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6

공연장 무대시설분야 안전지침 및 기술기준 제3권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무대시설안전진단지원센터
목 차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 1


1.1 재료 및 안전율 ························································································································· 1
1.2 구조물의 체결 및 고정 ··········································································································· 4
1.3 안전장치 및 안전대책 ············································································································· 6
1.4 운전실 ······································································································································ 11
1.5 구동부 ······································································································································ 11
1.6 와이어로프, 체인 및 와이어로프 끝단 처리 ······································································ 18
1.7 드럼 및 활차 ·························································································································· 25
1.8 평형추 및 가이드레일 ··········································································································· 30

2. 상부무대시설 ································································································································ 35
2.1 상부 그리드 및 점검통로 ······································································································ 35
2.2 체인 및 로프 ·························································································································· 40
2.3 장치봉 및 막 구조물 ············································································································· 43
2.4 방화막 및 배연장치 ··············································································································· 49

3. 하부무대시설 ································································································································ 51
3.1 프레임 및 무대바닥 ··············································································································· 51
3.2 스크루 축, 랙, 피니언 등 ······································································································ 53
3.3 유압장치 ·································································································································· 55
3.4 기계실 및 하부피트 ··············································································································· 57

4. 전기시설 ········································································································································ 59
4.1 일반사항 ·································································································································· 59
4.2 배전반 ······································································································································ 60
4.3 제어반 ······································································································································ 62
4.4 조작반 ······································································································································ 63
4.5 조작반, 제어반실의 환경조건 ······························································································· 64
4.6 배선, 배관 ······························································································································· 64
4.7 접지 및 차단장치 ··················································································································· 75
4.8 전동기 ······································································································································ 79
4.9 제한 스위치 ···························································································································· 82
4.10 고조파 및 노이즈 ················································································································· 83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1.1 재료 및 안전율

1.1.1 재료

무대시설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무대시설, 장치 등을 구성한다. 본 설계지침에서


적용할 재료 분야는 하중이 작용하는 구조분야 적용되는 재료를 말한다.
무대시설의 구조분야는 상부 그리드, 하부무대 프레임, 구동부 지지대 등에 큰 하중이 부
과되고 있어 구조적인 안전과 직결되는 사항이다. 일반 강재인 KS D 3503에서 정의하는
SS400의 강도 이상을 적용하여 재료의 강도에 따라서 구조부분의 강도 설계에 적용될 수 있
는 기준 강재 정수를 정하였다.
상부그리드, 하부무대프레임, 구동부 지지대 등 무대시설의 구조 부분에 사용되는 재료는
KS D 3503(일반구조용 압연 강재)의 SS400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재료를 사용한다. 단, 사
다리나 덮개, 토목, 건축 공사 등에 사용한 구조부분은 해당 내용에서 제외된다.
무대시설에 적용 가능한 재료는 다음과 같다.
가. KS D 3503(일반구조용 압연강재)에 적합한 강재
나. KS D 3515(용접구조용 압연강재)에 적합한 강재
다. KS D 3517(기계구조용 탄소강관)에 적합한 강재
라. KS D 3557(리벳용 원형강)에 적합한 강재
마. KS D 3566(일반구조용 탄소강관)에 적합한 강재
바. KS D 3568(일반구조용 각형강관)에 적합한 강재

KS D 3503에서 정의하는 SS400이외의 재료를 사용할 때에는 재료의 항복강도와 인장강


도는 24㎟, 41㎟ 이상의 강도를 갖는 재료를 선택해야 하며, 그 해당 강재 특성은 한

국산업규격(KS)에서 명시된 값 또는 공인된 시험기관에서 시험된 강도 실험 결과치를 사용하


여 검토한다. 위에서 명시하지 않는 재료에 대해서는 각 요소 부품별로 안전성이 확보된 재질
및 재료로 적용이 가능하다.
KS D 3503(일반구조용 압연 강재)의 SS400재료에 적용되는 강재정수는 다음과 같다.

1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가. 종탄성 계수 : 21,000( ㎟) {206,000N/㎟)

나. 횡탄성 계수 : 8,100( ㎟){79,000N/㎟)

다. 포 아 송 비 : 0.3
라. 선팽창 계수 : 0.000012
마. 인장강도 : 41㎟

바. 항복강도 : 24 ㎟

1.1.2 하중의 종류 및 강도 계산

상부무대시설과 하부무대시설에 적용되는 하중은 무대시설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서 달리


적용하게 된다. 이때에 적용되는 하중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① 고정하중(자중) : 각 무대시설의 자중 및 고정적으로 설치 및 적재되어 있는 하중을 의


미한다. 상부무대의 경우에는 장치봉, 체결 부속 장치, 무대장치, 조명장치를 포함한 하중을
의미한다. 하부무대의 경우에는 프레임 자중, 바닥 마무리재, 목재 등의 자중, 기타 부속기기
의 자중에 의한 하중을 포함한 하중을 의미한다.
② 적재하중 : 무대시설 설계시에 적용되는 적재하중은 각 무대시설에 대하여 운전시 적
재하중, 정지시 적재하중을 고려하여 정격 적재하중(설계상 적재 가능한 최대하중)을 적용한
다.
③ 구동하중 : 무대시설이 정상운전 조건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의미한다. 상부무대시설에
는 운전조건에서 큰 하중이 부과되지 않으므로 무시할 정도로 작게 작용하며, 특수한 용도에
서 구동하중을 무시하지 못할 경우에 적용한다. 하부무대시설에서는 정격하중을 적재하고 수
직, 수평 이동 운전할 때에 발생되는 하중을 적용한다.
④ 평형추 하중 : 평형추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평형추, 프레임 등의 무게를 고려하여 적용
한다.
⑤ 충격하중 : 무대시설의 기동, 정지시나 큰 가속도에서 가감속하는 경우의 충격하중을 각
무대시설의 동작상태(가속도)에 따라 산정한다. 속도 가변식 무대시설에서 감속하면서 기동,
정지하는 것은 충격하중이 작게 작용하지만, 감속제어하지 않고 정지하는 경우에는 그 하중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한 후에 적용한다.
⑥ 풍하중 : 옥외 등에 설치하는 무대시설에서 바람에 의한 하중을 고려하여야 하는 경우,
풍하중을 적용한다.
⑦ 적설하중 : 옥외에 무대장치를 설치할 때에 지역에 따라서 적설하중을 고려한다. 단 무

2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대시설에 대한 적설은 각 무대시설의 상황에 따라서 다르므로 개별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


다.

1.1.3 강도 계산 및 안전율

기계와 구조물에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하중이 작용되는 부분에 응력이 발생하게 되고 하


중이 커지게 됨에 따라 응력도 증가하여 결국 파괴가 일어나게 된다. 모든 하중이 작용하는
재료 및 부재에 대해서는 강도계산을 적용하여 안전을 확보한 상태에서 설계에 적용해야 한
다. 일반적으로 재료의 강도는 그림 1과 같이 표현된다.
일반적으로 강도를 표현할 때에 항복강도(응력)과 인장강도(응력)으로 표현한다. 항복강도는
외부의 힘이나 하중이 가해진 후에 그 힘이 제거되면 재료의 원래상태로 복귀되는 강도를 말
하며, 인장강도는 해당하는 크기의 하중이 재료에 가해지면 재료가 파단되는 강도를 말한다.
무대시설에서 적용하는 최소한의 강도를 갖는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항복강도와 인장강도
는 24 ㎟, 41㎟ 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Stress
E’

Ultimate D
Stress

E
Yield Stress B C Fracture
Proportional
A
limit

Perfect Strain Deformation


Linear Plasticity hardening Necking
region Or yielding

그림 1 연강(mild steel)의 응력-변형율 선도 예

무대시설 구조분야에 사용되는 재료는 허용응력인 항복응력 범위에서 하중이 작용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음 안전율 계산식에 따라서 최소 4이상의 안
전율을 확보해야 한다.

인장파단하중응력
안전율 
최대 설계하중응력

3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위 안전율 계산식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안전율의 적용되는 모든 부분에 적용된다. 예


를 들어 상부 그리드 프레임, 하부 무대 프레임, 프레임을 고정하는 볼트, 너트, 용접부 등의
안전율 계산에 적용된다.
각 재료의 인장하중을 적용시에는 KS 규격에서 정의하는 값을 적용하며, 그 값이 아닌
다른 값을 적용할 때에는 해당 재료에 대하여 공인된 시험기관에서 시험된 강도 실험 결과치
를 사용하여 검토한다.
또한 필요시 무대시설에 사용하는 재료의 강도는 무대시설의 용도, 사용빈도, 하중상황,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강도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구조물의 체결 및 고정

1.2.1 볼트, 너트 고정

무대시설에서 강재 및 구조물을 고정할 때에 대부분 사용되는 체결도구는 볼트와 너트이


다. 무대시설에서는 강재 및 구조물의 고정 할 때에 기본적으로 볼트와 너트를 적용하여 고정
하여야 하며, 볼트, 너트의 적용이 용이하지 않거나 특수한 경우에 용접으로 접합을 실시한다.
설계 및 설치에 적용되는 볼트와 너트는 한국산업규격에서 규정하는 제품을 적용하며, 강
도 또한 규정된 이상의 성능을 확보하여야 한다. 볼트와 너트에 작용하는 하중의 종류에 따라
서 인장 및 전단 강도에 대하여 4 이상의 안전율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리드 등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앵커볼트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앵커볼트에 작용하는 하
중의 종류와 크기에 유의하여 설계해야 한다. 인장력과 전단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앵커볼트를
설계시에는 다음 식을 따른다.

 ×
   ×   

여기서  : 인장력과 전단력을 동시에 받는 허용전단응력도 ( ㎏ ),  : 허용전단응력

( ㎏ ),  : 볼트에 작용하는 인장응력 ( ㎏ ),  : 앵커볼트의 축단면적 (  ),  : 설

계볼트 장력 (  )

4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볼트와 너트로 구조물을 고정한 후에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서 볼트와 너트가 풀릴
수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볼트와 너트의 풀림장지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평와셔는 기
본적으로 설치하며, 스프링와셔, 더블너트 사용, 멈춤나사 사용, 키 사용, 골패인 너트 사용 등
으로 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 부가적으로 볼트의 여유 나사산부에 분할
핀을 설치하여 풀린 너트가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설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무대시설에 적용되는 프레임 중에서는 H-형강, C-채널 등 경사진 면을 갖는 강재를 사용
한다. 경사진 면에 볼트와 너트를 고정할 때에는 볼트와 너트가 해당 강재에 수직으로 설치
되지 않으며, 볼트와 너트가 해당 경사면에 전체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체결력이 떨어지게 되
므로 경사진 면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의 경사와셔(테이퍼 와셔)를 적용하여야 한다.
볼트와 너트는 고정한 후에 볼트의 여유 나사산이 2산 이상 확보되어야 하며, 너트 고정
부는 점검자 혹 보수자가 쉽게 점검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2 용접 고정

구조물의 고정하는 방법 중 하나인 용접은 볼트와 너트 체결이 용이하지 않는 부분 혹은


돌출된 부분이 없어야 하는 곳에 적용한다.
구조부분의 용접결함은 안전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해당 용접부의 강도에
따른 용접살의 높이 등을 규정하고 있으며 완전 용입의 경우 용접부에 대한 강도는 용접부에
존재할 수 있는 결함을 고려하여 맞대기 용접에서는 사용재료 강도의 80%를 적용하며, 필릿
용접에서는 사용재료 강도의 60%를 적용하여 설계에 적용한다.
프레임, 강재 등의 접합시에 적용되는 용접부는 KS B 0052 용접기호에 명시되어 있는 표
기법으로 도면에 명시한다.
용접 설계시에 유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가. 아래보기 용접을 많이 한다.
나. 용접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공간을 여유 있게 둔다.
다. 맞대기 용접에서는 뒷면 용접과 이피(裏皮) 용접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용입 부족
이 없게 한다.
라. 가급적 필릿 용접은 맞대기용접으로 유도(강도문제)
마 판 두께가 다를 경우 얇은 쪽에서부터 1/4 정도의 테이퍼 가공으로 단면을 변화시
켜 용접한다.
바. 용접 이음을 한쪽으로 집중되게 설계하지 않고 최소 100㎜ 이상 떨어뜨린다.
사. 용접선은 가급적 교차시키지 않으며 불가피하다면 그 부분을 둥근 아치형으로 설
계한다.(scallop)

5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아. 충격, 반복(피로)하중, 저온 등에 대비한 설계를 한다.

용접부의 용접살은 용접부의 강도가 4 이상의 안전율을 확보하도록 하며, 용접부에 대한


보강 용접살은 다음 표 이상이어야 한다.

표 1 용접부에 대한 보강 용접살

모재의 두께(mm) 보강 용접살의 높이(mm)


12이하 1.5
12초과 25이하 2.5
25초과 3.0

용접살두께

모재두께

그림 2 용접부의 모재 및 용접살 두께

1.3 안전장치 및 안전대책

무대시설의 안전장치는 무대시설에 의한 안전사고를 최소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승강, 이


동 등 움직이는 무대시설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제한 스위치(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되며, 추
가적으로 한계 스위치(최종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여 제한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았을 때에
한계 스위치가 작동하여 무대시설을 멈출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리미트 스위치의
기능적, 작동적 설계는 전기분야의 제한 스위치에서 다룬다.

1.3.1 비상정지 스위치

비상정지 스위치는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동작중인 무대시설을 일제히 정지시켜야 하는


경우나 정지 조작이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경우 등을 대비하여 조작반, 배전반, 무대 등 필요한
장소에 설치한다. 이 조작은 주전원회로를 차단하는 등, 전동기의 제어 회로와는 별도의 부분
에서 동작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상 스위치는 작동하기 쉽도록 대형 누름 버튼이
적합하며, 잘못 건드려서 작동되지 않도록 오동작 방지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기본적인 비상

6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정지 스위치의 설계는 KS B ISO 13850에 따른다.


비상정지 스위치가 설치되는 주요 장소는 다음과 같다.
o 조작반 : 조작반에는 비상정지 스위치가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무대시설의 위급한
상황이나 비상 정지가 필요할 때 즉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o 승강무대 하부 피트부 측면 : 승강무대, 연주 승강무대가 하강하고 있을 때 무대시설의
작동을 즉각적으로 멈출 수 있는 비상 정지 스위치가 승강무대 측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o 그리드 벽면 : 점검자, 작업자 등이 그리드 내에 위치하여 있을 경우 위험 상황에서 무
대시설을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 스위치를 그리드 및 그리드 진입부에 설치한다.
o 프로시니엄 브리지 내 : 프로시니엄 브리지에서 조명 작업 등을 하고 있을 때에 무대
시설의 작동을 멈출 수 있는 비상 스위치를 프로시니엄 브리지 내에 설치한다.
o 각 층 갤러리 : 각 층의 갤러리에서 평형추를 적재 및 적하시에 무대시설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안전을 위한 비상정지 스위치가 각 갤러리 층마다 설치되도록 한다.
o 기타 위치 : 공연장 무대시설의 안전에 관련하여 점검자 및 작업자가 작업 및 점검할
때에 무대시설의 작동으로 인하여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장소에는 접근하기 쉬운 위
치, 작동하기 쉬운 위치에 비상정지 스위치가 설치되도록 한다.

1.3.2 추락방지 및 안전대책

점검자, 관리자 등이 그리드, 갤러리, 승강무대 등을 점검시에는 낙하방지 대책이 적용되


어야 한다. 그리드에서는 사람이나 공구 등이 낙하되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그리드 프레임을
구성하고 채널, 안전철망 등을 설치해야 하며, 갤러리에서는 평형추를 싣고 내리는 부분을 제
외하고는 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승강무대 등은 기구의 구조상 가능한 펜스를 설치한다. 또
한 부가적으로 승강무대가 하강한 후에 안전 네트가 작동하여 무대면에서 하부 피트부로 사
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객석측 무대시설 혹은 그리드 이외의 구동부 및
활차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접근로에 추락 방지시설을 적용하며, 그 접근로의 낙하방지 대책을
명시한다.
이러한 추락방지 및 안전대책에 대한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o 상부 그리드 : 상부 그리드에는 와이어로프, 전원선 등이 이송되는 구멍을 제외하고는
작업자, 점검자 혹은 물건 등이 추락하지 않는 구조로 설계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철망을 설치하거나 혹은 C-채널을 50mm 이하의 간격으로 적용하여 보행시에 발이
빠지지 않는 치수로 설계한다. 또한 그리드에 장비 반입용 반입구가 설치된 경우에는
반입구의 주변에 안전 난간 등을 설치하여 추락에 대비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7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그리드가 2단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2단 그리드에 설치된 구동부, 활차 등을 점검할


수 있는 점검로를 확보하고 안전 난간 등을 설치하여 추락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o 갤러리 : 갤러리의 주 목적은 평형추를 싣고 내리는 장소로 사용되며, 그 이외에도 조
명기 작업 공간, 비상시의 점검 통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갤러리에는 점검자 및
작업자가 쉽게 접근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야 하며, 추락 방지를 위한 난간이 적용
되어야 한다.
o 평형추 이동 가이드 레일 : 평형추 틀이 이동되는 가이드레일부는 평형추를 싣고 내리
는 갤러리 층을 제외하고는 안전철망 등으로 평형추 승강부에 안전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 프로시니엄 브리지, 조명 브리지 등 : 프로시니엄 브리지, 조명 브리지 등에는 작업자
가 프레임 위에 위치하여 조명기의 설치 및 조명 각도 조정 등을 실시한다.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난간 및 접근로 및 작업로에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o 가드 레일, 승강로 : 승강무대 등의 가드레일, 승강로는 무대시설의 구조상 가능한 펜
스를 설치한다. 회전하는 스크루 축, 랙 및 피니언 등에 말려 들어갈 우려가 있는 구
동부는 전 행정범위에 대하여 커버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행정거리가 긴 체인
식 리프트 등 전 행정범위를 커버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도 스프로킷 등의 맞물림
부분에는 반드시 커버를 설치한다.
o 무대면에서의 낙하 방지 : 무대 바닥에 개구부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낙하방지판을 설치하여 점검자, 연기자, 작업자 등 사람이 추락하더라도 안전
판 및 네트에서 걸려서 무대 피트 및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무대시설
의 운영과 승강동작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만 가능하지만 가능한 최대한 적용하며, 개
구 전면을 모두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o 승강 손잡이 : 승강무대 등이 설치되는 하부 피트에 설치하여 사람이 추락하지 않도록
적용하는 것으로 손잡이의 강도는 1인이 약 100kg의 하중으로 눌러도 안전한 것으로
기준으로 하며, 높이는 75cm 이상으로 설계한다.
o 끼임방지 : 승강무대 등 하부무대시설 끝에 적재물과 탑승자 등의 돌출부가 있는 상태
에서 승강되면 안전사고 및 무대의 손상을 가져온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는 기본적으로 안전 감시원이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무대 모서리, 측면
부 등에 끼임 및 간섭 검출 장치를 설치하여 안전사고 및 무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8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1.3.3 승강 범위의 제한

대형 승강무대는 대용량의 하중이 무대바닥에 작용한다. 대형 승강무대는 승강무대가 상


승한 후에 하중 유지 및 안전을 위한 잠금장치를 적용한다. 하중을 유지하기 위한 잠금장치의
예로서 수동식 브레이크, 위치 고정용 스토퍼 등을 적용한다. 승강무대가 하강시에는 일정 행
정구간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스토퍼를 적용하고, 스토퍼에 의하여 정지할 때에 충격을 감소
시켜주기 위해서 스토퍼 상단부에 충격완화 장치를 적용한다.

1.3.4 비상 경보 및 램프

무대시설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에서는 무대시설이 작동시에 작동을 알려줄 수 있는 경보


장치를 적용하여 청각적 안전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경보장치에 의해서 공연에 방해가 될
수 있는 경우에는 시야가 확보되는 장소에 경고 램프를 설치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상부 그리드, 갤러리, 조명브리지, 하부 피트, 기계실 등에 인가되지 않는 사람이 위치할
경우에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무대시설의 작동이 차단되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기기나 부품류는 위험 표시 및 커버를 적용한다.
무대 바닥 사이에 끼임, 접촉 사고 등으로 인하여 구동부의 과부하 및 이상 작동 발생할
때에 무대시설을 자동 혹은 수동으로 정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1.3.5 대피공간

점검 작업과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 기계 장치 (예를 들면 승강 무대 등) 아래에서 작업


을 해야 하는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 공간을 설계해야 한다. 이때 승강 무대 등의 바
닥은 전체 하부 면적을 보호 공간으로 남겨 놓을 수 있을 정도로만 승강 범위를 제한해야 하
며 스토퍼 등을 프레임 등 구조물이 설치되기 이전에 설정할 수 있도록 순서를 정해야 한다.
승강무대 바닥면의 최하점에 대한 수직 간격은 다음과 같은 최소한의 높이를 유지해야만 한
다.
o 보호 공간의 바닥면까지 0.8m
o 접점을 제외하고 하부나 상부의 고정식 설치물까지 0.5m
o 승강 무대와 보호 공간 바닥면 사이 0.12m
최소한 0.8m x 1.5m의 기본 면적에 달하는 보호 공간이 존재할 경우, 이 때 내부 설치물
을 포함한 구조물을 고려하지 않는다. 팬터그래프 방식의 무대시설(시저 타입 등의 하부무대시
설)은 지지대를 제거할 경우를 대비한 안전장치를 반드시 설계 및 설치해야 한다.

