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수학 고1

4-2.명제

최재연 (jychoi1224@eduzone.co.kr)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
1) 제작연월일 : 2022-06-21
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
2) 제작자 : 교육지대㈜
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1. zb1 ) 자연수 전체의 집합에 대하여 조건 ‘ ∼  또는 ’ 5. zb5 ) 다음 명제의 역과 대우를 말하고, 그것의 참, 거
의 부정을 쓰고, 그것의 진리집합의 모든 원소의 합 짓을 판별하시오. (단, 조건에 맞게 물음에 답하시
을 구하시오. 오.)
  는 의 약수이다        ‘실수 ,  에 대하여    ,    이면  
  이
다.’

<조건>
답안 작성 시 ‘역’인지 ‘대우’인지 반드시 적을 것
‘역’과 ‘대우’가 참인지 거짓인지 각각 판별한 후, 거
2. zb2 ) 다음은 두 조건  , 로 이루어진 ‘  이면 이다.’
짓일 경우 반례를 제시할 것
형태의 명제이다. 이 명제들의 참, 거짓을 판별하시
오. (단, 참이면  , 의 진리집합을 이용하여 참임을
설명하고, 거짓이면 반례를 구하시오.)

(1)  가 소수이면  는 홀수이다.


6. zb6 ) 다음은 판사가 피고  ,  ,  , ,  를 심문한
(2)      이면        이다.

결과이다.

(가) 유죄는 다섯 사람 중 정확히 두 명이다.


(3)  가  의 양의 약수이면  는  의 양의 약수이다.
(나)  와  는 함께 유죄이거나 무죄이다.
(다)  가 무죄라면  와  도 무죄이다.
(라) 가 무죄라면  도 무죄이다.
(마) 가 유죄라면  도 유죄이다.
심문한 결과가 모두 참일 때, 유죄인 사람을 모두
3. zb3 )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다음 명제의 부정이 참이 쓰시오.
되도록 하는 자연수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이다.

7. zb7 ) 선호는 여행을 가다가 공기팟을 잃어버렸다. 잃어


버릴 수 있는 곳은 공항과 버스 단 두 곳이다. 선호
의 일행  ,  ,  세 사람은 다음과 같이 목격한
바를 이야기했고, 이 중에 진실을 이야기한 사람은
4. zb4 ) 실수  에 대하여 두 조건  , 가 다음과 같다.
단 한 명이다. 진실을 말한 사람과 선호가 공기팟을
잃어버린 곳을 순서대로 답하시오.
            

     

 : 선호는 공항에서 공기팟을 잃어버렸다.
명제 ‘어떤 실수  에 대하여  그리고 이다.’가 참일
 : 선호는 버스에서 공기팟을 잃어버렸다.
때, 자연수  의 개수를 구하시오.
 :  는 거짓말을 하고 있다.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1 -
2022년 2학기 중간고사 대비 [서술형] 4-2.명제

8. 전체집합  에서 세 조건  , , 을 만족하는 집 13.


zb8 )

합을 각각  , ,  이라 할 때, 다음 명제의 밑줄
zb1 3 )
 
다음은 실수  ,  에 대하여      의 최
   
친 (가), (나), (다)에 해당하는 조건을 순서대로 쓰시 솟값을 구하는 과정이다. (단,    ,    )
오. (단,  ≠  ≠  ) <학생  의 풀이>
ㄱ. ∪      가 성립할 때,  는 이기 위한 (가)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대소관계를 각각 적용하면,
조건이다. 
ㄴ. ∪       가 성립할 때,  는 이기 위한

   ≥ 
  
 ⋯ ㉠    ≥   ⋯ ㉡
   
(나)조건이다. ㉠, ㉡의 양변을 각각 곱하면
ㄷ.    ∪     ∅ 이 성립할 때, 은 이기 위 
한 (다)조건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 이다.
(1) <학생  의 풀이>가 잘못된 이유를 서술하시오.

