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0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23 년도 연구용역과제

( 착수보고회 )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주관 연구기관 부경대학교

연구책임자 김 윤 태 교수

공동 연구기관
울산대학교 신호성 교수
부경대학교 박민재 교수
발표순서

1. 연구제안 배경 및 목적 SLIDE 03

2. 과업의 범위 및 기대효과 SLIDE 08

3. 과업 추진전략 및 방향 SLIDE 11

4. 수행방법과 절차의 구체성 및 적합성 SLIDE 15


01
연구제안 배경 및 목적

1.1 제안 배경 및 필요성

1.2 제안 목적
제안 배경 및 목적 4

1.1 제안 배경
• ( 토사재해 위험성 / 취약성 증가 ) 국내에서 여름철 우기 시 (6-9 월 )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 및 강우강도 증가로 인해 토사재해
인명 및 재산 피해 급증 . 지형특성으로 급경사지 경계부에 위치한 취약주택 ( 목조 , 조적식 등 ) 의 비율이 높으므로 토사재해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 가능성이 큼
• ( 취약성 평가 모델 부재 ) 토사재해로 인한 피해범위 산정 및 위험요소 ( 주택 , 사회기반시설 ) 의 손상정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취약성 평가 모델이 필요함
기후변화 / 지형적 특성으로 인한
토사재해 취약곡선 개발 및 활용의 한계성
토사재해 위험성 / 취약성 증가
 여름철 강우가 집중되는 특성으로 인해
국내 강우의 국내 지형의 토사재해 피해의 95% 이상이 6~9 월에
시 · 공간적 특성 공간적 특성 발생
 국 토 면 적 의 64% 이 상 이 산 지 로
구성되어 있어 , 매년 토사재해 피해가
발생함
 급경사지 경계부에 위치한 국가의
사회기반시설 및 주택 등 토사재해 노출이 [ 지진하중 / 변위를 [ 주택구조 유형별에 따른
토사재해 취약 주택 ( 관리사각지역 ) 에 증가하고 있는 실정 고려한 취약성 평가모 취약성 평가모델 ]
대한 DB 및 취약성 평가 관리 방법
델]
부재 지진하중 / 변위를 고려한 토사재해
AS-IS 취약성 평가모델

수치해석 / 현장사례 기반
TO-BE 주택구조유형별 위험강도 /
손상정도에 따른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토사재해 위험강도 및 주택구조 유형을 고려한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필요


제안 배경 및 목적 5

1.1 제안 배경
 ( 국내 ) 산사태 발생 원인 규명 , 급경사지 붕괴 위험지역 선정 및 예경보에 대한 연구 수행 , 도시생활권 산지 토사재해
피해위험도 평가기법을 개발하고 , 사례연구를 통해 충격압과 건물구조 형식 (RC 및 Non-RC) 에 따른 토사재해에 대한
취약성 평가 기술 개발이 수행됨
 ( 국외 ) 미국 , 일본 , 유럽 등에서는 지진 , 허리케인 , 홍수에 대한 취약성 및 리스크 평가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옴
 ( 산림청 , 2012-2014) 도시생활권 산지 토사재해 피해위험도 평가기법 급경사지
및 대책 개발 취약성 / 리스크
 ( 국토교통부 , 2013-2017) 도심지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 및 적용 기술 ,
대한민국 예방 및 복구 위한 법 · 제도 연구
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산사태 확산 범위 예측을 통한 산사태 피해
위험도 산정기술 개발
 ( 부경 대학 교 , 2014) 토석류 충 격압과 건 물 구조형 식에 따른 건물
손상정도를 이용한 취약성 산정

미국  ( 미국 연방재난관리청 FEMA) 국가긴급재해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 GIS


기반 HAZUS-MH 개발
 (USGS, 미국지질조사소 ) 재해정보 네트워크 구축 프로그램 , 산사태
재해 프로그램
 ( 해양대기관리처 ) Risk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일본  ( 방재과학기술연구소 , 교토대 방재연구소 ) 지반 , 수재해 , 종합방재