9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팬터그래프 방식 등의 접이식 지지대가 존재 할 경우 표시문을 부착하여 점검 작업과 유지


보수 작업 시 그 이용을 안내해야만 한다. 보호 공간은 언제라도 승강무대의 바닥면 위치와
무관하게 아무런 위험 없이 출입 할 수 있어야 한다.
보호 공간 출입구의 횡단면은 최소한 0.6m x 0.8m에 달해야 한다. 또한 하부무대 바닥 하
부면의 유지 보수 작업 범위에는 작업에 필요한 조도를 확보한 조명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1.3.6 압착, 절단, 박힘, 추락 지점으로부터의 보호

압착부와 단절부, 유입부의 출입을 금지한다. 불가피 할 경우 안전 대책(보호구 착용, 작


업자와 조작자와의 충분한 통신 등)을 취하여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근접한 무대장치가 무
대바닥 등의 구조적 간극은 20mm를 초과해서는 안되며, 운전적인 측면에서 간격이 더 넓어
질 경우에는 이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적용한다. 기계 장치 (예를 들면 승강무대)의 운전
범위 내의 추락부의 출입을 삼가 할 수 없을 경우, 효과적인 장치나 조치를 강구하여 이에 대
한 안전성을 확보해야만 한다.

1.3.7 승강 샤프트의 벽, 입구, 문 등

기계 장치(예를 들면 승강무대 등)가 벽면을 따라 이동 할 경우, 이 벽면들에는 승강로 출


입문을 설치해야만 한다. 출입문의 통과 높이는 최소한 2.0m 이상을 확보하도록 설계한다. 승
강로 벽과 승강로(피트 등) 출입문은 평형해야 하며, 기계 장치와의 간격은 최대 20mm 이내
로 설계한다. 회전익 문을 설치할 때에는 일체식으로 나란히 차단될 수 있도록 설계하며, 슬
라이딩 출입문 구역내의 홈과 돌출부에 대한 압착과 절단을 반드시 피하거나 이에 대한 안전
장치를 설치해야만 한다. 피난로의 출입문은 반드시 회전익 문으로 만들어야 하며, 승강로에
서의 돌출을 허용하지 않는다.
승강무대 등의 무대시설은 모든 승강로 출입문이 닫히고 차단되었을 경우에 한해 작동이
되도록 설계하며, 승강로 출입문 폐쇄 장치는 전자식 안전장치를 적용해야 한다.
하부 피트 등의 출입문은 동력 장치의 전원이 차단되고 승강 무대 바닥과 정치 위치 사이
의 높이 차이가 0.15m에 이내일 때에 출입문의 개방이 허용되도록 한다. 또한 승강로 차단 장
치는 승강로 출입문이 닫히지 않았을 경우에 차단재가 차단 위치에 삽입되지 않는 구조로 제
작되어야 한다.

10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1.3.8 안전 표시 및 덮개(방호조치)

무대시설은 대부분이 구동부와 회전축을 갖는 기계요소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구동부 및


회전축에 사람의 손이나 옷깃이 말려들어가는 경우에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크다. 이러
한 위험에 노출된 회전부 등에는 위험 표시를 실시하고 필요시에는 덮개 등의 방호조치를 실
시한다. 예를 들어 구동부의 회전부와 회전축 등에는 안전덮개를 설치하고, 길이가 긴 회전축
에는 회전시에 축의 회전을 인식할 수 있는 굵은 선 등을 표시하여 사람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하부무대기계는 무대 위에서 추락하는 물건, 이물질 등으로 인하여 파손 및 오염
이 되기 쉬우므로 안전덮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덮개를 적용할 때에는 안
전덮개를 제거 혹은 점검할 수 있는 문 등을 설치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안전
표시는 그리드 진입로, 갤러리 진입로, 하부 피트 진입로, 회전 기계 및 부속기기 등에 표시하
며, 필요시에 위험한 기계 혹은 장소에 사람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적용하고, 안전 표시는
KS A ISO 3864-1, KS A ISO 3864-2, KS A 3510에 따라서 적용하도록 한다.

1.4 운전실

무대시설을 작동하기 위한 운전실은 일반적으로 무대 측면부 2층에 구성되는 경우와 1층


무대 측면에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운전실이 설치된 장소는 무대시설의 전체적인 작동을 볼
수 있도록 시계가 확보된 장소에 위치해야만 한다. 또한 운전실에서는 비상정지장치, 경보장
치 등이 설치되어 있어서 비상시에 작동을 멈출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야 한다. 운전실이 1
층이나 2층에 위치하므로 무대 천정에서 낙하물이 있을 때에 낙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
전망 등 보호설비를 갖추어야만 한다.
운전실에 조작반 등 전기제어시설이 설치되므로 운전실의 환경조건은 제어반 및 배전반의
환경조건에 따른다.

1.5 구동부

1.5.1 전동기

무대시설에 적용되는 전동기는 무대시설의 용도, 하중, 이동속도, 기동정지 제어방식, 속도

11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제어방식, 주위 환경 등에 적합한 용량, 형식을 선정한다. 전동기의 시동방식은 필요로 하는


기동 토크, 전원 용량, 속도 제어의 유무, 동시에 작동하는 전동기의 대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속도 가변식 무대시설에서는 소요 토크, 속도변화범위, 제어정도, 전원용량, 동식 작
동하는 전동기 대수, 용량, 주의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제어방식을 선정한다.

전동기를 선정할 때에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o 용도 : 부하의 기동별 운전 조건
o 정격사항 : 정격 출력, 극수, 전압, 주파수, 정격(연속, 단시간 정격)
o 절연종류별 : B종, F종 등
o 주위조건 : 주위온도(℃), 표고(해발:m), 습도(%)
o 설치조건 : 옥내형, 옥외형
o 회전자 종류별 : 농형, 권선형
o 고정 방법 : 횡축, 입축, 수평, 천정, 벽
o 부하 : 연결방식 (직결, 벨트(평벨트, V벨트)), 기동회전력, 최대 회전력
o 기동방식 : 직입기동, 와이델타기동, 리액터기동, 보상기기동, 저항기기동
o 기동횟수 : 회/일
o 회전방향 :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o 벨트식인 경우 : 풀리 직경 , 풀리 중량 등
o 수직인 경우 : 추력(상향, 하향)

무대시설에 적용되는 전동기는 전폐형 전동기를 사용하며, 설계에 적용된 전동기는 한국


산업규격에서 명시하는 제품을 적용한다.
전동기의 용량 선정은 작용하는 최대 설계 하중, 이동속도, 연결 방법 등을 고려하여
100%, 가속시에는 150% 이상의 성능이 발휘 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디스크 윈치식 전동기를
설계시에는 이동속도가 최대일 때를 기준으로 적용한다.
전동기의 용량을 산정하는 계산 식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     평형추방식
 ×
× 
     윈치방식 직결방식
 ×

여기서  : 무대시설 적용 총 하중(설계하중)(kg),  : 이동속도 (m/min),  : 평형추

12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균형비, η : 총 효율(전동기 효율 × 감속기 효율, 풀리 효율)

전동기의 용량 계산시에 무대시설의 이동속도에 따라서 전동기의 용량이 결정된다. 이동


속도를 계산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
이동속도의 계산은 벨트 연결식과 직결식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벨트가 연결되었을 경
우의 이동속도 계산식 예는 다음 식과 같다.

 ×  ×  ×
   
 × 

전동기와 감속기가 풀리의 벨트에 의한 연결이 아닌 직결 연결이 되어있다면 이동속도(V)


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  × ×
   

여기에서  : 전동기 회전수(RPM),  : 전동기 출력측 풀리 직경(m),  : 주 드럼의 직

경(m),  : 감속기의 감속비,  : 감속기 입력 축 풀리 직경(m)

디스크 방식의 윈치 드럼을 적용하였을 때에는 이동속도가 최대일 때를 기준으로 이동속


도를 결정하고, 속도 가변인 경우에는 최대 속도를 기준으로 적용한다.
하부무대시설 이동속도의 계산은 벨트 연결식과 직결식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스크루
잭, 볼 스크루 방식의 승강무대의 이동속도를 계산하는 계산 예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이동무대의 경우에는 다음 식과 같이 계산한다.

   × ×
여기서  : 전동기의 회전수(RPM),  : 스크루 잭, 볼 스크루의 리드(나사피치 : m)를
나타내며,  : 감속기의 감속비를 나타내며,  : 기어박스에 의한 감속비율,  : 스크루 잭,

볼 스크루에 의한 감속비,  : 회전 바퀴 휠의 직경을 의미한다.

13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전동기 고정 베이스는 접합되지 않은 단일의 프레임으로 구성하며 전동기를 프레임에 고


정할 때에는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며, 풀림방지 조치를 적용한다.

1.5.2 감속기

감속기는 전동기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수는 줄여주며, 전달되는 토크는 증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감속기는 감속기의 종류, 배열 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감속비를 얻을 수 있
다.
무대시설에 적용되는 감속기는 한국산업규격에서 규정하는 성능 이상의 제품을 적용한다.
감속기에 연결되는 축은 기계 구조용 탄소강재(SM45C) 이상의 성능을 발휘 할 수 있는 재료
를 적용하며, 감속기 케이스는 GC-200의 주철재 이상의 재료를 적용한다. 단, 작용하는 하중
대비 4이상의 안전율을 확보한 경우에는 다른 재료를 사용해도 무관하다.
감속기의 성능은 무대시설에 작용하는 최대 설계 하중, 감속비, 회전속도, 역전 효율 등을
적용하여 선정하며 출력 토크의 125% 이상의 성능이 확보되도록 한다. 감속기를 선정하는 계
산식의 예는 다음과 같다.

회전력토크 설계하중× 드럼의 반경․


 × 회전력×  회전수 회전력×  회전수
출력    
 × 
 ×
   × ⋅

여기서,  : 무대시설의 설계 및 적용 최대 하중(kg),  : 드럼의 직경(m),   . : 안전율
(1.25)
감속기 기어는 맞물림 부에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감속기 케이스에
는 감속기 유량을 확인할 수 있는 유면계가 있어야 한다.
감속기에 적용되는 오일은 KS M 2127(기어유)에 적용되는 공업용 2종 윤활유를 적용한
다. 이중에서 기어의 종류에 따라서 다음 표와 같이 적용이 되며 웜 감속기의 경우 ISO VG
320, ISO VG 460 계열의 윤활유를 사용한다. ISO VG 320, ISO VG 460 계열의 윤활유는 점
도지수 90이상, 인화점 200℃이상, 유동점 -10℃ ~ -5℃ 이하 등의 성능을 만족하는 윤활유
를 말한다.

14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표 2 감속기 종류에 따른 윤활류

제품종류 주위온도 하중상태 사용윤활유


10℃이하 ISO VG 150
기어드모터 (유성) 전하중
10℃초과 ISO VG 220
10℃이하 ISO VG 150
유성감속기 전하중
10℃초과 ISO VG 220
10℃이하 ISO VG 220
보통하중
10℃초과 ISO VG 320
윔 감속기
10℃이하 ISO VG 320
중하중
10℃초과 ISO VG 460

1.5.3 구동부 연결

무대시설 구동부의 구성은 전동기, 감속기, 전동기, 감속기를 지지해주는 베이스, 전동기,
감속기를 고정해주는 볼트, 너트 및 와셔류, 전동기 풀리, 감속기 풀리, 벨트, 축에 적용되는
키, 드럼 베어링 지지대 및 베어링부 등으로 구성이 된다.
전동기, 감속기 등에 의한 구성으로 무대시설의 설계속도가 계산되며, 이 설계속도로 무대
시설의 최대 적재 하중의 계산이 가능해진다.
전동기와 감속기 등의 연결방법은 벨트 연결, 직결, 체인 연결 등의 구성방법으로 연결하
여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벨트로 전동기와 감속기를 연결할 때에는 KS C 4202 일반 저압 3
상 유도 전동기에서 규정하는 전동기 용량별, 극수별 벨트를 적용한다. KS C 4202에 의한 벨
트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KS M 6535, KS M 6533에서 규정하는 벨트 동력 전달식을 사
용하여 벨트의 소요 동력을 계산하여 그 근거를 제시하여야 한다.
각 구동시스템을 설계시에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o 전동기, 감속기 축의 수평
o 풀리 중심의 일치
o 벨트의 적절한 장력
o 전동기, 감속기의 설치시 베이스의 수평도
o 각 고정부의 볼트, 너트 체결시에 평와셔, 스프링 와셔를 체결 혹은 더블너트로 체결하
여 풀림방지 적용
o 채널에 고정시에 테이퍼 와셔(경사 와셔)를 적용하여 볼트, 너트의 체결력을 확보
o 회전부의 고정시에는 풀림방지를 위하여 분할핀을 적용
o 방진패드 및 방진고무를 적용시에 감속기 고정 베이스와 그리드 형강사이에 넣어서 구

15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동부의 방진을 시킴
o 체결 볼트, 너트의 고정시에 너트 고정부가 위를 향하게 설치하여 관리자가 풀림을 쉽
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해야 함.

구동부는 전동기, 감속기가 작동하면서 진동을 유발하게 되며, 발생된 진동이 그리드, 주
변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의 영향을 줄여주기 위하여 구동부에 방진 설계
를 고려한다.

1.5.4 제동장치

구동부에 적용하는 제동장치는 브레이크를 말하며, 브레이크는 동작중인 무대장치를 적절


한 감속상태에서 제동하는 제동력과 정지하고 있는 무대시설의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제동력
이 필요로 하게 된다. 상부무대시설에서 윈치식 구동부에서는 무대시설의 최대 설계하중을 제
어 할 수 있어야 하며, 평형추 방식의 구동부에서는 무대시설과 평형추 간의 무게차를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하부무대시설에서도 상부무대시설과 마찬가지로 무대시설의 최대 설계하중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브레이크의 용량 선정시에는 무대시설의 정지 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어야 하며, 최대
설계 하중이 적용된 상태에서 150% 이상의 성능을 가져야 한다. 무대시설에 적용되는 브레이
크는 전원이 차단되면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구조이어야 하며, 정전 등 이상 발생시에는 역전
이 되지 않고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구조의 브레이크를 적용해야 한다. 브레이크의 제동토크를
계산할 때에 적용하는 부하계수는 교류전동기 1.5, 직류전동기 1.0을 적용하여 선정한다.
브레이크의 제동 용량의 계산 식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 ×  ×  

여기서  : 부하계수(교류전동기 1.5, 직류전동기 1.0),  : 전동기 회전수(RPM),  : 전
동기 동력(kW),  : 제동토크( ‧  )

무대시설의 하중부담이 크거나 구동부의 용량이 큰 경우, 고용량의 윈치식 전동 시스템


에서는 이중 브레이크를 적용하여 안전을 기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16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1.5.5 축, 베어링, 커플링 등

축은 회전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원형 단면의 비교적 긴 부재를 나타낸다. 상부무대시설


에서 축은 감속기 등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며, 베어링은 축의 회전을 원활
히 해주며 축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탱해준다.
축에 적용되는 베어링은 축에 작용하는 최대 설계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베어링을 선정한
다. 축 베어링에 작용하는 베어링의 압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    
⋅
여기서  : 와이어로프에 작용하는 장력(㎏),  : 드럼의 직경(m),  : 와이어로프 직경(m)

베어링의 파괴 강도는 베어링의 형식, 크기, 작용 하중의 방향, 하중의 성질에 따라서 결
정이 되지만 재질에 따라서 크게 다르기 때문에 충분한 안전율과 내구성을 고려하여 선정하
여야 한다. 또한 장축에 배치되는 베어링의 간격도 매우 중요하므로 일반적으로 다음 식을 기
준으로 선정한다.
 ≦ 

l : 베어링 간격(mm) , d : 축 직경(mm)

커플링은 동력 축과 구동 축을 연결하는 기구로서 사용하는 용도 및 특징에 따라서 다양


하게 적용된다. 커플링을 설계시에는 회전 균형을 이루고 회전부에 돌기부가 없도록 설계한
다. 또한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설계한다.
축은 회전시에 소음,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어야 하며, 작용하는 최대 설계하중에 따라서
다음 식들을 사용하여 축을 설계한다.

o 굽힘 하중
  



o 비틀림 하중
  

τ

o 굽힘과 비틀림이 동시에 작용




 
  ×    

   

17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o 축의 비틀림 파괴 (축 길이가 2m를 초과할 경우)



  
  ××
  ×
여기서  : 축경(  ),  : 굽힘 모멘트 ( ․ ), σ= 허용 굽힘 응력 (   ), τ= 허
용 비틀림 응력 (   ),  : 토크( ․ ),  : 횡탄성계수 (   ),  : 비틀림각 0.25°이

축의 비틀림 각은 다음 계산에 따르며, 비틀림 각이 0.25 ° 이내이어야 한다.


 
 
  

여기서,  : 비틀림각,  : 축 재료의 횡 탄성계수 ( ㎏  ),  : 축의 단면 2차 모멘트


( ㎝  ),  : 축에 작용하는 토크 ( ․ ),  : 축의 길이 (  )

1.6 와이어로프, 체인 및 와이어로프 끝단 처리

1.6.1 와이어로프

와이어로프는 상부무대시설, 하부무대시설에서 무대시서을 지탱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


다. 와이어로프는 체인에 비하여 탄력성이 있으므로 기동정지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하중이 분산되어 운전이 조용하다는 특징이 있다.
무대시설에 사용하는 와이어로프는 한국산업규격에서 명시하고 있는 제품으로 사용하거나
그것과 동등 이상의 제품으로 한다. 한국산업규격에서 제시하는 와이어로프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o KS D 3514 와이어 로프
o KS D 7010 항공기용 와이어 로프
o KS D 7013 기기 조작용 와이어 로프
o KS D ISO 4344 승강기용 강선 로프
등을 적용한다.

점 매달기 방식의 무대시설을 제외하고 하중이 작용하는 와이어로프는 2줄 이상을 적용한

18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다. 와이어로프는 하중을 지탱해주는 장치로서 안전사고와 직결될 수 있으므로 구동용 와이어


로프는 안전율 6, 고정용 와이어로프는 안전율 4이상을 적용하여 와이어로프를 선정한다. 단
한 줄로 매어다는 와이어로프는 안전율 10이상을 확보한다. 안전율에 대한 계산은 다음과 같
다.
× 
  

여기서  : 와이어로프의 안전율

 : 와이어로프 줄 수
 : 와이어로프의 인장(파단) 하중(kg)
 : 와이어로프에 작용하는 최대 하중(kg)

무대시설에는 유연한 와이어로프가 적합하며, 일반적인 무대시설에서는 KS D 7010의


A7×19 혹은, KS D 3514의 6×19, 6×24, 6x25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시중에는 보통 Z꼬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항공기용 와이어로프의 경우 일반용 와이어로프에 비하여 동일 직경의
경우 파단하중이 크게 나타나고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일반용 와이어로프도 충분한 강
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상에 지장은 없다고 할 수 있다.

표 3 무대에서 사용되는 와이어 로프의 종류 및 형상

형 태

19가닥선 19가닥선 24가닥선 25가닥선


호 칭 7가닥선 7꼬임
7꼬임 6꼬임 6꼬임 6꼬임

일반용, 일반용, 일반용,


용 도 항공용 항공용
기계용 기계용 기계용

19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표 4 일반용 와이어로프의 인장하중 (단위:mm, kN)

6×19 와이어로프 6×24 와이어로프


로프 파단하중(kN) 파단하중(kN)
지름(mm) 도금 비도금․도금 도금 비도금․도금
G종 A종 G종 A종
4 8.03 8.64
5 12.5 13.5
6.3 19.9 21.4
8 32.1 34.6 29.3 31.6
9 40.7 43.8 37.1 39.9
10 50.2 54.0 45.8 49.3
11.2 63.0 67.8 57.4 61.8
12 72.3 77.8 65.9 71.0
12.5 78.4 84.4 71.5 77.0
14 98.4 106 89.7 96.6
16 128 138 117 126
18 163 175 148 160

표 5 7×19 항공용 와이어로프의 인장하중 (단위:mm, kN)

파단하중(kN)
로프 지름(mm)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3.18 8.9 7.83
4.0 12.5 10.7
4.76 18.7 16.5
5.56 24.9 22.2
6.35 31.1 28.5
7.14 35.6 34.7
8.0 43.6 40.0
9.53 64.1 53.4

1.6.2 체인

무대시설에 적용되는 하중이 작용하는 매달기용 체인, 무대시설 구동용 롤러 체인, 리미트
스위치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체인으로 구별된다. 체인은 한국산업규격
에서 명시하는 성능 이상의 제품을 적용하며, 이 이외의 제품을 설계에 적용시에는 추후 해당
성능을 증명하여야 한다.

20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체인 또는 롤러체인은 횡방향 하중에 약하기 때문에 횡력이 가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장치봉이나 무대 시설 등을 체인으로 승강 또는 매다는 경우 원칙적으로 2
줄 이상으로 지지한다.
롤러 체인과 스프로킷 설계시의 유의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o 수평도 : 수평오차가 구배에서 1/300 이내
o 평행도 : 평행오차가 축 끝에서 축간거리 차는 축 길이의 1/300 이내
o 스프로킷은 동일한 면에 설치한다.
o 동일 평면 설치오차 1mm 또는 축간거리의 1/1,000중 큰 쪽 이내
o 축간거리 : 사용하는 체인피치의 30~50 배가 바람직하다.
o 스프로킷에 감는 각도 : 120°이상
o 속도비 : 7 : 1 정도까지가 바람직하다.

하중이 작용하는 체인은 2줄 이상을 적용한다. 이는 체인 한 줄이 파단되어도 다른 체인


이 체인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탱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체인의 안전율은 최대 설계하중을 적
용하여 하나의 체인이 파단하중 대비 6이상의 안전율을 확보하도록 설계한다. 또한 체인은 지
속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체인의 신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체인의 느슨함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 체인에 사용하는 스프로켓은 한국산업규격에서 정의하는 성능 혹은 이와 동등한 제
품을 적용한다. 그 최소 날 수는 15매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 수는 많을수록 체
인의 굴곡 각이 적어져 체인의 내구성에서는 유리하지만 너무 많으면 체인이 스프로켓에서
벗어나기 쉬워지므로 120매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프체인을 접는데 사용하는 가
드 풀리의 직경은 체인 피치의 5배 이상으로 한다.
다음 표는 KS B 1407 전동용 롤러체인에 대한 파단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A계
1종에 있어서 끝자리 수가 0인 것은 롤러가 있는 것, 5인 것은 롤러가 없는 것, 1인 것은 경량
형을 나타내며, A계 1종 호칭 번호는 해당 번호의 기준 피치값을 3.175로 나눈 값에 10을 곱
하여 나타낸 것이다.

