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건축시공기술사【114회 모범답안】

종로기술사학원(02)749-0010

*홈페이지 : www.jr3.co.kr
<1교시>
문제 1) 제로에너지빌딩(Zero Energy Building)
*네이버 카페 ⇒ http://cafe.naver.com/archpass
(카페명 : 김우식 건축시공기술사 공부방)
문제 3) 기초공사에서의 PF(Point Foundation)공법

Ⅰ. 정의 Ⅰ. 정의
①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 부하를 최소화하고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① PF공법이란 Head, Cone, Tail 형태의 구근을 동시에 형성하는 기초공법으로 중/저층 구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녹색건축물을 말한다. 조물의 지내력 기초에 적용된다.
② 단열성능을 극대화하여 건축물 에너지 부하를 최소화하고(패시브),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 ② 특수교반장비를 사용하여 상부층의 1차 지지층(지내력 확보), 하부층의 침하방지 토사
지를 활용(액티브)하여 건물 기능을 위한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건축물 경화체를 형성하여 침하량제어를 동시에 수행햐여 기초를 형성하는 공법이다.
Ⅱ. PF공법의지지 Mechanism
Ⅱ. 제로에너진빌딩의 개념도
Passive Factor Active Factor Zeor Energy Building
- 단열성능극대화
냉/난방 에너지사용량 최소화 신재생에너지 생산
- 건축물 기능에 필요한
(단열성능 강화 등) (태양광, 지열 등)
에너지 소요량 최소화

Ⅲ. 제로에너지빌딩의 기술요소
구분 적용 기술 내 용
Passive 외부조건에 따른 차양설계 외부 환경변화를 고려한 설계
요 소 고단열 지붕/바닥, 고기밀 창호 건물 외피의 단열성능 극대화
Ⅲ. PF공법의 시공방법
신재생에너지 활용 태양전지, 지열,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Active 폐열회수시스템 열교환기의 사용 -> 신선공기 공급

요 소 복사 냉/난방 방식 적용 에너지 사용량 저감, 실내 동일온도 유지


에너지 사용량 실시간 모니터링
BEMS (Building Energy Mansgement System)
에너지 사용 최적화 관리

Ⅳ. 제로에너지빌딩 활성화 방안
①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 적극적 도입
② 창호 및 외벽의 단열성능 기준 강화
③ 경제적 제로에너지 모델 및 기술개발
④ 공공건축물의 제로에너지 의무화 로드맵 마련 Ⅳ. PF공법의 특징
⑤ 제로에너지빌딩 인증-탄소포인트제 시스템 연계
① 연약지반개량을 통한 지내력 확보
⑥ 제로에너지빌딩 도입시 인센티브 적용범위 확대
② 현장 지질조건을 감안안 최적화 기초 시공가능 – 표증/중층/심층으로 구분 가능
③ 하중 부담이 적은 건축물의 과다설계 문제점 해결
④ 파일기초 대비 시공심도 감소 -> N치 20~30인 견고한 지지층까지만 시공
문제 2) 지하안전영향평가 ⑤ 기초공사의 약 20%의 공기단축 및 30% 정도의 원가절감 효과

Ⅰ. 정의
① 지하안전영향평가란 지반 및 지질현황, 지하수 변화를 통해 지반안전성을 평가하는 제도이다.
문제 4) 공정관리에서의 LSM(Linear Scheduling Method)기법
② 지반의 굴착 깊이별로 소규모 및 대규모로 분류되며, 굴착공사 완료 후 사후 지하안전영향
평가를 실시한다. Ⅰ. 정의
① LSM 기법은 반복작업에서 각 작업조의 생산성을 유지시키면서, 그 생산성을 기울기로
Ⅱ. 지하안전영향평가 분류 하는 직선으로 각 반복작업의 진행을 표시하여 전체 공사를 도식화하는 기법을 말한다.
② 각 작업간의 상호관계를 명확히 나타낼 수 있으며, 작업의 진도율로 전체 공사를 표현할
종 류 적용 대상 사업 평가 시기
수 있다.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 - 지하 10m이상 ~ 20m미만 굴착공사 Ⅱ. LSM Diagram
사업계획인가 및
- 굴착깊이 20m이상 굴착공사 승인 전
대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
- 터널공사를 포함 사업 LSM Diagram 용 도
사후 지하안전영향평가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사업 굴착공사 완료 후
- 반복작업 많은 공사에 효율적

- 건축공사 : 공동주택, 초고층 건축


Ⅲ. 지하안전영향평가 항목
평가항목 평가방법 - 토목공사 : 도로, 터널, 공항 활주로
가. 지하정보통합체계를 통한 정보분석
나. 시추조사 (지반 시추후 시료조사)
가) 지반 및 지질 현황
다. 투수시험 (일정시간내 침투수의 양 측정)
라. 지하 물리탐사 (지하상태,변화의 물리적 특성 조사)
Ⅲ. 특징
가. 관측망을 통한 지하수 조사 장 점 단 점
나)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나. 지하수 조사시험
다. 광역 지하수 흐름 분석 - Network에 비해 작성 용이
- 예정과 실적 비교 불가
가. 굴착공사에 따른 지반안전성 분석 - Bar-chart에 비해 많은정보 제공
다) 지반안정성 - 주공정선과 각 작업의 여유시간 파악 미흡
나. 주변시설물의 안전성 분석 - 진도율 표현 가능
- 공정간섭 시 비효율적
- 각 작업의 세부일정 판단 용이
∘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 지하안전영향평가 항목 + 라)지하안전확보방안의 이행여부 추가
Ⅳ. 구성요소
Ⅳ. 지하안전영향평가 세부기준
① 대상사업 : 「건축법」 제2조제1항제2호에 따른 건축물 설치사업외 15개 사업
② 협의 요청시기 : 건축허가 전
③ 지반안정성 분석 :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공학적 해석 -> 해당 지반의 침하가능성 분석
④ 관련근거 :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13조, 14조 ① 발산 : 후속작업 생산성 기울기 < 선행작업 생산성 기울기
② 수렴 : 후속작업 생산성 기울기 > 선행작업 생산성 기울기
③ 간섭 : 작업동선의 혼선과 위험증대, 양중작업 증대, 작업능률 저하
④ 버퍼 : 간섭을 피하기 위해 연관된 선후작업간의 여유시간

- 1 -
종로기술사학원(02)749-0010
문제 5) 추정가격과 예정가격 문제 7) 고유동 콘크리트의 자기충전(Self-Compacting)

Ⅰ. 정의 Ⅰ. 정의
① 추정가격이란 공사 규모별 입찰 및 계약방법 결정의 기준이 되는 금액이며, 순공사원가로 ① 고유동 콘크리트란 굳지 않은 상태에서 재료 분리 없이 높은 유동성 을 가지면서 다짐작업 없이

부가가치세와 관급자재비가 제외된 금액이다. 자기충전성이 가능한 콘크리트를 말한다.

② 예정가격이란 계약체결전 계약금액의 결정기준으로 삼기위하여 미리 작성하여 비치해 두는 ② 고유동 콘크리트의 자기 충전성 등급은 거푸집에 타설하기 직전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타설 대상

가액으로 추정가격에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금액이다. 구조물의 형상, 치수, 배근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한다.

Ⅱ. 추정가격 결정기준 및 용도 Ⅱ. 고유동콘크리트의 품질 특성


1) 결정기준 Slump Flow 600mm 이상
① 예산에 계상된 금액
② 해당 목적물의 규격서/설계서등에 따라 산출된 금액
③ 관급자재대 및 부가가치세 제외한 금액 재료분리 저항성 만족
2) 추정가격 용도
① 입찰 및 계약방법 결정기준이 되는 금액 Slump Flow 500mm 도달시간
② 적격심사 기준의 적용 범위를 규정하는 금액 : 3~20초 범위 만족
③ 대형공사, 내역입찰, 수의계약 등 대상여부 판단 기준

Ⅲ. 고유동콘크리트의 자기충전 등급
Ⅲ. 예정가격 결정기준 및 작성 절차
1) 결정기준 등 급 성 능

① 거래실례가격 ② 원가계산에 의한 가격 - 최소철근 순간격 35~60mm 복잡단면형상


1등 급
- 단면치수 적은부재에서 자기충전성 확보
③ 실적공사비에 의한 가격 ④ 감정가격,유사한 거래실례가격 또는 견적가격
2) 작성절차 2등 급 - 최소철근 순간격 60~2000mm정도의 구조물/부재에서 자기충전성 확보
- 최소철근 순간격 200mm 이상의 단면치수 큰 부재 또는 부위
추정가격 설계가격 기초금액 예정가격조서 예정가격 3등 급
검토 - 무근콘크리트구조물에서 자기충전성 확보
작 성 조사가격 산 출 작 성 결 정
- 일반적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부재는 자기충전성 등급 2등급을 표준으로 함.
복수예가 산정
Ⅳ. 고유동콘크리트 품질관리 유의사항
Ⅳ. 계약전/후 공사비 구성 검토 ① 시험관리 : 유동성-Slump Flow 시험, 재료분리저항성-500mm Flow도달시간 또는
깔대기 유하시간, 자기충전성-간극통과성 시험
계약 체결 전 계약 체결 후
② 현장 타설관리 방안 검토
추정가격 공사원가, VAT/관급자재대 제외 직접공사비 재료비 + 직접노무비 + 직접경비
압송관 길이 최대 자유낙하 높이 최대 수평유동거리
추정금액 추정가격 + VAT + 관급자재대 순공사원가 재료비 + 노무비 + 경비
수평거리 300m 이하 5m 이하 8~15m 이하
기초금액 추정가격 + VAT 총공사원가 순공사원가 + 일반관리비 + 이윤
③ 초기강도 발현 조치 : 경화시 온도/습도 유지, 외력 방지
예정가격 공사원가(추정가격) + VAT 계약금액 총공사원가 + 공사손해보험 + VAT
④ 표면마무리시 표면건조 방지 : 습윤양생, 방풍시설 적용 검토
예정금액 추정가격 + VAT + 관급자재대 총공사금액 계약금액 + 관급자재비
⑤ 고유동콘크리트의 자기충전성 현장 품질관리

자기충전성 등급 시험방법 시기/ 횟수 판정기준


1등급 간극통과성시험 1회/50㎥ 충전높이 300mm 이상
문제 6) 건설산업기본법 상 현장대리인 배치기준 간극통과성시험 1회/50㎥ 충전높이 300mm 이상
2~3등급 간극통과성시험 + 전량 시험장치를 통과 +
전량 대상
품질관리자 관찰 육안관찰로 재료분리 확인
Ⅰ. 개 요
① 현장대리인이란 건설업법 등에 의하여 공사업자가 지정하는 책임시공 기술자로서 그 현장
의 공사관리 및 기술관리 기타 공사 업무를 시행하는 사람을 말한다.
문제 8) 흙의 전단강도
② 현장대리인은 법적으로 규정된 배치기술자로서 공사 예정금액별로 그 기준을 명시한다.

Ⅰ. 정의
Ⅱ. 현장대리인 배치기준 ① 흙의 전단강도란 외력에의해 변형에 저항하려고 하는 힘을 전단저항이라 하며, 그 흙이 가지고
공사에정금액의 있는 전단저항의 최대 값 즉 미끄럼이 일어나기 직전의 전단저항을 전단강도라고 한다.
건설기술자 배치기준
규모 ② 전단강도는 흙의 가장 중요한 역학적 성질로서 기초의 하중이 그 흙의 전단강도 이상이 되면
700억 이상 기술사 흙은 붕괴되고, 기초는 침하․전도되며 기초의 극한 지지력을 알 수 있다.

