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스토크스의 정리

X-Type

2010 년 2 월 6 일

이 글에서는 공간의 미소한 부분에서 유량 (Flux) 과 환량 (Circulation) 을 계


산하여 발산 (Divergence) 과 회전 (Curl) 에 관한 식을 유도해 본다. 또 이 결과
를 이용하여 발산 정리와 스토크스의 정리가 갖는 의미를 해석해 본다. 마지막
으로 이 해석을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및 일반화된 스토크스의 정리에 적용하여
미분과 적분의 본질적인 의미를 탐구해 본다.

1 발산 정리

3 차원 공간 (R3 ) 에서 발산은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정의 1. 어떤 벡터장 F : R3 → R3 에 대하여 F = (Fx , Fy , Fz ) 라고 할 때, 한


점 x0 에서 F 의 발산은

∂Fx ∂Fy ∂Fz


(∇ · F)(x0 ) = (x0 ) + (x0 ) + (x0 )
∂x ∂y ∂z

으로 정의한다.

또, 발산에 관한 정리로서 발산 정리가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정리 1. 공간에서 W 를 대칭 기본 영역 (symmetric elementary region) 이라 하


고, ∂W 를 W 를 덮는 유향폐곡면이라 하자. F 가 W 위에서 정의된 매끈한 벡
터장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 ∫∫∫
F · dS = (∇ · F) dV
∂W W

발산 정리로부터 다음을 얻을 수 있다.

정리 2. x0 를 중심으로 하는 어떤 영역 W 와 벡터장 F 가 정리 1 의 가정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이 때 다음 식이 성립한다.
∫∫
1
(∇ · F)(x0 ) = lim F · dS
V (W )→0 V (W ) ∂W

1
A6

A4

A2

A1
dz
dy
A3
dx
x0 A5

그림 1: 공간 위의 미소한 직육면체 W

여기서는 위 식의 우변을 이용하여 발산의 정의를 유도해보도록 하겠다. 수


학적으로 엄밀하지는 않지만, 발산 정리의 증명과 발산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그림 1 과 같이 공간에서 미소한 직육면체 W 를 생
각하자. 먼저 면 A1 과 A2 를 지나는 F 의 유량을 계산해 보자. dS = −i dy dz
이므로, A1 을 지나는 F 의 유량은
∫∫
F · dS = −Fx (x0 ) dy dz
A1

으로 주어지며,1 A2 를 지나는 F 의 유량은, dS = i dy dz 이므로,


∫∫
∂Fx
F · dS = Fx (x0 + (dx, 0, 0)) dy dz = Fx (x0 ) dy dz + (x0 ) dx dy dz
A2 ∂x

따라서 ∫∫
∂Fx
F · dS = (x0 ) dx dy dz
A1 ∪A2 ∂x

마찬가지 방법으로 A3 , A4 , A5 , A6 을 지나는 F 의 유량을 각각 구하여 모두 더


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Fx ∂Fy ∂Fz
F · dS = (x0 ) + (x0 ) + (x0 ) dx dy dz
∂W ∂x ∂y ∂z

이제 양변을 W 의 부피 V (W ) = dx dy dz 로 나누면,
∫∫
1
F · dS = (∇ · F)(x0 )
V (W ) ∂W

1W 가 미소한 직육면체이기에 가능하다. 엄밀하게 계산하려면 평균값 정리를 이용하면 된다.

2
∫∫∫ ∫∫
그림 2: 왼쪽 : (∇ · F) dV , 가운데 : W
(∇ · F) dV , 오른쪽 : ∂W
F · dS

를 얻는다. 즉, 벡터장 F 에 대하여 F 의 발산 ∇ · F 는 한 점을 중심으로 한


미소한 입체의 경계면을 지나는 F 의 단위 입체당 유량임을 알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정리 1 을 쉽게 설명할 수 있다. 그림 2 를 보자. 그림 2 에서 알 수
있듯이, 인접해 있는 미소한 입체들의 안쪽 경계면을 지나는 유량은 서로 상쇄
되어 0 이 된다. 따라서 W 전체에서, 미소한 입체의 경계면을 지나는 유량, 즉
(∇ · F) dV 를 모두 합하면 입체들의 바깥 경계면만 남아서 ∂W 를 지나는 F 의
유량이 된다는 것이다.

2 스토크스의 정리

스토크스의 정리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먼저 그린의 정리에 대해 알아보자. 그


린의 정리는 다음과 같다.