 
 
(2)      의 올바른 최솟값을 구하고, 그 때의 
 
9. zb9 ) 세 조건 ‘       ’, ‘    ≤  ’, 와  의 관계식을 구하시오.
‘    ≤  ≤  ‘에서 조건 는 조건 ∼  가 성립하기
위한 필요조건이고, 조건 은 조건 ∼  가 성립하기
위한 충분조건이라고 할 때, 실수  ,  가 취하는
값의 범위를 각각 구하고,   의 최솟값을 구하시
오. (단,  ≤  )
14.
zb1 4 ) 두 실수 ,  에 대하여    ,    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증명하고, 등호가 성립할 때,
,  의 조건을 논술하시오.
 
 ≥ 


10. zb1 0 ) 명제 ‘두 수의 곱이 짝수이면 두 수 중 적어도 하


 
나는 짝수이다.’가 참임을 대우를 이용하여 증명하 (2)     일 때,    의 최솟값과 그때의  ,  의
 
시오.
값을 구하시오.

15.  ,  ,  ,  ,  가 실수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


11.
zb1 5 )

귀류법을 이용하여  ,  가 실수일 때, 명제


오.
zb1 1 )

‘     이면    이고    이다.’가 성립함을


증명하는 과정을 쓰시오. (1) 부등식     ≥    이 성립함을 증
명하시오. (등호가 성립하는 경우도 제시하시오.)

(2)         ,         일 때,  의 최
댓값을  , 최솟값을  이라 하자. (1)의 결과를 이용
하여   의 값을 구하시오.

12. zb1 2 ) 세 수    


 ,     
 ,   
  

의 대소를 비교하시오.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2 -
2022년 2학기 중간고사 대비 [서술형] 4-2.명제

도 참이다.
[해설] 정답참조

1) [정답] 조건 에서 6) [정답]  


        , ∴      [해설] 주어진 다섯 개의 진술이 모두 참이므로 유죄
두 조건  , 의 진리집합을 각각  , 라고 하면 인 사람은 두 명이다.
         ,        (나)의 진술에서  와  가 모두 유죄라면 결과
‘ ∼  또는 ’의 부정은 ‘  이고 ∼ ’ 이므로 (라)의 대우에 의해 도 유죄가 되어 유죄가 세
그 진리집합은 ∩  이다. 명이 되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 와  가 모두 무죄이다.
이때      ≤  또는  ≥ 이므로
만약  가 무죄라면 (다)의 진술에 의해  와  가
따라서 ∩      이므로 모든 원소
무죄이므로 무죄가 네 명이 되어 모순이다.
의 합은  이다.
따라서  는 유죄이다.
[해설] 정답참조
(마)의 진술에서  가 유죄이면  도 유죄가 되므
2) [정답] (1)    이면  는 소수이지만 홀수가 아니 로 유죄가 세 명이 되어 모순이다.
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따라서  는 무죄이다.
(2)          ,    또는    이상을 종합하면 나머지 유죄인 사람은  이다.
따라서 유죄인 사람은   이다.
       의 진리집합은     
            7) [정답]  , 공항
   또는    또는    [해설]  와  는 선호가 에어팟을 잃어버린 장소에
        의 진리집합은        대해 반대되는 진술을 하고 있으므로 한 사람은
 ⊂  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진실, 한 사람은 거짓을 말하고 있다.
(3)    이면  는  의 양의 약수이지만  의 양 따라서  가 거짓을 말하고 있으므로  는 진실을
의 약수는 아니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말하고 있다.
[해설] 정답 참조 그러므로 선호는 공항에서 에어팟을 잃어버렸다.

3) [정답]  8) [정답] (가) 필요 (나) 필요 (다) 충분


[해설] 명제의 부정은 ‘어떤 실수 에 대하여 [해설] ㄱ. ∪       에서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이고 명제의 부정이 참이 되  ⊂  여야 한다.
려면 이차방정식       의 판별식  에
 따라서  는 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대하여    이어야 한다. ㄴ. 집합의 연산법칙으로부터
       이고    이다.  ∪         ∪ ∩    
따라서 자연수  의 최댓값은  이다.  ∪  ∪
 ∪ 
4) [정답]  개
에서 ∪     이므로  ∩      ∅
[해설]           이고
즉,  ⊂  이다.
 
