중
•국민 혁명(북벌) 국인 노동자 시위를 영국계 경
찰이 진압하는 과정에서 희생
배경 5·30 사건(1925)을 계기로 반제국주의·반군벌 분위기 고조 자가 발생하였고, 이를 규탄하
쑨원의 뒤를 이은 장제스가 북벌 시작(1926) →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 사이의 갈등 고조 → 중 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반제
전개 국 국민당의 중국 공산당 탄압(1927) → 장제스가 난징을 수도로 국민 정부 수립 → 국민 혁명군의 국주의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베이징 점령(1928)

자료 플러스 제1차 국·공 합작의 붕괴와 북벌

장제스는 깡패들을 동원하여 자베이[閘北]와 난스[南市] 등에서 노동자 규찰대를 습격하게 하였다. 군대를
❶ 김원봉이 결성한 ( )은
동원하여 노동자 규찰대의 무장을 해제시키고는 노동자들을 학살하였다. 다음 날 국민당군은 바오산루[寶山
식민 통치 기관을 파괴하고 주
路]에서 시위 군중을 도살하였다. 중국과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던 이 쿠데타에서 공산당원과 혁명 군중 300
요 인물을 암살하였다.
여 명이 살해되었고, 500여 명은 체포되었으며 5천여 명은 실종되었다.  - 4·12 석비(상하이) -
❷ 중국 국민당을 조직한 ( )
은 소련의 지원을 받아들여 중
북벌 과정에서 중국 공산당과 노동자의 세력이 급성장하였다. 자본가의 지원을 받던 장제스는 상
국 공산당과의 합작을 결정하
하이에서 쿠데타를 일으켜 이들을 탄압하였고, 결국 제1차 국·공 합작이 붕괴되었다. 1928년 북 였다.
벌이 재개되고, 국민 혁명군이 만주 군벌 장쭤린이 장악한 베이징으로 진격하자, 일본은 자국의 ❸ 1926년부터 시작된 북벌은
이권을 지키기 위해 산둥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결국 국민 혁명군이 베이징을 점령하였고, 일본은 1928년 국민 혁명군이 ( )
만주로 퇴각하는 장쭤린을 폭살하였다. 이후 장쭤린을 계승한 장쉐량이 국민 정부를 따를 것을 선 을 점령하면서 완수되었다.

언하였다. |정답| ❶ 의열단 ❷ 쑨원 ❸ 베이징

10. 제국주의 침략 전쟁과 민족 운동 129


동아시아사

10 제국주의 침략 전쟁과 민족 운동

루거우차오 사건 3. 침략 전쟁의 확대
1937년 7월 7일 베이징 근교의
루거우차오 근처에서 훈련하던
(1) 만주 사변(1931)
일본군을 향해 몇 발의 총성이 ① 배경 : 대공황에 따른 세계 경제 침체, 일본 군부와 우익 세력이 대외 침략 주장
울렸다. 발포가 어느 쪽에서 이
② 전개 : 관동군을 비롯한 일본군이 만주 일대 점령(1931) → 만주국 수립(1932)
루어졌는지 불분명했지만, 일
본은 이를 구실로 루거우차오 ③ 국제 사회의 반응 : 국제 연맹이 리튼 조사단 파견 → 일본 규탄 및 군대 철수 요구 → 일본의
를 점령하고 3개 사단을 파견 국제 연맹 탈퇴
하였다.

자료 플러스 리튼 조사단

일본의 동남아시아 침공
1.  동북(만주) 지역은 원래부터 중국의 일부이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2. 일본군의 행위는 합법적인 자위 수단으로 볼 수 없다.
일본은 중국에 대한 연합국의 3. (만주국) 정부의 수반은 명목상 만주인이지만, 실권은 일본 관리와 그 고문들의 손에 놓여 있다. 현지의 중
지원을 차단하고, 군수 물자를 국인들이 보기에 만주국은 완전히 일본인을 위한 도구이다.
획득하기 위해 동남아시아를
침공하였다.
중국이 만주 사변을 국제 연맹에 제소하자 국제 연맹은 리튼을 대표로 하는 조사단을 파견하였다.
그리고 리튼 조사단은 만주국이 일본인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난징 대학살 국제 연맹은 이를 토대로 일본군의 철수를 결의하였지만, 일본은 국제 연맹을 탈퇴해 버렸고, 이
중·일 전쟁을 일으킨 일본은 로써 워싱턴 체제는 붕괴하였다.
중국인의 항전 의지를 꺾기 위
해 난징에서 무차별적인 학살
을 자행하였다. 중국은 당시 약
30만 명이 학살당한 것으로 추 (2) 중·일 전쟁
정하고 있다.
① 전개 : 베이징 교외의 루거우차오에서 중·일 양국 군대 충돌(1937) → 일본군의 총공격 → 일
본이 상하이와 난징 등 주요 도시 함락(전선 확대)
삼광 작전 ② 중국의 대응 : 충칭으로 수도 이전, 제2차 국·공 합작 → 항일전 지속
가는 곳마다 모두 죽이고, 몽땅
불태우고, 전부 약탈한다는 뜻
으로 중·일 전쟁 당시 일본군
의 행동 지침이었다.
(3) 태평양 전쟁(1941~1945)
① 배경
•제2차 세계 대전(1939) 이후 일본이 독일·이탈리아와 동맹 체결, 동남아시아 침공
•미국이 일본으로의 석유와 철강 자원 수출 금지
② 전개 : 일본군이 하와이 진주만의 미국 태평양 함대 기습 공격 → 일본이 동남아시아와 남태평
양 일대 점령 → 미드웨이 해전(1942)에서 미국이 승리하여 전세 역전

❶ 일본은 ( ) 사건을 계기
③ 결과 : 미국의 원자 폭탄 투하, 소련 참전 → 일본의 무조건 항복(1945)
로 중·일 전쟁을 일으켰다.
❷ 태평양 전쟁 초기 일본이 세력
을 확대하였지만, ( ) 해 (4) 침략 전쟁으로 인한 피해와 고통
전에서 미국이 승리하면서 전 ① 국가 총동원법(1938)에 따른 피해 : 전쟁에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 수탈을 위해 일본 본토와
세가 역전되었다.
❸ 일제는 침략 전쟁을 확대하면
식민지에 적용
서 전쟁에 필요한 인적ㆍ물적 ② 전쟁에 따른 피해
자원을 수탈하기 위해 국가
( )을 제정하였다. •중·일 전쟁 당시 난징 대학살, 삼광 작전 등으로 대규모 사상자 발생
인적 피해 •지원병, 징용, 징병 등으로 청년들이 노동자나 병사로 강제 동원
|정답| ❶ 루거우차오 ❷ 미드웨이 •각국의 여성들이 일본군 ‘위안부’나 군수 공장 노동자로 강제 동원
❸ 총동원법
물적 수탈 한국, 만주국 등지에서 곡물, 금속 등 강제 공출

130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Ⅳ.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4. 항일 전쟁과 국제 연대 한인 애국단
1931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1) 만주 사변 이후 항일 투쟁과 한·중 연대 김구가 조직한 단체로, 이봉창
① 만주 : 한·중 연합 작전의 전개 은 도쿄에서 천황을 암살하려
하였고, 윤봉길은 상하이 훙커
•조선 혁명군과 한국 독립군이 남만주와 북만주에서 중국 군대와 연합하여 일본군과 전투
우 공원에서 폭탄 투척 의거를
•동북 항일 연군 : 한국과 중국 사회주의 세력의 연대 → 항일 무장 투쟁 전개 감행하였다.
② 중국 본토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김구가 조직한 한인 애국단 소속의 이봉창과 윤봉길의 의거(1932) →
시안 사건
중국 국민당의 대한민국 임시 정부 지원 장제스의 소극적 대응으로 일
•한·중 민족 항일 대동맹 :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중국 국민당 인사들이 결성한 비밀 결사 본군이 중국 북부까지 진출한
상황에서 만주 사변으로 근거
지를 잃은 장쉐량이 장제스를
(2) 중·일 전쟁 이후 항일 투쟁과 한·중 연대
감금하고, 중국 공산당과 함께
① 중국 공산당의 대장정과 제2차 국·공 합작 항일 전쟁에 나설 것을 요구한
•중국 국민당의 탄압을 피해 중국 공산당이 대장정 감행(1934) → 옌안으로 이동 사건이다.

•만주 사변 이후 일본군의 세력 확대 → 시안 사건(1936) → 중·일 전쟁 발발 → 제2차 국·공


합작 결성(1937) 판보이쩌우
② 조선 의용대 창설(1938) : 김원봉이 중국 국민당의 지원을 받아 창설 → 일부는 화북으로 이동 베트남의 민족 운동가로, 러·일
전쟁 이후 베트남 청년들을 일
하여 조선 의용군으로 편성, 일부는 한국광복군에 합류
본에 유학시키는 동유 운동을
③ 한국광복군 창설(1940) : 중국 국민당의 지원을 받아 대한민국 임시 정부 산하의 군대로 창설, 전개하였고, 신해혁명 이후에
국내 진공 작전 계획 는 베트남 광복회를 조직하였다.

자료 플러스 한국광복군의 창설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대한민국 원년(1919) 정부가 공포한 군사 조직법에 의거하여 중화민국 총통 장제스 원
수의 특별 허락으로 중화민국 영토 내에 군대를 조직하고 대한민국 22년(1940) 9월 17일 한국광복군 총사령
부를 창설함을 선언한다. 한국광복군은 중화민국 국민과 합작하여 공동의 적인 일본 제국주의자들을 타도하
기 위해 연합군의 일원으로 항전을 계속한다. - 한국광복군 선언문(1940. 9. 15.) -

만주 사변을 계기로 반일 감정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1932년에 일어난 한인 애국단 소속 이봉창,


윤봉길의 의거 이후 중국 국민당은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을 지원하였다. 1940년에 창설된 대한민
국 임시 정부 산하의 한국광복군은 연합군의 일원으로 인도·미얀마 전선에서 영국군과 연합 작
전을 전개하였고, 미국 전략 정보처(OSS)와 국내 진공 작전을 추진하였다.

(3) 반제·반전·평화를 위한 연대 ❶ 중국 공산당은 중국 국민당의


① 아주 화친회(1907) : 도쿄에서 결성, 반제국주의를 목표로 한 국제 조직, 고토쿠 슈스이·판보 탄압을 피해 1934년 ( )
을 감행하여 옌안으로 이동하
이쩌우 등 참여 였다.
② 안중근의 ‘동양 평화론’ 집필(1910) :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한·중·일의 상호 협력 주장 ❷ 1940년 중국 국민당의 지원을
받아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③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 : 일본에서 반전·반제국주의 운동 전개
( )을 창설하였다.
④ 동방 무정부주의자 연맹 : 한·중·일 등의 무정부주의자 참여, 이상 사회 건설을 위한 연대 강조 ❸ 1907년 도쿄에서 반제국주의
⑤ 일본 반제 동맹(1929) : 일본에서 조직, 일본 제국주의 타도를 위한 한·일 공동 투쟁 강조, ‘반 를 위한 국제 조직인 ( )
가 결성되었다.
제신문’의 한국어판 발간
⑥ 일본 병사 반전 동맹 : 중·일 전쟁 이후 중국군의 포로가 된 일본군 중심으로 결성, 일본군에 |정답| ❶ 대장정 ❷ 한국광복군
❸ 아주 화친회
투항과 탈영 호소

10. 제국주의 침략 전쟁과 민족 운동 131


자료
탐구
자료 1 파리 강화 회의

기출 자료 분석
ㅣ2019학년도 대수능 9월 모의평가ㅣ

근래 우리 외교에서 가장 중요한 현안은 산둥 문제이다. 그런데 최근 (가) 에서 우


리 외교가 끝내 실패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더욱이 그 원인이 정부 내 친일파의 책동에
있었던 것으로 밝혀져 국민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국민 외교 협회는 국치일인 5월 7일에
국민 대회를 열기로 결정했지만, 베이징의 학생들은 그때까지 기다릴 수 없다고 하면서 앞
당겨 시위에 나서기로 하였다.

자료 분석 우리 외교가 실패하고 베이징의 학생들이 산둥 문제를 두고 시위에 나서기로 했다는 내용을 통해 (가)는 파
리 강화 회의이고, 자료가 5·4 운동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열린 파리 강화 회의에서
열강은 산둥반도에 대한 독일의 권익을 일본이 차지하는 것을 인정하였고, 이에 중국 국민들의 반발이 거세져 5·4
운동이 일어났다.
자료 공략 파리 강화 회의는 한국의 3·1 운동, 중국의 5·4 운동 등에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파리 강화 회의에서 이
루어진 주요 논의 사항을 정리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파리 강화 회의 이후 열린 워싱턴 회의와도 비교해서 알
아 두어야 한다.

유형 연습

1 다음 자료가 작성된 시기의 상황으로 옳은 것은? [20015-0163 ]

회의가 열렸을 때 우리가 희망하고 경축한 것은 세계에 정의가 있고, 인도가 있고 공리가 있다고 한 것이 아니었겠습니까? 칭
다오를 돌려주고 중국과 일본 사이의 밀약이나 군사 협정뿐 아니라 기타 불평등 조약까지 취소하는 것이 바로 공리이고 정의
입니다. …… 산둥이 망하면 중국도 망합니다. - 베이징 학생계 선언 -

① 민족 자결주의가 확산되었다.
② 러시아가 삼국 간섭을 일으켰다.
③ 국·공 합작을 요구하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④ 부청멸양을 내세운 반외세 운동이 확대되었다.
⑤ 한반도와 만주를 두고 일본과 러시아가 대립하였다.

132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Ⅳ.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자료 2 국민 혁명(북벌)의 전개 정답과 해설 39쪽

기출 자료 분석
ㅣ2019학년도 대수능ㅣ

광저우는 새로운 혁명 정권의 도시가 되었다. 소


련의 군사 고문과 정치 고문이 광저우에 도착하
였고, 황푸 군관 학교에서 군 간부를 양성하고
있다. 많은 조선인들도 이것이 조국 해방의 첫걸
음이라고 생각하고 혁명에 참가하기 위해 광저
우로 달려왔다. 쑨원의 뒤를 이은 장제스는 오늘
국민당 중앙 집행 위원회에서 군벌을 타도할 것
을 공식적으로 선언하였다.

자료 분석 광저우가 새로운 혁명 정권의 도시가 되었다는 내용과 쑨원의 뒤를 이은 장제스가 군벌 타도를 선언하였다
는 내용을 통해 밑줄 친 ‘선언’이 국민 혁명(북벌)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쑨원이 사망한 후 실권을 장악한 장제스
는 북벌을 선언하였다. 그가 이끄는 국민 혁명군은 광저우에서 출발하여 북상하였다.
자료 공략 국민 혁명의 전개 과정을 구체적으로 묻는 문제가 출제된다. 따라서 북벌의 배경, 전개 과정을 꼼꼼히 정리
해 두어야 한다. 특히 북벌 과정에서 장제스가 중국 공산당을 공격하였고, 이후 제1차 국·공 합작이 와해되었음을
알아 두어야 한다.

유형 연습

2 밑줄 친 ‘혁명’이 전개된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0015-0164 ]

오늘은 민국 15년의 마지막 날이다. 나의 활동 영역은 넓어졌고, 책임은 무거워졌다. 지금의 혁명과 함께 일어난 모든 섬뜩한
일들의 한가운데에서 보고 들은 일 때문에 슬프다. 돌아가신 쑨원께서는 내가 어떤 종류의 일을 하리라 기대하셨을까? 내 조
국의 은혜를 저버리지 않기 위한, 또 나의 당을 실망시키지 않기 위한 유일한 길은 계속 투쟁하는 것이다. - 장제스의 일기 -

① 우창에서 신군이 봉기하였다.


② 5·4 운동이 각지로 확산되었다.
③ 일본이 21개조 요구를 제출하였다.
④ 독립 협회가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였다.
⑤ 중국 국민당이 중국 공산당을 공격하였다.

10. 제국주의 침략 전쟁과 민족 운동 133


수 능 기본 문제
[20015-0165] [20015-0167]

01 밑줄 친 ‘이 전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3 다음 조치가 취해진 배경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올해 4월 조선에서 또 다른 봉기가 시작되었고, 조선의 국 •한국과 외국 간에 체결한 조약은 일률적으로 폐지한다.
왕은 반란을 진압할 수 있게 도와 달라고 거듭 요청하였다. 그러나 현행 관세 규정은 잠시 원 규정에 의해 처리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조선에 군대를 파견하였다. 하지만 왜국 는 칙서를 내린다.
은 아무런 이유도 없이 갑자기 조선에 군대를 파견하였고, •이제부터 한국을 조선이라 부르고, 통감부를 철수하며
조선 왕으로 하여금 통치 체제를 바꾸도록 강요하였다. 서울에 총독부를 신설한다.
…… 우리 군대가 조선으로 가는 도중 수많은 왜선이 나타
나 아산 근처 해안에서 우리의 수송선에 포격을 하여 손상 ① 포츠머스 조약이 체결되었다.
을 가하였다. 우리는 즉시 왜군을 소탕하기 위한 이 전쟁에 ② 청·일 전쟁에서 청이 패배하였다.
후속 군대를 파견할 것이다.
③ 일본이 대한 제국을 강제로 병합하였다.
④ 워싱턴 회의에서 군비 축소가 결정되었다.
① 운요호 사건을 구실로 일어났다.
⑤ 급진 개화파가 일으킨 갑신정변이 실패하였다.
② 상하이가 개항되는 배경이 되었다.
③ 베이징 조약의 체결로 종식되었다.
④ 리튼 조사단이 파견되는 계기가 되었다.
⑤ 변법자강 운동의 추진에 영향을 끼쳤다.

[20015-0168]

[20015-0166]
04 밑줄 친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2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운동은 이미 평정되었고, 더 이상 사람을 구금하지 않는다
고 한다. 그러나 독립과 자결(自決)을 신뢰하는 마음이 광
전쟁이 시작된 이후 (가) 은/는 바다와 육지에서 연 범위한 대중에게 남아 있기 때문에 일시에 모든 것을 진압
패하였고, 사상자도 많았다. 이에 미국 대통령 루스벨트가 할 수는 없을 것이다. 현재 중국의 여러 일간지는 선교사들
평화를 권하였고, 미국에서 강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강화 이 한국인들을 선동하였다는 일본 헌병 경찰 측의 주장만
조약 제2조에서 (가) 은/는 전쟁 상대국이 한국에서 을 대서특필하고 있는데, 국제통신사만은 오히려 미국 선
정치적·군사적·경제적으로 우월한 이익이 있음을 인정하 교사들이 신도들에게 반일 행동에 참여하지 말 것을 권고
였다. 하였다고 보도하고 있다.  - 신보 -

① 폐번치현을 단행하였다. ① 제국 의회가 구성되는 토대가 되었다.


