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4

3.

상위계획 및 주변지역
개발계획 검토

3.
1상위계획 검토
3.
2관련계획 검토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3.상위계획 및 주변지역 개발계획 검토

3.
1상위계획 검토
3
.1.
1제4
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
201
1년~2
020
년)
가.기본목표

1
)경쟁력 있는 통합국토
– 개별 지역이 통합된 광역적 공간 단위에 기초한 신 국토 골격을 형성하여
지역특화 발전 및 동반성장을 유도

2
)지속가능한 친환경국토
– 경제성장과 환경이 조화되고 에너지․자원 절약적인 친환경국토 형성
–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가뭄 등 재해에 안전한 국토 구현

3
)품격 있는 매력국토
– 역사․문화자원을 우리 국토공간에 접목한 품격 있는 국토 조성
– 정주환경을 개선하여 국민 모두가 쾌적한 삶을 누리는 매력 있는 국토 조성

4
)세계로 향한 열린 국토
– 유라시아-
태평양 시대에 물류,금융,교류의 거점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글
로벌 개방거점 확충
– 대륙-
해양 연계형 인프라 구축을 통한 유라시아-
태평양 지역의 관문기능
강화

- 27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그림 3
-1> 국토형성의 기본골격

나.6
대 추진전략

¡ 국토경쟁력 제고를 위한 지역특화 및 광역적 협력 강화


¡ 자연친화적이고 안전한 국토공간 조성
¡ 쾌적하고 문화적인 도시․주거환경 조성

- 28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 녹색교통․국토정보 통합네트워크 구축
¡ 세계로 열린 신성장 해양국토 기반 구축
¡ 초국경적 국토경영 기반 구축

다.지역관련 내용(
호남권)

1
)비전
– 동북아의 신산업,문화,관광,물류 거점

2
)기본목표
– 녹색기술과 융합된 미래 성장산업과 전통산업 육성
– 동북아의 문화․관광 거점 육성
– 선진형 물류․교통․정보망 확충
– 인재육성 및 지식창출 기반 강화
– 거점도시 경쟁력 강화와 매력 있는 정주환경 조성

3
)호남권역의 발전방향
– 지역별 특성화를 통한 성장거점 육성 및 균형발전 촉진
– 미래 녹색성장 산업,전통산업 및 문화․관광산업 육성
– 선진형 교통,정보,물류망 확충
– 경쟁력 있는 거점도시 육성 및 매력적인 정주환경 조성
– 광역적 협력과 거버넌스 구축

- 29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3
.1.
2.국가기간 교통망 계획(
200
0~2
019
)
가.계획의 목표
¡ 21세기 무한경쟁시대의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교통기반시설
의 확보
¡ 비용절감형 물류체계와 고효율의 복합수송체계의 구축
¡ 신속․안전․편리하고 환경친화적인 교통체계의 실현
¡ 남북통일에 대비한 한반도 교통망의 구축

나.계획의 기조

¡ 국가교통체계의 구조적 통합 강화
-국가교통정책 목표를 달성을 위한 고효율 교통체계를 구축
-교통수단간 보완성과 대체성을 충분히 활용하고 교통수단간 연계를 강화

¡ 세계화, 개방화시대에 대비한 국제수준 교통망의 구축


-동북아 교통․물류거점 기지조성
-전국의 반일생활권화

¡ 교통정책의 효율성(Efficiency)과 형평성(Equity)의 조화


-교통수단별 특성을 감안한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
-교통시설의 확충과 병행하여 교통안전, 환경보호 등 질적 교통을 추구
-특히, 교통수단에 의한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친화적 교통수단의
수송분담을 확대함
-교통시설 건설시 대성토, 대절토를 통해 산복이나 산간을 훼손하지 않고 환
경․경관․식생을 고려하는 공법을 활용

¡ 양질의 교통서비스 개발을 위한 참여와 경쟁의 확대


-공급자위주의 교통정책에서 탈피하여 국가, 기업, 국민 등 다양한 주체의 입장

- 30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에서 교통정책을 추진
-교통시설의 건설과 운영에 민간의 참여를 확대
-시장경제원리에 근거한 교통산업의 구조개편

