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Lesson

Lesson 01
01 영미권 문화 능률((김))
Kitchens on Wheels 이동식 주방

자동차, 탈것 사실 오래 (계속)된
Buying food out of a vehicle is actually a long-standing American 자동차에서 음식을 사는 것은 사실 오
래된 미국식 전통이다. - Jaya Saxena
tradition. - Jaya Saxena

장비를갖춘
1. A food truck is a large vehicle equipped to cook and sell food. 1. 푸드트럭은 음식을 조리하고 판매하
기 위해 장비를 갖춘 대형 차량이다.
미리 포장(준비)된 탑재한
2. Some sell frozen or pre·packaged food; others have onboard 2. 어떤 것은 냉동이나 미리 준비된 음
식을 팔고; 또 어떤 것은 차량 내에
처음부터
kitchens / and prepare food from scratch. 주방을 갖추고 & 처음부터 음식을
장만하기도 한다.
지역의
3. 샌드위치, 햄버거, 감자튀김, 그리고
3. Sandwiches, hamburgers, fries, and other regional fast food 여타 지역별 패스트푸드 음식들이
음식 일반적인
일반적이다.
dishes are common.
4. 푸드트럭들은 그 자체로 인기 있는
그 자체로 사업이거나, 아니면 좀 더 큰 뭔가
4. Food trucks have become a popular business in itself / or a 를 위한 발판이 되었다.
발판, 초석
stepping stone to something bigger. 5. 또한, 그것들은 TV 프로그램과 영화
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5. They are also found in TV shows and movies.

아주
6. The food trucks we see today seem quite new and 6. 오늘날 우리 눈에 띄는 푸드트럭들
현대적인 은 아주 새롭고 현대적인 것처럼 보
contemporary. 인다.

7. 사실상, 푸드트럭의 역사는 아주 오


7. In fact, the history of the food truck is quite long. 래되었다.

실내의 사실 최근의 8. 사실 실내 식당에서의 식사는 [수레


8. Eating in an indoor restaurant / is actually a more recent 나 트럭 같은 임시 설비에서 음식을
발상, 개념 = concept 임시의, 일시적인 설비 사먹는 것보다] 좀 더 최근에 생겨
concept / than that of buying food from a temporary setup 난 발상이다.
such as a cart or a truck. 9. 미국인들은 [거리에서 음식을 먹는
것을] 항상 아주 편안하게 여겼다.
9. Americans have always been quite comfortable
/ / getting their
10. 비록 별칭은 “바퀴벌레 마차들”이
food on the streets. 라고 붙었지만, 푸드트럭은 미국에
서 오랫동안 사람들 가까이에 있어
바퀴벌레 4륜마차 왔다.
10. Being nicknamed “roach coaches,” food trucks / have been
11. [텍사스 취사 마차, 열성적인 한국
around / for years / in America. 식 타코 사업가, 그리고 미식가 열
풍이 어떻게 푸드트럭들의 인기와
취사 마차 열성적인
장래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었는
11. Here / we take a look at [how / Texas chuck wagons, a keen 지] 여기서 한 번 들여다보기로 하
사업가, 기업가 미식가 열풍, 붐
자.
Korean taco entrepreneur, and the gourmet boom / helped /
확보하다 장래성
secure their popularity and prospects].

명/품/수/학/영/어
- 1 -
Lesson
Lesson 01
01 영미권 문화 능률((김))
Origins 기원

기원 거슬러올라가다 12. 미국의 현대식 푸드트럭의 기원은


12. The origin of modern American food trucks / can be traced / [미국 남북전쟁 이후 소고기가 호황
~까지 취사마차 남북전쟁 이후 을 이뤘던 시기에 생겨난 텍사스
to the Texas chuck wagon born during the post-Civil War 취사 마차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소(고기) 붐 할 수 있다.
cattle boom.
13. 1886년, 목장주 Charles Goodnight
은 구식 미 육군 트럭을 개조하여
목장주 개조하다
/ 주방 물품과 커피, 옥수수가루 부
13. In 1886, Charles Goodnight, a cattle man, remodeled an old 대들, 베이컨, 그리고 소금에 절인
미 육군 주방 물품 저장이 쉬운
소고기처럼 저장이 쉬운 음식들을
U.S. Army truck / with kitchen supplies and easy-to-store food 구비했다.
옥수수가루 부대 소금에절인 소고기
like coffee, sacks of corn·meal, bacon, and salted beef. 14. 목장 인부들을 먹이고 관리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취사 마차가 발명되
먹이다 관리하다 목장 인부들 (결과를)초래하다 었던 것이다.
14. The need to feed and care for crews of cowhands resulted in
(취사)마차 15. 거의 같은 시기에, 미국 동부 해안
the invention of the wagon. 에서는 Walter Scott이라는 노점상
이 ❶작은 포장마차에 창을 낸 다
거의 노점상 음 ❷로드아일랜드주의 프로비던스
15. Around the same time, on the east coast, a street vendor 소재 지역 신문사 앞에 주차시켰다.
~에 창을 내다 포장마차
16. 월터가 안쪽에 앉아 있으면, 기자와
named Walter Scott ❶ cut windows into a small covered wagon
인쇄공들이 찾아와 그 트럭에서 샌
주차시키다 지역 신문사
드위치, 파이, 그리고 커피를 샀다.
❷and parked it in front of a local newspaper office in
Providence, Rhode Island.
기자 인쇄공
16. Walter sitting on a box inside, journalists and press·men /