연구 주도적 수행
 ( 국토성 국토기술 정책종합 연구소 ) Flood Vulnerability Index 개발
제안 배경 및 목적 6

1.1 제안 배경
• (RFP 분석 ) 토사재해 사례기반 , 대형 수로 실증실험 , 수치해석 방법을 통한 토사재해 평가지표 및 취약성 평가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함
• ( 차별성 ) 수치해석 방법과 AHP 분석을 통한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도출 , 토사재해 고위험 지역 선정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 T/B 선정 , 물리 기반 급경사지 / 토석류 해석 , 주택구조에 따른 수치해석을 통한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가중치 검증 , 주택구조 형식에 따른 취약곡선 개선

RFP
제안
기술
최종 목표

신뢰성 있는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추가적인
특화
요소
기술
제안 배경 및 목적 7

1.2 제안 목적
 최근 도시화 및 인구 과밀화로 인해 산지 경계부는 토사재해 위험성에 크게 노출되어 있고 , 기후변화로 인해 매년 토사재해 리스크도
증가하고 있음
 토사재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방어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토사재해로 인한 위험강도와 위험요소의 관계를 정확히 정의할 수 있는
취약성 평가모델이 필요함
 이에 따라 수치해석 기반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 취약곡선 개선 및 검증을 통해 신뢰성 있는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 모델 개발 및
T/B 적용을 목표로 함
토사재해에 안전한 방재 및 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개선 및 취약성 평가 모델 개발”

01 02 03
토사재해 취약성 토사재해 취약성
실증실험 연계
평가모델 개발 평가지표 개선
• 광역지역에 대한 토사재해 취약성 • 수치해석 결과분석을 통한 취약성 • 토사재해 방지공법의 효용성 검증을
평가지표 ( 안 ) 적용방안 수립 평가지표 ( 안 ) 개선안 도출 위한 수치해석기법 개발

• 평가지표 ( 안 ) 신뢰성 개선을 위한 • 평가지표 ( 안 ) 주요지표 , 하위지표 • 수치해석을 통한 최적의 토사유출 재현


T/B 구축 및 운영 평가기준 및 가중치 재산정 방법 제안

• 시범지역 대상 주거지 토사재해 • 현장사례 및 수치해석을 통한 • 다양한 비탈면 조건에서의 실증실험


취약지도 구축 및 매뉴얼 개발 평가지표 검증 해석 수행
02
과업의 범위 및 기대효과

2.1 과업의 범위

2.2 기대효과
과업의 범위 및 기대효과 9

2.1 과업의 범위

과업명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과업기간 1 차년도 (2023 년 ): 210 일 , 2 차년도 (2024 년 ): 270 일

과업내용

가 . (2023 년 )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Ⅰ)


수치해석 방법 • 수치 해석을 통한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 안 ) 검증 · 개선

• 평가지표 ( 안 ) 검증 및 신뢰성 개선을 위한 T/B 구축 · 운영

• 토사재해 방지공법의 효용성 검증을 위한 수치해석기법 개발

실증실험 방법 • 토사재해 실증실험 연계 해석

나 . (2024 년 )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Ⅱ)


수치해석 방법 • 시범지역 대상 주거지 토사재해 취약지도 구축 및 매뉴얼 개발

•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 안 ) 개선검증

• 토사재해 실증실험 연계 해석

실증실험 방법 • 토사재해 방지공법 ( 안 ) 도출


과업의 범위 및 기대효과 10

2.2 기대효과
• “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을 통해 선진국형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구축으로 안전한 생활환경과
나아가서는 국민들의 안전한 생활환경을 보다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보장할 수 있음
• 정량적으로는 토사재해 발생 대응을 위한 사회경제적 측면에서의 국가적 예산 저감을 기대할 수 있고 , 정성적으로는
선진국형 대응체계 마련과 더불어 대국민 재난정보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
자체적평가지표 구축으로선진국형대응체계 마련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를활용한신뢰성
• 정밀한 토사재해 위험성 / 취약성 정보 서비스
• 토사재해 위험성 / 취약성 판단 등 정확한 정보 제공
제공 및 대처 속도 개선 • 토사재해 위험성 / 취약성 판단에 따른 대응시간
• 관련 부처별 대응체계 일원화 확보
• 중앙정부 , 자치단체 , 유관기관의 긴밀한 • 붕괴위험 관련 피해 사전분석 및 대처능력 향상
재난대응 체계 마련
• 재난대응 시너지 효과 극대화
선진국형 예경보 시스템
대응체계 신뢰성 향상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유지관리비용 재산 및 인명
절감 피해 최소화