500억 이상 ① 기술사 또는 기능장, ② 특급이상 + 동종업무 5년 이상


Ⅱ. 흙의 전단강도
① 기술사 또는 기능장, ② 기사 자격 취득 후 해당 직무 10년 이상
300억 이상
③ 특급이상 + 동종업무 5년 이상 Coulomb’ Law 토질별 전단강도 특성

① 기술사 또는 기능장, ② 기사 자격 취득 후 해당 직무 5년 이상 점토(내부마찰각 zero):S ≒ C


100억 이상
③ 특급이상, 고급이상+동종업무 3년 이상 ④ 산업기사 취득 후 동종업무 7년 이상

① 기사 자격 취득 후 해당 직무 3년 이상 ② 산업기사 취득 후 동종업무 5년 이상 모래(점착력 zero):S ≒ σ’tanΦ


30억 이상
③ 고급이상, 중급이상+동종업무 3년 이상

30억 미만 ① 산업기사 취득 후 동종업무 3년 이상 ② 중급이상, 초급이상+동종업무 3년 이상


Ⅲ. 토질별 전단강도 산출방법
- 관련근거 : 건설산업기본법 제40조, 동법 시행령 35조 제2항 [별표5]
구분 사질지반 점토지반
계상 항목 내부마찰각 Φ 점착력 C
Ⅲ. 현장대리인의 역할
표준관입시험 직접전단시험, Vane Test
① 계약공기 내에 우수한 시공을 최소의 비용으로 완성 가능한 시공계획 수립
② 공사관리의 3요소와 생산수단 5M을 통하여 시공 목표 5R를 달성
③ 계약서를 검토하여 불가항력이나 공사중지에 대한 손실 조치
④ 시공도면과 시방서를 검토하여 시공도면대로 실시되는지 여부 검토 시험방법

⑤ 자재, 노무비의 변동에 따른 조속한 조치


⑥ 부실시공 방지를 위한 품질관리 및 품질시험 적정성 검토
⑦ 안전교육 및 안전시설물 점검 등의 현장 안전보건 총괄관리
⑧ 공사 착수 전 대관 및 인허가 업무 수행

Ⅳ. 흙의 전단강도 증대방안
Ⅳ. 건설기술자 배치 시 검토사항
① 현장대리인 선임 및 변경시 KISCON 등재 (하도급 업체 현장대리인 포함) 사질지반 점토지반
② 현장대리인의 중복배치 검토
① 지반의 압밀 및 탈수
③ 현장대리인 배치시 기술자격 및 동종 경력 검토 ① 모래지반내 주입재 충전 -> 조밀지반 조성 -> 간극수 배수, 간극수압 소산
④ 법적 건설기술자 배치 : 현장대리인, 안전관리자, 품질관리자 ② 지중간극수 강제배수 -> 지하수위 저하 ② Preloading공법 + Vertical Drain 병행
-> 배수시간 및 배수거리 단축

- 2 -
종로기술사학원(02)749-0010

문제 9) 건설사업관리에서의 RAM(Responsibility Assignment Matrix) 문제 11) 석면건축물의 위해성 평가

Ⅰ. 정의
① RAM이란 프로젝트 범위내의 세부 요소들을 업무담당자에게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부여하 Ⅰ. 개요
기 위해 사용하는 Tool로써 책임배정계통도를 말한다. ① 석면건축물이란 석면건축자재가 사용된 면적의 합이 50㎡ 이상인 건축물을 말하며 석면이
② RAM은 조직구성 분류체계(OBS)와 작업분류체계(WBS)를 연계한 계통도이며, 담당자별 업무 함유된 분무재, 내화피복재를 사용한 건축물이다.
량 파악용이 및 의사결정 경로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② 석면함유자재의 비산가능성에 따라 해체/제거 및 유지보수를 결정하여야 하며, 석면으로
인해 인체에 미칠 위해를 방지하기 위해 선면건축물 관리기준을 준수하여야 한다.
Ⅱ. RAM(Responsibility Assignment Matrix)
Ⅱ. 석면건축자재의 위해성 평가
+
OBS(Organization Breakdown Structure) OBS

위해성 평가항목 세부항목 평가 점수범위 (1~27점)


구분 팀원 A 팀원 B 팀원 C WBS
WBS 손상상태 0 ~ 3
작업 1 ●
(Work 물리적평가 비산성 0 ~ 3 1~9점
Breakdown 작업 2 ● ●
RAM 석면함유량 1 ~ 3
Structure) 작업 3 ● ●
진동 0 ~ 2
잠재적 손상 기능성 평가 기류 0 ~ 2 0~2점
누수 0 ~ 2
Ⅲ. RAM의 필요성
건축물 유지보수 유지보수 형태 0 ~ 3
0~6점
업무처리 담당자의 불명확 손상 가능성 평가 유지보수 빈도 0 ~ 3
- 프로젝트 참여자의 업무 분할 및 할당 사용 인원 수 0 ~ 2
특정인에게 업무 가중
- 그룹 및 WBS 각 요소에 대한 책임 정의 인체노출 가능성 평가 구역의 사용빈도 0 ~ 2 0~6점
팀원간 업무공유 혼선 RAM - 특정인에게 Activity에 대한 역학/책임 부여 평균 사용시간 0 ~ 2
Project의 역할/책임 범위 미설정

Ⅲ. 석면건축물의 위해성 판정
Ⅳ. RAM 적용효과 고찰
위해성 등급 평가 점수 및 위해성 판정 기준
① 각 팀원들의 작업 배정 사이의 연결 확인 용이 -> 책임소재 파악 명학
높음 20이상 또는 손상이 있고 비산성 평가항목이 높음의 경우
②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는 다양항 수준의 RAM 작성 가능 중간 12 ~ 19 점
③ 상위수준의 RAM : 각 구성요소를 책임지는 그룹 및 단위로 정의 가능 낮음 평가점수 11이하 또는 손상이 없는 경우
④ 하위수준의 RAM : 그룹 내에서 특정활동에 대한 역할, 책임, 권한수준을 정함.
Ⅳ. 석면건축물의 등급별 조치방법
Ⅴ. RAM Type 세분화 위해성 등급 석면건축물 조치방업 검토
높음 20이상 또는 손상이 있고 비산성 평가항목이 높음의 경우
Step 1 Step 2 Step 3 (RACI Matrix) 중간 손상부 보수, 손상위험 원인 제거, 비산방지 조치
낮음 지속적 유지관리 및 즉시보수, 인위적 손상 방지

① 위해성 등급 “중간 이상이면 경고문 게시 및 부착”


② 석면조사 결과서 완료일 이후 6개월이내 위해성 평가 실시 및 관리대장 작성
③ 평가 결과에 따라 “중간” 이상이면 이후 6개월마다 위해성 평가 실시

실무담당자 (R : Reponsibility)
가장 단순 형태
P : Primary Reponsibility 최종승인권자 (A : Accountable) 문제 12) 콘크리트의 표면층박리(Scaling)
S : Secondary Reponsibility 조 언 자 (C : Consult)
보고 대상자 (I : Infrom)

Ⅰ. 정의
문제 10) 철골공사에서의 용접절차서(Welding Procedure Specifications) ① 표면층 박리(Scaling) 이란 콘크리트 표면의 모르타르가 점진적으로 손실되는 콘크리트 표면
결함이다.
Ⅰ. 정의 ②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의 반복으로 팽창압에 따라 인장응력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초과할
① 용접절차서란 용접 작업의 전반적인 용접의 이음매 요구조건, 모재 재질, 두께 용착 경우 표면층 박리가 발생하는 열화되는 현상이다.
금속형태, 용접의 전기적 특성, 용접자세 등을 기록한 서류를 말한다.
② WPS는 용접부의 기계적성질 확보 및 용접사를 위한 지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Ⅱ. 콘크리트 표면층 박리 발생기구
수분동결 + 콘크리트 내부 인장응력 >
Ⅱ. 현장 용접절차 체계 표면층 박리
체적팽창 (9%) 정수압 작용 콘크리트 인장강도
WPS초안 WPS/PQR 현장용접 - 공극 미존재 시
PQ-test PQR 작성 - 팽창압 약2.5Mpa - 미세균열발생 - 표면->내부 진행
작성 승 인 개 시 팽창압 소산 결여
용접사의 시험편 용접시
기능 검정 용접자료 기록서
Ⅲ. Scaling의 종류별 원인
① 콘크리트 배합적 측면 : 물결합재비 과다로 발생하는 일반적 Sclaing
Ⅲ. 용접절차서 주요내용
② 해수 등에 포함된 염류와 돌경융해의 복합작용에 의한 Scaling
구 분 기 입 내 용 ③ 조기 표면마감에 따른 블리딩수에 의한 시공부실에 따른 Scaling (->Blister)
기본사항 작업표준번호, 일자, 용접방법, 형태
이음설계 이음형태, 덧댐판 Ⅳ. Scaling 저감 방안 연구
Base Metal (모재) 모재두께, Path 당 최대 두께 제한 ① 미경화 콘크리트의 초기동해 제어 : 내동해성 증대 (AE제, AE감수제 사용) -> 팽창압 소산
Filler Metal (용가재 ) 용착금속 두께 ② 타설후 콘크리트의 표면 온도제어 : 단열, 보온, 급열양생으로 동해 방지
용접자새 Groove자세, Fillet 자세, 진행방향 ③ 콘크리트표면 피막 형성 : 제설제 및 외부 침투수 접촉 방지

예 열 최저 예열온도, 치대 패스간 온도, 예열유지 ④ 콘크리트 재료의 품질 개선 : 조골재의 미립률 관리, 골재의 함수율 관리 철저

후열처리 후열처리 온도, 시간범위


GAS 가스종류, 혼합가스 조성비율, 유량, Ⅴ. Scaling 저감을 위한 동해 검사방법 검토
현장조사 역학적 조사
육안검사 실시 Scaling의 깊이율 조사
Ⅳ. 용접시공시 주요 관리사항
음파검사 및 해머 타격검사 열화도 파악
① 용접순서 계획 검토 - 잔류응력 최소화 관리 : 중앙 -> 외측으로 용접시행 균열도 측정 현 열화상황의 허용범위 여부 검토
② 용접시 기상조건 고려

기 상 조 건 고 려 사 항

- 0℃ 이하 : 원칙적 용접금지
기온
- 부득이 용접 필요시 : 접합부 100mm범위 모재 36℃이상 가열
바람 - 바람 강한 날 : 바람막이 설치
습도 - 실내의 경우 모재의 표면 및 밑면 부근의 수분 제거 확인

③ 용접부 검사 : 육안검사(10%이상) -> 염색침투 탐상검사(표면) -> 초음파탐상검사(내부)


④ 용접봉 건조상태 확인

- 3 -
종로기술사학원(02)749-0010
문제 13) 복층유리의 단열간봉 4) 계단/안전발판 및 안전난간 설치
① 작업발판 : 단관비계, 시스템비계 겸용 사용가능
② 계단발판 : 통행용 계단부재로, 스시템비계의 경사면에 설치