came and bought / sandwiches, pies and coffee / from the


wagon.

직접(즉각)적인 계보, 선 그려질 수 있다


17. A more immediate line / can be drawn / between ice cream 17. 좀 더 직접적인 계보는 [아이스크림
~로 고급음식 선택권 과 타코 트럭에서] [현재 우리가 보
and taco trucks / to the gourmet options we see now. 는 고급 음식 트럭(선택권)들로] 이
을 수 있다.
18. “As a kid growing up in Los Angeles, when I thought of
/ 18. “어린 아이 때 로스앤젤레스에서
food trucks, I thought of taco trucks,” said Phil Shen, 자란 나는 푸드트럭을 생각하면 타
공동저자 코 트럭이 떠오릅니다.” 「푸드트럭
co·author of Food Truck Road Trip: A Cookbook. 의 도로 여행: 요리책」의 공동 저
자 Phil Shen의 말이다.
믿다 ~라고
19. Some people credit Raul Martinez of King Taco as the first 19. 어떤 사람들은 [타코 왕의 Raul
Martinez가] [이 아이디어를 처음으
개척하다 개념
to pioneer the concept. 로 개척한 인물이라고] 믿고 있다.

20. Martinez는 [1974년 이스트 로스앤


바꾸다, 개조하다 ~로
젤레스에서] ❶오래 된 아이스크림
20. Martinez converted an old ice cream truck into a kitchen ❷

트럭을 부엌으로 개조해서 ❷타코
and began selling tacos / out of it / in East Los Angeles / in 를 팔아 치우기 시작했다.
1974. 21. 비록 그 주변에 멕시코 음식을 파
는 이동식 주방들이 있었지만,
이동식
Martinez의 개조된 아이스크림 트
21. Though there were mobile kitchens selling Mexican food 럭이 “타코 트럭”이 태어나게 된 방
개조된 = the way 식이다.
around, Martinez’s converted ice cream truck is how the “taco
truck” was born.

명/품/수/학/영/어
- 2 -
Lesson
Lesson 01
01 영미권 문화 능률((김))
이행
Transition into Street Gourmet
거리의 미식가로의 이행
22. [When Mark Manguera and his friend, chef Roy Choi, ❶ 22. Mark Manguera와 그의 친구인 셰
opened a Korean BBQ taco truck, Kogi, in 2008 ❷ and hit the 프 Roy Choi가 ❶2008년에 한식
풍토, 기후 바비큐 타코 트럭인 Kogi를 열고
streets in L.A.], it forever changed the food climate. ❷LA 거리를 히트쳤을 때, 그것은
음식의 풍토를 영원히 바꿔버렸다.
~을 생각해내다 섞다, 결합하다
23. They came up with the idea of combining Korean-style meat 23. 그들은 한국식 고기를 멕시코식 타
코와 섞는 생각을 내놓았다.
with Mexican tacos.
24. 들고 다닐 수 있고 가격이 적당한
들고다닐수있는 가격이 적당한 접근하기 쉬운 타코는 [빠르고 맛좋은 요깃거리를
24. Portable and affordable, the taco was fun, accessible and 찾는 고객들에게는] 즐거움을 주고,
딱 맞는 ~에게 고객, 손님 ~을 찾고있는 구하기 쉬우며, 안성맞춤이었다.
perfectly suited to the customers who were in search of a
25. 또한, Kogi는 [푸드트럭이 이제는
요깃거리
quick and tasty bite. 사람들이 독특하면서 식당 품질의
음식을 구할 수 있는 장소라는 것
을] 입증하기도 했다.
입증하다
25. Kogi also proved [the food truck was now a place where
품질
people could get unique, restaurant quality food].