21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표 6 롤러체인의 KS인장강도

A계 롤러체인
피치
1종 2종
(기준치) B계 롤러체인
인장강도 인장강도
㎜ 번호 번호
(1열) kN (1열) kN
6.35 25 3.6 04C 3.5 -
9.525 35 8.7 06C 7.9 -
8 - - 05B 4.4
9.525 - - 06B 8.9
12.7 - - 081 8
12.7 - - 083 11.6
12.7 - - 084 15.6
12.7 41 7.4 085 6.7 -
12.7 40 15.2 08A 13.8 08B 17.8
15.875 50 24 10A 21.8 10B 22.2
19.05 60 34.2 12A 31.1 12B 28.9
25.4 80 61.2 16A 55.6 16B 60
31.75 100 95.4 20A 86.7 20B 95
38.1 120 137.1 24A 124.6 24B 160
44.45 140 185.9 28A 169 28B 200
50.8 160 244.6 32A 222.4 32B 250

다음 표는 KS B 1409 리프 체인에서 나타내고 있는 체인의 파단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표 7 로드 체인의 파단하중 (kN이상)

비조질 표면경화
분류 조질 체인
체인 체인
등급 M 급 T 급 V 급 T 급
최소파단응력 400 N/㎟ 800 N/㎟ 1,000 N/㎟ 800 N/㎟
선 직경 (㎜) 타입 MH 타입 TH 타입 VH 타입 DT, DAT
3 - 11.4 kN이상 14.2 kN이상 11.4 kN이상
3.2 - 12.9 16.1 12.9
3.6 - 16.3 20.4 16.3
4 - 20 25 20
4.5 - 25.5 31.9 25.5
5 16 kN이상 31.5 40 31.5
5.6 20 40 50 40
6.3 25 50 63 50
7.1 31.5 63 80 63
8 40 80 100 80
9 50 100 125 100
10 63 125 160 125
11.2 80 160 200 160
12.5 100 200 250 200

22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하부무대시설에 체인을 사용할 경우, 이들 체인에는 횡력을 가하지 않을 것을 전제로 하


므로 하부무대시설과 평형추를 가이드레일로 가이드하는 등 체인에 횡력이 들지 않도록 한다.
체인 및 스프로켓의 선정은 하중뿐 아니라 속도와 하중의 종류(충격하중 등),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충분한 안전율이 적용한 상태로 체인 제조회사가 지정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특수한
환경조건에서는 그에 따르는 것도 중요하다.

1.6.3 와이어로프 체결도구

상부무대시설에서는 장치봉 및 그 외의 무대시설과 와이어로프 간 고정으로 상부무대시설


이 승강을 한다. 와이어로프를 장치봉 등에 고정할 때에는 클립, 소켓가공, 압착 슬리브, 웨지
가공, 아이 스플라이스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고정을 실시하여 와이어로프의 풀림을 방지해야
한다.
와이어로프의 고정 방법 중 소켓 가공은 로프의 스트랜드를 풀고 그 스트랜드의 소선을
모두 푼 다음 소켓 또는 금형에 넣어 용융금속을 주입시켜 고정한 것으로 정확히 가공하는
경우 100%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압착 슬리브(락가공)로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방법은 파이프 형태의 알루미늄 합금 또는
강재의 슬리브에 로프를 넣고 프레스로 압축하여 슬리브가 로프 표면에 밀착되어 마찰에 의
해 로프의 성질이 손상되는 것이 없이 완전히 체결하는 방법으로 효율은 거의 로프 절단하중
과 동등하게 되며 주용도는 슬링용 로프에 사용된다.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방법 중 웨지가공은 쐐기의 일종으로 쐐기에 로프를 감아 케이스
에 밀어 넣어 결속하는 방법으로 효율은 80%이상이며 작업이 간편하고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가공법이다. 웨지 가공은 장력을 받는 로프의 방향을 직선이 되도록 유의해야 하며
로프 직경에 비해 웨지가 작을 경우 로프 형태가 파괴 되고 효율이 떨어진다.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방법 중 아이 스플라이스(eye splice)는 로프의 단말을 링 형태로
가공하는 방법으로 주로 슬링용 로프에 이용된다. 가공은 로프 단말의 스트랜드를 풀어 로프
본체에 질러 넣는 것으로 5회 이상의 꼬아 넣기가 필요하다. 스플라이스 가공은 필히 전문가
에 의뢰하여야 한다. 필요에 따라 아이(eye)부분에 심블을 넣는 것도 있다. 아이 스플라이스
고정 방법 및 적용 규격은 KS D ISO 8794에서 정의하고 있다.
와이어로프의 고정 도구 중 클립 체결은 다른 고정 방법에 비해서 체결부에 대한 효율은
떨어지지만 고정이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많이 사용하고 있다. 클립으로 와이어로프
를 고정할 때에는 다음 표에 따라 클립의 수량을 결정한다. 로프의 직경에 따라서 최소 3개
이상을 적용해야 하며, 그 간격은 고정하는 로프 직경의 6배 이상 이격하여 적용한다. 클립에
관련된 적용 규격은 KS B 1344에서 정의하고 있다.

23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표 8 클립의 고정 수량

로프 직경 (mm) 클립 수
10이하 3개
10초과 16이하 4개
16초과 28이하 5개
28초과 6개 이상

다음 표에서는 클립으로 와이어로프를 고정하였을 때의 인장하중 내력치와 재차 죔을 했


을 경우의 인장력을 나타낸다.

표 9 클립의 인장 하중 내력치

인장하중 죔 토크 및 재차 재차 죔을 할 때의
종 류
내력치 (   ) 죔 토크 (   ․ ) 인장력 (   )
FS 7 MS 7 1000 400 550
FS 9 MS 9 1400 400 900
FS 11 MS 11 1500 400 1400
FS 13 MS 13 2700 940 2200
FS 15 MS 15 3000 940 2800
FR 8 MR 8 850 170 600
FR 10 MR 10 1400 300 900
FR 12 MR 12 2000 470 1300
FR 14 MR 14 2700 680 1800
FR 16 MR 16 3600 1100 2400
FR 18 MR 18 4300 1100 3000
FR 20-22 MR 20-22 5900 2600 4500
FR 24-22 MR 24-25 6600 3300 5300
FR 26-22 MR 26-28 8600 4200 7300
FR 30-22 MR 30-32 10700 4200 9500
FR 33-22 MR 33-38 15100 6300 13400

클립 고정 방법 이외의 소켓 가공, 압착 슬리브, 웨지가공, 아이 스플라이스 등의 방법을


적용 할 때에는 한국산업규격에서 정의하는 내용을 따라서 적용하며, 와이어로프의 고정부에
곡선 고정부가 발생한다면 그 고정부는 한국산업규격에서 규정하는 로프 직경에 적합한 심블

24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을 적용한다.
와이어로프 끝단부는 와이어로프의 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끝단부를 배빗 메탈 고정, 크
램프 고정, 코터 고정 등의 방법 가운데 적절한 방법으로 마감하도록 한다.

1.7 드럼 및 활차

1.7.1 드럼

구동부 감속기에 연결된 드럼은 구동부의 회전력으로 와이어로프를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와이어로프 로핑 방식에 따라서 평형추 방식에 적용되는 주드럼과 보조드럼, 윈치 방식
에 적용되는 디스크 드럼, 스크루 드럼 등으로 구별된다.
드럼은 와이어로프에 작용하는 하중 전체를 지탱해주므로 작용하는 하중에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드럼의 재질은 정의되어 있지 않지만 드럼은 작용하는 최대 설계하중 대비 4이
상의 안전율을 가져야 한다. 평형추 방식의 주드럼과 보조드럼은 드럼과 로프 간의 마찰력으
로 무대시설을 이동시켜주므로 접촉압이 높고 접촉 길이가 길수록 로프에 전달되는 힘을 크
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드럼 및 보조드럼에 감는 길이는 드럼 원주 길이의 1/2 ~ 2/3
이지만, 구동력을 크게 하기 위해 구간 반복차를 이용하여 드럼에 2회 로프를 감는 방법도 적
용되고 있다. 평형추 방식의 주드럼의 직경은 적용되는 로프의 공칭지름 또는 로프 지름의 30
배 이상을 적용하며, 보조드럼의 직경은 로프의 공칭지름 또는 로프 지름의 20배 이상을 적용
한다. 무대시설에서 적용되는 드럼은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3 홈이 있는 나선형 윈치드럼(좌), 홈이 없는 윈치드럼(중앙), 와이어로프가 적층되는


경우의 디스크 윈치드럼(우)

홈이 있는 나선형 윈치드럼은 무대시설의 하중 부담이 있는 경우에 적용되고 있으며, 와


이어로프가 적층되는 디스크 윈치드럼은 드럼에 작용하는 하중이 작은 경우에 사용된다. 홈이
없는 윈치드럼은 무대시설에 사용하지 않는다.

25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윈치식 드럼은 드럼의 고정력으로 무대시설을 승강시켜주는 역할을 하므로 윈치식 드럼과
로프의 마찰력으로 해당 무대시설을 고정해준다. 윈치식 드럼의 권선여유가 부족한 경우에는
드럼과 로프간의 마찰력이 부족하여 드럼에 고정된 로프의 고정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
러므로 윈치식 드럼에 감긴 로프는 드럼에서 와이어로프가 풀렸을 때에 최소 2바퀴 이상의
권선여유를 확보해야 한다.
윈치식 드럼은 스크루 드럼과 디스크 드럼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스크루 드럼의 크기는
무대시설의 행정거리에 설치된 로프가 권선여유 2바퀴를 포함하여 드럼에 겹치지 않는 상태
로 감길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설계해야 하며, 디스크 드럼은 권선여유 2바퀴를 포함하여
로프가 적층시에 적층된 로프가 드럼에서 이탈되지 않는 크기를 갖도록 설계해야 한다.
ISO 4308-1 Cranes and Lifting Appliances - Selection of Wire Ropes - Part 1: General
Third Edition에서는 드럼 및 활차에 관련된 내용을 제시해 주고 있다. 나선 형태의 스크루
드럼을 설계시에는 다음 그림과 같이 나타난다.
무대시설에 적용하는 주드럼, 보조드럼, 디스크 드럼은 홈이 있는 제품을 적용해야 하며,
홈의 하부는 원형으로 해야 한다. 드럼에 감기는 로프 간의 간격이 최소 1.6mm 이상이 되도
록 하며, 홈의 깊이는 로프 직경의 1/3 이상이 되도록 설계한다.
p
p

r
h
D1

그림 4 드럼 홈의 설계 및 제작

나선 형태의 드럼 홈은 드럼에 감기는 로프의 직경을 고려하고, 로프가 감기는 길이를 고


려하여 제작 및 설계한다.
드럼 홈의 원형 모양의 홈에서 홈의 반경 r은 0.525d ~ 0.550d 범위에서 설치되는 것이 적
합하며, 0.5375d를 하였을 때가 가장 최적이다(d는 와이어로프의 직경).
위 그림에서 d는 로프의 지름, h는 홈의 깊이, p는 홈의 피치, r은 홈의 반경,   은 드럼
의 피치 지름을 나타낸다.

26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드럼에서의 피치 각도를  라 하고, 와이어로프가 드럼과 활차사이에 유입되는 각도를


  ,   라 할 때, 드럼으로의 유입각도는     ,     로 표현된다. 로프는 제한된
각도 이내에서 유입되어야 만이 로프의 피로도를 감소시켜주고, 로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
다. 이러한 관점에서 모든 로프의 유입각도는 4°이하이어야 하고, 드럼 홈이 없는 경우에는 2°
이하로 설치해야 한다. 단 나선형 드럼에서 여러 줄의 와이어로프가 감길 때에는 로프의 겹쳐
서 감김을 피하기 위해 최소 유입각도 0.5°이상은 만족해야 한다.
디스크 드럼을 적용할 때에는 디스크 드럼 홈의 크기가 와이어로프 직경(d)의 1.1d ~
1.5d 사의 범위에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β +α
β left + α β left βright β
α β left
α β α
βright −α
α

그림 5 드럼 폭의 감소와 드럼 지름에 증가에 따른 유입각도의 감소

나선형 드럼을 설치시에 와이어로프가 풀리고 감길 때에 제한된 유입각도의 확보하지 못


하는 경우에는 유입각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가이드 롤러 등을 드럼 상단부 등에 설치하여 활
차로 유입되는 유입각도를 확보하고 드럼과 로프간의 간섭을 줄여주는 방법도 선택적으로 적
용되고 있다.
드럼이 구동부에 설치될 때에는 감속기 축에 연결되며 축의 끝단부는 베어링으로 드럼 축
을 지지해준다. 베어링 지지대를 고정하는 볼트와 너트, 축의 강도는 최대 설계하중을 적용하
여 파단강도 대비 4이상의 안전율을 확보해야한다.
주드럼, 보조드럼, 윈치식 디스크 드럼으로 유입되는 로프의 각도는 ±3° 이내의 유입각도
를 가져야 하며, 스크루 드럼에 유입되는 로프의 각도는 0.5° ~ 4°의 범위를 갖도록 설계한
다.
윈치드럼에 적용되는 로프는 드럼에서 고정되므로 압착, 메탈 고정, 코터 고정, 클립 등을

27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적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한다.


드럼과 축을 연결한 후에는 키를 설치하여 드럼과 축의 회전이 함께 일어나도록 한다. 무
대시설에서는 사각키를 주로 사용하며, 키는 키 자리에 적합한 크기를 선정하며, 키의 길이에
따라서 전달되는 토크 값을 결정하게 된다. 드럼에 적용되는 키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통해서
키의 길이를 선정하여 적용한다.

  × 

 ×  × 
 
×  × 

여기서,  : 축에 작용하는 토크( ․ ),  : 드럼에 작용하는 하중(  ),  : 드럼의 직


경( ),  : 키의 길이( ),  : 축 지름( ),   : 안전계수(1.25),  : 키의 폭( ), 
: 키의 높이( ),  : 키 재료의 항복응력의 25%(   )

1.7.2 활차

활차는 와이어로프의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 사용한다. 활차는 활차 본체, 베어링, 고정 프


레임 등으로 구성되며 그리드 위에서 활차 프레임에 고정된다. 활차는 사용 용도에 따라서 수
직활차, 수평활차로 구별되며, 주조품을 많이 사용하며, 하중이 작은 경우에는 수지계열의 재
료도 많이 사용한다. 한국산업규격에서 명시된 선박 혹은 크레인 부분에서 적용하고 있는 활
차에 관련된 부품과 활차 몸체의 재질은 다음 표와 같다. 단 활차에 작용하는 최대 설계하중
대비 4이상의 안전율(인장강도 기준)을 확보해야 한다.

표 10 활차의 부품에 따른 재질(선박용 활차에 관련된 내용)

부 품 재 료
주조품 KS D 4301의 GC 200
몸체 KS D 3503의 SS 400
용접 구조품
KS D 4101의 SC 360
부시 KS D 6011의 PbBrC

활차에 작용하는 하중은 무대시설의 자중, 적재하중, 기동 정지시의 충격하중 등이 와이어


로프를 통해서 전달되므로 활차는 작용하는 최대 설계하중 대비 4이상의 안전율을 확보해야
한다.
활차는 홈이 구성된 활차와 홈이 없는 활차로 구별되며 일반적으로 홈이 있는 활차를 적

28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용한다. 홈이 없는 활차는 로프의 진행 방향에 따라서 활차 위를 와이어로프가 이동할 경우에


적용한다.
활차의 크기(활차 피치원 지름)는 로프 직경의 20배 이상의 크기를 적용해야 하며,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롤러는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활차 홈의 형상은 한국산업규격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V형, U형, 언더컷 형으로 구별된
다.

그림 6 V형 그림 7 U형 그림 8 언더컷형

여기에서  는 활차 피치원 지름,  는 와이어로프의 지름,  는 홈의 각 (일반적으로 35°~


45°),  는 언더컷 각 (일반적으로 45°), 는 언더컷 폭을 의미한다. 무대시설에 적용되는 활차
는 U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V형이나 언더컷형을 사용시에는 마찰되는 부분의 부분
접촉으로 인하여 로프의 부분 마모가 발생되기도 하므로 활차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서 적
절히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차와 드럼에 대한 설계시에 활차 홈의 크기 및 유입각도에 대한 규정 내용은 ISO
4308-1 Cranes and Lifting Appliances - Selection of Wire Ropes - Part 1: General Third
Edition에서 나타내고 있으며 활차 홈에 대한 설계 내용은 드럼 홈의 설계 내용과 동일하다.
활차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고정부의 볼트와 너트는 작용하는 최대 설계하중 대비 4이
상의 안전율을 확보해야 하며, 활차에 적용되는 베어링도 해당하는 하중을 충분히 지탱해줄
수 있는 베어링이 적용되어야 한다. 베어링은 밀폐형 볼 베어링을 적용하고 장기간 유지보수
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제품을 적용한다.
드럼에서 활차로, 활차에서 활차로 유입되는 와이어로프의 유입각도는 활차 홈이 없는 경
우에는 ±2°, 활차 홈이 있는 경우에는 ±3°이내의 유입각도를 가져야 한다.

와이어로프 활차

그림 9 활차와 로프의 유입각도

29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활차 상단부에는 활차로 유입되는 와이어로프가 활차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장치


등을 설치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탈방지장치의 설정 높이는 활차 이탈위치로
부터 와이어로프가 이탈되지 않는 구조의 높이를 갖도록 설계하며, 일반적으로 와이어로프 직
경의 1/2 이하의 간격을 갖도록 설계한다.
드럼에서 활차로 유입되는 와이어로프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로프의 처짐이 발생할 수 있
으므로 보조 롤러를 설치하여 와이어로프 처짐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활차로부터 무대시설로 유입되는 와이어로프는 체결부와 수직으로 와이어로프가 유입되도
록 활차 설치 위치를 설정해야 하며, 수평활차를 적용할 때에는 와이어로프의 접촉각이 90°이
하가 되도록 설계한다.
활차의 설치 높이는 드럼으로부터 유입되는 와이어로프의 유입 각도가 기준 각도 이내가
되도록 하고, 처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높이를 설정해야 한다.

1.8 평형추 및 가이드레일

1.8.1 평형추

전동 구동 방식의 평형추 시스템에서는 무대시설에서 주로 사용되는 구동 시스템 중 하나


이다. 평형추가 무대시설의 무게와 균형을 이루어 무대시설이 승강시에 전동기 및 구동부의
부하를 덜어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 그림은 무대시설에서 적용되는 일반적인 평형추 틀의 형
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10 박스형 평형추 틀 그림 11 오픈형 평형추 틀

30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평형추 구동 시스템은 윈치 구동 시스템 보다 복잡한 작동 체계를 갖는다. 평형추식 장치


봉 등에서는 적재하중의 밸런스를 맞추기 위하여 평형추를 싣는다. 평형추는 5kg에서 25kg
정도의 요철이 있는 유닛식의 평형추를 평형추 틀(평형추 봉)에 끼워 요철이 잘 맞도록 싣고,
상부에 고정철물을 설치하여 평형추 유닛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여야 한다. 브리지나 반사
판처럼 대형으로서 적재하중이 변화하지 않거나 변화 정도가 적은 무대기기에서는 중량을 고
정한 평형추도 이용되고 있다. 무대시설의 평형추 적용 방식도 로핑 방식에 따라서도 변화하
지만 드럼에 와이어로프를 설치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평형추 방식과 윈치-평형추 방식 등으
로 분류가 된다. 평형추 방식은 로핑 방식에 따라서 무대시설과의 균형 비를 맞추나 윈치-평
형추 방식은 구동부 드럼에서 무대시설의 반에 해당하는 무게를 부담하고 평형추에서 반을
부담하는 형식도 많이 사용한다.
평형추 틀은 박스형 평형추 틀과 오픈형 평형추 틀로 구별되며, 박스형 평형추 틀은 음향
반사판, 면막 등 무대시설의 무게가 변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하며, 오픈형 평형추 틀은 장치
봉, 조명봉 등 무대시설의 적재에 따라서 평형추를 추가적으로 적재해야 하는 무대시설에 적
용한다.
평형추 틀과 평형추의 무게는 무대시설의 최대 설계하중에 맞추어서 적용해야 하며, 설계
시에는 평형추 측의 설계 하중이 무대시설보다 크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형추 틀의 크기는 최대 설계 하중에 맞추어서 평형추를 적재한 후에도 약 30%이내의
추가적인 평형추가 적재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형추 틀에 적재된 평형추의 길이가 2m 이상일 경우에는 1.5m 지점마다 평형추 틀 고정
판을 설치한다.
평형추 틀에서 평형추가 낙하하지 않도록 낙하방지장치를 설계에 적용해야 하며, 로핑 방
식에 따라서 평형추 틀의 행정거리를 명시하고, 평형추 틀이 행정구간 동안에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충분히 이동 가능한 거리를 확보하여야 한다.
평형추 틀이 최상단과 최하단까지 이동한 후에는 그리드 및 갤러리 바닥과 1m 이상 이격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박스형 평형추 틀은 고정적으로 평형추를 적용하므로 상단부의 프레임만을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며 그 이외의 부분은 용접으로 고정하여도 무관하다. 오픈형 평형추 틀은 평형추의 추
가적인 적재를 위하여 평형추 설치 봉이 설치되는데 평형추 틀 상단부와 하단부에 고정된 고
정부는 볼트로 고정하며, 더블너트를 적용하여 풀림방지 조치를 적용하며, 볼트의 끝단부에는
분할핀을 설치하여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여야 한다.
평형추 틀에서 평형추가 추락 할 때에는 평형추가 무대 바닥으로 평형추가 추락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갤러리 최하단부가 막혀있어서 평형추가 무대 바닥으로 추락하
지 않도록 한다.