다.단계별 구축전략
¡ 전반기 계획기간(2000-2009)
-기존 확충사업의 완공과 지역간 수송애로구간의 해소를 우선적으로 추진
-간선교통축을 다변화하여 지역간 수송수요를 분산․조정하고, 전국 차원의 이동
성과 접근성을 대폭 향상
-신공항, 신항만 등 국제교통시설의 확충으로 동북아 교통․물류 중심지화 기반
조성
-남북교류협력 지원을 위해 남북교통망 복원추진

¡ 후반기 계획기간(2010-2019)
-간선도로망의 지속 확충과 철도중심의 고속 대량간선교통망을 구축
-남북․동서 교통축의 확충과 미연결 구간 연결 등 국가기간교통망을 완성
-동북아 교통물류 중심 국가 역할수행을 위한 교통체계의 첨단화 및 고도화를
지속추진

- 31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표 3-1> 간선도로망구축

구분 축별 주요경유지 연 장(km)
제1축 강화~인천~군산~목포(서해안) 382
문산~서울~천안~광주~완도~(경부, 천안~공주, 호남) 426
제2축
천안~남이(경부, 회덕~논산(호남)), 자유로
(지선) 309
전주~남원~순천, 나주~목포, 순천~여수
제3축 동두천~서울~대전~진주~충무(중부, 대전~진주) 45
(지선) 충무~거제, 대전남부순환 62
남북축
제4축 포천~여주~구미~마산(중부내륙, 구마) 375
제5축 철원~춘천~원주~대구~김해(경부의 영천~부산) 447
제6축 양구~봉화~영천~부산(경부의 영천~부산) 421(장기대안)
제7축 간성~강릉~울진~부산 419
소계 7개축 3,291
제1축 인천~서울~춘천~간성 218(장기대안)
(지선) 영종도 서울 40
제2축 인천~서울~홍천~속초(양양) 228
제3축 시흥~여주~원주~강릉(영동) 255
제4축 안중~음성~제천~삼척 222
제5축 당진~천안~영주~울진 269
동서축 제6축 서천~공주~상주~안동~영덕(청주~상주) 300
(지선) 당진~대전, 대전~대구(경부) 273
제7축 군산~대구~영천~포항(군산~함양, 경부의 대구~영천) 299
제8축 고창(영광)~남원~고령~대구(88고속도로) 253
제9축 목포~순천~마산~부산(남해) 306
(지선) 부산외곽, 냉정~사상, 고서~순천(남해) 206
소계 9개축 2,869

- 32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3
.1.
3.제3
차 전라남도 종합계획(
수정계획)
가.계획수립의 개요
□ 계획주체 :전라남도(
200
8~2
020
)
¡ 지역/권역간 조화로운 발전으로 도민에게 희망과 비전을 제시하고 동북
아 물류․관광․미래산업의 중심지역 실현을 휘한 마스터플랜 수립.
¡ 2
1C 급변하는 사회․경제적 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기회와 번영
의 땅 녹색 전남⌋실현을 위한 체계적인 발전전략 수립.

나.지역발전의 목표와 전략

□ 계획의 기조 및 목표
¡ 계획의 기조 :
 ▷ 4
권역간 연계 강화를 통한 지역통합 실현 ◁
¡ 계획의 목표⌈동북아의 물류․관광․미래산업 중심⌋

□ 1
0대 추진전략
¡ 세계와 지역을 통합하는 광역 교통망 확충
¡ 해향입도 지형 인프라 구축
¡ 7
대 신도시 건설 프로젝트를 역동적 혁신성장거점으로 활용
¡ 기술혁신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미래형 신산업 육성
¡ 동북아의 해양문화관광 허브 조성
¡ 한국농업을 선도하는 친환경 생명복합산업 메카 육성
¡ 개발과 보존이 조화된 지속가능성 확보
¡ 9
988맞춤형 복지네트워크 구축
¡ U-
Cit
y환경을 지향하는 정보전남 구현
¡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환경 구축

