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수학 고1 2.

방정식과 부등식

2-1.복소수와 이차방정식
이승연 (chris941@eduzone.co.kr)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
1) 제작연월일 : 2020-12-03
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
2) 제작자 : 교육지대㈜
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1. zb 1) 다음 복소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 복소수 , 를 각각


zb 4 )

허수단위 는 보다 작다.     


 ,      라 할 때,
     
  의 실수부분은 이고, 허수부분은 이다.
    의 값은? (단,   
 , 
 는 의 켤레
   (, 는 실수)가 순허수이면  ≠ ,   이다.
복소수이다.)
의 켤레복소수는 이다.
 
 의 제곱근은 ± 이다.
 

2. zb 2)  이 아닌 복소수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 는  의 켤레복소수이고,  ≠ 
 이다.)

<보기>
5. zb 5 ) 실수가 아닌 복소수  에 대하여  와

 
ㄱ.     를 만족시키는 복소수  는 존재하지 않는  이 모두 실수일 때,    
  의 값은?
  
다. (단,  는  의 켤레복소수이다.)
 
ㄴ. 
      을 만족시키는 복소수  는 무수히 많다. 

ㄷ.  
  을 만족시키는 복소수  는 존재하지 않는  
다. 
ㄱ ㄴ
ㄱ, ㄷ ㄴ, ㄷ
ㄱ, ㄴ, ㄷ


6. zb 6 ) 복소수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의 값은?
  
3.    일 때,        의 값은?
zb 3)

         

(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1 -
2021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최다빈출] 2-1.복소수와 이차방정식

  10.
7. zb 7) 이 아닌 두 실수 , 에 대하여 


   zb 1 0)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은 실근을
갖고, 이차방정식           은 허근을
일 때,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모두 고 갖도록 하는 정수 의 개수는?
른 것은?
 
<보기>
 
ㄱ. 
    
     
ㄴ. 
  
ㄷ. 
 
  

ㄹ. 
  
  
 
ㄱ, ㄴ ㄱ, ㄷ 11.
zb 1 1) 에 대한 이차방정식
ㄴ, ㄹ ㄱ, ㄴ, ㄹ           이 중근을 갖도록 하는

ㄴ, ㄷ, ㄹ   
실수 의 값을 , 라고 할 때,    의 값을
 
구하면?

 
 

8. zb 8)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이 허근 

를 가질 때,  이 실수가 되도록 하는 모든 실수
의 값의 합은?
 
  12.
zb 1 2) 이차방정식           에 대한
 설명으로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 ≠ 이고 , , 는 실수이다.)

<보기>
ㄱ.     이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ㄴ.   이면 중근을 갖는다.

9. zb 9)  부터  까지의 자연수가 각각 적힌  장의 카드 ㄷ.     이면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중에서 서로 다른  장을 뽑아 다음 그림의 빈칸에 ㄱ ㄴ
한 장씩 놓았더니 중근을 갖는 이차방정식이 되었 ㄱ, ㄴ ㄱ, ㄷ
다. 그리고 나서 카드의 위치를 서로 바꾸었더니 서
ㄴ, ㄷ
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 이차방정식이 되었다고 할
때, 뽑은  장의 카드에 적힌 수의 합은?

13.
zb 1 3)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     이 실수  의 값
과 관계 없이 항상 중근을 가질 때,     의 값은?
 
(단, ,  는 상수이다.)
 
 

 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2 -
2021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최다빈출] 2-1.복소수와 이차방정식

14.
zb 14) 에 대한 이차방정식 18.
zb 1 8)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의 두 근의 차가  ≠ , , , 는 실수)에서 근의 공식을
가 되도록 하는 실수 의 모든 값의 합은?  ±   
   로 잘못 알고 풀었더니 두 근이

   
 , 이었다. 이 방정식의 옳은 두 근을 , 라고
 
할 때,    의 값은?

 
 


15.
zb 15) 이차방정식       의 근이 모두 정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 에 대해 순서쌍  의 개
수를 구하면? 19.
zb 1 9) <보기> 에서 옳은 설명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

  은? (단,  는  의 켤레복소수이며,   
  이고
,  는 실수이다.)
 
 <보기>
ㄱ. 복소수          에 대하여   이 실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 의 값은  개이다.
  
 
ㄴ. 복소수      에 대하여    의 값은
 


이다.
16.
zb 16)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의 두 실근의 절댓값은 ㄷ. 이차방정식        의 한 근이   
 일
같고, 부호가 반대일 때, 상수 의 값은? 때,   ,    를 두 근으로 하고  의 계수가 
  인 이차방정식의 상수항은  이다.
  ㄱ ㄱ, ㄴ
 ㄱ, ㄷ ㄴ, ㄷ
ㄱ, ㄴ, ㄷ

17.
zb 17) 이차방정식  의 두 근 , 에 대하여 20.
zb 2 0) 다항식        (, 는 실수)가 다음
    ,   이고, 이차방정식    의 두 조건을 만족시킬 때,   의 값은? (단,
 
두 근의 합이 이고     이다. 이때, 이차방정   
 )
식    의 두 근의 곱은? (단, , 는 실수
 다항식 를   로 나눈 나머지는 이다.
이다.)
 실수 에 대하여 이차방정식   의 한 근은
    이다. (단,  ≠ )
   
  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3 -
2021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최다빈출] 2-1.복소수와 이차방정식

       


   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정답]          
   
[해설] 허수는 대소비교를 할 수 없다.
    