~에 열광하다 주저하다 형성하ek


26. People ❶went crazy for it ❷and did not hesitate / to form
한블록 길이의 줄 심지어 26. 사람들은 ❶그것에 열광했으며, ❷
a block-long line / even before the truck showed up. [심지어 그 트럭이 나타나기도 전
에] 주저 없이 한 블록 길이의 줄
주차하다 을 섰다.
27. How did people know / the truck would be parked there?
27. 사람들은 [어떻게 그 트럭이 거기
개척하다 공생관계 ~와 에 자리를 잡으리란 것을] 알았을
28. Kogi pioneered the food truck’s symbiotic relationship with 까?
~을 활용하다
social media, being one of the first food trucks to utilize SNS 28. Kogi는 소셜 미디어와 푸드트럭의
~을 홍보하다 위치 공생 관계를 개척했으며, 자신의
/ to promote their location. 위치를 홍보하기 위해 SNS를 활용
한 최초의 푸드트럭들 가운데 하나
훌륭한 였다.
29. Since then, food trucks have become a respectable way for
패기(야심)있는 시작하다 일 29. 그 이후로, 푸드트럭들은 패기 있
aspiring chefs to launch their careers. 는 셰프들이 자신들의 일을 시작하
는 훌륭한 방편이 되었다.
~에비해
30. The biggest advantage food trucks have / over traditional 30. 푸드트럭이 전통적인 점포형 식당
점포형의 비용 들에 비해 갖는 가장 큰 이점은 아
brick and mortar restaurants is very low costs. 주 낮은 비용이다.

31. 자신의 음식을 전 세계와 공유하기


31. New chefs who want to share their food with the world / use 를 원하는 새로운 셰프들은 [좀 더
노출 ~로써 발판, 초석 ~로가는
food trucks / to gain exposure / as a stepping stone / to more 평범한 식당업무로의 발판으로써
평범한, 관습적인
노출되기 위해] 푸드트럭들을 이용
conventional restaurant work. 한다.

32. 이런 경향 덕분에, 식도락가들은


~덕분에
32. Thanks to the trend, food lovers / get to eat / more and 점점 더 다채로운 음식을 아주 싼
다양한
가격에 먹게 된다.
more diverse dishes / for a great price. 33. 머지않아, 만약 어떤 사람이 고급
랍스터 롤이나 유기농 퀴노아 브리
놀라게하다
33. Soon it will shock nobody [if a person says / he got his 토를 “밴에 있는 사람”한테 샀다고
고급의, 정교한 유기농
말하더라도 아무도 놀라지 않을 것
sophisticated lobster roll or organic quinoa burrito from “a 이다.

guy in a van.”]

명/품/수/학/영/어
- 3 -
Lesson
Lesson 01
01 영미권 문화 능률((김))
The Future of Food Trucks 푸드트럭의 미래

= become ~와 거리가 멀어진 단순한 기원 34. 푸드트럭들이 게릴라적인 기원과는


34. Food trucks have grown apart from their mere guerilla roots, 거리가 멀어졌는데, 거기엔 몇 가
= and it 몇몇의 찬반양론 지 찬반양론이 있다.
which comes with several pros and cons.
35. 한편으로는, 더 많은 사람들이 호
의적으로 받아들이고 인기가 높아
한편으로는 수용, 받아들임 인기 ~로 이어지다
지면서 / 지정된 푸드트럭 공간과
35. On one hand, greater acceptance and popularity / have led to
/ 푸드트럭 소유자들의 권리를 지
지정된 공간 협회
원하기 위한 푸드트럭협회가 / 생
/ designated food truck spaces / and food truck associations
겼다.
지원하다 권리
to support the rights of food truck owners. 36. 또 다른 한편으로는, 공식적인 점
검도 증가했는데, 그로 인해 푸드
다른 한편으로는 공식적인 점검, 조사 트럭들이 영업할 수 있는 장소, 시
36. On the other hand, official inspections have also increased, 간, 방식들에 대한 규제들도 늘어
(결과를)초래하다 규제 났다.
which results in more regulation about where, when, and
영업하다 37. 미국 식품회사의 Dennis Lombardi
how food trucks can operate. 부사장은, 자신이 우려했음에도 불
구하도, [푸드트럭 소유자들이 자신
~에도 불구하고 걱정(우려)하는 중역, 간부 들의 장래에 대해 낙관할 만한 이
37. Though he has been concerned, Dennis Lombardi, executive 유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말한다.
부사장 ~에
38. 그는 “푸드트럭들이 식품업계에서
vice president at an American food company, says [food truck
는 여전히 아주 작은 부분에 불과
여전히 낙관적일 수 있는
하기 때문에 푸드트럭은 계속 성장
owners still have a reason to be optimistic for their future]. 할 것이다.”라 말했다.