② 삼국 간섭을 주도하였다. ② 8개국 연합군의 출병으로 실패하였다.
③ 베트남을 보호국으로 삼았다. ③ 제1차 국·공 합작의 성립으로 이어졌다.
④ 아편 단속을 구실로 청을 공격하였다. ④ 을사조약의 체결에 반발하여 전개되었다.
⑤ 데지마에 상관을 두고 에도 막부와 교역하였다. ⑤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는 계기가 되었다.

134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Ⅳ.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정답과 해설 39쪽

[20015-0169 ] [20015-0171 ]

05 밑줄 친 ‘사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7 다음 자료를 활용한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9월 18일 밤, 관동군이 우리 회사의 철도 선로를 폭파한 것 •오늘 새벽 일본 천황이 신년을 기념하는 검열을 마치고
이 단서가 되어 사변이 발발하자, 육군의 군사 행동은 나날 황궁으로 돌아오던 중 한 한국인이 던진 폭탄에 의해 수
이 발전하여 거의 만주 전역으로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우 행하던 군인들이 부상을 입었다. 범인의 주머니에 또 다
리 회사는 사변 발발과 함께 전력을 투구하여 군대 및 군수 른 폭탄이 들어 있었다.
품 수송을 담당함으로써 신속·과감한 육군의 행동에 절대 •김구는 신출귀몰하는 수단으로 각종 활동을 전개하고 있
적으로 공헌하였다. 다. 특히 훙커우 공원의 폭탄 투척을 조사하던 일본 당국
에서는 사건의 배후로 김구를 지목하고 수배하였다.
① 5·4 운동의 발생에 영향을 끼쳤다.
② 아주 화친회가 결성되는 결과를 낳았다. ① 우창의 신군이 봉기한 배경
③ 국민 혁명(북벌) 과정에서 일본이 일으켰다. ② 일본의 21개조 요구에 맞선 저항
④ 한·중 연합 작전이 전개되는 배경이 되었다. ③ 3·1 운동이 주변국에 끼친 영향
⑤ 일본 병사 반전 동맹이 결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④ 동방 무정부주의자 연맹의 결성 경위
⑤ 중국 국민당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연대 과정

[20015-0170 ]
[20015-0172 ]

06 다음 편지가 작성된 시기의 사실로 옳은 것은? 08 다음 사건이 끼친 영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도쿄에 계신 아버지께 장쉐량은 12월 12일 오전 대시국 선언을 발표하였다. 여기
에서 장쉐량은 동북이 함락되고 국권이 쇠약해지고 강토가
가을의 차가운 기운을 대륙에서 맞이합니다. 창
날로 줄어드는 상황, 그럼에도 장제스가 항일에 전력을 쏟
너머로 보이는 격전의 흔적을 바라보면서 감상
지 않은 잘못, 어쩔 수 없이 최후 수단을 사용하게 되었다
적인 기분에 사로잡힙니다. 장제스 정권을 타도
는 점 등을 밝힌 뒤 구체적으로 다음 사항을 제시하였다.
하기 위한 전쟁에 참가한 지금, 먼저 간 선배들
그것은 정부를 개편하여 모든 정파를 받아들일 것, 일체 내
도 나를 응원할 것입니다. 어제는 일본인 거주
전을 중지할 것, 상하이에 체포되어 있는 애국 지도자들을
자들도 기세등등하게 우리의 적국인 영국을 규 석방할 것, 전국의 모든 정치범을 석방할 것, 쑨원의 유지
탄하는 대규모 시가 행진에 나섰습니다. 를 이행할 것 등이었다.

① 국가 총동원법이 시행되었다. ① 일본이 국제 연맹을 탈퇴하였다.


② 파리 강화 회의가 개최되었다. ② 제2차 국·공 합작이 이루어졌다.
③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되었다. ③ 의열단이 결성되어 독립운동을 펼쳤다.
④ 의화단이 교회와 철도 등을 공격하였다. ④ 미국 대통령이 민족 자결주의를 제창하였다.
⑤ 러시아의 발트 함대가 일본군에 패배하였다. ⑤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가 반제국주의 운동을 전개하였다.

135
10. 제국주의 침략 전쟁과 민족 운동
수능 실전 문제
20015-0173
1 다음 주장이 제기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며칠 전 랴오둥반도를 돌려준 것은 참으로 참기 어려운 것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이를 참고 견


디고, 국력의 근원을 키워 남의 간섭을 허용하지 말고 나아가 우리의 이익을 도모하여야 한다.
…… 군비의 확장은 현재 가장 중요한 일이고, 군함의 제조는 시급을 요하는 일이다. 받게 될
배상금은 모조리 군함 제조비로 충당하여야 할 것이다. 이 역시 문명입국의 마음가짐에서 이
루어져야 한다.

㈎ ㈏ ㈐ ㈑ ㈒
대일본 제국 풍도 해전 아관 파천 신축 조약 러·일 전쟁 중화민국
헌법 공포 체결 발발 수립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20015-0174
2 다음 상황이 나타난 배경을 알아보기 위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서양과 일본의 연합군은 베이징을 약탈하면서 우월성을 과시한 후 엄청난 배상금을 요구하는
한편, 베이징의 공사관 지구를 요새 지구로 만들었다. 성벽이 세워졌고, 서양과 일본의 군대가
대거 주둔하게 되었다. 성벽 바깥의 빈터에는 중국인의 건축이 허용되지 않았다. 이곳은 외교
기관에 의해 관리되며, 중국의 주권이 미치지 못하는 치외법권 지구가 되었다.

① 의화단 운동의 전개 과정을 살펴본다.


② 자유 민권 운동이 끼친 영향을 알아본다.
③ 5·4 운동을 보도한 신문 기사를 찾아본다.
④ 동학 농민 운동 당시 주변국의 움직임을 조사한다.
⑤ 태평천국 운동을 주도한 세력이 제기한 구호를 분석한다.

136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Ⅳ.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정답과 해설 41쪽

20015-0175
3 밑줄 친 ‘회의’에 대한 학생들의 발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미국의 윌슨 대통령에게

저희들은 지금 학대를 받고 있으며, 세상에 둘도 없는 치욕을 받고 있습니다. 이것을


누구에게 호소하여야 합니까? 저희들은 아무런 죄도 없이 구타를 당하고 있으며, 철창
속에 갇혀 총칼의 위협을 받고 있는 신세입니다. 지금 각국의 인민들은 자유를 갈망하
고 추구하고 있는데, 우리 남녀 노약자들도 우리를 억압하고 있는 일본의 압제를 물리
치고 조선의 독립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저희들은 절대로 무력으로 저항하지 않고 오
로지 호소할 뿐입니다. 회의에 참여한 각국의 대표 여러분들은 이러한 상황을 통찰하
시고 우리 조선의 독립을 승인하여 줄 것이며, 일본에 의해 자행되고 있는 참형을 제지
해 주시고, 우리에 대한 일본의 공정치 못한 대우를 막아줄 것을 호소하는 바입니다.

① 을사조약이 체결되는 배경이 되었어요.


② 미국의 중재로 포츠머스에서 열렸어요.
③ 참여국들의 군비 축소가 결정되었어요.
④ 열강이 산둥반도에 대한 일본의 이권을 인정하였어요.
⑤ 러시아가 뤼순 조차권을 상실하는 결과를 가져왔어요.

20015-0176
4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하루는 유리창(琉璃廠)을 지나던 길이었는데, 우연히 그를 만났다.


“언제 베이징에 오셨어요? ” 내가 물었다.
“상하이에서 신청년이라는 잡지의 발행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번에 기부금을 걷으러 왔지요.”
그가 답하였다. 나는 그에게 베이징 대학의 문리대학장 자리를 제안하였지만, 자신이 창간을
주도한 잡지를 계속 발행해야 한다며 일단 거절하였다.

① 중국 공산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② 조선 의용대의 창설을 지원하였다.
③ 국권 회복을 위해 의병을 일으켰다.
④ 이와쿠라 사절단의 일원으로 활동하였다.
⑤ 중국 국민당의 탄압을 피해 대장정을 이끌었다.

137
10. 제국주의 침략 전쟁과 민족 운동
수능 실전 문제

20015-0177
5 다음 운동이 끼친 영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한 중국인 노동자가 상하이의 일본계 소유 방적 공장에서 일본인 관리자의 손에 죽임을 당하


였다. 이 일에 항의하는 시민들의 집회가 열리자, 영국계 경찰이 발포하였고, 20명 이상 다쳤
다. 성난 중국 민중이 약 24개 도시에서 시위를 벌였다. 광저우와 샤먼 조계에서는 6월 23일
영국인들이 시위대에게 발포하였고, 황푸 군관학교 생도와 교도단 소속의 군인 23명을 포함하
여 수십 명이 죽었다. 이에 중국인들은 총파업과 영국령 홍콩에 대한 보이콧을 조직하였다. 이
러한 저항이 1년 넘게 지속되면서 반제국주의와 반군벌 의식도 높아졌다.

① 국민 혁명군이 북벌에 나섰다.


② 일본이 영·일 동맹을 구실로 출병하였다.
③ 러시아가 만주에 군대를 주둔하게 되었다.
④ 홍수전이 배상제회를 조직하고 봉기하였다.
⑤ 21개조 요구 철폐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20015-0178
6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의 사실로 옳은 것은?

전쟁 당시에 작성된 일기들

학도 출전이라는 말속에는 새로 수도가 된 충칭의 시민


총·칼을 학생이 든다는 것 들은 오직 피와 살, 그리고 높
에 의미가 있어야 한다고 생 은 열정만으로 지금까지 오랜
각하는데, 이제 나는 학생이 시간 적들의 폭격과 포화에
아니게 되어 버렸다. 학문을 용감하게 맞서 왔다 ! 어찌 이
하는 것조차 잊어버렸다. 렇게 잘 버틸 수 있겠는가 !
- ◯◯ - - △△△ -

① 베르사유 조약이 체결되었다.


② 타이완의 청년들이 전쟁에 동원되었다.
③ 일본군이 만주를 침략하고 만주국을 세웠다.
④ 한국 독립군이 중국군과 연합 작전에 나섰다.
⑤ 베이징의 대학생들이 반군벌 시위를 전개하였다.

138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Ⅳ.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정답과 해설 41쪽

20015-0179
7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들의 발표 내용으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이 전쟁에 대한 당시 일본인들의
생각을 보여 주는 기록이에요. 이
전쟁에 대해 발표해 볼까요?
우리는 영국과 미국을 선제공격하는 중
대 결단을 내리기에 이르렀다. 건국 이
래 2,600년 동안 일찍이 없었던 난국이
다. 사원 각자는 중대성을 감안하여 나
라에 목숨을 바칠 각오를 새로이 하고
합심 협동하고 침착하게 업무를 수행해
야 할 것이다.

ㄱ. 전쟁 중에 경부선이 개통되었어요.
ㄴ. 한국광복군이 연합군의 일원으로 참전하였어요.
ㄷ. 신문화 운동이 시작되는 배경으로 작용하였어요.
ㄹ. 일본이 동남아시아와 남태평양 일대를 점령하였어요.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20015-0180
8 밑줄 친 ‘우리 단체’와 같은 취지에서 전개된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어제 오후 4시 중앙 공원 수정각에서 발기회가 소집되었다. 인도에서는 여러 명이 대표로 참


여하였고, 한국 대표로는 김홍선, 유장생 등이 참여하였다. 또 일본 측의 대표로는 도쿠히코,
야마세, 사사키 등이 나섰고, 우리 중국은 수십 명이 참석하였다. 한국 대표 김홍선이 회의에
참석한 일본 대표에게 이 회의에 참석한 의도가 우리 단체의 뜻과 같은 것인지 질의하였다. 이
에 대해 일본 대표가 현재 일본 정부는 제국주의가 틀림없고, 우리는 제국주의를 반대하는 인
사들이므로, 우리 단체의 뜻과 다르지 않다고 설명하였다.

① 도쿄에서 아주 화친회가 창립되었다.


② 한인 관료층 주도로 양무운동이 전개되었다.
③ 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갑신정변이 일어났다.
④ 청 타도를 내세운 태평천국 운동이 확산되었다.
⑤ 서양식 의회 설치를 요구하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139
10. 제국주의 침략 전쟁과 민족 운동
Ⅳ. 수능 마스터

01 밑줄 친 ‘이 전쟁’의 결과로 옳은 것은?


20015-0181
제시된 자료는 이 전쟁을 다루는 중국과 영국 교과
•임칙서는 광저우에 도착한 후 아편 흡연자를 잡아들였고, 서의 내용입니다. 이를 통해 중국은 민족적 입장에
서 이 전쟁을 바라보는 반면, 영국은 자신들의 비
외국 상인으로부터 아편을 내놓도록 강박하였다. 6월에는
인도적 행위를 숨기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빼앗은 아편을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폐기하였다. 이는 아
편 소각이 중화 민족의 위대한 승리로, 외래 침략자에 대
한 강인한 의지를 보여 준 것이었다. - “중학 역사” -
•서구의 충격은 청 왕조를 몰락시키기에 충분치 않았다. 오
히려 청 내부의 모순과 긴장이 전쟁을 거치면서 위기를 만
들어냈다. 관료 제도는 책임 있게 운영되지 않았고, 관료
들의 수탈은 사람들의 삶을 어렵게 만들고 있었다. 인구가
크게 늘어나면서 경제적으로 몰락하는 사람의 수도 역시
증가하였다. - “Modern China(KSS)” -

① 홍콩의 할양이 결정되었다.


② 광저우에 공행이 설치되었다.
③ 랴오둥반도가 청에 반환되었다.
④ 무역 허용량이 명시된 신패가 발급되었다.
⑤ 외국 상인을 수용하기 위해 인공 섬이 조성되었다.

02 밑줄 친 ‘적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182
창휘의 본명은 정이고, 지금은 창휘로 개명하였다. 나이는 서른 살 정도가 되고 몸이 왜소하다. 안색은 창백하며,
광대뼈가 툭 불거졌다. 수염과 눈썹은 단정하고, 글쓰기를 상당히 잘 한다. 집안 형편이 좋아 토지와 재산이 마을
에서 가장 넉넉한 편이었다. 홍수전을 추종하는 적들은 반란을 일으킨 이후 지나는 곳곳마다 부잣집을 약탈하였
다. 창휘는 겁이 나서 은 수만 냥을 상납하였고, 이 때문에 적들에 가입하여 북왕으로 책봉되었다.

① 센고쿠 시대의 혼란을 종식시켰다.


② 타이완을 거점으로 세력을 확대하였다.
③ 중·일 전쟁 당시 수도를 충칭으로 옮겼다.
④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나자 조선에 파병하였다.
⑤ 남녀평등, 토지 균분 등을 내세워 농민들의 호응을 얻었다.

140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Ⅳ.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정답과 해설 43쪽

03 (가), (나) 조약 체결 시기 사이에 있었던 일로 옳은 것은?


20015-0183 (가) (나)

제3조 시모다와
 하코다테 외에 다 제1관 조선국은
 자주의 나라이며
음 항구를 개항한다. 가나 일본국과 평등한 권리를
가와, 나가사키, 니가타, 가진다.
효고(고베) 등 제4관 조선 정부는 부산과 제5관
제4조 일본에 수출입하는 모든 상 에서 제시하는 두 항구를
품은 미국과 일본 정부가 개방하고 일본인이 자유롭
협의하여 정한 세율에 따 게 왕래하면서 통상할 수
라 일본 정부에 관세를 납 있게 한다.
부한다.

① 에도 막부가 무너졌다.
② 류큐가 중계 무역으로 성장하였다.
③ 페리 함대가 내항하여 수교를 요구하였다.
④ 김옥균 등 급진 개화파가 정변을 일으켰다.
⑤ 의화단이 부청멸양을 내세우며 봉기하였다.

04 다음과 같은 취지에 부합하는 사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0015-0184
삼권(三權)은 국민의 의사를 대표하는 직책[議政之官], 행정을 담당하는 직책[行政之官], 법률에 따라 재판하는
직책[司法之官]으로 나뉩니다. 무릇 나라의 정체(政體)는 마치 사람의 신체와 같습니다. 국민의 의사를 대표하는
것은 심사(心思)이고, 행정은 수족(手足)과 같으며, 사법은 이목(耳目)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심사는 뜻을 모아
법을 세우는 것이고, 수족은 법을 집행하는 것이며, 이목은 보는 것과 듣는 것을 주관하여 재판하는 것으로, 이
세 가지 가운데 심사가 제일 귀한 것입니다. 따라서 세 관직 중에 입법관이 제일 긴요합니다.

① 대한국 국제가 반포되었다.


② 자유 민권 운동이 전개되었다.
③ 량치차오가 변법자강 운동에 참여하였다.
④ 대일본 제국 헌법에 따라 의회가 구성되었다.
⑤ 만민 공동회에서 의회 설립 요구가 제기되었다.

수능 마스터 141
Ⅳ. 수능 마스터

05 다음과 같은 현실 인식의 토대가 된 사상에 대한 학생들의 발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15-0185
오늘날 무형적 전쟁터가 크게 열리니, 세계가 이 전쟁터에 들어가 크게는 나라와 나라 간에, 작게는 집과 집, 사
람과 사람 사이에 바람과 먼지가 진탕하고 칼끝이 격렬하다. 그 전쟁터는 육군과 해군이 서로 사격하는 것이 아니
고, 날랜 장수와 무사가 분투하는 것도 아니다. 지혜와 기술로 다투어 지혜가 우월한 자가 승리하고, 열등한 자가
패배하는 전쟁터이다.  - “서우” -

① 일본의 제국주의적 팽창을 정당화하였어요.


② 조선의 구식 군인들이 봉기하는 배경이 되었어요.
③ 베트남이 크리스트교를 박해하는 근거가 되었어요.
④ 에도 막부가 해금 정책을 고수하는 데 영향을 끼쳤어요.
⑤ 을사조약에 맞서 일어난 의병의 사상적 토대가 되었어요.