□ 계획지표의 인구설정
¡ 인구는 추세치와 계획의 의지를 반영하여 1
,81
3천명으로 설정

- 33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 지역발전 공간구조 및 지역발전축 설정

¡ 지역발전 공간 구조
-2
12개 시․군을 4
대 권역으로 분류하여 권역별 특성을 살리면서 지역
내 균형발전 촉진

¡ 6
대 지역발전축
-권역별 개발전략의 특성화 및 상호 연계성 강화를 위해 동서 3
축,남북
3
축(3
×3축)
의 6
대 지역발전축 설정

¡ 4
권역별의 비전
-광주근교권 :대도시권 미래산업 및 전원주거 배후거점
-동 부 권 :환태평양권 물류․관광․미래산업 거점
-서 남 권 :환황해권 해양관광․미래산업 개방 거점
-중남부권 :생명건강․웰빙산업,해양관광 중심

¡ 시․군별 발전방향
-광양시 :동북아 항만물류․산업 거점도시
-나주시 :중부권 생물․문화․혁신 거점도시

□ 계획의 주요 사업내용
¡ 세계와 지역을 통합하는 광역교통망 확충
-고속 이동성 제고를 위한 광역간선망 정비․확충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철도망 구축
-무안국제공항 확장,여수공항(
2단계)확장
¡ 해양입도 지향 인프라 확충
-서남해안일주도로(
영광~광양)조기 건설 및 노선 조정
-반도와 조서지역 2
관문체제 구축

- 34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압해~암태~비금/도초~하의/신의~장산~안좌/팔금~암태간 및
하의 ~가사도~진도간 연도교 건설로 신안․진도권 환상형 해양관광
벨트 구축
-인근 중국과 일본 관람객 유치를 위한 해양 크루즈 활성화

¡ 7
대 역동적 혁신 성장동력 프로젝트 추진
-공동혁신 도시
-서남해안관광레저도시 ⇒ 동북아 해양관광명소
-엑스포타운 ⇒ 남해안의 해양관광/해양산업 중심
-산업교역형기업도시
-남악신도시
-국제자유도시(
신덕)
-농업혁신도시

¡ 기술혁신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미래형 신산업 육성


-생물․생명산업의 중심 거점화
-신소재 조성산업 육성
-신․재생에너지산업 진흥
-우주항공산업 진흥
-지역 향토산업 진흥

¡ 동북아의 문화관광허브 조성
-위락/휴양형 관광거점 개발
-해양휴양레저 콤플렉스공간 개발
-섬의 매력 극대화 및 이지미 향상
-역사/전통의 이미지 브랜드화 및 소설/문학/인물자원 테마화
-관광이벤트 활성화

- 35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농어촌 체험형 관광상품 개발

¡ 농어촌 개발 및 친환경생명 복합산업화


-농어업 경쟁력 제고
-농산어촌 및 낙후지역 특화 개발
-행복마을 가꾸기

¡ 개발과 보전이 조화된 지속가능성 확보


-맑고 풍부한 물 공급,생태환경보전,환경관리

¡ 9
988보건복지네트워크 구축
-노인복지 증진
-저소득층 및 보육 증진
-아동복지 및 보육 증진
-청소년복지 및 여성 보건복지 증진
-복지,보건,교육 종합 거점 구축

¡ U-
Cit
y환경을 구축한 정보 전남 구현
-전도민의 인터넷 생활화 및 PC 보급률 전국 최대 수준으로 향상
-지역 특산품 판매와 연계한 농어촌마을 홈페이지 구축 등 정보화마을
확대 운영
-중국어와 일본어 인터넷서비스 강화
-지역내 통합정보통신망 구축을 위한 기반시설의 지속적인 확충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농어촌지역의 정보서비스 공급
¡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환경 구축
-⌈농어촌특례입학제도⌋ 확대를 활용하여 지역별 명문고 육성
-농어촌 초․중․고등학생의 학력증진을 위해 대도시권 사교육에 대응

- 36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한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농촌지역 실업자 기능교육 및 평생 프로그램 운영
-농촌 이주 해외여성과 자녀를 위한 교육지원

