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2023학년도, 고등학교 학생부 소인수 과목

2020학년도 1학기

간호학과

기본간호학 2 상처간호
9차시 피부통합성과
17장. 활동과 운동

담당교수 백경화
담당교수: 백경화
1 8_9차시, 수업 목표
학습목표 『피부통합성과 상처간호』

1. 피부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한다.

2. 상처의 유형에 대해 이해하고 상처상태를 파악한다.

3. 욕창 발생의 원리를 이해하고 위험요인을 설명한다.

4. 상처 및 욕창간호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평가한다.


4 간호수행

1) 체위
·물리적 압력 완화 체위
·체위변경은 매 2시간마다 수행
·앉은 자세 – 15분마다 무게중심 이동
예. 앞으로 구부리는 자세, 좌우로 기울이는 자세, 뒤로 기울이는 자세

2) 등 마사지
·욕창을 예방하는 방법
·압력을 완화하고 혈액순환을 촉진
·목욕 후 시행
·피부손상 징후 관찰 기회
4 간호수행

2) 등 마사지 방법
① 경찰법
양 손바닥으로 피부를 가볍게 누르면서
문지르는 방법
마사지 시작과 끝에 시행

② 유날법
어깨근육과 목근육을 부드럽게 잡고
주무르는 방법
연부조직을 잡고 근육과 피부 사이가
움직이도록 비틀어줌
4 간호수행

2) 등 마사지 방법
③ 지압법
척추부위와 뼈 돌출부위를 엄지나
다른 손가락으로 힘을 주면서
원형동작으로 압박하는 방법

④ 경타법
손이나 손가락으로 등을 가볍게
두드리는 방법이다.
4 간호수행

3) 상처 드레싱
드레싱의 목적
·상처치유를 증진하도록 배액을 흡수
·외부환경, 기계적 외상으로부터 상처 보호
·출혈예방, 지혈 및 상처 가장자리 접합
·안위 도모

드레싱의 조건
·생리학적 환경 유지
·가스교환 원활
·세균감염 방지
·삼출물 제거
·육아조직, 상피화 조직 손상 없이 드레싱 제거
·체온과 가까운 온도 유지
4 간호수행

3) 상처 드레싱
드레싱의 목적
드레싱 설명 예
거즈 가장 흔한 흡수성 드레싱
생리식염수로 적셔서 제거
외과적 절개 및 지혈 위한 압박
삼출물 흡수
투명 필름 접착성 폴리우레탄 필름
비흡수성 드레싱
방수, 세균 막, 가스 투과
상처 관찰 용이
하이드로 흡수성 반폐쇄 드레싱
7일 유지
콜로이드
삼출물 흡수, 상처 연화
ex)여드름 패치

폴리우레탄 폼 흡수층과 보호층 2중 구조


바깥층은 반투과성 필름, 내부는 친수성 폴
리우레탄 재질
2차 드레싱 필요
4 간호수행

3) 상처 드레싱
드레싱의 목적
드레싱 설명 예
칼슘알지네이트 알긴산(alginic acid) 칼슘염 성분의 비접착
성 드레싱
흡수력 탁월
지혈효과
하이드로파이버 흡수력 우수
상피화 과정 촉진
2차 드레싱 필요

실버 은이온이 함유된 흡수성 항균드레싱


은이 단백질 분해효소 활동 감소
항염효과
4 드레싱 적용 & 상처 세척
5 기구나 장치와 관련된 욕창
Device Related Pressure Injuries

목이나 무릎의 보조기 착용

산소공급장치

관의 잠금장치

코에 삽입된 관

클립

밴드

인공호흡기 관
6 의료용 점착제 관련 피부손상
Medical Adhesive Related Skin Injury(MARSI)

의료용 점착제 제품

테이프, 상처드레싱 제품

약물 패치

전극(electrodes)

장루제품

피부와 의료용 점착제 사이의 부착력이 개별 세포 사이의


부착력보다 강하여 표피층이 분리되거나 진피로부터
표피가 분리될 때 발생
6 의료용 점착제 관련 피부손상
『 의료용 점착제 제품 제거법 』

드레싱의 가장자리를 부드럽게 들어올린다.

반대편의 손으로 드레싱이 제거 되는 부위를 눌러서 피부가 당겨 올라가지 않도록 지


지한다.

드레싱을 부드럽게 잡아주며 가능한 피부 가까이서 제거한다.

천천히 드레싱을 제거하되 모발이 자라난 방향으로 제거하며 피부와 같은 방향으로


제거한다.

필요한 경우 점착 본드 제품을 점착제 리무버로 제거한다. 사용방법은 제조사의 사용


법을 따른다.
4 욕창 예방을 위한 간호사의 노력

3) 욕창 예방 간호지침
간호수행 매일 대상자의 피부를 조사함. 특히 뼈 돌출부위를 주의 깊게 관찰함

피부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 순한 세척제 사용, 마찰은 적게, 뜨거운 물


사용 금지

건조한 피부에는 습기 있는 환경 유지하고 피부보습제 사용

뼈 돌출부위는 마사지 피함

실금이나 상처 분비물과 관련된 습기로부터 피부 보호

올바른 체위변경, 자세 돌리기 그리고 대상자 이동 기술 요구

단백질, 칼로리 섭취가 부족한 이유를 조사하여 충분한 영양 섭취

움직임과 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력을 계속함

욕창 예방과 중재방법 그리고 그 결과를 기록함


2023, 간호의 기초

9차시 수업 종료,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