06 다음 상황이 전개된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15-0186
사절단은 요코하마를 출발하여 미국 군함을 타고 하와이를 거쳐 태평양을 횡단하여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였다.
당시는 아직 미국의 대륙 횡단 철도가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시 군함을 타고 파나마를 거쳐 워싱턴에 도착하
였다. 워싱턴에서 수호 통상 조약 비준서를 교환하고 다시 미국 군함을 타고 대서양, 인도양을 거쳐 귀국하였다.
하지만 이들이 귀국하였을 때 수도는 과격한 존왕양이론자들로 들끓고 있었기 때문에, 미국 방문에서 얻은 소중
한 경험을 살릴 수 없었다.

① 교육 칙어를 읽는 소학교 교사
② 잡지 신청년을 발행하는 지식인
③ 상하이 조계를 순찰하는 영국 경찰
④ 태양력의 실시를 결정하는 조선 국왕
⑤ 요코하마 기차역 건설 공사에 동원된 인부

142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Ⅳ.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정답과 해설 43쪽

07 다음 문서가 작성된 배경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15-0187

<조약 초안에 대한 우리의 요구>

1. 우리는
 조선이 독립국임을 인정하였고, 본 조약에 그와 같은 내용을 삽입하는 데
동의한다. 하지만 당연히 상호주의에 따라 일본도 이 점을 인정하고, 동일하게 작
성되어야 한다.
2. 일본이 요구하는 영토는 우리 수도로의 접근이 용이하고 지속적인 위협이 될 수 있
는 위치이므로 인정할 수 없다.
3. 우리는 스스로를 침략자로 생각하지 않고 있고, 이번에 일본의 영토를 침입한 적도
없다. 그러므로 우리에게 배상금을 지불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

① 청·일 전쟁에서 청이 패배하였다.


② 일본군이 의화단 운동 진압에 나섰다.
③ 일본이 청으로부터 타이완을 넘겨받았다.
④ 북벌 과정에서 일본이 산둥에 출병하였다.
⑤ 일본이 중국에 21개조 요구를 제출하였다.

08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0015-0188
당시 연합군은 이미 톈진을 함락하였다. 전투에서 패배하였다는 보도가 전해지자 서태후 등은 어찌할 바를 모른
채 허둥지둥했다. 교회와 철도를 공격하는 무리를 처벌하라는 조칙은 아마도 그때 전해진 듯하다. 이전과는 다른
방침에 우리는 의아했지만, 명령에 따라 출동하였다.

① 미국이 워싱턴 회의를 개최하였다.


② 프랑스가 삼국 간섭에 가담하였다.
③ 러시아가 만주에 군대를 주둔시켰다.
④ 일본이 뤼순과 다롄의 조차권을 차지하였다.
⑤ 영국군이 한국광복군과 연합 작전을 펼쳤다.

수능 마스터 143
Ⅳ. 수능 마스터

09 다음 자료가 작성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20015-0189
•우리 영국 정부는 산둥 지역에 대한 독일의 권리를 일본이 처분하고 영유하는 것을 보증해 달라는 일본 정부의
요청을 기쁜 마음으로 받아들인다.
•프랑스 정부는 산둥 지역과 태평양 적도 이북에 있는 독일령 섬 등에 대해 일본이 중요한 문제들을 처리하는 데
동의한다. 프랑스 정부는 산둥 지역 및 위의 섬에서 독일이 소유하던 권리를 포기하도록 해달라는 일본 정부의
요구를 지지한다.

㈎ ㈏ ㈐ ㈑ ㈒
위안스카이 제1차 5·4 영·일 동맹 제1차 5·30
대총통 취임 세계 대전 운동 폐기 국·공 합작 사건
발발 성립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10 다음 자료가 작성된 배경을 알아보기 위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15-0190
•국내의 정치인과 관료가 매국자인 것도, 일본을 두려워하는 것도 아니다. 국제 연맹의 정세와 공리(公理)를 고
려하여 동북 지방에서 단독 교섭을 시도해 굴욕적인 조건으로 해결해서는 안 된다. 교활한 일본이 횡포를 부려
서 교섭을 시도한다고 해도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다. 국제 연맹의 중재로 근본적인 해결을 하는 것이 낫다.
•일본이 동북 지방을 군사적으로 압박하는 상황에서 우리는 일본과 직접 담판을 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국제
연맹의 회원국들과 미국이 국제 연맹 맹약 등을 파괴하는 일본의 침략 행위를 절대로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① 만주 사변의 발생 과정을 정리한다.


② 워싱턴 회의 당시의 정세를 살펴본다.
③ 민족 자결주의가 발표된 계기를 알아본다.
④ 루거우차오 사건이 끼친 영향을 조사한다.
⑤ 러·일 전쟁에 대한 주변국의 인식을 파악한다.

144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Ⅳ.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과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정답과 해설 43쪽

11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191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대한민국 원년 정부가 공포한 군사 조직법에 의거하여 중화민국 총통 (가) 의 특별
허락으로 중화민국 영토 내에 군대를 조직하고 대한민국 22년 9월 17일 한국광복군 총사령부를 창설함을 선언한
다. 한국광복군은 중화민국 국민과 합작하여 공동의 적인 일본 제국주의자들을 타도하기 위해 연합군의 일원으로
항전을 계속한다.  - 한국광복군 선언문 -

① 흠정 헌법 대강을 마련하였다.
② 동방 무정부주의자 연맹을 이끌었다.
③ 쿠데타를 일으켜 중국 공산당을 탄압하였다.
④ 만주 지역에서 동북 항일 연군을 결성하였다.
⑤ 중국 국민당의 탄압을 피해 대장정을 감행하였다.

12 밑줄 친 ‘이 도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192
이 도시에서 황제에 즉위한
주원장의 무덤


이 도시에서 중화민국 임시
대총통에 취임한 쑨원의 무덤
효릉 중산릉

이 도시를 수도로 삼은 태평천국과


태평천국 역사박물관
관련된 여러 자료를 전시

① 양무운동에 따라 기기국이 설치되었다.


② 한인 애국단원 윤봉길의 의거가 일어났다.
③ 신축 조약에 의해 외국 군대가 주둔하였다.
④ 반제국주의를 목표로 한 아주 화친회가 조직되었다.
⑤ 제2차 아편 전쟁의 결과 외국 공사관의 개설이 허용되었다.

수능 마스터 145
Ⅴ 오늘날의 동아시아
이 단원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아시아의 전후 처리 과정과 냉전 속에 치러진 동아시아의 전쟁에 대

해 학습합니다. 동아시아 각국의 정치·경제적 발전 양상 및 영토 문제, 역사 갈등 문제 등을 파악할 수 있습
니다.

연계 사례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동아시아사 20번


11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냉전 체제
12 동아시아의 경제 성장과 정치 발전 ~ 갈등과 화해

학습 요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의 전후 처리 정책 •6·25 전쟁이 동아시아에 끼친 영향
•냉전과 동아시아 각국의 국교 수립 •중국의 경제 정책 변화 과정 파악
•동아시아 각국의 민주화 운동 비교 •동아시아 각국의 영토 분쟁 사례 분석

2020학년도 EBS 수능완성 동아시아사 102쪽 19번 연계 분석 및 학습 대책


9055-0219 9055-0221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
서 옳게 고른 것은? 19 (가), (나) 사이에 동아시아에서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평가 20번 문제는 2020학년도 EBS 수능완
성 동아시아사 102쪽 19번 문제와 연계되어
[3점]
출제되었다. 수능완성에서는 한국의 5·18
대가 한커우에서 성립
민주화 운동과 중국의 톈안먼 사건이 일어
… 일본 제국주의자는 (가) 유신 체제가 무너지면서 한국인들은 민주화를 요구하였다.
난 시기 사이를 물어본 반면, 9월 모의평가
로 대중의 고혈을 짜내 그러나 정권을 장악한 신군부 세력은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
에서는 한국의 4·19 혁명과 중국의 톈안먼
였다. 루거우차오 사건 를 무시하고, 광주에서 유혈 진압을 펼쳐 많은 시민들이 무
사건의 결과를 물어보았다.
한 저항을 만나게 되었 고하게 희생되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EBS 교재의 문제
소민족으로서 응당 중 (나) 중국 베이징의 톈안먼 광장에서 후야오방이 사망한 것을
를 연계한다고 할 때 학생들은 자료가 그대
전을 지지해야 한다. 계기로 민주화를 요구하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발생하였
로 연계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다. 중국 정부는 군대를 동원하여 시위를 진압하였으며, 이
하지만 20번 문제의 경우 제시된 2개의 자
과정에서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료 중 하나를 새로운 사건으로 교체하고, 또
다른 자료에서도 핵심이 되었던 단서를 삭
① 한국 - 국민적 저항으로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하였다.
제하였다. 이러한 변형 문제에 대비하기 위
② 중국 - 마오쩌둥이 권력 장악을 위해 문화 대혁명을 일으켰다. 해서는 자료에 제시된 사건을 정확히 이해
(라) ⑤ (마) ③ 일본 - 비자민당 연립 정권의 성립으로 55년 체제가 무너졌다. 하고 관련된 역사적 사실이나 배경, 결과 등
④ 타이완 - 일부 섬을 제외하고 계엄령을 해제하였다. 을 학습해 두어야 한다.
⑤ 베트남 - 북위 17도선으로 군사 분계선을 삼는 제네바 협정
이 체결되었다.
11
동아시아사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냉전 체제

미국의 원자 폭탄 투하 1. 제2차 세계 대전의 종결과 전후 처리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포츠담 선언을 받아들
(1) 연합국의 전후 처리 구상
이지 않자, 1945년 8월 6일과 ①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국제 회담
9일 각각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에 원자 폭탄을 투하하였다. 이 구분 참가국 주요 내용
후 일본은 1945년 8월 15일에 카이로 회담(1943. 11.) 미국, 영국, 중국 일본 식민지의 독립과 점령지 반환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였다.
•전후 독일의 처리 문제
얄타 회담(1945. 2.) 미국, 영국, 소련
•소련의 대일전 참전 결정
•일본의 무조건 항복 요구
일본의 재벌 개혁 포츠담 선언(1945. 7.) 미국, 영국, 중국
•카이로 선언의 이행 재확인
일본의 패망 이후 연합군 최고
사령부는 재벌의 과도한 경제 ② 일본의 항복 : 미국의 원자 폭탄 투하, 소련군의 대일전 참전 → 무조건 항복(1945. 8. 15.)
력을 약화시키고자 재벌 개혁
③ 국제 연합의 결성(1945. 10.) :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를 목적으로 결성
을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전쟁
중 군수 산업으로 큰 이익을 얻
은 재벌을 해체하고, 재벌의 부
자료 플러스 얄타 회담과 소련의 대일전 참전
활을 막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
였다. 소·미·영 삼국의 지도자는 독일이 항복하고 또한 유럽 전선이 종결한 후 2개월 또는 3개월 이내에 소련이
다음 조건에 의해 연합국에 참가하여 대일전에 참가할 것을 협정하였다.
1. 외몽골(몽골 인민 공화국)의 현상을 유지한다.
신헌법(평화 헌법)
2. 1904년 일본의 배신적 공격에 의해 침해된 러시아의 옛 권리는 회복되어야 한다.
⑴ 사할린 남부 및 이에 인접하는 일체 도서를 소련에 반환한다.
전후 일본은 연합군 최고 사령
⑵ 다롄항을 국제화하고, 동 항에 대한 소련의 우선적 이익을 보장하고 또한 소련 해군 기지로서 뤼순항의
부의 제안에 따라 주권 재민,
조차권을 회복한다.
평화주의, 인권 존중의 3개 원
⑶ 동청 철도 및 다롄에 출구가 되는 남만주 철도는 중·소 합동 회사의 설립에 의하여 공동 운영한다.
칙을 기반으로 한 신헌법을 제
3. 쿠릴 열도를 소련에 인도한다.
정하였다. 특히 헌법의 제9조
에서 일본의 군사력 보유를 금
지하여 ‘평화 헌법 ’이라고도
소련이 대일전에 참전하기로 약속한 얄타 회담의 비밀 협정문의 내용 중 일부이다. 소련은 독일의
불렸다. 항복 이후 대일전에 참전하는 대가로, 러·일 전쟁의 패배로 일본에 할양하였던 사할린 남부의 반
환 등 여러 이권을 인정받았다.

❶ 1945년 ( ) 회담에서는
(2) 일본의 전후 처리
전후 독일의 처리 문제와 소련 ① 도쿄에 미군 주도의 연합군 최고 사령부(SCAP/GHQ) 설치, 비군사화·민주화를 목표로 개혁
의 대일전 참전을 결정하였다.
추진
❷ 1946년부터 약 2년간 일본의
전쟁 지도부를 처벌하기 위한
② 전후 개혁 정책 : 군국주의자의 공직 추방, 군대 해체, 재벌 개혁, 농지 개혁 실시 등
( ) 재판이 열렸다. ③ 극동 국제 군사 재판(도쿄 재판)
❸ 전후 일본은 주권 재민, 평화주
목적 포츠담 선언에 따른 일본의 전쟁 지도부 처벌
의, 인권 존중의 3개 원칙을 기
반으로 한 ( )헌법을 제 주요 피해국인 아시아 국가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고, 천황 및 전쟁에 협력한 관료와 재벌
한계
정하였다. 의 책임을 묻지 않음

|정답| ❶ 얄타 ❷ 극동 국제 군사(도 ④ 신헌법(평화 헌법) 제정 : 천황을 상징적 존재로 규정, 일본의 군사력 보유 금지, 주권 재민의
쿄) ❸ 신(평화)
원칙에 따른 인권 보호 조항 강화

148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Ⅴ. 오늘날의 동아시아


⑤ 미국의 대일본 정책 변화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1951년 9월 샌프란시스코에서
배경 소련과의 대립 격화, 중국과 북한의 공산화 등 미국의 주도 아래 48개국과 일
정책 방향 일본을 동아시아에서 공산 세력에 대항하는 전략 거점으로 삼고자 함 본이 체결한 강화 조약이다. 이
를 통해 일본은 주권 국가로 복
내용 일본 경제의 재건 강조, 군국주의 세력의 복귀 허용, 경찰 예비대 창설(1950) 등
귀하였으나 한국과 중국 등 피
⑥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1951) 체결 : 일본의 주권 회복, 직후 미·일 안전 보장 조약(미·일 안 해국이 참여하지 못했다는 한
계를 가지고 있다.
보 조약) 체결

자료 플러스 극동 국제 군사 재판(도쿄 재판)


미·일 안전 보장 조약
극동 국제 군사 재판은 1946년부터 2년 동안 일본의 전쟁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
7명 약의 체결 직후 체결된 조약으
3명 범죄자 중 A급 전범으로 재판에 회부된 사람들을 대상으
로 일본의 안보를 위해 미군이
총 2명 로 하였다. A급 전범으로 회부된 46명 중 28명이 기소가 일본에 주둔할 것을 규정하였
28명
무기 징역 되었고, 기소된 사람 중 3명은 재판이 불가하여 최종 25 다. 이 조약은 1960년에 한 차
유기 금고 례 개정되었다.
16명
재판 불가
명만 판결을 받았다. 판결을 받은 이들 중 7명은 사형을
사형 받았고, 일부는 감옥에서 사망하였다. 그러나 냉전이 격화
▲ A급 전범 중 기소자 재판 결과 되는 과정에서 남아 있던 전범들은 모두 석방되었다.
국·공 내전 시기 중국 공산
당과 중국 국민당 병력의 증감
비교
(3) 한반도의 전후 처리
(만 명)
500
① 전개 : 일본군 무장 해제를 명분으로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하여 남쪽은 미군, 북쪽은 소련군 450 430
400
이 주둔 → 유엔 감시 아래 선거가 가능한 지역에서만 총선거 실시(1948. 5.) 360
373 365
357
280
② 결과 : 대한민국 정부 수립(1948. 8.),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정부 수립(1948. 9.) 270
195 204
180 149

90 120 공산당군
국민당군
0
1946년 1947년 1948년 1949년 1949년
7월 6월 6월 6월 10월
2. 냉전과 동아시아의 전쟁 - “아틀라스 중국사”, 2008 -

(1) 동아시아 냉전 체제의 형성


① 냉전 체제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이 중심이 되어 체제와 이념을 둘러싸고 대립한
국제 질서
② 영향 : 미국과 소련이 동아시아에서 자기 진영에 유리한 정부가 수립되도록 각각 자본주의 진
영과 사회주의 진영을 지원

(2) 중국의 국·공 내전 ❶ 전후 연합군 최고 사령부의 통


치를 받던 일본은 ( )조
① 원인 : 일본의 패망 이후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이 대립 → 미국의 중재로 평화 협상 전개 약을 통해 주권을 회복하였다.
→ 협상 실패 → 내전 본격화(1946) ❷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② 전개 과정 소련이 중심이 되어 체제와 이
념을 둘러싸고 대립한 국제 질
병력과 장비에서 우세한 중국 국민당군이 주도 → 중국 공산당의 근거지였던 옌안, 만주와 화베이 서를 ( ) 체제라고 한다.
초기
(화북)의 주요 도시 대부분 점령 ❸ 중국의 국·공 내전 과정에서
•중국 공산당 : 토지 개혁 실시 → 농민들의 적극적인 지지 획득 ( )이 중국 본토 대부분
경과 을 장악하고, 중화 인민 공화국
•중국 국민당 : 관료들의 부패와 심각한 인플레이션 → 민심 잃음
을 수립하였다.
•중국 공산당이 중국 본토 대부분을 장악 → 중화 인민 공화국 수립(1949)
결과
•중국 국민당은 타이완으로 근거지 이동 |정답| ❶ 샌프란시스코 강화
❷ 냉전 ❸ 중국 공산당
③ 미국의 대응 : 중국 대륙에 대한 경제 봉쇄 정책 실시, 일본의 방공 기지 역할 강화

11.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냉전 체제 149


동아시아사

11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냉전 체제

애치슨 라인
자료 플러스 중국 공산당의 토지 개혁

소련
알류샨 열
도 제1조 봉건적 및 반(半)봉건적 착취의 토지 제도를 폐지하고 경자유전(耕者有田)의 토지 제도를 시행한다.
몽골 제2조 모든 지주의 토지 소유권을 폐지한다.
한국
중국
일본
애치슨 라인
제4조 토지 제도 개혁 이전에 발생한 향촌의 모든 채무를 폐기한다.
 - ‘중국 토지법 대강’, 1947 -
베트남 필리핀

브루나이

중국 공산당은 국·공 내전의 과정에서 점령지의 친일·악질 지주의 토지를 몰수하고 경작자가 토
1950년 1월 미국의 국무 장관
애치슨이 발표한 미국의 태평 지를 소유한다는 원칙하에 토지 개혁을 실시하였다. 이는 중국 공산당에 대한 농민의 적극적인 지
양 방위선으로 알류샨 열도에 지를 가져왔고, 이후 중국 공산당은 유격전을 전개하면서 전세를 역전시킬 수 있었다.
서 일본을 거쳐 필리핀으로 이
어졌다. 이 방위선에서 한국과
타이완 등이 제외되었다. (3) 6·25 전쟁
① 배경 : 애치슨 라인 발표, 북한이 소련과 중국의 동의를 받아 전쟁을 준비
② 전개 : 북한의 전면적인 남침(1950. 6. 25.) → 미군 주도의 유엔군이 참전 → 인천 상륙 작전
베트남 민주 공화국
일본의 패망 이후 호찌민을 중 (1950. 9.), 한국군과 유엔군의 전세 역전 → 중국군의 참전 → 한국군과 유엔군이 후퇴 → 38
심으로 1945년에 수립된 사회 도선 부근에서 공방전 전개 → 정전 협정 체결(1953)
주의 국가이다.
③ 영향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과 미·일 안전 보장 조약 체결(1951), 오키나와 미군 기지를 중심으로 군사
미국
적 방공망 구축
일본 유엔군에 각종 보급품과 장비 공급 → 경제 회복
타이완 미국과 중국의 대립 → 미국의 전면적인 지지 획득
중국 사회주의권에서 정치적 위상 상승, 내부 정치 통합의 기반 마련

자료 플러스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의 결의(1950. 6. 27.)