3
.1.
4.2
1세기 전남 비전
가.계획의 목표 및 전략
□ 자립기반의 구축 :경쟁력 있는 산업진흥
¡ 청정한 지역이미지와 연계한 환경보전형 생태농업 개발
¡ 도시근교형 관광농원의 육성과 수산업의 진흥
¡ 제조업 유치 기반 확충과 2
1세기형 산업육성 :천연 DHA축산업과
DHA식품 가공업 육성
¡ 고부가치의 상업․서비스 진흥과 중소기업지원 및 경쟁력 강화
¡ 기술집약적인 첨단산업 및 해양관련 산업의 육성

□ 해양지향적,지역통합적인 교류기반 강화
¡ 지역교류기반의 조성,해양지향적,지역통합적인 교통․통신망의 확충
¡ 해양부존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관리
¡ 해양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접근성 제고
-경비행장 및 헬리포트 건설
-연륙․연도교 건설 :연륙교 9
개소,연도교 3
2개소
-큰섬지역 해안 일주도로 및 중심도로 개설 :4
24.
4km

□ 문화관광자원의 보전 및 산업화
¡ 지역의 문화적 고유성 창출
-전남지역이 지닌 역사성,산업적 기반,경제적 지리적 역동성,자연환경
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문화적 고유성 창출과 문화산업육성.
-환경 친화적인 자연 관리,관광․여가 산업의 개발,새로운 문화환경의

- 37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조성,지역문화이벤트의 활성화.
¡ 잠재자원의 개발을 통한 생태관광과 관광자원개발의 차별화,다양화
-산악,호반,해안,문화관광자원을 통합한 관광벨트 구축
-해양관광 및 문화역사 유적 탐방 등 다양한 관광벨트를 설정하고 해양
성 관광 상품을 적극 개발하여 차별화 유도.

□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 환경시대에 걸 맞는 늘 푸른 전남 창조 :청정해역 유지
¡ 생활환경기반의 확충
-체계적인 수자원의 개발․공급
-산림자원의 육성과 체계적인 자원관리,아름다운 환경운동 전개

나.기본방향
¡ 목포권을 환황해권의 중추지역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국제공항,국제항
만등을 조기에 완성하여야 함.
-또한 환황해권의 해양 전진기지인 목포,완도와 그 배후지 혹은 진원지
가 될 전남 전체지역의 연결성을 강화
-무안국제공항의 조기 완성으로 2
1세기 동북아권 국제항공수요 증가에
대비

¡ 광양만권 신산업축과 중부내륙산업축과의 연결성을 위해 전남중부고속


도로,광주~망운~목포간고속도로,광주~장흥간 직선도로,해남~광양
간 고속도로망과 호남고속철도망을 구축하여 연계성 강화.
-연안항만의 집중적인 정비 및 산악과 해양관광의 접근성 제고를 위해
완도,진도,장흥간의 연계성 강화

¡ 목포권을 조선~항공산업의 메카로 육성하기위해 대불산업단지,삼호제1

- 38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산업단지(
88만평)외에 제2
산업단지(
350
만평)
를 추가 조성하고,대불~삼
호간 2
차로 도로의 6
차선 확장과 신외항 제2
진입로 등을 건설하여 연계
성 강화.

다.주요사업
¡ 지역거점항만 :목포신외항
¡ 투자자유지역과 국제자유도시지정
¡ 항만기능의 다양화의 국제종합물류기지 기능 완비
¡ 국제비지니스의 강화
¡ 해양관광벨트 조성
¡ 국제물류단지 조성 등

3
.1.
5.관광관련계획
가.제2
차 관광개발기본계획(
200
2~2
011
)(문화관광부)
□ 기본계획
¡ 한반도 시대를 이어가는 관광대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향후 1
0년 동안의
전국 관광개발의 기본방향과 관광자원의 보호․개발․이용․관리 전략
계획 및 효율적인 추진방안을 수립함으로써 국제친선의 증진,국민경제
의 향상,건전한 국민관광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함.