 의 실수부분은 이고,
    
허수부분은  이다.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실수 , 에 대하여   가 순허수이면
      
    ≠ 이다.
∴      
실수 의 켤레복소수는  자기 자신이다.
 의 제곱근은 ± 
  ± 이다. 5) [정답]

2) [정답] [해설] 복소수 는 실수가 아니므로  ≠  이다.



[해설]     라 하자.(단, , 는 실수)
ㄱ.   
  
에서   

  



  



은 실수이므로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을 만족하는 실수 , 는 무수히    
     
많이 존재한다. (거짓)   
     
  
ㄴ.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   

이때    을 만족하는 실수 , 는 무수히



 
는 실수이므로    이다.
   

많으므로 복소수 는 무수히 많다. (참)  
 
ㄷ.  
       에서         

이때     을 만족하는 실수  는    
  
      
존재하지 않는다. (참)   
  

  

 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  
  
   
  
  
3) [정답]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정답]
      
      
다항식       를     로 나누면 [해설]         
        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정답]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이므로
[해설] 


 
  이므로   ,   이다.

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ㄴ.   이므로 
  
ㄷ.   ,   이므로  
  
4) [정답] ㄹ.    ,   이므로     
   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4 -
2021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최다빈출] 2-1.복소수와 이차방정식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ㄹ이다. 판별식을  라고 하자.


ㄱ.            
8) [정답]
           
[해설] 이차방정식         이 허근 를 가

지므로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이면   이다.
                 즉, 주어진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           갖는다.
          ㄴ.   이면  ≥ 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실근을 갖는다.
이때  이 실수이므로       이다.
      에서    또는   이다. ㄷ.   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허근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모든 실수 의 합은 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9) [정답]
13) [정답]
[해설] 만든 이차방정식의 일차항의 계수를 , 상수항
[해설]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 하면
을 라 하자.

방정식       의 판별식을  이라 하면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이 방정식이 중근을 가지므로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식이 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에서   ,    또는   ,   이다.     ,          

한편, 방정식       의 판별식을  라 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면 이 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    
      
14) [정답]
부등식을 만족하는 값은   ,   이다.
[해설]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 
따라서 카드의 적힌 두 수의 합은 이다.
의 두 근의 차가 이므로 한 근을 라고 하면
10) [정답] 다른 한 근은   이다.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해설] 방정식         의 판별식을  라 하
면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   
방정식           의 판별식을  라    이므로           에

하면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대입하면  ×        
따라서 조건을 만족하는 의 범위는    ≤ 이  
고 정수 의 개수는 이다.       
따라서 모든 실수  의 값의 합은  이다.
11) [정답]
[해설] 방정식            의 판별식 15) [정답]
을  라 하면 중근을 가지므로 [해설] 방정식       의 두 근을 , 라고
                  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이를 만족하는 실수 의 값이 , 이므로
i    일 때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순서쌍  의 개수는 이다.

ii    일 때
      
    
     이고    에서   이므로

12) [정답]    ×  × ,  ×  × ,  ×  × ,  ×  × ,
[해설] 방정식             의 ××
따라서 순서쌍  의 개수는 이다.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5 -
2021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최다빈출] 2-1.복소수와 이차방정식

iii    일 때 므로    이다.

    이고    에서   이므로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은       이므로
 방정식의 옳은 두 근의 합은      이고
   ×  × ,  ×  ×  두 근의 곱은    이다.
따라서 순서쌍  의 개수는 이다.
∴               
vi    일 때
 19) [정답]
    이고    에서   이므로
 [해설] ㄱ.  이 실수이면
   ×  × ,  ×  ×  는 실수 또는  는 순허수이다.
따라서 순서쌍  의 개수는 이다.         에서
v   일 때 가 실수이면   이고,
 가 순허수이면   이므로
    이고    에서   이므로

의 값은 개다.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순서쌍  의 개수는 이다. ㄴ.       
   

따라서 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순서쌍  의 개
이때   
         ,
수는 이다.

           이므로
16) [정답]   
   이다.
[해설] 방정식             의 두 근  
을   라 하자. ㄷ. 이차방정식       의 한 근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  
 이고 , 가 실수이므로 다른 한 근은
i  두 근의 합:        
   이다.
      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또는   
  
     
   ,
ii  두 근의 곱: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조건을 만족하는 의 값은   이다.
∴   ,   
17) [정답]     ,     이므로
[해설] 조건으로부터     이고, ,  을 두 근으로 하는  의 계수가 인
  이차방정식은       이다.
    ,     에서    ,   
  따라서 이 방정식의 상수항은  이다.
이므로 이차방정식    의 두 근은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 
   ,    이다. 20) [정답]
 
이 방정식의 두 근의 합이 이므로 [해설] 다항식 를   로 나눈 나머지가 이므
  로 나머지정리에 의해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가 실수이고 이차방정식   의 한 근이
  에서     이므로   
    이므로 다른 한 근은   이다.
∴      따라서 두 근의 합은         ,
이 식을     에 대입하면 두 근의 곱은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에서     이고
따라서 이차방정식    의 두 근은     이므로        이다.
    ,     이므로 두 근의 곱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이므로   이다.
따라서   ,   이고     이다.
18) [정답]
 
[해설] 잘못 구한 두 근의 합은      이므로
 
  이고
      
두 근의 곱은         이
  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