            이다. 조건  , 에 대한 따라서  는 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 
진리집합  ,  가 ∩ ≠ ∅이므로 ㄷ.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이고     ∅이다.
  ≤    가 아니거나    ≤    아니다.
 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이다.
즉,  ≤  이 아니거나  ≥  이 아니므로 따라서 은 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      이다.
9) [정답]  ≥  ,   ≤  ≤  ,   의 최솟값 : 
따라서 자연수  의 개수는  개다.
[해설]       이므로
5) [정답] 주어진 명제에 대하여 ∼     ≤  에서
역) 실수   에 대하여   ≤  이므로  ≤ ≤ 
    이면    ,    이다. (거짓) ∴ ≤  ≤ 
반례)      
 이면       이지만 는 ∼  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 ≠  ,  ≠  이다. 명제 ∼  → 가 참이다.
대우) 실수   에 대하여 따라서  ≥  이고
   ≠  이면  ≠  또는  ≠  이다. (참) 은 ∼  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증명)주어진 명제가 참이므로 주어진 명제의 대우 명제 → ∼  가 참이다.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3 -
2022년 2학기 중간고사 대비 [서술형] 4-2.명제

따라서   ≤  ≤  이다.  
     
즉,  ≥  ,   ≤  ≤  이므로  
  의 최솟값은  이다. 

 
≥   ×   
 
10) [정답] 주어진 명제의 대우는 ‘두 수 모두 홀수이  
면 두 수의 곱이 홀수이다.’이다. 따라서 올바른 최솟값은  이다.
두 수가 모두 홀수라고 하자.  
또한    일 때 성립하므로   
    ,     이면 (단,  ,  은 정수)  
두 수의 곱은 이때    ,    이므로    이다.
       [해설] 정답참조
     이므로 홀수이다.
따라서 ‘두 수의 곱이 짝수이면 두 수 중 적어도       
14) [정답] (1)     
 
하나는 짝수이다.’의 대우가 참이므로 주어진 명
제도 참이다.  
  
   
  ≥  이므로  ≥   이다.
 
[해설] 정답참조
 
    
   이려면     일 때 이므로
11) [정답]     일 때  ≠  또는  ≠  이라고 
가정하자. 등호는    일 때 성립한다.
 ≠  또는  ≠  이면    또는    이다. (2)    ,    일 때, 최솟값 
[해설] (1) 정답참조
따라서      을 만족하기 위해서    이면
   이어야 하고    이면    이어야 한  
  
(2)           
   
다. 
 ,  는 실수이므로 제곱이 음수가 되지 않아 모 
 
≥    ×   
 
순이다.
에서     이므로
따라서      이면    이고    이다.
[해설] 정답 참조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12) [정답]      따라서    의 최솟값은  이다.
 
[해설] 주어진 세 수에 대하여  
등호는    일 때 성립하므로    ,    이
i        
    
  
      다.
이때      이고 
    이므로
15) [정답] (1)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ii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이다.
   
이때,       이 되려면    이어야 한
따라서      이므로    이다.
 
iii        
       
  다. 즉, 등호는    일 때 성립한다.
 
        
(2)        ,       이고,
 
  
  (1)의 결과를 이용하면
따라서      이므로    이다.       ≥    이므로
i  ~ iii  에서      이다.
     ≥     이다.
13) [정답] (1) ㉠ 에서 등호가 성립할 조건은 정리하면      ≤  이므로
   이고, ㉡ 에서 등호가 성립할 조건은 
≤  ≤  이다.


 
  에서   
   
   ,    이므로     이다.
이 두 관계식을 동시에 만족하는 자연수   의 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풀이가 잘못되었다. [해설] 정답참조


 
  
(2)             
   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