□ 계획의 성격
¡ 관광개발의 미래 발전상을 제시하는 장기계획
¡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관광개발에 대한 종합계획
¡ 권역별 관광개발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본계획

- 39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 추진전략
¡ 국제적 수준의 관광시설 개발 추진
¡ 지역 관광개발의 특성화 촉진
¡ 문화자원의 체계적 관광자원화 촉진
¡ 관광자원의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리 강화
¡ 지식기반형 관광개발 관리체계 구축
¡ 국민 생활관광 기반 확충
¡ 남북한 관광협력체계 구축

□ 관련내용
¡ 남도 역사문화 관광자원화
-청자문화벨트를 조성하여 시대별 전통 도자기를 재현,전시하고 도예문
화 체험관광명소로 개발
-강진청자문화축제를 구체적 수준의 관광축제로 특화 개발
-전남을 대표할 수 있는 향토음식을 남도음식 명가로 지정하여 남도의
맛을 계승 발전

나.제4
차 전남권 관광개발계획(
200
7~2
011
)(전라남도)
□ 기본방향
¡ 급변하는 미래 관광시장에 부응하는 관광개발
¡ 환경보전을 중시하고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관광개발
¡ 계획사업의 실천을 중시하고 다양한 관광개발 전략 제시

□ 추진전략
¡ 2
1세기 동북아 다도해 해양․문화․생태관광의 중심
¡ 바다,섬,해안이 함께하는 해양관광지
¡ 전통역사문화와 음식이 있는 문화관광지

- 40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 남도의 자연을 체험하는 생태관광지


¡ 관광거점 활성화를 위한 기존 관광지 정비 및 신규 관광지 개발
¡ 다도해를 이용한 해양관광의 전략적 개발
¡ 전남 1
등 자원의 관광명품․명소화
¡ 지역밀착형 관광산업의 활성화
¡ 농어촌 관광자원 체계 구축
¡ 관광기반시설의 확충 및 전략 개발사업 등

- 41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3.
2관련계획 검토
3
.2.
1광양시 개발방향
가.광양시 개발방향
□ 컨테이너부두를 조기 건설하여 국제교역기지로 개발
□ 기존의 광양제철 및 항만산업과 관련성이 높은 조립,가공・유통 등 고
부가가치 창출 산업을 연계 배치하여 철강・항만 물류 기능을 강화하고
배후도시 확충으로 교육・연구기능 강화
□ 철강・항만물류․교육․관광기능 강화
¡ 동광양지역 :제철관련 공업 육성 및 동광양 지역에 국제화물유통전진기
지를 구축할 수 있도록 공단 및 컨테이너 항만의 배후지원
을 위한 복합종합 터미널과 금융,보험,상업,업무단지,외
국바이어 및 선원 등에 대한 항만서비스 기능을 강화
¡ 광양읍지역 :공단배후지와 관광거점지에 공업화,국제화,첨단화에 부응
한 이공계 대학 및 기술전문대학,관광전문대학을 설립하
여 고급인력을 육성함으로서 산업인력을 공급하고 정주환
경개선 등 정보 허브도시 개발
¡ 면 지 역 :백운산,섬진강 등을 활용하여 가족단위의 종합위락,휴양
시설을 갖추며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한 교육기능을 겸비
한 산수,역사문화 관광기능을 수행
□ 광역교통망 확충
¡ 공 항 :여수공항 2
단계 확장(
199
8~2
010
)
¡ 철 도
– 호남 고속철도 건설(
200
7~2
017
)
– 전라선 복선화 및 고속전철화(
200
2~2
010
)
– 동순천~광양간 경전선 개량(
200
4~2
011
)
– 광양항 서측 인입철도 건설(
200
3~2
011
)
– 목포~광양간 철도 복선화 및 전철화(
201
0~2
025
)

- 42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 인천~여수~광양간~서남선 철도 신설
¡ 육 로
– 호남~남해고속도로 확장
– 장성~나주~광양간 고속도로 신설
– 목포~강진~보성~순천~광양간 고속도로 개설
– 전주~광양~여수간 고속도로 연장(
200
4~2
020
)
– 광양~구례간 지방도 터널 개설
– 국도2
호선 대체 우회도로 건설(
세풍~중군,월전~세풍,중군~진정)

