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수학 중3 2.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2-1.다항식의 곱셈
박지성 (jspark@eduzone.co.kr)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
1) 제작연월일 : 2020-12-09
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
2) 제작자 : 교육지대㈜
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4.      를 전개한 식에서  의 계수가  일


1.
zb4 )

zb1 )
         를 전개하여 간단히 때, 상수항을 구하려고 한다. 물음에 답하시오.
하였을 때  의 계수와  의 계수를 각각 구하고 (1) 주어진 식을 전개하시오.
그 합을 구하시오.

(2)  를 구하는 식을 쓰고,  의 값을 구하시오.

(3) 상수항을 구하시오.

2. zb2 )
         를 전개하여 간단히 하
였을 때,  의 계수를 ,  의 계수를  , 의 계수 5. zb5 ) 다음 그림과 같은 직육면체의 겉넓이를 구하시오.
를  라고 하자.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의 값을 구하시오.

(2)  의 값을 구하시오.

(3)  의 값을 구하시오.

(4)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6. zb6 ) 다음 그림과 같이 합동인  개의 직사각형 모양의


나무판자를 이용하여  종류의 액자를 만들었다. 두
액자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각각  ,  라 할
때,    를 구하면? (단,    )
3. zb3 )
    를 전개한 식에서  의 계수가 상
수항보다  만큼 크다고 할 때, 상수 값을 구하시
오.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55 - 1 -
2021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서술형] 2-1.다항식의 곱셈

7. zb7 ) 가로의 길이가 , 세로의 길이가      인 11. 






⋯  

zb1 1 )

  
   
     
   

직사각형 모양의 종이  를 그림과 같이 접었
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의 값을 구하시오.


12.
zb1 2 )
  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1) 
 의 길이를 구하시오.

(2) 
 의 길이를 구하시오.

(3) 사각형  의 넓이를 ,  를 사용한 식으로 나타


내시오.
13.
zb1 3 ) 그림과 같이 넓이의 비가    인 두 정사각형을
이어 붙여서 새로운 도형을 만들었다. 이 도형의 둘
레의 길이는  cm , 작은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
는  cm 라 할 때,  를 구하시오.

8. zb8 )
 ×   
 
을 곱셈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시

오.

14.그림은 한 눈금의 길이가  인 모눈종이에 정사각


9.
zb1 4 )

zb9 ) 곱셈공식을 이용하여  을 계산하시오. 형을 그린 후, 


 
 , 
  
 가 되도록 수직
선 위에 점  , 를 정한 것이다. 두 점  , 에 대

응하는 수를 각각  ,  라고 할 때, 
  의 값

을 구하여라.

10. zb1 0 )
  
   
  를 계산한 결과가 유리수가
되도록 하는 유리수 의 값을 구하시오.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55 - 2 -
2021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서술형] 2-1.다항식의 곱셈

15.
zb1 5 ) 다음 그림은 한 눈금의 길이가  인 모눈종이 위 18.  
    ,  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
 
zb1 8 )

에 정사각형 와 수직선을 그린 것이다. 점 


시오.
를 중심으로 하고, 
 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
려 수직선과 만나는 점을  , 라고 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19.
zb1 9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두 점  , 에 대응하는 수를 ,  라 할 때, 두 수를  
(1)  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각각 구하시오.  

  
(2)    를 간단히 나타내시오. (2)       일 때,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

16.
zb1 6 )
 
    ,    일 때,      의 값을 구하시
 
오. 20. 

일 때,     의 값을 구하려
 
zb2 0 )


고 한다.


(1)    의 분모를 유리화하시오.
 


(2)    일 때, 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17.
zb1 7 )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각각  cm ,  cm 인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 이고, 둘레의 길이의 합
이  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   )

(1) 두 정사각형의 변의 길이의 곱  값을 구하시오.

(2) 두 정사각형의 변의 길이의 차    값을 구하시오.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55 - 3 -
2021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서술형] 2-1.다항식의 곱셈

∴ 
         
(3) 사각형  의 넓이는
        
1) [정답]  의 계수:   ,  의 계수:  , 합:  
[해설]           ×   
8) [정답]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의 계수는   ,  의 계수는  이므로
    
그 합은 

    

   

2) [정답] (1)  , (2)   , (3)  , (4) 
[해설] 정답 참조
[해설]         
           9) [정답] 

      
[해설]      
이므로  의 계수는  ,  의 계수는   , 의     ×  ×   
계수는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이므로
10) [정답] 
           
[해설]  
   

3) [정답]          

[해설]            

이 수가 유리수가 되려면      이어야 하
이때  의 계수가 상수항보다  만큼 크므로 므로
      ∴       ∴ 

4) [정답] (1)        , (2)      , 11) [정답] 


   , (3)  [해설]  ≥  인 자연수  에 대하여
[해설]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의 계수가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3) 주어진 다항식의 상수항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정답]      
 ⋯
[해설] 주어진 직육면체의 겉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정답]  12) [정답]  


[해설]           
       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정답] (1)   , (2)    , (3)               
   
[해설] (1) 사각형  는 정사각형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사각형  는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 
∴                
사각형이므로 

   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55 - 4 -
2021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서술형] 2-1.다항식의 곱셈

13) [정답]    이때         이므로


[해설] 넓이의 비가    인 두 정사각형의 닮음비는     

  
    
    ∴   
작은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 cm 라 하면 큰 (2)         에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
  cm        ,      
이때 도형의 둘레의 길이가  cm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18) [정답] 

   
∴          [해설]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14) [정답]       
∴      
[해설]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19) [정답] (1)  , (2) 
 
   
 이므로 점  에 대응하는 수는 

    


[해설] (1)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점 에 대응하는 수는 (2)       에서 양변을  로 나누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정답] (1)     , (2) 
     
 

  [해설] (1)   
  
15) [정답] (1)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해설] (1)      
(2)     
 에서     

이때    
  
 이므로 점  에 대응하는

수는 양변을 제곱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     
 이므로 점  에 대응하는 수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정답] 
         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정답] (1)  , (2) 


[해설] (1) 두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이  이므로
   
두 정사각형의 둘레의 길이의 합이  이므로
    ∴   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55 - 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