Ⅰ. 정의 5) 대각가새 조립

① 단열간봉이란 복층유리 제조시 유리들 상호간 이격시켜 일정공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 대각 방향으로 설치하는 부재로, 수평력에 의한 인장, 압축력 지지
것을 간봉이라 하며,
② 기존의 Al. 간봉의 열전달 저항률을 개선시켜 유리 단부의 결로방지 성능을 향상시켜 단열 Ⅳ. 시스템비계 시공 시 유의사항
성능을 향상시킨 것을 단열간봉이라 한다.
1) 강관비계의 안전인증 규격품 사용
① 안전인증 규격제품 강관비계 양단에 각인 확인
Ⅱ. 단열간봉의 개념도 ② 변형, 부식, 손상된 제품 사용 금지
2) 시스템비계 설치 전 시공계획서 및 상세도 작성
단열간봉의 기능
① 작업 투입인원 결정 및 관리감독자 선임
② 투압장비의 종류 및 능력 검토
③ 구조검토 및 작업순서 및 방법 결정
복층유리 간격 유지 및 고정
3) 연약지반 비계기둥 침하방지 조치
① 침하 방지용 두께 45mm이상 받침목 설치

수분제거용 흡습제 저장 기능 ② 콘크리트 및 강재, 아스팔트 등 침하


방지조치 강구
4) 경사진 지반의 적정 밑받침 철물 사용
유리내부 가스유출 및 수분침투 방지 ① 경사용 밑받침 전용 자재 사용
② 고정용 철물과 2개소 이상의 고정못 시공
5) 수직재와 받침철물의 체결길이 확보
Ⅲ. 단열간봉의 특징
① 최하부 수직재는 받침철물의 조절너트와 밀착 설치
장 점 단 점 ② 수직도 확보 및 수평거리 유지

냉교작용 방지 -> 결로방지 효과 우수 제품 생산비 고가 ③ 수직재와 받침철물의 겹침길이 : 전체길이의 1/3이상

공기층의 두께 200mm 확보 -> 단열효과 증대 소수 업체의 단열간봉 제조


6) 안전난간 높이기준 준수
열관류저항 성능 향상 대형창호의 경우 단열향상 성능 저감 ① 안전난간의 상부 손스침 설치높이는 작업발판으로부터 900mm 이상 확보
② 중간 수평재 높이는 450mm 설치
③ 난간설치 높이 1200mm 이상의 경우 2단이상의 중간수평재 설치(간격 600mm이하)
Ⅳ. 고효율창호 제작 및 활용방안 고찰
7) 대각가새의 설치각도 관리
① 단열간봉 적용 -> 냉교작용 방지 -> 열전달저항성 개선
① 비계의 외면으로 수평면에 대해 40~60° 방향으로 설치
② Double Low-e 유리 적용 -> 단열성능 향상
② 수평재 및 수직재와의 결속 철저
③ 유리판 건조공기층 두께 증대 -> 22mm, 24mm 복층유리 설치
③ 가새의 철치간격은 현장시공여건을 고려하여 구조검토 실시 후 설치
④ 삼중유리 및 진공복층유리의 적용 -> 고단열, 고기밀 창호 제작
8) 시스템비계와 구조물간 벽이음재 체결

<2교시>
① 벽이음재 체결은 수직/수평 5m 이내 설치
② 외벽 콘크리트 타설시 벽이음재용 앵커볼트 매입
9) 시스템비계 설치시 기상영향 검토
∘ 비계설치시 풍속 5m/s 이상 작업중지
10) 특별안전교육 실시
① 시스템비계 설치전 특별안전교육 실시로 안전사고 사전예방
문제 1) 주상복합현장 1층(층고 8m)에 시스템비계 적용 시, 시공순서와 ② 보호구 착용상태 및 안전관리자 배치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Ⅴ. 맺음말

Ⅰ. 개 요 ① 최근 외부 비계의 붕괴 및 근로자의 추락사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어 시스템


비계 설치 시 현장 특수조건을 반영하여 구조계산 및 면밀한 시공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① 시스템 비계란 수직재,수평재,가새재 등 각각의 부재를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에서 조립
② 시스템비계의 설치기준 준수 및 구성부재의 안전검정품 사용, 설치기준의 준수, 안전
하여 사용하는 조립형 비계이다.
관리 철저로 정밀한 가설시설물 설치가 필요하다.
② 고소작업에서 작업자가 작업장소에 접근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작업대를 지지하
는 가설 구조물을 말한다.

Ⅱ. 시스템비계의 설치상세도
문제 2) 도심지 15층 사무소 건축물 해체공사 시 사전조사 및 조치
시스템비계 구성요소 사항 안전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수직재 : 하중지지 역할

Ⅰ. 개 요
수평재 : 쐐기 체결방식
① 최근 들어 건축물의 생산기술과 더불어 노후된 건축물을 인근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해체할 수 있는 방안이 중요한 기술적․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가새재 : 수평력의 인장/압축력 지지
② 해체 공사시에 주변의 소음, 진동, 분진, 교통 등의 환경 공해는 물론 지반 침하,
폭파시 파편 등의 안전 대책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자키베이스 : 최하단부 설치

계단 및 작업발판, 벽이음 철물
Ⅱ. 건축물 해체공사 Process

Ⅲ. 시스템비계 시공순서 검토
1) 쟈키베이스 설치

① 수직재를 받치는 부재로 최하단에 설치


② 나사관으로 구성되어 높이조절 가능
2) 수직재 세우기 Ⅲ. 건축물 해체공사 시 사전조사 검토사항
① 수직으로 세워 설치, 상부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기둥부재 역할
1) 해체공사 시공계획서 작성
② 4방향의 연결 프렌지에 수평재 및 대각가새 체결 가능
① 해체공사의 개요, 관리조직, 공정진행 등 일반사항 작성
③ 최 하단 수평재 체결 후 수직재 연결 -> 전도방지 조치
② 해체공사의 작업계획과 이에 따른 구조안전계획 수립
3) 수평재 체결
2) 해체 건축물의 형태 및 구조형식 검토
① 수평으로 연결하는 부재로 견고하고, 내구성 우수
① 건축물 준공시 설계도서 및 공사기록 등을 바탕으로 해체건축물의 특성 파악
② 쐐기 체결방식으로 분리, 이탈위험 감소 ② 시설물 등의 균열 및 철근의 부식 상황, 바닥 등의 처짐, 구조부재의 노후도,
각 구조부재의 형상,단면치수 및 마감상태 등을 조사한다

- 4 -
종로기술사학원(02)749-0010
3) 공사현장 주변 매설물 확인 문제 3) 시스템거푸집 중 갱폼(Gang Form)의 구성요소 및 제작 시
해체작업(대형기계사용 등)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변의 매설물 조사
(가스,수도관,전기,전화선로 등)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시험파기 및 내력조사
① 흙에 접한 부분의 조사는 필요에 따라 시굴,보링 등을 수행
Ⅰ. 개 요
① Gang Form은 수직부재의 거푸집 마감공사를 위한 발판을 일체로 조립하여 한꺼번에
② 외벽・기초 부분에 대한 조사를 실시
인양시켜 사용하는 거푸집을 말한다.
③ 해체공사계획 시 건설중장비 사용, 흙막이재를 이용하는 경우 구조검토 병행
② 건축물의 고층화 및 양중기계의 발달로 gang form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3) 건설공해 최소화 해체공법의 선정 재래식공법에 비하여 경제성 및 안전성이 유리하다.
① 해체공사 중 소음, 분진, 진동 최소화 공법 선정
Ⅱ. Gang Form의 특성
② 해체부산물의 재활용 촉진 및 폐기물 발생 저감 고려
① Laber Saving 가능
4) 해체공사시 안전확보 조치 강구 ② 연속반복작업으로 공기 단축효과 우수
③ 외부 마감공사 동시진행 가능
① 공사 현장내 적절한 안전시설 설치
④ 거푸집의 전용횟수 향상
② 해체파편의 낙하, 비산 방지를 위한 위험방지 대책 수립 ⑤ 대형양중장비 필요
③ 해체공사 시 구조부재의 불안전상태 예상 시 구조물 안전성여부 확인
Ⅲ. Gang Form의 구성요소
5) 해체공사 시 환경보전 및 부산물처리 방안 수립

① 소음∙진동 관리법에 정한 기준 이하로 관리 1) Skin Plate


① 콘크리트 타설면으로 평활도 및 수밀성 요구
② 분진 발생시 살수, 분진차단시설 변경, 해체작업순서 변경 등 대책 마련
② Rib 부분은 2T, 일반 평판부분은 3T가 일반적임
③ 폐기물 반출시 적정 폐기물처리시설 활용, 반출동선 및 수송시간 고려 2) Waler
 여러 판넬 연결시 일직선 이루도록 고정하는 보조기구

Ⅳ. 건축물 해체공사의 안전대책 3) Crane Hook


 Gang form 인양하기 위한 고리
1) 해체대상 시설물의 구조부재 상태 조사
4) 작업용 Cage
① 구조부재에 대한 손상과 저하의 정도 파악  갱폼 설치/해체 시 외부작업을 위한 공간
② 해체작업에 의한 연속부재의 붕괴 위험성 조사 5) 견출용 Cage
 콘크리트 타설후 외벽 마감작업용 공간
③ 노출되거나 숨겨진 가새부재의 존재여부 검토
6) 안전난간대
2) 해체작업 시 인접부지 위해위험요소 파악
 작업자의 추락방지 목적으로 강관 또는 각관 시공
① 인접한 도로 및 지반, 시설물 등으 안전사고 발생요소 저감
7) 작업발판
② 공사현장내  외부작업시 Cage간 이동목적으로 설치 시 4단 기준

3) 대형 해체장비 사용시 안전사고 방지


Ⅳ. Gang Form 제작 시 고려사항
① 압쇄기 사용시 지반 또는 구조물 Slab의 안전성 확인
1) 양중장비를 고려한 Pannel 제작
② 압쇄기 파쇄순서 준용 : 상층->하층, Slab->보->벽체->기둥 순서 준수
① 현장에 설치되는 T/C의 양중부하 용량을 사전검토
③대형브레이커 : 중량, 작업충격력 고려, 초과 중량의 브레이커 부착 금지
② 1Seg Gang Form의 최대 하중 검토시 자중 및 풍력 등 안전율 계상
4) 비구조요소의 낙하 및 붕괴 방지
2) Cage내 근로자 추락방지 시설 설치
① 사전 구조적 취약부위, 노후정도 등 조사 철저
① Cage 내 발판 바닥으로부터 450~600mm 중간난간대, 900~1200mm 상부난간대 설치
② 상/하부 동시 해체작업 금지 및 작업반경내 출입통제
② 작업발판과 구조물 외벽과 틈새 최소화 : 200mm 이내
5) 구조물 도괴 및 전도방향 고려 ③ 각 유닛별 간격 100mm 이내 관리 및 발판간 수평유지
① 구조물 해체시 버팀대 및 방호설비 설치 3) 외력에 대한 안전성 검토
② 해체작업계획 수립후 절차에 따른 작업진행 ① 풍압에 대한 안전성 검토
6) 지하매설물 및 지상가설물 조사 철저 ② 양중 , 이동시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 확보
① 현장주변 광역상수도, 송유관, 통신 및 전력케이블 등의 위치 및 종류 파악 4) Cage 코너 마무리 형상