• 붕괴위험 판단에 따른 피해액 최소화 • 피해 예측 분석을 통한 자연재해 피해 최소화


• 데이터 중복관리 및 중복투자 방지 • 토사재해 발생 위험 관리를 위한 시설물
• 통합관리 및 정보 공유를 통해 유지관리에 인프라관리 등 효율성 증대
필요한 비용절감 • 자연재해로 부터 대국민 안정사회 구축

취약성 지표구축을 통한 예산 절감 자연재해 대응 사회경제적 피해 최소화


03
과업 추진전략 및 방향

3.1 과업 추진전략 및 방향

3.2 과업 수행조직 및 업무
과업 추진전략 및 방향 12

3.1 과업 추진전략 및 방향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 수치해석을 통한 취약성 평가지표 및 취약곡선’ 기반으로


‘ 신뢰성 있는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을 통한 국민생활 안전도모

“ 신뢰성 있는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공정보
발주기관 고
중간보

최종보 토사재해 토사재해
고 취약성 취약성 실증실험
평가모델 평가지표 연계
Feedback 개발 개선
• 광역지역에 대한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 안 ) 적용방안 • 토사재해 방지공법의
전문가 의견을 통한 객관성 수립
효용성 검증을 위한
확보
• 평가지표 ( 안 ) 신뢰성 개선을 위한 T/B 구축 및 운영 수치해석기법 개발

유관기관 • 시범지역 대상 주거지 토사재해 취약지도 구축 및 매뉴얼 • 수치해석을 통한 최적의


자문위원 개발 토사유출 재현 방법 제안

• 수치해석 결과분석을 통한 취약성 평가지표 ( 안 ) 개선안 • 다양한 비탈면 조건에서의


• 토사재해 취약성 산 / 학 / 연 도출
전문가 실증실험 해석 수행
• 연차별 자문을 통한 점검 및 보완 • 평가지표 ( 안 ) 주요지표 , 하위지표 평가기준 및 가중치
재산정

• 현장사례 및 수치해석을 통한 평가지표 검증


과업 추진전략 및 방향 13

3.2 과업 수행조직 및 업무
 본 과업인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업 수행조직 및 업무는 다음과 같음

연구개발과제 총참여연구원

과제명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조직책임자


( 김윤태 ) 외 14 명

기관별참여현황
구분 기관수 인원수 총인원 수

대학 2 14 14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개선 실증실험 연계

수행기관 수행기관 수행기관

부경대학교 부경대학교 울산대학교

참여연구원 참여연구원 참여연구원

기관연구책임자 기관연구책임자 기관연구책임자


( 김윤태 ) 외 6 명 ( 박민재 ) ( 신호성 ) 외 5 명
과업 추진전략 및 방향 14

3.3 과업 수행 계획 (1 차년도 )
과 업 기 간 (7 개월 )
과 업 내 용 (1 차년도 )
M1 M2 M3 M4 M5 M6 M7
1. 수치해석을 통한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 안 ) 검증 · 개선  
• 광역지역에 대한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 안 ) 적용방안 수립  
• T/B 등 광역지역 대상 취약성 평가를 위한 수치해석 기법 개발 및 적용  
• 수치해석 결과분석을 통한 취약성 평가지표 ( 안 ) 개선안 도출

2. 평가지표 ( 안 ) 검증 및 신뢰성 개선을 위한 T/B 구축 · 운영  

• T/B 구축을 위한 현장조사 및 문헌 · 사례조사 실시  


• T/B 선정 및 운영계획 수립 · 운영  
• 전국단위 토사재해 취약지도 구축 방안 검토

• 평가지표 ( 안 ) 을 활용한 T/B 지역 취약성 평가 및 결과 검토

3. 토사재해 방지공법의 효용성 검증을 위한 수치해석기법 개발  


• 수치해석 기반 현장조건을 고려한 공법별 적용성 검토  
• 현장 상황별 최적 보강공법 도출방안 검토

• 보수보강 우선순위 선정절차 제시

4. 토사재해 실증실험 연계 해석
• 수치해석을 통한 최적의 토사유출 재현 방법 제안 ( 실증실험 지원 )