안전 보장 이사회는 북한군의 대한민국에 대한 무력 공격을 평화의 파괴 행위로 규정하고, 북한 당국에 전투


를 즉각 중지하고, 그들의 군대를 즉시 북위 38도선까지 철수시킬 것을 촉구하였다. 유엔 한국 위원단으로부
터 북한 당국이 전투를 중지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과, 국제 평화와 안전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군사적 조처가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는 사실을 보고받고 …… 대한민국이 무력 침략을 격퇴하고 그 지역에서 국제 평화와
안전을 회복하는 데 필요한 원조를 제공하여 줄 것을 유엔 회원국에 권고하는 바이다.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북한의 무력 공격이 시작되자 북한에 침략을 멈출 것을 권고하는


❶ 1950년 1월 미국은 알류샨 열 결의안을 채택한 데 이어 한국에 군사적 원조를 제공할 것을 결의하였다. 이 결의에 따라 한반도
도에서 일본을 거쳐 필리핀으
에는 유엔군이 파견되었다.
로 이어지는 미국의 태평양 방
위선인 ( ) 라인을 발표
하였다. (4) 베트남 전쟁
❷ 6·25 전쟁 초반 한국군과 유
① 베트남·프랑스 전쟁
엔군은 ( ) 작전을 통해
전세를 역전시키고 서울을 수 •배경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호찌민이 베트남 민주 공화국 수립 선포 → 프랑스가 베트남의
복하였다. 독립을 인정하지 않음 → 프랑스와 전쟁 → 베트남 민주 공화국 승리
❸ 6·25 전쟁 중 미국과 일본은
•제네바 협정(1954. 7.) : 프랑스군의 철수, 북위 17도선을 경계로 한 남북 분단, 통일을 위한
( ) 조약을 체결하고 미
군이 일본에 주둔할 수 있도록 2년 내의 총선거 실시 등 합의
하였다. ② 베트남 공화국 수립(1955)
|정답| ❶ 애치슨 ❷ 인천 상륙 •통일 정부 수립 무산 : 미국의 지원을 받은 남베트남의 총선거 거부 → 남베트남만의 단독 선
❸ 미·일 안전 보장
거로 베트남 공화국 수립

150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Ⅴ. 오늘날의 동아시아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베트콩)의 저항 : 남베트남 정부에 저항, 북베트남 정부가 지원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
미국이 지원하는 베트남 공화
③ 미국의 참전과 베트남 전쟁의 확대
국에 저항하기 위해 1960년에
미국의 참전 통킹만 사건을 빌미로 북베트남 폭격 본격화, 전투 부대 파병 결성된 공산주의자들의 무장
조직으로 베트콩이라 불리기도
전쟁의 확산 미국 외에 한국도 미국의 동맹국으로 파병, 북한·중국·소련은 북베트남 지원
하였다.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
전쟁의 장기화 등으로 인한 반전 운동의 확산, 막대한 재정 부담, 인명 피해 등 미국의 어려움 가 베트남)의 지원을 받아 북위 17
전쟁의 종결 중 → 닉슨 독트린 발표, 미군의 단계적 철수 추진 → 파리 평화 협정(1973, 베트남 평화 협정) 체 도선 이남인 베트남 공화국 지
결 → 미군 철수 후 북베트남이 사이공을 점령(1975)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1976) 역에서 활동하였다.

④ 미국의 대응 : 소련을 견제하고 베트남 전쟁을 마무리하기 위해 중국과의 관계 개선 시도 →


미국의 닉슨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하고 양국 간 외교 관계 수립 통킹만 사건
미국은 1964년 베트남 동쪽의
자료 플러스 베트남 민주 공화국 독립 선언문(1945) 통킹만에서 북베트남의 어뢰정
이 미국 군함을 공격했다고 발
표하였다. 이를 계기로 미국은
프랑스는 도망쳤고, 일본은 항복했습니다. 바오다이 황제는 퇴위하였습니다. 우리 인민들은 거의 한 세기 동
베트남 전쟁에 지상군을 파병
안이나 옥죄었던 쇠사슬을 끊고, 조국의 독립을 쟁취했습니다. 동시에 우리는 수십 세기 동안의 군주제를 전
하였다. 그러나 후일 이 사건은
복시키고 민주 공화국을 세웠습니다. 이로써 베트남 전 인민을 대표하는 우리 새로운 베트남 임시 정부는 이
조작된 것으로 밝혀졌다.
후 프랑스와의 모든 식민지적 관계들을 타파함을 선언합니다.

일본의 패망 이후 호찌민은 혁명을 일으켜 하노이 등을 장악하였다. 이후 응우옌 왕조의 황제가 닉슨 독트린
퇴위하였고, 1945년 9월 2일 호찌민이 하노이에서 베트남 민주 공화국 독립 선언문을 발표하였 미국 대통령 닉슨이 1969년에
다. 그러나 프랑스가 이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베트남과 프랑스 간의 전쟁이 일어났다. 발표한 미국의 대아시아 외교
정책이다. 이를 통해 미국은 앞
으로 베트남 전쟁과 같은 직접
적인 무력 개입은 피할 것을 밝
3. 동아시아 각국의 국교 수립 혔다. 이후 미국은 중국과의 관
계 개선에 나섰다.
(1) 중국과 미국의 수교
① 배경 : 닉슨 독트린 발표 이후 미국의 대중국 정책 변화
파리 평화 협정
② 내용 : 미국 대통령 닉슨의 중국 방문, 미·중 공동 성명(1972) 발표 → 미·중 국교 수립 1973년 1월 미국과 북베트남 등
(1979), 미국은 타이완과 국교 단절 이 체결한 것으로 미국이 베트
남 전쟁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2) 일본의 국교 수립 점을 확인한 협정이다.

① 중화민국(타이완)과 일·화 평화 조약(1952) 체결


② 중·일 공동 성명(1972) 발표 → 중국을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 타이완과 국교 단절, 중국은
일본에 대한 전쟁 배상 청구권 포기
③ 중·일 평화 우호 조약(1978) 체결 : 양국 사이의 전쟁 상태 종결 선언 ❶ 베트콩이라고도 불린 ( )
은 1960년에 조직되어 북베트
(3) 한국의 국교 수립 남의 지원을 받아 베트남 공화
국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배경 : 동아시아 안보 체제 강화를 위한 한·일 협력 요구(미국), 경제 건설을 위한 일본의
❷ 미국은 ( )을 발표하여
일본과의 수교 자본과 기술 필요(한국), 수출 시장 확대를 위한 한국과의 교역 필요(일본)
베트남 전쟁과 같은 직접적인
•결과 : 한·일 기본 조약(1965) 체결
무력 개입을 피할 것을 밝혔다.
중국과의 수교 냉전의 붕괴 이후 중국과 국교 수립(1992) → 타이완과 국교 단절 ❸ 1972년 일본은 중·일 공동 성
베트남과의 수교 베트남과 국교 수립(1992) 명을 발표하면서 중국을 유일
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였고,
( )과 국교를 단절하였다.
(4) 북한의 국교 수립
① 소련과 관계가 멀어지며 중국에 대한 의존도 심화 |정답| ❶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
❷ 닉슨 독트린 ❸ 타이완
② 일본과 국교 수립 추진 : 북핵 문제와 일본인 납치 문제로 실패

11.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냉전 체제 151


자료
탐구
자료 1 냉전과 동아시아의 전쟁

기출 자료 분석
ㅣ2019학년도 대수능 6월 모의평가ㅣ

왼쪽 전단(삐라)은 북한군의 귀순을 유도하고 안전을 보장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유엔군 사령부 심리전부와 국방부 정훈국은 전
쟁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북한군과 민간인을 대상으로 전단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전쟁 기간 동안 전선과 후방에 약 40억 장의
전단이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 제시된 자료에서 북한군의 귀순을 유도하고 안전을 보장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 유엔군 사령부 심
리전부와 국방부 정훈국이 전쟁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제작하였다는 점, 북한군과 민간인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
등을 통해 밑줄 친 ‘전쟁’이 6·25 전쟁임을 알 수 있다.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전면적인 남침으로 시작된 6·25
전쟁은 미군 주도의 유엔군이 참전하였고, 이후 중국군까지 참전한 냉전 시기의 대표적인 전쟁이다.
자료 공략 동아시아에서 냉전 체제가 형성된 이후 벌어진 여러 전쟁들의 특징과 시기를 명확하게 파악하여야 한다.
대표적으로 중국에서 일어난 국·공 내전과 한반도에서 일어난 6·25 전쟁, 베트남에서 일어난 베트남 전쟁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내전과 전쟁들은 개별적인 사건의 시기뿐 아니라 전쟁이 끼친 영향까지 잘 정리해 두어야 한다. 특히
6·25 전쟁의 발발이 동아시아 각국에 끼친 영향은 각 국가별로 구분해서 기억해 두어야 한다.

유형 연습

1 다음 자료가 발표된 시기 동아시아 각국의 상황으로 옳은 것은? [20015-0193]

안전 보장 이사회는 북한군의 대한민국에 대한 무력 공격을 평화의 파괴 행위로 규정하고, 북한 당국에 전투를 즉각 중지하고,
그들의 군대를 즉시 북위 38도선까지 철수시킬 것을 촉구하였다. 또한 유엔 한국 위원단으로부터 북한 당국이 전투를 중지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과, 국제 평화와 안전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군사적 조처가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는 사실을 보고받았다. 이에
대한민국이 평화와 안전을 보장할 효과적인 조처를 즉각 취하여 줄 것을 유엔에 호소하였음을 감안하여, 대한민국이 무력 침략
을 격퇴하고 그 지역에서 국제 평화와 안전을 회복하는 데 필요한 원조를 제공하여 줄 것을 유엔 회원국에 권고하는 바이다.

① 한국 - 일본과 국교를 정상화하였다.


② 중국 - 장제스가 북벌을 시작하였다.
③ 중국 - 중국 공산당이 대장정을 감행하였다.
④ 일본 - 연합군 최고 사령부가 간접 통치하였다.
⑤ 베트남 - 통킹만 사건이 발생하였다.

152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Ⅴ. 오늘날의 동아시아


자료 2 동아시아 각국의 국교 수립 정답과 해설 46쪽

기출 자료 분석
ㅣ2019학년도 대수능ㅣ

(가) 제1조 양국 간에 외교 및 영사 관계를 수립한다.


제2조 1910년 8월 22일 및 그 이전에 대한 제국과 일본 간에 체결된 모든 조약 및 협정
이 이미 무효임을 확인한다.
(나) 제3조 휴전이 효력을 발생하는 즉시, 미국과 미국의 동맹국, 남베트남의 군대는 철군
계획이 실행되기를 기다리며 현재의 장소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

자료 분석 제시된 자료에서 (가)는 ‘양국 간에 외교 및 영사 관계를 수립한다.’라고 한 점, ‘대한 제국과 일본 간에 체


결된 모든 조약 및 협정이 이미 무효임을 확인한다.’라는 점 등을 통해 1965년에 체결된 한·일 기본 조약임을 알 수
있다. (나)는 휴전이라는 말이 명시되어 있고, 미국과 남베트남의 군대가 철군 계획이 실행되기를 기다린다는 점 등
을 통해 베트남 전쟁 중 미국이 전쟁 개입 종결을 선언한 파리 평화 협정(1973)임을 알 수 있다.
자료 공략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 이후 냉전이 전개되고 해체되는 과정에서 동아시아 각국이 체결한 여러 조약들의
내용과 체결 시기를 알아 두어야 한다. 대표적으로 일·화 평화 조약(1952), 한·일 기본 조약(1965), 미·중 공동 성
명(1972), 중·일 공동 성명(1972) 등이 있다. 특히 이러한 각 조약들은 개별 조약의 특징을 묻는 문항뿐 아니라 두 조
약의 체결 시기 사이에 있었던 사실을 물어 보는 고난도 문항으로도 자주 출제되고 있다.

유형 연습

2 밑줄 친 ‘이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194]

양국의 수교는 이 조약과 이에 부속하는 4개의 협정, 즉 청구권 협정, 어업 협정, 문화재 반환 협정,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
의 법적 지위 협정의 체결과 함께 이루어졌다. 이에 맞서 한국에서는 ‘굴욕 외교’라고 하며 광범위하고 격렬한 반대 시위가 벌
어졌으나, 박정희 정부는 계엄령을 내려 이를 진압하였다.

① 5·4 운동이 일어나는 원인이 되었다.


② 일·화 평화 조약 체결에 영향을 주었다.
③ 한국과 타이완의 국교 단절을 가져왔다.
④ 베트남 전쟁이 종결되는 계기가 되었다.
⑤ 일본이 한국에 경제 협력 자금을 제공하는 계기가 되었다.

11.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냉전 체제 153


수 능 기본 문제
[20015-0195 ] [20015-0197]

01 (가) 선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3 밑줄 친 ‘개혁’의 내용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소련에 중재자 역할을 타진하면서 전쟁의 조속한 종식 희
망을 드러냈던 일본 정부는 연합국이 독일에서 무조건 항 이것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선물’이라는 제목의 그림입니
복을 요구한 (가) 선언을 수용할 의사가 없음을 분 다. 그림에서는 ‘민주주의 혁명’이라고 쓰여 있는 드럼통
명하게 밝혔다. 대신 일본 총리대신 스즈키는 마지막까지 을 매단 낙하산을 일본 사람들이 기쁘게 받는 모습을 묘
사하고 있습니다. 이는 연합군 최고 사령부가 점령하였던
승리를 위해 전쟁을 지속할 것이라고 선언하였다. 이후 히
시기 일본의 개혁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고 있습니다.
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 폭탄이 투하되었고, 소련까지 일
본에 선전 포고를 하였다.

① 6·25 전쟁 중에 발표되었다.
② 카이로 선언의 이행을 확인하였다.
③ 한국의 독립을 최초로 약속하였다.
④ 소련의 대일전 참전을 결정하였다.
⑤ 일본이 국제 연맹을 탈퇴하는 계기가 되었다.

ㄱ. 제국 의회의 설치
ㄴ. 농지 개혁의 실시
ㄷ. 교육입국 조서 발표
ㄹ. 일본 신헌법의 제정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20015-0198]

[20015-0196 ] 04 밑줄 친 ‘이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02 (가) 재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 조약의 초안은 미국과 영국이 기초국이 되어 11개월간
< (가) 재판의 진행 과정> 에 걸친 사전 교섭을 통해 만들어졌고, 1951년 8월 13일 최
일자 내용 종안이 각 연합국에 제시되었다. 이 조약의 서명을 위해서
1946. 1. 19. 재판소 설치 일본과 50여 개국이 미국에 초대되었다. 그러나 한국은 패
1946. 2. 19. 재판관과 검찰관 임명
전국의 식민지였다는 이유로 초대되지 못하였고, 중국과
타이완은 회의 참가 여부를 두고 미국과 영국 간의 의견 불
1946. 4. 29. 도조 히데키 등 A급 전범 28명 기소
일치로 참가하지 못하였다.
1946. 5. 3.~1948. 11. 12. 재판 개최
1948. 12. 23. 도조 히데키 등 사형 집행
① 일·화 평화 조약의 영향을 받았다.
①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진행되었다. ② 일본이 주권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었다.
② 천황을 재판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③ 베트남에서 미군이 철수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③ 파리 평화 협정 체결로 종료되었다. ④ 제1차 세계 대전의 전후 처리를 위한 것이었다.
④ 5·4 운동이 일어나는 배경이 되었다. ⑤ 중화 인민 공화국을 중국 내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
⑤ 대일본 제국 헌법의 제정을 가져왔다. 였다.

154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Ⅴ. 오늘날의 동아시아


정답과 해설 47쪽

[20015-0199 ] [20015-0201 ]

05 다음 자료의 전쟁이 끼친 영향으로 옳은 것은? 07 밑줄 친 ‘이 전쟁’에 대한 학생들의 발표 내용으로 옳은


것은?
27일 밤, 평양 이북 청천강 건너의 선발 포병대가 공격을
당하였다. 포병대는 강을 건너 후퇴하려 했는데, 중국군은 미국은 이 전쟁에 참여했던
미국군의 후방에 기관총을 안치해 놓고 강둑에서 기다리고 파리 평화 협정의 체결 군대를 철수하도록 하겠소.
있었다. 바주카포가 미국군 탱크 하나에 명중하였고, 불타 을 환영하는 바입니다.
는 탱크의 참혹한 불빛을 받으며 포병대는 기를 쓰고 후퇴
하였다. 다른 탱크들이 병력을 싣고 얼어붙은 강을 건넜다.

① 국제 연합이 탄생하였다.
② 베트남 민주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③ 미국이 애치슨 라인을 발표하였다.
④ 일본이 경제 회복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⑤ 중국 국민당이 타이완으로 근거지를 옮겼다.
① 루거우차오 사건을 빌미로 일어났어요.
② 일본군 ‘위안부’가 강제로 동원되었어요.
③ 한국이 미국의 동맹국으로 참전하였어요.
④ 인천 상륙 작전으로 전세가 변화하였어요.
⑤ 중화 인민 공화국 수립의 배경이 되었어요.