② 이설 또는 보호조치가 필요한 전신주, 고압전력케이블 등 확인


① 각 Unit간 90° 접하는 구간 작업
7) 안전관리조직 편성 및 정기점검 실시 발판 간격 유지
①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선임 및 관리감독 수행, 안전보건협의회 운영 ② 갱폼인양시 Cage간 충돌방지 목적의
② 원도급, 하도급간 순회점검 및 안전교육(정기/특별) 실시 여유간격 최소 200mm 이내 관리

8) 표준안전관리비 계상 및 적정 사용 ③ 코너부 외측부재 45° 각도로 길게 제작


공사계약 체결시 표준안전관리비를 공사비에 계상 및 사다리꼴 마무리

9) 정기적 안전관리할동 수행
5) 갱폼 인양고리의 수량 및 길이 검토
① 안전교육, 안전점검, 전문안전기관의 정기점검 실시 ① Ø22mm 환봉을 U-벤딩하여 거푸집 상부 수평재(C-Channel) 용접고정
② 안전표지 및 안전장구류 착용실태 점검, 사고발생시 사고처리 절차 사전수립 ② 환봉 벤딩시 최소반경은 1500mm 이상,

③ 인양고리 수량은 2개, 인양고리 길이 1500~2000mm 정도

Ⅴ. 결 론 6) 작업발판 설치기준 준수
① 건축물 해체공사는 건설공해 유발 및 안전관리에 미흡하므로 철저한 해체계획서 수립과 ① 총 4단이 기준이며, 상부 3단 : 500mm폭, 최하부 1단은 600mm폭 설치
건설공해를 저감시키는 공법선정이 중요하다.
② 발판재료는 유공아연도강판 및 Extended Metal을 발판 띠장에 용접 접합
② 해체대상 건축물의 구조성능 및 부재의 노후화 정도를 사전에 파악하여 정밀한 구조검토
③ 작업발판 내외부에 자재,공구 낙하방지를 위한 100mm이상 발끝막이판 설치
를 통해 연속붕괴 예방 및 인명피해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철저한 현장관리가 요구된다.
7) 갱폼 내부 수직사다리 설치 검토

① 수직사다리 설치기준

 폭 : 350mm이상
1단 높이 : 300mm 이하
위치 : 각 단에서 엇갈리게 배치
② 수직통행 여닫이문 개폐각도 110°이상

8) 낙하 및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시설물 설치

9) Gang From 반입시 Stock yard 확보

10) 공장제작 후 현장운반 동선 체크

Ⅴ. 결론
① 거푸집은 충분한 강성 및 전용횟수(내구성), 안전성, 수밀성dl 중요하고 설치해체의 반복
공정을 통한 경제적 성능도 요구된다.
② 특히 Gang Form은 벽체단면이 일정한 벽식구조에서 사용되는 대형시스템 거푸집으로
Unit화 제품으로 정밀성우 우수, 외부 마감공사 동시진행으로 공기단축이 가능하다.

- 5 -
종로기술사학원(02)749-0010
문제 4) 흙막이 공사에서 어스앵커(Earth Anchor)의 홀(Hole) 누수경로 문제 5) 공동주택 마감공사에서 주방가구 설치공정과 설치 시
및 경로별 방수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주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Ⅰ. 개 요
① Earth Anhor 공법은 흙막이 벽체 배면토 깊이에 굴착하여 rod를 anchor시켜 cement Ⅰ. 개요
paste를 주입하여 인발저항 확보후 토압에 견디게 하는 공법이다. ① 주방가구는 상부장과 하부장, 하부장 상판으로 구성되며, 주방가구 설치시 선/후행
② Earth Anhor 공법에서 Hole 누수경로는 sleeve와 slurry wall의 접합부, Strand, sleeve 공정과의 긴밀한 협의가 필요하다.
내부에서 발생하며, 누수경로에 대한 시공단계별 철저한 조치가 필요하다. ② 일반적으로 주방가구의 주요자재는 MDF, PB, Ply-wood등이 주로 사용되며, 각 자재는
친환경 등급기준(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을 만족하여야 한다.
Ⅱ. 어스앙카의 시공상세도
Anchor Hole 천공
Ⅱ. 주방가구 설치 전 선행공종 Process

Anchor 삽입

Mortar 주입 (1차)

정착부 가압 주입 (2차) Ⅲ. 주방가구 설치공정 검토


1) 견본세대 시공
긴장 및 정착
① 주방가구 본시공 전 견본세대 시공 -> 품평회 및 자문위원회 실시
② 재시공 및 수정, 보완 사항 있을 경우 보완 조치
Ⅲ. 어스앙카의 홀(Hole) 누수경로 2) 상부장 설치
① 내부 내용물 무게 감안하여 견고히 부착
Earth Anchor Sleeve 와 Slurry Wall의 접합부 누수
② 상부장 길이 600mm이하 : 2개소 이상 / 600mm 초과 : 3개소 이상
③ 고정 시 42~54mm 타격용콘크리트 못으로 고정
4) 하부장 설치
Earth Anchor Strand에 의한 누수
① 기준장 설치 및 수평조정 -> 단위장 연결 및 뒷선반 간격확보 -> 수평조정
② 단위장 연결시에는 전/후면부 2개소 이상의 연결용 철물을 사용
③ 1.8m 이상의 수평대를 사용하여 좌/우/상/하 수평 확인
Earth Anchor Sleeve 내부 누수 ④ 하부장 내 온수분배기 설치될 경우 개구부 가공처리
⑤ 바닥과 슬래브 연결호스 주위 악취유입 방지 : 악취 방지마개 사용
5) 하부장 상판 설치
Ⅳ. 어스앙카 Hole 누수 경로별 방수처리 방법 ① 상판가공 -> 레벨목 작성 -> 상판시공 -> 씽크볼 타공 -> Sanding -> 완성
1) Slurry wall 내 지수판 설치 ② 종류 : 인조대리석 상판, BMC / HPM 상판, 천연대리석 상판
① Earth Anchor와 Slurry wall 접합부에 지수판 설치 6) 조정 및 검사
② 철근간섭으로 지수판 설치 불가시 : 수팽창 지수코킹재로 대체 ① 문짝 및 서랍 등 여닫이 원활히 조정
2) Sleeve 내부의 방수Mortar 충전
② 각 제품 설치 후 외부선 및 각종 조인트 부위 수직/수평상태 점검
① Earth Anchor의 Sleeve 내부에 방수 Mortar 저압으로 가압 충전
③ 조정 완료후 외관, 작동상태, 기타결함 유무 검사 실시
② 충전 후 1개월여간 누수여부 Monitering
③ 누수체크 후 건조상태에서의 Sleeve 입구 철판 용접 및 방청도장 실시 7) 보양 및 청소
3) Earth Anchor Strand의 누수 방지 ① 후속공사로 인하여 설치된 제품 오염 및 훼손 방지
① 영구식 Earth Anchor의 Strand는 가능한 짧게 절단 ② 하부장 상판은 PE필름(THK0.03mm) 2겹으로 보양조치
② 자유장과 정착장의 경계부위 : 자유장 피복 + Strand 접합방수 -> 지하수 유입 차단 ③ HPM, LPM으로 마감된 부위 : 최초 보호용 비닐테이프 보양상태 유지
4) 주입 Mortar 배합관리 검토 [단위 : 중량비]
구분 시멘트 물 모래 Ⅳ. 주방가구 시공 시 유의사항
cement Paste 1.0 0.55±0.03 -
1) 주방가구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농도 저감
Mortar 1.0 0.55±0.03 0.5 ~ 1.0
① 합판 및 MDF, PB 등의 포름알데히드 방산량 E0급 이상의 것 사용
5) Strand 및 정착부 부식방지조치 수립 ② 주방가구 설치후 Bake-out 실시 -> 입주 전 VOC농도 저감
① PS 강연선의 Relaxation에 따른 부식발생시 Strand의 공극 발생
2) 주방가구의 재료품질 기준 준수
② PS 강연선 방청처리 및 정착부 부식방지 대책 검토
① 목재의 함수율 : 15% 이하의 것 사용
③ Packer의 가압 주입 –> Packer 팽창 –> 정착부 Mortar 및 지하수 유출 방지
② 문짝 및 외부
6) 지하수위 계측 수행
① 하계 High Water Level 계측 시행 3) 하부장 상판 시공전 가스배관 위치 검토
② 수압이 높은 사질지반 : Piping, Boiling 대책 필요 -> 지수Box, 지수셔터 등 4) 시공 전 자재 품질 검사 실시
7) Removal Anchor 적용 검토 ① 운반 중 표면손상 및 제품 모서리부분 하자유무 확인
① 지중에 anchor체의 잔재물을 남기지 않고 제거 ② 시공전 제품수평 확인 및
-> Strand에서의 누수 저감
5) 주방상판 절단시 품질관리 철저
② 분류 : 나사공법, 쐐기공법
① 절단 시 오차범위 5mm 이내 정밀도 관리
③ 지중 장애물 제거 -> 준공후 영향 Zero
② 절단 후 분진 즉시 제거 : 산업용 집진기 활용

8) Earth Hole 천공 전 지반 투수계수 확인 6) 수직 / 수평 Level 관리 철저


① 투수계수가 높은 지반에서 순환수 및 지하수 유출 방지  레이저 수평계 사용 -> 수직도 및 수평도 확보
② 흙의 입경에 따른 투수계수(K)의 범위 7) 타공정 간섭사항 사전 협의

① 각종 전기 기기류의 전기 인입을 위한 전원위치 확인

② 주방가구 상부장 문짝 개폐 시 전등과 간섭사항 검토

③ 렌지후드 규격 확인 : 형태에 따른 타일 및 불연판넬 시공위치 체크

8) 선행공정 마감상태 확인
9) 지중 피압대수층 존재여부 확인
① 주방 합지판, 천정공사 시공상태 확인
① 지질조사 보고서 및 토질주상도를 활용한 피압수층 존재 여부검토
② 피압대수층 확인 : Piezo Cone 관입시험을 통한 피압수 소산 실시 ② 벽체부위 타일 및 불연판넬 시공상태 확인

③ 주방창 및 창대석 설치상태 확인, 보조주방 단열벽체 설치상태 확인


Ⅴ. 결론
9) 시공계획서 및 시공상세도 작성
① 흙막이 배면의 지하수위 상승 및 지중 피압대수층 존재시 Earth Anchor Hole 부위의 누수
① 공사개요m 재료 품질기준, 제작/시공, 안전/품질관리계획 등 시공계획서 작성
발생 시 흙막이벽의 붕괴 등의 안전사고 발생이 가능하다.
② 모델하우스 확인 후 Mock-up 세대 시공
② 앵커 홀에 대한 지수처리 및 철저한 흙막이배면 지반조사 및 유효지층에 앵커체 시공에 의한
흙막이벽체의 변위 경감이 필요하다. Ⅴ. 결론
③ 어스앙커 제거 후 Hole을 통한 다량의 누수와 함께 Piping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① 주방가구의 주요하자원인은 타공종간 협의 미흡으로 발생되므로 주방가구에 설치되는
계측관리와 누수 경로별 지수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제반 타공 및 전기 등의 설치사항은 긴밀한 Pre-Con meeting 이 필요하다.
② 주방가구 설치 전부터 견본주택을 기초로 하여 현장실측을 통한 품질저하를 방지하고,
원자재의 가공, 운반, 설치 등 전 공정에 이르는 철저한 품질과리가 요구된다.