• 실증실험 결과와 연계한 수치해석 ( 충격에너지 , 주택파손 , 규모 등 )  


04
수행방법과 절차의 구체성 및 적합성

4.1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4.2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개선

4.3 토사재해 실증실험 연계 해석


제안내용 타당성 및 수행방법 적정성 16

4.1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 정의
 토사재해 취약성 및 리스크 평가
-토사재해 취약성 (vulnerability) 평가는 리스크 (risk) 평가 시
선행적으로 요구되는 핵심기술임

-토 사 재 해 에 선 제 적 으 로 대 응 하 고 방 어 체 계 를 구 축 하 기
위해서는 토사재해로 인한 위험강도와 위험요소의 관계를
정확히 정의할 수 있는 취약성 평가가 필요함

-토사재해 리스크 평가를 위해서는 위험도 , 취약성 , 노출량


( 위험요소의 정보 ) 분석 및 연계가 필요함

 토사재해 취약성 (vulnerability) 정의 및 방법론


-취약성은 일반적으로 위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위험요소 (element at risk) 의 손실 또는 손상 정도를 의미하며 , 0 에서 1 사이의 정량화된
값으로 표현됨 . 0 은 손실 없음 (no loss) 를 의미하며 , 1 은 완전 손실 (total loss) 을 의미함 ( UNDRO, 1991)
-토사재해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방식이 존재하며 , 대표적으로 취약성 매트릭스 , 취약성 곡선 , 취약성 지표가 활용됨
취 약 성 매 트 릭 스 (vulnerability 취약성 곡선 (vulnerability curve) 취약성 지표 (vulnerability indicator)
matrices)

(Fuchs et al., 2007) (Kappes et al., 2012)


제안내용 타당성 및 수행방법 적정성 17

4.1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3.1.1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 안 ) 검증 · 개선
 광역지역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 안 ) 적용방안

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를 위한 주택구조형식별 취약성  수치해석 결과분석을 통한 취약성 평가지표 ( 안 ) 개선안
곡선 수정 · 개선 도출
-구조물 형식 , 지붕 형식 , 높이 , 유지관리 상태 , 개구부 위치 및
면적 , 이격거리 등 개별 취약성 지표를 고려하여 수치해석 모델
분류 및 해석 수행

주택구조형식별 취약성 곡선
수행방법과 절차의 구체성 및 적합성 18

4.1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 광역지역에 대한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 안 ) 적용방안 수립
 광역지역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 안 ) 적용방안

 광역지역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를 위한 취약성 곡선  국지지역 토사재해 정밀 취약성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
검증 · 개선 검증 · 개선
-광역지역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를 위한 주택구조 형식별 취약성 -국지지역 토사자해 정밀 취약성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 ( 안 ) 검증
곡선 검증 및 개선 및 개선
수행방법과 절차의 구체성 및 적합성 19

4.1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 수치해석 결과분석을 통한 취약성 평가지표 ( 안 ) 개선안 도출
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를 위한 수치해석 기법 사례 조사  수치해석을 이용한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 사례 문헌 조사
· 분석 및 적용 -수 치 해 석 을 이 용 한 기 존 토 사 재 해 취 약 성 곡 선 (vulnerability
curve) 및 취약성 지표 (vulnerability indicator) 기반 취약성 평가
적용 사례 조사 및 분석

 T/B 등 광역 및 국지 지역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를 위한 수치해석 기법


적용
수행방법과 절차의 구체성 및 적합성 20

4.1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 T/B 구축을 위한 현장조사 및 문헌 · 사례조사 실시
 T/B 구축 및 운영을 위한 기존 토사재해 발생지역 현장조사
- 국내 토사재해 발생 지역 조사를 통한 고위험 (high susceptible area) 혹은 고취약지역 (high vulnerable are) 분석과 이를 통한 T/B 구축
및 운영
 기존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한 토사재해 발생지역 주택구조 손상정도 분석
-유관기관 및 뉴스보도를 통한 토사재해 피해 자료와 기존 문헌 · 사례조사 (Leone et al., 1996; Hazus-MH; Hu et al., 2012) 를 통한
주택구조 손상정도 분석 (damage analysis)
-토사재해 발생지역 현장조사 및 문헌 · 사례조사를 통한 T/B 구축 시 활용