31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평형추의 모양은 평형추 틀에서 평형추가 추락하지 않도록 돌출된 형태를 가져야 하며,
평형추 틀에 평형추가 서로 맞물릴 수 있어야 한다. 단 하중이 변화하지 않는 음향반사판, 방
화막, 승강무대 등은 평형추 틀이 박스형으로 제작되어 추락의 위험이 없는 경우에는 판 형태
의 평형추의 적용이 가능하다.

1.8.2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은 평형추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매달림 기구의 반대쪽 위치에 설치되
는 구조물로서 상부무대시설의 경우에는 일반구조용 압연강재(KS D 3503)에 의한 재료 이상
을 적용하여 설계를 하여야 한다. 평형추 방식에서의 가이드레일은 추의 가이드 형태에 따라
서 와이어 가이드 방식, T 레일 가이드 방식, 복수 가이드 방식 등으로 구별이 된다.
와이어 가이드 방식은 무대에서 그리드까지 평형추의 동작 행정에 맞추어서 와이어로프를
설치하고 와이어로프를 가이드로 삼아서 여기에 평형추를 적재하는 방식이다. 와이어 가이드
방식은 와이어로프의 장력에 중력이 있는 가이드를 의존하여 평형추를 적재하였으므로 구동
시에 측면으로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근접한 평형추들과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러한 간섭 및 부딪치는 현상에 의해서 현대의 극장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T 레일 가이드 방식은 가장 일반적인 가이드의 방법이며, T-채널이 측면 벽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T-형강의 양 측면부를 고정하여 가이드 역할을 해주는 방식이다. T-채널 방식의 가
이드는 금속과 금속이 접촉하여 발생하는 마찰음이 발생되므로 주기적인 오일의 도포로 마찰
음을 줄여주어야 한다. 다른 방법 중 하나는 수지 계열이나 고무 계열의 바퀴를 장착하여 이
러한 마찰음의 발생을 방지하기도 한다.
복수가이드 방식은 T-형강 2개를 서로 마주 보게 설치한 모양으로 이 사이에 추의 주축
을 넣는 방식이다. 이 가이드 장치는 대형화되는 평형추 박스에 적합한데 설치 후에 평형추의
하중의 적재가 쉽지 않으므로 방화막, 라이트 브리지 등 고정하중이 작용하는 평형추에 적용
하는 것이 적합하다.
가이드레일의 길이는 평형추 행정거리 이상을 확보하고 있어야 하며, 평형추 틀이 최상단
과 최하단까지 승강시에 각각 1m 이상의 여유 이격거리를 갖도록 설계한다.
가이드레일은 건축구조물의 벽면부에 고정을 실시하며, 평형추 틀이 승강시에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휨,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가이드레일의 고정은 브래킷 등을 적
용하며, 해당 브래킷은 볼트와 너트 등으로 고정하며, 풀림방지조치를 취해야 한다. 브래킷을
사용하여 가이드레일을 고정할 때에는 최소 1.5m 간격마다 고정을 실시하여 평형추 틀이 승
강할 때에 흔들림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한다.
가이드레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를 접합하여 사용하는데 접합부에 의해서 평형추

32
1. 상부, 하부무대시설 공통사항

틀이 승강시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표면 처리 및 마감 처리 방법 등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


다.
가이드레일의 진직도는 아래 그림과 같이 A/B 비율로 표현되는데 무대시설의 이동속도가
40m/min 이하의 경우에는 0.005 이하, 무대시설의 이동속도가 40m/min이상의 경우에는
0.0016 이하의 진직도를 갖도록 설계한다.

B
A

그림 12 가이드 레일의 직진도

평형추 틀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나 가이드 슈는 평형추 이동하는 수직방향 이외의 수평방
향의 횡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가이드레일의 연결부에 대한 좌우 어긋남의
한도는 1.5mm 이내로 설계해야 한다.

33
2. 상부무대시설

2. 상부무대시설

상부무대시설이란 무대의 바닥을 기준으로 하여 바닥보다 상부에서 무대장치를 달아 장면


을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무대 설비류를 말한다. 상부무대시설은 포인트 호이스트(point hoist)
와 장치봉 등을 포함하는 달기기구(rigging system), 면막과 하늘막 등을 포함하는 막기구
(curtains), 음향반사판(acoustical shell), 조명봉과 조명브리지 등의 조명기구(lightings), 방화
막과 배연구 등을 포함하는 건축설비(architectural facility) 등으로 구분된다.

2.1 상부 그리드 및 점검통로

2.1.1 무대시설의 배치 및 간격

상부 무대시설 대부분은 상부 그리드에 구동부, 활차 등을 설치한다. 특히 구동부를 설치


시에는 구동부의 유지보수, 점검을 위하여 최소 50cm이상 벽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설치한다.
또한 구동부와 벽면사이는 프레임 구조물로 마감하여 구동부와 벽면사이의 작업, 점검이 용이
하도록 설계한다.
막구조물은 승강시에 흔들리면서 이동하며, 그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무대시설간의 간섭
이 발생한다. 이러한 간섭을 줄이기 위해서는 막구조물 간의 최소 간격을 25cm이상으로 하며,
조명기 설치, 트러스 프레임 등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프레임, 조명기의 크기만큼을 고려하여
충분한 이격거리를 두어야 한다. 단 막 구조물의 승강 및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경우에는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2.1.2 그리드의 구성

그리드는 무대, 연출공간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부무대시설을 설치하고, 무대시설의 하중을


지탱하며 보수 점검의 공간으로 매우 중요한 장소이다. 그리드에는 활차 프레임, 구동부 프레
임 등을 견고하게 고정한 후에 그 프레임 위에 활차 및 구동부를 설치하게 된다.
상부 그리드 프레임은 1.1.3 항의 안전율 계산식을 사용하여 안전율이 4이상 확보되어야
한다. 상부 그리드 프레임의 강도 계산시에 적용해야 할 하중은 다음과 같다.

35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가. 무대시설의 자중
나. 무대시설의 적재하중(설계하중)
다. 2중 그리드 등에서는 부분 매달기 장치 및 연출에 따라 설치되어지는 각종 장치의
하중
라. 무대조명용, 그 이외의 배관, 배선 등의 하중
마. 스프링클러 배관, 급배기 덕트 등의 하중
바. 무대시설의 와이어로프의 수평 장력 등
사. 무대시설의 기동, 정지시에 발생되는 충격하중 등

무대 바닥으로부터 상부 그리드까지의 높이는 프로시니엄 개구 높이의 2배 ~ 3배 이상


을 적용하여 설계를 한다. 이러한 높이는 무대의 규모, 용도, 건축계획, 구조계획 등에 맞추어
서 검토를 실시한다. 상부 그리드에서 건물 천장이나 건축 프레임간의 간격은 최소 2m 이상
의 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단 공조 덕트 등으로 인하여 높이 확보가 용이하지 않는다면 공조
덕트의 높이를 충분히 고려하여 그리드 높이를 설계하여야 한다. 2단 그리드를 설치시에는 1
단과 2단 그리드 모두 2m 이상의 높이를 확보하며, 공조 덕트가 설치되는 높이까지 고려하여
설계를 실시한다.

2.1.3 그리드의 추락 방지

그리드는 무대상부의 형강, 프레임 등으로 구성되며, 그 위에 구동부 프레임, 구동부, 활차


프레임 등이 설치된다. 그리드의 바닥 프레임은 와이어로프가 통과할 수 있고 하단부를 볼 수
있어야 하므로 C-채널로 배치하는 경우와 철망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C-채널로 그리드를
덮는다면 50mm 이하의 간격으로 설치하여 보행시에 발이 빠지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중요
하며, 철망으로 설치시에는 개구부가 없도록 와이어로프 이송구를 제외하고는 철망을 설치해
야 한다. 그리드가 2단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활차부의 점검로를 확보하고 해당 점검로에도
조밀구조의 철조망 혹은 형강을 설치하여 점검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부 그리드에는 점검자, 보수자의 안전을 위하여 조명기를 설치하며, 조명기의 조도는 그
리드 전체에서 100Lux 이상이 확보되도록 한다.

2.1.4 그리드의 고정 및 접합

그리드는 건축구조물에 고정하여 무대시설의 움직임이나 외부 충격에 의한 흔들림, 틀어


짐을 방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그 고정 방법 예는 다음 그림과 같다.

36
2. 상부무대시설

그리드 행어 그리드 행어 그리드 행어

그리드

그리드 그리드

건물 건물
건물
내벽 내벽
내벽

그림 13 그리드의 고정

상부 그리드는 건축 구조물 벽면부에서 전체적으로 그리드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탱해주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하며, 해당 고정부의 안전율은 4이상 확보되어야 한다. 건축구조물에 그리
드를 고정 할 때에는 앵커 볼트를 사용하며, 앵커볼트는 하중이 작용하는 형태에 따라서 인장
과 전단 상태를 고려하여 적용해야 한다. 설계시에 앵커 볼트의 강도뿐만 아니라 건축구조물
의 벽면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의 강도도 함께 계산하여 적용한다.
상부 그리드와 건축구조물 벽면에 설치하는 앵커 볼트는 한국산업규격에서 규정하는 고장
력 볼트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갖는 볼트를 사용하며, 볼트의 안전율은 4이상을 확보한다.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KS B 1010에서 정의하는 F8T 이상의 고력 볼트, KS B 1016에서
정의하는 M10 이상의 볼트, 케미컬 볼트 등의 앵커 볼트를 적용하며 동시에 2개 이상을 적용
한다. 그리드 프레임을 건축구조물과 고정하는 앵커 볼트를 적용시에는 작용하는 하중 대비 4
이상의 안전율을 확보하도록 설계한다. 또한 건축구조물의 강도도 함께 고려하여 적용한 앵커
볼트가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구조인가를 확인한다.
상부 그리드 프레임을 고정시에는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며, 불가피 할 경우에
는 용접 접합을 적용한다. 용접부에 대한 설계에서는 4이상의 안전율을 확보하도록 하며, 용
접부의 용접강도는 사용재료의 80%를 적용하여 계산한다.
그리드 행어는 그리드 프레임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드 행어는
그리드 프레임과 수직으로 설치하며, 그리드 행어는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서 장력조정이 용이
하도록 턴버클을 설치한다. 턴버클은 한국산업규격에서 명시하고 있는 턴버클을 사용하며, 턴
버클은 분할핀, 너트 등을 적용하여 턴버클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37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2.1.5 그리드의 환기

상부 그리드는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발열, 조명기로부터의 발생 열 등으로 인하여 고온이


되기 쉬운 장소이다. 또한 점검 및 보수 작업과 함께 먼지가 많이 발생되는 장소이므로 적절
한 급기, 배기설비가 필요로 한다. 이러한 환경 요소를 개선하기 위하여 그리드 상부의 벽이
나 지붕 등에 환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차음 또는 방수 등의 문제점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고려를 하여 설계에 반영해야 한다.

2.1.6 그리드 및 진입로

상부 그리드는 무대시설 구동부 및 활차 등이 설치되는 장소로 점검자 및 보수자가 수시


로 접근을 하므로 접근이 용이하도록 진입로가 확보되어야 한다.
상부 그리드에 진입하는 진입로 계단은 다음 내용을 만족해야 한다. 또한 다음 기준에 적
합하게 원형 계단을 구성해도 무관하다.

가. 계단의 경사도는 수평면에 대하여 75도 이하로 할 것.


나. 계단 발판의 높이는 30cm이하로 하고 발판의 폭은 10cm 이상으로 할 것.
다. 높이가 10m를 초과 할 때는 7m마다 계단 참(Landing space)을 설치 할 것.
라. 손잡이를 설치 할 것.

손잡이

계단참

m이
10c
30cm 이하

7m이내

75도 이 내

그림 14 그리드 진입 계단의 구조

38
2. 상부무대시설

상부 그리드의 주기적이고 빠른 점검을 위해서는 승강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


득이한 경우 건축구조물에 의한 계단, 원형 계단 등을 설치한다. 상부 그리드에 접근하는 승
강기(엘리베이터)를 설치하였어도 승강기를 사용하지 않고 비상시에 계단을 통해서 상부 그리
드에 접근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상부 그리드 이외의 공간에 무대시설의 구동부 및 활차 등을 설치할 때에는 해당 시설물
의 점검과 보수가 가능하도록 안전하게 접근 가능한 점검로를 설계하여야 한다.
상부 그리드에 진입하는 사다리는 가급적 설계에 반영하지 않는 것이 좋다. 부득이하게
사다리를 설치시에는 사람이 추락하지 않도록 추락 방지시설을 설치하며, 수직으로 한 번에
이동하는 높이는 최대 5m 이하로 설계한다. 5m 이상의 높이로 사다리를 설치시에는 중간 단
을 설계하도록 한다.
상부 그리드는 상부 무대시설 구동부 및 활차 등이 설치되는 장소로 유지 보수 및 점검을
수시로 실시하는 장소이다. 상부 그리드에 설치한 무대장치의 유지보수 및 점검을 위하여 무
대기계 부품, 장비 등을 쉽게 이송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 되어야 한다.
상부 그리드에는 무대시설의 점검 및 보수에 필요한 장비 반입구가 설치되어야한다. 상부
그리드에 접근시에 승강기가 설치되어서 승강기를 사용하여 필요한 내용을 옮길 수 있는 환
경에서는 무관하나 원형 계단 등 사람이 이동하기 힘든 구조의 그리드 접근로를 확보한 공연
장은 그리드에 장비 반입구를 설치하고, 장비 반입을 실시할 수 있는 호이스트 혹은 곤돌라
등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1.7 점검통로(갤러리)

무대시설 점검통로는 갤러리라 표현하며, 갤러리는 평형추 방식의 무대시설의 평형추를


싣고 내리는 장소와 무대시설을 점검하는 장소로 구별된다. 평형추를 싣고 내리는 로딩 갤러
리는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o 싣고 내리는 평형추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한다.


o 평형추 틀을 로딩 갤러리에 놓아두는 경우, 외부의 작용력에 의하여 평형추가 바닥으
로 낙하하지 않도록 낙하 방지턱을 30~50cm 정도의 높이로 설치한다.
o 평형추를 싣고 내리는 부분에서는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난간을 탈부착 식으로
설계하여도 무관하다.

점검통로에 설치되는 난간, 손잡이 등은 공연 연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비반사체로 적


용하며, 점검통로에서 평형추, 가이드 레일, 무대시설 작동, 제한 스위치 등 점검이 용이하도록

39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조명기를 설계하며, 조명기의 조도는 100Lux 이상이어야 한다.


최하단층의 점검통로는 가이드레일의 연결에 의한 개구부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며, 평형
추나 평형추 틀이 낙하시에 무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설계한다.

2.2 체인 및 로프

2.2.1 매달기용 체인

무대시설에 사용하는 체인은 매달기용 체인, 무대시설 구동용 롤러 체인, 리미트 스위치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체인으로 구별된다. 체인은 한국산업규격에서 명
시하는 성능 이상의 제품을 적용하며, 이 이외의 제품을 설계에 적용시에는 추후 해당 성능을
증명하여야 한다.
체인 또는 롤러체인은 횡방향 하중에 약하기 때문에 횡력이 가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장치봉이나 무대시설 등을 체인으로 승강 또는 매다는 경우 원칙적으로 2줄
이상으로 지지한다.
롤러 체인과 스프로킷을 설계시에 유의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o 수평도 : 수평오차가 구배에서 1/300 이내
o 평행도 : 평행오차가 축 끝에서 축간거리 차는 축 길이의 1/300 이내
o 스프로킷은 동일한 면에 설치한다.
o 동일 평면 설치오차 1mm 또는 축간거리의 1/1,000중 큰 쪽 이내
o 축간거리 : 사용하는 체인피치의 30~50 배가 바람직하다.
o 스프로킷에 감는 각도 : 120°이상
o 속도비 : 7 : 1 정도까지가 바람직하다.

무대시설을 매달기 위하여 사용하는 체인은 한국산업규격에서 정의하는 제품을 적용한다.


링크 체인에는 강도가 규정되어 있는 로드체인과 강도의 규정이 없는 일반 체인이 있으며, 매
다는 데에는 로드체인을 사용한다. 리브체인, 롤러체인은 횡방향의 하중에 약하므로 가이드레
일과 병용하여 사용한다.
장치봉 및 무대시설 등을 체인으로 승강 또는 매다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2줄 이상으로
지지하며, 안전성을 높여 적재물이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체인 사용시의 최대하중(정격적재의 무대시설 정지시의 하중 + 기동정지에 따르는 하중
또는 지진하중 등)은 사용하는 체인의 파단하중의 1/6이하로 설계한다. 체인은 탄력이 적기

40
2. 상부무대시설

때문에 충격하중, 편하중으로 일부 체인에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수평방향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설계한다. 아래 표에서는 로드체인의 파단하중을 나타내
었다.
표 11 로드 체인의 파단하중 (kN 이상)

비조질 표면경화
분류 조질 체인
체인 체인
등급 M 급 T 급 V 급 T 급
최소파단응력 400 N/㎟ 800 N/㎟ 1,000 N/㎟ 800 N/㎟
선 직경 (㎜) 타입 MH 타입 TH 타입 VH 타입 DT, DAT
3 - 11.4 kN이상 14.2 kN이상 11.4 kN이상
3.2 - 12.9 16.1 12.9
3.6 - 16.3 20.4 16.3
4 - 20 25 20
4.5 - 25.5 31.9 25.5
5 16 kN이상 31.5 40 31.5
5.6 20 40 50 40
6.3 25 50 63 50
7.1 31.5 63 80 63
8 40 80 100 80
9 50 100 125 100
10 63 125 160 125
11.2 80 160 200 160
12.5 100 200 250 200
14 125 250 315 -

2.2.2 합성 섬유로프, 마로프

합성 섬유로프는 수동 평형추 방식의 장치봉의 승강조작을 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수동용


합성 섬유로프는 다음 표에 의해서 필요한 섬유 로프를 적용하며, 일반적으로는 KS K 4001
(마 로프:마닐라마 및 사이잘마)의 기준을 따른다.

표 12 섬유 로프 종류에 따른 규격

섬유 소재 관련 규격
마닐라마 KS K 4001
사이잘마 KS K 4001
폴리아미드 KS K 3717
폴리에스테르 KS K 3716
폴리에틸렌 KS K 6401
폴리프로필렌 KS K 6405

41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무대시설에 적용하는 합성 섬유로프는 일반적으로 12mm 이상을 적용하며, 안전율은 다음


식에 따라서 6 이상을 확보한 제품을 적용한다.

× 
  

여기서  : 합성섬유로프의 안전율

 : 합성섬유로프 줄 수
 : 합성섬유로프 인장(파단) 하중(kg)
 : 합성섬유로프에 작용하는 최대 하중(kg)

위 계산에 적용되는 섬유로프의 인장하중 중에서 마닐라 로프 1류 1종과 합성섬유로프의


인장하중은 다음 표와 같다.

표 13 3 스트랜드 마로프와 합성섬유 로프의 인장강도

마닐라로프 1류 1종 합성섬유 로프
호칭 굵기
질량 인장강도 질량 인장강도

(200m당㎏) kN (200m당㎏) kN
10 14.7 7.06 10.5 9.90
12 21.1 9.90 14.3 13.9
14 28.8 13.1 20.0 18.6
16 37.6 16.9 25.7 23.8
18 47.6 21.0 32.4 29.7
20 58.7 25.6 40.1 36.1
22 71.0 30.5 47.2 43.1
24 84.6 35.6 57.2 50.7
26 99.2 41.6 65.8 58.8
28 115. 47.8 77.2 67.5
30 132. 54.3 93.0 76.7

합성섬유로프, 마로프 등을 사용하여 무대장치를 수동으로 승강하는 경우에는 로프가 이


동이 되지 않도록 로프 락과 같은 잠금장치를 적용해야 한다. 로프 락 장치는 와이어로프를
고정함으로써 수동 평형추 방식 장치걸이대를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42
2. 상부무대시설

2.3 장치봉 및 막 구조물

2.3.1 장치봉

장치봉은 상부무대시설의 무대시설을 매달기 위한 기구로 용도 및 하중에 따라서 장치봉


의 형식과 사이즈, 승강방식 등을 결정한다. 장치봉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형태를 가
지며, 커튼 트랙 등이 설치될 때에는 사각파이프의 형태를 갖기도 한다.
장치봉은 KS D 3507 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66 일반 구조용 탄소강관에서 규정하는
제품을 적용하며, 이 이외의 제품을 적용할 때에는 일반 구조용 탄소강관 이상의 강도를 갖는
강관을 적용해야 한다. 주로 적용되는 일반 구조용 탄소강관은 외경 42.7mm, 두께 2.3mm, 외
경 48.6mm 두께 3.2mm이 주로 적용되며, 배관용 탄소 강관은 외경 48.6 mm 두께 3.25mm
등이 주로 적용된다. 장치봉에 무대장치를 적재시 장치봉의 굽힘을 적게 하기 위하여 음향반
사판 등에서는 외경 60.5mm를 적용하는 예도 있지만 조명기를 설치시에는 매달기가 용이하지
않아서 불편한 점도 있다.