계속해서 ~하다
38. He said, “The food truck market / will continue to grow /
부분
because food trucks are still a very small fraction of food
업계, 산업
industry.”

명/품/수/학/영/어
- 4 -
Lesson
Lesson 01
01 영미권 문화 능률((김))
Read More Culture

Hot Dog
핫도그
곱게 갈아진
1. A traditional hot dog is a sausage of finely ground pork or 1. 전통적인 핫도그는 곱게 간 돼지고
= and it 삶다 굽다 제공하다 기다란 빵 기 또는 소고기 소시지인데, 그것을
beef, which is boiled or grilled and served / on a hoagie bun 삶거나 구워 [부드러운 하얀 빵인 기
~로 토핑된 소스, 양념 다란 빵에 넣고] [다양한 소스를 얹
of soft white bread / topped with a variety of condiments. 어] 내놓는다.

이동 노점상 2. 그것은 흔히 도시 공원, 운동 경기,


2. Often sold by mobile vendors at city parks, sporting events, 박람회와 동물원에서 이동 노점상들
박람회 여겨지는 ~로 특별한 경우(때) 이 판매하며, // 재미나고, 특별한 때
fairs and zoos, // it is widely seen as a fun, special-occasion 의 음식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food.
비록~이지만 ~이후로 적어도
3. Though sausages have been around / since at least the 9th 3. 비록 소시지는 적어도 기원전 9세기
후반 이후로 우리 주변에 존재해 왔지만,
century BC, // it took late 19th-century German-American // [빵 위에 고기를 아무렇게나 올려
이민자 (올려)놓다 빵 O O.C 놓고 그걸 핫도그라고 부른 건] 19
immigrants [to slap the meat on a bun / and call it a hot 세기 후반의 독일계 미국 이민자들
dog]. 이었다.

~였을지도 모른다
4. 그 이름(그래, 그 속에는 개가 없다!)
4. The name (no, there’s no dog in there!) may have been born 은 소시지와 닮은꼴인 길쭉하고 깡
유사성, 닮음 ~와 깡마른 마른 닥스훈트 개에서 유래했는지도
from the sausage’s resemblance to long, skinny dachshund 모를 일이다.
dogs.

Vegemite 베지마이트
~라고 여기다 ~의 일부
5. Vegemite has been considered / as much a part of Australia’s 5. 베지마이트는 [캥거루 못지않게] 호
유산 주 유산의 일부로 여겨져 왔다.
heritage as kangaroos.
6. 그것은 주로 맥주 양조 과정에서 나
~로 이루어진 주로 농축된 추출물 온 잔존물인 농축 이스트 추출물로
6. It is a spread comprised mainly of concentrated yeast extract 이루어진 스프레드이지만, // 희망을
잔존물 맥주 양조 과정 키우진 마시라, 그게 스프레드를 알
that is leftover from the beer brewing process); but don’t get
( 코올성으로 만들진 않으니까.
알코올성의
your hopes up, that doesn’t make it alcoholic.

7. Vegemite’s creators ❶ recognized [that the yeast extract was a 7. 베지마이트 개발자들은 ❶[이스트
귀중한 원천 첨가하다 다양한 양념 추출물이 비타민들의 아주 귀중한
very valuable source of vitamins] ❷ and added various spices 원천이란 것을] 알아차리고 ❷다양
and vegetable extracts. 한 양념과 채소 추출물들을 첨가했
다.
8. It is very dark reddish brown, almost black, in color. 8. 그것은 아주 진한 적갈색, 거의 검
정색이다.
기르다, 양육하다
9. Australian children are brought up / on vegemite / from the 9. 호주 아이들은 아기 때부터 베지마
time they’re babies. 이트를 먹으며 자란다.

~라고한다 10. 호주 사람들은 [베지마이트를 구할


10. It is said [that Australians are known / to travel all over the 수 없을까봐 염려스러워] 짐 속에
적어도 병 최소한 베지마이트 작은 병 하나는
world / with at least one small jar of vegemite in their 넣어가지고 세계 여행을 다니는 것
여행용가방 ~할까봐 두려워서 으로 알려져있다고 한다.
luggage, for fear that they will not be able to find it].

