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공 업 수 학

1. 미 분 법

① 평균 변화율

• 정의
: 함수 y = f (x) 에서 x 값이 a 부터 a + Δx 까지 변할 때를
구간 [a, a + Δx] 에서의 y 의 평균변화율이라 함.
Δy f (a + Δx) − f ( x)
=
Δx Δx

• 기하학적 의미
: 함수 y = f ( x) 의 구간 [a, a + Δx] 에서, y 의 평균 변화율은 함수의
x 좌표가 a 인 점(P)과 a + Δx 인 점(Q)을 맺는 직선의 기울기

y y = f (s )

Δy f (a + Δx )
P Δx
f (a )
a a + Δx x

• Example
: 함수 y = x 2 의 구간 [1, 3] 에서의 y 의 평균변화율은?

구간 [1, 3] 에서 y 의 평균변화율이라 한다. 또한 이 값은 직선 PQ 의


기울기와 같다.

-1-
공 업 수 학

y
y = x2

Δy

1 Δx

1 3 x

② 순간 변화율(미분계수)

• 정의
: 함수 y = f ( x) 의 구간 [a, a + Δx] 에서의 평균변화율이 Δx → 0 일 때의
극한값, 즉
Δy f (a + Δx) − f ( x)
lim Δx = lim
Δx →0 Δx →0 Δx
를 f ( x) 의 a + Δx 에서의 순간변화율이라 한다.

f ′(a), y′x = a , []
dy
dx x = a

• 기하학적 의미
: 함수 y = f ( x) 의 x = a 에서의 변화율 f ′(a ) 는 x 좌표가 a 인
점에서의 접선(T)의 기울기

Q T

Δy
P
y = f (s ) Δx f (a + Δx)
f (a )

a a + Δx x

-2-
공 업 수 학

• Example
: 함수 y = x 2 의 구간 [2,2 + Δx] 에서의 y 의 평균변화율은?

x 증분의 절대값 Δx 가 아주 작을 때, (예, Δx = 0.00001 인 경우=?)

Δy
= 4 + 0.00001 = 4.00001
Δx

Δx 가 무한이 작다고 할 때

Δy
lim = lim (4 + Δx) = 4
Δx → 0 Δ x Δx → 0

y = x 2 의 x = 2 에서의 (순간)변화율은 “4”라 하고 y ′x = 2 = 4 로 나타냄.


접선 T의 기울기!!!

y
y = x2

( 2 + Δ x) 2

Δy

2 Δx

2 2 + Δx x

-3-
공 업 수 학

③ 도함수

• 정의
: 함수 y = f (x) 에서
Δy f ( x + Δx) − f ( x)
lim Δx = lim
Δx →0 Δx →0 Δx
를 x 에 대한 y 의 도함수라 한다.

dy df ( x) d
y′, f ′( x ), , , f ( x)
dx dx dx
함수 f ( x ) 에서 도함수 f ′( x ) 를 구하는 것을 f ( x ) 를 x 에 대해
”미분”한다 라고 하고, 그 계산법을 미분법이라 한다.

• 기하학적 의미
: 함수 y = f (x) 의 임의 점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

Q T

Δy
P
y = f (x ) Δx
f ( x)

x x + Δ xx

• Example
f ( x) = x 2의 도함수는?

-4-
공 업 수 학

④ 미분법의 기본공식
: 두 함수 f ( x ) , g ( x ) 의 도함수가 존재 할 때

함수 도함수
y = c (c는 상수) y′ = 0

y = x n (n는 유리수) y ′ = n ⋅ x n −1
y = c ⋅ f ( x) (c는 상수) y ′ = c ⋅ f ′( x )
y = f ( x) ± g ( x) y ′ = f ′( x ) ± g ′( x )
y = f ( x) ⋅ g ( x) y ′ = f ′( x ) ⋅ g ( x ) + f ( x ) ⋅ g ′( x )
f ( x) f ′( x) ⋅ g ( x) − f ( x) ⋅ g ′( x)
y= ( g ( x) ≠ 0 이면) y′ =
g ( x) {g ( x)}2
1 − g ′( x)
y= 이면, y′ =
g ( x) {g ( x)}2