[20015-0202]

08 다음 자료를 활용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15-0200]

06 다음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제2조 1910년


 8월 22일 및 그 이전에 대한 제국과 일본
간에 체결된 모든 조약 및 협정이 이미 무효임을
샌프란시스코에서 체결한 본 조약의 효력 발생과 동시에 확인한다.
미국의 육군·공군 및 해군을 일본 국내 및 그 부근에 배치 제3조 대한민국 정부가 유엔 승인에 의해 한반도의 유일
할 권리를 일본은 허락하며, 미국은 이것을 수락한다. 이 군 한 합법 정부임을 확인한다.
대는 극동의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에 기여하고, 하나 또는 •일본국은 대한민국에 대하여
둘 이상의 외부국에 의한 교사(教唆) 또는 간섭에 의해 일 (a) ‌3억 불과 동등한 가치를 가지는 일본국의 생산물 및
어난 일본의 대규모 내란 및 소동을 진압하기 위해 일본 정 일본인의 용역을 본 협정의 효력 발생일로부터 10년
부의 명시된 요청에 응하여 부여받은 원조를 포함하여 외 기간에 걸쳐 무상으로 제공한다.
부로부터의 무력 공격에 대한 일본의 안전에 기여하기 위 (b) ‌2억 불에 상당하는 일본국의 생산물 및 일본인의 용
해 사용할 수 있다. 역을 장기 저리의 차관으로 본 협정의 효력 발생일로
*교사(教唆) : 남을 꾀거나 부추겨서 나쁜 짓을 하게 함 부터 10년 기간에 걸쳐 제공한다.

① 6·25 전쟁 중에 체결되었다. ① 통킹만 사건의 내용을 조사한다.


② 일본의 해군 군비를 축소하였다. ② 이와쿠라 사절단의 파견 목적을 찾아본다.
③ 닉슨 독트린을 계기로 체결되었다. ③ 미·중 공동 성명 발표가 끼친 영향을 분석한다.
④ 일본과 타이완의 국교 단절을 가져왔다. ④ 한국과 타이완이 국교가 단절된 이유를 살펴본다.
⑤ 일본의 수출 시장 확보 의도가 담겨 있다. ⑤ 동아시아 안보 체제 구축을 위한 미국의 정책을 알아본다.

155
11.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냉전 체제
수능 실전 문제
20015-0203
1 다음 협정이 맺어진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소·미·영 삼국의 지도자는 …… 소련이 다음 조건에 의해 연합국에 참가하여 대일전에 참가


할 것을 협정하였다.
1. 외몽골(몽골 인민 공화국)의 현상을 유지한다.
2. 1904년 일본의 배신적 공격에 의해 침해된 러시아의 옛 권리는 회복되어야 한다.
⑴ 사할린 남부 및 이에 인접하는 일체 도서를 소련에 반환한다.
⑵ 다롄항을 국제화하고, 동 항에 대한 소련의 우선적 이익을 보장하고 또한 소련 해군 기
지로서 뤼순항의 조차권을 회복한다.
⑶ 동청 철도 및 다롄에 출구가 되는 남만주 철도는 중·소 합동 회사의 설립에 의하여 공동
운영한다.
3. 쿠릴 열도를 소련에 인도한다.

㈎ ㈏ ㈐ ㈑ ㈒
진주만 미드웨이 나가사키 도쿄 재판 중화 인민 샌프란시스코
사건 해전 원폭 투하 시작 공화국 수립 강화 조약 체결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20015-0204
2 다음 지령이 내려질 당시 동아시아의 상황으로 옳은 것은?

나(맥아더)는 귀하(시데하라 기주로)가 일본의 사회 질서에서 신속하게 다음과 같이 여러 개혁


을 개시하고 이를 달성할 것을 기대한다.
1. 선거권 부여에 의한 일본 부인의 해방 ……
2. 노동조합의 결성 장려 ……
3. 보다 자유로운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여러 학교의 개교 ……
4. 비밀 경찰 및 그 남용이 국민을 끊이지 않는 공포에 처하게 해 온 것 등의 여러 제도 폐
지 ……
5. 소득 및 생산과 상공업 수단 소유의 보편적 분배를 일으키는 방법의 발달에 의해 독점적
산업 지배가 개선되도록 일본의 경제 기구를 민주화하는 것

① 베트남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② 일본이 국제 연맹을 탈퇴하였다.
③ 닉슨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하였다.
④ 중국 국민당이 북벌을 추진하였다.
⑤ 한반도에 미국군과 소련군이 주둔하였다.

156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Ⅴ. 오늘날의 동아시아


정답과 해설 48쪽

20015-0205
3 밑줄 친 ‘헌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번 헌법에서는 일본이 절대로 다시 전쟁을 하지 않도록 두 가지의 일을 결정했습니다. 그 하


나는 무기를 가진 군대도 군함도 비행기도, 모든 전쟁을 하기 위한 것은 일절 가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지금부터 앞으로 일본에는 육군도 해군도 공군도 없습니다. …… 또 하나는 다른 나
라와 분쟁거리가 생겼을 때, 절대로 전쟁에 의해, 상대를 이기고, 자신이 이익을 챙기려고 하
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했습니다.  - “새헌법 이야기” -

① 제국 의회 설립의 계기가 되었다.


② 천황을 상징적인 존재로 규정하였다.
③ 대한국 국제의 제정에 영향을 주었다.
④ 중국의 공산화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⑤ 민선 의원 설립 건백서의 발표에 영향을 끼쳤다.

20015-0206
4 (가) 내전이 전개되었던 시기의 사실로 옳은 것은?

이 그림에는 장제스 정권을 의미하는 거대한 나무


가 지난[濟南] 전투 승리라는 도끼로 베어지는 모습
이 표현되어 있습니다. 이 전투 이후 중국 공산당은
난징으로 가는 길목을 공략하여 (가) 내전에
서 중국 본토 대부분을 장악하였고, 중화 인민 공
화국을 수립하였습니다.

① 포츠담 선언이 발표되었다.


②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③ 상하이에서 5·30 사건이 일어났다.
④ 히로시마에 원자 폭탄이 투하되었다.
⑤ 중국 공산당이 대장정을 시작하였다.

157
11.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냉전 체제
수능 실전 문제

20015-0207
5 (가) 전쟁 시기 동아시아에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가) 전쟁을 회고하다

중국은 건국 1년 만에 대규모 병력을 전선에 투


입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가) 전쟁의 참전으로 정권 내부를 안정시
킬 수 있었고, 소련의 지원 속에 군대를 현대화
하였습니다. 또한 사회주의 진영에서 위상을 높
일 수 있었습니다.

① 일본에 원자 폭탄을 투하하는 미국 군인


② 평화 헌법의 제정을 발표하는 일본 관리
③ 국가 총동원법에 따라 징용되는 한국 청년
④ 일본의 21개조 요구에 반발하는 중국 학생
⑤ 경찰 예비대의 창설 소식을 알리는 일본 기자

20015-0208
6 밑줄 친 ‘이 전쟁’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미국은 이 전쟁에 동맹국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필리핀 등이 병력을 파견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정부의 파병 결정에 따라 1964년
소규모의 제1차 파병이 이루어지고, 이어 공병 부대와 자체 경비 병력으로 구성된 비둘기 부대
2천여 명이 파견되었다. 제3차 파병 때에는 육군 2개 연대 규모의 맹호 부대와 해병 1개 여단
규모의 청룡 부대가 전투 병력으로 파견되었다.

① 중국 공산당의 대장정 경로를 살펴본다.


② 파리 평화 협정의 주요 내용을 분석한다.
③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한 결과를 알아본다.
④ 리튼 조사단이 작성한 보고서의 내용을 찾아본다.
⑤ 극동 국제 군사 재판에서 처벌받은 사람들을 조사한다.

158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Ⅴ. 오늘날의 동아시아


정답과 해설 48쪽

20015-0209
7 (가), (나) 성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1. 일본국과 중화 인민 공화국 사이의 지금까지 비정상적인 상태는 이 공동 성명이 발표되


는 날 종료된다.
5. 중화 인민 공화국 정부는 …… 일본국에 대한 전쟁 배상 요구를 포기할 것임을 선포한다.

(나) 1. 대한민국 정부와 중화 인민 공화국 정부는 양국 국민의 이익과 염원에 부응하여 ……


대사급 외교 관계를 수립하기로 하였다.
2. 대한민국 정부와 중화 인민 공화국 정부는 유엔 헌장의 원칙들과 주권 및 영토 보전의
상호 존중, 상호 불가침, 상호 내정 불간섭, 평등과 호혜, 그리고 평화 공존의 원칙에
따라 항구적인 선린 우호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것에 합의한다.

① (가) - 일본의 주권 회복을 가져왔다.


② (가) - 닉슨 독트린의 발표에 영향을 주었다.
③ (나) - 한국과 타이완의 국교 단절을 가져왔다.
④ (나) - 한국에서 6·3 시위가 전개되는 배경이 되었다.
⑤ (가), (나) - 한·일 국교 정상화의 배경이 되었다.

20015-0210
8 밑줄 친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미국에 특사로 파견된 이케다 하야토 전 대장성(大藏省) 장관은 다음과 같이 말한 것으로 보도


되었습니다.
“일본은 덜레스 국무 장관의 요청에 따라 중국 국민당과 관계 정상화를 위한 조약을 체결했
고, 중국 공산당과는 어떠한 조약도 체결하지 않기로 약속했습니다. 일본은 물론 미국의 요구
에 어긋나는 지나친 행보를 보여서는 안 되겠지만,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에서 방위 문제
로 인해 곤경에 처해 있습니다. 나는 일본이 경제적으로 안전하게 자립할 수 있을 때까지 미국
이 너무 많은 것을 기대하지 않기를, 그리고 미국이 일본을 지속적으로 지원해 주기를 희망합
니다.”

① 6·25 전쟁 중에 체결되었다.
② 외국 군대의 베이징 주둔을 허용하였다.
③ 일본의 주력함 보유 비율을 제한하였다.
④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체결에 영향을 주었다.
⑤ 일본이 뤼순과 다롄을 조차하는 배경이 되었다.

159
11.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냉전 체제
12
동아시아사

동아시아의 경제 성장과 정치 발전 ~ 갈등과 화해

엔화의 평가 절상 1. 자본주의 국가의 경제 성장


1985년 미국, 프랑스, 독일, 영
국, 일본의 재무 장관이 미국
(1) 일본의 경제 발전
달러화 강세를 완화시키기 위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전쟁 패배로 극심한 경제난
해 일본 엔화와 독일 마르크화
의 평가 절상 등에 합의하였다.
•미국의 지원과 6·25 전쟁 시기 군수품 생산으로 경제 회복
1950년대 중반~
뉴욕 플라자 호텔에서 이루어
•연평균 10% 이상의 고도성장(1955~1973)
1970년대 초
져 플라자 합의라고도 부른다.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발전
1970년대 두 차례의 석유 파동 → 기술 개발, 경영 합리화로 경제 위기 극복
•첨단 제품의 생산 확대, 수출 증가로 최대의 경제 호황
아시아의 4대 신흥 공업국 1980년대 •미국과 무역 마찰 → 플라자 합의로 엔화 평가 절상, 국내 시장 개방 → 금리 인하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가 따른 경기 과열로 주가와 부동산 가격 폭등 → 거품 경제 형성
급속도로 발전한 아시아의 신 1990년대 주가와 부동산 가격의 폭락으로 장기 불황
흥 공업국이었던 대한민국, 홍
콩, 싱가포르, 타이완을 일컫는
자료 플러스 거품 경제 전후 일본의 지가 변동률 추이
다. 이들을 합쳐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변동률(%) 1980년대 일본은 미국과의 무역 마찰을 겪
25
었다. 그 과정에서 엔화의 가치가 상승하자
20
수출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금리를 대폭 낮
15
10
추었다. 이에 일본 국민은 낮은 이자로 대출
5
을 받아 주식과 부동산 등에 투자하였고, 이
0 러한 현상이 과열되어 거품 경제가 형성되었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년)
-5 다. 이는 1990년대 부동산 가격과 주가가 폭
-10 락하면서 장기 불황으로 이어지는 원인이 되
- 일본 국토 교통성, 2002 -
었다.
▲ 일본의 지가 변동률 추이

(2) 한국의 경제 발전
•남북 분단과 6·25 전쟁으로 경제적 혼란
1950년대
•미국의 원조 물자에 기반을 둔 소비재 공업(제분, 제당, 섬유) 발달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실시(1962) : 외국의 자본과 기술, 값싼 노동력을 이용한 수출 주도형
1960년대 경제 정책 추진
•1960년대 말 연 10% 이상의 경제 성장
•철강, 조선, 기계 등의 중화학 공업 발전
❶ 1980년대 일본은 경기 과열로 1970년대
•중화학 공업에 대한 지나친 투자와 제2차 석유 파동으로 어려움 겪음
주가와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
•3저 호황(저유가, 저달러, 저금리)의 영향으로 경제 성장
면서 ( ) 경제가 형성되 1980년대
•아시아의 4대 신흥 공업국으로 발전
었다.
❷ 한국은 1980년대 저유가, 저달 1990년대 외환 위기 발생(1997), 외자 유치와 구조 조정으로 극복
러, 저금리의 ( ) 호황의
영향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❸ 한국은 1997년에 ( )가 발
생하여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
(3) 타이완의 경제 발전
었다.
①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제조업, 무역, 서비스업에 기초한 시장 발달
|정답| ❶ 거품 ❷ 3저 ❸ 외환 위기
② 2000년대 들어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나, 점차 안정적 성장

160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Ⅴ. 오늘날의 동아시아


2. 사회주의 국가의 경제 정책과 개방 인민공사
1958년에 설립된 중국 농촌의
(1) 중국의 경제 변화 사회생활 및 행정 조직의 기초
① 사회주의 계획 경제 정책 추진 : 토지 개혁으로 농민에게 토지 분배, 주요 기업 국영화 실시, 단위였다. 농업, 공업, 상업, 문
화, 교육, 군사 등을 포함하여
합작사 등의 집단화 진행
집단 생산과 집단 생활을 영위
② 대약진 운동 하는 단위로서 자력갱생과 자
•목적 : 농업과 공업의 대규모 증산 추진 급자족을 목표로 하였다.

•내용 : 인민공사를 조직하여 농업 집단화, 철강 증산을 위한 노동력 동원


•결과 : 집단화에 따른 농민의 불만, 근로 의욕 감소, 기술력의 부족, 자연재해 등으로 실패 합영법
•영향 : 류샤오치 등이 사회주의 경제의 수정 요구 → 문화 대혁명의 배경이 됨 북한이 외국 자본을 유치하기
위하여 1984년에 제정한 법령
③ 개혁·개방 정책 : 마오쩌둥 사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정책 추진
이다. 주요 내용은 합작 회사에
•목표 : 농업, 공업, 국방, 과학 기술의 4개 부문 현대화, 시장 경제 체제의 일부 도입 서 일하는 외국인이 얻는 임금
•내용 : 농촌에서 인민공사 사실상 해체 → 가족 농업으로 전환, 사기업의 설립 허용, 국영 기 과 출자자의 소득에 대해 북한
소득세법에 따라 과세하며, 소
업을 민간에 매각, 대외 개방 정책 진행, 경제특구 설치 득의 일부를 해외 송금할 수 있
•남순 강화(1992)를 통해 개혁 가속화 → 매년 10%에 가까운 경제 성장 다는 것으로, 북한 개방 정책의
상징적인 법령이다.
자료 플러스 남순 강화(1992)

사회주의를 견지하지 않는다면, 개혁·개방을 하지 않는다면, 경제를 발전시키지 않는다면, 인민 생활을 개 도이머이
선하지 않는다면, 오로지 막다른 외길로 나아갈 뿐입니다. (우리 당의 이러한) 기본 노선은 1백 년이 지나도 1986년 베트남 공산당 제6차
움직이지 않도록 꽉 잡아 주어야 합니다. 오로지 이 노선을 견지해야만 인민이 믿고 옹호할 수 있으며, 누구 대회에서 제기된 슬로건으로
든지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 회의 이래의 노선·방침·정책을 바꾸고자 한다면 인민이 응낙하 사회주의에 기반을 두고 시장
지 않을 것이며, 타도의 대상이 될 것입니다.  - “덩샤오핑 문선” - 경제 요소를 도입하자며 주창
된 개념이다. 도이머이는 베트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을 주도한 덩샤오핑은 1992년 우창, 선전, 상하이 등 중국의 남부 지방을 남어로 개혁, 쇄신이라는 의미
이다.
시찰한 후 앞으로 개혁·개방 정책을 계속해서 발전시키고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의 발언을 하였
다. 이는 톈안먼 사건 등으로 주춤하였던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이 가속화되는 계기가 되었고,
이후 중국은 경제 대국으로 성장하였다.