명/품/수/학/영/어
- 5 -
Lesson
Lesson 01
01 영미권 문화 능률((김))
British Tea Time 영국의 티 타임
평균(의) 각각 약 욕조
11. On average, British people each drink about two bathtubs 11. 평균적으로, 영국 사람들 개개인은
~가치가있는 즉 매년 대략 욕조 두 개 분량, 즉 876
worth, or 876 cups, of tea every year. 컵의 차를 마신다.

~로 구축하다 다양한 12. “차의 나라”라고도 알려져 있는 영


12. Britain, also known as “the country of tea,” has built diverse 국은 [역사를 거쳐 오면서] 다양한
관습 차 관습을 구축해 왔다.
tea customs through history.
의식 목격하다 몇몇의
13. These rituals can be observed / at several tea times each day. 13. 이러한 의식들은 [매일 여러 차례의
티타임에서] 목격할 수 있다.
음료 (나팔로)알리다
14. “Breakfast tea” is the drink trumpeting the beginning of the 14. “breakfast tea”는 하루의 시작을
대신(대체)하다 알리는 음료이고, 때때로 사람들의
day, and it sometimes replaces people’s breakfast. 아침 식사를 대신한다.

회사, 기업 제공하다 휴식(시간) 15. 대부분의 영국 기업들은 직원들이


15. Most British companies offer tea breaks / both in the 휴식을 취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며,
O 직원 O.C 증진시키다 궁극적으로는 기업의 생산성을 증
morning and afternoon / to help employees relax, enhance 대시키도록 돕기 위해 오전과 오후
궁극적으로 에 모두 차 마시는 휴식 시간을 제
their health and ultimately increase the company’s 공한다.
생산성
productivity.
아마도 관습
16. Perhaps, however, the most famous British tea custom might 16. 그러나 아마도, 가장 유명한 영국의
be “afternoon tea.” 차 관습은 “afternoon tea”일지도
모른다.
공작부인
17. In the early 1800s, Anna, the 7th Duchess of Bedford, 17. 1800년대 초, 베드포드 7대 공작부
(생각을)떠올리다 약 인 Anna는 [점심과 저녁 식사 사이
conceived the idea of (having tea around four or five in the 에 배고픔의 고통을 물리치기 위해]
물리치다 고통 [오후 네댓 시에 차를 마시는] 방안
afternoon) to ward off the hunger pangs / between lunch and 을 떠올렸다.
dinner.
상류층 ~하곤했다 (옷)갈아입다
18. During the 1880s / upper-class women would change into 18. 1880년대에, 상류층 여성들은 [응접
~을위해 (음식)차리다 실에 차려진 afternoon tea를 위해]
long dresses, gloves and hats / for their afternoon tea catered 롱드레스, 장갑과 모자를 착용하곤
응접실 했다.
for in the drawing room.
19. 스콘, 케이크, 샌드위치, 그리고 여
19. Scones, cakes, sandwiches and other finger foods were 타 손으로 집어 먹는 음식들이 차
제공하다 와 함께 제공되었다.
provided with tea.
20. 비록 이 풍습이 제2차 세계대전
널리 뒤따르다 이후로 널리 뒤이어 행해지지는 않
20. Even though this custom / has not been widely followed / 았지만, // afternoon tea는 여전히
~이후로 대표적인, 전형적인 영국의 대표적인 티타임이다.
since World War II, // afternoon tea is still the representative
21. 간혹, 본래는 작업 공동체와 농업
tea time of Britain. 공동체를 위한 “afternoon tea”에
용어
해당했던 “high tea”란 용어를 들을
21. Sometimes, you might hear the term, “high tea” which was 지도 모르지만, (but) 지금은 오후
본래 대응하는것 ~을위한
5~6시 사이에 갖는 티타임을 가리
originally the counterpart of “afternoon tea” for working and 킨다.
공동체 가리키다
farming communities / but now indicates tea time held 22. 영국 사람들이 심지어는 저녁 식사
후에도 티타임을 갖는다는 점을 감
between 5-6 p.m. 안한다면, // 그들은 차를 삶의 필
수불가결한 부분으로 본다고 말해
~을 고려하면 가
22. Considering they even have time for tea after dinner, // it is 도 과언은 아니다.
과장 여기다 ~로 중요한
no exaggeration / to say [that British people see tea as a vital
part of life].

명/품/수/학/영/어
- 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