⑤ 합성함수의 미분법
: y = f (u ) , u = g ( x ) 가 미분 가능 일 때 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얻어 진다.
dy dy du
= ⋅
dx du dx

• Example
함수 y = (2 x + 1) 2 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⑥ 음함수의 미분법
: y 가 x 의 함수이고, 미분 가능할 때,
d n d n dx
y = y ⋅
dx dy dy

-5-
공 업 수 학

• Example
4 x 2 + 9 y 2 = 36 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⑦ 역함수의 미분법
: y = f ( x) 가 y = g ( x ) 의 역함수이면,
dy 1 dx 1
= , =
dx dx dy dy
dy dx

• Example
dx
y = x 2 + 1 일 때, =?
dy

⑧ 매개변수로 표시된 함수의 미분법


: y = f (t ) 가 y = g (t ) 가 t 에 대하여 미분 가능하고, f ′(t ) ≠ 0 일 때,

dy
dy
x = f ( t ), y = g ( t ) 이면 ⇒ = dt
dx dx
dt

• Example
dx
x = 2t , y = t 2 + t + 1 일 때, =?
dy

-6-
공 업 수 학

⑨ 삼각함수의 미분법
함수 도함수
y = sin x y′ = cos x
y = cos x y′ = − sin x
y = tan x y′ = sec 2 x
y = cot x y′ = − csc 2 x
y = sec x y′ = sec x tan x
y = csc x y ′ = − csc x cot x

⑩ 지수, 로그함수 미분법


함수 도함수
y = ex y′ = e x
y = ax y′ = a x log a
y = log x 1
y′ =
x
y = log a x 1 1
y′ = ⋅
x log a

⑪ 고계도함수

• 2계도함수
: 함수 y = f (x ) 가 미분 가능이면 그 도함수 f ′(x ) 또한 함수이고,

만일 이것이 미분 가능하면 그 도함수 { f ′(x)}′ 를 생각 할 수 있다.

이것을 함수 f (x ) 의 이계도함수라 한다.


d2y d2
f ′′( x), y ′′, , f ( x)
dx 2 dx 2

• n 계도함수
: 함수 y = f (x ) 가 x 에 대해 n 번 미분이 가능할 때, x 에 관하여
n 번 미분한 것을 n 계도함수라 한다.

-7-
공 업 수 학

2. 적 분 법

① 부정적분

• 정의
: 함수 f (x ) 가 주어지고, Let) F ′( x ) = f ( x )
F (x ) 를 f (x ) 의 부정적분 혹은 원시함수라 한다. 그런데 함수 f (x )
의 부정적분은 F ( x) + C 로 나타나고, 다음과 같이 표시 한다.

∫ f ( x)dx = F ( x) + C (C는 임의의 상수)

where) C : 적분상수 f (x ) : 피적분 함수 x : 적분변수


f (x ) 의 부정적분을 구하는 것을 f (x ) 를 “적분한다”고 한다.

• 부정적분과 도함수의 관계
⎛d ⎞
∫ ⎜⎝ dx f ( x) ⎟⎠dx = f ( x) + c ⇒
d
dx
(∫ f ( x)dx) = f ( x)

㉮ 부정적분의 기본 공식

∫ k dx = ? (k는상수) → ∫ k dx = kx + C
1 n +1
∫x dx = x +C
n
∫ x dx = ? (n는 유리수)
n
→ n +1

n = −1 : 1 1
∫ x dx = ? →
∫ x dx = log x + C

∫k f ( x) dx = ?
→ ∫k f ( x) dx = k ∫ f ( x) dx

∫ f ( x) ± g ( x) dx
∫ f ( x) ± g ( x) dx = ? →
= ∫ f ( x)dx ± ∫ g ( x)dx

-8-
공 업 수 학

㉯ 삼각함수의 적분법

∫ sin x dx = ? → ∫ sin x dx = - cosx + C

∫ cos x dx = ? → ∫ cos x dx = sin x + C

∫ sec ∫ sec x dx = tan x + C


2
2
x dx = ? →

∫ csc x dx = ? ∫ csc x dx = − cot x + C


2 2

∫ sec x tan x dx = ? → ∫ sec x tan x dx = sec x + C

∫ cscx cotx dx = ? → ∫ cscx cotx dx = csc x + C

㉰ 치환적분
: x = g (t ) 라 할 때,
dx d
∫ f ( x) dx = ∫ f ( x) dt dt = ∫ f ( g (t )) dt g (t )dt = ∫ f ( g (t )) g ′(t )dt