[ 주택구조 손상정도 ]
[ 토사재해 발생지역 DB]
수행방법과 절차의 구체성 및 적합성 21

4.1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 T/B 선정 및 운영계획 수립 · 운영
 T/B 선정을 위한 토사재해 민감도 지도 활용
-T/B 선정을 위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2018 년 -2020 년에 개발된 토사재해 민감도 지도 활용
-토사재해 민감도 지도에서 고위험지역 (high susceptible area) 을 T/B 선정하고 ,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를 수행

[ 토사재해 민감도 지도 (NDMI, 2019)]

 광역 , 국지지역 T/B 구축 및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 지역 운영


수행방법과 절차의 구체성 및 적합성 22

4.1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 전국단위 토사재해 취약지도 구축 방안 검토
 전국단위 토사재해 취약지도 구축을 위한 사례분석 및 검토
-전국단위 토사재해 취약지도 구축을 위한 기존 국내 · 외 문헌 사례 분석 및 구축방안 검토

[ 토사재해 민감도 및 취약성 지도 (Akgun et al., [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 및 취약지도 구축 (Kang and Kim, 2016)]
2012)]
수행방법과 절차의 구체성 및 적합성 23

4.1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개발


 평가지표 ( 안 ) 을 활용한 T/B 지역 취약성 평가 및 결과 검토
 토사재해 평가지표 ( 안 ) 을 활용한 T/B 취약성 평가  토사재해 평가지표 ( 안 ) 을 활용한 T/B 취약성 결과
-T/B 의 지형학적 특성을 이용한 고위험지역 산정 및 유동해석을 검토
통한 위험강도 산정 -주택구조 유형별 취약성 평가지표 ( 안 ) 을 이용한 위험강도 (
높이 , 속도 , 충격압 ) 와 손상정도 ( 소파 , 중파 , 광파 , 완파 )
산정
-T/B 의 위험수준 강우에 따른 토사재해 확산범위 및 주택구조
유형별 손상정도에 따른 분류
-NVI(Normalized Vulnerability index) 를 이 용 한 T/B 의 정 량 적
취약성 지수 산정

 NVI =
 B = Number of building in catchment area
 = Number of building in damage class i
 = Vulnerability
수행방법과 절차의 구체성 및 적합성 24

4.2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개선


 세부 항목을 고려한 수치해석을 통한 취약성 평가지표 ( 안 ) 개선안 도출
 구조물 형식 , 지붕 형식 , 높이 , 유지관리 상태 , 개구부 위치 및 면적 , 이격거리 등 개별 취약성 지표를 고려하여 수치해석 모델
분류 및 해석 수행
 취약성 지표가 고려된 수치해석을 통해 얻은 공학적이고 정량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평가 기준 및 배점과 가중치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

[ 구조물 형식 및 취약성 인자에 따른 수치해석 ] [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


수행방법과 절차의 구체성 및 적합성 25

4.2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지표 개선


 실증실험 결과와 연계한 수치해석 ( 충격에너지 , 주택파손 , 규모 등 )
 비선형동적해석법의 활용
-동적해석법은 반응모드를 가정하여 하중시간이력곡선에 대한 구조물의 거시적 응답 ( 변형 ) 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 건물 설계에 널리
사용하는 해석방법
-토석류에 의한 충력하중과 같은 비진동 하중에 대한 구조체 변형의 주된 기여는 오직 한 개의 모드에 의해 형성된다고 볼 수 있으므로 ,
구조체는 그의 변형과 관련된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단자유도계로 간략화할 수 있음
-취 약 인 자 에 따 른 상 세 한 위 험 도 를 분 석 하 기 위 해 서 는 상 세 모 델 링 과 유 한 요 소 해 석 을 수 행 해 야 하 기 때 문 에 , 단 자 유 도 의
비선형동적해석을 유한요소법으로 수행
-유한요소를 통해 최대 변형 및 지점회전각 , 응력집중 , 파괴 모드 등 주택파손에 대한 공학적인 근거 비교
-실증실험 결과와 연계하여 수치해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상세한 해석법부터 단순화할 수 있는 간략 모델링까지 고려하여 다양한
경우의 상황을 향후 반영할 수 있음

[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토석류 하중을 받는 벽체의 비선형동적해석과 최대변위 시각력 응답 예시 ]