표 14 장치봉 강관의 치수 및 무게 예

KS D 3566 일반구조용 탄소강관 KS D 3507 배관용 탄소강관


외경 두께 단위무게 외경 두께 단위무게
mm mm kg/m mm mm kg/m
21.7 2.0 0.972 21.7 2.65 1.25
27.2 2.0 1.24 27.2 2.65 1.60
2.3 1.41
34.0 2.3 1.80 34.0 3.25 2.45
42.7 2.3 2.29 42.7 3.25 3.16
2.5 2.48
48.6 2.3 2.63 48.6 3.25 3.63
2.5 2.84
2.8 3.16
3.2 3.58
60.5 2.3 3.30 60.5 3.65 5.12
3.2 4.52
4.0 5.57

장치봉의 구성은 단일 장치봉, 사다리형 장치봉, 트러스형 장치봉 등으로 구성되는데 단일


장치봉의 경우에는 장치봉 재료의 굽힘의 영향이 없도록 와이어로프의 고정 간격이 최소

43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2.7m 이하로 적용해야 하며, 2.7m 이상으로 설계할 때에는 최대 설계하중을 적용하여 장치봉
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별도의 계산을 실시하여 적용한다. 사다리형 장치봉은 2.7m 이상
을 적용해도 무관하나 일반적인 장치봉의 고정 간격은 3m 이하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5 장치봉의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적재한도의 예

공칭직경 적재한도
㎜ ㎏
4 80

5 120

6 160

표 16 재질 STK400 장치봉의 굽힘 변형에 걸리는 적재한도의 예

장치걸이대 사이즈 적재한도


외경×두께 ㎏
42.7×2.3 63

48.6×3.2 110

고정 적재 무게를 갖는 음향반사판, 끌막, 면막 등은 최초 설계시에 용량에 적합한 구동


부, 장치봉 등을 적용한다. 하지만 장치봉, 조명봉 등은 공연 연출에 따라서 장치물이나 조명
기 등을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장치봉의 끝단부에 최대적재 용량을 표기하여서 장치봉의 제한
적용하중을 표현해야 한다.
무대시설에 적용하는 장치봉은 시작부터 끝까지 연속적인 하나의 봉을 사용해야 하며, 봉
을 이어 붙여 적용할 때에는 용접으로 접합한 후에 용접부의 표면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장치
봉은 부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장처리가 되어야 한다.

2.3.2 막구조물

막 구조물은 장치봉에 매달리는 무대장치를 말한다. 커튼류의 막구조물은 장치봉에 천의


띠를 묶어서 고정하며, 태극기 등 세트물은 적절한 방법으로 고정을 실시한다. 설계시에는 공
연 중 사용되는 막구조물이 아닌 고정적으로 설치되어서 사용되어질 막구조물에 대한 설계내
용을 적용해야 한다.
설계시에 고려되어야 할 막구조물로는 커튼류, 조명기, 음향반사판 등이 있으며 모두 고정

44
2. 상부무대시설

부의 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장치봉에 밴드로 막구조물을 고정할 때에는 장치봉의 크기에 적합한 밴드를 적용하며, 밴
드를 고정하는 볼트와 너트가 작용하는 최대 설계하중 대비 4이상의 안전율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풀림방지조치를 적용하여야 한다. 막구조물을 와
이어로프로 고정할 때에는 와이어로프 체결 방법에 따라서 고정을 실시한다.
설계도서에서는 막구조물의 크기 및 장치봉과 함께 막구조물의 행정거리가 명시되어야 하
며, 평형추 방식이 적용되었을 때에는 장치봉 및 막구조물과 함께 평형추의 행정거리도 명시
해야 한다.
막구조물이 승강, 이동할 때에는 인접한 막구조물 혹은 건축 구조물 등과 간섭이 발생되
지 않는 구조로 설계한다.

2.3.3 와이어로프의 고정 간격

상부무대시설의 대부분은 장치봉, 장치빔 등의 구조물을 와이어로프에 매달아서 사용한다.


이때에 장치봉, 장치빔 등의 용량에 따라서 설치할 수 있는 무게 등이 결정되게 된다.
장치봉 및 장치봉을 구성하는 재질은 KS D 3507 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66 일반 구
조용 탄소강관에서 정의하는 제품을 적용하는데 이 제품의 항복점에서의 단위 길이당 단위
변형량은 약 0.00417 정도를 나타내고 있어 변형량은 장치봉 길이의 약 1/240 정도 값을 나타
낸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장치봉 및 장치빔에 무대시설 및 막구조물을 고정하였을 때에
처짐, 변형량의 제한량은 L/240 이하로 설계해야 한다. 즉, 와이어로프 간의 거리를 L, 장치봉
의 처짐을 δ라 하면

 ≦  ×

 42.7 × 2.3t의 탄소강관이 항복점에 대하여 허용하는 스팬의 길이는 약 2.6m 이고,  48.6
× 3.2t의 탄소강관이 항복점에 대하여 허용하는 스팬의 길이는 약 2.8m 정도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단일봉의 와이어로프의 고정 간격은 최소 270cm 이내로 설계하며, 2.7m 이상의 장
치봉 고정 간격을 설계하고자 할 때에는 적용되는 최대 설계하중, 장치봉의 재질 등을 고려하
여 별도로 계산된 값을 제시한다. 단 트러스 형, 사다리 형 장치봉 등은 3m 이내의 고정간격
을 갖도록 설계한다.

45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2.3.4 막구조물의 고정

와이어로프를 장치봉 등에 고정할 때에는 턴버클, 섀클 등을 적용하여 고정한다.


턴버클의 설계 및 사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장력의 조절기능과 안전에 대한 기계적 퓨
즈의 역할이다. 또한 턴버클은 와이어로프와 장치봉의 중간에서 하중에 대한 안전을 제일 먼
저 점검할 수 있는 용구이다.
즉, 장치봉의 사용에 따른 장력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경우, 턴버클을 장착한 상태라면 단
순히 턴버클의 조절에 의해서 와이어로프 간의 장력조절이 가능하여 하중집중을 막을 수 있
으며 특히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턴버클 틀의 훼손에 의하여 가시적으로 안전사고를
미리 예측하고 대처할 수 있다.
턴버클은 와이어로프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나사 볼트 사이에 더하는 길이를 두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턴버클에는 양단에 R과 L이 표기되어 있는데 나사볼트에 맞추어 R은 위로
가도록 설치하여 오른나사 방향으로 조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로프

클립

심블

오른나사볼트
턴버클

더하는 길이

섀클 왼나사볼트

적재하중 표시 장치봉

500 kg

그림 15 턴버클의 호칭 및 설치

무대시설의 장치봉에 적용되는 턴버클은 해당 와이어로프의 파단 하중보다 작은 턴버클을


선정하여 사용해야만이 기계적 퓨즈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해당 무대시설에 적용되는 하
중을 고려하여 턴버클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6
2. 상부무대시설

아래 표는 일반적으로 공연장에서 적용되는 턴버클에 따른 파단 하중을 나타낸다. KS W


1513에서는 각 부품 번호를 KS W 1513 B 8S와 같은 방법으로 표기하여 적용하고 있다.

표 17 턴버클의 규격 및 파단 하중

사용하중 사용하중
규격 규격
(Ton) (Ton)
3/8×6 0.54 3/4×12 2.36
1/2×6 1.00 3/4×18 2.36
1/2×9 1.00 7/8×12 3.27
1/2×12 1.00 7/8×18 3.27
5/8×6 1.59 1×6 4.54
5/8×9 1.59 1×12 4.54
5/8×12 1.59 1×18 4.54
3/4×6 2.36 1×24 4.54
3/4×9 2.36

그림 16 턴버클의 설치 그림 17 턴버클의 설치

표 18 턴버클 규격 명칭

규격명 규격번호 규격명칭


F 4512 건축용 턴버클 볼트
F 4513 건축용 턴버클 몸체
KS F 4521 건축용 턴버클
W 1513 항공기용 턴버클
W 1514 항공기용 턴버클 몸통
Aerospace - Locking clips, in corrosion-resistant steel,
ISO 9761
for aircraft control wire rope turnbuckles - Dimensions

47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섀클은 용도에 따라 앵커섀클과 체인섀클로 나눌 수 있으며 조임 방식에 따라서는 스크루


타입과 핀 타입, 볼트 타입 등이 있다. 섀클을 단순히 핀만으로 고정하는 것이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볼트타입을 사용하고 너트부가 빠지지 않도록 추가로 핀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섀클은 굽힘 및 인장에 의하여 금이나 균열이 생기거나 또는 파괴되어서는 안된다. 표면
은 평활하고, 해로운 금, 균열, 흠, 뒤말림이 있어서는 안 되며 스테인리스 강제인 것은 전체
표면을 연마하여 평활하게 하여야 한다. 섀클의 도금은 심블과 동일하게 처리한다.
섀클에 대한 국내 규격은 KS B 1333(섀클), KS W 1511(항공기용 심블 및 섀클) 이 있으
며 규격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섀클의 구분은 굽은 섀클과 곧은 섀클로 구별된다.

BA BB BC BD

SA SB SC SD

그림 19 섀클
그림 18 굽은 섀클(상단), 곧은 섀클(하단)

무대시설에 적용되는 섀클은 굽은 섀클을 사용하며, 섀클의 등급은 열처리나 재료의 화학


성분에 따라서 M, S, T, V 등급으로 분류가 된다. 다음 표에서는 무대시설에 주로 사용되는
굽은 섀클 모델에 대한 사용하중을 나타내고 있다.
턴버클과 섀클의 안전율은 작용하는 최대 설계하중 대비 4 이상을 확보하도록 하며 설치
한 후에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풀림방지장치를 설계에 적용한다.

48
2. 상부무대시설

표 19 섀클의 사용하중 (굽은 섀클) 단위 : ton

M 등급 S등급 T등급 V등급


호칭
BB BC BD BB BB BB
6 0.2 0.15
8 0.315 0.315
10 0.6 0.5 0.8 1 1.25
12 1 0.7 1.6 2 2.5
14 1.25 0.9 2 2.5 3.15
16 1.6 1.2 2.5 3.15 4
18 2 1.3 3.15 4 5
20 2.5 2.5 1.8 4 5 6.3
22 3.15 3.15 5 6.3
24 3.6 3.6 6.3 8
26 4 4 8 10
28 4.8 4.8 8 10 12.5
30 5 5
32 6.3 6.3 10 12.5 16

2.4 방화막 및 배연장치

2.4.1 방화막

방화막은 화재시에 무대와 객석을 분리시켜 인명피해 및 공연장 무대시설의 피해를 줄여


주기 위한 시설이다. 방화막의 설치 위치는 브리지 전면부에 위치하는 경우와 무대 전면부를
전체적으로 막아줄 수 있는 구조 두 가지로 구분된다. 이러한 방화막은 설계 및 제작시에 석
면커튼, 철제 커튼, 드렌처 시스템 등을 사용하게 된다. 철제로 구성된 방화막의 무게는 소형
의 경우에는 500kg ~ 4,000kg, 대형인 경우에는 4,000kg ~ 20,000kg 이상으로 구성이 된다.
석면커튼의 경우에는 석면 사용 규제로 인하여 현재에는 적용할 수 없다. 또한 근래에는 면막
과 방화막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게 설계, 시공하는 경우도 있다. 전동부는 속도 가변형 전동
기를 사용하거나 극수가 2개인 전동기를 사용하여 바닥에 도달하기 전에 전동기의 회전수를
낮추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방화막은 화재가 발생하여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자동 및 수동으로도 구동이 가
능하도록 설계 및 설치를 해야 한다. 드렌처 시스템은 화재시에 물의 벽을 구성하여 방화막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으로 오픈스테이지 등 프로시니엄이 불분명한 극장건축에 적용되기도 하

49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였다. 방화막은 과대한 하중이 작용하므로 다른 상부무대시설보다 행거장치, 풀리부, 와이어로


프 등이 커져야 하며, 방화막의 중량이 평형추의 중량보다 크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방화막은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 자동으로 무대 바닥으로 낙하되어야 하며, 방화막의 작
동을 알려주는 알림장치 등이 설치되어야 한다. 방화막은 화재 발생시에 전원이 차단되어도
무대바닥으로 하강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야 하며, 전원으로 차단시에는 무대 바닥으로부
터 3m 지점까지는 자유낙하 및 전동구동을 하며, 그 이후에는 저속으로 착상하도록 하여야
한다.
현재 방화막에 대한 규정 및 성능은 국내 현행 표준과 소방 및 건축 관련 규정에서 명시
하는 방화셔터에 준하며 위 기준에 만족해야 한다.
방화막이 작동하여 무대 바닥으로 착상할 때에는 방화막과 측면 가이드 등과의 측면부 틈
새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틈새 제거를 위한 포켓, 가이드 등을 설치하여 연기나 화재에 대하
여 객석과 무대를 분리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방화막의 설계 및 적용은 화재 안전에 대한 최소한의 적용이므로 공연장 실정 및 공연 환
경에 적합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4.2 배연장치

배연장치는 무대공간에서의 방재대책으로 사용을 한다. 배연장치의 종류는 해치형과 창


루버형 등이 있는데 해치형은 무대 지붕에 선박의 해치모양을 닮은 배연구를 설치한 것이며,
루버형은 무대 지붕 상부의 측벽에 설치한 루버를 개폐하여 배연하는 방법이다.
배연장치를 설계시에는 방화막과 함께 화재가 발생할 때에 작동하여 화재에서 발생된 연
기와 유독가스를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배연장치의 최소 설치 면적은 무대 상단부에는 무대
면적의 최소 10% 이상, 객석측은 1층 객석 면적의 최소 20% 이상 확보하여야 한다.
배연장치를 구성하는 재료는 모두 내화성이 확보된 재료를 적용해야 하며, 배연장치는 화
재가 발생되었을 때에 쉽게 작동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한다. 무대 위의 배연장치는 화재가 발
생하여 일정 압력 이상이 가해질 경우에 자동적으로 작동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50
3. 하부무대시설

3. 하부무대시설

하부무대시설(stage facility)은 무대의 바닥을 기준으로 바닥과 그 아래 부분에 설치되어


장면을 전환하는데 사용되는 무대 설비류를 말한다. 하부무대시설은 승강무대(stage lift), 연주
승강무대(orchestra lift), 회전무대(revolving stage), 이동객석 및 화물용승강기를 포함하는 건
축설비(architectural facility) 등이 있다.

3.1 프레임 및 무대바닥

3.1.1 하부무대 프레임

하부무대는 하부무대시설의 용도, 규모, 하중, 주위 조건에 적합하게 구성한다. 하부무대


프레임에 적용되는 재료는 상부무대시설에서 적용되는 재료와 마찬가지로 1.1.1 항목의 재료
를 기준으로 한다.
하부무대 프레임, 구동부가 설치되는 구동부 프레임은 작용하는 최대 설계하중 기준으로
4이상의 안전율이 확보되어야 한다.
하부무대 프레임을 설계시에 고려하여야 할 하중은 다음과 같다.
o 고정하중 : 바닥 마무리재의 자중 + 프레임 하중 + 기타 부속기기의 자중에 의한 하중
o 적재하중 : 최대 설계하중 기준으로 적재하중은 운전시의 정격적재에 의한 하중과 정
지시 정격적재에 의한 하중으로 적용
o 주행관련 하중 : 수평 이동하는 무대시설에서 정격 적재시의 주행에 관련된 하중
o 평형추 하중 : 평형추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평형추 관련 하중을 적용하며, 평형추를 설
치하면 프레임에 대해서는 하중이 증가하지만 구동부 등의 설계에 있어서는 부하를
절검하는 효과를 가짐
o 충격하중 : 기동, 정지, 가속 등에 수반되는 하중
o 사람의 영향에 의한 하중 : 무대로 사람이 뛰어들 것이 예상되는 시설에 고려
o 지진하중 : 지진하중은 지진이 발생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고정하중과 정지시의 적재하
중, 정지마찰계수, 지진계수를 적용

51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하부무대 프레임, 구동부 설치 프레임의 휨, 변형량은 프레임 길이 대비 1/200 이하 혹은


10mm 이내로 설계한다. 프레임의 길이가 10m 이상인 경우에는 고유진동수도 함께 점검하여
7Hz 이상의 고유진동수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구동부는 방진설계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무대 프레임, 구동부 설치프레임의 접합, 고정은 기본적으로 볼트와 너트를 적용하며,
특수한 경우에는 용접을 적용해도 무관하다. 프레임 고정 볼트는 M8 계열 이상의 볼트를 적
용하며, 볼트 및 용접부의 강도는 작용하는 하중 대비 4이상의 안전율을 갖도록 설계한다.
프레임을 건축구조물에 고정할 때에는 앵커볼트를 적용하는데 상부 그리드 프레임과 마찬
가지로 연직방향의 하중, 수평 양 방향의 하중에서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강도의 제품을
선정해야 한다. 특히 뽑히는 힘에 대해 충분히 점검을 할 필요가 있다. 단 앵커볼트의 강도는
볼트 자체의 강도와 함께 콘크리트의 강도에도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강도계산시에 콘크리트
의 강도를 함께 확인해야 한다.
하부무대시설의 구동부가 설치되는 프레임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설계에 적용하여야 한
다.
o 구동부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는 기기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o V-벨트, 체인 등 장력 조절이 필요한 기기는 조정이 가능한 구조이어야 한다.
o 구동부에 제한 스위치(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조정이 용이하도록 한다.
o 구동부 설치 프레임의 고정은 볼트를 적용한다.
o 필요에 따라서 방진 설계를 실시한다.

무대시설을 설치한 후에 점검자, 보수자를 위한 점검로가 확보되어야 하며, 하부무대 프레


임에 구동부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프레임을 통해서 구동부로 접근할 수 있는 점검로를 확보
해야 한다.

3.1.2 무대 바닥

무대 바닥은 하부 무대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목재로 구성된다. 목재


는 주변 환경에서의 습도, 온도 등에 의한 영향으로 변형이 발생되기 쉬우므로 변형이 발생하
지 않는 제품을 적용해야 한다. 하중이나 진동 같은 다양한 물리적 응력에 의한 처짐이나 팽
창은 규정된 범위이내에서 설계되어야 한다. 처짐은 무대 바닥 목재의 길이대비 1/300 이하가
되도록 설계하며, 무대바닥의 고정부분과 트랩도어 혹은 무대시설이 있는 바닥과 같은 이동부
분의 경계 사이의 틈의 거리는 최소한 5mm ~ 10mm 이내이어야 한다.
하부무대 바닥으로 구성되는 목재는 프레임과 고정할 때에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무대

52
3. 하부무대시설

바닥의 레벨 조정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대 바닥과 프레임을 고정하


는 볼트는 M8 이상 계열의 볼트를 적용하며, 적용시에는 레벨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를 추가
적으로 적용한다.
하부무대시설간에는 무대시설이 이동, 승강시와 습도, 온도에 의한 영향으로 목재가 변형
이 발생되어도 무대시설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무대시설 간의 간격은 최소 10mm 이
내로 적용하여 설계한다.
하부 피트에서 무대시설 프레임을 점검하지 못하는 경우, 구동부가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
는 경우 등은 무대바닥에 점검구를 설치하여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설계한다.

3.2 스크루 축, 랙, 피니언 등

3.2.1 스크루 축

스크루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주는 형태를 가지며, 스크루 축은 일반적으로


하부무대시설을 승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그 적용에 따라서 볼 스크루와 스크루
잭 등을 적용한다. 볼 스크루의 적용은 무대시설의 하중부담이 큰 경우에 적용하며, 스크루
잭은 무대시설의 부담이 작은 경우에 일반적으로 적용한다.
스크루는 하부무대시설의 용도, 하중, 이동속도, 주위환경 등에 적합한 방식을 적용하며,
나사 재질, 나사 지름 등도 함께 고려한다.
볼 스크루와 스크루 잭을 적용시에는 축이 적용되는 강재에 따라서 인장응력, 압축응력,
굽힘응력, 좌굴응력 등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승강 거리가 긴 경우에는 좌굴에 의한 영향은
다음 식을 통해서 계산하여 적용한다.

λ<20일 때   

20≤λ≤200일 때   

여기에서  : 허용좌굴응력(단위 : kg/㎠),  : 허용압축응력(단위 : kg/㎠), ω : 좌굴계


수, λ : 유효 세장비

스크루 축이 적용된 무대시설에서는 스크루 축에 의한 승강시에 횡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무대시설이 이동하도록 함께 고려해야 한다.
스크루 축을 따라서 이동하는 너트의 재질은 파손시에 교환을 쉽게 하기 위해서 스크루

53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축의 재질보다 강도가 작은 것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2.2 레버형 팬터그래프

레버형 팬터그래프는 시저타입이라고도 불리는데 승강무대의 승강방식으로 주로 사용이


된다. 레버형 팬터그래프의 시저 프레임은 승강무대의 최대 설계하중과 용도에 적합한 재질
및 형상을 적용하여 설계한다. 또한 용량을 결정짓는 또 하나의 요소는 레버가 최하단으로 하
강되어 있을 때에 순간 기동하여 상승시키는 레버의 각도도 설계변수로 작용하게 되므로 최
대 설계하중을 기준으로 레버의 각도가 가장 작을 때를 기준으로 설계해야 한다.
레버 타입의 팬터그래프는 보통 2개 이상을 적용하는데 프레임의 길이가 일정하게 설계되
고 설치되어야 승강, 하강시에 프레임의 수평도를 유지할 수 있다. 레버의 양 끝단부는 고정
혹은 롤러가 적용되는데 롤러는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동되는 구조가 된다. 롤러의 강도는
작용하는 하중을 충분히 지탱 할 수 있는 재질로 설계하며, 가이드레일은 롤러가 정확하게 회
전하여 승강무대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2.3 랙, 피니언, 기어 등

랙과 피니언은 용도와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서 적합한 재질을 선정해야 한다. 설계상의
기준은 작용하는 최대 설계하중 대비 4이상의 안전율을 확보해야 한다. 랙과 피니언의 재질을
선정시에는 교체하기 쉬운 피니언의 강도가 랙보다 작도록 하여 파손이 발생시에 피니언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에 적용한다. 랙과 피니언 방식으로 무대시설을 승강시에도
횡방향의 횡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무대시설이
승강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를 하여야 한다. 하부무대시설에 적용되는 기어
는 백래쉬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2.4 주행레일, 주행차륜

하부무대시설 중 주행레일, 주행차륜이 적용되는 이동무대는 하중에 대한 부담이 적은 편


이므로 그 용도, 작용하는 하중에 적합한 재질 및 형상을 선택하여 설계한다. 주행 레일에 적
용되는 주행차륜의 수는 편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다는 조건하에 전 하중을 차륜수로 나눈 값
에 20% 할증하여 1륜당 차륜하중을 계산하여 차륜을 설계한다. 또한 차륜과 레일 사이에는
횡방향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설계한다.