• Example

∫ sin(2 x + 1)dx = ?

• Practice

∫ (e + 2) 2 e x dx = ?
x

-9-
공 업 수 학

㉱ 부분적분
∙ 기본공식에 의해 적분을 구할 수 없는 경우
∙ 치환적분에 의해서도 적분을 구할 수 없는 경우
∙ 두 함수의 곱 형태의 적분에 적용

∫ f ′( x) g ( x) dx = f ( x) g ( x) − ∫ f ( x) g ′( x)dx

• Example

∫ xe dx = ?
x

• Practice

∫x sin xdx = ?
2

- 10 -
공 업 수 학

② 정적분

• 정의
∙ 함수 f (x ) 가 주어지고, 구간 [a, b]에서 연속
∙ 그 구간을 n등분하여 양쪽 끝과 각 분점의 좌표를

x0 (= a ), x1 , x2 , LL , xn −1 , xn (= b)

b−a
= Δ x 라 할 때, 함수의 a에서 b까지의 정적분은 다음과
n

같이 정의된다.


b
lim
n→ ∞
k =1
f (xk ) ⋅ Δ x = ∫ a
f ( x ) dx

y
y = f (x)

x
a x2 xn−1 b = xn
x=0

• 정적분과 부정적분 사이의 관계

∫ f ( x)dx = F ( x) + C 라 하면

∫ f ( x)dx = [F ( x)] = F (b) − F (a)
b b
a a

- 11 -
공 업 수 학

• Example
2
∫1
( x 2 − 3x + 2)dx = ?

• 정적분의 기본 정의 [Summary]
⇒ a≥b 일 때
a b a

a
f ( x)dx = 0, ∫a
f ( x)dx = − ∫ f ( x)dx
b

⇒ a, b의 대소와 관계 없이 다음식이 성립
b
∫ f ( x)dx = F ( x) + C 이면 ⇒ ∫a
f ( x)dx = F (b) − F (a)

• 기본공식
b b b
∫ a
k f(x)dx = ? (k는상수) ⇒ ∫
a
k dx = k ∫ f(x)dx
a

∫ { f ( x) + g ( x)}dx = ∫
b b b
f ( x)dx ± ∫ g ( x)dx
a a a

b c b
∫ a
f ( x)dx = ∫ f ( x)dx + ∫ f ( x)dx
a c

- 12 -
공 업 수 학

3. 미분방정식

① 정의

∙ 미분방정식(Differential Equation)이란 미지함수와 그 도함수에


관한 방정식
∙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독립변수에 대한 1개 또는 2개 이상의
종속변수와 그 도함수를 포함하고 있는 방정식

• Example
dy d2y dy
= 2x + 3 2
+ 3 + 2y = 0
dx dx dx
∂z ∂z ∂2z ∂2z
+z+x =0 + = 3x 2 − y
∂x ∂y ∂x 2 ∂ 2 y

② 미분방정식의 응용
: 다양한 물리적 현상을 수학적으로 표현 (수학적 모델링) 그 현상을
물리 및 기하적으로 분석 하는데 응용됨

- 13 -
공 업 수 학

③ 형태에 따른 분류

• 상미분방정식 (ODE: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


: 1개의 독립변수에 대한 1개 또는 2개 이상의 종속변수와
도함수를 포함하는 미분방정식
dy d2y dy
= 2x + 3 2
+ 3 + 2y = 0
dx dx dx