정리 3. D 를 평면 위의 어떤 단순 (simple) 영역이라 하고, ∂D 를 D 의 경계가


되는 유향곡선이라 하자. 벡터장 F = (Fx , Fy ) 가 C 1 클래스에 속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 ∫∫ ( )
∂Fy ∂Fx
F · dr = − dx dy
∂D D ∂x ∂y
이 정리로부터 x0 를 중심으로 하는 어떤 영역 D 에 대해

∂Fy ∂Fx 1
(x0 ) − (x0 ) = lim F · dr
∂x ∂y A(D)→0 A(D) ∂D

임을 알 수 있는데, 여기서도 이 식의 우변에서 좌변을 유도해 보자. 그림 3 과


같이 좌표평면 위의 미소한 직사각형 D 를 생각하자. 유향곡선 ∂D 의 각 변
C1 , C2 , C3 , C4 을 따라 적분해 보면,

F · dr = F(x0 ) · (dx, 0) = Fx (x0 ) dx
C1


∂Fy
F · dr = F(x0 + (dx, 0)) · (0, dy) = Fy (x0 ) dy + (x0 ) dx dy
C2 ∂x

3
dy

x0 dx

그림 3: 좌표평면 위의 미소한 직사각형 D

∫∫ ∫
그림 4: 왼쪽 : (∇ × F) · k dA, 가운데 : D
(∇ × F) · k dA, 오른쪽 : ∂D
F · dr


∂Fx
F · dr = F(x0 + (0, dy)) · (−dx, 0) = −Fx (x0 ) dx − (x0 ) dx dy
C3 ∂y

F · dr = F(x0 ) · (0, −dy) = −Fy (x0 ) dy
C4

모두 합하면, ∫ ( )
∂Fy ∂Fx
F · dr = (x0 ) − (x0 ) dxdy
∂D ∂x ∂y
이므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 역시 발산을 해석했을 때와 같은 방
법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림 4 를 보자. 그림 4 와 같이 인접해 있는 미소한
영역의 안쪽 경계를 지나는 환량은 서로 상쇄되어 0 이 되므로, D 전체에서는
∂D 를 통과하는 환량만 남게 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이 그린의 정리가 의미하는
바이다.
스토크스의 정리는 그린의 정리를 3 차원 공간으로 확장한 것이다. 그 내용
은 아래와 같다.

정리 4. S 를, 그린의 정리의 가정을 만족하는 영역 D 위에서 정의된, 일대일


대응 Φ : D → S 에 의해 정의된 유향곡면이라 하고, ∂S 를 S 의 경계가 되는
유향곡선이라 하자. S 에서 정의된 어떤 C 1 벡터장 F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
한다. ∫ ∫∫
F · dr = (∇ × F) · dS
∂S S

4
z

Φ(u + du, v + dv)

C3

Φ(u, v + dv)

C2 y
dS
C4

Φ(u + du, v)

C1
Φ(u, v)

그림 5: 정리 5 의 유도

스토크스의 정리에서 ∇×F 는 벡터장에 대한 연산으로서 회전이라고 한다.


회전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정의 2. 어떤 벡터장 F : R3 → R3 에 대하여 F = (Fx , Fy , Fz ) 라고 할 때, F


의 회전은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i j k

∇ × F = ∂x
∂ ∂
∂y

∂z

Fx Fy Fz

스토크스의 정리로부터 다음을 얻을 수 있다.

정리 5. x0 를 중심으로 하는 어떤 곡면 S 와 벡터장 F 가 정리 4 의 가정을 만


족시킨다고 하자. 이 때 다음 식이 성립한다.

1
(∇ × F)(x0 ) · n̂ = lim F · dr
A(S)→0 A(S) ∂S

단, 위 식에서 n̂ 은 S 에 수직인 단위벡터이다.

그림 5 과 같이 Φ(u, v) = x0 라 하고 ∂S 를 점 Φ(u, v), Φ(u + du, v), Φ(u +


du, v + dv), Φ(u, v + dv) 를 경계로 하여 C1 , C2 , C3 , C4 로 분할하자.

F · dr = F(Φ(u, v)) · {Φ(u + du, v) − Φ(u, v)}
C1

5

F · dr = F(Φ(u + du, v)) · {Φ(u + du, v + dv) − Φ(u + du, v)}
C2

F · dr = −F(Φ(u, v + dv)) · {Φ(u + du, v + dv) − Φ(u, v + dv)}
C3

F · dr = −F(Φ(u, v)) · {Φ(u, v + dv) − Φ(u, v)}
C4

이므로, ∫
∂Φ
F · dr = F · du
C1 ∂u

단, 편의상 F(Φ(u, v)) = F, Φ(u, v) = Φ 라 적도록 하자. 이제 C2 를 지나는 F


의 환량을 구해 보자.