54
3. 하부무대시설

3.2.5 기타

스크루 축, 랙과 피니언 등의 기어, 레버 등을 제외하고 승강무대의 구동방식으로 적용하


는 다른 방식은 승강 체인을 사용하여 승강하는 방식, 스파이어럴을 사용하는 구동 방식 등이
있다.
스파이어럴 방식의 승강무대를 적용할 때에는 제조사의 용량에 적합하게 적용하였는가를
확인하며, 구동부의 연결 방식과 체인 등 감속장치를 통해서 전달되는 방식을 충분히 고려해
서 설계한다. 또한 구동부에 연결된 체인 등이 파손시에 승강무대가 하강하지 않도록 안전장
치를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체인을 사용한 승강무대에서도 구동부와 체인을 이동
시키는 이동장치를 고려하고, 체인 1줄이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체인이 최대 설계하중을 충분
히 지탱 할 수 있는 체인의 용량을 적용한다.
이외의 다른 승강 및 이동 방식으로 하부무대시설을 적용할 때에는 구동에 적합하고, 안
전한 무대시설이 될 수 있도록 충분히 설계에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3 유압장치

3.3.1 유압 구동부 및 실린더

유압장치는 하부무대시설에서 대용량의 동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유압장치의


구성은 유압구동부, 실린더, 유압 탱크, 배관 등으로 구성되며 해당 하부무대시설의 최대 설계
하중에 적합한 구동부 및 실린더를 적용해서 설계해야 한다.
유압 구동부를 설계할 때의 동력은 최대 설계하중에 대한 작동 유량, 작동 압력을 적용하
여 동력을 선정한다. 유압 구동부에 적용되는 유압 펌프는 흡입측에 필터를 적용한다.
유압실린더는 좌굴강도를 계산하고, 작용하는 최대 설계 하중에 대하여 4이상의 안전율을
확보해야 한다. 유압 실린더의 유효 세장비는 안전에 지장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200이하
가 되도록 설계하며, 실린더가 최대로 행정한 후에도 최소 100mm 이상의 여유 행정거리를 확
보하도록 실린더를 선정해야 한다. 설계에 적용된 실린더 벽 두께는 다음 식에 따라서 4이상
의 안전율을 확보해야 한다.

55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
 


여기서 p : 사용압력(  )


d : 내경(  )
S : 재질의 허용응력(  )
t : 실린더 최소 벽 두께(  )

실린더의 크기를 적용할 때에는 좌굴 강도에 대한 내용을 적용하여 설계한다. 그 계산식


은 다음과 같다.

·²··
 
²
여기에서,  : 좌중하중(   ),  : 고정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정수,  : 탄성계수
(  ),  : 로드 횡단면의 최소단면 2차 모멘트(  ),  : 실린더 로드길이(  )

계산된 좌굴하중은 안전율 4를 적용하여 최대작동하중을 계산한다.


  

여기서  : 최대작동하중(   ),  : 안전율(4)를 나타낸다.

3.3.2 유압 유닛, 밸브 및 계기 등

유압 시스템은 유압 전동기, 유압 유닛, 밸브 등으로 구성된다. 유압 유닛은 유압 시스템


을 구성하는 주요 부품이며, 밸브는 유압 시스템의 작동시의 제어를 위한 장치이다.
유압 시스템에서 실린더가 장시간 정지한 경우에 작동유의 누설 등으로 인하여 유압이 저
하되어 무대시설이 바닥으로 점차적으로 침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린더와 파워
유닛 사이에 배관이 파손 및 유압유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관 파열 차단 밸브, 유압보
상 장치, 낙하 방지 밸브 등을 적용해야 한다. 또한 동력이 차단되었을 때에는 실린더내의 유
압유가 역류되어 무대시설이 하강하지 않기 위하여 차단 장치를 설계에 적용한다. 이러한 것
과 함께 기계적으로 정지위치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기계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
이다.
작동 유압에 이상이 발생하여 최대 작동 압력의 125%를 초과하는 압력이 작동될 때에 작

56
3. 하부무대시설

동하는 릴리프 밸브를 설계에 적용한다. 이외에도 전자 변환 밸브, 유량 제어 밸브, 제어 밸브,


압력 제어 밸브 등이 적용되어야 한다. 하부무대시설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압유의 누
유 혹은 하강되는 무대의 위치를 보상해 줄 수 있는 유압 보상장치가 설계되어야 한다.
수동으로 무대시설을 하강시에는 무대시설의 이동속도가 정격 속도 이하가 되도록 설계하
며, 유압탱크의 용량은 설계용량의 110%이상의 유압유를 보관할 수 있도록 설계하며, 유면계
가 적용되어 유압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유압 탱크에는 각종 필터 및 계기를 적
용한다.
유압시스템의 작동 압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압력계가 설치되어야 하며, 압력계는 작
동 최대 압력 대비 150%를 나타낼 수 있는 압력계를 적용해야 한다.
유압시스템에 적용하는 유압유는 기온의 변화에 상관없이 유온이 5℃~60℃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3.3.3 유압 배관 및 호스

유압시스템에 사용되는 압력 배관은 압력 배관용 탄소강관 또는 고압 배관용 탄소강관을


사용하며, 배관이 불필요한 부분 혹은 필요 최소한의 길이에서는 고압 고무호스를 적용한다.
배관 연결부는 나사로 조이는 플랜지형으로 설계하며, 압력배관의 안전율은 작용하는 최
대 설계압력 대비 4이상의 안전율을 확보하도록 한다. 배관은 사용 환경에 따라서 부식이 발
생할 수 있으므로 도장 또는 열처리를 적용하여야 한다.
유압 시스템에 적용되는 고무 호스는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하며, 유압호스간의
접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벽면, 각 기계부품 등과 접촉되지 않도록 설계한다. 고무 호스
의 최소 곡률반경은 400R 이상이 되도록 하며 여유 거리는 최소 5%이상 확보하도록 한다.

3.4 기계실 및 하부 피트

3.4.1 기계실

하부무대의 유압 시스템 등이 구성되는 기계실은 별도의 룸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기계실


은 설치되는 장소에 대한 기계장치 및 전기시설의 오작동 및 유지 관리를 실시할 수 있는 공
간으로 설계한다. 설치되는 기계 시스템은 기계실 벽면으로부터 최소 50cm 이상 이격을 실시
하며, 기계실내의 평균 조도가 100Lux 이상을 확보하여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적용한다.
기계실의 내장 및 벽면은 내화구조 또는 방화구획으로 구분되어야 하며, 인가된 자 이외에는

57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출입문에는 시건이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3.4.2 하부 피트

하부무대시설의 구동부, 축 등 기계요소가 설치되는 하부 피트는 기계 설비류가 설치되기


적합한 구조로 설계해야 하며, 승강무대 하강에 대한 안전장치들이 구성되어야 한다. 특히 승
강무대 등은 일정 행정구간 이상을 내려오지 않도록 스토퍼를 설치해야 하며, 스토퍼에는 충
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재질을 설계에 적용한다. 하부 피트도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평균 100Lux 이상의 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조명기를 설치해야 한다.

58
4. 전기시설

4. 전기시설

4.1 일반사항

저전압을 사용하는 배전반, 제어반, 조작반은 특기한 것을 제외하고는 KS C IEC


60947-1(저전압 개폐 장치 및 제어 장치-제1부 : 일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하며, 전기방식, 개
폐기의 종별, 용량 등이 표시된 제작사양 등을 설계도서에 표기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배전
반, 제어반, 조작반은 구조가 튼튼하고, 각 부는 쉽게 헐거워지지 않도록 견고하고 조립되고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각 반에 사용되는 전장부품은 견고하게 고정되고 보호판 등에 의해 조
작이 안전한 구조로 하여야 한다. 또한, 배선의 접속, 개폐기의 조작, 퓨즈의 교환 등이 용이한
것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각 반에 사용되는 부품들은 KS 제품을 사용하고 , KS 제품이 없
는 품목 또는 KS 적용 이외의 제품에 대하여는 안전성 및 신뢰성 제품을 인증한 제품을 적용
하여야 한다. 배전반, 제어반, 분전반의 설계는 내선규정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명기되어 있
는 사항들을 충실하게 이행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여 설계․시공 하여야 한다. 충전부와


비충전 금속체와의 간격 및 이극 충전부와의 간격은 공간, 연면 공히 10mm 이상으로 한다.
단, 300V를 초과하는 선간전압이 가하여지는 연면거리에 대하여는 20mm 이상으로 한다. 제어
회로 등의 충전부는 KS C 0704(제어기기의 절연거리, 절연저항 및 내전압)에 의한다.
배전반의 외함(박스, 도어 및 커버가 금속제인 것을 말한다)을 구성하는 각 부분은 견고하
게 조립되어야 하며, 외함을 구성하는 급속판의 박스, 전면테, 도어, 보호판 및 커버는 조립된
상태에서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컷아웃스위치와 같이 상시 충전부를 노출하
지 아니하는 구조의 개폐기(예를 들면, 카버나이프스위치) 또는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한 것을
제외하고는 적합한 함(函)속에 넣어야 한다
외함의 박스, 도어, 커버 및 보호판에 사용하는 강판의 두께는 정면의 면적에 따라 다음
표에서 제시하는 값 이상으로 하고, 또한 유효한 방청처리가 되어야 한다.

59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표 20 외함에 사용되는 강판의 두께의 적용

정면의 면적 [㎠] 강판의 두께 (호칭) [㎜]

1,000 이하 1.0 (0.8)


1,000을 초과 2,000 이하 1.2 (1.0)
2,000을 초과하는 것 1.6 (1.2)
(주) 접어 구부림, 리브 가공 등으로 보강한 것, 또는 스테인레스강
등을 사용하는 경우는 ( )의 값을 적용하여도 좋다.

외함에는 분전반의 정격전류에 따라 적합한 굵기의 접지선을 접속할 수 있는 접지단자를


설치한다.
모선 및 분기도체에 띠 모양 도체를 사용하는 경우는 도전율 96% 이상의 등을 사용하고,
모선 및 분기도체는 병렬도체로 하여서는 안 되며, 병렬도체로 사용하는 경우 정격전류가
400(A)를 넘는 경우에 한하며, 3선 이상의 도체를 병렬접속하면 안 된다. 또한, 병렬도체는 동
일 굵기, 동일 길이의 것으로 한다.
배전반에 시공되는 배선기구는 KS 규격품으로서 시설 장소에 적합한 것을 선정하고, 그
종류 및 용량은 설계도면에 표기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에 시설하는 기구 및 전선(관
내에 넣는 전선 및 케이블은 제외한다)은 쉽게 점검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KS C 8321(배선
용 차단기)와 KS C 4613(누전차단기)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배전반에 사용전압이 각각 다른 분기회로가 혼재하는 경우는 분기회로를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그 회로의 과전류차단기 가까운 곳에 그 전압을 표시하여야 한다. 배전반
설치시 전기회로를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소, 개폐기를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소, 노출된 장
소, 안정된 장소 등에 시공하도록 설계한다.. 다만, 적합한 설치장소가 없을 경우에는 감독관과
협의하여 설치장소를 선정하여 위의 사항들을 충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4.2 배전반

배전반은 무대시설의 전원을 송전하기 위한 곳으로 차단기를 비롯한 전장부품을 통해 안


전하게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배전반을 구성하지 않는 공연장은 배전반에 설치되는
주차단기를 제어반에 설치하여 무대시설의 전원을 공급하는 곳도 있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아래의 그림과 같은 과정을 통해 배전반의 인입되는 용량 및 전장부품 등을 선정하게 된다.

60
4. 전기시설

사 전 조 사

수전 전압 결정

수전설비시스템 결정

배전전압 결정

변전설비 용량계산 수․변전기기 형식선정

제어 및 보호방식결정

사용기기의 시방검토

수․배전 설치면적계산

설계도서작성

그림 20 전기설계의 순서

배전반 위치 및 설치 조건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o 배전반은 견고하고 양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전기적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전선의
접속, 개폐장치의 조작, 기기의 보수 및 점검을 안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단위폐쇄형을 상호연결 조합하는 방식으로서 증설, 이설 등 설치가 간단 용이한 분할
구조 배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넓이와 높이를 확보해야 한다.
o 배전반의 출입구는 화재로 인한 전장부품의 손상 방지를 위해 방화문으로 설치하며,
출입구 입구에는 관리자 이외 사람이 배전반내 부품의 조작 등을 하지 못하도록 출입
구 또는 주변에 경고 문구를 부착하고 출입문에는 잠금장치가 되어 있어야 한다.
o 배전반내 전장부품은 전원의 인가시점부터 조금씩 발열이 되기 때문에 배전반의 내부
온도가 상승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배전반의 설치장소는 고온 다습한 장소를 피하고,
온도 및 습도의 변화로 인하여 전장부품의 손상방지를 위해 냉난방 및 제습장치를 설

61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치하여야 한다.
o 배전반은 전기적으로 물 또는 습기에 취약하므로 배전반 설치시 침수나 물방울이 떨어
질 우려가 없는 위치에 설치하고, 누수로 인한 전기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배전반 천
장, 바닥이나 배전반 벽면으로 수도관, 증기관, 덕트(전기실 환기용은 제외)가 지나가
지 않도록 하여야한다.
o 배전반으로 인입하는 전원선은 점검, 증설 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인입이 편리한 위
치로 사용부하의 중심에 가깝고, 간선의 배선이 용이한 곳이어야 한다.
o 배전반내 부하용량의 추가적인 증설을 하여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장소로 배전반을 설치하여야 한다.
o 부하로 인입하는 배선의 손실을 고려하여 배전을 경제적으로 할 수 있는 곳으로 선정
하여야 하고, 배전반의 높이는 시공 및 증설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높이
를 확보하여야 한다.

4.3 제어반

제어반은 무대의 구동 및 무대시설의 제어를 한눈에 파악하여 무대시설 운영중 생겨날 수


있는 사고들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부분으로 배전반이 없는 공연장의 경우 제어
반에 주차단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제어반은 동력선과 신호선이 함께 유입하는
곳으로 전원의 변동에 안전성을 확보해야 하므로 동력용 전압 및 제어용 전압의 변동이 ±5%
를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즉 전압이 높은 경우 제어기기 전원부의 부담이 커져 온도 상승
을 일으켜서 수명단축의 원인이 되며, 전압이 낮은 경우 부족전압에 의해동작이 불안정해질
수 있고 일부 기기의 특성에 따라 정전으로 판단되어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에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어반은 온도, 습도, 기타 환경조건에 따라 무대시설 운영 시 장해
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다음의 사항을 고려하여 제어반을 설계(설치)하여야 한다.

o 온도상승이 적은 장소
o 습도상승이 적은 장소
o 누수, 출수, 물방울이 떨 우려가 없는 장소
o 진동이 적은 장소
o 전기적, 전자적 노이즈가 적은 장소
o 부하에 가까운 장소

62
4. 전기시설

또한 제어반내 전원선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한다.

o 동력용 간선과 제어용 간선은 별도의 전원계통으로 설치한다. 즉, 같은 동일의 케이블


에 수용되거나 같은 배관에 수용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동력용 간선과 제어용 간선
은 사용전압이 다르고 전위차에 의한 상호 유도장해가 발생할 수 있고, 구동부의 가속
전류에 의한 신호 및 조작회로의 오동작이 발생할 우려가 크므로 이를 분리하여 설계
(설치)하도록 해야 한다.
o 필요한 전력을 적은 전압변동으로, 전원 노이즈가 혼입되지 않게 공급할 수 있어야 하
며, 전원배선은 전기적, 전자적 노이즈를 모으는 안테나 작용을 할 수 있으므로, 배선
은 되도록 짧게, 단독 금속관 배선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제어반에 시공되는 동력용 접지와 제어용 접지는 사용 전압 및 용도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o 동력용 : 제3종접지, 특별제3종접지


o 제어용 : 제1종접지(전용) 또는 특별제3종접지(전용)

4.4 조작반

조작반은 무대시설의 동작 및 조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한 곳으로 구동 중 발생


할 수 있는 문제점 및 안전사고 등에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각 시설별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각 시설별 구동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도록 설계(설치)하여야 한
다. 조작반은 제어반과 달리 무대시설의 운영중 어떤 장해나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안전 확보
를 위해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전체 기기를 강제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정지버튼 등이 설치
되어야 한다. 또한 무대시설은 무대 진행에 따라 정해진 연출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장
시간 작업을 하고 있어도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조작반은 무대시설 운영시
혼돈 또는 장애 그리고 환경조건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
하여 설계(설치)하여야 한다.

o 각 기계장치와 조작스위치의 명칭은 동일하여 표기하여 조작반 점검시 다른 시설물과


혼돈하지 않도록 표기되어야 한다.
o 조작반은 동작되는 무대시설의 상태를 확인하기 쉽고 사고발생 시 빠른 조치를 위해

63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무대시설의 동작과 정지 상태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설물을 설치하여야 한


다.
o 조작반의 설치시 제어반의 환경 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온도의 변화가 적고, 전기적,
전자적 노이즈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는 장소를 선정하여야 한다.

4.5 조작반, 제어반의 환경조건

조작반 및 제어반의 온도․습도는 다음과 같은 환경상태를 조성하여 조작반 및 제어반에


설치된 전장부품의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려하여야 한다. 온도는 5℃~40℃ 범위로 온
도변화의 변화가 ±10℃/h 이내가 되게 하도록 냉․난방기를 이용하여 전장부품에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고조파나 노이즈는 전장부품의 오동작을 유발하는 장애에 하나
로 고조파나 노이즈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고조파나 노이즈가 적은 장소를 선택하여야
하며 다음의 사항에 유의한다.

o 전기실, 기계실 근처나 바로 위층, 바로 아래층을 피하고, 고압 또는 대전류 배선에서


먼 위치에 제어기기를 설치한다.
o 큰 통로에 접한 장소에서는 개구부를 설치하지 않고, 철근 콘크리트 벽의 차폐효과를
활용한다.
o 무대시설의 제어회로 전용 접지를 설치한다. 접지는 제1종 또는 특별 제3종접지에 준
하고, 접지저항은 약 10 Ω 이하, 접지선은 약38㎟~100㎟ 로 한다.

조작반의 밝기는 300lux 이상으로 하여 조작 실수 및 혼돈에 의한 조작 실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조작반내 면은 단독으로 밝게 할 수 있는 조명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4.6 배선, 배관

4.6.1 배선

배선은 배전반으로부터 전력부하기기(전동기, 조명기기, 음향기기 등 전원을 사용하는 모


든 부하기기)로 공급하는 전원 및 제어용과 각종 정보기기간의 정보전달용 등 많은 부분에 사

64
4. 전기시설

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배선은 전기설비기술기준, 내선규정, 전기통신 설비의 기술기준에 준


하여 시방서 및 설계도에 따라 시설 장소에 적합한 방법으로 배선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배
선에 사용하는 전선은 나전선을 사용하지 않지만, 다음 사항에 관해서는 적용하지 않아도 된
다.

o 애자사용배선에 의하여 노출장소에 다음과 같은 전선을 시설하는 경우


o 전선의 피복절연물이 부식하는 장소에 시설하는 전선
o 버스덕트배선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또는 트롤리선을 시설하는 경우
o 취급자 이외의 사람이 출입할 수 없도록 설비한 장소에 애자사용배선에 의하여 시설하
는 전선

배선에 사용되는 선은 주로 절연전선, 케이블 및 캡타이어케이블로 시설 장소에 적합한


피복이 된 제품을 적용하여야 한다. 옥내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은 전기설비 기술기준 제 189조
(저압옥내배선의 사용전선)에 의하며, 도면에 표시된 각종 전선의 규격은 필요한 최소의 규격

접근대상물 애자사용배선 애자사용 약전류전선,수관


광섬유
배선이외 (水管), 가스관 또는
절연전선 나전선 케이블
배선 의 배선 이와 유사한 것.
애자 절연전선 ① 10㎝ ① 30㎝ ② 10㎝ ③ 10㎝ ③ 10㎝
사용
배선 나 전 선 ① 30㎝ ① 30㎝ ② 30㎝ ③ 30㎝ ③ 30㎝

직접 접촉하지
애자사용배선
② 10㎝ ② 30㎝ 아니하도록
이외의 배선
시설한다.
(주) 기호의 뜻은 다음과 같다.
① 배선과 배선 사이에 절연성의 격벽을 견고하게 시설하는 경우 또는 어느하나의 저
압옥내 배선을 충분한 길이의 난연성 및 내수성(耐水性)이 있는 견고한 절연관(絶緣管)에
넣어서 시설하는 경우는 위 표에 따르지 아니하여도 된다. 또, 배선이 병행할 경우에는 6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② 배선과 배선 사이에 절연성의 격벽을 견고하게 시설하는 경우 또는 애자사용배선에
의하여 시설하는 저압옥내배선 또는 관등회로의 배선을 충분한 길이의 난연성 및 내수성
이 있는 견고한 절연관에 넣어 시설하는 경우는 위 표에 따르지 아니하여도 된다.
③ 저압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로서 저압옥내배선과 약전류전선・광
섬유케이블・수관(水管)・가스관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의 사이에 절연성의 격벽을 견고
하게 시설하는 경우 또는 저압옥내배선을 충분한 길이의 난연성 및 내수성이 있는 견고
한 절연관에 넣어 시설하는 경우에는 위 표에 따르지 아니하여도 된다.