(2) 북한의 경제 변화
•사회주의 경제 체제 확립 : 사유제 부정, 협동 농장과 국영 기업 중심
1950년대
•중공업 중심의 경제 발전, 천리마 운동 추진 ❶ 중국은 ( )을 추진하며
1970년대 경제 침체 : 경제 체제의 모순, 소련의 원조 중단, 과도한 군사비 지출 인민공사를 조직하고 농업의
1980년대 합영법 제정 : 외국 자본 유치 노력 집단화를 시도하였다.
❷ ( )은 4개 부문의 현대화
1990년대 무리한 중공업 우선 정책, 동유럽 사회주의권의 몰락, 자연재해 등 → 마이너스 성장, 극심한 식량난
를 추진하는 등 중국의 개혁·
2000년대 남한과의 경제 교류 : 금강산 관광 사업(1998~2008), 개성 공단 사업 개방 정책을 주도하였다.
❸ 북한은 1980년대 ( )을
(3) 베트남의 경제 변화 제정하여 외국 자본을 유치하
고자 노력하였다.
① 통일 이후 : 토지 개혁과 농업 집단화 등의 사회주의 정책 시행 → 캄보디아 내전에 개입, 중국
❹ 베트남은 1986년 베트남 공산
과의 국경 분쟁 등으로 재정 악화, 사회주의 정책의 실패 → 경제 악화, 식량난 가중 당 제6차 대회 이후 개혁, 쇄신
② 도이머이 정책 추진(1986년 이후) 이라는 의미의 ( ) 정책
을 추진하였다.
•시장 경제 체제의 일부 도입 : 국유제 → 국유와 협동조합, 사유 등으로 전환
•농업 : 개인 농가에 농지 대여, 농업세 경감, 농업에 투자 집중 → 세계 3대 쌀 수출국으로 성장 |정답| ❶ 대약진 운동 ❷ 덩샤오핑
❸ 합영법 ❹ 도이머이
•자본주의 국가와의 교역 확대, 외국 자본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며 공업 발전에 노력

12. 동아시아의 경제 성장과 정치 발전 ~ 갈등과 화해 161


동아시아사

12 동아시아의 경제 성장과 정치 발전 ~ 갈등과 화해

55년 체제 3. 동아시아 역내 교역의 활성화


자유민주당(자민당)의 장기 집
권 속에 사회당이 경쟁하는 양
(1) 동아시아 교역의 변화 : 냉전 시기 미국을 중심으로 교역 →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 이후 동아
당 체제이다. 1955년 이후 1993 시아 내 한·중·일 간의 교역 규모 급증
년 비자민당 연립 정권이 수립
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2) 세계 경제에서 동아시아의 경제 비중 증가 : 2010년 기준 중국(세계 2위), 일본(세계 3위), 한국
(세계 10위권)

록히드 사건 자료 플러스 동아시아 역내 교역량의 변화


미국의 군수업체인 록히드사가
항공기 판매를 위해 일본의 고 2000년 2015년
(억 달러) 한국 (억 달러) 한국
위 관료들에게 뇌물을 주면서
빚어진 사건이다. 이후 국민들 128 903 256
205
이 자민당 정권에 대한 불신을 185 318 1,371 459
갖게 되었다.
417 1,357
중국 일본 중국 일본
415 1,430
- 한국 무역 협회, 일본 무역 진흥 기구, 2016 -

2000년 이전 한국과 일본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교역이 이루어져 중국과의 교역량이 많지 않았


다. 그러나 2001년 중국이 세계 무역 기구(WTO)에 가입한 이후 중국에 대한 투자가 늘어났고, 이
에 따라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역내 교역량이 늘고 있다.

4. 자본주의 국가의 정치 발전
(1) 일본의 정치 변화
① 55년 체제 : 미·일 안전 보장 조약 체결 이후 일본 내부에서 보수와 진보의 대립 심화, 보수
정당들이 신헌법(평화 헌법) 개정 시도 → 일본 사회당의 좌·우파가 통합하자 보수 정당인 자
유당과 일본 민주당이 자유민주당(자민당)으로 통합 → 1955년 자민당의 정권 장악 이후 자민
당과 사회당의 양당 체제가 지속됨
② 1970년대 : 2차례 석유 파동, 록히드 사건 등의 부패 문제로 자민당이 위기를 겪음
③ 1990년대 : 경제 침체와 부패 사건으로 자민당이 의회의 과반 의석 획득 실패 → ‘55년 체제’
붕괴, 비자민당 연립 정권 수립
④ 2000년대 : 민주당 집권(2009)으로 정권 교체, 자민당 재집권(2012)
(2) 한국의 정치 변화

❶ 일본에서는 1955년 이후 자민
① 4·19 혁명(1960) : 이승만 정권의 장기 집권 추구, 3·15 부정 선거에 저항 → 장면 정부 수립
당과 사회당이 경쟁하는 ② 박정희 정부 : 5·16 군사 정변 이후 권력 장악(1961) → 3선 개헌(1969), 10월 유신 선포(1972)
( )가 성립하였다.
로 장기 집권 → 국민의 저항과 집권 세력의 분열, 대통령 피살로 유신 체제 붕괴(1979)
❷ 한국에서는 3·15 부정 선거에
저항한 ( )으로 장면 정
③ 1980년대 : 신군부 세력이 권력 장악 → 광주에서 일어난 민주화 운동을 유혈 진압하여 많은
부가 수립되었다. 시민이 희생됨(5·18 민주화 운동, 1980) → 6월 민주 항쟁(1987)으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
❸ 타이완은 2000년 민주진보당 ④ 김대중 정부 출범(최초의 평화적 여야 정권 교체)
의 ( )이 총통에 당선되
며 최초의 여야 정권 교체가 (3) 타이완의 정치 변화
이루어졌다.
① 계엄 통치 : 장제스가 이끄는 중국 국민당이 계엄령하에 1당 지배
|정답| ❶ 55년 체제 ❷ 4·19 혁명 ② 민주주의 발전 : 일부 섬을 제외하고 계엄령 해제(1987), 복수 정당제 도입, 총통 직선제 개헌
❸ 천수이볜
→ 민주진보당(민진당)의 천수이볜 총통 당선(2000), 최초의 여야 정권 교체

162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Ⅴ. 오늘날의 동아시아


5. 사회주의 국가의 체제 변화 홍위병
문화 대혁명 당시 중국 공산당
(1) 중국의 정치 변화 청년 운동에 가담한 조직원들
① 특징 : 중화 인민 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 공산당이 권력을 독점 이다. 대부분 대학생과 10대 학
생들로 구성되었으며, 공산당
② 문화 대혁명(1966~1976)
의 이념보다 마오쩌둥에 대한
•배경 : 대약진 운동의 실패로 인해 마오쩌둥이 정치적 위기에 몰림 개인 숭배가 강하였다. 마오쩌
•내용 : 자본주의 사상과 문화에 대한 투쟁 주장 → 홍위병을 조직하여 반대파 제거 둥의 반대파나 부르주아적이라
고 간주된 것들을 공격하고 탄
•영향 : 마오쩌둥의 권력 장악, 홍위병을 둘러싼 갈등과 저항으로 사회 혼란 야기 압하였다.
③ 톈안먼 사건(1989) : 정치 민주화를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 발생 → 정부의 무력 진압

(2) 북한의 정치 변화 고노 담화

① 1당 지배 체제 : 조선 노동당이 권력을 독점, 주체사상 표방 1993년 일본의 관방 장관이었


던 고노 요헤이가 일본군 ‘위안
② 김일성 독재 체제 강화 : 반대파 숙청, 중·소 분쟁으로 인한 갈등, 사회주의 헌법 제정(1972) 부’에 대한 일본군의 강제성을
③ 김일성 사후 김정일, 김정은의 권력 승계 → 핵무기 개발로 국제적 고립 심화 인정한 담화이다. 당시 일본군
‘위안부’로 강제 동원된 피해
자들에게 사과하는 내용이 담
6. 동아시아의 갈등과 화해 겼다.
(1) 동아시아의 영토 문제
러시아 •일본, 러시아가 영유권 주장
남쿠릴 열도의
4개 섬(북방 도서) 남쿠릴 열도의 동북 공정
열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이 점령 →
쿠릴
4개 섬(북방 도서) 중국사회과학원 산하의 연구
동해
독도
현재 러시아가 영유
한국 센터가 중심이 된 연구로 ‘동북
황해
중국 일본 센카쿠 열도 •중국, 타이완, 일본이 영유권 주장 변경 지역의 역사와 현실에 관
태평양
(댜오위다오) •현재 일본이 실효 지배 한 체계적인 연구 프로젝트’의
센카쿠 열도 시사 군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베트남이 관리 → 줄임말이다. 동북 3성(랴오닝성,
(댜오위다오)
타이완 (파라셀 군도) 1974년 중국이 무력으로 점령 후 영유 지린성, 헤이룽장성) 지역의 개
시사 군도
(파라셀 군도)
난사 군도 중국,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이 영 발 및 그 지역의 역사를 중국 역
베트남 필리핀 사에 귀속시키고자 추진되었다.
난사 군도 (스프래틀리 군도) 유권 주장
(스프래틀리 군도)

(2) 독도 : 일본이 부당한 영유권 주장 → 대한 제국 칙령 제41호(1900), 연합군 최고 사령관 각서


(SCAPIN) 제677호 등을 통해 볼 때 역사적, 국제법상 명백한 대한민국 영토임

(3) 동아시아의 역사 갈등
①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 1990년대 이후 보수 성향 강화 → 식민 지배와 침략 전쟁을 미화하
는 역사관을 담은 교과서 제작
② 일본군 ‘위안부’ 문제 ❶ ( )은 문화 대혁명을 통
•일본의 입장 : 고노 담화를 통해 사과 → 아베 정부는 정부의 강제 동원 부인, 직접 배상 등의 해 자신의 반대파를 제거하고
자 하였다.
조치 회피
❷ 남쿠릴 열도의 4개 섬은 일본
•국제 사회의 노력 : 유엔 인권 위원회, 미국, 캐나다 등의 의회에서 일본의 사과와 보상을 요 과 ( )가 서로 영유권을
구하는 결의안 채택 주장하고 있다.

③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 : 제2차 세계 대전의 A급 전범 등이 합사되어 있는 신사 → 일본 보 ❸ 중국은 ( )을 통해 동북 3


성 지역의 역사를 자국사에 귀
수 정치인의 참배로 주변국과 갈등 속시키고자 하였다.
④ 동북 공정 문제 :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발해의 역사를 중국의 지방사로 인식
|정답| ❶ 마오쩌둥 ❷ 러시아
❸ 동북 공정
(4) 화해와 협력을 위한 노력 : 공동 역사 교재 개발, 공동 역사 연구, 민간 차원의 국제 연대 활동 등

12. 동아시아의 경제 성장과 정치 발전 ~ 갈등과 화해 163


자료
탐구
자료 1 문화 대혁명

기출 자료 분석
ㅣ2019학년도 대수능 9월 모의평가ㅣ

중국 현대사 자료집

그해 여름 인민일보에 ‘사령부를 폭 저우언라이 사망 후 추모 분위기


파하라 - 나의 대자보’가 발표되었 가 확산되자 4인방은 그 열기를
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식히려 안간힘을 썼다. 그럼에도
⋮ 톈안먼 광장에서는 저우언라이를
(가) 에 앞장선 홍위병은 절, 추모하는 대규모 집회가 열렸다.
사당, 성당을 파괴하고 다니기 시작 ⋮
했다. 소위 낡은 사상의 소유자로 지 결국 4인방이 체포되면서 10년에
목된 사람들은 그들에게 붙들려 구 걸친 (가) 은/는 사실상
타를 당했다. 막을 내렸다.

자료 분석 자료에서 홍위병이 절, 사당, 성당을 파괴하고 다니기 시작했다는 점, 10년에 걸쳐 전개되었다는 점 등을


통해 (가) 사건이 문화 대혁명(1966~1976)임을 알 수 있다. 대약진 운동의 실패 이후 정치적 위기에 몰린 마오쩌둥
은 자본주의 사상과 문화에 대한 투쟁을 주장하였고, 이에 문화 대혁명이 일어났다. 문화 대혁명 시기 마오쩌둥을 추
종하던 홍위병들은 수많은 지식인과 예술가들을 탄압하였다.
자료 공략 문화 대혁명과 관련된 문제에서는 문화 대혁명의 발생 배경을 묻는 문항이 자주 출제된다. 또 심화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문화 대혁명 시기 중국에서 있었던 사실과 함께 당시 동아시아 각국에서 있었던 사실에 대해 알
아 두어야 한다.

유형 연습

1 (가) 사건이 전개된 시기의 사실로 옳은 것은? [20015-0211]

마오쩌둥은 (가) 을/를 통해서 고위 권력자들을 숙청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는 젊고 급진적이며 일부는 채 열네


살도 되지 않은 학생들에게로 눈을 돌렸고, 그들에게 지도부 전체를 비난하고 ‘사령부를 포격’하도록 허락하였다. 많은 당 관
료들이 자신이 아닌 다른 지도자들을 공격하도록 어린 학생들을 부추겨서 자신들에 대한 공격을 무마시켰다. 또 일부 관료들
은 마오쩌둥의 사상을 내세우며 자신들이 직접 홍위병을 조직하기도 하였다.

① 한국 - 유엔 감시 아래 총선거를 실시하였다.
② 중국 - 농업, 공업 등 4개 부문의 현대화를 추진하였다.
③ 일본 - 자유당과 일본 민주당이 자유민주당으로 통합하였다.
④ 베트남 - 미국과 파리 평화 협정을 체결하였다.
⑤ 타이완 - 총통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졌다.

164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Ⅴ. 오늘날의 동아시아


자료 2 동아시아의 민주화 운동 정답과 해설 50쪽

기출 자료 분석
ㅣ2019학년도 대수능 6월 모의평가ㅣ

(가) 계엄령 확대와 휴교령에 반발한 대학생들이 5월 18일 시위에 나서면서 군인들과 충돌
하였다. 이때 출동한 특전사 부대원들이 금남로 일대에서 학생과 시민들에게 무차별적
으로 폭력을 휘두르고 연행하였다.
(나) 후야오방이 사망한 것을 계기로 톈안먼 광장에 모인 수십만 명의 시위대는 정치 민주화
와 부정부패 추방을 요구하였다. 정부는 인민 해방군을 투입하여 시위대를 진압하였다.

자료 분석 (가)에서는 계엄령의 확대에 반발했다는 점, 5월 18일 시위에 나섰다는 점, 군인들이 금남로 일대에서 폭력
을 휘둘렀다는 점을 통해 1980년에 일어난 5·18 민주화 운동임을 알 수 있다. (나)에서는 후야오방의 사망 이후 시
위대가 톈안먼 광장에서 정치 민주화를 요구했다는 점, 정부가 군대를 투입하여 시위대를 진압하였다는 점을 통해
1989년에 일어난 톈안먼 사건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아시아 각국에서는 경제의 발전과
함께 정치의 민주화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다양하게 일어났다.
자료 공략 동아시아 각국에서 있었던 민주화 운동과 관련된 사료, 사진 등이 자주 출제된다. 따라서 자료를 통해 이
사건이 어떤 사건인지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또한, 각 사건의 배경이나 결과뿐 아니라 시기를 묻는 문항도 출제되
므로 유의해야 한다.

유형 연습

2 다음 선언이 발표된 배경을 알아보기 위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15-0212]

첫째는 국민이 원하면 대통령직을 사임할 것이며,


둘째는 지난번 정·부통령 선거에 많은 부정이 있었다고 하니 선거를 다시 하도록 지시하였고,
셋째는 선거로 인연한 모든 불미스러운 것을 없애게 하기 위해서 이미 이기붕 의장이 공직에서 완전히 물러나겠다고 결정한
것이다.
넷째는 내가 이미 합의를 준 것이지만 만일 국민이 원하면 내각 책임제 개헌을 할 것이다.

① 55년 체제가 붕괴된 이유를 살펴본다.


② 문화 대혁명이 일어난 배경을 알아본다.
③ 3·15 부정 선거가 끼친 영향을 찾아본다.
④ 톈안먼 사건에서 등장한 구호를 파악한다.
⑤ 6월 민주 항쟁으로 인한 변화를 조사한다.

12. 동아시아의 경제 성장과 정치 발전 ~ 갈등과 화해 165


수 능 기본 문제
[20015-0213] [20015-0215]

01 (가) 시기의 경제 상황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03 (가) 운동이 끼친 영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것은? internet

변동률(%) internet
25 선전물로 보는 동아시아사

20 ㈎
자료는 (가) 운
15 동 당시 철강 생산을 독
10 려하는 선전물이다. 마
오쩌둥은 (가)
5
운동을 추진하여 농업
0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년) 과 공업의 대규모 증산
-5
을 추진하였다. 또한 인민공사를 조직하여 농업을 집
-10
- 일본 국토 교통성, 2002 -
단화하였고, 마을마다 재래식 용광로를 만들었다. 그러
나 농민의 불만과 기술력 부족, 자연재해 등으로 실패
▲ 일본의 지가 변동률 추이
하였다.
① 천리마 운동의 특징에 대해 살펴본다.
② 중국의 WTO 가입이 끼친 영향을 파악한다.
① 홍위병이 가담한 문화 대혁명이 일어났다.
③ 전쟁의 패배로 인한 극심한 경제난에 대해 알아본다.
② 금릉 기기국 등의 군수 공장이 설립되었다.
④ 거품 경제의 붕괴로 인한 주가의 폭락에 대해 조사한다.
③ 여야 간의 평화적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⑤ 두 차례의 석유 파동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에 대해 찾
④ 동아시아 국가 간의 자유 무역 협정이 추진되었다.
아본다.
⑤ 농민에게 토지를 분배하는 토지 개혁이 실시되었다.

[20015-0214]

02 다음 기사가 보도된 해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동아시아사 신문
동아시아사
◯◯ 일보신문 [20015-0216 ]

IMF 구제 금융 공식 요청
04 다음의 정치 변화가 나타난 배경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자유당
임 부총리, 어젯밤 긴급 기자 회견 실시 일본 사회당 일본 사회당
좌파 우파
대기업의 연쇄적인 도산으로 외환 보유액이 급감한 상 일본 민주당
황에서 정부는 외환 시장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국제
통화 기금(IMF)에 긴급 구제 금융 지원을 공식 요청하
였다. 일본 사회당 자유민주당

① 한국 - 대통령을 직선제로 선출하였다. ① 외환 위기가 일어났다.


② 북한 - 외자 유치를 위한 합영법을 제정하였다. ② 록히드 사건이 발생하였다.
③ 중국 - 농촌에 인민공사를 조직하였다. ③ 3·15 부정 선거가 일어났다.
④ 일본 - 보수적인 자유당과 일본 민주당이 합당하였다. ④ 대약진 운동이 실패로 끝났다.
⑤ 베트남 - 베트남 민주 공화국을 수립하였다. ⑤ 신헌법(평화 헌법) 개정을 둘러싼 대립이 일어났다.

166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Ⅴ. 오늘날의 동아시아


정답과 해설 51쪽

[20015-0217 ] [20015-0219]

05 다음 자료가 발표된 배경으로 옳은 것은? 07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옳은 것은?


여야 합의하에 조속히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하고 새 헌법 이 사진은 1989년 톈안먼 광장에서 일어난 시위
를 진압하려는 탱크를 시민이 막아선 모습입니
에 의한 대통령 선거를 통해 평화적 정부 이양을 실현토록
다. 당시의 시위에 대해 말해 볼까요?
해야 하겠습니다. …… 오늘의 이 시점에서 저는, 사회적
혼란을 극복하고, 국민적 화해를 이룩하기 위하여 대통령
직선제를 택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습니
다. 국민은 나라의 주인이며, 국민의 뜻은 모든 것에 우선
하는 것입니다.

① 마오쩌둥이 사망하였다.
② 고노 담화가 발표되었다.
③ 6월 민주 항쟁이 일어났다.
④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⑤ 대일본 제국 헌법이 제정되었다.
① 총통 직선제를 요구하였어요.
② 홍위병을 동원하여 전개되었어요.
③ 시민들이 정치적 민주화를 요구하였어요.
④ 5·16 군사 정변이 일어나는 배경이 되었어요.
⑤ 이승만 정부의 장기 집권에 대한 저항이었어요.