∂(F ◦ Φ) ∂F
F(Φ(u + du, v)) = F + du = F + du
∂u ∂u

가장 오른쪽 변은 편의상 식을 줄인 것이다. 그리고,

∂Φ ∂Φ ∂Φ
Φ(u + du, v + dv) − Φ(u + du, v) = (u + du, v) dv = dv + du dv
∂v ∂v ∂u ∂v

이므로

∂Φ ∂Φ ∂F ∂Φ
F · dr = F · dv + F · du dv + · du dv
C2 ∂v ∂u ∂v ∂u ∂v

이다. 여기서 du du dv 가 들어있는 항은 무시할 수 있는데, 왜냐 하면 마지막


에 ∂S 를 지나는 환량을 S 의 넓이로 나눌 때 du dv 를 포함하는 식으로 나누게
되기 때문이다. 그 후 du du dv 는 du 가 남는데 이는 미소한 양으로서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 du du dv 는 0 으로 취급해도 된다.2 같은 방법으로 C3
과 C4 를 지나는 환량을 구하면 아래와 같다.

∂Φ ∂Φ ∂F ∂Φ
F · dr = −F · du − F · du dv − · du dv
C3 ∂u ∂v ∂u ∂v ∂u

∂Φ
F · dr = −F · dv
C4 ∂v
따라서, ∫
∂F ∂Φ ∂F ∂Φ
F · dr = · du dv − · du dv
∂S ∂u ∂v ∂v ∂u

2 du, dv 를 미소한 양이 아닌 어떤 실수 ∆u, ∆v 로 생각하자 이 경우 마지막에 ∆u ∆v 로


.
나누고 (∆u, ∆v) → 0 으로 가는 극한을 취하는데, 나눗셈 후에도 ∆u 나 ∆v 가 남아있다면 이는
모두 0 으로 수렴하게 된다.

6
∫∫ ∫
그림 6: 왼쪽 : S
(∇ × F) · dS 오른쪽 : ∂S F · dr

이제 각 항을 계산해 보자.
( ) ( ) ( )
∂F ∂Φ ∂Φ ∂Φx ∂Φ ∂Φy ∂Φ ∂Φz
· = ∇Fx · + ∇Fy · + ∇Fz ·
∂u ∂v ∂u ∂v ∂u ∂v ∂u ∂v
( ) ( ) ( )
∂F ∂Φ ∂Φ ∂Φx ∂Φ ∂Φy ∂Φ ∂Φz
· = ∇Fx · + ∇Fy · + ∇Fz ·
∂v ∂u ∂v ∂u ∂v ∂u ∂v ∂u
모두 전개하여 계산해 보면, ∂S 를 통과하는 F 의 유량은 아래의 식에서 du dv
를 곱한 것과 같음을 알 수 있다.

( ) x ( ) ( )
∂Fy ∂Fx Φu Φyu ∂Fz ∂Fy Φyu Φzu ∂Fx ∂Fz Φzu Φxu
− x + − + −
∂x ∂y Φv Φyv ∂y ∂z Φyv Φzv ∂z ∂x Φzv Φxv

단, 여기서 Φxu 는 Φ 의 x 성분을 u 에 대해 편미분한 것이다. 위 식을 살펴보면,


위 식을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 j k i j k

∂ ∂ ∂ · x
Φyu Φzu
∂x ∂y ∂z Φu
x
Fx Fy Fz Φ v Φyv Φzv

따라서 ∂S 를 통과하는 F 의 환량은


∫ ( )
∂Φ ∂Φ
F · dr = (∇ × F) · × du dv = (∇ × F) · n̂ dS
∂S ∂u ∂v

이므로, 양변을 S 의 넓이 A(S) = dS 로 나누면 원하는 결과를 얻는다. 이 결


과를 해석하기 위해 그림 6 을 보자. 그림 6 에서 알 수 있듯이, 인접해 있는
미소한 S 의 부분들의 안쪽 경계를 통과하는 환량은 서로 상쇄되어 0 이 된다.
따라서 S 전체에서는 ∂S 를 통과하는 환량만 남아서, 스토크스 정리의 결론을
얻게 된다.

7
3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지금까지 논의한 바에 따르면, 발산 정리와 스토크스의 정리에 공통점이 있음


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영역 내부의 미세한, 방향성이 있는 양을 모두 합한
것과 영역 겉면의 총량과 같다’ 라는 원리인데, 이는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아래의 정리는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이다.

정리 6. 함수 f : R → R 가 미분가능하고 그 도함수가 연속이면, 아래의 식이


성립한다. ∫ b
f (b) − f (a) = f ′ (x) dx
a

여기서 구간 [a, b] 내부에서 f 의 미세한 변화량 f ′ (x) dx 를 모두 합하면 구


간 [a, b] 의 겉, 즉 점 b 와 a 사이에 f 의 총 변화량이 됨을 알 수 있다.3 이 원
리를 아래와 같이 유한합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n
f (b) − f (a) = {f (ai ) − f (ai−1 )}
i=1

단, f (a0 ) = a, f (an ) = b 이다.