- 43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3
.2.
2광양만․진주권 광역개발계획(
199
9~2
011
,건설교통부)
가.개발방향 및 전략
□ 국제적 물류거점으로 육성
¡ 광양항을 국제물류 중심지로 확충하고 주변지역에 대규모 물류,유통 및
국제기능을 유치하여 국제적 교류거점으로서의 기반조성,부산항과 더불
어 TWO PORT SYSTEM 지원

□ 국제관광벨트 및 신산업지대의 형성
¡ 국제관광벨트의 거점형성,연관산업 및 기술집약적 산업육성,첨단산업
및 연구거점육성

□ 세계화․고속화에 걸맞는 기반시설의 설치


¡ 간선교통시설 확충,기술개발․산업연계,기업간 협력촉진을 위한 기술
정보망 및 단지구축

□ 자연과 문화를 갖춘 도시환경 조성


¡ 자연친화적 개발전략을 통해 생태계를 보전하고 지역내 산업구조를 개
편하고 환경오염 억제

□ 경제적․물리적 통합으로 실질적인 동서화합 모색


¡ 동서간 공동프로젝트 추진,양 지역간 경제․사회적,물리적 연계 추진

나.공간구조개편 기본구상

□ 거점도시권 육성 :2
대 거점도시권 설정
¡ 광양만지역 거점도시권 :생산 및 물류지원기능 강화
¡ 진주․사천 거점도시권 :첨단산업 연구 및 지원기능 확충

- 44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 산업회랑형성 :율촌,광양제철,하동,진사,등을 연결하는 회랑형성


¡ 광양만지역 거점도시권 :제철,석유 등 소재형 산업
¡ 진주․사천 거점도시권 :항공우주,생물산업 등 첨단연구 산업

□ 관광레저벨트 조성
¡ 내륙관광벨트 :월출산-
조계산도립공원-
백운산-
섬진강-
지리산-
봉명산군립
공원-
진양호-
연화산
¡ 해양관광벨트 :완도-
거금도-
성두도-
소호-
남해-
청선-
비토-
통영

□ 통합기반조성
¡ 동서연결 교통망의 정비․확충(
고속도로,철도,도로,교량)
¡ 공동사업의 적극적인 추진(
섬진강 공동개발,남해안 국제 관광벨트 조성 등)
¡ 하동군 금성면에 자족적 복합 신도시 건설

- 45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3
.2.
3광양시 도시기본계획 검토(
1995
~20
25)
가.도시개발의 목표와 전략
□ 동북아 경제권의 물류유통기능을 담당하는 중추적인 거점항만
(
HURB-
PORT)
도시 건설

□ 세계적인 국제자유무역,금융,업무,정보도시 건설

□ 서남권과 동남권을 연결하는 광양만권의 육해상 물류․유통중심도시

□ 광양만-
진주광역권의 신산업을 주도하는 임해 공업도시 건설

□ 도・농 복합기능이 완비된 광양만권의 배후중심도시 건설

나.도시공간구조 및 중심지 기능 설정
□ "
T"자형 농촌정주기능 및 관광휴양 개발축 형성
¡ 도시중심성 강화로 인한 농촌지역 주민의 도시유출을 방지하고 역으로 도시지
역 주민이 농촌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농촌의 도시화로 도․농간의 균형적 개
발 유도

□ "
C"자형 산업개발축의 연계발전
¡ 국토계획 및 광양만권 개발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신산업지대축 즉 동서방향
"
C"자형 산업개발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한 전략적 차원에서 도시공간구조 설정
(
광양제철+컨부두+율촌산단)

□ "
U"자형 도시개발축 형성
¡ 국제교역 및 물류처리기능,임해형 공업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배후도시기능을

- 46 -
광양시 중마동 교통혼잡지역 해소방안 수립 용역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다핵구조로 개편하여 생활중심의 분극효과와 연계


파급효과를 극대화(
읍면동 지역)

□ 중심지 체제 전환
¡ 광양읍,동광양 지역의 2
심 체제에서「컨」부두를 추가하여 3
심체계로 전환
– 광 양 읍 :주거,상업,교육,연구․문화기능
– 「컨」부두 :국제무역,물류,업무,산업배후주거기능
– 동 광 양 :행정,산업,국제교육기능

- 47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