65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으로 도면에 표시된 규격의 것보다 적은 규격의 전선을 사용할 수 없다. 전선의 종류도 도면
에 명기된 종류 또는 그 이상의 양호한 특성을 갖고 있는 전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전선의 접
속은 반드시 점검이 용이한 장소에서 시행되어야 하므로 반드시 은폐장소, 전선관내, 플로어
덕트내, 뚜껑이 없는 기타 덕트 등에서 접속할 수 없도록 설계도내 명시하고 가능하다면 전선
의 접속부 위치를 도면에 표기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배선과 다른 배선 또는 약전
류선전, 광섬유케이블 등과의 이격 저압배선과 다른 저압배선(관등회로의 배선을 포함한다)
또는 약전류전선, 광섬유케이블 등이 접근 또는 교차하는 경우는 위 표와 같이 이격하여 시설
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모든 배선은 전체 시설이 통일되도록 변압기 단자로부터(버스바의 경우도 같으며 저압수
전의 경우는 수전계량기 2차측으로부터) 수구 또는 부하 전원단까지 같은 색으로 배선되도록
하고, 전로는 대지로부터 절연하여야 하며, 전로의 절연저항 절연내력은 전기설비 기술기준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 중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전선의 규격은 전선의 허용전류를 나타낸 것으로 전선의 허용전류에 따라 전선의 굵기가
결정된다. 전동기의 배선의 굵기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식을 적용하여야 한다.
o 전동기 정격전류 합계 50A 이하인 경우
배선의 굵기 = 1.25 × 전동기 정격전류의 합계
o 전동기 정격전류 합계 50A 이상인 경우
배선의 굵기 = 1.1 × 전동기 정격전류의 합계

전동기의 배선의 굵기를 선정하였다면 배선용 차단기의 용량과 전동기의 용량에 맞는 배


선이 선정하도록 아래 표를 참조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배선은 건축설비에 있어서의 배선 설비와 차이가 없지만 공연장에서는 무대 조명용 전원


은 시스템 구성, 조작 상에 있어서 1개의 주간 스위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따라서 무대 조명전원은 1회선으로 공급하는 경우가 많고, 설비의 고도화, 규모의 대형
화에 수반하는 대용량의 전선이 필요해 지고 있다. 따라서 전선 용량의 산출에는 사용 최대
부하를 상정하여, 최대 수요 전력의 1.1배~1.2배의 값을 선정하여야 한다.

66
4. 전기시설

표 22 배선의 굵기 선정

전동기 배선용 전동기 배선용 접지선


마력 배선의 접지선의 마력 배선의
용량 차단기 용량 차단기 의
(HP) 굵기 굵기 (HP) 굵기
(㎾) 용량 (㎾) (㎾) 용량 (㎾) 굵기

1 0.75 2.0 15 1.6 20 15 5.5 50 5.5

2 1.5 2.0 15 1.6 25 18.75 8 60 14

3 2.25 2.0 15 1.6 30 22.5 8 75 14

5 3.75 2.0 30 1.6 40 30 14 100 14

7.5 5.625 2.0 40 2.0 50 37.5 14 125 14

10 7.5 2.0 2.0 60 45 22 150 14

15 11.25 5.5 5.5 75 56.25 50 200 14

20 15 5.5 50 5.5 100 75 80 300 22

무대조명설비는 일반조명과는 달리 무대 전체의 밝기의 강약, 색채광에 의한 무대의 채색


등이 요구된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조명기구가 사용되며, 일반조명과 차이가 있으므로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무대조명설비를 설계(설치)하여야 한다.

o 무대조명시설은 대부분이 이동기구로 조명부하설비는 대부분 콘센트 회로이다.


o 콘센트의 용량은 20A~100A인 특수접속기가 사용되며, 1회로당의 부하회로 용량이
30A~100A로 대단히 크다.

무대조명설비는 부하회로의 수가 많고 조명기 사용시 고조파 성분으로 전압의 불안정과


밝기가 일정하지 않게 되므로 전원부에서 조광기에 이르는 배선의 길이는 가급적 짧게 하여
야 한다. 일반적으로 배선은 최대길이의 기준으로 70m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추후 점검
및 관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설계(설치)하여야 한다.

o 모든 전선에는 구분하기 쉽도록 식별번호를 표기하고 전선의 색깔은 청색이 부극, 적


색이 정극을 원칙으로 하여 시공시 혼돈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o 차폐용 케이블의 접지는 차폐망 또는 띠를 인출하여 2㎟ 리드선에 기계적 강도와 전기
적 접속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압착식 연결을 하거나 납땜으로 접속하여야 한다.

67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4.6.2 배관

일반적으로 배관은 금속관의 굵기는 내선규정에 준하여 선정하며, 특기가 없는 경우 전


선의 피복절연물을 포함한 단면적의 총합계가 관내단면적의 32% 이하가 되도록 선정하며, 금
속관내에서는 전선에 접속점이 없도록 하고 교류회로에서는 1회로의 전선 전부를 동일관내에
넣는 것을 원칙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배관은 같은 재질의 커플링으로 접속하며, 이 경
우 조임 등은 확실하게 하도록 하고, 그 밖의 이와 유사한 것과를 접속하는 경우로서 틀어 끼
우는 방법에 의하지 아니할 때는 로크너트 2개를 사용하여 박스 또는 캐비닛 접속부분의 양
측을 견고하게 조인다. 다만, 부싱(절연 부싱은 금속을 주체로 한 것)등으로 견고하게 부착할
경우에는 로크너트를 생략할 수 있다.
배관의 굴곡은 구부릴 때 금속관의 단면이 심하게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구부려야 하며,
그 안측의 반지름은 관안지름의 6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또한 접지는 배관의 최종단에 이르
는 배관경로 상에는 목재 및 절연재를 삽입하지 말아야 하며, 불가피하게 시설되는 경우에는
접지본드설비 등을 설치하여 접지의 연속성을 부여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박스는 조
영재에 은폐시키지 않는다. 다만, 그 부분을 점검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박
스 및 접속함을 설치하는 경우는 전선의 교체나 접속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주위에 충분한 여
유가 있는 장소에 설치하고 물기가 스며들 우려가 없는 장소로 선정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배관의 길이가 3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풀박스를 설치하여야 한다. 함이나 박스 등에 절연
성 도료가 칠하여져 있는 경우에는 이들을 완전히 벗겨낸 다음 로크너트, 부싱 또는 접지장치
를 부착하여야 하며, 부착 후 즉시 절연도료를 재도장하여야 한다. 다만, 전기적, 기계적으로
적절한 접지클램프를 사용하여 완전한 접속을 하는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1) 금속관 배선
금속관 배선에는 절연전선(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을 제외한다)을 사용하고 특기가 없는 경
우는 KS C 3302(600V 비닐절연전선)을 사용한다. 전선은 지름 3.2㎜ (알루미늄전선은 4.0㎜)
를 초과할 경우에는 연선이어야 한다.

(2) 합성수지관 배선
합성수지관 배선에는 절연전선을 사용하고, 특기가 없는 경우는 KS C 3302(600V 비닐절
연전선)를 적용한다. 전선은 지름 3.2㎜(알루미늄전선은 4.0㎜)를 초과하는 것은 연선이어야 한
다.
합성수지관 및 부속품으로는 경질비닐관 이외의 것은 없으므로 경질비닐관만을 대상으로 선
정하고 합성수지관, 박스 및 부속품등은 KS C 8431(경질비닐전선관), KS C 8433(커플링), KS

68
4. 전기시설

C 8434(코넥터), KS C 8435(새들), KS C 8436(경질비닐제 박스 및 커버), KS C 8437 (경질비


닐전선관용 부속품 통칙), KS C 8440(캡), KS C 8441(노말벤드)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합성수지관, 박스 및 부속품(관 상호를 접속하는 것 및 관단에 접속하는 것에 한하며 리
듀서는 제외한다)은 대형 풀박스 및 콘크리트내에 시설하는 박스를 제외하고는 합성수지제 이
어야 한다. 다만, 방폭형의 부속품중 분진방폭형 플렉시블 피팅(Fiexible fitting)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합성수지관의 굵기 선정, 관 및 부속품의 연결과지지 등은 설계시 내선규정 및 전
기설비기술기준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3) 금속제 가요전선관 배선


금속제 가요전선관 배선에는 절연전선을 사용하고, 특기가 없는 경우는 KS C 3302 (600V
비닐절연전선)를 적용한다. 전선은 지름 3.2㎜(알루미늄전선은 4.0㎜)를 초과하는 것은 연선을
선정하고 금속제 가요전선관 및 부속품은 KS C 8422(금속제 가요전선관,) KS C 8459(금속제
가요전선관용 부속품)에 적합한 것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특히 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은 두께
0.8㎜ 이상의 것으로 한다. 관의 굵기는 내선규정 420-4(금속제 가요전선관의 굵기 선정)에 준
하여 선정하며, 금속제 가요전선관내에서는 전선에 접속점이 없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은 노출장소 또는 점검 가능한 은폐장소로서 건조한 장
소에서 사용하는 것(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이상인 경우는 전동기에 접속하는 부분으로
서 가요성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사용하는 것에 한한다)에 한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금속제
가요전선관 및 그 부속품의 단구(端口)는 매끈하게하여 전선의 피복이 손상될 우려가 없도록
한다.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은 노출장소 또는 점검 가능한 은폐장소에서 관을 시설하고 제거
하는 것이 자유로운 경우에는 곡률(曲率) 반지름을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안지름의 3배 이상
으로 하며, 노출장소 또는 점검 가능한 은폐장소에서 관을 시설하고 제거하는 것이 부자유하
거나 또는 점검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곡률 반지름을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안지름의 6배 이
상으로 한다. 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구부릴 경우의 곡률 반지름은 관 안지름의 6배 이상으
로 한다.
금속제 가요전선관 및 그 부속품은 기계적,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연결하고 또한 적당한
방법으로 조영재 등에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금속제 가요전선관 상호의 접속
은 커플링으로 하고, 금속제 가요전선관과 박스 또는 캐비닛과의 접속은 접속기(接續器)로 접
속한다.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금속관배선, 금속몰드 배선등과 연결하는 경우에는 적당한 구조
의 커플링, 접속기 등을 사용하고 양지를 기계적,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한다. 금속제 가요
전선관을 새들 등으로 지지하는 경우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다음 표에 따라야 한다. 다만, 공
사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지지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69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표 23 금속제 가요전선관의 지지거리

시설의 구분 지지점간의 거리 (m)


조영재의 옆면 또는 아랫면에 수평
1 이하
방향으로 시설한 것.
사람이 접촉될 우려가 있는 것. 1 이하
금속제 가요전선관 상호 및 금속제
접속개소에서 0.3 이하
가요전선관과 박스 기구와의 접속개소
기 타 2 이하

(4) 금속몰드배선
금속몰드배선에는 절연전선을 사용하고, 특기가 없는 경우는 KS C 3302(600V 비닐절연전
선)를 적용하고 금속몰드, 박스 및 부속품(몰드 상호를 접속하는 것 및 몰드의 끝에 접속하는
것에 한한다)은 다음 각호에 적합한 것으로 선정하여야 한다. 전기용품 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금속제몰드 및 박스 기타 부속품 또는 황동이나 동으로 견고하게 제작된 것으로서 내면
을 매끈하게 한 것으로 하고 황동제 또는 동제의 몰드는 폭이 5㎝ 이하, 두께 0.5㎜ 이상의 것
으로 한다. 금속몰드배선공사에는 다음 각호에 의해 설계되어야 한다.

o 1종 금속몰드에 넣는 전선수는 10본 이하로 한다.


o 2종 금속몰드에 넣는 전선수는 전선의 피복절연물을 포함한 단면적의 총합계가 해당
몰드내 단면적의 20% 이하로 한다.

(5) 합성수지몰드배선
합성수지몰드배선에는 절연전선을 사용하고, 특기가 없는 경우에는 KS C 3302 (600V 비
닐절연전선)를 적용하며, 합성수지몰드배선은 현재 염화비닐을 주재로 하는 것 이외는 없으므
로 염화비닐을 주재로 한 것을 대상으로 선정한다. 합성수지제몰드는 홈의 폭 및 깊이가 3.5
㎝ 이하로서 두께는 2㎜ 이상의 것이어야 한다. 다만, 사람이 쉽게 접촉될 우려가 없도록 시
설하는 경우에는 폭이 5㎝ 이하, 두께 1㎜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합성수지몰드는 다음
의 각호에 적합하여야 한다.

o 합성수지몰드는 똑바른 것으로서 단부(端部)를 몰드의 축(軸)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단


하고 충분히 모서리를 다듬은 것일 것.
o 조영재에 쉽게 또한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일 것.
o 베이스와 캡이 완전하게 결합하여 충격으로 쉽게 이탈되지 아니하는 것일 것.

70
4. 전기시설

o 내면은 전선의 피복이 손상될 우려가 없도록 매끈한 것일 것.

(6) 플로어덕트배선
플로어덕트배선에는 절연전선을 사용하고, 특기가 없는 경우에는 KS C 3302 (600V 비닐
절연전선)를 적용한다. 전선은 지름 3.2㎜(알루미늄전선은 지름 4.0㎜)를 초과하는 것은 연선이
어야 한다. 플로어덕트, 박스 및 부속품(플로어덕트 상호를 접속하는 것 및 플로어덕트 끝에
접속하는 것에 한한다)은 다음 각호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야한다.

o KS C 8457 (플로어덕트용의 부속품) 및 전기설비 기술기준 별표 39(플로어덕트 및 부


속품의 규격)의 규정에 적합한 금속제의 플로어덕트, 박스 및 부속품으로서 두께 2㎜
이상의 강판으로 견고하게 제작되고, 이것에 아연도금을 하였거나 에나멜등으로 피복
한 것.
o 플로어덕트 및 부속품의 재료는 강판으로 한다.
o 플로어덕트의 단구(端口) 및 내면은 전선의 피복을 손상하지 않도록 매끈한 것으로 한
다.
o 플로어덕트의 내면 및 외면은 녹 방지를 위하여 도금 또는 도장을 한 것으로 한다.
o 플로어덕트의 판 두께는 플로어덕트의 최대폭에 따라 다음에 의한다. 또한 부속품의
판두께는 1.6㎜ 이상이어야 한다.

표 24 플로어덕트 판두께의 선정

플로어덕트의 최대폭 〔㎜〕 플로어덕트의 판두께 〔㎜〕

150 이하의 것 1.2 이상

150을 넘고 200 이하의 것 1.4 이상

200을 넘는 것 1.6 이상

전선을 인입 또는 교체할 때 그 피복이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단구를 매끈하게 하고, 절연


전선을 동일 플로어덕트내에 넣을 경우, 플로어덕트의 크기는 전선의 피복절연물을 포함한 단
면적의 총합계가 플로어덕트내 단면적의 32% 이하가 되도록 선정한다.

(7) 셀룰라덕트 배선
셀룰라덕트 배선에는 절연전선을 사용하고, 특기가 없는 경우에는 KSC 3302(600V 비닐절
연전선)를 적용한다. 전선은 지름 3.2㎜(알루미늄전선은 지름 4.0㎜)를 초과하는 것은 연선으로

71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선정되어야 하며, 셀룰라덕트 및 부속품(셀룰라덕트 상호를 접속하는 것과 셀룰라덕트의 끝에


접속하는 것에 한한다)은 다음의 각호에 적합하여야 한다.

o 셀룰라덕트 및 부속품의 재료는 강판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것일 것.


o 셀룰라덕트의 단구(端口) 및 내면은 전선의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매끈한 것일
것.
o 셀룰라덕트의 내면 및 외면에는 녹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금 또는 도장을 한 것일 것.
o 셀룰라덕트의 판 두께는 셀룰라덕트의 최대폭에 따라 다음 표에 의한다. 또한 부속품
의 판 두께는 1.6㎜ 이상일 것.

표 25 셀룰라덕트 판두께의 선정

셀룰라덕트의 최대 폭〔㎜〕 셀룰라덕트의 판 두께〔㎜〕


150 이하 1.2 이상
150 초과 200 이하 1.4 이상
200 초과 1.6 이상

셀룰라덕트에 설치하는 저판(底板) 부분은 다음 계산식에 의하여 산출한 값의 하중을 저


판에 가하였을 때, 셀룰라덕트의 각부에 실용상 유해한 영구적인 비틀림 또는 파손되지 않는
강도를 가지는 것을 선정하여야 한다.

    
여기서  : 하중[㎏/m]
 : 셀룰라덕트의 단면적[㎠]

절연전선을 동일한 셀룰라덕트내에 넣을 경우 셀룰라덕트의 크기는 전선의 피복절연물을


포함한 단면적의 총합계가 셀룰라덕트 단면적의 20%(전광사인장치, 출퇴표시등 및 기타 이와
유사한 장치 또는 제어회로 등의 배선만을 넣는 경우에는 50%) 이하가 되도록 선정한다.

(8) 금속덕트배선
금속덕트배선에는 절연전선을 사용하고, 특기가 없는 경우에는 KS C 3302(600V 비닐절연
전선)를 적용하고, 금속덕트공사에 사용하는 금속덕트는 다음의 각호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야 한다. 폭이 5㎝를 넘고 또한 두께가 1.2㎜ 이상인 철판 또는 동등이상의 세기를 가지는 금
속제의 것으로 선정하여야 한다.

72
4. 전기시설

o 내면은 전선의 피복을 손상시키는 돌기(突起)가 없어야 한다.


o 내면 및 외면에는 산화방지를 위하여 아연도금 등으로 피복한다.
o 금속덕트에 넣는 전선의 단면적(절연피복의 단면적을 포함한다)의 합계는 덕트의 내부
단면적의 20%(전광표시장치・출퇴표시등 기타 이와 유사한 장치 또는 제어회로 등의
배선만을 넣는 경우에는 50%)이하가 되도록 선정한다. 동일 덕트내에 넣는 전선은 30
본(本) 이하로 한다.

금속덕트배선시 교류회로에서는 1회로의 전선 전부를 동일관내에 넣는 것을 원칙으로 다


음과 같은 사항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o 설치되는 전선류는 유지, 보수, 관리 등을 고려하고, 사고파급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각


회로별로 구분되지 아니하고 섞이거나 꼬여서는 아니되며 최하단의 전선 등이 상부에
시설되는 전선 등에 의하여 압력을 받지 아니하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o 전선류의 배치는 수평배열방식 또는 사각배열방식 등을 택할 수 있으나 도면에 명기된
이격거리를 확보하여야 하며, 이들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곤란할 경우에는 소정의 전류
체감률을 고려하여 전선류의 규격을 변경하여야 한다.
o IV 등의 전선이나 단심케이블은 각 회로별로 밴드 등에 의하여 묶어서 설치하여야 하
며, 묶는 재료는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o 덕트내의 전선류는 가능한한 중첩되게 설치하여서는 아니되고 가능한한 열별로 전선류
의 지지장치를 시설하여 설치하고, 통풍을 고려하여 적절한 공간을 두도록 하여야 한
다.
o 덕트내에 설치되는 전선류는 유지, 보수시 각 회로를 판별하기 편리하도록 각 굴곡개
소 및 수평거리 20m 이내마다 소정의 회로망을 (번호 또는 기호) 표시한 꼬리표를 설
치하여야 한다.

금속덕트배선은 옥내의 건조한 장소로서 노출장소, 점검 가능한 은폐장소에 한하여 시설


할 수 있다. 덕트 상호간은 견고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고 금속덕트 3m (취급
자 이외의 자가 출입할 수 없도록 설비한 곳에서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6m) 이하의 간격
으로 견고하게 지지한다. 덕트의 뚜껑은 쉽게 열리지 아니하도록 시설하고, 금속덕트 내부에
는 먼지가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한다. 금속덕트의 끝부분은 막는다.
금속덕트를 콘크리트 바닥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물이 고일 수 있는 낮은 부분이 없도록
시설한다. 금속덕트내에는 접속단자를 설치하거나 조명시설를 직접 부착하거나 방전등용 안정

73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기를 넣는 등, 전선의 피복을 손상할 우려가 있는 것을 시설하여서는 않아야 하며, 금속덕트


배선을 수직 또는 경사지게 시설하는 경우에는 전선의 이동을 막기 위하여 전선을 적당하게
지지해야 한다.
금속덕트배선이 마루 또는 벽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금속덕트를 관통부분에서 접속해서는
아니된다. 금속덕트내의 전선을 외부로 인출하는 부분은 금속덕트의 관통부분에서 전선이 손
상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고 또한 지지는 다음 각호에 의하여 시설한다.

o 금속덕트의 분기점에서 장력이 가하여지지 아니하도록 시설할 것.


o 전선의 분기점에는 장력이 가하여지지 아니하도록 시설할 것.
o 금속덕트와 금속관 또는 금속제가요전선관, 플로어덕트, 셀룰러덕트 상호는 견고하게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o 금속덕트와 합성수지관은 견고하게 접속할 것.

(9) 버스덕트배선
버스덕트배선에 의하여 시설하는 도체는 단면적 20㎟ 이상의 띠모양, 지름5mm 이상의 관
모양이나 둥근 막대모양의 동 또는 단면적 30㎟ 이상인 띠모양의 알루미늄을 선정하고 도체
지지물은 절연성, 난연성 및 내수성이 있는 견고한 것으로 한다.
버스덕트에는 다음의 종류가 있다.