4 일반화된 스토크스의 정리

앞에서 설명했던 원리를 일반적인 유클리드 공간 (Rn ) 으로 확장할 수 있는데,


그것이 바로 일반화된 스토크스의 정리이다.

정리 7. M 을 Rn 의 어떤 개집합 K 에 포함되는 유향 k-다양체라 하자. ω 가


K 위의 (k − 1)-형식이라 할 때, 다음의 식이 성립한다.
∫ ∫
ω= dω
∂M M

이 식에서 알 수 있듯이, 수학적으로는 영역 M 에 방향성이 있고, ω 라는 양


이 그 방향성을 따르는 것이다. 여기서 ω 는 미분형식이라고 하는데, 적분하고
자 하는 양을 일반화한 것이다. d 는 미분형식에 쓰는 일종의 연산인데, (k −1)-
형식에 이 연산을 취하면 k-형식이 된다. 직관적으로, dω 는 M 내부의 미세한
부분에서 ω 의 양이다.
R1 에서는 0-형식, 1-형식의 두 가지 미분형식이 있는데, 0-형식은 어떤 함
수 f (x) 이고, 1-형식은 f (x) 에 미분 dx 를 곱한 양 f (x) dx 를 말한다. 이제 어
떤 구간 I = [a, b] 와 ω = f (x) 를 생각하자. 이 때 dω = f ′ (x) dx 가 되며, 여기

3 여기서 변화량은 a → b 방향의 변화량을 말한다.

8
ω dω R1 R2 R3
점 선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그라디언트 정리 그라디언트 정리
선 면 그린의 정리 스토크스의 정리
면 입체 발산 정리

표 1: R1 , R2 , R3 에서 스토크스의 정리

에 일반화된 스토크스의 정리를 적용하면,


∫ ∫
f (b) − f (a) = dω = f ′ (x) dx
I I

위와 같이 미적분학의 기본정리를 얻게 된다.


R2 에서는 세 가지 미분형식이 있는데, 0 형식, 1-형식, 2-형식이며, 함수로
는 2 변수 함수를 쓴다. 일반적으로, 어떤 함수 f, g 에 대해, 0-형식은 f (x, y),
1-형식은 f (x, y) dx + g(x, y) dy, 2 형식은 f (x, y) dx dy 이다. 여기에 일반화된
스토크스의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을 얻는다.4

f (b) − f (a) = ∇f · dr
C

∫ ∫∫ ( )
∂Fy ∂Fx
F · dr = − dx dy
∂D D ∂x ∂y
위의 식은 그라디언트 정리이고, 아래의 식은 그린의 정리이다.
R3 에서는 네 가지 미분형식이 있고, 3 변수 함수를 쓴다.

1. 0-형식 : f (x, y, z)

2. 1-형식 : f (x, y, z) dx + g(x, y, z) dy + h(x, y, z) dz

3. 2-형식 : f (x, y, z) dx dy + g(x, y, z) dy dz + h(x, y, z) dz dx

4. 3-형식 : f (x, y, z) dx dy dz

일반화된 스토크스의 정리를 적용하면, 그라디언트 정리, 스토크스의 정리, 발


산 정리를 모두 얻을 수 있다. 표 1 은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한 것이다. 지금
까지 알아본 바와 같이, ‘적분’ 은 미분형식을 어떤 영역에 걸쳐서 모두 더하는
연산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미분’ 은 미분형식에 취하는 연산으로서, 영역
내부의 미세한 부분에서의 미분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나뉘어진 것을 쌓
는다는 의미인 ‘적분’ 과 잘게 나눈다는 의미인 ‘미분’ 에 잘 들어맞는다. 구간을

4 쐐기곱 (wedge
product) 과 d 에 관한 몇 가지 성질을 이용하여 dω 를 계산할 수 있는데, 자
세한 과정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9
매우 잘게 나누고, 또 그것을 다시 붙여서 원래대로 만드는 것이 가능한 것은
실수의 성질에 기인한 것이라고 한다면, 일반화된 스토크스의 정리는 본질적
으로 유클리드 공간의 성질을 나타낸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참고 문헌

[1] Marsden, Jerrold E., Anthony Tromba. Vector Calculus, 5th edition.

[2]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Stokes’ theorem.

[3] Deborah Hughes-Hallett. Calculus: Single and Multivariable, Theory Sup-


plement Section M: Proof of the Divergence Theorem and Stokes’ Theo-
rem.

[4] Joining Educational Mathematics. Stokes’ Theorem.

[5] Robert Scheichl. Proof of Stokes’ Theorem.

1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