수행방법과 절차의 구체성 및 적합성 26

4.3 토사재해 실증실험 연계 해석


 수치해석 기반 현장조건을 고려한 공법별 적용성 검토
 토석류의 현장 물성치 ( 점성 , 내부마찰각 ) 에 따른 수치해석
-토석류의 거동은 현장의 물성치에 따라 달라지므로 , 현장조건을 고려하여 토사재해 방지공법의 적용성 검토
-토석류의 유동 물성치 ( 점성 , 내부마찰각 ) 을 산정하고 , 수치해석을 통하여 현장조건에 대한 방지공법 선정

14 0.7 1200
마찰각 mat-1
12 점성 0.6 1000 mat-2
mat-3
10 0.5

m]
800 mat-4

점성 [Pa s] mat-5


[]

8 0.4

Impact force [kN/


600 mat-6
마찰각

6 0.3
400
4 0.2
/d  0.060/0.085 200
2 0.1

0 0 0
0.0 0.5 1.0 1.5 2.0 2.5 3.0 0 20 40 60 80 100
LI time [s]

[ 현장 토석류 물성치를 이용한 충격력 도출 ] [ 토석류 물성치 변화에 따른 수치해석 ]

1열 3열 5열

[ 불투과형 사방댐 수치해석


[ 투과형 사방댐 수치해석 결과 ] 결과 ]
수행방법과 절차의 구체성 및 적합성 27

4.3 토사재해 실증실험 연계 해석


 현장 상황별 최적 보강공법 도출방안 검토
 토석류의 현장조건에 따른 수치해석
-토석류 거동의 영향요인인 사면경사 , 초기 토석류의 양 , 벽체와의 이격거리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현장상황에 따른 최적
보강공법을 도출
-지형의 경사변화 , 사방시설의 높이 및 형태에 따른 수치해석 결과를 기반으로 최적의 보강공법 선정

Mizuyama(2008) Mizuyama(2008)

[Open-type sabo dams] [Debris flow breaker and bottom drainage screen]

Yang & Bui(2021)

Yang & Bui(2021)


[Baffles and check dam] [Baffles and check dam-numerical
analysis(Yang & Bui,2021)]
수행방법과 절차의 구체성 및 적합성 28

4.3 토사재해 실증실험 연계 해석


 보수보강 우선순위 선정절차 제시
 토사재해 취약지역의 보수보강 우선순위 선정
-사면안정 해석을 통한 유발 지점 및 유발량 산정하여 토석류 취약지역을 선정
-토석류의 유동물성치를 산정 및 유발요인에 대한 토석류 충격량 해석 수행
-해당 조건에 대한 토석류 유동해석을 통한 방지 공법 선정후 효용성에 대한 수치해석 수행

14 0.7
마찰각
12 점성 0.6

10 0.5

점성 [Pa s]
[]
8 0.4
마찰각

6 0.3

4 0.2
/d  0.060/0.085
2 0.1

0 0
0.0 0.5 1.0 1.5 2.0 2.5 3.0
LI

[ 토석류의 유동물성치 산정 ] [ 토석류 유발지점 및 유발량에 대한 사면안정해석 ]

[ 토석류의 유동물성치와 유발요인에 대한 [ 토석류 유동해석 및 방지공법 효용성 해석 ]


토석류 충격량 산정 ]
수행방법과 절차의 구체성 및 적합성 29

4.1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 (Ⅰ)


 실증실험 결과와 연계한 수치해석 ( 충격에너지 , 주택파손 , 규모 등 )
 실증 실험 결과를 통한 수치해석 수행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실증실험조건 해석 수행하고 , 실험결과와 수치해석결과 비교 분석을 통하여 평가모델 신뢰성 확보 .
-수치해석 결과 ( 충격량 , 토석류 크기 / 속도 ) 를 바탕으로 주택파손 정도 / 규모 해석 수행 .

20 250
h [m]
P [kPa]
16 200

pressure [kPa]
12 150

height [m]
8 100

4 50

0 0
0 20 40 60 80 100
time [s]

[ 구조형태에 따른 주택모형 모델링 및 실증실험 결


과]

[ 토사재해 발생에 의한 수치해석 ]


국민의 안전과 재산 보호를 위해
신뢰성 있는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