표 26 버스덕트의 종류

명 칭 형 식 비 고
옥내용 환 기 형 도중에 부하를 접속하지
휘더버스덕트
옥외용 비환기형 아니한 것.
도중에 부하접속용으로서
플러그인버스덕트 옥내용 비환기형
꽂음 플러그를 만든 것.
도중에 이동부하를 접속할
옥 내 용
트롤리버스덕트 수 있도록 트롤리 접촉식
옥 외 용
구조로 한 것.

버스덕트는 그 최대폭에 따라 다음 표의 값 이상의 두께인 철판 또는 알루미늄판으로서


견고하게 제작된 것이어야 한다.

74
4. 전기시설

표 27 덕트의 판 두께 선정

덕트의 판 두께
덕트의 최대폭(㎜)
철 판 (㎜) 알루미늄 판 (㎜)

50 이하 1.2 2.0 (1.7)

50 초과 300 이하 1.6 2.3 (2.0)

300 초과 500 이하 2.0 2.9 (2.3)

500 초과 2.3 4.0 (2.9)


(주) ( )내의 수치는 KS D 670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판 및 조(槽)」의 A5052P-H22를 적용한다.

4.7 접지 및 차단장치

4.7.1 접지

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기계시설, 전기기계시설 사고시 충전될 우려가 있는 모든 도체, 피


뢰설비, 중성점을 갖고 있는 저압회로의 중성점등은 반드시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내선규정이
정한 바에 따라 접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용전압이 150V 이하로서 건조한 장소에 시설되거
나 사람의 혼촉이 거의 불가능한 개소 또는 법이 정하고 있는 불가피한 개소등과 제반 규정
이 인정하는 고속형 누전차단기를 시설하는 경우 등에는 접지공사를 하지 아니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사항은 감독관과 협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접지는 모든 전기공사에 적용되며, 특기시방 및 설계도에 따라 시설 장소에
적합하게 시공되되록 설계되어야 한다. 접지공사에 사용되는 접지선, 접지극은 KS 또는 이와
동등이상으로 인정되는 것을 선정하여야 한다. 모든 접지공사는 전기설비기술기준, 내선규정,
배전규정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준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접지공사에는 제 1종 접
지공사, 제 2종 접지공사, 제 3종 접지공사 및 특별 제 3종 접지공사의 4종류가 있으나, 전기
설비기술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접지저항치는 최대값이므로 필요개소의 접지저항은 이 값보다
항상 적은 값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접지공사를 선정하여야 한다.
접지공사는 특기시방 및 설계도에 따라 접지봉을 설치하여도 소정의 접지저항치를 얻을
수 없는 경우는 소정의 접지저항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 접지봉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위치
및 시공방법을 조정하여 필요한 접지저항값을 얻도록 하여야 하며, 접지봉매설시 정확한 매설
위치를 준공도면에 표시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75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접지선은 KS C 0804(접지선 및 접지 측전선 등의 색별통칙)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하며,


접지선은 수배전반에 시설한 것을 제외하고 IV전선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절연효력이 있는
전선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접지공사의 접지선의 굵기 선정 및 시설방
법은 내선규정 140-3(제 1종, 제 3종 및 특별 제 3종 접지공사의 시설방법) 및 140-5(제 2종
접지공사의 시설방법)의 규정에 따라야 하며, 다음의 각호에 적합하게 시설하여야 한다.
제 1종 접지공사, 제 3종 접지공사 및 특별 제 3종 접지공사의 접지선은 다음의 각호에
적합하게 시설한다.

o 접지선이 외상을 받을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금속관(가스철관 등을 포함한다), 합성수


지관등에 넣는다. 다만, 피뢰침, 피뢰기용 접지선은 강제금속관에 넣지 않는다.
o 접지선은 피접지기계기구에서 60㎝ 이내의 부분과 지중부분을 제외하고는 금속관, 합
성수지관 등에 넣어 외상을 방지한다.
o 접지하는 전기기계기구의 금속제외함, 배관등과 접지선과의 접속은 전기적으로나 기계
적으로 확실하게 하여야 한다.

수전실, 전기실 등 이외에 접지선을 전주, 옥측(屋側) 기타 사람이 접촉될 우려가 있는 장


소에 시설하는 제 1종 및 제 2종 접지공사의 접지선은 다음 각호에 의한다.

o 접지극은 지하 75㎝ 이상의 깊이로 매설한다.


o 접지선은 접지극에서 지표상 60㎝ 까지의 부분에는 절연전선, 캡타이어케이블(3종 캡
타이어케이블, 3종 클로로프렌 캡타이어케이블, 3종 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캡타이어
케이블, 4종 캡타이어케이블, 4종 클로로프렌캡타이어케이블 또는 4종 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캡타이어케이블에 한한다) 또는 케이블(클로로프렌외장케이블 및 비닐외장
케이블에 한한다)을 사용한다.
o 접지선의 지표면하 75㎝에서 지표상 2m 까지의 부분에는 합성수지관(두께 2mm 미만
의 합성수지제전선관 및 콤바인덕트관을 제외한다)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절연효력 및
강도가 있는 것으로 덮는다.

접지선을 시설한 지지물에는 피뢰침용 접지선을 시설하여서는 안되며, 전등전력용, 소세력


회로용 및 출퇴근표시등 회로용의 접지극 또는 접지선은 피뢰침용의 접지극 및 접지선에서
2m 이상 격리하여 시설한다. 다만, 건축물의 철골 등을 각각의 접지극 및 접지선에 사용하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76
4. 전기시설

접지공사의 접지선에는 다음 각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녹색표식을 한다.

o 접지선이 단독으로 배선되어 있어 접지선을 한눈에 쉽게 식별할 수 있을 경우


o 다심케이블, 다심캡타이어케이블 또는 다심코드의 1심선을 접지선으로 사용하는 경우
로서 그 심선이 나전선 또는 황록색의 얼룩무늬 모양으로 되어 있을 경우
o 부득이 녹색 또는 황록색 얼룩무늬 모양인 것 이외의 절연전선을 접지선으로 사용할
경우는 말단 및 적당한 개소에 녹색테이프 등으로 접지선임을 표시한다.

접지극은 내선규정 140-7(접지극)의 규정에 따라 시설되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매설 또는


타입식(打入式) 접지극으로는 동판, 동봉, 철관, 철봉, 동복강판(銅覆鋼板), 탄소피복강봉 등을
사용하고, 접지극은 다음 각호의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이와 동등이상의 접지성능이 있는 것으
로 한다.

o 동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께 0.7mm 이상, 면적 900㎠ (편면 : 片面) 이상의 것


o 동봉, 동피복강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름 8mm 이상, 길이 0.9m 이상의 것
o 철관을 사용하는 경우는 외경 25mm 이상, 길이 0.9m 이상의 아연도금가스철관 또는
후강전선관일 것.
o 철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름 12mm 이상, 길이 0.9m 이상의 아연도금한 것
o 동복강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께 1.6mm 이상, 길이 0.9m 이상, 면적 250㎠(편면)이
상의 것
o 탄소피복강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름 8mm 이상의 강심이고, 길이 0.9m 이상의 것.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수도관이 있으며, 대지간의 전기저항치가 3Ω 이하를 유지하는 금속


제 수도관로는 수도관로 관리자의 승낙을 얻어서 이것을 제 1종 접지공사, 제 2종 접지공사,
제 3종 접지공사, 특별 제 3종 접지공사 기타의 접지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접지단자는 KS C 0804에 적합한 구조의 것을 사용한다. 접지극은 가급적 물기가 있는 장
소로서 가스, 산(酸)등으로 인하여 부식될 우려가 없는 장소를 선정하여 지중에 매설하거나
타입(打入)하여야 한다.
접지선과 접지극은 납땜 기타 확실한 방법에 의하여 접속하도록 설계하고, 금속제 수도관
로를 접지극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공사방법은 다음의 각호에 적합하게 시설한다.

o 접지선관 금속제 수도관로와의 접속은 안지름 75mm 이상의 금속제 수도관로의 부분


에 또는 여기에서 분기된 안지름 75mm 미만인 금속제 수도관로의 분기점에서 5m 이

77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내의 부분에서 한다. 다만, 금속제 수도관로와 대지간의 전기저항치가 2Ω 이하일 경우


는 분기점에서의 거리는 5m를 초과할 수 있다.
o 접지선과 금속제 수도관로의 접속개소를 수도계량기에서 수도수용가측에 설치할 경우
에는 수도계량기를 사이에 두고 견고한 본드선을 부착한다.
o 접지선과 금속제 수도관로와의 접속개소를 사람이 접촉될 우려가 있는 곳에 설치할 경
우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호장치를 시설한다.
o 접지선과 금속제 수도관로의 접속에 사용하는 접지금구는 접속부에 전기적 부식이 발
생되지 아니하는 것을 사용한다.

제1종 접지, 제2종 접지, 제3종 접지, 특별 제3종 접지는 다음과 같이 적용되어야 한다.

표 28 접지의 적용

접지공사 접지선
적용 장소 접지 저항값의 상한
종류 굵기
․전로 이외의 금속체 접지에 적

제 1 종 ․고전압이 침입할 우려가 있어
지름
접 지 위험 강도가 큰 곳 10[Ω]
2.6[㎜]
공 사 ․고전압 전로에 접속되는 변압
기의 외함이나 고압 전동기의 철
대, 피뢰기의 접지 등
․고압 또는 특별 고압 전로와 
Ω 지름
저압 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의  변압기의 고압측 또는 특별
4[㎜],
제 2 종 저압측을 접지하는 경우에 적용 고압측의 1선 지락 전류 [A]
조건에
접 지 ․저압과 고압이 혼촉한 경우 저 ․35,000[V] 이하의 특고압전로나
따라
공 사 압 전로에 고압이 침입할 경우 고압전로를 1초 초과 2초 이하 자
지름
기기의 소손이나 사람의 감전 방 동차단될 때는 300, 1초 이하 자동
2.6[㎜]
지 차단될 때는 600으로 할 수 있다
․전로 이외의 금속체 접지에 적
제 3 종
용 지름
접 지 100[Ω]
․400[V]이하의 저압 기계 기구 1.6[㎜]
공 사
의 외함 및 철대의 접지에 사용
특별 제3종 지름
․신호회로에 관한 접지 10[Ω]
접지 공사 1.6[㎜]

또한 공연장에서 접지는 전기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외함 등의 비충전 금속부분에 반


드시 접지 되어야 하고, 동력선과 접지선을 구분하기 위해 반드시 접지선은 아래 항목을 제외
하고는 녹색 표시 또는 녹색 피복을 입힌 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78
4. 전기시설

o 접지선이 단독으로 배선되어 있어 접지선을 한눈에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경우


o 다심케이블, 다심 캡타이어케이블 또는 다심코드의 1심선을 접지선으로 사용하는 경우
o 부득이 녹색 또는 황록색 얼룩무늬 모양의 것 이외의 절연전선을 접지선으로 사용할
경우 말단 및 적당한 개소에 녹색테이프 등으로 접지선을 표기하여야 함

4.7.2 차단장치

차단장치란 전기적 사고나 오류 발생 시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것으로 공연장에서는


저압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저압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 설계(설치)
시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1) 저압 개폐기
저압 개폐기는 부하 전류를 통하게 하거나 끊을 필요가 있는 장소로 충전 부분이 쉽게 접
촉되지 않는 구조의 배전반, 분전반 등에 넣어 설치하며, 인입구, 그 밖의 고장이나 점검, 측
정, 수리 등을 할 때 전로를 차단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사용 전압은
다르나 동일한 개소에 저압 개폐기를 설계(설치)하는 경우 혼촉 방지용 금속제 격벽 설치, 각
개폐기의 번호, 사용 전압 부하의 명칭 등을 표시하여야 한다.

(2) 과전류 차단기


과전류 차단기는 배선용 차단기, 퓨즈와 같이 과부하전류 및 단락전류를 자동차단하는 기
능을 가진 기구로 인입구, 간선의 전원측, 분기점 등 보호상 또는 보안상 필요한 곳에 설치하
며, 개폐기와 과전류 차단기를 겸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경우 절연저항을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장소에 설계(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다른 시설물과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무대시설별 해당
하는 과전류 차단기는 해당 시설물의 명칭 등을 표시하여야 한다.

4.8 전동기

전동기는 종류, 정격용량, 환경 등은 고려하여 기동장치, 개폐조작장치 및 표시조작장치


등 모든 기기 및 부속품은 KS에 적합한 것을 선정하여야 한다. 전동기에는 조작하기 편리한
위치에 현장조작개폐기로서 금속함개폐기(합성수지의 것 포함), 전자개폐기, 배선용차단기, 커
버나이프스위치 또는 이들에 상당하는 개폐기 중에서 용도에 적합한 것은 전기용품안전관리
법, KS에 적합한 것으로 배전반, 제어반, 조작반에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전동기로 인입하는

79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전선은 배전반 및 분전반에서 쉽게 점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전동기는 관련 무대시설이 충분히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적합한 용량의 것을 선정하고
전동기는 KS C 4202(일반용 저압 3상 유도전동기), KS C 4204(일반용 단상유도전동기) 등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고효율 전동기를 채용하여야 하며, 효율, 역률, 부하특성을 고려하여
적정용량의 전동기를 설치한다. 전동기의 용량에 따라 적절한 기동방식을 채택하여야 하며,
KS C 4205(유도전동기의 기동계급)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3상유도 전동기의 기동장치는 정격출력이 수전용변압기용량(KVA)의 1/10을 초과하는 3상
유도전동기(2대 이상을 동시에 기동하는 것을 그 합계출력)는 기동장치를 사용하여 기동전류
를 억제하여야 한다. 다만, 기동장치의 설치가 기술적으로 곤란한 경우로서 다른 것에 지장을
초래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전항의 기동장치 중 Y-△ 기동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동기와 전동기간의 배선은 해당 전동기 분기회로배선의 60% 이상의 허
용전류를 가지는 전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무대시설에 설치되는 전동기 중 끌막에 설치되는
전동기는 1분기회로의 배선 중의 다른 위치에 2개 이상의 수구(콘센트 또는 자유롭게 꽂을 수
있고 뺄 수 있도록 된 단자를 갖춘 함 속의 개폐기 등)를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 각
호에 의한다.

o 각 전동기에는 현장조작개폐기를 장치한다.


o 가반(可搬)전동기에 부속되는 이동전선은 용도에 따라서 단면적 0.75㎟ 이상의 코드 또
는 캡타이어케이블을 사용한다.
o 분기회로의 용량 이상의 전동기가 사용되지 아니하도록 콘센트와 가까운 곳에 사용할
수 있는 최대의 전동기의 정격을 적당한 방법으로 표시한다. 다만, 특정한 장소에 한
정되는 경우로서 혼용될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o 정격용량이 다른 전동기를 1분기회로(동일콘센트)에서 교대로 사용하는 경우 이동전선
의 굵기는 분기과전류차단기에 의하여 단락전류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
경우 각 전동기에 과부하보호장치를 시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전동기 관련된 배관배선 등의 설치, 운전, 유지에 관하여는 전기설비기술기준, 내선규정


등에 따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전동기에 접속되는 접지는 배전반이나 분전반에 넣는 금속제의 함 및 이를 지지하는 금속
프레임 또는 구조물에 접속하며 다음 표의 규정에 따라 접지한다.

80
4. 전기시설

표 29 전압에 따른 접지공사

기계기구의 구분 접지공사
400V 미만의 저압용 제 3 종 접지공사
400V 이상의 저압용 특별제 3 종 접지공사
고압용 또는 특별고압용 제 1 종 접지공사

동력용 분전반, 조작개폐기, 전동기 등의 설치 위치와 배선이 접속되는 구간은 반드시 도


면배관공사를 시작하기 전에 각종 기기의 정확한 설치위치 및 전원 등의 연결지점을 정확히
판단하여 배관, 배선공사등을 시행하여 정확히 연결되도록 설계시 표기되어야 한다.
공연장에서의 전동기는 1대마다 전용의 분기회로를 시설하여야 하며, 전동기에 공급하는
분기회로의 전선 및 간선의 선정은 내선규정의 규정에 따라 설치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진
상용 콘덴서는 개개의 부하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옥내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습기
가 많은 장소 또는 수분이 있는 장소(방수형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및 주위온도
가 40℃를 초과하는 장소 등을 피하여 견고하게 설치하고, 옥외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옥외형
콘덴서를 사용한다.
공연장에서 사용되는 전동기는 공연을 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므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
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o 전동기는 1대마다 분기회로를 구성한다.


o 전동기는 과부하로 인한 소손방지를 위하여 보호계전기를 설치한다.
o 과전류차단기 용량은 연결된 부하중 최대용량의 전동기 정격전류의 3배에 다른 전기사
용 기계기구의 정격전류 합계치 이하로 한다.

전동기를 선정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전동기를 선정하고 전동기의 용량을


결정해야 한다.

o 전동기는 정격, 옥내, 옥외, 온도조건 및 기타 사용조건에 적합한 구조일 것.


o 적재하중의 화물을 적재하고 상승, 하강시키는데 필요한 축동력에 대하여 충분한 정격
출력을 가질 것.
o 전동기의 출력은 다음 식으로 구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81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P = L․V․( 1 - OB) [㎾]


6120η
여기서,  = 적재하중 (㎏)
 = 정격속도 (m/min)
 = 오버밸런스율 (평형추의 밸런스 비율)
η = 종합효율

4.9 제한 스위치

제한 스위치는 무대시설의 정지 및 제한을 두어 무대시설의 행정구간을 정하는 곳으로 무


대시설의 위치 및 동작에 특징을 고려하여 스위치의 위치 및 구동방식에 따라 캠 방식 또는
레버 방식의 스위치를 선정하게 된다.
스위치를 설치할 때는 용이하게 조정이나 점검을 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할 수 있도록 설
계되어야 하며, 무대시설이 무대바닥에 닿기 전에 안전하게 정지하도록 하여야 하며, 무대시
설의 이동구간을 지나가는 경우 승강로 최상부에 도달하기 전에 자동적으로 정지되도록 최종
스위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제한 스위치를 설치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o 접점, 단자, 권선 기타 전기가 통하는 부분의 외피는 강판 기타 견고한 것이라야 하고


물이나 분진의 침입에 의해 최종 스위치의 기능에 장해를 일으킬 염려가 없는 구조일
것.
o 보기 쉬운 곳에 최종 스위치의 정격전압 또는 정격전류 표시판이 부착되어 있을 것.
o 접점이 개방되어 통전이 중단되는 구조일 것
o 접점, 단자, 권선 기타 전기를 통하는 통전부분은 외함과의 사이에 있는 절연부분의 절
연 효과에 대한 시험에서 KS C 4504(교류전자 개폐기)의 절연저항 시험 또는 내전압
시험기준에 적합한 규격을 가지고 있을 것.
o 동력용 배선과 신호용 배선은 동일 배관에 시공시 배선의 선간 전압차로 신호용 부품
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신호용 배선은 별도에 배관에 시공하여야 한다.
o 신호용 배선은 외부로 보호되도록 배관으로 시공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o 스위치는 그리드 바닥에서 가깝게 시공하면 평형추 상승시 와이어로프의 유입각이 커
지고 스위치 오작동시 그리드 바닥과 충돌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는 그리드 바닥으로
부터 최소 150mm이상에서 작동되어야 함.

82
4. 전기시설

표 30 제한 스위치 설계시 고려사항

원 인 고 장 내 역 대 책
물․기름의 침입 접점 접촉불량, 접지, 단락 설치장소변경, 덮개설치

기계강도부족, 리미트 자리는 바르게 기계가공, 동


레버, 스프링 절손, 설치 느슨.
작동물체 속도과대 작, 물체의 물리적 특성조사
점검이 불가능해 발생하는 고
설치장소 불량 설치장소이동

설치장소이동
주위온도 과대 배선의 열화, 접점의 부식
2중 덮개와 에어냉각
액추에이터 동작불량, 접점접
먼지 퇴적 설치장소이동, 방진대책
촉 불량, 단락
사람에 의한 작동 오동작 오동작방지 서크 설치
배선불량 단선 배선에 응력을 가하지 않는다.

4.10 고조파 및 노이즈

4.10.1 설계시 고려할 고조파 방지 대책

고조파는 주기적인 일그러지는 파로 가장 낮은 기본 주파수의 정현파와 기본 주파수의 정


수배인 다수의 정현파의 합으로 나타난다. 고조파는 기기의 오동작, 조명기의 과열, 음향기기
의 손상이나 잡음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방지 대책을 세워야 한다. 고조파 방
지 대책으로는 수동필터에 의한 대책과 액티브 필터(능동형 필터)에 의한 대책, 다중화(정류회
로나 인버터를 여러 대 조합하여 고조파를 저감하는 것), PWM(Pulse Width Modulation-펄스
폭 변조)방식 등이 있다.

4.10.2 설계시 고려할 노이즈 방지 대책

노이즈는 전기통신 회선에 영향을 주어 정보전달을 방해하는 복잡한 전자파로서 회로의


전기적 불안정, 회로의 열 교란, 공전, 인공적 정해 전파 또는 교류 등으로 발생하고 있다. 일
반적으로 노이즈의 방지 대책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o 선로간의 교차로 인하여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부하배선의 간격은 평행 포설로

83
공연장 무대시설 설계안전지침

1.0m 이상, 교차하여 포설하여 포설하는 경우 10cm 이상 이격하여 영향을 줄 수 없도


록 하여야 한다.
o 선로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은 피복의 열화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 손상되거
나 단선될 수 있으므로 선로는 노출시키지 말고 금속 덕트 등으로 선로를 보호하고,
덕트 설치시 각 덕트 상호간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접지본드를 접속하여야
한다.
o 접지는 시공하는 부분의 용도 및 특성을 고려하여 기기의 보안용 접지와 신호용 접지
는 따로 설치하여, 신호회로에 관한 접지계통이 보안용 접지와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
해야 한다.

8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