[20015-0220]

08 (가)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218] 동해

06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황해


중국 국민당은 국·공 내전에서 본토에 근거지를 잃은 후
타이완으로 근거지를 옮겼다. 타이완의 국민당 정부는 계
엄 통치를 실시하면서 경제 개발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정
태평양
치의 민주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고, 지속적인 민주화 운
동의 결과 1987년에 일부 섬을 제외하고 계엄령이 해제되
었다. 또한 제도적 민주화도 이루어져 (가)
① 현재 중국이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다.
① 유신 헌법이 제정되었다. ②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이 점령하였다.
② 도이머이 정책이 추진되었다. ③ 난사 군도 또는 스프래틀리 군도라 불린다.
③ 흠정 헌법 대강이 공포되었다. ④ 중국과 일본 등이 영토 분쟁을 벌이고 있다.
④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졌다. ⑤ 일본이 포츠머스 조약을 통해 북위 50도 이남을 차지한
⑤ 복수 정당제(다당제)가 도입되었다. 지역이다.

167
12. 동아시아의 경제 성장과 정치 발전 ~ 갈등과 화해
수능 실전 문제
20015-0221
1 다음 자료가 발표된 시기 동아시아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정부는 지금부터 동해안, 남해안, 서해안 지방에 여러 가지 대단위 국제 규모의 공업 단지 또


는 기지를 조성해 나갈 생각입니다.
첫째는 제2의 포항과 같은 종합 제철 공장 건설을 앞으로 추진해야 하겠고, 또 대단위 기계 종
합 공업 단지로 만들어야 되겠습니다. …… 정부는 앞으로 중화학 공업 정책을 선언하고, 이
방면에 중점적인 지원과 시책을 펴 나갈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의 농어촌에서도 새마을 운동
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중소 공장들이 많이 들어서게 될 것입니다. …… 이런 시책을 우리가 강
력히 꾸준히 전 국민들이 협력을 해서 밀고 나간다면 100억 불 수출도 가능할 것입니다.
 - 대통령 연두 기자 회견 -

① 한국 -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였다.


② 북한 - 외자 유치를 위한 합영법을 제정하였다.
③ 중국 - 농민의 대부분을 합작사에 가입시켰다.
④ 일본 - 거품 경제의 붕괴로 주가와 부동산 가격이 폭락하였다.
⑤ 타이완 - 세계 경제 침체로 연간 경제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였다.

20015-0222
2 밑줄 친 ‘이 노선’에 따른 정책으로 옳은 것은?

1984년 나는 광둥에 와 본 적이 있습니다. 당시 농촌 개혁은 한 지 몇 년 되지 않았고, 경제 특


구도 이제 막 시작한 초보 단계였습니다. 이제 8년이 지났는데, 이번에 와 보니 선전과 주하이
특구, 그리고 기타 몇몇 지방은 내가 전혀 예상하지 못할 정도로 너무도 발전이 빠릅니다. 보고
난 다음 나는 믿음이 더 늘었습니다. …… 사회주의를 견지하지 않는다면, 개혁·개방을 하지
않는다면, 경제를 발전시키지 않는다면, 인민 생활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오로지 막다른 외길
로 나아갈 뿐입니다. (우리 당의 이러한) 기본 노선은 1백 년이 지나도 움직이지 않도록 꽉 잡아
주어야 합니다. 오로지 이 노선을 견지해야만 인민이 믿고 옹호할 수 있으며, 누구든지 이 노선
을 바꾸고자 한다면 인민이 응낙하지 않을 것이며, 타도의 대상이 될 것입니다.

① 대부분의 농민을 인민공사에 가입시켰다.


② 농업, 공업 등 4개 부문의 현대화를 추진하였다.
③ 일본으로 석유와 철강 자원의 수출을 금지시켰다.
④ 미국의 원조 물자를 기반으로 경제를 발달시켰다.
⑤ 전쟁 물자 동원을 위해 국가 총동원법을 제정하였다.

168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Ⅴ. 오늘날의 동아시아


정답과 해설 52쪽

20015-0223
3 다음 자료를 활용한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베트남의 1인당 GDP 변화>
(달러) 1인당 GDP
2,500

2,000

1,500

1,000

500

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 한국은행, “국제 경제 리뷰”, 2018 -

① 대약진 운동의 목적
② 55년 체제의 붕괴 배경
③ 도이머이 정책의 추진 결과
④ 6·25 전쟁으로 인한 경제 특수
⑤ 제2차 석유 파동으로 인한 경제 위기

20015-0224
4 밑줄 친 ‘이 혁명’이 발생한 당시 동아시아 각국의 상황으로 옳은 것은?

혁명은 국민 열망과 현실 질서의 괴리가 극대화됐을 때 일어납니다. 이 혁명이 일어났을 때가


그러했습니다. 부패하고 탐욕스러운 집권 세력은 국민의 고조된 민주의식과 동떨어진 장기 집
권을 위한 부정 선거를 자행했습니다. 그에 대한 국민의 저항은 2월 28일 대구에서 시작해서,
3월 15일에는 마산과 광주로 이어졌고, 서울을 비롯한 전국에서 폭발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이 생명을 잃었습니다. 이 혁명은 이 땅에서 처음으로 민중에 의해 절대 권력을 무
너뜨렸으며, 아시아 최초의 성공한 시민 혁명이라는 세계사적 위업이 됐습니다.
 - 국무총리 기념사 -

① 한국 - 유신 체제가 성립하였다.
② 중국 - 문화 대혁명이 전개되었다.
③ 중국 - 중화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④ 일본 - 자유민주당이 다수당을 차지하였다.
⑤ 베트남 - 북베트남이 사이공을 점령하였다.

169
12. 동아시아의 경제 성장과 정치 발전 ~ 갈등과 화해
수능 실전 문제

20015-0225
5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ඏფႃფ࿫ᆨ໸ዽඵ

(가)

•주요 활동
- 1979년 가오슝 사건의 공동 변호사로 활동
- 1987년 민주진보당에 입당
- 1994년 타이베이 시장 선거에서 당선
- 2000년 민주진보당의 후보로 총통에 당선

① 천리마 운동을 추진하였다.


② 중화민국의 수립을 선포하였다.
③ 남순 강화를 통해 개혁을 추진하였다.
④ 일본과 일·화 평화 조약을 체결하였다.
⑤ 타이완 최초의 여야 정권 교체를 이루어 냈다.

20015-0226
6 (가) 혁명이 전개된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가) 을/를 상징하는 것은 마오쩌둥의 어록이었다. 이것은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지명되


었으나 훗날 비행기 사고로 사망한 린뱌오에 의해서 출간되었다. 당시 모든 중국인은 이 ‘조그
마한 빨간 책자’를 하나씩 들고 다녀야 했다. 이 어록을 휘두르는 홍위병들은 전국의 공공건물
을 점거하였고, 지역 관료들에게 난폭하게 대들었다.

①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② 중·일 공동 성명이 발표되었다.
③ 미국과 중국이 정식으로 수교하였다.
④ 베트남이 도이머이 정책을 추진하였다.
⑤ 타이완에서 복수 정당제가 허용되었다.

170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Ⅴ. 오늘날의 동아시아


정답과 해설 52쪽

20015-0227
7 밑줄 친 ‘이 지역’을 지도에서 옳게 고른 것은?

이 지역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승전국인 소련이 1945년 자국의 영토로 편입하여 실질적으로 현
재 러시아가 영유하고 있는 지역이다. 일본은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을 수용하면서
포츠머스 조약으로 취득한 사할린에 대한 권리는 포기하였지만 이 지역은 포기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반면 러시아는 얄타 협정을 통해 소련이 취득한 지역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동해

황해


㈑ 태평양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20015-0228
8 다음 자료와 같은 역사 인식에 부합하는 사례로 가장 적절한 것은?

올해는 한·일 관계에 있어 큰 전환점이 되는 해입니다. 정확히 100년 전 8월, 한·일 병합 조


약이 체결되어, 이후 36년에 걸친 식민지 지배가 시작되었습니다. 3·1 운동 등의 격렬한 저항
에서도 나타났듯이 정치·군사적 배경 아래 당시 한국인들은 그 뜻에 반하여 이루어진 식민지
지배에 의해 국가와 문화를 빼앗기고, 민족의 자긍심에 깊은 상처를 입었습니다.
저는 역사를 성실하게 마주 대하고 싶습니다. 역사적 사실을 직시하는 용기와 그것을 받아들
이는 겸허함을 지니고 스스로의 잘못을 돌아보는 것에 솔직하고 싶습니다. 아픔을 준 쪽은 잊
기 쉽고, 아픔을 받은 쪽은 그것을 쉽사리 잊기 어려운 법입니다. 이 식민지 지배가 가져온 많
은 손해와 고통에 대해 여기에 다시금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 사과의 뜻을 표명합니다.
 - 간 나오토 총리 -

① 일본 고위 정치인들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② 전쟁 금지 조항 수정을 위한 헌법 개정 추진
③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고노 담화 발표
④ 일본 내 보수 강경파의 역사 교과서 왜곡 시도
⑤ 한·중 역사 갈등 문제를 가져온 동북 공정의 추진

171
12. 동아시아의 경제 성장과 정치 발전 ~ 갈등과 화해
Ⅴ. 수능 마스터

01 (가) 기구에 대한 학생들의 발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15-0229
이 사진은 일본의 패망 이후 찍은 맥아더 사령관과 히로히토 천황의 모습입
니다. 일본의 전후 개혁을 추진하던 (가) 의 사령관인 맥아더는 이 사진
을 신문에 공개하도록 하였고, 일본 국민들은 패전을 실감하였다고 합니다.

① 일본에 신헌법의 제정을 요구하였어요.


② 미·일 화친 조약 체결에 영향을 주었어요.
③ 베이징 등에서 의화단 운동을 진압하였어요.
④ 산둥반도에 대한 일본의 권리를 인정하였어요.
⑤ 한·중·일 등지의 무정부주의자들이 참여하였어요.

02 밑줄 친 ‘이 전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230
중화 인민 공화국은 건국 직후 이 전쟁에 군대를 파병하면서 군사 강대국이자 아시아 혁명의 중심 국가로 떠올랐
다. 아울러 중화 인민 공화국은 향후 수십 년에 걸쳐 이용하게 될 군사적 신뢰성을 공고히 할 수 있었다. 중화 인
민 공화국은 이 전쟁 과정에서 숙청 운동을 통해 공산당 통치에 대한 국내 반대파를 제거하고, 민중 사이에 ‘혁명
의 열정’과 ‘국가적 자긍심’을 심어 준다는 마오쩌둥의 두 가지 핵심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다.
 - “헨리 키신저의 중국이야기” -

① 통킹만 사건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② 미드웨이 해전의 결과로 전세가 바뀌었다.
③ 베이징의 군벌 정부 타도를 목표로 하였다.
④ 미·일 안전 보장 조약 체결의 계기가 되었다.
⑤ 중국 국민당이 타이완으로 근거지를 옮기는 결과를 가져왔다.

172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Ⅴ. 오늘날의 동아시아


정답과 해설 54쪽

03 다음 선언이 발표된 배경으로 옳은 것은?


20015-0231
미국은 타이완 해협을 사이에 둔 모든 중국인에게 중국은 단 하나밖에 없다는 주장과, 타이완은 중국의 일부라는
것을 인정한다. 미국 정부는 그 입장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타이완 문제가 중국인들의 손에 의해 평화적으로
해결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재확인한다. 이러한 전망을 염두에 두고서 미국은 타이완으로부터 모든 미
군과 군사 시설을 철수한다는 궁극의 목표를 확인한다. 그때까지 이 지역의 긴장이 감소함에 따라 미국은 타이완
주둔 군대와 군사 시설을 점진적으로 감축할 것이다.  - ‘상하이 코뮈니케’ -

① 베트남 전쟁이 종결되었다.


② 일·화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③ 제1차 국·공 합작이 이루어졌다.
④ 타이완에서 계엄령이 해제되었다.
⑤ 닉슨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하였다.

04 (가), (나) 시기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0015-0232
(가) 일본이 포츠담 선언을 거부한 이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 폭탄이 투하되었다. 또한 소련까지 대일 선
전 포고를 하고 만주를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그러자 일본은 더 이상 전쟁을 지속할 수가 없다고 판단하고
연합국의 포츠담 선언을 받아들였다.
(나) 중국 공산당이 중국 대륙을 장악해 나가는 가운데, 마오쩌둥은 중화 인민 정치 협상 회의를 소집하였다. 그
리고 10월 1일 베이징의 톈안먼 광장에 모인 수많은 군중 앞에서 중화 인민 공화국의 수립을 선포하였다.

① 카이로 회담이 개최되었다.


② 제2차 국·공 합작이 성립하였다.
③ 상하이에서 5·30 사건이 발생하였다.
④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⑤ 미국이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의 평화 협상을 중재하였다.

수능 마스터 173
Ⅴ. 수능 마스터

05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233
역사 속 사자성어
造反有理
(조반유리)

‘저항에는 이유가 있다.’라는 뜻으로, 문화 대혁명을 주도


한 (가) 이/가 홍위병들의 대자보에 대한 답장에 사
용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이는 자신을 추종하는 홍위병과
학생들을 부추기기 위해 사용한 것이었다.

① 남순 강화를 통해 개혁 정책을 가속화하였다.


② 10월 유신을 선포하여 장기 집권을 꾀하였다.
③ 중국 국민당을 이끌고 타이완으로 이동하였다.
④ 대규모 증산을 위한 대약진 운동을 추진하였다.
⑤ 4·19 혁명의 결과 최고 통치자에서 하야하였다.

06 밑줄 친 ‘이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234
이 사진은 1960년 일본에서 있었던 안보 투쟁 당시의 모습
입니다. 안보 투쟁은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과 같은 날 체
결된 이 조약의 개정에 반대하는 반전 평화 운동이었습니다.

① 일본의 주권 회복을 가져왔다.


② 일본 내 미군의 주둔을 허용하였다.
③ 베트남에서 미군의 철수를 확정지었다.
④ 일본의 주력함 보유 비율을 제한하였다.
⑤ 일본과 타이완의 외교 단절을 가져왔다.

174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Ⅴ. 오늘날의 동아시아


정답과 해설 54쪽

[07~08] 다음 자료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오늘 톈안먼 광장에 인민을 존중하는 신상(神象)이 높이 솟았으니, 바로 ‘민주의 신’이다. 우리는 그녀를 단식단의
용사에게 봉헌하고, 광장의 전우에게 봉헌하고, 전국의 백만 대학에 봉헌하고, 전 베이징, 전 중국, 전 세계에서
우리의 민주 투쟁을 지원하는 인민에게 봉헌한다.
오래되었다. 민주의 신! 파리 강화 회의에 반발하여 일어난 ㉠70년 전의 사건 때에 이곳에서 우리의 선배들은 일
찍이 너의 이름을 높이 불렀다. 너를 위해, 우리는 다시 70년을 기다려야 한단 말인가? 민주의 신, 너는 중화 민
족을 구원할 희망이다. 민주의 신, 너는 이미 광장의 대학생과 억만 명 인민의 민주의 상징이 되었다. 민주의 신,
너는 ㉡지금의 사건이 가져온 민주화 물결의 영혼이다.

07 밑줄 친 ㉠, ㉡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235 ① ㉠ - 미·일 동맹 강화에 반대하였다.
② ㉠ - 반군벌·반일 시위로 전개되었다.
③ ㉡ - 흠정 헌법 대강의 제정으로 이어졌다.
④ ㉡ - 홍위병을 통해 반대파를 제거하고자 하였다.
⑤ ㉠, ㉡ - 두 차례 국·공 합작의 배경이 되었다.

08 위의 글이 쓰인 시기 동아시아에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20015-0236 ① 한·중 수교 소식을 전하는 한국 기자
② 국·공 내전의 발발 소식을 접한 농민
③ 리튼 조사단의 일원으로 중국에 온 서양 외교관
④ 자민당의 장기 집권을 비판하는 일본의 야당 의원
⑤ 극동 국제 군사 재판에서 재판받고 있는 일본 군인

수능 마스터 175
Ⅴ. 수능 마스터

09 밑줄 친 ‘이 시기’ 일본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20015-0237
이 시기 들어 일본의 국민 총생산(GNP)은 마이너스 성장으로 변화하였고, 장기 불황이 시작되었다. 공업 생산의
정체가 진행되는 가운데 예전에 과잉으로 융자를 하여 불량 채권을 떠안게 된 금융 기관은 불량 채권의 처리를 위
한 대출금 회수에 나섰고, 대출금 회수는 대출자들을 도산으로 몰아넣었다. 특히 중소기업은 극심한 자금난에 시
달리게 되었고, 대기업 중에도 도산하는 기업이 늘어났다. 실업자도 증가하여 대학을 졸업한 청년들의 취업률이
최저를 기록하였다.

① 무리한 집단 농업화로 생산력이 저하되었다.


② 제2차 석유 파동으로 경제적 위기를 겪었다.
③ 외화 부족으로 인해 외환 위기가 발생하였다.
④ 한·일 수교에 따른 경제 협력 자금이 유입되었다.
⑤ 거품 경제가 붕괴하여 부동산 가격이 폭락하였다.

10 (가), (나)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238 <동아시아 자본주의 국가의 1인당 국민 총소득(GNI) 변화>
(달러)
50,000

40,000 한국

30,000

20,000

10,000

0
1971 ’73 ’75 ’77 ’79 ’81 ’83 ’85 ’87 ’89 ’91 ’93 ’95 ’97 ’99 2000 ’01 ’05 ’07 ’09 ’11 ’13 (년)
- 한국은행, 2016 -

① (가) - 경제 발전을 위해 천리마 운동을 추진하였다.


② (가) - 2001년 세계 무역 기구(WTO)에 가입하였다.
③ (나) -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 제조업이 발달하였다.
④ (나) - 합영법을 제정하여 외국 자본을 유치하고자 하였다.
⑤ (가), (나) - 1990년대 남순 강화를 통해 개혁을 가속화하였다.

176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_Ⅴ. 오늘날의 동아시아


정답과 해설 54쪽

11 (가)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015-0239
이 사진은 중국에서 (가) 운동 대중을 동원해서 생산력을 늘리
당시 철강 생산을 늘리기 위해 농촌 려고 했지만 자연재해와 생산
에 만든 용광로의 모습이야. 의욕 저하 등으로 실패하였어.

① 미국의 원조 물자에 기반을 두었다.