- 6 -
종로기술사학원(02)749-0010
문제 6) 초고층 건물에서 횡하중(바람, 지진) 저항을 위한 구조물
진동 저감방법 및 제어방식을 설명하시오.

Ⅰ. 개 요
① 최근 초고층 건축물의 급증하고 있으며, 건물높이로 인한 횡하중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② 횡하중에 안전한 초고층 건축물의 시공을 위하여 강성확보를 위한 적절한 구조시스템과 ,
다양한 층수에 의한 상이한 구조시스템이 요구되므로 횡하중에 의한 진동저감 및 제어가
필요하다.

Ⅱ. 초고층건물에서의 횡하중 작용 요소
횡하중 (풍압력 및 지진력)

구조물과 횡하중의 공진

층간수평변위 및 최상층 가속도 증대

Ⅲ. 횡하중 저항을 위한 구조물 진동 저감방법


1) Out Rigger system 도입
① 내부 Core와 외주부 기둥 간 연결 -> 횡강성 증대
② 내부 Core에 집중되는 인장력 및 압축력을 외부골조에 분산
③ Out-Rigger System + Belt Truss 병용 -> 횡하중 저항성 증대

2) 3차원 트러스 형태의 구조체 형성


① 구성요소 : Super Colum + Super Girder + Transfer Truss(가새)
② 수직하중 – Super Colum 부담 / 수평하중 – Gider와 Colum의 접합부 강성 지지

3) 이중골조 구조시스템 적용

모멘트골조 System 전단벽 System


횡하중 저항성 향상
상부 전단벽 변형 저항 하부 골조변형 저항

4) RC – Wall Barcing System 계획

① 외부 골조에 전단벽을 가새형태로 배치

② Wall요소를 통한 보와 기둥의 하중흐름 전달

③ 횡하중 -> 응력 경감 -> 접합부의 응력집중 감소

④ Wall 구성방법 : X-Bracing, Knee-Bracing

5) 초고층 건물의 자중 경감요소 적용

구분 자중경감 요소
고층부 공장제품 부재 사용, Precast화
저층부 고강도 콘크리트, 고강도 내진철근

6) Diagrid Frame(대각가새 구조) 검토


① 경사 수직부재 + 삼각형태의 Girder -> 가새부재의 축방향 거동 –> 횡력 저항
② 철골 물량 경감 약 20% 효과 및 코너부 대형 기둥 제거, 하중분산효과 우수

Ⅳ. 횡하중 제어방식 검토
1) 초고층건물 설계단계 시 Simulation 실시
① 횡화중에 의한 횡방향 변위 사전예측

2) 능동형 댐퍼 적용으로 지진력 소산(제진구조)

TMD(Turned Mass Damper)

구조물에 횡하중 전달

전달에너지 흡수 및 진동감쇠

층간변위 및 최상층 가속도 저감

3) 횡방향 변위 제어를 위한 Slab 강성 배근


① 무량판 강성배근(20~30% 철근량 가산)시 일반 무량판 배근과 비교
-> 횡방향 변위 약30%내외 제어 가능
② 별도 횡력저항 시스템 도입 없이 배근만으로 변위 제어 -> 경제성, 시공성 향상

4) 초고층건물의 지진에너지 경감(면진구조)


① 건물과 지반사이 전다변형방지용 Damper 설치 -> 지반과 건물 분리 -> 지진에너지 경감
② 건축물의 고유주기 장주기화 -> 지진과 구조물과의 공진 저감

Ⅴ. 결론
① 초고층건물의 특성상 풍압력 및 지진력 등의
횡하중과 구조물 고유주기와 공진현상으로
구조물의 안전성이 저해된다.
② 따라서, 횡하중 대응을 위한 설계단계에서부터
수평력에 대한 철저한 하중계산과 Simulation을
통해 초고층건물의 적절한 구조형식의 결정 및
능동적 횡력제어 시스템의 적용이 필요하다.

- 7 -
종로기술사학원(02)749-0010

<3교시>
문제 1) 동절기 콘크리트 공사 시, 초기동해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
8) 현장 봉함양생 공시체 제작 및 강도시험
① 현장 조건과 동일한 조건하에 공시체 양생
② 거푸집 존치기간 검토
9) 기타
① Con՛c pump car 사용시 필요한 경우 관 예열
② Support 바꿔세우기 금지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③ 5℃ 이하 타설 금지

Ⅰ. 개 요 Ⅴ. 결론
① 동절기에는 저온의 날시로 인하여 콘크리트 공사시 강도확보를 위한 방안을 수립해야한다. 한중 콘크리트는 동해에 의해 강도, 내구성에 큰 영향을 받으므로 콘크리트 타설 초기에 동해
② 특히 동절기 콘크리트 공사시 초기동해가 발생되어 구조물의 강도저하로 인한 구조적 문 를 입지 않도록 관리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현장관리에 유의하여야 한다.

Ⅱ. 콘크리트 동해 매카니즘
① 콘크리트 내부에 존재하는 공극이 포상상태
문제 2) 최근 건설현장에서 붕괴횟수가 빈번한 타워크레인 사고방
② 빙점이하로 온도 저하 지를 위한 건설기계(타워크레인) 검사기준에 대하여 설명
③ 모세관공극 내부수 동결
④ 주변 모세관수 이동 및 얼음 확대 하시오.

Ⅰ. 개요
① 최근 건설현장에서 타워크레인 붕괴사고로 빈번하게 발생으로 인하여 많은 인명피해가 발
생하고 있다.
② 타워크레인 설치시 기초고정과 mast 고정이 견고하게 설치되어야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Ⅱ. 타워크레인의 구조
Ⅲ. 초기동해 발생 원인

1) 타설 중 레미콘 공급 지연
① 현장 대기시간 지연 및 최종 타설 완료 시간 초과
② 타설전 시공이음에 대한 계획 미흡

2) 거푸집 및 장비 보양 불량
① 거푸집 보온상태 불량
② Pump 배관 연결 및 보온 준비 불량

3) 콘크리트 배합 및 혼화재 선정 미흡
① 높은 W/B에 따른 모관수 발생 증가
② 한중 콘크리트 조기강도 발현을 위한 혼화재료 선정 미흡

4) 타설 중 눈 등 혼입
① 거푸집내 결빙된 눈 미제거
② 타설 중 눈 등 혼입
Ⅲ. 타워크레인 검사기준
5) 초기 양생 불량
① Con՛c 양생방법의 문제 1) 구조(마스트, 지브, 선회장치 등)
② 타설 후 즉시 상온 보양 등 조치 지연 ① 비틀림, 굴곡, 휨, 부식, 균열 및 용접결함 유무 검사
③ 초기 압축강도 5MPa 강도 미달 ② 연결부 및 볼트체결 부위에는 유격 여부 확인

6) 기타 2) 기초 바닥면
① 동결온도의 지속 - 깨짐이나 부등침하 등이 없을 것
② 빙점 이하 온도에서 타설 3) 클라이밍(Climbing) 또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장치
- 안전한 구조를 갖추어야 하며, 유압계통의 오일 누설이 없을 것
Ⅳ. 방지대책 4) 기계장치
① 트롤리 레일 및 롤러 등 이상음, 이상발열, 균열, 변형, 손상, 마모 등이 없을 것
1) 동절기 공사계획 사전 승인 및 이행
② 레일의 양 끝부분에는 완충장치 및 이동한계 스위치 등의 정지장치가 정상작동 될 것
① 동절기 작업기간 검토 및 초기 동해 방지계획 수립
② 타설시 적정한 온․습도 유지 방안 수립 및 이행 5) 도르래 및 훅(hook)
① 도르래 본체 및 로프 이탈방지 장치는 균열, 변형 등이 없을 것
2) 조기 강도 확보 및 온도변화 방지
② 도르래 홈의 마모량은 로프 직경의 20퍼센트 이내일 것
① 적정 혼화제를 사용하여 초기 양생계획 수립
③ 훅 본체는 균열, 변형 등이 없고 정격하중이 표기되어 있을 것
② 양생시 급격한 온도변화 방지, 보온이나 가열법 등으로 예방
6) 와이어로프
3) 한중콘크리트용 적정 혼화제 첨가
① 달기기구 및 지브의 위치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할 때 와이어로프는 드럼에 최소 2바퀴
① AE제, 감수제 사용
이상 감겨 있을 것
② 응결 경화 촉진제 사용(철근 부식 주의)
② 클립간 간격은 로프 직경의 6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고, 클립에 의한 와이어로프 단말
③ 방동제(염화칼슘, 식염) 사용
고정을 하는 경우 클립수는 다음의 기준에 적합할 것
4) 단열거푸집 적용 검토
직경(㎜) 16 미만 16~28 28 초과
① 초기 강도 확보를 위한 단열 거푸집 적용성
클립수 4개 5개 6개 이상
검토
② 일반 거푸집 대비 단열성 우수 및 조기강도
7) 정격하중 및 거리 표지판
확도 가능
① 각종 이름판은 손상이 없을 것
5) 거푸집 내 빙설 제거 및 보양 ② 조정실에는 지브길이별 정격하중 표시판(Load Chart)을 부착
① 부어넣기, 이어붓기시 거푸집 내부 및 철근의 표면 빙설 완전 제거 ③ 지브에는 조종사가 잘 보이는 곳에 구간별 정격하중 및 거리표지판을 부착할 것
② 필요시 거푸집 표면 sheet 보양 ③ 단, 거리표시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가 조종실에 있는 경우 제외
6) 레미콘 중단 없이 연속 타설 실시 8) 방호장치
① 레미콘 공장 물량 및 투입시기 사전 협의 ① 과부하 방지장치, 회전부분 방호장치, 훅 해지장치 등 정상적으로 작동될 것
② 타설 중 레미콘 공급 중단 없도록 연락체계 확보 ② 하중시험은 정격하중의 1.05배 미만의 하중 함
7) 일정 적산온도이상으로 초기양생 실시 9) 기타
① 누적일 양생온도 관리를 통한 압축강도 추정 ① 지면에서 60미터 이상의 높이로 설치하는 경우 항공장애등을 설치할 것
② 초기 5MPa 강도 확보를 위해 적산온도 관리 ② 각종 장치를 교체하는 경우 동등 이상의 것으로 교체할 것

- 8 -
종로기술사학원(02)749-0010
Ⅳ. 타워크레인 검사종류 6) 해외 장수명 주택 선진업체와 기술교류
① 해외 우수기업과 주기적 기술교류 실시
검사종류 내용 ② 국내적용 가능한 해외 장수명 주택 신기술, 신공법 발굴 및 정착
신규 등록검사 건설기계를 신규로 등록할 때 실시하는 검사
7) 우수 시공사례 발굴 및 홍보
정기검사 검사유효기간이 끝난 후 계속 운행하려는 경우에 실시
구조변경 검사 건설기계 주요 구조를 변경, 개조한 경우 실시하는 검사 ① 장수명 주택 성공 사례 전파
성능 불량하거나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건설기계의 안전성 ② 정립된 개념에 대한 사회적 공유와 지속적 홍보 실시
수시검사 등을 점검하기 위하여 수시로 실시하는 검사와 건설기계
소유자의 신청을 받아 실시하는 검사
Ⅴ. 결론
Ⅴ. 결론 ① 장수명 주택은 한정된 자원을 아끼고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주택이므로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
① 건설현장에서 타워크레인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는 반입 및 현장 운용시 주기적으로 검
② 이를 위해 원천기술 확보 및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기업과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사를 실시해야 한다.
혜택 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② 현장기술자는 타워크레인 검사기준에 대해 숙지하여 불안전한 요소가 발견되지 않도록 철
저한 관리를 해야한다.