• 편미분방정식 (PDE: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 2개 이상의 독립변수에 대해 1개 혹은 2개 이상의 종속변수와
도함수를 포함하는 미분방정식
∂z ∂z ∂2z ∂2z
+z+x =0 + = 3x 2 − y
∂x ∂y ∂x 2 ∂ 2 y

④ 선형상에 따른 분류

• 독립변수가 x , 종속변수가 y , 그리고 도함수 y ′, y ′′, L, y ( n ) 가


각 항에서 1차일 때

P0 ( x) y n + P1 ( x) y ( n −1) , LL, P( n−1) y ′ + Pn = f ( x) ( P0 ( x) ≠ 0)

를 n계 선형(linear) 상미분방정식이라 함.

• Example xy ′ + y ′ = x 2

• If) 선형이 아닌 미분방정식을 비선형 (nonlinear) 상미분방정식이라 함.

• Example y ′ + y ′ 2 = 1, y ′′ − xy ′ 2 = 0

- 14 -
공 업 수 학

⑤ 기타 분류

• 미분방정식을 최고계수의 도함수에 대해 풀 때, 즉


dy d2y dy dny dy d n −1 y
= f ( x, y ) , = f ( x, y , ) , = f ( x , y , , L , )
dx dx 2
dx dx n dx dx n −1
인 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면 이형을 미분방정식의 정규형이라 한다.

• 독립변수 x 에 대해 2개의 종속변수 y, z 와 그 도함수 사이에


성립하는 미분방정식을 연립미분방정식이라 한다.

dy dz
• 그 정규형은: = f ( x, y, z ), = g ( x, y , z )
dx dx

⑥ 미분방정식의 작성과 풀이 [Example]

• 자유 낙하 하는 물체의 연직위치와 속도??

Z0 V0

□ Step #1 : 문제의 수식화

• 기본 법칙 : Newton의 제 2법칙

⎧ dV d 2 Z
⎪ • a = = 2
⎪⎪ dt dt
∑F = m⋅a ⎨
⎪• F = 중력 + 저향력(마찰 + 항력) + 부력
⎪ ∑
⎪⎩

- 15 -
공 업 수 학

⎛ 중력: -mg

⎜ ρ fluid
⎜ 부력: + mg , (Object의비중 : 2.65, Fluid의비중 : 10 -3 )
⎜ ρ object
⎜ 저항력: 무시

• 기본법칙 : Newton의 제 2법칙

ρ fluid d 2Z
-mg + mg + 저항력 = m ⋅ 2
ρ object dt

d 2Z d 2Z
∴ -g = 2 or = -g
dt dt 2

⎛ Z ( 0) = Z 0

• 초기조건 : ⎜ dz (0) = V

⎝ dt
0

□ Step #2 : 수식의 풀이 (Solution)

※ 주어진 미분방정식을 만족하는 함수를 그 미방의 해(solution)이라 한다.


d 2Z
∫ dt 2 dt = -∫ g dt
dZ
(= velocity) = − gt + C1
dt
초기조건(V0=0)으로부터, C a = V0 = 0
dZ
= − gt
dt
dZ
∫ dt
dt = − ∫ gt dt + ∫ V 0 dt …………… 식(1)

1 1
Z = − gt 2 + V0 t + C 2 = − gt 2 + C 2
2 2
초기조건(Z0=0)으로 부터, C 2 = Z 0
1 1
Z = − gt 2 + V0 t + C 2 = − gt 2 + Z 0
2 2

- 16 -
공 업 수 학

□ Step #3 : 해의 분석

Z = 50km
0
50

45

40

35

30
Height(km)

25

20

15

10

0
0 20 40 60 80 100 120
Time (second)

Z = 100m
0
-5

-10

-15
Velocity Change(m/s)

-20

-25

-30

-35

-40

-45
1 1.5 2 2.5 3 3.5 4 4.5
Time (second)

- 17 -
공 업 수 학

Z = 50km
0
50

45

40

35

30
Height(km)

25

20

15

10

0
0 20 40 60 80 100 120
Time (second)

Z = 50km
0
0

-100

-200
Velocity Change(m/s)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0 20 40 60 80 100 120
Time (second)

- 1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