② 외국 자본을 유치하기 위한 시도였다.
③ 55년 체제가 붕괴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④ 농업의 집단화를 위해 인민공사를 조직하였다.
⑤ 농업, 국방 등의 4대 부문 현대화를 추진하였다.

12 다음 사건이 일어난 시기 동아시아의 상황으로 옳은 것은?


20015-0240
광주 일대에서 발생한 비참한 유혈 충돌은 나라의 앞날을 위태롭게 하는 중대한 사태가 아닐 수 없다. 국토 방위
를 위하여 전력을 비축해야 할 국군이 그들의 부모 형제와 다를 바 없는 국민과 맞서 밀고 당기다가 마침내는 유
혈 충돌에 이르러 수많은 사상자를 내게 된 오늘의 비통한 현실 앞에서, 나는 정치인으로서 무거운 책임을 느끼며
심히 우려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 …… 계엄군이 폭력적인 행동으로 사태를 악화시킨 일이나, 비폭력적 시민 저
항이 무장 대결로 변화한 것은 지극히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① 북한에서 사회주의 헌법이 제정되었다.


② 한국에서 금강산 관광 사업이 시작되었다.
③ 마오쩌둥의 주도로 문화 대혁명이 전개되었다.
④ 민진당 후보인 천수이볜이 총통으로 당선되었다.
⑤ 일본에서 자민당과 일본 사회당의 양당 체제가 지속되었다.

수능 마스터 177
연표로 이해하는 동아시아사
연대 주요 사건

기원전

10000년 10000년경 중국, 신석기 문화 시작
~ 한국, 신석기 문화 시작★ ▲ 훙산 토기 랴오

▲ 빗살무늬 토기

     8000년경 일본, 조몬 토기 사용★ 랴오허강 유역에서 발달


하였고, 기하학적 무늬가
훙산 문화
강 초기에는 덧무늬 토기 등이
만들어졌으며, 이후 신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빗살무늬
있는 토기가 만들어졌다. 토기가 만들어졌다.
▲ 양사오 토기 동해
한반도 조몬 문화
황허강 중류 지역에서 발 다원커우 문화 신석기 문화
달하였고, 무늬가 그려진 양사오 문화 황허강 황해
채도가 만들어졌다.

허무두 문화
2333 고조선 건국 창
장 강 동중국해

1600년경 상 성립 ▲ 조몬 토기
표면에 새끼줄 무늬가
새겨진 토기 등이 제작
기원전 ▲ 다원커우 토기 ▲ 돼지 그림 토기
되었다.

1000 11세기경 주 건국 황허강 하류 지역에서 발달


하였다. 후기에 양사오 문화와
창장강 하류 지역에서
발달하였다. 흑도, 홍도
함께 룽산 문화로 발전하였다. 등이 제작되었다.

▲ 동아시아의 신석기 문화
770 주의 동천, 춘추 시대 시작

고조선
연 동해

403 중국, 전국 시대 시작(~221)★ 위

강 제 황해


3세기경 일본, 야요이 문화 시작 진


(秦) 초



동중국해
221 진, 중국 통일
전국 7웅
202 한 건국
기원전
▲ 전국 시대의 형세
200 200 백등산 전투
★묵특이 흉노의 선우가 된 후 종종 한의 땅을 넘나들며 침범하였다. 한이
198 한 고조, 흉노와 화친★
이를 우환으로 여겨 종실의 공주를 묵특 선우의 연지로 삼게 하고, 비단과
술, 식량 등을 매년 보내고 형제의 나라가 되기로 약속하였다.
108 한 무제의 침입으로 고조선 멸망

위 5호 16국 동위 북제
북위
후한

기원후 진
8 왕망, 신 건국 촉 서위 북주

25 광무제, 후한 건국 오 동진 송 제 양 진(陳)

남북조 시대
▲ 위·진·남북조 시대

100 유연
고구려

220 후한 멸망 토욕혼
동해
북위
백제신라
백제신라 왜
황해 가야

372 고구려, 불교 수용·태학 설립


송 동중국해

427 고구려, 평양 천도
439 북위의 화북 통일, 남북조 성립★ 남중국해 북위의 최대 영역
송의 최대 영역
475 백제, 웅진 천도 ▲ 5세기경 동아시아 형세

178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


연대 주요 사건

589 수, 남북조 통일
593 왜, 쇼토쿠 태자의 섭정 시작
★일본은 당의 율령을 참고하여 701년 다이호 율령을 반포

하였다. 중앙 관제로 2관 8성제를 운영하였고, 제사를 담당


600
하는 신기관을 두어 일본 율령의 독자성을 나타냈다.
618 당 건국
645 왜, 다이카 개신 단행
660 백제 멸망
668 고구려 멸망 상경

676 신라, 삼국 통일 발해

698 발해 건국
동해

701 일본, 다이호 율령 반포★ 황해


신라
일본
금성
710 헤이조쿄 천도(나라 시대 시작)★ 장안 헤이조쿄


동중국해
752 도다이사 대불 완성
수도

788 신라, 독서삼품과 실시 ▲ 8세기 동아시아 형세

794 헤이안쿄 천도(헤이안 시대 시작)


★신라에서 국학의 학생들을 유교 경전 이해 능력

에 따라 3등급으로 구분하여 관리 선발에 참고한


800
제도이다.
828 신라, 청해진 설치

894 일본, 견당사 파견 폐지


★5대 10국은 10세기경 화북 지역에 차례로 나타났던 다섯
907 당 멸망, 5대 10국 시대 시작(~979)★ 왕조(후량, 후당, 후진, 후한, 후주)와 화북의 일부 및 그 외 중
916 거란 건국 국 지역에 세워졌던 10개의 지방 정권을 의미한다.

918 고려 건국
926 발해 멸망 ★거란(요)은 936년 석경당이

935 신라 멸망 후당을 멸망시키고 후진을 건


★ 국할 때 원조한 대가로 연운
936 거란(요), 연운 16주 장악 16주를 차지하였다. 지금의 베
958 고려, 과거제 실시 이징 일대를 포함한다.

960 송 건국
거란(요)
1000
동해
서하
1004 전연의 맹약 체결 고려
황해 일본
1019 고려, 강감찬의 귀주 대첩
토번
1069 송, 왕안석의 신법 시행★ 송 동중국해

대리
1115 금 건국
대월

▲ 11세기 동아시아 형세

연표로 이해하는 동아시아사 179


연표로 이해하는 동아시아사

연대 주요 사건

1127 남송 수립★
동해
중도(베이징) 개경
서하
고려
금 황해

1170 고려, 무신 정변
임안
동중국해
(항저우)
1185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가마쿠라 막부 수립★ 남송

대리
1200
1206 칭기즈 칸, 몽골 통일★
남중국해
대월

▲ 12세기 동아시아 형세

1271 원 성립
주치 울루스
1274 몽골과 고려 연합군의 일본 1차 침입 키예프 카라코룸
에밀
1279 남송 멸망, 원의 중국 통일★ 타브리즈
차가타이 울루스
사마르칸트
원 대도
동해
장안 고려 일본
훌라구 울루스 황해
1281 몽골과 고려 연합군의 일본 2차 침입 바그다드 항저우
호르무즈
파간 광저우
아라비아 인도
대월 태평양
아라비아해 벵골만
참파
1336 아시카가 다카우지, 무로마치 막부 수립★ 몽골 제국의 최대 영역

▲ 몽골 제국의 영토 확장
1368 명 건국

1392 고려 멸망, 조선 건국
아시카가 요시미쓰, 남북조 통일

1400
1404 무로마치 막부, 명과 감합 무역 시작(~16세기 중엽)
1405 정화의 항해(~1433)
1421 명 영락제, 베이징 천도

1467 오닌의 난(~1477), 이후 센고쿠 시대 시작

무로마치 막부
에도 막부
1543 일본, 포르투갈 상인으로부터 조총 수용
에도
1550 명, 타타르부의 침략으로 베이징이 포위당함 교토 가마쿠라

가마쿠라 막부
1592 임진왜란 발발
1597 정유재란 발발(~1598)
▲ 일본 막부의 소재지
1600 1603 도쿠가와 이에야스, 에도 막부 수립★
1609 기유약조 체결★ ★조선과 쓰시마 도주가 맺은 조약이다. 매

년 쓰시마에서 조선에 보내는 세견선(무역


1616 후금 건국 선)을 20척으로 제한하고, 조선에 파견하
는 모든 배는 쓰시마 도주의 공식 문서를
1623 조선, 인조반정
갖고 있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180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


연대 주요 사건

1627 정묘호란★ 백마산성


용골산성

1636 후금, 국호를 청으로 바꿈, 병자호란(~1637)
안주
능한산성
가도 맹산
1641 네덜란드 상관을 나가사키의 데지마에 설치 동해

★청이 해안 주민과 반청 세력의 접촉을 평양


1644 명 멸망
막기 위해 해안에 거주하는 사람을 내륙 황해
1661 천계령 선포(~1684)★ 으로 강제 이주시킨 조치이다. 이후 청은 평산 토산

삼번의 난과 타이완의 정씨 세력을 진압 정묘호란 때의 침입로 김화


개성
한 뒤 1684년 천계령을 해제하였다. 병자호란 때의 침입로
정묘호란 때의 주요 격전지 강화도 한성
병자호란 때의 주요 격전지 남한산성
1757 청, 대외 교역을 광저우로 한정 산성 수원

1774 “해체신서” 간행 ▲ 정묘호란·병자호란의 전개

1800
★크리스트교의 영향을 받아 배상제회를 조직한 홍수전

이 일으킨 봉기이다. 태평천국을 세우고 난징을 수도로


1840 제1차 아편 전쟁(~1842) 삼아 개혁을 주장하여 농민의 지지를 받았으나, 서양의
개입과 한인 관료·신사층 등에 의해 진압되었다.
1842 난징 조약 체결★
1851 태평천국 운동(~1864)★ ★일본이 문호를 개방하게 된 조

약으로 시모다ㆍ하코다테의 2개
1854 미·일 화친 조약 체결★ 항구 개항, 미국 선박에 대한 식
량ㆍ연료ㆍ식수 공급, 최혜국 대 강화도 조약(1876)
1858 미·일 수호 통상 조약 체결 우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1868 메이지 유신 단행 난징 조약(1842) 동해
조선 일본
황해
1871 청·일 수호 조규 체결 강화도 가나가와

이와쿠라 사절단 파견(~1873) 난징


청 미·일 화친 조약(1854)
1876 강화도 조약 체결★
1879 오키나와현 설치 남중국해

베트남
1882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체결, 임오군란
사이공 제1차 사이공 조약(1862)
1884 청·프 전쟁(~1885)
갑신정변 ▲ 동아시아의 개항
1889 대일본 제국 헌법(메이지 헌법) 공포
1890 일본, 교육 칙어 반포 평양 전투
(1894. 9.)
1894 동학 농민 운동, 갑오개혁
평양 원산
청·일 전쟁(~1895)★
다롄
뤼순 동해

1895 조선, 교육입국 조서 반포 웨이하이웨이 한성


황해
을미사변, 을미개혁 웨이하이웨이 전투
(1895. 2.)
1897 대한 제국 수립 부산

풍도 해전
(1894. 7.)
1899 의화단 운동(~1901) 시모노세키

대한국 국제 공포, 경인선 개통


일본군의 이동로
격전지
1900 1901 신축 조약(베이징 의정서) 체결 ▲ 청·일 전쟁의 전개

연표로 이해하는 동아시아사 181


연표로 이해하는 동아시아사

연대 주요 사건

1904 러·일 전쟁(~1905)★ 봉천 전투 압록강 전투


(1905) (1904)
1905 경부선 철도 개통식, 포츠머스 조약 체결 회령
봉천
을사조약 체결 베이징
의주
다롄 평양
뤼순
동해
1908 청, 흠정 헌법 대강 발표 황해
인천
한성 울릉도독도 동해 해전
일본, 뤼순 공격 (1905)
(1904. 2.~1905. 1.) 도쿄
1910 일본, 대한 제국의 국권 강탈
일본, 제물포 공격
(1904)
1911 신해혁명

1912 중화민국 수립

함대
발트
1915 일본, 중국에 ‘21개조 요구’ 제시 러시아의 발트 함대 진로

▲ 러·일 전쟁의 전개
1919 파리 강화 회의(~1920), 3·1 운동, 5·4 운동
1920
1921 워싱턴 회의(~1922)
일본군의 진로

1924 제1차 국·공 합작


루거우차오 사건 발발
1926 북벌(~1928)
베이징
톈진 동해
황해
1931 만주 사변 시안 칭다오

난징
1932 만주국 수립 충칭 한커우 상하이

1934 중국 공산당, 대장정 시작 창사


동중국해

1936 시안 사건
홍콩
광저우
1937 중·일 전쟁 발발★
제2차 국·공 합작 ▲ 중·일 전쟁의 전개

북한군 남침 한국군·유엔군 반격 중국군 개입


(1950. 6.~9.) (1950. 9.~11.) (1950. 10.~1951. 1.)
1940 1941 태평양 전쟁 발발 중국 중국
청진
중국
흥남
1943 카이로 회담 평양 동해 원산 동해 평양 원산 동
평양

1945 얄타
 회담, 포츠담 선언, 미국이 일본에 원자 폭탄 투하, 서울
38°
서울
38° 서울 3

소련의 대일전 참전, 일본의 무조건 항복(8·15 광복) 황해


대전
대구 황해 황해
부산 부산 부산
1946 신헌법(평화 헌법) 공포
제주도 제주도 제주도
1948 대한민국 정부 수립
북한군 남침 한국군·유엔군 반격 중국군 개입 전선 교착·정전
(1950. 6.~9.) (1950. 9.~11.) (1950. 10.~1951. 1.) (1951. 1.~1953. 7.)
1949 중화 인민 공화국 수립 중국 중국
청진
중국 중국
청진

흥남
1950 1950 6·25 전쟁 발발★ 원산
평양 동해 평양 동해 평양 원산 동해 평양 동해

판문점
1951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미·일
서울 안전 보장 조약 체결 서울 38° 38° 서울 38° 38°
서울
대전
황해 대구 황해 황해 황해
부산 부산 부산 부산

제주도 제주도 제주도 제주도

▲ 6·25 전쟁의 전개 과정

182 EBS 수능특강 동아시아사


연대 주요 사건

1953 6·25 전쟁의 정전 협정, 한·미 상호 방위 조약 체결


★북위 17도선을 군사 분계선으로 베트남의
1954 제네바 협정★ 남북 분할을 결정하였다.

1955 일본, ‘55년 체제’ 시작★


자유당
일본 사회당 일본 사회당
1960 1960 한국, 4·19 혁명 좌파 우파
일본 민주당
1961 한국, 5·16 군사 정변
1962 한국,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실시(~1966)
1964 통킹만 사건 일본 사회당 자유민주당

1965 한·일 기본 조약 체결
1966 문화 대혁명(~1976)
<북부> <남부>
베트남 민주
1970 1971 중국, 유엔 가입 공화국 프랑스의
(1945, 간섭
1972 미국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 북베트남)

중·일 국교 수립
베트남
한국, 10월 유신 공화국(1955)

1973 파리 평화 협정 체결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1976, 베트남 통일)

1976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베트남의


국가 변천
1978 중국,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정책 시작
1979 미·중 국교 수립

1980 1980 한국, 5·18 민주화 운동 ★1985년 9월 미국의 주도로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5개국의

장관들이 맺은 합의이다. 일본 엔화와 독일 마르크화 평가 절상을


1985 플라자 합의★ 통한 미국 달러화 강세 완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였다.

1987 한국, 6월 민주 항쟁
★정치 개혁을 실시하다가 실각한 후야오방의 사망에 따른 추도 활
1989 톈안먼 사건★ 동이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시위로 확산된 것으로 베이징의 톈안먼
광장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덩샤오핑을 비롯한 집권 세력이 사회
1990 1992 한·중 국교 수립 주의 기본 원칙을 고수해야 한다면서 군인들을 동원하여 유혈 진압
하였다.
1993 일본, 비자민당 연립 정권 성립(‘55년 체제’ 붕괴)
1997 한국, 외환 위기 발생
2000 2000 한국, 제1차 남북 정상 회담
2001 중국, 세계 무역 기구(WTO) 가입 2000년 2015년
(억 달러) 한국 (억 달러) 한국

128 903 256


2009 일본, 민주당 집권 205
185 318 1,371 459
2010 중국,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
417 1,357
중국 일본 중국 일본
2012 일본, 자민당 집권
415 1,430
- 한국 무역 협회, 일본 무역 진흥 기구, 2016 -

▲ 동아시아 역내 교역의 변화

연표로 이해하는 동아시아사 183


인용 사진 출처

ⓒMichael Du / chinahongshanculture.com 용 모양 옥기(9, ⓒLou-Foto / Alamy Stock Photo / booknfoto 전국 시대 한


11, 21쪽) 화폐(17쪽)
Banpo basin with human face and fish designsⓒProf. Gary ⓒRobert Kawka / Alamy Stock Photo / booknfoto 전국 시대
Lee Todd/wikimedia CC BY-SA 4.0 양사오 토기(7, 9, 12쪽) 초 화폐(17쪽)
Dawenkou Gui DazhucunⓒMountain/wikimedia CC BY-SA Knife Cions of QiⓒBaomi/wikimedia CC BY-SA 4.0 전국 시
3.0 다원커우 백도(9쪽) 대 제 화폐(17쪽)
ⓒ연합뉴스 돼지 그림 토기(7, 9, 11, 12, 14쪽), 갑골문(16, 21쪽), 톈 ⓒ유금와당박물관  한병천하 와당(21쪽)
안먼 사건(167쪽) ⓒNational Land Image Information / Color Aerial
ⓒGranger Historical Picture Archive / Alamy Stock Photo / Photographs 다이센 고분(32쪽)
booknfoto 동탁(15, 21, 23쪽) ⓒ문화재청 임진왜란 당시 교지(82쪽)
ⓒ국립중앙박물관 반달 돌칼(15쪽) ⓒrm-T9 / Topicimages  판소리(99쪽)
ⓒLou-Foto / Alamy Stock Photo / booknfoto 전국 시대 위 ⓒGeraint Lewis / Alamy Stock Photo / booknfoto  가부키
화폐, 전국 시대 조 화폐(17쪽) (103쪽)
Knife Money YanⓒDavidhartill/wikimedia CC BY-SA 3.0 전 Battle of jinan posterⓒRolfmueller/wikimedia CC BY-SA
국 시대 연 화폐(17쪽) 3.0 지난[濟南] 전투의 승리(157쪽)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