문제 4) 오피스 계단실 도장공사 중 무늬도장 시공순서 및 유의사


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문제 3) 장수명주택의 보급 저해요인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설
명하시오.
Ⅰ. 개요
① 도장공사란 건축물의 금속부, 벽면 등을 칠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보존을 도모하며 구조물
Ⅰ. 개요 을 아름답게 장식하는 공사를 말한다.
② 오피스 계단실 도장공사는 최종 마무리공사로 작업시 조건, 바탕마감 정도, 시공방법에 따
① 장수명 주택이란 건설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입주자 주거 만족도 향상을 위해 오래가고, 라 결함이 발생 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쉽게 고쳐 쓸 수 있는 주택을 말한다.
② 장수명 주택은 향후 추구해야할 미래 주택의 모습으로 국가와 기업간의 긴밀한 협조를 통
해 활성화를 시켜야 한다. Ⅱ. 도장공사 요구성능
물체보호 내구성 미화
Ⅱ. 장수명 주택 평가기준 방습성 내구성 색상
방청성 내식성 광택
방식성 내화학성 미관

Ⅲ. 오피스 계단실 무늬도장 시공순서

1) 계단실 바탕면 처리 - 바탕면 못 자국, 균열 등 보수

2) 하도작업 실시 - 백색 하도 전용 도장 실시

- 주변오염방지 위해 비닐 덮개 등을 활용한 보
3) 보양작업 실시
양작업 실시
Ⅲ. 장수명주택의 보급 저해요인
- 무늬도료 배합, 반듯이 전용 스프레이건 사용
4) 무늬도료 뿜칠하기
1) 제도적 지원 미흡 하여 뿜칠 실시
① 정부 차원의 적극적 지원 미흡
② 장수명 주택 사업 시행을 위한 시공사의 가시적 인센티브 부족 - 건조시까지 양생
5) 무늬도료 양생
2) 기술적 한계
① 장수명 주택 실현을 위한 요소기술 부족 - 전용 스프레이건으로 뿜칠 후 롤러로 문지르
② 기술 개발 및 적용까지 많은 시간 소요 6) 코팅제 뿜칠하기
기 실시
3) 시공실적 Data의 부족
① 시공실적 부족에 따른 경제성 예측 난해
② 시공성 향상을 위한 대안 수립 어려움 Ⅳ. 유의사항
4) 기술개발 환경 미흡 1) 콘크리트 바탕면 처리 실시
① 장수명 주택 구현을 위한 기술력 미흡 ① 4주 이상 양생 이후 실시 및 바탕명 건조
② 기술개발 업체 지원을 위한 방침 부족 ② 불순물 제거 및 균열 Putty 보수
5) 추상적 개념으로 이해 및 필요성 인식 부족 2) 시공 시 외기조건 고려
① 장수명 주택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립 및 사회적 공유가 부족 - 습도 85%이상, 기온 5도시 이하 작업금지
② 사회적 필요성에 대한 인식부족
3) 연속작업 실시
① 뿜칠 작업 중 중단 없이 시공
Ⅳ. 활성화 방안 ② 작업 중 중단 발생시 이색 발생

1) 시공비에 대한 금융지원 실시 4) 뿜칠 거리준수 및 겹침시공


① 초기 정착 및 사업지속을 위한 금융지원 제도 마련 ① 벽체와 30cm이내 평행 유지
② 초과된 공사비 지원 및 투자비에 환급 실시 ② 기 시공부위와 너비의 1/3 겹침 뿜칠 실시

2) 제도적 인센티브 부여 5) 작업 후 폐기물 적법처리


① 기업의 참여 확대를 이끌수 있는 인센티브 부여 ① 폐도료통 및 폐페인트 적법 처리
② 세제혜택 등 다양한 부문의 인센티브 시행 ② 지정폐기물 등 처리업체 통한 처리

3) 공공기관 우선 적용 6) 하자 발생 유의
① 공공건물 의무적용 및 발주 하자 원인 대책
② 기존건물로 의무적용 범위 확대 들뜸 양생부족, 바탕유분함유 바탕건조, 5℃ 이상 작업
4) 장수명 주택 요소 기술 투자 탈락 바탕처리 미흡 퍼티시공
균열 하도건조 불충분 하도 건조시간 준수
① 기술개발 업체 발굴 및 투자 확대
기포 미숙련공 작업 도장 후 롤러작업 시행
② 지속적/장기적 원천기술개발 실시
5) 보급형 샘플 세대 개발
① 실적용 가능한 보급형 샘플 주택 개발
② 시험 사업 실시 및 지속적 보완

- 9 -
종로기술사학원(02)749-0010
7) 상도 투명제 시공여부 확인 철저 Ⅳ. 층간 화재확산 시공방법
① 육안검사 : 햇빛 반사 정도에 따라 상도 시공 구분
① 방화 mortar 시공 :두께 1.6 이상 철판+암면 또는 두께 35 이상 방화 mortar 사춤
② 분무시험 : 상도 부위에 6~7회 분사하여 발수정도로 구분
② 방화 sealant : 두께 1.6 이상 철판+암면+방화 sealant(내화시간:2시간)
③ 분무시험시 상도를 시공한 경우 발수 후 흘러내리나, 미시공시 퍼진 후 미장면이 흡수
③ 방화 spray 뿜칠공법 : 두께 1.6 이상 철판+암면+방화 spray(내화시간:2시간)
④ 발수력 : 유광 > 반광 > 무광
④ 내화보드 시공 : 두께 9.5 이상 내화보드+발포성 방화 sealant(내화시간 : 2시간)
8) 무늬 과다시공 주의 ⑤ 발포성형재
① 모서리 부위 겹침 시공에 의한 과다 무늬시공 비번히 발생
② 무늬 밀도가 균일하도록 주의
Ⅴ. 결 론
9) 화기 대비 및 도료 안전보관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건물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각종 가연성 물질의 연소로 인해 많
① 화기로부터 이격
은 유독성 연기와 화염을 발생시키면서 확산되므로 건물화재시 연소확대 경로를 철저히 차단
② 지하실 보관 지양(위험물 저장소 관리)
해야 한다.
10) 기타
① 과도한 도료 교반 주의
② 타 도료와 혼용사용 금지 문제 6) 철골구조에서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바닥슬래브와 보의
Ⅴ. 결론 접합방법 및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① 오피스 계단실 도장공사의 시공정도는 바탕처리에 의해 크게 좌우되므로 각종 바탕면의
보수 및 청소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Ⅰ. 개요
② 또한 오피스 계단실 도장공사의 결함방지를 위해서는 사전 준비사항과 함께 공사 전중후 ① Deck Plate는 철골구조의 철골보에 걸쳐치고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
검사를 하여 결함에 대비해야 한다. 으로 동바리가 없기 때문에 하층의 작업이 용이하며 거푸집 해체공정이 줄어들어 노무절
감 및 공기단축을 기대할 수 있다.
② 철골구조에서 데크플레이트는 상부 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을 확보해야 하며 장스팬의 경우
중앙부에 처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시공에 유의해야한다.
문제 5) 건축물의 층간 화재확산 방지방안을 설명하시오.
Ⅱ. 데크플레이트의 종류

Ⅰ. 개요 종류 내 용

ⓛ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건물 내외의 온도와 압력 차이로 인한 연돌효과(stack effect) ① 데크플레이트를 거푸집 대용으로만 사용
밑창거푸집 공법
때문에 각종 개구부를 통하여 급속하게 전층으로 확대된다. ② 하중은 상부 콘크리트와 철근이 부담
② 따라서 건물 내부를 관통하는 각종 개구부를 효과적으로 밀폐시켜 화재로부터 재산과 인
① Steel Plate를 구조체 일부로 사용
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층간방화구획이 필요하다. 구조체 공법
② 플레이트 위에 타설한 콘크리트와 일체가 되게하는 공법

Half PC 슬래브 하부는 PC판으로 하고 상부는 현장카설 콘크리트로 하는 공법


Ⅱ. 방화구획의 법적기준

구획
구획 단위
종류 Ⅲ. 바닥슬래브와 보의 접합방법
∙10층 이하의 층은 바닥면적 1,000m² 이내마다 구획 (1) 합성슬래브 구조
면적별 ∙11층 이상의 층은 층내 바닥면적 200m²(내장재가 불연재인 경우 500m²)
구획 이내마다 구획 1) Stud Bolt 사용시
∙ 스프링클러 등 자동식 소화설비 설치부분은 상기면적의 3배 이내마다 구획 ① 데크 플레이트를 보에 밀착
② 타설시 이동 및 변형이 되지 않도록 아크 점용접 또는 모살용접 실시
∙3층 이상의 모든 층은 층마다 구획 ③ 관통 스터드 용접시 직경 16이상 스터디 사용하고 보에 밀착시켜 용접
층별 구획
∙지하층은 층마다 구획
2) Stud Bolt 미사용시
용도별 ∙주요 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대상 부분과 기타 부분 사이의 구획 ① 데크 플레이트를 보에 밀착
구획 ∙주요 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대상 부분과 기타 부분 ② 온둘레 용접 실시하며 온둘레 용접위치는 특기시방에 따름
(2) 기타 구조
① 데크 플레이트를 보에 밀착
Ⅲ. 건축물 층간 화재확산 방지방안 ② 타설시 이동 및 변형이 되지 않도록 아크 점용접 또는 모살용접 실시

1) 외벽과 slab 틈새 구획
Ⅳ. 시공시 유의사항
① Slab를 커튼 월까지 가능한 한 접근시킨다.
② 팬코일 박스 후면의 단열판을 내화성능이 있는 벽으로 구획 1) 상부 콘크리트 피복두께 확보
③ 틈새는 충전재료, 충전깊이, 시공방법을 고려하여 효과 극대화 ① Deck Plate 사에서 콘크리트 표면까지 두께 확보
2) 각종 배관 관통부 ② 시공중 두께 확보 실패시 표면 균열 발생
① 방화 우레아폼 충진 2) 처짐을 고려한 Camber 시공
② 철판 위 Con՛c 충진 ① 장 Span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 중앙부 처짐 발생
3) Pit부 ② 4m 이상시 처짐량을 고려하여 Caber 시공

① 거푸집 위 콘크리트 타설 3) Deck Plate 하부 중앙부에 동바리 설치


② 철판 취부 ① 처짐에 의한 침하예상 부위에 처짐 방지용 동바리 설치
② 경간이 길 경우 중앙에 Support 설치
4) 계단실
ⓛ 계단실 출입 방화문은 갑종방화문 시공 4) Deck Plate 단부 처리 철저
② 화재시 연기나 열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함 ① 단부가 분할 이음된 경우 End closer 설치
③ 자동 폐쇄장치 해제 절대 금지 ② 최종 단부는 콘크리트 Stoper 설치

5) 설비 덕트 5) Deck Plate 내화성 확보

ⓛ 덕트가 수직 벽체를 관통하는 경우 방화 댐퍼를 벽체에 매립․고정 ① 내화성능 인증 자재 사용


② 필요시 바닥 내화뿜칠재 시공
②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댐퍼(damper) 주위 벽체는 밀폐
6) 보와 겹침 길이 준수
6) 방화문
① H-Beam(보)와의 겸침길이 300mm이상 유지
① 방화문의 문틀은 불연재로 한다.
② 일체성 확보를 위해 점용접 실시
② 문을 닫은 경우에 방화에 지장이 있는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7) Stud Bolt 시공 기준 확보
③ 문의 부착 철문은 문을 닫은 후에 화재에 노출되지 않아야 한다.
① Beam Flange 폭에 따라 Stud Bolt 시공량 결정
7) 자동방화 셔터의 설치
② 300mm 이상일 경우 2줄, 이하일 경우 1줄 시공
① 전동 및 수동으로 수시로 작동하여야 함
8) 기타
② 임의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고 자중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구조
① Topping concrete 표면 균열 취약부 용접철망 보강
③ 직근 3m 이내에 갑종방화문이 설치된 곳에 설치
8) 설비 수직통로
Ⅴ. 결론
ⓛ 설비 수직통로의 벽체는 내화구조로 상층바닥 slab까지 축조
② 관통부 주위 틈새를 모르타르, 내화충전재로 밀폐 Deck Plate는 철골구조의 바닥 slab를 경량화를 통해 구조물의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RC
③ 점검구 문은 갑종방화문의 구조 Slab에 비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공기단축이 가능한 공법이다. Deck Plate의 품질시공을 위해

9) 기타 서는 보와의 접합부 일체성 확보가 필요하며, 장스팬에서 발생될 수 있는 처짐 등의 시공문제


를 사전에 관리하여야 한다.
- 창호와 slab 연결부는 철판 위 유리면 시공
- 10 -
종로기술사학원(02)749-0010

<4교시> (3) 가스유해성 시험


1) 공시체 및 시험장치

문제1.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시험항목 및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Ⅰ. 개요
ⓛ 최근 건축물 화재가 빈번함에 따라 건축물에 사용 되는 자재의 화재 안정성에 대한 관심
이 높아지고 있다.
② 화재에 취약한 마감ㅊ재료는 화재 안성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난연성능을 시험을 실시 2) 시험방법
하여 등급별로 구분 후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① 피검상자 내 온도 30도로 유지
② 실험용 흰 쥐를 1마리씩 넣은 회전바구니 8개를 피검상자 내에 투입
③ 시험체를 가열로 내에 투압한 후 6분간 가열
Ⅱ.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구분 ④ 가열 개시 후 15분간 개개의 실험용 흰 쥐의 행동정지시간 측정

구분 정의 난연등급 종류 3) 성능기준
① 실험용 쥐의 평균행동 정지시간은 9분 이상이어야 함
콘크리트, 석재, 벽돌, 철강, 유리,
4) 기타
불에타지 않는성질을 알루미늄, 그라스울,
 불연재료 난연 1급 ① 시험체는 실제와 동일한 재료 사용
가진재료 시멘트모르타르, 섬유시멘트판,
② 시험은 시험체가 실내에 접하는 면에 대하여 2회 실시
시멘트판, 석고 시멘트판 등

불연재료에 준하는 성질을 석고보드, 목모시멘트판, Ⅳ. 결 론


 준불연재료 난연 2급
가진재료 펄스시멘트판, 미네랄텍스 등
① 건축물 마감재료는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및 난연재료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재료는
불에 잘 타지않는 성질을
난연재료 난연 3급 난연합판, 난연 플라스틱 등 난연성능 시험을 통해 품질을 검증받고 현장에 반입된다.
가진 재료
② 마감재료의 난연성능에 대한 현장 품질검증을 위해서는 시험성적서 뿐만아니라 반입 자재
중 일부를 샘플링을 하여 외부 시험의뢰를 할 필요가 있다.

Ⅲ.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시험항목 및 기준


(1) 불연성 시험
1) 공시체 및 시험장치
문제2 공동주택현장의 PHC말뚝박기 작업 중, 허용오차 초과 시
조치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Ⅰ. 개요
ⓛ PHC말뚝은 비교적 큰 내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나 지하수위가 낮은 경우에 많이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15M 이내가 가장 경제적이다.
② 공동주택현장에서 PHC말뚝박기시 간격, 수직도 등 허용오차이내에 관리하는 것이 중용하
며, 오차초과시 현장 상황을 판단하여 조치하여야 한다.

2) 시험방법
① 가열로 750℃로 올린 후 시험체를 넣고 20분 가열 Ⅱ. PHC 말뚝시공 허용오차 기준
② 시험체 질량을 0.01g까지 측정, 시험체 홀더에 삽입 후 가열로 내에 투입
③ 20분 가열한 후 시험체 홀더를 가열로에서 제거 항목 허용오차 기준
중심간격(L) 2.5D ≤ L ≤ 5.0D이상 (D=말뚝 지름)
④ 시험체 냉각 후 질량 측정
수직 경사도 1/100이하
3) 성능기준 이음부 편심량 20mm이하, 상하말뚝 축선 일치
가열 종료 후 시험체 질량 감소율이 30%이하

4) 기타
Ⅲ. 허용오차 초과시 조치요령
① 시험체는 실제와 동일한 재료 사용
② 시험은 시험체에 대하여 총 3회 실시 1) 관계 기관 현황 보고 및 대책 수립
③ 복합자재는 시험체 각 단면에 별도 마감하지 않아야 함 ① 시공사, 협력사, 감리단 및 발주처 현황 보고
(2) 열방출율 시험 ② 후속 대책 수립 및 대응방안 이행
1) 공시체 및 시험장치 2) 허용오차 초과 범위 확인
① 초과된 범위 확인 및 영향도 분석
② 초과된 범위에 따라 구조검토 및 보강여부 결정

3) 지지력 확인
① 동재하, 재항타동재하 및 정재하 시험 등 실시하여 지지력 확인
② 재시공 등 후속 방안 판단

4) 구조검토 실시
① 설계위치에서 150mm 초과되어 벗어날 경우 구조검토 실시
② 보강 및 증타 여부 결정

5) 조치 방법 및 공법 결정
2) 시험방법
① PHC 파일 재시공 또는 마이크로파일 시공 등 공법 결정
① 히터에 복사열 배출유량 설정
② 보강타 시공 투입 시점 본공사와 조율
② 시험체와 시험체 홀더를 질량측정 장치 위에 놓음
③ 최대 열방출률과 총 방출열량을 측정 6) 기초 단면 확대 및 철근 보강

④ 가열 종료 후 질량측정 장치에서 시험체 홀더를 제거하고 시험체 관찰 ① 말뚝중심선에서 벗어나 만큼 기초 확대


② 필요시 철근량 보강 실시
3) 성능기준
① 가열시험 개수 후 5분간 총 방출열량 8MJ/㎡를 초과하지 않아야 함 7) 보강말뚝 시공품질 확보
① 수직 기울기가 말뚝길이의 1/50 이상일 경우 보강말뚝 시공
② 5분간 가열 후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융용 등 없어야 함
② 보강말뚝의 시공 위치 사전검토
4) 기타
8) 보강부위 지지력 확인
① 시험체는 실제와 동일한 재료 사용
① 조치된 부위 시공상태 및 지지력 재확인
② 시험은 시험체에 대하여 총 3회 실시
9) 재발방지 대책 수립
① 시공 중 발생된 원인 분석
② 재발방지대책 수립 및 관리자 교육 실시

10) 기타
① 유사 하자 및 해결 사례 확인
② 협력업체 종합평가 실시

- 11 -
종로기술사학원(02)749-0010

Ⅳ. 결론 문제4 외벽 창호주위의 누수방지를 위한 마감공사 시 유의사항에


① PHC 말뚝은 공장 생산된 제품으로 제품상 품질이 균일하고 하자가 적은 반면, 현장에서 대하여 설명하시오.
시공 중 관리를 소홀하게 되면 건축물에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② 따라서 공동주택에서 PHC말뚝박기 작업 중 허용오차 초과 할 경우 구조적으로 문제가 되
지는 여부를 신속히 파악하여 후속공종이 진행되기전 재시공 및 기초보강을 하여 구조물
의 안정성을 확보해야한다.
Ⅰ. 개요
ⓛ 외벽 창호에는 알루미늄 창호, PVC 창호 및 커튼월 등 다양한 종류의 창호로 시공이 가능
하며 창호의 종류와 성능에 따라 실내의 사용성이 좌우된다.
② 외벽 창호는 외력 및 시공상 오류로 인하여 하자가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누수의 발생은
실내 마감재 손상을 비롯한 복합적인 문제를 야기하므로 시공시 중점관리가 요구된다.
문제3 외부 벽체를 노출콘크리트 구조로 시공할 경우, 요구성능
및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Ⅱ. 외벽 창호 요구성능
① 기밀성 ④ 차음성
② 수밀성 ⑤ 내화성

Ⅰ. 개요 ③ 단열성 ⑥ 내구성

ⓛ 노출 콘크리트는 미장하지 않은 채 노출되는 콘크리트면 자체가 치장이 되게 마감하는 콘크리


Ⅲ. 외벽 창호주위 누수방지 위한 마감공사 시 유의사항
트로서 자연 그대로의 미를 살려보자는 근대 건축의 한 이념에서 출발한 것이다.
1) 호이스트 연결 층 외벽창호 주변 균열 보수
② 노툴 콘크리트는 마감재가 절약되고, 구체의 자중이 감소되며, 공종이 적어지고, 경제적으로 공
사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① 호이스트 연결세대 외벽은 진동에 의한 균열 발생 가능성 큼
② 개구부인 창호 주변 발생된 균열 보수 실시
2) 창틀과 벽체 접합부 공간 밀실 충진
Ⅱ. 노출콘크리트의 특징
① 창틀 주변 공간 채움 및 차수, 단열을 위한 우레탄폼 시공
장점 단점 ② 육안 확인이 쉽지 않은 창틀 상하부 충진 철저
자재 절감 거푸집 설비 비용 증가
3) 마감용 실링재 내구성 확보
고강도 콘크리트 추구 콘크리트 이색발생 우려
공사 내용 단일화 곰보 및 Cold Joint 방지 요구 ① 신축성, 내후성, 내오염성, 내열성, 도장성 등을 고려한 자재선정
마감공사 생략 시공정밀도 유지 난해 ② 실링재 시공후 진동, 충격 금지
4) 충진용 발포우레탄 품질성능 확인

Ⅲ. 외부 벽체 노출콘크리트 요구성능 시험 항목 품질 기준
밀 도 20 ㎏/㎥ 이상
1) 내구성
열전도율 0.033 W/m․K 이하
① 노출콘크리트는 풍, 우, 설 등에 의해 마모 및 파손될 우려가 큼
②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큰 고강도화 요구 ․연소시간 : 120초 이내
연소성
2) 내화학성 ․연소길이 : 60㎜ 이내

① 외부에 직접 노출되므로 탄산가스 등에 의한 화학적 반응에 대한 저항성이 커야함 5) 매립 앵커 설치 기준 준수


② 화학적 침식 및 균열 등에 대한 내화학성 요구 ① 매립앵커는 각 모서리에서 150mm 이내에 설치
3) 미적 기능 ② 한변 길이가 1.2m이상인 경우 500mm 간격으로 등분하여 설치
①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오염, 이색 등의 발생으로 구조물의 미관을 저해 우려 6) 창호 수직, 수평 및 설치 정밀도 확인
② 노출콘크리트의 표면 하자 대응을 통한 미적 기능 확보 ① 틀의 기울기 : 2mm이내
4) 내풍압성 ② 틀, 문의 뒤틀림 : 2mm이내
① 외부벽체에 노출시 외부 풍압에 대한 저항력 요구 7) 절단면 접합면 방수처리
5) 단열성 ① 모든 절단면 접합부위와 스크류 작업부위는 조립시 내부로 누수방지처리 실시
① 내외부 온도 차이로 표면 결로 발생 가능 8) 보양 중 후속 작업자에 의한 하자발생 주의
② 단열성 확보를 통한 결로발생 방지 ① 코킹 등 창틀 충진재 보양 중 진동, 충격 금지
6) 기타 ② 후속 마감공종 작업반과 하자 발생시 처리여부 협의
① 차음성, ② 차수성, ③ 내충격성 9) 창틀용 방수제의 염분성분 확인
① 창틀 충전제에 포함된 방수제 중 염분성분 함유량 확인

Ⅳ. 시공시 유의사항 ② 염분성분이 많을 경우 금속재 창호틀의 부식을 발생시켜 균열 및 누수에 원인이 됨


10) 기타
1) 재료
① 창틀 충전제에 포함된 방수제 중 염분성분 함유량 확인
① 염분 함유량 기준치 준수
② 중용열 시멘트 및 골재 최대치수 20~40mm 이내 적용

2) 배합 Ⅳ. 결론
① 슬럼프치 150mm 이하로 관리 ⓛ 창호의 시공은 기밀성, 수밀성 등 요구성능에 충실하도록 시공되어야 하며, 시공전 계획부터, 시
② W/B 가급적 작게 배합 공중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3) 운반
② 외벽창호 주위에 발생되는 누수는 사용자의 불편을 발생시키고, 보수를 위한 하자비용이 크므로
① 운반시 슬럼프 저하에 주의 시공시 부터 현장 담당자는 필수 점검목록을 만들어 관리할 필요가 있다.
② Cement Paste와 골재의 중량 차이에 의한 재료분리 최소화
4) 재료분리
① 비빔에서 타설까지 조료시간을 25도 미만은 120분, 25도 이상은 90분을 한도로 함
② Cement paste 누출 방지를 위해 거푸집 Joint부 처리 유의 문제5 건축물 준공 후 발생되는 건축공해의 유형을 구분하고 사전
5) 이음부
방지대책을 설명하시오.
① 시공전 설계시부터 이음계획 세워 하자 발생 예방
② 노출콘크리트는 양이 많아 건조수추 뀬열 발생의 우려가 많으므로 Control Joint 설치
6) 거푸집
Ⅰ. 개요
① 노출콘크리는 표면이 깨끗한 Steel 사용
② 거푸집과 거푸집 이음부는 밀실하게 시공하고 Cement paste 유출 방지 ⓛ 건설공해란 건축 및 토목공사 등의 착공에서 준공까지의 기간 동안에 건설 작업으로 인하여 주
변 주민의 생활 환경을 해치는 것을 말한다.
7) 표면 결함
① 표면부 이색 발생되지 않도록 유의 ② 저소음, 저진동 공법을 채택한다 하여도 기계 자체의 기계음을 막을 수가 없고, 지역 주민들의
② 타설면 곰보, 균열 발생 주의 집단 이기주의의 팽배와 기술력 부족 등으로 문제 해결이 어렵다.

Ⅴ. 결 론 Ⅱ. 건설공해의 특수성
① 건축물 마감재료는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및 난연재료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재료는 ① 문제해결이 어렵다
난연성능 시험을 통해 품질을 검증받고 현장에 반입된다.
② 민원 발생으로 공기 및 공사비에 큰 영향을 준다.
② 마감재료의 난연성능에 대한 현장 품질검증을 위해서는 시험성적서 뿐만아니라 반입 자재
중 일부를 샘플링을 하여 외부 시험의뢰를 할 필요가 있다. ③ 공사중 불가피한 사안이다.

④ 공사기간 중 주로 발생한다.

- 12 -
종로기술사학원(02)749-0010

Ⅲ. 준공 후 발생되는 건설공해의 유형 Ⅲ. 균열발생 원인


1) 건설폐기물 1) 재료불량

① 준공 후 폐자재 및 잔손보기시 발생된 폐기물 발생 ① 시멘트 풍화한 것 사용하게 되면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져 균열발생
② 골재 강도가 낮고 원형아닌 이형골재는 공극이 많아져 균열의 원인이 됨
2) 지하수 오염
2) 배합불량
① 지하수 개발을 위한 Boring 굴착공의 방치
① 물결합재비가 큰 경우 발생
② 건설현장에서 발생했던 오물 등이 우천시 땅속으로 유입 ② 굵은 골재 치수 결정이 작을 경우 강성이 떨어져 외부 저항력 저하로 인한 균열발생

3) 실내공기 오염 3) 시공불량

① 실내 가구공사 및 마감자재에서 오염물질 방출 ① 운반시 재료분리 발생


② 콘크리트 초기양생 불량한 곳은 건조수축 발생으로 균열 야기
②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
4) 시험 불량
4) 지정폐기물
① 레미콘 염분 함유량 기준치 초과에 따른 철근 부식
① 폐 페인트 및 페인트통 잔재물 발생 ② 콘크리트 공기량 기준치 초과시 콘크리트 공극 발생으로 물 침투 가속에 따른 철근 부식

② 기름성분의 유기성 물질 등 지정폐기물 처리가 요구되는 폐기물 발생 5) 염해


- 염해는 철근을 부식, 팽창시켜 균열을 야기함
5) 일조권 침해
6) 탄산화
① 대형 건축물 신축으로 기존 소규모 건축물의 일조량 부족

② 일조량 부족으로 심리적인 우울감, 불안감 발생

6) 빌딩풍해

① 고층 건축물들 사이에 골짜기 바람 발생으로 풍속이 증대되어 빌딩풍 발생

② 풍속에 의한 자동차 배기가스 등 공해확산


7) 기타
7) 기타 ① 동결융해 : 빙점 이하 온도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동결에 의한 균열 발생
① 전파방해 : 대형 건축물이 전파 방해물체가 되어 소규모 건축물 방송전파 차단 ② 온도변화 : 매스콘크리트 타설시 발열량과 외기 온도차에 의한 온도구배 발생으로 균열 야기
③ 알칼리골재반응, 건조수축 등 원인으로 균열 발생
② 빛공해 : 대형 건축물 외장유리에 반사된 빛에 의해 주변 건물 거주자 눈부심 현상 발생

Ⅳ. 대책
Ⅳ. 사전방지 대책
1) 선별된 재료 사용여부 검토
1) 폐기물 적법 처리
① 풍화된 시멘트 및 해사 사용 금지
① 건설폐기물 및 지정폐기물 등 적법하게 처리
② 깬 자갈속에 화산염 함유량 많으므로 사용 억제
② 올바로 시스템에 실적 신고
2) 혼화재 사용
2) 시공 정밀도 확보
① 유동화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유동성 증가시켜 감수효과 기대
① 시공 중 발생되는 하자 및 재시공 최소화
② 유동성이 증대되어 콘크리트 내 공극률이 감소하여 물침투 방지
② 폐기물 발생량 최소화
3) 물결합재비
3) 친환경 자재 적용
① 적정 혼화재 사용하고, 시공연도 내에서 물결합재비를 낮춤
① 유해물질 발생 적은 친환경 자재 선정
② 물결합재비 낮아지면 건조시 침하균열, 블리딩 현상 등에 의한 균열발생이 낮아짐
② 마감재 시공시 친환경 접착재 사용
4) 골재 최대 치수 및 잔골재율
4) BIM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시
① 골재 최대치수는 철근간격, 시공연도내에서 최대로 하여여 단위수량이 적어짐
① 준공 후 발생될 수 있는 공해 요소를 사전 시뮬레이션 실시
② 잔골재율 작아지면 콘크리트 단위수량이 감소되어 균열이 방지됨
② 빛, 소음/진동 등 발생 요소 사전 파악 및 대책 수립
5) 운반 및 타설
5) Bake Out 및 Flash Out 실시
① 장시간 운반 또는 대기치 펌프카 파이프내 재료분리되지 않도록 주의
① 준공후 입주전 베이크 아웃 및 플래시 아웃 실시 통한 실내 유해물질 제거
② 타설시 진동다짐은 시간과 간격을 준수하여 재료분리가 생기지 않도록 실시
② 폼알데히드,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유해 물질을 외부로 배출
6) 양생
6) 분별해체 및 Zero Emission
① 초기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 방지를 위하여 양생 철저
① 공종별 발생 폐기물 종류별 선별 ② 초기양생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습윤양생 실시
② 소각 및 매립 최소화
7) 동결융해
7) 인공 및 장식 조명 적용부위 검토
① 빙점 이하에서는 콘크리트 타설 금지
① 저층부 세대 고려한 단지내 가로등 방향 조절 ② 동절기 타설시 온풍시설 후 조강포틀랜드 시멘트 및 적정 혼화제 사용
② 과도한 장식 조명 자제
8) 기타
8) 기타
① 온도구배 방지를 위해 Precooling 및 Pipe cooling 등 양생법 적용
① 도시미관 및 주변환경 고려한 설계 ② 양생중 기계적인 진동, 충격 등을 방지
② 빌딩 풍해 방지를 위한 풍동시험 실시

Ⅴ. 결론 Ⅴ. 결론
① 콘크리트의 타설 후 초기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이 전체 콘크리트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
① 최근 건축물은 대지의 협소로 인하여 기존 건축물과 근접 시공되는 경우가 많고 저소음 저진동
소가 되므로 콘크리트 타설 후 초기 균열 방지를 위해 양생을 충분히 실시한다.
기계가 개발되고 있으나 기술력의 부족으로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미흡하다.
② 콘크리트 균열의 원인이 되는 재료선정, 배합설계, 시공 등의 철저한 품질관리를 통하여 강도,
② 그러므로 사회 전반에 걸친 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관청, 발주자, 설계자, 시공업자, 주민 각자
내구성, 수밀성이 확보되는 콘크리트를 생산하여야 한다.
가 지혜를 모아 타당한 여론을 확림해 건설공해에 대처해 나가야 한다

문제6 콘크리트공사에서 균열발생의 원인 및 대책을 설명하시오.

Ⅰ. 개요
ⓛ 콘크리트 구조울의 균열 원인으로는 재료분리, 건조수축, 탄산화, 동결융해 등이 있으며 심할
경우는 구조의 안전성을 위협하기도 한다.

② 콘크리트의 품질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설계에서부터 재료, 배합, 타설 양생에 이르는 전과


정에서의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Ⅱ. 균열의 종류
구분 종류
① 소성수축 균열
미경화 콘크리트 균열
② 침하균열
① 건조수축 균열
② 열 응력 균열
경화 콘크리트 균열
③ 화학적 반응에 의한 균열
④ 철근부식에 의한 균열
- 13 -

You might also like